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158B1 - 카메라 및 촬영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및 촬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158B1
KR100781158B1 KR1020050030946A KR20050030946A KR100781158B1 KR 100781158 B1 KR100781158 B1 KR 100781158B1 KR 1020050030946 A KR1020050030946 A KR 1020050030946A KR 20050030946 A KR20050030946 A KR 20050030946A KR 100781158 B1 KR100781158 B1 KR 100781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means
image
area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7792A (ko
Inventor
후지사키 히로히사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67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7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시 또는 촬영 전후에 있어서, 촬영화상의 전체와 그 촬영화상의 초점상태 등을 동시에 양호하게 확인할 수 있는 카메라 및 촬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통의 피사체에 대해서 각각 개별로 표시하는 것과 함께, 적어도 표시영역이 각각 개별로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표시수단을 가지는 카메라로서, 복수의 표시수단의 하나의 표시수단인 제 1 표시수단과, 북수의 표시수단의 다른 하나의 표시수단으로 상기 피사체에 대해서 제 1 표시수단의 표시상태와는 적어도 다른 배율 또는 표시범위에서 표시하는 제 2 표시수단을 가지며, 제 1 표시수단과 제 2 표시수단은 쌍방의 표시영역에 대해서, 동시에 눈으로 확인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카메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및 촬영방법 {Camera and photograph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카메라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카메라의 퀵 표시기능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카메라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카메라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제 1 표시수단 1a: 일부 영역
2: 제 2 표시수단 3: 셔터 버튼
4: 십자 키 5: 키 입력부
6: 제어부 7: 촬상수단
8: ROM 9: RAM
10: 카메라 본체 11: VRAM
15: 팝업부 21: 제 1 본체부
22: 제 2 본체부 23: 연결부
24: 렌즈 31: 본체부
32: 슬라이드부 100, 200, 300: 디지털 카메라
본 발명은 카메라 및 촬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촬영 화상의 전체 및 초점위치의 양방을 양호하게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 및 촬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기록 모드와 재생 모드가 있다.기록 모드로서 피사체를 촬영한 후에 초점확인을 하는 경우, 촬영화상의 기록 보존이 끝난 후에 재생 모드로 전환하고, 그 재생화상을 확대하여 모니터 표시한다. 이 초점확인에 있어서, 핀트가 맞지 않아 화상이 흐려졌다고 판단했을 때는 다시 기록 모드로 전환하여 다시 촬영하는 절차를 밟을 필요가 있다.
이러한 수고를 삭감하기 위해, 일본특허공개 평11-196301호 공보에서는, 촬영 전에 CCD(Charge Coupled Device) 등 촬상소자가 입력한 화상 또는 촬영 후의 촬영화상 중, 포커스 테두리 내의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전자 카메라 장치를 고안하였다. 또, 일본특허공개 평11-196301호 공보에서는, 포커스 테두리가 화면 중앙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촬영자의 키 조작에 의해 촬영화상의 임의의 개소에 포커스 테두리를 이동할 수 있는 것도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특허공개 평11-196301호 공보에 기재된 전자 카메라 장치에서는, 촬영화상의 초점확인 및 카메라 흔들림 확인은 가능하지만, 촬영 화상의 전체 및 초점(또는 카메라 흔들림) 양자를 동시에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일본특허공개 평11-196301호 공보에 기재된 전자 카메라 장치는, 촬영화상의 전체(전체 화상)와 초점 등을 확인하기 위한 확대 화상을 하나의 표시부에 표시한다. 따라서, 표시부에 전체 화상을 표시할 때는 확대 화상의 표시가 불가능하고, 표시부에 확대 화상을 표시할 때는 전체 화상의 표시가 불가능하다.
또, 일본특허공개 평11-196301호 공보에서는, 표시부의 표시영역에 전체적으로 전체 화상을 표시시키면서 그 표시영역의 일부에 전체 화상에 겹치도록 확대 화상을 표시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서도, 전체 화상의 일부가 확대 화상에 의해 숨어 버리므로, 촬영화상의 전체 및 초점(또는 카메라 흔들림) 양자를 동시에 확인할 수 없다. 또한, 표시부의 표시영역의 일부에 확대 화상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하면, 확대 화상의 표시영역이 어떻게 해도 작아져 버리게 되고, 이 작은 표시영역의 확대 화상에서는, 초점 등을 양호하게 확인하는 것은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한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촬영시 또는 촬영 전후에, 촬영화상의 전체와 그 촬영화상의 초점상 태 등을 동시에, 또한 양호하게 확인할 수 있는 카메라 및 촬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카메라는, 피사체의 촬상화상을 표시하는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촬상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을 가지는 제 1 표시수단과, 상기 제 1 표시수단과 일체 또는 자유롭게 계합(係閤)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촬상화상을 상기 제 1 표시수단의 표시상태와 다른 배율로 표시하는 표시영역을 가지는 제 2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표시수단의 표시영역 및 상기 제 2 표시수단의 표시영역이 필요에 따라 동시에 눈으로 확인 가능한 배치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표시수단의 각각에 피사체를 다른 표시상태에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 1 표시수단으로 피사체의 전체 화상을 표시하고, 제 2 표시수단으로 그 전체 화상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복수의 표시수단의 제 1 표시수단과 제 2 표시수단은 동시에 눈으로 확인 가능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촬상수단의 출력 등이 이루는 촬영화상의 전체(전체 화상)와 그 촬영화상의 초점상태 등을 동시에 또한 양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상기 제 1 표시수단이 촬영 범위의 전체(전체 화상)를 표시하는 것이고, 상기 제 2 표시수단이 상기 촬영 범위의 일부를 확대(확대 화상)하여 표시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촬영자 등이 전체 화상과 그 전체 화상의 일부의 확대 화 상을 동시에 눈으로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자는 제 1 표시수단의 전체 화상에 기초하여 프레임(촬영 범위)을 조정하면서, 제 2 표시수단의 확대 화상에 기초하여 초점 및 카메라 흔들림 등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양호하게 프레임을 맞추면서, 핀트가 맞지 않음으로 인한 화상의 흐려짐 및 카메라 흔들림 등을 양호하고 간편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카메라는, 셔터 조작에 응하여 상기 피사체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수단을 가지고, 상기 제 1 표시수단은, 셔터 조작시에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영된 화상인 확인화상의 전체를 표시하는 퀵(quick) 표시기능을 가지며, 상기 제 2 표시수단은, 상기 확인화상의 일부 영역 또는 초점영역에 대해서 확대하여 표시하는 초점확인 표시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표시수단의 퀵 표시기능에 의해 촬영된 확인화상의 전체를 표시할 수 있고, 제 2 표시수단의 초점확인 표시기능에 의해 확인화상의 일부 영역을 확대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확대 표시하는 일부 영역은, 피사체의 핀트를 맞추는 영역인 초점영역이어도 되고, 초점영역 이외이어도 된다. 이들에 의해, 촬영 후의 확인화상의 일부를 상세하게 확인하면서, 동시에 확인화상의 전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촬영된 확인화상이 원하는 프레임으로 맞추어졌는지와, 핀트가 맞지 않음으로 인한 화상의 흐려짐 및 카메라 흔들림 등이 없는지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카메라는, 셔터 조작에 응하여 상기 피사체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수단을 가지고, 상기 제 1 표시수단은, 상기 촬상수단에 의한 촬영 전에, 상기 촬상수단이 출력하는 생(라이브)화상을 표시하는 라이브 표시기능을 가지며, 상기 제 2 표시수단은, 상기 생화상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생화상 확대 표시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표시수단의 라이브 표시기능에 의해, 현재의 촬영상태를 촬영영역 전체로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현재의 촬영상태의 프레임 맞춤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 2 표시수단의 생화상 확대 표시기능에 의해, 현재의 촬영상태를 촬영영역의 일부 확대 화상으로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현재의 촬영상태의 초점 등을 양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촬영 직전에 생화상의 일부를 상세하게 확인하면서, 동시에 생화상의 전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카메라는 현재, 원하는 프레임을 맞추면서 원하는 초점으로 되어 있는지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셔터 조작을 받아 상기 피사체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표시수단은, 상기 기록수단으로 기록되어 있는 화상인 재생화상의 전체를 표시하는 재생 표시기능을 가지며, 상기 제 2 표시수단은, 상기 재생화상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재생화상 확대 표시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표시수단의 재생 표시기능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재생화상의 전체를 표시할 수 있다. 또, 제 2 표시수단의 재생화상 확대 표시기능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재생화상의 일부를 확대 화상으로서 표시할 수 있다. 이들 에 의해, 이미 기록되어 있는 재생화상의 일부를 상세하게 확인하면서, 동시에 그 재생화상의 전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카메라는, 과거에 촬영한 대량의 재생화상 등에 대하여 원하는 프레임을 맞추면서 원하는 초점으로 되어 있는지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상기 제 2 표시수단이 상기 제 1 표시수단으로 표시되어 있는 화상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과 함께, 당해 일부 영역에 대해서 스크롤 표시하는 스크롤 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 표시수단의 스크롤 기능에 의해, 피사체의 전체 화상의 확대 표시하는 영역(일부 영역)을 전체 화상의 영역 내에서 상하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체 화상을 전체적으로 확인하면서, 동시에 그 전체화상의 각 부위에 대하여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롤 기능의 스크롤 동작은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되고, 촬영자의 키 조작에 따라 상하 좌우로 스크롤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상기 제 2 표시수단이 상기 제 1 표시수단으로 표시되어 있는 화상영역을 분할하여 복수의 분할영역으로 하는 것과 함께, 당해 복수의 분할영역의 하나의 영역을 선택하여, 당해 영역의 화상을 확대 표시하는 분할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 표시수단의 분할기능에 의해, 피사체의 전체 화상의 일부영역을 확대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표시수단은 각 분할 영역에 대해서 스크롤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체 화상을 전체적 으로 확인하면서, 동시에 그 전체 화상의 각 부위에 대하여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상기 제 2 표시수단이 당해 제 2 표시수단의 표시배율을 변경하는 배율 변경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표시수단으로 양호하게 프레임 맞춤 확인을 하면서, 동시에 제 2 표시수단에서 고정밀도로 핀트가 맞지 않음으로 인한 화상의 흐려짐 및 카메라 흔들림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상기 제 1 표시수단 또는 제 2 표시수단이, 표시영역을 카메라 본체 내에 배치하는 수납부와, 상기 표시영역을 카메라 본체 밖으로 이동시키는 팝업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어 촬영을 하지 않을 때에는 제 1 또는 제 2 표시수단을 카메라 본체 내에 수납할 수 있고, 운반 등에 편리한 콤팩트 상태로 할 수 있다. 또, 촬영시 또는 기록화상 재생시 등에는, 제 1 또는 제 2 표시수단의 표시영역을 카메라 본체 내에서 밖으로 꺼낼 수 있고, 양호하게 프레임을 맞추면서 핀트가 맞지 않음으로 인한 화상의 흐려짐 및 카메라 흔들림 등을 양호하고 간편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상기 제 2 표시수단이, 상기 스크롤 기능으로 스크롤 표시하는 영역과 상기 분할기능으로 확대 표시하는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상기 화상영역 내를 자동적으로 이동하도록 표시시키는 자동이동 표시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체 화상을 전체적으로 확인하면서, 동시에 자동적으로 그 전체화상의 각 부위에 대해서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상기 제 2 표시수단이 상기 스크롤 기능으로 스크롤 표시하는 영역과 상기 분할기능으로 확대 표시하는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 (십자)키 조작에 따라 상기 화상영역 내에서 이동시키는 키 이동 표시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체 화상을 전체적으로 확인하면서, 동시에 그 전체 화상에서의 촬영자의 원하는 부분을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는, 상기 팝업부가 셔터가 조작된 직후에 상기 표시영역을 카메라 본체 밖으로 밀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촬영 직전까지 콤팩트 카메라 외형을 유지하면서, 촬영 직후는 원하는 프레임으로 맞추어졌는지 여부, 핀트가 맞지 않음으로 인한 화상이 흐려졌는지 여부, 및 카메라 흔들림 등이 없는지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촬영방법은, 피사체의 촬영 범위의 전부를 제 1 표시수단에 표시하고, 상기 촬영범위의 일부를 확대하여 제 2 표시수단에 표시하며, 상기 제 1 표시수단의 표시와 상기 제 2 표시수단의 표시를 한 방향에서 동시에 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하여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촬영자는 제 1 표시수단에 의해 촬영범위의 전부(프레임)를 확인할 수 있고, 동시에 제 2 표시수단에 의해 촬영범위의 일부를 상세하게 확 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프레임 맞춤, 초점, 카메라 흔들림 등을 간편하고 신속ㅇ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카메라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카메라의 일례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100)는 카메라 본체(10)와 팝업부(15)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팝업부(15)는 카메라 본체(10) 내의 수납부에 수납도 가능하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10) 밖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그리고, 팝업부(15)는 셔터 버튼(3)이 눌려진 직후에, 카메라 본체(10) 내의 수납부에서 카메라 본체(10) 밖으로 튀어나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팝업부(15)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 밖에 배치된 채로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00)는 제 1 표시수단(1), 제 2 표시수단(2), 셔터 버튼(3), 십자 키(4), 키 입력부(5), 제어부(6), 촬상수단(7), ROM(8), RAM(9) 및 VRAM(11)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표시수단(1)은 팝업부(15)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제 2 표시수단(2), 셔터 버튼(3), 십자 키(4), 키 입력부(5), 제어부(6), 촬상수단(7), ROM(8), RAM(9) 및 VRAM(11)은 카메라 본체(10)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표시수단(1) 및 제 2 표시수단(2)은 공통의 피사체에 대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표시하는 것이다. 즉, 제 1 표시수단(1) 및 제 2 표시수단(2)은 촬상수단(7)이 도입한 피사체의 화상을 각각 개별로 표시한다. 그리고, 제 1 표시수단(1)의 표시영역과 제 2 표시수단(2)의 표시영역은 개별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 1 표시수단(1)과 제 2 표시수단(2)은 서로 공통의 피사체에 대하여 다른 상태로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상태란, 피사체에 대한 표시배율, 표시범위(전신, 얼굴만 등) 등을 말한다. 또, 제 1 표시수단(1)과 제 2 표시수단(2)은 촬영자가 제 1 표시수단(1) 및 제 2 표시수단(2)의 쌍방의 표시영역에 대해서, 촬영자가 동시에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배치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제 1 표시수단(1)은 디지털 카메라(100)의 촬영 범위의 전체, 즉 촬상수단(7)이 도입한 화상 전체를 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 1 표시수단(1)의 표시영역은 카메라 본체(10)의 상방 및 배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표시수단(1)의 표시영역은 카메라 본체(10)의 배면측에 배치되면 된다. 즉, 제 1 표시수단(1)의 표시영역이 카메라 본체(10)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제 1 표시수단(1)의 표시영역은 카메라 본체(10)의 하방에 배치되어도 된다. 제 1 표시수단(1)은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EL(Electro Luminescence)표시장치 또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등으로 구성한다.
제 2 표시수단(2)은 디지털 카메라(100)의 촬영범위의 일부, 즉 촬상수단(7) 이 도입한 화상 전체의 일부를 표시수단(1)의 표시배율보다도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표시수단(2)의 표시영역은 카메라 본체의 배면에 배치되어 있다.
셔터 버튼(3)은 촬영시에 눌려지는 버튼으로, 촬상수단(7)에 대한 촬영지령을 출력하는 것이다. 십자 키(4)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촬영상태 등에 대한 각종의 설정을 하는 것이다. 또한, 십자 키(4)는, 촬영범위 중 제 2 표시수단(2)으로 표시시키는 부분을 상하 좌우로 이동시키는 스크롤 동작을 제어하는 키도 된다. 이 스크롤 기능은 제 2 표시수단(2)이 가지고 있다.
또한, 제 1 표시수단(1)은, 촬영범위 중 제 2 표시수단(2)으로 확대 표시되는 일부 영역(1a)을 직사각형의 선 등으로서 표시할 수 있다. 이 일부 영역(1a)은 피사체의 핀트를 맞추는 영역인 초점영역일 수도 있다. 또, 일부 영역(1a)은 표시수단(1)의 표시영역의 중앙에 고정 배치해도 되고, 십자 키(4)의 조작에 따라 상하 좌우로 이동(스크롤)할 수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키 입력부(5)는 셔터 버튼(3) 및 십자 키(4)의 출력신호를 제어부(6)에 전달하는 것이다.
제어부(6)는 디지털 카메라(1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6)는 촬상 처리부 및 화상 처리부로서 기능한다. 제어부(6)가 이루는 촬상 처리부는, CCD 등으로 이루어지는 촬상수단(7)의 출력인 아날로그 신호에 대해서 게인(gain)을 제어하고, 또, 그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제어부(6)가 이루는 화상 처리부는, 상기 디지털 신호에 대해서 R, G, B의 각 색 성분의 레벨 변환, 보간처리, 감마 보정, 가장자리 강조, 화이트 밸런스, 압축ㅇ 신장 처 리 등을 행한다.
촬상수단(7)은 예를 들어, 줌 렌즈, 조리개, 초점렌즈 및 CCD 등의 촬상소자로 이루어진다. 줌 렌즈 및 초점렌즈의 위치는 제어부(6)에 의해 제어되고, 조리개의 개방도도 제어부(6)에 의해 제어된다. CCD의 동작도 셔터 버튼(3)으로부터 촬영지령을 받은 제어부(6)가 제어한다. 따라서, 촬영 수단(7)은 셔터 버튼(3)이 눌려짐으로써, 피사체의 화상을 촬상한다. 촬상수단(7)의 줌 렌즈, 조리개 및 초점렌즈 등은 도 1의 카메라 본체(10)의 정면측, 즉 카메라 본체(10)의 제 2 표시수단(2)의 반대쪽으로 배치되어 있다.
ROM(8)은 제어부(6)의 동작을 규정하는 프로그램 등을 기억하는 불휘발성의 메모리이다. 또한, ROM(8)은 촬상수단(7)에서 촬상되어 제어부(6)에서 화상 처리된 화상데이터도 기록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RAM(9)은 제어부(6)의 워크영역 등이 되는 판독 기입 가능한 메모리이다. 또, RAM(9)에는 촬상수단(7)에서 촬상되어 제어부(6)에서 화상 처리된 화상 데이터도 기록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00)는, 촬상수단(7)에서 촬상되어 제어부(6)에서 화상 처리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록 미디어를 자유롭게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할 수도 있다. 기록 미디어로서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등을 적용할 수 있다. VRAM(Video RAM)(11)은, 촬상수단(7)이 도입한 화상의 신호로서, 제어부(6)에 의해 컴포넌트 컬러 비디오 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일차 기억하는 것이다. VRAM(11)에 기억된 신호는 제 1 표시수단(1) 및 제 2 표시수단(2)에 각각 공급된다. 그리고, 제 1 표시수단(1) 및 제 2 표시수단(2)은 각각 촬상수단(7)이 도입 한 화상에 대해서 모니터 표시할 수 있다.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100)의 각종 기능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퀵 표시기능)
제 1 표시수단(1)은 셔터 버튼(3)이 눌려져 촬상수단(7)에 의해 촬영된 화상인 확인화상의 전체를 그 촬영이 이루어진 직후에 표시하는 퀵 표시기능을 가진다. 제 2 표시수단(2)은 그 촬영이 이루어진 직후에 제 1 표시수단(1)이 표시하는 확인 화상의 일부 영역(1a)에 대해서 확대하여 표시하는 초점확인 표시기능을 가진다.
이들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100)는 촬영이 행해진 직후에 촬영된 확인 화상의 전체를 제 1 표시수단(1)으로 표시할 수 있고, 동시에 초점영역 등의 확인 화상의 일부 영역(1a)을 확대하여 제 2 표시수단(2)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래서, 촬영자는 촬영 직후에 있어서, 확인화상의 일부를 상세하게 확인하면서, 동시에 확인 화상의 전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디지털 카메라(100)에 의하면, 촬영된 확인화상이 원하는 프레임에 맞추어졌는지와, 핀트가 맞지 않음으로 인한 화상의 흐려짐 및 카메라 흔들림 등이 없는지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00)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표시수단(2)의 표시화면을 제 1 표시수단(1)의 표시화면보다도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2 표시수단(2)의 표시화면인 확대 화상이 보다 보기 쉬워지고, 초점, 카메라 흔들림, 콘트라스트, 노출 등의 확인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도 3은 디지털 카메라(100)의 퀵 표시기능의 상세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경우, 본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셔터 버튼(3) 및 십자 키(4) 등의 입력 이 있었던 경우는, 그 입력에 따른 처리를 제어부(6)가 행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우선, 제어부(6)는 초점확대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
초점확대 모드란, 제 2 표시수단(2)에서 촬영범위(제 1 표시수단(1)의 표시범위)의 일부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모드이다. 초점확대 모드로의 설정은 십자 키(4) 등으로 행할 수 있다.
단계 S1에서, 「No」라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6)는 제 2 표시수단(2)에서 촬영화상(확인화상)의 전체를 표시한다(단계 S8).
이 경우는, 제 2 표시수단(2)에만 촬영화상을 표시한다. 따라서, 제 1 표시수단(1)은 카메라 본체(10) 내에 수납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단계 S8에서, 일정시간 어떤 셔터 버튼(3) 및 십자 키(4) 등의 키 입력이 없는 경우는, 단계 S8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단계 S8의 동작을 일정시간 행한 후에, 단계 S1로 되돌아오는 것으로 해도 된다.
단계 S1에서, 「Yes」라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6)는 우선, 제 1 표시수단(1)에서, 촬영화상의 전체를 표시한다(단계 S2). 이 경우, 셔터 버튼(3)이 눌려진 직후에, 제 1 표시수단(1)이 카메라 본체(10)의 내부에서 밖으로 팝업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단계 S2의 직후, 또는 단계 S2와 동시에, 제어부(6)는 제 2 표시수단(2)에서, 촬영화상의 일부 영역(예를 들어, 초점영역)(1a)을 확대하여 표시한다(단계 S3). 이에 의해, 촬영자는 제 1 표시수단(1)의 전체화상과 제 2 표시수단(2)의 확대화상을 동시에 볼 수 있다.
다음에, 제어부(6)는 자동이동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 자동이동 모드란, 촬영 범위(표시수단(1)의 표시영역)에서 제 2 표시 수단(2)으로 확대 표시되는 일부 영역(1a)을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는 자동이동 표시기능을 발휘시키는 모드이다.
그래서, 단계 S4에서, 「Yes」라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6)는 제 2 표시수단(2)에 자동이동 표시기능을 발휘시키고, 제 2 표시수단(2)으로 확대 표시되는 일부 영역(초점화상)(1a)을 자동적으로 스크롤시킨다(단계 S5). 이에 의해, 촬영자는 제 1 표시수단(1)으로 전체화상을 확인하면서, 동시에 자동적으로 제 2 표시수단(2)으로 전체 화상의 각 부에 대해서 차례대로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 단계 S5에서, 일정시간 어떤 셔터 버튼(3) 및 십자 키(4) 등의 키 입력이 없는 경우는, 단계 S5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단계 S5의 동작을 일정시간 행한 후에, 단계 S1로 되돌아오는 것으로 해도 된다.
한편, 단계 S4에서, 「No」라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6)는 일정시간에서 십자 키(4)로부터의 입력이 없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
단계 S6에서, 「No」라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6)는 십자 키(4)의 조작 상황에 따라, 제 2 표시수단(2)으로 확대 표시되는 일부 영역(초점화상)(1a)을 이동시킨다(단계 S7).
이에 의해, 촬영자는 제 1 표시수단(1)으로 전체화상을 전체적으로 확인하면서, 동시에 제 2 표시수단(2)으로 전체 화상에서의 촬영자가 원하는 부분을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 단계 S7에서, 일정시간 어떤 셔터 버튼(3) 및 십자 키(4) 등의 키 입력이 없는 경우는, 단계 S7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단계 S7의 동작을 일정시간 행한 후에, 단계 S4로 되돌아온다.
(라이브 표시기능)
제 1 표시수단(1)은, 촬상수단(7)에 의한 촬영 전에, 촬상수단(7)이 도입한 화상에 대하여 그 촬상수단(7)이 차레대로 출력하는 생화상을 표시하는 라이브 표시기능을 가진다. 제 2 표시수단(2)은 제 1 표시수단(1)이 표시하는 생화상의 일부 영역(1a)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생화상 확대 표시기능을 가진다.
이들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100)는 현재의 촬영상태(촬상수단(7)이 도입한 화상)를 촬영영역 전체로서 제 1 표시수단(1)으로 표시할 수 있고, 현재의 촬영상태의 프레임 맞춤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디지털 카메라(100)는 제 2 표시수단(2)에서, 현재의 촬영상태에서의 촬영영역의 일부를 확대 화상으로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현재의 촬영상태의 초점 등을 양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촬영자는 촬영 직전에 생화상의 일부를 상세하게 확인하면서, 동시에 생화상의 전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100)는 현재, 원하는 프레임으로 맞추어져 있는지, 또한 원하는 초점으로 되어 있는지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재생 표시기능) 제 1 표시수단(1)은 촬상수단(7)에서 촬상되어 ROM(8) 또는 RAM(9) 등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인 재생화상의 전체를 표시하는 재생 표시기능을 가진다. 제 2 표시수단(2)은 제 1 표시수단(1)이 표시하는 재생화상의 일부 영역(1a)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재생화상 확대 표시기능을 가진다.
이들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100)는 기록되어 있는 재생화상의 전체를 제 1 표시수단(1)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디지털 카메라(100)는 제 1 표시수단(1)으로 표시되어 있는 재생화상의 일부를 확대한 화상을 제 2 표시수단(2)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래서, 디지털 카메라(100)는 이미 기록되어 있는 재생화상의 일부를 상세하게 확인하면서, 동시에 그 재생화상의 전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100)는 과거에 촬영한 대량의 재생화상 등에 대해서, 원하는 프레임으로 맞추어졌는지, 또한 원하는 초점으로 되어 있는지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00)는 퀵 표시기능, 라이브 표시기능 및 재생 표시기능의 각 기능에 있어서, 십자 키(4)의 조작에 의해 스크롤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즉, 퀵 표시기능, 라이브 표시기능 및 재생 표시기능의 각 기능에 있어서, 제 1 표시수단(1)의 화상영역 전체에서의 제 2 표시수단(2)으로 표시하는 일부 영역(1a)의 위치에 대하여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00)는 제 1 표시수단(1)으로 표시되어 있는 화상 영역을 분할하여 복수의 분할영역으로 하는 것과 함께, 그 복수의 분할영역의 하나의 영역을 선택하여, 그 영역의 화상을 제 2 표시수단(2)에 확대 표시하는 분할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분할기능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분할영역은, 십자 키(4)의 조작에 의해 선택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3의 흐름도의 단계 S5와 같이, 자동이동 표시시켜도 된다. 이들에 의해, 십자 키(4)의 조작에 따라 또는 자동적으로 분할된 영역을 차례대로 제 2 표시수단(2)에 확대 표시 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00)의 제 2 표시수단(2)은, 제 2 표시수단(2)의 표시배율을 십자 키(4)의 조작 등에 따라 변경하는 배율 변경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촬영자는 제 2 표시수단(2)의 표시배율을 서서히 확대ㅇ 축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촬영자는 제 1 표시수단(1)으로 양호하게 프레임 맞춤 여부를 확인 하면서, 동시에 제 2 표시수단(2)으로 고정밀도로 핀트가 맞지 않아 화면이 흐려짐 및 카메라 흔들림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카메라(200)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a)는 배면도이고, 도 4(b)는 평면도이다. 도 4에서, 도 1에 나타내는 제 1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100)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본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200)와 디지털 카메라(100)의 차이점은 외관 구성이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200)의 내부구성은, 도 2에 나타내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내부구성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200)는 폴더식 핸드폰과 같이 접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카메라(200)는 제 1 본체부(21), 제 2 본체부(22) 및 연결부(23)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 1 본체부(21)와 제 2 본체부(22)가 연결부(23)에 의하여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도 4(a),(b) 모두, 디지털 카메라(200)의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디지털 카메라(200)를 닫은 경우는, 연결부(23)를 중심축으로 하여 도 4(b)의 화살표 방향으로 제 1 본체부(21) 및 제 2 본체부(22)를 회동시킨다. 그러면, 폴더식 핸드폰을 닫는 것과 같이, 디지털 카메라(200)가 접힌다.
또한, 제 1 본체부(21)의 배면에는 제 1 표시수단(1)이 배치되어 있다. 제 1 본체부(21)의 정면에는 촬상수단의 구성요소인 렌즈(24)가 배치되어 있다. 제 2 본체부(22)의 배면에는 제 2 표시수단(2) 및 십자 키(4)가 배치되어 있다. 제 2 본체부(22)의 상면에는 셔터 버튼(3)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200)가 접혔을 때 제 1 표시수단(1)과 제 2 표시수단(2)이 마주 본다.
이들에 의해, 본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200)는 촬영시 또는 재생시 등에 있어서 제 1 표시수단(1)으로 촬영화상의 전체를 확인할 수 있고, 동시에 제 2 표시수단(2)으로 촬영화상의 초점 상태 등을 양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200)는 촬영시 또는 재생시 이외에는 휴대에 편리한 외관 상태가 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디지털 카메라(300)의 외관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5에서, 도 1에 나타내는 제 1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100)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본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300)와 디지털 카메라(100)의 차이점은 외관 구성이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300)의 내부 구성은, 도 2에 나타내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내부 구성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300)는 본체부(31) 및 슬라이드부(32)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드부(32)는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a)는 슬라이드부(32)가 본체부(31)로부터 슬라이드되어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b)는 슬라이드부(32)가 본체부(31)에 수납된 상태, 즉 슬라이드부(32)와 본체부(31)가 중첩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본체부(31)의 배면에는 제 2 표시수단(2)이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드부(32)의 배면에는 제 1 표시수단(1) 및 십자 키(4)가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드부(32)의 상면에는 셔터 버튼(3)이 배치되어 있다. 촬상수단(7)의 줌 렌즈, 조리개 및 초점렌즈 등은 제 1 표시수단(1) 또는 제 2 표시수단(2)의 뒤쪽 즉, 본체부(31) 또는 슬라이드부(32)의 정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본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300)는 촬영시 또는 재생시 등에 제 1 표시수단(1)으로 촬영화상의 전체를 확인할 수 있고, 동시에 제 2 표시 수단(2)으로 촬영화상의 초점상태 등을 양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300)는 촬영시 또는 재생시 이외에는 휴대에 편리한 외관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카메라 및 촬영방법은 상술한 도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 1 표시수단(1) 및 제 2 표시수단(2)은 각각 1개씩이 아니라, 그 중 한쪽 또는 쌍방이 복수개 있어도 된다. 즉, 디지털 카메라(100)의 카메라 본체(10)에 복수의 제 2 표시수단(2)이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각 제 2 표시수단(2)은 서로 다른 표시배율로 해도 된다.
또한, 제 1 표시수단(1)과 제 2 표시수단(2)의 배치는 반대로 해도 된다. 즉, 디지털 카메라(100)에서는, 카메라 본체(10)에 제 1 표시수단(1)을 배치하고, 팝업부(15)에 제 2 표시수단(2)을 배치해도 된다. 디지털 카메라(200)에서는 제 1 본체부(21)에 제 2 표시수단(2)을 배치하고, 제 2 본체부(22)에 제 1 표시수단(1)을 배치해도 된다. 디지털 카메라(300)에서는, 본체부(31)에 제 1 표시수단(1)을 배치하고, 슬라이드부(32)에 제 2 표시수단(2)을 배치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촬영화상의 전체를 확인하면서, 동시에 그 촬영화상의 일부를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화상의 일부는 초점영역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촬영시 또는 촬영 전후에 있어서, 촬영화상의 전체와 그 촬영화상의 초점상태 등을 용이하게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피사체의 촬상화상을 표시하는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촬상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을 갖는 제 1 표시수단과,
    상기 제 1 표시수단과 일체 또는 자유롭게 계합(係閤)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촬상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을 가지는 제 2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표시수단의 표시영역 및 상기 제 2 표시수단의 표시영역이 필요에 따라 동시에 눈으로 확인 가능한 배치상태가 되고, 상기 제 1 표시수단은 촬영범위의 전체를 표시하며, 상기 제 2 표시수단은 상기 촬영범위의 일부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셔터조작을 받아 상기 피사체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표시수단은, 셔터 조작시에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영된 화상인 확인화상의 전체를 표시하는 퀵(quick) 표시기능을 가지며,
    상기 제 2 표시수단은, 상기 확인화상의 일부 영역 또는 초점영역에 대해서 확대하여 표시하는 초점확인 표시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4. 제 1항에 있어서,
    셔터조작에 응하여 상기 피사체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표시수단은, 상기 촬상수단에 의한 촬영 전에, 상기 촬상수단이 출력하는 생(生)화상을 표시하는 라이브 표시기능을 가지며,
    상기 제 2 표시수단은, 상기 생화상의 일부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생화상 확대 표시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5. 제 1항에 있어서,
    셔터조작에 응하여 상기 피사체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표시수단은, 상기 기록수단으로 기록되어 있는 화상인 재생 화상의 전체를 표시하는 재생 표시기능을 가지며,
    상기 제 2 표시수단은, 상기 재생화상의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재생화상 확대 표시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수단은 상기 제 1 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되어 있는 화상 영역 중 일부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과 함께, 상기 일부 영역에 대해서 스크롤 표시하는 스크롤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수단은, 상기 스크롤 기능으로 스크롤 표시하는 영역에 대하여, 상기 화상 영역 내를 자동적으로 이동하도록 표시시키는 자동이동 표시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수단은, 상기 스크롤 기능으로 스크롤 표시하는 영역에 대하여, 키 조작에 따라 상기 화상 영역 내에서 이동시키는 키 이동 표시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수단은, 상기 제 1 표시수단으로 표시되어 있는 화상 영역을 분할하여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하는 것과 함께,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에서의 하나의 영역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영역의 화상을 확대 표시하는 분할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수단은, 상기 분할기능으로 확대 표시하는 영역에 대하여, 상기 화상 영역 내를 자동적으로 이동하도록 표시시키는 자동이동 표시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수단은, 상기 분할기능으로 확대 표시하는 영역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키 조작에 따라 상기 화상 영역 내에서 이동시키는 키 이동 표시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수단은, 당해 제 2 표시수단의 표시배율을 변경하는 배율 변경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3. 제 1 항 또는 제 3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수단 또는 제 2 표시수단은, 표시영역을 카메라 본체 내에 배치하는 수납부와, 상기 표시영역을 카메라 본체 밖으로 이동시키는 팝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부는, 셔터가 조작된 직후에 상기 표시영역을 카메라 본체 밖으로 돌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5. 피사체의 촬영범위의 전부를 제 1 표시수단에 표시하고,
    상기 촬영범위의 일부를 확대하여 제 2 표시수단에 표시하며,
    상기 제 1 표시수단의 표시와, 상기 제 2 표시수단의 표시를 한 방향에서 동시에 눈으로 확인가능하게 하여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방법.
KR1020050030946A 2004-12-15 2005-04-14 카메라 및 촬영방법 KR100781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63157A JP2006174042A (ja) 2004-12-15 2004-12-15 カメラ及び撮影方法
JPJP-P-2004-00363157 2004-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792A KR20060067792A (ko) 2006-06-20
KR100781158B1 true KR100781158B1 (ko) 2007-11-30

Family

ID=36674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946A KR100781158B1 (ko) 2004-12-15 2005-04-14 카메라 및 촬영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6174042A (ko)
KR (1) KR1007811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027B1 (ko) * 2006-06-09 2008-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및 자동초점을 이용한 촬영방법
JP2010035145A (ja) * 2008-06-23 2010-02-12 Nikon Corp 撮像装置
JP2010258904A (ja) * 2009-04-27 2010-11-11 Olympus Imaging Corp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画像表示方法
JP2013251909A (ja) * 2013-07-12 2013-12-12 Olympus Imaging Corp 撮像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3413A (ja) * 1994-12-02 1996-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一体型ビデオカメラ
JPH1155560A (ja) 1997-08-01 1999-0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2000134525A (ja) 1998-10-21 2000-05-12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2001309211A (ja) 2000-04-18 2001-11-02 Minolta Co Ltd 電子カメ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3413A (ja) * 1994-12-02 1996-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一体型ビデオカメラ
JPH1155560A (ja) 1997-08-01 1999-0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2000134525A (ja) 1998-10-21 2000-05-12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2001309211A (ja) 2000-04-18 2001-11-02 Minolta Co Ltd 電子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174042A (ja) 2006-06-29
KR20060067792A (ko) 2006-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6988B2 (ja) 撮像装置
JP4245699B2 (ja) 撮像装置
JP4761146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7046290B2 (en) Multi-point auto-focus digital camera including electronic zoom
KR101134540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
JP4654887B2 (ja) 撮像装置
JP2007295547A (ja) デジタルカメラ
JP5923759B2 (ja) 撮像装置
JP2003125269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8022306A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7005324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209727A (ja) デジタルカメラ
US7616236B2 (en) Control method used by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002158919A (ja) 撮像装置及び画像取得ステップ
KR100781158B1 (ko) 카메라 및 촬영방법
JP4977569B2 (ja) 撮影制御装置、撮影制御方法、撮影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撮影装置
JP4792929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5295418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表示方法
KR100726773B1 (ko) 카메라 및 화상 표시 방법
JP2006197055A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表示方法
JP5429588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4406461B2 (ja) 撮像装置
KR101168988B1 (ko) 구도 가이드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 및 그 장치
JP4274665B2 (ja) 電子ビューファインダ付き電子カメラ
JP2007081629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