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024B1 -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024B1
KR102433024B1 KR1020210176754A KR20210176754A KR102433024B1 KR 102433024 B1 KR102433024 B1 KR 102433024B1 KR 1020210176754 A KR1020210176754 A KR 1020210176754A KR 20210176754 A KR20210176754 A KR 20210176754A KR 102433024 B1 KR102433024 B1 KR 102433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water
direct
electrolyte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교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캔하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캔하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캔하이
Priority to KR1020210176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0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024B1/ko
Priority to PCT/KR2022/018544 priority patent/WO202310669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5Black water originating from toil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3Inversing polar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직수형 변기에 변기물을 공급하는 직수관상에 살균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직수관을 통해 직수형 변기에 공급되는 변기물에 전해질을 공급하거나 전기분해를 가하여 상기 변기물을 전해수화 함으로써, 물탱크가 구비되지 않은 상기 직수형 변기를 친환경적으로 살균할 수 있도록 하는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APPARATUS FOR STERILIZING TOILET WATER OF DIRECT DRAINING WATER TYPE TOILET BOWL}
본 발명은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수형 변기에 변기물을 공급하는 직수관상에 살균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직수관을 통해 직수형 변기에 공급되는 변기물에 전해질을 공급하거나 전기분해를 가하여 상기 변기물을 전해수화 함으로써, 물탱크가 구비되지 않은 상기 직수형 변기를 친환경적으로 살균할 수 있도록 하는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주거환경이 크게 개선되면서 수세식 변기가 대중화되어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수세식 변기가 설치되어 있는 화장실이나 욕실의 청결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수세식 변기라 하더라도 여러 사람이 사용하기 때문에 악취나 오염 등의 위생문제가 발생되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환기팬을 설치하거나 방향제를 사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위생 문제를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수세식 변기에 사용되는 변기물은 통상적으로 소독되지 않은 일반 수돗물이기 때문에, 수세식 변기는 용변이나 습기로 인해 각종 세균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사람들이 각종 병원균에 쉽게 노출되어 피부염, 위장염, 식중독 등과 같은 각종 질환에 감염될 수 있다.
이처럼 세균에 의한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변기를 주기적으로 세정하여 청결하게 유지하여야 하며, 각종 세균이 번식하는 변기물을 살균 처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 대부분의 수세식 변기에서는 악취방지, 세척, 살균 등을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가용성 고체형태로 된 세정제를 변기물 탱크나 수조의 내부에 담아두어 세정제를 물에 용해시킨 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물을 변기로 배출할 때 용해된 일정량의 세정액과 함께 자연적으로 변기로 배출하여 변기에 잔존해 있는 세균이나 침전물을 세척 및 살균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세정제를 이용하는 방법은 변기의 사용빈도에 따라 물에 희석되는 세정제의 용해량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변기 내부로 투입되는 세정액의 양이 일정하지 않으며, 변기를 장시간 사용되지 않는 경우 세정제가 필요 이상으로 포화 상태까지 용해되어 세정제의 사용기간이 단축되는 것은 물론, 농도가 짙은 세정액이 한꺼번에 배수되는 경우 환경오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수세식 변기의 형태가 수조나 탱크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변기물을 직접 변기에 공급하는 직수형 변기의 사용이 크게 늘어나고 있으며, 직수형 변기의 경우 별도의 세정제를 사용할 수 없는 환경이기 때문에 더더욱 위생에 취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직수관을 통해 직수형 변기에 공급되는 변기물의 유속 및 압력의 변화에 따라 직수관상에 구비된 살균장치에서 변기물에 전해질을 공급하거나 전기분해를 가하여 상기 변기물을 전해수화 함으로써, 상기 직수형 변기를 친환경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직수관을 통해 직수형 변기에 공급되는 변기물의 유속 및 압력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는 밸브 구조를 적용하여, 변기물에 전해질을 공급하거나 전기분해를 가하여 상기 변기물을 전해수화 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선행발명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발명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공개특허 제2019-0069883호(2021.06.14.)는 유량감지를 통한 변기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치 내 전원공급 및 제어를 위한 제어부, 살균수 생성을 위한 살균원을 저장하는 살균원저장부, 공급된 수돗물과 살균원을 이용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전해수생성부, 유량 또는 유속의 변화를 감지하는 유량감지부, 전해수생성부로의 수돗물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입수제어밸브, 변기로 출수된 살균수와 수돗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밸브, 수돗물 공급관에서 공급된 수돗물이 변기로 직접 유입되도록 조절하는 직수제어밸브를 포함한 유량감지를 통한 변기세정장치에 관한 선행발명이다.
즉, 상기 한국공개특허 제2019-0069883호는 변기의 수돗물 공급관에 설치되어 변기로 유입되는 수돗물의 유량 또는 유속의 변화를 통해 변기의 사용여부를 감지하고, 살균원을 첨가한 수돗물의 전기분해를 통해 생성된 살균수를 이용하여 변기의 살균, 세정을 수행하는 장치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직수관을 통해 직수형 변기에 공급되는 변기물의 유속 및 압력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는 밸브 구조를 통해 상기 변기물에 전해질을 공급하거나 전기분해를 가하여 상기 변기물을 전해수화하여 살균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상기 한국공개특허 제2019-0069883호와 본 발명은 현저한 구성상 차이점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2008337호(2019.08.07.)는 변기 살균수 자동 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기분해셀을 포함하며,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세정수 공급관 및 살균수 배출관이 설치된 전기분해챔버; 소금물이 수용된 소금물 카트리지; 탈착수단을 통해 상기 소금물 카트리지에 탈착되며, 소금물 카트리지의 소금물을 펌핑하는 펌핑수단; 상기 펌핑수단을 통해 펌핑된 소금물이 세정수 공급관으로 이동되는 관로를 제공하는 소금물 공급관:을 포함하는 변기 살균수 자동 공급시스템에 관한 선행발명이다.
즉, 상기 한국등록특허 제2008337호는 분사 방식을 통해 세정수에 소금물을 희석하여 전기분해효율성을 높여 양질의 살균수가 생성되도록 하고, 소금물이 공급되는 소금물 카트리지를 별도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소금물 카트리지 교체 작업에 대한 편의성을 높인 변기 살균수 자동 공급시스템을 기재하고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은, 직수관을 통해 직수형 변기에 공급되는 변기물의 유속 및 압력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는 밸브 구조를 통해 상기 변기물에 전해질을 공급하거나 전기분해를 가하여 상기 변기물을 전해수화하여 살균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상기 한국등록특허 제2008337호와 본 발명은 기술적 구성의 차이점이 분명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별도의 세정제를 사용할 필요 없이 전해질을 이용하여 직수형 변기를 살균할 수 있도록 하는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수관상에 구비된 살균장치를 통해서, 직수형 변기의 살균을 수행하도록 하는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수관을 통해 직수형 변기에 공급되는 변기물의 유속 및 압력의 변화에 따라 변기물에 전해질을 공급하거나 전기분해를 가하여 상기 변기물을 전해수화함으로써, 상기 직수형 변기를 친환경적으로 살균할 수 있도록 하는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수관을 통해 직수형 변기에 공급되는 변기물의 유속 및 압력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는 기계식 구조를 적용하여, 변기물에 전해질을 공급할 수 있는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수관을 통해 직수형 변기에 공급되는 변기물의 유속 및 압력의 변화를 센서로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결과를 이용하여 전자식으로 변기물에 전해질을 공급할 수 있는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는, 변기에 변기물을 공급하는 직수관; 및 상기 직수관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직수관에 전해질을 투입하는 전해질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변기의 사용에 따라 상기 변기물에 상기 전해질의 공급을 통해서 상기 변기물을 전해수화 함으로써, 물탱크가 구비되지 않은 상기 변기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해질은, 미산성차아염소산수, 차아염소산나트륨, 차아염소산수, 락스용액, 소금. 구연산, 칼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는, 상기 투입된 전해질에 전기를 가하여 전기분해를 수행하는 전기분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는, 상기 직수관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직수관에 향기가 나는 액상이나 고체의 물질을 직접 투입하거나, 팬 구동을 통해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 발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는, 상기 직수관의 외부 일측 혹은 양측에 형성되어 설치되고, 상기 변기로 공급되는 변기물의 유속이나 압력의 변화에 따라 개폐되어 상기 전해질 공급부로부터 상기 전해질을 상기 직수관상에 공급하는 기계식 도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는, 상기 기계식 도징부에 구비되고, 상기 기계식 도징부의 개방에 따라 상기 전해질이 상기 직수관으로 공급될 때 전기분해를 수행하도록 하는 전극;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극의 극성은 사전에 설정된 주기에 따라 양극과 음극이 교번되어, 전기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원물의 침착으로 인하여 전기분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극은, 지지대의 일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전해질 공급부의 내부 공간에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중앙에 설치되는 전선을 통해 제어모듈과 전기적 접속을 수행하며, 상기 전극의 극성은 사전에 설정된 주기에 따라 양극과 음극이 교번되어, 전기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원물의 침착으로 인하여 전기분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는, 상기 기계식 도징부와 상기 직수관의 외벽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직수관의 유압에 의해 눌려진 상태에서는 상기 기계식 도징부를 닫아 상기 직수관에 밀착되도록 하며, 상기 변기의 사용에 의해 변기물이 공급됨에 따라 유속이 감소하거나 상기 직수관 내부의 유압이 감소하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기계식 도징부를 개방시키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는, 상기 탄성부가 눌려져 상기 기계식 도징부가 상기 직수관에 밀착될 때 상기 전해질 공급부와 상기 직수관 사이를 밀폐시켜, 상기 전해질 공급부에 담긴 전해질이 상기 직수관상에 흐르지 않도록 하며, 상기 직수관의 물이 상기 전해질 공급부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실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는, 상기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해질 공급부에 투입할 전해질을 담아두는 전해질 통; 및 상기 전해질 통에 담긴 1회 사용분량의 전해질을 상기 전해질 공급부로 공급하는 공급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는, 변기에 변기물을 공급하는 직수관; 상기 직수관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직수관에 전해질을 투입하는 전해질 공급부; 상기 직수관상에 설치되고, 상기 변기로 공급되는 변기물의 유속이나 압력의 변화에 따라 개폐되어 상기 전해질 공급부로부터 상기 전해질을 상기 직수관상에 공급하는 개폐밸브; 상기 직수관 내부의 유속이나 압력의 변화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에서 측정한 상기 직수관 내부의 유속이나 압력의 변화를 토대로 상기 개폐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개폐밸브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해질을 상기 개폐밸브를 거쳐 상기 직수관으로 공급하는 공급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변기의 사용에 따라 상기 변기물에 상기 전해질의 공급을 통해서 상기 변기물을 전해수화 함으로써, 물탱크가 구비되지 않은 상기 변기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변기의 사용에 의해 변기물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센서에서 측정한 상기 직수관에 흐르는 물의 유속이 기준값보다 작거나 상기 직수관의 유압이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개폐밸브의 개방을 제어하여 상기 전해질 공급부에 담긴 전해질이 상기 직수관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구성 방법은, 내부에 전해질이 수용되는 전해질 공급부를 형성하는 단계; 변기의 사용에 따라 직수관을 통해 상기 변기로 공급되는 변기물의 유속이나 압력의 변화를 토대로 개폐되는 기계식 도징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계식 도징부의 개폐를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형성한 전해질 공급부를 상기 직수관의 외측에 설치하고, 상기 형성한 기계식 도징부를 상기 직수관의 일측 혹은 양측에 설치하고, 상기 형성한 탄성부를 상기 기계식 도징부와 상기 직수관의 외벽 사이에 구비하여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는, 상기 탄성부가 상기 직수관 내부의 유압에 의해 눌려진 상태에서는 상기 기계식 도징부를 닫아 상기 직수관에 밀착되도록 하며, 상기 변기의 사용에 의해 변기물이 공급됨에 따라 유속이 감소하거나 상기 직수관 내부의 유압이 감소하면, 상기 탄성부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기계식 도징부를 개방하여 상기 전해질 공급부에 담긴 전해질이 상기 직수관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변기물에 상기 전해질의 공급을 통해서 상기 변기물을 전해수화 함으로써, 물탱크가 구비되지 않은 상기 변기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구성 방법은, 상기 직수관에 향기가 나는 액상이나 고체의 물질을 직접 투입하거나, 팬 구동을 통해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 발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구성 방법은, 상기 기계식 도징부의 개방에 따라 상기 전해질이 상기 직수관으로 공급될 때, 전기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극을 상기 기계식 도징부에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극의 극성은 사전에 설정된 주기에 따라 양극과 음극이 교번되어, 전기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원물의 침착으로 인하여 전기분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구성 방법은, 상기 전해질 공급부의 내부 공간에 삽입 가능하도록 지지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형성한 지지대의 일측단에 전극을 부착하고, 상기 지지대의 중앙에 설치되는 전선을 통해 상기 전극과 제어모듈의 전기적 접속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극의 극성은 사전에 설정된 주기에 따라 양극과 음극이 교번되어, 전기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원물의 침착으로 인하여 전기분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구성 방법은, 상기 전해질 공급부와 상기 직수관 사이를 밀폐하기 위한 실딩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실딩부는, 상기 기계식 도징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가 눌려져 상기 기계식 도징부가 상기 직수관에 밀착되었을 때 상기 전해질 공급부에 담긴 전해질이 상기 직수관상에 흐르지 않도록 하며, 상기 직수관의 물이 상기 전해질 공급부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구성 방법은, 상기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해질 공급부에 투입할 전해질을 담아두는 전해질 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해질 통에 담긴 1회 사용분량의 전해질을 상기 전해질 공급부로 공급하는 공급모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구성 방법은, 내부에 전해질이 수용되는 전해질 공급부를 형성하는 단계; 변기의 사용에 따라 직수관을 통해 상기 변기로 공급되는 변기물의 유속이나 압력의 변화를 토대로 개폐되는 개폐밸브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직수관 내부의 유속이나 압력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센서에서 측정하는 상기 직수관 내부의 유속이나 압력의 변화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개폐밸브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해질을 상기 개폐밸브를 거쳐 상기 직수관으로 공급하는 공급모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형성한 전해질 공급부를 상기 직수관의 외측에 설치하고, 상기 형성한 개폐밸브를 상기 직수관의 일측 혹은 양측에 설치하고, 상기 형성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상기 직수관의 내부에 설치하고, 상기 제어모듈을 본체의 내부 공간에 구비한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는, 상기 변기의 사용에 의해 변기물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센서에서 측정한 유속이 기준값보다 작거나 상기 직수관의 유압이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어모듈에서 상기 개폐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전해질 공급부에 담긴 전해질이 상기 직수관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변기물에 상기 전해질의 공급을 통해서 상기 변기물을 전해수화 함으로써, 물탱크가 구비되지 않은 상기 변기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에 따르면, 직수관을 통해 직수형 변기에 공급되는 변기물의 유속 및 압력의 변화에 따라 직수관상에 구비된 살균장치에서 변기물에 전해질을 공급하거나 전기분해를 가하여 상기 변기물을 전해수화 함으로써, 별도의 수조나 탱크가 구비되지 않은 직수형 변기를 친환경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는 전해질을 이용함으로써, 직수형 변기의 살균을 위해 별도의 제품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직수형 변기에 담겨져 있는 변기물은 물론, 연결 배관을 동시에 살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를 포함한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의 기계식 동작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구동방식의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의 전극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의 전자식 동작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구동방식의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구동방식의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구성 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구동방식의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구성 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를 포함한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변기 살균장치(100)는 직수관(200) 상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변기사용을 마친 후 물내림 스위치(300)를 조작하면, 상기 직수관(200)을 통해 변기로 공급되는 물에 전해질을 함께 공급하여 상기 변기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별도의 세정제나 살균제를 사용할 필요 없이 상기 직수관(200) 상에 설치한 상기 직수형 변기 살균장치(100)에서 직수형 변기에 공급되는 변기물의 유속 및 압력의 변화에 따라 변기물에 전해질을 공급하거나 전기분해를 가하여 상기 변기물을 전해수화 함으로써, 물탱크가 구비되지 않은 상기 변기를 친환경적으로 살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직수형 변기 살균장치(100)에서 상기 변기에 공급되는 전해질은 사용자에 의한 상기 물내림 스위치(300)가 동작되어 물내림이 진행되는 초반 및 중반에는 공급되지 않고, 물내림이 거의 종료되는 시점에 상기 직수관(200) 내의 유속이 감소하거나 유압이 감소될 때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전해질은 미산성차아염소산수, 차아염소산나트륨, 차아염소산수, 락스용액, 소금, 구연산, 칼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것으로서, 상기 미산성차아염소산수, 차아염소산나트륨, 차아염소산수는 전기분해수(즉, 전해수)이며, 물에 녹인 액상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소금, 구연산, 칼륨 등은 전해질의 일종이다. 상기 전해질이 포함된 수돗물에 전기를 흘려주면 전해수가 된다.
또한 상기 전해질을 상기 직수관(200)에 공급하는 과정에서, 상기 직수관(200)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기계식 도징부에 구비된 전극(도 3의 (a) 참조)에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전극에서 전기분해를 통해 상기 직수관(200)상의 물을 전해수화하여 상기 변기로 공급할 수 있다. 즉 상기 직수관(200) 상의 수돗물이 상기 전해질에 의해 전기가 보다 잘 흘러 전기분해가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돗물이 빠르게 전해수로 변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해수는 기존 전해수에 전기를 흘려주어 전기분해가 촉진된 전해수를 포함한다.
또한 전극이 포함된 전기분해부를 별도로 구성하여 상기 직수형 변기 살균장치(100)의 내부 공간(예: 전해질 공급부)에 구비하고, 상기 전기분해부를 통해 전해질이 포함된 물을 전해수화하여 상기 변기로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직수형 변기 살균장치(100)는 상기 직수관(200)의 외측에 향기 발산부를 설치하여 상기 직수관(200)에 향기가 나는 액상이나 고체의 물질을 직접 투입하거나, 또는 본체의 일측에 향기 발산부를 설치하여 팬 구동을 통해 화장실에 향기를 발산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직수형 변기 살균장치(100)에서 변기물의 유속 및 압력의 변화에 따라 전해질을 직수형 변기에 공급하는 방식은 기계식 또는 전자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직수관(200)에 설치되는 상기 직수형 변기 살균장치(100)에, 직수형 변기에 공급되는 변기물의 유속 및 압력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는 기계식 구조를 적용하여 상기 직수형 변기(200)로 전해질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변기물이 전해질에 의해 전해수화되거나, 전기분해를 가하여 전해수화되어 상기 직수형 변기(200)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도 2 내지 도 4 참조)
또한 상기 직수관(20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직수관(200)에 설치되는 상기 직수형 변기 살균장치(100)에서 상기 센서를 통해 측정한 결과를 토대로 전자식으로 밸브를 개폐하여 상기 직수형 변기로 전해질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변기물이 전해질에 의해 전해수화되거나, 전기분해를 가하여 전해수화되어 상기 직수형 변기(200)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변기 살균장치(100)는 상기 직수관(200)에 직접 설치하고, 상기 변기물의 사용에 따라 전해질을 함께 공급하기 때문에, 수조나 탱크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은 기존의 직수형 변기에서 수행하지 못하는 살균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직수형 변기 살균장치(100)의 기계식 구성과 전자식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의 기계식 동작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수형 변기 살균장치(100)는 전해질 공급부(101), 기계식 도징부(102), 탄성부(103), 향기 발산부(106), 제어모듈(109), 실딩부(11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직수형 변기 살균장치(100)는 전원부(104), 공급모터(105), 전극(107), 표시부(108), 조인트부(111), 전기분해부(112), 전해질 통(116) 등을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상기 전해질 공급부(101)는 상기 직수관(200)의 외측 일부 공간을 감싸면서 설치되며, 내부에 전해질이 담겨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전해질 공급부(101)의 일측은 전해질 통(116)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해질 통(116)을 통해 전해질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전해질 통(116)으로부터 공급받는 전해질은 1회 사용분량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해질을 이용한 전기분해를 통해서 상기 전해질 공급부(101) 내의 물을 전해수 혹은 촉진된 전해수로 생성해 둘 수 있다.
상기 기계식 도징부(102)는 상기 직수관(200)상에 설치되고, 상기 변기로 공급되는 변기물의 유속이나 압력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개방되거나 혹은 폐쇄되며, 상기 직수관(200)을 흐르는 물의 유속이나 압력의 변화에 의해 개방된 경우, 상기 전해질 공급부(101)에 담긴 전해질을 상기 직수관(200)상에 공급하여 상기 변기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기계식 도징부(102)는 상기 직수관(200)의 외부 일측 혹은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기 사용을 마친 사용자가 상기 물내림 스위치(300)를 동작시키면, 상기 직수관(200)을 통해 상기 변기에 물이 공급되는데, 초반은 물론 중반 및 후반 초기까지는 유속과 유압이 강하게 작용하여 상기 기계식 도징부(102)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기 물내림 스위치(300)가 원위치되면서 상기 직수관(200)을 흐르는 물의 유속이 감소하거나 압력이 저하되면, 상기 기계식 도징부(102)가 상기 탄성부(103)의 탄성력에 의해 서서히 개방되면서 변기물에 상기 전해질이 공급되어 변기의 살균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기계식 도징부(102)는 하기 설명에서와 같이 탄성부(103)의 동작에 의해 상기 직수관(200)의 연결 부위를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상기 탄성부(103)를 사용하지 않고 중력이나 자체 무게를 통해 상기 직수관(200)의 연결 부위를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기계식 도징부(102)의 하부에 추와 같이 무게를 제공하는 부재를 매달아 설치하고, 상기 직수관(200)을 흐르는 물의 유속이나 유압이 높은 경우에는 중력이나 상기 추의 무게로 인해 상기 직수관(200)측의 연결 부분을 폐쇄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직수관(200)을 흐르는 물의 유속이나 유압이 낮아지면 상기 직수관(200)측의 연결 부분이 벌어져 상기 전해질 공급부(101)에 수용된 전해질을 상기 직수관(200)에 흘려보내 상기 변기를 살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부(103)는 상기 기계식 도징부(102)와 상기 직수관(200)의 외벽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직수관(200)의 유압이나 유속에 의해 눌려진 상태에서는 상기 기계식 도징부(102)를 닫아 상기 직수관(200)에 밀착되도록 하며, 상기 변기의 사용에 의해 변기물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직수관(200)의 유속이 감소하거나 상기 직수관(200) 내부의 유압이 감소하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기계식 도징부(102)를 개방시킨다.
이때 상기 기계식 도징부(102)를 개방하기 위한 상기 탄성부(103)의 탄성력은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즉 반복적인 실험을 수행하여 상기 직수관(200)을 흐르는 물의 유속이나 압력에 따라 탄성력이 작용하는 시점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변기에 상기 직수관(20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채워질 수 있는 시점에 상기 기계식 도징부(102)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103)는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외부로부터 압력을 받으면 줄어들었다가 가해지던 압력이 해소되면 자체 탄성력에 의해 펴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방식과는 반대로 상기 직수관(200)에 흐르는 물의 유속이나 유압이 증가하면 상기 기계식 도징부(102)를 개방하고, 유속이나 유압이 감소하면 상기 기계식 도징부(102)를 폐쇄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향기 발산부(106)는 상기 직수관(200)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직수관(200)에 향기가 나는 액상이나 고체의 물질을 직접 투입하거나, 또는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팬의 구동을 통해 화장실 공간으로 향기를 발산할 수 있다.
상기 실딩부(110)는 상기 탄성부(103)가 눌려져 상기 기계식 도징부(102)가 상기 직수관(200)에 밀착되는 경우, 상기 전해질 공급부(101)와 상기 직수관(200) 사이를 밀폐시킨다.
즉 상기 기계식 도징부(102)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전해질 공급부(101)에 담긴 전해질이 상기 직수관(200)으로 흐르지 않도록 하며, 상기 직수관(200)의 물이 상기 전해질 공급부(101)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실딩부(11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기계식 도징부(102)의 모양에 따라 형성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기계식 도징부(102)가 원형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실딩부(110)는 상기 기계식 도징부(102)의 일측에 오링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전해질 공급부(101)의 하부 공간에는 제어모듈(109)과 전원부를 포함한 전자부품이 구비될 수 있으며, 외부에는 상기 직수형 변기 살균장치(100)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LED 등을 포함한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109)은 전해질 통(116)이 별개로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전해질 통(116)에 담긴 전해질을 상기 전해질 공급부(101)로 공급하는 공급모터(105)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표시부(108)의 표시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부(111)는 상기 직수형 변기 살균장치(100)와 직수관(200)의 연결부분이다.
한편, 상기 변기의 사용에 따라 상기 직수관(200)을 통해 물(예, 수돗물)과 함께 전해질을 공급하는 것 이외에, 전해수 혹은 촉진된 전해수를 즉각적으로 생성하여 상기 변기로 공급할 수도 있다. 즉, 물(수돗물)에 전해질이 첨가되어 변기에서 상기 변기물이 전해수화되거나, 상기 전해질이 첨가된 수돗물을 전기분해하여 상기 변기에서 상기 변기물이 전해수화된다. 상기 전해수 혹은 촉진된 전해수의 공급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구동방식의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의 전극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계식 도징부(102)의 일측에는 (+), (-)의 전극(10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극(107)은 상기 기계식 도징부(102)의 개방에 따라 상기 전해질 공급부(101)에 담긴 전해질이 상기 직수관(200)으로 공급될 때, 상기 제어모듈(109)의 제어를 통해 전류를 공급받아 전기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상기 직수관(200)에 흐르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전해수화하고, 이를 상기 변기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극(107)은 상기 전해질 공급부(101)에서 상기 직수관(200)으로 공급되는 전해질에 의해 전기가 잘 흐르게 되어, 상기 직수관(20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전해수 변환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기존의 전해수를 수돗물에 희석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때 상기 전극(107)의 극성은 사전에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109)에서 양극과 음극을 교번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극성이 고정되는 경우 전기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원물의 침착으로 인하여 전기분해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전극(107)은 상기 기계식 도징부(102)의 일측에 구비하는 방식 이외에, 유지보수를 편리하게 수행하기 위해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107)을 지지대(107a)의 일측단에 구비한 다음, 상기 전해질 공급부(101)의 내부 공간에 삽입하는 착탈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대(107a)의 중앙 부분에 전선을 배치하여 상기 전극(107)과 제어모듈(109)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107)은 서랍식으로 구현하여 상부에서 삽입하는 방식 이외에, 측면에서 착탈 형태로 삽입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직수형 변기 살균장치(100)의 상부(예를 들어, 전해질 공급부(101)의 상부에는 전해질 투입을 위한 전해질 투입구(101a)가 구비될 수 있고, 외측에는 상기 직수형 변기를 사용자의 감지를 위한 인체감지부(117)가 구비될 수 있으며, 측면에는 상기 향기 발산부(10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체감지부(117)를 통해 사용자의 변기 사용이 감지되는 시점, 혹은 기 설정된 시간이 되면 상기 전극(107)을 이용한 전기분해를 통해 전해수를 미리 생성해 둘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변기 살균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수형 변기 살균장치(100)는 상기 도 3의 기계 구조와 함께, 전원부(104), 공급모터(105), 전극(107), 표시부(108), 제어모듈(109), 전기분해부(112), 전해질 통(11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원부(104)는 상기 직수형 변기 살균장치(100)의 각 구성 부분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며, DC 어댑터(즉 전원선)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용전원을 공급받거나, 자체적으로 구비된 배터리나 외장 배터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공급모터(105)는 상기 제어모듈(109)의 구동제어를 토대로 동작되어 상기 전해질 통(116)에 담긴 1회 사용분량의 전해질을 상기 전해질 공급부(101)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전해질 통(116)은 전해질이 담긴 보관함(예를 들어, 액상 전해질의 경우 물통)으로서, 상기 직수형 변기 살균장치(100)의 본체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내부에 담긴 전해질이 소진되면, 사용자가 상기 전해질 통(116)을 분리하여 내부에 전해질을 채워 넣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해질 통(116)은 본체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전해질 통(116)에 구비된 뚜껑을 열고 내부에 전해질을 채워 넣을 수 있다.
상기 전극(107)은 도 3에서 설명한 것처럼 상기 제어모듈(109)의 제어를 토대로 상기 전원부(104)로부터 전해수 생성을 위한 전기분해 수행을 위한 전류를 공급받는다.
상기 표시부(108)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로 구성되어 상기 직수형 변기 살균장치(100)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모듈(109)의 제어에 따라 상기 직수형 변기 살균장치(100)의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상기 제어모듈(109)은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것처럼, 분리형의 전해질 통이 구비된 경우, 상기 공급모터(105)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전해질 통(116)에 담긴 전해질을 상기 전해질 공급부(101)로 공급하도록 하며, 상기 표시부(108)의 표시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전극(107) 또는 전기분해부(112)로 전류공급을 제어하여 전기분해를 통한 전해수 생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기분해부(112)는 상기 전해질 공급부(10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해질 공급부(101)에 채워진 물을 전기분해하여 전해수를 생성하도록 한다. 이때 전해질에 의해 전기분해가 촉진된다.
또한 상기 전기분해부(112)는 상기 직수형 변기가 장시간 사용되지 않을 경우,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소정 시간간격마다 동작하여 전해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의 전자식 동작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구동방식의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식 구동방식의 상기 직수형 변기 살균장치(100a)는 전해질 공급부(101), 향기 발산부(106), 제어모듈(109), 센서(113), 개폐밸브(11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직수형 변기 살균장치(100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104), 공급모터(105), 전극(107), 표시부(108), 전기분해부(112), 메모리(114) 등을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도 6 참조)
상기 공급모터(105)는 상기 개폐밸브(115)가 개방될 때, 상기 제어모듈(109)의 구동제어에 따라 동작되어 상기 전해질 공급부(101)에 담긴 전해질을 상기 직수관(200)으로 공급한다.
상기 센서(113)는 변기에 변기물을 공급하는 직수관(200)의 내부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상기 직수관(200)을 흐르는 물의 유속이나 유압을 측정하며, 상기 측정한 데이터를 상기 제어모듈(109)로 전송한다.
상기 메모리(114)는 상기 직수형 변기 살균장치(100a)에서 사용하는 각종 동작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밸브(115)의 개폐제어를 위한 기준값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개폐밸브(115)는 상기 직수관(200) 상에 설치되고, 상기 변기로 공급되는 변기물의 유속이나 압력의 변화를 확인한 상기 제어모듈(109)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어 상기 전해질 공급부(101)로부터 상기 전해질을 상기 직수관(200) 상에 공급한다.
이때 상기 개폐밸브(115)는 상기 직수관(200)의 외부 일측 혹은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09)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113)에서 측정한 상기 직수관(200) 내부의 유속이나 압력의 변화를 토대로 상기 개폐밸브(115)의 개폐를 제어한다. 즉 상기 변기의 사용에 따라 상기 변기물에 상기 전해질의 공급을 통해서 상기 변기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109)은 상기 직수관(200)을 통해 상기 변기에 변기물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113)에서 측정한 상기 직수관(200) 내부의 유속이나 압력의 변화를 상기 메모리(114)에 저장해둔 기준값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한 결과 상기 직수관(200) 내부의 유속이나 압력의 변화가 상기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개폐밸브(115)를 개방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전해질 공급부(101)에 담긴 전해질이 상기 직수관(200)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직수형 변기의 전자식 변기물 살균장치에서는 물(수돗물)에 전해질이 첨가되는 것을 전자식으로 제어하여 변기에서 상기 변기물이 전해수화되도록 하거나, 상기 전해질이 첨가된 수돗물을 전기분해하여 상기 변기에서 상기 변기물이 전해수화되도록 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구성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각 단계는 사용 환경이나 당업자에 의해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구동방식의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구성 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식 구동방식의 직수형 변기 살균장치(100)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내부 공간에 전해질이 수용되는 전해질 공급부(101)를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10). 이때 상기 S100 단계에서 형성되는 전해질 공급부(101)는 분리형으로 형성된 전해질 통(116)으로부터 1회 사용분량의 전해질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또한 변기의 사용에 따라 직수관(200)을 통해 상기 변기로 공급되는 변기물의 유속이나 압력의 변화를 토대로 개폐되는 기계식 도징부(102)를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20).
또한 상기 기계식 도징부(102)의 일측에 상기 기계식 도징부(102)의 개방에 따라 상기 전해질 공급부(101)에 내장된 전해질이 상기 직수관(200)으로 공급될 때, 제어모듈(109)의 제어를 통해 전류를 공급받아 전기분해를 수행하는 전극(107)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30). 이때 상기 전극(107)을 통과하는 상기 전해질로 인해 상기 직수관(200)에 흐르는 물의 전해수 변환이 촉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계식 도징부(102)의 개폐를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103)를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하고(S140), 상기 전해질 공급부(101)와 상기 직수관(200) 사이를 밀폐하기 위한 실딩부(110)를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50).
또한 상기 직수관(200)에 향기가 나는 액상이나 고체의 물질을 직접 투입하거나, 팬 구동을 통해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 발산부(106)를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60).
이어서, 상기 S110 단계에서 형성한 전해질 공급부(101)를 상기 직수관(200)의 외측 공간에 설치하고, 상기 S120 단계에서 형성한 기계식 도징부(102)를 상기 직수관(200)의 일측 혹은 양측에 설치하고, 상기 S130 단계를 통해 형성한 전극(107)을 상기 기계식 도징부(102)의 일측에 설치하거나 혹은 상기 전해질 공급부(101)의 내부 공간에 삽입하여 설치하고, 상기 S140 단계 및 S150 단계를 통해 형성한 탄성부(103)와 실딩부(110)를 상기 기계식 도징부(102)와 상기 직수관(200)의 외벽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S160 단계를 통해 형성한 향기 발산부(106)를 본체의 일측에 설치하며, 상기 제어모듈(109)과 공급모터(105)는 물론, 전원부(104), 표시부(108) 등을 포함한 전자 장치를 본체의 내부 공간이나 외측에 설치하여 상기 직수형 변기 살균장치(100)의 구성을 마무리한다(S170).
이에 따라 상기 직수형 변기 살균장치(100)는 상기 탄성부(103)가 상기 직수관(200) 내부의 유압에 의해 눌려진 상태에서는 상기 기계식 도징부(102)를 닫아 상기 직수관(200)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변기의 사용에 의해 변기물이 공급됨에 따라 유속이 감소하거나 상기 직수관 내부의 유압이 감소하면, 상기 탄성부(103)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기계식 도징부(102)를 개방하여, 상기 전해질 공급부(101)에 담긴 전해질이 상기 직수관(200)으로 공급되고, 상기 변기물에 상기 전해질의 공급을 통해서 상기 변기의 살균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구동방식의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구성 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식 구동방식의 직수형 변기 살균장치(100a)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내부 공간에 전해질이 수용되는 전해질 공급부(101)를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10). 이때 상기 전해질 공급부(101)는 분리형으로 형성된 전해질 통으로부터 1회 사용분량의 전해질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또한 변기의 사용에 따라 상기 직수관(200)을 통해 상기 변기로 공급되는 변기물의 유속이나 압력의 변화를 토대로 개폐되는 개폐밸브(115)를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하고(S220), 상기 직수관(200) 내부의 유속이나 압력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113)를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30).
또한 상기 센서(113)에서 측정하는 상기 직수관(200) 내부의 유속이나 압력의 변화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115)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09)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하고(S240), 상기 전해질 공급부(101)에 담긴 전해질을 상기 직수관(200)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모터(105)를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50).
또한 상기 직수관(200)에 향기가 나는 액상이나 고체의 물질을 직접 투입하거나, 팬 구동을 통해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 발산부(106)를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60).
이어서, 상기 S210 단계에서 형성한 전해질 공급부(101)를 상기 직수관(200)의 외측 공간에 설치하고, 상기 S220 단계에서 형성한 개폐밸브(115)를 상기 직수관(200)의 일측 혹은 양측에 설치하고, 상기 S230 단계에서 형성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113)를 상기 직수관(200)의 내부에 설치하고, 상기 S250 단계에서 형성한 공급모터(105)를 상기 전해질 공급부(101)의 내부 공간에 설치하고, 상기 S260 단계를 통해 형성한 향기 발산부(106)를 본체의 일측에 설치하며, 상기 S240 단계에서 형성한 제어모듈(109)은 물론, 전원부(104), 표시부(108) 등을 포함한 전자 장치를 본체의 내부 공간이나 외측에 설치하여 상기 직수형 변기 살균장치(100a)의 구성을 마무리한다(S270).
이에 따라 상기 직수형 변기 살균장치(100a)는 상기 변기의 사용에 의해 변기물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센서(113)에서 측정한 유속이 기준값보다 작거나 상기 직수관(200)의 유압이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어모듈(109)에서 상기 개폐밸브(115)를 개방하여 상기 전해질 공급부(101)에 담긴 전해질이 상기 직수관(200)으로 공급되고, 상기 변기물에 상기 전해질의 공급을 통해서 상기 변기의 살균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직수관을 통해 직수형 변기에 공급되는 변기물의 유속 및 압력의 변화에 따라 직수관상에 구비된 살균장치에서 변기물에 전해질을 공급하거나 전기분해를 가하여 상기 변기물을 전해수화하기 때문에, 별도의 수조나 탱크가 구비되지 않은 직수형 변기를 친환경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는 전해질을 이용하므로 직수형 변기의 살균을 위해 별도의 제품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직수형 변기에 담겨져 있는 변기물은 물론, 연결 배관을 동시에 살균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100a : 직수형 변기 살균장치 101 : 전해질 공급부
102 : 기계식 도징부 103 : 탄성부
104 : 전원부 105 : 공급모터
106 : 향기 발산부 107 : 전극
107a : 지지대 108 : 표시부
109 : 제어모듈 110 : 실딩부
111 : 조인트부 112 : 전기분해부
113 : 센서 114 : 메모리
115 : 개폐밸브 116 : 전해질 통
117 : 인체감지부 200 : 직수관
300 : 물내림 스위치

Claims (21)

  1. 직수형 변기에 변기물을 공급하는 직수관;
    상기 직수관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직수관에 전해질을 투입하는 전해질 공급부; 및
    상기 직수관의 외부 일측 혹은 양측에 형성되어 설치되고, 상기 직수형 변기의 사용에 따라 상기 직수형 변기로 공급되는 변기물의 유속이나 압력의 변화에 따라 개폐되어 상기 전해질 공급부로부터 상기 전해질을 상기 직수관상에 공급하는 기계식 도징부;를 포함하며,
    상기 직수형 변기의 사용에 따라 상기 변기물에 상기 전해질의 공급을 통해서 상기 변기물을 전해수화 함으로써, 물탱크가 구비되지 않은 상기 직수형 변기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미산성차아염소산수, 차아염소산나트륨, 차아염소산수, 락스용액, 소금, 구연산, 칼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는,
    상기 전해질이 첨가된 물에 전기를 가하여 전기분해를 수행하는 전기분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는,
    상기 직수관의 외측에 설치되어 팬 구동을 통해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 발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는,
    상기 전해질이 첨가된 물에 전기분해를 수행하도록 전류를 공급하는 전극;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극의 극성은, 사전에 설정된 주기에 따라 양극과 음극이 교번되어, 전기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원물의 침착으로 인하여 전기분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지지대의 일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전해질 공급부의 내부 공간에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중앙에 설치되는 전선을 통해 제어모듈과 전기적 접속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는,
    상기 기계식 도징부와 상기 직수관의 외벽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직수관의 유압에 의해 눌려진 상태에서는 상기 기계식 도징부를 닫아 상기 직수관에 밀착되도록 하며, 상기 직수형 변기의 사용에 의해 변기물이 공급됨에 따라 유속이 감소하거나 상기 직수관 내부의 유압이 감소하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기계식 도징부를 개방시키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는,
    상기 기계식 도징부가 상기 직수관에 밀착될 때, 상기 전해질 공급부와 상기 직수관 사이를 밀폐시켜, 상기 전해질 공급부에 담긴 전해질이 상기 직수관상에 흐르지 않도록 하며, 상기 직수관의 물이 상기 전해질 공급부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실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는,
    상기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해질을 담아두는 전해질 통; 및
    상기 전해질 통에 담긴 1회 사용분량의 전해질을 상기 전해질 공급부로 공급하는 공급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직수형 변기에 변기물을 공급하는 직수관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직수관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직수관에 전해질을 투입하기 위해 내부에 전해질이 수용되는 전해질 공급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직수관의 외부 일측 혹은 양측에 형성되어 설치되고, 상기 직수형 변기의 사용에 따라 상기 직수관을 통해 상기 직수형 변기로 공급되는 변기물의 유속이나 압력의 변화에 따라 개폐되어 상기 전해질 공급부로부터 상기 전해질을 상기 직수관상에 공급하는 기계식 도징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직수형 변기의 사용에 따라 상기 변기물에 상기 전해질의 공급을 통해서 상기 변기물을 전해수화 함으로써, 물탱크가 구비되지 않은 상기 직수형 변기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살균장치 구성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구성 방법은,
    상기 기계식 도징부와 상기 직수관의 외벽 사이에 설치하여 상기 기계식 도징부의 개폐를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가 상기 직수관 내부의 유압에 의해 눌려진 상태에서는 상기 기계식 도징부를 닫아 상기 직수관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직수형 변기의 사용에 의해 변기물이 공급됨에 따라 유속이 감소하거나 상기 직수관 내부의 유압이 감소하면, 상기 탄성부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기계식 도징부를 개방하여 상기 전해질 공급부에 담긴 전해질이 상기 직수관으로 공급되도록 하며,
    상기 변기물에 상기 전해질의 공급을 통해서 상기 변기물을 전해수화함으로써, 물탱크가 구비되지 않은 상기 변기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구성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구성 방법은,
    상기 직수관의 외측에 설치되어 팬 구동을 통해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 발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구성 방법.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구성 방법은,
    상기 전해질이 첨가된 물에 전류를 공급하여 전기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극의 극성은, 사전에 설정된 주기에 따라 양극과 음극이 교번되어, 전기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원물의 침착으로 인하여 전기분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구성 방법.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구성 방법은,
    상기 전해질 공급부의 내부 공간에 삽입 가능하도록 지지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형성한 지지대의 일측단에 전극을 부착하고, 상기 지지대의 중앙에 설치되는 전선을 통해 상기 전극과 제어모듈의 전기적 접속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극의 극성은, 사전에 설정된 주기에 따라 양극과 음극이 교번되어, 전기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원물의 침착으로 인하여 전기분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구성 방법.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구성 방법은,
    상기 전해질 공급부와 상기 직수관 사이를 밀폐하기 위한 실딩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실딩부는,
    상기 기계식 도징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기계식 도징부가 상기 직수관에 밀착되었을 때 상기 전해질 공급부에 담긴 전해질이 상기 직수관상에 흐르지 않도록 하며, 상기 직수관의 물이 상기 전해질 공급부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구성 방법.
  19.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구성 방법은,
    상기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해질을 담아두는 전해질 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해질 통에 담긴 1회 사용분량의 전해질을 상기 전해질 공급부로 공급하는 공급모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구성 방법.
  20. 삭제
  21. 삭제
KR1020210176754A 2021-12-10 2021-12-10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KR102433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754A KR102433024B1 (ko) 2021-12-10 2021-12-10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PCT/KR2022/018544 WO2023106697A1 (ko) 2021-12-10 2022-11-23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754A KR102433024B1 (ko) 2021-12-10 2021-12-10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3024B1 true KR102433024B1 (ko) 2022-08-18

Family

ID=83112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754A KR102433024B1 (ko) 2021-12-10 2021-12-10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3024B1 (ko)
WO (1) WO20231066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6697A1 (ko) * 2021-12-10 2023-06-15 주식회사 위캔하이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628U (ko) * 1993-07-23 1995-02-18 브이씨알의 실린더 트랜스 갭 조정장치
KR960010614U (ko) * 1994-09-10 1996-04-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크루우 타입 컵 호울더
JP2012107390A (ja) * 2010-11-15 2012-06-07 Panasonic Corp 便器洗浄装置
KR20210069883A (ko) * 2019-12-04 2021-06-14 주식회사 인터웨이브 유량감지를 통한 변기세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2278A (ja) * 2002-09-03 2004-03-25 Toto Ltd 水洗式大便器
KR102433024B1 (ko) * 2021-12-10 2022-08-18 주식회사 위캔하이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628U (ko) * 1993-07-23 1995-02-18 브이씨알의 실린더 트랜스 갭 조정장치
KR960010614U (ko) * 1994-09-10 1996-04-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크루우 타입 컵 호울더
JP2012107390A (ja) * 2010-11-15 2012-06-07 Panasonic Corp 便器洗浄装置
KR20210069883A (ko) * 2019-12-04 2021-06-14 주식회사 인터웨이브 유량감지를 통한 변기세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6697A1 (ko) * 2021-12-10 2023-06-15 주식회사 위캔하이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6697A1 (ko)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6029B1 (ko) 변기물 살균장치 및 그 방법
KR101506225B1 (ko) 위생 세정 장치
JP5022704B2 (ja) 表面殺菌及び現場殺菌用の電解槽
EP2305903A1 (en) Washing device for user's private parts
TWI463056B (zh) Sanitary cleaning device
KR20090123297A (ko) 손 소독기
KR102433024B1 (ko) 직수형 변기의 변기물 살균장치
KR20170130154A (ko) 전해기능을 갖는 순환펌프가 구비된 변기
KR100730612B1 (ko) 물청소용 살균소독수 생성 및 분사 장치
CN112274083A (zh) 一种洗碗机、洗碗机的控制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KR20090004559U (ko) 전해식 손소독기
KR20100060411A (ko) 손 소독기능을 갖춘 소변기
KR100737990B1 (ko) 손의 소독, 세척, 건조를 위한 손 소독기
CN108394961B (zh) 电解装置及智能消毒马桶盖
JP4467354B2 (ja) 洗浄装置及び除菌装置
KR200425399Y1 (ko) 손의 소독, 세척, 건조를 위한 손 소독기
JP2002316158A (ja) 電解装置
JP5678540B2 (ja) 衛生洗浄装置
KR102284684B1 (ko) 변기물 살균장치 및 그 구성방법
CN101440633A (zh) 一种电化学清洁尿垢的方法及装置
JPH1119648A (ja) 殺菌装置
CN217583259U (zh) 水龙头
KR200374759Y1 (ko) 전기분해장치를 구비한 비데
CN114468928A (zh) 一种洗碗机、洗碗机的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2064061B (zh) 在偏碱性环境下直流电解制备消毒液的供电控制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