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655B1 -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 - Google Patents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655B1
KR100781655B1 KR1020037000351A KR20037000351A KR100781655B1 KR 100781655 B1 KR100781655 B1 KR 100781655B1 KR 1020037000351 A KR1020037000351 A KR 1020037000351A KR 20037000351 A KR20037000351 A KR 20037000351A KR 100781655 B1 KR100781655 B1 KR 100781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wheels
pair
vehicle
wheels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0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8660A (ko
Inventor
수가타타카시
우에다츠토무
Original Assignee
티씨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1358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02944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21588A external-priority patent/JP3919427B2/ja
Application filed by 티씨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티씨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8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8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06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 B62D7/14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15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hydrau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06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 B62D7/14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 B62D7/15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characterised by means varying the ratio between the steering angles of the steered wheels
    • B62D7/1509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characterised by means varying the ratio between the steering angles of the steered wheels with different steering modes, e.g. crab-steering, or steering specially adapted for reversing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68Stee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72Propulsion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43Transmission unit disposed in on near the vehicle wheel, or between the differential gear unit and th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2007/0046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moving together with the vehicle body, i.e. moving independently from the wheel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2007/0069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axle being perpendicular to the wheel axle
    • B60K2007/0084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axle being perpendicular to the wheel axle the motor axle being ver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2007/0092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axle being coaxial to the wheel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20/00Electrical machine types; Structures or applications thereof
    • B60L2220/40Electrical machine applications
    • B60L2220/46Wheel motors, i.e. motor connected to only on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차륜(3)을 각각 차체(2)측에 대하여 종축심(23)의 둘레로 회동가능한 선회부재(22)에 부착하고, 선회부재(22)의 회동을 행하게 하는 회동수단(41)을 설치했다. 전차륜(3)을 각각 전차륜(3)의 선회범위(3a) 내에 포함시킨 주행 구동장치(30)에 연동하여, 전체를 콤팩트하게 구성했다. 차체(2)에 탑재가능한 배터리(70)를 직진주행 자세의 후차륜(4) 사이에서 차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폭이 넓은 전부(70a)와, 가로주행 자세의 후차륜(4) 사이에 위치가능한 폭이 좁은 후부(70b)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탈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안정되게 탑재할 수 있는 구성으로 했다.

Description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WORKING VEHICLE WITH TRAVERSING SYSTEM}
본 발명은, 가로주행으로 변환할 수 있는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차량으로서는, 대형의 운반차, 일부의 적재기 등에 보여지며, 포크리프트에 있어서는 리치식 전기차에 존재한다. 또한, 차량의 이동에 대하여 마스트(mast)나 포크가 가로방향으로 부착되고, 긴 물건을 취급하는 사이드포크리프트가 있다. 그러나, 카운터 타입의 포크리프트에 있어서는, 통상의 작업에 더하여, 가로주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사이트포크와 같은 기능을 갖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포크리프트를 성립시키기 위해서는, 구동륜인 전차륜을 직각 방향으로 향하도록 조타하지 않으면 안된다.
즉, 도 15에서 나타내어지는 종래의 포크리프트(1)는, 그 차체(2)의 전부에 좌우 한 쌍의 전차륜(구동륜)(3)이 설치되어짐과 아울러, 후부에 좌우 한 쌍의 후차륜(방향전환륜)(4)이 설치되고, 그리고 차체(2)의 전부에서 윗쪽에는 운전석(5)이 설치된다. 상기 차체(2)의 전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마스트(6)가, 차폭방향의 연결축(7)을 통해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부착됨과 아울러, 전후 회동을 행하게 하는 틸트실린더(tilt cylinder)(8)가, 차체(2)와 마스트(6)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마스트(6)는 포크리프트(1)측의 좌우 한 쌍의 외부프레임(9)과, 이 외부프레임(9)에 안내되어서 승강 가능한 좌우 한 쌍의 내부프레임(10)으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외부프레임(9)과 내부프레임(10) 사이에 리프트 실린더(11)가 설치된다. 또 내부프레임(10)측에 안내되어 승강 가능한 리프트브래킷(12)이 설치됨과 아울러, 이 리프트브래킷(12)에 상하 한 쌍의 핑거바를 통해, 좌우 한 쌍의 포크(13)가 설치된다.
상기 운전석(5)에는 좌석(15)이나, 이 좌석(15)의 전방에 위치되는 핸들(16) 등이 설치되고, 그리고 윗쪽에는 본체(2)측으로부터 기립된 프론트 파이프(17)나 리어파이프(18)를 통해 헤드가드(19)가 설치된다. 또한 좌석(15)의 후방에서 본체(2) 상에는 카운터 웨이트(20)가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포크리프트(1)에서는, 좌우의 전차륜(3)이 공통의 주행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고 있으므로, 이들 전차륜(3)을 직각 방향으로 향하도록 조타할 수는 없으며, 이로써 가로주행(15)은 행할 수 없다.
또한 좌우의 전차륜(3) 사이나 좌우의 후차륜(4) 사이에 차축이 존재함으로써, 배터리는 이들 차축을 피해서 탑재하지 않으면 안되고, 그 제약에 의해, 이 배터리의 탈착, 즉 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없고, 또 탑재 상태에 따라서는 중심이 상위에 있어, 안정성이 나빠질 우려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구동식의 전차륜을 직각 방향으로 향하도록 조타할 수 있고, 또한 전차륜에 연동되는 주행 구동장치의 부분을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제 1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는 그 탈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안정되게 탑재할 수 있는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제 2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제 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으로서, 차체에 좌우 한 쌍의 전차륜과 좌우 한 쌍의 후차륜이 각각 90도 형상으로 방향전환 가능하게 설치되고, 좌우 한 쌍의 전차륜은 각각 차체측에 대하여 종축심의 둘레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선회부재에 부착됨과 아울러, 선회부재의 회동을 행하게 하는 회동수단이 설치되고, 좌우 한 쌍 전차륜은 각각 전차륜의 선회 범위 내에 포함된 주행 구동장치에 연동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통상 주행시에는 좌우의 전차륜 및 좌우의 후차륜은 전후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그리고 통상 주행시로부터 가로주행으로 변환할 때, 우선 회동수단을 작동시키고, 선회부재를 종축심의 둘레로 회동시킴으로써, 전차륜을 차체에 대하여 90도 형상으로 방향전환(직각 형상으로 방향전환)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전차륜을 직각형상으로 방향전환한 뒤, 주행 구동장치에 의해 전차륜을 정반대로 구동시킴으로써, 작업차량을 좌우로 가로주행할 수 있고, 이 때 후차륜은 선회 캐스터형식에 의한 추종방향전환, 또는 전차륜과 마찬가지로 강제적으로 방향전환할 수 있다. 그 때에, 좌우 한 쌍의 전차륜에 연동하고 있는 주행 구동장치를, 각각 전차륜의 선회 범위 내에 포함시킴으로써, 전체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제 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으로서, 차체에 좌우 한 쌍의 전차륜과 좌우 한 쌍의 후차륜이 각각 90도 형상으로 방향전환 가능하게 설치되고, 좌우 한 쌍의 전차륜은 각각 차체측에 대하여 종축심의 둘레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회동을 행하게 하는 전륜 회동수단이 설치되고, 좌우 한 쌍의 후차륜은 각각 차체측에 대하여 종축심의 둘레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회동을 행하게 하는 후륜 회동수단이 설치되고, 차체에 탑재 가능한 배터리는, 직진주행 자세의 양 후차륜 사이에서 차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폭이 넓은 전부와, 가로주행 자세의 양 후차륜 사이에 위치가능한 폭이 좁은 후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통상 주행시에는, 좌우의 전차륜 및 좌우의 후차륜은 전후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그리고 통상 주행시로부터 가로주행으로 변환할 때, 예를 들면 레버식의 가로주행 모드 스위치를 조작하고, 전륜 회동수단과 후륜 회동수단을 작동시킨다. 즉, 전륜 회동수단을 작동시킴으로써, 전차륜을 종축심의 둘레로 회동시켜 차체에 대하여 90도 형상(직각형상)으로 방향전환할 수 있고, 또 후륜 회동수단을 작동시킴으로써, 후차륜을 종축심의 둘레로 회동시켜 차체에 대하여 90도 형상(직각형상)으로 방향전환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전차륜이나 후차륜을 직각형상으로 방향전환한 뒤, 작업차량을 좌우로 가로주행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는 직진주행 자세의 양 후차륜 사이에서 폭이 넓은 전부가, 차길이방향으로 아무런 지장없이 이동할 수 있으므로, 차체에 대한 탈착은 차체후방으로부터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고, 이로써 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차체에 탑재한 배터리는 양 후차륜 사이에 폭이 좁은 후부가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양 후차륜의 가로주행 자세로의 방향전환은 아무런 지장없이 행할 수 있고, 또한 차체의 중간부로부터 후단에 걸친 하부에 대형의 물건을 탑재할 수 있고, 이로써 중심이 낮아져서 안정된 작업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에 있어서의 적합한 제 1의 실시형태에서는 좌우 한 쌍의 전차륜은 각각 선회부재에 가로방향의 차륜축을 통해 부착되고, 상기 차체측에는 그 구동축이 종축심의 부분에 하향으로 위치되는 상태로 주행 구동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선회부재측에는 구동축을 차륜축에 연동시키는 회전 전달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주행 구동장치에 있어서의 구동축의 회전을 회전전달수단을 통해 차륜축에 전달할 수 있다. 그 때, 본체에 고정한 주행 구동장치에의 동력원 공급부품의 설치를, 선회부재측과는 관계없이 행할 수 있고, 따라서 간소하고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에 있어서의 적합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주행 구동장치는 좌우 한 쌍의 선회부재에 각각 부착됨과 아울러, 그 가로방향의 구동축에 각각 전차륜이 연동연결되어 있다.
이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주행 구동장치에 있어서의 구동축의 회전을 전차륜에 전달할 수 있고, 여기서, 전차륜은 각각 주행 구동장치와 일체이므로, 그 90도 형상의 방향전환은 용이하고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에 있어서의 적합한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차체의 전단측에는 마스트가 설치됨과 아울러, 이 마스트측에는 포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통상 주행시에는 좌우의 전차륜 및 좌우의 후차륜은 전후방향으로 향하고 있고, 그리고 리프트용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포크를 마스트를 따라 승강이동시켜 소기의 포크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상의 포크작업이 가능한 형식이면서, 구동식의 전차륜을 직각형상으로 향하도록 조타하여 가로주행을 행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긴 물건의 반송을 포크를 통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고,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의 통상 주행시의 측면도.
도 2는 동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의 전차륜부분의 일부 절개 정면도.
도 3은 동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의 전차륜부분의 일부 절개 측면도.
도 4는 동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의 전차륜부분의 평면도.
도 5는 동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의 통상 주행시의 개략평면도.
도 6은 동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의 가로주행시의 개략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고,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의 전차륜부분의 일부 절개 정면도.
도 8은 동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의 전차륜부분의 평면도.
도 9는 동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의 통상 주행시의 개략평면도.
도 10은 동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의 가로주행시의 개략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고,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의 통상 주행시의 측면도.
도 12는 동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의 후차륜부분의 배면도.
도 13은 동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의 후차륜부분의 일부 절개 평면도.
도 14는 동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의 개략평면도로, (a)는 통상 주행시, (b)는 가로주행시.
도 15는 종래예를 나타내고, 포크리프트의 측면도.
이하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 1∼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종래예(도 15)와 동일한 구성물 또는 거의 동일한 구성물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1)은 작업차량의 일례인 포크리프트, (2)는 차체, (3)은 전차륜(구동륜), (4)는 후차륜(방향전환륜), (5)는 운전석, (6)은 마스트, (7)은 연결축, (8)은 틸트실린더, (9)는 외부프레임, (10)은 내부프레임, (11)은 리프트 실린더, (12)는 리프트브래킷, (13)은 포크, (15)는 좌석, (16)은 핸들, (17)은 프론트파이프, (18)은 리어파이프, (19)는 헤드가드, (20)은 카운터 웨이트를 각각 나타낸다.
좌우 한 쌍의 전차륜(3)은 각각 차체(2)에 대하여 90도 형상으로 방향전환 가능(직각형상으로 방향전환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차체(2)측에는 상하방향의 통부재(21)가 고정되고, 이 통부재(21)에 대해서(차체(2)측에 대해서) 선회부재(22)가 종축심(23)의 둘레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선회부재(22)는 역T자 형상이고 또한 케이스 형상의 상위 선회부(22A)와, C자 형상이고 또한 케이스 형상의 하위 선회부(22B)로 이루어지고, 상위 선회부(22A)의 하부에 하위 선회부(22B)의 상부가 연결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그리고 상위 선회부(22A)의 상부가 통부재(21) 내에 삽입되어 축받이 수단(24)에 의해 지지 안내됨으로써, 선회부재(22)는 세로방향의 종축심(23)의 둘레로 회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하위 선회부(22B)의 하단부분에는, 가로방향의 차륜축(25)이 축받이 수단(26)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전차륜(3)은, 그 림(3A)이 각각 차륜축(25)의 외단에 연결기구(27)를 통해 부착됨으로써, 선회부재(22)와 아울러 종축심(23)의 둘레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 때에, 종축심(23)의 거의 바로 아래부분에 전차륜(3)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전차륜(3)은 각각 전차륜(3)의 선회범위(3a) 내에 포함된 주행구동장치에 연동되어 있다. 즉, 상기 통부재(21)의 상부에는(차체(2)측에는), 그 구동축(31)이 종축심(23)의 부분에 하향으로 위치되는 상태로, 전동모터(주행 구동장치의 일례)(3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선회부재(22)측에는, 구동축(31)을 차륜축(25)에 연동시키는 회전 전달수단(32)이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 전달수단(32)은 상위 선회부(22A) 내에서 또한 종축심(23) 상에 위치되는 상위 회전축(33)과, 이 상위 회전축(33)의 상단부분을 구동축(31)에 연동시키는 연동부재(34)와, 이 연동부재(34)의 부분에 설치된 브레이크장치(35)와, 하위선회부(22B)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세로방향의 하위 회전축(36)과, 상위 회전축(33)의 하단을 하위 회전축(36)의 상단에 연동시키는 감속기어장치(37)와, 하위 회전축(36)의 하단을 차륜축(25)의 내단에 연동시키는 베벨(bevel)기어장치(38) 등에 의해, 그 일례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차체(2)측에는, 상기 선회부재(22)의 회동을 행하게 하는 회동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즉, 좌우의 선회부재(22)는 링크(40) 등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공통의 선회실린더(회동수단의 일례)(41)에 의해 회동이 행해지고, 따라서 좌우의 전차륜(3)은 서로 역방향으로 방향전환하여 직각형상으로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차체(2)측에는 배터리(45)가 탑재됨과 아울러, 이 배터리(45)에는 콘트롤러(46)가 부설되어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46)로부터의 케이블(동력원 공급부품)(47)이, 상기 전동모터(30)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 때에 케이블(47)은 선회부재(22)측과는 관계없고, 따라서 간소하고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은 각각 차체(2)에 대하여 90도 형상으로 방향전환 가능(직각형상으로 방향전환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의 림(4A)은 각각 역L자형상의 선회부재(50)에 있어서의 종판부분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또 선회부재(50)에 있어서의 횡판부분은 축받이(51)와 종축(52)을 통해, 차체(2)측에 대하여 종축심(53)의 둘레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 때에 종축심(53)의 거의 바로 아래부분에 후차륜(4)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은 추종 방향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 상기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이나 도 2의 실선 및 도 3∼도 5는 통상 주행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 좌우의 전차륜(3) 및 좌우의 후차륜(4)은 전후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이러한 포크리프트(1)는, 운전석(5)의 좌석(15)에 앉은 작업자가 핸들(16)을 조종함으로써, 주행이동할 수 있다.
즉, 배터리(45)의 전력을 컨트롤러(46)에 의해 제어한 뒤 케이블(47)을 통해 전동모터(30)에 각각 공급하고, 이 전동모터(30)를 구동함으로써, 회전 전달수단(32) 등을 통해 전차륜(3)을 정반대로 구동시키고, 이로써 포크리프트(1)를 전후로 주행이동할 수 있다.
그 때에 전동모터(30)에 있어서의 구동축(31)의 회전을, 연동부재(34), 상위 회전축(33), 감속기어장치(37), 하위 회전축(36), 베벨기어장치(38), 차륜축(25)을 통해 전차륜(3)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장치(35)를 작동시킴으로써, 적절히 정지할 수 있다.
그리고 리프트용 레버를 조작해서 리프트 실린더(11)를 작동시킴으로써, 리프트브래킷(12) 등을 통해, 포크(13)를 마스트(6)를 따라 승강이동시킬 수 있고, 이로써 기대의 포크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 틸트용 레버를 조작하여 틸트실린더(8)를 작동시킴으로써, 마스트(6)를 연결축(7)의 둘레에서 회동(경도)시킬 수 있고, 이로써 리프트브래킷(12) 등을 통해 포크(13)의 자세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통상 주행시로부터 가로주행으로 변환할 때, 우선 레버식의 가로주행 모드 스위치(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를 조작하고, 레버를 기울임으로써 선회 실린더(41)를 작동시키고, 링크(40)를 통해 선회부재(22)를 종축심(23)의 둘레로 회동시키고, 이로써 도 1이나 도 2의 가상선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차륜(3)을 차체(2)에 대하여 90도 형상으로 방향전환(직각형상으로 방향전환)시킨다.
이 때, 전동모터(30)는 차체(2)측에 설치되어 있고, 그리고 전동모터(30)를 자유롭게 하고 또한 브레이크장치(35)를 개방이동시켜 둠으로써, 선회부재(22)를 통한 전차륜(3)의 90도 형상의 방향전환은 가볍고 용이하게 또한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종축심(23)의 거의 바로 아래부분에 전차륜(3)이 위치되어 있으므로, 전차륜(3) 등은 콤팩트하게 해서 90도 형상의 방향전환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전차륜(3)의 방향전환을 행한 것, 즉 전차륜(3)이 직각형상으로 방향전환 한 것을 센서로 감지하여, 인디케이터 램프를 점등시키고, 이것에 의해 가로주행 모드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포크리프트(1)는 운전석(5)의 좌석(15)에 앉은 작업자가 핸들(16)을 조종함으로써, 상술과 마찬가지로 하고, 배터리(45)의 전력을 컨트롤러(46)에 의해 제어한 뒤 케이블(47)을 통해 전동모터(30)에 각각 공급하여, 전동모터(30)를 구동시키게 되고, 회전 전달 수단(32) 등을 통해 전차륜(3)을 정반대로 구동시키고, 이로써 포크리프트(1)를 좌우로 가로주행시킬 수 있다. 그 때에,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은 추종회전된다.
이렇게 하여 가로주행을 행할 수 있음으로써, 예를 들면 긴 물건의 반송을, 포크(13)를 통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가로주행에 있어서의 직진성의 보정은, 레버를 전후로 기울이고 선회 실린더(41)를 미작동시켜, 전차륜(3)의 각도를 미조정함으로써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좌우 한 쌍의 전차륜(3)이, 각각 전차륜(3)의 선회범위(3a) 내에 포함된 세로방향의 전동모터(30)에 연동되어 있음으로써, 전체를 콤팩트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본체(2)에 고정되는 전동모터(30)에의 케이블(47)의 설치는, 선회부재(22)측과는 관계없이 행할 수 있고, 따라서 간소하고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 7∼도 10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제 1 실시예(도 1∼도 6)와 동일한 구성물 또는 거의 동일한 구성물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것은 생략한다.
좌우 한 쌍의 전차륜(3)은, 각각 전차륜(3)의 선회범위(3a) 내에 포함된 주행구동장치에 연동되어 있다. 즉 좌우 한 쌍의 전차륜(3)은 그 림(3A)이 각각 유압모터(주행 구동장치의 일례)(61)에 있어서의 가로방향의 회전 플랜지(구동축의 일례)(62)에 연결기구(63)를 통해 직접 부착됨으로써, 유압모터(61)측에 연동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유압모터(61)는 선회범위(3a) 내에 포함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압모터(61)의 마운트(mount)는 역L자형상의 선회부재(64)에 있어서의 종판부분에 가로방향으로 부착되고, 또 선회부재(64)에 있어서의 횡판부분은 축받이장치(65)와 종축(66)을 통해, 차체(2)측에 대하여 종축심(67)의 둘레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 때에 종축심(67)의 거의 바로 아래부분에 전차륜(3)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좌우의 선회부재(64)는 링크(40) 등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공통의 선회 실린더(회동수단)(41)에 의해 회동이 행해지고, 이로써 좌우의 전차륜(3)은 서로 역방향으로 방향전환하여 직각형상으로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차체(2)측에는 엔진(70)이 설치됨과 아울러, 이 엔진(70)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유압펌프(7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 개의 유압모터(61)에 각각 유압펌프(71)가 대응되도록, 즉, 2펌프 2모터 타입의 유압구동 시스템(HST시스템)이 되도록, 대응하는 유압펌프(71)와 유압모터(61)가 배관(유압호스 등)(72)을 통해 연통되어 있다.
이하에, 상기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7, 도 8 및 도 9는 통상 주행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 좌우의 전차륜(3) 및 좌우의 후차륜(4)은 전후방향을 향하고 있다. 따라서, 엔진(70)에 의해 구동되고 있는 한 쌍의 유압펌프(71)로부터의 유압을, 운전석(5)에 있어서의 정역(正逆)제어에 의해서, 대응한 유압모터(61)에 배관(72)을 통해 공급함으로써, 전차륜(3)을 정반대로 구동시키고, 이로써 포크리프트(1)를 전후로 주행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통상 주행시로부터 가로주행으로 변환할 때,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차륜(3)을 차체(2)에 대하여 90도 형상으로 방향전환(직각형상으로 방향전환)시킨다. 이렇게 하여 전차륜(3)의 방향전환를 행한 뒤, 유압펌프(71)로부터의 유압을, 대응한 유압모터(61)에 배관(72)을 통해 공급함으로써, 전차륜(3)을 정반대로 구동시키고, 이로써 포크리프트(1)를 좌우로 가로주행시킬 수 있다. 그 때에, 선회 캐스터형식인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은 추종 방향전환된다.
상술한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좌우 한 쌍의 전차륜(3)이 각각 전차륜(3)의 선회범위(3a) 내에 포함된 가로방향의 유압모터(61)에 연동되어 있음으로써, 전체를 콤팩트화할 수 있다. 또 포크리프트(1)의 구동형식으로서, 2펌프 2모터 타입의 유압구동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음으로써, 상술한 통상 주행시에 있어서의 선회는, 전차륜(3)의 회전방향, 회전수 차를 핸들휠하여 행하지만, 가로주행을 행할 때에는 선회 시스템을 전기적으로 정지시킨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 11∼도 1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제 1 실시예(도 1∼도 6)와 동일한 구성물 또는 거의 동일한 구성물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것은 생략한다.
차체(2)측에는, 상기 선회부재(22)의 회동을 행하게 하는 전륜 회동수단(80)이 설치되어 있다. 즉, 전륜 회동수단(80)은 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81)를 갖고, 이 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81)는, 그 본체(81a)가 차체(2)측에 세로핀(82)을 통해 요동가능하게 부착됨과 아울러, 피스톤로드(81b)가, 편측의 선회부재(22)에 고정된 링크(83)에 세로방향의 연결핀(84)을 통해 상대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선회부재(22)로부터 연장설치된 암(85) 사이가, 링크체(86)와 연결핀(87)을 통해 상대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81)의 작동에 의해, 링크(83)를 통해 선회부재(22)를 회동시킴으로써, 편측의 전차륜(3)을 종축심(23)의 둘레로 방향전환하여 직각형상에 적용시킴과 아울러, 암(85)이나 링크체(86) 등을 통해 다른측의 전차륜(3)을 선회축심(23)의 둘레로 방향전환해서 직각형상에 적용할 수 있다. 즉 전륜 회동수단(80)에 의하면, 공통의 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81)의 작동에 의해, 좌우의 전차륜(3)이 서로 역방향으로 방향전환되어서 직각형상으로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81∼87) 등에 의해, 전륜 회동수단(80)의 일례가 구성된다.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은 각각 차체(2)에 대하여 90도 형상(직각형상)으로 방향전환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의 림(4A)은 각각 역L자형상의 선회부재(90)에 있어서의 종판부분(5)에 가로방향의 차축(91) 등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또 선회부재(90)에 있어서의 횡판부분은 축받이(92)와 종축(93)을 통해, 차체(2)측에 대하여 종축심(94)의 둘레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 때에 종축심(94)의 거의 바로 아래부분에 후차륜(4)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을 종축심(94)의 둘레로 회동시키는 후륜 회동수단(1OO)이 설치되고, 이 후륜 회동수단(1OO)은 방향전환용 실린더(101)나 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103) 등으로 구성된다.
즉, 방향전환용 실린더(1O1)는 그 본체(1O1a)가 차폭방향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그 피스톤(10lb)에 연결된 피스톤로드(101c)는 차폭방향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피스톤로드(101c)의 돌출된 양단부가 각각 유지프레임체(102)를 통해 차체(2)측에 고정되고, 이로써 본체(101a)가 차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103)는 좌우 한 쌍이며, 각각의 본체(103a)는 연결재(104)를 통해 상기 방향전환용 실린더(101)의 본체(1O1a)에 일체화(연결)되어 있다. 그 때에, 이들 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103)의 피스톤(103b)에 연결된 피스톤로드(103c)는 각각 차폭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종축(93)의 상단에 연장설치된 암체(105)와 피스톤로드(103c)의 돌출단 사이가, 링크(106)나 세로방향의 연결핀(107, 108) 등을 통해 상대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의 후륜 회동수단(100)에 의하면, 방향전환용 실린더(101)의 작동은, 고정의 피스톤로드(1O1c)에 대하여 본체(1O1a)가 차폭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행해지고, 그리고 방향전환용 실린더(101)의 본체(101a)와 일체로 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103)의 본체(103a)가 차폭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때에 유지프레임체(102)측에는 연결재(104)를 관통하는 가이드체(도면에 나타내지 않음.)가 설치되고, 이로써 가이드체에 의해, 본체(10la, 103a)의 이동안내와 회전방지가 행해진다.
상기 방향전환용 실린더(101)의 작동은, 핸들(16)을 돌림으로써 궤도 롤(전체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로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103)는, 방향전환용 실린더(101)가 중립 형상일 때에 컨트롤 밸브를 작동시킴으로써, 후차륜(4)을 각각 별도로 회동가능하게 해서 좌우 한 쌍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방향전환용 실린더(101)의 작동시에는 소정의 비작동 자세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103)의 작동에 의해, 링크(106)나 암체(105) 등을 통해 종축(93)을 회동시킴으로써, 선회부재(90) 등을 통해 후차륜(4)을 종축심(94)의 둘레로 방향전환하여 직각형상에 적용할 수 있다. 즉, 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103)의 작동에 의해, 좌우의 후차륜(4)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방향전환하여 직각형상으로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101∼108) 등에 의해,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을 종축심(94)의 둘레로 회동시키는 후륜 회동수단(100)의 일례가 구성된다.
상기 차체(2)측에는 배터리(110)가 탑재된다. 이 배터리(110)는, 직진 주행자세의 양 후차륜(4) 사이에서, 차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폭이 넓은 전반부(110a)와, 가로주행자세의 양 후차륜(4) 사이에 위치가능한 폭이 좁은 후부(110b)에 의해, 평면에서 볼때 T자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2)의 후부측은 배면에서 볼때 U자형상인 배터리 격납부(2a)로 구성되고, 그 때에 배터리 격납부(2a)의 후단부분에는 후차륜(4)의 회동을 허용하는 노치(notch)부(2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 격납부(2a)의 후단 개방부(2c)에는, 탈착가능한 뚜껑체(2d)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양 후차륜(4)이 직진주행 자세로 되고 또한 뚜껑체(2d)가 이탈된 상태에 있어서, 배터리(110)는 차체 후방으로부터 차길이방향으로 탈착가능하고, 그 때에 폭이 넓은 전반부(110a)는 양 후차륜(4) 사이에서 아무런 지장없이 이동된다. 또 배터리(110)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는, 양 후차륜(4) 사이에 폭이 좁은 후부(11Ob)가 위치되고, 이로써 양 후차륜(4)의 가로주행 자세로의 방향전환은 지장없이 행해진다.
상기 배터리(110)에는 컨트롤러(111)가 부설되어 있다. 그리고, 콘트롤러(111)로부터의 케이블(동력원공급부품)(112)이 상기 전동모터(30)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 때에 케이블(112)은 선회부재(22)측과는 관계가 없고, 따라서 간소하고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후륜 회동수단(100)은, 배터리(110)의 윗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 상기한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1, 도 12의 실선 및 도 13, 도 14의 (a)는 통상 주행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 좌우의 전차륜(3) 및 좌우의 후차륜(4)은 전후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이러한 포크리프트(1)는 운전석(5)의 좌석(15)에 앉은 작업자가 핸들(16)을 조종함으로써, 주행이동할 수 있다. 즉, 배터리(110)의 전력을 컨트롤러(111)에 의해 제어한 뒤 케이블(112)을 통해 전동모터(30)에 각각 공급하고, 이 전동모터(30)를 구동함으로써, 회전 전달수단(32) 등을 통해 전차륜(3)을 정반대로 구동시키고, 이로써 포크리프트(1)를 전후로 주행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주행이동시에, 핸들(16)의 조종에 따라서 선회된다. 즉, 예를 들면 핸들(16)을 좌측으로 돌림으로써, 방향전환용 실린더(1O1)의 본체(1O1a)는 궤도 롤로 좌측으로 작동되고, 연결재(104)를 통해 양 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103)의 본체(103a)가 일체로 좌측으로 이동된다. 이 때 양 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103)는 소정의 수축한계에서 비작동 자세에 있어서 링크형상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양 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103)의 좌측으로의 이동은 링크(106)를 통해 암체(105)에 전달되고, 이로써 선회부재(90)를 종축심(94)의 둘레로 회동시켜, 후차륜(4)을 방향전환시켜서 좌선회할 수 있다.
또, 양 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103)를 중도까지 수축이동시켰을 때에는, 양 선회부재(90)를 종축심(94)의 둘레로 서로 역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좌우의 후차륜(4)을, 그 바깥 가장자리가 조금 전방이 되도록 경사형상으로 방향전환시킬 수 있고, 이로써 그 자리에서의 선회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술과 마찬가지로 하여, 예를 들면 핸들(16)을 우측으로 돌림으로써, 우선회할 수 있다.
이러한 통상 주행시로부터 가로주행으로 변환할 때, 우선 방향전환용 실린더(101)가 도 13에 나타내는 중립형상(직진형상)의 위치가 된다. 이 상태에서, 예를 들면 레버식의 가로주행모드 스위치(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를 조작하여, 전륜 회동수단(80)과 후륜 회동수단(100)을 작동시킨다.
즉 전륜 회동수단(80)에서는, 레버식의 가로주행모드 스위치를 조작해서 레버를 기울임으로써 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81)를 작동시키고, 링크(83)를 통해 선회부재(22)를 종축심(23)의 둘레로 회동시키고, 이로써 도 11의 가상선이나 도 1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차륜(3)을 차체(2)에 대하여 90도 형상(직각형상)으로 방향전환시킨다.
또 후륜 회동수단(100)에서는, 컨트롤 밸브에 의해 양 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103)가 수축이동되고, 피스톤로드(103c)의 전후진이동이 링크(106)를 통해 암체(105)에 전달되고, 선회부재(90)를 종축심(94)의 둘레로 회동시키고, 이로써 도 11, 도 12의 가상선이나 도 1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차륜(4)을 차체(2)에 대하여 90도 형상(직각형상)으로 방향전환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전차륜(3)이나 후차륜(4)의 방향전환을 행한 것, 즉 전차륜(3)이나 후차륜(4)이 직각형상으로 방향전환한 것을 센서로 감지하여, 인디케이터 램프를 점등시키고, 이로 인해 가로주행모드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포크리프트(1)는 운전석(5)의 좌석(15)에 앉은 작업자가 핸들(16)을 조종함으로써, 상술과 마찬가지로 하여, 배터리(110)의 전력을 컨트롤러(111)에 의해 제어한 뒤 케이블(112)을 통해 전동모터(30)에 각각 공급하고, 이 전동모터(30)를 구동함으로써, 회전 전달수단(32) 등을 통해 전차륜(3)을 정반대로 구동 회전시키고, 이로써 포크리프트(1)를 좌우로 가로주행시킬 수 있다. 그 때에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은 추종회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포크리프트(1)에 있어서 배터리(110)는 직진주행 자세의 양 후차륜(4) 사이에서 폭이 넓은 전부(110a)가, 차길이방향으로 아무런 지장없이 이동가능하므로, 배터리 격납부(2a)에 대한 착탈은 차체후방으로부터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고, 이로써 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배터리 격납부(2a)에 탑재된 배터리(110)는 양 후차륜(4) 사이에 폭이 좁은 후부(11Ob)가 위치되어 있음으로써, 양 후차륜(4)의 가로주행 자세로의 방향전환은 아무런 지장없이 행할 수 있고, 또한 좌석(15)의 아래쪽으로부터 차체(2)의 후단에 걸쳐서 탑재할 수 있음으로써, 대형의 물건을 차체(2)의 하부에 설치할 수 있고, 이로써 중심이 낮아져 안정된 포크리프트(1)로 할 수 있다.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작업차량으로서 카운터 타입의 포크리프트(1)가 나타내어져 있지만, 작업차량으로서는 대형의 운반차, 적재기, 사이드 포크리프트 등이어도 마찬가지로 작용할 수 있다.
상술한 제 1, 제 3 실시예에 의하면, 좌우 한 쌍의 전차륜(3)이 각각 전차륜(3)의 선회범위(3a) 내에 포함된 세로방향의 전동모터(30)에 연동되어 있음으로써, 전체를 콤팩트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본체(2)에 고정되는 전동모터(30)에의 케이블(47, 112)의 설치는 선회부재(22)측과는 관계없이 행할 수 있고, 따라서 간소하고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전동모터(30)를 선회부재(22)에 부착하고, 그리고 가로방향의 구동축(31)에 전차륜(3)의 림(3A)이 연동연결된 형식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 전차륜(3)을 차체(2)에 대하여 90도 형상으로 방향전환시켰을 때, 전차륜(3)은 각각 전동모터(30)와 일체이므로, 그 방향전환는 용이하고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좌우 한 쌍의 전차륜(3)을 동시에 회동시키는 공통의 회동수단(41, 80)이 설치된 형식이 나타내어져 있지만, 이것은 좌우 한 쌍의 전차륜(3)을 각각의 회동수단에 의해 각각 별도로 회동시키는 형식이어도 된다.
상기한 제 2 실시예에서는, 좌우 한 쌍의 전차륜(3)이 각각 전차륜(3)의 선회범위(3a) 내에 포함된 유압모터(61)에 연동되어 있지만, 주행 구동장치로서는 전동모터를 채용해도 된다.
상기한 제 1, 제 2 실시예에서는,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으로서, 추종 방향전환되는 선회 캐스터형식이 채용되어 있지만, 이것은 전차륜(3)과 마찬가지로 하고, 제 2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등에 의해 강제적으로 방향전환되는 형식을 채용해도 된다.
상기한 제 3 실시예에서는,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을 동시에 회동시키는 공통의 후륜 회동수단(100)이 설치된 형식이 나타내어져 있지만, 이것은 좌우 한 쌍의 후차륜(4) 중, 한쪽의 후차륜(4)을 핸들휠에 의한 스티어형식, 다른쪽의 후차륜(4)을 선회 캐스터형식으로 해도 되고, 이 경우, 가로주행으로 변환할 때, 한쪽의 후차륜(4)을 실린더 등에 의해 강제적으로 방향전환시킨다.

Claims (6)

  1. 차체에 좌우 한 쌍의 전차륜과 좌우 한 쌍의 후차륜이 각각 90도 형상으로 방향전환 가능하게 설치되고, 좌우 한 쌍의 전차륜은 각각 차체측에 대하여 종축심의 둘레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선회부재에 부착됨과 아울러, 선회부재의 회동을 행하게 하는 회동수단이 설치되고, 좌우 한 쌍의 전차륜은 각각 전차륜의 선회범위 내에 포함된 주행 구동장치에 축으로 연동되며, 상기 선회부재는 상기 축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
  2. 차체에 좌우 한 쌍의 전차륜과 좌우 한 쌍의 후차륜이 각각 90도 형상으로 방향전환 가능하게 설치되고, 좌우 한 쌍의 전차륜은 각각 차체측에 대하여 종축심의 둘레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회동을 행하게 하는 전륜 회동수단이 설치되고, 좌우 한 쌍의 후차륜은 각각 차체측에 대하여 종축심의 둘레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회동을 행하게 하는 후륜 회동수단이 설치되고, 차체에 탑재가능한 배터리는 직진주행 자세의 양 후차륜 사이에서 차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폭이 넓은 전부와, 가로주행자세의 양 후차륜 사이에 위치가능한 폭이 좁은 후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
  3. 제 1항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전차륜은 각각 선회부재에 가로방향의 차륜축을 통해 부착되고, 상기 차체측에는 그 구동축이 종축심의 부분에 하향으로 위치되는 상태로 주행 구동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선회부재측에는 구동축을 차륜축에 연동시키는 회전 전달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
  4. 제 2항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전차륜은 각각 선회부재에 가로방향의 차륜축을 통해 부착되고, 상기 차체측에는 그 구동축이 종축심의 부분에 하향으로 위치되는 상태로 주행 구동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선회부재측에는 구동축을 차륜축에 연동시키는 회전 전달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
  5. 제 1항에 있어서, 주행 구동장치는 좌우 한 쌍의 선회부재에 각각 부착됨과 아울러, 그 가로방향의 구동축에 각각 전차륜이 연동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체의 전단측에는 마스트가 설치됨과 아울러, 이 마스트측에는 포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
KR1020037000351A 2000-07-14 2001-06-15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 KR1007816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13581A JP2002029446A (ja) 2000-07-14 2000-07-14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作業車両
JPJP-P-2000-00213581 2000-07-14
JPJP-P-2000-00221588 2000-07-24
JP2000221588A JP3919427B2 (ja) 2000-07-24 2000-07-24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作業車両
PCT/JP2001/005159 WO2002006111A1 (fr) 2000-07-14 2001-06-15 Vehicule de chantier a systeme de deplac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8660A KR20030038660A (ko) 2003-05-16
KR100781655B1 true KR100781655B1 (ko) 2007-12-03

Family

ID=26596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0351A KR100781655B1 (ko) 2000-07-14 2001-06-15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13102B2 (ko)
EP (1) EP1304279A1 (ko)
KR (1) KR100781655B1 (ko)
CN (1) CN100506588C (ko)
TW (1) TW579365B (ko)
WO (1) WO20020061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54504A1 (en) * 2003-09-30 2005-07-14 Nicholas Fenelli Vehicles and control systems thereof with adjustable steering axes
WO2003029129A1 (en) * 2001-10-03 2003-04-10 Aisle-Master Limited Articulated forklift truck
EP1463682A1 (en) * 2002-01-02 2004-10-06 Combilift Research & Development Limited Four-directional forklift truck
ITMO20040230A1 (it) * 2004-09-14 2004-12-14 Comer Ind Spa 'gruppo di trasmissione per 'azionamento di ruote di veicoli partcolarmente carelli per la movimentazione ed il trasporto di materiali'.
DE102005017723A1 (de) * 2005-04-15 2006-10-26 Zf Friedrichshafen Ag Antriebseinheit für ein Flurförderfahrzeug
DE102005017736A1 (de) * 2005-04-15 2006-12-14 Zf Friedrichshafen Ag Elektrisches Antriebssystem für Flurförderzeuge
TWI290881B (en) * 2005-12-26 2007-12-11 Ind Tech Res Inst Mobile robot platform and method for sensing movement of the same
EP2155533A4 (en) * 2007-05-07 2013-01-30 Princeton Delivery Systems Inc FOUR-WAY FORKLIFT WITH OUTDOOR SWING WHEEL SPOKES
EP2090453A1 (en) * 2008-02-13 2009-08-19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Wheel motor device
FR2928130B1 (fr) * 2008-02-29 2010-05-28 Moulene Vehicule motorise a inclinaison commandee.
US8818700B2 (en) * 2008-02-29 2014-08-26 Daniel Moulene Motorised vehicle with controlled inclination
US8312957B1 (en) * 2008-07-08 2012-11-20 Stoltzfus Daniel R Apparatus for moving concrete pump hoses
DE102009054726A1 (de) * 2009-12-16 2011-06-22 ZF Friedrichshafen AG, 88046 Antriebseinheit eines Flurförderzeugs
DE102009054727A1 (de) * 2009-12-16 2011-06-22 ZF Friedrichshafen AG, 88046 Antriebseinheit eines Flurförderzeugs
JP2012017093A (ja) * 2010-06-09 2012-01-26 Ntn Corp 電気自動車
JP5799879B2 (ja) * 2012-04-03 2015-10-2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バッテリ式フォークリフト
CN103754284A (zh) * 2014-01-28 2014-04-30 浙江诺力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可以四向行驶的工业车辆及该种工业车辆的行走机构
CN103963637B (zh) * 2014-04-29 2017-08-25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车辆的整体式转向驱动桥和电动车辆
JP6382597B2 (ja) * 2014-06-27 2018-08-29 Ntn株式会社 車両
US10221056B2 (en) * 2015-08-21 2019-03-05 The Boeing Company Component moving system and method
JP6350501B2 (ja) * 2015-12-08 2018-07-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リーチ型フォークリフト
JP6304225B2 (ja) * 2015-12-17 2018-04-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立席式フォークリフト
FI128300B (en) * 2018-09-03 2020-03-13 Rocla Oyj Truck control
JP2020166734A (ja) * 2019-03-29 2020-10-08 日本電産シンポ株式会社 搬送車
DE102019108589A1 (de) * 2019-04-02 2020-10-08 Hubtex Maschinenbau Gmbh & Co. Kg Lenkverfahren eines Flurförderzeugs und Flurförderzeug
JP7318450B2 (ja) * 2019-09-24 2023-08-01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転舵装置
US11560053B2 (en) 2019-10-03 2023-01-2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Electric vehicle comprising a vertical electric propulsion motor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11447006B2 (en) * 2019-10-03 2022-09-2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Electric or hybrid electric vehicle having adjustable vertical electric drive motor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JP7348093B2 (ja) * 2020-01-27 2023-09-20 ダイムラー トラック エージー 電動トラック用の駆動装置
CN114987609B (zh) * 2022-04-18 2023-03-10 华南农业大学 一种四轮独立转向的水田农业机器人及其导航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3899A (en) 1986-07-10 1989-04-25 Ashot Ashkelon Industries Ltd. Steering apparatus
JPH0370682A (ja) * 1989-08-10 1991-03-26 Yuhshin Co Ltd 車両の横移動操舵装置
JPH0958510A (ja) * 1995-08-22 1997-03-04 Toyo Umpanki Co Ltd 横行走行可能車両の車輪駆動回路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4649A (en) * 1975-12-29 1977-07-14 Suzuki Motor Co Ltd Car steering apparatus
JPS52147834A (en) 1976-06-01 1977-12-08 Nippon Douki Kk Vehicle
US4268216A (en) * 1977-07-04 1981-05-19 Fernand Copie Load lifting and carrying machine
US4219094A (en) * 1978-11-09 1980-08-26 Rpc Corporation Straddle crane apparatus
JPS6050624B2 (ja) 1980-05-20 1985-11-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輌の操舵装置
US4498554A (en) * 1982-05-03 1985-02-12 Young Roy E Highly maneuverable prime mover
US4557346A (en) * 1984-03-16 1985-12-10 Up-Right, Inc. Steering and drive system
US4986387A (en) * 1989-08-07 1991-01-22 Teledyne Princeton, Inc. Fork-lift truck having three drive wheels with third wheel steerable
US5213143A (en) * 1991-06-06 1993-05-25 Ag-Bag Corporation Steering and propulsion mechanism for agricultural field vehicle
US5343974A (en) * 1992-07-10 1994-09-06 Rabek Jan W An electrically powered motor vehicle
US5335739A (en) * 1992-12-30 1994-08-09 Ian Pieterse Agricultural vehicle
JPH0769078A (ja) * 1993-09-02 1995-03-14 Nissan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固定構造
US5570754A (en) * 1994-02-16 1996-11-05 Stimson; Dwight S. Tractor and trailer for moving loads in confined spaces
US5924512A (en) * 1994-12-14 1999-07-20 Fuji Electric Co., Ltd. Omnidirectional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5983612A (en) * 1996-11-01 1999-11-16 Textron, Inc. Removable battery tray system for an electrically powered bunker rake
CN2297437Y (zh) * 1997-06-09 1998-11-18 山东光明机器厂 U型蓄电池组平衡重式低座椅叉车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3899A (en) 1986-07-10 1989-04-25 Ashot Ashkelon Industries Ltd. Steering apparatus
JPH0370682A (ja) * 1989-08-10 1991-03-26 Yuhshin Co Ltd 車両の横移動操舵装置
JPH0958510A (ja) * 1995-08-22 1997-03-04 Toyo Umpanki Co Ltd 横行走行可能車両の車輪駆動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06588C (zh) 2009-07-01
US20030155163A1 (en) 2003-08-21
TW579365B (en) 2004-03-11
KR20030038660A (ko) 2003-05-16
WO2002006111A1 (fr) 2002-01-24
EP1304279A1 (en) 2003-04-23
CN1450965A (zh) 2003-10-22
US6913102B2 (en) 2005-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1655B1 (ko)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
JP3995412B2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作業車両
KR100665554B1 (ko)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
JP3919429B2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作業車両
KR100700390B1 (ko)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
KR100735598B1 (ko) 가로주행 시스템을 보유한 작업차량
JP3375569B2 (ja) サイドフォーク式搬送用車両
JP3140012B2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フォークリフト
JP3121809B1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フォークリフト
JP3140013B2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フォークリフト
JP3919427B2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作業車両
JP3121806B1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フォークリフト
JP3140005B2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フォークリフト
JP3272339B2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フォークリフト
JP3403673B2 (ja) サイドフォーク式搬送用車両
JP3140014B2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フォークリフト
JP2002029446A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作業車両
JP2002274791A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作業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