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0406B1 - 친환경성 선로형식 도로포장 - Google Patents

친환경성 선로형식 도로포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406B1
KR100840406B1 KR1020070109458A KR20070109458A KR100840406B1 KR 100840406 B1 KR100840406 B1 KR 100840406B1 KR 1020070109458 A KR1020070109458 A KR 1020070109458A KR 20070109458 A KR20070109458 A KR 20070109458A KR 100840406 B1 KR100840406 B1 KR 100840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pavement
layer
surface layer
gr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9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택
박영곤
목재균
장세기
배을호
김량균
신상호
강태식
Original Assignee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9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04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02Design or lay-out of roads, e.g. street systems, cross-sections ; Design for noise abatement, e.g. sunken roa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2Wheel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스팔트 포장이나 콘크리트 포장과 같은 회색조의 도로포장에 의한 운전자 피로감 증대, 뜨거운 지열 또는 복사열에 의한 도심 내부 온도상승, 시끄러운 차량소음 및 도시미관 저해 등의 도시교통환경 문제를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성 선로형식 도로포장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친환경성 선로형식 도로포장 구조는, 바퀴를 통해 정해진 선로(도로)를 따라 주행하는 선로차량에 적용되는 도로포장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로포장의 표층을 형성하는 표층부에는 상기 선로차량의 좌,우측 바퀴가 접하게 되는 노면이 구비된 영역인 주행부, 상기 선로차량 하부의 좌우 주행부 사이에 위치되며 잔디가 식재되는 부분인 잔디 식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친환경성 선로형식 도로포장{Environmentally friendly pavement having a track}
본 발명은 아스팔트 포장이나 콘크리트 포장과 같은 회색조의 도로포장에 의한 운전자 피로감 증대, 뜨거운 지열 또는 복사열에 의한 도심 내부 온도상승, 시끄러운 차량소음 및 도시미관 저해 등의 도시교통환경 문제를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성 선로형식 도로포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포장 형식은 크게 연성 포장인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통상 아스팔트 포장으로 칭함)과, 강성 포장인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통상 콘크리트 포장으로 칭함)으로 구분된다.
아스팔트 포장은 골재를 역청재료(bituminous material)로 결합시켜 만든 표층이 있는 포장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표층, 중간층, 기층 및 보조기층(동상방지층 포함) 등으로 구성되는데, 상부층으로 갈수록 탄성계수가 큰 재료를 사용하여 교통하중 작용시 상부층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점점 넓게 분산시켜 발생한 수직응력과 전단응력을 노상이 지지토록 되어 있으며, 각층 구성과 두께는 역학적 균형을 유지하고 교통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포장의 역학적 거 동특성에 초점을 두어 아스팔트 포장을 가요성 포장(flexible pavement)으로 부르기도 한다.
콘크리트 포장은 콘크리트 슬래브 자체가 빔과 같이 거동하여 교통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을 휨 저항으로 지지하는 포장형식이다. 이러한 콘크리트 포장은 일반적으로 표층 콘크리트 슬래브 및 보조기층(린 콘크리트, 입상재료-동상방지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조기층의 역할은 슬래브에 균등한 지지력을 주고 투수층으로서 동상(frost heave) 현상을 방지하고 시멘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타설하기 위해 안정한 작업 기반을 조성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한편, 기존 도시의 내부 및 외곽도로와 국도의 도로포장 형식은 거의 아스팔트 포장이고, 기존 고속도로의 포장형식은 아스팔트 포장도 있으나 콘크리트 포장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아스팔트 포장 및 콘크리트 포장 도로 형식은 주행 시에 포장표면의 회색조 색상으로 인하여 운전자 피로감, 뜨거운 지열 또는 복사열 및 차량소음 등을 유발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주행측면에서 많은 고통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도심지에서 회색조의 도로포장은 운전자 피로감 증대, 뜨거운 지열 또는 복사열에 의한 도심 내부 온도상승, 시끄러운 차량소음 및 도시미관 저해 등이 현대의 도시교통환경 부문에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더구나 도시 내부 및 도시 간의 이동인구 증가로 이동차량이 증가하고 신설도로의 계획 및 건설이 계속 진행되고 있어 여전히 회색조의 도로포장에 의한 도시 교통환경 저해가 문제로 남아 있다.
한편, 현재 국내에서는 정보기술 발전과 연계된 도시 교통, 도로 및 환경 등의 인프라 관련 시설이 첨단화되고 버스전용차로, 버스우선신호, 간선급행버스(BRT-bus rapid transit), 일반 트램, 노면전차, 바이모달 트램(bimodal tram), PRT(personal rapid transit) 등의 미래 신교통수단이 건설되거나 계획 중에 있다.
이와 같이 도시 교통, 도로 및 환경 인프라 관련 시설의 첨단화와 신교통 수단의 발전양상에 맞게 회색조의 도로포장에 의한 운전자 피로감 증대, 뜨거운 지열 또는 복사열에 의한 도심 내부 온도상승, 시끄러운 차량소음 및 도시미관 저해 등의 도시교통환경 문제를 개선시킬 수 있는 도로포장 형식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실정이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종래의 아스팔트 포장이나 콘크리트 포장과 같은 회색조의 도로포장에 의한 운전자 피로감 증대, 뜨거운 지열 또는 복사열에 의한 도심 내부 온도상승, 시끄러운 차량소음 및 도시미관 저해 등의 도시교통환경 문제를 개선시킬 수 있는 친환경성 선로형식 도로포장 구조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친환경성 선로형식 도로포장 구조는, 바퀴를 통해 정해진 선로(도로)를 따라 주행하는 선로차량에 적용되는 도로포 장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로포장의 표층을 형성하는 표층부에는 상기 선로차량의 좌,우측 바퀴가 접하게 되는 노면이 구비된 영역인 주행부, 상기 선로차량 하부의 좌우 주행부 사이에 위치되며 잔디가 식재되는 부분인 잔디 식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우 주행부의 외측으로는 잔디나 가로수 등의 식물이 식재되는 식물 식재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층부는 콘크리트 재질의 판(板)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표층부의 하부에는 린콘크리트층과 동상방지층이 순차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층부의 좌,우측에는 상기 주행부와 식물 식재부를 구획하는 가이드 블럭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층부의 잔디 식재부 일측에는 상기 잔디 식재부에 식재된 잔디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수분공급장치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는 상기 표층부와 린콘크리트층 및 동상방지층을 관통하는 통로로서, 상기 동상방지층 하부에 있는 수분이 상기 잔디 식재부로 자연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자연수분공급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층부에는 상기 잔디 식재부의 과도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로가 형성되고, 상기 잔디 식재부의 바닥면은 상기 배수로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표층부의 저면부와 상기 린콘크리트층의 상면부는 요철형태로 맞물리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표층부를 2개의 분리된 블럭 형태로 구비하여 상기 린콘크리트층의 상면부에 맞물려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도로포장의 선로에는 강우, 강설,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시스템을 더 설치하되, 상기 감지시스템 및 외부의 기상정보 연계 시스템으로부터 강우 및 강설을 모니터링하여 선로차량에 감속운행을 명령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는 상기 감지시스템과 연계되어 상기 표층부에 쌓인 강설이나 결빙을 자동으로 녹여주는 멜팅(melting) 시스템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콘크리트 재질의 주행부 상면에는 선로차량의 좌,우측 바퀴가 접하게 되는 아스팔트 포장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스팔트 포장층의 좌우 양측에는 포장보호연석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친환경성 선로형식 도로포장 구조에 따르면, 종래의 아스팔트 포장이나 콘크리트 포장과 같은 회색조 일색의 도로포장으로 유발되는 운전자 피로감 증대, 뜨거운 지열 또는 복사열에 의한 도심 내부 온도상승, 시끄러운 차량소음 및 도시미관 저해 등의 제반적인 도시교통환경 문제를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성 선로형식 도로포 장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성 선로형식 도로포장 구조는 바퀴를 통해 정해진 선로(도로)를 따라 주행하게 되는 선로차량(궤도차량)에 적용되는 도로포장 구조로서, 특히 주행 편심오차의 크기가 일정범위 내에 있는 특수차량의 주행만을 허용하는 도로포장 구조에 적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친환경성 선로형식 도로포장 구조는 주행 안전성, 재료적 적합성 및 구조적 안전성 등의 문제가 없는 상태에서 기존의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 도로포장과 같은 회색조 일색의 포장 표면을 최대한 줄이면서 시각적, 청각적, 공해적 환경을 부가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잔디식재를 설치하여 구성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친환경성 도로포장 구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포장 구조는 도로포장의 최상부 표층을 형성하게 되는 표층부(110)에 선로차량(100)의 좌,우측 바퀴(101)(102)가 접하게 되는 도로 노면인 주행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선로차량(100)의 하부의 좌우 주행부(112) 사이에는 잔디(114)가 식재되는 부분인 잔디 식재부(113)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는 선로차량(100)이 좌우 일정범위 내의 주행 편심오차를 가지며 주행되어 선로차량(100)의 도로 점유폭이 줄어들기 때문에 주행부(112) 외측의 갓길측 방향과 양측 차도를 분리하는 중앙차로 부분에 잔디 또는 가로수 등의 식물이 식재되는 식물 식재부(10)(20)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선로차량으로는 유도형식에 따라 레일유도형식과, 광학유도형식과, 전자기유도형식 등으로 분류되며, 주행은 바퀴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레일유도형식은 TVR 시스템 차량, Translohr 시스템 차량 등과 같이 일반적인 철도의 레일(rail)을 따라 따라 유도되면서 차량이 주행하는 방식이고, 광학유도형식은 CIVIS 시스템 차량 등과 같이 레일 대신에 차선과 같은 표시줄무늬(line marking)를 차량에 장착된 카메라로 인식하면서 주행하는 방식이며, 상기 전자기유도형식은 Phileas 시스템 차량 등과 같이 도로포장 내에 1∼10cm 정도 깊이에 자석막대(magnet bar)를 설치하여 차량에 장착된 센서가 자석막대의 전자기력을 인식하면서 주행하는 방식을 말한다.
아울러, 일반차량에도 위와 같은 유도형식에 의해 주행이 제어되어 자동운전이 가능할 경우에 선로차량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친환경성 선로형식 도로포장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주행부(112)는 표층부(110)의 상면 좌우에 노출된 노면으로서 차량 주행 시에 바퀴(101)(102)가 닫는 부분이며 주행 편심오차를 확보할 수 있는 소정의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일반적인 선로차량의 주행 편심오차는 레일유도형식 '0', 광학유도형식 '30cm 내외', 전자기유도형식 '30cm 내외'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도로포장에 있어서 차량의 바퀴가 접하게 되는 주행부(112)의 노면 폭을 30cm ∼ 80cm 정도로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층부(110)는 콘크리트 재질로 구성된 판(板) 형태의 콘크리트 슬래브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CIVIS 시스템 차량, Phileas 시스템 차량, TVR 시스템 차량, Translohr 시스템 차량 등은 주행 시 바퀴가 도로 포장면 또는 선로면의 일정한 부분에만 접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주행부(112)의 노면은 차량(100)의 바퀴(101)(102)가 직접 접하게 되어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아스팔트 포장을 적용할 경우 아스팔트 포장이 갖는 가요성 특성 때문에 소성변형 및 전단변형이 발생하게 되어 그대로 적용하기가 곤란하다. 이 때문에, 상기 표층부(110)를 강성이 큰 콘크리트 재질로 적용함으로써 차량의 집중하중에도 변형 없이 포장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선로차량 도로포장 형식은 콘크리트 포장이 적정하며 아스팔트 포장은 변형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재질을 포장면에 포설하거나, 변형부분을 정기적으로 보수할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아스팔트 포장은 주행성이 우수하므로 본 발명의 선로차량 도로포장 형식에 아스팔트 포장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선로차량의 바퀴가 접하게 되는 주행부(112) 표면의 변형이 허용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두께의 아스팔트 포장으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잔디 식재부(113)는 표층부(110)의 상면 중앙에 직사각형 형태로 함몰된 홈 내부에 표토(116)를 깔고 잔디(114)를 식재하여 구성하게 된다.
이때, 잔디(114)의 식생이 가능한 통상의 표토(116)의 높이가 15cm 이상임을 감안하여 차량(100)의 바퀴(101)(102)가 접하게 되는 도로 노면인 주행부(112)의 상면과 표토(116)가 깔리게 되는 잔디 식재부(113)의 바닥면 사이의 단차는 15cm 이상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표층부(110)의 하부에는 린콘크리트층(120)과 동상방지층(130)이 순차적으로 시공된다.
또한, 상기 잔디 식재부(113)에 식재되는 잔디로는 상기와 같은 천연잔디 이외에도 인조잔디나 모형잔디 등의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잔디 식재부(113)는 콘트리트 슬래브로 이루어진 표층부(110) 중앙에 콘크리트에 의해 고립된 부분이기 때문에 잔디(114)의 원활한 식생을 위해서는 별도의 수분공급장치와 수분이 과도하게 공급되는 경우 수분을 배출할 수 있는 배수로가 구비되어야 한다.
도 3은 표층부(110) 중앙의 잔디 식재부(113)에 수분공급장치 및 배수로가 설치된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디 식재부(113) 바닥면 일측에는 잔디(114)에 수분을 공급해줄 수 있는 수분공급장치(121)가 설치된다.
상기 수분공급장치(121)는 파이프 형태로 구비되어 잔디 식재부(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파이프 외면에는 수분을 잔디(114)에 공급할 수 있도록 수분 공급홀(미도시)이 일정 간격을 두고서 다수 개 배열 형성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수분공급장치 대신에 도 3의 우측 형태와 같이 잔디 식재부(113)의 바닥면 중앙에 표층부(110)와, 린콘크리트층(120) 및 동상방지층(130)을 관통하는 홀을 뚫어서 자연적인 수분 공급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하게 되면, 동상방지층(130) 하부에 있는 흙(노상, 노체)의 수분이 상기 수분 공급홀(155)을 통해 잔디 식재부(113)에 자연공급되어 식생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한 수분 공급홀(155)은 도로 포장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잔디 식재부(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 폭을 두고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일반적인 도로는 배수 및 주행을 고려하여 표준 2% 정도의 횡단구배가 형성되어 있는바, 본 발명의 친환경성 선로형식 도로포장도 배수 및 주행을 고려하여 2%의 횡단구배를 설정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횡단구배는 도로의 평면선형에 따라 일반도로의 규정과 같이 변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차량의 종단방향 차량 축 중앙(양 바퀴 중앙)에 형성된 잔디 식재부(113)의 바닥면도 상기와 동일한 정도의 횡단구배를 두고 있다.
또한, 상기 잔디 식재부(113)의 일측에는 상기 잔디 식재부(113)에 과도한 수분이 공급될 경우 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로(11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잔디 식재부(113)의 바닥면은 상기 배수로(118)를 향하여 경사진 횡단구배를 형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배수로(118)는 파이프 형태로 구비하여 잔디 식재부 (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열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표층부(110)의 좌,우측에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것과 같이 주행부(112)와 외측의 잔디 및 가로수 등이 식재되는 식물 식재부(10)를 구획하는 가이드 블럭(117)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블럭(117)은 유도장치가 완전하지 못한 시스템의 선로차량(100)이 운행될 경우 차량의 이탈방지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이때, 양측 차도를 분리하는 중앙 차로 부분에는 도 4와 같이 잔디나 가로수 등의 식물이 식재되는 식물 식재부(20)를 형성하거나, 도 5와 같이 중앙 차로를 분리하는 가이드 블럭(119)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도로포장 구조의 다양한 실시예의 형태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특히 중앙 차로 부분의 식물 식재부(20)를 중심으로 양측 차도가 분리된 분리포장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6a의 도로포장 형식은 전술된 도 2와 같은 형태로서 표층부(110)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슬래브 하면이 평평한 구조를 이루며 린콘크리트층(120) 상부에 배치된 구조이고, 도 6b는 표층부(110)의 좌,우측 하부에 요철(122)이 형성되어 하부의 린콘크리트층(120)과 서로 요철형태로 맞물려 결합된 구조이며, 도 6c는 도 6b의 형태와 다른 방식의 요철 형태로 맞물린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도 6d는 표층부(110)가 좌우 2개의 블럭 형태로 분리되어 린콘크리트층(120)의 상부에 부분적으로 결합된 구조이고, 도 6e는 좌우 2개의 블럭 형태 표층부(110)가 연결 가로보(150)를 통해 서로 연결된 구조이며, 도 6f는 주행부(112)의 외측에 가이드 블럭 (117)이 형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도 7a 내지 도 7f는 중앙 차선(160)을 중심으로 양측 차도가 분리된 분리포장구조로서, 좌우 양측의 도로포장이 일체로 형성된 연결포장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도 7a의 도로포장 형식은 차도 좌우측의 표층부(110)와, 린콘크리트층(120) 및 동상방지층(130)이 서로 일체로 연결된 구조로서 표층부(110)를 이루는 콘크리트 슬래브 하면이 평평한 구조를 가지며 린콘크리트층(120) 상부에 배치된 구조이고, 도 7b는 연결된 표층부(110)의 좌,우측 및 중앙 하부에 요철(122)이 형성되어 하부의 린콘크리트층(120)과 서로 요철형태로 맞물려 결합된 구조이며, 도 7c는 도 7b의 형태와 다른 방식의 요철 형태로 맞물린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도 7d는 표층부(110)가 중앙의 1개의 블럭 및 좌우 2개의 블럭 형태로 분리되어 린콘크리트층(120) 상부에 부분적으로 결합된 구조이고, 도 7e는 중앙의 1개의 표층부 블럭이 좌우 2개의 표층부(110) 블럭과 연결 가로보(150)를 통해 서로 연결된 구조이며, 도 7f는 주행부(112)의 외측에 가이드 블럭(117)이 형성된 구조이다.
한편, 8a 및 8b는 본 발명에 따른 선로차량의 주행형태별 횡단 및 평면 도로포장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8a는 표층부(110) 중앙에 중앙 차선(160)이 형성됨과 동시에 좌우 양측의 도로포장이 일체로 형성된 연결포장 구조에서 표층부(110)를 이루는 콘크리트 슬래브 하면이 평면 형태를 이루며 린콘크리트층(120) 상부에 배치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b는 표층부(110)의 좌,우측 하부에 요철(122)이 형성되어 하부의 린콘크리트층(120)과 서로 요철형태로 맞물려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아울러, 도 9a 및 도 9b는 전술된 도 8a 및 도 8b와 달리 양측 차도를 구획하는 중앙 차로에 가로수 및 잔디 등의 식물 식재부(20)가 구비되어 분리 포장된 구조의 예로서, 도 9a는 표층부(110)의 하면이 평면타입으로 된 구조이고, 도 9b는 표층부(110)의 하면이 린콘크리트층(120)과 요철형태로 맞물려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0a 내지 도 10c는 보행자 도로가 구비된 BRT(바이모달 트램) 전용차도에 적용되는 도로포장 구조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10a, 도 10b, 도 10c는 양쪽 차도를 구획하는 중앙부에 각각 중앙차선과, 중앙분리대, 중앙분리 가로수가 설치된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함께, 도 11a 내지 도 11d는 보행자 도로와, 일반 차량이 주행되는 일반 차로 및 BRT(바이모달 트램) 전용차로가 구비된 도로포장 구조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11a, 도 11b, 도 11c, 도 11d는 양쪽 차도를 구획하는 중앙부에 각각 중앙차선과, 중앙분리대, 중앙분리 가로수가 설치된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위와 같은 형식의 본 발명 이 외에도 일반차량에 있어서 전술된 선로차량과 같이 주행이 제어되어 자동운전이 가능할 경우에는 선로차량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도로포장 위를 주행할 수 있고 차선변경 부분에는 기존 도로 포장형식을 설치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로의 차로에서 선로차량(100)의 주행을 위한 주행 편심 오차를 확보하는 폭의 바퀴가 접하는 면을 도로의 노면으로 남기고 나머지 부분에 천연잔디, 인조잔디, 모형잔디 등의 환경을 개선하는 재료를 적용하여 잔디 식재를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을 위한 도로포장의 도로의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면서 회색조의 도로포장 표면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아스팔트 포장이나 콘크리트 포장과 같은 회색조 일색의 도로포장에서 유발되던 운전자 피로감 증대, 뜨거운 지열 또는 복사열에 의한 도심 내부 온도상승, 시끄러운 차량소음 및 도시미관 저해 등의 제반적인 도시교통환경 문제를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구조의 친환경성 선로형식 도로포장 구조는 강우나 강설시 선로차량(100)의 바퀴와 접촉되는 포장 노면이 미끄러우며, 특히 강설시 눈이 얼어 결빙되었을 경우에 선로차량이 선로를 이탈하게 되거나, 바퀴 펑크 및 차량 전복 등의 2차 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도로포장 선로에 강우, 강설, 온도 등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시스템을 설치하고, 상기 감지시스템과 외부의 기상정보 연계 시스템으로부터 강우 및 강설을 상기 모니터링하여 유사시에 선로차량에 감속운행을 명령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감지시스템과 연계하여 도로포장 표면인 표층부에 쌓인 강설이나 결빙을 자동으로 녹여줄 수 있도록 도로포장 시공시 기 상용화된 멜팅(melting) 시스템을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상기와 같은 멜팅 시스템이 적용된 도로포장 구조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로차량의 바퀴가 접하게 되는 주행부 (112) 내측에 강설이나 결빙을 녹일 수 있는 열선(135)과 같은 멜팅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이렇게 구성하게 되면, 기상정보 연계 시스템과 전용선로의 강우, 강설 및 온도감지 시스템을 통해 차량 주변의 기상상황을 상시 모니터링할 수 있고, 강우 및 강설시 선로차량에 감속운행을 명령하여 차량의 탈선이나 바퀴 펑크 도는 차량전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서 안전운전을 구현할 수 있다. 강설이 쌓이거나 결빙의 조짐이 보일 경우에 자동으로 멜팅 시스템이 작동하여 적설 및 결빙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서 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선로형식 도로포장에는 일반 콘크리트 포장보다 주행성이 우수한 아스팔트 포장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데, 도 13a 및 도 13b는 이러한 아스팔트 포장이 적용된 도로포장 구조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진 표층부(110)의 주행부(112) 상면에 선로차량의 좌,우측 바퀴가 직접적으로 접하게 되는 아스팔트 포장층(136)을 포설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아스팔트 포장층(136)의 두께는 선로차량의 주행시 선로차량의 하중에 의해 표면이 쉽게 변형되는 것을 감안하여 상기 아스팔트층의 변형이 일정 허용범위 내에 존재하도록 아스팔트 포장층(136)의 두께를 적절한 두께로 선정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재질의 주행부(112) 상면에 아스팔트 포장층(136)을 포설함으로써 선로차량의 주행시 콘크리트 포장면보다 우수한 주행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4a 내지 도 14d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형태로서, 포장보호연석이 시공된 아스팔트 도로포장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표층부(110)의 상면에 아스팔트 포장층(136)이 포설되는 도로포장 구조에 있어서, 선로차량의 바퀴가 접하게 되는 아스팔트 포장층(136)의 좌우 양측 경계부에 아스팔트 포장층의 보호를 위한 포장보호연석(138)을 일정 심도의 깊이까지 시공함으로써, 선로차량의 하중에 의해 아스팔트 포장층(136)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장보호연석(138)이 시공되는 깊이는, 도면에서 보는 것처럼 아스팔트 포장층(136)의 상면으로부터 표층부(110) 하부의 린콘크리트층(120) 상부까지 걸쳐지는 깊이로 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14b 및 도 14d에서 보이는 형태와 같이, 선로차량의 바퀴 안쪽에 위치되는 포장보호연석(138)은 아스팔트 포장층(136)의 상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로 형성하고, 선로차량의 바퀴 좌우 외측에 위치되는 포장보호연석(138)은 아스팔트 포장층(136)보다 높게 시공하여 선로차량의 좌,우측 식물 식재부(10)(20) 부분과 아스팔트 포장층(136)이 확실하게 구분된 경계 턱을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친환경성 도로포장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는 표층부의 잔디 식재부에 수분공급장치 및 배수로 설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표층부 좌우에 가이드 블럭이 형성된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도로포장 구조의 다른 실시예로서, 중앙 차로 부분의 식물 식재부를 중심으로 양측 차도가 분리된 분리포장된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중앙 차선을 중심으로 한 좌우 양측의 도로포장이 일체로 형성된 연결포장 구조를 예시한 단면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로차량의 주행형태별 횡단 및 평면 도로포장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양측 차도를 구획하는 중앙 차로에 식물 식재부가 구비되어 분리 포장된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보행자 도로를 구비한 BRT 전용차도에 적용되는 도로포장 구조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보행자 도로와 일반 차로 및 BRT 전용차로가 구비된 도로포장 구조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멜팅 시스템이 적용된 도로포장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아스팔트 포장이 적용된 도로포장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4a 내지 도 14d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아스팔트 포장에 포장보호연석이 설치된 도로포장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선로차량 101,102 : 바퀴
110 : 표층부 120 : 린콘크리트층
130 : 동상방지층 112 : 주행부
113 : 잔디 식재부 114 : 잔디
117 : 가이드 블럭 118 : 배수로
150 : 연결 가로보 160 : 중앙차선
122 : 요철 138 : 포장보호연석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바퀴를 통해 정해진 선로(도로)를 따라 주행하는 선로차량에 적용되는 도로포장에 있어서,
    상기 도로포장의 표층을 형성하는 표층부에는 상기 선로차량의 좌,우측 바퀴가 접하게 되는 노면이 구비된 영역인 주행부, 상기 선로차량 하부의 좌우 주행부 사이에 위치되며 잔디가 식재되는 부분인 잔디 식재부가 형성되고,
    상기 좌우 주행부의 외측으로는 잔디나 가로수 등의 식물이 식재되는 식물 식재부가 형성되며,
    상기 표층부는 콘크리트 재질의 판(板)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표층부의 하부에는 린콘크리트층과 동상방지층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성 선로형식 도로포장.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층부의 좌,우측에는 상기 주행부와 식물 식재부를 구획하는 가이드 블럭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성 선로형식 도로포장.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층부의 잔디 식재부 일측에는 상기 잔디 식재부에 식재된 잔디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수분공급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성 선로형식 도로포장.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층부와 린콘크리트층 및 동상방지층을 관통하는 통로로서, 상기 동상방지층 하부에 있는 수분이 상기 잔디 식재부로 자연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자연수분공급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성 선로형식 도로포장.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층부에는 상기 잔디 식재부의 과도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로가 형성되고, 상기 잔디 식재부의 바닥면은 상기 배수로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성 선로형식 도로포장.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층부의 저면부와 상기 린콘크리트층의 상면부는 요철형태로 맞물리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성 선로형식 도로포장.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층부는 2개의 분리된 블럭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린콘크리트층의 상면부에 맞물려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성 선로형식 도로포장.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포장의 선로에는 강우, 강설,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시스템이 더 설치되되,
    상기 감지시스템 및 외부의 기상정보 연계 시스템으로부터 강우 및 강설을 모니터링하여 선로차량에 감속운행을 명령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성 선로형식 도로포장.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시스템과 연계되어 상기 표층부에 쌓인 강설이나 결빙을 자동으로 녹여주는 멜팅(melting) 시스템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성 선로형식 도로포장.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재질의 주행부 상면에는 선로차량의 좌,우측 바퀴가 접하게 되는 아스팔트 포장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성 선로형식 도로포장.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포장층의 좌우 양측에는 포장보호연석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성 선로형식 도로포장.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 식재부에는 천연잔디, 인조잔디, 모형잔디 중 어느 하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성 선로형식 도로포장.
KR1020070109458A 2007-10-30 2007-10-30 친환경성 선로형식 도로포장 KR100840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458A KR100840406B1 (ko) 2007-10-30 2007-10-30 친환경성 선로형식 도로포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458A KR100840406B1 (ko) 2007-10-30 2007-10-30 친환경성 선로형식 도로포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0406B1 true KR100840406B1 (ko) 2008-06-23

Family

ID=39772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9458A KR100840406B1 (ko) 2007-10-30 2007-10-30 친환경성 선로형식 도로포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040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6676B1 (ko) * 2008-12-05 2011-10-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경로유도형 차량속도 저감용 차로구조
KR101117498B1 (ko) 2010-01-20 2012-03-07 주식회사 베노 인조잔디의 배수를 위한 배수레일 및 배수레일을 이용한 인조잔디의 시공방법
KR101130852B1 (ko) 2009-10-13 2012-04-1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볼록형 버스전용차로
WO2020154339A1 (en) * 2019-01-24 2020-07-3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Grass surrogate
KR102186357B1 (ko) * 2019-08-05 2020-12-03 주식회사 이알에스 건조기에도 생존 가능한 식생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8360A (ja) * 2000-08-17 2002-02-26 Kankyo Kikaku 21:Kk 芝地走行車用走行路の形成方法
KR20030009261A (ko) * 2002-12-23 2003-01-29 주식회사 지호피에스 도로 통제 시스템
JP2003221805A (ja) 2002-01-31 2003-08-08 Kankyo Kikaku 21:Kk 芝地走行車用走行路の形成方法及び断面構造
KR200391047Y1 (ko) 2005-05-04 2005-07-29 (주) 부경종합기술단 급수배관이 구비된 식재용 도로경계석
KR100591668B1 (ko) 2006-02-22 2006-06-22 한국휴로드 (주) 고 투수탄성포장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743473B1 (ko) 2006-03-10 2007-07-30 (주)지케이 열발산층을 갖는 탄성 포장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8360A (ja) * 2000-08-17 2002-02-26 Kankyo Kikaku 21:Kk 芝地走行車用走行路の形成方法
JP2003221805A (ja) 2002-01-31 2003-08-08 Kankyo Kikaku 21:Kk 芝地走行車用走行路の形成方法及び断面構造
KR20030009261A (ko) * 2002-12-23 2003-01-29 주식회사 지호피에스 도로 통제 시스템
KR200391047Y1 (ko) 2005-05-04 2005-07-29 (주) 부경종합기술단 급수배관이 구비된 식재용 도로경계석
KR100591668B1 (ko) 2006-02-22 2006-06-22 한국휴로드 (주) 고 투수탄성포장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743473B1 (ko) 2006-03-10 2007-07-30 (주)지케이 열발산층을 갖는 탄성 포장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6676B1 (ko) * 2008-12-05 2011-10-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경로유도형 차량속도 저감용 차로구조
KR101130852B1 (ko) 2009-10-13 2012-04-1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볼록형 버스전용차로
KR101117498B1 (ko) 2010-01-20 2012-03-07 주식회사 베노 인조잔디의 배수를 위한 배수레일 및 배수레일을 이용한 인조잔디의 시공방법
WO2020154339A1 (en) * 2019-01-24 2020-07-3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Grass surrogate
KR102186357B1 (ko) * 2019-08-05 2020-12-03 주식회사 이알에스 건조기에도 생존 가능한 식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2629B2 (en) Modular track section for urban transport vehicle in particular self-steering on tyres
JP2012511112A (ja) 半(1/2)立体交差点を利用したノンストップ無停車及び無停止交通システム及びこれを適用した交通方法
KR100840406B1 (ko) 친환경성 선로형식 도로포장
CN106087699B (zh) 一种快速组装施工的道路***
CN2913433Y (zh) 立体交通线和利用路中、路边空间的高架轨道
CN105270119A (zh) 可路面及轨道两用行走式行车机构
CN102146650B (zh) 一种单轨公路
CN201411610Y (zh) 回旋式互通立交桥
CN210916838U (zh) 一种城市道路人行通道无障碍结构
KR102435459B1 (ko) 산악철도용 궤도의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857894B1 (ko) 선로차량에 적용되는 교량의 슬래브 구조
KR100945590B1 (ko) 자전거 도로와 보차도용 경계석을 포함하는 경계석 및 이 시공 방법
CN111287042A (zh) 一种钢板-沥青混凝土复合路面结构及施工方法
US1629782A (en) One-way motor way or street
Novales et al. Turf track for light rail systems
RU2745460C1 (ru) Транспортная систем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автомобильная
CN204803700U (zh) 快速十字立交桥
CN202099705U (zh) 一种单轨公路
Maternini et al. Some infrastructural elements for cyclists’ injury prevention
JP3417940B1 (ja) 路面凍結防止ブロックおよびこれを用いたブロック路面
CN101250843A (zh) 道路交通工程***方法及相应设施
ESCAP Development of road infrastructure safety facility standards for the Asian high way network
RU2399498C1 (ru) Способ движения автомобиля по автомобильной дороге, универсальный башмак, колесо автомобиля (варианты), скоростная автомобильная дорога
CN110565462B (zh) 高架桥梁下机动车道防止不均匀沉降的路基路面结构
KR20090004689U (ko) 철도건널목용 철근콘크리트 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