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6787B1 - Decorative sheet for floor material and decorative material for floor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ecorative sheet for floor material and decorative material for floor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6787B1
KR100876787B1 KR1020067022697A KR20067022697A KR100876787B1 KR 100876787 B1 KR100876787 B1 KR 100876787B1 KR 1020067022697 A KR1020067022697 A KR 1020067022697A KR 20067022697 A KR20067022697 A KR 20067022697A KR 100876787 B1 KR100876787 B1 KR 100876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sin
flooring
transparen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26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09656A (en
Inventor
히로아끼 나까야마
겐 기무라
가요 이시하라
히로시 마스다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9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96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7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05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04F15/02033Joints with beveled or recessed upper edges

Abstract

본 발명은 백커층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양호한 내스크래치성, 내캐스터성, 내충격성 등을 발휘하는 바닥재용 화장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바닥용 화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 시트 상에 장식층, 두께 150 내지 500 ㎛의 투명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및 투명성 표면 보호층을 적어도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바닥재용 화장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바닥용 화장재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ooring makeup sheet exhibiting good scratch resistance, caster resistance, impact resistance and the like even without forming a backer layer, and a flooring cosmetic material us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comprises a decorative sheet for a flooring material comprising a decorative layer, a transparent polyolefin-based resi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50 to 500 μm, and a transparent surface protective layer at least in order, on a base sheet made of a polyolefin resin, and a floor using the same. Provides cosmetics.

바닥재용 화장 시트, 바닥용 화장재, 장식층,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투명성 표면 보호층, 착색제, 결착제 수지, 용제, 내캐스터성 Flooring decorative sheet, flooring decorative material, decorative layer, polyolefin resin layer, transparent surface protective layer, colorant, binder resin, solvent, caster resistance

Description

바닥재용 화장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바닥용 화장재{DECORATIVE SHEET FOR FLOOR MATERIAL AND DECORATIVE MATERIAL FOR FLOOR USING THE SAME}Flooring make-up sheet and flooring make-up using it {DECORATIVE SHEET FOR FLOOR MATERIAL AND DECORATIVE MATERIAL FOR FLO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바닥재용 화장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바닥용 화장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ing decorative sheet and a flooring decorative materi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바닥용 화장재는, 예를 들면 단독 주택, 아파트, 맨션, 보양소, 점포 등의 건축물에 있어서의 바닥재로서 유용하다.The flooring decorative material of this invention is useful as flooring materials in buildings, such as a single house, an apartment, an apartment, a nursing home, and a store, for example.

종래, 바닥용 화장재로서는 목질 합판에 목질 화장 단판을 점착하여 도장한 것, 목질 합판과 중밀도 섬유판(MDF)을 점착한 후, 추가로 MDF측에 목질 화장 단판을 점착하여 도장한 것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Conventionally, the floor cosmetics are those in which a wooden decorative end plate is adhered to a wooden plywood and coated, and after the wooden plywood and a medium density fiber board (MDF) are adhered to each other, the wooden cosmetic end plates are further adhered to the MDF side. It is widely known.

그러나, 목질 화장 단판은 천연 목재를 얇게 슬라이스한 것이어서, 목재 자원의 고갈 문제 및 세계적인 자원 보호 운동의 고조를 고려하면 사용을 삼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최근에는 천연 목재의 목질 화장 단판 대신에 나무결 모양 등을 인쇄에 의해 인공적으로 표현한 화장 시트가 이용되고 있다. However, since the wood veneer is a thin slice of natural wood, it is desirable to refrain from using it in view of the depletion of wood resources and the heightening of the global resource protection movement. In recent years, instead of the natural wood veneer veneer, a decorative sheet artificially expressing wood grains by printing has been used.

화장 시트를 이용한 바닥용 화장재는 의장 표현에 자유도가 있다. 또한, 화장 시트는 합성 재료이기 때문에 내후성 및 내수성이 우수하다. Floor decorative material using the makeup sheet has a degree of freedom in design expression. Moreover, since a makeup sheet is a synthetic material, it is excellent in weatherability and water resistance.

그러나, 화장 시트를 이용한 바닥용 화장재는 목질 화장 단판을 이용한 종전 의 바닥용 화장재보다 표면이 훨씬 평활하면서 균질하고, 흠집이 생기면 상대적으로 눈에 띄기 쉽다는 결점이 있다.However, the floor cosmetic material using the makeup sheet has a drawback that the surface is much smoother and more homogeneous than the previous floor cosmetic material using a wood cosmetic veneer, and is relatively easy to see when scratches occur.

또한, 최근에는 실내 분위기의 양식화 및 무장애(Barrier-Free)화 등에 따라, 캐스터 장착 가구, 휠체어 등의 실내에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어, 바닥용 화장재에 대하여 내캐스터성의 부족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이는 소면적에 대하중을 걸어 차륜이 전동할 때에 바닥용 화장재의 표면에 궤적을 따라 패임부가 남는다는 문제이다. 또한, 딱딱한 물건이 바닥용 화장재의 표면에 낙하했을 때에 패임부가 남는다는 내충격성 부족 문제도 지적되고 있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the use of indoor furniture such as casters, furniture, wheelchairs, and the like has increased due to the development of indoor atmosphere and barrier-free, and the problem of lack of caster resistance has been pointed out for flooring decorative materials. . This is a problem that a recess is left along the trajectory on the surface of the floor cosmetic material when the wheel is driven by applying a large load to the small area. Moreover, the problem of lack of impact resistance that a recessed part remains when a hard object falls to the surface of the floor cosmetic material is also pointed out.

상기 내스크래치성, 내캐스터성 등의 문제를 개선하는 기술은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1277호 공보에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1277호 공보는 목질 기재의 표면에 화장 시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화장재에 있어서, 상기 목질 기재와 상기 화장 시트 사이에 고경도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질 시트층을 설치하는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경질 시트층은 소위 백커층(backer layer)으로서, 바닥재용 화장 시트에 경도, 강도 등을 부여하는 보강층이다. Techniques for improving such scratch resistance, cast resistance, and the like have been proposed in, for examp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3-11277.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3-11277 proposes a configuration in which a hard sheet layer made of a material of high hardness is provided between the wood substrate and the makeup sheet in a cosmetic material provided with a makeup sheet on the surface of the wood substrate. Doing. Here, the hard sheet layer is a so-called backer layer, which is a reinforcing layer for imparting hardness, strength, and the like to the flooring makeup sheet.

상기 백커층을 갖는 바닥재용 화장 시트를 이용한 바닥용 화장재는 강도, 경도 등의 면에서 종래품보다 우위성이 있다. 그런데, 백커층을 갖는 바닥재용 화장 시트의 제조에는 백커 부분을 그 이외의 부분(예를 들면, 인쇄 시트)과 접합시키는 공정이 필요하고, 상기 공정에서는 제품 손실이 발생하여 쉬운 경향이 있다. The floor covering material using the floor covering sheet having the backer layer has an advantage over the conventional products in terms of strength, hardness, and the like. By the way, the manufacture of the flooring decorative sheet | seat which has a backer layer requires the process of joining a backer part with another part (for example, a printing sheet), and there exists a tendency for a product loss to occur in the said process and it is easy.

<발명의 개시><Start of invention>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Problems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은 백커층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양호한 내스크래치성, 내캐스터성, 내충격성 등을 발휘하는 바닥재용 화장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or covering cosmetic sheet that exhibits good scratch resistance, caster resistance, impact resistance and the like even without forming a backer lay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닥재용 화장 시트를 이용한, 양호한 내스크래치성, 내캐스터성, 내충격성 등을 갖는 바닥용 화장재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ooring cosmetic material having good scratch resistance, caster resistance, impact resistance and the like, using the flooring makeup sheet.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특정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을 적어도 갖는 바닥재용 화장 시트가 상기 목적을 달성함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MEANS TO SOLVE THE PROBLEM As a result of earnestly researching in order to achieve the said objective, it discovered that the makeup sheet | seat for flooring materials which has a specific polyolefin resin layer at least achieves the said objective, and came to complete this invention.

즉, 본 발명은 하기 바닥재용 화장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바닥용 화장재에 관한 것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ing material for flooring and a flooring material using the same.

1.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 시트 상에 장식층, 두께 150 내지 500 ㎛의 투명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및 투명성 표면 보호층을 적어도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바닥재용 화장 시트. 1. A decorative sheet for floor coverings formed by laminating a decorative layer, a transparent polyolefin resi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50 to 500 µm, and a transparent surface protective layer at least in order on a base sheet made of a polyolefin resin.

2.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 시트 상에, 패턴 모양층, 투명성 접착제층, 두께 150 내지 500 ㎛의 투명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층, 및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지는 투명성 표면 보호층을 적어도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항 1에 기재된 바닥재용 화장 시트. 2. On the base sheet which consists of polyolefin resin, the pattern shape layer, the transparent adhesive bond layer, the transparent polypropylene resin layer of 150-500 micrometers in thickness, and the transparent surface protection layer which consists of ionizing radiation hardening type resin are laminated | stacked at least in order, The cosmetic sheet for flooring materials of Claim 1 which consists of these.

3. 투명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층이 호모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고, 이 수지층 단독의 인장 탄성률이 1000 MPa 이상인, 상기 항 2에 기재된 바닥재용 화장 시트. 3. Transparency The polypropylene resin layer contains homopolypropylene, and the cosmetic sheet for flooring according to item 2, wherein the tensile modulus of the resin layer alone is 1000 MPa or more.

4. 기재 시트와 패턴 모양층 사이에 추가로 착색 은폐층이 적층되어 있는, 상기 항 2에 기재된 바닥재용 화장 시트. 4. The decorative sheet for flooring according to item 2, wherein a colored concealment layer is further laminated between the base sheet and the patterned layer.

5. 투명성 표면 보호층의 겉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항 2에 기재된 바닥재용 화장 시트. 5. The decorative sheet for flooring according to item 2, wherein irregularitie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rface protective layer.

6.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 시트 상에 장식층, 두께 300 내지 500 ㎛의 투명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및 두께 3 내지 30 ㎛의 투명성 표면 보호층을 적어도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항 1에 기재된 바닥재용 화장 시트. 6. The layer according to item 1, wherein a decorative layer, a transparent polyolefin resi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300 to 500 µm, and a transparent surface protect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3 to 30 µm are laminated at least in order on a base sheet made of a polyolefin resin. Floor covering sheet.

7. 투명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의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호모폴리프로필렌인, 상기 항 6에 기재된 바닥재용 화장 시트. 7. The decorative sheet for flooring according to item 6, wherein the polyolefin resin of the transparent polyolefin resin layer is homopolypropylene.

8. 투명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의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호모폴리프로필렌70 중량%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항 6에 기재된 바닥재용 화장 시트. 8. The decorative sheet for flooring according to item 6, wherein the polyolefin resin of the transparent polyolefin resin layer is made of 70% by weight or more of homopolypropylene.

9. 호모폴리프로필렌이 융점 150 내지 170 ℃인, 상기 항 6에 기재된 바닥재용 화장 시트. 9. The decorative sheet for flooring according to item 6, wherein the homopolypropylene has a melting point of 150 to 170 ° C.

10.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 시트가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인, 상기 항 6에 기재된 바닥재용 화장 시트. 10. The decorative sheet for flooring according to item 6, wherein the base sheet made of polyolefin resin is a polypropylene resin film or a polyethylene resin film.

11. 상기 항 2 또는 6에 기재된 바닥재용 화장 시트의 기재 시트측을 피착재에 점착시켜 이루어지는 바닥용 화장재. 11. Floor decorative material which sticks the base-material sheet side of the floor covering decorative sheet of Claim 2 or 6 to a to-be-adhered material.

이하, 본 발명의 바닥재용 화장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바닥용 화장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makeup sheet for a floor cove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loor cosmetic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바닥재용 화장 시트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 시트 상에 장식층, 두께 150 내지 500 ㎛의 투명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및 투명성 표면 보호층을 적어도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진다. The decorative sheet for floor cove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laminating a decorative layer, a transparent polyolefin resi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50 to 500 µm, and a transparent surface protective layer at least in order on a base sheet made of a polyolefin resin.

본 발명의 바닥재용 화장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바닥용 화장재로서는 구체적으로 하기 실시양태 1 및 2에 나타내는 것을 들 수 있다. 이하, 실시양태 1 및 2에 대하여 설명한다. Specific examples of the decorative sheet for floor cove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loor decorative material using the same include those shown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1 and 2. Hereinafter, Embodiments 1 and 2 will be described.

1. 실시양태 1의 1. of Embodiment 1 바닥재용For flooring 화장 시트 및 바닥용  For crematorium sheets and floors 화장재Cosmetic

실시양태 1의 바닥재용 화장 시트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 시트 상에 패턴 모양층, 투명성 접착제층, 두께 150 내지 500 ㎛의 투명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층, 및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지는 투명성 표면 보호층을 적어도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진다. The decorative sheet for flooring material of Embodiment 1 is a pattern surface layer, the transparent adhesive bond layer, the transparent polypropylene resin layer of 150-500 micrometers in thickness, and the transparent surface protection layer which consists of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on the base material sheet which consists of polyolefin resins. It is made by laminating at least in order.

기재 시트Substrate sheet

기재 시트로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를 이용한다. 통상적으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사용하면 바람직하다.As the base sheet, a sheet made of polyolefin resin is used. Usually, it is preferable to use the film which consists of polyolefin resin.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화장 시트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메틸펜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이 바람직하다. The polyolefin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ose commonly used in the field of cosmetic sheets can be used. Examples thereof include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butene, polymethylpentene, ethylene-propylene copolymer,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thylene-acrylic acid copolymer, ethylene-propylene-butene copolymer, polyolefin thermoplastic elastomer, and the like. Can be. Among these, polypropylene, polyolefin thermoplastic elastomer, and the like are particularly preferable.

폴리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단독 또는 공중합체도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호모폴리프로필렌 수지, 랜덤 폴리프로필렌 수지, 블록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결정부를 갖고, 또한 프로필렌 이외의 탄소수 2 내지 20의α-올레핀을 들 수 있다. 그 밖에, 에틸렌, 부텐-1,4-메틸펜텐-1, 헥센-1 또는 옥텐-1의 공단량체를 15몰% 이상 함유하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도 바람직하다.Single or copolymers containing polypropylene as a main component are also preferable, and have, for example, a homopolypropylene resin, a random polypropylene resin, a block polypropylene resin, and a polypropylene crystal portion, and have a C 2 to 20 carbon other than propylene. -Olefins are mentioned. In addition, a propylene-α-olefin copolymer containing 15 mol% or more of a comonomer of ethylene, butene-1,4-methylpentene-1, hexene-1, or octene-1 is also preferable.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하드 세그먼트에 고결정성이면서 고융점의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소프트 세그먼트에 유리 전이 온도가 -70 ℃ 이하인 비정질성 폴리에테르를 사용한 블록 중합체이다. 특히,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하드 세그먼트와 어택틱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소프트 세그먼트를 중량비 80:20으로 혼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Polyolefin-based thermoplastic elastomers are block polymers that use a highly crystalline, high-melting aromatic polyester for hard segments and an amorphous polyeth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70 ° C. or less for soft segments.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mix a hard segment made of isotactic polypropylene and a soft segment made of atactic polypropylene in a weight ratio of 80:20.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예를 들면 캘린더법, 인플레이션법, T 다이 압출법 등에 의해 필름상으로 하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make polyolefin resin into a film form, for example by a calender method, an inflation method, a T-die extrusion method, etc.

기재 시트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제품 특성에 따라 설정할 수 있지만, 통상 40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 정도이다. Although the thickness of a base material sheet is not specifically limited, Although it can set according to a product characteristic, it is 40-150 micrometers normally, Preferably it is about 50-100 micrometers.

기재 시트에는 필요에 따라 첨가제가 배합될 수 있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탄산칼슘, 점토 등의 충전제,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난연제, 산화 방지제, 윤활제, 발포제, 착색제(하기 참조) 등을 들 수 있다. 첨가제의 배합량은 제품 특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An additive may be mix | blended with a base sheet as needed. Examples of the additive include fillers such as calcium carbonate and clay, flame retardants such as magnesium hydroxide, antioxidants, lubricants, foaming agents, and coloring agents (see below). The compounding quantity of an additive can be set suitably according to a product characteristic.

착색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안료, 염료 등의 공지된 착색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티탄백, 아연화, 철단, 주홍색, 군청색, 코발트 블루, 티탄황, 황연, 카본 블랙 등의 무기 안료; 이소인돌리논, 한자 옐로우 A, 퀴나크리돈, 퍼머넌트 레드 4R, 프탈로시아닌 블루, 안단트렌 블루 RS, 아닐린블랙 등의 유기 안료(염료도 포함); 알루미늄, 놋쇠 등의 금속 안료; 이산화티탄 피복 운모, 염기성 탄산납 등의 호일 분말로 이루어지는 진주 광택(펄) 안료등을 들 수 있다. 기재 시트의 착색 양태에는 투명 착색과 불투명 착색(은폐 착색)이 있고, 이들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착재(화장 시트를 접착하는 기재)의 바탕색을 착색 은폐하는 경우에는 불투명 착색을 선택하면 바람직하다. 한편, 피착재의 바탕 모양을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는 투명 착색을 선택하면 바람직하다. A coloring agent is not specifically limited, Well-known coloring agents, such as a pigment and dye, can be used. For example, Inorganic pigments, such as a titanium bag, zincation, a steel sheet, scarlet, ultramarine blue, cobalt blue, a titanium sulfur, sulfur lead, carbon black; Organic pigments (including dyes) such as isoindolinone, kanji yellow A, quinacridone, permanent red 4R, phthalocyanine blue, andanthrene blue RS, and aniline black; Metal pigments such as aluminum and brass; And pearlescent pigments composed of foil powder such as titanium dioxide coated mica and basic lead carbonate. The coloring aspect of a base material sheet has transparent coloring and opaque coloring (hiding coloring), These can be selected arbitrarily. For example, when color concealing the background color of the adherend (base material for adhering the cosmetic sheet), it is preferable to select opaque coloring.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background of the adherend can be visually seen, it is preferable to select transparent coloring.

기재 시트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는 필요에 따라 코로나 방전 처리, 오존 처리, 플라즈마 처리, 전리 방사선 처리, 중크롬산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기재 시트 표면의 표면 장력이 30 dyne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dyne 이상이 되도록 하면 바람직하다. 표면 처리는 각 처리의 통상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Surface treatments such as corona discharge treatment, ozone treatment, plasma treatment, ionizing radiation treatment, and dichromic acid treatment can be applied to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substrate sheet as necessary. For example, when performing corona discharge treatment, it is preferable to make it the surface tension of the surface of a base material sheet 30 dyne or more, Preferably it is 40 dyne or more. Surface treatment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of each treatment.

기재 시트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는 필요에 따라 프라이머층(예를 들면, 피착재의 접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이면 프라이머층, 패턴 모양층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프라이머층)을 설치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을 설치함으로써, 인접층(예를 들면, 피착재)과의 층간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A primer layer (for example, a back primer layer for facilitating adhesion of a to-be-adhered material, a primer layer for facilitating formation of a pattern shape layer) can be provided in one side or both surfaces of a base material sheet as needed. By providing a primer layer, interlayer adhesion with an adjacent layer (for example, to-be-adhered material) can be improved.

프라이머층은 공지된 프라이머제를 기재 시트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프라이머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우레탄 수지계 프라이머제, 우레탄-셀룰로오스계 수지(예를 들면, 우레탄과 질화면의 혼합물에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제 등을 들 수 있다. The primer layer can be formed by applying a known primer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base sheet. Examples of the primer include a urethane resin primer composed of an acrylic modified urethane resin and the like, and a primer composed of a urethane-cellulose resin (for example, a resin obtained by adding hexamethylene diisocyanate to a mixture of urethane and vaginal screen). Etc. can be mentioned.

프라이머제의 도포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0.1 내지 100 g/㎡,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g/㎡ 정도이다. Although the application amount of a primer agent is not specifically limited, Usually, it is 0.1-100 g / m <2>, Preferably it is about 0.1-50 g / m <2>.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0.01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 정도이다. Although the thickness of a primer layer is not specifically limited, Usually, it is 0.01-10 micrometers, Preferably it is about 0.1-1 micrometer.

패턴 모양층(Pattern Shape Layer ( 장식층Decorative layer ))

기재 시트 위(피착재를 점착시키는 면과는 반대면, 이하 각 층에 있어서 동일 측을 가리킴)에는 패턴 모양층이 형성되어 있다. 패턴 모양층은 바닥재용 화장 시트에 장식을 실시하는 층으로서, 장식층 중 하나이다. The pattern shape layer is formed on the base material sheet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which adhere | attaches an adherend, and points to the same side in each layer below). A pattern shape layer is a layer which decorates a decorative sheet for flooring materials, and is one of decorative layers.

패턴 모양층은 바닥재용 화장 시트에 원하는 패턴에 의한 의장성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패턴의 종류 등은 특별히 한정적이지 않다. 예를 들면, 나무결 모양, 돌결 모양, 모래결 모양, 타일조 모양, 벽돌조 모양, 옷감결 모양, 가죽 무늬 모양, 기하학 도형, 문자, 기호, 추상 모양 등을 들 수 있다.A pattern shape layer provides designability by a desired pattern to the makeup sheet for flooring materials, and the kind of pattern etc. are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wood grain, stone grain, sand grain, tile pattern, brick pattern, cloth texture, leather pattern, geometric figure, character, symbol, abstract shape, etc. are mentioned.

패턴 모양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공지된 착색제(염료 또는 안료)를 결착재 수지와 함께 용제(또는 분산매) 중에 용해(또는 분산)시켜 얻어지는 착색 잉크, 코팅제 등을 이용한 인쇄법 등에 의해 형성하면 바람직하다.The formation method of a pattern shape layer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using the coloring ink, coating agent, etc. which are obtained by melt | dissolving (or disperse | distributing) a well-known coloring agent (dye or pigment) with a binder resin in a solvent (or a dispersion medium). It is preferable to form by a printing method or the like.

착색제로서는, 예를 들면 카본 블랙, 티탄백, 아연화, 철단, 감청, 카드뮴 레드 등의 무기 안료; 아조 안료, 레이크 안료, 안트라퀴논 안료, 퀴나크리돈 안료, 프탈로시아닌 안료, 이소인돌리논 안료, 디옥사진 안료 등의 유기 안료; 알루미늄 분말, 브론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안료; 산화티탄 피복 운모, 산화염화비스무스 등의 진주 광택 안료; 형광 안료; 야광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착색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착색제에는 실리카 등의 충전재, 유기 비드 등의 체질 안료, 중화제, 계면 활성제 등을 추가로 배합할 수 있다.As a coloring agent, For example, inorganic pigments, such as carbon black, a titanium bag, zincation, iron group, a blue tap, cadmium red; Organic pigments such as azo pigments, lake pigments, anthraquinone pigments, quinacridone pigments, phthalocyanine pigments, isoindolinone pigments and dioxazine pigments; Metal powder pigments such as aluminum powder and bronze powder; Pearlescent pigments such as titanium oxide coated mica and bismuth oxide chloride; Fluorescent pigments; Luminous pigments and the like. These coloring agents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mixture of 2 or more types. In these coloring agents, fillers such as silica, extender pigments such as organic beads, neutralizing agents, surfactants and the like can be further blended.

결착제 수지(비히클)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염소화폴리올레핀계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알키드계 수지, 석유계 수지, 케톤 수지, 에폭시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불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섬유소 유도체, 고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As the binder resin (vehicle), for example, acrylic resin, styrene resin, polyester resin, urethane resin, chlorinated polyolefin resin, vinyl chloride-vinyl acetate copolymer resin, polyvinyl butyral resin, alkyd resin, Petroleum resin, ketone resin, epoxy resin, melamine resin, fluorine resin, silicone resin, fibrin derivative, rubber resin and the like. These resin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mixture of 2 or more types.

용제(또는 분산매)로서는, 예를 들면 헥산, 헵탄, 옥탄, 톨루엔, 크실렌, 에틸벤젠,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석유계 유기 용제;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2-메톡시에틸, 아세트산-2-에톡시에틸 등의 에스테르계 유기 용제; 메틸 알코올, 에틸 알코올, 노르말프로필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이소부틸 알코올,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알코올계 유기 용제;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계 유기 용제; 디에틸 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계 유기 용제; 디클로로메탄, 사염화탄소,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등의 염소계 유기 용제; 물 등의 무기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제(또는 분산매)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As a solvent (or a dispersion medium), For example, petroleum organic solvents, such as hexane, heptane, octane, toluene, xylene, ethylbenzene, cyclohexane, methylcyclohexane; Ester organic solvents such as ethyl acetate, butyl acetate, 2-methoxyethyl acetate, and 2-ethoxyethyl acetate; Alcohol-based organic solvents such as methyl alcohol, ethyl alcohol, normal propyl alcohol, isopropyl alcohol, isobutyl alcohol, ethylene glycol and propylene glycol; Ketone organic solvents such as acetone, methyl ethyl ketone, methyl isobutyl ketone and cyclohexanone; Ether organic solvents such as diethyl ether, dioxane and tetrahydrofuran; Chlorine organic solvents such as dichloromethane, carbon tetrachloride, trichloroethylene and tetrachloroethylene; Inorganic solvents, such as water, etc. are mentioned. These solvents (or dispersion medium)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mixture of 2 or more types.

패턴 모양층의 형성에 이용하는 인쇄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그라비아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플렉스 인쇄법, 정전 인쇄법, 잉크젯 인쇄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전면 베타형의 패턴 모양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롤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에어나이프 코팅법, 다이 코팅법, 립 코팅법, 콤마 코팅법, 키스 코팅법, 플로우 코팅법, 딥 코팅법 등의 각종 코팅법을 들 수 있다. 그 밖에, 핸드 라이팅법, 먹흘림법, 사진법, 전사법, 레이저빔 묘화법, 전자빔 묘화법, 금속 등의 부분 증착법, 에칭법 등을 이용하거나, 다른 형성 방법과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As a printing method used for formation of a pattern shape layer, the gravure printing method, the offset printing method, the screen printing method, the flex printing method, the electrostatic printing method, the inkjet printing method,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In addition, when forming the front beta type pattern shape layer, for example, the roll coating method, the knife coating method, the air knife coating method, the die coating method, the lip coating method, the comma coating method, the kiss coating method, the flow coating method And various coating methods such as dip coating. In addition, it can be used by the handwriting method, the ink-bneading method, the photography method, the transfer method, the laser beam drawing method, the electron beam drawing method, the partial vapor deposition method of metal, the etching method, etc.,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formation methods.

패턴 모양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제품 특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지만, 도공시의 층 두께는 1 내지 15 ㎛ 정도, 건조 후의 층 두께는 0.1 내지 10 ㎛ 정도이다. Although the thickness of a pattern shape layer is not specifically limited, Although it can set suitably according to a product characteristic, the layer thickness at the time of coating is about 1-15 micrometers, and the layer thickness after drying is about 0.1-10 micrometers.

착색 은폐층(Colored Concealment Layer ( 장식층Decorative layer ))

기재 시트와 패턴 모양층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추가로 착색 은폐층을 적층할 수 있다. 착색 은폐층은 예를 들면, 화장 시트의 겉면으로부터 피착재의 바탕색을 은폐하고 싶은 경우에 설치된다. 기재 시트가 투명성인 경우는 물론, 기재 시트가 은폐 착색되어 있는 경우라도 은폐성을 안정화하기 위해 형성할 수 있다. 착색 은폐층은 바닥재용 화장 시트에 착색을 실시하는 층으로서, 패턴 모양층과 마찬가지로 장식층 중 하나이다.A colored concealment layer can be further laminated between a base material sheet and a pattern shape layer as needed. The colored hiding layer is provided, for example, when the background color of the adherend is conceal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akeup sheet. Not only when the base sheet is transparent but also when the base sheet is concealed colored, it can be formed in order to stabilize concealment. The colored concealment layer is a layer for coloring the decorative sheet for floor covering and is one of the decorative layers similarly to the pattern shape layer.

착색 은폐층을 형성하는 잉크로서는 패턴 모양층을 형성하는 잉크로서 은폐 착색이 가능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As ink which forms a colored concealment layer, what can conceal coloring can be used as ink which forms a pattern shape layer.

착색 은폐층의 형성 방법은 기재 시트 전체를 피복(전면 베타형)하도록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롤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에어나이프 코팅법, 다이 코팅법, 립 코팅법, 콤마 코팅법, 키스 코팅법, 플로우 코팅법, 딥 코팅법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As for the formation method of a colored concealment layer, the method which can form so that the whole base material sheet may be coat | covered (front-beta type) is preferable. For example, the roll coating method, the knife coating method, the air knife coating method, the die coating method, the lip coating method, the comma coating method, the kiss coating method, the flow coating method, the dip coating method and the like can be mentioned as preferable ones.

착색 은폐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제품 특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지만, 도공시의 층 두께는 0.2 내지 10 ㎛ 정도, 건조 후의 층 두께는 0.1 내지 5 ㎛ 정도이다. Although the thickness of a colored hiding layer is not specifically limited, Although it can set suitably according to a product characteristic, the layer thickness at the time of coating is about 0.2-10 micrometers, and the layer thickness after drying is about 0.1-5 micrometers.

투명성 Transparency 접착제층Adhesive layer

패턴 모양층 위에는 투명성 접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다. 투명성 접착제층은 투명성의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무색 투명, 착색 투명, 반투명 등이 모두 포함한다. 이 접착제층은 패턴 모양층과 투명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층을 접착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The transparent adhesive layer is formed on the pattern shape layer. The transparent adhesiv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transparent, and includes colorless transparent, colored transparent, translucent and the like. This adhesive bond layer is formed in order to adhere | attach a pattern shape layer and a transparent polyester resin layer.

접착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화장 시트 분야에서 공지된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The adhesiv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 adhesive known in the field of cosmetic sheets can be used.

화장 시트 분야에서 공지된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수지, 아크릴 수지, 아세트산비닐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 열 경화성 우레탄 수지 등의 경화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소시아네이트를 경화제로 하는 이액 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도 적용할 수 있다. Examples of the adhesive known in the field of cosmetic sheets include curable resins such as thermoplastic resins such as polyamide resins, acrylic resins and vinyl acetate resins, and thermosetting urethane resins. Moreover, the two-component curable polyurethane resin or polyester resin which uses isocyanate as a hardening | curing agent is also applicable.

접착제층은 예를 들면, 접착제를 패턴 모양층 위에 도포하고, 투명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층을 구성하는 투명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도공한 후, 건조·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건조 온도·건조 시간 등의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접착제의 종류에 따서 적절히 설정하면 바람직하다. 접착제의 도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롤 코팅, 커튼 코팅, 커튼 플로우 코팅, 와이어 바 코팅, 리버스 코팅, 그라비아 코팅, 그라비아 리버스 코팅, 에어나이프 코팅, 키스 코팅, 블레이드 코팅, 스무스 코팅, 콤마 코팅 등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An adhesive bond layer can be formed by apply | coating an adhesive agent on a pattern-shaped layer, for example, after coating transparent polypropylene resin which comprises a transparent polypropylene resin layer, and drying and hardening. Conditions, such as drying temperature and a drying time, are not specifically limited, It is preferable to set suitably according to the kind of adhesive agent. The application method of the adhesiv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roll coating, curtain coating, curtain flow coating, wire bar coating, reverse coating, gravure coating, gravure reverse coating, air knife coating, kiss coating, blade coating, smooth coating , Comma coating or the like can be adopted.

접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건조 후의 두께가 0.1 내지 30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 정도이다. Although the thickness of an adhesive bond layer is not specifically limited, The thickness after drying is 0.1-30 micrometers, Preferably it is about 1-20 micrometers.

투명성 Transparency 폴리올레핀계Polyolefin 수지층 Resin layer

실시양태 1에서는 투명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으로서 두께 150 내지 500 ㎛의 투명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층을 이용한다. In Embodiment 1, a transparent polypropylene resi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50 to 500 µm is used as the transparent polyolefin resin layer.

투명성 접착제층 위에는 두께 150 내지 500 ㎛,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500 ㎛의 투명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다. On the transparent adhesive layer, the transparent polypropylene resin layer of thickness 150-500 micrometers, Preferably 300-500 micrometers is formed.

투명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층으로서는 상기 두께를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호모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모폴리프로필렌의 함유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75 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이 수지층이 실질적으로 호모폴리프로필렌만으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Although it will not specifically limit, if it has the said thickness as transparency polypropylene resin layer, It is preferable to contain homo polypropylene. Although the content rate of homo polypropylene is not specifically limited, 75 weight% or more of resin which comprises this resin layer is preferable,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is resin layer is formed only substantially from homo polypropylene.

투명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층은 이 수지층 단독의 인장 탄성률이 1000 MPa 이상, 특히 1500 MPa 이상이면 바람직하다. 인장 탄성률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적이지 않지만, 2000 MPa 정도로 하면 바람직하다.The transparent polypropylene resin layer is preferably a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of at least 1000 MPa, particularly at least 1500 MPa, of the resin layer alone. The upper limit of the tensile modulu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about 2000 MPa.

인장 탄성률은 이 수지층과 두께 및 재질이 동일한 투명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시트를 제조하여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인장 탄성률은 JIS K6734 "플라스틱-경질 폴리염화비닐 시트-치수 및 특성-제2부: 두께 1 ㎜ 미만의 시트"의 규정에 따라 측정한 값이다. The tensile modulus can be measured by producing a transparent polypropylene resin sheet having the same thickness and material as the resin layer. On the other hand, the tensile modulu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value measured according to JIS K6734 "Plastic-Rigid Polyvinyl Chloride Sheet-Dimensions and Properties-Part 2: Sheet Less Than 1mm Thickness".

투명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층은 상기 투명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예를 들면, 캘린더법, 인플레이션법, T 다이 압출법 등에 의해 투명성 접착제층 위에 라미네이트할 수 있고, 또한 기성의 필름을 이용할 수도 있다.The transparent polypropylene-based resin layer can laminate the above-mentioned transparent polypropylene-based resin on the transparent adhesive layer by, for example, a calender method, an inflation method, a T die extrusion method, or a ready-made film.

투명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층의 표면으로서, 후술하는 투명성 표면 보호층을 형성하는 면에는, 필요에 따라 코로나 방전 처리, 오존 처리, 플라즈마 처리, 전리 방사선 처리, 중크롬산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표면 처리는 각 처리의 통상법에 따라 행하면 바람직하다. As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polypropylene resin layer, a surface treatment such as a corona discharge treatment, an ozone treatment, a plasma treatment, an ionizing radiation treatment, a dichromic acid treatment, or the like may be applied to the surface on which the transparent surface protective layer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 It is preferable to perform surface treatment in accordance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of each process.

또한, 필요에 따라 표면에 프라이머층(표면 보호층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프라이머층)을 설치할 수도 있다.If necessary, a primer layer (a primer layer for facilitating formation of a surface protective layer)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프라이머층은 공지된 프라이머제를 기재 시트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프라이머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우레탄 수지계 프라이머제, 아크릴과 우레탄의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수지계 프라이머제 등을 들 수 있다. The primer layer can be formed by applying a known primer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base sheet. Examples of the primer include a urethane resin primer composed of an acrylic modified urethane resin and the like, a resin primer composed of a block copolymer of acryl and urethane, and the like.

프라이머제의 도포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0.1 내지 100 g/㎡,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g/㎡ 정도이다.Although the application amount of a primer agent is not specifically limited, Usually, it is 0.1-100 g / m <2>, Preferably it is about 0.1-50 g / m <2>.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0.01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 정도이다. Although the thickness of a primer layer is not specifically limited, Usually, it is 0.01-10 micrometers, Preferably it is about 0.1-1 micrometer.

투명성 표면 보호층Transparent surface protective layer

투명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층 위에는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지는 투명성 표면 보호층이 형성되어 있다.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지는 표면 보호층을 형성함으로써, 화장 시트의 내마모성, 내충격성, 내오염성, 내찰상성, 내후성 등을 높일 수 있다. On the transparent polypropylene resin layer, the transparent surface protection layer which consists of ionizing radiation hardening type resin is formed. By forming the surface protection layer which consists of an ionizing radiation hardening type resin, abrasion resistance, impact resistance, stain resistance, scratch resistance, weather resistance, etc. of a makeup sheet can be improved.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자외선, 전자선 등의 전리 방사선의 조사에 의해 중합 가교 반응 가능한 라디칼 중합성 이중 결합을 분자 중에 포함하는 예비중합체(올리고머를 포함) 및/또는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투명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예비중합체 또는 단량체는 단일체 또는 복수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경화 반응은 통상적으로 가교 경화 반응이다. 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ncludes a prepolymer (including an oligomer) and / or a monomer containing a radical polymerizable double bond capable of polymerizing crosslinking reaction by irradiation of ionizing radiation such as ultraviolet rays or electron beams in a molecule. Transparency resin can be used. These prepolymers or monomer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The curing reaction is usually a crosslinking curing reaction.

구체적으로는, 상기 예비중합체 또는 단량체로서는 분자 중에 (메트)아크릴로일기,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 등의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 에폭시기 등의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 등을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엔과 폴리티올의 조합에 의한 폴리엔/티올계의 예비중합체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메트)아크릴로일기란 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타크릴로일기의 의미이다. Specifically, as said prepolymer or monomer, the compound which has radical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s, such as a (meth) acryloyl group and a (meth) acryloyloxy group, cationically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s, such as an epoxy group, etc. are mentioned in a molecule | numerator. Also preferred are polyene / thiol based prepolymers with combinations of polyenes and polythiols. Here, a (meth) acryloyl group means the acryloyl group or the methacryloyl group.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예비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멜라민(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아진(메트)아크릴레이트, 실리콘(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분자량으로서는 통상 250 내지 100000 정도가 바람직하다. As a prepolymer which has a radically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For example, polyester (meth) acrylate, urethane (meth) acrylate, epoxy (meth) acrylate, melamine (meth) acrylate, triazine (meth) acrylate, Silicone (meth) acrylate etc. are mentioned. As these molecular weights, about 250-100000 are normally preferable.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단관능 단량체로서,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다관능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에틸렌옥사이드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As a monomer which has a radically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methyl (meth) acrylate, 2-ethylhexyl (meth) acrylate, phenoxyethyl (meth) acrylate, etc. are mentioned as a monofunctional monomer, for example. As the polyfunctional monomer, for example, di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prop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 (meth) acrylate and trimethylolpropaneethylene oxide tri (meth) acrylate And dipentaerythritol tetra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penta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hexa (meth) acrylate, and the like.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예비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노볼락형 에폭시 화합물 등의 에폭시계 수지, 지방산계 비닐 에테르, 방향족계 비닐 에테르 등의 비닐 에테르계 수지의 예비중합체를 들 수 있다. 또한, 티올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티오글리콜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티오글리콜레이트 등의 폴리티올을 들 수 있다. 폴리엔으로서는, 예를 들면 디올 및 디이소시아네이트에 의한 폴리우레탄의 양단에 알릴알코올을 부가한 것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prepolymer having a cationically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include prepolymers of epoxy resins such as bisphenol epoxy resins and novolac epoxy compounds, and vinyl ether resins such as fatty acid vinyl ethers and aromatic vinyl ethers. have. Moreover, as a thiol, polythiol, such as a trimethylol propane trithioglycolate and pentaerythritol tetrathioglycolate, is mentioned, for example. As polyene, what added allyl alcohol to the both ends of the polyurethane by diol and diisocyanate is mentioned, for example.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해 이용하는 전리 방사선으로서는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조성물) 중의 분자를 경화 반응시킬 수 있는 에너지를 갖는 전자파 또는 하전 입자가 이용된다. 통상적으로는 자외선 또는 전자선을 이용하면 바람직하지만, 가시광선, X선, 이온선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As ionizing radiation used for curing 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electromagnetic waves or charged particles having energy capable of curing reaction of molecules in 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composition) are used. Usually, it is preferable to use ultraviolet rays or electron beams, but visible rays, X-rays, ion beams and the like can also be used.

자외선원으로서는, 예를 들면 초고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저압 수은등, 카본 아크 등, 블랙 라이트,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의 광원을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의 파장으로서는 통상 190 내지 380 ㎚이 바람직하다. As the ultraviolet light source, for example, light sources such as ultra-high pressure mercury lamp, high pressure mercury lamp, low pressure mercury lamp, carbon arc lamp, black light, metal halide lamp and the like can be used. As a wavelength of an ultraviolet-ray, 190-380 nm is preferable normally.

전자선원으로서는, 예를 들면 콕크로프트 왈톤(Cockroft-Walton)형, 핸디크래프트형, 공진 변압기형, 절연 코어 변압기형, 또는 직선형, 다이나미트론형, 고주파형 등의 각종 전자선 가속기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100 내지 1000 keV,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 keV의 에너지를 갖는 전자를 조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the electron beam source, for example, various electron beam accelerators such as Cockroft-Walton type, handycraft type, resonant transformer type, insulated core transformer type, or linear type, dynamtron type, and high frequency type can be used. Especially,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o be able to irradiate the electron which has an energy of 100-1000 keV, Preferably it is 100-300 keV.

표면 보호층은 예를 들면, 투명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층 위에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그라비아 코팅, 롤 코팅 등의 공지된 도공법에 의해 도공한 후, 전리 방사선을 조사하여 이 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can be formed by, for example, coating an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on a transparent polypropylene resin layer by a known coating method such as gravure coating or roll coating, and then irradiating the ionizing radiation to cure the resin. have.

표면 보호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최종 제품의 특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지만, 통상 0.1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 정도이다. Although the thickness of a surface protection layer is not specifically limited, Although it can set suitab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a final product, it is usually 0.1-50 micrometers, Preferably it is about 1-20 micrometers.

표면 보호층의 겉면(대기에 노출되어 있는 면)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통상적으로는 엠보싱 가공에 의해 요철 모양을 형성한다. 엠보싱 가공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투명성 아크릴계 수지층의 겉면을 가열 연화시켜 엠보싱판에 의해 가압·부형한 후에 냉각하는 방법을 바람직한 방법으로서 들 수 있다. 엠보싱 가공에는 공지된 매엽식(枚葉式) 또는 윤전식 엠보싱기가 이용된다. 요철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나무결판 도관 홈, 석판 표면 요철(화강암 벽개면 등), 천 표면 텍스쳐, 체크 무늬, 모래결, 헤어라인, 만선 조홈 등이 있다.Unevenness may be formed in the outer surface (surface exposed to air) of the surface protection layer. Usually, an uneven shape is formed by embossing. The embossing processing method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the method of cooling by softening the outer surface of a transparent acrylic resin layer by pressurizing and shaping | molding with an embossing plate is mentioned as a preferable method. In the embossing process, a well-known single leaf type or rotary type embossing machine is used. As the concave-convex shape, for example, wood-coated conduit grooves, slab surface concave-convex (granite cleaved surfaces, etc.), cloth surface textures, checkered patterns, sand grains, hairlines, and uneven grooves.

내후제Weathering agent

본 발명의 바닥재용 화장 시트를 구성하는 층의 1종 이상에는 필요에 따라 내후제를 배합할 수도 있다. 내후제로서는 자외선 흡수제, 힌더드 아민계 광 안정제 등이 바람직하다. 이들 내후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Weatherproof agent can also be mix | blended with one or more types of the layer which comprises the makeup sheet for floor coverings of this invention as needed. As the weathering agent, an ultraviolet absorber, a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 and the like are preferable. These weathering agents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mixture of 2 or more types.

(자외선 흡수제)(UV absorber)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특히 염기성 성분(특히 히드록실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2-(2'-히드록시-3',5'-디-tert-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tert-아밀-5'-이소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이소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이소부틸-5'-프로필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등의, 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류, 2-(2'-히드록시-3',5'-디-ter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의, 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류 등의,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등의, 2,2'-디히드록시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류,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등의, 2-히드록시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류 등의,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살리실산페닐, 4-tert-부틸-페닐-살리실레이트 등의 살리실산 에스테르계 자외선 흡수제가 이용된다. 그 밖에, 벤조트리아졸 골격에 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타크릴로일기를 도입한 반응성 자외선 흡수제 등도 이용된다. 상기 중에서도 특히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가 바람직하다. 한편, 이들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량은 수지 성분에 대하여 통상 0.1 내지 5 질량% 정도이다. Especially as a ultraviolet absorber, what has a basic component (especially a hydroxyl group) is preferable. For example, 2- (2'-hydroxy-3 ', 5'-di-tert-butylphenyl) -5-chlorobenzotriazole, 2- (2'-hydroxy-3'-tert-butyl- 5'-methylphenyl) -5-chlorobenzotriazole, 2- (2'-hydroxy-3'-tert-amyl-5'-isobutylphenyl) -5-chlorobenzotriazole, 2- (2'- Hydroxy-3'-isobutyl-5'-methylphenyl) -5-chlorobenzotriazole, 2- (2'-hydroxy-3'-isobutyl-5'-propylphenyl) -5-chlorobenzotriazole 2'-hydroxyphenyl-5-chlorobenzotriazole type ultraviolet absorbers, such as 2- (2'-hydroxy-3 ', 5'-di-tert- butylphenyl) benzotriazole, 2- (2, etc.) Benzotriazole type ultraviolet absorbers, such as 2'-hydroxyphenyl benzotriazole type ultraviolet absorbers, such as "-hydroxy-5'-methylphenyl) benzotriazole, 2,2'- dihydroxy-4- methoxy 2,2'- dihydroxy benzophene, such as benzophenone, 2,2'- dihydroxy-4,4'- dimethoxy benzophenone, and 2,2 ', 4,4'- tetrahydroxy benzophenone Non-UV absorbers, 2-hydroxy-4-methok Benzophenone-type ultraviolet absorbers, such as benzophenone-type ultraviolet absorbers, such as 2-hydroxybenzophenone type | system | group ultraviolet absorbers, such as benzophenone and 2, 4- dihydroxy benzophenone, phenyl salicylate, and 4-tert- butyl- phenyl salicylate Salicylic acid ester ultraviolet absorbers are used. In addition, the reactive ultraviolet absorber which introduce | transduced the acryloyl group or the methacryloyl group in the benzotriazole skeleton, etc. are also used. Among the above, a benzotriazole type ultraviolet absorber is especially preferable. On the other hand, the addition amount of these ultraviolet absorbers is about 0.1-5 mass% normally with respect to a resin component.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각 층에 100 내지 10000 중량 ppm 정도,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7500 중량 ppm 정도이다. 첨가하는 층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제품 특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Although content of a ultraviolet absorber is not specifically limited, About 100-10000 weight ppm in each layer, Preferably it is about 500-7500 weight ppm. The layer to add is not specifically limited, It can set suitably according to a product characteristic.

(힌더드 아민계 광 안정제)(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

자외선에 의한 각 층의 열화를 더욱 방지하고, 내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른 내후제로서 힌더드 아민계 광 안정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세바케이트, 비스-(N-메틸-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세바케이트, 그 밖에,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고 (평)4-8262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광 안정제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수지 성분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 정도이다. In order to further prevent deterioration of each layer by ultraviolet rays and to improve weather resistance, it is preferable to add a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 as another weathering agent. For example, bis- (2,2,6,6-tetramethyl-4-piperidinyl) sebacate, bis- (N-methyl-2,2,6,6-tetramethyl-4-piperidinyl ) Sebacate, the compound etc. which are disclosed by Unexamined-Japanese-Patent No. 4-82625,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Although the addition amount of these light stabilizers is not specifically limited, Usually, it is about 0.1 to 5 weight% with respect to a resin component.

한편, 힌더드 아민계 광 안정제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기재 시트를 비롯하여, 화장 시트를 구성하는 층 중에 염소 원자를 포함하는 수지를 이용하지 않는 것이 내후성 향상 면에서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결합제 수지에 염화비닐-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염소화폴리올레핀 등의 분자 중에 염소 원자를 포함하는 수지를 이용하면, 자외선 또는 열의 작용에 의해 이들 염소 함유 수지로부터 탈염소 반응으로 염화수소가 발생한 경우에, 이것이 힌더드 아민계 광 안정제와 반응하여 그 작용을 실활시키거나 저해시키기 때문에 상기 포착제에 의한 내후성 향상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adding a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 it is preferable from a viewpoint of improving weather resistance that resin containing a chlorine atom is not used in the layer which comprises a base material sheet and the makeup sheet. For example, when a resin containing a chlorine atom is used in a molecule such as a vinyl chloride-vinyl acetate copolymer or a chlorinated polyolefin as a binder resin, when hydrogen chloride is generated by dechlorination reaction from these chlorine-containing resins by the action of ultraviolet rays or heat. This is because it reacts with the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 to inactivate or inhibit the action, so that the weather resistance improving effect by the trapping agent may not be sufficiently exhibited.

힌더드 아민계 광 안정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각 층에 100 내지 10000 중량 ppm 정도,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7500 중량 ppm 정도이다. 첨가하는 층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제품 특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Although content of a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 is not specifically limited, About 100-10000 weight ppm in each layer, Preferably it is about 500-7500 weight ppm. The layer to add is not specifically limited, It can set suitably according to a product characteristic.

바닥용 Floor 화장재Cosmetic

바닥재용 화장 시트는 각종 피착재와 접합함으로써 바닥용 화장재로 할 수 있다. 피착재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무기 비금속계, 금속계, 목질계, 플라스틱계 등의 재질을 들 수 있다.The flooring decorative sheet can be made into a flooring decorative material by bonding to various adherends. The material of the adhere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inorganic nonmetals, metals, woods, and plastics.

구체적으로는, 무기 비금속계에서는, 예를 들면 초조 시멘트, 압출 시멘트, 슬래그 시멘트, ALC(경량 기포 콘크리트), GRC(유리 섬유 강화 콘크리트), 펄프 시멘트, 목편 시멘트, 석면 시멘트, 규산칼슘, 석고, 석고 슬래그 등의 비도자기 요업계 재료, 토기, 도기, 자기, 석기, 유리, 법랑 등의 세라믹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Specifically, in the inorganic nonmetallic type, for example, cemented cement, extruded cement, slag cement, ALC (light foamed concrete), GRC (glass fiber reinforced concrete), pulp cement, wood cement, asbestos cement, calcium silicate, gypsum, Non-ceramic ceramic industry materials, such as gypsum slag, ceramic materials, such as earthenware, pottery, porcelain, stoneware, glass, and enamel, etc. are mentioned.

금속계에서는, 예를 들면 철, 알루미늄, 구리 등의 금속 재료(금속 강판)을 들 수 있다.In metal system, metal materials (metal steel plate), such as iron, aluminum, copper, are mentioned, for example.

목질계에서는, 예를 들면 삼나무, 노송나무, 떡갈나무, 나왕, 티크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판, 합판, 파티클 보드, 섬유판, 집성재 등을 들 수 있다. In the wood-based system, for example, cedar, cypress, oak, nawang, teak and the like, veneer, plywood, particle board, fibreboard, aggregate and the like.

플라스틱계에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ABS 수지, 페놀 수지 등의 수지 재료를 들 수 있다. In plastics, resin materials, such as a polypropylene, ABS resin, and a phenol resin, are mentioned, for example.

이러한 피착체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는 플로어링 등으로의 설치를 고려하여 평판으로 하면 바람직하다.The shape of such a to-be-adhered body is not specifically limited, Usually,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a flat board in consideration of installation in a flooring etc ..

피착재와 접합 후에는 예를 들면 최종 제품의 특성에 따라 재단, 테노너를 이용한 가공, V자 형상의 조홈 부여, 네 변의 모따기 등을 실시할 수도 있다.After joining the adherend,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nal product, cutting, processing using a tenoner, provision of a V-shaped jaw groove, chamfering of four sides, or the like may be performed.

2. 실시양태 2의 2. of Embodiment 2 바닥재용For flooring 화장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바닥용  Cosmetic sheet and flooring using the same 화장재Cosmetic

실시양태 2의 바닥재용 화장 시트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 시트 상에 장식층, 두께 300 내지 500 ㎛의 투명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및 두께 3 내지 30 ㎛의 투명성 표면 보호층을 적어도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진다. The decorative sheet for flooring material of Embodiment 2 laminated | stacked the decorative layer, the transparent polyolefin resin layer of 300-500 micrometers in thickness, and the transparent surface protective layer of 3-30 micrometers in thickness at least in order on the base sheet which consists of polyolefin resins, Is done.

도 4에 실시양태 2의 바닥재용 화장 시트의 개략 단면도(일례)를 나타낸다. The schematic sectional drawing (an example) of the decorative sheet for floor coverings of Embodiment 2 is shown in FIG.

바닥재용 화장 시트(100)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 시트(10)(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한쪽 면에 프라이머층(15)을 설치하고, 이 프라이머층(15) 상에 착색 은폐층(17)(베타 인쇄층)과 패턴 모양층(16)으로 이루어지는 장식층(12)(인쇄층)을 순서대로 인쇄 형성하고, 상기 장식층(12) 상에 투명성 접착제층(18)을 개재하여 투명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층(11)을 적층하고, 추가로 투명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층(11)의 표면에 투명성 표면 보호층(14)을 형성한 것이다. The flooring decorative sheet 100 is provided with a primer layer 15 on one side of the base sheet 10 (polyolefin-based thermoplastic resin film) made of polyolefin resin, and a colored concealment layer (on the primer layer 15). 17) a printing layer 12 (printing layer) consisting of the (beta printing layer) and the pattern shape layer 16 is formed in order, and the transparency is formed on the decorative layer 12 via the transparent adhesive layer 18. The polyolefin resin layer 11 is laminated, and the transparent surface protection layer 14 is furth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polyolefin resin layer 11.

기재 시트(10)Base material sheet (10)

기재 시트(10)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다.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수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예: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공중합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인 통칭 PET-G 수지), 비정질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등의 아크릴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base sheet 10 is an olefinic thermoplastic resin film. Examples of the olefin thermoplastic resins include polyolefin resins such as polypropylene resins, polyethylene resins, ethylene-propylene copolymers, and polyolefin thermoplastic elastomer resins,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s, polyethylene naphthalate resins, and copolyester resins. Polyester resin such as 1,4-cyclohexanedimethanol copolymeriz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polyester resins such as amorphous polyester resins, acrylic resins such as polyacrylonitrile resin,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and poly Vinyl chloride resin and the like can be used.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은 투명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층(11)과의 접착성, 적층 후의 시트의 컬 방지(이종 재료를 적층하면 컬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건재 용도에서의 실적(내후성 등의 내구성의 부여, 엠보싱 등의 가공 적성) 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The polyolefin resin film has adhesiveness to the transparent polyolefin resin layer 11, prevents curling of sheets after lamination (because they tend to curl when laminating dissimilar materials), and gives results in durability (such as weather resistance) in construction materials. , Processing aptitude such as embossing), and the like.

필름(10)은 공지된 착색제의 첨가에 의해 착색될 수도 있고, 착색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필름(10)의 두께는 50 ㎛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50 ㎛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이다. 상기 필름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은폐성이 요구되는 경우에 은폐 부족이 된다. 두께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0 ㎛ 이상이면 그 범위에서 얇은 편이 바람직하다. 한편, 두꺼운 것을 사용하면 할수록 비용 상승으로 이어져 입수가 용이한 것은 150 ㎛ 정도까지이다. The film 10 may or may not be colored by the addition of a known colorant. The thickness of the film 10 is 50 micrometers or more, Preferably it is about 50-150 micrometers, More preferably, it is 50-80 micrometers. If the thickness of the film is too thin, there is a lack of concealment if hiding is required. Although the upper limit of thickness is not specifically limited, A thinner one is preferable in it being 50 micrometers or more. On the other hand, the thicker the material, the higher the cost, and the easier it is to obtain.

프라미어층Premiere layer

프라이머층(15)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층(11)과 패턴 모양층(16), 착색 은폐층(17) 등의 장식층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프라이머층은 임의적으로 설치하면 바람직하다. The primer layer 15 is provid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adhesiveness between the polyolefin resin layer 11, the decorative layer such as the patterned layer 16, the colored concealment layer 17, and the lik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rbitrarily.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수지로서는 에스테르 수지,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니트로셀룰로오스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 또는 혼합하여 도료 조성물 또는 잉크 조성물로 한다. 형성시에는 롤 코팅법이나 그라비아 인쇄법 등의 공지된 도포 수단을 이용하고, 1 내지 6 ㎛ 정도의 두께로 형성하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resin forming the primer layer include ester resins, urethane resins, acrylic resins, polycarbonate resins, vinyl chloride-vinyl acetate copolymers, polyvinyl butyral resins, nitrocellulose resins, and the like. These resin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to form a coating composition or ink composition. At the time of forma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in thickness of about 1-6 micrometers using well-known coating means, such as a roll coating method and the gravure printing method.

장식층Decorative layer (12)(12)

도 4에는 장식층(12)으로서 패턴 모양층(16) 및 착색 은폐층(17)이 도시되어 있다. 패턴 모양층(16) 및 착색 은폐층(17)은 일반적으로는 그라비아 인쇄, 오프셋 인쇄, 실크 스크린 인쇄 등의 주지된 인쇄법으로 잉크를 이용하여 필름(10) 위에 형성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패턴 모양층(16) 및 착색 은폐층(17) 모두를 나타내었지만, 어느 한쪽만이어도 좋다. In FIG. 4, the patterned layer 16 and the colored concealment layer 17 are shown as the decorative layer 12. The pattern shape layer 16 and the colored concealment layer 17 can generally be formed on the film 10 using ink by well-known printing methods, such as gravure printing, offset printing, and silk screen printing. In FIG. 4, both the patterned layer 16 and the colored concealment layer 17 are shown, but only one of them may be used.

패턴 모양층(16)으로서는, 예를 들면 나무결 모양, 돌결 모양, 옷감결 모양, 가죽 무늬 모양, 기하학 모양, 문자, 기호, 선획, 각종 추상 모양 무늬를 들 수 있다. 모양부의 두께는 통상 1 내지 15 ㎛ 정도이다. 착색 은폐층(17)은 은폐성을 갖는 착색 잉크로 베타 인쇄한 것이고, 그 두께는 통상 1 내지 10 ㎛ 정도이다. As the pattern shape layer 16, a wood grain, a grain shape, a cloth texture, a leather pattern, a geometry, a letter, a symbol, a stroke, various abstract patterns are mentioned,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a pattern part is about 1-15 micrometers normally. The colored concealment layer 17 is beta-printed with the concealable coloring ink, and the thickness is about 1-10 micrometers normally.

패턴 모양층(16) 및 착색 은폐층(17)에 이용하는 잉크 조성물로서는, 비히클로서 염소화폴리에틸렌, 염소화폴리프로필렌 등의 염소화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로 이루어지는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을 1종 내지 2종 이상 혼합하여 이용하고, 여기에 안료, 용제, 각종 보조제 등을 첨가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환경 문제나 피인쇄면과의 접착성 등을 고려하면, 폴리에스테르,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로 이루어지는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의 1종 내지 2종 이상 혼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Examples of the ink composition used for the patterned layer 16 and the colored concealment layer 17 include chlorinated polyolefins such as chlorinated polyethylene and chlorinated polypropylene as a vehicle, polyurethanes made of polyester, isocyanate and polyol, polyacryl, polyvinyl acetate, A polyvinyl chloride, a vinyl chloride-vinyl acetate copolymer, a cellulose resin, a polyamide resin, or the like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one or two or more thereof, and a pigment, a solvent, various auxiliary agents, or the like may be used therein. In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problems, adhesiveness to the printed surface, and the like, it is preferable to mix one or two or more kinds of polyurethanes, polyacryl and polyamide resins made of polyester, isocyanate and polyol.

투명성 Transparency 폴리올레핀계Polyolefin 수지층(11) Resin Layer (11)

투명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층(11)에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10)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닥재로서 표면 물성, 가공성, 경제성, 폐기제(소각도 포함) 등, 특히 내캐스터성 부여 측면에서, 표면 강도나 내마모성이 우수한 호모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수지, 바람직하게는 호모폴리프로필렌 70 중량%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수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융점 150 내지 170 ℃를 갖는 호모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굽힘 탄성률 1000 MPa 이상, 인장 항복 강도 30 MPa 이상, 로크웰 경도 75 이상을 갖는 호모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다. The same polyolefin resin used for the said polyolefin resin film 10 can be used for the transparent polyolefin resin layer 11. Among them, a resin composed of homopolypropylene having excellent surface strength and abrasion resistance, in particular in terms of imparting cast resistance, such as surface properties, processability, economical efficiency, and disposal agent (including incineration) as a flooring material, preferably 70% by weight of homopolypropylene Resin which consists of the above is prefer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homopolypropylene having a melting point of 150 to 170 ° C is preferably used. More preferably, a homopolypropylene having a bending elastic modulus of 1000 MPa or more, a tensile yield strength of 30 MPa or more and a Rockwell hardness of 75 or more is used.

한편, 호모폴리프로필렌이란 프로필렌 단량체의 단독 중합체를 의미한다. 또한, 호모폴리프로필렌 이외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 수지는 바닥재를 제조하기까지의 공정에 제조상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homopolypropylene means the homopolymer of a propylene monomer. In addition, resin which may be contained other than homopolypropylene is not specifically limited unless a manufacturing problem arises in the process to manufacture a flooring material.

한편, 융점은 JIS K7121, 굽힘 탄성률은 JIS K7171, 인장 항복 강도는 JIS K7161, 로크웰 경도는 JIS K7202에 의해 측정한 값으로 나타내고 있다. On the other hand, melting | fusing point is JIS K7121, bending elastic modulus is JIS K7171, tensile yield strength is JIS K7161, and Rockwell hardness is the value measured by JIS K7202.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프로필렌은 공지된 중합법에 의해 제조 가능하고, 시판품으로서는 상품명 F-704 NP(이데미쓰 세끼유 가가꾸(주) 제조) 등이 입수 가능하다. The polypropylene used by this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a well-known polymerization method, and as a commercial item, the brand name F-704NP (made by Idemitsu Seki Oil Co., Ltd.) etc.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서는 투명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층(11)의 두께를 300 ㎛ 이상으로 한다. 그 두께가 300 ㎛보다 얇으면 충분한 내캐스터성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두께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생산성과 비용 측면에서, 500 ㎛ 이하의 두께로 설정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 투명한 수지를 사용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두꺼운 폴리올레핀계 수지층(11)이 존재하기 때문에 투명감이 돋보이고, 그 때문에 바닥재에 고급감이 살아나는 효과를 수반한다. In this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polyolefin resin layer 11 shall be 300 micrometers or more. When the thickness is thinner than 300 micrometers,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sufficient cast resistance may not be obtained. The upper limit of the thicknes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set to a thickness of 500 μm or less in terms of productivity and cost. Since the transparent resin is used as the polyolefin resi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hick polyolefin resin layer 11 is present, the transparency is outstanding, and therefore the effect of the high quality on the flooring material is accompanied.

투명성 Transparency 접착제층Adhesive layer (18)(18)

투명성 접착제층(18)은 장식층(12)이 형성된 필름(10)과 투명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층(11)을 접착시킨다. 투명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층(11)과의 적층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접착제층(18)을 개재한 건식 적층법 또는 습식 적층법이나, 접착제층(18)을 개재하거나 또는 개재하지 않는 열 적층법, 고주파 적층법, 투명 열가소성 수지를 용융 상태로 압출하는 동시에 적층하는 압출 적층법 등이 적용 가능하다. 압출 적층법에서는 접착층제(18)로서의 산변성 올레핀계 수지 또는 올레핀-(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수지 등의 접착성 수지층을, 수지층(11)과의 공압출로 동시에 적층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적층에 앞서, 수지층(11)과의 접착면에, 예를 들면, 코로나 방전, 오존 처리, 플라즈마 처리, 전리 방사선 처리, 산 처리, 알칼리 처리, 앵커 처리 등의 용이 접착화를 위한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The transparent adhesive layer 18 bonds the film 10 having the decorative layer 12 and the transparent polyolefin resin layer 11 to each other. As a lamination method with the transparent polyolefin resin layer 11, for example, the dry lamination method or the wet lamination method via the adhesive bond layer 18, the thermal lamination method via the adhesive bond layer 18 or without, The high frequency lamination | stacking method, the extrusion lamination | stacking method which laminates simultaneously and extrudes a transparent thermoplastic resin in a molten state, etc. are applicable. In the extrusion lamination method, an adhesive resin layer such as an acid-modified olefin resin or an olefin- (meth) acrylate copolymer resin as the adhesive layer agent 18 may be simultaneously laminated by co-extrusion with the resin layer 11. . In addition, prior to the lamination, the adhesive surface with the resin layer 11, for example, for easy adhesion of corona discharge, ozone treatment, plasma treatment, ionizing radiation treatment, acid treatment, alkali treatment, anchor treatment, etc. Surface treatment can also be performed.

투명성 표면 보호층Transparent surface protective layer

바닥재용 화장 시트(100)의 표면에 설치하는 투명성 표면 보호층(14)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투명성 표면 보호층(14)은 바닥용 화장재에 요구되는 내찰상성, 내마모성, 내수성, 내오염성 등의 표면 물성을 부여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 표면 보호층(14)을 형성하는 수지는, 공지된 열 경화형 수지,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등의 경화형 수지를 들 수 있다. 투명성 표면 보호층의 두께는 1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0 ㎛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적당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1277호 명세서 제 [0031] 내지 [0044] 단락에 기재되어 있는 표면 보호층에 관한 기술적 사항을 본원 발명에도 그대로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기재를 본원 명세서의 일부로서 여기에 인용한다. 본원 발명에서 바람직한 것은 표면 경도가 단단하고 생산성이 우수한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이다. The transparent surface protection layer 14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flooring decorative sheet 100 is demonstrated. This transparent surface protection layer 14 is provided in order to give surfac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scratch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water resistance, and stain resistance required for the flooring decorative material. As resin which forms this surface protection layer 14, curable resin, such as well-known thermosetting resin and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is mentioned.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surface protective layer is suitably formed to a thickness of 1 to 100 m, preferably 3 to 30 m. In more detail, since the technical matter regarding the surface protection layer described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3-11277 specification paragraphs [0031]-[0044] is also applicable to this invention as it is, the said description is made of the specification of this specification. I quote here as part. Preferr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having a hard surface hardness and excellent productivity.

리코팅Recording 수지층 Resin layer

바닥재용 화장 시트(100)의 표면에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지는 표면 보호층(14)을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표면 보호층(14)의 형성면, 즉 도 4에 나타낸 예에서는 수지층(11)의 표면과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지는 표면 보호층(14) 사이에 충분한 밀착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수지층(11)의 표면에 예를 들면 코로나 방전 처리 또는 오존 처리 등의 표면 활성화 처리를 실시하거나, 또는 수지층(11)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와, 표면 보호층(14)을 구성하는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양방에 대하여 밀착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리코팅성 수지층을 수지층(11)의 표면에 설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providing the surface protection layer 14 which consists of ionizing radiation hardening type resin on the surface of the flooring decorative sheet 100, the surface of the surface protection layer 14, ie, the resin layer 11 in the example shown in FIG. It is necessary to ensure sufficient adhesiveness between the surface and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14 which consists of an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For this purpose, surface activation treatment, such as corona discharge treatment or ozone treatment, is performed to the surface of the resin layer 11, or the thermoplastic resin which comprises the resin layer 11, and the surface protection layer 14 are comprised. It is preferable to provide on the surface of the resin layer 11 the coating resin layer which consists of a resin composition excellent in adhesiveness with respect to both ionizing radiation hardening type resins mentioned above.

리코팅성 수지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페놀계 수지, 요소 수지, 알키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폴리올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배합에 의한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폴리올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폴리올 화합물, 폴리에테르폴리올 화합물,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화합물 등이 사용 가능하지만, 그 중에서도 열가소성 수지 및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와의 밀착성과 내부 응집력과의 균형 면에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As the coating resin layer, for example, thermosetting resins such as urethane resins, epoxy resins, phenol resins, urea resins, alkyd resins, and polyester resins are preferable, and among them, for the blending of polyol compounds and isocyanate compounds, It is most preferable to use the two-component curable urethane resin. As the polyol compound, for example, an acryl polyol compound, a polyether polyol compound, a polyester polyol compound and the like can be used, but among them, a polyester polyol compound in terms of balance between adhesion with a thermoplastic resin and an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and internal cohesion. Most preferably.

리코팅성 수지층의 도포량은 건조 후 0.1 내지 2.0 ㎛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코팅성 수지층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그라비아 코팅법, 마이크로그라비아 코팅법, 롤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에어나이프 코팅법, 립 코팅법, 다이 코팅법 등 종래 공지된 각종 도공 방법을 임의로 채용할 수 있다. The coating amount of the coatable resin layer is preferably about 0.1 to 2.0 m after drying. As a method of forming the coatable resin layer, various conventionally known coating methods such as a gravure coating method, a microgravure coating method, a roll coating method, a knife coating method, an air knife coating method, a lip coating method and a die coating method can be used. It can employ | adopt arbitrarily.

피착재Substrate (목질 기재(2))(Wooden material (2))

목질 기재(2)(도 3 참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삼나무, 노송나무, 밤나무, 소나무, 나왕, 티크, 멜라피 등의 각종 소재로 만들어진 슬라이드 베니어판, 목재 단판, 목재 합판, 파티클 보드, 중밀도 섬유판(MDF)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목재 기재에는 한쪽 면에 방습 효과를 부여하는 측면에서, 예를 들면 방습층을 형성할 수 있다.The wooden base material 2 (see FIG. 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 slide veneer board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cedar, cypress, chestnut, pine, nawang, teak, melapi, wood veneer, wood plywood, Particle board, medium density fiber board (MDF), etc. are mentioned. On the other hand, the wood base material can be provided with a moisture proof layer, for example from the side which gives a moisture proof effect to one side.

목질 기재(2)와 바닥재용 화장 시트(1)를 접합시킴으로써 바닥용 화장재가 된다. 바닥재용 화장 시트의 목질 기재로의 접착 방법 또는 적층 방법은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접착제에 의해 화장 시트를 기재에 점착시키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By joining the wood base material 2 and the floor covering sheet 1, it becomes a floor covering material. The adhesion method or lamination method of the flooring makeup sheet to a wooden base material is not limited, For example, the method of sticking a makeup sheet to a base material with an adhesive agent, etc. can be employ | adopted.

접착제는 기재의 종류 등에 따라 공지된 접착제로부터 적절히 선택하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이오노머 등 외에, 부타디엔·아크릴니트릴 고무, 네오프렌 고무, 천연고무 등을 들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o select an adhesive suitably from a well-known adhesive agent according to the kind of base material, etc. For example, butadiene acrylonitrile rubber, neoprene rubber, natural rubber, etc. are mentioned besides polyvinyl acetate, polyvinyl chloride, a vinyl chloride vinyl acetate copolymer, an ethylene acrylic acid copolymer, an ionomer, etc.

목질 기재(2)와 바닥재용 화장 시트(1)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측면에서, 본 발명의 화장 시트의 표면 보호층측과는 반대측의 다른 쪽 면(이면)에 프라이머층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한 프라이머층(15)에 관한 기재를, 마찬가지로 상기 이면 프라이머층에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블록킹 방지 목적으로 실리카, 황산바륨 등의 체질 안료를 첨가할 수도 있다. In the aspect which improves the adhesiveness of the wood base material 2 and the flooring decorative sheet 1, you may provide a primer layer in the other surface (back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side of the decorative sheet of this invention. The base material regarding said primer layer 15 can be similarly applied to the said back primer layer. In this case, extender pigments such as silica and barium sulfate may be added for the purpose of blocking prevention.

본 발명의 바닥재용 화장 시트는 수지 필름(10)의 이면에 종래 설치되었던 백커를 형성하지 않고, 표면의 내스크래치성이나 내캐스터성도 우수한 바닥재로 할 수 있다.The makeup sheet for flooring material of this invention can be made into the flooring material which is excellent also in the scratch-resistance and caster resistance of a surface, without forming the backer conventionally provided in the back surface of the resin film 10.

<발명의 효과>Effect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바닥재용 화장 시트는 백커층이 없더라도 양호한 내스크래치성, 내캐스터성, 내충격성 등을 발휘한다. 이러한 바닥재용 화장 시트는 피착재와 점착시킴으로써 유용성이 높은 바닥용 화장재가 된다. The flooring decorat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good scratch resistance, caster resistance, impact resistance, and the like even without a backer layer. Such a makeup sheet for floor coverings becomes a floor covering material with high utility by sticking with a to-be-adhered material.

본 발명의 바닥재용 화장 시트는 백커층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을 용이화할 수 있는 동시에, 종래 백커층 형성 공정에서 발생하였던 제조 손실을 해소할 수 있다. Since the floor covering cosmetic sheet of this invention does not need to form a backer layer, a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made easy and the manufacturing loss which a conventional backer layer formation process produced | formed can be eliminated.

도 1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바닥재용 화장 시트의 개략 단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of the makeup sheet for flooring materials manufactured in Example 1.

도 2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바닥용 화장재의 개략 단면도이다.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oor cosmetic material prepared in Example 1. FIG.

도 3은 본 발명의 바닥용 화장재의 개략 단면도이다.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ooring decorativ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닥재용 화장 시트(특히 실시양태 2)의 개략 단면도이다.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keup sheet for floor coverings (particularly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내캐스터성 시험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aster resistance tester.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A: 엠보싱 요철 모양 B: 투명성 표면 보호층A: embossed uneven shape B: transparent surface protective layer

C: 투명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D: 투명성 접착제층 C: transparent polyolefin resin layer D: transparent adhesive layer

E: 패턴 모양층 E: pattern shape layer

F: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 시트 F: base sheet made of polyolefin resin

G: 이면 프라이머층 H: V자 형상의 조홈 G: back side primer layer H: V-shaped groove

I: 바닥재용 화장 시트 J: 접착제층 I: Flooring decorative sheet J: Adhesive layer

K: 목질 기재 1: 바닥재용 화장 시트K: wood base material 1: floor covering sheet

2: 목질 기재 10: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2: Wood base material 10: Polyolefin resin film

11: 투명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12: 장식층(인쇄층)11: transparent polyolefin resin layer 12: decorative layer (printing layer)

14: 투명성 표면 보호층 15: 프라이머층14: transparent surface protective layer 15: primer layer

16: 패턴 모양층 17: 착색 은폐층16: pattern shape layer 17: colored concealment layer

18: 투명성 접착제층 100: 바닥재용 화장 시트18: transparency adhesive layer 100: cosmetic sheet for flooring

1000: 내캐스터 시험 장치 1001: 웨이트1000: caster test apparatus 1001: weight

1002: 하중부 1003: 조절 핸들1002: load portion 1003: adjustment handle

1010: 캐스터 고정대 1011: 캐스터1010: caster fixture 1011: caster

1012: 시료 1013: 시료 고정대 1012 sample 1013 sample holder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An Example and a comparative example are shown to the following, and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to it further more concretely. However,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n Example.

실시예Example 1 One

(바닥재용 화장 시트의 제조)(Production of the makeup sheet for the flooring material)

양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한 60 ㎛ 두께의 착색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기재 시트 F로서 준비하였다. 기재 시트 F의 한쪽 면에 우레탄-셀룰로오스계 수지(우레탄 및 질화면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5 중량부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용액을 그라비아 인쇄법에 의해 고형분량이 2 g/㎡가 되도록 도공하여 이면 프라이머층 G를 형성하였다. A 60-micrometer-thick colored polypropylene film having corona discharge treatment on both sides was prepared as the base sheet F. A solution of urethane-cellulose resin (resin formed by adding 5 parts by weight of hexamethylene diisocyanate to 100 parts by weight of a mixture of urethane and vaginal) on one side of the base sheet F so that the solid content was 2 g / m 2 by the gravure printing method. The coating formed a back primer layer G.

이면 프라이머층 G의 형성면과는 반대면에 아크릴-우레탄계 수지(아크릴폴리올 100 중량부에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5 중량부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용액을 그라비아 인쇄법에 의해 고형분량이 2 g/㎡가 되도록 도공하여 인쇄용 프라이머층(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였다.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formation surface of the back primer layer G, a solution of acryl-urethane resin (resin formed by adding 5 parts by weight of hexamethylene diisocyanate to 100 parts by weight of acryl polyol) was prepared so that the solid content was 2 g / m 2 by the gravure printing method. Coating was performed to form a printing primer layer (not shown).

인쇄용 프라이머층(도시하지 않음) 위에 아크릴-우레탄계 수지(아크릴폴리올 100 중량부에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5 중량부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용액을 인쇄 잉크로 한 그라비아 인쇄법에 의해 2 ㎛ 두께의 착색 은폐층(도시하지 않음) 및 4 ㎛의 나무결 패턴 모양층 E를 형성하였다. 2 µm thick colored concealment layer by gravure printing method using acrylic-urethane resin (resin formed by adding 5 parts by weight of hexamethylene diisocyanate to 100 parts by weight of acrylic polyol) on printing primer layer (not shown) (Not shown) and 4 micrometers wood grain pattern shape layer E were formed.

패턴 모양층 E 위에 우레탄 수지계 접착제를 고형분량이 10 g/㎡가 되도록 도공하고, 추가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T 다이 압출기에 의해 가열 용융 압출하고, 10 ㎛ 두께의 투명성 접착제층 D 및 두께 200 ㎛의 투명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층 C를 형성하였다. 이 수지층 C 단독의 인장 탄성률은 1500 MPa이고, 이 수지층 C는 실질적으로 호모폴리프로필렌만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The urethane resin adhesive is coated on the pattern shape layer E so that the solid content is 10 g / m 2, and the polypropylene resin is further melt-extruded by a T die extruder, and the transparent adhesive layer D having a thickness of 10 μm and a thickness of 200 μm are used. Transparent polypropylene resin layer C was formed. The tensile elasticity modulus of this resin layer C alone was 1500 MPa, and this resin layer C was substantially formed only from homo polypropylene.

투명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층 C의 표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한 후, 코로나 방전 처리면에 아크릴-우레탄계 수지(아크릴폴리올 100 중량부에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5 중량부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용액을 그라비아 인쇄법에 의해 고형분량이 1 g/㎡가 되도록 도공하여 투명성 표면 보호층 형성용 프라이머층(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였다. After performing a corona discharge treatment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polypropylene resin layer C, the gravure printing method of the acryl-urethane resin (resin which adds 5 weight parts of hexamethylene diisocyanate to 100 weight parts of acrylic polyol) solution to a corona discharge treatment surface. It coated by solid content to be 1 g / m <2>, and formed the primer layer (not shown) for transparent surface protective layer formation.

투명성 표면 보호층 형성용 프라이머층(도시하지 않음) 위에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전자선 경화형 수지를 롤 코팅법에 의해 고형분이 15 g/㎡가 되도록 도공·건조하여 미경화된 전자선 경화형 수지층을 형성하였다. 그 후, 산소 농도 200 ppm의 환경하에서 미경화 수지층에 가속 전압 125 KeV, 5 Mrad의 조건으로 전자선을 조사하여 수지를 경화시켜 15 ㎛ 두께의 전자선 경화형 수지층 B(투명성 표면 보호층 B)를 형성하였다.The urethane acrylate type electron beam curable resin was coated and dried so that solid content might be 15 g / m <2> by roll coating method on the primer layer (not shown) for transparent surface protection layer formation, and the uncured electron beam curable resin layer was formed. Thereafter, the uncured resin layer was irradiated with electron beams under conditions of an acceleration voltage of 125 KeV and 5 Mrad under an oxygen concentration of 200 ppm to cure the resin to form an electron beam curable resin layer B (transparent surface protective layer B) having a thickness of 15 µm. Formed.

이어서, 투명성 표면 보호층 B 위로부터 엠보싱 가공에 의해 깊이 50 ㎛의 나무결 도관형의 요철 모양 A를 형성하였다.Subsequently, a wood grain conduit-shaped concave-convex shape A having a depth of 50 µm was formed from the transparent surface protective layer B by embossing.

이상의 과정에 의해 바닥재용 화장 시트를 제조하였다.The cosmetic sheet for flooring was manufactured by the above process.

(바닥용 화장재의 제조)(Production of cosmetics for the floor)

상기에서 얻어진 바닥재용 화장 시트 I의 이면 프라이머층 쪽을 약 4 ㎛ 두께의 수용성 우레탄 변성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계 에멀젼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12 ㎜ 두께의 나왕 합판 K에 점착하여 적층 합판을 제조하였다. The backside primer layer side of the decorative sheet I for flooring material obtained above was stuck to the 12 mm-thick uncured plywood K through the water-soluble urethane modified ethylene-vinyl acetate type emulsion adhesive layer of about 4 micrometers thick, and laminated plywood was manufactured.

적층 합판을 소정 치수(1척×6척)로 재단한 후, 테노너를 이용하여 네 변의 실가공을 실시하는 동시에, 투명성 표면 보호층으로부터 나왕 합판에 이르는 깊이의 V자 형상의 조홈 H를 긴 방향 및 짧은 방향으로 형성하였다. 또한, 적층 합판의 긴 방향 측면부를 모따기하였다. After the laminated plywood is cut to a predetermined dimension (1 × 6 ships), four sides of the thread are processed using tenoners, and the V-shaped groove H having a depth from the transparent surface protection layer to the rough plywood is long. And short directions. Moreover, the longitudinal side part of the laminated plywood was chamfered.

V자 형상의 조홈부 및 모따기부에 수계의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착색 도료를 도포한 후에 와이핑 처리를 실시하였다. After applying an aqueous two-component curable urethane-based coloring paint to the V-shaped jaws and the chamfers, the wiping treatment was performed.

이상의 과정에 의해 바닥용 화장재를 제조하였다. The cosmetic for floor was manufactured by the above process.

실시예Example 2 내지 3 및  2 to 3 an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One

투명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층의 두께를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바닥용 화장재를 제조하였다. A flooring decorative material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polypropylene resin layer was changed as shown in Table 1 below.

Figure 112006079116756-pct00001
Figure 112006079116756-pct00001

시험예Test Example 1 One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바닥용 화장재에 대하여 내충격 시험을 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듀퐁식 및 낙구식(JIS K5600-5-3 준거)의 2종의 내충격 시험을 행하였다. 내충격 시험은 바닥용 화장재에 형성된 V자 형상의 조홈을 피하여 조홈부 이외의 부분에서 행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The impact resistance test was done about the flooring cosmetics manufactured in Examples 1-4 and Comparative Example 1. Specifically, two types of impact resistance tests were conducted, the DuPont type and the falling ball type (according to JIS K5600-5-3). The impact resistance test was carried out at portions other than the jaw grooves to avoid the V-shaped jaws formed on the floor decorative material.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Figure 112006079116756-pct00002
Figure 112006079116756-pct00002

바닥용 화장재의 경우, 화장재의 구체적인 용도에도 의하지만, 일반적으로 듀퐁식 및 낙구식의 내충격 시험에 있어서, 패임량이 모두 400 ㎛ 이하이면 내충격 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floor cosmetic material, although it is based also on the specific use of a cosmetic material, generally, in the impact test of Dupont type and a falling-ball type, impact resistance performance can fully be exhibited if the amount of patch is all 400 micrometers or less.

참고 Reference 시험예Test Example 1 One

백커층을 갖는 종래품의 바닥재용 화장재에 대하여 시험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듀퐁식 및 낙구식의 2종의 내충격 시험을 행하였다. In the same manner as in Test Example 1, two kinds of impact-resistant tests, Dupont type and Fall type, were performed on the conventional flooring material having a backer layer.

종래품의 바닥재용 화장재는 400 ㎛ 두께의 비정질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A-PET)의 백커를 비교예 1의 화장 시트의 이면측에 폴리에스테르 우레탄계 접착제를 개재하여 적층하고, 다음으로 상기 적층체의 A-PET면과 12 ㎜ 두께의 나왕 합판을 수용성 우레탄 변성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계 에멀젼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적층함으로써 제조하였다. Conventional floor covering materials are laminated with a 400 μm thick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PET) backer on the back side of the makeup sheet of Comparative Example 1 with a polyester urethane adhesive, and then A of the laminate -PET surface and 12 mm thick plywood were produced by laminating a water-soluble urethane-modified ethylene-vinyl acetate emulsion adhesive layer.

시험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The test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below.

Figure 112006079116756-pct00003
Figure 112006079116756-pct00003

실시예Example A A

양면 코로나 방전 처리한 60 ㎛ 두께의 착색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한쪽 면에 2 ㎛ 두께의 2액 경화형 우레탄계 프라이머층을 설치하는 동시에 다른 쪽 면에 2액 경화형 우레탄계 프라이머층 및 아크릴우레탄계 인쇄 잉크로 나무결 모양의 인쇄층을 형성하였다. On the other side of the 60 µm thick colored polypropylene film treated with double-sided corona discharge, a 2 µm thick two-component curable urethane-based primer layer was installed, while on the other side, a two-component cured urethane-based primer layer and acrylic urethane-based printing ink The printed layer was formed.

다음으로 상기 인쇄층 상에 우레탄계 접착제를 개재하여 굽힘 탄성률 1500 MPa, 인장 항복 강도 38 MPa, 로크웰 경도 80의 투명 호모폴리프로필렌 수지(융점 170 ℃)를 T 다이 압출기로 두께가 300 ㎛가 되도록 폴리프로필렌 열가소성 수지층을 압출하여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Next, the transparent homopolypropylene resin (melting point 170 ° C.) having a bending elastic modulus of 1500 MPa, tensile yield strength of 38 MPa, and Rockwell hardness of 80 with a urethane-based adhesive on the printed layer was polypropylene so as to have a thickness of 300 μm with a T die extruder. The laminate was produced by extruding the thermoplastic resin layer.

상기 적층체의 상기 투명 호모폴리프로필렌 수지면에 2 ㎛ 두께의 우레탄계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우레탄계 프라이머층 상에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그라비아 리버스 코팅법으로 건조 후에 15 ㎛ 두께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미경화된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미경화된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층을, 산소 농도 200 PPM 이하의 환경 하에서 전자선(가속 전압 175 keV, 조사량 5 Mrad)을 조사하고, 경화시켜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지는 표면 보호층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표면 보호층측으로부터 판 두께 50 ㎛의 나무결 도관 형상 엠보싱판으로 엠보싱 가공을 실시하여 나무결 도관형 요철 모양을 형성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화장 시트를 제조하였다. A urethane-based primer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 μm was formed on the transparent homopolypropylene resin surface of the laminate. On the urethane-based primer layer, 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was coated and dried to have a thickness of 15 μm after drying by a gravure reverse coating method to form an uncured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layer. The uncured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layer is irradiated with an electron beam (acceleration voltage 175 keV, irradiation amount 5 Mrad) in an environment having an oxygen concentration of 200 PPM or less, and cured to form a surface protective layer made of an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From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side, the wood grain conduit-shaped embossing plate of 50 micrometers in thickness was embossed, and the wood grain conduit-shaped uneven | corrugated shape was formed. The cosmetic sheet was manufactured as mentioned above.

실시예Example B B

나무결 모양의 인쇄층 상에 우레탄계 접착제를 개재하여 굽힘 탄성률 1500 MPa, 인장 항복 강도 38 MPa, 로크웰 경도 80의 투명 호모폴리프로필렌 수지(융점 170 ℃)를 T 다이 압출기로 두께가 400 ㎛가 되도록 압출하여 적층체를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A와 동일하게 하여 본 발명의 화장 시트를 제조하였다. A transparent homopolypropylene resin (melting point: 170 ° C.) of bending elastic modulus of 1500 MPa, tensile yield strength of 38 MPa, and Rockwell hardness 80 was extruded to a thickness of 400 μm through a T-die extruder through a urethane-based adhesive on a wood-printed printing layer. Except having manufactured the laminated body, 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A, and produced the cosmetic sheet of this invention.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A A

나무결 모양의 인쇄층 상에 우레탄계 접착제를 개재하여 굽힘 탄성률 600 MPa, 인장 항복 강도 26 MPa, 로크웰 경도 72의 투명 랜덤 폴리프로필렌 수지(융점 145 ℃)를 T 다이 압출기로 두께가 300 ㎛가 되도록 압출하여 적층체를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A와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로 하는 화장 시트를 제조하였다. A transparent random polypropylene resin (melting point 145 ° C.) having a bending elastic modulus of 600 MPa, tensile yield strength of 26 MPa, and Rockwell hardness 72 was extruded to a thickness of 300 μm through a T-die extruder through a urethane adhesive on a wood-printed printing layer. Except having manufactured the laminated body, 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A, and produced the makeup sheet which makes a comparative example.

한편, 본 비교예에서 사용한 랜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랜덤 공중합체이다. In addition, the random polypropylene resin used by this comparative example is a random copolymer of ethylene and propylene.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B B

나무결 모양의 인쇄층 상에 우레탄계 접착제를 개재하여 굽힘 탄성률 1500 MPa, 인장 항복 강도 38 MPa, 로크웰 경도 80의 투명 호모폴리프로필렌 수지(융점 170 ℃)를 T 다이 압출기로 두께가 200 ㎛가 되도록 압출하여 적층체를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A와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로 하는 화장 시트를 제조하였다. A transparent homopolypropylene resin (melting point: 170 ° C.) of bending elastic modulus of 1500 MPa, tensile yield strength of 38 MPa, and Rockwell hardness 80 was extruded to a thickness of 200 μm through a T-die extruder through a urethane adhesive on a wood-printed printing layer. Except having manufactured the laminated body, 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A, and produced the makeup sheet which makes a comparative example.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C C

나무결 모양의 인쇄층 상에 우레탄계 접착제를 개재하여 굽힘 탄성률 1500 MPa, 인장 항복 강도 38 MPa, 로크웰 경도 80의 투명 호모폴리프로필렌 수지(융점 170 ℃) 50 중량%, 굽힘 탄성률 600 MPa, 인장 항복 강도 26 MPa, 로크웰 경도 72의 투명 랜덤 폴리프로필렌 수지(융점 145 ℃) 50 중량% 포함한 수지층을 T 다이 압출기로 두께가 400 ㎛가 되도록 압출하여 적층체를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A와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로 하는 화장 시트를 제조하였다. Bending elastic modulus 1500 MPa, tensile yield strength 38 MPa, Rockwell hardness 80 transparent homopolypropylene resin (melting point 170 ° C.) 50 wt%, bending elastic modulus 600 MPa, tensile yield strength 26 through a urethane-based adhesive on a wood-like printing layer 26 A resin layer containing 50% by weight of a transparent random polypropylene resin (melting point of 145 ° C.) of MPa and Rockwell hardness 72 was extruded to a thickness of 400 μm using a T-die extruder, except that the laminate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A. An example of a makeup sheet was produced.

바닥재의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flooring

목질 기재로서 12 ㎜ 두께의 나왕 합판을 사용하고, 실시예 A, B 및 비교예 A 내지 C에서 얻어진 바닥재용 화장 시트를, 수용성 우레탄계 에멀젼 접착제를 개재하여 적층함으로써 목재 기재에 접착시켜 바닥용 화장재를 제조하였다.A 12 mm-thick uncoated plywood was used as the wood base material, and the flooring material sheets obtained in Examples A, B and Comparative Examples A to C were laminated through a water-soluble urethane-based emulsion adhesive to adhere to the wood base material, and the flooring material Was prepared.

평가(evaluation( 내캐스터성Cast resistance ))

상기 실시예 A, B 및 비교예 A 내지 C에서 얻어진 화장 시트를 사용하여 얻어진 바닥재에 대하여 내캐스터성을 내캐스터 시험 장치 L6-O4(아사노 기카이 세이사꾸(주) 제조)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The caster resistance was evaluated using the caster test apparatus L6-O4 (manufactured by Asano Kikai Seisaku Co., Ltd.) on the flooring material obtained by using the decorative sheets obtained in Examples A and B and Comparative Examples A to C. It was.

내캐스터 시험 장치 L6-O4의 개략 구성도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내캐스터 시험 장치(1000)는 웨이트(1001)에 의해 하중 변경 가능한 가중부(1002), 조절 핸들(1003), 회전 가능한 캐스터 고정대(1010)(고정대: 직경 320 ㎜, 캐스터 부착부의 직경: 260 ㎜), 상기 캐스터 고정대에 등간격(원형의 고정대 내에 정삼각형을 그렸을 때의 정점 위치)에 부착된 3개의 캐스터(1011), 및 시료 고정대(1013)(직경 80 cm, 두께 80 ㎜)(아크릴 제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사용한 캐스터는 한머 캐스터(HANMMER CASTER)사로부터 입수한 420SA-N(차륜: 나일론제)(평균 직경 75 ㎜, 두께 25 ㎜)이다. The schematic block diagram of the caster test apparatus L6-O4 is shown in FIG. The caster test apparatus 1000 includes: a weight 1002 capable of changing the load by the weight 1001, an adjustment handle 1003, a rotatable caster holder 1010 (fixing table: diameter 320 mm, diameter of the caster attachment part: 260 mm). ), Three casters 1011 attached to the caster holders at equal intervals (a peak position when a regular triangle is drawn in a circular holder), and a sample holder 1013 (diameter 80 cm, thickness 80 mm) (made of acrylic) It is provided with. The caster used was 420SA-N (wheel: made of nylon) (average diameter 75 mm, thickness 25 mm) obtained from Hanmer Caster.

시험하는 바닥재(시료)(30 ㎝×30 ㎝)를 시료 고정대(1013)에 고정하고, 가중부(1002)에 30 kg의 웨이트(1001)를 얹고 조절 핸들(1003)에 의해 바닥재의 화장층측의 표면에 3개의 캐스터(1011)를 접촉시키고(총 하중 70 kg/㎡), 캐스터 고정대(1010)를 가동하고, 20 rpm의 속도로 5분마다 반회전시켜 1000 회전시켰다. The flooring material (sample) (30 cm x 30 cm) to test is fixed to the sample holder 1013, 30 kg of weight 1001 is put on the weight part 1002, and the adjustment handle 1003 of the makeup layer side of the floor material Three casters 1011 we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total load of 70 kg / m 2), and the caster holder 1010 was operated and rotated at a speed of 20 rpm every 5 minutes for 1000 revolutions.

내캐스터성을 바닥재 표면에 발생한 균열의 유무로 평가하고, 이하와 같이 순위를 매겼다.The cast resistance was evaluat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rack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d on the surface of flooring materials, and it ranked as follows.

○: 패임부 깊이가 70 ㎛ 미만○: depth of the recess is less than 70 ㎛

△: 패임부 깊이가 70 ㎛ 이상, 100 ㎛ 미만(Triangle | delta): 70 micrometers or more and less than 100 micrometers in depth

×: 패임부 깊이가 100 ㎛ 이상X: depth of the recessed portion is 100 µm or more

Figure 112006079116756-pct00004
Figure 112006079116756-pct00004

한편, 내캐스터성은 L6-O4(아사노 기카이 세이사꾸(주) 제조)와 동등한 평가를 할 수 있으면, 다른 시험기라도 평가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if caster resistance can be evaluated equivalent to L6-O4 (manufactured by Asano Kikai Seisaku Co., Ltd.), other testers can be evaluated.

Claims (11)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 시트 상에 장식층, 두께 200 내지 500 ㎛의 투명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및 투명성 표면 보호층을 적어도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바닥재용 화장 시트의 기재 시트측을 피착재에 점착시켜 이루어지는, 백커층을 형성하지 않는 바닥용 화장재. The base material sheet side of the flooring decorative sheet formed by laminating a decorative layer, a transparent polyolefin resi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00 to 500 µm, and a transparent surface protective layer at least in order on a base sheet made of a polyolefin resin is adhered to the adherend. The flooring cosmetic material which does not form a backer layer which consists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용 화장 시트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 시트 상에 패턴 모양층, 투명성 접착제층, 두께 300 내지 500 ㎛의 투명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층, 및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지는 투명성 표면 보호층을 적어도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바닥용 화장재. The flooring cosmetic she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oor covering material sheet comprises a patterned layer, a transparent adhesive layer, a transparent polypropylene resi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300 to 500 µm, and an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on a base sheet made of a polyolefin resin. Floor decorative material formed by laminating a surface protective layer at least in order. 제2항에 있어서, 투명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층이 호모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고, 상기 수지층 단독의 인장 탄성률이 1000 MPa 이상인 바닥용 화장재. The flooring decorative material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transparent polypropylene resin layer contains homopolypropylene, and the tensile modulus of the resin layer alone is 1000 MPa or more. 제2항에 있어서, 기재 시트와 패턴 모양층 사이에 추가로 착색 은폐층이 적층되어 있는 바닥용 화장재. The flooring decorative material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colored concealment layer is further laminated between the base sheet and the patterned layer. 제2항에 있어서, 투명성 표면 보호층의 겉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바닥용 화장재. The flooring decorative material of Claim 2 in which the unevenness | corrugation is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a transparent surface protection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용 화장 시트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 시트 상에 장식층, 두께 300 내지 500 ㎛의 투명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층, 및 두께 3 내지 30 ㎛의 투명성 표면 보호층을 적어도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바닥용 화장재. 2. The decorative sheet for floor coverin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corative sheet for floor covering comprises at least a decorative layer, a transparent polyolefin resi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300 to 500 µm, and a transparent surface protect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3 to 30 µm on a base sheet made of a polyolefin resin. Flooring material which is laminated as it is. 제6항에 있어서, 투명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의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호모폴리프로필렌인 바닥용 화장재. The flooring decorative material of Claim 6 whose polyolefin resin of a transparent polyolefin resin layer is homo polypropylene. 제6항에 있어서, 투명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의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호모폴리프로필렌 70 중량%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바닥용 화장재. The floor decorative material of Claim 6 in which the polyolefin resin of a transparency polyolefin resin layer consists of 70 weight% or more of homo polypropylenes. 제7항에 있어서, 호모폴리프로필렌이 융점 150 내지 170 ℃인 바닥용 화장재. The flooring cosmetic material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homopolypropylene has a melting point of 150 to 170 ° C. 제6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 시트가 폴리프로필렌 수지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인 바닥용 화장재. The flooring decorative material of Claim 6 whose base sheet which consists of polyolefin resin is a polypropylene resin film or a polyethylene resin film. 삭제delete
KR1020067022697A 2004-03-31 2005-03-31 Decorative sheet for floor material and decorative material for floor using the same KR10087678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03010A JP4587692B2 (en) 2004-03-31 2004-03-31 Decorative sheet for flooring and flooring decorative material using the same
JPJP-P-2004-00103010 2004-03-31
JP2004104712A JP2005290734A (en) 2004-03-31 2004-03-31 Decorative sheet for floor material
JPJP-P-2004-00104712 2004-03-3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6230A Division KR20080098452A (en) 2004-03-31 2005-03-31 Decorative sheet for floor material and decorative material for floor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656A KR20070009656A (en) 2007-01-18
KR100876787B1 true KR100876787B1 (en) 2009-01-09

Family

ID=3515003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6230A KR20080098452A (en) 2004-03-31 2005-03-31 Decorative sheet for floor material and decorative material for floor using the same
KR1020067022697A KR100876787B1 (en) 2004-03-31 2005-03-31 Decorative sheet for floor material and decorative material for floor us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6230A KR20080098452A (en) 2004-03-31 2005-03-31 Decorative sheet for floor material and decorative material for floor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2005290734A (en)
KR (2) KR20080098452A (en)
CN (1) CN100537226C (en)
HK (1) HK1103770A1 (en)
WO (1) WO2005100679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4060B1 (en) * 2020-08-05 2021-01-18 (주)꿈그린 Eco-friendly decoration she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30761B2 (en) * 2006-06-16 2010-06-08 Rohm And Haas Company Producing stress on surfaces
JP4923837B2 (en) * 2006-08-10 2012-04-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Boil / retort container lid
FR2922137B1 (en) * 2007-10-15 2009-12-25 Faurecia Interieur Ind METHOD FOR COATING A WORKPIECE WITH A LAYER OF WOODEN MATERIAL, AND PIECE COATED WITH SUCH A LAYER
JP5141467B2 (en) * 2008-09-22 2013-02-13 株式会社トッパン・コスモ Decorative sheet
JP4840461B2 (en) * 2008-09-30 2011-12-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Decorative sheet for flooring
JP5353363B2 (en) * 2009-03-27 2013-11-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Decorative sheet
JP5353605B2 (en) * 2009-09-29 2013-11-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Decorative sheet for floorin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699510B2 (en) * 2010-09-30 2015-04-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Floor decorative material
CN103402760A (en) * 2011-03-01 2013-11-20 大建工业株式会社 Light-transmissive cosmetic material and light-emitting cosmetic structure
JP5786414B2 (en) * 2011-03-31 2015-09-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Decorat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821461B2 (en) * 2011-09-21 2015-11-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Decorative sheet for floo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6064421B2 (en) * 2011-09-26 2017-01-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Floor decorative material
JP2012162085A (en) * 2012-03-29 2012-08-30 Dainippon Printing Co Ltd Decorative sheet
JP6255841B2 (en) * 2012-09-25 2018-01-1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Decorative sheet
JP6507473B2 (en) * 2013-03-13 2019-05-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Cosmetic sheet
KR101895635B1 (en) * 2013-07-11 2018-09-05 (주)엘지하우시스 Eco-friendly for elastic floor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459340B2 (en) * 2013-09-30 2019-01-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Mirror surface decorative sheet and mirror surface decorative plate using the same
JP2016037818A (en) * 2014-08-11 2016-03-22 株式会社トッパン・コスモ Floor decorative sheet
WO2016035078A1 (en) * 2014-09-04 2016-03-10 Palram Industries (1990) Ltd.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abrasion and weather resistant coating to profiles
RU2673055C1 (en) * 2015-01-16 2018-11-21 Больё Интернешнл Груп Нв Coating and method of obtaining coatings
KR102143642B1 (en) * 2015-02-20 2020-08-11 쇼 인더스트리즈 그룹, 인코포레이티드 Elastic flooring produc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6561614B2 (en) * 2015-06-18 2019-08-21 凸版印刷株式会社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board
WO2017015789A1 (en) * 2015-07-24 2017-02-02 新明(芦台)科技有限公司 Environmentally-friendly light polypropylene composite floor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16186215A (en) * 2016-06-13 2016-10-27 凸版印刷株式会社 Anti-slip decorative sheet
CN106113818B (en) * 2016-06-22 2018-09-11 浙江利帆家具有限公司 A kind of anti-aging polyethylene composite plastic outdoor tab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113226B1 (en) * 2017-02-10 2020-05-21 (주)엘지하우시스 vinyl tile flooring comprising a transparent layer of polyolefin resin materia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8147613A1 (en) * 2017-02-10 2018-08-16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Plastic tile flooring material comprising transparent layer made of polyolefin-based resin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479216B1 (en) * 2017-02-28 2022-12-19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makeup sheet and makeup board
US11359386B2 (en) * 2020-05-07 2022-06-14 Dal-Tile Corporation Floor element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a floor covering,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loor element
JP2022001424A (en) * 2020-06-22 2022-01-06 凸版印刷株式会社 Floor decorative sheet, production method thereof, floor decorative material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5742A (en) * 2001-03-15 2002-09-18 Denki Kagaku Kogyo Kk Building material
JP2003011277A (en) * 2001-06-29 2003-01-15 Toppan Printing Co Ltd Decorative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0054A (en) * 1986-08-04 1988-02-20 アキレス株式会社 Tile type antistatic floor material
JPH09216326A (en) * 1996-02-15 1997-08-19 Toppan Printing Co Ltd Decorative laminated sheet for floor material
JPH10230580A (en) * 1997-02-20 1998-09-02 Dainippon Printing Co Ltd Decorative sheet and its manufacture
JPH10278197A (en) * 1997-04-03 1998-10-20 Dainippon Printing Co Ltd Decorative sheet and its manufacture
JP2001159228A (en) * 1999-12-03 2001-06-12 Dainippon Printing Co Ltd Sheet for floor
JP2001181985A (en) * 1999-12-27 2001-07-03 Toppan Printing Co Ltd Sheet for floor and floor covering material
JP4605844B2 (en) * 2000-01-12 2011-01-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decorative material for flooring
JP2001220886A (en) * 2000-02-09 2001-08-17 Dainippon Printing Co Ltd Floor material sheet and floor member using the same
JP2001260282A (en) * 2000-03-14 2001-09-25 Dainippon Printing Co Ltd Sheet for floor material and floor material using the same
JP2003013587A (en) * 2001-06-28 2003-01-15 Toppan Printing Co Ltd Floor sheet and flooring
JP2003118042A (en) * 2001-10-12 2003-04-23 Shinko Kasei Kk Adhesive floor material
JP3835278B2 (en) * 2001-12-20 2006-10-18 凸版印刷株式会社 Floor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5742A (en) * 2001-03-15 2002-09-18 Denki Kagaku Kogyo Kk Building material
JP2003011277A (en) * 2001-06-29 2003-01-15 Toppan Printing Co Ltd Decorative materi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4060B1 (en) * 2020-08-05 2021-01-18 (주)꿈그린 Eco-friendly decoration she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37226C (en) 2009-09-09
KR20080098452A (en) 2008-11-07
HK1103770A1 (en) 2007-12-28
JP4587692B2 (en) 2010-11-24
JP2005290734A (en) 2005-10-20
KR20070009656A (en) 2007-01-18
JP2005290568A (en) 2005-10-20
WO2005100679A1 (en) 2005-10-27
CN1938477A (en) 200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787B1 (en) Decorative sheet for floor material and decorative material for floor using the same
JP4658749B2 (en) A decorative sheet for flooring that is excellent in impact resistance and scratch resistance
JP5045180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decorative sheet for flooring
JP6791232B2 (en)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board using it
JP5429129B2 (en) A decorative sheet for flooring that is excellent in impact resistance and scratch resistance
JP5151107B2 (en) Decorative sheet
JP6308243B2 (en) Coating agent
JP5700100B2 (en) Flooring decorative sheet and flooring decorative material
JP5533937B2 (en) Decorative sheet
JP2015086682A (en)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panel using the same
JP5724525B2 (en) Cosmetic sheet and cosmetic material
KR101456731B1 (en)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plate using the decorative sheet
JP5119639B2 (en) Decorative sheet for flooring
JP2014177017A (en)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material
JP6136457B2 (en) Cosmetic material
JP5169694B2 (en) Decorative sheet
JP2005238504A (en)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steel panel using it
JP6286998B2 (en) Cosmetic sheet and cosmetic material using the same
JP3051530U (en) Floorboard
JP5978681B2 (en) Floor decorative sheet and floor decorative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