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9244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9244B1
KR100909244B1 KR1020080023958A KR20080023958A KR100909244B1 KR 100909244 B1 KR100909244 B1 KR 100909244B1 KR 1020080023958 A KR1020080023958 A KR 1020080023958A KR 20080023958 A KR20080023958 A KR 20080023958A KR 100909244 B1 KR100909244 B1 KR 100909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ir
panel
discharge port
v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지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3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9244B1/ko
Priority to CN200810098381A priority patent/CN101532704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부 및 공기 토출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열교환기 및 송풍기가 설치되며, 상면에 상면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회전되거나 직선 이동되게 배치된 프론트 패널과; 상기 상면 개구부를 통해 직선 승강되도록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전면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구 유닛을 포함하여, 프론트 패널에 의해 공기조화기의 전면 미관이 향상되고,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토출구 유닛이 본체의 상측으로 상승되어 본체의 전방 가까운 영역으로 공조 공기를 집중 토출할 수 있으며,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지시 토출구 유닛이 본체의 내부로 하강되어 공기 토출구가 은닉되어 미관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이물질 등이 토출구 유닛을 통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Figure R1020080023958
공기조화기, 본체, 프론트 패널, 토출구 유닛, 상면 개구부

Description

공기조화기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내를 공조시키는 본체의 전방에 프론트 패널이 설치되고, 본체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구 유닛이 직선 승강되게 배치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으로, 크게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상기한 분리형과 일체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분리형은 실내기에 냉각/방열 장치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방열/냉각 및 압축 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실내기와 실외기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고, 일체형은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다.
최근에는 공기조화기의 전면 미관을 위해 그 전면 이외에 공기 흡입부와 공기 토출부를 형성하고, 공기조화기의 전면에 회전 동작되는 전면 패널을 설치하는 추세이다.
공개특허공보 10-2005-0078882호에는 공기조화기의 좌,우 양측 하부에 공기 흡입구가 각각 형성되고, 좌,우 양측 상부와 상면에 공기 토출구가 각각 형성되며, 전방에 전면 패널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그 좌,우 양측 상부에 좌,우 공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좌,우 풍향을 조절하고 좌,우 공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좌,우 토출구 패널이 좌우 회전되게 배치되고, 그 상면에 상면 공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 풍향을 조절하고 상면 공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상면 토출구 패널이 상하 회전되게 배치된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10-2005-0078882호에 개시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그 전방에 전면 패널이 설치되어 미관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으나, 상면 공기 토출구의 개방시 상면 토출구 패널이 경사 배치되어 상면 공기 토출구를 통과한 공기를 공기조화기의 전방 상측의 경사 방향으로 안내하므로, 공기조화기의 전방 근접한 영역으로 다량의 공조 공기를 직접 토출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10-2005-0014294호에는 좌,우 양측 하부에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전면과 좌,우측면의 3면이 개방된 디퓨져가 승강되게 배치되어, 실내의 공기가 캐비닛의 좌,우 양측 하부로 흡입되어 내부에서 열교환된 후, 디퓨져의 좌,우,정면의 3면으로 토출되는 공기조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공개특허공보 10-2005-0091801호에는 좌,우 양측 하부에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좌,우 양측 상부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부에 전면과 좌,우측면의 삼면이 개방된 토출구 유닛이 승강되게 배치되어 실내의 공기가 캐비닛의 좌, 우 양측 하부로 흡입되어 내부에서 열교환된 후, 캐비닛의 좌,우 양측 상부와, 토출구 유닛의 좌,우,정면의 삼면으로 토출되는 공기조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공보 10-2005-0014294호에 개시된 공기조화기와 공개특허공보 10-2005-0091801호에 개시된 공기조화기는 디퓨져 및 토출구 유닛의 전면과 좌,우 양측의 삼면으로 공조 공기가 토출되므로, 강한 전면풍을 희망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특0149375호에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처리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를 갖는 루버부와; 상기 루버부와 상기 본체부사이에 개재되는 스크류축과, 상기 스크류측의 숫나사부에 맞물리는 너트부재 및 상기 스크류축을 정역구동하여 상기 루버부를 상기 본체부에 대해 승강 시키는 구동모터를 갖는 승강기구를 포함하는 승강가능한 루버를 갖는 공기조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등록특허공보 특0149375호에 개시된 승강가능한 루버를 갖는 공기조화기는 루버부가 본체부의 상부에 상시 노출되어 공기조화기의 미사용시 미관이 좋지 못하고 이물질이 루버부를 통해 침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기조화기의 전면 미관이 향상되게 하면서 공기조화기의 전방 가까운 영역으로 전 면풍을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고, 미사용시 토출구 유닛이 전방에서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에 설치된 본체 제어부가 프론트 패널에 설치된 전기부품 및 토출구 유닛에 설치된 설치된 전기부품 모두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부 및 공기 토출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열교환기 및 송풍기가 설치되며, 상면에 상면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회전되거나 직선 이동되게 배치된 프론트 패널과; 상기 상면 개구부를 통해 직선 승강되도록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전면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구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토출구 유닛은, 전면에 상기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하면이 개방되며, 좌측면과 우측면과 후면과 상면이 막힌 토출구 바디와, 상기 토출구 바디 내측에 배치된 베인 서포터와, 상기 베인 서포터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베인과, 상기 베인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베인에 연결되고 상기 토출구 바디 또는 베인 서포터에 설치된 베인 회전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베인은 상기 베인 서포터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좌우 풍향조절 베인과, 상기 베인 서포터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하 풍향조절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베인 회전모터는 상기 토출구 바디에 설치되고 상기 좌우 풍향조절 베인을 회전 시키는 좌우 풍향조절 베인모터와, 상기 베인 서포터에 설치되고 상기 좌우 풍향조절 베인을 회전시키는 상하 풍향조절 베인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패널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와, 상기 프론트 커버의 후방에 배치된 리어 프레임과, 상기 리어 프레임에 설치되고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좌,우 양측 하부에 상기 공기 흡입부가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좌,우 양측 상부에 상기 공기 토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좌측 하부에 형성된 공기 흡입부와 상기 본체의 좌측 상부에 형성된 공기 토출부를 함께 여닫는 좌측 패널과, 상기 본체의 우측 하부에 형성된 공기 흡입부와 상기 본체의 우측 상부에 형성된 공기 토출부를 함께 여닫는 우측 패널과, 상기 좌측 베인을 구동시키는 좌측 패널 구동기구와, 상기 우측 베인을 구동시키는 우측 패널 구동기구와, 상기 토출구 유닛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상기 좌측 패널 구동기구와 우측 패널 구동기구와 상기 승강기구를 제어하는 본체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된 전기부품을 제어하는 프론트 패널 제어부와, 상기 토출구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 유닛에 설치된 전기부품을 제어하는 토출구 유닛 제어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에 설치된 전기부품을 제어하는 본체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제어부는 상기 프론트 패널 제어부 및 토출구 유닛 제어부와 리드 와이어로 각각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본체의 전방에 프론트 패널이 설치되므로 공기조화기의 전면 미관이 향상되고,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토출구 유닛이 본체의 상측으로 상승되어 그 전면을 통해서만 공조 공기를 토출하므로 본체의 전방 가까운 영역으로 전면풍을 신속하게 집중 토출할 수 있으며,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지시 토출구 유닛이 본체의 내부로 하강되어 공기 토출구가 은닉되므로 미관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이물질 등이 토출구 유닛을 통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토출구 유닛에 공조 공기의 풍향을 상하 조절할 수 있는 베인과, 베인을 회전시키는 베인 회전모터가 설치되어, 공조 공기가 본체 보다 높은 위치에서 토출구 유닛의 전방 상,하,좌,우로 풍향 조절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베인이 공조 공기의 상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는 상하 풍향조절베인을 포함하여, 토출구 유닛에서 토출된 공기가 상하 풍향조절베인에 의해 하향 안내된 후 프론트 패널의 상측을 지나 프론트 패널의 전방 가까운 영역으로 집중 토출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본체에 설치된 본체 제어부가 프론트 패널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등의 전기부품과 토출구 유닛에 설치된 베인 회전모터 등의 전기부품 모두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운전 정지일 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운전 중일 때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하부 평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상부 평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에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부(4)(6)가 형성됨과 아울러 본체(2)의 내부에서 가열되거나 냉각되거나 정화되는 등의 공조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부(8)(10)가 형성된다.
본체(2)는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나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나 천장형 공기조화기 등의 어느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나, 이하 편의를 위해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하, 본체(2)는 하부에 공기 흡입부(4)(6)가 형성되고, 상부에 공기 토출부(8)(10)가 형성되어 대략 그 하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그 내부에서 공조한 후 그 상부를 통해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유로를 갖고, 크게 베이스(12)와, 캐비닛(20)과, 하부 패널(30)(40)과, 상부 패널(50)을 포함한다.
베이스(12)는 본체(2)의 저면부 외관을 형성하고 캐비닛(20)과 하부 패널(30)(40) 등을 지지한다.
캐비닛(20)은 본체(2)의 후방부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후판부(22)와 좌 측부(24)와 우측부(26)로 이루어지고, 베이스(12)의 후방부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캐비닛(20)은 좌측부(24)와 우측부(26)가 후판부(22)와 직교하게 절곡되는 것도 가능하고, 전방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판부(22)와 경사지게 절곡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하부 패널(30)(40)은 좌측 공기 흡입부(4)가 형성된 좌측 하부 패널(30)과, 우측 공기 흡입부(6)가 형성된 우측 하부 패널(40)로 이루어진다.
좌측 하부 패널(30)은 캐비닛(20)의 좌측부(24)의 하부 전방 위치인 베이스(12)의 전방부 좌측 위에 배치되게 설치되고, 좌측 필터(32)가 장착되는 좌측 필터 케이스(34)가 설치된다.
우측 하부 패널(40)은 캐비닛(20)의 우측부(26)의 하부 전방 위치인 베이스(12)의 전방부 우측 위에 배치되게 설치되고, 우측 필터(42)가 장착되는 우측 필터 케이스(44)가 설치된다.
상부 패널(50)은 캐비닛(20)의 전방 상부에 배치되고, 대략 전판부(52)와 좌측부(53)와 우측부(54)로 이루어진다.
상부 패널(50)은 전판부(52)와 좌측부(53)의 사이에 전판부(52) 및 좌측부(53)에 대해 경사진 좌측 경사부(55)가 형성되고, 좌측 경사부(55)에 좌측 공기 토출부(8)가 개구 형성된다.
상부 패널(50)은 전판부(52)와 우측부(54)의 사이에 전판부(52) 및 우측부(54)에 대해 경사진 우측 경사부(56)가 형성되고, 우측 경사부(56)에 우측 공기 토출구(10)가 개구 형성된다.
본체(2)는 상부 패널(50)의 전방에 좌측 공기 토출부(8)와 우측 공기 토출부(10)를 통과한 공기가 전방 방향으로 직진되지 않고, 후술하는 좌측 베인(90)과 우측 베인(100)을 향해 유도되게 막는 전면 커버(6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체(2)는 베이스(12)와 좌,우 하부패널(30)(40)과 상부 패널(50)의 사이에 전면 개구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2)의 전방에는 공기조화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70)이 배치된다.
여기서, 프론트 패널(70)은 본체(2)의 전면 개구부를 포함한 본체(2)의 전면을 차폐하거나 개방하는 것으로서, 본체(2)의 전방에 회전되거나 직선 이동되게 배치되고, 이하 본체(2)의 전방에 좌,우 중 일측으로 중심으로 옆으로 회동되게 연결된 것으로 설명한다.
프론트 패널(70)은 베이스(12) 및 좌측 하부 패널(30)과 우측 하부 패널(40)과 상부 패널(50) 중 적어도 하나에 좌,우 중 일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부 패널(50) 및 전면 커버(60)의 상단과 베이스(12)의 전면부 사이를 차폐하거나 개방한다.
프론트 패널(70)은 차폐시를 기준으로 내,외 혹은 전,후 위치되는 복수개의 부재(71)(72)가 결합되는 복수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공기조화기의 전면측 미관을 형성하고 본체(2)를 기준으로 외측에 위치되는 프론트 커버(71)와, 내측에 위치되는 리어 프레임(72)과, 프론트 커버(71)를 리어 프레임(72)을 결합시키는 홀 더(73)와, 리어 프레임(72)에 설치되고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74)를 포함한다.
프론트 커버(71)는 공기조화기의 전면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글래스 나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투명하게 형성된 투명부재와, 투명부재의 전면 혹은 배면에 형성된 장식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고, 전면 혹은 배면에 장식부를 갖는 불투명부재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투명부재와 장식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프론트 커버(71)는 장식부가 투명부재의 전면 혹은 배면에 스크린 인쇄에 의해 형성된 스크린 인쇄부로 이루어지거나, 투명부재의 전면 혹은 배면에 부착된 장식시트나 장식필름 등으로 이루어진다.
프론트 커버(71)는 장식부가 디스플레이(74)의 전방을 포함한 투명부재의 일면 전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디스플레이(74)의 전방 이외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프론트 커버(71)는 디스플레이(74)의 전방이 투명하게 형성되어 디스플레이(74)의 정보가 프론트 커버(71)를 통해 보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디스플레이(74)의 전방에 디스플레이(74)를 볼 수 있는 별도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리어 프레임(72)은 프론트 커버(71)의 후방에 배치되어, 프론트 패널(70)의 배면을 구성한다.
리어 프레임(72)에는 디스플레이(74)가 설치되거나 디스플레이(74)의 정보가 통과하는 개구부(72a)가 형성된다.
디스플레이(74)는 개구부(72a)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개구부(72a)의 후방에 위치되어 개구부(72a)를 통해 정보가 보이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74)는 엘시디나 엘이디나 88세그먼트 등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모듈(74A)과, 디스플레이 모듈(74A)을 보호하는 디스플레이 커버(74B)를 포함한다.
프론트 패널(70)은 사용자 등이 공기조화기의 운전 모드 등을 입력하도록 조작하는 조작부(74C)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조작부(74C)는 디스플레이 모듈(74A) 전방에 배치된 터치 스크린과, 터치 스크린의 좌표를 인식하는 좌표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고, 디스플레이 모듈(74A)의 주변에 설치되어 사용자 등에 의해 조작되는 버튼과, 버튼에 의해 스위칭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며, 리모컨 등의 원격조작기구(미도시)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프론트 패널(70)은 프론트 패널(70)에 설치된 각종 전기부품에 연결된 프론트 패널 제어부(74D)를 더 포함한다.
이하, 프론트 패널 제어부(74D)는 디스플레이 모듈(74A)과 연결되고 후술하는 본체 제어부(86)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디스플레이 모듈(74A)을 제어하고, 조작부(74C)와 연결되어 조작부(74C)의 신호를 본체 제어부(86)로 인가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체(2)의 내부에는 실내의 공기를 본체(2) 내부로 흡입한 후 본체(2)의 외부로 토출되게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송풍기와, 송풍기(310)에서 송풍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75)를 포함한다.
송풍기는 본체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그 전방 혹은 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측으로 송풍시키는 원심 송풍기로서, 회전축이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팬모터(76)와, 팬모터(76)의 회전축에 연결된 송풍팬(77)과, 송풍팬(77) 및 팬모터(76)를 둘러싸고 전면과 후면 중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부에 토출구가 형성된 팬 하우징(78)과, 팬 하우징(78)의 개구부에 배치된 오리피스(79)를 포함한다.
열교환기(75)는 송풍기 특히 팬 하우징(78)의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 유닛(80)이 본체(2)의 내측 상부에서 본체(2)의 위로 상승되고 본체(2)의 위에서 본체(2)의 내측으로 하강되게 설치된다.
본체(2)는 그 상면 전체가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면을 갖거나 그 상면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상면 개구부(81)가 형성되고, 토출구 유닛(80)은 본체(2)의 개구면이나 상면 개구부(81)를 통해 승강 구동된다.
본체(2)에는 토출구 유닛(80)이 승강 안내되는 승강 가이드(82)가 설치된다.
토출구 유닛(80)은 전면에 공기 토출구(83)가 형성되고, 승강 가이드(82)에 승강 안내되면서 승강 가이드(82)의 상측 위치로 상승되어 공기 토출구(83)가 개방/노출되거나 승강 가이드(82)의 내부로 하강되어 승강 가이드(82)의 상면 즉, 본체(2)의 상면을 덮으면서 공기 토출구(83)가 밀폐/은닉된다.
여기서, 승강 가이드(82)는 캐비닛(20)과 상부 패널(52)의 사이 공간 중 상부 특히 열교환기(310)의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승강 가이드(82)에는 승강 가 이드(82)와 캐비닛(20) 사이의 틈 및 승강 가이드(82)와 상부 패널(50) 사이의 틈을 가리도록 소정 높이를 갖는 상부 장식부재(84)가 설치된다.
토출구 유닛(80)에는 토출구 유닛(80)에 설치된 각종 전기부품을 제어하는 토출구 유닛 제어부(510)가 설치되고, 이하 토출구 유닛 제어부(510)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체(2)에는 본체(2)에 설치된 전기부품 예를 들면, 송풍기의 팬 모터(76)와 후술하는 패널모터(161) 등을 제어하는 본체 제어부(86)가 설치된다.
본체 제어부(86)는 공기조화기의 외부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 공급 리드 와이어(87)가 연결되고, 프론트 패널(70)에 설치된 프론트 패널 제어부(74D) 및 토출구 유닛(80)에 설치된 토출구 유닛 제어부(510) 각각과 리드 와이어(88)(89)로 연결된다.
즉, 본체 제어부(86)는 프론트 패널 제어부(74D)와 프론트 패널 연결 리드 와이어(88)로 연결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프론트 패널 제어부(74D)를 통해 프론트 패널(70)에 설치된 각종 전기부품(74A)으로 공급되게 함과 제어하고, 토출구 유닛 제어부(510)와 토출구 유닛 연결 리드 와이어(89)로 연결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토출구 유닛 제어부(510)를 통해 토출구 유닛(80)에 설치된 각종 전기부품으로 공급되게 함과 아울러 제어한다.
또한, 본체(2)에는 공기 흡입부(4)(6)와 공기 토출부(8)(10) 중 적어도 하나를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를 안내하는 패널(90)(100)이 설치된다.
이하, 패널(90)(100)은 공기 흡입부(4)(6)와 공기 토출부(8)(10)를 동시에 함께 여닫음과 아울러 흡입 공기와 토출 공기 모두를 안내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패널(90)(100)은 좌측 공기 흡입부(4)와 좌측 공기 토출부(8)를 동시에 여닫고, 좌측 공기 흡입부(4)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며, 좌측 공기 토출부(8)를 통해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좌측 패널(90)과, 우측 공기 흡입부(6)와 우측 공기 토출부(10)를 동시에 여닫고, 우측 공기 흡입부(6)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며, 우측 공기 토출부(10)를 통해 토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우측 패널(10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체(2)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패널(90)을 구동시키는 좌측 패널 구동기구(159)와, 우측 패널을 구동시키는 우측 패널 구동기구(160)가 설치된다.
좌측 패널 구동기구(159)가 본체(2)의 좌측에 설치되고, 우측 패널 구동기구(160)가 본체(2)의 우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좌측 패널(90)과 우측 패널(100)은 전체적으로 좌,우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고, 좌측 패널 구동기구(159)와 우측 패널 구동기구(160)는 좌,우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패널 구동기구(160)로 칭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패널 구동기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패널 구동기구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패널 구동기구(16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패널(90)(100)에 연결된 구동 링크(164)와, 구동 링크(164)를 회전시키는 링크 회전수단을 포함한다.
링크 회전수단은 본체(2)에 설치된 패널모터(161)와, 패널모터(161)에 연결되어 패널모터(161)의 구동력을 구동 링크(164)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기구로 이루어진다.
동력 전달기구는 패널모터(161)에 연결된 구동 기어(162)와, 구동 기어(162)와 치합되고 구동 링크(164)에 형성된 종동 기어(163)를 포함한다.
패널모터(161)는 베이스(12)에 설치되는 바, 베이스(12)에는 패널모터(161)가 삽입되는 모터삽입부(13)가 형성된다.
패널모터(161)는 회전축(161a)이 베이스(12) 상면에 돌출되고, 몸체가 베이스(12)의 모터삽입부(13)에 매립식으로 삽입되게 장착되는 바, 모터삽입부(13)는 패널모터(161)의 몸체와 같은 형상이고 크기가 조금 크게 형성된 홈부로 이루어진다.
패널모터(161)는 본체 제어부(86)에 의해 제어되도록 본체 제어부(86)와 리드 와이어(161b)로 연결되고, 모터삽입부(13)의 주변 일측에는 패널모터(161)의 몸체에 연결된 리드 와이어(161b)가 위치되는 와이어 홈부(13a)가 형성된다.
구동 기어(162)는 패널모터(161)의 회전축(161a)에 회전 중심이 연결된다.
구동 링크(164)는 좌,우측 패널(90)(100)에 형성된 링크 연결부(139)에 연결되는 패널 연결부(166)와, 베이스(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종동 기어(163)가 형성되며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 연결부(167)와, 패널 연결부(166)와 회전 연결부(167) 사이에 형성된 절곡부(168)를 포함한다.
패널 연결부(166)에는 링크 연결부(139)에 형성된 체결보스(139a)와 대향되는 위치에 체결부재(139b)가 관통되는 체결공(166a)이 형성된다.
회전 연결부(167)는 본체(2)의 하부인 베이스(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동 링크(164) 및 좌,우측 패널(90)(100)의 회전 중심이 된다.
회전 연결부(167)는 패널(90)(100)의 열림시 패널(90)(100)이 후방으로 위치 이동되면서 회전되고, 패널(90)(100)의 닫힘시 패널(90)(100)이 전방으로 위치 이동되면서 회전될 수 있도록 본체(2)의 내측에 위치되게 배치된다.
구동 링크(164)와 베이스(12) 중 하나에는 회전축(164a)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회전축(164a)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16)가 형성된다.
회전축(164a)은 지지부(16)에 직접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도 가능하나, 그 사이에 마모를 최소화하는 별도의 보스(164b)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구동 링크(164)와 베이스(12) 중 어느 하나에는 회전축(164a)이 형성되고, 회전축(164a)에는 보스(164b)가 씌워지며, 구동 링크(164)와 베이스(12) 중 다른 하나에는 보스(164b)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16)가 형성된다.
여기서, 회전축(164a)은 구동 링크(164)의 절곡부(168) 중 후방측에서 하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구동 링크(164)의 회전 연결부(167)를 구성한다.
절곡부(168)는 회전 연결부(167)와 패널 연결부(166) 사이에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체(2)에는 구동 기어(162)와 종동 기어(163)를 덮어 구동 기어(162)와 종동 기어(163)를 보호하는 하우징(165)이 설치된다.
하우징(165)은 구동 기어(162)와 종동 기어(163)를 덮어 보호하는 일종의 기어 커버로서, 저면이 개방되고 상판부와 둘레부 중 둘레부의 일부에 구동 링크(164)가 통과되는 개구부(165a)가 개구 형성된다.
하우징(165)은 구동 링크(164)의 절곡부(168)가 개구부(165a)와 접촉되면서 통과되는 경우 구동 링크(164)의 회전을 안내하는 링크 가이드의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하우징(165)은 베이스(12)에 체결부재(165b)로 체결되는 바, 하우징(165)에는 체결부재(165c)가 관통되는 체결부(165c)가 형성되고, 베이스(12)에는 하우징(165)의 체결부(165c)를 관통한 체결부재(165b)가 체결되는 체결공(15)이 형성된다.
하우징(165)은 구동 링크(164)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경우 구동 링크(164)의 회전을 안내함과 아울러 구동 링크(164)의 임의 탈거를 막는 일종의 링크 홀더로 기능할 수 있는 바, 구동 링크(164)와 하우징(165) 중 하나에는 회전축(164c)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회전축(164c)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165d)가 형성된다.
회전축(164c)은 지지부(165d)에 직접 지지되는 것도 가능하나, 그 사이에 마 모를 최소화하는 별도의 보스(164d)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구동 링크(164)와 하우징(165) 중 어느 하나에는 회전축(164c)이 형성되고, 회전축(164c)에는 보스(164d)가 씌워지며, 구동 링크(164)와 하우징(165) 중 다른 하나에는 보스(164d)가 지지되는 지지부(165d)가 형성된다.
여기서, 회전축(164a)은 구동 링크(164)의 절곡부(168) 중 후방측에서 하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구동 링크(164)의 회전 연결부(167)를 구성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이 하강된 상태일 때의 일부 종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이 상승된 상태일 때의 일부 종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토출구 유닛의 정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
승강 가이드(82)는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 유닛(80)이 그 내부로 하강됨과 아울러 본체(2)의 상부로 송풍된 공기가 통과하도록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박스체로 이루어진다.
토출구 유닛(80)을 승강 동작시키는 승강기구(170)는 구동원과, 구동원에 연동되어 토출구 유닛(80)을 승강 동작시키는 동력 전달부로 이루어지는데, 구동원과 동력전달부는 일부가 토출구 유닛(80)에 설치되고 나머지가 본체(2)에 설치되고, 이하 토출구 유닛(80)과 승강 가이드(82)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승강기구(170)는 구동원이 승강모터(172)로 이루어지고, 동력 전달부가 승강모터(172)에 연결된 구동 기어(174)와, 구동 기어(174)가 치합된 종동 기어(176)로 이루어지며, 구동 기어(174)는 승강모터(172)의 회전축에 연결된 피니언으로 구성되고, 종동 기어(176)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랙으로 구성된다.
승강모터(172)는 토출구 유닛(80)의 좌,우 양측 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승강모터(172)의 각각에는 구동 기어(174)가 설치되며, 종동 기어(176)가 승강 가이드(82)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종동 기어(176)는 승강 가이드(82)의 내벽에 돌출되게 형성된 수용부(177)와, 수용부(172)에 슬라이딩 삽입되고 수용부(177)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며 구동 기어(174)가 치합되는 기어부(178)를 포함한다.
한편, 토출구 유닛(80)은 종동 기어(176)를 따라 안내되거나 종동 기어(176)가 회피되는 홈부(85)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하부에는 승강모터(172)를 덮는 모터 커버(87)가 결합된다.
토출구 유닛(80)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공기 토출구(83)가 형성된 토출구 바디(210)와, 토출구 바디(210) 내측에 설치된 베인 서포터(270)와, 베인 서포터(27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베인(220)(230)(240)(250)(300)과, 베인(220)(230)(240)(250)(300) 을 회전시키도록 베인(220)(230)(240)(250)(300)에 연결되고 토출구 바디(210) 또는 베인 서포터(270)에 설치된 베인 회전모터(260)(310)를 포함한다.
토출구 바디(210)는 본체(2)의 내측 상부로 송풍된 공기가 통과한 후 본체의 상측 전방으로 토출되게 하는 것으로서, 하면이 본체(2)의 내부와 통하게 개방되고, 전면에 공기 토출구(83)가 형성되며, 좌측면과 우측면과 후면과 상면이 막히게 형성된다.
즉, 토출구 바디(210)는 본체(2)의 내부에서 송풍된 공기가 밑에서 올라서 유동 방향이 전방 방향으로 꺽인 후 토출구 유닛(80)의 전방으로 토출되는 유로 구조를 가지는 바, 전체적으로 하면과 전면이 개방됨과 아울러 저면과 전면의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토출구 바디(210)는 밑에서 올라온 공기를 전방으로 유도하는 유로 가이드(211)가 그 내부의 후방측에 구비된다.
토출구 바디(210)는 본체(2)의 내측 특히, 승강 가이드(82)의 내부로 하강되었을 때, 본체(2)의 상면 특히, 승강 가이드(82)의 상면을 덮으면서 공기조화기의 상면부 외관을 형성된다.
토출구 바디(210)는 상부에 각종 모터나 피시비 등의 각종 전기부품이 설치되는 전장부(212)가 상면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전장부(212)의 상면을 덮으면서 공기조화기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 커버(213)가 설치된다.
여기서, 베인(220)(230)(240)(250)(300)은 베인 서포터(27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좌우 풍향조절 베인(220)(230)(240)(250)과, 베인 서포터(27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하 풍향조절 베인(300)을 포함한다.
그리고, 베인 회전모터(260)(310)는 토출구 바디(210)에 설치되고 좌우 풍향조절 베인(220)(230)(240)(250)을 회전시키는 좌우 풍향조절 베인모터(260)와, 베인 서포터(270)에 설치되고 상하 풍향조절 베인(300)을 회전시키는 상하 풍향조절 베인모터(310)을 포함한다.
좌우 풍향조절 베인(220)(230)(240)(250)은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되게 배치되어 토출구 바디(210)를 통과하는 공조 공기의 좌우 풍향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공조 공기를 좌우 확산시키도록 복수개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좌우 풍향조절 베인(220)(230)(240)(250)은 복수개 중 어느 하나(230)가 좌우 풍향조절 베인모터(260)에 의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나머지(220)(240)(250)가 좌우 풍향조절 베인모터(260)에 의해 회전 동작되는 좌우 풍향조절 베인(230)과 연동부재(264)로 연결되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하, 좌우 풍향조절 베인모터(260)에 의해 직접 회전되는 좌우 풍향조절 베인을 구동 풍향조절 베인(230)라 칭하고, 구동 풍향조절 베인(230)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다른 좌우 풍향 풍향조절 베인를 종동 풍향조절 베인(220)(240)(250)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구동 풍향조절 베인(230)은 상하 중 일측에 좌우 풍향조절 베인모터(260)에 연결되는 회전축(232)이 구비되고, 상하 중 타측에 서포터(27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234)이 구비된다.
그리고, 종동 풍향조절 베인(220)(240)(250)은 상측과 하측에 각각 회전축(222)(224)(242)(244)(252)(254)이 구비된다.
여기서, 연동부재(264)는 구동 풍향조절 베인(230)이 좌우 풍향조절 베인모 터(260)에 의해 회전될 때 종동 풍향조절 베인(220)(240)(250)이 구동 풍향조절 베인(230)과 함께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는 일종의 연결 링크이다.
상하 풍향조절 베인(300)은 좌우 풍향조절 베인와 같이 복수개의 풍향조절 베인이 구비됨과 아울러 복수개의 풍향조절 베인이 연동 부재에 의해 연동되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개의 상하 풍향조절부(301)(302)가 상하 이격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복수개의 상하 풍향조절부(301)(302)의 양측단에 좌,우측단부(303)(304)가 형성되어 복수개의 상하 풍향조절부(301)(302)와 좌,우 측단부(303)(304)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상하 풍향조절 베인(300)은 사용자 등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되는 것도 가능하고, 공기조화기 특히 토출구 유닛(80)에 설치된 상하 풍향조절 베인모터(310)에 의해 회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상하 풍향조절 베인모터(310)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하 풍향조절 베인(300)은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바, 좌,우 중 일측에 상하 풍향조절 베인모터(310)의 회전축이 연결되는 회전축(305)이 돌출되게 구비되고, 좌,우 중 타측에 토출구 바디(210)와 서포터(270)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306)이 돌출되게 구비된다.
좌우 풍향조절 베인모터(260)는 회전축(261)이 하부로 돌출되게 전장부(212)에 설치된다. 좌우 풍향조절 베인모터(260)는 전장부(212)에 형성된 체결공을 갖는 체결보스(214)에 체결부재(262)로 체결되는 체결부(263)가 형성되며, 전장부(212)에 형성된 회전축 관통홀(215)의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상하 풍향조절 베인모터(310)는 그 회전축(311)이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하 풍향조절 베인모터(310)는 서포터(210)에 형성된 체결부(282a)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312)로 체결되는 체결부(313)가 형성된다.
서포터(270)는 전면과 배면과 하면이 개방된 박스체로 이루어지고, 복수개 좌우 풍향조절 베인(220)(230)(240)(250)의 하부 회전축(224)(234)(244)(25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그(271)(272)(273)(274)가 복수개 형성된다.
서포터(270)는 토출구 바디(210)에 결합되는 결합부(280)를 포함한다. 결합부(280)는 좌,우로 길게 형성된 판체부로 이루어지고, 토출구 바디(210)의 전면 하부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 체결부(219)의 체결공(219a)과 대응되는 체결공(280a)이 형성됨과 아울러 체결부(219)의 체결공(219a)을 관통한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281)가 체결된다.
서포터(270)는 상하 풍향조절부재(300)에 돌출된 회전축(305)과 상하 풍향조절 베인모터(310)의 회전축(311) 중 적어도 하나가 관통되는 축 관통홀(285)이 형성되고, 상하 풍향조절부재(300)의 회전축(30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지지부(286)가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토출구 유닛(80)에 설치된 전기부품인 승강모터(172)와, 좌우 풍향조절 베인모터(260)와, 상하 풍향조절 베인모터(310) 등을 제어하는 토출구 유닛 제어부(510)를 더 포함한다.
토출구 유닛 제어부(510)는 토출구 유닛(80)에 설치되고 도 3 도시된 본체 제어부(86)와 리드 와이어(89)로 연결되고,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승강모터(172)와, 좌우 풍향조절 베인모터(260)와, 상하 풍향조절 베인모터(310) 등과 리드 와이어(173)(264)(314)로 연결된다.
토출구 유닛 제어부(510)는 복수개의 전장부품(512)이 실장된 회로기판(511)으로 이루어지고, 회로기판(511)은 본체 제어부(86)와 리드 와이어(89)로 연결되며, 승강모터(172)와, 좌우 풍향조절 베인모터(260)와, 상하 풍향조절 베인모터(310) 등과 리드 와이어(173)(264)(314)로 연결된다.
회로기판(511)은 토출구 유닛(80) 특히 토출구 바디(210)의 에어 가이드(211) 후방에 형성된 기판 수용부(520)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여기서, 기판 수용부(520)는 에어 가이드(211)와 토출구 바디(210)의 후판부 사이 위치되고 상면이 개구되게 형성된 공간부로 이루어지고, 탑 커버(213)에 의해 덮혀 진다.
즉, 탑 커버(213)는 전방부가 토출구 바디(210)의 상부 전방에 형성된 전장부(212)를 덮고, 후방부가 토출구 바디(210)의 후방에 형성된 기판 수용부(520)를 덮는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 등이 조작부(74C)를 조작하면, 프론트 패널 제어부(74D)는 조작부(74C)의 신호를 받아들이고, 그에 따라 본체 제어부(86)로 신호를 출력한다.
본체 제어부(86)는 프론트 패널 제어부(74D)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사용자 등의 조작을 판단하고, 그에 따라 본체(2)와 프론트 패널(70)과 토출구 유닛(80)을 제어한다.
본체 제어부(86)는 냉방 운전 등의 공조 운전이 조작되면, 팬모터(76)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패널 구동기구(159)(160)의 패널모터(161)를 개방 모드로 구동시키고, 토출구 유닛(80)에 설치된 토출구 유닛 제어부(510)로 공조 운전의 신호를 출력한다.
패널모터(161)의 개방 모드시, 좌측 패널(90)과 우측 패널(100)은 회전되어 공기 흡입부(4)(6)와 공기 토출부(8)(10)를 개방한다.
그리고, 토출구 유닛 제어부(510)는 본체 제어부(86)의 신호를 받아들여 토출구 유닛(80)에 설치된 각종 전기부품(172)(260)(310)을 작동시킨다.
이하, 통상적인 냉방 운전 등의 공조 운전시, 토출구 유닛 제어부(510)는 승강모터(172)를 상승모드로 구동시키는 것으로 설명한다.
승강 모터(172)가 상승모드로 구동되면, 토출구 유닛(80)은 구동 기어(174)가 종동 기어(176)를 따라 상승되고, 이때, 승강모터(172)와 토출구 유닛(80)은 승강 가이드(82)의 안내를 받으면서 그 상측으로 상승되며, 토출구 유닛(80)은 공기 토출구(83)가 본체(2) 특히 승강 가이드(82)의 상측 전방으로 노출된다.
상기와 같은 토출구 유닛(80)의 상승시 본체(2)의 내부에서 송풍팬(77)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토출구 유닛(80)을 통과하여 그 공기 토출구(83) 전방으로 토출되고, 토출구 유닛(80)을 통과한 토출 공기는 프론트 패널(70)의 위를 지난다.
한편, 본체 제어부(86)는 조작부(74C)를 통해 조작된 토출 모드에 따라 좌우 풍향조절 베인모터(260)와 상하 풍향조절 베인모터(310)가 구동되도록 토출구 유닛 제어부(510)로 신호를 출력하고, 토출구 유닛 제어부(510)는 출력된 신호에 따라 좌우 풍향조절 베인모터(260)와 상하 풍향조절 베인모터(310)를 구동시킨다.
예를 들어, 조작부(74C)를 통해 쾌속 모드가 조작된 경우, 토출구 유닛 제어부(510)는 토출구 유닛(80)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주변으로 신속하게 퍼지도록 좌우 풍향조절 베인모터(260)와 상하 풍향조절 베인모터(310)를 스윙 모드로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스윙 모드시, 좌우 풍향조절 베인(220)(230)(240)(250)은 좌우 왕복 회전되면서, 토출 공기를 좌우 확산시키고, 상하 풍향조절 베인(300)은 상하 왕복 회전되면서, 토출 공기를 상하 확산시키며, 토출된 공기는 토출구 유닛(80)의 전방 상,하,좌,우로 확산되면서 공기조화기의 상부 전방을 신속하게 공조시킨다.
반면에, 조작부(74C)를 통해 원거리 토출 모드(즉, 롱 파워 모드)가 조작된 경우, 토출구 유닛 제어부(510)는 토출구 유닛(80)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공기조화기와 먼거리까지 도달되도록 상하 풍향조절 베인모터(310)를 상향 경사 토출모드로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상향 경사 토출모드시, 상하 풍향조절 베인(300)은 상향 경사지게 회전된 후 고정되고, 토출된 공기는 토출구 유닛(80)의 전방 상측 방향으로 토출되어 공기조화기와 먼거리까지 도달된다.
또한, 조작부(74C)를 통해 근거리 토출 모드(즉, 전면 파워 모드)가 조작된 경우, 토출구 유닛 제어부(510)는 토출구 유닛(80)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전방 근거리에 집중 토출되도록 상하 풍향조절 베인모터(310)를 하향 경사 토출모드로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하향 경사 토출모드시, 상하 풍향조절 베인(300)은 하향 경사지게 회전된 후 고정되고, 토출된 공기는 토출구 유닛(80)의 전방 하측 방향으로 집중 토출되어 공기조화기의 전방 근접한 영역, 즉, 프론트 패널(70)의 전방 근처를 공조시킨다.
한편, 본체 제어부(510)는 상기와 같은 공조 운전시, 프론트 패널 제어부(74D)로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보를 출력하고, 프론트 패널 제어부(74D)는 본체 제어부(510)의 출력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74A)을 제어한다. 디스플레이 모듈(74A)은 공기조화기의 각종 운전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본체 제어부(86)는 조작부(500)를 통해 운전 정지가 조작되면, 팬모터(76)를 정지시킴과 아울러 패널 구동기구(159)(160)의 패널모터(161)를 밀폐 모드로 구동하고, 토출구 유닛(80)에 설치된 토출구 유닛 제어부(510)로 운전 정지의 신호를 출력한다.
패널모터(161)의 밀폐 모드시, 좌측 패널(90)과 우측 패널(100)은 패널모터(161)의 개방 모드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공기 흡입부(4)(6)와 공기 토출부(8)(10)를 닫는다.
그리고, 토출구 유닛 제어부(510)는 본체 제어부(86)의 신호를 받아들여 토출구 유닛(80)에 설치된 각종 전기부품(172)(260)(310)을 정지시킨다.
이하, 운전 정지시, 토출구 유닛 제어부(510)는 승강모터(172)를 하강모드로 구동시키는 것으로 설명한다.
승강 모터(172)가 하강모드로 구동되면, 토출구 유닛(80)은 구동 기어(174)가 종동 기어(176)를 따라 하강되고, 이때, 승강 모터(172)와 토출구 유닛(80)은 승강 가이드(82)의 안내를 받으면서 승강 가이드(82)의 내측으로 하강되며, 토출구 유닛(80)은 공기 토출구(83)가 본체(2) 특히 승강 가이드(82)의 후방에 위치되어 본체(2) 내부에 감춰진다.
그리고, 토출구 유닛 제어부(510)는 좌우 풍향조절 베인모터(260)와 상하 풍향조절 베인모터(310)를 초기 셋팅 위치로 구동시킨다.
한편, 본체 제어부(510)는 상기와 같은 운전 정지시, 프론트 패널 제어부(74D)로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지를 출력하고, 프론트 패널 제어부(74D)는 본체 제어부(510)의 출력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74A)을 오프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운전 정지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운전시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운전시 정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제어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2)의 좌측 상부에 형성된 좌측 공기 토출부(8)를 여닫고 열림시 좌측 공기 토출부(8)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좌측 상부 패널(600)과, 좌측 상부 패널(600)을 회전시키는 좌측 상부 패널 구동기구와, 본체(2)의 우측 상부에 형성된 우측 공기 토출구(10)를 여닫고 열림시 우측 공기 토출구(10)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우측 상부 패널(610)과, 우측 상부 패널(610)을 회전시키는 우측 상부 패널구동기구를 포함한다.
좌측 상부 패널 구동기구는 좌측 상부 패널(600)에 수직하게 형성된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본체(2)의 좌측 상부에 설치된 좌측 상부모터(602)이다.
그리고, 우측 상부 패널 구동기구는 우측 상부 패널(610)에 수직하게 형성된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본체(2)의 우측 상부에 설치된 우측 상부모터(612)이다.
그리고, 본체(2)의 좌측 하부에 형성된 좌측 공기 흡입부(4)를 여닫고 열림시 좌측 공기 흡입부(4)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좌측 하부 패널(620)과, 좌측 하부 패널(620)을 회전시키는 좌측 하부 패널 구동기구와, 본체(2)의 우측 하부에 형성된 우측 공기 흡입부(6)를 여닫고 열림시 우측 공기 흡입부(6)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우측 하부 패널(630)과, 우측 하부 패널(630)을 회전시키는 우측 하부 패널 구동기구를 포함한다.
좌측 하부 패널 구동기구는 좌측 하부 패널(620)에 수직하게 형성된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본체(2)의 좌측 하부에 설치된 좌측 하부모터(622)이다.
그리고, 우측 상부 패널 구동기구는 우측 하부 패널(610)에 수직하게 형성된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본체(2)의 우측 하부에 설치된 우측 하부모터(632)이다.
그리고, 본체(2)에 설치된 본체 제어부(86)는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 등의 공조 운전시, 좌측 상부모터(602)와 우측 상부모터(612)와 좌측 하부모터(622)와 우측 상부모터(632)를 개방 모드로 제어하고, 운전 정지시 좌측 상부모터(602)와 우측 상부모터(612)와 좌측 하부모터(622)와 우측 상부모터(632)를 밀폐 모드로 제어하며, 기타의 구성은 본 발명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운전 정지일 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운전 중일 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하부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상부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패널 구동기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패널 구동기구가 도시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이 하강된 상태일 때의 일부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이 상승된 상태일 때의 일부 종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토출구 유닛의 정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운전 정지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운전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운전시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베이스 4: 좌측 공기 흡입부
6: 우측 공기 흡입부 8: 좌측 공기 토출부
10: 우측 공기 토출부 12: 베이스
20: 캐비닛 30: 좌측 하부 패널
40: 우측 하부 패널 50: 상부 패널
60: 전면 커버 70: 프론트 패널
74: 디스플레이 74A: 디스플레이 모듈
74C: 조작부 74D: 프론트 패널 제어부
80: 토출구 유닛 86: 본체 제어부
87,88,89: 리드 와이어 172: 승강 모터
173: 리드 와이어 210: 토출구 바디
220,230,240,250: 좌우 풍향조절 베인
260: 좌우 풍향조절 베인모터 264: 리드 와이어
300: 상하 풍향조절 베인 310: 상하 풍향조절 베인모터
314: 리드 와이어 510: 토출구 유닛 제어부
511: 회로 기판 512: 전장부품

Claims (7)

  1. 공기 흡입부 및 공기 토출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열교환기 및 송풍기가 설치되며, 상면에 상면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회전되거나 직선 이동되게 배치된 프론트 패널과;
    상기 상면 개구부를 통해 직선 승강되도록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전면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구 유닛과;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된 전기부품을 제어하는 프론트 패널 제어부와;
    상기 토출구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 유닛에 설치된 전기부품을 제어하는 토출구 유닛 제어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에 설치된 전기부품을 제어하는 본체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제어부는 상기 프론트 패널 제어부 및 토출구 유닛 제어부와 리드 와이어로 각각 연결된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 유닛은, 전면에 상기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하면이 개방되며, 좌측면과 우측면과 후면과 상면이 막힌 토출구 바디와,
    상기 토출구 바디 내측에 설치된 베인 서포터와,
    상기 베인 서포터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 유닛에 설치된 전기부품은 상기 베인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베인에 연결되고 상기 토출구 바디 또는 베인 서포터에 설치된 베인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상기 베인 서포터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좌우 풍향조절 베인과, 상기 베인 서포터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하 풍향조절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베인 회전모터는 상기 토출구 바디에 설치되고 상기 좌우 풍향조절 베 인을 회전시키는 좌우 풍향조절 베인모터와, 상기 베인 서포터에 설치되고 상기 좌우 풍향조절 베인을 회전시키는 상하 풍향조절 베인모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패널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와, 상기 프론트 커버의 후방에 배치된 리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설치된 전기부품은 상기 리어 프레임에 설치되고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좌,우 양측 하부에 상기 공기 흡입부가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좌,우 양측 상부에 상기 공기 토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좌측 하부에 형성된 공기 흡입부와 상기 본체의 좌측 상부에 형성된 공기 토출부를 함께 여닫는 좌측 패널과,
    상기 본체의 우측 하부에 형성된 공기 흡입부와 상기 본체의 우측 상부에 형성된 공기 토출부를 함께 여닫는 우측 패널과;
    상기 좌측 패널을 구동시키는 좌측 패널 구동기구와,
    상기 우측 패널을 구동시키는 우측 패널 구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패널 구동기구와 우측 패널 구동기구는 상기 좌측 패널 또는 우측 패널에 연결되고 종동 기어가 형성된 구동 링크와, 상기 종동 기어와 치합된 구동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 설치된 전기부품은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시키게 상기 본체에 설치된 패널모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6. 삭제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제어부에는 공기조화기의 외부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 공급 리드 와이어가 연결되는 공기조화기.
KR1020080023958A 2008-03-14 2008-03-14 공기조화기 KR100909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958A KR100909244B1 (ko) 2008-03-14 2008-03-14 공기조화기
CN200810098381A CN101532704A (zh) 2008-03-14 2008-05-30 空调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958A KR100909244B1 (ko) 2008-03-14 2008-03-14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9244B1 true KR100909244B1 (ko) 2009-07-27

Family

ID=41103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958A KR100909244B1 (ko) 2008-03-14 2008-03-14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09244B1 (ko)
CN (1) CN1015327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2358A (ko) * 2009-07-30 201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CN103712323A (zh) * 2012-09-28 2014-04-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327B1 (ko) * 2009-10-08 2016-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KR101318354B1 (ko) * 2011-10-21 2013-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2889670B (zh) * 2011-10-21 2014-04-02 Lg电子株式会社 空气调节器
US20220088519A1 (en) 2019-01-28 2022-03-24 Blueair Ab Air purifier
KR20220080898A (ko) * 2020-12-08 2022-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창문형 공기관리장치
KR20220080902A (ko) * 2020-12-08 2022-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창문형 공기관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9909B1 (ko) * 1995-12-14 1999-05-01 김광호 공기조화기
KR20070082234A (ko) * 2006-02-15 2007-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9909B1 (ko) * 1995-12-14 1999-05-01 김광호 공기조화기
KR20070082234A (ko) * 2006-02-15 2007-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2358A (ko) * 2009-07-30 201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KR101672211B1 (ko) * 2009-07-30 2016-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CN103712323A (zh) * 2012-09-28 2014-04-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
CN103712323B (zh) * 2012-09-28 2016-08-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32704A (zh) 200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9244B1 (ko) 공기조화기
KR101403002B1 (ko) 공기조화기
KR10148753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43232A (ko) 공기조화기
KR101507163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100073626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318354B1 (ko) 공기조화기
KR2010002535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KR101345265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93600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20100049984A (ko) 공기조화기
KR20090043234A (ko) 공기조화기
KR10156655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611313B1 (ko) 공기조화기
KR101482126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42524A (ko) 공기조화기
KR10094761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909243B1 (ko) 공기조화기
KR101507442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44258A (ko) 공기조화기
KR20080027810A (ko) 공기조화기
KR20100086314A (ko) 공기조화기
KR20080027679A (ko) 공기조화기
KR20090047225A (ko) 공기조화기
KR10158224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