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2283B1 - 콘택트렌즈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콘택트렌즈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2283B1
KR100882283B1 KR1020050036915A KR20050036915A KR100882283B1 KR 100882283 B1 KR100882283 B1 KR 100882283B1 KR 1020050036915 A KR1020050036915 A KR 1020050036915A KR 20050036915 A KR20050036915 A KR 20050036915A KR 100882283 B1 KR100882283 B1 KR 100882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ontact lens
lens
female
lens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6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4792A (ko
Inventor
정규천
Original Assignee
정규선
정규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규선, 정규천 filed Critical 정규선
Priority to KR1020050036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2283B1/ko
Publication of KR20060114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4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2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2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29D11/0049Double sided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부 금형의 안정된 형합이 가능하고, 또 기포 발생이 방지되어 양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프라스틱 주형(Mould)을 이용한 콘택트렌즈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오목형의 암주형부를 구비한 하부금형과; 렌즈성형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하부금형의 암주형부에 적층 결합되는 볼록형의 숫주형부가 대응되게 형성된 상부금형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금형의 암주형부 외곽으로는 융기부를 중심으로 콘택트렌즈 성형 과정에서 상기 렌즈성형공간으로 부터 빠져나온 일부의 렌즈성형재료가 수용되어지는 챔버가 일체로 구비된 구성이다.
따라서, 콘택트렌즈를 성형하기 위한 상하부 금형의 안정된 형합이 가능하고, 또 상하부 금형의 형합 과정에서 렌즈성형공간으로 부터 빠져나온 렌즈성형재료가 콘택트렌즈 성형과정에서 재 유입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되어 콘택트렌즈의 성형에 따른 고른 압착이 가능하고, 또 변형이나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콘택트렌즈의 성형에 따른 불량률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콘택트렌즈, 상부금형, 하부금형, 숫주형부, 암주형부, 챔버, 융기부, 간격유지편,

Description

콘택트렌즈 제조장치{Contact lens making device}
도1은 종래의 콘택트렌즈 제조장치를 보인 도면들로서;
도1a는 상부 및 하부금형이 형합되기전의 단면도이고,
도1b는 상부 및 하부금형이 형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1c는 콘택트렌즈 성형 과정에서 상부금형이 일방으로 기울여져 불완전하게 형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1d는 종래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콘택트렌즈의 단면도이다.
도2 내지 도7은 본 발명의 제조장치에 따른 실시 예의 도면들로서,
도2는 상부 및 하부금형의 구조를 보인 일부 절개 분해 사시도이고,
도3은 상부 및 하부금형의 조립 단면도이고,
도4 및 도5는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금형의 형합 전 후 상태의 단면도,
도6은 콘택트렌즈 제조장치의 금형이 형합된 상태에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해 제조된 콘택트렌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8 내지 도10은 본 발명의 제조장치에 따른 상부금형의 다른 실시 구조를 보인 도면들로서;
도8은 상부금형의 발췌 사시도이고,
도9는 상부금형의 저면도이며,
도10은 콘택트렌즈 제조를 위해 도8의 상부금형이 하부금형과 상호 형합된 상태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11 및 도12는 도8에 도시된 상부금형의 또 다른 실시 구조를 보인 사시도 및 조립 단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 지지수단의 다른 실시 구조를 보인 조립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콘택트렌즈 200: 상부금형
210: 숫주형 몸체 212: 플랜지
214: 숫주형부 216: 간격유지편들
218: 걸림홈 219: 지지리브
300: 하부금형 310: 암주형 몸체
312: 플랜지 314: 암주형부
315: 융기부 316: 챔버
318: 걸림돌기 400: 렌즈성형공간
500: 분리공간 1200: 완충부
1210: 구멍 1220: 탄성리브
본 발명은 프라스틱 주형(Mould)을 이용한 콘택트렌즈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택트렌즈를 성형하기 위한 상하부 금형의 안정된 형합이 가능하고, 또 상하부 금형의 형합 과정에서 렌즈성형공간으로 부터 빠져나온 렌즈성형재료가 콘택트렌즈 성형과정에서 재 유입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되어 콘택트렌즈의 성형에 따른 고른 압착이 가능하고, 또 변형이나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콘택트렌즈의 성형에 따른 불량률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콘택트렌즈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택트렌즈는 눈의 각막 표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빛을 굴절시켜 시력을 교정하는 것으로서, 안경과는 달리 각막에 직접 고정된 상태로 착용되기 때문에 온도 및 습도차에 의한 임의적인 변화가 발생되지 않음과 더불어 프리즘의 작용이 없고, 상의 배율차도 적으며, 각막 표면의 요철로 인해 생기는 부정난시의 교정이 가능하지는 등의 효과에 의해 일반 안경에 비하여 보다 우수한 광학적 특성을 가질 뿐 아니라 우수한 착용 외관을 제공하게되는 관계로 콘택트렌즈의 착용이 많이 선호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이러한 콘택트렌즈는 통상적으로 플라스틱소재로 이루어진 일회용의 상하부 금형이 사용되고 있는 바, 종래 콘택트렌즈(1)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 제조장치가 도1에 도시되어 있다.
도1a 및 도1b를 참조하여 종래 콘택트렌즈(1)를 성형하기 위한 제조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제조장치는, 한조를 이루는 상하부 금형(2)(3)을 포함한다.상기 상하부 금형(2)(3)으로는 그 상단 주연으로 플랜지(22)(32)가 구비되고, 또 그 하부로는 렌즈성형공간(4)을 형성하기 위한 복록형의 숫주형부(24)와 오목형의 암주형부(34)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금형(3)의 내측 상단부에는 상부금형(2)의 형합시 숫주형부(24)의 대응 외주면이 상호 밀착 지지되는 단차면(36)이 확장 형성되어 있고, 이 단차면(36)을 기점으로 그 상측으로는 상하부 금형(2)(3)의 형합시 상기 렌즈성형공간(4)으로 과도하게 주입된 일부의 렌즈성형재료가 빠져나오는 공간부(5)가 마련되어 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상하부 금형(2)(3)의 콘택트렌즈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콘택트렌즈(1)를 제조하는 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도1a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몰딩시스템의 지지대에 장착된 하부금형(3)의 암주형부(34) 내에 렌즈성형재료를 적당량 주입한 후 그 상측으로 도1b와 같이 상부금형(2)을 상호 형합시키면, 이때 암주형부(34)의 내부로 주입된 렌즈성형재료는 그 상부로 형합되는 상부금형(2)의 숫주형부(24)가 상호 서서히 미끄러져 내려가면서 밀착 지지되는 것에 의해 렌즈성형공간(4)으로 주입된 렌즈성형재료를 균일하게 압착하게 되고, 또 상기 렌즈성형재료가 숫주형부(24)에 의해 압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렌즈성형공간(4)으로 과도하게 주입된 나머지 렌즈성형재료는 상기 단차면(36)을 기점으로 그 상부로 마련된 공간부(5)로 빠져나오게 되고, 상부금형(2)의 숫주형부(24)가 하부금형(3)의 단차면(36)에 완전히 밀착지지되는 것에 의해 렌즈성형공간(4)으로는 소정의 두께와 형태를 갖는 하나의 콘택트렌즈(1)가 성형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콘택트렌즈 제조장치는 상하부 금형(2)(3)의 구조상 다음과 같은 제반 문제점의 발생으로 인해 제품의 생산 불량률(약 50%이상)이 현저하게 높아질 수 밖에 없어 생산성의 저하는 물론 제품 코스트를 상승시키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종래 제조장치에 따르면, 렌즈성형공간(4)을 형성하기 위한 상하부 금형(2)(3)의 숫주형부(24)와 암주형부(34)가 대략 구면 형태로 상호 밀착 지지되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이의 유동을 적절히 방지할 수 있는 자체 제어수단이 전혀 강구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상부금형(2)이 눌려지는 과정에서 도1c와 같이 일측으로 기울어지거나 또는 좌우로 유동되는 현상을 전혀 배제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하부금형(3)에 대하여 상부금형(2)이 눌려질 때 콘택트렌즈(1)의 성형 완료 후 각 금형(2)(3)의 분리 제거를 위해서는 각 금형(2)(3)의 플랜지(22)(33)사이로는 도1b와 같이 도면상 도시되지 않은 분리도구가 끼워질 수 있는 정도의 분리공간(6)이 마련되는 상태로 적정하게 눌려져야 하는데 그 눌려지는 정도가 자체적으로 규제되지 못하기 때문에 상부금형(2)의 적정한 가압 조절이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하부 금형(2)(3)의 형합시 하부금형(3)의 암주형부(34) 내부로 과도하게 주입된 렌즈성형재료의 일부가 빠져나오는 공간부(5)가 단차면(36)을 기점으로 렌즈성형공간(4)의 상부쪽으로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금형(3)에 대한 상부금형(2)의 고른 압착 상태가 콘택트렌즈(1)의 성형이 완료될 때 까지 일정하게 유 지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단차면(36)과 선 접촉되는 숫주형부(24)와의 사이로는 미세한 틈새가 발생될 수 밖에 없고, 이러한 경우 상기 틈새를 통해 공간부(5)내에 수용되어 있던 렌즈성형재료가 그 하부로 위치되는 렌즈성형공간(4)으로 재 유입되는 것을 전혀 방지할 수 없게 된다는 구조상의 현저한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콘택트렌즈 제조장치에 의하면, 상하부 금형의 형합에 따른 불안정성으로 인해 콘택트렌즈 성형두께가 일정하지 않거나, 또는 변형 가능성이 매우 높고, 특히 콘택트렌즈 제조과정 중 상부금형(2)이 기울어지거나 설비의 미세한 진동 등 기타 각종 불안정 요소들에 의해 움직이게 되는 경우 공간부(5)내에 수용되어 있던 렌즈성형재료가 렌즈성형공간(4)으로 다시 흘러들어가게 되어 제조되는 콘택트렌즈(1)의 내부에 다량의 기포가 형성되거나, 또는 도1d와 같이 콘택트렌즈(1)의 단부 가장자리가 렌즈성형재료의 잔류로 인해 깨끗하게 형성되어지지 못하는 등의 각종 장애 요인으로 인해 불량 제품을 량산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피할 수 없는 것이어서,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택트렌즈의 성형을 위한 상하부 금형의 안정된 형합의 유도를 통한 콘택트렌즈 성형 작업의 불안정성을 해소하고, 또 콘택트렌즈 성형과정에서 해당 공간으로부터 빠져나온 잔량의 렌즈성형재료가 렌즈성형공간으로 재 유입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되어 콘택트렌즈의 성형 두께가 항상 일정하고, 또 기 포의 발생을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높이면서도 불량률을 현저하게 다운시킬 수 있도록 한 콘택트렌즈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목형의 암주형부를 구비한 하부금형과; 렌즈성형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하부금형의 암주형부에 적층 결합되는 볼록형의 숫주형부가 대응되게 형성된 상부금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금형과 상부금형과의 사이로는 융기부를 중심으로 콘택트렌즈 성형과정에서 상기 렌즈성형공간으로부터 빠져나온 일부의 렌즈성형재료가 수용되어 지는 챔버가 구비되고, 상기 상 하부금형으로는 상기 상 하부금형의 안정된 형합을 유도하기 위한 결합지지수단이 구비되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하부금형의 암주형부 외곽 하부로 구비된 콘택트렌즈 제조장치에 의해 충분히 달성된다.
삭제
삭제
상기한 결합 지지수단으로는 상부금형의 플랜지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하부금형의 암주형 몸체의 내주면에 밀접 지지 되는 관체상의 지지리브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금형의 측면부 상단 모서리 꺽임 부위로는 간격유지편들을 돌출 형성하여 상부금형의 형합에 따른 배기를 유도함과 동시에 일정한 분리 간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금형으로는 하부금형에 대한 상부금형의 과도한 압력에 의해서도 항상 일정한 가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완충부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고, 이 때 상기 완충부는 장방형 구멍과 탄성리브가 일방향으로만 경사지게 연속적으로 배열 구성된 형태이거나, 또는 상기한 구멍을 "
Figure 112005023217958-pat00001
" 형태로 중간부분이 절곡된 형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조장치에 따른 실시 예의 구조가 도2 내지 도7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먼저 참조하여 설명한다.
콘택트렌즈(100)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는, 크게 플라스틱 소재로 성형되는 상부금형(200)과 하부금형(300)으로 구성된다.
상부금형(200)은 하부금형(300)에 대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눌려지면서 상호 결합되어지고, 이들의 결합에 의해 콘택트렌즈(100)를 성형하기 위한 렌즈성형공간(400)이 마련되어 진다.
상부금형(200)은 숫주형 몸체(210)의 상측 가장자리로는 플랜지(212)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로는 콘택트렌즈(100)를 성형하기 위한 복록형의 숫주형부(2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숫주형 몸체(210)의 외주 측면 둘레로는 결합 지지수단을 구성하기 위한 걸림홈(218)이 요입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숫주형 몸체(210)의 상단과 플랜지(212)의 저면으로는 하부금형 (300)과의 결합시 안정된 받침을 유도하고, 또 일정한 분리공간(500)을 제공하기 위한 간격유지편들(216)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간격유지편들(216)은 대략 숫주형 몸체(210)의 외주면과 플랜지(212)의 외주면을 따라 대략 ‘ㄱ’자 형태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간격유지편들(216)의 구성에 의해 상부금형(200) 및 하부금형(300)의 형합시 일정한 분리공간(500)이 유지될 수 있고, 또 간격유지편들(216)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공간을 통해서 배기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부금형(200)과 하부금형(300)의 형합시 이들 사이로, 예컨대 각 플랜지(212)(312)와의 사이로 일정한 분리공간(500)을 유지해야 하는데, 그 이유는 콘택트렌즈(100)의 성형 완료 후 플랜지(212) 하측으로 도시되지 않은 분리공구를 삽입하여 하부금형(300)에 대하여 상부금형(200)을 신속 용이하게 들어 올려 분리시킨 다음 콘택트렌즈(100)를 취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하부금형(300)의 암주형 몸체(310)의 상단으로는 플랜지(312)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또 그 하부 바닥면 중앙부로는 렌즈성형공간(400)을 마련하기 위하여 상기 숫주형부(214)와 대응되는 오목형의 암주형부(3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암주형부(314)의 외곽 하부로는 콘택트렌즈 제조 과정에서 렌즈성형공간(400)으로부터 빠져나온 일부의 렌즈성형재료가 안정되게 낙하 수용되는 챔버(31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암주형부(314)와 챔버(316)의 사이에는 융기부(315)가 돌출되어 경계를 이루게되는데, 챔버(316)를 상기 융기부(315)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일정 깊 이 요입 형성하므로서, 콘택트렌즈(100)의 성형시 암주형부(314)와 숫주형부(214)의 상호 밀착에 의해 상기 렌즈성형공간(400)을 채우고난 나머지의 렌즈성형재료가 챔버(316)내로 낙하 수용되더라도 다시 융기부(315)를 넘어 렌즈성형공간(400)으로 재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융기부(315)의 표면은 도3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316) 측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하여 챔버(316)로 저장되는 렌즈성형재료 가 상기 융기부(315)의 표면 경사도에 의해 상기 표면에 잔류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챔버(316)로 흘러내려 가도록 유도함으로써, 렌즈성형재료의 역류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금형(300)의 암주형 몸체(310)의 내주면으로는 숫주형 몸체(210)로 형성된 결합 지지수단의 걸림홈(218)에 상호 탄성 결합되는 복수개의 걸림돌기(318)가 대응 위치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걸림홈(218) 및 걸림돌기(318)의 결합 지지수단의 구성에 의해 상부금형(200)및 하부금형(300)은 형합시 일방으로 기울어짐 없이 항상 안정된 결합이 가능하게 되고, 또 이들의 결합에 의해 임의적인 분리가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 숫주형 몸체(210)로 형성된 걸림홈(218)에 걸림되는 암주형 몸체(310)의 걸림돌기(318)는 상기 하부로 숫주형 및 암주형 몸체(210)(310)의 외주면 및 내주면이 하부로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대응 설치되고, 또 이들이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되기 때문에 소재의 특성상 이들의 결합시 어느 정도의 탄성력이 발휘되기 때문에 암주형 몸체(310)의 내부에 대하여 숫주형 몸체(210)를 강제로 밀어 넣을 때 이들에 형성된 걸림돌기(318) 및 걸림홈(218)은 서로 탄성적인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주형 몸체(310)로 형성된 걸림돌기(318)가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숫주형 몸체(210)의 걸림홈(218)에 대한 탄성적인 결합은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한 실시 예의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콘택트 렌즈(100)를 제조하는 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도4와 같이 분리 상태에 있는 하부금형(300)의 암주형부(314) 내에 적당량의 렌즈성형재료를 주입한다. 이 때 렌즈성형재료는 통상적으로 하나의 콘택트렌즈의 성형에 따른 소요량 보다는 더 주입되어 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5와 같이 하부금형(300)의 상부로 상부금형(200)을 위치 시킨 다음 도시되지 않은 실린더장치 등의 가압부재를 이용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면, 상부금형(200)은 하부금형(300)에 대하여 간격유지편들(216)에 의해 사방이 안정적으로 고루 받침되어지고, 또 동시에 숫주형부(214)가 암주형부(314)에 상호 결합되어지면서 이들 사이의 렌즈성형공간(400)으로 렌즈성형재료는 상기 숫주형부(214) 및 암주형부(314)의 상호 밀착에 의해 기포 발생없이 전체면이 고르게 단단히 눌려지게 되면서 성형되어 진다.
한편, 상기한 숫주형부(214)와 암주형부(314)의 상호 결합에 의해 렌즈성형공간(400)을 채우고 난 일부의 렌즈성형재료, 예컨대 암주형부(314)내에 과 주입된 렌즈성형재료는 콘택트렌즈(100)의 단부를 구성하는 융기부(315)를 넘어 하부금형(300)의 외곽 하부로 낮게 형성된 챔버(316)로 빠져나와 낙하 수용되어 진다.
그리고, 상부금형(200) 및 하부금형(300)의 형합시 숫주형부(214) 및 암주형부(314)의 상호 결합에 따른 에어는 상부금형(200)의 구비된 간격유지편들(216)에 의해 생성되는 미세한 공간을 통해 외부로 배기되어지기 때문에 형합에 따른 저항을 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렌즈성형공간(400)에 채워지는 렌즈성형재료는 하부금형(300)에 대하여 상부금형(200)이 좌우 유동됨 없이 일정한 분리공간(500)이 마련되는 상태로 항상 안정적으로 가압 조작되어지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성형되는 콘택트렌즈의 성형 두께가 항상 일정하게 된다.
또한, 도4의 상태에서 도5의 상태로 상부금형(200)이 하부금형(300)에 대하여 눌려져 협합될 때 간격유지편들(216)에 의한 안정된 받침 및 과도한 가압이 방 지되고, 또 숫주형 몸체(210)로 형성된 걸림홈(218)으로 암주형 몸체(310)로 형성된 걸림돌기(318)가 상호 탄성 결합되는 것에 의해 암주형부(314)에 대한 숫주형부(214)의 일정한 압력 유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각 금형(200)(300)의 형합 과정에서 설비의 흔들림 등 각종 외부 작업 환경 요인에 의해서도 상하부 금형(200)(300)의 임의적인 분리가 방지되고, 또 융기부(315)를 넘어 암주형부(314)의 외곽으로 형성된 챔버(316)에 낙하 수용된 잔량의 렌즈성형재료 역시 비록 도6과 같이 상하부 금형(200)(300)이 일방으로 기울어진다 하더라도 상기 융기부(315)를 다시 넘어 렌즈성형공간(400)으로 재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렌즈성형공간(400)에 채워진 렌스성형재료에 대한 일정한 두께 압력의 제공이 가능함은 물론 챔버(316)에 수용된 렌즈성형재료가 렌즈성형공간(400)으로 재 유입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되기 때문에 그로 인한 기포발생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렌즈성형공간(400)에서의 콘택트렌즈(100)의 성형이 완료되면, 간격유지편들(216)에 의해 상부 및 하부금형(200)(300)과의 사이로 마련된 분리공간(500)으로 도시되지 않은 분리공구를 이용하여 상부 및 하부금형(200)(300)을 강제로 분리시킨 다음 렌즈성형공간(400)으로부터 콘택트렌즈(100)를 취출하는 것에 의해 도7과 같은 콘택트렌즈(100)가 생산되어지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조장치에 따른 상부금형(200)의 다른 실시 예가 도8 내지 도10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상부금형(200)의 다른 실시 구조에 의하면, 도2 내지 도7에 도시된 제조장치의 상부금형과 비교할 때 상부금형(200)으로 과도한 압력이 작용되더라도 이 를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있는 완충부(1200)가 숫주형 몸체(210)의 하부, 더욱 상세하게는 걸림홈(218)과 숫주형부(214)와의 사이로 더 구비된 구성 이외에는 구성상의 다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표시하고, 그에 대한 작용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완충부(1200)는 장방형 구멍(1210)과 탄성리브(1220)가 일방향으로만 경사지게 연속적으로 배열 구성된 형태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한 완충부(1200)의 장방형 구멍(1210)과 탄성리브(1220)의 반복적인 배열 구성에 의해 비록 상부금형(200)이 하부금형(300)에 대하여 필요 이상의 압력으로 눌려지더라도 해당 압력이 하부금형(300)에 그대로 전달되지 않고 상쇄되기 때문에 적정한 압력의 유지가 가능하게 되고, 또 상부금형(200)의 가압 조작시 일방향으로 경사진 장방형의 구멍(1210)과 탄성리브(1220)의 구성에 의해 숫주형부(214)가 완충부(1200)를 매개로 암주형부(314)에 대하여 그 경사진 각도 만큼 회동 조작되면서 렌즈성형공간(400)내에 채워지는 렌즈성형재료를 고루 가압하는 작용을 통해 렌즈성형공간(400)에 채워진 렌즈성형재료의 기포 발생 현상을 더욱 줄여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11 및 도12에는 도8내지 도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조장치에 따른 상부금형(200)으로 형성된 완충부(1200)의 다른 실시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 바, 상기한 완충부(1200)의 구멍(1210)을 "
Figure 112005023217958-pat00002
" 형태로 중간부분이 꺽이도록 절곡 형성하여 하부금형(300)에 대한 상부금형(200)의 과도한 압착시 해당 숫주형부(214)가 암주형부(314)에 대하여 항상 적정한 압력이 작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 고는 동일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표시하고, 그에 대한 작용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하부 금형(200)(300)의 결합 지지수단의 다른 실시 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도13을 참조하면, 상부금형(200)의 플랜지(212)의 하부로만 관체상의 지지리브(219)를 더 돌출 형성하여 하부금형(300)과의 형합시 상기 하부금형(300)의 암주형 몸체(310)의 내주면에 밀착 지지되도록 하여 상부금형(200) 및 하부금형(300)의 형합에 따른 좌우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및 하부금형의 안정되고 균형된 형합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렌즈성형재료의 압력 불균형의 해소가 가능하고, 또 장치의 유동이나 설비의 흔들림 등에 의해서도 상하부 금형의 임의적인 분리가 방지되며, 또 잔량의 렌즈성형재료가 수용되는 챔버가 융기부를 중심으로 암주형부의 외곽 하부로 낮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챔버로 빠져나와 수용된 렌스성형재료가 콘택트렌즈 성형 과정에서 외부 요인들에 의해 상기 융기부를 넘어 렌즈성형공간으로 재 유입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서, 기포 생성으로 인한 제품의 불량률을 현저하게 줄이면서도 양질의 고 품질 제품을 생산해 낼 수 있는 이점을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금형으로 구비된 완충부를 통해 상부금형에 대한 과도한 압력이 작용되더라도 이를 적절히 상쇄시킬 수 있고, 또 고루 압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렌즈성형재료에 대한 적정한 압력의 유지 및 기포발생 형상을 더욱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갖는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9)

  1. 오목형의 암주형부(314)를 구비한 하부금형(300)과; 렌즈성형공간(400)이 마련되도록 상기 하부금형(300)의 암주형부(314)에 적층 결합되는 볼록형의 숫주형부(214)가 대응되게 형성된 상부금형(20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금형(300)과 상부금형(200)과의 사이로는 융기부(315)를 중심으로 콘택트렌즈 성형과정에서 상기 렌즈성형공간(400)으로부터 빠져나온 일부의 렌즈성형재료가 수용되어 지는 챔버(316)가 구비되되, 상기 챔버(316)는 상기 하부금형(300)의 암주형부(314) 외곽 하부로 구비되게 형성하고, 상기 상 하부금형(200)(300)으로는 상기 상 하부금형의 안정된 형합을 유도하기 위한 결합지지수단이 구비되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결합 지지수단은, 상부금형(200)의 플랜지(212)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하부금형(300)의 암주형 몸체(310)의 내주면과 밀접되는 관체상의 지지리브(219)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200)의 측면부 상단 모서리 꺽임 부위로는 배기 유도 및 분리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간격유지편들(216)이 더 돌출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200)으로는 하부금형(300)에 대한 과도한 압력 작용시 이를 상쇄시키기 위한 완충부(1200)가 더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1200)는 장방형의 구멍(1210)과 탄성리브(1220)가 일 방향으로만 경사지게 연속적으로 배열 구성된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제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1200)의 장방형 구멍(1210)은 “<” 모양으로 중간부분이 꺽여진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의 제조장치.
KR1020050036915A 2005-05-03 2005-05-03 콘택트렌즈 제조장치 KR100882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915A KR100882283B1 (ko) 2005-05-03 2005-05-03 콘택트렌즈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915A KR100882283B1 (ko) 2005-05-03 2005-05-03 콘택트렌즈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792A KR20060114792A (ko) 2006-11-08
KR100882283B1 true KR100882283B1 (ko) 2009-03-06

Family

ID=37652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6915A KR100882283B1 (ko) 2005-05-03 2005-05-03 콘택트렌즈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22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689B1 (ko) * 2010-02-04 2012-04-19 (주)콘텍코리아 콘택트렌즈용 몰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5779A (en) * 1987-12-15 1989-09-1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Lens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KR0160779B1 (ko) * 1990-03-16 1999-01-15 로트베른하르트엠, 발덱 베르너 콘택트 렌즈 주형 모울드
US6071111A (en) 1997-05-20 2000-06-06 Menicon Co., Ltd. Mold assembly for forming contact lens blank
KR20020047139A (ko) * 1999-09-03 2002-06-21 추후제출 콘텍트 렌즈 제조에 사용하는 몰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5779A (en) * 1987-12-15 1989-09-1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Lens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KR0160779B1 (ko) * 1990-03-16 1999-01-15 로트베른하르트엠, 발덱 베르너 콘택트 렌즈 주형 모울드
US6071111A (en) 1997-05-20 2000-06-06 Menicon Co., Ltd. Mold assembly for forming contact lens blank
KR20020047139A (ko) * 1999-09-03 2002-06-21 추후제출 콘텍트 렌즈 제조에 사용하는 몰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792A (ko) 200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9522B2 (en) Flexible eyewear frame with rigid lens retainer
JP2007065017A (ja) レンズ保持鏡筒
KR100882283B1 (ko) 콘택트렌즈 제조장치
JP2006198838A (ja) プラスチック成形用金型
US7007310B2 (en) Integrated swimming goggles mechanism
WO2004030898A1 (en) Method and aparatus for dry releasing lenses from an anterior mold half
KR101563087B1 (ko)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US20060240138A1 (en) Contact lens mould
KR101155976B1 (ko) 완전 자동화 콘택트렌즈 제조용 주형몰드
KR101707003B1 (ko) 소프트 콘텍트 렌즈 제조용 몰드
JP7111569B2 (ja) 光学素子、光学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素子成形用金型
KR100623241B1 (ko) 초소형 로드타입 유리렌즈의 성형용 금형과 성형방법
US20160231591A1 (en) Eyewear having compression hinges
KR101808565B1 (ko) 몰드 성형판
TWI604245B (zh) 眼鏡換片結構
CN217803122U (zh) 一种一次成型的镜片注塑表底壳
KR101596579B1 (ko) 콘택트렌즈 제조몰드
TWM544022U (zh) 眼鏡換片結構
CN206321817U (zh) 一种预埋式光纤快速连接器
KR200451065Y1 (ko) 사각형 광학유리 렌즈
TWM343166U (en) Square optical glass lens
KR200399570Y1 (ko) 도수가 표시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성형장치 및 그장치에 의해 제조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JP6460456B2 (ja) ゴム成形金型およびその金型で成形した成形ゴム中間製品
TWM585360U (zh) 眼鏡改良結構
JP4351554B2 (ja) 枠体用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