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7614B1 - 촬상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7614B1
KR100847614B1 KR1020070065092A KR20070065092A KR100847614B1 KR 100847614 B1 KR100847614 B1 KR 100847614B1 KR 1020070065092 A KR1020070065092 A KR 1020070065092A KR 20070065092 A KR20070065092 A KR 20070065092A KR 100847614 B1 KR100847614 B1 KR 100847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means
subject
shutter button
interest
trim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5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2667A (ko
Inventor
아키라 미야타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2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Focusing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Abstract

촬영모드로 설정되면, 스루화상표시와 함께 소정위치에 트래킹 프레임을 표시시킨다(S1). 그리고 촬영하고 싶은 메인피사체가 트래킹 프레임에 겹쳐졌을 때에 셔터버튼을 반 누름 하면, 트래킹 프레임에 맞춰져 있는 피사체를 인식한다 (S2). 그리고 셔터버튼이 전부 누름 또는 반 누름이 해제될 때까지, CCD(5)에 의해 차례차례 촬상된 프레임 화상데이터의 화상 위의 어느 위치에 해당 인식한 피사체가 있는지를 검출하고, 해당 검출한 위치에 의거하여 트래킹 프레임을 표시시킨다(S8). 그리고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지기 전에 반 누름이 해제되면, 트래킹 프레임을 소정위치에 표시시키고(S12), 셔터버튼이 반 눌러지면 상기한 동작을 반복한다.
촬상장치, 기록매체, 트래킹 프레임, 트리밍 프레임, 셔터버튼, 피사체

Description

촬상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IMAGING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디지털카메라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의 디지털카메라(1)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화상표시부(15)에 표시되는 트래킹 프레임, 트리밍 프레임의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도 4b는 화상표시부(15)에 표시되는 트래킹 프레임, 트리밍 프레임의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c, 도 5d, 도 5e는 화상표시부(15)에 표시되는 트래킹 프레임, 트리밍 프레임의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디지털카메라 2: 촬영렌즈
2a: 포커스 렌즈 2b: 줌 렌즈
3: 렌즈구동블록 4: 조리개
5: CCD 6: 드라이버
7: TG 8: 유닛회로
9: 화상생성부 10: CPU
11: 키 입력부 12: 메모리
13: DRAM 14: 플래시메모리
15: 화상표시부 16: 버스
21: 트래킹 프레임 22: 트리밍 프레임
본 발명은 촬상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련되며, 상세하게는 동적인 피사체에 추종해서 그 피사체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촬상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촬상장치, 예를 들면, 전자카메라에 있어서 동적으로 피사체에 추종하는 기술로서는, 종래, 이하의 것이 존재하고 있다:
동화상 촬영시에 있어서 동적인 주목 피사체가 줌 프레임과 겹치면, 해당 줌 프레임을 주목 피사체에 추종시키고, 해당 줌 프레임 내의 동화상데이터를 기록시킨다고 하는 기술이 존재한다.
상기 기술에 따르면, 줌 프레임을 주목 피사체에 추종시킬 수 있다.
그러나, 주목 피사체가 프레임 아웃한 경우에 대해서는 상정 밖이다. 주목 피사체가 프레임 아웃한 경우에는 줌 프레임은 화상의 가장자리 쪽에 위치하고 있다. 그로 인해 해당 줌 프레임에 주목 피사체를 맞추기 위해 사용자가 카메라의 방향을 조금 변경했다고 해도, 곧바로 프레임 아웃한다. 또, 주목 피사체의 추종 을 개시한 후에 주목 피사체를 변경하고 싶은 경우는 일단 촬영을 완료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이와 같이 사용함에 문제가 있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의한 촬상장치는, 촬상소자를 이용해서 피사체의 동화상을 촬상하는 동화상 촬상제어수단과, 상기 동화상 촬상제어수단에 의해 차례차례 촬상된 프레임데이터를 표시수단에 표시시켜 가는 동시에, 주목 포인트를 소정위치에 표시시키는 제 1 표시제어수단과, 전부 누름 반 누름 가능한 셔터버튼과, 상기 셔터버튼이 반 눌러진 경우는, 상기 소정위치에 있는 피사체에 추종시켜 상기 주목 포인트의 표시위치를 변경해서 표시시켜 가는 제 2 표시제어수단과, 상기 셔터버튼의 반 누름 후, 상기 셔터버튼의 반 누름이 해제된 경우에는 상기 주목 포인트를 상기 소정위치에 재설정해서 표시시키는 제 3 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청구항 18 기재의 발명에 의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촬상소자를 이용해서 피사체의 동화상을 촬상하는 동화상 촬상제어수단과, 전부 누름 반 누름 가능한 셔터버튼을 구비한 촬상장치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컴퓨터에 상기 동화상 촬상제어수단에 의해 차례차례 촬상된 프레임데이터를 표시수단에 표시시켜 가는 동시에, 주목 포인트를 소정위치에 표시시키는 표시처리와, 상기 셔터버튼이 반 눌러진 경우는 상기 소정위치에 있는 피사체에 추종시켜 상기 주목 포인트의 표시위치를 변경해서 표시시켜 가는 변경표시처리와, 상기 셔 터버튼의 반 누름 후, 상기 셔터버튼의 반 누름이 해제된 경우에는 상기 주목 포인트를 상기 소정위치에 재설정해서 표시시키는 재설정 표시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이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대해 본 발명의 촬상장치를 디지털카메라에 적용한 한 예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A. 디지털카메라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촬상장치를 실현하는 디지털카메라(1)의 전기적인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디지털카메라(1)는 촬영렌즈(2), 렌즈구동블록(3), 조리개(4), CCD(5), 드라이버(6), TG(timing generator, 7), 유닛회로(8), 화상생성부(9), CPU(10), 키 입력부(11), 메모리(12), DRAM(13), 플래시메모리(14), 화상표시부(15), 버스(16)를 구비하고 있다.
촬영렌즈(2)는 복수의 렌즈군으로 구성되는 포커스 렌즈(2a), 줌 렌즈(2b)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촬영렌즈(2)에는 렌즈구동블록(3)이 접속되어 있다. 렌즈구동블록(3)은 포커스 렌즈(2a), 줌 렌즈(2b)를 각각 광축방향을 따라서 구동시키는 포커스 모터, 줌 모터와, CPU(10)로부터 보내져 오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포커스 모터, 줌 모터를 구동시키는 포커스 모터 드라이버, 줌 모터 드라이버로 구성되어 있다(도시생략).
조리개(4)는 도시하지 않는 구동회로를 포함하고, 구동회로는 CPU(10)로부터 보내져 오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조리개(4)를 동작시킨다.
조리개(4)란, 촬영렌즈(2)로부터 들어오는 빛의 양을 제어하는 기구를 말한다.
CCD(5)는 드라이버(6)에 의해서 구동되고, 일정주기마다 피사체상의 RGB값의 각 색의 빛의 세기를 광전 변환하여 촬상신호로서 유닛회로(8)에 출력한다. 이 수직드라이버(6), 유닛회로(8)의 동작타이밍은 TG(7)를 통하여 CPU(10)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CCD(5)는 베이어 배열의 색 필터를 갖고 있으며, 전자셔터로서의 기능도 갖는다. 이 전자셔터의 셔터속도는 드라이버(6), TG(7)를 통하여 CPU(10)에 의해서 제어된다.
유닛회로(8)에는 TG(7)가 접속되어 있고, CCD(5)로부터 출력되는 촬상신호를 상관이중 샘플링해서 보유하는 CDS(Correlated Double Sampling)회로, 그 샘플링 후의 촬상신호의 자동이득조정을 실행하는 AGC(Automatic Gain control)회로, 그 자동이득조정 후의 아날로그의 촬상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CCD(5)로부터 출력된 촬상신호는 유닛회로(8)를 거쳐 디지털신호로서 화상생성부(9)에 보내진다.
화상생성부(9)는 유닛회로(8)로부터 보내져 온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γ보정처리, 화이트밸런스처리 등의 처리를 시행하는 동시에, 휘도색차신호(YUV데이터)를 생성하고, 해당 생성된 휘도색차신호의 화상데이터는 CPU(10)에 보내진다. 즉, 화상생성부(9)는 CCD(5)로부터 출력된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화상처리를 시행한다.
CPU(10)는 화상생성부(9)로부터 보내져 온 화상데이터의 압축ㆍ신장(예를 들 면, JPEG형식, MPEG형식의 압축ㆍ신장)처리, AF처리, 촬상처리를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 동시에, 디지털카메라(1)의 각 부를 제어하는 원칩 마이크로컴퓨터이며, 특히, 메인 피사체의 화상인식처리, 메인 피사체의 위치검출처리, 트래킹 프레임, 트리밍 프레임의 표시처리를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키 입력부(11)는 반 누름 전부 누름 가능한 셔터버튼, 모드전환키, 메뉴키, 십자키, 설정키 등의 복수의 조작키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조작신호를 CPU(10)에 출력한다.
메모리(12)에는 CPU(10)가 각 부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제어프로그램, 및 필요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으며, CPU(10)는 해당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한다.
DRAM(13)은 CCD(5)에 의해서 촬상된 후, CPU(10)에 보내져 온 화상데이터를 일시 기억하는 버퍼메모리로서 사용되는 동시에, CPU(10)의 작업메모리로서 사용된다.
플래시메모리(14)는 압축된 화상데이터를 보존하는 기록매체이다.
화상표시부(15)는 컬러LCD와 그 구동회로를 포함하고, 촬영대기상태에 있을 때에는 CCD(5)에 의해서 촬상된 피사체를 스루화상으로서 표시하며, 기록화상의 재생시에는 플래시메모리(14)로부터 판독되어 신장된 기록화상을 표시시킨다.
B. 디지털카메라(1)의 동작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디지털카메라(1)의 동작을 도 2의 흐름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사용자의 키 입력부(11)의 모드전환키의 조작에 의해 촬영모드로 설정되면, CPU(10)는 CCD(5)에 소정의 프레임속도로 피사체를 촬상시키는 처리를 개시시키고, CCD(5)에 의해 차례차례 촬상되어 화상생성부(9)에 의해서 생성된 휘도색차신호의 프레임 화상데이터를 버퍼메모리(DRAM(13))에 기억시켜 가며, 차례차례 기억된 화상데이터를 화상표시부(15)에 표시시켜 간다고 하는, 이른바 스루화상표시를 개시한다(스텝S1). 이때 CPU(10)는 메모리(12)에 기록되어 있는 소정위치정보에 의거하여 화상표시부(15)의 소정위치(여기에서는 소정위치를 중앙위치로 한다)에 트래킹 프레임(주목 포인트)도 표시시킨다.
계속해서, CPU(10)는 셔터버튼이 반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2). 이 판단은 셔터버튼의 반 누름에 상당하는 조작신호가 키 입력부(11)로부터 보내져 왔는지 아닌지에 의해 판단한다.
사용자는 촬영하고 싶은 메인이 되는 피사체(메인 피사체)가 트래킹 프레임과 겹치도록 디지털카메라를 작동시키고, 트래킹 프레임이 메인 피사체와 겹쳤을 때에 셔터버튼을 반 누르면, 해당 메인 피사체에 트래킹 프레임을 추종시킬 수 있다.
스텝S2에서 셔터버튼이 반 눌러져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반 눌러질 때까지 스텝S2에 머무르고, 셔터버튼이 반 눌러졌다고 판단하면, CPU(10)는 현재 표시되어 있는 트래킹 프레임의 위치(이때는 소정위치)에 의거하여 트리밍 프레임을 표시시킨다(스텝S3). 즉, 이 트래킹 프레임의 위치가 트리밍 위치라는 것으로 되고, 트래킹 프레임이 트리밍 프레임의 중앙이 되도록 트리밍 프레임이 표시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트리밍 사이즈는 미리 정해져 있는데, 줌 키의 조작에 의해 그 크기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도 3a는 셔터버튼이 반 눌러졌을 때의 화상표시부(15)에 표시된 화면의 모양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a를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화상의 중앙위치에 트래킹 프레임(21) 및 트리밍 프레임(22)이 표시되어 있고, 트리밍 프레임(22)의 중앙에 트래킹 프레임(21)이 표시되어 있다. 또, 트래킹 프레임(21)에 물고기가 맞춰져 있으므로 이 물고기가 촬영하고 싶은 메인 피사체가 되고, 이 물고기에 트래킹 프레임이 자동적으로 추종하게 된다.
계속해서, CPU(10)는 셔터 반 누름시에 CCD(5)에 의해 촬상된 프레임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해당 촬상된 화상 중 트래킹 프레임(21)이 위치하는 피사체를 인식한다(스텝S4). 이때는 트래킹 프레임(21)은 소정위치에 있으므로 소정위치에 있는 피사체를 인식하게 된다. 이 인식은 화상인식처리에 의해 소정위치의 피사체를 인식한다.
예를 들면, 도 3a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셔터버튼이 반 눌러진 경우는 트래킹 프레임(21)의 위치에 있는 물고기를 인식하게 된다.
또한, 화상인식처리는 주지기술이므로 설명을 할애한다.
계속해서, CPU(10)는 CCD(5)에 의해 새롭게 촬상된 프레임 화상데이터를 취득하고(스텝S5), 해당 취득한 프레임 화상데이터에 의거하여, 해당 인식한 메인 피사체(여기에서는 물고기)가 해당 촬상된 화상 위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처리를 실행한다(스텝S6). 즉, 새롭게 취득한 프레임 화상데이터를 화상 인식함으 로써 해당 인식한 메인 피사체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 검출하게 된다. 이때 위치를 검출할 수 있었던 경우에는 해당 검출한 위치를 버퍼메모리의 위치정보기억영역에 기억시키고, 이미 위치정보기억영역에 위치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는 기억의 갱신을 시킨다.
또한, 새롭게 취득한 프레임 화상데이터의 화상인식처리는 전체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실행하도록 해도 좋고, 지난번의 트래킹 프레임의 위치(메인 피사체의 위치)주변의 화상데이터에 대해서만 화상인식처리를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화상인식에 동반하는 처리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CPU(10)는 메인 피사체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었는지를 판단하고, 즉, 새롭게 위치정보기억영역에 위치정보가 기억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S7).
검출할 수 있었다고 판단하면, CPU(10)는 해당 기억한 위치에 의거하여 트래킹 프레임(21) 및 트리밍 프레임(22)의 표시위치를 갱신한다. 그리고 트래킹 프레임(21) 및 트리밍 프레임(22)과 함께 프레임 화상데이터를 화상표시부(15)에 표시시킨다(스텝S8).
또한, 버퍼메모리의 위치정보기억영역에 기억되는 메인 피사체의 위치가 갱신 전과 갱신 후에서 변화하지 않는 경우에는 트래킹 프레임(21) 및 트리밍 프레임(22)의 표시위치는 변화하지 않는다.
또, 트리밍 프레임(22)은 촬상된 화상의 화각의 범위 내에서 이동하도록 제어되고, 화각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일은 없다.
한편, 스텝S7에서 메인 피사체의 위치를 검출할 수 없다고 판단하면, CPU는 “피사체가 프레임 아웃했음”이라고 하는 메시지를 프레임 화상데이터와 함께 표시한다. 이 경우는 위치정보기억영역의 기억은 갱신되어 있지 않다. 트래킹 프레임(21), 트리밍 프레임(22)의 표시는 갱신되지 않고, 지난번 표시시킨 위치에 표시된다.
스텝S10으로 진행하면,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전부 눌러져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셔터버튼의 반 누름이 해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며(스텝S11), 반 누름이 해제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스텝S5로 되돌아가 새롭게 촬상된 프레임 화상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한 동작을 반복한다.
도 4a, 도 4b 및 도 5c, 도 5d, 도 5e는 스텝S5∼스텝S11의 루프 중에 표시된 트래킹 프레임(21) 및 트리밍 프레임(22)의 모양을 나타내는 것이며, 왼쪽 아래 방향에 헤엄치고 있는 물고기를 촬상하고 있을 때 표시되는 트래킹 프레임(21), 트리밍 프레임(22)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a에 나타내는 셔터버튼 반 누름시의 화상으로부터, 도 4a, 도 4b, 도 5c와 같이 메인 피사체인 물고기의 이동과 함께 트래킹 프레임(21), 트리밍 프레임(22)도 왼쪽 아래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5c를 보면, 트리밍 프레임(22)의 좌변이 촬상된 화상의 화각과 접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물고기가 이 이상 왼쪽방향으로 이동해도 트리밍 프레임(22)은 왼쪽으로는 이동하지 않는다. 즉, 트리밍 프레임(22)은 화상의 화각의 범위 내에서 트래킹 프레임(21)의 위치, 메인 피사체 위치에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면, 트리밍 프레임(22)의 상변이 화각과 접한 경우는, 그 이상 트리밍 프레임(22)은 위로 이동하지 않는다고 하는 것이 된 다.
또, 도 5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더욱더 물고기가 왼쪽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면, 트리밍 프레임(22)은 아래방향으로만 이동하고, 트래킹 프레임(21)은 피사체의 이동과 함께 이동한다.
그리고, 도 5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피사체인 물고기가 프레임 아웃하면(스텝S7에서 피사체 위치를 검출할 수 없다고 판단하면), 프레임 아웃한 취지를 표시시키는 동시에, 지난번 표시시킨 위치에서 트래킹 프레임(21) 및 트리밍 프레임(22)도 표시시킨다. 즉, 피사체가 프레임 아웃한 경우는 트래킹 프레임(21)은 이동하지 않고, 그대로 표시되게 된다.
도 2의 흐름도로 되돌아가, 스텝S11에서 반 누름이 해제되었다고 판단하면, CPU(10)는 트래킹 프레임(21)을 메모리(12)에 기억되어 있는 소정위치정보에 의거하여 소정위치(중앙위치)에 표시시키고 스텝S2로 되돌아간다(스텝S12). 이때는 버퍼메모리의 위치정보기억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위치정보를 지운다.
도 3b는 셔터버튼의 반 누름이 해제되었을 때의 화상표시부(15)에 표시되는 화면의 모양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b와 같이, 트래킹 프레임(21)은 피사체에 추종하고 있지 않고, 화면의 중앙에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셔터버튼이 반 누름 상태로부터 해제되면, CPU는 트리밍 프레임(22)의 표시를 중지한다.  사용자가 메인 피사체를 바꾸고 싶은 경우나, 메인 피사체가 프레임 아웃한 경우 등에 사용자는 셔터버튼의 반 누름를 해제하면 좋다. 이 조작의 결과 트래킹 프레임(21)은 소정위치로 되돌아간다. 따라 서 사용자는 메인 피사체로의 추종동작을 처음부터 다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셔터버튼 반 누름이 해제되어도, 직전에 표시시킨 위치에 트래킹 프레임(21)을 그대로 표시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는 메인 피사체가 프레임 아웃한 경우, 트래킹 프레임(21)은 화상의 가장자리 쪽에 표시된 채로 이다(도 5e 참조). 따라서, 그 가장자리에 표시되어 있는 트래킹 프레임(21)에 메인 피사체를 맞추어 셔터버튼을 반 누름으로써 트래킹 프레임(21)을 메인 피사체에 추종시키려고 해도, 곧바로 메인 피사체가 프레임 아웃 해 버릴 가능성이 크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메인 피사체를 변경하고 싶은 경우에 있어서도, 셔터버튼의 반 누름 해제시에 표시된 위치에 트래킹 프레임(21)을 그대로 표시시키는 경우는, 상기 문제를 없애기 위해서는 트래킹 프레임(21)이 가장자리 쪽이 아니고, 촬영하기 쉬운 위치, 피사체의 추종에 대응하기 쉬운 위치에 표시되었을 때에 셔터버튼의 반 누름를 해제하지 않으면 안 되어 신속히 피사체를 촬영하고 싶은 경우 등에는 대응할 수 없다.
따라서, 셔터버튼의 반 누름이 해제되었을 때에 소정위치에 트래킹 프레임 (21)을 표시시킴으로써 상기 문제에도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스텝S10에서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졌다고 판단하면, CPU(10)는 트래킹 프레임의 위치(위치정보기억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정해진 AF영역에 의거해서 AF처리를 실행한다(스텝S13).
계속해서, CPU(10)는 정지화상 촬영처리를 실행하고(스텝S14), 해당 촬영처리에 의해 얻어진 정지화상데이터에 대해서, 전부 누름 직전의 트래킹 프레임(21) 의 위치(위치정보기억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위치정보) 및 미리 정해진 트리밍 사이즈에 의거하여 트리밍 처리를 실행한다(스텝S15). 이에 따라 전부 누름 직전에 표시된 트리밍 프레임(22) 내의 화상데이터가 잘라지게 된다.
계속해서, CPU(10)는 트리밍처리에 의해 잘라진 화상데이터(트리밍 화상데이터)를 화상표시부(15)에 프리뷰 표시시키고(스텝S16), 트리밍 화상데이터를 기록할지 안 할지의 판단을 실행한다(스텝S17). 이때 프리뷰 표시와 함께, 화상데이터를 기록할지 안 할지를 지시시키기 위한 화면도 함께 표시시키고, 사용자의 키 입력부 (11)의 조작에 의해 화상 기록하는 취지의 지시가 된 경우는 화상을 기록한다고 판단하며, 화상 기록하지 않는 취지의 지시가 된 경우는 화상을 기록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스텝S17에서 화상을 기록한다고 판단하면, 트리밍 화상데이터를 압축해서 플래시메모리(14)에 기록한다(스텝S18).
C.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촬영모드로 설정되면, 스루화상표시와 함께 소정위치에 트래킹 프레임(21)을 표시시키고, 촬영하고 싶은 메인 피사체가 트래킹 프레임(21)에 맞춰졌을 때에 셔터버튼이 반 눌러지면, 셔터 반 누름시에 해당 트래킹 프레임(21)에 맞춰진 피사체를 인식하며, 셔터버튼 반 누름 중은 해당 인식한 메인 피사체에 추종시켜 트래킹 프레임(21)을 표시시키고, 셔터버튼의 반 누름이 해제되면, 트래킹 프레임(21)을 소정위치에 표시시키도록 했으므로, 메인 피사체가 프레임 아웃한 경우 등이나, 메인 피사체를 변경하고 싶은 경우에도 셔터버튼의 반 누 름을 해제함으로써 적절히 대응할 수 있고, 추종을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피사체가 프레임 아웃한 경우라도, 셔터버튼의 반 누름이 해제되면, 소정위치에 트래킹 프레임(21)이 표시되므로, 트래킹 프레임(21)이 가장자리에 있는 상태인 채로, 트래킹 프레임(21)에 메인 피사체를 맞추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는 무익함도 시정할 수 있다.
변형예
D.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은 형태라도 좋다.
(1)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트래킹 프레임(21)의 위치에 의거하여 AF처리, 트리밍처리를 실행하도록 했는데, 어느 하나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트래킹 프레임의 대신에 AF영역만을 표시시키도록 해도 좋고, 트리밍 프레임만을 표시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 트래킹 프레임(21) 대신에 표시시키는 AF영역이나 트리밍 프레임을 총칭해서 주목 영역이라 한다.
(2) 또, 셔터버튼 전부 누름 후에 AF처리를 실행하도록 했는데, 셔터버튼 반누름 후에도 트래킹 프레임의 위치(소정위치)에 의거하는 AF영역에 의거하여 AF처리를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3) 또, 피사체가 프레임 아웃한 경우(스텝S7에서 피사체 위치를 검출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는 피사체가 프레임 아웃한 취지를 표시시키도록 했는데(스텝S9), 피사체가 프레임 아웃 한 취지를 표시시키지 않도록 해도 좋다. 화상표시부(15)를 보면, 피사체가 프레임 아웃한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4) 또, 스텝 S4에서 화상인식에 의해 트래킹 프레임(21)과 겹친 메인 피사 체를 인식하고, 스텝S6에서 해당 화상 인식한 메인 피사체가 새롭게 촬상된 프레임 화상데이터의 화상 위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하도록 했는데, 화상인식은 아니고 메인 피사체의 동작벡터를 검출함으로써, 메인 피사체의 화상 위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해도 좋다. 요는 메인 피사체가 촬상된 프레임 화상데이터의 화상 위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이면 좋다.
(5) 또, 트래킹 프레임(21)이라고 하는 프레임을 표시시키도록 했는데, 프레임에 한정되지 않는 점이나, 원, ×표 등이라도 좋다. 요는 메인 피사체를 인식하는 위치나, 해당 인식한 피사체의 현재위치를 사용자에게 시인시키는 방법이면 좋다. 이 메인 피사체를 인식하는 위치나, 해당 인식한 피사체의 현재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시인시키기 위한 표시, 즉, 트래킹 프레임(21)이나 점, ×표 등을 총칭해서 주목 포인트라고 한다.
(6) 또, 셔터 반 누름 상태를 거치는 일없이, 갑자기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진 경우는, 소정위치에 있는 트래킹 프레임에 의거하여 AF처리를 실행하고 나서 정지화상 촬영처리를 실행하며, 해당 촬영처리에 의해 얻어진 정지화상데이터를 그대로 기록하도록 해도 좋고, 소정위치에 있는 트래킹 프레임에 의거하여 해당 촬영처리에 의해 얻어진 정지화상데이터로부터 트리밍 화상데이터를 생성해서 기록하도록 해도 좋다.
(7) 또, 사용자가 임의로 트리밍되는 범위의 크기(트리밍 사이즈)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8) 또, 상기 변형예 (1) 내지 (7)을 임의로 조합하도록 해도 좋다.
(9)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디지털카메라(1)는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카메라 부착 휴대전화, 카메라 부착 PDA, 카메라 부착 PC, 카메라 부착 IC레코더, 또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이라도 좋고, 피사체를 촬상하는 기능을 구비한 기기이면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셔터버튼 반 누름 중은 해당 인식한 메인 피사체에 추종시켜 트래킹 프레임을 표시시키고, 셔터버튼의 반 누름이 해제되면, 트래킹 프레임을 소정위치에 표시시키도록 했으므로, 메인 피사체가 프레임 아웃한 경우 등이나, 메인 피사체를 변경하고 싶은 경우에도 셔터버튼의 반 누름을 해제함으로써 적절히 대응할 수 있고, 추종을 해제할 수 있다.

Claims (18)

  1. 촬상소자를 이용해서 피사체의 동화상을 촬상하는 동화상 촬상제어수단과,
    상기 동화상 촬상제어수단에 의해 차례차례 촬상된 프레임데이터를 표시수단에 표시시켜 가는 동시에, 주목 포인트를 소정위치에 표시시키는 제 1 표시제어수단과,
    전부 누름 반 누름 가능한 셔터버튼과,
    상기 셔터버튼이 반 눌러진 경우는, 상기 소정위치에 있는 피사체에 추종시켜 상기 주목 포인트의 표시위치를 변경해서 표시시켜 가는 제 2 표시제어수단과,
    상기 셔터버튼의 반 누름 후, 상기 셔터버튼의 반 누름이 해제된 경우에는 상기 주목 포인트를 상기 소정위치에 재설정해서 표시시키는 제 3 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진 경우는, 상기 촬상소자를 이용해서 피사체의 정지화상 촬영을 실행하는 정지화상 촬영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셔터버튼이 반 눌러져 있는 중에는, 상기 셔터버튼의 반 누름시에 상기 소정위치에 있는 피사체에 추종시켜 상기 주목 포인트의 표시위치를 변경해서 표시시켜 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셔터버튼이 반 눌러져 있는 중에는, 상기 셔터버튼의 반 누름시에 상기 소정위치에 있는 피사체에 추종시켜 상기 주목 포인트의 표시위치를 변경해서 표시시켜 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제어수단은,
    추종하고 있는 피사체가 프레임 아웃한 경우는, 그 취지를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버튼이 반 눌러졌을 때의 상기 동화상 촬상제어수단에 의해 촬상된 프레임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위치에 있는 피사체를 인식하고, 상기 동화상 촬상제어수단에 의해 차례차례 촬상된 프레임데이터에 의거하여 해당 인식한 피사체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차례차례 인식해 가는 피사체 위치인식수단을 구비하 며,
    상기 제 2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피사체 위치인식수단에 의해 차례차례 인식된 피사체 위치에 상기 주목 포인트를 표시시켜 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목 포인트가 위치하는 피사체에 오토포커스를 실행하는 오토포커스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오토포커스 제어수단은,
    상기 셔터버튼이 반 눌러진 후, 또는 상기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진 후에 상기 주목 포인트가 위치하는 피사체에 오토포커스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 촬영제어수단은,
    상기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진 경우는, 상기 오토포커스 제어수단에 의한 오토포커스가 실행된 후에 피사체의 정지화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졌을 때의 상기 주목 포인트의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정지화상 촬영제어수단에 의해 촬영되는 정지화상데이터를 트리밍하는 트리밍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밍수단에 의해 트리밍되는 범위를 나타내는 트리밍 프레임을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시키는 트리밍 프레임 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트리밍 프레임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제 2 표시제어수단에 의해 변경 표시되어 가는 상기 주목 포인트의 위치에 따라서 트리밍 프레임의 표시위치를 변경시켜서 표시시켜 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밍 프레임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트리밍 프레임이 상기 동화상 촬상제어수단에 의해 촬상된 프레임데이터의 화각의 범위 내에서 상기 주목 포인트의 위치에 따라서 트리밍 프레임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제어수단은,
    추종하고 있는 피사체가 프레임 아웃한 경우는, 프레임 아웃하기 직전의 해당 피사체의 위치에 상기 주목 포인트를 계속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제어수단, 상기 제 2 표시제어수단, 상기 제 3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주목 포인트 대신에 주목 영역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목 영역은 AF영역이며,
    상기 오토포커스 제어수단은,
    상기 AF영역 내의 피사체에 대해서 오토포커스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 촬영제어수단에 의해 촬영되는 정지화상데이터를 트리밍하는 트리밍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주목 영역은 상기 트리밍수단에 의해 트리밍되는 범위를 나타내는 트리 밍 프레임이며,
    상기 트리밍수단은,
    상기 셔터버튼이 전부 눌러졌을 때의 상기 트리밍 프레임의 위치에 의거하여 정지화상데이터를 트리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제어수단은,
    상기 동화상 촬상제어수단에 의해 촬상된 프레임데이터의 화각의 범위 내에서 피사체에 추종시키고, 상기 트리밍 프레임을 표시시켜 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밍 사이즈를 결정하는 결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트리밍수단은,
    상기 결정수단에 의해 결정된 트리밍 사이즈에 의거하여 상기 정지화상 촬영제어수단에 의해 촬영된 정지화상데이터를 트리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8. 촬상소자를 이용해서 피사체의 동화상을 촬상하는 동화상 촬상제어수단과,
    전부 누름 반 누름 가능한 셔터버튼을 구비한 촬상장치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컴퓨터에,
    상기 동화상 촬상제어수단에 의해 차례차례 촬상된 프레임데이터를 표시수단에 표시시켜 가는 동시에, 주목 포인트를 소정위치에 표시시키는 표시처리와,
    상기 셔터버튼이 반 눌러진 경우는, 상기 소정위치에 있는 피사체에 추종시켜 상기 주목 포인트의 표시위치를 변경해서 표시시켜 가는 변경표시처리와,
    상기 셔터버튼의 반 누름 후, 상기 셔터버튼의 반 누름이 해제된 경우에는 상기 주목 포인트를 상기 소정위치에 재설정해서 표시시키는 재설정 표시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70065092A 2006-06-30 2007-06-29 촬상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08476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81470A JP4761146B2 (ja) 2006-06-30 2006-06-30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JP-P-2006-00181470 2006-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667A KR20080002667A (ko) 2008-01-04
KR100847614B1 true KR100847614B1 (ko) 2008-07-21

Family

ID=38876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5092A KR100847614B1 (ko) 2006-06-30 2007-06-29 촬상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284256B2 (ko)
JP (1) JP4761146B2 (ko)
KR (1) KR100847614B1 (ko)
CN (1) CN100591099C (ko)
HK (1) HK1111032A1 (ko)
TW (1) TWI34168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326B1 (ko) * 2008-07-31 201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1214B2 (en) 2004-10-12 2011-12-20 Enforcement Video, Llc Method of and system for mobile surveillance and event recording
JP2008187591A (ja) * 2007-01-31 2008-08-14 Fujifilm Corp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US8599368B1 (en) 2008-01-29 2013-12-03 Enforcement Video, Llc Laser-based speed determination device for use in a moving vehicle
JP4492697B2 (ja) * 2007-12-28 2010-06-3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958805B2 (ja) * 2008-01-22 2012-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
WO2009097449A1 (en) 2008-01-29 2009-08-06 Enforcement Video, Llc Omnidirectional camera for use in police car event recording
KR101446772B1 (ko) * 2008-02-04 2014-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45606B1 (ko) * 2008-02-05 2014-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WO2009102480A2 (en) 2008-02-15 2009-08-20 Enforcement Video, Llc System and method for multi-resolution storage of images
US8237847B2 (en) * 2008-10-16 2012-08-07 Fujinon Corporation Auto focus system having AF frame auto-tracking function
KR100975928B1 (ko) * 2008-12-12 2010-08-13 삼성전기주식회사 오토 포커싱 방법
KR100975929B1 (ko) * 2008-12-12 2010-08-13 삼성전기주식회사 오토 포커싱 방법
JP5210841B2 (ja) * 2008-12-12 2013-06-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撮像装置
CN101750845B (zh) * 2008-12-12 2012-02-15 三星电机株式会社 自动聚焦方法
JP2011139231A (ja) * 2009-12-28 2011-07-14 Sony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2012049651A (ja) 2010-08-24 2012-03-08 Ricoh Co Ltd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KR101694421B1 (ko) * 2010-11-11 2017-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연속 자동 초점 조절 방법 및 장치
TWI584647B (zh) * 2012-07-12 2017-05-21 Chi Lin Hong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defocusing
WO2014097789A1 (ja) * 2012-12-20 2014-06-26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US9165364B1 (en) * 2012-12-26 2015-10-20 Canon Kabushiki Kaisha Automatic tracking image pickup system
KR20140104807A (ko) * 2013-02-21 2014-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피사체 특성을 이용한 사진 촬영 가이드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JP6103526B2 (ja) * 2013-03-15 2017-03-2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影機器,画像表示機器,及び画像表示機器の表示制御方法
JP6223170B2 (ja) * 2013-12-19 2017-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101446781B1 (ko) * 2014-04-21 2014-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6208155A1 (ja) * 2015-06-22 2016-12-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照射装置、並びに放射線照射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341605B1 (en) 2016-04-07 2019-07-02 WatchGuard,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le-resolution storage of media streams
JP6862202B2 (ja) * 2017-02-08 2021-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および制御方法
WO2019061419A1 (zh) 2017-09-30 2019-04-04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拍摄装置控制方法、拍摄装置和存储介质
US20190297265A1 (en) * 2018-03-21 2019-09-26 Sawah Innovations Inc. User-feedback video stabilization device and method
JP6506440B2 (ja) * 2018-04-03 2019-04-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160937B2 (ja) * 2018-09-27 2022-10-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撮影装置
US11523060B2 (en) * 2018-11-29 2022-12-06 Ricoh Company, Ltd. Display device, imaging device, object mov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21180379A (ja) 2020-05-12 2021-11-1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624A (ko) * 2003-02-18 2004-08-2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피사체 판정장치, 피사체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38680A (ko) * 2004-11-01 2006-05-0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셔터 반누름 시에 osd 처리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1637B2 (ja) * 1999-10-04 2009-12-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メラ
JP2004101632A (ja) * 2002-09-05 2004-04-02 Canon Inc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を備えたカメラ
JP3949067B2 (ja) * 2003-02-14 2007-07-25 三洋電機株式会社 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
US20040207743A1 (en) * 2003-04-15 2004-10-21 Nikon Corporation Digital camera system
US7466356B2 (en) * 2003-07-25 2008-12-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a marker on an object and track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JP3918788B2 (ja) * 2003-08-06 2007-05-23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352916B2 (ja) * 2004-02-04 2009-10-2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4130641B2 (ja) * 2004-03-31 2008-08-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ィジタル・スチル・カメラ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5341449A (ja) * 2004-05-31 2005-12-08 Toshiba Corp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2005347885A (ja) * 2004-05-31 2005-12-15 Casio Comput Co Ltd 撮像装置、撮影範囲調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058405A (ja) * 2004-08-18 2006-03-02 Casio Comput Co Ltd カメラ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制御方法
JP2006098676A (ja) * 2004-09-29 2006-04-13 Nikon Corp 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
JP4245185B2 (ja) * 2005-02-07 2009-03-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6254413A (ja) * 2005-02-08 2006-09-21 Nikon Corp 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ボディ
US7945938B2 (en) * 2005-05-11 2011-05-17 Canon Kabushiki Kaisha Network camera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e
JP4572815B2 (ja) * 2005-11-18 2010-11-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5045125B2 (ja) * 2006-03-15 2012-10-10 株式会社ニコン 被写体追尾装置および光学機器
US20080278589A1 (en) * 2007-05-11 2008-11-13 Karl Ola Thorn Methods for identifying a target subject to automatically focus a digital camera and related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624A (ko) * 2003-02-18 2004-08-2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피사체 판정장치, 피사체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38680A (ko) * 2004-11-01 2006-05-0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셔터 반누름 시에 osd 처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326B1 (ko) * 2008-07-31 201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667A (ko) 2008-01-04
TWI341684B (en) 2011-05-01
HK1111032A1 (en) 2008-07-25
JP2008009263A (ja) 2008-01-17
US20080002028A1 (en) 2008-01-03
CN100591099C (zh) 2010-02-17
US20130002922A1 (en) 2013-01-03
TW200808044A (en) 2008-02-01
JP4761146B2 (ja) 2011-08-31
CN101098403A (zh) 2008-01-02
US8284256B2 (en) 2012-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7614B1 (ko) 촬상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0821801B1 (ko) 촬상장치 및 오토포커스 제어방법
JP4518157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7606476B2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method
JP5782813B2 (ja) 撮像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2007108412A (ja)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5051812B2 (ja) 撮像装置、その合焦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2006025238A (ja) 撮像装置
KR20120114177A (ko) 광각 화상을 생성 가능한 화상 처리 장치
JP2007215091A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775644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120115127A (ko) 광각 화상을 생성 가능한 화상 처리 장치
JP4853707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3244520A (ja) 撮影装置
JP2010239277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5429588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4998122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5257969B2 (ja) 合焦位置制御装置、及び合焦位置制御方法、合焦位置制御プログラム
JP5105298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989243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被写体検出方法
JP5182308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0226749A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9086559A (ja) デジタルカメラと、そのフォーカス制御システム、フォーカス制御方法、フォーカス制御プログラム
JP2006234993A (ja) カメラ及びプログラム
JP4061642B2 (ja) 電子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