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8945B1 - 금속라인의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금속라인의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8945B1
KR100728945B1 KR1020010037001A KR20010037001A KR100728945B1 KR 100728945 B1 KR100728945 B1 KR 100728945B1 KR 1020010037001 A KR1020010037001 A KR 1020010037001A KR 20010037001 A KR20010037001 A KR 20010037001A KR 100728945 B1 KR100728945 B1 KR 100728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line
forming
metal
insulating lay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7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0847A (ko
Inventor
김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10037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945B1/ko
Publication of KR20030000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0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48Data lines or contacts therefor
    • H10B12/482Bit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3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H01L23/53204Conductive materials
    • H01L23/53209Conductive materials based on metals, e.g. alloys, metal silicides
    • H01L23/53257Conductive materials based on metals, e.g. alloys, metal silicides the principal metal being a refractory metal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2Manufacture or treatment for one transistor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0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 H10B12/03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the capacitor extending over the transistor
    • H10B12/0335Making a connection between the transistor and the capacitor, e.g. plu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라인 간의 연결부분에서 저항 증가로 인한 입출력신호의 속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금속라인 형성방법에 관해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의 금속라인 형성방법은 반도체기판 상에 제 1금속라인을 형성하는 공정과, 기판 상에 제 1금속라인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 1개구부를 가진 제 1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제 1개구부를 덮어 제 1금속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1금속라인과 중첩되도록 제 2금속라인을 형성하는 공정과, 제 1절연층 상에 제 2금속라인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 2개구부를 가진 제 2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제 2개구부를 덮어 제 2금속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3금속라인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금속라인의 형성방법{A method for fabricating metal line}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기술에 따른 금속라인의 형성을 보인 제조공정도.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라인의 형성을 보인 제조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금속라인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반도체기판 202, 212, 230. 금속라인
204, 214. 절연층 206, 216. 개구부
215. 텅스텐 플러그
본 발명은 반도체장치의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라인(metal line) 간의 연결부분에서 저항 증가로 인해 입출력(input, output)신호의 속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금속라인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반도체 칩에는 수 많은 반도체 소자, 예컨대 셀 트랜지스터(cell transistor) 및 셀 캐패시터(capacitor) 등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칩안의 셀 영역에서 상기 소자들은 매트릭스(matrix)형태로 배열을 이루고 있고, 각 소자들은 상호연결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나 셀 캐패시터의 하부 전극 등은 비트 라인(bit line)처럼 하나의 라인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같이, 다양한 형태의 금속라인이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과정에서 형성된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기술에 따른 금속라인의 형성을 보인 제조공정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금속라인의 형성방법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기판(100) 상에 텅스텐을 스퍼터링(sputtering)에 의해 증착한 후, 소정형상으로 패턴 식각하여 제 1금속라인(102)을 형성한다. 이때, 제 1금속라인(102)은 1000∼2000Å두께를 가진다.
이어서, 반도체기판(100)상에 제 1금속라인(102)을 덮도록 산화막을 화학기상증착하여 제 1절연층(104)을 형성한다.
그 다음,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절연층(104)을 식각하여 기판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개구부(106)을 형성한다.
이 후, 제 1절연층(104) 상에 개구부(106)을 덮도록 텅스텐을 스퍼터링에 의해 증착한 다음, 제 1절연층(104)이 노출되는 시점까지 에치백(etch back)하여 텅스텐 플러그(plug)(105)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 1절연층(104) 상에 텅스텐 플러그(105)를 덮도록 알루미늄(Al)을 스퍼터링에 의해 증착하여 제 2금속층(108)을 형성한다. 이때, 제 2금속층(108)은 5500∼6500Å두께로 형성한다.
이어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텅스텐 플러그(105)와 연결되도록 제 2금속층을 패턴 식각하여 제 2금속배선(109)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2금속배선(109)는 세로방향으로는 제 1금속패턴(109a)이 길게 배열되며, 가로방향으로 제 2금속패턴(109b)이 길게 배열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제 1금속패턴(109a)은 인가전압(Vcc)라인이고, 상기 제 2금속패턴(109b)은 입출력(input, output)라인이 된다.
종래의 방법에서는 제 2금속라인(109)을 구성하는 제 1금속패턴(109a)과 제 2금속패턴(109b)이 각각 텅스텐플러그(105)를 통해 제 1금속라인(10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에서는 제 1금속라인이 제 2금속라인의 두께에 비해 1/3배 밖에 되질 않기 때문에, 제 1금속라인과 제 2금속라인의 연결부위에서 저항이 크게 증가하여 입출력신호의 속도가 현저히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금속라인의 입출력신호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금속라인의 형성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금속라인의 형성방법은 반도체기판 상에 제 1금속라인을 형성하는 공정과, 기판 상에 제 1금속라인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 1개구부를 가진 제 1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제 1개구부를 덮어 제 1금속라 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1금속라인과 중첩되도록 제 2금속라인을 형성하는 공정과, 제 1절연층 상에 제 2금속라인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 2개구부를 가진 제 2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제 2개구부를 덮어 제 2금속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3금속라인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라인의 형성을 보인 제조공정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금속라인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금속라인 형성방법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반도체기판(200) 상에 텅스텐(W)을 스퍼터링에 의해 증착하고 패턴 식각하여 제 1금속라인(202)을 형성한다. 이때, 제 1금속라인(202)은 1000∼2000Å두께로 형성한다.
이어서, 기판(200) 상에 제 1금속라인(202)읖 덮도록 산화막을 화학기상증착하여 제 1절연층(204)을 형성한다.
그 다음,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절연층(204)을 식각하여 기판(200)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제 1개구부(206)를 형성한다.
상기 제 1개구부(20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프(stripe)타입으로 형성시키어 이 후에 형성되는 제 2금속라인이 상기 제 1금속라인(202)과 중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 후, 제 1절연층(204) 상에 텅스텐(W)을 스퍼터링에 의해 증착한 다음, 포 토리쏘그라피에 의해 식각하여 상기 제 1금속라인(202)과 연결되는 제 2금속라인(212)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2금속라인(212)은 1000∼2000Å두께로 형성한다.
이때, 제 1개구부(206)를 형성하는 공정과 제 2금속라인(212)을 형성하는 공정 사이에, 상기 제 1금속라인(202)을 300Å이내로 오버에치(over etch)하는 공정을 추가함으로써, 제 2금속라인(212)에 대한 제 1금속라인(202)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절연층(204) 상에 상기 제 2금속라인(212)을 덮도록 산화막을 화학기상증착하여 제 2절연층(214)을 형성한다.
그 다음, 제 2절연층(214)을 포토리쏘그라피에 의해 식각하여 제 2금속라인(212)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제 2개구부(216)를 형성한다.
이 후,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절연층(214) 상에 제 2개구부(216)을 덮도록 텅스텐을 스퍼터링에 의해 증착한 다음, 제 2절연층(214) 표면이 노출되는 시점까지 에치백하여 텅스텐 플러그(215)를 형성한다.
그 다음, 상기 제 2절연층(214) 상에 텅스텐 플러그(215)을 덮도록 알루미늄(Al)을 스퍼터링에 의해 증착한 다음, 포토리쏘그라피에 의해 식각하여 제 3금속라인(230)을 형성한다. 이때, 제 3금속라인(230)은 5500∼6500Å두께로 형성한다.
상기 제 3금속라인(230)은 세로방향으로는 제 1금속패턴(230a)이 길게 배열되며, 가로방향으로는 제 2금속패턴(230b)이 길게 배열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제 1금속패턴(230a)은 인가전압(Vcc)라인이고, 제 2금속패턴(230b)은 입출력라인이 된다.
또한, 상기 제 3금속라인(230)의 제 1금속패턴(230a)과 제 2금속패턴(230b)은 텅스텐 플러그(215)를 통해 제 2금속라인(2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개구부를 통해 제 1금속라인(202)과도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금속라인 형성방법은 제 2금속라인 하부에 제 2금속라인과 중첩된 구조를 갖도록 제 1금속라인을 형성함으로써, 제 3금속라인과의 전기적 연결 시에 제 2금속라인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제 2금속라인의 저항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 3금속라인을 구성하는 제 2금속패턴의 입출력신호의 속도가 감소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금속라인 형성방법에서는 제 2금속라인 하부에 제 2금속라인과 중첩된 구조를 갖도록 제 1금속라인을 형성함으로써, 제 3금속라인과의 전기적 연결 시에 제 2금속라인의 저항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입출력신호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별도로 제 2금속라인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공정이 필요치 않으므로, 두께 증가에 따른 브릿지(bridge)가 발생될 우려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을 통해 제 3금속라인을 구성하는 제 2금속패턴의 입출력신호의 속도가 감소되는 것이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Claims (3)

  1. 반도체기판 상에 제 1금속라인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 1금속라인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 1개구부를 가진 제 1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개구부를 덮어 상기 제 1금속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금속라인과 중첩되도록 제 2금속라인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절연층 상에 상기 제 2금속라인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 2개구부를 가진 제 2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개구부를 덮어 상기 제 2금속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3금속라인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라인의 형성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금속라인 및 상기 제 2금속라인은 1000∼2000Å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라인의 형성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절연층 형성 공정과 상기 제 2금속라인 형성 공정 사이에, 상기 제 1금속라인을 300Å이내로 오버에치하는 공정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라인의 형성방법.
KR1020010037001A 2001-06-27 2001-06-27 금속라인의 형성방법 KR100728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7001A KR100728945B1 (ko) 2001-06-27 2001-06-27 금속라인의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7001A KR100728945B1 (ko) 2001-06-27 2001-06-27 금속라인의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847A KR20030000847A (ko) 2003-01-06
KR100728945B1 true KR100728945B1 (ko) 2007-06-15

Family

ID=27711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7001A KR100728945B1 (ko) 2001-06-27 2001-06-27 금속라인의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894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7147A (ja) * 1983-07-22 1985-02-12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H01143335A (ja) * 1987-11-30 1989-06-05 Matsushita Electron Corp 抵抗測定素子
JPH037737A (ja) * 1989-06-05 1991-01-14 Daikin Ind Ltd ポリウエレタン用発泡剤組成物
JPH0778821A (ja) * 1993-09-08 1995-03-20 Ne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222629A (ja) * 1995-02-17 1996-08-30 Sanyo Electric Co Ltd 配線構造及び配線構造の製造方法
JPH08269820A (ja) * 1995-04-04 1996-10-15 Asahi Chem Ind Co Ltd 易染性の改質ポリエステル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7147A (ja) * 1983-07-22 1985-02-12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H01143335A (ja) * 1987-11-30 1989-06-05 Matsushita Electron Corp 抵抗測定素子
JPH037737A (ja) * 1989-06-05 1991-01-14 Daikin Ind Ltd ポリウエレタン用発泡剤組成物
JPH0778821A (ja) * 1993-09-08 1995-03-20 Ne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222629A (ja) * 1995-02-17 1996-08-30 Sanyo Electric Co Ltd 配線構造及び配線構造の製造方法
JPH08269820A (ja) * 1995-04-04 1996-10-15 Asahi Chem Ind Co Ltd 易染性の改質ポリエステル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0847A (ko) 200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8945B1 (ko) 금속라인의 형성방법
JPH08204002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KR100450036B1 (ko)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KR100230731B1 (ko) 반도체 디바이스의 콘택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0284283B1 (ko) 반도체소자의배선형성방법
KR101152819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9990047002A (ko) 반도체 메모리 제조방법
KR100395907B1 (ko) 반도체소자의 배선 형성방법
KR100197129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KR100679941B1 (ko) 반도체장치의 콘택 제조방법
KR19990057892A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 형성 방법
KR100248805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KR100359158B1 (ko) 반도체소자의 퓨즈 형성방법
KR100358164B1 (ko)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511090B1 (ko) 모스페트트랜지스터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KR100227071B1 (ko) 안티퓨즈를 이용한 배선방법
KR100458476B1 (ko) 반도체소자의금속배선형성방법
KR0137980B1 (ko) 텅스텐 플러그 제조방법
KR100286347B1 (ko) 반도체 장치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KR100349365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KR19990015448A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KR20000042470A (ko) 반도체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KR19990000376A (ko)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KR20020050916A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20000045907A (ko) 반도체 장치의 플러그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