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2625B1 - 접촉자 블록 및 전기적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접촉자 블록 및 전기적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2625B1
KR100852625B1 KR1020067025530A KR20067025530A KR100852625B1 KR 100852625 B1 KR100852625 B1 KR 100852625B1 KR 1020067025530 A KR1020067025530 A KR 1020067025530A KR 20067025530 A KR20067025530 A KR 20067025530A KR 100852625 B1 KR100852625 B1 KR 100852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block
plate
longitudinal direction
cont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5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9186A (ko
Inventor
에이찌 오사토
요시히토 고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Priority to KR1020067025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2625B1/ko
Publication of KR20070029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9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G01R1/0441Details
    • G01R1/0466Details concerning contact pieces or mechanical details, e.g. hinges or cams; Shiel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 G01R31/281Specific types of tests or tests for a specific type of fault, e.g. thermal mapping, shorts testing
    • G01R31/2812Checking for open circuits or shorts, e.g. solder bridges; Testing conductivity, resistivity or imped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접촉자 블록은, 간격을 둔 한 쌍의 접촉자 편을 포함하는 접촉자와, 상기 접촉자 편을 결합하는 전기 절연성의 결합 블록을 포함한다. 각 접촉자 편은 꺾어진 꺾음 단부와 상기 꺾음 단부로부터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장하는 한 쌍의 암부를 갖는 횡 U자상 또는 횡 V자상의 중간영역과, 한쪽 암부의 선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제1 선단영역과, 다른쪽 암부의 선단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하는 제2 선단영역을 갖추고 있다. 양 접촉자 편의 꺾음 단부는 결합 블록 내에 매몰되어 있고, 양 접촉자 편의 잔부는 결합 블록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기적 접속장치에 조립한 상태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접촉자가 결합 블록에 의해 위치 결정되고, 접촉자 블록을 교환함으로써 접촉자를 교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촉자 블록 및 전기적 접속장치{Contact Block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기술분야
본 발명은, 집적회로와 같은 반도체 디바이스의 통전시험에 이용하는 접촉자 블록 및 전기적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켈빈 접속이 가능한 접촉자 블록 및 전기적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팩키지 또는 몰드된 반도체 디바이스, 특히 집적회로(IC)의 전기적 특성의 검사 즉 시험은, 일반적으로 반도체 디바이스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는 검사 소켓 즉 시험 소켓과 같은 전기적 접속장치를 검사용 보조장치로서 이용함으로써 행해진다.
이러한 종류의 전기적 접속장치로서, 전기적 접속장치나 통전시험장치 내의 회로저항, 접촉자와 도전성부(導電性部) 및 리드 전극과의 접촉 저항 등을 캔슬(cancel)하여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켈빈 접속에 의해 반도체 디바이스를 시험하는 것(일본 특개평3-176676호 공보)과, 거의 J자상으로 구부러진 복수의 접촉자를 이용하는 것(일본 특개2003-123874호 공보)이 있다.
전자의 장치에 있어서, 각 접촉자는 각각 제1 및 제2 접촉부(리드부)를 갖는 한 쌍의 접촉자 편(片)(소켓 리드)을 이용하여, 각 제2 접촉부가 배선기판과 같은 기판의 대응하는 구멍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기판의 대응하는 도전성부에 접촉된다.
그러나 전자의 장치에서는, 각 접촉자의 양 접촉자 편이 서로 독립해 있기 때문에, 접촉자 편의 교환 시에 그 접촉자 편을 상대 접촉자 편 및 이웃하는 접촉자에 대하여 바르게 위치 결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접촉자의 교환 작업이 번거롭다.
후자의 장치에 있어서, 각 접촉자는 거의 J자상의 얇은 전기 절연체와, 상기 절연체를 사이에 끼우는 거의 J자상으로 구부러진 판상의 한 쌍의 접촉자 편을 가져, 샌드위치형 3층 구조를 갖는다. 접촉자는 커버에 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병렬적으로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침선부를 커버에 형성된 슬릿에 통하게 해 두고, 커버가 기판에 설치된 상태에서 커버에 배치된 고무와 같은 봉상의 탄성체의 만곡부를 기판의 대응하는 도전성부에 누르고 있다.
그러나 후자의 장치에서는 접촉자의 교환 시에, 커버를 기판으로부터 분리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와 같이 분리하면, 탄성체에 의한 기판의 도전성부에 대한 모든 접촉자의 누름이 해제되어, 많은 접촉자가 커버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커버를 기판에 다시 설치할 때, 탈락해 있는 접촉자를 커버에 한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로 병렬적으로 다시 배치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접촉자의 교환 작업이 번거롭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촉자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는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따른 접촉자 블록은, 간격을 둔 한 쌍의 접촉자 편을 포함하는 접촉자와, 상기 접촉자 편을 결합하는 전기 절연성의 결합 블록을 포함한다. 각 접촉자 편은 꺾어진 꺾음 단부와 상기 꺾음 단부로부터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장하는 한 쌍의 암(arm)부를 갖는 횡 U자상 또는 횡 V자상의 중간영역과, 한쪽 상기 암부의 선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제1 선단영역과, 다른쪽 상기 암부의 선단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하는 제2 선단영역을 갖추고 있다. 양 접촉자 편의 상기 꺾음 단부는 상기 결합 블록 내에 매몰되어 있고, 양 접촉자 편의 잔부(殘部)는 상기 결합 블록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접촉자 블록에 있어서, 양 접촉자 편의 최소한 상기 제1 선단영역의 선단은 피검사체의 도전성부에 공통으로 접촉 가능하게 접근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접촉자 블록에 있어서, 상기 중간영역의 미(未)매몰 부분은 상기 결합 블록으로부터 캔틸레버 상으로 연장해 있어도 좋다.
상기 접촉자 블록에 있어서, 한쪽 접촉자 편의 상기 중간영역은 다른쪽 접촉자 편의 상기 중간영역의 바깥쪽에 위치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한쪽 접촉자 편 의 상기 제1 및 제2 선단영역은 각각 다른쪽 접촉자 편의 상기 제1 및 제2 선단영역에서 상기 제1 및 제2 암부의 길이방향으로 이간되어 있어도 좋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접촉자 블록은, 복수의 상기 접촉자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블록은 그들 접촉자를 이것들이 한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로 결합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접속장치는, 상기와 같은 최소한 하나의 접촉자 블록과, 서로 겹쳐져 접촉자 블록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판상부재와, 상기 접촉자 블록을 상기 제1 또는 제2 판상부재에 설치하는 설치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판상부재는 상기 접촉자의 양(兩) 제1 선단영역을 받아들이고 있는 복수의 제1 긴 구멍으로서 상기 암부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각각 상기 암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제1 긴 구멍을 갖춘다. 상기 제2 판상부재는 피검사체를 받아들이는 개구와, 상기 접촉자의 상기 제2 선단영역이 받아들여진 제2 긴 구멍으로서 상기 암부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각각 상기 암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제2 긴 구멍을 갖춘다.
상기 설치부재는 상기 복수의 접촉자 블록의 상기 결합 블록을 관통하여 연장해 있어도 좋다.
게다가 상기 전기적 접속장치는 상기 접촉자의 상기 제1 및 제2 선단영역이 접촉되는 도전성부를 갖춘 배선기판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판상부재가 결합되는 배선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꺾어진 꺾음 단부와 상기 꺾음 단부로부터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장하는 한 쌍의 암부를 갖는 횡 U자상 또는 횡 V자상의 중간영역과, 한쪽 상기 암부의 선단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하는 제1 선단영역과, 다른쪽 상기 암부의 선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제2 선단영역을 갖추는 한 쌍의 접촉자 편을 이용하고, 양 접촉자 편의 최소한 꺾음 단부를 결합 블록 내에 매몰시키고, 양 접촉자 편의 잔부를 결합 블록으로부터 돌출시킨 접촉자 블록을 이용하면, 이것이 전기적 접속장치에 조립된 상태에서, 서로 이웃하는 접촉자는 결합 블록에 의해 위치 정해진다. 이 때문에, 접촉자의 교환 시에는 접촉자 블록을 교환하면 되고, 따라서 접촉자의 교환 작업이 용이해진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접속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배선기판을 제거한 상태로 나타낸다.
도2는 도1에 나타낸 전기적 접속장치의 저면도로서 배선기판을 제거한 상태로 나타낸다.
도3은 도1에서의 3-3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4는 도1에서의 4-4선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자 블록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은 제1 판상부재에서의 긴 구멍 부근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7은 제2 판상부재에서의 긴 구멍 부근의 확대 저면도이다.
도8은 각 접촉자의 전기적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촉자 블록 및 결합 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0은 도8에 나타낸 접촉자 블록 및 결합 블록을 이용한 전기적 접속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전기적 접속장치
12: 피검사체
16: 전극
20: 배선기판
22, 24: 제1 및 제2 판상부재
26, 80: 접촉자 블록
28: 배선
30: 접촉자 편(片)
32: 결합 블록
34: 중간영역
36, 38: 제1 및 제2 선단영역
40: 꺾음 단부(端部)
42, 44: 암부
50, 52: 제1 및 제2 공간
54, 58: 제1 및 제2 긴 구멍
56: 개구
60, 62: 제1 및 제2 요소(凹所)
68, 70: 볼트
82: 사면(斜面)
84: 구멍
86: 핀
88: 덧댐 부재
90: 누름 나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도1∼도7을 참조하면, 전기적 접속장치(10)는, 반도체 디바이스를 피검사체(12)로 하는 통전시험에 이용된다. 피검사체(12)는 사각형의 평면형상으로 팩키지 또는 몰드된 판상의 본체(14)와, 본체(14)의 아래면에 형성된 복수의 전극(16)을 포함한다.
그들 전극(16)은, 사각형의 4변에 각각 대응하는 4개의 전극 그룹으로서 각각 대응하는 변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전극 그룹으로 나누어져 있다. 각 전극(16)은 대응하는 변의 안쪽 부분에 위치되어 있고, 또 대응하는 변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판상으로 되어 있다.
전기적 접속장치(10)는 베이스 플레이트로서 작용하는 배선기판(20)과, 배선기판(20)에 겹쳐진 제1 판상부재(22)와, 제1 판상부재(22)에 겹쳐진 제2 판상부재(24)와, 제1 및 제2 판상부재(22 및 24)에 배치된 복수의 접촉자 블록(26)을 포함한다.
배선기판(20)은 이것의 윗면에 형성된 복수의 배선(28)을 갖고 있다. 그들 배선(28)은 피검사체(12)의 전극 그룹에(즉, 사각형의 4변에) 1대1의 관계로 대응된 4개의 배선 그룹으로 나누어져 있다. 각 배선 그룹의 배선(28)은 배선기판(20)의 중심쪽에서 대응하는 변을 향해 연장해 있고, 또 대응하는 변에 직각인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있다.
도시한 예에 있어서, 각 전극(16)은 제1 도전성부로서 작용하고, 각 배선(28)은 제2 도전성부로서 작용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피검사체(12)의 전극 그룹 및 배선 그룹의 조합에 1대1의 관계로 대응된 4개의 접촉자 블록(26)이 제1 및 제2 판상부재(22 및 24)의 중심 주위에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접촉자 블록(26)은 복수 쌍의 접촉자 편(30)과, 양 접촉자 편(30)을 결합하는 전기 절연성의 결합 블록(32)을 포함한다. 쌍을 이루는 양 접촉자 편(30)은 유사한 형상을 갖고 있고, 또 하나의 접촉자로서 함께 작용한다.
각 접촉자 편(30)은, 한 쌍의 선단부를 갖는 횡 U자상(또는, 횡 V자상)의 중간영역(34)과, 중간영역(34)의 한쪽 선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제1 선단영 역(36)과, 중간영역(34)의 다른쪽 선단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하는 제2 선단영역(38)을 갖춘 사각형 파도형상(波狀)의 펄스형을 갖고 있다.
중간영역(34) 중, 꺾어진 영역은 꺾음 단부(40)로 되어 있고, 또 꺾음 단부(40)로부터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영역은 암부(42 및 44)로 되어 있다.
제1 선단영역(36)은 한쪽 암부(42)의 선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해 있고, 제2 선단영역(38)은 다른쪽 암부(44)의 선단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해 있다.
접촉자 편(30)의 꺾음 단부(40)와 암부(42 및 44)의 기단부는 결합 블록(32) 내에 매몰되어 있다. 접촉자 편(30)의 잔부는 결합 블록(32)으로부터 돌출되고, 캔틸레버 형상의 위쪽 침(針)영역 및 아래쪽 침영역으로서 작용한다.
각 접촉자의 양 접촉자 편(30)은 암부(42 및 44)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위치는 같지만, 한쪽 접촉자 편(30)의 중간영역(34)이 다른쪽 접촉자 편(30)의 중간영역(34)의 바깥쪽이 되고, 게다가 전체적으로 암부(42, 44)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도록 결합 블록(3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각 접촉자의 양 제2 선단영역(38)의 선단은 피검사체(12)의 전극(16)에 공통으로 접촉 가능하게 접근되어 있다. 각 접촉자의 양 제2 선단영역(38)의 선단부는 선단이 수평면 내를 암부(44)의 길이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두께 치수가 선단쪽 만큼 작아지는 꺾쇠상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각 접촉자의 양 제1 선단영역(36)의 선단은 배선기판(20)의 배선(28)에 공통으로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 아래쪽에 볼록(凸)한 아크(arc) 면(弧面)으로 되어 있다.
각 접촉자 블록(26)의 접촉자 편(30)은, 그들의 제1 선단영역(36)의 높이 위치끼리 및 제2 선단영역(38)의 높이 위치끼리가 각각 동일해지고, 암부(42, 44)의 길이방향에서의 제1 선단영역(36)의 선단위치끼리 및 제2 선단영역(38)의 선단위치끼리가 각각 동일해지도록, 암부(42, 44)의 길이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로 결합 블록(32)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결합 블록(32)은 합성수지를 이용하는 성형 가공에 의해, 접촉자 편(30)의 꺾음 단부(40)와 암부(42 및 44)의 기단부를 포함하는 입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 블록(32)은 이것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사구멍(46)을 갖고 있다.
제1 및 제2 판상부재(22 및 24)는 합성수지와 같은 전기 절연재료로 같은 크기의 사각 평면형상으로 제작되어 있다.
제1 판상부재(22)는 위쪽으로 개방하는 제1 공간(50)을 갖고 있고, 제2 판상부재(24)는 아래쪽으로 개방하는 제2 공간(52)을 갖고 있다. 제1 및 제2 공간(50 및 52)은 접촉자 블록(26)을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작용한다.
또, 제1 판상부재(22)는 접촉자의 양 제1 선단영역(36)을 받아들인 복수의 제1 긴 구멍(54)을 접촉자 블록(26)마다 갖추고 있다. 각 제1 긴 구멍(54)은 제1 공간(50)과, 제1 판상부재(22)의 아래쪽 공간에 연통(連通)되어 있다.
제1 긴 구멍(54)은 대응하는 접촉자 블록(26)의 그룹마다 암부(42, 44)의 길이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각각 그 암부(42, 4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해 있다.
또, 제2 판상부재(24)는 피검사체(12)를 받아들이도록 위쪽으로 개방하는 개구(56)와, 접촉자의 양 제2 선단영역(38)을 받아들인 복수의 제2 긴 구멍(58)을 접촉자 블록(26)마다 갖추고 있다. 각 제2 긴 구멍(58)은 제2 공간(52)과 개구(56)에 연통되어 있다.
제2 긴 구멍(56)은 대응하는 접촉자 블록(26)의 그룹마다, 암부(42, 44)의 길이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각각 그 암부(42, 4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해 있다. 개구(56)의 상반부는 피검사체(12)를 접촉자에 대하여 바르게 안내하도록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게다가 제1 판상부재(22)는, 접촉자 블록(26)에 각각 대응되어 대응하는 접촉자 블록(26)의 결합 블록(32)이 결합된 복수의 제1 요소(凹所)(60)를 갖춘다. 각 제1 요소(60)는 공간(50)으로 개방해 있고, 또 대응하는 접촉자 블록(26)의 결합 블록(32)의 하부를 받아들이고 있다.
게다가 제2 판상부재(24)는, 접촉자 블록(26)에 각각 대응되어 대응하는 접촉자 블록(26)의 결합 블록(32)이 결합된 복수의 제2 요소(62)를 갖춘다. 각 제2 요소(62)는 공간(52)으로 개방해 있음과 동시에 제1 요소(60)와 마주보고 있고, 또 대응하는 접촉자 블록(26)의 결합 블록(32)의 상부를 받아들이고 있다.
제1 및 제2 판상부재(22 및 24) 중, 제1 및 제2 긴 구멍(54 및 58)이 설치된 부분보다도 중앙쪽 부분(64 및 66)은, 각각 서로 이웃하는 제1 긴 구멍(54)의 사이 부분 및 서로 이웃하는 제2 긴 구멍(58)의 사이 부분에 의해, 제1 및 제2 긴 구멍(54 및 58)이 설치된 부분보다도 바깥쪽 부분과 일체로 되어 있다.
상기 전기적 접속장치(10)는 하기와 같이 조립할 수 있다.
우선, 각 접촉자 블록(26)의 결합 블록(32)이 제2 판상부재(24)의 요소(60)에 결합되고, 제2 판상부재(24)를 관통하여 결합 블록(32)의 나사구멍(46)에 결합된 볼트(68)에 의해 각 접촉자 블록(26)이 제2 판상부재(24)에 설치된다.
이어서, 제1 및 제2 판상부재(22 및 24)가 겹쳐지고, 제2 판상부재(24)를 관통하여 제1 판상부재(22)에 결합된 볼트(70)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계속해서, 제1 판상부재(22)가 아래쪽이 된 상태로 제1 및 제2 판상부재(22 및 24)가 배선기판(20)에 놓이고, 제1 및 제2 판상부재(22 및 24)가 볼트와 같은 적절한 설치부재에 의해 배선기판(20)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볼트(70) 및 설치부재를 이용하는 대신에, 제1 및 제2 판상부재(22 및 24)를 관통하여 배선기판(20)에 결합된 볼트에 의해, 제1 및 제2 판상부재(22 및 24)를 상호 배선기판(20)에 설치해도 좋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전기적 접속장치(10)에 있어서, 각 접촉자의 양 제1 선단영역(36)은 선단이 배선기판(20)의 대응하는 배선(28)에 공통으로 접촉되어 있다. 각 접촉자의 제2 침선영역(38)은 제2 긴 구멍(58)으로부터 위쪽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
전기적 접속장치(10)에 있어서는, 각 접촉자의 아래쪽 침영역이 캔틸레버 상으로 결합 블록(32)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각 접촉자의 양 제1 선단영역(36)을 제1 긴 구멍(54)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약간 돌출시킨 상태로, 제1 및 제2 판상부재(22 및 24)를 배선기판(20)에 설치하면, 각 접촉자의 아래쪽 침영역이 탄성 변형 하여, 각 접촉자의 제1 선단영역(36)이 배선(28)에 확실히 눌린다. 그 때문에, 제1 선단영역(36)의 높이 위치에 다소 차이가 있어도 각 제1 선단영역(36)이 배선(28)에 확실히 접속된다.
피검사체(12)는 도3 및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56)에 배치되고, 전극(16)을 제2 선단영역(38)에 눌리고, 그 상태로 피검사체(12)에 통전되어, 그 피검사체(12)의 통전시험이 행해진다.
그와 같은 통전시험은, 각 접촉자의 양 제1 선단영역(36) 및 양 제2 선단영역(38)이 각각 배선(28) 및 전극(16)에 공통으로 접촉해 있기 때문에, 켈빈 접속의 상태로 행해진다.
전기적 접속장치(10)에 있어서는, 각 접촉자의 위쪽 침영역이 캔틸레버 상으로 결합 블록(32)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전극(16)을 제2 선단영역(38)에 눌림으로써, 각 접촉자의 위쪽 침영역이 탄성 변형하여, 각 접촉자의 제2 선단영역(38)이 전극(16)에 확실히 눌린다. 그 때문에, 제2 선단영역(38)의 높이 위치에 다소 차이가 있어도, 각 제2 선단영역(38)이 전극(16)에 확실하게 접속된다.
상기와 같은 형상 및 구조를 갖는 접촉자 편을 이용하는 접촉자 블록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접촉자는 결합 블록(32)에 의해 위치 결정된다. 이 때문에, 접촉자의 교환 시에 접촉자 블록(26)을 교환하면 되고, 따라서 접촉자의 교환 작업이 용이해진다.
전기적 접속장치(10)에 있어서, 사각형의 각 변에 배치된 전극(16)의 수가 많을 때는, 복수의 접촉자 블록(26)을 접촉자의 배열에 나란히 배치해도 좋다.
또, 복수의 접촉자를 각 접촉자 블록(26)에 배치하는 대신에 도9 및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접촉자를 갖춘 복수의 접촉자 블록(80)을 접촉자의 배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해도 좋다.
도9 및 10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각 접촉자 블록(80)의 결합 블록(32)은 판상으로 되어 있고, 또 후단상부(後端狀部)를 모따기 형상의 경사면(82)으로 되어 있고, 게다가 결합 블록(32)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84)을 갖는다.
제1 및 제2 판상부재(22 및 24)에의 설치에는, 둥근 봉 형상의 핀(86)과, 직각삼각형상의 단면형상을 갖는 기둥상의 덧댐 부재(88)와, 최소한 하나의 누름 나사(90)가 이용된다. 핀(86), 덧댐 부재(88) 및 누름 나사(90)는 금속재료제로 할 수 있다.
접촉자 블록(80)은 하기와 같이 서로 결합되어, 제1 및 제2 판상부재(22 및 24)에 설치된다.
우선, 구멍(84)이 정합(整合)하도록 복수의 접촉자 블록(80)이 결합 블록(32)의 두께방향으로 서로 겹쳐지고, 결합 핀(86)이 구멍(84)을 지난다. 이에 의해, 접촉자 블록(80)은 서로 결합되고, 접촉자 블록 조립체가 형성된다.
이어서, 접촉자 블록 조립체의 상태로, 결합 블록(32)의 하부 및 상부가 각각 제1 및 제2 요소(60 및 62)에 받아들여진 상태로, 접촉자 블록(80)이 제1 및 제2 판상부재(22 및 24)에 배치된다. 덧댐 부재(88)는 이것의 사면이 경사면(82)에 접촉한 상태로 제2 요소(62)에 배치된다.
계속해서, 접촉자 블록 조립체가 제1 및 제2 판상부재(22 및 24)에 대하여 변위할 수 있을 정도로, 제1 및 제2 판상부재(22 및 24)가 느슨하게 결합된다.
이어서, 접촉자 블록 조립체가 제1 및 제2 판상부재(22 및 24)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될 때까지 누름 나사(90)가 제2 판상부재(24)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접촉자 블록(80)이 제1 및 제2 판상부재(22 및 24)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그 후, 제1 및 제2 판상부재(22 및 24)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전기적 접속장치(10)는 이것의 상하가 반대가 되도록 이용해도 좋고, 제1 및 제2 선단영역(36 및 38)의 길이방향이 비스듬해지도록 경사시켜 이용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9)

  1. 간격을 둔 한 쌍의 접촉자 편을 포함하는 접촉자와, 상기 접촉자 편을 결합하는 전기 절연성의 결합 블록을 포함하고,
    각 접촉자 편은 꺾어진 꺾음 단부와 상기 꺾음 단부로부터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장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암부를 갖는 횡 U자상 또는 횡 V자상의 중간영역과, 상기 제1 암부의 선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제1 선단영역과, 상기 제2 암부의 선단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하는 제2 선단영역을 갖추고 있고,
    양 접촉자 편의 상기 꺾음 단부는 상기 결합 블록 내에 매몰되어 있고, 양 접촉자 편의 잔부는 상기 결합 블록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자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양 접촉자 편의 최소한 상기 제2 선단영역의 선단은 피검사체의 도전성부에 공통으로 접촉 가능하게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자 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영역의 미매몰 부분은 상기 결합 블록으로부터 캔틸레버 상으로 연장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자 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한쪽 접촉자 편의 상기 중간영역은 다른쪽 접촉자 편의 상기 중간영역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한쪽 접촉자 편의 상기 제1 및 제2 선단영역은 각각 다른쪽 접촉자 편의 상기 제1 및 제2 선단영역에서 상기 제1 및 제2 암부의 길이방향으로 이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자 블록.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접촉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 블록은 그들 접촉자를 이것들이 한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로 결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자 블록.
  6.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수의 접촉자 블록과, 서로 겹쳐져서 상기 접촉자 블록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판상부재와, 상기 접촉자 블록을 상기 제1 또는 제2 판상부재에 설치하는 설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판상부재는, 상기 접촉자의 양 제1 선단영역을 받아들이고 있는 복수의 제1 긴 구멍으로서 상기 제1 암부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각각 상기 제1 암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제1 긴 구멍을 갖추고,
    상기 제2 판상부재는, 피검사체를 받아들이는 개구와, 상기 접촉자의 상기 제2 선단영역이 받아들여진 제2 긴 구멍으로서 상기 제2 암부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각각 상기 제2 암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제2 긴 구멍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장치.
  7. 제5항에 기재된 최소한 하나의 접촉자 블록과, 서로 겹쳐져 접촉자 블록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판상부재와, 상기 접촉자 블록을 상기 제1 또는 제2 판상부재에 설치하는 설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판상부재는, 상기 접촉자의 양 제1 선단영역을 받아들이고 있는 복수의 제1 긴 구멍으로서 상기 제1 암부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각각 상기 제1 암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제1 긴 구멍을 갖추고,
    상기 제2 판상부재는, 피검사체를 받아들이는 개구와, 상기 접촉자의 상기 제2 선단영역이 받아들여진 제2 긴 구멍으로서 상기 제2 암부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각각 상기 제2 암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제2 긴 구멍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재는 상기 복수의 접촉자 블록의 상기 결합 블 록을 관통하여 연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의 상기 제1 선단영역이 접촉되는 도전성부를 갖춘 배선기판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판상부재가 결합되는 배선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장치.
KR1020067025530A 2006-12-04 2004-07-05 접촉자 블록 및 전기적 접속장치 KR100852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5530A KR100852625B1 (ko) 2006-12-04 2004-07-05 접촉자 블록 및 전기적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5530A KR100852625B1 (ko) 2006-12-04 2004-07-05 접촉자 블록 및 전기적 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186A KR20070029186A (ko) 2007-03-13
KR100852625B1 true KR100852625B1 (ko) 2008-08-18

Family

ID=38101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5530A KR100852625B1 (ko) 2006-12-04 2004-07-05 접촉자 블록 및 전기적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26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8182B2 (en) * 2016-06-28 2021-02-02 Kabushiki Kaisha Nihon Micronics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and contact
JP2021028603A (ja) * 2019-08-09 2021-02-25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電気的接触子及び電気的接続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8955A (ja) * 1992-08-07 1994-03-04 Fujitsu Autom Ltd 4端子抵抗測定用プローブヘッド
KR970077427A (ko) * 1996-05-31 1997-12-12 김광호 반도체 칩 패키지의 전기적 특성 검사용 이중 접촉 단자(dual contact finger)
JP2003075503A (ja) * 2001-09-03 2003-03-12 Isao Kimoto プロー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8955A (ja) * 1992-08-07 1994-03-04 Fujitsu Autom Ltd 4端子抵抗測定用プローブヘッド
KR970077427A (ko) * 1996-05-31 1997-12-12 김광호 반도체 칩 패키지의 전기적 특성 검사용 이중 접촉 단자(dual contact finger)
JP2003075503A (ja) * 2001-09-03 2003-03-12 Isao Kimoto プロー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186A (ko) 200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1002B1 (ko) 프로브 핀, 검사 지그, 검사 유닛 및 검사 장치
KR101911005B1 (ko) 프로브 핀, 검사 지그, 검사 유닛 및 검사 장치
US7404719B2 (en) Contact block and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EP1707967B1 (en) Electric connecting device and contactor
KR101049767B1 (ko) 전기적 접속장치
JP5033634B2 (ja) 電気的接続装置
US20070072449A1 (en)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CN113892036B (zh) 探针、检查工具和检查单元
JP2003123874A (ja) 接触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的接続装置
US7619425B2 (en)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KR101851519B1 (ko) 소켓, 검사 지그, 검사 유닛 및 검사 장치
KR100852625B1 (ko) 접촉자 블록 및 전기적 접속장치
US7121842B2 (en) Electrical connector
JP4505342B2 (ja) 電気的接続装置
KR0155573B1 (ko) 반도체 디바이스의 검사장치
JP2002246128A (ja) 電気的接続装置
CN111856090A (zh) 探针、检查夹具及检查组件
JP3670491B2 (ja) ハンドラー用ソケット
KR101299722B1 (ko) 좌굴핀을 이용한 검사용 소켓
TW202415956A (zh) 檢查插座及檢查裝置
CN219871495U (zh) 检查插座和检查装置
JP2004327103A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US6264479B1 (en) Socket for handler
JP2003217777A (ja) 電気的接続装置
JP2023181760A (ja) 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