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7990B1 - 손의 소독, 세척, 건조를 위한 손 소독기 - Google Patents

손의 소독, 세척, 건조를 위한 손 소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7990B1
KR100737990B1 KR1020060055324A KR20060055324A KR100737990B1 KR 100737990 B1 KR100737990 B1 KR 100737990B1 KR 1020060055324 A KR1020060055324 A KR 1020060055324A KR 20060055324 A KR20060055324 A KR 20060055324A KR 100737990 B1 KR100737990 B1 KR 100737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ter
disinfecting
disinfection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5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순기
Original Assignee
(주) 디엔디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디엔디전자 filed Critical (주) 디엔디전자
Priority to KR1020060055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79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88Liqui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인 손 소독, 세척, 건조기는 위생용품에 관한 발명으로서, 식당, 화장실 등에서 손을 소독하고, 씻고, 그리고 말리는 장치이다.
본 발명인 손 소독, 세척, 건조기는 크게 세척부(100), 소독부(200), 건조부(300), 그리고 몸체(4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인 손 소독, 세척, 건조기는 소독부, 세척부, 그리고 건조부가 하나의 유닛에 포함되어 있어서, 한 곳에서 손을 씻고, 소독하고, 그리고 순간적으로 말리는 일을 한곳에서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체에서 아주 간편한 방법으로 소독수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있으므로, 손을 씻을 때마다 소독수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 적용되는 소독수발생기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하게 저작할 수 있고, 운용비가 아주 적게 소요되고, 살균효과가 확실하고, 소독물질의 잔존시간이 아주 짧아 친환경적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포켓을 이용한 공기순환식의 고속공기분사건조방식을 취하여, 건조속도가 아주 빠르고, 에너지 손실이 적고, 소음이 적다. 본 발명은 상기 유닛을 다수 개 병렬로 연결하여 방법으로 다인용으로 제작하여, 학교, 공원 등과 같이 한꺼번에 다수의 인원이 사용하는 경우도 사용할 수 있다.
세척, 소독, 건조, 차아염소산나트륨, 전해, 블로워, 소독수발생기

Description

손의 소독, 세척, 건조를 위한 손 소독기{Hand Treatment Stand for Disinfection, Wash, and Dry}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 3은 세척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소독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소독수발생기의 상세도이다.
도 6는 건조부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구성품 명칭
100 : 세척부, 200 : 소독부, 300 : 건조부, 400 : 몸체
110 : 대야, 120 : 수전, 130 : 센서, 140 : 자동밸브, 150 : 비누공급기
210 : 소독수발생기, 220 : 저장용기, 230 : 펌프
310 : 포켓, 320 : 공기노즐, 330 : 블로워, 340 : 센서, 350 : 자동밸브
본 발명인 손 소독기는 위생용품에 관한 발명으로서, 식당, 화장실 등에서 손을 소독하고, 씻고, 그리고 말리는 장치이다.
현대는 인구가 밀집하여 생활하고 있고, 그에 따라 식당, 공중화장실 등 다중이용시설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교통의 발달로 인구의 이동이 많아서 세균성 전염병이 자주 발생하고, 광역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고, 이러한 여건에서 위생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런데, 다중이 손으로 이용하는 시설인 엘리베이터 버튼, 전철 손잡이, 공중전화기의 수화기, 대형매장의 카트 손잡이 등은 세균이 아주 많이 서식하고 있고, 이들 세균은 주로 손을 통하여 인체로 유입되어 세균성 감염을 일으킨다. 따라서 손만 잘 씻어도 세균성 감염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손을 잘 씻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 이유는 식사 전, 화장실 출입 전후 등 손을 씻어야 할 시기와 장소에 손을 편리하게 씻고, 말릴 수 있는 기구가 많이 보급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최근 호텔 등 고급 다중이용시설과 고속도로 휴게소의 화장실 등에서는 손을 씻을 수 있는 세면대가 비교적 잘 갖추어져 있다. 그러나, 이런 곳의 세면대는 비누로 손을 씻는 세면대만 비치되어 있거나, 손을 말리는 수단으로는 종이타월이 비치되어 있거나, 전자 감응수단을 가진 핸드 드라이어가 비치되어 있을 뿐이다.
종이타월을 사용하여 씻은 손을 닦는 경우에는 그 자체로 자원낭비일뿐만 아니라, 소모품의 비용이 많이 들고, 쓰레기를 양산하여 관리도 어렵다.
그리고, 종래의 핸드 드라이어는 모두 열풍으로 물기를 증발시켜 말리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에너지 소모가 크고, 소음이 심하고, 손을 말리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불편하다.
그리고, 현재와 같이 전염병의 전염속도가 빠른 여건에서는 단순히 수동적으로 손을 씻는 것 만으로는 부족하고, 적극적으로 살균까지 하여야 안전하다.
현재, 국내특허 10-0443894(살균소독수 생성장치)는 소량의 식염을 첨가한 물에 전해반응을 일으켜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을 생성시켜 소독수를 생성하는 방법으로 소독수를 생성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적절한 손 소독 장치는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세균성 전염병의 예방을 위하여 손을 편리하게 씻고 소독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장치는 손을 씻고, 소독하고, 그리고 말릴 수 있는 전체 행위를 한 장소에서 간편하게 할 수 있어야한다.
특히 소독 장치는 소독수를 미리 대량으로 생성하여 두고, 필요할 때마다 취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조작과 사용이 간편하며, 유지비용이 저렴하여야 한다. 그리고 손을 말리는 장치는 짧은 시간에 말릴 수 있어야하고, 에너지 소모가 크지 않고, 쓰레기를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본 발명인 손 소독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세척부(100), 소독부(200), 건조부(300), 그리고 몸체(400)로 구성된다.
세척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손 감지센서가 있는 자동급수 세면기와 그 구성이 동일하다. 이 세척부는 물을 받을 수 있는 대야(110), 세척용수가 나오는 수전(120), 세척을 하려는 손을 감지하는 센서(130), 그리고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자동으로 개폐되는 자동밸브(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대야(110)는 몸체(400)의 상면에 요부(凹部)를 형성하여 제작하는 것이 간편하다. 그리고 세척부는 통상의 세면기와 같이 액체비누 공급기(15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세척용수는 급수관(410)을 통하여 수전(120)에 공급되고, 세척에 사용된 물은 배수관(420)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소독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씻은 손을 다시 소독수로 행구어 살균을 하는 부위로서, 상기 세척부와 동일한 세척부를 구비하고, 몸체(400) 내부의 일정 장소에 수납된 소독수발생기(210), 몸체(400) 내부의 상단 또는 하단에 수납된 소독수 저장용기(220), 소독수 발생기에서 생성된 소독수를 소독수 저장용기로 공급하는 펌프(230)로 구성된다. 이 소독부는 소독수 저장용기(220)를 몸체(400)의 하단에 설치하여, 몸체의 상부에 돌출부가 생기지 않는 구조로 제작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소독부는 소독수 저장용기(220)를 따로 구비하지 않고, 소독수발생기에서 직접 소독부의 수전으로 소독수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소독수발생기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조(211), 전극을 포함한 전원장치(212), 상기 전원장치와 펌프, 센서 등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공급기(213), 그리고 소독수 생성에 필요한 조작을 하는 조정부(214)로 구성된다.
소독수발생기의 반응조(211)는 사각 또는 원통 형상으로 제작된다. 반응조의 재질은 어떤 것이나 상관이 없으나, 소독수의 주요성분인 차아염소산나트륨 및 부수적으로 소량 발생하는 차아염소산, 오존 등의 화학물질에 의하여 부식이 되거나 용식이 되지 않는 재료여야 하는데, 가볍고 파손이 잘 일어나지 않는 PP, PE, PC, 나일론 등의 플라스틱계통이 좋다. 이 반응조는 소독수 생성을 위한 전해반응이 일어나는 곳으로, 몸체(400)에 고정된다
반응조(211)의 상단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독수의 생성에 필요한 원수와 식염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211-1)가 있고, 감압밸브, 기공, 또는 콕(cock)(211-2)을 부착하여, 소독수 생성시 발생되는 수소가스 등을 배출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안전을 위하여 좋다. 그리고 원수를 수도관에 바로 연결하여 공급할 수 있는 급수구(211-3)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소독물질 생성에 필요한 NaCl의 공급원으로, 고형 식염을 사용하는 대신 고농도 식염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반응조(211)와 인접 장소에 식염수통을 설치하고, 이 식염수통과 반응조를 연결하는 관에 소형펌프(Micro Pump) 또는 콕을 부착하여, 필요한 량의 식염수를 반응조에 공급할 수 있다.
반응조(211)에는 생성된 소독수를 뽑아 이를 소독수 저장용기(220)에 이송할 수 있는 관이 연결되고, 여기에 펌프(230)가 연결되어 소독수를 저장용기로 퍼 올린다.
몸체(400)의 상단에 수납된 소독수 저장용기(220)의 크기는 사용인원, 일인당 소독수 사용량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로 하고, 그 재질은 반응조(211)의 것 과 같이 하는 것이 좋다.
소독수발생기의 반응조(211)의 하면에 부착된 전원장치(212)는 전극(212-1)과 몸체(212-2)로 구성되어 있다.
전극(212-1)은 통상의 금속제 전극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장기간 사용할 경우 양극(+극)은 전자를 계속 방출함에 따라 전기부식이 일어나서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양극은 내구성이 좋은 백금족 전극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본 소독수발생기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음극(-극)에는 스케일이 끼어 소독성분의 생성속도가 느려지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양극과 음극을 수시로 바꾸어가며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두 전극이 모두 양극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비하여 두 전극 모두 백금족 전극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전극의 형태는 일정한 폭을 가진 판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보편적이고, 하나의 전원장치(212)에 상기 전극을 2쌍 이상의 다수쌍을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하나의 전극에 그와 대응하는 다른 전극을 다수 개를 사용하는 전극 조합을 다수 조합을 배치하는 방법으로 소독수의 생성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전원장치(212)는 반응조(211)에 물이 누설되지 않는 방법으로 고정하면 되는데, 몸체(212-2)의 가장자리에 플랜지를 형성하고, 반응조(211)의 바닥에 나사구멍을 가공하여 스크루로 고정하여 연결하는 플랜지 연결방식으로 하는 것이 좋다. 연결부위의 플랜지는 소독수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O-Ring), 가스켓 등의 밀봉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다른 전원장치(212)의 고정방법으로는 전원장치의 몸체 측면에 수나사를 가공하고, 반응조(211)의 전원장치 결합구멍에는 암나사를 가공하여 전원장치를 반응조의 하부의 결합구멍에 나사결합을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연결부위의 플랜지에 소독수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O-Ring), 가스켓 등의 밀봉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전원공급기(213)는 몸체(400)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외부에서 공급되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기능, 변환된 직류 전기의 전극을 조정부에서 세팅된 데로 서로 바꾸는 스위치기능, 조정부에서 세팅된 농도로 소독수가 생성되거나 세팅된 시간에 도달하면 소독수발생기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기능, 펌프(230), 센서(130), 자동밸브(140), 블로워(330) 등 본 장치의 각 부위에 필요한 전압과 전류의 전기를 분배하는 기능 등을 가진다.
상기 전원공급기(213) 내부에는 퓨즈, 과전류차단기 등의 전기 안전장치를 구비하여 누전 등의 비정상적 상황에서는 주전원이 차단되어 본 장치를 보호하고, 화재를 예방하고, 감전 등 인원피해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조정부(214)는 패널 형태로 만들어지는데, 표시부(214-1)와 제어부(214-2)로 구분된다. 표시부(214-1)에는 소독수생성장치 내부의 소독물질 생성농도, 주전원연결 여부, 소독수 생성장치에 전기공급 상황(전기공급 여부, 공급전압, 공급전류, 전극별 전기 극성 등) 등 기타 조정상태가 표시된다. 제어부(214-2)에는 주전원 스위치, 전극의 극성전환인터벌 조정노브(knob), 전극에 공급하는 전기의 조정을 위한 전기조정노브, 소독수 농도세팅노브 등이 배치된다.
이 조정부(214)의 하면에는 표시조정부의 작동에 필요한 회로기판이 설치되 어 하나의 모듈을 구성하고, 그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몸체(400)의 전면 적당한 곳에 고정된다.
조정부(214)는 상기한 전원공급기(213)와 정보를 주고 받으며 전원 공급상태를 표시하고, 전원공급기로 하여금 소독수발생기에 최적의 전기를 공급하게 한다.
본 소독부의 작동과 기능은 다음과 같다.
소독수부의 반응조에 물을 채우고 필요한 량의 식염(NaCl) 또는 식염수를 첨가한 후, 전원 스위치를 넣어 전기를 공급하면 소독수발생기의 전극에 직류전기가 인가된다. 이렇게 전극에 전기가 인가되면, 양극에서는 음이온인 염소 이온(Cl-)이 산화하여 염소(Cl)가 생성되고, 음극에서는 양이온인 나트륨 이온(Na+)이 환원되어 나트륨(Na)이 유리된 다음, 이 나트륨이 물과 반응하여 수산화나트륨이 생성되고 수소가 발생한다. 이 수산화나트륨은 음극에서 생성된 염소와 반응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과 소금(NaCl)과 물(H2O)를 생성한다.
이상의 화학반응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양극반응 : 2Cl- => Cl2 + 2e
음극반응 : 2Na+ + 2e => 2Na
2Na + 2H2O => 2NaOH + H2
반응조 내부 전체반응 : Cl2 + 2NaOH => NaOCl + NaCL + H2O
상기 화학반응에서 생성된 NaOCl, 즉 차아염소산나트륨(하이포염소산나트륨 이라고도 함)은 강한 살균 작용이 있으므로, 차아염소산나트륨이 생성된 반응조의 물은 소독수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알 수 있듯이 소독물질이 생성될 동안에는 반응조(211)의 상부의 밸브, 기공, 또는 콕을 열어두어, 반응중 발생한 수소가스, 염소가스, 그외 일부 물이 전기분해되어 발생하는 산소 등 각종 기체들을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 안전하다.
특히 소독수발생기에 식염을 적정 이상으로 과다 투입하면 화학반응이 급격히 일어나 다량의 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차단장치 등 전원 공급계통에 이상이 생길 경우 전극에 전기가 계속 흐르고, 그에 따라 화학 반응이 계속 진행되어 다량의 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정상적인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서도 소독수 발생용기의 상부에 기공, 밸브, 또는 콕이 필요하다.
살균에 충분한 정도로 미리 세팅된 농도로 차아염소산나트륨이 생성되면, 이를 센서로 감지를 하여 전극에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센서로는 반응시 발생하는 염소량을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미리 세팅된 반응시간이 경과되면 전원이 차단되는 방법으로 전해 반응을 중단시킬 수 있다. 그외에도, 소독수발생기 내에서 반응이 진행되면 전극에 공급되는 전류에 변화가 생기는데, 이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하는 등의 제어를 할 수도 있다.
전원공급기(213)는 상기 전해 반응에 적당한 전압의 전기를 공급하는데, 조정부(214)에서 세팅된 시간 인터벌로 소독수발생기의 전극에 각각 공급되는 전기의 극성을 교번 하면서 공급하거나, 수동조작에 따라 전기의 극성을 교번 하면서 공급 하거나, 또는 전극의 교번이 없이 전기를 공급하는 등의 방법으로 소독수발생기의 전극에 전기를 공급한다. 그리고, 전원공급기(213)는 소독수의 농도가 미리 세팅된 적정농도에 이르렀을 때 전극에 전기공급을 차단하여 소독수 생성반응을 중단시키는 기능도 한다. 그리고 본 장치의 여타 필요부위에도 전기를 적정하게 조정하여 공급한다.
이상과 같은 원리로 소독부의 소독수발생기(210)는 아주 간편한 방법으로 소독수를 생성한다.
소독수발생기(210)에서 충분한 농도로 소독수가 생성되면 전원공급기(213)에 의하여 반응조(211)의 전극에 공급되는 전기가 차단되어 전해반응은 더 이상 일어나지 않고, 펌프(230)가 작동하여 소독수를 몸체(400)의 상단에 있는 저장용기(220)에 소독수를 퍼올려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전해방식의 소독수발생기(210)를 사용하지 않고, 소독수 저장용기(220)에 소독용 화학약품을 첨가하여 소독수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소독수발생기(210)는 생략된다.
소독부에도 세척부와 동일한 대야, 수전, 감지기 그리고 자동밸브가 구비되어 있고, 그 용도와 기능은 세척부의 것과 동일하다. 다만, 수전(120)이 상기 저장용기(220)에 연결되어 소독수를 공급받는 것만 상이하다.
건조부(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310), 포켓의 상부 측벽에 매입되어 설치된 공기노즐(320), 그리고 몸체의 하단에 고정된 블로워(330)로 구성되어 있다.
포켓(310)은 몸체(400)의 상면에, 두 손을 나란히 편 상태로 넣을 수 있는 폭, 길이 그리고 깊이로 형성된다. 포켓의 상부 측벽에는 공기노즐(320)이 필요에 따라 2개, 4개, 6개 등 다수 개가 매입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포켓의 하면에는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배출공이 뚫려있고, 이 배출공은 하기 불로워(330)의 흡입측에 공기관으로 연결되어 있다.
포켓의 측벽에는 세척부(100)의 것과 동일한 센서(130)가 부착되어 있고, 공기공급관에는 자동밸브(340)가 설치되어 있어서, 손을 말리기 위하여 손을 포켓에 집어넣으면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고속 공기를 분사하게 한다.
통상적으로 노즐로 고속의 공기가 분사될 때는 소음이 크게 발생하는데, 포켓의 내면에 인체에 무해한 흡음재를 라이닝하여 사용하면 소음을 줄일 수 있다.
포켓(310)의 배출공과 불로워(330)의 흡입측에 연결되는 공기관에는 트랩(350)을 설치하여, 손을 말릴 고속공기에 쓸려나온 물이 불로워로 들어가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공기노즐(320)은 그 끝단에 공기를 고속으로 분사할 수 있는 작은 구멍이 뚫려있고, 하기 블로워(330)의 토출측에 연결되어 있다.
블로워(330)는 손의 건조에 필요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콤프레셔, 블로워 등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시판되고 있는 링블로워가 유량이나, 정압면에서 가장 적당하다. 그리고, 불로워는 압축공기탱크가 구비된 것을 선택하여, 불로워의 모터가 작동하여 공기압이 오르기 전에도 포켓(310)에 압축공기를 즉시 공급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건조부(300)는 공기노즐(320)에서 분사된 공기를 포켓(310)의 배출공을 통하여 회수하여 블로워(330)의 흡입측으로 흡입하고, 이를 다시 토출측을 통하여 공기노즐(320)에 공급하는 방식을 취하여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방식을 취하였다.
블로워(330)의 토출측과 공기노즐(320)을 연결하는 공기관에는 히터(360)를 구비하여 뜨거운 공기를 포켓에 분사하여 손을 말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건조부(300)의 포켓(310)에 세척을 하여 물이 묻은 손을 넣으면, 이를 센서가 감지하여 자동으로 자동밸브(340)를 열고, 고속의 공기가 분사되어 물을 훑어 내리면서 손을 말린다. 이때 공급된 고압공기는 블로워(330)의 흡입측으로 회수되고, 그 사이에 물기는 공기관에 설치된 트랩(350)을 통하여 외부로 따로 배출된다.
본 본 발명인 손 소독, 세척, 건조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소독부, 세척부, 그리고 건조부 각각 하나씩을 하나의 프레임에 구비하여 구성되는 유닛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학교, 공원 등과 같이 한꺼번에 다수의 인원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닛을 다수 개 병렬로 연결하여 다인용으로 길게 제작할 수 있다. 다인용의 경우 소독부의 소독수발생기 및 저장용기를 를 큰 용량으로 하나로 제작하고, 소독부의 각 수전에 배관라인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소독부, 세척부, 그리고 건조부의 배치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바꿀 수 있으며, 다인용으로 제작할 경우 세척부를 모아 연속하여 배치하고, 소독부를 모아 연속으로 배치하고, 건조부를 모아 연속하여 배치하는 방식으로 제작 할 수 있다. 다인용의 경우 통상 세척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나, 소독과 건조는 빨리 할 수 있으므로, 소독부, 세척부, 그리고 건조부의 개수를 반드시 1:1:1로 할 필요는 없고, 세척부의 개수를 늘리는 방법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손 소독, 세척, 건조기는 소독부, 세척부, 그리고 건조부가 하나의 유닛에 포함되어 있어서, 한 곳에서 손을 씻고, 소독하고, 그리고 순간적으로 말리는 일을 한곳에서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주 간편한 방법으로 소독수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있으므로, 손을 씻을 때마다 소독수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 적용되는 소독수발생기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하게 저작할 수 있고, 운용비가 아주 적게 소요되고, 살균효과가 확실하고, 소독물질의 잔존시간이 아주 짧아 친환경적이다.
본 발명은 포켓을 이용한 공기순환식의 고속공기분사건조방식을 취하여, 건조속도가 아주 빠르고, 에너지 손실이 적고, 소음이 적다.
본 발명은 상기 유닛을 다수 개 병렬로 연결하여 방법으로 다인용으로 제작하여, 학교, 공원 등과 같이 한꺼번에 다수의 인원이 사용하는 경우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4)

  1. 대야, 수전, 그리고 손 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있는 통상의 자동급수 세면기와 유사한 구조의 세척부(100);
    상기 세척부와 동일한 구성의 세척부와, 하기 몸체 내부의 공간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손 소독에 소요되는 소독수를 저장하여 세척부의 수전에 소독수를 공급하는 소독수 저장용기(220)를 구비한 소독부(200);
    하기 몸체의 상면에 요부를 형성하여 손이 들어가고 그 하면에는 공기배출공이 구비된 포켓, 상기 포켓의 상단 내부 측면에 부착된 공기노즐, 그리고 상기노즐과 그 토출측이 공기호스로 연결되고 그 흡입측은 상기 포켓의 공기 배출공에 연결관으로 연결되어 상기 공기노즐에 고속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워를 구비한 건조부(300);
    그리고, 상기 각 부위의 구성품들이 고정되는 몸체;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손 소독기.
  2. 제1항의 손 소독기에 있어서, 상기 소독부(200)는,
    일정 체적을 가진 용기로서, 소독수의 생성에 필요한 원수와 식염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를 구비하고, 그 하부에는 하기 전원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구멍을 구비한 반응조(211);
    상기 반응조의 하부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반응조의 내부에 노출되는 다수개의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전극을 고정하고 상기 용기에 부착할 수 있는 몸체로 구성된 전원장치(212);
    상기 반응조내의 전원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외부 교류전기를 공급받아 이를 직류로 전환하고, 이 직류전기를 하기 조정부에서 조정된 상태로 상기 소독수발생기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공급기(213);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기의 전기공급상태와 반응조내의 소독물질의 농도와 기타 조작상황을 표시하고, 소독수발생기에 공급되는 전원공급기의 작동을 조정하고 세팅을 하는 조정부(214);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독수발생기(210)를 추가로 구비하여, 소독수를 자체에서 생산하여 이 소독수를 상기 소독부의 소독수 저장용기(220)에 공급하는 소독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소독기.
  3. 제2항의 손 소독기에 있어서,
    상기 소독부는, 별도의 소독수 저장용기를 구비하지 않고, 소독수 발생기의 반응조에서 직접 수전으로 소독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소독기.
  4. 제1항 또는 제2항의 손 소독기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 다수 개, 상기 소독부 다수 개, 그리고 상기 건조부 다수 개를병렬로 연결하고, 이들을 하나의 몸체에 고정한 다인용 손 소독기.
KR1020060055324A 2006-06-20 2006-06-20 손의 소독, 세척, 건조를 위한 손 소독기 KR100737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324A KR100737990B1 (ko) 2006-06-20 2006-06-20 손의 소독, 세척, 건조를 위한 손 소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324A KR100737990B1 (ko) 2006-06-20 2006-06-20 손의 소독, 세척, 건조를 위한 손 소독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6559U Division KR200425399Y1 (ko) 2006-06-20 2006-06-20 손의 소독, 세척, 건조를 위한 손 소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7990B1 true KR100737990B1 (ko) 2007-07-12

Family

ID=38503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5324A KR100737990B1 (ko) 2006-06-20 2006-06-20 손의 소독, 세척, 건조를 위한 손 소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79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753Y1 (ko) * 2009-03-09 2010-10-29 (주) 디엔디전자 손소독기
US9139302B2 (en) 2011-02-10 2015-09-22 Airbus Operations Gmbh Hand drying device and washing stand for an aircraft
KR101768458B1 (ko) 2015-10-20 2017-08-17 (주)하이젠텍 전해살균수 손 소독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9182A (ja) * 1992-03-30 1993-10-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流し台
JP2000060763A (ja) * 1998-08-19 2000-02-29 Toto Ltd 手洗浄乾燥装置
JP2001112663A (ja) * 1999-10-18 2001-04-24 Koito Ind Ltd 液体吐出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これを用いた手洗い装置
KR20020078528A (ko) 2001-04-03 2002-10-19 서순기 병원 내시경의 살균 소독 세척장치
JP2004283447A (ja) * 2003-03-24 2004-10-14 Toto Ltd 手洗い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9182A (ja) * 1992-03-30 1993-10-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流し台
JP2000060763A (ja) * 1998-08-19 2000-02-29 Toto Ltd 手洗浄乾燥装置
JP2001112663A (ja) * 1999-10-18 2001-04-24 Koito Ind Ltd 液体吐出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これを用いた手洗い装置
KR20020078528A (ko) 2001-04-03 2002-10-19 서순기 병원 내시경의 살균 소독 세척장치
JP2004283447A (ja) * 2003-03-24 2004-10-14 Toto Ltd 手洗い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753Y1 (ko) * 2009-03-09 2010-10-29 (주) 디엔디전자 손소독기
US9139302B2 (en) 2011-02-10 2015-09-22 Airbus Operations Gmbh Hand drying device and washing stand for an aircraft
KR101768458B1 (ko) 2015-10-20 2017-08-17 (주)하이젠텍 전해살균수 손 소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6029B1 (ko) 변기물 살균장치 및 그 방법
US7413637B2 (en) Self-contained, self-powered electrolytic devices for improved performance in automatic dishwashing
US20030213505A1 (en) Energy-efficient automatic dishwashing appliances
KR20090123297A (ko) 손 소독기
KR101206227B1 (ko) 야채 및 과일 세척소독용 버블발생기
KR200425130Y1 (ko) 거치형 전해소독수생성장치
KR100970888B1 (ko) 손 소독기
KR20090004559U (ko) 전해식 손소독기
KR100737990B1 (ko) 손의 소독, 세척, 건조를 위한 손 소독기
KR200425399Y1 (ko) 손의 소독, 세척, 건조를 위한 손 소독기
JPH119481A (ja) 浴室清掃装置
KR20100060411A (ko) 손 소독기능을 갖춘 소변기
WO2003099096A1 (en) Self-contained, self-powered electrolytic devices for improved performance in automatic dishwashing
JP2006207328A (ja) 洗浄水生成装置
CN102499990A (zh) 内窥镜消毒方法
KR102433024B1 (ko)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JP2005007102A (ja) 小型電解水手洗装置
KR100859371B1 (ko) 비데기 세정노즐의 살균장치
KR20100005243U (ko) 자가 세정형 노즐 소독 장치가 구비된 비데기
CN217583259U (zh) 水龙头
KR200459389Y1 (ko) 전해소독수 공급장치
KR100929118B1 (ko) 전해수 생성장치
KR20100110462A (ko) 인체 소독기
KR200430003Y1 (ko) 가정용 전해소독수생성장치
JP3021133U (ja) 強酸性水生成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