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2062B1 -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2062B1
KR100922062B1 KR1020080013748A KR20080013748A KR100922062B1 KR 100922062 B1 KR100922062 B1 KR 100922062B1 KR 1020080013748 A KR1020080013748 A KR 1020080013748A KR 20080013748 A KR20080013748 A KR 20080013748A KR 100922062 B1 KR100922062 B1 KR 100922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substrate
pixel
emitting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3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8471A (ko
Inventor
김은아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3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2062B1/ko
Priority to US12/195,930 priority patent/US8362692B2/en
Publication of KR20090088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8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2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2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8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omprising two independent displays, e.g. for emitting information from two major sides of the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7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omprising two substrates, e.g. display comprising OLED array and TFT driving circuitry on different substrates
    • H10K59/1275Electrical connections of the two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20Carbon compounds, e.g. carbon nanotubes or fullerenes
    • H10K85/221Carbon nano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3Discrete devices, e.g. 3 terminal devices
    • H01L2924/1304Transistor
    • H01L2924/1306Field-effect transistor [FET]
    • H01L2924/13061Carbon nanotube field-effect transistor [CNF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다수의 데이터선 및 주사선에 의해 구획된 영역 내에 형성된 화소 및 상기 다수의 화소들로 구성된 화소부가 포함되는 제 1기판과; 상기 제 1기판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기판과; 상기 각각의 화소에는 화소 회로 및 상기 화소 회로에 연결되는 한 쌍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제 1 및 제 2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구비되며, 상기 제 1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 1기판 상의 각 화소 영역에 형성되고, 제 2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 1기판 상의 각 화소 영역에 대응되는 제 2기판 상의 영역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화소부로 2개의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평판 표시장치로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표시패널(Plasma Display Panel) 및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이 있다.
평판 표시장치 중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하여 빛을 발생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빠른 응답속도를 가짐과 동시에 낮은 소비전력으로 구동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화소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화소(4)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와, 데이터선(Dm) 및 주사선(Sn)에 접속되어 유기 발광 다이오 드(OLED)를 제어하기 위한 화소회로(2)를 구비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전극은 화소회로(2)에 접속되고, 캐소드전극은 제 2전원(ELVSS)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화소회로(2)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대하여 소정 휘도의 빛을 생성한다. 상기 화소회로(2)는 주사선(Sn)에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데이터선(Dm)으로 공급되는 데이터신호에 대응되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화소회로(2)는 제 1전원(ELVDD)과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사이에 접속된 제 2트랜지스터(M2)와, 제 2트랜지스터(M2), 데이터선(Dm) 및 주사선(Sn)의 사이에 접속된 제 1트랜지스터(M1)와, 제 2트랜지스터(M2)의 게이트전극과 제 1전극 사이에 접속된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구비한다.
제 1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전극은 주사선(Sn)에 접속되고, 제 1전극은 데이터선(Dm)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 1트랜지스터(M1)의 제 2전극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일측단자에 접속된다.
여기서, 제 1전극은 소오스전극 및 드레인전극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고, 제 2전극은 제 1전극과 다른 전극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제 1전극이 소오스전극으로 설정되면 제 2전극은 드레인전극으로 설정된다. 주사선(Sn) 및 데이터선(Dm)에 접속된 제 1트랜지스터(M1)는 주사선(Sn)으로부터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어 데이터선(Dm)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신호를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로 공급한다. 이때,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데이터신호에 대응되는 전압을 충전한다.
제 2트랜지스터(M2)의 게이트전극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일측단자에 접속되고, 제 1전극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다른측단자 및 제 1전원(ELVDD)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 2트랜지스터(M2)의 제 2전극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전극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제 2트랜지스터(M2)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전압값에 대응하여 제 1전원(ELVDD)으로부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경유하여 제 2전원(ELVSS)으로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한다. 이때,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제 2트랜지스터(M2)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량에 대응되는 빛을 생성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각 화소에는 단지 하나의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만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각각의 화소들로 구성되는 화소부는 일면으로만 표시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각 화소에 한 쌍의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가 포함되고, 이를 통해 상기 각각의 화소들로 구성되는 화소부가 서로 다른 평면 상에 구비되어 양면으로 표시되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다수의 데이터선 및 주사선에 의해 구획된 영역 내에 형성된 화소 및 상기 다수의 화소들로 구성된 화소부가 포함되는 제 1기판과; 상기 제 1기판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기판과; 상기 각각의 화소에는 화소 회로 및 상기 화소 회로에 연결되는 한 쌍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제 1 및 제 2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구비되며, 상기 제 1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 1기판 상의 각 화소 영역에 형성되고, 제 2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 1기판 상의 각 화소 영역에 대응되는 제 2기판 상의 영역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 1기판 상에 형성된 제 1유기 발광 다이오드들은 제 1면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제 1디스플레이부를 구현하고, 상기 제 2기판 상에 형성된 제 2유기 발광 다이오드들은 제 2면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제 2디스플레이부를 구현한다.
또한, 상기 제 2유기 발광 다이오드들은 도전성의 연결부를 통해 상기 화소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기판과 제 2기판 사이에 수직 형상으로 형성되고, 탄소 나노 튜브 다발 또는 도전성 격벽으로 구현됨을 특징 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단순한 공정을 통해 하나의 화소부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평면 상에 구비되어 양면으로 표시되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디스플레이 중 하나를 정지영상 표시용으로만 사용할 경우 나머지 디스플레이에 이미지 스티킹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수명화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100)는 제 1기판(110) 상에 다수의 데이터선(DL) 및 주사선(GL), 제 1전원(ELVDD)선에 의해 구획된 영역 내에 화소(130)가 형성되고, 화소부(140)는 상기 다수의 화소(130)들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각각의 화소(130) 내에 제 1 및 제 2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132, 212)가 구비되며, 상기 제 1유기 발광 다이오드(132)는 제 1기판(110) 상에 형성되고, 제 2유기 발광 다이오드(212)는 제 2기판(210) 상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 1기판(110) 상에 형성된 화소(130)들 즉, 화소부(140) 및 상기 화소들 내에 포함되고 제 1기판 상에 형성된 제 1유기 발광 다이오드(132)들은 제 1면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제 1디스플레이부를 구현하고, 상기 제 1기판 상에 형성된 화소(130)들 및 상기 화소들 내에 포함되고 제 2기판(210) 상에 형성된 제 2유기 발광 다이오드(212)들은 제 2면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제 2디스플레이부를 구현한다.
단, 상기 제 2디스플레이부를 구성하는 제 2유기 발광 다이오드(212)들은 상기 화소부(140)를 구성하는 화소(130)들과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지 않으므로, 이를 연결하기 위해 도전성의 탄소 나노 튜브 다발 또는 격벽 등으로 형성되는 연결부(미도시)를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일 화소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화소(130)는 데이터선(DL) 및 주사선(GL)에 접속되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제어하기 위한 화소회로(134)와 상기 화소회로(134)에 연결된 제 1 및 제 2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132, 212)를 구비한다.
즉, 본 발명은 화소(130)가 화소회로(134) 및 상기 화소회로(134)에 연결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132, 212)가 2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 1 및 제 2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132, 212)의 애노드전극은 각각 화소회로(134)에 접속되고, 캐소드전극은 제 2전원(ELVSS)에 접속되며, 상 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132, 212)는 화소회로(134)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대하여 소정 휘도의 빛을 생성한다.
단, 상기 제 1유기 발광 다이오드(132)는 제 1기판(도 2의 110) 상에 형성되고, 제 2유기 발광 다이오드(212)는 제 2기판(도 2의 210)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1기판 상에 형성된 제 1유기 발광 다이오드(132)들은 제 1면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제 1디스플레이부를 구현하고, 상기 제 2기판 상에 형성된 제 2유기 발광 다이오드(212)들은 제 2면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제 2디스플레이부를 구현한다.
상기 화소회로(134)는 주사선(GL)에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데이터선(DL)으로 공급되는 데이터신호에 대응되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132, 212)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화소회로(134)는 제 1전원(ELVDD)과 제 1 및 제 2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사이에 접속된 구동 트랜지스터로서의 제 2트랜지스터(T2)와, 상기 제 2트랜지스터(T2), 데이터선(DL) 및 주사선(GL)의 사이에 접속된 제 1트랜지스터(T1)와, 제 2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전극과 제 1전극 사이에 접속된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구비한다.
제 1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전극은 주사선(GL)에 접속되고, 제 1전극은 데이터선(DL)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 1트랜지스터(T1)의 제 2전극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일측단자에 접속된다.
여기서, 제 1전극은 소오스전극 및 드레인전극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고, 제 2전극은 제 1전극과 다른 전극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제 1전극이 소오스전극 으로 설정되면 제 2전극은 드레인전극으로 설정된다. 주사선(GL) 및 데이터선(DL)에 접속된 제 1트랜지스터(T1)는 주사선(GL)으로부터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어 데이터선(DL)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신호를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로 공급한다. 이때,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데이터신호에 대응되는 전압을 충전한다.
제 2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전극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일측단자에 접속되고, 제 1전극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다른측단자 및 제 1전원(ELVDD)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 2트랜지스터(T2)의 제 2전극은 제 1 및 제 2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132, 212)의 애노드전극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제 2트랜지스터(T2)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전압값에 대응하여 제 1전원(ELVDD)으로부터 제 1유기 발광 다이오드(132) 및/또는 제 2유기 발광 다이오드(212)를 경유하여 제 2전원(ELVSS)으로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 1유기 발광 다이오드(132) 및/또는 제 2유기 발광 다이오드(212)는 제 2트랜지스터(T2)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량에 대응되는 빛을 생성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구비되는 화소(130)는 하나의 화소회로(134)와 상기 화소회로(134)에 연결되는 2개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제 1 및 제 2유기 발광 다이오드)(132, 21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유기 발광 다이오드(132)는 제 1기판 상에 형성되고, 제 2유기 발광 다이오드(212)는 제 2기판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1기판 상에 형성된 제 1유기 발광 다이오드(132)들은 제 1면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제 1디스플레이부를 구현하고, 상기 제 2기판 상에 형성된 제 2유기 발광 다이오드(212)들은 제 2면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제 2디스플레이부를 구현함을 특징으로 한다.
단, 상기 제 2디스플레이부를 구성하는 제 2유기 발광 다이오드(212)들은 상기 화소부를 구성하는 화소(130)들과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지 않으므로, 이를 연결하기 위해 도전성의 탄소 나노 튜브 다발 또는 격벽 등으로 형성되는 연결부(미도시)을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화소의 일 영역에 대한 단면도이다. 단, 도 4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화소 중 구동 트랜지스터와 이에 연결되는 제 1 및 제 2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화소는 구동 트랜지스터(T2)와, 제 1유기 발광 다이오드(132)가 형성된 제 1기판(110)과,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2)와 연결부(30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유기 발광 다이오드(212)가 형성된 제 2기판(210)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기판(110)은 증착 기판(101) 및 증착 기판(101)상에 형성되는 화소가 포함되며, 상기 제 2기판(210)은 투명 기판(201) 및 상기 투명 기판(201) 상에 형성되는 제 2유기 발광 다이오드(212)가 포함된다.
이 때, 상기 화소는 앞서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소회로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나, 도 4에서는 상기 화소회로에 포함되는 구동트랜지스터(T2)와 이에 연결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132, 212)의 단면을 도시한다.
먼저, 증착 기판(101)상에 버퍼층(111)이 형성된다. 증착 기판(101)은 유리(glass) 등으로 형성되며 버퍼층(111)은 산화 실리콘(SiO2) 또는 질화 실리콘(SiNx) 등과 같은 절연 물질로 형성된다. 한편, 버퍼층(111)은 외부로부터의 열 등의 요인으로 인해 증착 기판(10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버퍼층(111)의 적어도 어느 일 영역 상에는 액티브층(112a)과 소스 및 드레인 영역(112b)을 구비하는 반도체층(112)이 형성된다.
반도체층(112)을 포함하여 버퍼층(111) 상에는 게이트 절연층(113)이 형성되고, 게이트 절연층(113)의 일 영역 상에는 액티브층(112a)의 폭에 대응하는 크기의 게이트 전극(114)이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114)을 포함하여 게이트 절연층(113) 상에는 층간 절연층(115)이 형성되며, 층간 절연층(115)의 소정의 영역 상에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116a,116b)이 형성된다.
소스 및 드레인 전극(116a,116b)은 소스 및 드레인 영역(112b)의 노출된 일 영역과 각각 접속되도록 형성되며, 소스 및 드레인 전극(116a,116b)을 포함하여 층간 절연층(115)상에는 평탄화층(117)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반도체층(112) 내지 소스 및 드레인 전극(116a,116b)이 앞서 언급한 구동 트랜지스터(T2)를 구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평탄화층(117)에는 2개의 비아홀(118, 119)이 형성되며, 제 1비아홀(118)은 상기 평탄화층(117)의 일 영역상에 형성되는 제 1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제 1전극(142)이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116a,116b) 중 어느 하나의 노출된 일 영역과 접속되도록 한다.
또한, 제 2비아홀(119)은 상기 제 2기판(210)의 일 영역 상에 형성되는 제 2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제 1전극(242)이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116a,116b) 중 어느 하나의 노출된 일 영역과 접속되도록 한다.
단, 상기 제 2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제 1전극(242)이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촉되기 위해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기판(110)과 제 2기판(210) 사이에 수직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부(300)가 이용된다.
이 때, 상기 연결부(300)로는 탄소나노튜브 다발을 활용할 수 있다. 즉, 제 2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제 1전극(24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 2기판(210) 상에 상기 제 2비아홀과 연결되는 평면상의 위치(즉, x,y 위치)에 탄소나노튜브를 형성하고 이를 수직 방향(-z방향)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이렇게 탄소나노튜브를 형성 후 집속이온빔을 사용하여 단 몇 초안에 나노튜브를 원하는 방향으로 정확히 정렬시키는 기술은 기 보고된 바 있다. (ref. Bending of carbon nanotube in vacuum using a focused ion beam, Byong Chon Park, Ki Young Jung, Won Young Song, Beom-hoan O, Sang Jung Ahn, Advanced Materials, Vol.18, page 95-98, 2006.)
또한, 상기 연결부(300)는 탄소나노튜브 외에, 격벽 형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격벽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제 1전극(142)을 포함한 평탄화층(117) 상에는 제 1전극(142)의 적어도 일 영역을 노출하는 개구부(미도시)가 구 비된 제 1화소 정의막(120)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제 1전극(242)을 포함한 제 2기판(210) 상에는 상기 제 1전극(242)의 적어도 일 영역을 노출하는 개구부(미도시)가 구비된 제 2화소 정의막(220)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 1화소 정의막(120) 및 제 2화소 정의막(220)이 형성되는 위치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화소 정의막(120, 220)의 개구부 상에는 유기층(144, 244)이 형성되며, 상기 유기층(144, 244)을 포함하는 각각의 화소 정의막(120, 220)상에는 각각 제 2 전극층(146, 246)이 형성된다.
즉, 이를 통해 제 1유기 발광 다이오드(132)는 제 1기판(110) 상에 형성되어 제 1비아홀(118)에 의해 구동 트랜지스터(T2)의 소스 전극(116a) 또는 드레인 전극(116b)에 연결되고, 제 2유기발광 다이오드(212)는 제 2기판(210) 상에 형성되어 연결부(300) 및 제 2비아홀(119)에 의해 구동 트랜지스터(T2)의 소스 전극(116a) 또는 드레인 전극(116b)과 연결된다.
도 1은 종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화소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일 화소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화소의 일 영역에 대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제 1기판 130 : 화소
132 : 제 1유기 발광 다이오드 210 : 제 2기판
212 : 제 2유기 발광 다이오드

Claims (7)

  1. 다수의 데이터선 및 주사선에 의해 구획된 영역 내에 형성된 화소 및 상기 다수의 화소들로 구성된 화소부가 포함되는 제 1기판과;
    상기 제 1기판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기판과;
    상기 각각의 화소에는 화소 회로 및 상기 화소 회로에 연결되는 한 쌍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제 1 및 제 2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구비되며,
    상기 제 1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 1기판 상의 각 화소 영역에 형성되고, 제 2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 1기판 상의 각 화소 영역에 대응되는 제 2기판 상의 영역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판 상에 형성된 제 1유기 발광 다이오드들은 제 1면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제 1디스플레이부를 구현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판 상에 형성된 제 2유기 발광 다이오드들은 제 2면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제 2디스플레이부를 구현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유기 발광 다이오드들은 도전성의 연결부를 통해 상기 화소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기판과 제 2기판 사이에 수직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탄소 나노 튜브 다발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도전성의 격벽으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0080013748A 2008-02-15 2008-02-15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922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3748A KR100922062B1 (ko) 2008-02-15 2008-02-15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12/195,930 US8362692B2 (en) 2008-02-15 2008-08-21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3748A KR100922062B1 (ko) 2008-02-15 2008-02-15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471A KR20090088471A (ko) 2009-08-20
KR100922062B1 true KR100922062B1 (ko) 2009-10-16

Family

ID=40954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3748A KR100922062B1 (ko) 2008-02-15 2008-02-15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62692B2 (ko)
KR (1) KR1009220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1319A (ko) * 2013-12-18 2015-06-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00049738A (ko) * 2020-04-28 2020-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47656A (zh) * 2012-02-07 2013-08-14 瀚宇彩晶股份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显示装置
CN102593149A (zh) * 2012-02-29 2012-07-18 南京中电熊猫液晶显示科技有限公司 一种双面oled显示器及其制造方法
CN102646697B (zh) * 2012-05-08 2015-02-04 南京中电熊猫液晶显示科技有限公司 Oled双镜面显示器
KR101983230B1 (ko) * 2012-10-19 2019-05-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15096356A1 (zh) * 2013-12-24 2015-07-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双面显示面板
CN104752461B (zh) * 2013-12-25 2018-09-04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双面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KR102303241B1 (ko) * 2014-07-24 2021-09-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75192B1 (ko) * 2015-07-03 2022-03-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5140260B (zh) 2015-07-23 2018-04-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06935615B (zh) * 2015-12-30 2019-07-02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显示屏体制备方法、显示屏体和电子显示设备
KR102508256B1 (ko) * 2015-12-31 2023-03-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패널,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의 리페어 방법
KR102495930B1 (ko) * 2017-09-12 2023-0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8110032A (zh) * 2017-12-12 2018-06-0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双面oled显示器及其制作方法
CN109860260A (zh) * 2019-02-28 2019-06-0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CN110265436A (zh) * 2019-05-31 2019-09-20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
WO2021120112A1 (zh) * 2019-12-19 2021-06-24 重庆康佳光电技术研究院有限公司 双面tft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设备
CN112234089B (zh) * 2020-10-16 2022-07-29 青岛三顺智能电器有限公司 一种oled显示面板以及显示屏
CN112786668A (zh) * 2021-01-08 2021-05-1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双面显示面板
CN113299705B (zh) * 2021-05-10 2023-02-07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双面显示面板及双面显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968B1 (ko) 2003-09-23 2006-0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티브 매트릭스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KR100598716B1 (ko) 2004-10-11 2006-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 패널
KR20060113008A (ko) * 2005-04-28 2006-11-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테스트 화소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70051619A (ko) * 2006-02-03 2007-05-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양방향 표시가 가능한 오엘이디 디스플레이 소자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889B1 (ko) 2000-12-28 2007-07-2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20030069707A (ko) * 2002-02-22 2003-08-2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US7772756B2 (en) 2003-08-01 2010-08-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a dual emission panel
US7420324B2 (en) * 2004-06-03 2008-09-02 Lg Display Co., Ltd. Organic EL display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0747569B1 (ko) * 2004-06-10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접착형 유기 el 디스플레이
JP4365364B2 (ja) 2004-10-12 2009-11-18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有機電界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85130B1 (ko) * 2004-12-30 2011-11-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700648B1 (ko) 2005-01-31 2007-03-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면발광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060104659A (ko) 2005-03-31 2006-10-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 방출 소자
EP1913604A4 (en) * 2005-06-28 2011-07-20 Du Pont ANODE BICOUCHE
US7625817B2 (en) * 2005-12-30 2009-12-01 Intel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a carbon nanotube interconnect structures
CN101090011B (zh) * 2006-06-14 2010-09-22 北京富纳特创新科技有限公司 电磁屏蔽电缆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968B1 (ko) 2003-09-23 2006-0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티브 매트릭스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KR100598716B1 (ko) 2004-10-11 2006-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 패널
KR20060113008A (ko) * 2005-04-28 2006-11-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테스트 화소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70051619A (ko) * 2006-02-03 2007-05-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양방향 표시가 가능한 오엘이디 디스플레이 소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1319A (ko) * 2013-12-18 2015-06-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07565B1 (ko) 2013-12-18 2020-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00049738A (ko) * 2020-04-28 2020-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71322B1 (ko) 2020-04-28 2020-10-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62692B2 (en) 2013-01-29
US20090206727A1 (en) 2009-08-20
KR20090088471A (ko) 200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2062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1082300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06843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US20050218409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8896044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JP2004111369A (ja)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10916613B1 (en) Array substrate and OLED display device
US1135556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20160085987A (ko) 표시 장치
KR20110054464A (ko) 표시 장치
KR20070056304A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70367A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09009156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148720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41370A (ko) 발광 표시 패널
KR100894651B1 (ko)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 전계발광 표시패널 및 그의제조방법
KR100482328B1 (ko)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 전계발광 표시패널 및 그의제조방법
KR100754138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4483264B2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589551B1 (ko) 표시 장치
KR102031779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JP2004264634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KR100748310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3964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669316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