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7150B1 - 관로 내부의 고착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관로 내부의 고착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7150B1
KR100837150B1 KR1020070068945A KR20070068945A KR100837150B1 KR 100837150 B1 KR100837150 B1 KR 100837150B1 KR 1020070068945 A KR1020070068945 A KR 1020070068945A KR 20070068945 A KR20070068945 A KR 20070068945A KR 100837150 B1 KR100837150 B1 KR 100837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haft
fixed
bolt
scaf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복남
위성배
Original Assignee
손복남
위성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복남, 위성배 filed Critical 손복남
Priority to KR1020070068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71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7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7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등의 관로 내부에 고착되어 있는 녹, 스케일 등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체인 고착물 제거부를 구동시키고, 구동되는 고착물 제거부에 장착된 다수의 크리닝부가 관 내부를 회전하면서 관에 고착된 고착물을 긁어내어 고착된 물질을 제거하게 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관로 내부의 고착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부에 회전축보다 짧게 형성된 회전축프레임을 가지는 모터 몸체; 상기 모터 몸체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모터 회전축의 상기 회전축 프레임에 장착되는 제1발판; 상기 제1발판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고착물 제거부; 상기 모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된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물분사부; 상기 물분사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플랜지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고압수 연결관; 상기 고압수 연결관에 장착되는 제2발판; 및 상기 고압수 연결관에 연결되는 고압수 공급호스;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관을 절단하고 새로운 관을 연결할 필요가 없는 등의 경제적인 효과를 가지며, 회전속도 및 고착물 제거부의 접촉면적이 넓음에 따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작업효율이 높은 발명이다.
이물질, 고착물, 스케일, 녹, 모터, 크리닝부, 회전축, 탄성부재, 물분사노즐, 고압수

Description

관로 내부의 고착물 제거장치{The removal device of fixed substance inside wall of pipe}
본 발명은 파이프 등의 관로 내부에 고착되어 있는 녹, 스케일 등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체인 고착물 제거부를 구동시키고, 구동되는 고착물 제거부에 장착된 다수의 크리닝부가 관 내부를 회전하면서 관에 고착된 고착물을 긁어내어 고착된 물질을 제거하게 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으로 된 관은 관 내부로 유체가 유동하게 되면 유체와 관이 반응하여 녹이나 스케일 등이 관 내벽에 쌓여 이물질들이 고착되어진다. 고착된 물질들은 관 내부의 부식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고, 따라서 국부적으로 유체의 흐름을 막아 압력이 높아져 이음매 부분의 플랜지나 파이프가 파열될 수 있는 문제점을 야기할 수도 있다.
따라서, 관 내부에 고착된 물질을 제거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장시간을 통해 관 내부에서 고착된 이물질들은 일반적인 수단으로는 쉽게 제거할 수 없으며, 강한 충격을 줄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녹이나 스케일 등의 고착 이물질들이 많은 부분을 잘라내고, 새로운 관을 연결하여야 하는 방법밖에는 없다. 그러나, 금속으로 된 관 등은 고가이거나, 땅속에 파 묻혀 있는 경우에는 땅을 다시 파야하는 등 인건비가 상승하게 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스케일 등이 고착된 관을 단순히 잘라내고 새로운 관으로 용접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일부분을 잘라내고 새로운 관을 연결하는 것도 쉬운 공정은 아니다. 그 이유는 새로 연결되는 관은 녹 등의 스케일이 없는 것이나 기존의 관은 스케일이 붙어 있을 것이므로, 용접이 쉽지 않다.
또한, 콘크리트 등으로 이루어진 관의 경우에도 스케일이 많이 고착된 부분을 빼내고 다른 것으로 교체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노후된 파이프 내부에 끼어 있는 고착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모터가 장착된 고착물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관 내부의 고착물 등을 제거하는 장치들이 사용되어 왔다. 특허 제654986호에서는 이러한 모터를 사용한 건식 고착물 제거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특허 제654986호에 따른 장비는 회전체에 방사상으로 연결된 체인과 같은 이물질 제거수단이 사용되는 것이므로, 체인이 접촉되는 면적이 상당히 좁아 고착물을 제거하는데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일부분은 고착물이 제거되지 않는 부분도 생길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먼지 등이 기기 내부에 들어가 고장 등 의 원인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일측에 있는 바퀴만이 관 내벽의 높낮이에 따라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다른 바퀴가 관 내벽에 닿지 않는 경우에는 모터의 진동에 의해 불균형을 초래하여 고착물 제거가 바르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장치로 관 내벽에 충격을 준 후라도 인력으로 쉽게 떨어지지 않는 고착물을 제거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착물을 제거하는 부위를 넓힘으로써, 효율적인 작업이 진행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습식으로 관 내의 먼지를 제거하고, 모터의 회전에 따른 진동이나 관 내벽의 불균형에도 불구하고 균형적으로 고착물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압수로 내벽을 분사시킴으로써, 먼저 고압수로 일부 고착물을 제거하고, 순차적으로 따르는 이물질 제거부에 의해 효과적으로 고착물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넓은 면적의 관 내벽 빠른 시간에 처리함으로써,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관로 내부의 고착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부에 회전축보다 짧게 형성된 회전축프레임을 가지는 모터 몸체; 상기 모터 몸체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모터 회전축의 상기 회전축 프레임에 장착되는 제1발판; 상기 제1발판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고착물 제거부; 상기 모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된 플랜지부; 상 기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물분사부; 상기 물분사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플랜지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고압수 연결관; 상기 고압수 연결관에 장착되는 제2발판; 및 상기 고압수 연결관에 연결되는 고압수 공급호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내부의 고착물 제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제1발판과 제2발판은, 심부에 축공이 형성된 발판프레임과, 발판프레임의 외주면에 형성된 한 쌍의 돌출편으로 구성된 다수의 고정부와, 고정부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받침부재로 구성된다. 발판프레임은 원형 또는 정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주면으로는 한 쌍의 돌출편이 형성되어 고정부의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받침부재가 고정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받침부재는 직접 관내벽과 접하게 되는 부분을 말한다. 다수의 받침부재가 관내벽에 접해 있으므로 모터가 구동하는 경우에도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받침부재는 사각기둥의 프레임 일측에 테이퍼를 형성하여 관 내벽과 접하게 함으로써, 본 발명인 제거장치가 쉽게 앞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받침부재가 관 내벽과 지나치게 접촉하게 되면 마찰력이 커져서 이동이 어려우므로 관 내벽과 접하는 받침부재 부분은 넓은 면적을 가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제1발판과 제2발판의 받침부재는, 한 쌍의 돌출편과 받침부재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돌출편과 받침부재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고정축이 삽입되며, 고정축은 발판프레임에 형성된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장착된다. 받침부재는 돌출편에 삽입 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야 하므로, 돌출편과 받침부재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고정축을 삽입하여 받침부재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고정축은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다.
제1발판과 제2발판의 돌출편에 형성된 관통공은 고정축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소정거리의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것은 관의 직경에 따라 받침부재의 높이를 맞추도록 하기 위함이다. 받침부재가 이격공간을 따라 소정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으므로 관의 내경에 따라 탄력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돌출편과 받침부재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삽입되는 고정축은 단면 형상이 원형, 사각형, 육각형 또는 평면이 형성된 타원형일 수 있다. 원형으로 하는 경우에는 축을 기준으로 어느 정도의 범위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관 내부의 높낮이가 다른 경우에도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고정축이 삽입되어 받침부재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고정축의 단면 형상을 각이 지거나 평면이 형성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정축을 지지하는 지지부는 발판프레임에 장착되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나사부와 나사부에 삽입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며, 볼트는 고정축의 양단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고 발판프레임에 고정장착되어 고정축을 지지하고, 볼트와 고정축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삽입되어 고정축을 탄성 지지하게 되며, 너트는 고정축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고정축을 지지하는 지지부는 볼트와 너트 및 탄성부재를 사용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관 내벽은 스케일이나 녹 등이 고착되어 있으므로 관의 직경이 일정할 수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관 내벽을 따라 이동되는 장치는 균일하지 않은 관 내벽에 탄력적으로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탄성부재를 고정축 하단의 볼트에 삽입하여 관 내경에 따라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고착물 제거부는, 외주면에는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심부에는 축공이 형성된 제거부프레임과, 돌출부에 축고정되는 제1크리닝부와, 돌출부에 축고정되는 제2크리닝부로 구성되며, 제1크리닝부와 제2크리닝부는 교대로 다수의 돌출부에 축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제1크리닝부는, 회전방향으로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홈을 가진 드럼과, 일측은 돌출부에 축고정되고 타측에는 드럼이 축고정되는 H자형 프레임과, H자형 프레임의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공과, 관통공에 삽입되어 제거부프레임에 하단이 고정장착되는 볼트와, 볼트와 H자형 프레임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부재와, H자형 프레임의 상단에서 볼트에 죄어지는 너트로 구성된다. 제1크리닝부는 회전축에 삽입고정되는 고착물 제거부의 일부분이므로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하게 된다. 제1크리닝부는 드럼의 형상에 외주면으로 다수의 홈이 회전방향으로 형성되어, 모터의 회전과 함께 관내벽과 접촉하게 되므로, 관내벽에 붙어 있는 고착물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홈이 형성된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관 내경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드럼에 심한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방지하기 위해 내경에 따라 탄력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중앙에 탄성부재를 삽입하도록 구성된다. 즉, H자형 프레임의 일측은 제거부프레임에 축고정되어 소정거리를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타측에는 드럼이 H자형 프레임에 축고정되도록 하며, H자형 프레임의 중앙에는 관통공을 형성하여 관통공에 탄성부재인 스프링과 볼트를 삽입하여 H자형 프레임이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며, H자형 프레임의 상단 볼트에는 너트를 장착하여 H자형 프레임의 상하 움직임 및 내경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크리닝부는, 일측이 곡면형상으로 된 스크랩퍼와, 일측은 돌출부에 축고정되고 타측에는 스크랩퍼가 축고정되는 H자형 프레임과, H자형 프레임의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공과, 관통공에 삽입되어 제거부프레임에 하단이 고정장착되는 볼트와, 볼트와 H자형 프레임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부재와, H자형 프레임의 상단에서 볼트에 죄어지는 너트로 구성된다. 제1크리닝부와 동일한 형태의 H자형 프레임을 가지고, 동일한 형태의 볼트와 탄성부재 및 너트를 가지며, 제1크리닝부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볼트 및 너트와 탄성부재에 의해 스크랩퍼가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너트는 내경에 따라 일정한 높이를 가질 수 있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스크랩퍼는 관 내벽에 많은 부분이 접할 수 있도록 원호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스크랩퍼에는 다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관로의 내벽과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스크랩퍼의 단부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관 내벽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돌기부는 직접 스크랩퍼에 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으나 쇠구슬 등을 단부에 심어서 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경도가 강한 금속을 스크랩퍼의 단부에 심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다만, 지나치게 경도가 강할 경우 관 내벽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관의 재질 등을 감안하여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랜지부는, 모터 몸체와 결합되는 측면에만 테이퍼가 형성된 플랜지와, 플랜지를 연결하는 나사로 구성된다. 플랜지부는 직접 모터 몸체와 연결된다. 플랜지부의 내부에는 물분사부가 형성된다.
물분사부는, 플랜지 내부에 형성되고 단부가 개방된 다수의 방사상 관로와, 관로와 연통되고 소정각도로 플랜지부의 테이퍼 부분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물분사노즐과, 관로의 개방단부에 장착되는 밀폐수단으로 구성된다. 플랜지부에는 볼트홀이 형성되므로 관로는 볼트홀을 피해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관로의 끝은 개방되며 캡이나 플러그 등의 밀폐수단을 이용해 밀폐한다. 물분사노즐은 테이퍼진 부분에 관통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장착된다. 물분사노즐을 통해 고압수가 관 내벽으로 분사되고, 분사되는 고압수에 의해 일부 고착물이 떨어질 수 있고, 후단에 있는 고착물 제거부가 쉽게 고착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보조역할을 한다. 또한 고압수는 고착물질이 관 내부에서 밖으로 흘러나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고압수 가 계속 분사되어 공급되므로 제거된 고착물질이 물과 함께 흘러나갈 수 있게 된다. 물분사노즐에는 밸브를 장착하여 고압수 공급이 불필요한 곳에서는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물분사부는 플랜지부에 연결된 고압수 연결관과 연통된다. 고압수 연결관의 외측에는 제2발판이 장착되며, 제2발판이 장착된 후 너트로 제2발판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2발판에 볼트홀 또는 볼트장착 러그를 형성하여 모터 몸체와 연결할 수도 있다. 고압수 연결관이 장착되는 플랜지면에는 견인고리가 더 장착될 수 있다. 견인고리는 본 장치를 일정한 속도로 바깥으로 빼내기 위함이다. 자체적인 구동력이 없으므로 견인고리에 줄을 메달아 바깥으로 일정속도로 빼내게 된다.
고압수 공급호스와 연결되는 고압수 연결관의 조인트는 플랜지 또는 관의 내측에 형성되는 스크류로 구성될 수 있다. 고압수 공급호스는 일반적으로 고무 호스 등이 사용된다. 고압수 공급호스를 통해 고압수가 공급된다.
본 발명은 고착물을 제거하는 부위를 넓힐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작업이 진행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습식으로 관 내의 먼지를 제거하고, 모터의 회전에 따른 진동이나 관 내벽의 불균형에도 불구하고 균형적으로 고착물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고압수로 내벽을 분사시킴으로써, 먼저 고압수로 일부 고착 물을 제거하고, 순차적으로 따르는 이물질 제거부에 의해 효과적으로 고착물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넓은 면적의 관 내벽을 빠른 시간에 처리함으로써,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관의 내경에 따라 고착물 제거부와 발판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관의 직경에 따라 탄력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기술적 특징이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고착물 제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이물질 제거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실시예의 발판의 단면도이고, 도 5a는 도 1의 실시예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물분사부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1의 실시예의 플랜지부의 절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고착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고착물 제거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중앙부에 모터 몸체(1)가 있고 몸체(1)의 일측에는 제1발판(30a)과 고착물 제거부(20)가 있으며, 몸체(1)의 타측에는 플랜지부(10)와 제2발판(30b)가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모터 몸체(1)와 제1발판(30a) 및 고착물 제거부(2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고착물 제거부(20)의 구성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심부에 축공(29)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다수의 돌출부(21a)가 형성된 제거부프레임(21)과 상기 돌출부(21a)에 일측이 축핀(27)에 의해 축고정되는 H자형 프레임(23)과 H자형 프레임(23)의 타측에는 외주면에 회전방향으로 다수의 홈이 형성된 드럼(22)이 축핀(27)에 의해 축고정된다. H자형 프레임(23)의 중앙에는 관통공(23c)이 형성되어 볼트(24)가 장착되고 H자형 프레임(23)의 하부 볼트(24)에는 탄성부재(26)가 삽입되어 H자형 프레임(23)을 탄성지지한다. H자형 프레임(23)의 상부 볼트(24)에는 너트(25)가 장착되어 H자형 프레임(23)의 상부쪽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게 된다. 또한 너트(25)의 장착에 의해 H자형 프레임(23)이 관의 내경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H자형 프레임(23)에는 너트(25)가 돌출되지 않도록 너트 홈(23b)를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탄성부재(26)가 삽입장착될 수 있는 탄성부재 장착홈(23a)을 구성할 수도 있다. 제거부프레임(21)에 형성된 볼트 장착홈(24b)에 볼트(24)가 고 정장착되고, 볼트 장착홈(24b)의 상부에는 탄성부재 장착홈(24c)을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는 H자형 프레임에 형성된 탄성부재 장착홈(23a)과 제거부프레임(21)에 형성된 탄성부재 장착홈(24c)에 장착되어 탄성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26)에 의해 드럼은 내벽과 접촉하면서 탄성력에 의해 유연하게 작용할 수 있다. 또한 고착물 제거부(20)는 회전축(3)에 장착되는데, 고착물 제거부의 프레임(21)과 회전축(3)에 형성된 키이홈(3a)에 키이(4)를 이용하여 고정장착하게 된다.
제1발판 및 제2발판의 구성을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심부에 축공(38)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한 쌍의 돌출편(31a)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고정부를 가진 발판프레임(31)과 한 쌍의 돌출편(31a)으로 구성된 고정부에 장착되는 받침부재(32)로 구성된다. 받침부재(32)에 형성되는 관통공(32a)과 돌출편(31a)에 형성되는 관통공(36)으로 고정축(34)이 삽입된다. 고정축(34)은 받침부재(32)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며, 고정축(34)은 다시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부는 고정축(34)의 양측에 관통공(34a)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을 통해 볼트(33)를 삽입한다. 볼트(33)는 발판 프레임(31)에 형성된 볼트 장착홈(33c)에 고정장착된다. 고정축(34)과 고정축 하부의 볼트(33)에는 탄성부재(35)가 삽입되어 고정축(34)을 탄성지지하게 된다. 또한, 고정축(34)의 상부 볼트(33)에는 너트(33a)가 장착되어 고정축의 탄성력에 의한 움직임을 제한하게 된다. 또한 너트(33a)는 관의 내경에 따라 탄력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받침부재(32)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받침부재(32)는 제1발판(30a)과 제2발판(30b)을 통해 관의 내벽과 접촉하게 되고, 모터(1)의 회전방향에 대해서는 접촉면적이 넓게 구성되어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본 장치가 움직일 수 있는 가능성을 차단하고, 고착물 제거부(20)가 효과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모터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탄성부재(35)는 발판 프레임(31)에 형성된 탄성부재 장착홈(33b)에 장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고정축(34)에도 탄성부재 장착홈(미도시)을 더 구성할 수도 있다. 발판 프레임(31)에는 모터 몸체(1)와 결합할 수 있도록 볼트홀(37)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볼트홀의 구성은 프레임의 내측 뿐만 아니라, 프레임 외측에 볼트홀을 가진 러그(미도시)를 설치하여 모터 몸체(1)와 연결할 수도 있다.
도 2에서 모터 몸체는 회전축(3)과 회전축 프레임(2)을 가진다. 회전축(3)에는 고착물 제거부(20)가 고정장착되며, 회전축 프레임(2)에는 제1발판(30a)이 고정장착된다. 회전축 프레임(2)과 회전축(3) 사이에는 베어링을 삽입하여 회전축만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도 2 및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여 모터 몸체(1)의 타측에 장착된 플랜지부(10)의 구성을 살펴본다. 플랜지부(10)는 일측만이 테이퍼(12)가 형성된 플랜지(11)로 구성된다. 플랜지(11)의 내부에는 도 5a에서 볼 수 있듯이 고압수가 흘러가는 관로(15)가 형성된다. 관로의 개방단부에는 밀폐수단(16)이 장착되는데, 밀폐수단으로는 플러그나 캡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플랜지(11)에는 모터 몸체와 장착하기 위한 볼트홀(19)이 형성되고, 또한 전선(102) 통과를 위한 전선홀(18)이 형성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플랜지(11)는 일측만이 테이퍼(12)가 형성되고, 테이퍼진 부분으로 다수의 물분사노즐(17)이 관통형성된다. 물분사노즐(17)은 관로(15)와 연 통되고, 물분사노즐의 끝부분에는 스크류가 형성되어 플랜지(11)의 테이퍼진 부분에 형성된 관통공에 장착된다. 물분사노즐(17)은 관 내벽에 고압수를 분사하기 위한 것이므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고압수가 고압호스(101)를 통해 공급되면 관로(15)를 통해 고압수가 이동하게 되고 물분사노즐(17)을 통해 관 내벽으로 분사된다. 플랜지(11)의 타측에는 고압수 연결관(13)이 형성되고, 고압수 연결관에는 고압수 공급호스(101)가 연결된다. 고압수 연결관과 고압수 공급호스의 체결방식은 플랜지 방식이나 스크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b에서는 스크류 타입을 나타내고 있다. 고압수 연결관(13)에는 제2발판(30b)이 장착된다. 제2발판의 구성도 제1발판과 동일하며, 이는 제1발판의 설명시에 기재되었으므로 구체적인 구성의 기재는 생략하기로 한다. 제2발판도 플랜지부에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장착하거나, 고압수 연결관의 제2발판 장착면 뒤에 스크류를 형성하고 별도의 너트(미도시)를 이용하여 고정장착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내고 있다. 모터의 구동에 의해 고착물 제거부(20)가 회전하면서 관 내벽의 고착물을 제거하게 되고, 또한 고압수가 공급되어 물분사노즐(17)을 통해 고압수를 내벽으로 분사하게 된다. 상기 장치는 모터로 구동되는 호스릴(100)에 의해 호스가 당겨지면서 앞쪽으로 진행하게 된다. 호스에 지나친 힘이 가하여질 경우에는 별도의 견인고리를 플랜지부에 설치하고 견인고리에 줄을 메달아 모터를 이용하여 앞으로 당길 수도 있다. 적정한 속도로 고착물 제거장치를 당겨주면,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고착물 제거부에 의해 대부분의 고착물들은 제거되고, 또한 장치가 작동하기 전에 내벽에 고압수를 분사시 킴으로써 고착물 제거부가 고착물을 훨씬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고착물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2은 도 1의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3는 도 1의 실시예의 이물질 제거부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실시예의 발판의 단면도.
도 5a는 도 1의 실시예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물분사부 단면도.
도 5b는 도 1의 실시예의 플랜지부의 절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모터 몸체 2 : 회전축프레임
3 : 회전축 4 : 키이
10 : 플랜지부 11 : 플랜지 테이퍼
12 : 플랜지 13 : 고압수 연결관
14 : 나사산 15 : 물분사 관로
16 : 밀폐수단 17 : 분사노즐
17a: 노즐홀 18 : 전선홀
19 : 볼트홀
20 : 고착물 제거부 21 : 제거부프레임
22 : 드럼 23 : H자형 프레임
24 : 볼트 25 : 너트
26 : 탄성부재 27 : 축핀
28 : 스크랩퍼 28a: 돌기부
29 : 축공
30 : 발판 31 : 발판프레임
32 : 받침부재 33 : 볼트
34 : 고정축 35 : 탄성부재
36 : 이격공간 37 : 볼트홀
38 : 축공
100: 호스릴(hose reel) 101: 고압수 공급호스
102: 전선

Claims (13)

  1. 관로 내부의 고착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부에 회전축보다 짧게 형성된 회전축프레임을 가지는 모터 몸체;
    상기 모터 몸체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모터 회전축의 상기 회전축 프레임에 장착되는 제1발판;
    상기 제1발판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고착물 제거부;
    상기 모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모터 몸체와 결합되는 측면으로 테이퍼가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를 연결하는 볼트로 구성된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되며, 상기 테이퍼에 다수의 분사노즐이 형성되는 물분사부;
    상기 물분사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플랜지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고압수 연결관;
    상기 고압수 연결관에 장착되는 제2발판; 및
    상기 고압수 연결관에 연결되는 고압수 공급호스;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내부의 고착물 제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발판과 제2발판은, 심부에 축공이 형성된 발판프레임과, 상기 발판 프레임의 외주면에 형성된 한 쌍의 돌출편으로 구성된 다수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받침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내부의 고착물 제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한 쌍의 돌출편과 상기 받침부재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과 상기 받침부재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고정축이 삽입되며, 상기 고정축은 상기 발판프레임에 형성된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내부의 고착물 제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에 형성된 관통공은 상기 고정축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소정거리의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내부의 고착물 제거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은 단면 형상이 원형, 사각, 육각형 또는 평면이 형성된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내부의 고착물 제거장치.
  6.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을 지지하는 지지부는 발판프레임에 장착되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나사부와 나사부에 삽입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볼트는 상기 고정축의 양단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발판프레임에 고정장착되어 상기 고정축을 지지하고, 상기 볼트와 고정축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고정축을 탄성 지지하며, 상기 너트는 고정축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내부의 고착물 제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되는 고착물 제거부는, 외주면에는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심부에는 축공이 형성된 제거부프레임과, 상기 돌출부에 축고정되는 제1크리닝부와, 상기 돌출부에 축고정되는 제2크리닝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크리닝부와 상기 제2크리닝부는 교대로 상기 다수의 돌출부에 축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내부의 고착물 제거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크리닝부는, 회전방향으로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홈을 가진 드럼과, 일측은 상기 돌출부에 축고정되고 타측에는 상기 드럼이 축고정되는 H자형 프레임과, 상기 H자형 프레임의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거부프레임에 하단이 고정장착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와 상기 H자형 프레임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H자형 프레임의 상단에서 볼트에 죄어지는 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내부의 고착물 제거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크리닝부는, 일측이 곡면형상으로 된 스크랩퍼와, 일측은 상기 돌출부에 축고정되고 타측에는 상기 스크랩퍼가 축고정되는 H자형 프레임과, 상기 H자형 프레임의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거부프레임에 하단이 고정장착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와 상기 H자형 프레임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H자형 프레임의 상단에서 볼트에 죄어지는 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내부의 고착물 제거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퍼에는 다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관로의 내벽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내부의 고착물 제거장치.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부는, 상기 플랜지 내부에 형성되고 단부가 개방된 다수의 방사상 관로와, 상기 관로와 연통되고 소정각도로 상기 플랜지부의 테이퍼 부분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물분사노즐과, 상기 관로의 개방단부에 장착되는 밀폐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내부의 고착물 제거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압수 공급호스와 연결되는 상기 고압수 연결관의 조인트는 플랜지 또는 관의 내측에 형성되는 스크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내부의 고착물 제거장치.
KR1020070068945A 2007-07-10 2007-07-10 관로 내부의 고착물 제거장치 KR100837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945A KR100837150B1 (ko) 2007-07-10 2007-07-10 관로 내부의 고착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945A KR100837150B1 (ko) 2007-07-10 2007-07-10 관로 내부의 고착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7150B1 true KR100837150B1 (ko) 2008-06-11

Family

ID=39770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945A KR100837150B1 (ko) 2007-07-10 2007-07-10 관로 내부의 고착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71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79491A (zh) * 2022-07-11 2022-10-14 贺军 一种注塑机换料清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7261A (ja) * 1991-08-30 1993-03-09 Sakuji Kurata パイプのクリーニング装置
KR200364747Y1 (ko) * 2004-07-09 2004-10-13 주식회사 디엔씨 관로 연마용 자주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7261A (ja) * 1991-08-30 1993-03-09 Sakuji Kurata パイプのクリーニング装置
KR200364747Y1 (ko) * 2004-07-09 2004-10-13 주식회사 디엔씨 관로 연마용 자주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79491A (zh) * 2022-07-11 2022-10-14 贺军 一种注塑机换料清理装置
CN115179491B (zh) * 2022-07-11 2023-09-19 宁波威力仕高科机械有限公司 一种注塑机换料清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6899B1 (ko) 관로 내부의 고착물 제거장치
KR101814733B1 (ko) 하수관거의 퇴적물 제거를 위한 알엔비 공법
KR100951435B1 (ko) 분사노즐을 이용한 상하수도 비굴착 관로 스케일 제거장치 및 공법
KR100927341B1 (ko) 노후관로의 스케일 제거장치
KR101020651B1 (ko) 관로 내부의 스케일 제거공법
KR20090111981A (ko) 관로 내부의 고착물 제거장치
KR101913373B1 (ko) 관로의 스케일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세척공법
KR101236932B1 (ko) 관로 내벽 스케일 및 라이닝 제거장치
KR102033738B1 (ko) 수도관 세척장치
KR101329309B1 (ko) 관로 내벽 스케일 및 아스팔트 콜타르 에나멜 제거공법 및 그 장치
KR102274686B1 (ko) 브러쉬를 이용한 관로용 세척장치
KR102149366B1 (ko) 관로 내벽 스케일 제거장치
KR100815834B1 (ko) 무동력 자전을 이용한 센터링 디바이스
JP2013212465A (ja) 回転自走式管内洗浄機
CN106475375A (zh) 一种管道内壁清洗器
KR100790528B1 (ko) 회전드럼을 이용한 상하수도관 세척장치 및 세척공법
US4272108A (en) Swivel for high-pressure conduit-cleaning assembly
KR100837150B1 (ko) 관로 내부의 고착물 제거장치
KR100882776B1 (ko) 관로 내부의 고착물 제거장치
KR200411714Y1 (ko) 무동력 자전을 이용한 관로의 건조 및 준설장치
KR101334807B1 (ko) 배관스케일 제거기
KR101921080B1 (ko) 파이프의 크리닝 및 표면처리장치
KR101641783B1 (ko) 분사노즐을 이용한 관 세척장치
CN213508865U (zh) 一种城市地下管道检测、修复及疏通机器
KR20110045472A (ko) 관로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