KR100961035B1 - 접속 대상물의 형상에 의한 제한 없이 차폐가 이루어질 수있는 소켓 - Google Patents

접속 대상물의 형상에 의한 제한 없이 차폐가 이루어질 수있는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1035B1
KR100961035B1 KR1020070100256A KR20070100256A KR100961035B1 KR 100961035 B1 KR100961035 B1 KR 100961035B1 KR 1020070100256 A KR1020070100256 A KR 1020070100256A KR 20070100256 A KR20070100256 A KR 20070100256A KR 100961035 B1 KR100961035 B1 KR 100961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object
shell
housing
connection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1822A (ko
Inventor
카즈키 사이토
신고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1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1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76Coupling devices for connection between PCB and component, e.g.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제 1 접속 대상물과 제 2 접속 대상물을 접속하기 위한 소켓에서, 콘택트(contact)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속 대상물에 각각 접속되는 제 1 접속부 및 제 2 접속부를 갖는다. 절연 하우징이 상기 콘택트를 유지한다. 쉘(shell)은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한 쉘 수용부를 갖는다. 접속 장치(arrangement)는 상기 쉘을 하우징에 접속한다. 상기 쉘 수용부는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의 일면과 대면하는 바닥벽 및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의 측면을 둘러싸는 측벽을 포함한다. 상기 측면은 상기 일면에 인접한다. 상기 측벽은 상기 접속 장치와 걸림 결합되는 결합부(engaging portion)를 갖는다. 상기 바닥벽은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의 일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상기 제 1 접속부와 가압 접촉되게 한다.

Description

접속 대상물의 형상에 의한 제한 없이 차폐가 이루어질 수 있는 소켓{SOCKET IN WHICH SHIELDING CAN BE MADE WITHOUT RESTRICTION BY THE SHAPE OF A CONNECTION OBJECT}
본 출원은 2006년 10월 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No. 2006-275408에 기초하여 이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특허 출원의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 통합된다.
본 발명은 접속 대상물을 서로 접속하기 위한 소켓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JP-A) No. 2004-243340(종래기술 1)은 카메라 모듈이 삽입되어 끼움결합되는 끼움결합부를 갖는 소켓을 개시한다. 상기 소켓은 끼움결합부가 형성된 소켓 몸체, 상기 카메라 모듈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끼움결합부 내에 노출된 단자 및 상기 소켓 몸체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공보(JP-A) No. 2006-210205(WO/2006/083670에 대응)(종래기술 2)는 모듈용 소켓을 개시한다. 상기 소켓은 상기 모듈의 바닥면에 대면한 하우징 부재, 상기 하우징 부재에 설치된 단자 및 상기 모듈을 둘러싸는 쉘 을 포함한다. 상기 쉘은 상기 하우징 부재의 4개 측부를 둘러싸는 측벽으로서 4개의 평평한 평면을 갖는다. 상기 단자 및 쉘은 보드에 접속된다.
종래 기술 1에서, 소켓 몸체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수용하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의 4개 측면 주위에 배치된다. 또한, 프레임은 상기 소켓 몸체 바깥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소켓은 크기가 크다. 또한, 더 많은 수의 부품이 필요하므로 취급이 복잡하며 조립 단계의 수도 많다.
종래 기술 2에서, 쉘은 그 상단부에 넓은 개구를 갖는다. 따라서, 모듈의 상부 표면은 상기 쉘에 의해 차폐될 수 없다. 또한, 복수의 절단 부분이 접지 스프링 및 로킹(locking) 스프링 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쉘의 측벽 상에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모듈의 형상에 대응하는 쉘의 형상은 부득이하게 제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속 대상물의 형상에 의한 제약 없이 차폐가 이루어질 수 있는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측면에 따르면, 제 1 접속 대상물과 제 2 접속 대상물을 접속하기 위한 소켓이 제공되며, 상기 소켓은 상기 제 1 및 제 2 접속 대상물 각각에 접속되는 제 1 접속부 및 제 2 접속부를 갖는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를 유지하는 절연 하우징,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한 쉘 수용부를 갖는 쉘 및 상기 하우징에 상기 쉘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쉘 수용부는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의 일면에 대면하는 바닥벽 및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의 측면을 둘러싸는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은 상기 일면에 인접하고, 상기 측벽은 상기 접속 장치와 걸림 결합되는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바닥벽은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의 일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이 상기 제 1 접속부와 가압 접촉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소켓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소켓(1)은 복수의 도전성 콘택트(11), 상기 콘택트(11)를 유지하는 절연 하우징(21) 및 상기 하우징(21)과 걸림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21)에 의해 유지되는 도전성 쉘(31)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1)은 제 1 및 제 2 접속 대상물(51 및 61)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하우징(21) 상에, 제 1 접속 대상물(51)이 배치된다. 상기 소켓(1)은 제 1 접속 대상물(51)이 상기 쉘(31)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제 1 및 제 2 접속 대상물(51 및 61)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여기서 주목할 사항으로서, 조립된 상태의 상기 하우징(21) 및 쉘(31)은 분해(disassemble)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택트(11) 각각은 유지부(12), 일반적으로 U자 형상으로 구부러지며 상기 유지부(12)를 대면하도록 안쪽으로 연장하는, 상기 유지부(12)의 일단에 접속된 제 1 접속부(14) 및 상기 유지부(12)의 타단에 접속되며 그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접속부(15)를 갖는다.
상기 제 1 접속부(14)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도록 상기 유지부(12)에 접속된다. 제 1 접속부(14)는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51)에 접속되도록 일반적으로 아치(arcuate) 형상으로 구부러진 자유단을 갖는다. 상기 유지부(12) 및 제 2 접속부(15)의 결합은 상기 제 2 접속부(15)의 단부가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61)에 접속되도록 크랭크(crank)-형상을 갖는다. 상기 콘택트(11)는 도전성 플레이트를 펀칭한 다음에 구부림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콘택트(11)는 2줄로 배열되어 상기 하우징(21)에 의해 유지된다. 각 열에서, 상기 콘택트(11)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상기 줄 중 하나의 콘택트(11)는 서로 대면하는 U-자 형상부를 가지면서 다른 줄의 콘택트(11)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1)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의 평평한 형상을 가지며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 베이스부(23), 상기 베이스부(23) 상에 형성된 복수의 콘택트 유지부(22), 상기 쉘(31)에 압입-끼움결합된(press-fitted) 복수의 돌출부(24), 상기 쉘(31)과 걸림 결합되는 복수의 돌출 피결합부(engaged portion)(25) 및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51)을 적절한 위치에 위치결정하도록 상기 베이스부(23)의 일면(23a) 상에 형성된 복수의 위치결정부(26)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23)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 1 측면(23c) 및 서로 대향하며 상기 제 1 측면(23c)에 수직인 한 쌍의 제 2 측면(23d)을 갖는다. 상기 콘택트 유지부(22)는 상기 제 1 측면(23c)의 각각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23)의 중심 근처로 연장하는 긴 절단 그루브를 형성함으로써 일반적으로 빗-형상 패턴으로 형성된다. 상기 콘택트 유지부(22)는 상기 콘택트(11)에 대해 일대일 대응으로 상기 베이스부(23) 상에 형성된다. 각각의 단일 콘택트(11)의 유지부(12)는 압입-끼움결합되어 각각의 단일 콘택트 유지부(22)에 의해 유지된다.
상기 돌출부(24)는 상기 제 2 측면(23d) 각각에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24)의 각각은 상기 제 2 측면(23d) 각각의 길이방향 중심에 위치결정된다. 상기 피결합부(25)는 상기 제 2 측면(23d) 각각으로부터 돌출하며 상기 제 2 측면(23d)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돌출부(24)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상기 위치결정부(26)는 원통 형상을 갖고 제 2 측면(23) 근처, 및 상기 콘택트 유지부(22)의 2열(row) 사이의 위치에 상기 베이스부(23)의 일면(23a)으로부터 돌출한다. 상기 위치결정부(26)는 도 6에 도시된 제 1 접속 대상물(51)의 본체(53)의 바닥면 상에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장착 기판(55) 상에 형성된 위치결정 홀(56)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23)에는 상기 베이스부(23)의 제 1 측면(23c) 근처에 형성되고, 상기 콘택트 유지부(22)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수평 방향 및 상기 베이스부(23)의 일면(23a)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23)의 일면(23a)에 대면한 다른 표면을 향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로킹 그루브(27)가 형성된다.
도 2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1)에 상기 콘택트(11)의 제 1 접속부(14)가 상기 하우징(21)의 베이스부(23)의 일면(23a) 상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부(23)의 일면(23a)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displaceable)될 수 있다. 상기 콘택트(11)의 제 2 접속부(15)는 상기 일면(23a)과는 다른, 상기 하우 징(21)의 베이스부(23)의 또 다른 표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쉘(31)은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51)을 수용하기 위한 쉘 수용부(33)를 갖는다. 상기 쉘 수용부(33)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 1 측벽부(35 및 36), 서로 대면하며 상기 제 1 측벽부(35 및 36)에 수직인 한 쌍의 제 2 측벽부(37 및 38) 및 상기 제 1 및 제 2 측벽부(35, 36, 37 및 38)에 의해 형성된 직사각형 관 형상 구조의 일단에서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측벽부(35, 36, 37 및 38)에 접속된 천장 또는 바닥벽부(39)를 갖는다.
상기 바닥벽부(39)로부터 연장하는 제 1 측벽부(35)에는 상기 바닥벽부(39)에 대향하는 측부상의 하나의 에지 주변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부(35a)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측벽부(35)에는 상기 결합부(35a)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하나의 에지상에 형성된 쉘 압입-끼움결합 그루브(35c)가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지만, 상기 제 1 측벽부(36)에는 유사한 결합부(35a) 및 유사한 그루브(35c)가 형성된다.
상기 쉘(31)은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해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51)을 커버하는 역할을 하며, 금속 플레이트를 펀칭하여 구부림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35a)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펀칭함으로써 형성된 긴 직사각형 홀이며, 상기 하우징(21)의 피결합부(25)와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측벽부(35 및 36) 상에 위치결정된다. 상기 쉘 압입-끼움결합 그루브(35c)는 압입-끼움결합된 하우징(21)의 돌출부(24)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 1 측벽부(35 및 36) 상에 위치결정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측벽부(35, 36, 37 및 38) 각각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측벽부(35, 36, 37 및 38) 각각을 절단하여 구부림으로써 형성된 쉘 유지부(41)가 형성된다. 상기 쉘 유지부(41)는 캔틸레버(cantilever) 방식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측벽부(35, 36, 37 및 38)에 접속되며, 상기 쉘 수용부(33)에 수용된 제 1 접속 대상물(51)의 본체(53)의 외부 측면(53b)과 접촉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51)을 유지한다.
상기 제 1 측벽부(35)에는 상기 제 1 측벽부(35)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그 하단부 근처에 횡방향 측부를 안쪽으로 구부림으로써 형성된 돌출부(35f)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5f)는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51)의 잘못된 끼움결합을 방지하여 상기 쉘 수용부(33)에 수용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51)은 상술한 본체(53) 및 상기 본체(53) 바닥에 배치된 장착 기판(55)을 갖는다. 상기 장착 기판(55)은 일대일 대응으로 상기 콘택트(11)의 제 1 접속부(14)와 접촉하도록 된 복수의 도전성 패드(59)를 갖는다.
상기 본체(53)의 외부 측면(53b)은 잘못된 끼움결합을 방지하도록 일 코너에 형성된 절단부(cutaway portion)(53a)를 갖는 4개의 측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51)의 본체(53)가 상기 쉘(31)의 쉘 수용부(33)에 삽입될 때, 상기 본체(53)의 외부 측면(53b)은 상기 쉘 유지부(41)에 의해 유지된다.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51)의 본체(53)가 상기 쉘(31)의 쉘 수용부(33)에 삽입될 때, 잘못된 끼움결합을 방지하기 위한 절단부(53a)에 의해 상기 본체(53)는 상기 절단부(53a)가 상기 쉘(31)의 돌출부(35f)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쉘 수용부(33)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쉘(31)의 상기 제 2 측벽부(37 및 38)는 서로를 향해 안쪽으로 약간 구부러진 단부(end portions)(37e 및 38e)를 갖는다. 상기 쉘(31)이 상기 하우징(21)에 의해 유지될 때, 상기 단부(37e 및 38e)는 상기 하우징(21)의 결합 그루브(27)와 걸림 결합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소켓(1)을 이용하는 제 1 접속 대상물(51)은 CCD 또는 CMOS 영상 센서와 같은 영상 픽업(pickup) 장치와, 렌즈 등의 광학 장치의 결합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이다.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61)은 인쇄 회로 기판이다.
제 1 접속 대상물(51)은 일반적으로 입방 형상을 갖고, 상면으로서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51)의 일면(51a) 상에 배치된 렌즈(57)를 포함한다. 상기 쉘(31)의 바닥벽부(39)는 렌즈(57)에 대응하는 원형 홀(39a)을 갖는다.
이하에서, 상기 소켓(1)의 조립 동작 및 상기 소켓(1)을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접속 대상물(51 및 61)을 접속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콘택트(11)의 유지부(12)는 압입-끼움결합되어 상기 하우징(21)의 콘택트 유지부(22)에 의해 유지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하우징(21)이 수지 재료를 몰딩함으로써 형성될 때, 상기 콘택트(11)는 상기 유지부(12)의 인서트-몰딩(insert-molding)에 의해 상기 하우징(21)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61)은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61)의 회로에 접속된 접속부로서 복수의 도전성 패드(63)를 갖는다. 상기 도전성 패드(63) 및 상기 콘택트(11)의 제 2 접속부(15)는 땜납에 의해 접속된다. 상기 콘택트(11)가 상기 하우징(21)에 의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콘택트(11)의 제 2 접속부(15)는 땜납에 의해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61)에 접속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하우징(21)이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61)에 장착되어 고정된다.
그 후에,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51)은 하우징(21)에 대해 위치결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21)의 위치결정부(26)는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51)을 위치결정하도록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51)의 장착 보드(55)에 형성된 위치결정 홀(56)에 삽입된다. 유사한 위치결정 홀이 또한 상기 장착 보드(55)에 추가하여 본체(53)에 형성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쉘(31)은 하우징(21)에 부착된다. 상기 쉘(31)이 하우징(21)에 부착될 때, 상기 쉘(31)의 돌출부(35f)는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51)의 절단 부분(53a)과 정렬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쉘 수용부(33)는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51)의 본체(53) 상에 놓인다. 이때, 상기 쉘 수용부(33)의 제 1 측벽부(35 및 36)의 에지가 하우징(21)의 피결합부(25)와 접촉하게 되며 상기 피결합부(25) 위로 움직이도록 서로로부터 약간 떨어져 변위된다. 그 후에, 상기 피결합부(25)는 상기 쉘(31)의 결합부(35a)와 걸림 결합되며, 상기 제 1 측벽부(35 및 36)는 변위된 상태로부터 원래 상태로 복귀된다. 따라서, 상기 피결합부(25)는 상기 쉘(31)과 베이스부(23)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 장치로서의 역할을 한다. 동시에, 상기 쉘 수용부(33)의 제 1 측벽부(35 및 36)의 쉘 압입-끼움결합 그루브(35c)가 상기 하우징(21)의 돌출부(24)와 접촉하게 되어 상기 돌출부(24)가 상기 쉘 압입-끼움결합 그루브(35c)에 압입-끼움결합된다.
따라서, 제 1 접속 대상물(51)이 접속될 때, 상기 쉘(31)의 결합부(35a)는 상기 하우징(21) 상에 형성된 피결합부(25)와 걸림 결합되며, 상기 쉘(31)의 바닥벽부(39)는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51)의 일면(51a)을 가압하여 상기 콘택트(11)의 제 1 접속부(14)를 향해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51)을 가압한다. 그 다음에,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51)의 장착 보드(55) 상에 형성된 도전성 패드(59)는 일대일 대응으로 상기 콘택트(11)의 제 1 접속부(14)와 접촉하게 된다.
카메라 모듈이 제 1 접속 대상물(51)로서 이용되는 경우에, 상기 원형 홀(39a)이 렌즈(57)에 대응하여 상기 쉘(31)의 바닥벽부(39)상에 간단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접속 대상물(51)은 바닥벽부(39)에 의해 가압될 수 있어 상기 장착 보드(55)의 도전성 패드(59) 및 상기 콘택트(11)의 제 1 접속부(14)가 가압력에 의해 서로 접촉하게 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21)의 위치결정부(26) 및 상기 장착 보드(55) 상에 형성된 위치결정 홀(56)을 끼움결합함으로써 위치결정이 수행된다. 상기 위치결정부(26) 및 위치결정 홀(56)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다면,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51)이 하우징(21)에 대해 잘못 위치결정되거나 잘못된 방향으로 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위치결정부 및 위치결정 홀은 상기 실시예의 역 방식으로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51) 및 하우징(21)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쉘(31)의 쉘 유지부(41)는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51)을 커버링하는 단계 동안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51)을 예비적으로, 그리고 일시적으로 고정하는데 효과적이다. 4개의 쉘 유지부(41) 내에 제 1 접속 대상물(51)의 본체(53)를 끼움결합함으로써,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51)이 일시적으로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쉘(31)이 하우징(21)에 부착되어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51) 및 콘택트(11)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쉘(31)을 하우징(21)에 부착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21) 상에 형성된 쉘 결합 돌출부(24)가 쉘(31)에 형성된 하우징 결합 그루브(35c)에 끼움결합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하우징(21) 및 쉘(31)에는 역 방식으로 상기 그루브 및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51)이 예비적으로, 그리고 일시적으로 하우징(21)에 고정될 때, 상기 하우징(21)의 위치결정부(26)는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51)과 하우징(21)을 끼움결합하는 정확성을 개선하도록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51)의 위치결정 홀(56)에 압입-끼움결합된다.
또한, 상기 쉘(31)의 제 2 측벽부(37 및 38)의 단부(37e 및 38e)와 상기 하우징(21)의 결합 그루브(27)는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51)이 상기 쉘(31)에 수용될 때, 상기 쉘 유지부(41)의 변위에 따라 바깥쪽으로 팽창하도록 상기 제 2 측벽부(37 및 38)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상기 소켓(1)에서, 상기 하우징(21)의 돌출부(24), 상기 쉘(31)의 쉘-끼움결합 그루브(35c), 잘못된 끼움결합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부(35f) 및 쉘 유지부(41)가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51) 및 쉘(31)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으로서 적절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소켓(1)에 의해, 상기 쉘(31)은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51)의 상면 및 측면을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쉘(31)은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51)의 상면이 상기 쉘(31)의 바닥벽부(39)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21)과 걸림 결합된다. 따라서, 제 1 접속 대상물(51)의 형상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차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소켓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유사한 부분은 유사 참조 부호에 의해 지시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소켓은 도전성 재료의 복수의 신호 콘택트(11') 및도전성 재료의 4개의 접지 콘택트(70)를 포함한다. 각각의 신호 콘택트(11')는 도 1 내지 도 3의 소켓에 사용된 각 콘택트(11)의 기능에 대응한다. 더 구체적으로, 각 신호 콘택트(11')가 각 콘택트(11)로부터 그 형상이 변형되어 실질적으로 직선 형태를 갖더라도, 각 콘택트(11)의 기능과 유사한 기능을 갖는다. 즉, 각각의 신호 콘택트(11')는 제 1 및 제 2 접속 대상물(51 및 61) 사이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2에서, 상기 콘택트 유지부(22)는 상기 신호 콘택트(11')의 형상에 따라 변형된다. 게다가, 상기 베이스부(23)는 2개의 대향 측면인 주변 표면상에 복수의 그루브(28)를 갖도록 변형된다.
도 13에서, 상기 접지 콘택트(70) 각각은 플레이트 형상의 접속부(71), 후크 형상의 피결합부(72), 상기 접속부(71)와 피결합부(72) 사이에 일체 형성된 만곡된(curved) 중간부(73) 및 상기 중간부(73)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돌출하는 유지부(74)를 포함한다.
도 10 내지 도 12로 돌아가서, 상기 접지 콘택트(70)는 상기 중간부(73)가 각각 그루브(28)에 끼움결합된 채로 상기 하우징(21)에 의해 유지된다. 그와 같은 상태에서, 각 접지 콘택트(70)의 피결합부(72)는 상기 쉘(31) 상의 관통 홀로서 제공되는 결합부(35a) 중 대응하는 하나와 걸림 결합된다. 한편, 상기 유지부(74)는 상기 베이스부(23)의 하부 표면과 걸림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23)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접지 콘택트(70)는 상기 쉘(31)과 베이스부(23)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 장치로서의 역할을 한다.
상기 소켓이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51)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61)상에 장착될 때, 각 신호 콘택트(11')의 제 2 접속부(15)는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61)상에 형성된 회로 패턴(도시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동시에, 각 접지 콘택트(70)의 접속부(71)는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61)의 또 다른 회로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후에, 상기 제 2 접속부(15) 및 접속부(71)는 회로 패턴 중 대응하는 패턴으로 각각 땜납된다.
상기 소켓이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61) 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피결합부(72)는 각 접지 콘택트(70)의 반응력에 의해 상기 쉘(31)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쉘(31)은 접지 콘택트(70)를 통해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6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차폐의 개선이 기대될 수 있다.
제 1 접속 대상물은 IC 패키지, 적외선 센서 또는 판독 센서와 같은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 음향 장치 모듈 등일 수 있다.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은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 전화 및 PDA와 같 은 소형 전자 장치, 가정용 전자제품, 자동차, 보안 모니터링 시스템 등에 설치되는 소켓으로서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실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소켓의 사용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켓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접속되는 제 1 및 제 2 대상물과 함께 도 1에 도시된 소켓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소켓의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하우징의 바닥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제 1 접속 대상물의 바닥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쉘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쉘의 바닥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소켓의 사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소켓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12는 접속되는 제 1 및 제 2 대상물과 함께 도 1에 도시된 소켓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소켓에 포함된 접지 콘택트의 확대 사시도이다.

Claims (12)

  1. 제 1 접속 대상물 및 제 2 접속 대상물을 접속하기 위한 소켓으로서,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과 제 2 접속 대상물에 각각 접속되는 제 1 접속부 및 제 2 접속부를 갖는 콘택트(contact);
    상기 콘택트를 유지하는 절연 하우징;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한 쉘(shell) 수용부를 갖는 쉘; 및
    상기 쉘을 상기 하우징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장치(arrangement)를 포함하며,
    상기 쉘 수용부는,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의 일면과 대면하는 바닥벽; 및
    상기 일면에 인접하는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의 측면을 둘러싸는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측벽은 결합부(engaging portion)를 가지며,
    상기 바닥벽은 상기 하우징의 일면을 향해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의 일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의 반대측 면이 상기 제 1 접속부와 가압 접촉하게 되며,
    상기 접속 장치는 상기 쉘을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지 콘택트를 포함하며,
    상기 접지 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의 반대측 면과 걸림 결합되는 유지부와, 상기 결합부와 걸림 결합되는 피결합부와,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 상에 형성된 회로 패턴에 접속되도록 된 접속부를 포함하는, 제 1 접속 대상물 및 제 2 접속 대상물을 접속하기 위한 소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쉘 수용부는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을 유지하도록 상기 측벽상에 형성된 쉘 유지부를 갖는, 제 1 접속 대상물 및 제 2 접속 대상물을 접속하기 위한 소켓.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평평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쉘의 측벽 단부를 수용하여 걸림 결합하도록 결합 그루브를 갖는, 제 1 접속 대상물 및 제 2 접속 대상물을 접속하기 위한 소켓.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평평한 형상을 갖는 제 1 접속 대상물을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부를 갖는, 제 1 접속 대상물 및 제 2 접속 대상물을 접속하기 위한 소켓.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평평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과 상기 제 2 접속 대상물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접속 대상물 및 제 2 접속 대상물을 접속하기 위한 소켓.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쉘 수용부의 측벽은 서로로부터 분리되는 복수의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부가 형성되는, 제 1 접속 대상물 및 제 2 접속 대상물을 접속하기 위한 소켓.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두께를 규정하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 1 접속 대상물 및 제 2 접속 대상물을 접속하기 위한 소켓.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쉘의 측벽 단부를 수용하여 걸림 결합하기 위한 결합 그루브를 가지며, 상기 쉘 수용부의 측벽은 서로로부터 분리되는 복수의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단부(end portion)가 형성되는, 제 1 접속 대상물 및 제 2 접속 대상물을 접속하기 위한 소켓.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그루브는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을 향해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 1 접속 대상물 및 제 2 접속 대상물을 접속하기 위한 소켓.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부는 상기 제 1 접속 대상물을 향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제 1 접속 대상물 및 제 2 접속 대상물을 접속하기 위한 소켓.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피결합부(engaged portion)를 포함하며, 상기 피결합부는 상기 결합부와 걸림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제 1 접속 대상물 및 제 2 접속 대상물을 접속하기 위한 소켓.
  12. 삭제
KR1020070100256A 2006-10-06 2007-10-05 접속 대상물의 형상에 의한 제한 없이 차폐가 이루어질 수있는 소켓 KR1009610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75408 2006-10-06
JPJP-P-2006-00275408 2006-10-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1822A KR20080031822A (ko) 2008-04-11
KR100961035B1 true KR100961035B1 (ko) 2010-06-01

Family

ID=38656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256A KR100961035B1 (ko) 2006-10-06 2007-10-05 접속 대상물의 형상에 의한 제한 없이 차폐가 이루어질 수있는 소켓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61035B1 (ko)
FI (1) FI1204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646B1 (ko) * 2014-10-23 2021-12-01 주식회사 솔루엠 전력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0205A (ja) 2005-01-31 2006-08-10 Molex Inc モジュール用ソケ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0205A (ja) 2005-01-31 2006-08-10 Molex Inc モジュール用ソケ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20070748A0 (fi) 2007-10-02
FI120428B (fi) 2009-10-15
KR20080031822A (ko) 2008-04-11
FI20070748A (fi) 2008-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1463B2 (en) Electronic component
US7029287B2 (en) Electrical connector in which a wiping action is carried out in a narrow area
EP1846990B1 (en)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US6964573B2 (en) Electronic part-mounting socket
JP4249192B2 (ja) モジュール機器用電気機器
US20060234557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taining shell
JP2008066083A (ja) モジュール用ソケット
JP2006210205A (ja) モジュール用ソケット
US8942007B2 (en) Electrical component
US7281954B1 (en) Socket connector improved in adaptability to a terminal position of a connection object
US7147510B2 (en) Socket for installing electronic parts
JP2007095593A (ja) モジュール用ソケット
CN110474182B (zh) 基板连接器装置
KR100715015B1 (ko) 전자부품부착용 소켓
JP2007026765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の基板取付構造
KR20080045053A (ko)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JP4516938B2 (ja) 電子部品取付用ソケット
KR100961035B1 (ko) 접속 대상물의 형상에 의한 제한 없이 차폐가 이루어질 수있는 소켓
KR100567587B1 (ko) 접지 연결용 홀드다운을 갖춘 전기 커넥터
JP2001267016A (ja) カードコネクタ用カバー及びそれを用いたカードコネクタ組立体
JP4515215B2 (ja) ソケット
JP4553396B2 (ja) ソケット
JP2007305531A (ja) 配線基板用コネクタ
US20070173088A1 (en) Electrical connector
JP4563250B2 (ja) 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並びに、携帯型無線端末又は小型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