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2689B1 - 유류오염된 해안토양의 생물복원법 - Google Patents

유류오염된 해안토양의 생물복원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2689B1
KR100892689B1 KR1020080019949A KR20080019949A KR100892689B1 KR 100892689 B1 KR100892689 B1 KR 100892689B1 KR 1020080019949 A KR1020080019949 A KR 1020080019949A KR 20080019949 A KR20080019949 A KR 20080019949A KR 100892689 B1 KR100892689 B1 KR 100892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orous carrier
microorganisms
soil
conta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철
최종민
Original Assignee
바이오세인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세인트(주) filed Critical 바이오세인트(주)
Priority to KR1020080019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26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6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1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microbiologically, biologically or by using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3/00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 A62D3/02Processes for making harmful chemical substances harmless or less harmful, by effecting a chemical change in the substances by biological methods, i.e. processes us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류오염된 해안토양의 생물복원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해안의 간조대 (intertidal zone) 토양이 유류로 인해 오염된 경우, 유류 분해능을 갖는 미생물을 담체에 흡착시키고 이를 매립함으로써 바닷물에 유실됨이 없이 장시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유류오염된 해안토양을 생물학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나아가 산소발생제나 지효성 영양제를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미생물의 유류 분해능을 제고할 수 있는 장점 또한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유류오염된 해안토양의 생물복원법은 미생물이 다공성 담체에 흡착된 상태로 매립됨으로써 파도나 밀물에 의해서도 상기 미생물이 쉽게 유실되지 않아, 장시간 안정적인 유류 분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은 상기 미생물이 흡착된 다공성 담체를 그물망 포대에 담아 매립하거나, 상기 다공성 담체 또는 이를 담은 그물망 포대를 통공이 다수 형성된 유공관에 넣어 매립함으로써 보다 증대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방출이 제어됨에 따라 장시간 효과가 지속될 수 있는 지효성 영양제를 함께 포함시킴으로써 미생물의 생육조건을 최적화시킬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산소발생제까지 첨가시킴으로써 바닷물에 의해 대기와 차단되기 쉬운 미생물에 호기성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생물복원법, 그물망 포대, 유공관, 산소발생제, 지효성 영양제, 해안토양, 유류오염

Description

유류오염된 해안토양의 생물복원법 {Bioremediation of Seaside Soil Polluted with Oil}
본 발명은 유류오염된 해안토양의 생물복원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해안의 간조대 (intertidal zone) 토양이 유류로 인해 오염된 경우, 유류 분해능을 갖는 미생물을 담체에 흡착시키고 이를 매립함으로써 바닷물에 유실됨이 없이 장시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유류오염된 해안토양을 생물학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나아가 산소발생제나 지효성 영양제를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미생물의 유류 분해능을 제고할 수 있는 장점 또한 가지고 있다.
최근 들어 산업화 및 도시화의 진행에 따른 생태계 자정능력을 초월하는 오염물질의 방출에 따라 인간을 비롯한 지구생태계에 존재하는 모든 생명체가 위협을 받고 있다. 특히, 대부분의 국가에 있어 국가기간산업인 석유화학공업 및 중화학공업에서 사용되는 유류에 의한 환경오염문제는 국지적인 문제에서 국제적인 문제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 특히, 해양에서의 유류 유출 사고에 의한 해양 및 해안토양의 유류오염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유류의 오염물질은 원유, 디젤 및 휘발유와 같은 유류에 함유되어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석유탄화수소 화합물로서, 이러한 오 염물질에 의해 오염된 토양 및 지하수를 물리, 화학적 방법에 의해 정화하는 방법도 한계에 다다른 상황이므로 기존의 방법을 대체 혹은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환경정화방법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새로운 형태의 환경정화방법으로 미생물이 가지는 고유의 능력을 이용하여 유류를 분해하거나 무독화시키는 생물복원법 (bioremediation)이 대표적인 방법이다.
생물복원법은 자연상태에 존재하는 토착성 미생물의 대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최적화하거나, 특별한 환경정화능력을 가진 미생물을 인위적으로 환경에 투여하거나 혹은 양자 복합적인 처리를 통하여 각종 오염물질을 분해함으로써 오염된 환경을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키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물리, 화학적 방법에 비하여 자연적인 공정을 이용하므로 에너지 사용량이 적어 경제적이며, 미생물의 대사작용에 의하여 유해화합물을 이산화탄소와 물로 완전 분해시키거나 무독화시키므로 2차 오염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환경 친화적인 방법이다. 또한, 이 방법은 현장에서 적용이 가능하므로 이미 오염물질이 광범위하게 확산된 지역을 정화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한 장점을 지닌다.
유류에 의한 오염을 정화하기 위한 생물복원법으로 한국특허출원 제 1019990045835 호, 제 1020000027486 호, 제 1019940026352 호, 제 1019940026351 호, 제 1020030018913 호, 제 1020020018122 호 등과 같은 미생물이 발견되었으며, 특히 토양오염에 대해 한국특허출원 제 1020020031429 호, 제 1020000035283 호와 같은 방법들이 고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모두 내륙 공장지대 등의 유류 누출로 인한 토양오염 을 그 정화대상으로 하는 바, 파도, 그리고 밀물과 썰물에 의해 미생물의 안정적인 정화작용을 기대하기 어려운 해안 간조대 토양에 적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간조대 토양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파도나 조수 간만에 의해 지속적으로 바닷물이 드나듦에 따라 유류 분해를 위한 미생물이 쉽게 쓸려가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필연적으로 미생물의 농도를 저하시켜 분해속도를 현저히 떨어뜨리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상기 미생물의 생육을 위해 첨가하는 영양물질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설령 미생물이 바닷물에 쓸려가지 않더라도 영양물질의 결핍으로 인해 최적의 생육조건을 얻기 어렵다.
뿐만 아니라, 유류를 최종적으로 이산화탄소와 물로 변환시키는 정화 미생물은 호기성 미생물인데, 간조대 토양은 바닷물로 인해 대기와 차단됨으로써 상기 미생물의 생육에 필요한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며, 이러한 문제는 밀물 때 더욱 심각해진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들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간조대의 해안토양을 유류오염으로부터 정화하는 기술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류 분해능을 가진 미생물을 다공성 담체에 흡착시키고 이를 매립함으로써 유류오염된 간조대 해안토양을 정화하는 생물복원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다공성 담체에 추가로 산소발생제나 지효성 영양제를 혼합시킴으로써 장시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유류오염된 해안토양을 정화시키는 생물복원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류오염된 해안토양의 생물복원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미생물 고정용 다공성 담체에 유류 분해능을 갖는 미생물을 흡착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미생물이 흡착된 다공성 담체를 해안토양에 매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계 (B)의 다공성 담체를, 상기 다공성 담체 100 중량부 당 10 내지 1000 중량부의 산소발생제와 혼합하여 매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B)의 다공성 담체를, 상기 다공성 담체 100 중량부 당 10 내지 500 중량부의 지효성 영양제 (Slow Release Fertilizer, SRF)와 혼합하여 매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B)의 다공성 담체를, 상기 다공성 담체 100 중량부 당 10 내지 1000 중량부의 산소발생제 및 10 내지 500 중량부의 지효성 영양제와 혼합하여 매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B)의 다공성 담체, 그와 상기 산소발생제와의 혼합물, 그와 상기 지효성 영양제와의 혼합물, 또는 그와 상기 산소발생제 및 지효성 영양제와의 혼합물을, 모눈 크기 0.2 내지 10 mm의 그물망 포대에 담아 매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단계 (B)의 매립은 통공이 다수 형성된 길이 10 내지 200 cm의 유공관 내부에 상기 단계 (B)의 다공성 담체, 그와 상기 산소발생제와의 혼합물, 그와 상기 지효성 영양제와의 혼합물, 또는 그와 상기 산소발생제 및 지효성 영양제와의 혼합물을 넣고, 상기 유공관을 매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단계 (B)의 매립은 통공이 다수 형성된 길이 10 내지 200 cm의 유공관 내부에 상기 그물망 포대를 넣고, 상기 유공관을 매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단계 (B)의 매립과 별도로, 상기 유류 분해능을 갖는 미생물의 배양액, 상기 미생물 고정용 다공성 담체, 상기 미생물이 흡착된 다공성 담체, 상기 산소발생제, 상기 지효성 영양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것을 상기 해안토양에 추가 살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해안토양에 추가 살포한 다음 상기 해안토양을 일구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류 분해능을 갖는 미생물은 내염성 및 저온활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류 분해능을 갖는 미생물은 로도코커스 (Rhodococcus) sp. YHLT-2 (KCTC 10203BP)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생물 고정용 다공성 담체는 셀라이트(Celite),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이탄 (Peat Moss),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소발생제는 MgO2, CaO2, H2O2, KMnO4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물망 포대, 유공관, 또는 그물망 포대 및 유공관은 미생물에 의해 생분해되는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공성 담체는 무기물이거나, 미생물에 의해 생분해되는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계 (C)의 매립 전, 상기 해안토양에 추가 살포 전, 또는 상기 단계 (C)의 매립 전 및 상기 해안토양에 추가 살포 전에 상기 미생물이 흡착된 다공성 담체를 담은 그물망 포대, 상기 유류 분해능을 갖는 미생물의 배양액, 상기 미생물이 흡착된 다공성 담체를 2 내지 15 ℃에서 1 내지 5 일 동안 보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류오염된 해안토양의 생물복원법은 미생물이 다공성 담체에 흡 착된 상태로 매립함으로써 파도나 밀물에 의해서도 상기 미생물이 쉽게 유실되지 않아, 장시간 안정적인 유류 분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은 상기 미생물이 흡착된 다공성 담체를 그물망 포대에 담아 매립하거나, 상기 다공성 담체 또는 이를 담은 그물망 포대를 통공이 다수 형성된 유공관에 넣어 매립함으로써 보다 증대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방출이 제어됨에 따라 장시간 효과가 지속될 수 있는 지효성 영양제를 함께 포함시킴으로써 미생물의 생육조건을 최적화시킬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산소발생제까지 첨가시킴으로써 바닷물에 의해 대기와 차단되기 쉬운 미생물에 호기성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유류오염된 해안토양의 생물복원법은 미생물 고정용 담체에 상기 유류의 분해능을 가진 미생물을 흡착시키는 단계로부터 시작된다.
본 발명의 목적이 유류로 인한 오염의 생물학적 복원이므로, 본 발명에 사용 되는 미생물 역시 원유 등의 유류를 이산화탄소 등 환경에 무해한 산물로 변환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출 것이 요구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적용지역이 간조대 해안토양인 바, 상기 유류 분해능 외에 추가로 내염성 및 저온활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제 성능을 보유한 미생물이라면 제한 없이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로도코커스 (Rhodococcus) sp. YHLT-2 (KCTC 10203BP)가 바람직하다. 상기 균주의 유류 분해능은 본 출원인의 특허공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435231 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미생물은 이를 고정시킬 수 있는 다공성 담체에 흡착되며, 이를 통해 1차적인 유실 방지가 이루어진다. 즉, 상기 담체에 흡착됨에 따라 배양액 형태나 동결건조된 분말 형태로 직접 토양에 살포하는 종래 방법에 비해 바닷물에 유실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다공성 담체는 미생물을 흡착, 고정화할 수 있는 것이면 제한이 없으며, 무기질 소재나 미생물에 의해 분해가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셀라이트, 버미큘라이트, 이탄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담체 내 미생물의 흡착량은 담체 1 g 당 103 내지 1011 CFU인 것이 바람직한 바, 103 CFU 미만이면 유류 분해효율이 떨어지고, 1011 CFU를 초과하면 배양 자체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과도한 미생물 자체 농도로 인해 생육이 저하되는 단점 이 있다.
상기 미생물이 흡착된 다공성 담체는 그 다음 유류로 인해 오염된 간조대 해안토양에 매립함으로써 상기 오염에 대한 생물복원이 개시된다. 살포 대신 매립하는 이유는 상기 유류 분해능을 보유한 미생물이 기질로 사용되는 유류와의 접촉효율을 제고하는 측면 외에, 해안 간조대 토양이라고 하는 본 발명 적용지역의 특성 상 바닷물에 의한 유실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매립은 상기 해안토양을 파서 상기 다공성 담체를 묻을 수도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트랙터 등으로 상기 해안토양을 갈아 엎은 후 상기 다공성 담체를 묻고 다시 상기 해안토양으로 덮는 등 매립과 관련된 공지의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미생물이 흡착된 담체는 그 다음 모눈크기 0.2 내지 10 mm의 그물망 포대에 담아 매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써 본 발명의 미생물은 매립에 더하여 그의 유실 방지를 위한 또 하나의 수단을 제공받게 되며, 결과적으로 장시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원유 등의 유류를 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그물망 포대의 모눈크기가 0.2 mm 미만이면 유류와 미생물의 접촉효율이 떨어질 수 있고, 10 mm를 초과하면 상기 담체 자체가 유실될 수 있어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이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그물망 포대는 그 크기에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25 ℓ 들이 양파망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물망 포대 자체로 인한 오염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상기 포대 자체가 미생물에 의해 생분해 될 수 있는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나아가, 더욱 더 안정적으로 미생물의 매립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공관을 이용한 스파이크(spike)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미생물이 흡착된 다공성 담체 또는 그를 담은 상기 그물망 포대를 통공이 다수 형성된 유공관에 넣고 상기 유공관을 매립하는 방식이다.
예컨대, 직경 0.1 내지 1 cm의 통공이 2 내지 10 cm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직경 10 내지 50 cm, 길이 10 내지 200 cm의 유공관을 오염된 해안토양에 수직으로 박고, 필요에 따라 내부의 해안토양을 제거한 후 상기 미생물이 흡착된 다공성 담체 또는 그를 담은 그물망 포대를 넣고 해안토양으로 덮는 방식으로 매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류 분해 미생물이 보다 안정적으로 해안토양에서 정화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유공관은 미생물에 의해 생분해가 가능한 소재로 제작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라 할지라도 정화가 완료된 해안토양으로부터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미생물이 흡착된 다공성 담체, 그를 담은 그물망 포대 또는 유공관의 매립량은 해안토양의 오염 정도에 따라 다르다. 예컨대, 해안토양 1 m2 당 1 내지 5 kg의 미생물이 흡착된 다공성 담체 또는 그를 담은 그물망 포대를 매립하거나, 폭 2 내지 10 m 간격으로 유공관을 매립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미생물을 흡착한 다공성 담체는 단독으로써 뿐만 아니라 산소발 생제와 혼합하여 사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류와 같은 탄화수소가 이산화탄소 및 물로 완전히 분해되기 위해서는 호기성 조건이 요구되나, 간조대의 해안토양은 바닷물에 의해 대기와 차단될 확률이 내륙토양에 비해 높으며, 이는 정화효율의 격감으로 직결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별도의 산소발생제를 상기 미생물과 함께 제공함으로써 극복이 가능한 바, 이러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산소발생제로는 MgO2, CaO2, H2O2 (200 내지 1000 ppm 수용액), KMnO4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예시된 산소발생제는 과립 또는 분말 형태로 제공되거나, H2O2의 경우 액제로 제공되어 지속적으로 산소를 발생시키며, 발생된 산소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미생물로 공급된다.
상기 산소발생제의 첨가량은 상기 다공성 담체 100 중량부 당 10 내지 10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대기와의 접촉 확률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즉, 바다와 가까운 지역이나 깊이 매립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을, 반대로 내륙에 가까운 지역이나 얕게 매립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산소발생제를 첨가할 수 있으며, 첨가량이 10 중량부 미만일 때는 산소 발생량이 부족하여 정화처리 후반기에 산소가 고갈될 가능성이 있고, 1000 중량부를 초과하면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공성 담체는 또한 지효성 영양제와 추가로 혼합, 사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닷물에 의한 미생물의 유실은 상기 미생물의 생육 을 위한 영양물질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정화효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요인이 되어 왔다. 이는 방출이 제어되지 않는 영양물질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방출의 제어를 통해 영양물질이 서서히 방출되는 지효성 영양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효성 영양제로는 Woodace (Vigoro Industries), Customblen® (Sierra Chemical Co.), MaxBac (Grace Sierra), Inipol EAP 22 (Elf Aquataine Company), Osmocote® (The Scotts Miracle-Gro Co.), Lecitina de soja (Geminis), MgNH4PO4, S-200 (International Environmental Products, LLC), VB591 Water (BioNutraTech, Inc.), Vitabug (BioNutraTech, Inc.), 단한번비료 (조선비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효성 영양제의 첨가량은 상기 다공성 담체 100 중량부 당 10 내지 5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10 중량부 미만일 때는 영양제 추가의 의미가 반감될 수 있고, 500 중량부 초과시에는 경제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상기 산소발생제, 지효성 영양제, 또는 산소발생제 및 지효성 영양제는 상기 미생물이 흡착된 다공성 담체와 혼합하여 매립할 수 있으며, 혼합 상태로 상기 그물망 포대나 유공관에 담겨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해안토양 생물복원법은 상기 미생물을 흡착한 다공성 담체, 이를 담은 상기 그물망 포대나 유공관의 매립과 별도로 상기 유류 분해능을 갖는 미생물의 배양액, 상기 미생물 고정용 다공성 담체, 상기 미생물이 흡착된 다공성 담체, 상기 산소발생제, 상기 지효성 영양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것을 오염된 상기 해안토양에 추가 살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오염의 초기에는 과량의 오염물질로 인해 미생물이 기질 저해작용을 받을 수도 있고, 오염의 후기에는 유실 또는 소모로 인해 미생물, 산소 또는 영양물질의 결핍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정화효율의 모니터링을 통해 상기 징후가 포착되면 부족한 성분을 추가로 살포 또는 매립 형식을 통해 공급함으로써 정화효율을 복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살포 후 트랙터 등으로 해안토양을 갈아 엎은 다음 다시 덮어줌으로써 오염원과의 접촉효율을 제고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유류 분해능을 가진 미생물은 매립이나 살포 전에 2 내지 15 ℃의 저온에서 1 내지 5 일 동안 보관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저온인 해안토양 및 바닷물에 적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해 저온 적응에 필요한 시간을 절약함으로써 유류 분해를 통한 생물학적 복원시간을 앞당길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원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국한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A) 미생물 고정용 다공성 담체에 유류 분해능을 갖는 미생물을 흡착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다공성 담체 100 중량부 당 산소발생제 10 내지 1000 중량부, 지효성 영양제 (Slow Release Fertilizer, SRF) 10 내지 500 중량부, 또는 산소발생제 10 내지 1000 중량부 및 지효성 영양제 10 내지 500 중량부를, 상기 미생물이 흡착된 다공성 담체와 혼합하여 해안토양에 매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오염된 해안토양의 생물복원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다공성 담체, 그와 상기 산소발생제와의 혼합물, 그와 상기 지효성 영양제와의 혼합물, 또는 그와 상기 산소발생제 및 지효성 영양제와의 혼합물을, 모눈 크기 0.2 내지 10 mm의 그물망 포대에 담아 매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오염된 해안토양의 생물복원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매립은 통공이 다수 형성된 길이 10 내지 200 cm의 유공관 내부에 상기 단계 (B)의 다공성 담체, 그와 상기 산소발생제와의 혼합물, 그와 상기 지효성 영양제와의 혼합물, 또는 그와 상기 산소발생제 및 지효성 영양제와의 혼합물을 넣고, 상기 유공관을 매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오염된 해안토양의 생물복원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매립은 통공이 다수 형성된 길이 10 내지 200 cm의 유공관 내부에 상기 그물망 포대를 넣고, 상기 유공관을 매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오염된 해안토양의 생물복원법.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매립과 별도로, 상기 유류 분해능을 갖는 미생물의 배양액, 상기 미생물 고정용 다공성 담체, 상기 미생물이 흡착된 다공성 담체, 상기 산소발생제, 상기 지효성 영양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것을 상기 해안토양에 추가 살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오염된 해안토양의 생물복원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해안토양에 추가 살포한 다음 상기 해안토양을 일구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오염된 해안토양의 생물복원법.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유류 분해능을 갖는 미생물은 내염성 및 저온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오염된 해안토양의 생물복원법.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유류 분해능을 갖는 미생물은 로도코커스 (Rhodococcus) sp. YHLT-2 (KCTC 10203B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오염된 해안토양의 생물복원법.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고정용 다공성 담체는 셀라이트(Celite),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이탄 (Peat Moss),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오염된 해안토양의 생물복원법.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발생제는 MgO2, CaO2, H2O2, KMnO4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오염된 해안토양의 생물복원법.
KR1020080019949A 2008-03-04 2008-03-04 유류오염된 해안토양의 생물복원법 KR100892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949A KR100892689B1 (ko) 2008-03-04 2008-03-04 유류오염된 해안토양의 생물복원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949A KR100892689B1 (ko) 2008-03-04 2008-03-04 유류오염된 해안토양의 생물복원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2689B1 true KR100892689B1 (ko) 2009-04-15

Family

ID=40757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949A KR100892689B1 (ko) 2008-03-04 2008-03-04 유류오염된 해안토양의 생물복원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268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607B1 (ko) 2010-01-27 2011-06-15 시원해양 주식회사 오염된 토양 및 수환경 퇴적물 정화용 생물복원제
KR101432425B1 (ko) 2013-01-27 2014-08-2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연안 갯벌과 갯지렁이로부터 동정된 복수의 균주 속 미생물을 포함하는 유기물 정화제
KR101475589B1 (ko) * 2013-01-27 2014-12-2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연안 갯벌에서 분리 동정한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갯벌 유기물 정화제
RU2705901C2 (ru) * 2018-01-17 2019-11-1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Бря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инженерно-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нефтесодержащей почвы хи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ой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2155A (ja) * 1992-10-20 1994-08-02 Canon Inc 微生物保持用担体、該担体を用いた土壌修復剤及び土壌修復方法
KR20020000444A (ko) * 2000-06-26 2002-01-05 염규진 오염된 토양의 생물학적 정화 방법
KR20020096861A (ko) * 2001-06-19 2002-12-31 정욱진 유류 및 난분해성 유기화합물로 오염된 토양 정화용 조성물
JP2004298757A (ja) 2003-03-31 2004-10-28 Kawai Hiryo Kk 水質浄化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2155A (ja) * 1992-10-20 1994-08-02 Canon Inc 微生物保持用担体、該担体を用いた土壌修復剤及び土壌修復方法
KR20020000444A (ko) * 2000-06-26 2002-01-05 염규진 오염된 토양의 생물학적 정화 방법
KR20020096861A (ko) * 2001-06-19 2002-12-31 정욱진 유류 및 난분해성 유기화합물로 오염된 토양 정화용 조성물
JP2004298757A (ja) 2003-03-31 2004-10-28 Kawai Hiryo Kk 水質浄化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607B1 (ko) 2010-01-27 2011-06-15 시원해양 주식회사 오염된 토양 및 수환경 퇴적물 정화용 생물복원제
KR101432425B1 (ko) 2013-01-27 2014-08-2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연안 갯벌과 갯지렁이로부터 동정된 복수의 균주 속 미생물을 포함하는 유기물 정화제
KR101475589B1 (ko) * 2013-01-27 2014-12-2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연안 갯벌에서 분리 동정한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갯벌 유기물 정화제
RU2705901C2 (ru) * 2018-01-17 2019-11-1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Бря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инженерно-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нефтесодержащей почвы хи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о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17010T3 (es) Composiciones para eliminar hidrocarburos e hidrocarburos halogenados de entornos contaminados
US10737959B2 (en) Compositions for removing hydrocarbons and halogenated hydrocarbons from contaminated environments
Lee et al. Biorestoration of aquifers contaminated with organic compounds
Wang et al. Advances in research on petroleum biodegradability in soil
JP3288843B2 (ja) 汚染土壌水系の生物的浄化方法
CN101428906A (zh) 三氯乙烯污染地下水的修复***及修复方法
JPH0775772A (ja) 土壌の修復方法
KR100892689B1 (ko) 유류오염된 해안토양의 생물복원법
JPH10216694A (ja) 有機塩素化合物汚染物の浄化方法
CN108328856A (zh) 一种低浓度有机污染地下水的原位修复工艺及其应用
Cha et al. Treatment technologies
JP3458688B2 (ja) 地下水汚染の修復方法及びその装置
Granger et al. A case of phosphorus limiting monoaromatic hydrocarbon biodegradation in groundwater
JP4421254B2 (ja) 油吸着材の再生利用方法
JP2003126838A (ja) 汚染土壌の浄化方法
JP3401660B2 (ja) 汚染地下水、土壌の修復方法
JP2005279395A (ja) 浄化方法
Kretschmer et al. Bioremediation of Environmental Contaminants
Bianco et al. Resources, Environment and Sustainability
Tabernacka et al. Microbiological enhancement of CLEANSOIL method of soil remediation
Jamgocian The in situ bioremediation of gasoline contaminated soil.
PADMAVATHI BIOREMEDIATION OF OIL SPILLS USING NATURALLY OCCURING MICROBES
Chang AIR EMISSION CONTROL TECHNOLOGIES FOR MTBE
Chang Air Control Technologies for MTBE: Bioremediation Aspects of MTBE
MADAMWAR et al. TECHNOLOGICAL CONCEPTS FOR BIOREMEDIATION: AN OVERVIEW OF THE SCIENTIFIC PRINCIP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