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273B1 - 피부 패치 시트 및 그것을 위한 베이스 시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패치 시트 및 그것을 위한 베이스 시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273B1
KR100719273B1 KR1019997005815A KR19997005815A KR100719273B1 KR 100719273 B1 KR100719273 B1 KR 100719273B1 KR 1019997005815 A KR1019997005815 A KR 1019997005815A KR 19997005815 A KR19997005815 A KR 19997005815A KR 100719273 B1 KR100719273 B1 KR 100719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rene
film
weight
composite
polyvinyl chlo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5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9728A (ko
Inventor
기미히로 후지이
가즈오 다나카
가즈야 이카와
야스히로 이케우라
신지 야마소토
Original Assignee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69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9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7/00Polyvinylhalogenides
    • B32B2327/06PVC, i.e. polyvinylchlo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75/00Polyureas;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6/00Patches, e.g. medical patches, repair pa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Cosme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 100 중량부에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2 내지 10 중량부를 배합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복합 필름의 한쪽 면에, 접착제 층에 의하여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접착하여 베이스 시트를 만들고, 이 베이스 시트의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표면에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 층을 형성하고, 또한, 이 프라이머 상에 약제를 함유하는 스티렌-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점착제 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피부 패치 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피부 패치 시트 및 그것을 위한 베이스 시트의 제조 방법{DERMATOLOGICAL PATCH SHEET AND PROCESS FOR PRODUCING BASE SHEET THEREFOR}
본 발명은 베이스 상에 약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층이 형성되어 있는 피부 패치 시트, 즉, 플라스터, 그것을 위한 베이스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약제의 베이스 시트로의 이행이 없을 뿐만 아니라, 점착제와 베이스와의 접착이 강하며, 피부에 시용한 후, 피부에서 떼어내었을 때, 소위 접착제 잔류물이 없고, 또한,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시트에서, 구성 필름이 서로 강고히 접착되어 있으며, 더욱이, 표면의 끈적거림도 없어서 감촉, 매끄러움, 피부와의 적합성 등이 뛰어난 점착성 피부 패치 시트, 그것을 위한 베이스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피부 자극제나 소염 진통제 등의 약제를 함유하는 점착제를 베이스 시트 상에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성 피부 패치 시트가 경피 투여약으로서 의료 용도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패치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소54-13812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패치를 피부에 붙였을 때 양호한 점착성, 피부와의 적합성 및 알맞은 탄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박리시에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고,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점에서, 점착제로서는 디엔계 공중합체, 특히, 디엔계 블록 공중합체가 적합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패치에서, 그 베이스 시트로서는 유연하고 피부에 잘 스며드는 염화비닐계 수지가 적합하지만, 반면에, 염화비닐계 수지 시트는 점착제로서의 전술한 디엔계 블록 공중합체와의 친화성이 부족하고, 특히, 패치에서는 점착제로서의 디엔계 블록 공중합체가 약제와 함께 가소제로서의 고급 지방산이나 유동 파라핀 등을 함유하기 때문에, 점착제와의 친화성이 한층 더 부족하다. 그 결과, 디엔계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점착제를 염화비닐계 수지 베이스 시트 상에 단순히 직접 도포하여 패치로 한 경우, 점착제의 베이스 시트에 대한 접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염화비닐계 수지를 베이스 시트로 하는 패치에서는 약제가 확산 침투성이 강한 경우, 약제가 베이스 시트에도 침투 확산하여, 베이스 시트를 팽윤 열화시키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소기의 치료 효과를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염화비닐계 수지 시트에 적절한 프라이머 처리를 실시하여, 디엔계 블록 공중합체에 대한 친화성을 높이는 것도 가능하기는 하지만, 염화비닐계 수지 시트에 포함되는 가소제가 점착제 층으로 이행하여 점착제의 성능을 손상시킨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이미, 가소제를 포함하는 연질 염화비닐계 수지 필름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접착하여 복합 필름으로 하고, 이 복합 필름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측에 약제를 함유하는 디엔계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점착제 층을 형성함으로써,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가소제 및 약제의 배리어층으로서 기능하여, 약제의 베이스 시트로의 이행 및 가소제의 점착제 층으로의 이행이 없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피부 패치 시트에서도, 염화비닐계 수지 필름에 포함되는 가소제가 그 표면으로 흘러나와, 표면에 끈적거리는 성질을 부여한다. 또한, 이러한 가소제의 염화비닐계 수지 필름이 표면으로 흘러나오는 것은 상기 복합 필름을 롤 모양으로 감아 올린 경우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 이행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대한 약제를 포함하는 점착제의 접착성을 저하시키기도 한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피부 패치 시트에서의 전술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이미, 일본 특공평5-65486호 공보에서, 베이스로서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를 함유할 수도 있는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로 이루어지는 필름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접착 적층하여 베이스 시트를 제조하고, 이 베이스 시트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측에 약제를 함유하는 스티렌-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점착제 층을 형성한 피부 패치 시트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피부 패치 시트에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가소제와 약제에 대하여 유효한 배리어층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약제의 베이스 시트로의 이행도, 가소제의 점착제 층으로의 이행도 모두 없을 뿐만 아니라, 또한, 필름 표면으로 가소제가 흘러나옴으로 인한 표면의 끈적거리는 성질도 없으며, 게다가 촉감, 피부와의 적합성 등도 우수하다.
그러나, 상기 피부 패치 시트에서는 베이스 시트의 주요 성분인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 필름을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의 캘린더 가공에 의하여 제조하는 경우, 그 캘린더 가공성이 좋지 않고, 필름이 롤에 부착되어 롤로부터 떼어내기 어렵게 되는 소위 "고무화"가 다시 생기기 때문에, 수율이 나쁠 뿐만 아니라, 얻어지는 필름에 윤기 내지 광택이 부족하여, 제품의 가치를 저하시키기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패치 시트의 제조 공정에서, 얻어진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 필름을 롤의 상태로 보관하는 경우, 필름이 서로 부착되는 소위 블로킹이 발생하기 때문에,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 필름을 롤로부터 인출하여, 즉, 되감아서, 이것에 여러 가지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피부 패치 시트를 제조할 때 여러 문제점을 초래하므로 그 원활한 제조를 방해한다.
더욱이,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 필름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접착하여 베이스 시트로 만들 때,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 필름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사이의 접착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에는 어쩔 수 없이 여러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면, 피부에 시용한 후, 피부로부터 떼어내었을 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함께 점착제 층이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 필름으로부터 박리되어서 피부에 남아, 소위 접착제 잔류물(제1 접착제 잔류물)이 생기는 경우가 있는 것 외에, 보관중에 베이스 시트가 층간 박리를 일으켜, 제품의 가치를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경우도 있다. 더욱이, 점착제 층과 베이스 시트의 접착도 약하고, 피부에 시용한 후, 피부로부터 떼어내었을 때, 또한 접착제 잔류물(제2 접착제 잔류물)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상기 후자의 문제, 즉, 점착제 층과 베이스 시트와의 접착을 높이기 위해서, 예를 들면, 일본 특공평6-35381호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상에 여러 가지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베이스와 점착제를 강하게 접착시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약제에 따라서는 프라이머와 바람직하지 않은 상호 작용을 일으켜, 프라이머 층이나 점착제 층을 황색이나 그 밖의 색으로 변색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것도 제품의 가치를 현저히 낮추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피부 패치 시트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약제가 베이스 시트로 이행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점착제와 베이스와의 접착이 강하고, 또한,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시트에서, 구성 필름의 상호 접착도 강하며, 따라서, 피부에 시용한 후, 피부로부터 떼어내었을 때, 상기 제1 또는 제2 접착제 잔류물의 어느 것도 없고, 더구나, 표면의 끈적거림도 없으며, 촉감, 매끄러움, 피부와의 적합성 등이 뛰어난 점착성 피부 패치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와 같은 피부 패치 시트를 위한 베이스 시트와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에 의한 피부 패치 시트는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 100 중량부에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2 내지 10 중량부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로 된 복합 필름의 한쪽 면에 접착제 층에 의하여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접착하여 베이스 시트를 만들고, 이 베이스 시트의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표면에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 층을 형성하고, 또한, 이 프라이머 상에 약제를 함유하는 스티렌-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로 된 점착제 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패치 시트를 위한 베이스 시트는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 100 중량부에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2 내지 10 중량부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로 된 복합 필름과, 그 위에 접착제 층에 의하여 접착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패치 시트를 위한 베이스 시트의 제조 방법은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 100 중량부에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2 내지 10 중량부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여, 이 수지 조성물을 캘린더 가공에 의해 복합 필름으로 성형하고, 이 복합 필름의 한쪽 면에 접착제 층에 의하여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피부 패치 시트를 위한 베이스 시트의 기본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피부 패치 시트를 위한 베이스 시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피부 패치 시트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피부 패치 시트를 위한 베이스 시트(4)는 기본적으로는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에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 티렌 공중합체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복합 필름(1)의 한쪽 면에 접착제 층(2)에 의하여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3)이 접착되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베이스 시트(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 필름(1)의 한쪽 면에 접착제 층(2)에 의하여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3)이 접착되고, 또한, 이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상에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 층(5)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복합 필름 상에는 배면 처리 층(6)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피부 패치 시트(8)는 복합 필름(1)의 한쪽 면에 접착제 층(2)에 의하여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3)이 접착되어 베이스 시트(4)로 되고, 이 베이스 시트의 상기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상에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 층(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프라이머 층(5)상에 약제를 함유하는 스티렌-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점착제 층(7)이 적층되어 있는 동시에, 복합 필름 상에 배면 처리 층(6)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피부 패치 시트는 피부에 붙여 시용했을 때의 외관이 우수하도록, 광선 투과율이 20∼50% 정도의 반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베이스 시트는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 100 중량부에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2 내지 10 중량부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로 된 복합 필름에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접착제로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이다.
본 발명에서,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는 일본 특개평1-18531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폴리우레탄 생성 원료를 분말상 폴리염화비닐에 함침시키고, 이것을 폴리우레탄 생성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생성 원료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과, 필요에 따라서, 촉매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는 상기 폴리우레탄 생성 원료를 혼합하여, 얻어진 액상 혼합물을(필요에 따라서 촉매와 함께) 분말상 폴리염화비닐에 함침시키거나, 또는 폴리올을 분말상 폴리염화비닐에 함침시킨 후, 폴리이소시아네이트(및 필요에 따라서 촉매)를 함침시키고, 이어서, 가열 반응시켜서 반응 종료후, 냉각함으로써 분말상 물질로서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의 제조에서, 분말상 폴리염화비닐에는 필요에 따라서, 미리, 칼슘-아연계 안정제,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아연,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등의 안정제나 윤활제 외에, 착색제 등을 적절하게 배합할 수도 있다. 그러나,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를 제조한 후, 이것에, 필요에 따라서, 안정제, 윤활제, 착색제 등을 배합할 수도 있다.
전술한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의 제조에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통상, 이소시아네이트기(NCO)/히드록기(OH) 몰비가 0.5 내지 2.0의 범위이도록 사용하고, 또한, 폴리올은 폴리염화비닐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10 내지 1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 중량부의 범위로 사용한다.
따라서,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는 폴리염화비닐의 존재 하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반응에 의하여 폴리우레탄을 생성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는 폴리염화비닐과 폴리우레탄의 일종의 혼합물(블렌드)이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 자체는 이것을 혼련, 팰릿화하여, T형 다이스를 장착한 압출기에 의해 필름으로 성형하면,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는 얻어지는 시트 베이스가 피부 패치 시트의 베이스로서 유연성과 강도를 겸비하도록, 쇼어 A 경도(23℃) 40 내지 9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는 도소(주)에서「도미나스」로서 시판되고 있고,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시판품을 적당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를 롤을 사용하여 혼련함으로써 수지 조성물로 만들고, 이것을 필름으로 성형하면, 베이스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복합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수지 조성물을 혼련, 팰릿화하여, T형 다이스를 장착한 압출기에 의해 필름으로 성형함으로써, 베이스 시트를 얻기 위한 복합 필름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수지 조성물을 캘린더 성형에 의해 필름으로 제조함으로써, 생산성이 좋고 저렴하게 두께 정밀도가 우수한 복합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예를 들면,「플라스틱」제34권 제8호 제29∼35페이지(1983년)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A를 스티렌으로 이루어지는 유리상 또는 경질의 비탄성 열가소성 중합체 블록으로 하고, EB를 에틸렌 및 부틸렌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중합체의 블록으로 할 때, A-EB-A 구조를 갖는 블록 공중합체이다. 이러한 블록 공중합체는 크레이튼 G1650, 1652, 1657(모두 쉘화학(주) 제품)로서 시판되고 있어서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베이스 시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 100 중량부에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2 내지 10 중량부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로 된 복합 필름에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접착제로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착제는 상기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복합 필름과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특히 강고하게 접착시킬 수 있는 폴리우레탄 접착제, 특히, 2액형의 폴리우레탄 접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이미 여러 종류가 알려져 있고[예를 들면, 이와타 게이지가 편찬한 문헌「폴리우레탄 수지 핸드북」제438∼474페이지(1992년 닛칸고교신문사발행)], 또한, 여러 종류가 시판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그와 같은 시판품을 적당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2 내지 10 중량부를 배합함으로써, 캘린더 가공에서의「고무화」를 해소하여, 캘린더 가공에 의한 필름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또한, 이와 같이, 캘린더 가공에 의해서 제조된 복합 필름을 롤 상태로 보관하였을 때의 블로킹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더욱이, 복합 필름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져서 복합 필름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사이에 강고한 접착을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피부 패치 시트를 피부에 시용한 후, 피부로부터 떼어내었을 때,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함께 점착제 층이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 필름으로부터 박리되어, 이들이 함께 피부에 남는 상기 제1 접착제 잔류물이 생기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2∼8 중량부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에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의 배합량이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중량부보다도 적을 때에는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의 복합 필름과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사용하여 서로 접착 적층하여 베이스 시트를 이룰 때, 그 사이에 강한 접착을 얻을 수 없다.
한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의 배합량이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보다도 많이 사용할 때에는 수지 조성물의 캘린더 가공이 나빠져서, 즉, 오히려 롤 윤활성이 강하게 되고 뱅크가 원활하게 회전하지 않게 되어, 필름 제조에 지장을 초래하고, 또한, 얻어지는 필름의 두께 정밀도가 저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복합 필름과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폴리우레탄 접착제에 의해서 접착하여 베이스 시트를 얻을 때, 바람직하게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2액형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도포하여 건조시키고, 이것을 미리 가열한 복합 필름에 드라이 라미네이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고형분 농도 25 내지 50% 정도의 2액형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상에 8 내지 16 g/㎡ 정도, 고형분 환산으로 2.0 내지 8.0 g/㎡ 정도의 비율로 도포하고 건조하여, 접착제의 건조 두께를 1.0 내지 8.0 ㎛ 정도,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 ㎛ 정도로 하고, 이것을 미리 가열한 복합 필름에 드라이 라미네이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 같이, 복합 필름이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복합 필름과 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사이에 강고한 접착을 얻을 수 있고, 또한, 베이스 시트, 나아가서는 얻어지는 피부 패치 시트가 유연하기 때문에, 피부에 붙였을 때에 피부에 잘 따르고, 위화감이 없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은, 이것을 필름에 성형하였을 때, 피부와의 적합성이나 촉감이 좋고, 또는 피부에 붙였을 때, 베이스 시트에 휨이나 만곡이 생기지 않도록, 평균 분자량 1000 내지 10000의 고분자량 가소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그러나, 과다하게 함유시킬 때에는 필름 표면으로 흘러나오기 때문에, 가소제의 배합량은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 100 중량부당 30 중량부까지의 범위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고분자량 가소제로서는 특히,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가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는 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바크산, 프탈산 등의 2염기산과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등의 글리콜을 축중합시켜 얻어지는 평균 분자량 1000 내지 10000 정도의 점성 선형 저중합 폴리에스테르이며,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아디페이트(아디프산과 프로필렌 글리콜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세바케이트(세바크산과 프로필렌 글리콜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고분자량 가소제라 하더라도, 이것을 배합한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을 복합 필름에 성형하고, 이것에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베이스 시트로 하며, 이 베이스 시트의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표면에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층을 도포 형성한 후, 이 프라이머 층 상에 약제를 함유하는 스티렌-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점착제 층을 적층하기 전에, 롤 상태로 고온 환경하에 장기간(예를 들면, 하절기에 3 개월 이상) 보관하면, 고분자량 가소제가 배면, 즉, 프라이머 층의 표면으로 전사되기 때문에, 이러한 프라이머 층 상에 약제를 함유하는 스티렌-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점착제 층을 적층하더라도, 강하게 접착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고분자량 가소제라 하더라도, 수지 조성물에의 배합량은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 100 중량부당 10 중량부까지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고분자량 가소제라 하더라도, 이것을 수지 조성물에 배합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복합 필름은 피부에 붙였을 때에 위화감이 생기지 않도록, 두께가 50 내지 150 ㎛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너무 얇을 때에는 실용상 강도가 충분하지 못하고, 반면에, 너무 두꺼울 때에는 피부에 점착 후 벗겨지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복합 필름은 소위 무독계의 안정제를 적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안정제의 적합한 예로서, 예를 들면, 염화비닐 수지용 안정제로서 이미 잘 알려져 있는 칼슘-아연계 안정제를 들 수 있지만, 무독계인 한, 특히 전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복합 필름은 그 투명성이 저해되지 않는 범위에서, 평균 입경 3 내지 10 ㎛ 범위의 무기 미립자, 특히, 무수실리카나 하석섬장암(nepheline syenite)의 미세 분말을 충전재로서 함유할 수도 있다. 특히, 이러한 충전재를 복합 필름에 배합하면,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에 대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의 배합 비율을 비교적 작게 하더라도, 복합 필름을 롤로부터 인출할 때, 즉, 되감을 때의 되감기의 용이성, 바꾸어 말하면, 복합 필름의 롤로부터의 전개성, 즉, 내블로킹성이 뛰어난 복합 필름을 얻을 수 있다.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에 대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의 배합 비율을 크게 하면, 복합 필름의 캘린더 가공에 의한 제조시, 수지 조성물의 겔화성을 낮게 하는 경향이 있지만, 상기 충전재를 사용함으로써 이 문제를 피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얻어지는 피부 패치 시트가 반투명이 되도록, 사용하는 충전재는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의 굴절률에 가까울수록 좋고, 이 관점에서는 굴절률 1.53을 갖는 하석섬장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충전재는 통상,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서, 5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사용된다.
또한, 복합 필름은 필요에 따라서, 안료, 산화 방지제, 광안정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곰팡이 방지제, 윤활제 등의 첨가제를 적당량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을 복합 필름으로 성형할 때, 폴리염화비닐을 더 배합할 수 있다. 그러나, 과다하게 배합할 때에는 피부와의 적합성을 악화시키기 때문에, 배합량은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 100 중량부당 30 중량부까지의 범위가 적당하다.
다음에,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두께가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두께가 10 ㎛을 초과할 때, 얻어지는 패치 시트가 단단하여, 촉감, 피부와의 적합성이 현저하게 악화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면, 두께 3 내지 5 ㎛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파단 강도(종방향)가 25 내지 35 kgf/㎟, 2%(종방향) 모듈러스(인장 강도)가 7.5 내지 9.5 kgf/㎟의 범위에 있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예컨대, 두께 3.5 ㎛, 파단 강도 29.4 kgf/㎟, 2% 모듈러스 8.6 kgf/㎟를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적당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따르면, 베이스 시트는 복합 필름 상에 배면 처리 층을 갖는다. 이러한 베이스 시트의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상에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피막으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 층을 지니고, 이 프라이머 층 상에 약제를 함유하는 스티렌-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점착제 층을 적층 접착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피부 패치 시트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배면 처리 층은 바람직하게는 실리카 미세 분말을 배합한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두께 0.5 내지 2 ㎛ 정도의 도포막이고, 엠보스 표면, 바람직하게는 소위 비단결 엠보스 표면으로 함으로써, 얻어지는 피부 패치 시트의 표면을 무광택으로 하는 동시에, 피부에 가까운 감촉과 외관을 지니게 하여, 시용감과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배면 처리 층은 베이스 시트를 롤 상태로 보존할 때, 그 전개성을 높이는 데에 유용하다.
한편, 상기 프라이머 층은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다. 이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예컨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이들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예를 들면, 아디프산, 세바크산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의 혼합물과, 포화 지방족 디올(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올 등 또는 이들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축합 중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15000 내지 20000의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시판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시판품을 적당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적절한 유기 용제(예를 들면, 톨루엔)에 용해하여 프라이머를 조제하고, 이것을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표면에 도포하여 건조함으로써 프라이머 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 프라이머 층은 두께가 1∼5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프라이머 층의 두께가 너무 얇을 때에는 목적으로 하는 강고한 접착력을 얻을 수 없고, 반면에 너무 두꺼울 때에는 프라이머 층이 단단하여 얻어지는 점착성 피부 패치 시트에 필요하게 되는 유연성을 손상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라이머가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져서, 약제에 대하여 불활성이기 때문에, 이 프라이머 층에 접하는 점착제 층이 변색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상, 복합 필름과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사용하여 드라이 라미네이션에 의해서 접착하여 베이스 시트를 얻고, 이어서, 복합 필름 상에 배면 처리 층을 형성한 후에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상에 프라이머 층을 형성하지만, 베이스 시트에 배면 처리 층과 프라이머 층을 동시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 시트에 프라이머 층을 형성하는 동시에, 배면 처리 층을 설치함으로써, 베이스 시트를 롤에 감아 보존할 때의 블로킹을 방지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베이스 시트를 롤로부터 용이하게 되감을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롤로부터 되감은 베이스 시트의 프라이머 층 상에 약제를 함유하는 스티렌-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점착제 층을 형성함으로써 이 점착제 층이 베이스 시트에 강고하게 접착된 점착성 피부 패치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패치 시트에서, 이 점착제 층의 두께는 통상, 50 내지 200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점착제 층의 두께가 50 ㎛보다 얇을 때에는 피부와의 접착력이 약하고, 실용적이지 못하다. 그러나, 200 ㎛을 넘을 때에는 점착제 층의 응집력이 저하되어, 피부로부터 떼어내었을 때, 피부에 접착제 잔류물이 생기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너무 두꺼울 때에는 얻어지는 피부 패치 시트를 불투명하게 만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점착제를 구성하는 스티렌-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로서는 구체예로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스티렌-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점착제로서 단독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는 폴리이소부틸렌, 로진 변성 수지, 수소첨가 로진에스테르, 유동 파라핀 등, 가소제, 점착 부여 수지, 충전제, 노화 방지제 등, 여러 가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스티렌-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예를 들면, 상기 일본 특개소54-138124호 공보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이미 알려져 있다. A를 스티렌으로 이루어지는 유리상 또는 경질의 비탄성 열가소성 중합체 블록으로 하고, B를 부타디엔 또는 이소프렌과 같은 공역 디엔의 탄성 중합체 블록으로 할 때, 스티렌-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A-B-A의 구조를 갖는 블록 공중합체로서, 블록 A가 전중합체 중량의 10 내지 50 중량%을 차지한다. 이러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카리플렉스 TR-1101, TR-1102 등으로서, 또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카리플렉스 TR-1107(모두 쉘화학(주) 제품)로서 시판되고 있어,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
약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층을 베이스 시트 상에 적층하는 방법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약제를 포함하는 점착제를 용융하여, 이것을 베이스 시트 상에 도포하는 방법, 약제를 점착제와 함께 적절한 용제에 용해시켜, 이것을 베이스 시트에 도포하여 건조하는 방법에 의할 수 있다.
한 가지 구체예로서, 예를 들면, 베이스 시트에 프라이머 층을 형성하고, 별도로 스티렌-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에, 필요에 따라서, 적절한 첨가제를 배합하며, 이것을 가열, 용융, 냉각한 후, 약제를 첨가, 혼합하여, 균일하게 한 후, 이것을 이형지 상에 도포하여, 상기 베이스 시트에 접합시킨다.
본 발명에서, 약제는 경피 흡수성 약제라면,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국소 자극제, 항염증성제 및 진통제, 중추신경 작용제(수면 진정제, 항간질제, 정신신경용제), 이뇨제, 혈압 강하제, 관혈관 확장제, 진해거담제, 항히스타민제, 부정맥용제, 강심제, 성호르몬제, 부신피질 호르몬제, 국소 마취제, 항진균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약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배합하여 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국소 자극제, 항염증성제 및 진통제의 예로서, 예를 들면, 살리실산, 살리실산 메틸, 살리실산 글리콜, L-멘톨, 박하유, 티몰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 층에서의 이러한 약제의 비율은 약제의 종류에 따르며, 결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1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에 대하여 높은 친화성을 지니고, 이 프라이머는 또한, 약제를 함유하는 스티렌-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에 대하여 높은 친화성을 갖기 때문에, 점착제와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따라서, 점착제와 베이스 시트 사이에 강고한 접착을 얻을 수 있고, 피부에 시용한 후, 피부로부터 떼어냈을 때, 상기 제2 접착제 잔류물이 없다. 더욱이, 상기 프라이머는 약제에 대하여 불활성이기 때문에, 점착제 층을 변색시키지 않는다.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결코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점착제 층 중의 약제의 비율은 통상 매우 적기 때문에, 여기서는 약제를 포함하지 않는 점착제를 베이스 시트에 용융 도포하고 건조시켜서 점착 시트를 조제하고, 이것을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하여, 그와 같은 점착 시트의 특성을 실질적으로 피부 패치 시트의 특성인 것으로 하였다.
즉, 베이스 시트에서의 복합 필름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의 사이의 접착력은 점착제 층과는 관계가 없고, 또한, 피부 패치 시트에서, 점착제에 포함되는 약제의 효과에 관하여는 이미 충분히 알려져 있다. 그래서, 여기서는 피부 패치 시트에서의 이러한 사정에 감안하여, 스티렌-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에 약제를 배합하지 않고, 이것을 용융하고, 베이스 시트 상에 도포하였으며, 점착층을 형성하여 점착 시트를 제조하고, 피부에 점착하여, 떼어냈을 때의 접착제 잔류물과 적합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베이스 시트에서의 복합 필름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사이의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실시예1∼5 및 비교예1, 2
우선, 표 1에 나타내는 배합물을 사용하여,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고, 이것을 캘린더 가공에 의해 필름(복합 필름)으로 성형하여, 이 캘린더 성형에서의 수지 조성물의 겔화성(롤 가공성)을 하기의 방법에 의해서 조사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다음에, 이 복합 필름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드라이 라미네이션으로 접착하여 베이스 시트를 조제하고, 이 베이스 시트에서의 층간 접착력을 하기의 방법에 의해서 조사하였다.
수지 조성물의 겔화성(롤 가공성)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에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에 관하여 롤 가공하였을 때, 용이하고 또 충분하게 겔화하는 것을 A, 겔화가 일부 부족한 경우가 있지만, 캘린더 가공에 의한 필름 성형에는 지장없는 것을 B, 겔화가 부족하며, 캘린더 성형에 의해서 얻어진 필름은 그 표면의 요철이 현저하고, 또한, 핀홀도 보이는 것을 C로 하였다.
베이스 시트에서의 층간 접착력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에 소정 비율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를 배합하고, 이것을 70 ㎛ 두께의 복합 필름으로 캘린더 성형하였다. 별도로, 두께 50 ㎛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폴리우레탄 접착제(2액계)를 건조 두께 2.0 ㎛가 되도록 도포하고, 110℃에서 2 분간 가열 건조시킨 후, 이것을 상기 복합 필름에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여, 상온에서 24 시간 숙성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적층 필름을 19 ㎜ ×180 ㎜으로 재단하여 시편을 만들고, 이것에 관해서, AGC형 자동인장력시험기를 사용하여, 인장 속도 300 ㎜/분으로 180°필링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 100 중량부당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의 배합량이 0, 5 및 10 중량부일 때, 180°필링 접착력은 각각 360, 580 및 730 g/19 ㎜였다.
다음에, 표 1에 나타내는 배합물을 사용하여,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두께 80 ㎛의 복합 필름을 캘린더법으로 제조하였다. 이 필름을 롤에 감고, 이 롤로부터 되감을 때의 전개성(블로킹성)을 하기의 방법에 의해서 조사하였다.
다음에, 두께 3.5 ㎛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폴리우레탄 접착제(2액형 접착제)를 도포하여 건조시키고, 두께 2.0 ㎛의 폴리우레탄 접착제 층을 형성하고, 이것을 미리 가열한 상기 복합 필름에 드라이 라미네이션하여 복합 필름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접착하였다.
이어서, 복합 필름/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적층체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측에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도요보세키(주) 제품, 바일론 20SS(고형분 20%)]을 도포, 건조시켜서 프라이머 층을 형성하였다. 그 다음, 이 프라이머 층 상에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점착제를 용융 도포하고 점착제 층을 형성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로서의 점착 시트를 얻었다.
이들 각각의 점착 시트에 관해서, 접착제 잔류물, 즉, 점착제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의 접착성과 피부와의 적합성을 조사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각 시험 항목의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다.
블로킹성
45 cm 폭의 복합 필름을 인장 속도 8 m/분으로 롤로부터 인출시의 힘이 1 kg/45 cm 미만이며, 용이하게 인출시킬 수 있을 때를 A, 1∼3 kg/45 cm의 범위로, 실용적으로 지장없게 끌어낼 수 있을 때를 B, 3 kg/45 cm을 초월하여, 인출시 필름이 용이하게 끊어질 때를 C로 하였다.
접착제 잔류물
미리 알콜로 닦은 피부 위에 5 cm ×5 cm로 펀칭한 점착 시트를 붙여, 손으로 수회 문지른 후에 떼어내어, 피부에의 접착제 잔류물을 평가하였다. A는 접착제 잔류물이 없음, B는 일부 접착제 잔류물이 있음, 특히, 시트의 단부에서 접착제 잔류물이 있음(5% 이하), C는 접착제의 5% 이상이 피부에 잔류함을 의미한다.
피부와의 적합성
시트를 손등에 놓고, 그 추종성, 밀착성, 융합성, 절곡성 등을 눈으로 확인하고 손으로 만져보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평가하였다. A는 손등을 따라서 충분히 추종하고, 밀착성, 융합성, 피부와의 적합성이 우수함, B는 약간 단단한 감촉이 있지만, 실용상 지장이 없음, C는 단단하고, 실용성 없음을 의미한다.
실 시 예 비교예
1 2 3 4 5 1 2
복합필름배합 (중량부) PVC-폴리우레탄복합체 쇼어A경도 90 100
쇼어A경도 80 100
쇼어A경도 55 100 100 100 100 100
SEBS 1) 2 8 5 5 2 1 15
안정제 2) 2 2 2 2 2 2 2
하석섬장암 3) 10
평가 겔화성(롤 가공성) A B B A A A C
복합 필름의 전개성 B A A A AA C A
베이스 시트의 층간 접착력 (g/19mm) 420 730 510 550 420 390 890
접착제 잔류물 A A A A A A A
피부와의 적합성 A A A A A A A
(주) 1)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2) 칼슘-아연계 안정제
3) 시라이시 고교(주) 제품 미넥스 7(평균 입경 4.5 ㎛, 굴절률 1.53)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점착성 피부 패치 시트는,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에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로 된 복합 필름의 한쪽 면에 접착제,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이용하여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접착하여 베이스 시트로 하고, 이 베이스 시트의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표면에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 층을 도포 형성하며, 또한, 이 프라이머 층 상에 약제를 함유하는 스티렌-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점착제 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점착성 패치 시트에 의하면, 우선,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복합 필름과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접착제,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접착제에 의해서 강고하게 접착되어, 어떠한 환경하 또는 사용 조건 하에 있더라도 층간 박리를 일으키지 않고, 특히, 피부에 시용한 후, 피부로부터 떼어내었을 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함께 점착제 층이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 필름으로부터 박리되는 상기 제1 접착제 잔류물이 생기지 않는다.
더욱이,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에 의해서, 점착제와 베이스 시트의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강고히 접착되기 때문에, 피부에 시용한 후, 피부로부터 떼어내었을 때, 전술한 것과 같은 제2 접착제 잔류물도 없다. 더욱이, 프라이머는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약제에 대하여 불활성으로서, 점착제 층이나 프라이머 층에 바람직하지 않은 변색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패치 시트는 베이스 시트의 표면을 구성하는 수지 성분이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필름이기 때문에, 피부 패치 시트로서 불가결한 촉감, 매끄러움, 피부와의 적합성 등이 뛰어나고, 더욱이, 복합 필름에 가소제를 배합하지 않거나, 또는 배합량을 억제함으로써 복합 필름의 표면으로 가소제가 흘러나옴으로 인한 표면의 끈적거리는 성질도 없기 때문에, 사용감이 우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패치 시트는 반투명이며, 특히, 배면 처리 층을 표면을 비단결 엠보스한 무광택의 폴리우레탄 수지 도포막으로 하면, 외관도 피부에 가깝고, 시용감과 의장성이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시트상에 프라이머 층을 형성한 후, 장기간에 걸쳐 롤 상태로 보관하더라도, 가소제가 배면(프라이머 층)으로 흘러나오지 않기 때문에, 점착제 층을 강고히 접착시킬 수 있어서, 제조면에서도 유리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은 후자의 배합량을 전자에 대하여 소정 비율로 함으로써 폴리우레탄 접착제에 의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의 강고한 접착을 확보하면서, 양호한 캘린더 가공성, 즉, 필름에의 성형성도 확보하며, 또한, 롤 형태로 방치한 후에도, 가소제가 배면(프라이머 층)으로 흘러나오는 일이 없어서, 점착제 층을 강고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시트는 약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층측에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갖고, 이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약제의 복합 필름으로의 확산 투과에 대하여 효과적인 배리어 층으로서 기능하고, 약제가 확산 침투성이 강한 경우라도, 약제가 복합 필름에 확산 침투하지 않는다. 또한, 복합 필름이 가소제를 함유하는 경우라도 가소제의 점착제 층으로의 확산 투과가 저지된다.

Claims (15)

  1.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 100 중량부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2 내지 10 중량부의 배합물로 실질적으로 구성된 수지조성물로 제조된 복합필름, 이 복합필름 한쪽 면상의 폴리우레탄 접착제층, 및 이 폴리우레탄 접착제층에 의하여 이 복합필름 한쪽 면에 접착되고, 또 10㎛ 이하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포함하는 기재 시트;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표면상에 형성되고,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 및 상기 프라이머층에 적층된 약제를 함유하며 스티렌-디엔-스티렌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접착제층을 함유하는 피부패치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접착제 층이 두께 1.0 내지 8.0 ㎛의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패치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조성물이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 100 중량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2 내지 10 중량부와 평균입도 3-10㎛의 무기 미립자 5 내지 30 중량부의 배합물로 실질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패치 시트.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 100 중량부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2 내지 10 중량부의 배합물로 실질적으로 구성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이 수지 조성물을 캘린더 가공에 의해 복합 필름으로 성형하는 단계; 폴리우레탄 접착제 층을 사용하여 이 복합 필름의 한쪽 면에 10㎛ 이하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접착시켜서 기재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외측 표면에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이어 이 프라이머 층에 약제를 함유하며 스티렌-디엔-스티렌 블록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패치 시트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조성물이 폴리염화비닐-폴리우레탄 복합체 100 중량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2 내지 10 중량부와 평균입도 3-10㎛의 무기 미립자 5 내지 30 중량부의 배합물로 실질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패치 시트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무기 미립자가 하석섬장암(nepheline syeni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패치 시트의 제조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접착제 층이 두께 1.0 내지 8.0 ㎛의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패치 시트의 제조 방법.
  15. 제3항에 있어서, 무기미립자가 하석섬장암(nepheline syeni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패치 시트.
KR1019997005815A 1997-10-28 1998-10-26 피부 패치 시트 및 그것을 위한 베이스 시트의 제조 방법 KR1007192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95103 1997-10-28
JP29510397 1997-10-28
PCT/JP1998/004850 WO1999021537A1 (fr) 1997-10-28 1998-10-26 Feuille de timbre cutane et procede de production d'une feuille de base pour timb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9728A KR20000069728A (ko) 2000-11-25
KR100719273B1 true KR100719273B1 (ko) 2007-05-18

Family

ID=17816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5815A KR100719273B1 (ko) 1997-10-28 1998-10-26 피부 패치 시트 및 그것을 위한 베이스 시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267983B1 (ko)
EP (1) EP0968711B9 (ko)
JP (1) JP4395200B2 (ko)
KR (1) KR100719273B1 (ko)
CN (1) CN1152673C (ko)
AT (1) ATE387192T1 (ko)
AU (1) AU730850B2 (ko)
CA (1) CA2275539A1 (ko)
DE (1) DE69839179T2 (ko)
TW (1) TW518228B (ko)
WO (1) WO19990215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66719B2 (en) 2002-06-27 2007-01-23 Health Research, Inc. Fluorinated photosensitizers related to chlorins and bacteriochlorins for photodynamic therapy
US7897140B2 (en) 1999-12-23 2011-03-01 Health Research, Inc. Multi DTPA conjugated tetrapyrollic compounds for phototherapeutic contrast agents
US7921999B1 (en) * 2001-12-20 2011-04-12 Watson Laboratories, Inc. Peelable pouch for transdermal patch and method for packaging
MY138871A (en) * 2003-04-22 2009-08-28 Sumitomo Chemical Co Insect pest control heat vaporizing material
EP1628666B1 (en) * 2003-05-14 2015-09-23 NeuroGenetic Pharmaceuticals, Inc. Compouds and uses thereof in modulating amyloid beta
WO2005090370A1 (en) 2004-02-05 2005-09-2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harmacologically active agents containing esterified phosphonates and methods for use thereof
WO2005112913A1 (en) 2004-05-20 2005-12-01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Transthyretin stabilization
EP1765332A2 (en) * 2004-06-17 2007-03-28 Cengent Therapeutics, Inc. Trisubstituted nitrogen modulators of tyrosine phosphatases
US20060135483A1 (en) * 2004-07-09 2006-06-22 Cheruvallath Zacharia S Oxygen/nitrogen heterocycle inhibitors of tyrosine phosphatases
WO2006028970A1 (en) 2004-09-02 2006-03-16 Cengent Therapeutics, Inc. Derivatives of thiazole and thiadiazole inhibitors of tyrosine phosphatases
NZ584773A (en) 2004-09-17 2012-07-27 Whitehead Biomedical Inst Compound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Inhibiting Alpha-Synuclein Toxicity
JP4804007B2 (ja) 2005-01-13 2011-10-2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製品
WO2006130217A2 (en) * 2005-04-01 2006-12-0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ubstituted phosphate esters of nucleoside phosphonates
US8222257B2 (en) 2005-04-01 2012-07-1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hosphono-pent-2-en-1-yl nucleosides and analogs
WO2007002109A2 (en) * 2005-06-20 2007-01-0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ultidentate pyrone-derived chelators for medicinal imaging and chelation
US20080058282A1 (en) 2005-08-30 2008-03-06 Fallon Joan M Use of lactulose in the treatment of autism
US8492428B2 (en) * 2005-09-20 2013-07-23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Small-molecule botulinum toxin inhibitors
JP5036270B2 (ja) * 2005-12-02 2012-09-26 日東電工株式会社 加熱剥離型粘着シートおよびこの加熱剥離型粘着シートを用いた半導体チップの製造方法
EP2007373A4 (en) * 2006-03-29 2012-12-19 Foldrx Pharmaceuticals Inc INHIBITION OF ALPHA SYNUCLEINE TOXICITY
ES2439994T3 (es) 2006-08-28 2014-01-27 Kyowa Hakko Kirin Co., Ltd. Anticuerpos antagonistas monoclonales humanos específicos de LIGHT humano
US20090264421A1 (en) * 2007-10-05 2009-10-22 Bible Keith 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Cancer
US8426587B2 (en) * 2007-11-21 2013-04-23 Pharmaxis Ltd. Haloallylamine inhibitors of SSAO/VAP-1 and uses therefor
US8658163B2 (en) 2008-03-13 2014-02-25 Curemark Llc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for treating symptoms of preeclampsia
US8084025B2 (en) 2008-04-18 2011-12-27 Curemark Llc Method for the treatment of the symptoms of drug and alcohol addiction
ES2732453T3 (es) 2008-07-01 2019-11-22 Curemark Llc Métodos y composiciones para el tratamiento de síntomas de trastornos neurológicos y de salud mental
AU2010203709B2 (en) 2009-01-06 2014-05-22 Galenagen,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s and for the Eradication or reduc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on surfaces
WO2010080835A1 (en) 2009-01-06 2010-07-15 Curemark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r the prevention oral infections by e. coli
US9056050B2 (en) 2009-04-13 2015-06-16 Curemark Llc Enzyme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of preparation and use
US8920392B2 (en) * 2009-05-05 2014-12-30 Watson Laboratories, Inc. Method for treating overactive bladders and a device for storage and administration of topical oxybutynin compositions
US8404728B2 (en) 2009-07-30 2013-03-26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Small-molecule botulinum toxin inhibitors
US8871460B2 (en) 2009-11-09 2014-10-28 Neurogenetic Pharmaceuticals, Inc. Gamma-secretase modulatory compounds, methods for identifying same, and uses therefor
US20110301235A1 (en) 2009-12-02 2011-12-08 Alquest Therapeutics, Inc. Organoselenium compounds and uses thereof
SG181896A1 (en) * 2009-12-23 2012-07-30 Map Pharmaceuticals Inc Novel ergoline analogs
JP6069661B2 (ja) 2010-06-24 2017-02-01 ザ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カリフォルニア 種々のアミロイドβペプチドアロフォームレベルの調節における組成物及びその使用
DK2701733T3 (da) 2011-04-21 2019-05-27 Curemark Llc Forbindelser til behandling af neuropsykiatriske forstyrrelser
US8604035B2 (en) 2011-06-23 2013-12-10 Map Pharmaceuticals, Inc. Fluoroergoline analogs
WO2013037482A1 (en) 2011-09-15 2013-03-21 Phenex Pharmaceuticals Ag Farnesoid x receptor agonists for cancer treatment and prevention
SG11201403434YA (en) 2011-12-19 2014-09-26 Map Pharmaceuticals Inc Novel iso-ergoline derivatives
EP2793583A4 (en) 2011-12-21 2015-08-12 Map Pharmaceuticals Inc NOVEL NEUROMODULATORY CONNECTIONS
SG10201707020TA (en) 2012-05-02 2017-10-30 Boehringer Ingelheim Int Substituted 3-haloallylamine inhibitors of ssao and uses thereof
SG11201407322QA (en) 2012-05-23 2014-12-30 Cellix Bio Private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multiple sclerosis
CA2873096A1 (en) 2012-05-23 2013-11-28 Cellixbio Private Limite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US10350278B2 (en) 2012-05-30 2019-07-16 Curemark, Llc Methods of treating Celiac disease
WO2013187965A1 (en) 2012-06-14 2013-12-19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Pyrazole derivatives as inhibitors of stat3
US9012640B2 (en) 2012-06-22 2015-04-21 Map Pharmaceuticals, Inc. Cabergoline derivatives
US9074186B2 (en) 2012-08-15 2015-07-07 Boston Medical Center Corporation Production of red blood cells and platelets from stem cells
WO2014100354A1 (en) 2012-12-21 2014-06-26 Map Pharmaceuticals, Inc. Novel methysergide derivatives
US9169214B2 (en) 2012-12-21 2015-10-27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Compounds and compositions that bind and stabilize transthyretin and their use for inhibiting transthyretin amyloidosis and protein-protein interactions
EP2968296B1 (en) 2013-03-12 2020-09-0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Gamma-secretase modulators
SG10201708143QA (en) 2013-06-06 2017-11-29 Pierre Fabre Médicament Anti-c10orf54 antibodies and uses thereof
GB201403775D0 (en) 2014-03-04 2014-04-16 Kymab Ltd Antibodies, uses & methods
CN108064242B (zh) 2014-05-28 2022-10-21 阿吉纳斯公司 抗gitr抗体和其使用方法
WO2016025129A1 (en) 2014-08-14 2016-02-18 Alhamadsheh Mamoun M Conjugation of pharmaceutically active agents with transthyretin ligands through adjustable linkers to increase serum half-life
WO2016046835A1 (en) 2014-09-26 2016-03-31 Cellix Bio Private Limite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epilepsy and neurological disorders
CN107207403A (zh) 2014-09-29 2017-09-26 塞尔利克斯生物私人有限公司 用于治疗多发性硬化的组合物和方法
SG11201703369WA (en) 2014-10-27 2017-05-30 Cellix Bio Private Ltd Three component salts of fumaric acid monomethyl ester with piperazine or ethylene diamine for the treatment of multiple sclerosis
WO2016067297A1 (en) 2014-10-27 2016-05-06 Cellix Bio Private Limited Salts of valproic acid with piperazine, ethylenediamine, lysine and/or eicosapentaenoic ecid (epa) amin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epilepsy
BR112017009010A2 (pt) 2014-10-31 2017-12-26 Massachusetts Gen Hospital moduladores potentes de gama-secretase
EP3226855A1 (en) 2014-12-01 2017-10-11 Cellix Bio Private Limite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multiple sclerosis
PL3333191T3 (pl) 2014-12-11 2021-05-04 Pierre Fabre Médicament Przeciwciała przeciwko c10orf54 i ich zastosowania
WO2016106221A1 (en) 2014-12-22 2016-06-30 The Rockefeller University Anti-mertk agonistic antibodies and uses thereof
US9676776B2 (en) 2015-01-20 2017-06-13 Xoc Pharmaceuticals, Inc. Isoergoline compounds and uses thereof
EP3253753A4 (en) 2015-01-20 2018-06-27 Xoc Pharmaceuticals, Inc Ergoline compounds and uses thereof
SG10201906474QA (en) 2015-02-09 2019-09-27 Cellix Bio Private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mucositis
FI3265123T3 (fi) 2015-03-03 2023-01-31 Vasta-aineita, käyttöjä & menetelmiä
WO2016176617A2 (en) 2015-04-29 2016-11-03 New York University Method for treating high-grade gliomas
PT3303394T (pt) 2015-05-29 2020-07-01 Ludwig Inst For Cancer Res Ltd Anticorpos anti-ctla-4 e métodos de uso dos mesmos
KR20220131277A (ko) 2015-09-01 2022-09-27 아게누스 인코포레이티드 항-pd-1 항체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US10112924B2 (en) 2015-12-02 2018-10-30 Astraea Therapeutics, Inc. Piperdinyl nociceptin receptor compounds
US10960013B2 (en) 2016-03-04 2021-03-30 East Carolina University J-series prostaglandin-ethanolamides as novel therapeutics for skin and/or oral disorders
EP3426352A4 (en) 2016-03-08 2019-11-13 Los Gatos Pharmaceuticals, Inc. CAMPTOTHECIN DERIVATIVES AND USES THEREOF
EP3426301A4 (en) 2016-03-08 2019-11-06 Los Gatos Pharmaceuticals, Inc. VERBUNDNANOPARTICLES AND USES THEREOF
US10047077B2 (en) 2016-04-13 2018-08-14 Skyline Antiinfectives, Inc. Deuterated O-sulfated beta-lactam hydroxamic acids and deuterated N-sulfated beta-lactams
WO2017194789A1 (en) 2016-05-13 2017-11-16 Institut Pasteur Inhibition of beta-2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s to treat alzheimer's disease pathology
MA45123A (fr) 2016-05-27 2019-04-10 Agenus Inc Anticorps anti-tim-3 et leurs méthodes d'utilisation
AU2017292184A1 (en) 2016-07-08 2019-02-07 Staten Biotechnology B.V. Anti-Apoc3 antibodi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MX2019001360A (es) 2016-08-11 2019-06-03 Cellix Bio Private Ltd Composiciones y metodos para el tratamiento de sindrome de intestino irritable.
WO2018035281A1 (en) 2016-08-17 2018-02-22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Northern-southern route to synthesis of bacteriochlorins
DK3522873T3 (da) 2016-10-04 2022-06-20 Cellix Bio Private Ltd Sammensætninger og fremgangsmåder til behandlingen af xerostomi
CN110023337B (zh) 2016-10-11 2024-01-05 艾吉纳斯公司 抗lag-3抗体及其使用方法
US11779604B2 (en) 2016-11-03 2023-10-10 Kymab Limited Antibodies, combinations comprising antibodies, biomarkers, uses and methods
US11332521B2 (en) 2016-11-07 2022-05-17 Neuracle Science Co., Ltd. Anti-family with sequence similarity 19, member A5 antibodies and method of use thereof
WO2018089692A1 (en) 2016-11-09 2018-05-17 Phloronol, Inc. Eckol derivatives, methods of synthesis and uses thereof
WO2018102252A1 (en) 2016-11-30 2018-06-07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Methods for making bacteriochlorin macrocycles comprising an annulated isocyclic ring and related compounds
AU2017373944B2 (en) 2016-12-07 2022-02-03 Agenus Inc. Anti-CTLA-4 antibodi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A3046082A1 (en) 2016-12-07 2018-06-14 Agenus Inc. Antibodi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18115984A1 (en) 2016-12-19 2018-06-28 Cellix Bio Private Limite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ion
MA47511A (fr) 2017-02-17 2019-12-25 Eidos Therapeutics Inc Procédés de préparation d'ag-10, de ses intermédiaires et de sels correspondants
AU2018220515B2 (en) 2017-02-17 2022-06-30 DayLife LLC Universal antivenom
BR112019017241A2 (pt) 2017-04-13 2020-04-14 Agenus Inc anticorpos anti-cd137 e métodos de uso dos mesmos
JP2020517242A (ja) 2017-04-21 2020-06-18 スターテン・バイオテクノロジー・ベー・フェー 抗ApoC3抗体およびその使用方法
EP3618863B1 (en) 2017-05-01 2023-07-26 Agenus Inc. Anti-tigit antibodi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AU2018275873A1 (en) 2017-06-01 2019-12-19 Xoc Pharmaceuticals, Inc. Ergoline derivatives for use in medicine
EP3645029B1 (en) 2017-06-26 2023-01-18 Institut Pasteur Treatments to eliminate hiv reservoirs and reduce viral load
KR102340352B1 (ko) 2017-06-27 2021-12-21 주식회사 뉴라클사이언스 섬유증의 치료를 위한 항-fam19a5 항체의 용도
KR102454460B1 (ko) 2017-06-27 2022-10-17 주식회사 뉴라클사이언스 암 치료를 위한 항-fam19a5 항체의 용도
BR112019027729A2 (pt) 2017-06-27 2020-08-18 Neuracle Science Co., Ltd anticorpos anti-fam19a5 e seus usos
CN110972463B (zh) 2017-06-27 2024-05-28 纽洛可科学有限公司 抗序列相似家族19成员a5抗体在治疗青光眼中的用途
AU2018306718A1 (en) 2017-07-27 2020-02-20 Allergan, Inc. Prostacyclin receptor agonists for reduction of body fat
US11571401B2 (en) 2017-09-01 2023-02-07 East Carolina University Compounds, compositions, kits, and methods for activating immune cells and/or an immune system response
CN111315772A (zh) 2017-10-31 2020-06-19 斯塔顿生物技术有限公司 抗apoc3抗体及其使用方法
JP7038437B2 (ja) 2017-11-17 2022-03-18 セリックス バイオ プライヴェート リミテッド 眼障害及び皮膚疾患の処置のための化合物、組成物、及び方法
CN111372576A (zh) 2017-11-17 2020-07-03 塞尔利克斯生物私人有限公司 用于治疗眼部病症的组合物和方法
KR20200135996A (ko) 2018-03-23 2020-12-04 에이도스 테라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Ag10을 사용하여 ttr 아밀로이드증을 치료하는 방법
KR20200118913A (ko) 2018-04-24 2020-10-16 주식회사 뉴라클사이언스 신경병성 통증의 치료를 위한 서열 유사성 19, 멤버 a5 항체를 갖는 항-패밀리의 용도
KR20240056644A (ko) 2018-05-10 2024-04-30 주식회사 뉴라클사이언스 서열 유사성 19, 멤버 a5 항체를 갖는 항-패밀리 및 그의 사용 방법
CN112740043A (zh) 2018-07-20 2021-04-30 皮埃尔法布雷医药公司 Vista受体
WO2020037189A1 (en) 2018-08-17 2020-02-20 Eidos Therapeutics, Inc. Formulations of ag10
KR20210070300A (ko) 2018-10-03 2021-06-14 스태튼 바이오테크놀로지 비.브이. 사람 및 시노몰구스 ApoC3에 대해 특이적인 항체 및 이의 사용 방법
US20220008515A1 (en) 2018-11-16 2022-01-13 Neoimmunetech, Inc. Method of treating a tumor with a combination of il-7 protein and an immune checkpoint inhibitor
WO2020128033A1 (en) 2018-12-20 2020-06-25 Institut Pasteur Cellular metabolism of hiv-1 reservoir seeding in cd4+ t cells
EP3921038A1 (en) 2019-02-06 2021-12-15 Dice Alpha, Inc. Il-17a modulators and uses thereof
EP4378958A2 (en) 2019-02-26 2024-06-05 Inspirna, Inc. High-affinity anti-mertk antibodies and uses thereof
CA3138403A1 (en) 2019-05-20 2020-11-26 Christopher J. MACNEVIN Narrow emission dyes, compositions comprising same,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WO2021042019A1 (en) 2019-08-30 2021-03-04 Agenus Inc. Anti-cd96 antibodi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2022547617A (ja) 2019-09-16 2022-11-14 ダイス アルファ,インク. Il-17aモジュレーターおよびその使用
IL294663A (en) 2020-01-13 2022-09-01 Neoimmunetech Inc A method for tumor treatment with a combination of il-7 protein and a bispecific antibody
EP4100045A1 (en) 2020-02-05 2022-12-14 Washington University Method of treating a solid tumor with a combination of an il-7 protein and car-bearing immune cells
US11541009B2 (en) 2020-09-10 2023-01-03 Curemark, Llc Methods of prophylaxis of coronavirus infection and treatment of coronaviruses
WO2022093718A1 (en) 2020-10-26 2022-05-05 Neoimmunetech, Inc. Methods of inducing stem cell mobilization
WO2022094475A1 (en) 2020-11-02 2022-05-05 Neoimmunetech, Inc. Use of interleukin-7 for the treatment of coronavirus
JP2023549112A (ja) 2020-11-05 2023-11-22 ネオイミューンテ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Il-7タンパク質とヌクレオチドワクチンの組み合わせで腫瘍を治療する方法
IL305752A (en) 2021-03-10 2023-11-01 Dice Molecules Sv Inc INTEGRIN INHIBITORS OF ALPHA V BETA 6 AND ALPHA V BETA 1 AND THEIR USES
CA3218481A1 (en) 2021-06-14 2022-12-22 argenx BV Anti-il-9 antibodi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A3237696A1 (en) 2021-11-08 2023-05-11 Progentos Therapeutics, Inc.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 (pdgfr) alpha inhibitors and uses thereof
WO2023130081A1 (en) 2021-12-30 2023-07-06 Neoimmunetech, Inc. Method of treating a tumor with a combination of il-7 protein and vegf antagonist
US11981694B2 (en) 2022-01-03 2024-05-14 Lilac Therapeutics, Inc. Acyclic thiol prodrugs
WO2023129577A1 (en) 2022-01-03 2023-07-06 Lilac Therapeutics, Inc. Cyclic thiol prodrugs
GB2619907A (en) 2022-04-01 2023-12-27 Kanna Health Ltd Novel crystalline salt forms of mesembrine
WO2024086852A1 (en) 2022-10-21 2024-04-25 Diagonal Therapeutics Inc. Heteromeric agonistic antibodies to il-18 receptor
WO2024102722A1 (en) 2022-11-07 2024-05-16 Neoimmunetech, Inc. Methods of treating a tumor with an unmethylated mgmt promot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47118A (ja) * 1989-03-17 1990-10-02 Bando Chem Ind Ltd 皮膚貼付薬シート
JPH0457872A (ja) * 1990-06-28 1992-02-25 Bando Chem Ind Ltd 粘着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1753A (en) * 1973-12-13 1976-07-27 Union Carbide Corporation Polymer composites and preparation thereof
JPH0725665B2 (ja) * 1992-04-16 1995-03-22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皮膚貼付薬シートの製造方法
JPH0733646A (ja) * 1993-07-23 1995-02-03 Bando Chem Ind Ltd 皮膚貼付薬シート
JP3485701B2 (ja) * 1995-11-06 2004-01-13 久光製薬株式会社 皮膚貼付用シー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47118A (ja) * 1989-03-17 1990-10-02 Bando Chem Ind Ltd 皮膚貼付薬シート
JPH0457872A (ja) * 1990-06-28 1992-02-25 Bando Chem Ind Ltd 粘着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30850B2 (en) 2001-03-15
CN1247468A (zh) 2000-03-15
WO1999021537A1 (fr) 1999-05-06
KR20000069728A (ko) 2000-11-25
US6267983B1 (en) 2001-07-31
CN1152673C (zh) 2004-06-09
EP0968711B1 (en) 2008-02-27
EP0968711B9 (en) 2008-05-28
JP4395200B2 (ja) 2010-01-06
AU9648498A (en) 1999-05-17
ATE387192T1 (de) 2008-03-15
DE69839179D1 (de) 2008-04-10
TW518228B (en) 2003-01-21
CA2275539A1 (en) 1999-05-06
EP0968711A4 (en) 2006-06-28
DE69839179T2 (de) 2009-02-19
EP0968711A1 (en) 2000-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9273B1 (ko) 피부 패치 시트 및 그것을 위한 베이스 시트의 제조 방법
JP2733180B2 (ja) フレキシブル包装用ラミネート、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接着剤
JP4749765B2 (ja) 創傷保護フィルム及び医療用貼付材
JP2549576B2 (ja) 粘着シート
JP5196828B2 (ja) 皮膚貼付薬シート
JPH0725665B2 (ja) 皮膚貼付薬シートの製造方法
JPH0635381B2 (ja) 皮膚貼付薬シート
JPH0584260A (ja) 皮膚貼付薬シート
JP5226230B2 (ja) 貼付剤用粘着剤組成物及びその用途
JPH0457872A (ja) 粘着シート
JPH02247118A (ja) 皮膚貼付薬シート
JPH01223185A (ja) 粘着シート
JP3440284B2 (ja) 皮膚貼付薬用支持体
JPH0335078A (ja) 粘着シート
JPH0457873A (ja) 粘着シート
JP3345175B2 (ja) 経皮投与薬用支持体
JPH02166182A (ja) 粘着シート
JPH01224313A (ja) 粘着シート
JPH03166280A (ja) 粘着シート
JPH07330589A (ja) 経皮投与薬用支持体
JPH01249719A (ja) 皮膚貼付薬シート
JPH01223186A (ja) 粘着シート
JPH07215844A (ja) 皮膚貼付薬シート
JPS62227983A (ja) 粘着シ−ト
JPH10182444A (ja) 皮膚貼付薬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126

Effective date: 200701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