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377B1 - 돌단풍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테르펜 화합물을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돌단풍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테르펜 화합물을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377B1
KR100947377B1 KR1020080002433A KR20080002433A KR100947377B1 KR 100947377 B1 KR100947377 B1 KR 100947377B1 KR 1020080002433 A KR1020080002433 A KR 1020080002433A KR 20080002433 A KR20080002433 A KR 20080002433A KR 100947377 B1 KR100947377 B1 KR 100947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pat
dgat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hibitory a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6466A (ko
Inventor
이현선
이철호
김영국
노문철
박혜란
서지희
최룡
유미영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02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377B1/ko
Publication of KR20090076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5/00Preparation of hydrocarbons or halogenated hydrocarbons
    • C12P5/007Preparation of hydrocarbons or halogen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ne or more isoprene units, i.e. terpe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돌단풍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테르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테르펜 화합물은 GPAT 및 DGAT 저해 활성이 우수하므로, 비만, 제 2형 당뇨, 이상지질혈증, 인슐린 저항성, 비알콜성 지방간 등의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돌단풍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테르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ceriphyllum rossii extract or triterpene compounds isolated from the same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metabolic disease}
본 발명은 돌단풍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테르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중성지방의 합성은 다단계 반응으로 아실-코엔자임 에이(acyl-coenzyme A)의 형태인 지방산이 글리세롤-3-포스페이트(glycerol-3-phosphate)에 부가되는 에스터화 반응이다. 중성지방 생합성의 첫 단계는 율속 단계로 글리세롤-3-포스페이트 아실트랜스퍼라제(glycerol-3-phosphate acyltansferase; 이하 'GPAT'라 약칭함)에 의해 촉매되며, 마지막 단계는 디아실글리세롤 아실트랜스퍼라제(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이하 'DGAT'라 약칭함)에 의해 중성지방의 생합성이 이루어진다.
디아실글리세롤 아실트랜스퍼라제(DGAT)는 글리세롤 3-포스페이트 경로(지방, 간, 골격근 등)와 모노아실글리세롤(monoacylglycerol) 경로(소장의 장 상피세포)의 마지막 과정을 촉매하는 효소로서, 1,2-디아실글리세롤(sn-1,2- diacylglycerol)과 지방산 아실코에이(fatty acyl CoA)를 기질로 사용하여 중성지방을 합성하는 역할을 한다. 중성지방 합성에 관여하는 최종 단계의 효소인 DGAT를 저해하여 중성지방의 생합성을 억제할 경우, 지방조직 내의 지방 축적이 억제되고 지방세포의 크기가 감소되며 지방세포로부터 에디포넥틴(adiponectin)의 분비 촉진, 운동량의 증가,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된 체중 증가가 억제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따라서, DGAT 저해가 비만 치료제로의 타겟으로 연구되어 왔다. 또한, DGAT 저해는 근육, 간, 췌장 등의 비지방조직(non-adipoise tissue)에 지방의 축적을 막아줌으로써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세포가 인슐린에 의해 자극받으면 IRS-1(insulin receptor substance-1)의 세린 억제적 인산화 (inhibitory phosphorylation)가 감소되면서, PI-3K(phosphatidylinositol-3 kinase), PKB(protein kinase B), PKCλ(protein kinase Cλ) 등을 거치는 신호전달을 통하여 GLUT-4(glucose transporter-4)가 막으로 엑소사이토시스(exocytosis) 되어 포도당이 세포 내로 유입되게 된다. 즉, 세포 내에서 DGAT의 활성이 저해될 경우, PI-3K, PKB 및 PKCλ의 활성이 증가하게 되면서 막으로 엑소사이토시스 되는 GLUT-4 수가 증가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세포 내로 유입되는 포도당의 수가 증가된다. 따라서, DGAT의 활성 억제는 인슐린 민감성을 증가시킨다(Chen et al.,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5(3):482-486, 2005; Chen et al., J Clin Invest. 111(11):1715-22, 2003; Chen et al., J Clin Invest. 109(8):1049-1055, 2002; Chen et al., Diabetes. 51(11):3189-3195, 2002; Subauste and burant., Curr Drug Targets Immune Endocr Metabol Disord. 3(4):263-270, 2003). 이와 같이, DGAT 저해와 인슐린 저항성 극복의 직접적인 관련성이 밝혀지면서, DGAT 저해가 인슐린 분비량은 정상이나 인슐린 저항성을 가지게 되면서 포도당 흡수가 장애를 받는 제 2형 당뇨병의 치료 타겟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간, 지방조직, 골격근 등에서의 중성지방 생합성 과정을 촉매하는 효소인 DGAT의 선택적 저해는 비만과 제 2형 당뇨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부상되고 있으며(Chen, et al., Trends Cardiovasc. Med., 10:188-192, 2000; Farese, et al., Curr. Opin. Lipidol., 11:229-234, 2000; Subauste, et. al., Currunt Drug Target-Immun, Endocrine & Metabol Disorders 3:263-270, 2003; Yu et. al. Anals of Medicine 36: 252-261; Hubert, et al.,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5: 1-5, 2005), 미국 글래드스톤 심장질환연구소의 Robert V. Farese Jr 박사 팀은 DGAT 유전자를 녹-아웃(knock-out) 시킨 마우스를 이용한 연구를 통해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된 체중증가가 효과적으로 억제되고 인슐린과 렙틴 (leptin)에 대한 감수성이 증대되어 당대사(glucose metabolism)가 개선된다는 증거를 밝힘으로써, 선택적인 DGAT 저해물질이 비만과 제 2형 당뇨의 치료에 유용하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Smith, et al. Nature genetics, 25: 87-90, 2000).
현재까지 합성제품의 DGAT 효소 저해제로는 피롤카복실릭산 유도체 (JP05213985A, Mitsubishi Kasei Corp, Japan)와 포스포닉산 에스터 유도체 (JP2004067635A,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Japan) 등이 알려져 있으며, 2007년에는 화이자와 브리스톨 마이어 스퀴브(BMS)가 DGAT-1 저해제(독일 Bayer의 화합물)의 비만, 제 2형 당뇨 등의 대사성 질환 치료제의 공동 개발을 위한 협정을 맺고 내년에 임상 1상을 준비하고 있다. 천연물의 경우 DGAT 효소 저해제를 개발하는 연구는 본 연구팀(한국생명공학연구원, 천연물의약연구센터)이 처음으로 시작하여 인삼으로부터 비만 억제 활성을 갖는 신규물질을 찾아내어 보고한 바 있으며(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460438호, Lee et al. Planta Med. 70:179-200, 2004), 생약자원인 오수유, 단삼, 고삼으로부터 분리한 퀴놀론 알칼로이드(quinolone alkaloid), 탄시논계(tanshinones), 플라보노이드계(prenylflavonoids) 물질을 보고한 바 있다(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5773208호, Ko et al. Arch. Phar. Res. 25:446-448, 2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507989호). 해외의 경우, 일본의 기타사토 연구소의 오무라(Omura) 그룹에서 보고한 저해제로 로셀리핀(roselipins) [Gliocladium roseum KF-1040, IC50; 15-22 μM, US6432682(2002), US6608185(2003)], 코클리오퀴논 에이와 에이원[cochlioquinone A and A1, L. Antibiot. 56: 967, 2003; 57: 59(2004)], 아미뎁신(amidepsines)[Humicola sp. FO-2942, IC50; 10-50 μM] 및 크산토후몰(xanthohumols)[Humulus lupulus, IC50; 50-194 μM,], 그 외 에이코사펜타에노익산(eicosapentaenoic acid), 2-브로모옥타노에이트(2-bromooctanoate) 등이 보고되어 있다(Rustan et al.; J. Lipid . Res ., 29:1417-1426, 1988).
글리세롤-3-포스페이트 아실트랜스퍼라제(GPAT)는 중성지방 생합성의 첫 번째 단계를 촉매한다. 이 단계는 중성지방 생합성 경로인 글리세롤-3-포스페이트 경 로의 속도를 조절하는 율속단계(rate-limiting step)이다. 이 효소는 글리세롤-3-포스페이트의 sn-1 위치에 지방산 아실-코에이(fatty acyl-CoA)를 전이하여 1-아실글리세롤-3-포스페이트(1-acylglycerol-3-phosphate)를 생성하는 에스터화 반응을 촉매한다(Bell et al, Annu Rev Biochem 49:459-487, 1980). 포유동물에는 2종의 서로 다른 GPAT 동족체(isoform)가 존재한다. 하나는 N-에틸말레이미드(N-ethylmaleimide)와 다른 설프히드릴시약(sulfhydryl reagents)에 민감하면서(불활성화 되면서) 소포체(endoplasmic reticulum)에 존재하는 마이크로솜 GPAT (microsomal GPAT)로 세포 내 전체 GPAT 활성의 약 90%를 차지한다. 또 다른 하나는 N-에틸말레이미드에 저항성이 있으면서 미토콘드리아의 외막(outer mitochondrial membrane)에 존재하는 미토콘드리아 GPAT(mitochondrial GPAT; mtGPAT)로, 기질로는 포화 아실-코에이(saturated acyl-CoAs)를 선호한다. 대부분의 조직에서 mtGPAT는 세포 내 전체 GPAT 활성의 약 10%를 차지하고 있지만, 특히 간 조직에서는 50%까지 차지하고 있다(Bell et al, Annu Rev Biochem 49:459-487, 1980).
2002년 Coleman 그룹은 mtGPAT 유전자가 결핍된 생쥐를 제작하고 이에 대한 기능 연구를 수행한 결과, 이들 생쥐는 건강하고 생식이 가능하였으며 체중과 부고환 지방(gonadal fat), 간에 축적된 중성지방(hepatic triacylglycerol), 혈중 중성지방의 양, 초저밀도지단백(very low density lipoprotein)-중성지방 분비의 감소를 보였다. 고탄수화물 식이(high-sucrose diet) 투여 시, 야생형 마우스(wild-type mice)는 정상식이 투여군에 비해 간에 축적된 중성지방의 양이 약 4배 높았으 나, mtGPAT 유전자가 결핍된 마우스(mtGPAT-/- mice)는 야생형 마우스에 비해 약 50%가 감소하였다(Hammond et al, Mol Cell Biol 22:8024-8214, 2002; Hammond et al, J Biol Chem 280: 25629-25636, 2005).
최근 연구로 C57BL/6 마우스 동물모델에서 간에 특이적인 mtGPAT 과발현은 인지질이나 콜레스테롤 에스터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간에서 중성지방과 디아실글리세롤의 양을 각각 12배와 7배로 증가시켰으며, 지방세포 분화 관련 단백질 (adipocyte differentiation-related protein)과 SCD-1(stearoyl-CoA desaturase-1)의 현저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SCD-1의 발현 증가는 중성지방과 디아실글리세롤 내의 지방산의 불포화도(간 중성지방 분획에서 18:1과 16:1이 증가)를 증가시켰다. 즉, mtGPAT가 간지방증(hepatic steatosis)을 유도하고 간에서 지방산의 포화도의 정도를 조절하는 중요한 효소(regulatory enzyme)라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Linden, et al., FASEB J 20:434442, 2006).
중국 햄스터 난소 세포(Chinese hamster ovary cell) 또는 랫트의 간세포의 1차 배양(primary culture)에 있어 mtGPAT의 과발현은 지질의 축적을 현저하게 증가시켰으며, 디아실글리세롤, 중성지방과 인지질로의 지방산의 유입을 증가시켰다 (Linen et al, J Lipid Res 45:1279-1288, 2004; Igal et al, J Biol Chem 276:42205-42212, 2001; Lewin et al, Am J Physiol 288:E835-844, 2005). 또한, 랫트의 간세포에서의 mtGPAT의 과발현은 지방산 산화의 급속한 감소를 보였으며, 이는 mtGPAT와 카르니틴 팔미토일트랜스퍼라제-1(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1, CPT-1)이 아실-코에이에 대한 기질 경쟁적 관계에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이들 효소는 미토콘드리아의 외막에 존재하고 있다(van der Leji et al, Biochem J 341:777-784, 1999; Gonzalez-Baro et al, J Biol Chem 276:4182-43188, 2001). 그러므로 mtGPAT는 베타-산화(beta-oxidation)에서 이용되는 아실-코에이를 중성지방 생합성 쪽으로 되돌리게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증거로서 mtGPAT-결핍된(mtGPAT-/-) 마우스에 고지방, 고탄수화물 식이로 유도하였을 때 야생형에 비해 감소된 간 조직 내 중성지방, 증가된 혈중 베타-히드록시부티레이트(beta-hydroxybutyrate)를 보였기 때문에 mtGPAT의 저해는 그 반대작용으로 베타-산화의 증가(지방산의 이용률을 증대)로 나타날 수도 있다(Hammond et al, J Biol Chem 280:25629-25636, 2005; Hammond et al, Mol Cell Biol 22:8204-8214, 2002).
따라서, 지방산의 산화를 감소시키면 mtGPAT가 간에서의 비만과 인슐린저항성과 연관된 지질축적을 증가시키는 요소라는 점이 확인될 수 있다. 또한 mtGPAT 과발현은 간에서 중성지방의 분비율을 증가시키며, 이는 혈중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의 증가와 관련지을 수 있다. 그러므로 동물모델에서 간에 선택적인 mtGPAT의 과발현은 중성지방의 저장과 분비를 증가시켜 간지방증과 이상지질혈증 (dyslipidemia)을 유발시킨다. 특히, 비만환자에서 지방간(fatty liver)의 발병률이 현저히 높기 때문에 mtGPAT는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과 관련된 이상지질혈증, 인슐린저항성 치료제 개발의 매력적인 분자 타겟이 될 수 있다(Linden FASEB J 20:434442, 2006). 그러나, GPAT 저해제는 지금까지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이들 효소의 저해는 중성지방의 세포 내 축적을 저해하는 작용점이 될 수 있으며, GPAT과 DGAT의 지방 축적과 에너지 대사 역할을 조절하는 저분자 저해제의 개발은 비만, 제 2형 당뇨, 이상지질혈증, 인슐린 저항성, 비알콜성 지방간 등의 대사성 질환의 치료제 개발의 전략이 될 수 있다.
한편, 돌단풍(Aceriphyllum rossi)은 장미목 범의귀과의 쌍떡잎식물에 속하는 높이가 10~30㎝인 다년생 초본으로 돌나리 또는 장장포라고도 불리운다. 잎이 단풍나무와 비슷하고 돌에서 자란다고 돌단풍이라 명명되었다. 돌단풍의 꽃, 손바닥 모양의 잎은 가장자리가 5~7개로 깊게 갈라지고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광택이 난다. 특히 어린잎은 식용한다. 돌단풍은 강심, 이뇨작용의 효능이 있어 심계항진, 소변불리에 하루 10~1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민간에서는 뿌리를 석창포 대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돌단풍의 유효성분으로는 트리테르펜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이 들어 있다. 트리테르펜 화합물은 암세포(K562, HL-60)에 대한 세포독성과 ACAT 저해 활성이 알려져 있으며,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은 항산화 활성이 보고되어 있다(Han et al., Arch Pharm Res 27:390-395, 2004; Han et al., Planta Med 68:558-561, 2002; Lee et al., Chem Pharm Bull 55:1376-1378, 2007).
상기한 바와 같이,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테르펜 화합물에 대해 다양한 약리활성이 보고되어 있지만, 아직까지 이들의 GPAT 및 DGAT 저해 활성에 대한 보고와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본 발명자들은 GPAT와 DGAT의 저해 활성을 갖는 물질에 대해 천연물 중에서 탐색하던 중,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테르펜 화합물이 GPAT 및 DGAT에 대해 우수한 저해 활성을 가짐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돌단풍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테르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돌단풍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8001690503-pat00001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은 통상적인 모든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고, 시판되는 시약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생약재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분리하여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건조된 돌단풍 지상부(줄기, 가지, 잎) 또는 지하부(뿌리)를 3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배의 물, 유기용매 또는 이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유기 용매, 더욱 바람직하게는 C1~C4의 저급알콜, 특히 바람직하게는 메탄올에 가하여 2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에서 1시간 내지 10일, 바람직하게는 3일 내지 8일간 냉침, 초음파 추출 또는 환류 냉각 추출 방법으로 1회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1회 내지 3회 추출한다. 추출액은 바로 사용하거나 또는 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돌단풍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시키고 클로로포름으로 3회 추출하여 클로로포름 분획과 물 분획을 얻는다.
돌단풍 지하부 메탄올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시키고 클로로포름으로 3회 추출하여 클로로포름 분획을 얻는다. 클로로포름 분획을 클로로포름/메탄올을 이동상으로 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8개의 활성분획을 얻는다 (Fr.1 ~ Fr.8). 이 중, 두 번째 분획(Fr.2)과 세 번째 분획(Fr.3)를 합하여 농축한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고 헥산/에틸아세테이트의 혼합액 (4:1)을 용출 용매로 하여 분리 정제하여 순수 화합물을 얻는다. 상기 화합물을 3- 옥소올레안-12-엔-27-오익산(3-oxoolean-12-en-27-oic acid)으로 동정하였다.
상기 3-옥소올레안-12-엔-27-오익산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모든 염, 에스터 유도체, 수화물 및 용매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되는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유리산으로는 무기산과 유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브롬산, 황산, 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구연산, 초산, 젖산, 말레인산, 우마린산, 글루콘산, 메탄술폰산, 글리콘산, 숙신산, 4-톨루엔술폰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갈룩투론산, 엠본산, 글루탐산 또는 아스파르트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테르펜 화합물은 GPAT 및 DGAT 저해 활성이 우수하며, 농도의존적으로 GPAT 및 DGAT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또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GPAT 및 DGAT에 대한 50%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농도인 IC50 값은 각각 23.0㎍/㎖ 및 9.4㎍/㎖이다.
특히, 본 발명의 돌단풍 지하부 메탄올 추출물은 GPAT 및 DGAT의 두 효소를 강력하게 저해하며, 이러한 GPAT 및 DGAT의 저해 활성이 클로로포름 분획으로 이행됨을 알 수 있다. 특히 돌단풍 지하부 메탄올 추출물이 돌단풍 지하부 물 추출물보다 저해 활성이 우수함으로 활성물질이 메탄올에 잘 용출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돌단풍 지상부 추출물은 돌단풍 지하부 추출물과는 달리 GPAT에 대한 저해 활성만을 나타내며, 메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강한 GPAT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용매 분획 시 이러한 GPAT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이 클로로포름 분획과 물 분획으로 나누어 이행되며, 물 분획에서 강한 저해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테르펜 화합물은 GPAT 및 DGAT 저해 활성이 우수하므로, 비만, 제 2형 당뇨, 이상지질혈증, 인슐린 저항성, 비알콜성 지방간 등의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테르펜 화합물과 함께 GPAT 및 DGAT 저해 활성을 갖는 공지의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형화할 경우 통상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 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테르펜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첨가하여 조제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를 포함한다. 비수성 용제 및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오일,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테르펜 화합물의 일일 투여량은 1㎎/㎏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이며, 필요에 따라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돌단풍 지상부 추출물 및 분획의 제조
1. 돌단풍 지상부 메탄올 추출물 및 분획의 제조
건조된 돌단풍 지상부 100g을 메탄올 5ℓ에 침지시키고 5시간씩 2회 가열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돌단풍 지상부 메탄올 추출물 약 3.2g을 얻었다. 상기 돌단풍 지상부 메탄올 추출물 3.2g을 증류수 500㎖에 현탁시킨 다음 동량의 클로로포름으로 3회 추출하여 약 2.3g의 클로로포름 분획과 0.9g의 물 분획을 얻었다.
2. 돌단풍 지상부 물 추출물 및 분획의 제조
건조된 돌단풍 지상부 100g을 증류수 5ℓ에 침지시키고 5시간씩 2회 가열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돌단풍 지상부 물 추출물 약 3.0g을 얻었다. 상기 돌단풍 지상부 메탄올 추출물 3.0g을 증류수 500㎖에 현탁시킨 다음 동량의 클로로포름으로 3회 추출하여 약 0.2g의 클로로포름 분획과 2.8g의 물 분획을 얻었다.
실시예 2 : 돌단풍 지하부 추출물 및 분획의 제조
1. 돌단풍 지하부 메탄올 추출물 및 분획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1에서 돌단풍 지상부 대신 돌단풍 지하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 및 분획을 수행하였다. 돌단풍 지하부 메탄올 추출물 약 7.5g을 얻었으며, 이로부터 약 3.7g의 클로로포름 분획과 6.3g의 물 분획을 얻었다.
2. 돌단풍 지하부 물 추출물 및 분획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2에서 돌단풍 지상부 대신 돌단풍 지하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 및 분획을 수행하였다. 돌단풍 지하부 메탄올 추출물 약 7.2g을 얻었으며, 이로부터 약 1.8g의 클로로포름 분획과 5.4g의 물 분획을 얻었다.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얻은 돌단풍 추출물 및 분획은 50㎎/㎖의 농도로 디메틸설포사이드(DMSO)에 녹여 GPAT과 DGAT의 저해 활성 측정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3 : 돌단풍 지하부 추출물로부터 활성성분의 분리
건조된 돌단풍 지하부 5㎏을 메탄올 30ℓ에 침지시키고 실온에서 7일간씩 2회 침지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 및 건조하여 돌단풍 지하부 메탄올 추출물 약 150g을 얻었다. 상기 돌단풍 지하부 메탄올 추출물 150g을 증류수 3ℓ에 현탁시킨 다음 동량의 클로로포름으로 3회 추출하여 GPAT와 DGAT에 대한 저해 활성이 우수한 클로로포름 가용성 분획을 얻었다. 상기 클로로포름 가용성 분획을 감압 농축하여 약 80g의 클로로포름 분획을 얻었다. 남은 물층은 동결건조하였다.
상기 클로로포름 분획의 약 3.5g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고 클로로포름/메탄올의 혼합액을 이동상으로 하여 혼합액의 비를 100:0, 100:1, 90:1, 70:1, 50:1, 30:1, 20:1, 5:1로 순착적으로 용매 극성을 올리면서 각 분획 당 700㎖로 용출시켜 총 8개의 분획으로 분리하였다(Fr.1 ~ Fr.8). 이 중, 100:1과 90:1의 혼합용매에서 용출된 두 번째 분획(Fr.2)과 세 번째 분획(Fr.3)을 합하여 농축한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고 헥산/에틸아세테이트의 혼합액(4:1)을 용출 용매로 하여 분리 정제하여 300㎎의 순수 화합물을 얻었다.
상기 화합물은 물질의 성상, 분자량, 분자식, 질량분석, 1H-NMR 스펙트럼 및 13C-NMR 스펙트럼을 측정한 결과 발표된 문헌[Lee et al. Chem Pharm Bull 55:1376-1378, 2007; Han, et al. Planta Med 68:558-561, 2002]의 데이터와 일치하였으며, 3-옥소올레안-12-엔-27-오익산(3-oxoolean-12-en-27-oic acid)으로 동정하였다.
돌단풍 지하부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이화학적 특성은 하기와 같다.
< 3- 옥소올레안 -12-엔-27- 오익산 >
Figure 112008001690503-pat00002
1) 성상 : 백색 분말,
2) 분자량 : 454,
3) 분자식 : C30H46O3,
4) EI-질량분석 : m/z = 454[M]+,
5) 1H-NMR(300MHz, CDCl3, δ(ppm)) : 5.7 (1, br), 2.0-1.2 (23, m), 1.06 (3, s), 1.05 (3, s), 1.04 (3, s), 1.02 (3, s), 0.87 (3, s), 0.84 (3, s), 0.81 (3, s),
6) 13C-NMR(300MHz, CDCl3, δ(ppm)) : 218.1 (C-3), 181.9 (C-27), 137.8 (C-13), 126.1 (C-12), 55.9 (C-14), 54.7 (C-5), 49.4 (C-9), 47.3 (C-4), 46.4 (C-18), 44.2 (C-19), 40.0 (C-8), 39.1 (C-1), 36.9 (C-22), 36.7 (C-10), 36.0 (C-21), 34.5 (C-2), 34.2 (C-7), 33.8 (C-29), 33.2 (C-17), 31.3 (C-20), 28.4 (C-16), 27.7 (C-28), 27.2 (C-23), 23.7 (C-30), 23.1 (C-11), 22.4 (C-15), 21.6 (C-24), 19.8 (C-6), 18.2 (C-26), 16.5 (C-25).
실험예 1 : 글리세롤-3- 포스페이트 아실트랜스퍼라제 ( GPAT ) 활성 측정
본 발명의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테르펜 화합물의 GPAT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흰쥐, SD(SpragueDawley)계 랫트의 간 조직을 적출하여 미토콘드리아 분획 (mitochondrial fraction)과 마이크로솜 분획(microsomal fraction)을 효소원으로 사용하였다. 간 조직은 수크로오스 완충액[sucrose buffer: 250 mM sucrose, 10 mM Tris (pH 7.4), 1 mM EDTA, 1 mM DTT]으로 균질화한 후 원심분리(600g, 15분)하여 상등액 만을 취하고, 이를 다시 8,000g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 하였다. 얻어진 침전물은 수크로오스 완충액에 현탁하여 미토콘드리아 GPAT(mitochondrial GPAT)의 효소원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침전물을 제거한 상등액은 100,000g에서 6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얻은 침전물을 수크로오스 완충액에 현탁하여 마이크로솜 GPAT 효소원으로 사용하였다. 미토콘드리아 GPAT와 마이크로솜 GPAT 효소원은 BSA(bovine serum albumin)를 사용하여 브래드포드 방법(Bradford Method)으로 단백질의 농도를 결정하여 -70℃에 보관하였고, 실험에 사용하였다.
마이크로솜 GPAT 효소의 활성은 N-에틸말레이미드(N-ethylmaleimide; NEM)에 의해 그 활성이 소실되며, 미토콘드리아 GPAT 활성만을 측정할 때에는 실험 전에 N-에틸말레이미드를 전처리함으로써 마이크로솜 GPAT 활성을 실활시킨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미토콘드리아 GPAT 효소의 활성은 랫트의 미토콘드리아 GPAT 효소원에 의해 생성된 반응물인 [14C]리소포스파티딕산([14C]Lysophosphatidic acid)의 방사선 양으로 측정하였다. 미토콘드리아 GPAT의 활성은 실험 전 미토콘드리아 GPAT 효소원에 2mM N-에틸말레이미드를 15분 동안 얼음 욕조(ice bath)에서 전처리하여 마이크로솜 GPAT의 활성을 실활시킨 후 측정하였으며, 마이크로솜 GPAT의 활성은 N-에틸말레이미드(2mM)를 마이크로솜 GPAT 효소원에 전처리하여 전체 GPAT 활성과 마이크로솜 GPAT의 효소 활성 비율을 측정하여 마이크로솜 GPAT 효소원의 활성 결과를 보정하여 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효소 반응에 사용된 기질은 [14C]글리세롤-3-포스페이트(500 mM)와 팔미토일-코에이(palmitoyl-CoA) (100 mM)이며, 이들 기질은 반응액(75 mM Tris (pH 7.5), 4 mM MgCl2, 8 mM NaF, 2 ㎎/㎖ BSA)과 함께 26℃에서 20분 동안 반응 후, 수포화 부탄올과 물에 의해 반응이 정지되었다. 반응물은 원심분리를 통하여 물 층과 부탄올 층으로 분리되었고, 반응 생성물인 [14C]리소포스파티딕산이 포함된 상층액(부탄올 층) 800㎕를 취하였다. 상층액은 동량의 물과 진탕하여 원심분리를 통해 물 층과 부탄올 층으로 다시 분리하였고 상층액 600㎕를 취하여 액체섬광계측기 (liquid scintillation counter; LSC)로 방사능의 양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돌단풍 추출물 및 분획의 최종농도를 300, 100, 30 ㎍/㎖의 농도로 처리 하고,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최종농도를 300, 100, 30, 10, 3, 1 ㎍/㎖의 농도로 처리하여 GPAT 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시료에 의한 GPAT 효소 활성의 저해율은 하기 수학식 1로 계산하였다.
저해 활성(%) = {1-[(T-B)/(C-B)]} x 100
※ T : 효소 반응액에 시료를 넣은 시험 구의 DPM 값,
C : 효소 반응액에 시료를 넣지 않은 대조 구의 DPM 값,
B : 효소원을 넣지 않고 시료를 넣은 대조 구의 DPM 값.
본 발명의 돌단풍 지하부 추출물 및 분획의 GPAT 저해 활성은 표 1에 나타내었으며, 돌단풍 지상부 추출물 및 분획의 GPAT 저해 활성은 표 2에 나타내었고, 화학식 1의 화합물의 GPAT 저해 활성은 표 3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돌단풍 지하부 추출물 및 분획의 GPAT 저해 활성
최종농도(㎍/㎖) GPAT 저해율(%)
1 메탄올 추출물 300 83.5
100 47.5
30 10.2
클로로포름 분획 300 75.3
100 61.2
30 27.6
물 분획 300 56.2
100 23.0
30 8.7
2 물 추출물 300 17.2
100 15.1
30 10.7
클로로포름 분획 300 40.9
100 30.3
30 19.5
물 분획 300 17.9
100 13.9
30 10.1
돌단풍 지상부 추출물 및 분획의 GPAT 저해 활성
최종농도(㎍/㎖) GPAT 저해율(%)
1 메탄올 추출물 300 95.9
100 73.3
30 46.8
클로로포름 분획 300 76.8
100 52.5
30 24.4
물 분획 300 97.0
100 90.9
30 65.7
2 물 추출물 300 34.1
100 17.2
30 11.2
클로로포름 분획 300 47.2
100 33.9
30 19.5
물 분획 300 93.2
100 68.0
30 41.9
화학식 1의 화합물의 GPAT 저해 활성
최종농도(㎍/㎖) GPAT 저해율(%) IC50(㎍/㎖)
화학식 1의 화합물 300 99.6±0.4 23.0
100 89.5±4.0
30 56.2±10.8
10 25.9±8.2
3 6.6±1.7
1 7.1±6.2
표 1 내지 3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테르펜 화합물은 GPAT 저해 활성이 우수하며, 농도의존적으로 GPAT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GPAT에 대한 50%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농도인 IC50 값은 23.0㎍/㎖ 이었다.
실험예 2 : 디아실글리세롤 아실트랜스퍼라제 ( DGAT ) 활성 측정
본 발명의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테르펜 화합물의 DGAT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콜만 등의 방법(Coleman et al, Methods Enzymol., pp98-103, 1992)에 따라 랫트에서 분리한 마이크로솜 단백질을 효소원으로 사용하고, 기질로서 1,2-디아실글리세롤(Sigma사, D0138)과 [14C]팔미토일-코에이(Amersham사, CFA583)를 사용하여 효소 반응 후 생성된 [14C]트리아실글리세롤의 방사능의 양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반응액[175mM Tris-HCl(pH 8.0), 20㎕의 소혈청알부민(BSA)(10㎎/㎖), 100mM의 MgCl2, 30μM의 [14C]팔미토일 코에이(0.02 μCi, Amersham사) 및 200μM 1,2-디올레오일 글리세롤]에 디메틸설폭사이드(DMSO)에 녹인 시료액 10.0㎕를 가하고, 분리한 마이크로솜 단백질을 100 내지 200㎍을 넣은 다음 25℃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1.5㎖의 반응 종결액(2-프로판올/헵탄/물 = 80/20/2, v/v/v)을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상기 반응으로 생성된 [14C]트리아실글리세롤을 분리하기 위하여 1㎖의 헵탄 및 0.5㎖의 증류수를 가하여 진탕시킨 후 상등액 1㎖를 취하고, 여기에 2㎖의 알칼리성 에탄올 용액(에탄올/0.5N 수산화 나트륨/물 = 50/10/40, v/v/v)을 가하여 진탕하였다. 상기 진탕액의 상층액 0.65㎖를 취하여 액체섬광계측기(LSC)로 방사능의 양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돌단풍 추출물 및 분획의 최종농도를 300, 100, 30 ㎍/㎖의 농도로 처리하고,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화합물의 최종농도를 300, 100, 30, 10, 3, 1 ㎍/㎖의 농도로 처리하여 DGAT 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시료에 의한 DGAT 효소 활성의 저해율은 하기 수학식 2로 계산하였다.
저해 활성(%) = {1-[(T-B)/(C-B)]} x 100
※ T : 효소 반응액에 시료를 넣은 시험 구의 cpm 값,
C : 효소 반응액에 시료를 넣지 않은 대조 구의 cpm 값,
B : 효소원을 넣지 않고 시료를 넣은 대조 구의 cpm 값.
본 발명의 돌단풍 지하부 추출물 및 분획의 DGAT 저해 활성은 표 4에 나타내 었으며, 돌단풍 지상부 추출물 및 분획의 DGAT 저해 활성은 표 5에 나타내었고, 화학식 1의 화합물의 DGAT 저해 활성은 표 6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돌단풍 지하부 추출물 및 분획의 DGAT 저해 활성
최종농도(㎍/㎖) DGAT 저해율(%)
1 메탄올 추출물 300 89.1
100 56.1
30 25.5
클로로포름 분획 300 91.3
100 87.7
30 50.4
물 분획 300 44.5
100 -*
30 -*
2 물 추출물 300 16.8
100 10.0
30 -*
클로로포름 분획 300 73.1
100 -*
30 -*
물 분획 300 24.2
100 15.3
30 -*
(주) *: "-" 표시는 저해활성이 10% 미만을 나타냄.
돌단풍 지상부 추출물 및 분획의 DGAT 저해 활성
최종농도(㎍/㎖) DGAT 저해율(%)
1 메탄올 추출물 300 21.5
100 -*
30 -*
클로로포름 분획 300 27.7
100 12.1
30 -*
물 분획 300 -*
100 -*
30 -*
2 물 추출물 300 -*
100 -*
30 -*
클로로포름 분획 300 -*
100 -*
30 -*
물 분획 300 -*
100 -*
30 -*
(주) *: "-" 표시는 저해활성이 10% 미만을 나타냄.
화학식 1의 화합물의 DGAT 저해 활성
최종농도(㎍/㎖) DGAT 저해율(%) IC50(㎍/㎖)
화학식 1의 화합물 300 96.4±0.1 9.4
100 98.4±1.0
30 95.5±0.5
10 77.1±1.9
3 12.1±6.8
1 2.5±6.2
표 4 내지 6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테르펜 화합물은 DGAT 저해 활성이 우수하며, 농도의존적으로 DGAT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DGAT에 대한 50%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농도인 IC50 값은 9.4㎍/㎖ 이었다.
상기 표 1 내지 6에 의하여, 본 발명의 돌단풍 지하부 메탄올 추출물은 GPAT 및 DGAT의 두 효소를 강력하게 저해하였으며, 이러한 GPAT 및 DGAT의 저해 활성이 클로로포름 분획으로 이행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돌단풍 지하부 메탄올 추출물이 돌단풍 지하부 물 추출물보다 저해 활성이 우수함으로 활성물질이 메탄올에 잘 용출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돌단풍 지상부 추출물은 돌단풍 지하부 추출물과는 달리 GPAT에 대한 저해 활성만을 나타내었으며, 메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강한 GPAT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용매 분획 시 이러한 GPAT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이 클로로포름 분획과 물 분획으로 나누어 이행되며, 물 분획에서 강한 저해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 돌단풍 추출물의 급성 독성실험
본 발명의 돌단풍 추출물의 경구 급성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마우스를 사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동물은 SPF(specific pathogen free) 동물로서 7 주령의 수컷 ICR 마우스(대한바이오링크, 충북 음성)를 도입하여 1 주일간 순화기간을 거쳐 8 주령이 되었을 때 각 군당 5마리씩 배정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대조군은 0.5% CMC (carboxymethyl cellulose) 용액만을, 시험군은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돌단풍 지상부 메탄올 추출물 및 돌단풍 지하부 메탄올 추출물을 각각 1,000㎎/㎏, 500㎎/㎏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한 후 2 주간 독성 여부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모든 군에서 사망한 동물은 없었으며, 특이한 행동이나 독성증상의 소견을 보이는 동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모든 군에서 체중이 증가하였으며 부검 시 관찰한 흉강 및 복강 내 모든 장기에서 특이한 병변이나 이상 소견은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돌단풍 지상부 추출물 및 돌단풍 지하부 추출물은 마우스에 대하여 각각 1,000㎎/㎏, 500㎎/㎏ 농도의 단회 경구투여에 따른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1 : 산제의 제조
돌단풍 추출물(또는 화학식 1의 화합물) 0.1 g
유당 1.5 g
탈크 0.5 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 정제의 제조
돌단풍 추출물(또는 화학식 1의 화합물) 0.1 g
락토오스 7.9 g
결정성 셀룰로오스 1.5 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5 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직타법(direct tableting method)으로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 캡슐제의 제조
돌단풍 추출물(또는 화학식 1의 화합물) 0.1 g
옥수수전분 5 g
카르복시 셀룰로오스 4.9 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분말을 제조한 후, 상기 분말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경질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 : 주사제의 제조
돌단풍 추출물(또는 화학식 1의 화합물) 0.1 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 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제제예 5 : 액제의 제조
돌단풍 추출물(또는 화학식 1의 화합물) 0.1 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였다. 그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돌단풍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테르펜 화합물은 GPAT 및 DGAT 저해 활성이 우수하므로, 비만, 제 2형 당뇨, 이상지질혈증, 인슐린 저항성, 비알콜성 지방간 등의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의 GPAT 및 DGAT 저해 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Claims (5)

  1. 돌단풍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제 2형 당뇨, 이상지질혈증, 인슐린 저항성 및 비알콜성 지방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단풍 추출물은 돌단풍 지상부 또는 돌단풍 지하부를 물, C1~C4의 저급알콜 또는 이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1~C4의 저급알콜은 메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제 2형 당뇨, 이상지질혈증, 인슐린 저항성 및 비알콜성 지방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01690503-pat00003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돌단풍 지하부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080002433A 2008-01-09 2008-01-09 돌단풍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테르펜 화합물을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947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433A KR100947377B1 (ko) 2008-01-09 2008-01-09 돌단풍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테르펜 화합물을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433A KR100947377B1 (ko) 2008-01-09 2008-01-09 돌단풍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테르펜 화합물을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466A KR20090076466A (ko) 2009-07-13
KR100947377B1 true KR100947377B1 (ko) 2010-03-15

Family

ID=41333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433A KR100947377B1 (ko) 2008-01-09 2008-01-09 돌단풍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테르펜 화합물을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3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793B1 (ko) * 2010-12-17 2013-09-04 강원도 돌단풍 잎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해 제조한 돌단풍 잎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70970B1 (ko) * 2018-05-18 2020-01-29 한국한의학연구원 단풍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5820783A (zh) * 2022-11-18 2023-03-21 贵州佳义生物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刺梨发酵获得多种三萜的制备方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 Gastrointestinal Liver Physiology, 292권, 2006. 9
논문1:경희대학교*
논문2:Chem. Pharm. Bu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466A (ko) 2009-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29760A1 (en)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Treatment with Tanshinone Derivatives Which Increase Metabolic Activity
KR101793153B1 (ko) 검정콩잎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놀배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0711028B1 (ko) 향나무 추출물 또는 세드롤을 포함하는 비만 및 제2형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Saravanan et al. Lipolytic and antiadipogenic effects of (3, 3-dimethylallyl) halfordinol on 3T3-L1 adipocytes and high fat and fructose diet induced obese C57/BL6J mice
KR100947377B1 (ko) 돌단풍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테르펜 화합물을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567573B1 (ko) 발효 더덕 추출물 또는 더덕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3085338A2 (ko) 수련뿌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폴리페놀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462463B1 (ko) 수련뿌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폴리페놀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697235B1 (ko) 관동화 추출물 또는 투실라곤을 포함하는 비만 및 제2형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460438B1 (ko) 아실 코에이:디아실글리세롤 아실트랜스퍼라제활성저해제인 신규 폴리아세틸렌계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34615B1 (ko) 세드렐라 휘실리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68172B1 (ko) 물오리나무 추출물 또는 베툴리닉에시드를 포함하는 비만및 제2형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40138275A (ko) 대사 장애 치료용 약초 조성물
KR101096417B1 (ko) 아사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1303793B1 (ko) 돌단풍 잎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해 제조한 돌단풍 잎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58062B1 (ko) 딥터로카퍼스 투버큘라투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703859B1 (ko) 택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Seo et al. Oleanane-type triterpenoids of Aceriphyllum rossii and their 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inhibitory activity
KR101505901B1 (ko) 초두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트리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들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676761B1 (ko) 신남알데히드 유도체 화합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0829834B1 (ko) 비만 또는 제2형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77320B1 (ko) 아실 코에이:디아실글리세롤 아실트랜스퍼라제 활성 저해제인 퀴놀론 알칼로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성지방 강하제
KR102374956B1 (ko) 에키나세아 추출물 유래의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파골세포 분화 억제용 약학 조성물
KR20170059370A (ko) 머귀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552109B1 (ko) 흰씀바귀로부터 추출된 세스퀴테르펜 락톤 화합물을 함유하는 심혈관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