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0356B1 - 인공치아 - Google Patents

인공치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0356B1
KR100860356B1 KR1020070126088A KR20070126088A KR100860356B1 KR 100860356 B1 KR100860356 B1 KR 100860356B1 KR 1020070126088 A KR1020070126088 A KR 1020070126088A KR 20070126088 A KR20070126088 A KR 20070126088A KR 100860356 B1 KR100860356 B1 KR 100860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ortion
shaft
bone
artificial tooth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지훈
정현철
김주석
엄태관
최규옥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6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03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356B1/ko
Priority to PCT/KR2008/006827 priority patent/WO200907276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61C8/0024Self-screwing with self-boring cutting ed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61C8/0025Self-screwing with multiple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2008/0046Textured surface, e.g. roughness, micro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축부를 통해 골압축량의 급격한 상승을 방지하고, 식립토크의 점진적 증가를 통해 응력분산효과 도모와 동시에 적절한 초기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는 복수의 축부를 가지는 인공치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주면에 적절한 돌출부 형태를 가진 인공치아에서 상기 돌출부를 제1축부, 제2축부 및 제3축부 등의 복수축부를 가지고, 골 접촉면적을 조절하여 응력분산 효과와 함께 동시에 제1축부에서 제3축부까지 골을 압축시키는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하여 갑작스런 골압축량의 증가를 방지함으로써 식립 편의성 및 초기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인공치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원통형 외주면에 굴곡한 단면을 가지는 복수의 축부를 포함하는 인공치아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축부 외주면에 돌출부와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축부는 상부에 있는 축부가 하부에 있는 축부에 비해 더 작은 돌출부 및 함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축부는 하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축부, 제2축부 및 제3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축부는 상기 제1축부보다 돌출부 및 함몰부를 한개 이상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3축부는 상기 제2축부보다 돌출부 및 함몰부를 한개 이상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를 제공한다.
인공치아, 픽스츄어, 임플란트, 제1축부, 제2축부, 제3축부

Description

인공치아 {A Dendtal Implant}
본 발명은 다수의 축부를 통해 골압축량의 급격한 상승을 방지하고, 식립토크의 점진적 증가를 통해 응력분산효과 도모와 동시에 적절한 초기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는 복수의 축부를 가지는 인공치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주면에 적절한 돌출부 형태를 가진 인공치아에서 상기 돌출부를 제1축부, 제2축부 및 제3축부 등의 복수축부를 가지고, 골 접촉면적을 조절하여 응력분산 효과와 함께 동시에 제1축부에서 제3축부까지 골을 압축시키는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하여 갑작스런 골압축량의 증가를 방지함으로써 식립 편의성 및 초기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인공치아에 관한 것이다.
인공치아인 임플란트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상실된 치아의 치근(뿌리)를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뼈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 을 회복하도록 하는 첨단시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치과용 임플란트에는 스크류타입의 픽스츄어가 사용되는데, 상기 픽스츄어 몸통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치과 및 정형외과의 보철물 등을 뼈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로서 사용된다. 의학기술의 발달과 시술능력의 향상에 힘입어, 현대에는 인공치아의 성공률 향상에 따라 인공치아 시술은 보편화 되어지고 시술의 편의성이 대두되어져 가고 있다.
이에 기존의 인공치아는 원통형 축에 외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 또는 내부에 보철물과의 연결부를 가지고 있다. 인공치아의 원통형 외부의 나사산은 인공치아를 식립할 때 편의성을 제공하고, 또한 골융합 이후에는 치조골로의 적절한 응력분산을 통해 치조골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갖게 된다. 원통형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와 하단부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는 형태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에는 큰나사산이 상단부에는 작은나사산이 구성되어 있는 형태로 크게 구분된다.
종래의 나사산이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어지는 인공치아는 식립시 편의성은 우수하나 골유착 후에 응력분산효과가 떨어져서 치조골유지에 불리하고, 하단부에 큰 나사산과 상단에 작은나사산으로 구성되어 있는 형태는 응력분산효과에서는 유리하나 상단부가 식립될 때 치조골을 압축하는 량(골압축량)이 급격하게 커짐으로 인해 상단부에서 견고하게 식립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즉, 이와 같은 종래 인공치아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가장 큰 문제점의 하나가 골압축량의 급격한 증가이다. 골압축량이란 인공치아가 치조골에 식립되면서 인공치아의 굴곡부에 의해 골이 압축됨으로 골이 압축되는 양을 말하는데, 상기 굴곡부의 갑작스런 변경으로 인해 골압축량이 급격하게 증가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골압축량이 급격히 증가하면 상단부의 초기 고정력이 저감되고, 종국적으로 골융합을 저해하게 된다.
기존의 균일한 돌출부를 가진 인공치아는 반복회전에 의해 식립시 나타나는 토크양상이 초기 상승후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게 되며 초기고정력이 낮고, 하단부 큰 나사산과 상단 작은나사산으로 구성된 인공치아는 작은나사산이 식립될 때 급격한 토크상승에 의해 식립이 되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통형 외주면에 적절한 돌출부 형태를 가진 인공치아를 제공하여, 인공치아의 식립시에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미세한 움직임에 의한 골유착실패 방지를 위한 적절한 초기고정력을 갖으며, 골유착 후에는 충분한 응력분산능력을 갖도록 하는 인공치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나사산이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어진 인공치아가 단지 식립시 편의성은 우수하나, 골유착 후에 응력분산 효과가 떨어져 초기 고정력이 저하되고 이로써 골융합이 어려운 것에 대하여 복수의 축부를 형성하여 상단부의 응력집중을 하단부에 분산되도록 하여 골융합을 촉진시키고, 초기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공치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균일한 돌출부를 가진 인공치아는 반복회전에 의해 식립시 나타나는 토크양상이 초기 상승후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게 되며 초기고정력이 낮고, 하단부 큰 나사산과 상단 작은나사산으로 구성된 인공치아는 작은나사산이 식립될 때 급격한 토크상승에 의해 식립이 되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으므로, 식립편의성과 초기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공치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축부에서 제3축부까지의 1회전당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급격한 토크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고, 식립토크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적절한 초기고정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인공치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체 내의 골은 적절한 힘을 받을 경우 항상성에 의해 유지될 수 있으므로 이를 도모할 수 있도록 제2축부와 제3축부의 작은 나사산을 통해 저작력을 치조골로 적절히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인공치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될 것이며,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인공치아는 원통형 외주면에 굴곡한 단면을 가지는 복수의 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축부 외주면에 돌출부와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 및 함몰부는 하측의 축부로부터 상측의 축부로 갈수록 개수가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인공치아는 상기 복수의 축부는 하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축부, 제2축부 및 제3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축부는 상기 제1축부보다 돌출부 및 함몰부를 한개 이상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3축부는 상기 제2축부보다 돌출부 및 함몰부를 한개 이상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인공치아는 상기 제1축부, 제2축부 및 제3축부의 각 축부에서 함몰부의 골지름이 균일하게 유지되거나, 상측 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인공치아는 상기 제1축부는 돌출부가 하나이고, 제2축부는 돌출부가 두개이고, 제3축부는 돌출부가 세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인공치아는 상기 제1축부, 제2축부 및 제3축부가 인접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인공치아는 상기 제2축부 및 제3축부의 함몰부의 골지름은 상기 제1축부의 함몰부의 골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인공치아는 상기 제1축부, 제2축부 및 제3축부에서 동일한 피치 및 동일한 리드를 갖도록 하여 나사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인공치아는 상기 제1축부, 제2축부 또는 제3축부에 셀프태핑에 의해 치조골에 암나사를 형성시키는데 유리한 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인공치아는 상기 제3축부의 상단에 돌출부 및 함몰부를 포함하지 아니하여 굴곡되지 아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및 후술할 구성과 결합, 작동관계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통형 외주면에 적절한 돌출부 형태를 가진 인공치아를 제공하여, 인공치아의 식립시에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미세한 움직임에 의한 골유착실패 방지를 위한 적절한 초기고정력을 갖으며, 골유착 후에는 충분한 응력분산능력을 갖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나사산이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어진 인공치아가 단지 식립시 편의성은 우수하나, 골유착 후에 응력분산 효과가 떨어져 초기 고정력이 저하되고 이로써 골융합이 어려운 것에 대하여 복수의 축부를 형성하여 상단부의 응력집중을 하단부에 분산되도록 하여 골융합을 촉진시키고, 초기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균일한 돌출부를 가진 인공치아는 반복회전에 의해 식립시 나타나는 토크양상이 초기 상승후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게 되며 초기고정력이 낮고, 하단부 큰 나사산과 상단 작은나사산으로 구성된 인공치아는 작은나사산이 식립될 때 급격한 토크상승에 의해 식립이 되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으므로, 식립편의성과 초기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축부에서 제3축부까지의 1회전당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급격한 토크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고, 식립토크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적절한 초기고정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체 내의 골은 적절한 힘을 받을 경우 항상성에 의해 유지될 수 있으므로 이를 도모할 수 있도록 제2축부와 제3축부의 작은 나사산을 통해 저작력을 치조골로 적절히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축부를 가지는 인공치아의 구성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축부를 가지는 인공치아의 입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축부의 돌출부를 도시한 상세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축부의 돌출부를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축부의 돌출부를 도시한 상세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함몰부의 골지름이 다른 인공치아를 도시한 입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치아를 도시한 입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인공치아가 치조골에 식립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인공치아가 치조골에 식립되는 경우 골이 압축되는 양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복수의 축부를 가지는 인공치아(10)은 원통형 외주면에 돌출부를 가지고 있으며, 외주면은 1회전시 골을 압축하는 단면이 다른 세개 이상의 돌출부를 가지고 있고, 제1축부(100), 제2축부(200), 제3축부(300), 최상단부(19)를 포함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인공치아는 이러한 상기 각각의 상이한 돌출부의 구성에 따라 제1축부(100), 제2축부(200), 제3축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축부(100) 내지 제3축부(300)의 구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축부를 가지는 인공치아는 1회전당 골압축량이 제1축부에서 제3축부까지의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급격한 토크의 상승이 없고, 점진적인 골압축에 의해 초기 고정력을 적절히 얻게 되고, 더 나아가 제2축부(200) 및 제3축부(300)의 작은 돌출부의 구성에 따라 골접촉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골유착 후에 응력분산 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축부(10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치조골에 제일 먼저 식립되는 본 발명의 인공치아(10) 중 최하단부로써 하향으로 두께가 감소하는 경향으로 줄어드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제1축부(100)는 커팅에지(11)와 제1돌출부(110) 및 제1함몰부(130)을 포함한다.
상기 커팅에지(11)는 본 발명의 인공치아(10)가 드릴링에 의하여 천공된 치조골에 식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축부(100)의 하단이 일부 축방향으로 절개됨으로써 형성되는데, 식립되면서 치조골에 암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셀프태핑(Self-Tapping)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인공치아(10)를 식립하고자 하는 골조직 부위에 상기 인공치아(10)의 지름보다 다소 작은 직경의 홈(A)을 형성한 후 인공치아(10)를 매식하면 상기 커팅에지(11)가 상기 홈의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암나사산을 통해서 식립을 인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돌출부(110)는 상기 제1축부(100) 외주면의 절곡된 부위에서 돌출된 부위로써 식립되어 치조골과의 견고한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접촉면적을 증 가시켜 주고 전단응력을 돌출부가 지탱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인 인공치아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 제1돌출부(110)는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축부(100)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결국 나사산의 형태를 이루어 식립과정에서 스크류 타입의 픽스츄어에서 볼 수 있듯이 회전하면서 식립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도 3에 게시된 나사산 형태의 돌출부는 본 발명을 실현할 수 있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상기 제1돌출부(110)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치조골과의 접촉면을 증가시키고 전단응력을 지탱할 수 있어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구조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제1함몰부(130)는 상기 제1축부(100) 외주면의 절곡된 부위에서 함몰된 부위로써 상기 제1돌출부(110)들 사이에 형성될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제1함몰부(130)의 구성으로 인하여 치조골에 본 발명의 인공치아(10)가 식립되는 경우 상기 함몰된 부위에 치조골이 접촉되어 견고히 접착되어 접촉면적의 증대로 인한 결합력 상승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살펴본 상기 제1돌출부(11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함몰부(130)는 이와 대응되게 상기 제1축부(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골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단지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한바, 상기 제1함몰부(130)의 구성은 상기 목적과 효과를 이룰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것이다.
상기 제2축부(200)는 상기 제1축부(100)의 상부에 연이어져 형성되어 있는 절곡된 부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인공치아(10)의 특정 외주면으로 상기 제1축부(100)와 마찬가지로 골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골 유착력 증대 및 응력 분산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축부는 제2돌출부(210) 및 제2함몰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제2돌출부(210)는 상기 제2축부(200)의 외주면의 절곡된 부위 중 돌출된 부위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상기 제1축부의 제1돌출부(110)의 구성과 같은 기능인 골 접촉면적의 증대를 통한 응력분산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더 나아가 상기 제1축부의 제1돌출부(110)의 구성과 같이 제2축부(200)의 외주면에 연속적으로 돌출된 나사산의 형태로 이루어져 스크류 타입으로 식립을 진행함으로써 식립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도 있게 된다. 이에 상기 제2돌출부(210)는 상기 돌출된 부위의 마루에 제2작은 돌출부(211)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작은돌출부(211)의 구성을 통해 이중나사산 구조를 통한 응력분산과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제2축부(200)에서의 응력집중을 다른 곳으로 분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함몰부(230)은 상기 제2축부(200)의 외주면의 절곡된 부위 중 함몰된 부위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상기 제1축부의 제1함몰부(130)의 구성에 대응되는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함몰부(230)는 상기 제2돌출부(210)의 구성과 함께 접촉면적 증대를 통한 응력분산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고, 역시 나사골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스크류 타입의 식립이 가능하므로 식립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 제2함몰부(230)는 제2작은함몰부(231)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2작은함몰부(231) 역시 상기 제2작은돌출부(211)와 함께 응력집중을 해소하고 응력을 다른 축부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한다.
이에 도 3 및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제2돌출부(210) 및 제2함몰부(230)을 포함하는 제2축부(200)의 제2함몰부(210) 간의 거리(w2)는 상기 제1돌출부(110) 및 제1함몰부(130)를 포함하는 제1축부(100)에서의 제1함몰부(110) 간의 거리(w1)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것은 결국 골간 거리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경우로 나사의 연속성이 유지되고 리드가 동일하게 유지되어 인공치아 식립시 다른 치조골을 훼손하지 않고 식립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제2작은함몰부(231) 간의 거리는 상기 제1함몰부(130) 간의 거리(w1)보다 더 작도록 형성된다. 이는 본 발명의 요지인 골 압축량의 급격한 증가를 줄여 식립시 초기 고정력을 용이하게 확보하고, 동시에 식립의 편의성을 실현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에 하기에서 설명할 제3축부(300)에서의 제3함몰부(330)에서의 골간 거리(w3)를 도 4c에서 볼 수 있는데, 상기 제1축부에서의 제1함몰부(130)에서의 골간 거리(w1) 및 상기 제2축부에서의 제2함몰부(230)에서의 골간 거리(w2)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는 결국, 상기 각 축부에서의 골간 거리(w)를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써 동일한 피치 및 리드를 유지할 수 있는 배경을 제공하게 되고, 이에 따라 식립하는 과정에서 골이 파괴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3축부(300)는 상기 제2축부(200)와 상부로 연이어진 형태로 이루어진 전체 몸통부의 상부를 말하는데, 이에 본 발명의 인공치아(10)가 치조골에 완전히 식립되는 경우 상기 제3축부(300)는 피질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축부(300)는 제3돌출부(310)와 제3함몰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제3축부(300)는 결국 식립 시 상기 제1축부 및 제2축부에 비해서 골압축량이 가장 많아질 것이므로 외주면의 바깥 지름은 상기 제1축부 및 제2축부와 동일할지라도 함몰부의 골지름은 상기 제1축부 및 제2축부에 비하여 더 커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응력을 상기 제1축부 내지 제3축부에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고, 스크류 타입의 인공치아로써 식립시 편의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축부에 포함된 돌출부 및 함몰부를 살펴보면, 상측에 있는 축부에 존재하는 돌출부 및 함몰부가 하부에 있는 축부에 존재하는 돌출부 및 함몰부에 비해 더 작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렇게 상측의 축부에 형성된 돌출부 및 함몰부가 하측의 축부에 형성된 돌출부 및 함몰부에 비해 작게 형성하는 이유는 식립하는 과정에서 골압축량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인데, 이로써 저작력을 서서히 증가시켜 골과의 견고한 결합을 도모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3돌출부(310)는 앞서 본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와 대응되게 상기 제3축부(300) 외주면의 굴곡된 부위의 돌출된 부위에 해당된다. 이렇게 돌출된 상기 제3돌출부(310)는 치조골과의 접촉시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주고, 결합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에 상기 제3돌출부(310)는 상기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3축부(300)의 외주면에 나사산의 형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렇게 나사산의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스크류 타입의 식립으로 인하여 식립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고, 골 파괴를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인공치아의 고정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3돌출부(310)는 그 돌출된 부위에 제3작은돌출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돌출부(310) 상부의 상기 제3작은돌출 부(311)는 상기 제2돌출부(210) 상부의 상기 제2작은돌출부(211)의 개수보다 더 많이 형성되어 있을 것을 요한다. 이렇게 형성되는 것은 본 발명의 요지인 골 압축량이 갑작스럽게 증가하지 아니하도록 하는 것을 도모하고자하는 것으로 종국적으로 상기 제1돌출부(110)에 의해 압축된 치조골의 암나사산에 식립이 진행함에 따라 상기 제2돌출부(210) 및 제2작은돌출부(211)에 의해 조금 더 압축되고, 상기 제3돌출부(310) 및 제3작은돌출부(311)에 의해 조금 더 압축되는 과정에 따라 점진적으로 골압축량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하여, 골 식립에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3함몰부(330)는 상기 제3축부(3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절곡부위 중 함몰된 부위를 말하는데, 상기 제3돌출부(310)에 대응되게 그 사이에 함몰된 부위이다. 이에 상기 제3함몰부(330)는 상기 제3돌출부(310)가 나사산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나사골을 이루게 될 것이고, 결국 상기 제3작은돌출부(330)도 나사산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역시 나사골이 존재하게 될 것이다. 이에 상기 제3함몰부(330)는 상기 제3작은돌출부(330)들 사이에 존재하는 골로써 볼 수 있고, 그 골지름은 상기 제1축부 및 제2축부의 골지름보다 더 넓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골 압축량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할 수 있는 배경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축부, 제2축부 및 제3축부에서의 돌출부 및 함몰부가 나사산 및 나사골의 프로파일을 갖는 경우를 산정하여 식립 용이성과 식립에 따른 골파괴 최소화를 위한 구성을 살펴본다. 리드란 나사가 1회전하는 동안 축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를 말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단일나사에 있어서 피치와 동일하게 된다. 그러나, 다중 나사산이나 단순하지 아니한 나사산의 경우에는 피치와 리드는 동일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나삿니 프로파일을 갖는 구조에 있어서, 리드의 측정은 단순히 피치나 피크간의 거리의 측정으로는 어려울 것이고, 따라서 각각의 나삿니 프로파일에서 별도로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경우 도 4a 내지 도 4b 및 도 8을 살펴보면, 상기 돌출부 및 함몰부는 상기 축부의 외주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나사산 및 나사골의 프로파일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도 4a 내지 도 4b를 살피면, 상기 함몰부인 나사골간의 거리가 각각 제1축부, 제2축부 및 제3축부에서 w1, w2 및 w3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이루어짐에 따라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골 압축량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할 수 있는데, 상기 골간 거리(w)가 동일하게 되는 경우 1회전당 인공치아가 움직이는 거리인 리드가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결국 본 발명의 인공치아에서 나삿니 프로파일에 따른 리드는 도 4a내지 도 4b 및 도 8에 도시된 함몰부의 나사골 간의 거리(w)인 w1, w2 w3에 의해 정해진다. 이로써 상기 w1=w2=w3 의 골간 거리가 일정하게 되면 동일한 리드를 갖게 되고, 이로써 본 발명의 인공치아를 식립하는데 훨씬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동일한 돌출부인 나사산을 다음 나사산이 지나게 되므로 치조골의 파괴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종국적으로는 골과의 해리를 방지하고 골융합을 촉진하며 골과 견고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축부(100), 제2축부(200) 및 제3축부(300)의 함몰부가 이루는 골지름이 각각 제3축부로 갈수록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축부(100)의 골지름은 D1이고, 상기 제2축부(200)의 골지름은 D2이며, 상기 제3축부(300)의 골지름은 D3인데, D3>D2>D1의 관계가 이루어지도록 골지름이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골지름의 증가를 통해 쐐기효과에 따른 식립시 저작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축부(200)에서 상기 제3축부(100)로 연결되는 부위에서 상기 제3축부(100)의 하단에 홈(400)을 포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상기 홈(400)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셀프태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커팅에지(11)와 같은 기능을 하기 때문으로, 치조골에 암나사산을 형성하여 스크류를 형성하여 식립을 인도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홈(400)은 단지 상기 제1축부(100)의 하단에만 포함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축부(200) 및 제1축부(100)의 하단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홈(400)은 나사산이 상기 복수의 축부 경계에서 다르게 이루어짐에 따라 식립이 어려워질 수 있는 것을 셀프태핑을 통해 식립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축부를 가진 인공치아(10)의 사용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 및 작동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인공치아가 치조골에 식립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인공치아가 치조골에 식립되는 경우 골이 압축되는 양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인공치아(10)는 원통형 외주면의 돌출부는 나사의 원리에 의해 배치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인공치아는 드릴을 이용하여 복원하고자 하는 치아의 위치에 드릴링을 하고, 치과용 수술기구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식립되는 형식으로 구성된다. 또한, 원통형 외주면에 굴곡부를 포함하고, 지대주와의 연결부가 외부에 있거나, 내부에 있거나, 지대주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인공치아에서 세개 이상의 굴곡부 단면을 갖으며, 제2축부는 제1축부보다 굴곡부를 한개 이상 추가하고, 제3축부는 제2축부보다 굴곡부를 한개 이상 추가한 것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제1축부, 제2축부 그리고 제3축부의 외곽은 절두 원추형 단부나 원통형 단부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1축부, 제2축부 그리고 제3축부에서 각부의 굴곡부의 골깊이가 균일한 것과 균일하지 않는 것의 다양한 조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인공치아(10)는 제1축부에는 굴곡부가 하나이고, 제2축부에는 굴곡부가 두개이고, 제3축부에는 굴곡부가 세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축부, 제2축부 및 제3축부가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공치아(10)는 상기 제2축부 및 제3축부의 굴곡부의 골깊이는 제1축부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1축부, 제2축부 및 제3축부에서 1회전시 동일한 피치를 갖는 굴곡부 형상을 적어도 한 개 이상 가진다.
본 발명의 복수의 축부를 가진 인공치아(10)의 작동관계를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공치아(10)는 드릴링에 의해 천공된 치조골(3)에 스크류 타입으로 식립된다. 이에 상기 치조골(3)에 천공된 홈의 직경(A)는 본 발명의 인공치아(10)의 지름에 비해 약간 작도록 형성됨 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인공치아(10)가 식립되면서 치조골에 암나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상기 인공치아(10)가 식립축(X)에 따라 회전하면서 식립되면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치조골(3)에 암나사산을 형성하게 된다. 먼저 제1축부(100)의 제1돌출부(110)에 의해 도 8의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홈(400)에 의해 셀프태핑되고 최초로 치조골에 큰 암나사산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 식립을 진행함에 따라 도 8의 그림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축부(200)가 상기 제1축부가 거쳐간 곳을 지나가게 되고, 이에 따라 서로 상이한 돌출부에 따라 골압축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는 상기 제1축부에서 상기 제1돌출부(110)의 크기가 크고 상기 제1축부의 골지름이 상기 제2축부에 비해 작기 때문에 자연스레 일어나게 되는데, 그 골압축량은 도 8의 그림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S1이다. 다음 도 8의 그림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축부(200)가 거쳐간 곳을 식립을 진행함에 따라 제3축부(300)가 식립되게 되고 상기 제3축부의 제3돌출부(310)는 상기 제2축부의 제2돌출부(210)에 비해 더 작고, 그 골지름이 더 넓기 때문에 골 압축량이 S2만큼 더 많아지게 된다. 이렇게 본 발명의 인공치아(10)는 식립의 과정에 따라 치조골에 완전히 식립되는데 골압축량이 서서히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단지 상단부와 하단부만을 구성하는 경우라면 상기 골압축량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갑작스럽게 증가하게 되어 치조골에 큰 무리를 주고 이로써 저작력을 약화시키게 되며, 더 나아가 골 해리를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축부를 가지는 인공치아(10)는 1회전당 골 압축량이 제1축부에서 제3축부까지의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급격한 토크의 상승이 없고, 점 진적인 골압축에 의해 초기 고정력을 적절히 얻게 되고, 제2축부 및 제3축부의 작은 돌출부의 구성은 골유착 후에 응력분산 효과가 있다.
앞서 살펴본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축부를 가지는 인공치아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도 1은 몸통부 전체에 동일한 나사산을 가지는 종래의 인공치아를 나타낸 입면도
도 2는 상단부 및 하단부에 상이한 나사산을 가지는 종래의 인공치아를 나타낸 입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축부를 가지는 인공치아의 입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축부의 돌출부를 도시한 상세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축부의 돌출부를 도시한 상세도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축부의 돌출부를 도시한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함몰부의 골지름이 다른 인공치아를 도시한 입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치아를 도시한 입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인공치아가 치조골에 식립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인공치아가 치조골에 식립되는 경우 골이 압축되는 양에 대해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주요 설명 *
1 : 종래 인공치아 1a : 돌출부
2 : 종래 인공치아 2a : 하단 굴곡부
2b : 상단 굴곡부 3 : 치조골
31 : 피질골 33 : 해면골
10 : 본 발명의 인공치아 11 : 커팅에지
19 : 최상단부 100 : 제1축부
110 : 제1돌출부 130 : 제1함몰부
200 : 제2축부 210 : 제2돌출부
211 : 제2작은돌출부 230 : 제2함몰부
231 : 제2작은함몰부 300 : 제3축부
310 : 제3돌출부 311 : 제3작은돌출부
330 : 제3함몰부 400 : 홈
D1 : 제1축부 함몰부 골지름 D2 : 제2축부 함몰부 골지름
D3 : 제3축부 함몰부 골지름 w1 : 제1축부 골간거리
w2 : 제2축부 골간거리 w3 : 제3축부 골간거리
S1 : 제2축부에 의한 골 압축량 S2 : 제3축부에 의한 골 압축량
X : 식립축(샤프트 축) A : 치조골의 드릴링 지금

Claims (12)

  1. 원통형 외주면에 굴곡한 단면을 가지는 복수의 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축부는 하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축부, 제2축부 및 제3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축부는 그 외주면에 각각 돌출부와 함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축부는 상기 제1축부보다 돌출부를 한 개 이상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3축부는 상기 제2축부보다 돌출부를 한 개 이상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1축부, 제2축부 및 제3축부는 동일한 리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부, 제2축부 및 제3축부의 각 축부에서 함몰부의 골지름이 균일하게 유지되거나, 상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부, 제2축부 및 제3축부의 외경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부, 제2축부 및 제3축부가 인접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축부 및 제3축부의 함몰부의 골지름은 상기 제1축부의 함몰부의 골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7.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및 함몰부는 나사산 및 나사골의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8. 삭제
  9.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부, 제2축부 또는 제3축부에 셀프태핑에 의해 치조골에 암나사를 형성시키는데 유리한 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부, 제2축부 또는 제3축부에 셀프태핑에 의해 치조골에 암나사를 형성시키는데 유리한 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11. 삭제
  12.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축부의 상단에 돌출부 및 함몰부를 포함하지 아니하여 굴곡되지 아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
KR1020070126088A 2007-12-06 2007-12-06 인공치아 KR100860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088A KR100860356B1 (ko) 2007-12-06 2007-12-06 인공치아
PCT/KR2008/006827 WO2009072764A1 (en) 2007-12-06 2008-11-19 Dental impl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088A KR100860356B1 (ko) 2007-12-06 2007-12-06 인공치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0356B1 true KR100860356B1 (ko) 2008-09-25

Family

ID=40023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088A KR100860356B1 (ko) 2007-12-06 2007-12-06 인공치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60356B1 (ko)
WO (1) WO20090727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10898A1 (en) 2011-04-14 2012-10-17 Astra Tech AB Fixture
EP2510900A1 (en) 2011-04-14 2012-10-17 Astra Tech AB Fixture
EP2510901A1 (en) * 2011-04-14 2012-10-17 Astra Tech AB Set of fixtures
EP2510899A1 (en) 2011-04-14 2012-10-17 Astra Tech AB Fixture
JP6804299B2 (ja) * 2014-11-27 2020-12-23 京セラ株式会社 歯科インプラント用フィクスチャーおよび歯科インプラン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1415A (ko) * 2004-12-02 2006-06-08 김정찬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6596C2 (sv) * 1996-05-17 1998-01-19 Nobel Biocare Ab Självgängande förankringselement för iskruvning i tandben
SE9802571D0 (sv) * 1998-07-17 1998-07-17 Astra Ab Implant
US6655961B2 (en) * 2001-12-03 2003-12-02 Richard Day Cottrell Modified dental implant fixture
KR200386050Y1 (ko) * 2005-01-06 2005-06-07 김정찬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1415A (ko) * 2004-12-02 2006-06-08 김정찬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72764A1 (en) 200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82479B2 (ja) インプラント、インプラントを含む配置およびインプラントを骨組織に挿入する方法
JP4278305B2 (ja) インプラント
US8221119B1 (en)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US9848927B2 (en) Self-clearing self-cutting implant
KR101139962B1 (ko) 플레이트를 가진 치과용 임플란트
US11413119B2 (en) Fixture and a fixture set
CA2941664C (en) Dental implant
CN110944598A (zh) 牙科连接***
US20150099240A1 (en) Set of fixtures, an implantation system and a method of selecting a fixture from a set of fixtures
KR100860356B1 (ko) 인공치아
WO2012059908A1 (en) Multi-threaded dental implant
KR100894986B1 (ko) 스크류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0594752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0807289B1 (ko) 임플란트 조립체
KR10119125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RU2314059C1 (ru) Винтовой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имплантат
KR200377963Y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0950278B1 (ko) 인공치아
RU2441621C1 (ru) Дентальный внутрикостный имплантат и абатмент для него
RU60341U1 (ru) Винтовой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имплантант
WO2014132278A1 (en) Improved endosseous implant
KR101033175B1 (ko) 임플란트 고정구 고정용 각도 보정 방법 및 임플란트 고정구 각도 보정장치
KR20190107462A (ko) 임플란트 픽스츄어
KR20150067630A (ko) 치과용 임플란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