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2455B1 - 트랙터 - Google Patents

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2455B1
KR100922455B1 KR1020070088948A KR20070088948A KR100922455B1 KR 100922455 B1 KR100922455 B1 KR 100922455B1 KR 1020070088948 A KR1020070088948 A KR 1020070088948A KR 20070088948 A KR20070088948 A KR 20070088948A KR 100922455 B1 KR100922455 B1 KR 100922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support
vehicle body
cap
po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8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1000A (ko
Inventor
노리히데 이와따
가쯔미 야나기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326762A external-priority patent/JP482976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33711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149767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80051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1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2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2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9/00Tractors
    • B62D49/06Tractors adapted for multi-purpose us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1/0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15Agricultural vehicles
    • B60W2300/152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연료 보급 탱크의 적재에 사용하는 적재 부재를 강고하게 지지시키면서 콤팩트하게 얻을 수 있는 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차체의 전후방 일단부측에 설치한 엔진 보닛(21)과, 엔진 보닛(21)의 내부에 설치한 연료 탱크(22)와, 연료 보급 탱크(22)의 적재에 사용하는 적재 부재(30)를 구비하고 있다. 적재 부재(30)는 이것의 적재면(34)이 차체 상부 방향으로 된 사용 자세와, 적재면(34)이 엔진 보닛 측면을 따른 수납 자세로 차체 전후 방향 축심(P) 주위로 요동 절환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적재 부재(30)를 피봇 지지하는 지지부(32)를, 차체 프레임(3)에 전후륜 사이에 배치하여 기립 설치된 지지 기둥부(13)에 설치하고 있다.
Figure R1020070088948
트랙터, 엔진 보닛, 연료 보급 탱크, 적재면, 차체 프레임

Description

트랙터{TRACTOR}
본 발명은 차체의 전단부측과 후단부측의 한쪽에 설치한 엔진 보닛과, 상기 엔진 보닛의 내부에 설치한 연료 탱크와, 연료 보급 탱크의 적재에 사용하는 적재 부재를 구비한 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트랙터는, 연료 탱크에 연료 공급할 때에, 연료 보급(補給) 탱크를 적재 부재에 적재하여 쉽게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트랙터로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335650호 공보에 개시되는 것을 먼저 개발하였다. 이 문헌에 개시되는 트랙터는, 보닛부의 횡측방에 설치한 적재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적재 부재는, 이것의 일단부를 지지 부재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핀의 축심 주위로 요동 조작함으로써, 적재면이 차체 상부 방향으로 된 사용 자세와, 적재면이 차체 측면을 따른 수납 자세로 절환된다. 지지 부재는 이것의 하단부에 위치한 부착면에 의해 클러치 하우징의 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채용한 경우, 적재 부재의 장착을 위해 차체 상하 방향으로 길고 비교적 대형으로 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연료 보급 탱크를 적재 부재에 적재하였을 때, 연료 보급 탱크가 연료 탱크에 대해 높게 위치하는 쪽이, 보급 탱크로부터 연료 탱크로의 연료 공급을 행하기 쉬워진다. 또한, 적재 부재를 수납하였을 때, 적재 부재가 차륜에 대해 높게 위치하는 쪽이, 횡방향으로 조향 조작된 차륜과 적재 부재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쉬운 등, 적재 부재의 수납을 유리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채용하여, 적재 부재의 사용이나 수납을 유리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경우에는 특히, 지지 부재의 차체 상하 방향 길이가 길게 되어 있었다. 그러면, 지지 부재 등의 지지 구조의 강도를 크게 할 필요가 생겨, 이 점으로부터도 대형으로 되는 경향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재 부재의 지지를 강고하게 행하게 하면서 콤팩트하게 얻을 수 있는 트랙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는, 차체의 전단부측과 후단부측의 한쪽에 설치한 엔진 보닛과, 상기 엔진 보닛의 내부의 한쪽 부근에 설치한 연료 탱크와, 연료 보급 탱크의 적재에 사용하는 적재 부재를 구비한 트랙터이며,
상기 차체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기둥부와 상기 차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레버부로 이루어지는 역U자형의 형상을 갖는 필러가 차체 프레임의 전후륜 사이에서 상기 보닛의 단부에 기립 설치되고, 상기 지지 기둥부에 설치한 지지부에, 상기 적재 부재가, 그 적재면이 상부 방향으로 된 사용 자세와, 상기 적재면이 상기 엔진 보닛의 측면을 따른 수납 자세로 차체 전후 방향 축심 주위로 요동 절환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적재 부재와 지지부에 걸쳐, 상기 차체 전후 방향 축심을 가진 지지축을 연결하면, 적재 부재를 사용 자세와 수납 자세로 요동 절환 가능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적재 부재의 사용 자세에서의 연료 탱크에 대한 높이와, 수납 자세에서의 차륜에 대한 높이를, 상기한 종래의 지지 구조에 의한 각 높이와 동일하게 해도, 상기 지지축을 종래의 지지 부재의 길이보다도 짧은 지지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적재 부재를 사용 자세나 수납 자세로 하였을 때, 적재 부재가 적절한 배치 높이에 위치하는 동시에 적절한 강도로 지지되고, 연료 탱크에 대한 연료 공급이나 적재 부재의 수납을 상기한 바와 같이 유리하게 행할 수 있는 트랙터를, 종래의 지지 구조보다도 소형의 지지 구조를 채용하여 콤팩트하게 얻을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필러의 지지부의 하단부가 상기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필러에 연료 탱크가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연료 탱크 등을 지지하는 강고한 지지 기둥부에 의해 적재 부재가 지지된다. 따라서, 적재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적재 부재의 적재면이, 그 수납 자세 에 있어서, 기체(機體) 내측을 향하도록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적재 부재를 지지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적재 부재의 상면으로 연료가 넘친 경우라도, 수납 자세에 있어서는 이것이 보이지 않는 상태가 되어, 외관을 좋게 유지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엔진 보닛은 상기 적재 부재를 그 수납 자세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수납되는 개구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적재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납함으로써, 적재 부재의 엔진 보닛으로부터의 돌출량을 적게 할 수 있어, 외관을 좋게 유지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또는 상기 적재 부재에, 상기 연료 탱크의 주유구 캡을 수용하는 캡 홀더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연료 탱크로부터 제거한 주유구 캡을 캡 홀더부에 수용해 둘 수 있다. 주유구 캡을 캡 홀더부에 수용해 두면, 주유구 캡으로 연료 탱크를 닫는 것을 잊어버려도, 적재 부재를 수납할 때 등, 캡 홀더부에 남아 있는 주유구 캡에 의해 닫는 것을 잊어버리는 것을 인식시킬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납 자세에 있어서의 상기 캡 홀더의 캡 수용 공간에 대응한 위치에 견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캡 홀더부의 캡 비수용 상태에서 상기 적재 부재가 수납 자세로 절환될 때에, 상기 견제 부재가 상기 캡 수용 공간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적재 부재의 수납 자세로의 절환이 허용되고, 상기 캡 홀더부의 캡 수용 상태에서 상기 적재 부재가 수납 자세로 절환될 때에, 상기 견제 부재가 상기 캡 수용 공간의 상기 캡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적재 부재의 수납 자세로의 절환이 규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적재 부재를 수납하고자 해도, 캡 홀더부에 주유구 캡을 수용한 상태이면, 적재 부재가 수납 자세로 절환되지 않는다. 그러면, 캡 홀더부에 주유 구 캡이 남아 있는 것을 깨닫지 못한 경우라도, 적재 부재의 수납을 할 수 없는 것에 의해, 주유구 캡을 닫는 것을 잊어버리는 것을 인식시킬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적재 부재를 상기 사용 자세로 유지하는 사용 로크 상태와 상기 수납 자세로 유지하는 수납 로크 상태로 절환 가능한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 기구를, 상기 적재 부재의 수납 자세로부터 사용 자세를 향한 요동 조작에 의해 상기 수납 로크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적재 부재의 사용 자세로의 절환에 수반하여 상기 사용 로크 상태로 절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수납 자세에 있는 적재 부재를 사용 자세로 절환하는 데 있어서, 적재 부재의 요동 조작을 행하면, 이 조작에 의해 로크 기구가 수납 로크 상태를 해제하여, 적재 부재가 요동한다. 적재 부재가 요동하여 수납 자세로 절환되면, 이에 수반하여 로크 기구가 사용 로크 상태로 절환되어, 적재 부재가 수납 자세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적재 부재를 수납 자세나 사용 자세로 로크 기구에 의해 유지시켜, 덜걱거림이 발생하기 어려운 안정 상태에서 수납이나 사용을 할 수 있는 것이면서, 적재 부재의 수납 자세에서의 유지를 해제하기 위한 전용 해제 조작도, 적재 부재의 사용 자세에서의 유지를 행하게 하기 위한 전용 로크 조작도 불필요한 간단한 조작에 의해 적재 부재를 사용 자세로 절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적재 부재는 상기 적재면과 상기 지 지부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지지축을 갖고, 상기 지지부는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둔 한 쌍의 지지판을 갖고,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지지축을 관통하는 핀과, 상기 핀과 상기 지지판 중 한쪽과의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과, 상기 핀을 수용하는 홈을 갖는 보유 지지 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간단한 구조를 갖는 로크 기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 보급 탱크의 적재에 사용되는 적재 부재를 사용 자세나 수납 자세로 하였을 때 로크 기구에 의해 유지시켜 안정 상태에서 수납이나 사용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복수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지만, 일 실시 형태의 특징과, 다른 실시 형태의 특징의 조합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도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트랙터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트랙터의 전체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트랙터는, 좌우 한 쌍의 조향 조작 및 구동 가능한 전방 차륜(1, 1)과 좌우 한 쌍의 구동 후방 차륜(2, 2)에 의해 자주(自走)하는 자주 차체와, 이 자주 차체의 차체 프레임(3)의 운전 좌석(4a)의 후방측 부근에 설치한 전도(轉倒) 보호 프레임(5)과, 상기 차체 프레임(3)의 후방부에 설치한 링크 기구(6)를 구비하고 있다.
자주 차체는 상기 좌우 한 쌍의 전방 차륜(1, 1)과 상기 좌우 한 쌍의 후방 차륜(2, 2)을 구비하는 것 외에, 차체 전방부에 설치한 원동부(20)와, 상기 운전 좌석(4a)을 가진 운전부(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차체 프레임(3)은 엔진(7)과, 이 엔진(7)의 후방부에 연결된 클러치 하우징(8)과, 이 클러치 하우징(8)의 후방부에 연결된 전동 케이스(9)와, 이 전동 케이스(9)의 후방부에 연결된 미션 케이스(10)(transmission case)와, 클러치 하우징(8)의 하부로부터 차체 전방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전륜 지지 프레임(11)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운전부(4)는 상기 운전 좌석(4a)을 좌우 한 쌍의 후륜 펜더(12, 12)의 사이에 배치하여 구비하고 있는 것 외에, 운전 좌석(4a)의 전방에 위치한 스티어링 휠(4b)(steering wheel) 및 운전 패널(4c)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링크 기구(6)는 상기 미션 케이스(10)의 상부의 양 횡측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설치한 리프트 아암(6a)과, 상기 미션 케이스(10)의 하부의 양 횡측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연결한 로우워 링크(6b)(lower link)와, 좌측의 리프트 아암(6a)과 좌측의 로우워 링크(6b)를 연결하고 있는 리프트 로드(6c)와, 우측의 리프트 아암(6a)과 우측의 로우워 링크(6b)를 연결되어 있는 리프트 로드(6c)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좌우 한 쌍의 리프트 아암(6a, 6a)은 미션 케이스(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승강 실린더(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요동 조작된다. 상기 미션 케이스(10)는 이 미션 케이스(10)의 후방부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돌출한 동력 취출축(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즉, 이 트랙터는 차체 후방부에 상기 링크 기구(6)를 통해 로터리 경운 장 치(도시하지 않음)(rotary tiller)를 승강 조작 가능하게 연결하는 동시에 엔진(7)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상기 동력 취출축에 의해 로터리 경운 장치에 전달하도록 구성하여 승용형 경운기를 구성하는 등, 차체 후방부에 각종 작업 장치를 승강 조작 및 구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각종 승용형 작업기를 구성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원동부(20)는 상기 엔진(7)을 구비하는 것 외에, 이 엔진(7)을 덮는 엔진 보닛(21)과, 이 엔진 보닛(21)의 후방부 내와 상기 운전 패널(4c)의 내부에 걸쳐 설치한 엔진용 연료 탱크(22)를 구비하고 있다. 엔진 보닛(21)은 좌우 한 쌍의 가로 보닛(21a, 21a)과, 1개의 전방 보닛(21b)과, 1개의 상부 보닛(21c)을 구비하고 있다. 좌우의 가로 보닛(21a)은 차체 프레임(3)의 전후륜 사이에 엔진 보닛(21)의 후방측 부근에 배치하여 기립 설치한 필러(13)(pillar)와, 상기 전륜 지지 프레임(11)에 엔진 보닛(21)의 내측에 배치하여 기립 설치한 지지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걸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필러(13)는 역U자형의 형상을 갖는 부재이다. 상부 보닛(21c)은 이 상부 보닛(21c)의 후단부를 상기 필러(1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있는 차체 횡방향의 축심 주위에 상하로 요동 개폐한다. 도3 및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필러(13)는 연료 탱크(22)의 양 횡측방으로 나뉘어져 위치하고 있는 좌우 한 쌍의 차체 상하 방향의 지지 기둥부(13a, 13a)와, 양 지지 기둥부(13a, 13a)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차체 횡방향의 연결 리브부(13b)를 구비하고, 차체 전후 방향에서 보아 문형(門形)으로 되어 있다. 좌우의 지지 기둥부(13a, 13a)의 하단부는, 클러치 하우징(8)에 고정된 차체 횡방향의 지지 프레임(14)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필 러(13)는 에어 클리너(air cleaner)나 머플러(muffler)를 지지하고 있어도 좋다.
도1 및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연료 탱크(22)는 상기 상부 보닛(21c)의 후단부로부터 차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주유구(23)와, 이 주유구(23)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주유구 캡(2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주유구(23)는 엔진 보닛(21)의 차체 횡방향에서의 중심에 대해, 한쪽의 가로 보닛(21a)이 위치하는 측으로 치우쳐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주 차체의 상기 주유구(23)에 가까운 측의 횡측방에 적재 부재(30)를 설치하고 있다. 도3은 상기 적재 부재(30)의 지지 구조의 분해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4 및 도5는 상기 적재 부재(30)의 지지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6은 상기 적재 부재(30)의 지지 구조의 종단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재 부재(30)는 이것의 횡폭 방향에서의 일단부에 연결된 주행 기체 전후 방향의 지지축(31)을 통해, 상기 필러(13)의 지지 기둥부(13a)에 설치한 지지부(32)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32)는 지지 기둥부(13a)에 연결 볼트(33)에 의해 연결된 절곡 판금으로 이루어지고, 차체 전후 방향으로 나열된 한 쌍의 지지판(32a, 32a)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지축(31)의 전단부측은, 적재 부재(30)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지지축(31)의 후단부측은 상기 전후 한 쌍의 지지판(32a, 32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적재 부재(30)는 상기 지지축(31)이 구비하는 차체 전후 방향의 축심(P) 주위로 요동하도록 지지부(32)에 피봇 지지되어 있다. 지지축(31)은 전후 한 쌍의 지지판(32a, 32a)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2)는 상기 후방측의 지지판(32a)과 상기 지지축(31)에 걸쳐 설치한 로크 기구(40)를 구비하고 있다. 도4 및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기구(40)는 상기 한 쌍의 지지판(32a, 32a)의 사이에서 상기 지지축(31)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횡단면 원형의 위치 결정 핀(41)과, 상기 후방측의 지지판(32a)에 고정된 보유 지지 캠(42)과, 상기 위치 결정 핀(41)과 상기 전방측의 지지판(32a)과의 사이에 배치하여 상기 지지축(31)에 장착한 로크 스프링(43)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유 지지 캠(42)은, 사용 보유 지지 오목부(44)와 수납 보유 지지 오목부(45)를 지지축(31)의 주위 방향으로 나열하여 구비하고 있다. 로크 스프링(43)은 상기 전방측의 지지판(32a)을 반력 부재로 하여 상기 위치 결정 핀(41)에 압박 작용함으로써 지지축(31)을 미끄럼 이동 가압하고, 이에 의해 위치 결정 핀(41)을 사용 보유 지지 오목부(44) 및 수납 보유 지지 오목부(45)에 걸어 넣어 가압하고 있다.
도4 및 도6의 (a)는 적재 부재(30)가 사용 자세로 지지된 상태와, 로크 기구(40)의 사용 로크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재 부재(30)가 상기 축심(P) 주위로 요동 조작되어, 위치 결정 핀(41)과 사용 보유 지지 오목부(44)가 합치하면, 적재 부재(30)는 이 적재 부재(30)의 보강 돌조(34a)를 구비한 적재면(34)이 차체 상부 방향으로 된 사용 자세가 된다. 적재 부재(30)가 사용 자세로 되면, 이에 수반하여 로크 스프링(43)이 위치 결정 핀(41)을 사용 보유 지지 오목부(44)에 걸어 넣은 상태, 즉 도7의 (b)에 도시하는 상태로 조작한다. 이에 의해, 로크 기구(40)는 보유 지지 캠(42)에 의한 위치 결정 핀(41)을 통 한 지지축(31)의 걸림에 의해 적재 부재(30)를 사용 자세로 유지하도록 사용 로크 상태로 된다.
도5 및 도6의 (b)는 적재 부재(30)가 수납 자세로 지지된 상태와, 로크 기구(40)의 수납 로크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재 부재(30)가 상기 축심(P)의 주위로 요동 조작되어, 위치 결정 핀(41)과 수납 보유 지지 오목부(45)가 합치하면, 적재 부재(30)는 적재면(34)이 차체 횡외측을 향한 상태에서 엔진 보닛(21)의 횡측면, 즉 가로 보닛(21a)의 외측면을 따른 수납 자세로 된다. 적재 부재(30)가 수납 자세로 되면, 이에 수반하여 로크 스프링(43)이 위치 결정 핀(41)을 수납 보유 지지 오목부(45)에 걸어 넣은 상태, 즉 도7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 조작한다. 이에 의해, 로크 기구(40)는 보유 지지 캠(42)에 의한 위치 결정 핀(41)을 통한 지지축(31)의 걸림에 의해 적재 부재(30)를 수납 자세로 유지하도록 수납 로크 상태로 된다.
적재 부재(30)가 수납 자세로부터 사용 자세를 향해 요동 조작되면, 위치 결정 핀(41)이 수납 보유 지지 오목부(45)로부터 빠져 벗어나 로크 기구(40)가 자연히 수납 로크 상태를 해제하도록, 수납 보유 지지 오목부(45)의 깊이가 위치 결정 핀(41)의 반경보다도 작은 깊이로 되어 있다. 적재 부재(30)가 사용 자세로 되면, 적재 부재(30)에 걸린 하중에 의해 위치 결정 핀(41)이 사용 보유 지지 오목부(44)로부터 빠져 벗어나지 않도록, 사용 보유 지지 오목부(44)의 깊이가 수납 보유 지지 오목부(45)보다도 깊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위치 결정 핀(41)의 반경보다도 큰 깊이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적재 부재(30)가 로크 스프링(43)에 저항하 여 미끄럼 이동 조작됨으로써, 위치 결정 핀(41)이 사용 보유 지지 오목부(44)로부터 빠져 벗어나, 로크 기구(40)가 사용 로크 상태를 해제한다.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2)는 지지판(32a)에 대해 적재 부재(30)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배치한 캡 홀더부(5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캡 홀더부(50)는 상기 로크 기구(40)를 덮도록 전후 한 쌍의 지지판(32a, 32a)에 장착된 수지재로 된 커버(51)에 일체 성형되어 있다. 도3은 커버(51)의 사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4는 캡 홀더부(50)의 주유구 캡 수용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캡 홀더부(50)는 이것의 바닥부(50a)에 의해 상기 주유구 캡(24)의 외주면부를 받아내어 지지하고, 캡 홀더부(50)의 선단부(50b)에 의해 주유구 캡(24)의 상면을 걸리게 함으로써 주유구 캡(24)을 수용한다.
즉, 연료 탱크(22)에 연료 보급 탱크(55)로부터 연료 공급할 때, 적재 부재(30)를 사용 자세로 절환 조작한다. 이때, 적재 부재(30)의 수납 자세로부터 사용 자세를 향한 상승 조작에 의해, 위치 결정 핀(41)이 수납 보유 지지 오목부(45)로부터 자연히 빠져 벗어나 로크 기구(40)가 수납 로크 상태를 해제하여, 적재 부재(30)의 수납 로크가 해제된다. 적재 부재(30)가 상승 요동하여 사용 자세로 절환되면, 이에 수반하여 위치 결정 핀(41)이 로크 스프링(43)으로 인해 사용 보유 지지 오목부(44)에 걸려 로크 기구(40)가 사용 로크 상태로 자연히 절환되어, 적재 부재(30)가 사용 자세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연료 보급 탱크(55)를 적재 부재(30)의 적재면(34)에 적재하여, 연료 보급 탱크(55)를 적재 부재(30)에 지지시키 면서 쉽게 연료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연료 탱크(22)로부터 제거한 주유구 캡(24)을 캡 홀더부(50)에 수용해 둠으로써, 주유구 캡(24)으로 연료 탱크(22)를 닫는 것을 잊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연료 공급을 마치고 적재 부재(30)를 수납할 때, 캡 홀더부(50)에 주유구 캡(24)이 존재하고 있으면, 이것을 보고 주유구 캡(24)으로 닫는 것을 잊어버리는 것이 인식된다.
연료 탱크(22)의 연료 공급을 마치면, 적재 부재(30)를 로크 스프링(43)에 저항하여 미끄럼 이동 조작한다. 이에 의해 위치 결정 핀(41)이 사용 보유 지지 오목부(44)로부터 빠져 벗어나, 로크 기구(40)가 사용 로크 상태를 해제한다. 이에 의해 적재 부재(30)의 사용 자세에서의 로크가 해제되면, 적재 부재(30)를 하강 요동 조작한다. 그러면, 적재 부재(30)가 수납 자세로 절환된다. 이에 수반하여 위치 결정 핀(41)이 로크 스프링(43)으로 인해 수납 보유 지지 오목부(45)에 걸림 삽입되어, 로크 기구(40)가 사용 로크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적재 부재(30)를 사용시보다도 차체 내측으로 물러가게 하고, 또한 진동에 의해 용이하게 요동되지 않도록 보유 지지시켜 수납할 수 있다.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 자세로 된 적재 부재(30)는 차체 측면에서 보아 가로 보닛(21a)의 복수의 통기 구멍을 구비한 통기부(25)에 겹쳐져 위치해, 차체를 미관이 좋은 상태로 유지한다.
도8은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로크 기구(4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9는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로크 기구(40)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로크 기구(40)는 상기 지지축(31)의 베이스부에 설치한 위치 결정 걸림부(61)와, 지지부(32)의 한쪽의 지지판(32a)에 마련한 로크 구멍(64)과, 상기 한 쌍의 지지판(32a, 32a)의 사이에서 지지축(31)에 외부 끼움되어 있는 로크 스프링(63)을 구비하고 있다. 위치 결정 걸림부(61)는 지지축(31)에 고정 설치한 사각 통체로 이루어지는 비원형의 외주면을 구비하고 있다. 로크 구멍(64)은 위치 결정 걸림부(61)의 외주 형상과 유사한 비원형의 구멍으로 되어 있다. 도8 및 도9에 도시하는 부호 65는, 로크 스프링(63)을 수용하는 커버이다. 이 커버(63)는 적재 부재(30)가 로크 스프링(63)에 저항하여 미끄럼 이동 조작되었을 때, 지지축(31)의 지지판(32a)으로부터의 빠짐 방지를 행하도록 스토퍼가 된다.
즉, 적재 부재(30)가 사용 자세로 절환된 상태에 있어서도, 수납 자세로 절환된 상태에 있어서도, 로크 스프링(63)에 의한 지지축(31)의 미끄럼 이동 가압에 의해, 위치 결정 걸림부(61)의 단부가 로크 구멍(64)에 삽입된다. 위치 결정 걸림부(61)의 단부가 로크 구멍(64)에 삽입되면, 위치 결정 걸림부(61)와 지지판(32a)이, 위치 결정 걸림부(61)와 로크 구멍(64)의 비원형으로 인해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서로 결합한다.
도9의 (a)는 로크 기구(40)의 적재 부재(30)를 사용 자세로 유지하는 로크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9의 (c)는 로크 기구(40)의 적재 부재(30)를 수납 자세로 유지하는 로크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 걸림부(61)의 단부가 로크 구멍(64)에 삽입되면, 로크 기구(40)는 위치 결정 걸림부(61)와 지지판(32a)의 결합에 의해 지지축(31)을 지지부(32)에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이에 의해 적재 부재(30)를 사용 자세로 유지하도록 사용 로크 상태로 되거나, 혹은 적재 부재(30)를 수납 자세로 유지하도록 수납 로크 상태로 된다. 도9의 (b)는 로크 기구(40)의 로크 해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 걸림부(61)가 로크 스프링(63)에 저항하여 로크 구멍(64)으로부터 빠져 벗어나면, 로크 기구(40)는 위치 결정 걸림부(61)와 지지판(32a)의 결합을 해제하여 지지축(31)의 회전을 허용하고, 적재 부재(30)의 수납 자세와 사용 자세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의 절환을 허용하도록 로크 해제 상태로 된다.
도10의 (a) 및 도10의 (b)는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보급 탱크 적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10의 (a) 및 도10의 (b)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적재 부재(30)는 사용 자세에서의 적재 부재이다. 도10의 (a)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적재 부재(30)는 사용 자세로부터 하강한 상태에서의 적재 부재이다. 도10의 (b)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적재 부재(30)는 수납 자세에서의 적재 부재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재 부재(30)는 이것의 이면측에 설치한 캡 홀더부(50)를 구비하고 있다. 캡 홀더부(50)가 상기 주유구 캡(24)을 수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캡 비수용 상태)에 있으면, 적재 부재(30)를 수납하고자 하면 상기 지지부(32)에 연속 설치된 견제 부재(70)의 작용 단부(70a)가 캡 홀더부(50)의 캡 수용 공간에 인입되어 견제 부재(70)가 견제 작용을 발휘하지 않아, 적재 부재(30)의 소정의 수납 자세로의 절환이 허용된다. 캡 홀더부(50)가 상기 주유구 캡(24)을 수용하고 있는 상태(캡 수용 상태)에 있으면, 적재 부재(30)를 수납하고자 해도, 주유구 캡(24)과 상기 견제 부재(70)의 작용 단부(70a)가 접촉하여, 적재 부재(30)의 소정의 수납 자세로의 절환이 견제 부재(70)에 의해 견제된다.
즉, 캡 홀더부(50)에 주유구 캡(24)을 수용한 상태이면, 적재 부재(30)를 수납할 수 없어, 이에 의해 주유구 캡(24)으로 연료 탱크(22)를 닫는 것을 잊어버리는 것을 인식시킬 수 있다.
도11은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적재 부재 지지 구조 및 로크 기구(40)의 평면도이다. 도12는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적재 부재 지지 구조 및 로크 기구(40)의 후방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적재 부재 지지 구조는, 적재 부재(30)의 이면측에 설치한 부착부(35)를 연결축(36)에 의해 상기 필러(13)의 지지부(32)에 연결하고, 이에 의해 적재 부재(30)를 연결축(36)의 차체 전후 방향 축심(P)의 주위에 상승 사용 자세와 하강 수납 자세로 절환 가능하게 지지부(32)에 지지시키고 있다. 연결축(36)은 통축과, 이 통축을 삽입 관통한 부착축을 구비하고 있다. 로크 기구(40)는 적재 부재(30)의 상기 부착부(35)에 설치한 로크 핀(76)과, 상기 지지부(32)에 설치한 한 쌍의 핀 구멍(77, 78)을 구비하고 있다. 도12의 (a)는 로크 기구(40)의 적재 부재(30)를 하강 수납 자세로 로크한 상태에서의 후방면도이다. 도12의 (b)는 로크 기구(40)의 적재 부재(30)를 상승 사용 자세로 로크한 상태의 후방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핀(76)은 로크 스프링(79)에 저항하여 미끄럼 이동 조작함으로써 한 쌍의 핀 구멍(77, 78)에 절환 삽입될 수 있다. 로크 핀(76)이 한쪽의 핀 구멍(77)에 장착됨으로써, 로크 기구(40)는 적재 부재(32)를 상승 사용 자세로 로크한다. 로크 핀(76)이 다른 쪽의 핀 구멍(78)에 장착됨으로써, 로크 기구(40)는 적재 부재(30)를 하강 수납 자세로 로크한다.
이 실시 구조의 경우, 연결축(36), 로크 핀(76), 로크 스프링(79)이 하강 수납 자세로 된 적재 부재(30)의 이면측에 가려져, 이들을 덮는 커버가 불필요해진다.
상기 실시와 같이 엔진 보닛(21)과 연료 탱크(22)를 차체의 전방측에 설치한 트랙터 외에, 엔진 보닛(21)과 연료 탱크(22)를 차체의 후방측에 설치한 트랙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에, 도13 내지 도18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13 및 도14에,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적재 부재(130)를 구비한 트랙터의 전체 측면도 및 전체 평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상기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갖는다. 도13 및 도14에서는, 엔진 냉각용 라디에이터(R)가 도시되어 있다.
도15 내지 도18을 기초로 하여 본 실시 형태의 적재 부재(130)의 상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15 내지 도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122) 등을 통해 적재 부재(130)가 기체에 요동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기체 우측의 가로 보닛(21a)의 전후방 중앙부에는, 가로 개구(21A)가 형성되어 있다. 가로 보닛(21a)에 형성된 가로 개구(21A)는, 측면에서 보아 가로로 긴 장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로 보닛(21a)의 가로 개구(21A)를 형성한 부분에 있어서의 단부에, 기체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21B)가 성형되어, 이 절곡부(21B)에 의해 가로 개구(21A)를 형성한 부분에 있어서의 단부의 강도를 확보하여, 외관 이 좋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로 보닛(21a)의 상단부는, 종단면 형상이 역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측에, 내측을 향해 연장된 프레임 고정부(21C)가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고정부(21C)에는 후술하는 프레임(122)을 고정하기 위한 내측으로 개방된 긴 구멍이 전후방 2군데에 형성되어 있다.
우측의 전륜 지지 프레임(11) 후단부의 외면에는, 종단면 형상이 L자 형상의 부착판(121)이 전후 2군데에 고착되어 있고, 이 부착판(121)에 상하로 관통하는 부착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122)은 둥근 파이프의 하단부를 만곡한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고, 프레임(122)의 상단부에는 선단부에 나사 가공이 실시되어 상방으로 돌출된 부착핀(123)이, 프레임(122)의 하단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부착핀(124)이 각각 고착되어 있다. 프레임(122)의 하부에는 횡단면 형상이 L자 형상인 보조대 부착 금속 부재(125)가 고착되어 있고, 이 보조대 부착 금속 부재(125)의 외측의 단부에 후술하는 적재 부재(130)를 연결하기 위한 전후 방향의 보조대 부착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122)의 상부에는 횡단면 형상이 L자 형상인 개폐 밴드 부착 금속 부재(126)가 고착되어 있고, 이 개폐 밴드 부착 금속 부재(126)에 후술하는 개폐 밴드(137)를 부착하기 위한 전후 방향의 밴드 부착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개폐 밴드 부착 금속 부재(126)에는 쿠션 고무(127)가 고정되어 있고, 이 쿠션 고무(127)의 외면측이 후술하는 적재 부재(130)의 용기 적재면(130a)과 접촉함으로써 수납 자세에서의 적재 부재(130)가 엔진(7) 등의 진동에 의해 진동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프레임(122)의 하단부에 설치한 부착핀(124)을, 방진 고무(128)를 통해 전륜 지지 프레임(11)의 외면에 고착한 부착판(121)의 부착 구멍에 내부 끼움 삽입된 상태에서, 프레임(122) 상단부에 설치한 부착핀(123)을, 방진 고무(129)를 통해 가로 보닛(21a) 상단부의 프레임 고정부(21C)에 형성한 긴 구멍에 내측으로부터 삽입하여, 상방으로부터 너트를 비틀어 넣음으로써 프레임(122)을 가로 보닛(21a)의 상단부와 전륜 지지 프레임(11)에 걸쳐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진 고무(128, 129)를 통해 프레임(122)을 부착함으로써, 엔진(7) 등의 진동이 적재 부재(130) 및 프레임(122)에 전달되어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적재 부재(130)를 지지하는 프레임(122)을, 상하 및 전후 방향의 강도가 비교적 확보되어 있는 가로 보닛(21a)의 상단부와 전륜 지지 프레임(11)에 걸쳐 설치함으로써, 적재 부재(130)에 연료가 담긴 연료 보급 탱크(55)를 적재해도 파손되기 어려운 적재 부재(130)의 부착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특히, 연료가 다량으로 담긴 연료 보급 탱크(55)를 적재하는 경우에는, 적재 부재(130) 및 개폐 밴드(137)를 통해 프레임(122)에 큰 굽힘 모멘트가 작용하기 쉽다. 그로 인해, 상기한 바와 같은 프레임(122)의 부착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프레임(12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레임(122)을 부착하는 부착판(121) 및 가로 보닛(21a)의 프레임 고정부(21C) 등의 파손도 방지할 수 있다.
도15 및 도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재 부재(130)는 연료 보급 탱크(55)의 형상에 맞춘 가로로 긴 상자형으로 성형되어 있고, 연료 보급 탱크(55)를 적재하는 적재 자세와, 상방으로 요동시켜 가로 보닛(21a)의 측면을 따른 수납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적재 부재(130)는 보조대 본체(131), 화장 커버(132), 조작 핸들(138), 로크 부재(139)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적재 부재(130)를 구성하는 보조대 본체(131)는 판금으로 된 상자형으로 성형되어 있고, 적재 자세에 있어서의 상면측에는 적재 부재(130)를 경량화하기 위한 개구(131a)가 형성되어 있다.
보조대 본체(131)의 적재 자세에 있어서의 내측의 단부에는, 전후 방향의 부착 구멍이 형성된 브래킷(133)이 고착되어 있고, 이 브래킷(133)을, 핀(134)을 통해 프레임(122)에 고착한 보조대 부착 금속 부재(125)에 연결함으로써 적재 부재(130)를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적재 자세에 있어서의 보조대 본체(131)의 외측의 단부 상면에는, 비스듬히 외측을 향해 절곡 성형된 스토퍼판(135)이 전후방 2군데에 고착되어 있고, 적재 부재(130)에 연료 보급 탱크(55)를 적재할 때에, 이 스토퍼판(135)에 의해 연료 보급 탱크(55)를 적재하는 위치로 안내할 수 있어, 연료의 보급 중 등에 연료 보급 탱크(55)가 적재 부재(130)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적재 자세에 있어서의 보조대 본체(131)의 전단부 및 후단부의 상면측에는 밴드 부착판(136)이 고착되어 있고, 이 밴드 부착판(136)과 개폐 밴드 부착 금속 부재(126)에 걸쳐 개폐 밴드(137)가 부착되어 있다. 개폐 밴드(137)는 나일론제의 직물에 의해 연료 보급 탱크(55)의 중량에 견딜 수 있는 강도로 구성되어 있고, 적재 자세 또는 수납 자세로부터 수납 자세 또는 적재 자세로 자세 변경할 때에, 적재 부재(130)의 전후방에 위치하는 가로 보닛(21a)과 적재 부재(130)와의 사이에 개폐 밴드(137)가 끼워지기 어렵도록, 전방측의 개폐 밴드(137)의 길이 방향에서의 중앙부가 후방으로, 후방측의 개폐 밴드(137)의 길이 방향에서의 중앙부가 전방으로 각각 절곡된 접힘 자국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적재 부재(130)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7 및 도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대 본체(131)의 수납 자세에 있어서의 외면측은 가로 보닛(21a)과 동일 색으로 도장된 화장 커버(132)로 덮여 있고, 적재 부재(130)를 수납 자세로 자세 변경하면, 가로 보닛(21a)의 외면과 화장 커버(132)의 외면이 동일 높이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적재 부재(130)를 구성하는 화장 커버(132)가, 적재 부재(130)의 수납 자세에 있어서 가로 보닛(21a)의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으므로, 트랙터의 외관이 좋아지는 동시에, 적재 부재(130)가 주행이나 작업의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적재 부재(1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화장 커버(132)는 가로 보닛(21a)과 동일한 재질로 상자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고, 보조대 본체(131)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화장 커버(132)의 적재 자세에 있어서의 외측의 단부에는, 판 스프링 형상의 로크 부재(139)가 고정되어 있고, 적재 자세로부터 적재 부재(130)의 화장 커버(132)를 상방으로 끌어올려 내측으로 적재 부재(130)를 압박하면, 적재 부재(130)의 용기 적재면(130a)이 쿠션 고 무(127)에 접촉하는 동시에, 로크 부재(139)가 가로 보닛(21a)의 결합 구멍(21D)에 결합하여, 적재 부재(130)를 수납 자세로 자세 변경할 수 있어, 적재 부재(130)를 수납 자세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화장 커버(132)의 수납 자세에 있어서의 상단부의 외면측에는 조작 핸들(138)이 고정되어 있고, 수납 자세로부터 조작 핸들(138)의 조작부(138a)를 외측으로 당기면, 로크 부재(139)의 가로 보닛(21a)의 결합 구멍(21D)에의 결합이 해제되어, 적재 부재(130)를 적재 자세로 자세 변경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적재 부재(130)를 구성함으로써, 도13 및 도17에 도시하는 적재 부재(130)의 수납 자세로부터 조작 핸들(138)의 조작부(138a)를 외측으로 당기면, 적재 부재(130)가 그 자중에 의해 외측으로 요동하고, 전후방의 개폐 밴드(137)에 의해 용기 적재면(130a)이 대략 수평으로 된 위치에서 그 요동이 정지하여, 간이하고 신속하게 적재 부재(130)를 적재 자세로 자세 변경할 수 있어, 적재 부재(130)의 용기 적재면(130a)에 연료 보급 탱크(55)를 적재하여 연료 탱크(4)에의 연료의 급유를 행할 수 있다.
반대로, 도15 및 도18에 도시하는 적재 부재(130)의 적재 자세로부터, 적재 부재(130)의 화장 커버(132)를 상방으로 끌어올려 내측으로 압박하면, 용기 적재면(130a)이 내측을 향해 대략 수직으로 된 위치에서, 적재 부재(130)가 로크 부재(139)에 의해 수납 자세로 유지되어, 간이하고 신속하게 적재 부재(130)를 수납 자세로 자세 변경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적재 부재(130)의 용기 적재면(130a)이 수납 자세에서 내측을 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연료 보급 탱크(55)를 적재 부재(130)에 적재함으로써 용기 적재면(130a)에 흠집 등이 생긴 경우라도, 적재 부재(130)의 수납 자세에 있어서, 용기 적재면(130a)의 흠집 등이 가려지므로, 트랙터의 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흠집 등이 생긴 용기 적재면(130a)이 비바람 등에 노출되는 일이 적어지므로, 적재 부재(130)에 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가로 보닛(21a)에 적재 부재(130)를 설치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보닛부(B)의 구조가 상이한 트랙터에 있어서는, 보닛부(B)를 구성하는 상이한 부품에 적재 부재(130)를 설치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또한, 기체 우측의 가로 보닛(21a)의 전후 중앙부에, 가로 개구(21A)를 형성하여 적재 부재(130)를 설치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기체의 좌측에 적재 부재(130)를 설치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좋고, 가로 보닛(21a)의 전방부 또는 후방부에 가로 개구(21A)를 형성하여 적재 부재(130)를 설치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적재 부재(130)를 지지하는 프레임(122)을 전륜 지지 프레임(11)과 가로 보닛(21a)의 프레임 부착부(17c)에 걸쳐 설치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프레임(122)을 고정하는 부재는 다른 부재라도 좋고, 예를 들어 미션 케이스(10), 클러치 하우징(8), 후방부 프레임 등에 적재 부재(130)를 지지하는 프레임(122)을 고정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가로 보닛(21a)에 가로 개구(21A)를 형성하고, 보조대 본체(131)에 화장 커버(132)를 부착하여 적재 부재(130)를 구성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가로 보닛(21a)의 외측에 별도 적재 부재(130)를 설치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보조대 본체(131)와 화장 커버(132)를 구비하여 적재 부재(130)를 구성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보조대 본체(131)와 화장 커버(132)를 일체 성형한 적재 부재(130)를 채용해도 좋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적재 부재(130)를 보조대 부착 금속 부재(125)의 보조대 부착 구멍의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적재 부재(130)를 자세 변경 가능하게 구성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적재 부재(130)를 자세 변경시키는 기구는 다른 기구를 채용해도 좋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개폐 밴드(137)에 의해 적재 부재(130)를 적재 자세로 유지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적재 부재(130)를 적재 자세로 유지하는 유지구로서 다른 구조를 채용해도 좋고, 예를 들어 절첩식 스테이(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적재 부재(130)를 적재 자세로 유지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도1은 트랙터의 전체 측면도.
도2는 트랙터의 전체 평면도.
도3은 적재 부재 지지 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4는 적재 부재 지지 구조의 적재 부재 사용 자세에서의 측면도.
도5는 적재 부재 지지 구조의 적재 부재 수납 자세에서의 측면도.
도6의 (a)는 적재 부재 지지 구조의 적재 부재 사용 자세에서의 종단 정면도, 도6의 (b)는 적재 부재 지지 구조의 적재 부재 수납 자세에서의 종단 정면도.
도7의 (a)는 로크 기구의 수납 로크 상태에서의 측면도, 도7의 (b)는 로크 기구의 사용 로크 상태에서의 측면도.
도8은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로크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9의 (a)는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로크 기구의 사용 로크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9의 (b)는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로크 기구의 로크 해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9의 (c)는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로크 기구의 수납 로크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10의 (a)는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보급 탱크 적재 장치의 적재 부재 하강 상태에서의 정면도, 도10의 (b)는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보급 탱크 적재 장치의 적재 부재 수납 자세에서의 정면도.
도11은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적재 부재 지지 구조 및 로크 기구(40)의 평면도.
도12의 (a)는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로크 기구의 수납 로크 상태에서의 후방면도, 도12의 (b)는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로크 기구의 사용 로크 상태에서의 후방면도.
도13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전체 우측면도.
도14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전체 평면도.
도15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적재 자세에 있어서의 용기 보조대 부근의 측면도.
도16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적재 자세에 있어서의 용기 보조대 부근의 평면도.
도17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수납 자세에 있어서의 용기 보조대 부근의 종단 정면도.
도18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적재 자세에 있어서의 용기 보조대 부근의 종단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필러
21 : 엔진 보닛
22 : 연료 탱크
24 : 주유구 캡
30 : 적재 부재
32 : 지지부
34 : 적재면
40 : 로크 기구
50 : 캡 홀더부
55 : 연료 보급 탱크
P : 축심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차체의 전단부측과 후단부측의 한쪽에 설치한 엔진 보닛과, 상기 엔진 보닛의 내부의 한쪽 부근에 설치한 연료 탱크와, 연료 보급 탱크의 적재에 사용하는 적재 부재를 구비한 트랙터이며,
    상기 차체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기둥부와 상기 차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레버부로 이루어지는 역U자형의 형상을 갖는 필러가 차체 프레임의 전후륜 사이에서 상기 보닛의 단부에 기립 설치되고,
    상기 지지 기둥부에 설치한 지지부에, 상기 적재 부재가, 그 적재면이 상부 방향으로 된 사용 자세와, 상기 적재면이 상기 엔진 보닛의 측면을 따른 수납 자세로 차체 전후 방향 축심 주위로 요동 절환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적재 부재에, 상기 연료 탱크의 주유구 캡을 수용하는 캡 홀더부를 구비하며,
    수납 자세에 있어서의 상기 캡 홀더의 캡 수용 공간에 대응한 위치에 견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캡 홀더부의 캡 비수용 상태에서 상기 적재 부재가 수납 자세로 절환될 때에, 상기 견제 부재가 상기 캡 수용 공간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적재 부재의 수납 자세로의 절환이 허용되고, 상기 캡 홀더부의 캡 수용 상태에서 상기 적재 부재가 수납 자세로 절환될 때에, 상기 견제 부재가 상기 캡 수용 공간의 상기 캡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적재 부재의 수납 자세로의 절환이 규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트랙터.
  7. 차체의 전단부측과 후단부측의 한쪽에 설치한 엔진 보닛과, 상기 엔진 보닛의 내부의 한쪽 부근에 설치한 연료 탱크와, 연료 보급 탱크의 적재에 사용하는 적재 부재를 구비한 트랙터이며,
    상기 차체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기둥부와 상기 차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레버부로 이루어지는 역U자형의 형상을 갖는 필러가 차체 프레임의 전후륜 사이에서 상기 보닛의 단부에 기립 설치되고,
    상기 지지 기둥부에 설치한 지지부에, 상기 적재 부재가, 그 적재면이 상부 방향으로 된 사용 자세와, 상기 적재면이 상기 엔진 보닛의 측면을 따른 수납 자세로 차체 전후 방향 축심 주위로 요동 절환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적재 부재를 상기 사용 자세로 유지하는 사용 로크 상태와 상기 수납 자세로 유지하는 수납 로크 상태로 절환 가능한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 기구를, 상기 적재 부재의 수납 자세로부터 사용 자세를 향한 요동 조작에 의해 상기 수납 로크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적재 부재의 사용 자세로의 절환에 수반하여 상기 사용 로크 상태로 절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트랙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부재는 상기 적재면과 상기 지지부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지지축을 갖고,
    상기 지지부는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둔 한 쌍의 지지판을 갖고,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지지축을 관통하는 핀과, 상기 핀과 상기 지지판 중 한쪽과의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과, 상기 핀을 수용하는 홈을 갖는 보유 지지 캠을 포함하는 트랙터.
KR1020070088948A 2006-12-04 2007-09-03 트랙터 KR1009224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26762 2006-12-04
JP2006326762A JP4829760B2 (ja) 2006-12-04 2006-12-04 トラクタ
JP2006337115A JP2008149767A (ja) 2006-12-14 2006-12-14 トラクタ
JPJP-P-2006-00337115 2006-1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1000A KR20080051000A (ko) 2008-06-10
KR100922455B1 true KR100922455B1 (ko) 2009-10-21

Family

ID=39806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948A KR100922455B1 (ko) 2006-12-04 2007-09-03 트랙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22455B1 (ko)
CN (1) CN103213625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8754A (ja) * 1994-10-13 1996-04-30 Kubota Corp トラクタの燃料補給タンク載置装置
KR20050032882A (ko) * 2003-10-02 2005-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도어의 캡 걸이 구조
JP2005335650A (ja) 2004-05-31 2005-12-08 Kubota Corp トラクタ
JP2006044423A (ja) 2004-08-03 2006-02-16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農用車両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3794Y2 (ko) * 1976-12-06 1981-08-10
US6401851B1 (en) * 2000-09-14 2002-06-11 Deere & Company Hood assembly
US6487754B1 (en) * 2000-09-14 2002-12-03 Deere & Company Spring loaded hood suppor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8754A (ja) * 1994-10-13 1996-04-30 Kubota Corp トラクタの燃料補給タンク載置装置
KR20050032882A (ko) * 2003-10-02 2005-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도어의 캡 걸이 구조
JP2005335650A (ja) 2004-05-31 2005-12-08 Kubota Corp トラクタ
JP2006044423A (ja) 2004-08-03 2006-02-16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農用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1000A (ko) 2008-06-10
CN103213625A (zh) 2013-07-24
CN103213625B (zh) 201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7706B2 (en) Fuel tank cradle device for forklift trucks
JP3250510B2 (ja) バッテリフォークリフト
JP4829760B2 (ja) トラクタ
US8303029B2 (en) Utility vehicle
JP4961250B2 (ja) トラクタ
JP2008195348A (ja) 車両および作業機械
KR100922455B1 (ko) 트랙터
JP2008149767A (ja) トラクタ
US8864208B2 (en) Panel locking structure for cargo bed of vehicle
CA2133137C (en) Folding auxiliary seat for tractor cab
US20090224566A1 (en) Floor mat for loading platform and vehicle equipped with it
JP4250561B2 (ja) トラクタ
JP5480928B2 (ja) トラクタ
US8833837B2 (en) Utility vehicle
JP2009241743A (ja) 車両の荷室構造
JP4162220B2 (ja) 農作業車
JP4943603B2 (ja) 車載用ルーフボックス
JP5481512B2 (ja) トラクタ
JP2013166486A (ja) 車両
JP4630814B2 (ja) 自動二輪車の荷物取付構造
JP2000203344A (ja) 車両のトランクボ―ド構造
US10363843B2 (en) Multipurpose vehicle
JP5830113B2 (ja) トラクタ
JP2012121575A5 (ko)
JP5555587B2 (ja) 車両用着脱部品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