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322B1 - 멸치젓에서 고농축의 칼슘분말을 추출하는 방법 및 그고농축 칼슘분말 - Google Patents

멸치젓에서 고농축의 칼슘분말을 추출하는 방법 및 그고농축 칼슘분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322B1
KR100781322B1 KR1020070036499A KR20070036499A KR100781322B1 KR 100781322 B1 KR100781322 B1 KR 100781322B1 KR 1020070036499 A KR1020070036499 A KR 1020070036499A KR 20070036499 A KR20070036499 A KR 20070036499A KR 100781322 B1 KR100781322 B1 KR 100781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cium powder
extracting
highly concentrated
powder
anchov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6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도
김정열
Original Assignee
김만도
김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도, 김정열 filed Critical 김만도
Priority to KR1020070036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13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20Fish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70Comminuted, e.g. emulsified, fish products; Processed products therefrom such as pastes, reformed or compress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578Calci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멸치젓에서 액젓을 추출하고 남은 버려지거나 사료로 사용되던 젓갈 찌꺼기를 사용하여 이를 수차례의 가공공정을 거쳐 칼슘성분이 높은 수치로 농축된 분말로 추출하는 제조방법과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해 추출된 고농축 칼슘분말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멸치젓에서 액젓을 분리하고 남은 찌꺼기를 온수와 교반한 후 건조 및 분쇄한 분말을 소성 가공하여 고농축 칼슘분말을 추출하거나, 상기 찌꺼기를 바로 소성(燒成) 가공한 후 분쇄하여 고농축 칼슘분말을 추출하거나, 상기 찌꺼기를 온수와 교반한 후 원심분리하여 용해수를 제거한 고형물을 스팀살균 공정을 거쳐 건조 및 분쇄한 후 얻어진 분말을 소성 가공하여 고농축 칼슘분말을 추출하는 방법 및 그 각각의 추출방법에 의한 고농축 칼슘분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화학적 방법에 의해 칼슘분말을 제조하는 것이 아니라 멸치젓이라는 천연식품에서 칼슘분말을 추출하여 제품 신뢰도가 높고, 액젓을 추출하고 버려지던 찌꺼기를 원재료로 사용하여 원재료의 구매비용이 삭감되며, 보다 저가의 제품을 공급할 수 있어 널리 보편화시켜 국민건강에 일조할 수 있으며, 특히, 소성 가공에 의해 칼슘성분의 함유량을 극대화하고, 나트륨 및 인 등을 대량으로 연소시켜 인체에 더욱 유익하며, 종래 멸치젓에서 추출한 칼슘분말에 미세하게 남아 있던 비린내 등의 취기도 제거할 수 있으며, 종래 칼슘분말과 동일한 양을 섭취하더라도 보다 높은 칼슘을 인체에 제공하는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멸치젓, 액젓, 찌꺼기, 분쇄, 소성 가공, 고농축, 칼슘분말

Description

멸치젓에서 고농축의 칼슘분말을 추출하는 방법 및 그 고농축 칼슘분말{Method for extracting concentrated calcium powder from pickled anchovies and highly concentrated calcium powder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고농축 칼슘분말을 추출하는 방법을 보인 개략적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례를 보인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례를 보인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추출방법에 의한 칼슘분말의 칼슘농도를 한국식품연구소에 의뢰한 결과를 보인 시험성적서
본 발명은 멸치젓에서 고농축의 칼슘분말을 추출하는 방법 및 그 고농축 칼슘분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멸치젓에서 액젓을 추출하고 남은 버려지거나 사료로 사용되던 젓갈 찌꺼기를 사용하여 이를 수차례의 가공공정을 거쳐 칼슘성분이 높은 수치로 농축된 분말로 추출하는 제조방법과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해 추출된 고농축 칼슘분말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멸치젓은 선별된 멸치를 수세한 후 숙성용기에 담은 후 숙성온도와 멸치의 선도에 따라 적정한 양의 정제식염을 혼합하여 염장하며, 염장 멸치가 담긴 숙성용기를 지하실 및 토굴이나 별도의 숙성실 등에서 1~3년간 발효 및 숙성시키는 것으로서, 멸치젓으로 바로 식용하던지, 숙성된 멸치젓을 살균 공정과 침전 및 여과공정을 거쳐 액젓으로 추출하여 사용하고, 나머지 찌꺼기는 버리거나 다양한 처리 공정을 거쳐 사료나 퇴비로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는 별도로 종래 칼슘성분이 농축된 칼슘제나 칼슘보조식품 및 칼슘보충약제는 대부분이 인위적인 화학 반응에 의해 강제적으로 생성하고 있고, 이때 여러 가공공정상에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함유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코자 일부 굴 껍질 등의 패류나 해조류 및 우유 등의 천연식품에서 추출한 청정의 무해한 칼슘제 등이 개발되어 오고 있었으나, 이들 대부분이 모두 칼슘을 추출하기 위하여 별도로 고가의 천연식품을 구매해야 하고, 복잡하고 정밀한 고가의 제반 설비를 구비해야 하며, 원재료인 천연식품의 소비량에 비해 아주 극소량의 칼슘성분만이 추출됨으로써, 칼슘제 등의 제조원가 앙등으로 인한 제품의 가격이 아주 높으므로 채산성이 낮아 작은 중소업체 등에서는 칼슘제나 칼슘보조식품 및 칼슘관련 의약제를 생산, 판매하기에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고, 높은 가격으로 인해 일반 대중에게 널리 보급하기에도 어려운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코자 본 발명자는 천연식품(=원재료)의 구매비가 거의 들지 않으면서도 적은 양으로 칼슘성분이 높게 함유된 고농축 칼슘분말을 득할 수 있는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추출된 칼슘분말을 선 특허출원(출원번호:10-2006-83097)하여 등록(특허등록 제702229호)결정을 받았는바, 상기 선 특허출원의 내용을 살펴보면 멸치젓을 액젓과 찌꺼기로 분리되도록 추출하는 분리추출단계를 거쳐서 얻어진 찌꺼기를 온수와 교반하는 교반단계를 거치고, 교반된 혼합물을 원심분리기에 투입하여 멸치의 뼈가 주성분인 고형물을 분리되게 추출하는 원심분리단계 및 고형물을 고온의 스팀으로 살균 및 소독하는 스팀살균단계를 거치며, 살균된 고형물의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단계와 건조된 고형물을 최종적으로 미세분말로 분쇄하는 분쇄단계를 거쳐서 고농축의 칼슘분말을 추출하는 방법과 그 고농축 칼슘분말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상기 추출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고농축 칼슘분말은 칼슘 외에도 무기질 성분인 인이나 나트륨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칼슘의 함유량이 낮았으며(물론 패류나 해조류 및 우유에서 추출되는 칼슘제에 비해서는 칼슘 함유량이 월등히 높음), 특히 과잉섭취 시 고혈압을 유발시키는 등 인체에 유해한 나트륨의 함유량이 높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다 칼슘의 함유량을 높이면서 상대적으로 인이나 나트륨 등의 함유량은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칼슘 추출방법의 개발이 필요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자가 선 특허출원한 멸치젓에서 고농축의 칼슘분말을 추출하는 방법을 보다 적극적으로 개량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멸치젓에서 액젓을 분리하고 남은 찌꺼기를 온수와 교반한 후 건조 및 분쇄한 분말을 소성(燒成) 가공하여 고농축 칼슘분말을 추출하거나, 상기 멸치젓에서 분리추출된 찌꺼기를 바로 소성가공한 후 분쇄하여 고농축 칼슘분말을 추출하거나, 선 특허출원한 추출방법과 동일하게 찌꺼기를 온수와 교반한 후 원심분리하여 용해수를 제거한 고형물을 스팀살균 공정을 거쳐 건조 및 분쇄하여 얻어진 분말을 소성 가공하여 고농축 칼슘분말을 추출하므로 대개가 무용(無用)한 멸치액젓의 찌꺼기를 사용하여 원재료의 구매비용을 대폭 절감함과 동시에 칼슘성분이 보다 다량으로 함유된 칼슘분말을 득할 수 있으며, 특히 분쇄된 분말을 소성 가공함으로써 칼슘과 함께 함유되어 있는 나트륨과 인 등을 대량으로 연소시켜 최종적으로 얻어진 칼슘분말을 동일한 양으로 섭취할 시 선 특허출원된 칼슘분말 보다 칼슘의 흡수를 높이면서 나트륨의 과잉섭취를 방지하여 인체에 보다 무해한 고농축 칼슘분말을 득할 수 있는 멸치젓에서 고농축의 칼슘분말을 추출하는 방법 및 그 고농축 칼슘분말을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고농축 칼슘분말을 추출하는 방법을 보인 개략적인 공정도이고,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례들을 보인 공정도로서, 상기 도면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이하에 상세히 설명토록 한다.
본 발명은 도 1에서와 같이 통상적으로 세척된 멸치 75중량%에 정제염 25중 량%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1~3년 정도 발효 및 숙성시킨 멸치젓을 멸치액젓과 찌꺼기로 분리 추출하되,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액젓과 찌꺼기로 분리 추출하거나 통상적인 액젓 추출방법인 침전 및 여과공정을 거쳐 액젓을 추출하면서 찌꺼기를 별도로 분리 추출하고, 상기 액젓이 분리되고 남은 버려지는 찌꺼기를 70~80℃의 온수와 중량비로 5:5로 교반기에 투입하여 교반하며, 교반된 찌꺼기와 온수 혼합물을 건조시킨 다음 미세분말로 분쇄하며, 미세분말을 각종 식품분석에 사용되는 전기로에서 600~800℃로 12시간 정도 가열하는 소성(燒成) 가공 후에 각종 용기에 내입 포장하거나 사용 용도에 따라 소성 가공된 미세분말 자체를 그대로 사용하면 되는 고농축의 칼슘분말을 추출하는 방법 및 그 고농축 칼슘분말에 관한 것이다. 이때 건조 후 분쇄된 미세분말을 전기로에서 소성 가공할 시 별도의 용기에 정량을 투입하여 전기로 내부에 넣어 가열함이 바람직하고, 또 소성 가공에 의해 미세분말을 살균 및 소독하는 기능도 겸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건조 방법은 상온에서 자연건조하거나 별도의 건조기를 사용하여 동결건조 및 열풍건조 등의 방식으로 건조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통상적인 방법에 해당하므로 별도로 보다 상세한 기술은 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한 추출방법에 의하면 종래 본 발명자가 선 특허출원한 고농축의 칼슘분말을 추출하는 방법에 비하여 제조공정이 현저히 줄어들면서도 칼슘성분의 함유량은 월등히 높고, 소성 가공 시 칼슘(Ca)에 비해 끊는점이 낮은 나트륨(Na) 및 인(P)은 다량이 연소되는 것(보통 칼슘의 끊는점은 1400℃ 내외이고, 나트륨의 끊는점은 800℃정도이며, 인의 끊는점은 300℃ 정도이다)이며, 도 4의 시험성적서는 한국식품연구소에 본 발명의 추출방법에 의해 추출된 칼슘분말의 성분 분석을 의뢰한 것으로서, 선 특허출원건과 본 발명의 칼슘분말에 함유된 칼슘, 인, 나트륨의 성분을 비교하여 보면 아래 표와 같다.
본 발명자의 선 특허출원 본 발명
칼슘(Ca) 18019.9 mg/100g 37700 mg/100g
인(P) 9673.5 mg/100g 8800 mg/100g
나트륨(Na) 1240 mg/100g 284.2 mg/100g
통상 멸치 100g에 칼슘이 약 500mg이 함유되어 있는 것에 반하여 상기 표 1에서 본 발명자의 선 특허출원은 아주 높은 칼슘 함유량을 나타내지만,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칼슘분말은 선 특허출원에 비해 칼슘의 함유량이 2배 이상 늘어나고, 상대적으로 인이나 나트륨의 함유량은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으로 전체 제조공정을 줄이면서도 칼슘성분은 극대화시키고, 칼슘과 같이 함유되어 있던 인이나 나트륨의 함유량을 현저하게 줄여서 칼슘섭취를 높이기 위해 다량으로 칼슘분말을 복용하더라도 과잉복용 시 고혈압을 유발시키는 등의 유해한 성분인 나트륨 등의 섭취는 상대적으로 줄이므로 인체에 보다 유익한 효능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방법 외에 도 2에서와 같이 다른 실례로 통상적으로 세척된 멸치 75중량%에 정제염 25중량%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1~3년 정도 발효 및 숙성시킨 멸치젓을 멸치액젓을 분리 추출하고 남은 찌꺼기를 교반이나 건조공정 없이 바로 전기로에서 600~800℃로 12시간 정도 가열하는 소성(燒成) 가공 후에 이를 미세분말로 분쇄하고, 이후 소성 가공 후 분쇄된 미세분말을 각종 용기에 내입 포장하거나 사용 용도에 따라 미세분말 자체를 그대로 사용토록 하는 방법으로 고농축 칼슘분말을 추출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술한 선 특허출원의 방법에 의해 추출된 고농축 칼슘분말을 포장하기 전에 상기한 소성 가공공정을 부가하여 칼슘의 함유량을 대폭 향상시킬 수도 있는 것으로서,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통상적으로 세척된 멸치 75중량%에 정제염 25중량%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1~3년 정도 발효 및 숙성시킨 멸치젓을 원심분리기에 의해서나 침전 및 여과공정을 거쳐 멸치액젓과 찌꺼기로 분리 추출하고, 상기 액젓이 분리되고 남은 버려지는 찌꺼기를 70~80℃의 온수와 중량비로 5:5로 교반기에 투입하여 교반하며, 교반된 찌꺼기와 온수 혼합물을 재차 원심분리기에 투입하여 작동시켜 멸치의 껍질, 살, 유분 등이 용해된 용해수와 뼈가 주요 구성성분인 고형물로 분리되어 추출되도록 하며, 이후 통상의 스팀살균기에 상기 고형물을 투입하여 스팀살균기 내부 온도를 150~200℃ 범위 내로 조작 후 15분 전후로 가온시켜 스팀살균되게 하며, 살균 처리된 고형물을 건조시킨 후 미세분말로 분쇄한 다음, 미세분말을 전기로에서 600~800℃로 12시간 정도 가열하는 소성(燒成) 가공 후에 각종 용기에 내입 포장하거나 사용 용도에 따라 소성 가공된 미세분말 자체를 그대로 사용하면 되는 것으로 하기 실시예들에 의해서 상기한 전체 제조방법을 보다 세분화시켜 설명토록 한다.
<실시예 1>
공정 1 : 상온에서 1년간 발효 및 숙성된 멸치젓을 구비한다.
공정 2 : 멸치젓을 원심분리기에 투입하면서 원심분리기를 가동시키면 원심분리작용에 의해 멸치젓이 찌꺼기와 액젓으로 분리되어 얻어진다.
이때 멸치젓을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액젓과 찌꺼기로 분리 추출하는 방법 대신 통상적인 침전 및 여과공정을 통하여 액젓을 추출하면서 별도로 찌꺼기를 분리해 낼 수도 있고, 상기 추출된 액젓은 상품으로 출하하기 위한 별도의 포장장치 등으로 공급하면 되는 것이다.
공정 3 : 상기 찌꺼기와 70~80℃의 온수를 5:5의 중량비로 교반기에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하여 준다.
공정 4 : 찌꺼기와 온수 혼합물을 자연건조나 동결건조 및 열풍건조 중 택일하여 함습된 수분을 제거한다.
공정 5 : 건조 후 미세분말로 잘게 분쇄한다. 이때 상기 분쇄되는 미세분말의 입자 크기는 보통 밀가루 정도의 크기지만, 그 사용 용도와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일정한 크기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공정 6 : 미세분말을 각종 식품분석에 사용되는 전기로에서 700℃로 12시간 정도 가열하는 소성(燒成) 가공을 행하여 최종 칼슘분말을 추출한다. 이때 상기 소성 가공에 의해 미세분말을 살균 및 소독하는 기능도 겸하게 되는 것이다.
공정 7 : 상기 칼슘분말을 별도의 용기 등에 넣어 포장하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칼슘분말을 칼슘제 및 칼슘보조제로 하여 그대로 섭취하거나 다른 음식이나 약을 만들 때 칼슘을 보충하는 양념 및 재료로 사용해도 되고, 환(丸)이나 수용액 등의 다른 형태로 변형시켜 복용 및 음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실시예 2>
공정 1 : 상온에서 1년간 발효 및 숙성된 멸치젓을 구비한다.
공정 2 : 멸치젓을 원심분리기에 의해서나 침전 및 여과공정을 거쳐 멸치액젓과 찌꺼기로 분리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액젓은 상품으로 출하하기 위한 별도의 포장장치 등으로 공급한다.
공정 3 : 상기 찌꺼기를 전기로에서 800℃로 11시간 가열하는 소성(燒成) 가공을 행한다.
공정 4 : 소성 가공된 찌꺼기를 미세분말로 잘게 분쇄하여 최종 칼슘분말을 추출한다. 이때 역시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미세분말의 입자 크기를 보통 밀가루 정도의 크기로 분쇄하지만, 사용 용도와 기능에 따라 다양하므로 일정한 크기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공정 5 : 상기 칼슘분말을 별도의 용기 등에 넣어 포장하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칼슘분말을 칼슘제 및 칼슘보조제로 하여 그대로 섭취하거나 다른 음식이나 약을 만들 때 칼슘을 보충하는 양념 및 재료로 사용해도 되고, 환(丸)이나 수용액 등의 다른 형태로 변형시켜 복용 및 음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실시예 3>
공정 1 : 상온에서 1년간 발효 및 숙성된 멸치젓을 구비한다.
공정 2 : 멸치젓을 원심분리기에 의해서나 침전 및 여과공정을 거쳐 멸치액젓과 찌꺼기로 분리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액젓은 상품으로 출하하기 위한 별도의 포장장치 등으로 공급하면 되는 것이다.
공정 3 : 상기 찌꺼기와 70~80℃의 온수를 5:5의 중량비로 교반기에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하여 준다.
공정 4 : 상기 교반기에서 교반된 찌꺼기와 온수 혼합물을 둘째공정에서와 같이 원심분리기에 투입하여 원심분리시키면 멸치의 뼈가 주요 구성성분인 고형물과 교반 시에 멸치의 껍질, 살, 유분 등이 용해된 용해수가 분리되어 얻어진다.
공정 5 : 상기 용해수는 하수로 버리던지 사료 및 퇴비화시켜 별도로 사용하고, 용해수와 별도로 얻어진 고형물은 내부 온도가 150~200℃ 범위인 통상의 스팀살균기에 넣어 15분 정도 가온하여 살균 및 소독을 행한다.
공정 6 : 스팀으로 살균된 고형물을 자연건조나 동결건조 및 열풍건조 중 택일하여 고형물에 함습된 수분을 제거한다.
공정 7 : 건조된 고형물을 미세분말로 잘게 분쇄한다. 이때 역시 실시예 1 내지 2에서와 같이 미세분말의 입자 크기를 보통 밀가루 정도의 크기로 분쇄하지만, 사용 용도와 기능에 따라 다양하므로 일정한 크기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공정 8 : 상기 미세분말을 전기로에서 750℃로 12시간 가열하는 소성(燒成) 가공을 행하여 최종 칼슘분말을 추출한다.
공정 9 : 상기 칼슘분말을 별도의 용기 등에 넣어 포장하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칼슘분말을 칼슘제 및 칼슘보조제로 하여 그대로 섭취하거나 다른 음식이나 약을 만들 때 칼슘을 보충하는 양념 및 재료로 사용해도 되고, 환(丸)이나 수용액 등의 다른 형태로 변형시켜 복용 및 음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멸치젓에서 고농축의 칼슘분말을 추출하는 방법 및 그 고농축 칼슘분말은 천연식품인 멸치젓에서 액젓을 추출하고 남은 무용자원인 찌꺼기를 온수와 교반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건조 및 분쇄한 후 소성 가공하여 고농축의 칼슘분말 추출하거나, 상기 찌꺼기를 바로 소성 가공한 후 분쇄하여 추출하거나, 상기 찌꺼기를 온수와 교반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고형물과 용해수를 원심분리시키고, 고형물을 스팀살균 후 건조 및 분쇄하여 고농축의 칼슘분말을 추출한 것으로서, 화학적 방법에 의해 칼슘분말을 제조하는 것이 아니라 멸치젓이라는 천연식품에서 칼슘분말을 추출하여 제품 신뢰도가 높고, 액젓을 추출하고 버려지던 찌꺼기를 원재료로 사용하여 원재료의 구매비용이 삭감되므로 제조단가를 절감시키며, 제조 공정상에서 인위적인 화학 반응제 등을 사용하지 않으며 제조 공정 등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이 역시 제조단가를 절감시키므로 칼슘분말을 제조하는데 드는 비용을 절감함에 따라 경제적으로 매우 효과적이며 영세 중소업체에서도 제조 및 판매가 가능하며, 보다 저가의 제품을 공급할 수 있어 널리 보편화시켜 국민건강에 일조할 수 있으며, 칼슘성분이 고농축으로 함유된 칼슘분말을 제공하여 소량의 칼슘분말로도 높은 칼슘 섭취률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소성 가공에 의해 칼슘성분의 함유량을 극대화하고, 나트륨 및 인 등을 대량으로 연소시켜 인체에 더욱 유익하며, 종래 멸치젓에서 추출한 칼슘분말에 미세하게 남아 있던 비린내 등의 취기도 제거할 수 있으며, 종래 칼슘분말과 동일 한 양을 섭취하더라도 보다 높은 칼슘을 인체에 제공하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Claims (6)

  1. 상온에서 1~3년간 발효 및 숙성된 멸치젓을 액젓과 찌꺼기로 분리되도록 추출하는 분리추출단계와,
    상기 찌꺼기와 70~80℃의 온수를 5:5의 중량비로 교반하는 교반단계와,
    교반된 찌꺼기와 온수 혼합물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단계, 및 건조 후 미세분말로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미세분말을 600~800℃에서 12시간 가열하는 소성(燒成) 가공단계를 거쳐 고농축의 칼슘분말을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치젓에서 고농축의 칼슘분말을 추출하는 방법.
  2.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축 칼슘분말.
  3. 상온에서 1~3년간 발효 및 숙성된 멸치젓을 액젓과 찌꺼기로 분리되도록 추출하는 분리추출단계와,
    상기 찌꺼기를 600~800℃에서 12시간 가열하는 소성(燒成) 가공단계와,
    소성 가공된 찌꺼기를 미세분말로 분쇄하는 분쇄단계를 거쳐 고농축의 칼슘분말을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치젓에서 고농축의 칼슘분말을 추출하는 방 법.
  4. 제3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축 칼슘분말.
  5. 상온에서 1~3년간 발효 및 숙성된 멸치젓을 액젓과 찌꺼기로 분리되도록 추출하는 분리추출단계와,
    상기 찌꺼기와 70~80℃의 온수를 5:5의 중량비로 교반하는 교반단계와,
    교반된 찌꺼기와 온수 혼합물을 원심분리기에 투입하여 원심분리 후 멸치의 뼈가 주성분인 고형물과 교반 시에 멸치의 껍질, 살, 유분이 용해된 용해수를 분리되도록 추출하는 원심분리단계와,
    원심분리된 고형물을 150~200℃의 온도 범위 내에서 15분 동안 스팀으로 가온하여 살균 및 소독하는 스팀살균단계와,
    스팀으로 살균된 고형물에 함습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단계 및 건조된 고형물을 미세분말로 분쇄하는 분쇄단계를 거쳐 고농축의 칼슘분말을 추출하는 종래 멸치젓에서 고농축의 칼슘분말을 추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쇄단계 후의 미세분말을 600~800℃에서 12시간 가열하는 소성(燒成) 가공단계를 거쳐 고농축의 칼슘분말을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치젓에서 고농축의 칼슘분말을 추출하는 방법.
  6. 제5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축 칼슘분말.
KR1020070036499A 2007-04-13 2007-04-13 멸치젓에서 고농축의 칼슘분말을 추출하는 방법 및 그고농축 칼슘분말 KR100781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499A KR100781322B1 (ko) 2007-04-13 2007-04-13 멸치젓에서 고농축의 칼슘분말을 추출하는 방법 및 그고농축 칼슘분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499A KR100781322B1 (ko) 2007-04-13 2007-04-13 멸치젓에서 고농축의 칼슘분말을 추출하는 방법 및 그고농축 칼슘분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1322B1 true KR100781322B1 (ko) 2007-12-03

Family

ID=39139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499A KR100781322B1 (ko) 2007-04-13 2007-04-13 멸치젓에서 고농축의 칼슘분말을 추출하는 방법 및 그고농축 칼슘분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13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362B1 (ko) 2008-12-24 2011-11-02 씨제이제일제당 (주) 액젓 조미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61481B1 (ko) * 2011-04-22 2013-05-10 지에스피주식회사 고농축의 칼슘분말이 도포된 김의 제조방법 및 칼슘분말이 도포된 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 제2006-102305호(2006.09.27.)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362B1 (ko) 2008-12-24 2011-11-02 씨제이제일제당 (주) 액젓 조미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61481B1 (ko) * 2011-04-22 2013-05-10 지에스피주식회사 고농축의 칼슘분말이 도포된 김의 제조방법 및 칼슘분말이 도포된 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68256B (zh) 从传染性有机废料制备非传染性产品的方法
KR101259277B1 (ko) 양배추를 이용한 건강 음료 제조방법 및 그 장치
JP4599426B2 (ja) ニンニクを主成分とする健康食品の製造方法
US6342252B1 (en) Process for producing a bio-organic calcium composition and nutrient agent containing the same
KR100702229B1 (ko) 멸치젓에서 고농축의 칼슘분말을 추출하는 방법 및 그고농축 칼슘분말
JP2005143480A (ja) 米糠や大豆オカラやビール粕等の産業廃棄物の製法
KR100781322B1 (ko) 멸치젓에서 고농축의 칼슘분말을 추출하는 방법 및 그고농축 칼슘분말
KR20170089268A (ko) 갑각류 분말의 제조방법
KR100819491B1 (ko) 유해성분이 제거된 유황의 제조방법
KR101036325B1 (ko) 미네랄 강화 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19689A (ko) 고농축의 칼슘분말이 도포된 김의 제조방법 및 칼슘분말이 도포된 김
KR102085436B1 (ko) 생누에를 이용한 식품원료의 가공방법
CN105380124A (zh) 一种含硒活性物质动物肝粉的制作方法
KR20010002401A (ko) 황소개구리를 주재로하는 건강보조음료 및 그 제조방법
Awogbemi et al. Pathways for sustainable utilization of waste chicken eggshell
CN113679044B (zh) 一种不含大蒜素的可食用型大蒜提取物及其制备方法
WO2012144708A1 (ko) 멸치젓에서 고농축의 칼슘분말을 추출하는 방법 및 그 고농축 칼슘분말
KR100458033B1 (ko) 돈족을 주제로한 건강식 음료의 제조방법
JP3056201B1 (ja) 鰻又は穴子の骨を原料とする微粉末栄養補給剤の製造方法
CN105941852A (zh) 一种改善体脂组成猪饲料添加剂
CN1846714A (zh) 一种鱼的加工方法
CN106578083B (zh) 裙带菜孢子叶饮料及其加工工艺
JP2006290776A (ja) 有害物質の吸着除去剤、飲食品又は飼料
CN105995098A (zh) 一种改善日粮能量猪饲料添加剂
KR101582658B1 (ko) 석화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