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4414B1 - 직접 분사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장용구 - Google Patents

직접 분사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장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4414B1
KR100904414B1 KR1020070082846A KR20070082846A KR100904414B1 KR 100904414 B1 KR100904414 B1 KR 100904414B1 KR 1020070082846 A KR1020070082846 A KR 1020070082846A KR 20070082846 A KR20070082846 A KR 20070082846A KR 100904414 B1 KR100904414 B1 KR 100904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mpression
storage container
push rod
contents
direct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8413A (ko
Inventor
정규선
Original Assignee
정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규선 filed Critical 정규선
Priority to KR1020070082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4414B1/ko
Publication of KR20090018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5Piston or plunger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7Spray nozzles; Generating atomised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이 저장되도록 일방으로 바닥부(11)가 구비된 통 형상의 저장용기(10)와, 상기 저장용기의 바닥부에 형성된 관통공(12)을 통해 바닥부의 하부에서 분리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는 공기 압축관(20)과, 상기 공기 압축관의 하부에 설치되어 공기 압축실(21)을 통해 저장용기(10)의 내용물이 임의적으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결부(31)가 구비된 밸브기구(30)와, 상기 저장용기의 타방으로 탄력 설치된 버튼(41)의 가압 조작에 따라 발생되는 압축 공기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밸브기구(30)의 절결부(31)를 강제로 개방시키고 이를 통해 정량의 내용물을 직접 분사 공급하기 위한 분사기구(40)와, 상기 저장용기(10)의 밸브기구(30) 하부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토출기구(50)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버튼(41)의 가압 조작시마다 저장용기의 내용물을 하강 이동하면서 바닥부(11)로 압축시키기 위한 피스톤 형태의 압축부재(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직접 분사식 분배기와, 상기 토출기구(50)에 화장솔이나 퍼프, 스폰지 등의 도포부재(70)를 구비한 직접 분사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장용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화장용구, 직접 분사식, 분배기, 공기 압축

Description

직접 분사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장용구{DIRECTION JET-TYPE DISPENSER THAT USE AIR PRESSURE AND MAKE-UP TOOL THAT USE THIS}
본 발명은 밸브기구에 의해 차단되고 있는 용기 내의 각종 내용물, 예를 들어 파우더 타입이나 액상 타입의 각종 화장품, 또는 각종 유동체 물질 등(이하, 내용물이라 한다)을 압축 공기압력에 의해 직접 토출기구로 신속하게 분사 공급되게 함과 동시에 분사된 량 만큼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압축되어 지도록 하여 내용물의 전량 배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직접 분사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장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우더나 액상 등의 내용물을 분배하는 분배기는 이미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 알려진 분배기는, 내용물이 압축 공기압에 의해 간접적으로 분배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내용물의 종류에 따른 그 분사 공급이 신속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또한, 압축 공기의 압력이 내용물에 간접적으로 전달되어 분사되는 간접 분사 방식의 구조이기 때문에 그만큼 분사 구조가 복잡하게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는 조립 구조상의 한계가 있다. 이러한 분사 구조의 복잡성은 제품의 제작 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될 수밖에 없고, 또 작업성 및 생산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또한, 종래 알려진 분배기는 구조상, 특정의 내용물에 국한되어 사용되어 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하나의 분배기를 이용하여서는 다양한 성상의 내용물을 수용하여 분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예컨대, 파우더를 분배하는 분배 구조에 유동체인 액상의 내용물을 담아 분배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 분배기의 구조에 의하면 부득이 내용물의 종류에 따른 분배기를 각각 갖추어야되기 때문에 매우 비효율적이고, 또 비경제적이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분배기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2-79214호나,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19277호, 또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74588호를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종래 알려진 분배기에 있어서, 특히 액상의 내용물을 용기로부터 토출시켜 사용하는 분배 구조의 경우, 용기로부터 내용물이 용기의 일 방으로 구비된 가압펌프 방향으로 거꾸로 펌핑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 역시 내용물의 펌핑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또 내용물을 밀어 올리거나 압축시키기 위한 피스톤 구조나 인출 호스 등의 구조가 요구되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펌핑 구조 역시 전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분배 구조가 매우 복잡해 지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분배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용물 분사에 따른 공기 압축 구조를 달리하면서도 압축 공기압력에 의해 용기 내의 내용물을 차단하고 있는 밸브기구가 강제로 개방 조작되면서 내용물이 공기 압축력에 의해 토출기구로 직접 정량씩 분사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 내용물 압축부재의 하강 이동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내용물 만큼 압축되어지기 때문에 내용물의 전량 토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직접 분사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장용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분배기는 토출기구를 내용물의 사용 목적이나 용도에 알맞도록 설계하고, 또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용도와 기능의 제품에 적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이용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토출기구로 화장솔 형태나 퍼프와 같은 도포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한 손으로 용기를 잡고 일방으로 구비된 가압버튼을 가압 조작하는 것에 의해 용기 내의 내용물이 정량씩 도포부재로 공급됨에 따라 화장을 보다 용이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또 휴대 보관이 용이하게 되는 화장용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목적은, 내용물이 저장되도록 일방으로 바닥부가 구비된 통 형상의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의 바닥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고 내부로는 공기 압축실이 구비되는 공기 압축관과; 상기 공기 압축관의 하부에 구비되고 이를 통해 저장용기의 내용물이 임의적으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결부가 구비된 밸브기구와; 상기 저장용기의 타방으로 탄력 설치된 버튼의 가압 조작에 따라 승강 조작되는 푸시로드에 의해 상기 공기 압축관의 내부에 압축 공기압력을 발생 및 해제시킴과 동시에 상기 밸브기구의 절결부를 강제로 개폐 조작시켜 공기 압축실 내로 유입되는 정량의 내용물을 직접 분사 공급하기 위한 분사기구와; 상기 저장용기의 밸브기구 하부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토출기구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버튼의 가압 조작시마다 하부로 이동되면서 내용물을 저장용기의 바닥부로 압축하기 위한 압축부재; 를 더 포함하는 직접 분사식 분배기에 의해 충분히 달성된다.
또한, 상기한 분배기의 구성에 더하여 토출기구로 화장에 필요한 화장솔이나, 퍼프, 스폰지 등의 도포부재를 구비하여 버튼의 가압 조작을 통해 발생되는 공기 압축력에 의해 직접 저장용기의 내용물을 상기 저장용기의 토출기구를 통해 도포부재로 분사 공급시키면서 화장할 수 있는 직접 분사식 분배기를 이용한 화장용구에 의해 충분히 달성된다.
본 발명은 버튼의 가압 조작에 따라 발생되는 압축 공기 압력을 이용하여 밸브기구를 강제로 개방함과 동시에 저장용기로부터 내용물을 직접 토출기구로 신속하게 분사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은 외력의 작용시에만 강제로 개방되는 밸브기구 구조에 의해 임의적인 토출이 방지됨에 따라 취급이나 휴대 사용에 따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 공기압의 압력에 의해 내용물을 직접 토출기구로 분사 공급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내용물의 분사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고, 또 공기 압축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량 만큼만 토출됨에 따라 버튼의 1회 조작에 따른 정량 공급이 가능하게 되어 내용물의 과도한 분사 공급에 따른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분배기구를 구성하는 각 구성 부품이 분해 조립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성 요소의 분리 교체 등 유지 관리가 매우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푸시로드나 안내 이송관을 따라 이동자재 되는 압축부재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기구로 토출시마다 저자용기의 바닥부로 압축되기 때문에 잔량 없이 모두 토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안내 이송관으로 구비된 블레이드에 의해 승강 조작시 푸시로드의 외주면으로 달라 붙게되는 내용물의 분리 제거가 용이하게 되는 이점도 아울러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분배기가 전체적으로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를 한 손으로 잡고 버튼을 가압하면서 저장용기의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용이하게 되는 구조적인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분배기가 통 구조이기 때문에 부피가 현저하게 줄어 취급 및 휴대 사용이 매우 간편 용이하게 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토출기구로 화장솔이나 퍼프, 스폰지 등과 같은 도포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위에서 열거된 각종 이점은 물론 사용자가 한손으로 버튼을 가압하여 내용물을 도포기구로 토출시키면서 도포부재를 이용하여 화장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직접 압력 방식의 분배기(1) 및 이를 이용한 화장용구(100)는 도 1 내지 도 3에 잘 나타나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분배기(1)는, 내용물이 저장되도록 일방으로 바닥부(11)가 구비된 저장용기(10)와, 상기 저장용기의 바닥부에 형성된 관통공(12)을 통해 바닥부의 하부에서 분리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는 공기 압축관(20)과, 상기 공기 압축관의 하부에 설치되어 공기 압축실(21)을 통해 저장용기(10)의 내용물이 임의적으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결부(31)가 구비된 밸브기구(30)와, 상기 저장용기의 타방으로 탄력 설치된 버튼(41)의 가압 조작에 따라 발생되는 압축 공기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밸브기구(30)의 절결부(31)를 강제로 개방시키고 이를 통해 정량의 내용물을 직접 분사 공급하기 위한 분사기구(40)와, 상기 저장용기(10)의 밸브기구(30) 하부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토출기구(50)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버튼(41)의 가압 조작시마다 토출되는 내용물을 량 만큼 하부로 하강 이동하면서 저장용기(10)의 내용물을 바닥부(11) 방향으로 압축시키기 위한 피스톤 형태의 압축부재(6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
저장용기(10)는 내용물의 수용 저장이 가능하도록 바닥부(11)가 형성된 타방이 개방된 통 형상으로 사출 성형되어 진다. 이때 저장용기는 투명체로 제작되어 내용물을 유관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바닥부(11) 의 내주면은 중앙으로 형성되는 관통공(12)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하여 내용물이 잘 모여지도록 유도하여 토출 작업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이 좋다.
저장용기(10)에 저장되는 내용물은 특정의 성상(性狀)에 한정되지 않고, 공기 압축력에 의해 토출 가능한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될 필요는 없다. 바람직하게는 화장분(face powder)이나, 분말(粉末), 화장수(化粧水), 액상(液狀), 겔상은 물론 각종 유동체(流動體) 물질 등 고형체를 제외한 각종 성상의 내용물이 다양하게 수용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저장용기(10)의 바닥부(11)로 형성된 관통공(12)으로는 공기 압축관(20)이 설치되어 지는바, 그 상단이 저장용기(10)의 내부로 살짝 돌출되는 상태로 관통 설치하여 분사기구(40)의 조작에 따른 탄성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단 내주면은 내측으로 좁아지는 형태의 경사 유도면(22)으로 형성하고, 이 경사 유도면(22)과 연이어지도록 밀봉부(23)가 내측으로 턱지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밀봉부(23)는 결과적으로 공기 압축실(21)의 내주면 직경보다 적은 직경을 갖게 된다.
상기 공기 압축관(20)의 공기 압축실(21)을 차단하기 위한 밸브기구(30)는 절결부(31)의 탄성 조작이 용이하도록 합성고무나 실리콘 등의 연질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밸브기구는 도면상 1단으로 구성된 예를 도시한 것이나, 필요한 경우 2단 이상의 복수 층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저장용기(10)의 내용물이 토출되어지는 절결부(31)는, 항상 닫혀 있다가 외 력의 작용시에만 강제로 개방 조작되도록 절결되어 있다(도 3 확대 도면 참조). 이러한 절결부(31)의 절결 형태는 특정의 형태에 구애될 필요는 없고, 내용물의 차단 및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형태라면 다양한 절결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절결(切結)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공기 압축관(20)의 공기 압축실(21) 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분사기구(40)에 의해 강한 공기 압력으로 압축되어지고, 그 압축 한계를 넘는 경우, 그 하단으로 구비되는 밸브기구(30)의 절결부(31)를 강제로 개방 조작하게 된다.
분사기구(40)는 저장용기(10)의 타방으로 일부가 노출되게 구비되는 버튼(41)을 포함한다. 이 버튼(41)은 저장용기(10)의 타방 단부, 예컨대 개방단부를 밀폐 차단하기 위하여 지지캡(42)으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는 밀폐체(43)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44)에 의해 가압 조작이 가능하도록 탄력 설치되어 진다. 상기 버튼(41)으로는 동 축상으로 상기 밀폐체(43)에 관통 지지되는 푸시로드(45)의 일단이 공기 압축관(20)의 내부로 직접 진입 조작되면서 공기를 압축시킬 수 있도록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고, 타단부는 공기 압축관(20)의 경사 유도면(22) 과의 사이에 내용물의 유입을 위한 틈새가 형성되도록 약간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진다. 이때 푸시로드(45)는 밀봉부(23)에 대해 긴밀(緊密)하게 접촉되도록하여 공기 압축실(21) 내에서의 공기 압축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버튼(41)의 가압 조작에 따라 푸시로드(45)가 경사 유도면(22)에 일차 안내되면서 밀봉부(23)와 강제로 긴밀하게 접촉 하면서 하강되는 것에 의해 밸브기구(30)에 의해 차단되고 있던 공기 압축실(21) 내의 유입 공기는 외부로 배출이 방지됨에 따라 강한 압축력을 가지게 되고, 그 압축력의 한계점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압축 공기의 압력은 부득이 밸브기구(30)의 절결부(31)를 강제로 개방 조작하게 되면서 개방되는 절결부(31)와의 사이로 구비되는 각 개방 공간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어 지고, 또 상기한 토출 압력에 의해 공기 압축실(21)로 유입되는 내용물 역시 동시에 외부로 직접 토출 분사되어 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푸시로드(45)의 공기 압축 작용시, 공기 압축관(20)의 상단은, 예를 들어 푸시로드(45) 보다 직경이 적은 상태로 공기 압축관(20)의 내주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밀봉부(23)를 기준으로 그 상부는 탄성 조작되어 진다.
상기 공기 압축관(20) 및 이의 하부로 장치되는 밸브기구(30)는 저장용기(10)의 일방 하단으로 결합되는 토출기구(50)의 조립에 의해 단단히 밀폐 결합되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기구(50)를 저장용기(10)에 상호 조립하는 것에 의해 바닥부(11)의 하부에 대해 단단히 밀착되어 진다. 물론 이와는 반대로 토출기구(50)를 분해하면, 이들 역시 분해가 가능하게 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분사기구(40)의 지지캡(42)이나 토출기구(50)는 저장용기(10)에 대해 나사 체결 방식으로 분해 조립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결합 방식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언더컷 조립방식 등 다양한 조립 설계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토출기구(50)는 밸브기구(30)의 절결부 하단으로 토출구(52)가 위치되도록 고정 지지하는 홀더(51)를 포함한다. 상기한 토출구(52)와 홀더(51)는 일체로, 또는 별도로 분리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토출구(52)의 형태 역시 내용물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의 설계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저장용기(10)의 내부에는 토출되는 내용물의 량에 비례하여 공기 유입공(61)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면서 압축하기 위한 피스톤 형태의 압축부재(60)가 구비되어 있는바, 이는 그 외주면이 저장용기(10)의 내주 벽면에 밀착되어 지도록 푸시로드(45)를 따라 이동자재 되도록 구비되고, 공기 압축실(21)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의 토출 압력에 의해 하강 이동되어 짐과 동시에 압축부재(60)의 후방부와 밀폐체(43)와의 사이로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의한 내부 압력이 상호 작용되어 후방으로의 역 이동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분배기는 도 3과 같이, 버튼(41)의 가압 조작시 마다 푸시로드(45)에 의해 공기 압축관(20)의 공기 압축실(21) 내에서 이루어지는 공기 압축 및 해제 작용에 의해 공기 압축관(20)의 공기 압축실(21)로 유입되는 정량의 내용물이 압축 공기의 압력에 의해 강제로 개방 또는 차단되는 밸브기구(30)의 절결부(31)로 구비되는 각 개방공간을 통해 토출기구(50)로 직접 토출 분사되어 지는 것이며, 이와 동시에 저장용기(10)의 내용물은 압축부재(60)에 의해 동시에 압축되어 지는 일련의 동작을 통해 연속 또는 간헐적인 내용물의 토출 분사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내용물의 토출 조작 과정에서 저장용기(10)의 내용물은 공기 압축실(21) 내로 유입되는 량만이 토출기구(50)로 토출 분사되기 때문에 정량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공기 압축실(21)내로는 버튼(41)의 가압 및 해제 조작시 밸브기구(30)의 절결부(31)를 통해 외기의 유입이 이루어지게 되어 공기 압축 작용에 의해 저장용기(10)의 내부가 진공상태로 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한 내용물의 토출량에 맞추어 저장용기(10)의 내용물이 압축부재(60)에 의해 바닥부(11)로 압축되어지기 때문에 전량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을 다시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화장용구(100)에 대하여 설명하면, 화장용구는, 상기 분배기(1) 구조를 그대로 채용하면서 토출기구(50)의 하단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 관(53)으로 화장을 위한 도포부재(70)가 구비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도포부재(70)는 화장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화장솔이나 퍼프, 스폰지 등으로 다양하게 구비되어 질 수 있다.
그리고, 도포부재(70)가 화장솔인 경우, 이를 보호하기 위해 본 발명의 경우, 저장용기(1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관(72)을 구비하였고, 또 이 슬라이드관(72)으로는 보호캡(74)이 커버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도포부재(70)는 상기 슬라이드관(72)의 하부로 이동시키면 내측으로 모아져 보호캡(74)의 결합이 용이하게 되고, 상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보호캡(74)을 제거하면 화장이 가능한 상태로 노출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화장용구(100)는, 분사기구(40)의 버튼(41) 조작에 따라 공기 압축관(20)의 공기 압축실(21) 내에서 발생되는 압축 공기압력에 의해 밸브기구(30)의 절결부(31)가 강제로 개방 또는 폐쇄되어 지고, 또 이러한 동작을 통해 공기 압축실(21) 내로 유입되는 내용물이 공기 압축력에 의해 개방 조작되는 절결부(31)와의 사이 각 개방공간을 통해 토출기구(50)를 경유하여 도포부재(70)로 직접 토출 분사되어 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일련의 토출 동작들을 통해 저장용기(10)의 내용물을 정량씩 도포부재(70)로 토출시키면서 화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특히 저장용기(10)가 통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분배기(1)의 구조상, 사용자는 한 손으로 저장용기(10)를 잡은 상태에서 버튼(41)의 가압 조작을 통해 내용물의 토출 및 도포부재(70)를 이용한 화장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 및 도 3에서 미설명부호 80은 저장용기(10)의 개방 단에 대해 지지캡(42)으로 결합되는 밀폐체(43)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판상의 패킹체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압축관(20)은 도 1 및 도 3과는 달리 저장용기(10)의 바닥부(11)에 대해 거꾸로 뒤집어 지게 일체로 형성하여 푸시로드(45)에 의한 공기 압축 작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공기 압축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 실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압축관(20a)은 푸시로드(45)의 승강 조작에 따라 자체적으로 신축자재(伸縮自在) 되면서 공기 압축실(21)내의 공기를 압축시킬 수 있도록 주름관, 예컨대 벨로우즈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주름관 형태의 공기 압축관(20a)은 푸시로드(45)의 하강시에는 압축되면서 공기 압축실(21) 내의 공기를 압축시키게 됨과 동시에 그 하부로 구비된 밸브기구(30)의 절결부(31)가 압축 공기의 압력에 의해 강제로 개방 조작되게 하고, 또 상승시에는 신장(伸張)되면서 내부의 공기 압축력을 해제하여 상기 절결부(31)가 다시 폐쇄되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주름관 형태의 공기 압축관(20a)을 이용하여 공기를 압축하는 경우, 푸시로드(45)가 공기 압축실(21) 내로 직접 진입되는 구조가 아니라, 그 상부면을 간접적으로 가압 조작하는 구조로서, 이 경우 푸시로드(45)는 공기 압축 작용 전에는, 더욱 구체적으로 버튼(41)의 가압 전에는 내용물 유입공(24)으로부터 약간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저장용기(10)로부터 내용물의 유입이 가능하게 되고, 버튼(41)을 가압하면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 압축실(21) 내의 내용물은, 버튼(41)의 누름 조작시마다 푸시로드(45)에 의해 신축자재되는 공기 압축관(20a)의 공기 압축 및 해제 작용을 통해 밸브기구(30)의 절결부(31)가 강제로 개방 및 차단되어 지면서 토출구(52)로의 분사 공급이 제어되어 지게 되고, 버튼(41)의 1회 누름 조작시마다 공기 압축실(21) 내로 유입된 량 만큼만 토출되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주름관 형태의 공기 압축관(20a)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로 푸시로드(45)의 승강 조작에 대응하여 신속 용이한 신축 작용을 유도하기 위한 스프링 형태, 더욱 구체적으로는 압축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25)로 받침 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공기 압축관(20a)을 탄성부재(25)로 탄력 설치함으로써, 자체적으로 신축되던 것에 비하여 더욱 신속한 신축 작용이 가능하여 공기 압축 작용을 더욱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기타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 압축 구조는 도 7과 같이 또 다르게 변형 실시될 수도 있다. 이는 도 5에 도시된 공기 압축구조의 다른 변형 구조로서, 주름관 형태의 공기 압축관(20a)의 상부로는 가압부(26)가 저장용기(10)의 내부로 노출되게 일체로 관통 설치되어 있고, 하부로는 밸브기구(30)와의 사이에 공기 압축관(20a)의 일단부가 삽설 지지되는 스프링받이(27)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공기 압축관(20a)의 외측으로는 가압부(26)와 스프링받이(27) 사이에 푸시로드(45)의 승강 조작에 따른 공기 압축관(20a)의 승강 조작을 돕기 위한 탄성부재(25)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 압축구조는 저장용기(10)의 바닥부(11)로 형성된 관통공(12)을 단턱지고 넓게 형성하고, 그 내부에 주름관 형태의 공기 압축관(20a)이 개재되게 구성하여 푸시로드(45) 작용에 따른 공기 압축관(20a)의 원활한 승강 조작이 보다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공기 압축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도 8과 같이 공기 압축관(20a)의 내부 공기 압축실(21) 내로 유입된 내용물은 가압부(26)를 가압하게 되는 푸시로드(45)의 하강 조작을 통해 공기 압축관(20a)이 압축되어 짐과 동시에 압축된 공기 압력에 의해 개방 조작되는 밸브기구(30)의 절결부(31)와 토출구(52)를 통해 직접 분사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푸시로드(45)의 푸시력이 해제되면 다시 압축 상태의 공기 압축관(20a) 자체의 신축 자재력은 물론 탄성부재(25)의 반력에 의해 원상 복귀되어 지고, 이러한 공기 압축관(20a)의 복귀 작용과 동시에 밸브기구(30)의 절결부(31) 역시 도 7과 같이 다시 닫히면서 공기 압축실(21)로 유입되는 내용물을 차단하게 되는 동작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내용물의 원활한 분사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푸시로드(45)로는, 도 9 내지 도 13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 실시될 수도 있다. 이들을 참조하면, 푸시로드(45)로는 공기 압축관(20)(20a)의 공기 압축실(21)에 대한 공기 압축 작용시 그 하부로 배치되는 밸브기구(30)의 절결부(31)를 강제로 개방 조작하기 위한 개방단부(45a)가 더 연장되게 구비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개방단부(45a)를 푸시로드(45)에 더 연장되게 구비함으로써, 푸시로드(45) 작용에 따라 발생되는 공기 압축실(21) 내의 압축 공기압력에 의해서만 강제 개방 조작되던 밸브기구(30)의 절결부(31)에 대한 개방 조작을 더욱 원활하고 신속하게 유도할 수 있게 된다. 기타 다른 구성은 차이가 없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압축부재(60)는 도면상 푸시로드(45)에 안내 이동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푸시로드(45)의 외부에 별도의 안내 이송관(46)을 밀폐체(43)의 하부로 더 연장 형성하고, 이 안내 이송관(46)을 따라 이송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안내 이송관(46)의 단부로는 내측으로 블레이드(46a)를 절곡 형성하여 푸시로드(45)의 외주면에 밀착 지지되는 블레이드(46a)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푸시로드(45)의 승강 조작시 이의 외주면에 달라붙는 내용물을 분리 제거하여 푸시로드(45)의 원활한 승강 동작 및 내용물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블레이드(46a)는 푸시로드(45)의 외주면에 당접되는 부분을 향해 점차적으로 얇아지는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분배기(1)는, 비록 화장용구(100)에 적용된 사례를 설명하 였으나, 이는 다른 기술분야, 예를 들어, 식품이나 제약분야 등에서 다양하게 이용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측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기구의 절결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해 버튼이 눌려진 상태의 사용상태 조립 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압축관의 다른 설치 구성 예를 보인 발췌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압축 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조립 측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 공기 압축 구조의 또 다른 실시 구조를 보인 발췌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압축 구조의 또 다른 실시 구조를 보인 조립 측 단면도 및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푸시로드의 다른 실시 예를 각각 보인 발췌 확대 단도면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부재의 설치 예를 보인 조립 측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분배기 10: 저장용기
11: 바닥부 12: 관통공
20, 20a: 공기 압축관 21: 공기 압축실
22: 경사 유도면 23: 밀봉부
25,44: 탄성부재 26: 가압부
27: 스프링받이 30: 밸브기구
31: 절결부 40: 분사기구
41: 버튼 45: 푸시로드
45a: 개방단부 46: 안내 이송관
50: 토출기구 60: 압축부재
70: 도포부재 100: 화장용구

Claims (21)

  1. 내용물이 저장되도록 일방으로 바닥부가 구비된 통 형상의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의 바닥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고 내부로는 공기 압축실이 구비되는 공기 압축관과;
    상기 공기 압축관의 하부에 구비되고 이를 통해 저장용기의 내용물이 임의적으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결부가 구비된 밸브기구와;
    상기 저장용기의 타방으로 탄력 설치된 버튼의 가압 조작에 따라 승강 조작되는 푸시로드에 의해 상기 공기 압축관의 공기 압축실 내부에 압축 공기압력을 발생 및 해제시킴과 동시에 상기 밸브기구의 절결부를 강제로 개폐 조작시켜 공기 압축실내로 유입되는 정량의 내용물을 직접 분사 공급하기 위한 분사기구와;
    상기 저장용기의 밸브기구 하부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토출기구;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분사식 분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버튼의 가압 조작시마다 저장용기의 하부로 하강 이동하면서 내용물을 바닥부로 압축하기 위한 압축부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분사식 분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기구의 푸시로드는, 공기 압축관의 공기 압축실내로 직접 진입되면서 압축 공기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분사식 분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압축관의 내부로 진입되는 푸시로드는, 상기 공기 압축관의 내주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밀봉부와 긴밀히 접촉되면서 공기 압축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분사식 분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압축관은 신축자재 되는 주름관 형태로 구성함과 동시에 분사기구의 푸시로드에 의해 상기 공기 압축관이 간접적으로 가압 조작되면서 공기 압축실내의 공기를 압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분사식 분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 형태의 공기 압축관으로는 푸시로드에 의한 신축 작용을 더욱 원활하게 유도하기 위한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분사식 분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에 의해 간접적으로 눌려지는 주름관 형태의 공기 압축관으로는, 저장용기의 바닥부로 형성되는 관통공을 통해 저장용기의 내부로 노출되게 일체로 구비되어 푸시로드에 의해 눌려지는 가압부와, 상기 바닥부 하부 및 밸브기구와의 사이에 공기 압축관의 일단부가 삽설 지지되는 스프링받이가 개재되어 지며, 상기 공기 압축관의 외 측으로는 가압부와 스프링받이 사이에 푸시로드의 승강 조작에 따른 공기 압축관의 승강 조작을 돕기 위한 탄성부재가 설치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분사식 분배기.
  8.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로는, 밸브기구의 절결부를 강제로 개방 조작하기 위한 개방단부가 더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분사식 분배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재는, 푸시로드를 따라 이동되거나, 또는 푸시로드의 외주면으로 구비되는 안내 이송관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이동되면서 저장용기의 내용물을 압축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분사식 분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이송관으로는 푸시로드의 승강 조작시 이의 외주면에 달라 붙게되는 내용물을 분리 제거하기 위한 블레이드가 더 구비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분사식 분배기.
  11. 내용물이 저장되도록 일방으로 바닥부가 구비된 통 형상의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의 바닥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고 내부로는 공기 압축실이 구비되는 공기 압축관과;
    상기 공기 압축관의 하부에 구비되고 이를 통해 저장용기의 내용물이 임의적으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결부가 구비된 밸브기구와;
    상기 저장용기의 타방으로 탄력 설치된 버튼의 가압 조작에 따라 승강 조작되는 푸시로드에 의해 상기 공기 압축관의 공기 압축실 내부에 압축 공기 압력을 발생 및 해제시킴과 동시에 상기 밸브기구의 절결부를 강제로 개폐 조작시켜 공기 압축실내로 유입되는 정량의 내용물을 직접 분사 공급하기 위한 분사기구와;
    상기 저장용기의 밸브기구 하부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토출기구와;
    상기 토출기구로 구비되어진 도포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분사식 분배기를 이용한 화장용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구는, 버튼의 가압 조작시마다 저장용기의 하부로 하강 이동하면서 내용물을 바닥부로 압축하기 위한 압축부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분사식 분배기를 이용한 화장용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기구의 푸시로드는, 공기 압축관의 공기 압축실내로 직접 진입되면서 공기 압축실 내에 압축 공기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분사식 분배기를 이용한 화장용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압축관의 내부로 진입되는 푸시로드는, 상기 공기 압축관의 내주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밀봉부와 긴밀히 접촉되면서 공기 압축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분사식 분배기를 이용한 화장용구.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압축관은 신축자재 되는 주름관 형태로 구성함과 동시에 분사기구의 푸시로드에 의해 상기 공기 압축관이 간접적으로 가압 조작되면서 공기 압축실내의 공기를 압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분사식 분배기를 이용한 화장용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 형태의 공기 압축관으로는 푸시로드에 의한 신축 작용을 더욱 원활하게 유도하기 위한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분사식 분배기를 이용한 화장용구.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에 의해 간접적으로 눌려지는 주름관 형태의 공기 압축관으로는, 저장용기의 바닥부로 형성되는 관통공을 통해 저장용기의 내부로 노출되게 일체로 구비되어 푸시로드에 의해 눌려지는 가압부와, 상기 바닥부 하부 및 밸브기구와의 사이에 공기 압축관의 일단부가 삽설 지지되는 스프링받이가 개재되어지며, 상기 공기 압축관의 외 측으로는 가압부와 스프링받이 사이에 푸시로드의 승강 조작에 따른 공기 압축관의 승강 조작을 돕기 위한 탄성부재가 설치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분사식 분배기를 이용한 화장용구.
  18. 제11항, 제13항,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로는 밸브기구의 절결부를 강제로 개방 조작하기 위한 개방단부가 더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분사식 분배기를 이용한 화장용구.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재는 화장솔이나, 퍼프, 스폰지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분사식 분배기를 이용한 화장용구.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재는, 푸시로드를 따라 이동되거나, 또는 푸시로드의 외주면으로 구비되는 안내 이송관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이동되면서 저장용기의 내용물을 압축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분사식 분배기를 이용한 화장용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이송관으로는 푸시로드의 승강 조작시 이의 외주면에 달라 붙게되는 내용물을 분리 제거하기 위한 블레이드가 더 구비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분사식 분배기를 이용한 화장용구.
KR1020070082846A 2007-08-17 2007-08-17 직접 분사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장용구 KR100904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846A KR100904414B1 (ko) 2007-08-17 2007-08-17 직접 분사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장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846A KR100904414B1 (ko) 2007-08-17 2007-08-17 직접 분사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장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413A KR20090018413A (ko) 2009-02-20
KR100904414B1 true KR100904414B1 (ko) 2009-06-26

Family

ID=40686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846A KR100904414B1 (ko) 2007-08-17 2007-08-17 직접 분사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장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44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161B1 (ko) 2011-12-30 2013-04-22 이원일 분말용기 퍼프캡
KR101729277B1 (ko) * 2016-03-15 2017-04-24 김신겸 공기 펌프식 화장품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689B1 (ko) * 2012-04-09 2013-10-08 (주)대한특수금속 스프레이 장치
FR3020748B1 (fr) * 2014-05-07 2020-10-30 Aptar France Sas Ensemble de distribution et d'application de produit fluide
ES2835057T3 (es) * 2016-01-25 2021-06-21 Oreal Dispositivo de envasado y dosificación para contenido doble
KR200493910Y1 (ko) * 2016-10-26 2021-06-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자동 배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9381U (ko) 1985-12-13 1987-06-24
JPH0332978U (ko) * 1989-07-31 1991-03-29
JPH063473U (ja) * 1991-10-31 1994-01-18 エルメック株式会社 液体塗布器
JPH10235273A (ja) 1997-02-28 1998-09-08 Pentel Kk 吐出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9381U (ko) 1985-12-13 1987-06-24
JPH0332978U (ko) * 1989-07-31 1991-03-29
JPH063473U (ja) * 1991-10-31 1994-01-18 エルメック株式会社 液体塗布器
JPH10235273A (ja) 1997-02-28 1998-09-08 Pentel Kk 吐出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161B1 (ko) 2011-12-30 2013-04-22 이원일 분말용기 퍼프캡
KR101729277B1 (ko) * 2016-03-15 2017-04-24 김신겸 공기 펌프식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413A (ko) 2009-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4414B1 (ko) 직접 분사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장용구
KR100733002B1 (ko) 화장품용기의 화장품 토출구조
EP2371252A2 (en) Stationary stem pump
US20170043365A1 (en) Portable refillable cream dispenser
JP6137503B2 (ja) 持ち運び可能な詰替え式のクリームディスペンサ
KR100267908B1 (ko) 여러부분으로나누어진디스펜서
KR100775650B1 (ko) 직접 분사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장용구
CA2552697A1 (en) Device for the expression and dosed application of a flowable paste-like substance
KR101248363B1 (ko) 직압 분사식 화장도구
JP2017525627A (ja) 流体製品ディスペンサー
KR200439351Y1 (ko) 디스펜서 용기
US10035158B2 (en) Contents dispensing pump
KR20120124958A (ko) 정,역방향 체크밸브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0840590B1 (ko) 화장도구용 노즐 및 이를 구비한 화장도구
KR960006352B1 (ko) 유체 디스펜서
KR100840589B1 (ko) 직접 분사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장용구
US2880939A (en) Garden spray gun
KR102468588B1 (ko) 액체 디스펜서
KR100916023B1 (ko) 직접 분사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장용구
KR200395670Y1 (ko) 펌프식 화장품용기
KR200472346Y1 (ko) 화장품 용기의 토출장치
KR100856698B1 (ko) 직접 분사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장용구
CN100402158C (zh) 分配装置
KR200393325Y1 (ko) 다용도 용기
CN112089350A (zh) 手持按压式出皂装置和出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