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1345B1 - 압전 박막 공진자 및 필터 - Google Patents

압전 박막 공진자 및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1345B1
KR100771345B1 KR20060041026A KR20060041026A KR100771345B1 KR 100771345 B1 KR100771345 B1 KR 100771345B1 KR 20060041026 A KR20060041026 A KR 20060041026A KR 20060041026 A KR20060041026 A KR 20060041026A KR 100771345 B1 KR100771345 B1 KR 100771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ower electrode
piezoelectric
upper electrode
th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41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6712A (ko
Inventor
도끼히로 니시하라
쯔요시 요꼬야마
신지 다니구찌
다께시 사까시따
준 쯔쯔미
마사후미 이와끼
마사노리 우에다
Original Assignee
후지쓰 메디아 데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메디아 데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쓰 메디아 데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6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6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24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of material which is not piezoelectric, electrostrictive, or magnetostrictiv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03H9/54Filters comprising resonators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56Monolithic crystal filters
    • H03H9/564Monolithic crystal filters implemented with thin-film techniqu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125Driving means, e.g. electrodes, coils
    • H03H9/13Driving means, e.g. electrodes, coils for network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s
    • H03H9/131Driving means, e.g. electrodes, coils for network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s consisting of a multi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125Driving means, e.g. electrodes, coils
    • H03H9/13Driving means, e.g. electrodes, coils for network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s
    • H03H9/132Driving means, e.g. electrodes, coils for network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s characterized by a particular shap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15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17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 H03H9/171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implemented with thin-film techniques, i.e. of the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FBAR] type
    • H03H9/172Means for mounting on a substrate, i.e. means constituting the material interface confining the waves to a volume
    • H03H9/174Membran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03H9/54Filters comprising resonators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03H9/54Filters comprising resonators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56Monolithic crystal filters
    • H03H9/566Electric coupling means therefor
    • H03H9/568Electric coupling means therefor consisting of a ladder configu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Abstract

간단한 방법에 의해, 다른 특성을 열화시키지 않고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향상을 도모하여, 전기 기계 결합 계수가 큰 압전 박막 공진자 및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판(10) 위에 형성된 하부 전극(12)과, 하부 전극(12) 상에 형성된 압전막(14)과, 압전막(14) 위에 형성된 상부 전극(16)을 구비하고, 상부 전극(16)의 막 두께는 하부 전극(12)의 막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박막 공진자 및 그것을 이용한 필터이다.
전기 기계 결합 계수, 하부 전극, 압전막, 상부 전극, 하부 박막층, 상부 박막층

Description

압전 박막 공진자 및 필터{PIEZOELECTRIC THIN-FILM RESONATOR AND FILTER}
도 1은 실시예1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자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의 (a)는 상시도, 도 1의 (b)는 도 1의 (a)의 A-A 단면도.
도 2는 실시예2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자의 단면도.
도 3은 실시예3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자의 단면도.
도 4는 실시예3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자의 t1/t2에 대한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실시예3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자의 d1/d2쌍에 대한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실시예3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자의 d1/d2쌍에 대한 공진 저항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실시예2 및 실시예3의 변형예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자의 단면도.
도 8은 실시예4에 따른 필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8의 (a)는 상시도, 도 8의 (b)는 단면도.
도 9는 실시예4에 따른 필터의 통과 대역 부근에서의 삽입 손실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판
12 : 하부 전극
14 ; 압전막
16 : 상부 전극
18 : 기판 표면의 공극
22 : 멤브레인 영역
24 : 하부 박막층
26 : 상부 박막층
[특허 문헌1] 미국 특허6291931호 명세서
[비특허 문헌1] H.P. 로블(H.P.Lobl) 외 6명, 「BAW 공진자 및 필터용 압전 재료(Piezoelectric materials for BAW resonators and filters)」, 2001 IEEE 울트라소닉 심포지움(2001 IEEE Ultrasonics Symposium), 미국, IEEE, p807-811
본 발명은 압전 박막 공진자 및 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전막을 사이에 두고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이 겹치는 압전 박막 공진자 및 필터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로 대표되는 고주파 무선 기기의 급속한 보급에 의해, 900㎒ 내지 5㎓라는 고주파에서 사용되는 소형이며 경량의 고주파 필터의 수요가 증대하고 있 다. 이러한 분야에서는, 주로 탄성 표면파 장치를 이용하여 형성된 필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특히 고주파에서의 특성이 양호하고, 소형화, 모노리식화가 가능한 소자로서, 압전 박막 공진자 및 이것을 이용한 필터가 주목받고 있다.
압전 박막 공진자로서, 예를 들면, FBAR(Film Bulk Acoustic Resonator) 타입이나 SMR(Solidly Mounted Resonator) 타입이 있다. FBAR 타입의 압전 박막 공진자로서는, 특허 문헌1의 도 1에 개시되어 있다. 압전막의 양측에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을 설치하고 있다. 압전막을 사이에 둔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이 대향하는 영역이 멤브레인 영역이다. 특허 문헌1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하부 전극, 압전막, 상부 전극은 기판 위에 형성되고, 하부 전극과 상부 전극이 대향하는 영역(멤브레인 영역) 아래의 기판에 공극을 형성하고 있다. 이 공극은 기판을 이면으로부터 에칭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희생층을 이용하여 표면으로부터 형성할 수도 있다. SMR 타입의 압전 박막 공진자는, 특허 문헌1의 도 2에 개시되어 있다. 기판의 공극 대신에, 음향 임피던스가 높은 막과 낮은 막을 교대로 탄성파의 파장의 1/4의 막 두께로 적층하여 음향 반사막으로서 이용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들 압전 박막 공진자는,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 사이에 고주파의 전기 신호를 인가하면,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 사이에 끼워진 압전막 내부에, 역 압전 효과에 의해, 탄성파가 여진된다. 반대로, 압전 효과에 의해, 탄성파에 의한 왜곡이,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이 탄성파는,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이 각각 공기에 접하고 있는 면에서 전반사된다. 상부 전극, 압전 박막 및 하부 전극의 합계 막 두께 H가, 탄성파의 1/2 파장의 정수배(n배)로 되는 주파수에서, 공진이 발생한다. 재료에 의해 결정되는 탄성파의 전파 속도를 V로 하면, 공진 주파수 F는, F=nV/2H로 된다. 이와 같이, 막 두께에 의해 공진 주파수를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주파수 특성을 갖는 압전 박막 공진자로 된다.
또한, 래더형 필터는, 이러한 압전 박막 공진자를 직렬 아암와 병렬 아암으로 래더형으로 배치한 것으로, 소정의 통과 영역을 갖는 밴드 패스 필터이다.
고주파 무선 기기에서는, 정보의 대용량화의 진전을 받아, 필터의 광대역화에의 요망이 강하다. 광대역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전기 기계 결합 계수(k2)가 큰 공진자가 필요로 된다. 따라서, 이하와 같은 종래 기술이 있다.
첫째, 질화알루미늄(AlN), 산화아연(ZnO)에 비해, 큰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갖고, 압전 세라믹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티탄산지르콘산납(PZT), 티탄산납(PbTiO3)을 압전막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종래 기술1).
둘째, 압전막의 배향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향상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종래 기술2). 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1에는 압전막으로서 질화알루미늄을 이용한 경우의 배향성과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상관 관계가 개시되어 있다.
압전막과 상부 전극, 하부 전극의 막 두께비를 제어함으로써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향상시킨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1에는,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을 텅스텐, 알루미늄, 금, 구리로 하였을 때의,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의 막 두께의 합과 압전막의 비(막 두께비)에 대한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관계가 개시되어 있다(종래 기술3).
그러나, 종래 기술1은, PZT나 PbTiO3의 고품질의 박막의 성막이 곤란하여, 실용적인 공진 특성은 얻어지고 있지 않다. 종래 기술2는,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향상을 위해, 양호한 배향성을 갖는 압전막을 얻기 위해서는, 압전막의 기초의 재료, 기초의 표면 러프니스, 압전막의 성막 조건 등 많은 제어나 관리를 필요로 하는 요인이 있다. 이들 제어나 관리가 불충분한 경우에는, 웨이퍼면 내, 로트간에서의 배향성의 요동이 발생하여, 공진 특성이 변동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종래 기술3은,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향상을 위해,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의 막 두께의 합과 압전막의 비를 작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부 전극이나 하부 전극의 막 두께가 얇아져, 전극의 저항이 증대되어, 삽입 손실과 트레이드 오프로 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간단한 방법에 의해, 다른 특성을 열화시키지 않고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향상을 도모하여, 전기 기계 결합 계수가 큰 압전 박막 공진자 및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판 위에 형성된 하부 전극과, 그 하부 전극 위에 형성된 압전막과, 그 압전막 위에 형성된 상부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전극의 막 두께는 상기 하부 전극의 막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박막 공진자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전극의 막 두께를 하부 전극의 막 두께보다 두껍게 한다고 하는 간단한 방법에 의해, 다른 특성을 열화시키지 않고, 전기 기계 결합 계수가 큰 압전 박막 공진자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상부 전극의 막 두께를 t1, 상기 하부 전극의 막 두께를 t2로 하였을 때, 1<t1/t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박막 공진자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기계 결합 계수가 큰 압전 박막 공진자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 전극 및 상기 하부 전극은, 루테늄(Ru)을 주로 포함하고, 상기 상부 전극과 상기 하부 전극의 막 두께의 합을 d1, 상기 압전막의 막 두께를 d2로 하였을 때, 0.1<d1/d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박막 공진자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진 저항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전기 기계 결합 계수가 큰 압전 박막 공진자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상부 전극 및 상기 하부 전극은, 이리듐(Ir), 레늄(Re), 텅스텐(W), Ru(루테늄), 로듐(Rh), 백금(Pt), 탄탈(Ta), 몰리브덴(Mo), 은(Ag), 구리(Cu), 금(Au) 및 알루미늄(Al) 중 적어도 1개를 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박막 공진자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공진 특성 또는 공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하부 전극 아래에는 박막층을 갖고, 상기 상부 전극 위에는 박막층을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박막 공진자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하부 전극 아래 및 상기 상부 전극 위 중 적어도 한쪽에 박막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박막 공진자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칭 스토퍼층, 배향성 제어층, 보강층, 주파수 조정막 또는 보호막 등을 이용 하는 경우에도, 전기 기계 결합 계수가 큰 압전 박막 공진자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압전막은, (002) 방향을 주축으로 하는 배향성을 갖는 질화알루미늄 또는 산화아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박막 공진자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품질의 박막이 얻어져, 안정된 공진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압전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 전극과 상기 하부 전극이 대향하는 영역이 타원 형상인 압전 박막 공진자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불필요한 스퓨리어스가 적은 공진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압전 박막 공진자를 복수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전극의 막 두께를 하부 전극의 막 두께보다 두껍게 한다고 하는 간단한 방법에 의해, 삽입 손실 등의 열화를 수반하지 않고, 전기 기계 결합 계수가 커서 통과 대역이 넓은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1]
실시예1은 약 2㎓의 공진 주파수를 갖는 압전 박막 공진자의 예이다. 도 1은 실시예1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의 (a)는 상시도, 도 1의 (b)는 A-A 단면도이다. 이 압전 박막 공진자는, 기판(10) 위에 형성된 하부 전극(12)과, 하부 전극(12) 위에 형성된 압전막(14)과, 압전막(14) 위에 형성된 상부 전극(16)을 갖고 있다. 압전막(14)에는 하부 전극(12)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개구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전극(16)과 하부 전극(12)이 대향하는 영역(멤브레인 영역)(22) 아래의 기판(14)에, 이 영역(22)보다 약간 큰 공극(18)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전극(16), 압전막(14), 하부 전극(12)의 막 두께는, 각각 t1, d2, t2로 하고, t1+t2를 d1로 하였다. 상부 전극(16)과 하부 전극(12)이 대향하는 영역은 228×163㎛의 타원 형상으로 하였다.
다음으로, 이 압전 박막 공진기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실리콘 기판(10) 위에, 하부 전극(12)으로서 몰리브덴(Mo)막을, 스퍼터링법에 의해 성막하였다. 다음으로, 통상의 노광 기술 및 에칭 기술을 이용하여 소정 영역을 제거하여 하부 전극(12)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압전막(14)으로서 (002) 방향을 주축으로 하는 배향성을 갖는 질화알루미늄(AlN)막, 상부 전극(16)으로서 몰리브덴(Mo)막을 각각 스퍼터링법에 의해 성막하였다. 그 후, 통상의 노광 기술 및 에칭 기술을 이용하여, 소정 영역을 제거하여 상부 전극(16)을 형성하였다. 또한, 통상의 노광 기술 및 에칭 기술을 이용하여, 소정 영역을 제거하여 상부 전극(16)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실리콘 기판(10)의 이면에, 통상의 노광 기술에 의해, 비어홀을 형성하는 드라이 에칭용의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였다. 실리콘 기판(10)을 드라이 에칭하여, 기판(10)의 공극(18)으로 되는 비어홀을 형성하였다. 드라이 에칭은, SF6에 의한 에칭과 C4F8에 의한 측벽 보호막 형성을, 교대로 반복하는 조건으로 행하였다. 이에 의해, 측벽 형상이, Si 기판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되도록, 공극(18)을 형성할 수 있었다. 이상에 의해, 실시예1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자가 완성되었다.
이 구성의 압전 박막 공진자로서, 표 1에 나타내는, 공진자1 및 공진자2를 제작하였다. 어느 쪽의 공진자도, 압전막(14)의 막 두께는 1250㎚이다. 공진자1은, 상부 전극(16)의 두께가 320㎚, 하부 전극(12)의 두께가 260㎚로, 상부 전극(16)의 막 두께가 하부 전극(12)보다도 두껍다. 한편, 공진자2는 상부 전극(16) 및 하부 전극(12)의 막 두께는 모두 290㎚로 동일하다. 또한, 공진자1 및 2의 제작 방법은, 상부 전극(16) 및 하부 전극(12)의 막 두께가 서로 다른 것 이외에는 동일하다.
Figure 112006032073184-pat00001
양 공진자의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평가한 결과, 공진자1은 7.0%, 공진자2는 6.7%이었다. 이와 같이, 상부 전극(16)의 막 두께를 하부 전극(12)보다 두껍게 함으로써,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크게 할 수 있었다.
[실시예2]
실시예2는, 약 2㎓의 공진 주파수를 갖는 압전 박막 공진자의 예로서, 상부 전극(16) 위 및 하부 전극(12) 아래에 박막층을 갖고, 각 전극의 재료를 루테늄으로 바꾼 예이다. 도 2는 실시예2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자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하부 전극(12) 및 상부 전극(16)을 루테늄으로 형성한 것, 하부 전극(12) 아래에 하부 박막층(24) 및 상부 전극(16) 위에 상부 박막층(26)을 형성한 것, 상부 전극(16)과 하부 전극(12)이 대향하는 영역을 248×177㎛의 타원 형상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다.
이 구성의 압전 박막 공진자로서,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공진자1, 공진자2, 공진자3을 제작하였다. 어느 쪽의 공진자도, 압전막(14)은 막 두께가 1150㎚, 상부 박막층(26)은 크롬을 이용하여 막 두께가 20㎚, 하부 박막층(24)은 크롬을 이용하여 막 두께 100㎚이다. 공진자1은, 상부 전극(16)의 막 두께가 263㎚, 하부 전극(12)의 막 두께가 237㎚로, 상부 전극(16)의 막 두께가 하부 전극(12)보다도 두껍다. 공진자(2)는 상부 전극(16) 및 하부 전극(12)의 막 두께는 모두 250㎚로 동일하다. 공진자3은 상부 전극(16)의 막 두께가 237㎚, 하부 전극(12)의 막 두께가 263㎚로, 상부 전극(16)의 막 두께가 하부 전극(12)보다도 얇다. 또한, 공진자1, 2 및 3의 제작 방법은, 상부 전극(16) 및 하부 전극(12)의 막 두께가 서로 다른 것 이외에는 동일하다.
Figure 112006032073184-pat00002
3개의 공진자의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평가한 결과, 공진자1은 7.0%, 공진자2는 6.8%, 공진자3은 6.7%이었다. 이와 같이, 상부 전극(16)의 막 두께를 하부 전극(12)보다 두껍게 함으로써,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크게 할 수 있었다.
[실시예3]
실시예3은, 약 2㎓의 공진 주파수를 갖는 압전 박막 공진자의 예로서, 상부 전극(16) 및 하부 전극(12)으로서 루테늄을 이용하고, 하부 전극(12) 아래에 박막층(24)을 가진 예이다. 도 3은 실시예3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자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부 전극(16) 위에 상부 박막층(26)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2와 동일하다. 즉, 하부 전극(12) 아래에는 박막층(24)을 갖고, 상부 전극(16) 위에는 박막층(26)을 갖고 있지 않다.
이 구성의 압전 박막 공진자로서,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공진자1 및 공진자2를 제작하였다. 어느 쪽의 공진자도, 하부 박막층(24)은 크롬을 이용하며 막 두께 50㎚이다. 공진자1은, 상부 전극(16)의 막 두께를 t1㎚, 하부 전극(12)의 막 두께를 t2㎚, 압전막(14)의 막 두께를 1210㎚으로 하고, t1+t2=500㎚로 되도록 제작하였다. 공진자(2)는 상부 전극(16)의 막 두께를 t1, 하부 전극(12)의 막 두께를 t2㎚, 압전막(14)의 막 두께를 d2㎚으로 하고, t1/t2=1.1로 되도록 제작하였다. 상부 전극(16)과 하부 전극(12)의 막 두께의 합인 t1+t2를 d1로 하였다.
Figure 112006032073184-pat00003
도 4에, 공진자1에서, t1/t2에 대한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관계를 도시한다. 전기 기계 결합 계수는 t1/t2가 커지게 되면 커지게 되고, 약 1.6을 피크로 감소한다. 여기서, 상부 전극(16)과 하부 전극(12)의 막 두께가 동일한 t1/t2=1의 전기 기계 결합 계수는 7.0이며, t1/t2>3에서는 전기 기계 결합 계수는 7.0%를 하회한다. 따라서, 전기 기계 결합 계수가 7.0%를 상회하기 위해서는, 1<t1/t2<3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기 기계 결합 계수가 7.05%를 상회하기 위해서는, 1.1<t1/t2<2.6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전기 기계 결합 계수가 7.1%를 상회하기 위해서는, 1.2<t1/t2<2.3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5에, 공진자2에서, d1/d2에 대한 전기 기계 결합 계수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5로부터, d1/d2가 작아지면, 전기 기계 결합 계수는 커진다. 따라서, 공진자1과 마찬가지로, 전기 기계 결합 계수가 7.0%를 상회하기 위해서는, d1/d2<1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기 기계 결합 계수가 7.05%를 상회하기 위해서는, d1/d2<0.7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전기 기계 결합 계수가 7.1%를 상회하기 위해서는, d1/d2<0.5가 보다 바람직하다.
도 6에, 공진자2에서, d1/d2에 대한 공진 저항의 관계를 도시한다. 공진 저항이 커지면, 삽입 손실이 커지게 된다. 도 6으로부터 d1/d2가 작아지면, 공진 저항이 커진다. 이것은, d1/d2가 작아지면, 상부 전극(16) 및 하부 전극(12)의 막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아지기 때문이다. d1/d2가 0.1 이하로 되면 공진 저항은 급격하게 커져 2Ω을 초과하게 되어 삽입 손실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0.1<d1/d2가 바람직하다. 또한, d1/d2가 0.2 이하로 되면 공진 저항은 커지게 되어 1.5Ω을 초과하게 되기 때문에, 0.2<d1/d2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d1/d2가 0.5 이하로 되면 공진 저항은 서서히 커지게 되어 1Ω을 초과하게 되기 때문에, 0.5<d1/d2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상부 전극(16) 및 하부 전극(12)이 루테늄을 주로 포함하고, 0.1<d1/d2<1로 함으로써, 공진 저항을 억제하여,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도 7에 실시예2 및 실시예3의 변형예에 따른 압전 박막 공진자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상부 전극(16) 위에 박막층(26)을 갖고, 하부 전극(12) 아래에는 박막층을 갖지 않는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2 및 실시예3과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이라도, 상부 전극(16) 막 두께를 하부 전극(12)의 막 두께보다 두껍게 함으로써,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크게 할 수 있다.
실시예2, 실시예3 및 그 변형예에 따르면, 하부 전극(12) 아래 및 상부 전극(16) 위의 적어도 한쪽에 박막층을 갖는 경우라도, 상부 전극(16) 막 두께를 하부 전극(12)의 막 두께보다 두껍게 함으로써,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크게 할 수 있다. 하부 박막층(24)으로서는, 기판(10)에 공극(18)을 형성하는 경우의 에칭 스토퍼층, 압전막(14)의 배향성을 제어하기 위해 표면을 제어한 배향성 제어층, 상부 전극(16)과 하부 전극(12)이 대향한 영역의 보강을 위한 보강층 등이 있으며, 금속막이나 절연막이 사용된다. 또한, 상부 박막층(26)으로서는, 공진 주파수를 조정하기 위한 주파수 조정막, 압전 박막 공진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막 등이 있고, 금속막이나 절연막이 사용된다. 실시예2, 실시예3에서는, 상부 박막층(26)은 주파수 조정막이며, 하부 박막층(24)은 에칭 스토퍼층이다.
실시예1, 실시예2 및 실시예3에 따르면, 상부 전극(16) 및 하부 전극(12)의 재료에 상관없이, 상부 전극(16)의 막 두께를 하부 전극(12)의 막 두께보다 두껍게 함으로써,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1<t1/t2<3으로 함으로써,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 손실이 열화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상부 전극의 막 두께를 하부 전극의 막 두께보다 두껍게 한다고 하는 간단한 방법에 의해, 다른 특성을 열화시키지 않고, 전기 기계 결합 계수가 큰 압전 박막 공진자를 제공할 수 있었다.
상부 전극(16)의 막 두께를 하부 전극(12)보다 두껍게 함으로써 전기 기계 결합 계수가 커지는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공진하는 하부 전극(12), 압전막(14), 상부 전극(16)의 적층막에서, 정재파의 중심이, 중심보다 약간 아래쪽으로 어긋나 있어, 상부 전극(16)의 막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정재파의 중심이, 압전막(14)의 중심에 근접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실시예4]
실시예4는 실시예2에서 제작한 공진자1의 구조를 갖는 래더형 필터를 제작한 예이다. 즉, 압전 박막 공진자를 복수 구비하는 필터의 예이다. 또한, 비교예로서, 실시예2에서 제작한 공진자2의 구조를 갖는 래더형 필터도 제작하였다. 도 8에 실시예4와 비교예에 따른 필터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8의 (a)는 상시도이고, 도 8의 (b)는 도 8의 (a)의 A-A 단면도이다. 각 부호는 실시예2와 동일하며, 공진자의 구성은, 상부 박막층(26)의 막 두께를 제외하고는 실시예2와 동일하다. 압전 박막 공진자 S1, S2, S3 및 S4를 직렬 아암으로, 압전 박막 공진자 P1, P2 및 P3을 병렬 아암으로 배치하였다. 병렬 아암의 압전 박막 공진자 P1, P2 및 P3의 상부 박막층(26)의 막 두께는, 병렬 아암의 공진 주파수를 직렬 아암보다 낮게 하기 위해 100㎚로 하였다. 이것은, 밴드 패스 필터 특성을 얻기 위해서이다.
도 9에 실시예4 및 비교예의 통과 대역 부근의 삽입 손실의 도면을 도시한다. 실선은 실시예4, 파선은 비교예를 나타낸다. 2㏈의 통과 대역 폭은, 실시예4가 72.3㎒에 대하여, 비교예가 66.7㎒로, 실시예4는 5.6㎒ 넓어졌다. 또한, 통과 대역에서의 삽입 손실의 열화도 없다. 이것은, 실시예4에 이용한 실시예2의 공진자1이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크게 할 수 있었던 것에 의한다. 이와 같이, 상부 전극의 막 두께를 하부 전극의 막 두께보다 두껍게 한다고 하는 간단한 방법에 의해, 다른 특성을 열화시키지 않고, 전기 기계 결합 계수가 커서 통과 대역이 넓은 필터를 제공할 수 있었다.
실시예4는 실시예2의 공진자1을 래더형 필터에 적용한 예이었지만, 실시예1이나 실시예3의 공진자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래더형 필터 이외의 필터에 적용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도, 실시예4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실시예4에서는 필터의 표면에 보호막을 형성하고 있지 않지만, 보호막을 형성할 수도 있다.
실시예1 내지 실시예4에서, 상부 전극(16) 및 하부 전극(12)으로서는, 음향 임피던스가 큰 재료를 이용하면, 주로 반공진 특성이 향상되고, 전기 저항이 낮은 재료를 이용하면, 공진 특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음향 임피던스가 큰 재료로서, 실시예에서 이용한 몰리브덴(Mo), 루테늄(Ru) 이외에, 이리듐(Ir), 레늄(Re), 텅스텐(W), 로듐(Rh), 백금(Pt) 및 탄탈(Ta) 중 적어도 1개를 주로 포함하는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저항이 낮은 재료로서, 은(Ag), 구리(Cu), 금(Au) 및 알루미늄(Al) 중 적어도 1개를 주로 포함하는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1 내지 4와 같이, 상부 전극(16)과 하부 전극(12)을 동일한 재료로 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전기 기계 결합 계수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1 내지 실시예4의 압전막(14)은, (002) 방향을 주축으로 하는 배향성을 갖는 질화알루미늄이다. 이에 의해, 고품질의 박막이 얻어져, 안정된 공진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의 이유로부터, 압전막(14)으로서, 산화아연(ZnO)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압전막(14)을 사이에 두고, 상부 전극(16)과 하부 전극(12)이 대향하는 영역이 타원 형상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상부 전극(16) 및 하부 전극(12)의 면에 평행하게 전파되어, 상부 전극(16) 및 하부 전극(12)의 단부에서 반사하는 불필요한 횡모드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불필요한 스퓨리어스가 적은 공진 특성이 얻어진다.
또한, 기판(10)의 이면으로부터 비어홀을 형성하여, 공극(18)으로 한 예이지만, 희생층을 이용하여 기판 표면에 캐비티를 형성하여, 공극(18)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1 내지 실시예3은 FBAR 타입의 예이지만, SMR 타입의 압전 박막 공진자이어도 된다. 이 경우도 FBAR 타입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방법에 의해, 다른 특성을 열화시키지 않고 전기 기계 결합 계수가 큰 압전 박막 공진자 및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기판 위에 형성된 하부 전극과,
    그 하부 전극 위에 형성된 압전막과,
    그 압전막 위에 형성된 상부 전극
    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전극의 막 두께는 상기 하부 전극의 막 두께보다 두꺼우며,
    상기 상부 전극 및 상기 하부 전극은, 루테늄(Ru)을 주로 포함하고,
    상기 상부 전극과 상기 하부 전극의 막 두께의 합을 d1, 상기 압전막의 막 두께를 d2로 하였을 때,
    0.1<d1/d2<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박막 공진자.
  4. 기판 위에 형성된 하부 전극과,
    그 하부 전극 위에 형성된 압전막과,
    그 압전막 위에 형성된 상부 전극
    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전극의 막 두께는 상기 하부 전극의 막 두께보다 두꺼우며,
    상기 상부 전극 및 상기 하부 전극은, 이리듐(Ir), 레늄(Re), 텅스텐(W), Ru(루테늄), 로듐(Rh), 백금(Pt), 탄탈(Ta), 몰리브덴(Mo), 은(Ag), 구리(Cu), 금(Au) 및 알루미늄(Al) 중 적어도 1개를 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박막 공진자.
  5. 기판 위에 형성된 하부 전극과,
    그 하부 전극 위에 형성된 압전막과,
    그 압전막 위에 형성된 상부 전극
    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전극의 막 두께는 상기 하부 전극의 막 두께보다 두꺼우며,
    상기 하부 전극 아래에는 박막층을 갖고, 상기 상부 전극 위에는 박막층을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박막 공진자.
  6. 기판 위에 형성된 하부 전극과,
    그 하부 전극 위에 형성된 압전막과,
    그 압전막 위에 형성된 상부 전극
    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전극의 막 두께는 상기 하부 전극의 막 두께보다 두꺼우며,
    상기 하부 전극 아래 및 상기 상부 전극 위 중 적어도 한쪽에 박막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박막 공진자.
  7. 기판 위에 형성된 하부 전극과,
    그 하부 전극 위에 형성된 압전막과,
    그 압전막 위에 형성된 상부 전극
    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전극의 막 두께는 상기 하부 전극의 막 두께보다 두꺼우며,
    상기 압전막은, (002) 방향을 주축으로 하는 배향성을 갖는 질화알루미늄 또는 산화아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박막 공진자.
  8. 기판 위에 형성된 하부 전극과,
    그 하부 전극 위에 형성된 압전막과,
    그 압전막 위에 형성된 상부 전극
    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전극의 막 두께는 상기 하부 전극의 막 두께보다 두꺼우며,
    상기 압전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 전극과 상기 하부 전극이 대향하는 영역이 타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박막 공진자.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압전 박막 공진자를 복수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KR20060041026A 2005-05-10 2006-05-08 압전 박막 공진자 및 필터 KR1007713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37877A JP4629492B2 (ja) 2005-05-10 2005-05-10 圧電薄膜共振子およびフィルタ
JPJP-P-2005-00137877 2005-05-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712A KR20060116712A (ko) 2006-11-15
KR100771345B1 true KR100771345B1 (ko) 2007-10-29

Family

ID=37311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41026A KR100771345B1 (ko) 2005-05-10 2006-05-08 압전 박막 공진자 및 필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79761B2 (ko)
JP (1) JP4629492B2 (ko)
KR (1) KR100771345B1 (ko)
CN (1) CN1862959B (ko)
DE (1) DE1020060209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3175A (ja) * 2003-08-27 2005-03-17 Fujitsu Media Device Kk 圧電薄膜共振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7737612B1 (en) * 2005-05-25 2010-06-15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BAW resonator bi-layer top electrode with zero etch undercut
US7612488B1 (en) 2007-01-16 2009-11-03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Method to control BAW resonator top electrode edge during patterning
JP4917481B2 (ja) * 2007-06-13 2012-04-18 太陽誘電株式会社 フィルタ
WO2009066380A1 (ja) * 2007-11-21 2009-05-28 Fujitsu Limited フィルタ、それを用いたデュプレクサおよびそのデュプレクサを用いた通信機
JP5220503B2 (ja) * 2008-07-23 2013-06-26 太陽誘電株式会社 弾性波デバイス
JP5322597B2 (ja) * 2008-11-13 2013-10-23 太陽誘電株式会社 共振子、フィルタ、デュープレクサおよび電子装置
JP5709368B2 (ja) * 2009-11-04 2015-04-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生体情報取得装置
JP5296113B2 (ja) * 2010-02-25 2013-09-25 日本電波工業株式会社 圧電振動片の製造方法、圧電振動片及び圧電デバイス
US8438924B2 (en) * 2011-02-03 2013-05-14 Inficon, Inc. Method of determining multilayer thin film deposition on a piezoelectric crystal
CN102545827B (zh) * 2012-01-04 2015-09-09 华为技术有限公司 薄膜体声波谐振器、通信器件和射频模块
US9548438B2 (en) * 2014-03-31 2017-01-17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Acoustic resonator comprising acoustic redistribution layers
US9853626B2 (en) 2014-03-31 2017-12-26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Acoustic resonator comprising acoustic redistribution layers and lateral features
US9862592B2 (en) * 2015-03-13 2018-01-0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MS transduc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483943B2 (en) 2017-06-27 2019-11-19 Globalfoundries Inc. Artificially oriented piezoelectric film for integrated filters
WO2019028288A1 (en) * 2017-08-03 2019-02-07 Akoustis, Inc. ELLIPTICAL STRUCTURE FOR VOLUME ACOUSTIC WAVE RESONATOR
JP7491408B2 (ja) 2020-12-11 2024-05-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圧電振動子、圧電発振器、及び圧電振動子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1052A (ja) 2000-01-26 2001-08-03 Murata Mfg Co Ltd 圧電共振子
US20020014808A1 (en) 1998-01-16 2002-02-07 Koichiro Misu Thin film pietoelectric element
JP2004120494A (ja) 2002-09-27 2004-04-15 Tdk Corp 薄膜圧電共振子、それを用いたフィルタ及びデュプレクサ並びに薄膜圧電共振子の製造方法
KR20050034226A (ko) * 2003-10-08 2005-04-14 황갑순 한 파장의 음파를 이용하는 fbar.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8764B2 (ja) * 1977-02-09 1984-09-19 株式会社精工舎 厚みすべり水晶振動子
WO1991019351A1 (en) * 1990-05-25 1991-12-12 Toyo Communication Equipment Co., Ltd. Structure of electrode and lead thereof of ultra thin plate piezoelectric resonator
JPH0688218A (ja) 1990-11-15 1994-03-29 Tosoh Corp 酸化亜鉛系焼結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US5268610A (en) * 1991-12-30 1993-12-07 Xerox Corporation Acoustic ink printer
JPH10264385A (ja) * 1997-03-27 1998-10-06 Seiko Epson Corp 圧電体素子、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ヘッド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H11177375A (ja) * 1997-12-16 1999-07-02 Murata Mfg Co Ltd 圧電共振子
JP2000134060A (ja) 1998-10-26 2000-05-12 Murata Mfg Co Ltd エネルギー閉じ込め型圧電共振子及びエネルギー閉じ込め型圧電共振部品
JP2001196883A (ja) * 1999-11-01 2001-07-19 Murata Mfg Co Ltd 圧電共振素子の周波数調整方法
US6291931B1 (en) * 1999-11-23 2001-09-18 Tfr Technologies, Inc. Piezoelectric resonator with layered electrodes
JP3954395B2 (ja) * 2001-10-26 2007-08-08 富士通株式会社 圧電薄膜共振子、フィルタ、および圧電薄膜共振子の製造方法
JP2003179452A (ja) * 2001-12-10 2003-06-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圧電振動子の製造方法
JP3846406B2 (ja) * 2002-01-10 2006-11-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フィルタおよびデュプレクサならびに電子通信機器
US7522018B2 (en) * 2002-12-13 2009-04-21 Nxp B.V. Electro-acoustic resonator with a top electrode layer thinner than a bottom electrode layer
FR2853473B1 (fr) * 2003-04-01 2005-07-01 St Microelectronics Sa Composant electronique comprenant un resonateur et procede de fabrication
KR100489828B1 (ko) * 2003-04-07 2005-05-16 삼성전기주식회사 Fbar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5073175A (ja) * 2003-08-27 2005-03-17 Fujitsu Media Device Kk 圧電薄膜共振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4024741B2 (ja) * 2003-10-20 2007-12-19 富士通メディアデバイス株式会社 圧電薄膜共振子及びフィルタ
JP4373949B2 (ja) * 2004-04-20 2009-11-25 株式会社東芝 薄膜圧電共振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4550658B2 (ja) * 2005-04-28 2010-09-22 富士通メディアデバイス株式会社 圧電薄膜共振器およびフィルタ
JP4756461B2 (ja) * 2005-10-12 2011-08-24 宇部興産株式会社 窒化アルミニウム薄膜およびそれを用いた圧電薄膜共振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14808A1 (en) 1998-01-16 2002-02-07 Koichiro Misu Thin film pietoelectric element
JP2001211052A (ja) 2000-01-26 2001-08-03 Murata Mfg Co Ltd 圧電共振子
JP2004120494A (ja) 2002-09-27 2004-04-15 Tdk Corp 薄膜圧電共振子、それを用いたフィルタ及びデュプレクサ並びに薄膜圧電共振子の製造方法
KR20050034226A (ko) * 2003-10-08 2005-04-14 황갑순 한 파장의 음파를 이용하는 fb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62959A (zh) 2006-11-15
DE102006020992A1 (de) 2006-11-23
JP4629492B2 (ja) 2011-02-09
CN1862959B (zh) 2011-12-07
US7579761B2 (en) 2009-08-25
US20060255693A1 (en) 2006-11-16
KR20060116712A (ko) 2006-11-15
JP2006319479A (ja) 200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1345B1 (ko) 압전 박막 공진자 및 필터
KR100841166B1 (ko) 압전 박막 공진기 및 필터
KR100906551B1 (ko) 래더형 필터의 제조 방법
US7737806B2 (en) Piezoelectric thin-film resonator and filter
US6788170B1 (en) Resonator structure having a dampening material and a filter having such a resonator structure
US7649304B2 (en) Piezoelectric resonator and piezoelectric filter
US8084919B2 (en) Piezoelectric thin-film resonator, filter using the same, and duplexer using the same
KR100922475B1 (ko) 압전 박막 공진기 및 필터
US8749320B2 (en) Acoustic wave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4158970A (ja) 薄膜圧電共振器を用いた帯域フィルタ
KR20050021309A (ko) 압전 박막 공진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82413A (ko) 압전 박막 공진자 및 이를 이용한 필터
JP3839492B2 (ja) 薄膜圧電素子
JP2014030136A (ja) 弾性波デバイス
JP5390431B2 (ja) 弾性波デバイス
JP4917481B2 (ja) フィルタ
JP5204258B2 (ja) 圧電薄膜共振子の製造方法
JP2008079328A (ja) 圧電薄膜共振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82817A (ja) 弾性波デバイス、フィルタ、通信モジュール、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