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847B1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847B1
KR100781847B1 KR1020070074413A KR20070074413A KR100781847B1 KR 100781847 B1 KR100781847 B1 KR 100781847B1 KR 1020070074413 A KR1020070074413 A KR 1020070074413A KR 20070074413 A KR20070074413 A KR 20070074413A KR 100781847 B1 KR100781847 B1 KR 100781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st
wind direction
movable panel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8843A (ko
Inventor
스스무 하마다
요시까즈 모떼기
쯔또무 이모또
아쯔시 오오쯔까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78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6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by electric means, e.g. ionisers or electrostatic 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방 안에 있는 사람의 쾌적성을 저해시키지 않고 실내의 더스트를 효율적으로 포집하여 더스트의 농도를 단시간에 감소시키는 것이다.
공기 조화기(1)는 상부에 공기 흡입구(27)를 갖는 동시에 하부에 공기 취출구(29)를 갖고, 공기 흡입구(27) 중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도록 가동 패널(251)을 설치하고, 공기 취출구(29)에 상하 풍향판(291)을 설치하고, 송풍 팬(311)의 흡입측에 실내 열교환기(33)를 설치하고, 공기 흡입구(27)와 실내 열교환기(33) 사이에 전기 집진 공청 유닛(40)을 설치하고 있다. 이 공기 조화기(1)는 냉방 운전 시 또는 난방 운전 시에 가동 패널(251)을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공기 청정 운전 시에 가동 패널(251)을 폐쇄하여 전기 집진 공청 유닛(40)을 운전하고, 상하 풍향판(291)이 수평보다 상향 또는 최대한의 상향 각도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공기 조화기, 상하 풍향판, 실내 열교환기, 가동 패널, 전기 집진 공청 유닛

Description

공기 조화기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 집진(集塵) 공청 유닛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적합한 것이다.
최근, 삼나무 꽃가루의 대량 비산에 수반하여 꽃가루증(pollenosis)에 걸리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꽃가루증은 꽃가루를 알러겐(allergen)으로 한 알러지(allergy) 반응에 의해 일어나고, 재채기, 콧물, 눈의 가려움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꽃가루증의 알러겐으로서는, 첫째로 삼나무 꽃가루를 들 수 있지만, 이것 외에도 삼나무 꽃가루와 성상이 유사한 전나무의 꽃가루도 거론되고 있고, 꽃가루가 비산하는 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꽃가루증의 요주의 기간이 길어지고 있다.
또한, 꽃가루 이외에도 실내에는 생활에 수반하는 하우스 더스트, 담배의 연기, 실내에서의 애완 동물의 사육이나 냉난방 기기의 보급에 수반하는 실내 환경의 연중 쾌적화에 의해 진드기의 번식이 진행됨으로써 유해 미세 동물의 증가 등으로 실내의 공기가 오염되고, 이들도 알러겐의 하나로서 천식의 발작을 일으키거나, 다른 알러지 반응의 발작을 조장하기도 한다.
또한, 실내에서 발생하는 더스트 이외에도, 예를 들어 황사, 강풍에 의한 모 래 먼지, 분화(eruption) 등에 의한 화산재, 자동차의 배기 가스, 공장 배기 가스, 배기 연기 등 이들 실외에서 발생한 더스트가 자연 환기, 인위적 환기, 기계적 환기, 또는 사람의 의복으로의 부착 등에 의해 실내로 들어가 실내의 사람을 불쾌하게 하는 동시에, 다른 알러지 반응의 발작도 조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실내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종래, 실내 공기를 필요할 때에 빠르게 청정으로 하는 다양한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종래 기술로서, 일본 특허 공개 제2002-61916호 공보(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5-93562호 공보(특허문헌 2)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의 공기 조화기는 본체의 전방면 상부 및 상면에 흡입구를 마련하고, 전방면 하부에 취출구를 마련하고, 상기 흡입구와 상기 취출구를 연결하는 공기 통로에 열교환기와 송풍 팬을 설치하고, 상기 흡입구에 상기 흡입구를 각각 개폐하는 복수의 흡입 루버를 설치하고, 상기 흡입 루버에 구동 장치를 연계하고, 상기 흡입구와 상기 취출구를 연결하는 공기 통로에 열교환기와 송풍 팬을 설치하고, 상기 전방면 상부의 흡입구의 하류측에 전기 집진기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상면의 흡입구의 하류측에 탈취 필터를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냉방 및 난방 운전 시에 상기 전기 집진기 및 상기 탈취 필터를 통풍시킬 때, 상기 구동 장치를 연계한 상기 흡입 루버에 의해 상기 전방면 상부 및 상면의 흡입구를 각각 개방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전기 집진 우선의 운전을 행할 때, 상기 구동 장치를 연계한 상기 흡입 루버에 의해 상기 전방면 상부의 흡입구를 개방하는 한편, 상기 상면의 흡입구를 폐색하도록 하고 있다. 또는, 탈취 우 선의 운전을 행할 때, 상기 구동 장치를 연계한 상기 흡입 루버에 의해 상기 전방면 상부의 흡입구를 폐색하는 한편, 상기 상면의 흡입구를 개방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공기 청정기는 인체 감지 센서가 사람의 존재를 검지했을 때에, 그 검지한 방향으로는 바람이 가지 않도록 루버 제어 모터로 루버를 제어하는 공기 청정기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6191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5-93562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공기 조화기에서는 전기 집진 운전 시에 취출구의 상하 풍향판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에 대해서는 배려되어 있지 않다. 즉, 전기 집진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방 안에 있는 사람의 쾌적성을 저해하지 않고 방 안에 부유하는 꽃가루 등의 더스트를 방 전체로부터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제거하는 것, 자연 환기에 의해 방 안으로 진입하는 꽃가루 등의 더스트가 바닥면에 침강하기 전에 제거하는 것이 요구되지만, 특허문헌 1에는 이들에 적절하게 대처하도록 상하 풍향판을 제어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방에 사람이 없는 경우에는 바닥면에 침강한 꽃가루 등의 더스트를 위로 날려 적극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요구되지만, 특허문헌 1에는 이에 적절하게 대처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특허문헌 2의 공기 청정기에서는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이 있는 방향으로는 바람이 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지만, 집진 능력의 상승이나, 바닥면에 침강한 꽃가루의 제거나, 자연 환기에 의한 실외로부터의 꽃가루의 침입에 대한 언급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 안에 있는 사람의 쾌적성을 저해하지 않고, 실내의 더스트를 효율적으로 포집하여 더스트의 농도를 단시간에 감소시킬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 안에 있는 사람의 쾌적성을 저해하지 않고, 방에 사람이 없는 경우에는 바닥면에 침강한 꽃가루 등의 더스트를 적극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형태는 상부에 공기 흡입구를 갖는 동시에 하부에 공기 취출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공기 흡입구 중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가동 패널과, 상기 공기 취출구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하 풍향판과, 실내 공기를 상기 공기 흡입구로부터 흡입하여 상기 취출구로부터 취출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송풍 팬과, 상기 송풍 팬을 구동하는 송풍 모터와, 상기 송풍 팬의 흡입측에 설치된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 사이에 설치된 전기 집진 공청 유닛을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이며, 냉방 운전 시 또는 난방 운전 시에 상기 가동 패널을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공기 청정 운전 시에 상기 가동 패널을 폐쇄하여 전기 집진 공청 유닛을 운전하고, 상기 상하 풍향판이 수평보다 상향 또는 최대한의 상향 각도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있어서의 보다 바람직한 구체적 구성예는 다음과 같다.
(1) 상기 공기 흡입구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면에 마련된 전방면 흡입구와,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마련된 상면 흡입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 패널은 상기 전방면 흡입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는 상기 송풍 팬의 상방 및 전방을 둘러싸도록 역V자형으로 설치되고, 상기 전기 집진 공청 유닛은 유전체 필터를 갖는 동시에, 상기 가동 패널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상면 흡입구에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 상부에 비스듬히 설치되어 있는 것.
(2) 외기의 흡입이 가능한 환기 장치와, 그 외기의 흡입 경로에 설치한 공청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공기 청정 운전 시에 상기 가동 패널을 폐쇄하여 전기 집진 공청 유닛을 운전하고, 상기 상하 풍향판이 수평보다 상향 또는 최대한의 상향 각도가 되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환기 장치에 의한 급기도 행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
(3) 공기 중에 부유하는 더스트를 식별할 수 있는 더스트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공기 청정 운전 시에 상기 더스트 센서가 특정 그룹의 더스트를 검지한 경우, 상기 가동 패널을 폐쇄하여 전기 집진 공청 유닛을 운전하고, 상기 상하 풍향판이 수평보다 상향 또는 최대한의 상향 각도가 되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환기 장치에 의한 급기도 행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
(4) 실내 공기의 배출이 가능한 환기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공기 청정 운전 시에 상기 가동 패널을 폐쇄하여 전기 집진 공청 유닛을 운전하고, 상기 상하 풍향판이 수평보다 상향 또는 최대한의 상향 각도가 되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환기 장치에 의한 배기도 행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
(5) 실내의 사람의 존재를 검출하는 인체 검지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공기 청정 운전 시에 상기 인체 검지 센서의 검지로 사람이 검지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가동 패널을 폐쇄하여 전기 집진 공청 유닛을 운전하고, 상기 상하 풍 향판이 수평보다 상향 또는 최대한의 상향 각도가 되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환기 장치에 의한 급기도 행하도록 제어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제2 형태는 상부에 공기 흡입구를 갖는 동시에 하부에 공기 취출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공기 흡입구 중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가동 패널과, 상기 공기 취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하 풍향판과, 상기 공기 흡입구로부터 실내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취출구로부터 실내로 취출하도록 설치한 송풍 팬과, 상기 송풍 팬의 흡입측에 설치된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열교환기 사이에 설치된 전기 집진 공청 유닛과, 실내의 사람의 존재를 검출하는 인체 검지 센서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이며, 냉방 운전 시 또는 난방 운전 시에 상기 가동 패널을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공기 청정 운전 시에 상기 가동 패널을 폐쇄하여 전기 집진 공청 유닛을 운전하고, 상기 인체 검지 센서의 검지로 사람이 검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상하 풍향판이 하향 또는 요동이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있어서의 보다 바람직한 구체적 구성예는 다음과 같다.
(1) 상기 제어 장치는 공기 청정 운전 시에 상기 가동 패널을 폐쇄하고, 상기 인체 검지 센서의 검지로 사람이 검지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상하 풍향판을 하향 또는 요동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송풍 모터의 회전수를 최대로 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
(2) 상기 취출구에 좌우로 회전 가능한 좌우 풍향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공기 청정 운전 시에 상기 가동 패널을 폐쇄하고, 상기 인체 검지 센서의 검지로 사람이 검지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좌우 풍향판이 요동이 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공기 조화기에 따르면, 방 안에 있는 사람의 쾌적성을 저해하지 않고, 방 안에 부유하는 꽃가루 등의 더스트를 방 전체로부터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동시에, 방 안에 자연 환기에 의해 진입하는 꽃가루 등의 더스트를 바닥면에 침강하기 전에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공기 조화기에 따르면, 방 안에 있는 사람의 쾌적성을 저해하지 않고, 방에 사람이 없는 경우에는 바닥면에 침강한 꽃가루 등의 더스트를 적극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의 일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공기 조화기의 전체 구성을, 도1 내지 도4의 (a), (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도1의 실내기의 화장 패널을 제거한 내부 구성 설명도, 도3은 도2의 A-A 단면도, 도4의 (a), (b)는 도1의 실내기의 가동 패널의 개폐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공기 조화기(1)는 실내기(2)와 실외기(6)를 접속 배관(8)으로 연결하여 실내 를 공기 조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내기(2)는 상부에 공기 흡입구(27)를 갖는 동시에 하부에 공기 취출구(29)를 갖는 하우징(21)과, 공기 흡입구(27) 중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가동 패널(251)과, 공기 취출구(29)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하 풍향판(291)과, 공기 취출구(29)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좌우 풍향판(292)과, 실내 공기를 공기 흡입구(27)로부터 흡입하고 취출구로부터 취출하도록 하우징(21) 내에 설치된 송풍 장치(31)와, 송풍 장치(31)를 구동하는 송풍 모터(313)와, 송풍 장치(31)의 흡입측에 설치된 실내 열교환기(33)와, 공기 흡입구(27)와 실내 열교환기(33) 사이에 설치된 전기 집진 공청 유닛(40)을 구비한다.
실내기(2)는 하우징(21)에 실내 열교환기(33), 송풍 팬(311), 이슬 받이 접시(35) 등을 설치하여 화장 프레임(23)으로 덮고, 화장 프레임(23)의 전방면에 전방면 패널(25)을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화장 프레임(23)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구(27)와, 온도, 습도가 조화된 공기를 취출하는 공기 취출구(29)가 상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전방면 패널(25)의 중앙 하부에는 운전 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부(397)와, 별개의 부재의 리모트 컨트롤(5)로부터의 적외선의 조작 신호를 받는 수광부(396)가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21)에는 송풍 팬(311), 필터(231), 실내 열교환기(33), 이슬 받이 접시(35), 상하 풍향판(291), 좌우 풍향판(295) 등의 기본적인 내부 구조체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21)의 내측에 설치된 송풍 팬(311) 등의 기본적인 내부 구조체는 화장 프레임(23)을 설치함으로써 실내기(2) 내에 포함된다. 화장 프레임(23)은 상부 양측에 설치 리브를 형성하고, 상기 설치 리브를 하우징(21)의 전방부에 긁고, 하부를 나사 등에 의해 하우징(21)에 설치한다.
화장 프레임(23)의 하면에 형성되는 공기 취출구(29)는 전방면 패널(25)과의 분할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내측의 취출 풍로(290)에 연통하고 있다. 상하 풍향판(291)은 폐쇄 상태에서 취출 풍로(290)를 거의 은폐하고, 실내기(2)의 바닥면에 연속한 큰 곡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하 풍향판(291)은 양단부에 설치한 회전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리모트 컨트롤(5)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에 의해 공기 조화기의 운전 시에 소요의 각도 회전하여 공기 취출구(29)를 개방하여 그 상태를 유지한다.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정지 시에는 공기 취출구(29)를 폐쇄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좌우 풍향판(295)은 하단부에 설치한 회전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리모트 컨트롤(5)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회전하여 그 상태를 유지하고, 취출 공기를 좌우의 원하는 방향으로 취출시킨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5)로부터 지시함으로써, 공기 조화기의 운전 중에 상하 풍향판(291), 좌우 풍향판(295)을 주기적으로 요동시켜 실내의 광범위에 주기적으로 취출하여 공기를 송출할 수도 있다.
또한, 전방면 패널(25)에 설치된 가동 패널(251)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를 회전시킴으로써, 하단부에 설치한 회전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공기 조화기의 운전 시에 전방측 공기 흡입부(230b)를 개방하여 전방측 공 기 흡입부(230b)로부터도 실내 공기를 실내기 내로 흡입하고, 공기 조화기의 정지 시에는 전방측 공기 흡입부(230b)를 폐쇄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관한 실내기(2)에 따르면, 정지 시에는 공기 취출 풍로(290)와 전방측 공기 흡입부(230b)를 상하 풍향판(291)과 가동 패널(251)로 은폐하여 인테리어에 조화시키고 있다. 운전 시에는 상하 풍향판(291), 좌우 풍향판(295)을 리모트 컨트롤(5)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회전시킨다. 이와 동시에, 가동 패널(251)을 개방하여 전방측 공기 흡입부(230b) 및 상측 공기 흡입부(230a)로부터 실내 공기를 흡입한다. 흡입한 실내 공기를 내부의 실내 열교환기(33)로부터 냉풍 또는 온풍으로 하여 상기 공기 취출구(29)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이 공기 조화기(1)를 운전할 때에는 전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하고 리모트 컨트롤(5)을 조작하여 원하는 난방, 제습, 냉방 등의 운전을 행한다.
냉방 등의 운전의 경우를 도3, 도4의 (a), (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냉방 등의 운전의 경우, 송풍기(31)의 전방의 부분의 실내 열교환기(33)에 실내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해, 도3과 같이 전방면 패널(25)의 일부를 구성하는 가동 패널(251)을 회전시켜 개방한다. 상측 공기 흡입부(230a) 및 개방한 가동 패널(251)의 내측의 화장 프레임(23)의 전방측 공기 흡입부(230b)를 통과시켜 실내 열교환기(33)에 실내 공기를 유통시킨다.
실내기(2)는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전장품 박스에 제어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기판에 마이크로 컴퓨터가 설치된다.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는 도시하지 않은 실내 온도 센서, 실내 습도 센서 등의 각종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리모트 컨트롤(5)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수광부(396)에서 받는 동시에, 실내 송풍기(31), 가동 패널 구동 모터, 상하 풍향판 구동 모터, 좌우 풍향판 구동 모터 등을 제어하고, 또한 실외기와의 통신을 담당하는 등 실내기(2)를 총괄하여 제어한다.
실내기(2)는 운전 정지 상태에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패널(251) 및 상하 풍향판(291)이 폐쇄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리모트 컨트롤(5)로부터 운전 조작의 신호가 이루어지면,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로 컴퓨터는 리모트 컨트롤(5)로부터의 조작 신호 또는 자동 운전이 설정되어 있으면 각종 센서로부터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냉방, 또는 난방 등의 운전 모드를 결정한다. 상기 결정을 기초로 하여 가동 패널(251) 및 상하 풍향판(291)을 동작시켜 기류의 통로를 개방 상태로 한다. 이때, 공기 흡입구(230b)가 개방되지만 실내로부터의 시선은 가동 패널(251)로 차단되어 실내기(2)의 내부까지는 닿지 않아, 인테리어의 분위기를 무너뜨리지 않는다.
즉, 마이크로 컴퓨터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를 동작시켜 상하 풍향판(291), 좌우 풍향판(295)을 리모트 컨트롤(5)로부터의 지시에 대응한 취출 각도까지 회전한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는 상기 상하 풍향판(291)의 동작에 연동하여 가동 패널(251)을 개방하는 가동 패널 구동 모터를 동작시킨다.
다음에, 마이크로 컴퓨터는 실내 송풍기(31)를 회전시켜 상측 및 전방측의 공기 흡입부(230a, 230b)로부터 실내 공기를 흡입한다. 흡입한 실내 공기를 실내 열교환기(33)에서 온풍 또는 냉풍 혹은 열교환하지 않고 상하 풍향판(291), 좌우 풍향판(295)을 따라서 공기 취출구(29)로부터 취출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운전을 정지할 때에는 실내 송풍기(31)를 정지한 후에 가동 패널(251)의 구동 모터 및 상하 풍향판(291)의 구동 모터를 역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개방의 상태로부터 폐쇄의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제어한다.
필터(231)는 실내 열교환기(33)의 흡입측을 덮도록 배치되어, 흡입된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되는 진애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송풍 팬(311)은 가로로 긴 관류 팬으로 구성되어, 실내 공기를 공기 흡입구(27)로부터 흡입하고 공기 취출구(29)로부터 취출하도록 실내기(2) 내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실내 열교환기(33)는 송풍 팬(311)의 흡입측에 배치되어, 송풍 팬(311)의 상방 및 전방을 둘러싸도록 대략 역V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슬 받이 접시(35)는 실내 열교환기(33)의 전후 양측의 하단부 하방에 배치되어, 냉방 운전 시나 제습 운전 시에 실내 열교환기(33)에 발생하는 응축수를 받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받아서 모인 응축수는 드레인 배관(37)을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이에 의해, 공조되는 실내 공기를 흐르게 하는 메인 풍로가 형성된다. 즉, 송풍 팬(311)을 운전함으로써 실내 공기는 공기 흡입구(27)로부터 흡입되어 필터(231)를 거쳐서 실내 열교환기(33)에서 열교환된 후, 공기 취출구(29)로부터 실내로 취출된다.
환기 장치(32)는 실내기(2) 내의 일측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환기 장치(32)는 송풍 팬(311)용 송풍 모터(313)와 반대측부에 조립되어 있다. 환기 장치(32)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환기 장치 흡입구(325)를 상부에 갖고 있다. 이 환기 장치 흡입구(325)는 필터(231)의 하류측에 위치하고, 상측 공기 흡입부(230a)로부터 흡입된 실내 공기가 필터(231)를 거쳐서 흡입된다.
환기 장치(32)는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동시에 신선한 실외 공기를 취입하는 환기 장치 급배기구(327)를 후방부에 갖고 있다. 그리고, 환기 장치 급배기구(327)에는 환기 풍로(39)가 접속되고, 이 환기 풍로(39)가 실내기(2)와 실외기(6)를 접속하는 접속 배관(8)과 함께 가옥의 배관 구멍을 관통하여 실외로 인출되고, 환기 풍로(39)의 선단부가 외기로 개방되고, 접속 배관(8)은 실외기(6)에 접속된다.
환기 장치(32)에는 급기 운전 및 배기 운전의 2종류의 운전 모드와 운전 정지의 상태가 있다.
또한, 특히 설명하지 않지만, 각각의 운전 모드의 절환은 리모트 컨트롤의 조작부에서 행하거나, 실내기(2)의 조작부에서 행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주위의 환경 조건이나 공기 조화기의 운전 경과 등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운전 모드의 절환을 행할 수도 있다.
환기 장치(32)의 운전은 실내기(2)의 냉난방 운전과 병용하여 운전할 수도 있으면, 환기 장치(32) 단독으로 운전할 수도 있다. 또한, 환기 장치(32)에 타이머를 설치하여 일정 시간 운전한 후, 자동적으로 운전을 정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환기 장치(32)는 도시하지 않은 절환 댐퍼를 조작함으로써 환기 장치 흡입구(325)로부터 흡입한 실내 공기를 환기 장치 급배기구(327)로 토출하여 외기로 배 기하는 배기 운전과, 환기 장치 급배기구(327)로부터 흡입한 실외 공기를 환기 장치 취출구(326)로 토출하여 실내로 취출하여 급기하는 급기 운전을 절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입 절환 댐퍼(329-1), 취출 절환 댐퍼(329-2)를 조작하여 환기 장치(32)의 운전 모드를 급기 운전 또는 배기 운전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절환하고 있다.
즉, 급기 운전에서는 흡입 절환 댐퍼가 제2 측에 있어서 환기 장치 흡입구를 차단하여 급기 흡입 풍로를 개방하므로, 급기 흡입 풍로를 통해 실외 공기가 흡입된다. 이때, 취출 절환 댐퍼는 제1 측에 있어서 급기 취출 풍로가 개방되어 배기 취출 풍로를 차단하므로, 환기 팬 취출구로 취출된 실외 공기는 급기 취출 풍로로 송풍된다.
송풍된 실외 공기는 환기 장치 취출구(326)로부터 실내기 내로 취출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환기 팬(321)에 의해 흡입되는 실외 공기는 환기 장치 급배기구(327)로부터 흡입되고, 급기 운전의 경우, 흡입된 외기는 급기 경로에 설치된 급기 프리 필터와 급기 공청 필터를 통해 실내로 취출된다. 우선, 급기 프리 필터의 표면에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진애를 제거한 후에 입경 10 ㎛ 이상의 진애를 99.9 %에 가까운 고효율로 포집할 수 있고, 또한 탈취 기능도 갖는 급기 공청 필터를 통과함으로써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소한 진애와 악취가 제거되고, 청정화되어 실내로 취출된다.
전기 집진 공청 유닛(40)은 실내기(2)의 기기 내를 흐르는 공기의 흐름 중에 서 프리 필터(231)와 실내 열교환기(33) 사이에 가동 패널(1)이 폐쇄된 상태에서도 상측 공기 흡입부(230a)와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프레임체 내에 침형의 방전 전극, 띠형의 방전 대향 전극, 허니컴형의 격자를 가진 유전체 필터, 메쉬형의 접지 전극, 탈취 필터를 내장하고 있다.
유전체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필터에 유지할 수 있는 진애의 양이 증가하고, 또한 필터를 청소할 때에는 물세정을 함으로써 대전이 제거되어 간단하게 진애를 이탈 분리시킬 수 있다.
더스트 센서(158)는 실내의 더스트를 검지하여 그 농도의 정보를 공기 조화기(1)의 제어부에 출력한다. 인체 검지 센서(159)는 재실자의 유무를 재실자가 발하는 적외선, 재실자의 움직임, 음성 등에 기인하는 정보를 제어부로 전하고, 제어부에서는 이들 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해석하여 재실자의 유무를 판정한다. 또한, 인체 검지 센서(159)에 의한 공기 조화기(1)의 제어가 부적절해지는 경우도 고려되므로, 인체 검지 센서(159)를 유효로 할지, 무효로 할지를 리모트 컨트롤(5)로부터 지시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에, 이 더스트 센서(158)를 사용한 공기 조화기(1)의 더스트 제거 운전 동작에 대해 도5, 도6, 도7 내지 도9, 도10 내지 도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5, 도6은 리모트 컨트롤 기능의 설명도이다. 도7 내지 도9는 에어컨 운전 제어 주요부 흐름도이다. 도10 내지 도12는 더스트 제거 운전 제어 주요부 흐름도이다.
예를 들어, 공기 조화기(1)를 설치한 실내에서 거주자가 꽃가루의 기색을 느껴 꽃가루 제거의 필요성을 인정한 경우, 리모트 컨트롤(5)을 실내기(2)로 향하게 하고 꽃가루 버튼(53j)을 누른다. 또는, 꽃가루가 날리는 시기가 되면 리모트 컨트롤(5)로부터 꽃가루 감시 기능의 설정을 감시 선택 버튼(55k)에 의해 실내기(2)에 지시한다.
또한, 이 꽃가루 감시 기능의 설정은 1시즌 1회의 조작이 되므로, 실내기 본체의 적소에 설치해도 사용자의 편리성은 그다지 손상되지 않고, 리모트 컨트롤(5)의 조작이 간편화된다. 이 경우, 이 꽃가루 감시 기능의 해제는 시즌 오프까지 필요없고, 90일 이상의 자동 해제 방식으로 하여, 예를 들어 2월 말에 꽃가루 감시 기능을 설정하면 6월 초에 자동 해제되도록 해도 좋다.
실내기(2)의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는 소정의 시기에 리모트 컨트롤(5)로부터의 신호의 유무를 단계 15(이하 S15와 같이 단계를 S라 함)에서 감시하고 있고, 신호가 있는 경우에는, S20으로 진행하여 리모트 컨트롤(5)로부터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S25로 진행한다. S25에서 판독한 데이터에 공기 조화기(1)의 정지 지시 신호가 있는 경우에는 S50으로 진행하여 각종 플래그를 오프하고, S60에서 공기 조화기(1)의 정지 처리를 행하고, 리모트 컨트롤(5)로부터의 신호를 감시하기 위해 S15로 복귀된다. 이 경우, 꽃가루 감시 플래그와 오염 감시 플래그와 인체 센서 무효 지시 플래그는 오프하지 않고 직전의 설정대로 유지한다.
S25에서 정지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S30으로 진행하여 리모트 컨트롤(5)로부터의 지시 신호에 따라서 각종 지시 플래그를 온 또는 오프로 설정하고, S40으로 진행하여 실내외 온도, 습도 등의 각종 센서로부터의 데이터를 판독한다. S15에서 리모트 컨트롤(5)로부터의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직전의 운전을 계속하기 위해 직 접 S40으로 진행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센서로부터의 데이터를 판독한다. S30에서의 각종 지시 플래그의 설정 및 S40에서 판독한 데이터를 공기 조화기 운전 제어의 기초 데이터로 하여 기호 (A)를 거쳐서 S100(도15 참조)으로 진행하여 이후의 제어를 행한다.
이 경우, 리모트 컨트롤(5)로는 각종 운전을 선택하여 지시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 공기 조화기(1)의 구성상 택일할 수밖에 없는 것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꽃가루 감시와 오염 감시는 동일한 환기 장치의 제어가 포함되므로, 어느 한쪽의 지시만 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자동 운전 지시, 난방 운전 지시, 제습 운전 지시, 냉방 운전 지시, 쾌적 운전 지시도 동일한 냉동 사이클의 제어이므로, 이 중 어느 하나의 지시만 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급기 운전 지시, 배기 운전 지시도 동일한 환기 장치의 제어이므로, 어느 하나의 지시만 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풍속 자동 지시, 풍속 강 지시, 풍속 약 지시, 풍속 미 지시, 풍속 정 지시도 동일한 송풍기의 제어이므로, 이 중 어느 하나의 지시만 할 수 있다.
S100에서 리모트 컨트롤(5)로부터의 운전 지시가 자동 운전인 경우에는 S30에서 자동 운전 지시 플래그가 온으로 되어 있으므로, S100에서 이를 판정하여 S105로 진행한다. S105에서 실내외의 온도, 습도 조건에 따라서 공기 조화기(1)의 운전 종별을 선정하고, S115에서 선정 종별이 난방인 경우에는 S145로 진행한다. S145에서 난방 운전 제어를 행하고, S145의 난방 운전 제어에 의해 연산된 풍속을 S150에서 풍속 플래그로 설정하여 S245로 진행하고, 가동 패널 플래그를 개방으로 설정하여 S250, S255에서 상하 풍향판(291), 좌우 풍향판(295)을 리모트 컨트롤로 부터의 상하 풍향판 지시 플래그, 좌우 풍향판 지시 플래그를 따라서 정지 또는 요동시켜 S275로 진행한다.
S115에서 선정 종별이 난방이 아닌 경우에는 S120으로 진행하고, 선정 종별이 제습인 경우에는 S175로 진행한다. S175에서 제습 운전 제어를 행하고, S175의 제습 운전 제어에 의해 연산된 풍속을 S180에서 풍속 플래그로 설정하여 S245로 진행하고, 전술한 바와 동일한 제어를 S250, S255에서 행하여 S275로 진행한다.
S120에서 선정 종별이 제습이 아닌 경우에는 S125로 진행하고, 선정 종별이 냉방인 경우에는 S205로 진행한다. S205에서 냉방 운전 제어를 행하고, S205의 냉방 운전 제어에 의해 연산된 풍속을 S210에서 풍속 플래그로 설정하여 S245로 진행하고, 전술한 바와 동일한 제어를 S250, S255에서 행하여 S275로 진행한다.
S125에서 선정 종별이 냉방이 아닌 경우에는 기호 (D)를 거쳐서 S260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리모트 컨트롤(5)로부터의 지시가 공기 청정 운전도 지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S30에서 공기 청정 운전 지시 플래그가 온으로 되어 있으므로, S260에서 이를 판정하여 S265로 진행한다. S265에서 공기 청정 운전 제어를 행하고, S265의 공기 청정 운전 제어에 의해 연산된 풍속을 S270에서 풍속 플래그로 설정하여 S272로 진행하고, 가동 패널 플래그를 폐에 설정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한 제어를 S250, S255에서 행하여 S275로 진행한다.
S260에서 공기 청정 운전 지시 플래그가 오프로 판정된 경우에는 S280으로 진행하고, 풍속 플래그를 정지로 설정하여 S281로 진행하고, 가동 패널 플래그를 폐쇄로 설정하여 S282, S283에서 상하 풍향판, 좌우 풍향판을 정지하고, S285로 진행하여 후술하는 사이클 공청 운전 플래그를 오프로 설정하여 기호 (C)를 거쳐서 S330으로 진행한다.
다음에, S100으로 복귀되어 리모트 컨트롤(5)로부터의 지시가 자동 운전 이 외인 경우에 대해 서술한다. 리모트 컨트롤(5)로부터의 지시가 난방 운전인 경우에는 S30에서 난방 운전 지시 플래그가 온으로 되어 있으므로, S140에서 이를 판정하여 S145로 진행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하여 S275로 진행한다.
리모트 컨트롤(5)로부터의 지시가 제습 운전, 냉방 운전, 쾌적 운전인 경우도 마찬가지로 S170, S200, S230에서 이를 판정하고, S175, S205, S235로 진행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하여 S275로 진행한다.
여기서, 쾌적 운전은 냉방 운전과 제습 운전을 조합한 운전이고, 실내 온도와 실외 온도로부터 설정 온도를 자동적으로 설정하여 하절기에 있어서의 조작의 간편성과 쾌적성의 유지를 목적으로 한 운전이다.
다음에, 리모트 컨트롤(5)로부터의 지시가 냉동 사이클의 운전을 수반하지 않은 공기 청정 운전을 지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S30에서 공기 청정 운전 지시 플래그가 온, 자동 운전 지시, 난방 운전 지시, 제습 운전 지시, 냉방 운전 지시, 쾌적 운전 지시의 각 플래그가 오프로 되어 있다. S100, S140, S170, S200, S230, S260에서 이것을 판정하여 S265로 진행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S270, S272, S250, S255를 경유하여 S275로 진행한다.
S275에서 냉동 사이클 운전의 제어 또는 공기 청정 운전의 제어가 행해지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사이클 공청 운전 플래그를 온으로 설정하여 기호 (B)를 거쳐서 S300으로 진행한다.
리모트 컨트롤(5)로부터의 지시가 냉동 사이클의 운전을 수반하는 공기 청정 운전을 지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S145, S175, S205, S235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통해 S275에 도달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S265를 통과하지 않으므로, 리모트 컨트롤(5)로부터 지시된 공기 청정 운전이 행해지고 있지 않다. 이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S300, S305에서 S260, S265와 동일한 제어를 행하여 S330으로 진행한다. 이 경우 풍속 플래그는 이미 S150, S180, S210, S240에서 설정되어 있으므로, 재설정할 필요는 없다. S300에서 공기 청정 운전 지시 플래그가 오프로 판정된 경우에는 직접 S330으로 진행한다.
다음에, 리모트 컨트롤(5)로부터의 지시에 급기 운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S30에서 급기 운전 지시 플래그가 온으로 되어 있으므로, S330에서 이를 판정하고, S335으로 진행하여 급기 운전 제어를 행하고, S340에서 급기 운전 플래그를 온, S345에서 배기 운전 플래그를 오프하여 S390으로 진행한다.
리모트 컨트롤(5)로부터의 지시에 배기 운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S30에서 배기 운전 지시 플래그가 온, 급기 운전 지시 플래그가 오프로 되어 있으므로, S330, S360에서 이를 판정하고, S365로 진행하여 배기 운전 제어를 행하고, S370에서 배기 운전 플래그를 온, S375에서 급기 운전 플래그를 오프하여 S390으로 진행한다.
리모트 컨트롤(5)로부터의 지시에 급기 운전도, 배기 운전도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S30에서 급기 운전 지시 플래그, 배기 운전 지시 플래그가 모두 오프로 되어 있으므로, 이를 S330, S360에서 판정하고, S380으로 진행하여 S380에서 급기 운전 플래그를 오프, S385에서 배기 운전 플래그를 오프하여 S390으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전원 스위치는 온으로 되어 있지만, 냉동 사이클이 정지 중이고, 또한 더스트 제거 운전 시에 구동되는 전기 집진 공청 유닛, 송풍기, 환기 장치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를 공기 조화기의 정지 상태로 하고, 자동 운전의 운전 조건 불성립 상태나 온 타이머에 의한 운전 대기 상태도 포함하고 있다.
S390은 하위 프로그램의 더스트 제거 운전 제어이고, 다음에 설명하는 더스트 제거 운전 제어를 행한다. S390에서 더스트 제거 운전 제어를 행한 후, 제어는 기호 (E)를 거쳐서 S15로 복귀되어 리모트 컨트롤(5)로부터의 지시를 감시하는 동시에, 공기 조화기(1)의 운전을 제어하여 실내의 쾌적한 환경을 계속해서 유지한다.
다음에, 더스트 제거 운전에 대해 도10 내지 도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더스트 제거 운전은 리모트 컨트롤(5)로 꽃가루 감시 또는 오염 감시 기능이 설정되어 있고, 또한 실내 더스트의 농도가 높을 때, 혹은 리모트 컨트롤(5)로 꽃가루 버튼(53j)이 눌렸을 때에 행해진다. 리모트 컨트롤(5)로 꽃가루 버튼(53j)이 눌렸거나 꽃가루 감시 또는 오염 감시 기능이 설정되면 공기 조화기 운전 제어는 S30에서 꽃가루 버튼 플래그 또는/및 꽃가루 감시 플래그 혹은 오염 감시 플래그를 온으로 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단계를 통해 S390에서 하위 프로그램인 더스트 제 거 운전 제어로 진행한다. 이 결과, 하위 프로그램인 더스트 제거 운전 제어가 S400에서 개시된다.
우선, S405에서 꽃가루 버튼 플래그가 온인 경우에는 S525로 진행하여 더스트 센서(158)로부터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기호 (G)를 거쳐서 S530으로 진행한다.
S405에서 꽃가루 버튼 플러그가 오프인 경우에는 S410으로 진행하여 꽃가루 감시 플래그의 상태를 확인하고, 꽃가루 감시 플래그가 온인 경우에는 S430으로 진행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한 제어를 행한다.
S410에서 꽃가루 감시 플래그가 오프인 경우에는 S415로 진행하여 오염 감시 플래그의 상태를 확인하고, 오염 감시 플래그가 온인 경우에는 S430으로 진행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한 제어를 행한다.
S415에서 오염 감시 플래그가 오프인 경우에는 S418로 진행하여 풍속 플래그에 설정된 풍속으로 송풍기를 운전하고, S423으로 진행하여 가동 패널(251)을 가동 패널 플래그의 설정(S245, S272, S281)을 따라서 개폐하고, S425, S427에서 상하 풍향판(291), 좌우 풍향판(295)을 리모트 컨트롤(5)로 지시되는 상하 풍향 지시 플래그, 좌우 풍향 지시 플래그를 따라서 요동 또는 정지하여 S990에서 상위 프로그램으로 복귀된다.
S530에서 사이클 공청 운전 플래그의 설정(S275, S285)이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S540으로 진행하여 연산 풍속 플래그(FS0)를 현재의 풍속 플래그와 동일하게 설정하여 S550, S560에서 상하 풍향판(291), 좌우 풍향판(295)을 리모트 컨트롤(5)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구동하고, S640에서 가동 패널 플래그의 설정(S245, S272, S281)을 따라서 가동 패널(251)을 개방 또는, 폐쇄로 하여 기호 (K)를 거쳐서 S800으로 진행한다.
이는 더스트 제거 운전에서는, 송풍기(31)의 풍속은 사이클 운전, 공기 청정 운전에서 설정되는 풍속을 우선하여 사용하여, 실내 온도, 습도를 안정시켜 쾌적성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S530에서 사이클 공청 운전 플래그의 설정(S275, S285)이 온이 아닌 경우에는 S570으로 진행하고, 더스트 센서(158)로부터 취입한 데이터를 기초로 더스트 농도에 따라서 연산 풍속 플래그를 설정하여 S580으로 진행한다.
S30에서 인체 센서 무효 지시 플래그가 오프로 설정되어 있고, 인체 검지 센서(159)가 유효하게 되어 있을 때에 인체 검지 센서(159)가 재실자를 검지한 경우에는 S580에서 이를 판정하여 S590으로 진행하고, 상하 풍향판(291)을 수평 위치로 이동하여 그 위치에서 정지시키고, S560으로 진행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좌우 풍향판(295), 가동 패널(251)을 제어하여 기호 (K)를 거쳐서 S800으로 진행한다.
이에 의해,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1)로부터의 취출 기류가 대략 수평 방향으로 취출되므로 재실자의 두상을 통해 공기 조화기(1)로 순환하고, 재실자에게 직접 닿지 않으므로 재실자는 취출 기류에 의한 불쾌감을 느끼지 않는다.
S30에서 인체 센서 무효 지시 플래그가 온으로 설정되고, 인체 검지 센 서(159)가 무효로 되어 있거나, 또는 인체 검지 센서(159)가 유효로 되어 있어도, 재실자가 검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S600으로 진행하고, 상하 풍향판(291)을 하향의 위치로 이동하고 그 위치에서 정지시키고, S610에서 좌우 풍향판(295)을 요동시켜 S620으로 진행한다.
S620에서 연산 풍속 플래그가 정지 모드인 경우는 3570에서 더스트 농도가 더스트 제거 운전 개시의 농도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경우이므로, 연산 풍속 플래그는 정지 모드 그대로 S630으로 진행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가동 패널(251)을 제어하여 기호 (K)를 거쳐서 S800으로 진행한다.
S620에서 연산 풍속 플래그가 정지 모드 이외인 경우에는 S640으로 진행하고, 이 경우가 S570에서 더스트 농도가 더스트 제거 운전 개시의 농도 이상인 경우이므로 연산 풍속 플래그를 강 모드로 바꾸어 S630으로 진행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하여 기호 (K)를 거쳐서 S800으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재실자가 없을 때에는,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풍향판(291)을 하향으로 하고, 풍속을 강 모드로 운전하므로 더스트량이 많다는 바닥면 부근의 더스트를 강 모드의 취출 기류로 감아 올려 공기 조화기(1)에 순환시키고, 더스트를 포집하여 실내를 더스트가 보다 적은 상태로 청정화한다.
또한,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풍향판(295)을 요동시킴으로써 넓은 범위의 바닥면 근처의 더스트를 감아 올려 포집할 수 있다. 이때, 상하 풍향판(291)도 요동시키는 것도 좋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실내의 보다 넓은 범위의 더스트가 감아 올려져 공기 조화기(1)에 순환하여 포집되고, 실내의 청정화가 촉진된다.
가동 패널 플래그는 S245, S272, S281에서 설정되지만, 냉동 사이클의 운전 중에는, 가동 패널 플래그는 개방이고, 그 이외에서는 폐쇄로 설정된다. 이로 인해, 공기 청정 운전이나 환기 운전, 꽃가루 버튼, 꽃가루 감시, 오염 감시 운전 등의 경우에는, 가동 패널 플래그는 폐쇄가 되므로, 이들 운전의 경우에는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패널(251)은 폐쇄된다.
이에 의해, 전방측 공기 흡입부(230b)가 폐쇄되므로, 상측 공기 흡입부(230a)를 통과하는 실내 공기의 양이 증가하고, 상측 공기 흡입부(230a)에 대형하여 설치되어 있는 전기 집진 공청 유닛(40)을 통과하는 실내 공기도 증가한다. 이로 인해, 전기 집진 공청 유닛(40)에서 포집되는 더스트의 양도 증가하여, 보다 강력하게 실내의 더스트를 제거한다. 이상의 동작을 요약하면 도16의 표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되어 실내의 더스트를 효율적으로 포집하여 더스트의 농도를 단시간에 감소시켜 실내를 빠르게 더스트가 적은 상태로 유지하는 동시에, 취출 기류가 직접 재실자에게 닿지 않도록 제어하여 쾌적한 공조를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더스트 제거 운전 시의 환기 장치(32)와 전기 집진 공청 유닛(40)의 운전 제어에 대해 도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S800에서 연산 풍속 플래그(FS0)가 정지 모드인 경우에는 S807로 진행하여 급기 운전 지시 플래그 및 배기 운전 지시 플래그의 상태를 확인한다. S807에서 급기 운전 지시 플래그 또는 배기 운전 지시 플래그가 온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S812로 진행하여 전기 집진 공청 유닛(40)의 운전을 정지하고, S815로 진행하여 송풍기(31)를 정지하고, S820으로 진행하여 상하 풍향판(291), 좌우 풍향판(295)을 정지하고, S990으로 진행하여 상위 프로그램으로 복귀된다.
S807에서 급기 운전 지시 플래그 및 배기 운전 지시 플래그가 오프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S810으로 진행하여 환기 장치(32)를 정지하고, 또한 S812로 진행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한 제어를 행하고, S990으로 진행하여 상위 프로그램으로 복귀된다.
S800에서 연산 풍속 플래그(FS0)가 정지 모드 이외인 경우에는, S900으로 진행하여 송풍기(31)를 연산 풍속 플래그에 설정되어 있는 풍속으로 운전하여 S910으로 진행한다. S910에서 급기 운전 지시 플래그 또는 배기 운전 지시 플래그가 온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S980으로 진행하여 전기 집진 공청 유닛(40)을 운전하고, 실내의 더스트도 제거하여 실내를 청정한 상태로 빠르게 회복을 도모하고, S990으로 진행하여 상위 프로그램으로 복귀된다.
S910에서 급기 운전 지시 플래그 및 배기 운전 지시 플래그가 오프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S920으로 진행하여 꽃가루 버튼 플래그의 상태를 확인한다. S920에서 꽃가루 버튼 플래그가 온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S955로 진행하여 급기 운전을 행하여 신선한 외기를 흡인하고, 급기 통로에 설치된 고성능의 급기 공청 필터로 꽃가루 등의 더스트를 제거하여 실내에 공급한다. 또한, S980으로 진행하여 전기 집진 공청 유닛(40)을 운전하고, S990으로 진행하여 상위 프로그램으로 복귀된다.
S920에서 꽃가루 버튼이 오프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S950으로 진행하여 꽃가루 감시 플래그의 상태를 확인한다. S950에서 꽃가루 감시 플래그가 온인 경우에는 S955로 진행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하고, S990으로 진행하여 상위 프로그램 으로 복귀된다.
S950에서 꽃가루 감시 플래그가 오프인 경우에는 S970으로 진행하여 오염 감시 플래그의 상태를 확인한다. S970에서 오염 감시 플래그가 온인 경우에는 S975로 진행하여 배기 운전을 행하여 오염된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S980으로 진행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하고, S990으로 진행하여 상위 프로그램으로 복귀된다.
S970에서 오염 감시 플래그가 오프인 경우에는 S810으로 진행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하고, S990으로 진행하여 상위 프로그램으로 복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전방면 흡입구 및 상면 흡입구와, 상기 전방면 흡입구의 전방면에 상기 전방면 흡입구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개폐 가능한 가동 패널과, 상기 상면 흡입구에 대향하여 설치된 유전체 필터를 갖는 전기 집진 공청 유닛과, 상기 전방면 흡입구 및 상면 흡입구에 대향하여 일부가 상기 전기 집진 공청 유닛과 중설(重設)하여 설치된 실내 열교환기와, 하면으로부터 전방면 하부에 걸쳐서 설치된 공조 공기 취출구와, 상기 취출구에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회전 가능한 상하 풍향판과, 상기 공기 흡입구로부터의 공기를 프리 필터, 상기 전기 집진 공청 유닛, 상기 실내 열교환기를 관류(貫流)하여 상기 공기 취출구로 유동시키는 송풍 장치와, 상기 송풍 장치를 구동하는 송풍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 집진 공청 유닛을 운전하는 경우에 상기 가동 패널을 폐쇄하는 동시에, 상기 상하 풍향판을 수평보다 상향 또는 최대한의 상향 각도로 한다.
이에 의해, 실내의 제진 운전을 하는 경우에는 전기 집진 공청 유닛을 운전하여 더스트를 유전체 필터로 포집하여 제거한다. 이때, 가동 패널을 폐쇄하여 운전하므로 상측 흡입구로부터 전기 집진 공청 유닛부를 통과하는 실내 공기의 양이 증가하고, 그만큼 더스트의 단위 시간당의 포집량도 증가하여 실내의 더스트의 농도가 빠르게 저하된다. 또한, 상하 풍향판을 수평보다 상향으로 하므로 취출구로부터 취출한 공기가 직접 재실자에게 닿지 않아, 재실자가 기류를 불쾌하게 느끼지도 않는다. 또한, 실내의 하부 공간에 부착된 더스트를 기류로 감아 올리는 일이 적어져 실내 공기 중의 더스트의 농도가 급속하게 감소된다.
이로 인해, 실내의 더스트를 효율적으로 포집하여 더스트의 농도를 단시간에 감소시켜 실내를 더스트가 적은 상태로 하는 동시에, 취출 기류가 직접 재실자에게 닿지 않도록 제어하여 쾌적한 공조를 실현하는 공기 조화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외기의 흡입이 가능한 환기 장치와, 그 외기의 흡입 경로에 설치한 공청 필터와, 공기 중에 부유하는 더스트를 식별할 수 있는 더스트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더스트 센서가 특정 그룹의 더스트를 검지한 경우에 상기 전기 집진 공청 유닛의 운전과 상기 환기 장치의 급기 운전을 행한다.
이에 의해, 옥외에서 발생한 더스트가 대량으로 비산되어 자연 환기, 강제 환기에 상관없이 실내 공기에 필요해지는 환기에 의해 실내에도 다량의 옥외의 더스트가 침입하였을 때에 이를 더스트 센서로 검지한다. 더스트의 농도가 소정의 농도 이상이 되었을 때에 전기 집진 공청 유닛을 운전하여 더스트를 유전체 필터로 포집하여 제거한다. 이때, 가동 패널을 폐쇄하여 운전하므로 상측 흡입구로부터 전기 집진 공청 유닛부를 통과하는 실내 공기의 양이 증가하고, 그만큼 더스트의 단위 시간당의 포집량도 증가하여 실내의 더스트의 농도가 빠르게 저하된다. 또한, 상하 풍향판을 수평보다 상향으로 하므로 취출구로부터 취출한 공기가 직접 재실자에게 닿지 않아, 재실자가 기류를 불쾌하게 느끼지도 않는다. 또한, 실내의 하부 공간에 부착된 더스트를 기류로 감아 올리는 일이 적어져 실내 공기 중의 더스트의 농도가 급속하게 감소된다. 또한, 환기 장치를 급기 운전하여 외기를 도입하고, 외기의 흡입 경로에 설치한 공청 필터를 통과시킴으로써 포함되어 있는 옥외 더스트를 제거한다. 상기 환기 장치에서 옥외 더스트를 제거한 외기를 급기함으로써 가옥의 간극으로부터의 자연 환기가 억제되어 다량의 옥외 더스트를 포함한 외기가 실내로 침입해 오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옥외에 꽃가루 등의 더스트가 가득 차 있을 때에 환기하면서도 실내의 더스트를 효율적으로 포집하여 더스트의 농도를 단시간에 감소시켜 실내를 더스트가 적은 상태로 하는 동시에, 취출 기류가 직접 재실자에게 닿지 않도록 하여 쾌적한 공조를 실현하는 공기 조화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전방면 흡입구 및 상면 흡입구와, 상기 전방면 흡입구의 전방면에 상기 전방면 흡입구 중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개폐 가능한 가동 패널과, 상기 상면 흡입구에 대향하여 설치된 유전체 필터를 갖는 전기 집진 공청 유닛과, 상기 전방면 흡입구 및 상면 흡입구에 대향하여 일부가 상기 전기 집진 공청 유닛과 중설하여 설치된 실내 열교환기와, 하면으로부터 전방면 하부에 걸쳐서 설치된 공조 공기 취출구와, 상기 취출구에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회전 가능한 상하 풍향판과, 상기 공기 흡입구로부터의 공기를 프리 필터, 상기 전기 집진 공청 유닛, 상기 실내 열교환기를 관류하여 상기 공기 취출구로 유동시키는 송풍 장치와, 상기 송풍 장치를 구동하는 송풍 모터와, 인체 검지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 집진 공청 유닛을 운전하는 경우에 상기 가동 패널을 폐쇄하는 동시에, 상기 인체 검지 센서로 사람이 검지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상하 풍향판을 하향으로 한다.
이에 의해, 재실자가 없을 때에 바닥면을 향해 기류를 취출하고, 특히 더스트의 양이 많다는 바닥면 부근의 공기를 감아 올리고, 실내 하부 공간의 더스트를 기류로 위로 날리고, 위로 날린 더스트를 공기 흡입구로부터 흡입하여 전기 집진 공청 유닛으로 포집하여 재실자가 없는 동안에 실내 공기 중의 더스트의 양을 적게 하여 입실자를 맞이하고, 입실자는 입실 당초보다 더스트의 양이 적은 실내 환경을 만끽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재실자가 없을 때에 바닥면 근처의 더스트를 위로 날려 포집하여 실내를 더스트가 적은 상태로 하는 공기 조화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하 풍향판을 요동 또는 하향으로 하여 상기 전기 집진 공청 유닛을 운전하는 경우에 송풍 장치의 풍량이 가장 많아지도록 송풍 모터를 운전한다.
이에 의해, 재실자가 없을 때에 바닥면을 향해 기류를 최대 속도로 취출하고, 특히 더스트의 양이 많다는 바닥면 부근의 공기를 강하게 감아 올리고, 실내 하부 공간의 더스트를 기류로 다량 위로 날리고, 다량으로 위로 날린 더스트를 공 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되어 전기 집진 공청 유닛으로 효율적으로 포집하여 재실자가 없는 동안에 실내 공기 중의 더스트의 양을 적게 하여 입실자를 맞이하고, 입실자는 입실 당초부터 더스트의 양이 적은 실내 환경을 만끽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바닥면 근처의 더스트를 다량으로 위로 날려 전기 집진 공청 유닛으로 효율적으로 포집하여 재실자가 없는 동안에 실내를 더스트가 보다 적은 상태로 하는 공기 조화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취출구에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회전 가능한 좌우 풍향판을 구비하고, 상기 인체 검지 센서로 사람이 검지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상하 풍향판을 하향으로 하여 운전하는 것 대신에 요동시켜 운전하는 것 및/또는 상기 좌우 풍향판을 요동시킨다.
이에 의해, 상하 풍향판 및/또는 좌우 풍향판을 요동시킴으로써 광범위한 바닥면 근처의 더스트를 위로 날려 전기 집진 공청 유닛으로 포집하여 재실자가 없는 동안에 실내 공기 중의 더스트의 양을 적게 하여 입실자를 맞이하고, 입실자는 입실 당초부터 더스트의 양이 적은 실내 환경을 만끽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다 광범위한 바닥면 근처의 더스트를 위로 날려 전기 집진 공청 유닛으로 효율적으로 포집하여 실내를 더스트가 적은 상태로 하는 공기 조화기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도1의 실내기의 화장 패널을 제거한 내부 구성 설명도.
도3은 도2의 A-A 단면도.
도4의 (a), (b)는 도1의 실내기의 가동 패널의 개폐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5는 도1의 리모트 컨트롤의 기능 설명도.
도6은 도1의 리모트 컨트롤의 다른 상태의 기능 설명도.
도7은 도1의 공기 조화기의 운전의 제어 흐름도.
도8은 도7의 계속되는 제어 흐름도.
도9는 도8의 계속되는 제어 흐름도.
도10은 도9의 더스트 제거 운전의 제어 흐름도.
도11은 도10의 계속되는 제어 흐름도.
도12는 도11의 계속되는 제어 흐름도.
도13은 도1의 실내기의 가동 패널을 개방한 상태의 단면도.
도14는 도1의 실내기의 상하 풍향판의 요동 설명도.
도15는 도1의 실내기의 좌우 풍향판의 요동 설명도.
도16은 공기 조화기의 운전 상태와 풍향판, 가동 패널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 조화기
2 : 실내기
5 : 리모트 컨트롤
6 : 실외기
8 : 접속 배관
21 : 하우징
23 : 화장 프레임
25 : 전방면 패널
27 : 공기 흡입구
29 : 공기 취출구
31 : 송풍 장치
32 : 환기 장치
33 : 실내 열교환기
35 : 이슬 받이 접시
37 : 드레인 배관
39 : 환기 풍로
40 : 전기 집진 공청 유닛
51 : 액정 표시부
52 : 도어
53 : 외부 조작 버튼
54 : 송수신부
55 : 내부 조작 버튼
53j : 꽃가루 버튼
55k : 감시 선택 버튼
158 : 더스트 센서
159 : 인체 검지 센서
210 : 하우징 본체
230 : 화장 프레임 본체
231 : 프리 필터
230a : 상측 공기 흡입부
230b : 전방측 공기 흡입부
250 : 전방면 패널 본체
251 : 가동 패널
290 : 취출 풍로
291 : 상하 풍향판
295 : 좌우 풍향판
311 : 송풍 팬
313 : 송풍 모터
325 : 환기 장치 흡입구
326 : 환기 장치 취출구
327 : 환기 장치 급배기구
396 : 수광부
397 : 표시부

Claims (3)

  1. 상부에 공기 흡입구를 갖는 동시에 하부에 공기 취출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공기 흡입구 중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가동 패널과,
    상기 공기 취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하 풍향판과,
    상기 공기 흡입구로부터 실내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취출구로부터 실내로 취출하도록 설치한 송풍 팬과,
    상기 송풍 팬을 구동하는 송풍 모터와,
    상기 송풍 팬의 흡입측에 설치된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열교환기 사이에 설치된 전기 집진 공청 유닛과,
    실내의 사람의 존재를 검출하는 인체 검지 센서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이며,
    냉방 운전 시 또는 난방 운전 시에 상기 가동 패널을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공기 청정 운전 시에 상기 가동 패널을 폐쇄하여 전기 집진 공청 유닛을 운전하고, 상기 인체 검지 센서의 검지로 사람이 검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상하 풍향판이 하향 또는 요동이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공기 청정 운전 시에 상기 가동 패널을 폐쇄하고, 상기 인체 검지 센서의 검지로 사람이 검지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상하 풍향판을 하향 또는 요동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송풍 모터의 회전수를 최대로 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에 좌우로 회전 가능한 좌우 풍향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공기 청정 운전 시에 상기 가동 패널을 폐쇄하고, 상기 인체 검지 센서의 검지로 사람이 검지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좌우 풍향판이 요동이 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070074413A 2005-11-11 2007-07-25 공기 조화기 KR1007818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26926A JP2007132610A (ja) 2005-11-11 2005-11-11 空気調和機
JPJP-P-2005-00326926 2005-11-1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1491A Division KR100781848B1 (ko) 2005-11-11 2006-09-21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843A KR20070078843A (ko) 2007-08-02
KR100781847B1 true KR100781847B1 (ko) 2007-12-03

Family

ID=380824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1491A KR100781848B1 (ko) 2005-11-11 2006-09-21 공기 조화기
KR1020070074413A KR100781847B1 (ko) 2005-11-11 2007-07-25 공기 조화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1491A KR100781848B1 (ko) 2005-11-11 2006-09-21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7132610A (ko)
KR (2) KR100781848B1 (ko)
CN (1) CN196332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2602A (ja) * 2007-06-22 2009-01-08 Panasonic Corp 空気調和機
JP2009002603A (ja) * 2007-06-22 2009-01-08 Panasonic Corp 空気調和機
JP2009014259A (ja) * 2007-07-04 2009-01-22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CN103032942B (zh) * 2008-02-08 2015-04-1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空气调节机
CN101910738B (zh) * 2008-02-08 2013-09-0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空气调节机
JP5308188B2 (ja) * 2009-02-24 2013-10-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2022798B (zh) * 2009-09-14 2013-07-10 财团法人资讯工业策进会 温度控制***、温度控制装置、空调装置及温度控制方法
JP5519232B2 (ja) * 2009-10-05 2014-06-1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CN102418958A (zh) * 2010-09-27 2012-04-18 上海风神环境设备工程有限公司 能对室内环境可吸入颗粒物浓度进行控制的风机盘管机组
JP5723734B2 (ja) * 2011-09-27 2015-05-27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空気調和機
EP2865959B1 (en) * 2012-06-22 2019-10-1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conditioning system
KR102085825B1 (ko) * 2013-05-14 2020-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KR102149736B1 (ko) * 2013-08-09 2020-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JP6249096B2 (ja) * 2014-05-30 2017-12-2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清浄機
CN105241681A (zh) * 2015-09-25 2016-01-1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器检测方法
JP6709907B2 (ja) * 2017-09-29 2020-06-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7176354B2 (ja) * 2018-10-30 2022-11-22 三菱電機株式会社 清掃システム
JP2021116947A (ja) * 2020-01-23 2021-08-10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サーバ、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CN112594908B (zh) * 2020-12-09 2021-12-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卷帘机构及空调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618A (ko) * 1997-08-29 1999-03-15 윤종용 공조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0241003A (ja) 1999-02-18 2000-09-08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JP2001065909A (ja) 1999-08-25 2001-03-16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2001201147A (ja) 2000-01-24 2001-07-27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KR20050074139A (ko) * 2004-01-13 2005-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정화기능을 향상시킨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50078886A (ko) * 2004-02-03 2005-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3562U (ja) * 1992-05-13 1993-12-21 リコーエレメックス株式会社 空気清浄機
JP2000097474A (ja) * 1998-09-24 2000-04-04 Toshiba Corp 空気調和機
JP2002061916A (ja) * 2000-08-11 2002-02-28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2004053154A (ja) * 2002-07-22 2004-02-19 Fujitsu General Ltd 空気清浄装置付空気調和機
JP4259822B2 (ja) * 2002-08-05 2009-04-30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04360927A (ja) * 2003-06-02 2004-12-24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空気調和機
JP2005201543A (ja) * 2004-01-15 2005-07-28 Toshiba Kyaria Kk 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618A (ko) * 1997-08-29 1999-03-15 윤종용 공조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0241003A (ja) 1999-02-18 2000-09-08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JP2001065909A (ja) 1999-08-25 2001-03-16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2001201147A (ja) 2000-01-24 2001-07-27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KR20050074139A (ko) * 2004-01-13 2005-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정화기능을 향상시킨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50078886A (ko) * 2004-02-03 2005-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132610A (ja) 2007-05-31
CN1963325A (zh) 2007-05-16
KR20070078843A (ko) 2007-08-02
KR100781848B1 (ko) 2007-12-03
KR20070050808A (ko) 200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1847B1 (ko) 공기 조화기
KR100801409B1 (ko) 공기 조화기
JP3258936B2 (ja) 空気調和機
CN101500618B (zh) 空气净化器
JP2009074788A (ja) 空気調和機
JP4985735B2 (ja) 空気清浄機
KR100617082B1 (ko) 초박형 환기장치
JP4240115B2 (ja) 空気調和機
JP2016099090A (ja) 空気調和機
JP2009002602A (ja) 空気調和機
KR100343036B1 (ko) 전기집진기를 포함한 전열교환형 환기장치
JP6426987B2 (ja) 空気調和機
JP2006010184A (ja) 空気清浄機及び空気清浄システム並びに建物構造
JP2007187326A (ja) 空気調和機
JP2009505032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H07243683A (ja) 建物の壁部に組み込まれる室内空気浄化装置
CN107345687A (zh) 空气处理装置和具有其的空调室内机、空调室外机
JPH1151444A (ja) 空気調和機
JP2009002603A (ja) 空気調和機
JP3761686B2 (ja) 空気調和機
JP5237905B2 (ja) 空気調和機
JP2002061916A (ja) 空気調和機
JP2003021375A (ja) 多機能給気扇および住宅用換気システム
JP2005172280A (ja) 空気調和機
JP4202822B2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