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7040B1 - 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 - Google Patents

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7040B1
KR100707040B1 KR1020040021761A KR20040021761A KR100707040B1 KR 100707040 B1 KR100707040 B1 KR 100707040B1 KR 1020040021761 A KR1020040021761 A KR 1020040021761A KR 20040021761 A KR20040021761 A KR 20040021761A KR 100707040 B1 KR100707040 B1 KR 100707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looring
laminate
synthetic resin
resi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7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85073A (en
Inventor
요시아키 네츠
히로아키 나카야마
코지 도이
켄 기무라
오사무 가도이
야쓰오 나카이
아츠시 나카하라
히로시 마쓰다
야스히로 마츠카와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5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50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0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캐스터성과 내충격성 및 내수성이 뛰어난 바닥재용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이는나무재질 기재 상에 합성수지층과 화장층이 차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바닥재용 적층체로서, 상기 합성수지층은 항복점 하중이 9kgf 이상, 인장 탄성율이 50kgf/mm2 이상, 항복 신장율이 3 ~ 8%이고,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에 시행된 내캐스터 시험의 결과가 상기 표면의 패어들어간 함몰깊이가 100㎛ 이하인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내캐스터 시험은, 회전될 수 있는 캐스터 고정재와, 이 캐스터 고정재에 부착된 3개의 캐스터, 상기 캐스터 고정대와 접속하도록 된 가동형 가중부 및 시료 고정대를 갖춰 이루어진 내캐스터 시험장치를 사용하여 시험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ing laminate having excellent cast resistance, impact resistance and water resistance. It is a laminate for flooring, which is formed by sequentially laminating a synthetic resin layer and a makeup layer on a wooden substrate, wherein the synthetic resin layer has a yield point load of 9 kgf or more, a tensile modulus of 50 kgf / mm 2 or more, and a yield elongation of 3 to 8%, As a result of the caster test conducted on the surface of the cosmetic layer side of the 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 the recessed depth of the surface was to be 100 µm or less. The caster test is performed using a caster test apparatus comprising a rotatable caster fixture, three casters attached to the caster fixture, a movable weight portion adapted to connect with the caster fixture, and a sample holder. do.

Description

바닥재용 적층체{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 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적층체의 기본적 층구성을 나타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asic layer structure of the laminate for flo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적층체를 구성하는 화장층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makeup layer constituting the laminate for flo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적층체를 구성하는 화장층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makeup layer constituting the laminate for flo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적층체를 구성하는 화장층의 제3실시예 나타낸 단면도,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makeup layer constituting the laminate for flo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적층체를 구성하는 화장층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makeup layer of the laminate for flo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각종 시험체(B)의 함몰깊이와 항복점 하중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6 is a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pth of depression of the various test bodies B and the yield point load;

도 7은, 각종 시험체(B)의 항복점 하중과 인장 탄성율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7 is a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yield point load and the tensile modulus of various test specimens B;

도 8은, 각종 시험체(B)의 항복점 하중과 항복 신장율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8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ield point load and the yield elongation rate of various test specimens B;

도 9는, 내캐스터 시험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9 is a sectional view of the caster test apparatus;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바닥재용 시트의 기본적 층구성을 나타낸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asic layer structure of the flooring sheet a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바닥재용 시트를 구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constituting the flooring sheet a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의 바닥재용 적층체의 합성수지층을 구분하기 위한 가장자리의 배치예를 나타낸 도면, 1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rrangement of edges for distinguishing the synthetic resin layer of the laminate for flooring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바닥재용 적층체에다 홈을 형성시킨 경우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모식도, FIG. 1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when a groove is formed in a laminate for flooring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바닥재용 적층체에다 홈을 형성시킨 경우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Fig. 1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when a groove is formed in the laminate for flooring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내캐스터(耐caster)성, 내충격성, 및 내수성이 뛰어난 바닥재용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is invention relates to the laminated body for flooring materials which was excellent in caster resistance, impact resistance, and water resistance.

종래의 바닥재로는, 합판에다 나무재질의 화장단판(化粧單板)을 붙여 도장한 것이나, 또는 합판과 중밀도 섬유판(MDF)을 적층하고 나서, 다시 상기 MDF에 나무재질의 화장단판을 접합시켜 도장한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나무재질 화장 단판쪽에서 합판 및 MDF에 이르는 깊이로 홈을 가공하거나 모따기가공을 해서 홈이나 모따기부를 형성시켜 의장성(意匠性)을 높인 것도 알려져 있다. As a conventional flooring material, a wood veneer veneer is applied to a plywood, and a plywood and a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are laminated, and then the wood veneer veneer is bonded to the MDF again. Painting is widely known. It is also known that the grooves or the chamfers are formed by processing grooves or chamfering to a depth from the wood veneer to the plywood and the MDF, thereby increasing the designability.

그러나, 나무재질로 된 화장단판은 깨끗한 자연목재를 얇게 슬라이스한 것으로, 목재자원의 고갈문제 및 세계적인 자원보호운동이 높아져 목재가격이 오르고 재질도 점차 나빠져 종래와 같은 양질의 목재를 입수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However, wood veneer is a thin slice of clean natural wood, and the problem of depletion of wood resources and the global resource protection movement is increasing, so that the price of wood is rising and its materials are gradually worsening. ought.

그 때문에, 나무재질의 화장단판을 대신하는 것으로, 나뭇결무늬와 같은 아름다운 의장을 인쇄한 화장시트가 이용되기에 이르렀다. 그 대표적인 예로는, 합판에다 화장시트를 붙인 것과, 합판과 중밀도 섬유판(MDF)을 적층시킨 적층체의 상기 중밀도 섬유판 면에 화장시트를 붙인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전자는 나무재질의 화장단판을 사용하던 때와 마찬가지로 내캐스터성 및 내충격성에서 떨어지고,나무재질의 화장단판에 홈 및 모따기부를 형성시킨 경우 보풀이 일거나 끝이 갈라지는 일이 일어나 거기에 양말이나 스타킹의 섬유가 걸려 올이 나가는 일도 가끔 볼 수가 있다. 한편, 후자는 나무재질의 화장단판을 사용하던 때와 마찬가지로 MDF가 내수성에 떨어지기 때문에, 물이 침입해서 MDF가 부풀어짐으로서 의장성을 회손하는 일도 가끔 볼 수가 있었다.For this reason, a decorative sheet printed with a beautiful design such as wood grain pattern has been used in place of a wooden veneer. Representative examples thereof include a case in which a makeup sheet is attached to plywood and a case in which a makeup sheet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medium density fiber board of the laminate in which the plywood and the medium density fiber board (MDF) are laminated. However, the former falls from caster resistance and impact resistance as in the case of using a wooden veneer, and when a groove and a chamfer are formed in a wooden veneer, lint or split ends occur and socks are placed there. You can also see the fibers of the stockings hanging out sometimes. On the other hand, as in the latter, when the wood veneer is used, the MDF is inferior in water resistance, so that water is invaded and the MDF is swollen, so that sometimes the design is changed.

이에 대해, 일본국 특허공개 2003-239517호에서는, 합판과 합성수지층 및 화장층을 적층시키되, 상기 합성수지층을 특정한 물성치(物性値)를 갖도록 함으로써 내캐스터성과 내충격성 및 내수성와 같은 물성이 뛰어난 바닥재용 적층체로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3-239517 discloses flooring having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such as cast resistance, impact resistance and water resistance by laminating plywood, a synthetic resin layer and a cosmetic layer, and having the synthetic resin layer have specific physical properties. It is proposed to make a laminated body.

그러나, 바닥재용 적층체가 난방수단에 의한 열의 영향을 받게 되면, 합판 또는 합판성수지층이 열수축 또는 열팽창을 일으켜 바닥재용 적층체에 휘는 일이 일어나거나, 또는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 표면에 시행되었던 의장에 합판 표층의 섬유방향을 따라 요철모양이 생기는 것과 같은 영향을 일으키는 일이 종종 있었다. 또, 합성수지층과 화장층과의 접착성을 한층 더 개선하는 것도 요망되고 있다. However, when the laminate for flooring is subjected to heat by heating means, the plywood or plywood resin layer undergoes thermal contraction or thermal expansion, causing bending of the laminate for flooring, or having been applied to the cosmetic layer surface of the laminate for flooring. The design often had effects such as irregularities along the fiber direction of the plywood surface. Moreover, it is also desired to further improve the adhesiveness between the synthetic resin layer and the makeup layer.

따라서, 온도변화에 따른 치수변화가 적고, 보다 값이 저렴한 건축자재로서의 바닥재용 적층체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Therefore, it is desired to develop a laminate for flooring as a building material having less dimensional change due to temperature change and having a lower cost.

본 발명에 의한 바닥재용 적층체는, 합성수지층이 2 이상의 독립된 구획으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나무재질 기재와 합성수지층과의 열팽창차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가 있게 됨으로써, 열팽창차로 인해 휘어지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 내지 방지하고자 한다. 또, 합성수지층과 화장층과의 접착성이 개선된 바닥재용 시트 및 그를 이용한 바닥재용 적층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the laminate for flo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ynthetic resin layer is divided into two or more independent section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absorb the thermal expansion difference between the wood substrate and the synthetic resin layer, thereby effectively suppressing or preventing the bending due to the thermal expansion difference. I would like to.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oring sheet having improved adhesion between a synthetic resin layer and a makeup layer, and a flooring laminate using the same.

본 발명자들은 나무재질 기재상에, 특정한 물성치를 가진 합성수지층과 화장층을 차례로 적층함으로써, 내캐스터성, 내충격성, 내찰상성, 내마모성 및 내오염성과 같은 여러 가지 물성을 갖도록 함과 더불어, 온도변화에 따른 치수변화도 적고, 합성수지층과 화장층과의 접착성도 한층 더 개선된 바닥재용 적층체를 얻을 수가 있음을 알게 되어, 그와 같은 사실을 기초로 본 발명을 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by sequentially laminating a synthetic resin layer having a specific physical property and a cosmetic layer on a wood substrate, to have various properties such as cast resistance, impact resistance, scratch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and pollution resistance, temperature ch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found that there is less dimensional change and a laminate for flooring having improved adhesiveness between the synthetic resin layer and the makeup layer is further improved.

본 발명의 첫번째 특징으로는, 나무재질 기재상에 합성수지층과 화장층을 차례로 적층시켜 구성한 바닥재용 적층체로서, 이 바닥재용 적층체는,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aminate for flooring comprising a laminate of a synthetic resin layer and a makeup layer sequentially on a wood substrate, the laminate for flooring comprising:

상기 합성수지층이 항복점 하중이 9kgf이상, 인장 탄성율(引張彈性率)이 50kgf/㎟ 이상, 항복 신장율(降伏伸張率)이 3~8%이고, The yield point load of the synthetic resin layer is 9kgf or more, and the tensile modulus is 50kgf / mm2. Yield elongation is 3-8%,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에서의 화장층쪽 표면에 시행된 내캐스터 시험의 결과가, 상기 표면의 함몰 깊이가 100㎛이하로서, As a result of the caster test per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smetic layer in the laminate for flooring, the depth of depression of the surface was 100 μm or less,

상기 내캐스터 시험이, 회전가능한 캐스터 고정재, 상기 캐스터 고정재에 부착된 3개의 캐스터, 상기 캐스터 고정대와 접속하도록 된 가중부 및 시료 고정대를 갖춰 이루어진 내캐스터 시험 장치를 사용하여, The caster test uses a caster test apparatus comprising a rotatable caster fixture, three casters attached to the caster fixture, a weight portion adapted to connect with the caster holder, and a sample holder,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를 상기 시료 고정대에다 고정하고, Fixing the flooring laminate to the sample holder,

상기 3개의 캐스터를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에 상기 가중부로 가중시켜 접촉하도록 해서, The three caster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weighted portion by weighting the surface of the laminate layer of the flooring material,

상기 캐스터 고정재를 가동시켜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상으로 상기 3개의 캐스터를 회전시킨 후, Operating the caster fixing member to rotate the three casters onto the cosmetic layer side surface of the flooring laminate;

상기 표면에 발생한 함몰의 깊이를 측정하도록 된 것이고, To measure the depth of depressions occurring on the surface,

상기 캐스터는, 평균직경이 75㎜, 두께가 25㎜인 것이며, The caster is one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75 mm and a thickness of 25 mm,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에 부여된 가중이 70㎏이고, The weight given to the surface of the cosmetic layer side of the 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s is 70 kg,

상기 3개의 캐스터는 20rpm의 속도로 5분마다 반(反)회전되어 1000회 회전하도록 해서 시험한 것이다.The three casters were tested by rotating them 1000 times by rotating them counterclockwise at a speed of 20 rpm every 5 minutes.

이와 같이 구성된 바닥재용 적층체는 내캐스터성과 내찰상성, 내마모성, 내오염성과 같은 여러 가지 물성을 갖게 됨과 더불어, 온도 변화에 따른 치수변화가 적은 바닥재용 적층체를 이루게 된다. The laminate for flooring thus constructed has various physical properties such as caster resistance, scratch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and fouling resistance, and forms a laminate for flooring having less dimensional change due to temperature change.

본 발명은 또한 나무재질의 기재상에 합성수지층과 화장층을 차례로 적층시켜 이루어진 바닥재용 적층체로서,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 formed by sequentially laminating a synthetic resin layer and a makeup layer on a base material of wood,

상기 합성수지층이, 침입온도(針入溫度)가 75℃이상, 항복점 하중이 10kgf이상, 인장 탄성율이 100kgf/㎟이상, 항복 신장율이 4~8%인 것이다.The synthetic resin layer has an infiltration temperature of 75 ° C. or more, a yield point load of 10 kgf or more, a tensile modulus of 100 kgf / mm 2 or more, and a yield elongation of 4 to 8%.

이와 같은 바닥재용 적층재는, 내캐스터성과 내찰상성, 내마모성, 내오염성, 내충격성 및 내수성이 뛰어난, 그 중에 특히 내열성이 뛰어나 경화수축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바닥재용 화장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Such a 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s can provide a flooring cosmetic material that is excellent in cast resistance, scratch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contamination resistance, impact resistance and water resistance, among which is particularly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and can effectively suppress hardening shrinkage. Will be.

또한, 본 발명의 합성수지층과 이 합성수지층 상에 형성되는 화장층으로 구성되는 바닥재용 시트로서, Moreover, as a flooring sheet comprised from the synthetic resin layer of this invention and the makeup layer formed on this synthetic resin layer,

상기 합성수지층은 단층 또는 2층 이상의 층구조를 갖고, The synthetic resin layer has a single layer or a layer structure of two or more layers,

상기 합성수지층이 단층인 경우에 상기 단층은 상기 합성수지층이 2층 이상인 경우에 그 중 적어도 1층이 비정성(非晶性)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로 형성되고, When the synthetic resin layer is a single layer, when the synthetic resin layer is two or more layers, at least one of them is formed of an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olymer,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는 에틸렌글리콜의 일부가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로 치환된 것으로 구성된 것이다.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olymer is composed of a part of ethylene glycol is substituted with 1,4-cyclohexane dimethanol.

이와 같은 바닥재용 시트는 합성수지층과 화장층과의 접착성을 개선된 바닥재용 시트 및 그를 이용한 바닥재용 적층체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Such a flooring sheet can be applied to the flooring sheet and the flooring laminate using the same for improving the adhesion between the synthetic resin layer and the makeup layer.

본 발명은 또한 나무재질 기재상에 합성수지층과 화장층을 차례로 적층시켜 이루어진 바닥재용 적층체로서 상기 합성수지층이 2 이상의 독립된 구획으로 구분되도록 구성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 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 formed by sequentially laminating a synthetic resin layer and a makeup layer on a wooden substrate, the synthetic resin layer is configured to be divided into two or more independent compartments.

이와 같은 바닥재용 적층체는 합성수지층이 2이상의 독립된 구획으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나무재질 기재와 합성수지층과의 열팽창차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가 있게 됨으로써, 열팽창차로 인해 휘어지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 내지 방지될 수가 있게 된다. 또, 합성수지층과 화장층과의 접착성이 개선된 바닥재용 시트 및 그것을 이용한 바닥재용 적층체를 제공할 수도 있게 된다. Since the resin laminate is divided into two or more separate sections, the floor laminate can effectively absorb the thermal expansion difference between the wood substrate and the synthetic resin layer, so that the bending due to the thermal expansion difference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or prevented. do.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looring sheet having improved adhesion between the synthetic resin layer and the makeup layer and a flooring laminate using the same.

[실시예]EXAMP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실시예)      (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적층체의 기본적 층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다른 바닥재용 적층체(1)는 나무재질의 기재(2)상에 합성수지층(3)이 접착제층을 매개로 배치되고서, 이 합성수지층(3)상에 화장층(4)이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상기 합성수지층(3)이 소정의 치수를 갖게 됨으로써 내캐스터성과 내충격성, 내수성 등이 충족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적층체는 그 화장층쪽 표면에 시행한 내캐스터 시험의 결과, 상기 표면에 균열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상기 내캐스터 시험의 결과로,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에서의 화장층쪽 표면에 패어들어간 함몰깊이가 100㎛ 이하, 바람직하기로는 80㎛ 이하로 되는 것이 좋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asic layer structure of the laminate for flo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aminate 1 for flo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ynthetic resin layer 3 is disposed on a substrate 2 made of a wood material through an adhesive layer, and a makeup layer 4 is formed on the synthetic resin layer 3. Since the synthetic resin layer 3 has a predetermined dimension, the caster, impact resistance, water resistance, and the like can be satisfied. Moreover, the flooring laminated body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requested | required that a crack does not generate | occur | produce on the said surface as a result of the caster test per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smetic layer side. Further,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of the above-mentioned caster test, it is preferable that the recessed depth which is formed in the surface of the cosmetic layer in the flooring laminate is 100 µm or less, preferably 80 µm or less.

내캐스터 시험My caster test

본 발명에서의 내캐스터 시험은 내캐스터 시험장치를 사용해서 시행할 수 있고, 이를 내캐스터 시험장치의 일례가 단면도로 나타내어진 도 9를 가지고 설명한다. 내캐스터 시험장치(1000)는,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분동(1001)을 가진 가중부(加重部; 1002)와, 조절핸들(1003), 회전할 수 있는 캐스터 고정대(1010), 상기 캐스터 고정대에 부착된 3개의 캐스터(1011) 및, 시료 고정대(1013) 갖도록 되어 있다. The caster test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using the caster test apparatus, which will be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 9 in which an example of the caster test apparatus is shown in cross section. The caster test apparatus 1000 includes a weighting unit 1002 having a weight 1001 to reduce weight, an adjustment handle 1003, a rotatable caster holder 1010, and the caster holder It has three casters 1011 and the sample holder 1013 attached to it.

다음에는 내캐스터 시험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Next, an example of the caster test will be described.

시험할 바닥재용 적층체(1012)를 시료 고정대(1013)에다 고정시키고, 가중부(1002)에 70kg의 분동(1001)을 올려놓고 조절핸들(1003)로 바닥재용 적층체(1020)의 화장층쪽 표면에다 회전할 수 있는 캐스터 고정대(1010)에 고정된 3개의 캐스터(1011)를 접촉하도록 하고서, 이 캐스터 고정대(1010)를 가동시켜 바닥재용 적층체(1012)의 화장층쪽 표면 상에 상기 3개의 캐스터(1011)를 20rpm의 속도로 5분간씩 반회전하도록 해서 1000회 회전시킨 다음 상기 표면에 발생한 균열의 유무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The floor laminate 1012 to be tested is fixed to the sample holder 1013, a weight of 100 kg is placed on the weight 1002, and the cosmetic layer side of the laminate 1020 is disposed with a control handle 1003. The three casters 1011 fixed to the rotatable caster holder 101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and the caster holder 1010 is operated to make the three casters 1010 on the cosmetic layer side surface of the laminate 1012 for flooring. The caster 1011 was rotated 1000 times by rotating it half a minute for 5 minutes at a speed of 20 rpm, and then evaluated for the presence of cracks on the surface.

여기에 쓰이는 내캐스터 시험장치로는 예를 들어 내캐스터 시험장치 L6-04를 들 수 있고, 이것은 일본국 아사노기계제작(주)로부터 구입할 수 있다. 또, 사용하는 캐스터는 평균직경이 75mm, 두께가 25mm인 것으로, 이것은 예를 들어 햄머캐스터(HAMMER CASTER)사의 420 SA-N(차륜:나일론제)를 입수해서 사용하면 된다. The caster test apparatus used here is, for example, the caster test apparatus L6-04, which can be purchased from Asano Machinery Co., Ltd. in Japan. The caster to be used has an average diameter of 75 mm and a thickness of 25 mm. For example, the caster may be obtained by using 420 SA-N (wheel: nylon) manufactured by HAMMER CASTER.

합성수지층Synthetic Resin Layer

본 발명에 쓰이는 합성수지층은, 단층으로 된 것이거나 복층을 된 것이어도 상관이 없지만, 그 물리적 특정성으로는 항복점 하중이 9kgf이상, 바람직하기로는 12kgf이상, 인장 탄성율이 50kgf/㎟이상, 항복 신장율이 3~8%, 3~5%일 것이 요구된다. 합성수지층의 두께는, 하한으로서 200㎛이상, 바람직하기로는 250㎛이상, 상한으로는 800㎛이하, 바람직하기로는 500㎛이하인 것이 좋다. 합성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바람직하기로는 2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내열성이 높은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예컨대 에틸렌글리콜의 일부를 1, 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으로 치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상품명 PET-G(이스트만 케미컬 컴퍼니사제품)),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단일물 또는 혼합물이어도 좋다.The synthetic resin lay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ed layer, but the physical specificity thereof is at least 9 kgf, preferably at least 12 kgf, at least 50 kgf / mm2, and at least one of the yield elongation. This is required to be 3 to 8% and 3 to 5%. The thickness of the synthetic resin layer is preferably 200 µm or more, preferably 250 µm or more, 800 µm or less, and preferably 500 µm or less as the lower limit. Specific examples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synthetic resin layer includ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referably biaxially orien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alkylene terephthalate having high heat resistance (e.g., a part of ethylene glycol is 1,4-cyclohexanedimethanol, etc.).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ituted by: The polyester-type resins, such as a brand name PET-G (made by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butylene terephthalate, a polycarbonate, and a polyarylate, are mentioned. These resins may be single or a mixture.

화장층A cremation layer

화장층을 구성하는 기재의 구체적인 예로는, 박지(薄紙)나 상질지(上質紙), 크라프트지, 일본종이(和紙), 티탄지, 수지함침지, 지간강화지(紙間强化紙)와 같은 종이, 나무재질 섬유, 유리섬유, 석면, 폴리에스테르섬유, 비닐론섬유, 레이온섬유와 같은 섬유로 된 직포(織布)나 부직포, 또는 폴리올레핀이나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스틸렌과 같은 합성수지제로 된 시트 등을 1종 또는 2종 이상 적층한 적층체를 쓸 수가 있다. 이들 기재의 두께로는 20~300㎛가 되는 것이 적당하다. 또, 화장층으로 쓰이는 기재는 필요에 따라 필요한 층에다 안료 등을 첨가해서 착색을 하여도 좋고, 필요한 쪽 면에다 코로나방전처리나 플라즈마처리, 오존처리와 같은 쉬운 접착처리를 하여도 좋다. Specific examples of the base material constituting the makeup layer include foil paper, fine paper, kraft paper, Japanese paper, titanium paper, resin impregnated paper, and paper reinforced paper. Woven or nonwoven fabrics such as paper, wood fibers, glass fibers, asbestos, polyester fibers, vinylon fibers, and rayon fibers, or polyolefins, polyesters, polyacryl, polyamides, polyurethanes, polystyrene, The laminated body which laminated | stacked 1 type, or 2 or more types of sheets made from the same synthetic resin, etc. can be used. As thickness of these base materials, it is suitable to become 20-300 micrometers. In addition, the base material used as a makeup layer may be colored by adding a pigment etc. to the required layer as needed, and may be easy-adhesive process, such as corona discharge treatment, plasma treatment, and ozone treatment, to the required surface.

화장층의 구체예Specific example of makeup laye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적층체를 구성하는 화장층의 구체적인 1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 화장층(4')은, 투명한 올레핀계 열가소성수지시트(40)의 한쪽 면에 엠보싱가공을 해서 요철모양(41) 만들고, 그 위에다 와이핑처리를 하여 상기 요철모양(41)의 오목부(凹部) 내에 와이핑잉크(42)를 충전한 하고 나서 표출면 전체에다 프라이머층(43)을 형성한 후, 상기 프라이머층(43) 상에 표면보호층(44)을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올레핀계 열가소성수지시트(40)의 다른쪽 면에 프라이머층(45)을 매개로 무늬층(46)과 베타인쇄층(47)시켜 만들어진 것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pecific example of the makeup layer constituting the laminate for flo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keup layer 4 'is embossed on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olefinic thermoplastic resin sheet 40. To form a concave-convex shape 41, and a wiping treatment thereon to fill the wiping ink 42 into the concave portion of the concave-convex shape 41, and then form a primer layer 43 on the entire surface. After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44 is formed on the primer layer 43, the pattern layer 46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olefinic thermoplastic resin sheet 40 via the primer layer 45. It is made by the beta print layer (47).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적층체를 구성하는 화장층의 구체적인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 화장층(4'')은, 착색된 올레핀계 열가소성수지시트(40')의 한쪽 면에 프라이머층(45)을 형성한 후 이 프라이머층(45) 상에 베타인쇄층 (47)과 무늬층(46)을 차례로 인쇄하고, 이어 상기 무늬층(46)상에 2액경화형 우레탄수지와 같은 주지의 드라이라미네이트용 접착제로 된 잡착제층(48)을 매개로 투명한 올레핀계 열가소성수지시트(40)나 투명한 올레핀계 열가소성수지층(40'')을 공지의 드라이라미네이트법 또는 T다이압출법으로 적층하고 나서, 상기 올레핀계 열가소성수지시트(40) 또는 상기 올레핀계 열가소성수지층(40'')의 표출면 전체에 프라이머층(43)을 형성하고, 다시 이 프라이머층(43) 상에 표면보호층(44)을 형성시킨 것이다. 착색된 올레핀계 열가소성수지시트(40')의 아래쪽 면(도 3에는 도시되지 않음)에는 프라이머층과 같은 합성수지층이 형성된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pecific example of the makeup layer constituting the laminate for flo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makeup layer 4 '' has a primer on one side of the colored olefinic thermoplastic resin sheet 40 '. After the layer 45 is formed, the beta printed layer 47 and the pattern layer 46 are sequentially printed on the primer layer 45, and then, such as a two-liquid curable urethane resin on the pattern layer 46, The transparent olefinic thermoplastic resin sheet 40 or the transparent olefinic thermoplastic resin layer 40 '' was laminated by a known dry lamination method or a T-die extrusion method through an adhesive layer 48 made of an adhesive for dry lamination. Then, the primer layer 43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olefinic thermoplastic resin sheet 40 or the olefinic thermoplastic resin layer 40 '', and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4) is formed on the primer layer 43 again. 44). On the lower surface (not shown in FIG. 3) of the colored olefinic thermoplastic resin sheet 40 ', a synthetic resin layer such as a primer layer is form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적층체를 구성하는 화장층의 구체적인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 화장층(4''')은, 착색한 올레핀계 열가소성수지시트(40')의 한쪽 면에 프라이머층(45)을 형성하고서, 이 프라이머층(45)상에 베타인쇄층(47)과 무늬층(46)을 차례로 인쇄한 다음, 상기 무늬층(46) 상에 2액경화형 우레탄수지와 같은 공지의 드라이라미네이트용 접착제로 된 접착제층(48)을 매개로 투명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시트(40) 또는 투명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층(40'')을 공지의 드라이라미네이트법 또는 T다이압출법으로 적층하고, 상기 올레핀계 열가소성수지시트(40) 또는 상기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층(40'')의 표면에 엠보싱가공을 해서 요철모양(41)을 형성시킨 후, 그 위에 와이핑처리를 하여 상기 요철모양(41)의 오목부 내에 와이핑잉크(42)를 충전한 다음 표출면 전체에 프라이머층(43)을 형성하고, 이 프라이머층 (43) 상에 표면보호층(44)을 형성시킨 구조로 된 것이다. 착색된 올레핀계 열가소성수지시트(40')의 아래쪽 면(도 4에는 도시되지 않음)에는 프라이머층과 같은 합성수지층이 형성되게 된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pecific example of the makeup layer constituting the laminate for flo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makeup layer 4 ''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olored olefinic thermoplastic resin sheet 40'. The primer layer 45 is formed, and the beta printed layer 47 and the pattern layer 46 are sequentially printed on the primer layer 45, and then, such as a two-liquid curable urethane resin on the pattern layer 46, The transparent olefinic thermoplastic resin sheet 40 or the transparent olefinic thermoplastic resin layer 40 '' is laminated by a known dry lamination method or a T die extrusion method through an adhesive layer 48 made of a known dry laminate adhesive. The embossed surfac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olefinic thermoplastic resin sheet 40 or the olefinic thermoplastic resin layer 40 " to form an uneven shape 41, and then a wiping treatment is performed on the uneven shape. The wiping ink 42 is placed in the recess of the 41. After filling, the primer layer 43 is formed over the entire surface, and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44 is formed on the primer layer 43. On the lower surface (not shown in FIG. 4) of the colored olefinic thermoplastic resin sheet 40 ', a synthetic resin layer such as a primer layer is formed.

지금까지는 화장용 기재를 이용한 화장층(4)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화장층(4)은 그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양각으로 부조된 철판(凸板)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철판의 표면에 투명보호층으로서 UV(자외선경화형)수지를 도장한 것이나, 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화장층(4', 4'')을 화장층(4', 4'')의 표면보호층(44)이 표출되도록 철판표면에 우레탄계 접착제를 접착시키는 등의 가공을 한 것이 사용된다. Although the makeup layer 4 using the cosmetic base material was demonstrated so far, the makeup layer 4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it may be an iron plate embossed by embossing. In this case, the surface of the iron plate is typically coated with a UV (ultraviolet curing type) resin as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or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cosmetic layers 4 'and 4' 'are coated with the cosmetic layer 4 A process of attaching a urethane-based adhesive to the surface of the iron plate so as to expose the surface protection layer 44 of 4 " ") is used.

도 2~도 4에 도시된 화장층(4', 4'', 4''')은, 본 발명에서의 바닥재용 적층체를 구성하는 화장층(4)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라면 그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박지의 한쪽 면에 베타인쇄층과 무늬층 순으로 인쇄하고서 이 무늬층이 형성된 쪽 면 전체에 표면보호층을 형성시킨 구조로 된 화장층이어도 좋다.The cosmetic layers 4 ', 4' ', 4' '' shown in Figs. 2 to 4 show specific examples of the cosmetic layer 4 constituting the laminate for flo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does not depart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beta printed layer and a pattern layer may be printed on one surface of the foil and then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may b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n which the pattern layer is formed. The makeup layer may be used.

1) 프라이머층1) Primer layer

상기 프라이머층(43)은 상기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시트(40) 또는 상기 올레핀계 열가소성수지층(40'')과 상기 표면보호층(44)과의 접착강도를 높일 목적으로 배치된 것으로, 상기 프라이머층(43)을 배치하는 쪽이 접착강도 면에서 바람직하다. 또, 도 2~도 4에 도시된 상기 프라이머층(45)은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시트(40, 40'')와 무늬층(46), 베타인쇄층(47) 등의 인쇄층과의 접착성을 높일 목적으로 형성한 것이고, 상기 프라이머층(43)과 마찬가지의 수지를 가지고 마찬가지 방법으로 형성한 것은 상기 프라이머층(43)과 동일한 의미에서 바람직하다.The primer layer 43 is disposed to increase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olefinic thermoplastic resin sheet 40 or the olefinic thermoplastic resin layer 40 '' and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44.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layer 43 in terms of adhesive strength. In addition, the primer layer 45 illustrated in FIGS. 2 to 4 has an adhesive property with printing layers such as olefinic thermoplastic resin sheets 40 and 40 '', a patterned layer 46, and a beta printed layer 47. It is formed in order to increase the height, and having the same resin as the primer layer 43 and formed in the same manner is preferable in the same meaning as the primer layer 43.

상기 프라이머층(43, 45)은 상기와 같이 올레핀계 열가소성 수지시트(40, 40', 40'')의 표면접착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여기에 쓰이는 수지로는 에스테르 수지나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니트로셀룰로스 수지 등을 들 수 있는바, 이들 수지는 단독 또는 혼합해서 도료조성물 또는 잉크조성물로 하고서 롤코팅법이나 그라비아 인쇄법과 같은 적절한 도포수단을 가지고 형성시킬 수 있다.The primer layers 43 and 45 are for improving the surface adhesiveness of the olefinic thermoplastic resin sheets 40, 40 'and 40' 'as described above, and the resins used herein include ester resins, urethane resins and acrylic resins. And polycarbonate resins, vinyl chloride-vinyl acetate copolymers, polyvinyl butyral resins, nitrocellulose resins, and the like. These resin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to form a coating composition or ink composition. It can be formed with a suitable coating means such as a printing method.

2) 요철모양2) irregularities

요철모양(41)은 가열프레스나 헤어라인가공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요철모양(41)으로는 예컨대 도관홈, 석판표면요철, 직포표면텍스처, 모래무늬, 헤어라인와 같은 것이 있다. The uneven shape 41 can be formed by heating press, hairline processing, or the like. The concave-convex shape 41 includes, for example, conduit grooves, slab surface concave-convex, woven surface textures, sand patterns, and hair lines.

3) 무늬층 및 베타인쇄층3) Patterned layer and beta printed layer

상기 무늬층(46) 및 상기 베타인쇄층(47)은 일반적으로는 그라비아 인쇄, 오프셋인쇄, 실크스크린 인쇄와 같은 주지된 인쇄법으로 잉크를 써서 형성시킬 수가 있다. 상기 무늬층(46)으로는 예컨대 나뭇결모양, 돌무늬모양, 옷감무의모양, 가죽무의모양, 기하학모양, 문자, 기호, 선그림, 각종 추상적인 모양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베타인쇄층(47)은 은폐성을 가진 착색잉크로 베타인쇄를 한 것이다. 또, 도 2 ~ 도 4에는 상기 무늬층(46) 및 상기 베타인쇄층(47) 모두를 형성시킨 구성이 나타나 있으나, 어느 한쪽만을 구성한 것이어도 상관이 없다. The patterned layer 46 and the beta printed layer 47 may be formed by using ink by a known printing method such as gravure printing, offset printing, and silkscreen printing. Examples of the pattern layer 46 include wood grains, stone patterns, fabrics, leathers, geometrics, letters, symbols, line drawings, and various abstract shapes. The beta print layer 47 is beta-printed with a concealed coloring ink. In addition, although the structure which formed both the said pattern layer 46 and the said beta printed layer 47 is shown by FIG. 2-FIG. 4, you may comprise only one of them.

상기 무늬층(46) 및 상기 베타인쇄층(47)에 쓰여지는 잉크조성물로는, 비히클로서 염소화폴리에틸렌, 염소화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염소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 폴리초산비닐,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셀룰로스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을 1종 내지 2종 이상 혼합해서 쓰고서, 여기에 안료와 용제 및 각종 보조제 등을 첨가한 것을 쓸 수 있다. 그러나, 환경문제나 피인쇄면과의 접착성 등을 고려하면 폴리에스테르,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로부터 만들어지는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을 1종 내지 2종 이상 혼합한 것을 쓰게 된다. 한편, 와이핑잉크(42)에 대해서도 앞에서 설명한 무늬층(46) 및 베타인쇄층(47)에 쓰이는 잉크와 같은 잉크로 형성할 수 있다.As the ink composition used for the pattern layer 46 and the beta printed layer 47, a chlorinated polyolefin such as chlorinated polyethylene, chlorinated polypropylene, polyester, polyurethane made of isocyanate and polyol, polyacryl, poly One or two or more kinds of vinyl acetate, polyvinyl chloride, vinyl chloride-vinyl acetate copolymer, cellulose resin, and polyamide resin may be mixed and used to add pigments, solvents, and various auxiliary agents. have. However, in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adhesion to the printed surface, a mixture of one or two or more of polyurethane, polyacryl, and polyamide-based resins made of polyester, isocyanate and polyol is used. On the other hand, the wiping ink 42 may also be formed of the same ink as the ink used in the pattern layer 46 and the beta printed layer 47 described above.

4) 표면보호층4) Surface protection layer

화장층(4)의 표면에 형성된 표면보호층(44)에 대한 설명이다. 이 표면보호층(44)은 바닥재용 적층체(도 1 참조)에 요구되는 내찰상성과 내마모성, 내수성, 내오염성과 같은 표면물성을 부여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이 표면보호층(44)을 형성하는 수지로는 열경화형수지 내지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와 같은 경화형 수지를 써서 형성하는 것이 적당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표면경도가 크고 생산성이 우수하는 점에서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가 유리하다.The surface protection layer 44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keup layer 4 is demonstrated.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44 is formed to impart surface properties such as scratch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water resistance, and stain resistance required for the laminate for flooring (see FIG. 1), and forms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44. As resin, it is suitable to form using curable resin like thermosetting resin or ionizing radiation hardening resin. More preferably, 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is advantageous in view of high surface hardness and excellent productivity.

열경화형수지의 구체적인 예로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수지(2액경화형 폴리우레탄도 포함), 에폭시수지, 아미노알키드수지, 페놀수지, 요소수지, 디아릴프탈레이트수지, 멜라민수지, 구아나민수지, 멜라민-요소 공축합수지, 규소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에는 필요에 따라 가소제나 중합개시제와 같은 경화제 또는 중합촉진제를 첨가해서 쓰게 된다. 경화제로는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유기술폰산염와 같은 것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나 폴리우레탄수지등에 첨가하고, 유기아민와 같은 것을 에폭시수지에 첨가하고,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와 같은 과산화물이나 아조이소부틸니트릴와 같은 라디칼개시제를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첨가하게 된다. 상기 열경화형 수지로 표면보호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는, 예컨대 상기한 열경화형 수지를 용액으로 만들어 올코팅법이나 그라비아코팅법과 같은 공지의 도포법으로 도포해서 건조시켜 경화되도록 함으로써 형성하게 된다. 그 도포량으로는 고형분으로 약 5~30㎛가 되는 것이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15 ~ 25㎛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Specific examples of thermosetting resins include unsaturated polyester resins, polyurethane resins (including two-liquid polyurethanes), epoxy resins, amino alkyd resins, phenol resins, urea resins, diaryl phthalate resins, melamine resins, and guanamine resins. , Melamine-urea co-condensation resins, silicon resins, polysiloxane resins, and the like. If necessary, the resin may be used by adding a curing agent or polymerization accelerator such as a plasticizer or a polymerization initiator. As a curing agent, for example, an isocyanate or an organic sulfonate is added to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or a polyurethane resin, an organic amine is added to an epoxy resin, a peroxide such as methyl ethyl ketone peroxide, or a radical such as azoisobutyl nitrile. An initiator is added to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As a method of forming a surface protection layer with the said thermosetting resin, it forms, for example by making the said thermosetting resin into a solution, apply | coating by well-known coating methods, such as an all-coating method and a gravure coating method, and drying and hardening | curing. It is appropriate that the coating amount be about 5 to 30 µm in terms of solid content, preferably 15 to 25 µm.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電離放射線硬化型樹脂)는, 전리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가교중합반응(架橋重合反應)을 일으켜 3차원의 고분자구조로 변하게 되는 수지이다. 여기서, 전리방사선은 전자파 또는 하전입자선 중 분자를 중합하고, 가교해서 얻는 에너지양자를 가진 것을 의미하고, 가시광선, 자외선 (근자외선, 진공자외선 등), X선, 전자선, 이온선와 같은 것으로, 통상적으로는 자외선이나 전자선이 쓰이게 된다. 자외선원으로는 초고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저압 수은등, 카본아크등, 블랙라이트 형광등, 메탈할라이드 램프등과 같은 것을 광원으로 쓸 수 있다. 자외선의 파장으로는 190~380㎚정도의 파장대역을 가진 것이 쓰이게 된다. 또, 전자선원으로는 콕크로프트왈톤(Cockcroft-Walton)형, 반데그라프트형, 공진변압기형, 절록코어변압기형이나 또는 직선형, 다이나미트론형, 고주파형과 같은 각종 전자선가속기를 쓸 수가 있다. 여기에 쓰이는 전자선으로는 100~1000keV정도, 바람직하기로는 100~300keV의 것이 사용된다. 전자선의 조사량은 통상 2~15Mrad 정도이다.Ionizing radiation-curable resins are resins that undergo crosslinking polymerization reactions to form a three-dimensional polymer structure by irradiating ionizing radiation. Here, ionizing radiation means having an energy quantum obtained by polymerizing and crosslinking a molecule among electromagnetic waves or charged particle beams, and means visible rays, ultraviolet rays (near ultraviolet rays, vacuum ultraviolet rays, etc.), X rays, electron rays, ion rays, Usually, ultraviolet rays or electron beams are used. Ultraviolet light sources include ultra high pressure mercury lamps, high pressure mercury lamps, low pressure mercury lamps, carbon arc lamps, black light fluorescent lamps, and metal halide lamps. As the wavelength of ultraviolet rays, those having a wavelength band of about 190 to 380 nm are used. As the electron beam source, various types of electron beam accelerators such as cockcroft-walton type, vandegraft type, resonant transformer type, meloloc core transformer type, or linear type, dynamtron type, and high frequency type can be used. As the electron beam used here, about 100 to 1000 keV, and preferably about 100 to 300 keV are used. The irradiation amount of an electron beam is about 2-15 Mrad normally.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는, 분자 중에 (메타)아크릴로일기,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와 같은 라디칼중합성 불포화기, 또는 에폭시기와 같은 양이온중합성 관능기를 가진 단량체, 프리폴리머 또는 폴리머(이하, 이들을 총칭해서 화합물이라 함)로부터 만들어지게 된다. 이들 단량체와 프리폴리머 및 폴리머는 단체로 사용하거나 또는 여러 가지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메타)아크릴레이트라 함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의미로 쓰여진다. An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is a monomer, a prepolymer or a polymer having a radical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such as a (meth) acryloyl group, a (meth) acryloyloxy group, or a cationically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such as an epoxy group (hereinafter, these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o form a compound). These monomers, prepolymers, and polymers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meth) acrylate is used by the meaning of an acrylate or methacrylate.

라디칼중합성 불포화기를 가진 프리폴리머로는,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멜라민(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아진(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이 프리폴리머는 통상적으로 분자량이 10000정도이하인 것을 쓰게 된다. 분자량이 이 정도로 되어 있어서 경화된 수지층의 내찰상성, 내마모성, 내약품성, 내열성과 같은 표면물성을 높여주게 된다. 상기 아크릴레이트와 메타아크릴레이트는 같이 쓰여질 수 있으나, 전리방사선으로의 가교경화속도라고 하는 점에서 아크릴레이트 쪽이 훨신 빠르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단시간에 능률적으로 경화시킨다고 하는 목적에서는 아크릴레이트 쪽이 유리하다.Examples of the prepolymer having a radical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include polyester (meth) acrylate, urethane (meth) acrylate, epoxy (meth) acrylate, melamine (meth) acrylate, triazine (meth) acrylate, and polyvinylpi A ralidone etc. are mentioned. This prepolymer is usually used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less than about 10,000. Since the molecular weight is about this level, surface properties such as scratch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of the cured resin layer are enhanced. The acrylate and methacrylate may be used together, but the acrylate side is much faster in terms of crosslinking curing rate to ionizing radiation, and thus, acrylate side is advantageous for the purpose of curing at high speed and efficiently in a short time. .

양이온중합성관능기를 가진 프리폴리머로는 비스페놀형 에폭시수지, 노볼락형 에폭시수지, 고리형 에폭시수지와 같은 에폭시계 수지, 지방족계 비닐에테르, 방향족계비닐에테르, 우레탄계 비닐에테르, 에스테르계 비닐에테르과 같은 비닐에테르계 수지, 환상에테르화합물, 스피로화합물과 같은 프리폴리머를 들 수 있다. Prepolymers having a cationically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include epoxy resins such as bisphenol epoxy resins, novolac epoxy resins, cyclic epoxy resins, aliphatic vinyl ethers, aromatic vinyl ethers, urethane vinyl ethers, and vinyl esters. Prepolymers, such as an ether resin, a cyclic ether compound, and a spiro compound, are mentioned.

라디칼중합성불포화기를 가진 단량체의 예로는,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의 단관능단량체로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벤질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카르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2-히드록시프로필프탈레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하이드로겐테레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monomer having a radical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include a monofunctional monomer of a (meth) acrylate compound, such as methyl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butyl (meth) acrylate and methoxyethyl (meth). Acrylate, methoxybutyl (meth) acrylate, butoxyethyl (meth) acrylate, 2ethylhexyl (meth) acrylate, N, N-dimethylaminomethyl (meth) acrylate, N, N-dimethylaminoethyl (Meth) acrylate, N, N-diethylaminoethyl (meth) acrylate, N, N-diethylaminopropyl (meth) acrylate, N, N-dibenzylaminoethyl (meth) acrylate, lauryl (Meth) acrylate, isobornyl (meth) acrylate, ethylcarbonyl (meth) acrylate, phenoxyethyl (meth) acrylate, phenoxy polyethylene glycol (meth) acrylate, tetrahydrofurfuryl (meth) acrylic Latex, methoxypropylenegly (Meth) acrylate, 2- (meth) acryloyloxyethyl-2-hydroxypropyl phthalate, 2- (meth) acryloyloxyethyl hydrogen terephthalate profile ride rate and the like.

또, 라디칼중합성 불포화기를 가진 다관능단량체로는,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에틸렌옥사이드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폴리에틸렌옥사이드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중합성 관능기를 가진 단량체로는 상기 양이온중합성 관능기를 가진 프리폴리머의 단량체를 쓸 수 있다. Moreover, as a polyfunctional monomer which has a radically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di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tri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and propylene glycol di (meth) acryl Rate, dipropylene glycol (meth) acrylate, neopentyl glycol di (meth) acrylate, 1,6 hexanediol di (meth) acrylate, 1,9-nonanediol di (meth) acrylate, tetra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triprop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bisphenol-A-di (meth) 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 (meth) acrylate, trimethylolpropane ethylene oxide tri (meth) acrylate, penta Erythritol tr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etra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penta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hexa (meth) acrylate As agent, glycerol polyethylene oxide tri (meth) acrylate, tris (meth) acrylate and the like oxyethyl phosphate. As a monomer which has a cationically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the monomer of the prepolymer which has the said cationically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can be used.

상기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는 전자선을 조사하면 충분히 경화되지만, 자외선을 조사해서 경화시킨 경우에는 증감제로서 광중합개시제를 첨가하게 된다. 라디칼중합성 불포화기를 가진 수지계인 경우의 광중합개시제로는,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류, 치옥산톤류,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미히라-벤조일벤조에이트, 미히라-케톤(Michler's ketone), 디페닐설파이드, 디벤질디설파이드, 디에틸옥사이드, 트리페닐비이미다졸(triphenylbiimidazole), 이소프로필-N,N-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 양이온중합성 관능기를 가진수지계인 경우에는, 방향족 디아조늄염, 방향족 술포늄염, 메탈로센화합물, 벤조인술폰산에스테르, 푸릴옥시슬폭소늄디아릴요드실염 등을 단독 또는 혼합물로 해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광중합개시제의 첨가량은 일반적으로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 100중량%에 대해 0.1~10 중량% 정도가 되도록 한다. 또, 이 전리방사선경화형수지를 가지고 보호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예컨대 이 전리방사선경화형수지를 용액화하고서 그라비아코팅법이나 롤코팅법과 같은 공지의 도포법으로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가 있다. 이 경우의 도포량으로는, 고형분으로 약 5~30㎛이 적당하고,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15~25㎛로 되는 것이 좋다.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is sufficiently cured when irradiated with an electron beam, but when cured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ray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s added as a sensitizer. As a photoinitiator in the case of resin type which has a radically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acetophenone, benzophenone, chioxanthone, benzoin, benzoin methyl ether, mihira- benzoyl benzoate, mihira-ketone (Michler's ketone) , Diphenyl sulfide, dibenzyl disulfide, diethyl oxide, triphenylbiimidazole, isopropyl-N, N-dimethylaminobenzoate and the like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In the case of a resin system having a cationically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an aromatic diazonium salt, an aromatic sulfonium salt, a metallocene compound, a benzoin sulfonic acid ester, a furyloxysulfonium diaryl iodide salt, and the like can be used alone or as a mixture. have. In addition, the amount of these photoinitiators added is generally about 0.1 to 10% by weight relative to 100% by weight of the ionizing radiation-curable resin. Moreover, as a method of forming a protective layer with this ionizing radiation hardening resin, it can be formed, for example, by solutionizing this ionizing radiation hardening resin and apply | coating by well-known coating methods, such as a gravure coating method and a roll coating method. As application amount in this case, about 5-30 micrometers is suitable as solid content, More preferably, it is set to 15-25 micrometers.

또,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로 형성된 표면보호층(44)에다 내찰상성과 내마모성을 보다 더 부여하는 경우에는, 분말형상 산화알루미늄, 산화규소, 이산화규소, 티탄산칼슘, 티탄산바륨, 마그네슘파이로보레이트, 산화아연, 질화규소, 산화지르코늄, 산화크롬, 산화철, 질화붕소, 다이아몬드, 금강사, 유리섬유와 같은 연마재를 첨가함으로써 달성되도록 할 수가 있다. 이 연마재의 전리방사선경화형수지 100중량%에 대한 비율은 1~80중량%가 되도록 하는 것이 적당하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further imparting scratch resistance and abrasion resistance to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44 formed of an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powdered aluminum oxide, silicon oxide, silicon dioxide, calcium titanate, barium titanate, magnesium pyroborate, and oxidation It can be achieved by adding abrasives such as zinc, silicon nitride, zirconium oxide, chromium oxide, iron oxide, boron nitride, diamond, diamond steel, and glass fiber. The ratio of the abrasive to 100% by weight of 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is preferably 1 to 80% by weight.

한편, 지금까지는 표면보호층(44)을 화장층(4)의 표면에 형성시키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표면보호층(44)은 화장층(4)의 표면에다 형성시킬 뿐만 아니라,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라이머층(43)과 표면보호층(44)을 형성시키지 않고,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성된 화장층(4"")으로 하고서, 이 화장층(4"")과 합성수지층(3) 및 합판으로 만들어진 기재(2)를 차례로 적층시킨 적층체를 만든 후, 상기 적층체의 표면에 프라이머층(43)과 표면보호층(44)을 형성시켜도 좋다.On the other hand, the formation of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44 on the surface of the cosmetic layer 4 has been described so far, but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44 is not only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smetic layer 4, for example, in FIG.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without forming the primer layer 43 and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44, the makeup layer 4 "" and the synthetic resin 4 "" constituted as shown in FIG. After the laminated body which laminated | stacked the layer 3 and the base material 2 made from plywood in order was made, you may form the primer layer 43 and the surface protection layer 44 on the surface of the said laminated body.

이와 같이 상기 적층체의 표면에 상기 프라이머층(43)과 상기 표면보호층(44)을 형성한 구조가 되도록 함으로써, 통상적으로는 바닥재 적층체에 의장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공정의 최종단계에서 홈이나 모따기부를 절삭가공으로 형성하게 되지만, 도 2~도 4에 도시된 제 1 ~ 제 3 실시예에서는 홈부나 모따기부에 표면보호층(44)이 존재하지 않은 구조로 되어 있으나, 상기와 같이 상기 적층체의 표면에 상기 프라이머층(44)과 상기 표면보호층(44)을 형성시킨 구조가 되도록 함으로써, 화장층(4"")쪽부터 홈부나 모따기부(도시되지 않음)를 형성시킨 다음 홈부나 모따기부(도시되지 않음)를 형성시킨 표면 전체에 프라이머층(43)과 표면보호층(44)을 형성시켜 홈부나 모따기부에도 표면보호층을 형성할 수가 있게 되어, 홈부나 모따기부의 내찰상성, 내마모성, 내오염성, 내수성과 같은 표면물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primer layer 43 and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44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laminate, and thus, in the final step of the process, which usually aims to increase designability of the flooring laminate. Although the groove or the chamfer is formed by cutting,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shown in FIGS. 2 to 4, the surface protection layer 44 does not exist in the groove or the chamfer, but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the primer layer 44 and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44 on the surface of the laminate, grooves or chamfers (not shown) are formed from the side of the makeup layer 4 "". The primer layer 43 and the surface protection layer 44 ar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n which the grooves or chamfers (not shown) are formed, so that the surface protection layer can be formed on the grooves or the chamfers. Scratch resistance It is possible to improve surface properties such as machinability, fouling resistance and water resistance.

또, 홈부나 모따기부에 예컨대 착색도료나, 필요에 따라 내수성을 가진 착색도료를 도포하는 경우에는, 깊이가 있는 홈부나 내수성을 가진 깊이가 있는 홈부가 되게할 수 있고, 홈부의 의장성이나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홈부나 모따기부를 형성하는 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절삭가공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최상표층쪽에서부터 엠보싱가공을 해서 홈부나 모따기부를 형성시켜도 된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pplying, for example, a coloring paint or a water-resistant coloring paint to the groove portion or the chamfered portion, the groove portion having a depth or the groove portion having a depth of water resistance can be formed, and the designability and water resistance of the groove portion can be achieved. It will be possible to improve. 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forming the groove portion or the chamfer por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utting process, and for example, the groove portion or the chamfer portion may be formed by embossing from the top surface layer side.

나무재질기재Wood materials

나무재질기재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회나무, 버드나무, 소나무, 나왕목, 티크, 메라피와 같은 각종 소재로 만들어진 철판, 목재단판, 목재합판, 파티클 보드, 중밀도섬유판(MDF) 등을 들 수 있다. 바닥재에다 적층하는 방법도 어느 한 가지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접착제를 가지고 화장시트를 기재에다 첩착시키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접착제로는 기재의 종류 등에 따라 공지의 접착제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면 좋다, 예를 들어 폴리초산비닐,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ㆍ초산비닐공중합체, 에틸렌ㆍ아크릴산공중합체, 아이오노머(ionomer) 외에, 부타디엔ㆍ아크릴니트릴고무, 네오프렌고무, 천연고무같은 것을 들 수 있다. The wood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iron plate, wood veneer, wood plywood, particle board, medium-density fiber board (MDF)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gingko, willow, pine, lepidoptera, teak, merapi Etc. can be mentioned. The method of laminating to the flooring material is not limited to any one, and for example, a method of adhering a makeup sheet to a substrate with an adhesive may be employed.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select suitably from a well-known adhesive agent according to the kind of base material, etc. For example, butadiene other than polyvinyl acetate, polyvinyl chloride, a vinyl chloride vinyl acetate copolymer, ethylene acrylic acid copolymer, an ionomer, etc. Acrylonitrile rubber, neoprene rubber, natural rubber, and the like.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용 적층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for floor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나무재질 기재 상에 합성수지층과 화장층을 차례로 적층시켜 바닥재용 적층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A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s by sequentially laminating a synthetic resin layer and a makeup layer on a wood substrate,

상기 나무재질 기재 상에 항복점 하중이 9kgf이상, 인장 탄성율이 50kgf/㎟이상, 항복신장률이 3~8%인 상기 합성수지층을 형성하고, 상기 합성수지층 상에 상기 화장층을 형성하고,Forming the synthetic resin layer having a yield point load of 9 kgf or more, a tensile modulus of 50 kgf / mm 2 or more, and a yield extension of 3 to 8% on the wood material base material, and forming the makeup layer on the synthetic resin layer,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에 시행한 내캐스터 시험의 결과는 상기 표면의 함몰깊이가 100㎛이하로서, As a result of the caster test conducted on the surface of the cosmetic layer of the flooring laminate, the depth of depression of the surface was 100 μm or less,

상기 내캐스터 시험은 회전가능한 캐스터 고정재와 이 캐스터 고정재에 부착된 3개의 캐스터, 상기 캐스터 고정대와 접속하도록 된 가중부 및 시료 고정대로 이루어진 내캐스터 시험 장치를 사용하여, The caster test uses a caster test apparatus consisting of a rotatable caster fixture and three casters attached to the caster fixture, a weighting portion and sample holder adapted to contact the caster holder,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를 상기 시료 고정대에 고정하고, Fixing the flooring laminate to the sample holder,

상기 3개의 캐스터를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에 상기 가중부로 가중시켜 접촉하도록 해서, The three caster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weighted portion by weighting the surface of the laminate layer of the flooring material,

상기 캐스터 고정재를 가동시켜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 상으로 상기 3개의 캐스터를 회전시킨 후, Operating the caster fixing member to rotate the three casters onto the cosmetic layer side surface of the flooring laminate;

상기 표면에 발생한 함몰의 깊이를 측정하도록 된 것이고, To measure the depth of depressions occurring on the surface,

상기 캐스터는 평균직경이 75mm, 두께가 25mm인 것이며, The caster is 75mm in average diameter, 25mm in thickness,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에 부여된 가중이 70kg이고, The weight given to the surface of the cosmetic layer side of the 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 is 70 kg,

상기 3개의 캐스터는 20rpm의 속도로 5분마다 반회전되어 1000회 회전하도록 하여 시험함으로써 바닥용 적층체를 제조하게 된다. The three casters are semi-rotated every 5 minutes at a speed of 20 rpm to be rotated 1000 times to produce a floor laminate.

용도Usage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적층체는 건축자재로서, 특히 (화장용) 바닥재로서 이용할 수 있다. The laminate for flo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building material, in particular as a (cosmetic) flooring.

(제 2 실시예)(Second embodiment)

합판 상에 합성수지층과 화장층을 차례로 적층시킨 바닥재용 적층체에서, 상 기 합성수지층이, In the 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 in which a synthetic resin layer and a makeup layer were sequentially laminated on plywood, the synthetic resin layer is

① 침입온도(針入溫度)가 75℃이상, ① Intrusion temperature is over 75 ℃,

② 항복점 하중이 10kgf이상,② Yield point load is more than 10kgf,

③ 인장 탄성율이 100kgf/㎟이상, ③ Tensile modulus is over 100kgf / mm2,

④ 항복 신장율이 4~8%인 바닥재용 적층체(바람직하기로는 화장바닥재)이다. ④ A flooring laminate (preferably a makeup flooring) having a yield elongation of 4-8%.

이 바닥재용 적층체에서의 상기 합성수지층은,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고서, 여기에 주성분보다 침입온도가 높은 폴리에스테르를 부성분으로 첨가시킨 층으로 할 수도 있다.The synthetic resin layer in the 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 may be a layer containing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s a main component and a polyester having a higher penetration temperature than the main component as a subcomponent.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에서의 상기 합성수지층이, 비정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심재층(芯材層)으로 하고서, 상기 심재층의 양면에 그 보다 침입온도가 높은 폴리에스테르층이 적층된 3층구조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에서의 상기 폴리에스테르층은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주성분보다 침입온도가 높은 폴리에스테르를 부성분으로 첨가된 층으로 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ynthetic resin layer in the 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 the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s a core material layer, the polyester layer having a higher penetration temperature on both sides of the core material layer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stacked three-layer structure. Further, the polyester layer in the 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 may be a layer containing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s a main component, and a polyester having a higher penetration temperature than the main component as a subcomponent.

한편,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에서, 상기 합성수지층의 적어도 한 층이 착색 수지층으로 되어도 좋다.In the floor laminate, at least one layer of the synthetic resin layer may be a colored resin layer.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에서, 상기 화장층쪽에 홈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홈이 그 바닥부가 상기 합성수지층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이 바닥재용 적층체에서, 상기 홈의 바닥부가 위치하는 상기 합성수지층이 착색 수지층이 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홈에 직접 도료를 도포할 수 있다.In the flooring laminate, a groove may be formed on the makeup layer side, and the groove may be formed such that its bottom portion is positioned on the synthetic resin layer. Moreover, in this flooring laminated body, the said synthetic resin layer in which the bottom part of the said groove | channel is located can be made into a colored resin layer, and a coating material can be apply | coated directly to the said groove | channel.

또한,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에서, 상기 화장층의 표면에 표면보호층을 형성시킬 수도 있고, 이 바닥재용 적층체의 표면에 표면보호층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Further, in the laminate for flooring, a surface protective layer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keup layer, or a surface protective layer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laminate for flooring.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나무재질의 기재상에 합성수지층과 화장층이 차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바닥재용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고, 이것은 상기 합성수지층이 침입온도가 75℃이상, 항복점 하중이 10kgf이상, 인장 탄성율이 100kgf/㎟이상, 항복 신장율이 4~8%이 되도록 구성된 것이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looring laminate in which a synthetic resin layer and a makeup layer are sequentially laminated on a wooden base material, which means that the synthetic resin layer has an intrusion temperature of 75 ° C. or higher and a yield point. The load is 10kgf or more, the tensile modulus is 100kgf / mm2 or more, and the yield elongation is 4-8%.

상기와 같은 바닥재용 적층체(1)는, 합성수지층의 침입온도가 75℃이상으로 되어, 내열성이 뛰어나 난방수단의 열의 영향으로 바닥재용 적층체의 표면에 주름같은 것이 생겨 의장성이 훼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laminate 1 for flooring has an infiltration temperature of 75 ° C. or more, which is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and wrinkle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laminate for flooring due to the influence of heat of the heating means. It can be effectively improved.

합성수지의 침입온도 측정은 JIS K7196 규정에 기준으로 하는바,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Intrusion temperature measurement of synthetic resin is based on JIS K7196, the contents are as follows.

① 시험편(試驗片)의 표면에 침상의 압자(직경 0.5mm, 길이 1mm 이상의 원주형상)를 수직으로 세워 0.5N의 힘을 가한다.① Place a needle-shaped indenter (circle shape of 0.5 mm in diameter and 1 mm or more in length) vertically on the surface of the specimen and apply 0.5 N force.

② 시험편의 분위기온도를 매분 5℃로 높여, 시험편에 압자(壓子)의 침입이 완료할 때까지 온도와 압자의 변위량을 기록한다.② Raise the atmosphere temperature of the test piece to 5 ° C per minute, and record the temperature and the displacement of the indenter until the indentation is completed.

③ 횡축에는 온도, 종축에는 압자의 변위량을 측정해서 그려진 곡선(TMA 곡선)으로부터 침입온도를 구한다.③ Measure the displacement amount of the indenter on the horizontal axis and the indentation temperature from the curve (TMA curve).

④ 구체적으로는, 상기 TMA 곡선에서 압자가 침입하기 시작했을 때보다도 낮은 온도쪽으로 인지되는 직선부분을 고온쪽으로 연장해서, 침입속도가 최대로 로 이루어진 부분의 접선(接線)의 저온쪽으로 연장된 선과의 교차점을 침입온도(T1)로 한다. (4) Specifically, in the TMA curve, a straight portion that is perceived toward a lower temperature than when the indenter starts to invade extends toward the high temperature side, and a line extending toward the low temperature side of the tangential line of the portion where the penetration rate is maximum. Let the intersection point be the intrusion temperature (T1).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용 적층체의 층구조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아도 좋고, 예를 들어, 도 1 ~ 도 5에서 설명된 것과 같아도 좋다.The layer structure of the flooring laminat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FIGS. 1 to 5, for example.

합성수지층Synthetic Resin Layer

합성수지층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릴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단층 또는 복층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이른바 A-PET(일본국 미쓰비시화학: 노바클리어(상품명)로 불리는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하고서, 이것보다 침입온도가 높은 폴리에스테르로 예컨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릴렌과 같은 수지 중 적어도 한 가지를 부성분으로 첨가한 수지를 단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심재층으로 하고서, 이 심재층의 양면에 그 보다 침입온도가 높은 폴리에스테르인 예컨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릴레이트나, 또는 A-PET를 주성분으로 하고 그 보다 침입온도가 높은 폴리에스테르인 예컨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릴렌와 같은 수지의 적어도 하나를 부성분으로 첨가한 수지 등을 적층시켜 3층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비용면이나 가공성 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합성수지층을 3층구조로 하는 경우에는,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된 심재층의 양면에 형성시킨 수지층은 동일한 수지를 동일한 두께로 형성시키는 것이 비틀림을 방지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The synthetic resin layer may be formed of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 of polyester resins such as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and polyarylat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lyester having a higher penetration temperature than that of A-PET (Japanese Mitsubishi Chemical: Nova Clear (brand name)) is mainly composed of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For example, a resin in which at least one of resins such as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and polyarylene are added as a subcomponent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and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may be formed. As the core layer, a polyester having a higher penetration temperature on both surfaces of the core layer, for exampl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arylate, or A-PET, and having a higher penetration temperature Esters such as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butylene tere It is preferable to laminate a resin in which at least one of resins such as talate and polyarylene are added as a subcomponent, and to form a three-layer structure in consideration of cost, processability, etc. Further, the synthetic resin layer may be a three-layer structure. In this case, the resin layers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core layer made of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re preferable in that forming the same resin with the same thickness prevents twisting.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따른 바닥재용 적층체의 합성수지층 이외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than the synthetic resin layer of the laminate for floorin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3 실시예)(Thir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합성수지층 및 화장층이 적층되어 있는 바닥재용 화장층 시트에서, (1) 이 합성수지층이 단층 또는 2층이상의 층구조를 가지고, (2) a) 단층인 경우에는 이 단층이, b) 2층 이상의 경우에는 이 합성수지층 내의 적어도 최상층이 A-PET 및 PETG를 함유하는 혼합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화장시트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smetic layer sheet for flooring in which a synthetic resin layer and a cosmetic layer are laminated, (1) the synthetic resin layer has a single layer or a layer structure of two or more layers, and (2) a) a single layer. In this single layer, b) in the case of two or more layers, at least the uppermost layer in the synthetic resin layer can provide a floor covering makeup shee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mixed layer containing A-PET and PETG.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바닥재용 화장시트에서 (1) 이 합성수지층이 3층이상의 층구조를 가지고, (2) 적어도 최상층 및 최하층이 A-PET 및 PETG를 함유하는 혼합층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좋다. 또, 상기 바닥재용 화장시트에서 (1) 이 합성수지층이 3층구조로 이루어진 층구조를 가지고, (2) 최상층 및 최하층이 A-PET 및 PETG를 함유하는 혼합층이면서 심재층이 A-PET로 된 층으로 되는 것이 좋다. Preferably, in the flooring decorative sheet, (1) this synthetic resin layer has a layer structure of three or more layers, and (2) at least the uppermost layer and the lowermost layer are composed of a mixed layer containing A-PET and PETG. In addition, in the flooring decorative sheet (1) this synthetic resin layer has a three-layer structure, (2) the top layer and the bottom layer is a mixed layer containing A-PET and PETG while the core layer is A-PET It is good to be layered.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바닥재용 화장시트에서 합성수지층 및 화장층이 우레탄계 접착제층 및/또는 우레탄계 프라이머층을 매개로 적층되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바닥재용 화장시트에서 혼합층이 실질적으로 A-PET 및 PETG의 2가지 성분계통으로 이루어지고서, 양자의 합계 100중량% 중 PETG가 20~90 중량% 함유하도록 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synthetic resin layer and the cosmetic layer in the flooring decorative sheet is to be laminated via a urethane-based adhesive layer and / or a urethane-based primer layer. Preferably, in the flooring decorative sheet, the mixed layer is substantially composed of two component systems of A-PET and PETG, so that 20 to 90% by weight of PETG is included in the total of 100% by weight of both.

또, 상기 바닥재용 화장시트에서, 합성수지층의 두께는 200~600㎛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In addition, in the floor covering sheet,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synthetic resin layer is 200 ~ 600㎛.

마지막으로, 상기 바닥재용 화장시트를 나무재질재료에다 적층시키면 바닥재용 적층체가 만들어지게 된다. Finally, when the floor covering sheet is laminated on a wood material, a floor laminate is made.

층의 구조Layer structure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시트를 도 10을 참조로 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시트의 기본적 층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에서 보면, 바닥재용 시트(101)가 합성수지층(103) 및 화장층(104)이 적층되어 이루어져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또, 도 10에서 보면, 이 바닥재용 시트(101)가 나무재질의 기재(102) 상에 적층되어,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적층체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는 것도 이해할 수 있다. Next, the flooring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asic layer configuration of the flooring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t can be easily understood that the flooring sheet 101 is formed by laminating the synthetic resin layer 103 and the makeup layer 104. 10, it can also be understood that this floor covering sheet 101 is laminated on a wooden substrate 102 to form a laminate for flo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시트(101)를 도 11을 가지고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시트를 구성하는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 구성은, 합성수지층(103) 상에 접착제층(104)과 프라이머층(105), 기재층(106), 무늬층(107), 접착제층(108), 투명성수지층(109), 프라이머층(110) 및 표면보호층(111)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갖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표면보호층(111)쪽에서부터 엠보싱가공(133)이 시행되어 요철형상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 합성수지층(103)은 그 최상층이 A-PET와 PETG(121)로 구성되고, 심재층은 A-PET(122)로 구성되며, 최하층은 A-PET와 PETG(123)로 구성된다. Next, the flooring sheet 1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1.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configuring the flooring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configuration comprises an adhesive layer 104, a primer layer 105, a base material layer 106, a pattern layer 107, an adhesive layer 108, a transparent resin layer 109, a primer layer on the synthetic resin layer 103. The 110 and the surface protection layer 111 are laminated in order. Then, embossing 133 is performed from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111 to form an uneven shape. In addition, the synthetic resin layer 103, the uppermost layer is composed of A-PET and PETG 121, the core material layer is composed of A-PET 122, the lowermost layer is composed of A-PET and PETG (123).

합성수지층Synthetic Resin Layer

본 발명에 다른 바닥재용 시트는 특히 그 합성수지층이 1층(단층) 또는 2층 이상의 층구조를 갖고, 그 최상층이 A-PET 및 PETG를 함유하는 혼합층으로 되어 있다. 즉, 단층인 경우에는 이 단층에, 2층 이상인 경우에는 가장 화장층과 가까운 층이 상기 혼합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최상층은 접착제층 및/또는 프라이머층을 매개로 화장층에 적층시켜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 최상층을 상기 혼합층으로 함으로써 화장층과의 접착성을 한층 높여줄 수가 있게 된다. 단층인 경우에는 이 단층이 혼합층으로 된다. In particular, the flooring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xed layer in which the synthetic resin layer has one layer (single layer) or two or more layers, and the uppermost layer contains A-PET and PETG. That is, in the case of a single layer, in this single layer, when it is two or more layers, it is good that the layer closest to a makeup layer consists of the said mixed layer. The uppermost layer is to be laminated to the cosmetic layer through the adhesive layer and / or primer layer. In the present invention, by making the uppermost layer the mixed layer, the adhesiveness with the cosmetic layer can be further enhanced. In the case of a single layer, this single layer becomes a mixed layer.

합성수지층은 상기와 같이 단층이어도 좋고 2층이상으로 되어도 좋다. 2층이상인 경우에는 그 적층방법을 예컨대 압출법와 같은 공지의 방법으로 적층시키면 좋다. As described above, the synthetic resin layer may be a single layer or may be two or more layers. In the case of two or more layers, the lamination method may be laminated by a known method such as an extrusion metho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시트에서 3층이상의 층구조를 갖도록 한 경우에는, 적어도 최상층 및 최하층이 A-PET 및 PETG를 함유하는 혼합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그것에 의하여, 화장층과의 접착성 뿐만 아니라, 합성수지층과 바닥재의 접착성도 높일 수 있게 된다. 최상층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화장층에 가장 가까운 층이다. 최하층은, 적층된 나무재질 재료와 가장 가까운 층(즉, 본 발명 바닥재용 시트의 뒷면을 이루는 층을 말한다. In addition, when the flooring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ayer structure of three or more layers,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the uppermost layer and the lowermost layer consist of a mixed layer containing A-PET and PETG. Thereby, not only the adhesiveness with a makeup layer, but also the adhesiveness of a synthetic resin layer and a flooring material can be improved. The uppermost layer is the layer closest to the makeup layer as described above. The lowermost layer refers to the layer which is closest to the laminated wood material (ie, the back layer of the flooring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예컨대 (1) 상기 합성수지층이 3층으로 이루어진 층구조를 갖고, (2) 최상층 및 최하층이 A-PET 및 PETG를 함유한 혼합층이면서 심재층이 A-PET로 이루어진 층인 바닥재용 시트를 들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1) the synthetic resin layer has a three-layered layer structure, (2) the upper and lower layers are a mixed layer containing A-PET and PETG, while the core layer is A-PET. The flooring sheet which is a layer which consists of these is mentioned.

본 발명에 따른 시트에서의 혼합층은, A-PET 및 PETG를 함유하고, 이들은 공지의 시제품을 사용하면 된다. A-PET 로는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라면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시판되는 A-PET와 같은 것도 적합하다. PETG는 에틸렌글리콜의 일부를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로 치환시킨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로서 예컨대 시판품인 「PETG6763」(이스트만 케미컬 제품)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mixed layer in th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PET and PETG, and these may use known prototypes. As A-PET, if it is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it will not specifically limit, For example, a thing like commercially available A-PET is also suitable. PETG can use commercially available "PETG6763" (Eastman Chemicals) etc. as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olymer which substituted a part of ethylene glycol with 1, 4- cyclohexane dimethanol.

혼합층에는 다른 수지성분이 함유되어도 좋다. 그 예로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릴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A-PET 및 PETG로 이루어진 2성분계의 혼합층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성분계의 경우에도, 폴리에스테르 수지 이외의 다른 첨가제가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The other resin component may be contained in the mixed layer. Examples thereof include polyester resins such as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and polyarylate. In this invention,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o set it as the two-component mixed layer which consists of A-PET and PETG. Also in the case of a two-component system, other additives other than polyester resin may contain.

혼합층 중의 A-PET 및 PETG의 함유량은, 각성분의 그레이드, 본 발명의 시트의 사용조건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시트에서는 상기 2성분계에서의 A-PET 및 PETG의 합계 100중량% 중 PETG가 20~90중량%,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40~60중량%로 하는 것이 좋다Content of A-PET and PETG in a mixed layer can be suitably set according to the grade of each component, the use conditions of the sheet of this invention, etc. In the sheet for flo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TG is preferably 20 to 90% by weight, more preferably 40 to 60% by weight, in the total 100% by weight of A-PET and PETG in the two-component system.

본 발명의 시트의 합성수지층의 두께(2층이상인 경우에는 합계의 두께)는 한정되지는 않지만, 내캐스터성과 내찰상성 등을 고려하면 200㎛이상, 바람직하기로는 200~600㎛정도로 하면 좋다. 2층이상인 경우의 각층의 두께, 각층의 성분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Although the thickness (the total thickness in the case of two or more layers) of the synthetic resin layer of th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 thickness may be 200 µm or more, preferably 200 to 600 µm, in consideration of cast resistance and scratch resistance. It can determine suitably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each layer in the case of two or more layers, the component of each layer, etc.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합성수지층과, 그 위에 형성되어 있는 화장층으로 이루어진 바닥재용 시트에서,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flooring sheet consisting of a synthetic resin layer and a cosmetic layer formed thereon,

상기 합성수지층이 단층 또는 2층이상의 층구조를 갖되, The synthetic resin layer has a single layer or two or more layers of structure,

상기 합성수지층이 단층인 경우에는 상기 단층이, 상기 합성수지층이 2층이상인 경우에는 그 중 적어도 1층이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에 의해 형성되고, When the synthetic resin layer is a single layer, the single layer, when the synthetic resin layer is two or more layers, at least one of them is formed of an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olymer,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는 에틸렌글리콜의 일부가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로 치환된 바닥재용 시트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olymer may provide a flooring sheet in which a part of ethylene glycol is substituted with 1,4-cyclohexanedimethanol.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합성수지층이 3층이상의 층구조를 갖고서, 이 3층이상 층구조의 최상층과 최하층이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로 형성되고,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nthetic resin layer has a layer structure of three or more layers, and the uppermost layer and the lowest layer of the three or more layer structures are formed of an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olymer,

상기 폴리에틸렌 공중합체가 에틸렌글리콜의 일부를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로 치환시킨 바닥용 시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The polyethylene copolymer can provide a floor sheet in which a part of ethylene glycol is substituted with 1,4-cyclohexanedimethanol.

그리고, 상기 최상층과 상기 최하층 사이에 낀 심재층이,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바닥재용 시트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ore layer sandwiched between the uppermost layer and the lowermost layer may be provided with a flooring sheet made of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가, 상기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의 총중량에 대해 20~90중량% 함유된 바닥재용 시트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olym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looring sheet containing 20 to 9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olymer.

화장층A cremation layer

본 발명 시트의 화장층은, 공지의 화장층과 같은 구조로 되어도 좋고, 예컨 대 다음에 설명되는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제 1실예서 설명한 것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도 좋다.The makeup layer of th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a known makeup layer, and for example, the structure described below may be adopted. If necessary,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접착제층Adhesive layer

접착제층은 공지의 시판되는 접착제 중에서 무늬층 또는 제 2 투명성 수지층을 구성하는 성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그 예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외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가 있다. An adhesive layer can be suitably selected from the well-known commercial adhesives according to the component which comprises a pattern layer or a 2nd transparent resin layer, etc., For example, In addition to polyolefin resins, such as polyethylene and a polypropylene, polyester resin, polyurethane resin, There is a thermosetting resin such as an epoxy resin.

그 중에서도 본 발명에서는, 내열성 등을 더 높여줄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레탄계 수지로 된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우레탄계 수지접착제로는, 폴리올을 주제로 하고 이소시아네이트를 가소제(경화제)로 하는 2액경화형 우레탄수지를 들 수 있다. Among them, in the present invention, an adhesive made of a urethane resin is preferable in that the heat resistance and the like can be further improved. Examples of the urethane-based resin adhesives include two-liquid curable urethane resins based on polyols and using isocyanates as plasticizers (curing agents).

상기 폴리올로서는, 분자 중 2개이상의 수산기를 가진 것으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아크릴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텔폴리올,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와 같은 것이 쓰여지게 된다. As said polyol, what has two or more hydroxyl groups in a molecule, For example, polyethyleneglycol, polypropylene glycol, an acryl polyol, polyester polyol, polyether polyol, polycarbonate polyol, etc. are used.

또,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로는,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진 다가(多價)이소시아네이트가 쓰여진다. 예를 들어,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키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류,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보론디시아네이트, 수소첨가 톨린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첨가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지방족(내지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가 쓰여지게 된다. 또, 상기 각종 이소시아네이트의 부가체 또는 다량체를 이용할 수도 있는바, 예컨대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부가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3량체 등을 들 수 있다.Moreover, as said isocyanate, the polyhydric isocyanate which has two or more isocyanate groups is used in a molecule | numerator. For example, aromatic isocyanates such as 2,4-tolylene diisocyanate, xylene diisocyanate, 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hexamethylene diisocyanate, isoborone dicyanate, hydrogenated tolylene diisocyanate, hydrogen Aliphatic (or alicyclic) isocyanates such as added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are used. Moreover, the adduct or multimer of the said various isocyanate can also be used, For example, the adduct of tolylene diisocyanate, the trimer of tolylene diisocyanate, etc. are mentioned.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접착면에 코로나방전처리, 플라즈마처리, 탈지처리, 표면조면화처리와 같은 공지의 쉬운 접착처리를 시행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f necessary, known adhesive treatment such as corona discharge treatment, plasma treatment, degreasing treatment, and surface roughening treatment may be applied to the adhesive surface.

접착방법으로는, 이용하는 접착제의 종류 등에 대응해서 공지의 방법에 따라 실시하면 좋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써서, 용융압출법(extrusion coating method)로 무늬층 상에 바르는 방법,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에 이소시아네이트, 아미노와 같은 가교제,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하이드로퍼옥사이드, 아자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과 같은 중합개시제, 나프텐산코발트, 디메틸아닐린과 같은 중첩촉진제 등을 필요에 따라 첨가한 접착제를 발라 드라이라미네이트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열압착될 수 있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열압착으로 무늬층과 투명성수지층을 적층할 수도 있다.What is necessary is just to perform according to a well-known method corresponding to the kind of adhesive agent etc. which are used as an adhesion method. For example, isocyanate to a thermosetting resin such as a polyolefin resin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and the like on a pattern layer by an extrusion coating method, a polyester resin, a polyurethane resin, an epoxy resin, A method of dry laminating by applying a crosslinking agent such as amino, methyl ethyl ketone peroxide, hydroperoxide, a polymerization initiator such as azabisisobutyronitrile, a superposition accelerator such as cobalt naphthenate, dimethylaniline, etc. Can be adopted.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tern layer and the transparent resin layer may be laminated by thermocompression bonding using a thermocompressable adhesive.

한편,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코로나방전처리, 플라즈마처리, 탈지처리, 표면조면화처리와 같은 공지의 쉬운 접착처리를 접착면에다 시행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f necessary, known easy adhesion treatments such as corona discharge treatment, plasma treatment, degreasing treatment, and surface roughening treatment may be performed on the adhesive surface.

접착제층의 두께는, 투명성 보호층이나 사용하는 접착제의 종류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적으로 0.1~30㎛ 정도가 되도록 하면 된다.Although the thickness of an adhesive bond layer changes with kinds of a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the adhesive agent used, etc.,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normally be about 0.1-30 micrometers.

프라이머층Primer layer

프라이머층은, 기재층 또는 투명수지층의 표면접착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이에 쓰여지는 수지로는 에스테르수지, 우레탄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염화비닐초산비닐공중합체, 폴리비닐부티랄수지, 니트로셀룰로스수지와 같은 것을 들 수가 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 내지 혼합시킨 도료조성물 또는 잉크조성물로 하고서 롤코팅법이나 그라비아 인쇄법과 같은 적절한 도포수단을 써서 형성시킬 수가 있다.The primer layer is for enhancing the surface adhesion of the base layer or the transparent resin layer, and the resin used therein is ester resin, urethane resin, acrylic resin, polycarbonate resin, vinyl chloride acetate vinyl copolymer, polyvinyl buty Examples thereof include ral resin and nitro cellulose resin. These resins may be formed alone or in a mixed paint composition or ink composition using appropriate coating means such as a roll coating method or a gravure printing method.

기재층Substrate layer

기재층은 박지나 상질지, 크라프트지, 화지, 티탄지, 수지함침지, 지간강화지와 같은 종이, 나무재질섬유, 유리섬유, 석면, 폴리에스테르섬유, 비닐론섬유, 레이온섬유와 같은 섬유로 된 직포나 부직포, 또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과 같은 합성수지제 시트 등의 1종 내지 2종 이상의 적층체를 쓸 수가 있고, 그 두께로는 약 20~300㎛가 적당하다. 또, 상기 화장층으로 쓰이는 상기 화장용 기재는 필요에 따라 필요한 층에다 안료 등을 첨가시켜 착색을 하여도 좋고, 필요한 쪽 면에다 코로나방전처리, 플라즈마처리, 오존처리와 같은 쉬운 접착처리를 하여도 좋다.The base layer is a woven fabric made of fibers such as foil or fine paper, kraft paper, paper, titanium paper, resin impregnated paper, paper such as paper reinforced paper, wood fiber, glass fiber, asbestos, polyester fiber, vinylon fiber, and rayon fiber. B) non-woven fabrics, or one or two or more kinds of laminates such as polyolefin, polyester, polyacryl, polyamide, polyurethane, and polystyrene sheets such as polystyrene can be used, and a thickness of about 20 to 300 μm is suitable. Do. In addition, the cosmetic substrate used as the cosmetic layer may be colored by adding a pigment or the like to the required layer as necessary, or may be subjected to easy adhesion treatment such as corona discharge treatment, plasma treatment, and ozone treatment on the required surface. good.

무늬층Pattern

무늬층은 무늬잉크층 및 베타잉크층으로 이루어진다. 이것들은 일반적으로 그라비아 인쇄, 오프세트 인쇄, 실크스크린 인쇄와 같은 공지의 인쇄법으로 잉크를 가지고 형성할 수가 있다. 무늬잉크층은 예컨대 나뭇결모양, 돌결모양, 옷감결 모양, 피문모양, 기하학모양, 문자, 기호, 선그림, 각종 추상적 모양의 무늬를 이루게 된다. 한편 베타잉크층은 은폐성을 가진 착색잉크로 베타인쇄를 한 층이다. 그 실시예로는 무늬잉크층 및 베타잉크층 양쪽에 형성하거나 어느 한 쪽에 형성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The pattern layer is composed of a pattern ink layer and a beta ink layer. These can generally be formed with inks by known printing methods such as gravure printing, offset printing and silkscreen printing. The patterned ink layer is formed of, for example, wood grain, stone grain, cloth texture, bloody pattern, geometry, characters, symbols, line drawings, and various abstract shapes. On the other hand, the beta ink layer is a layer beta-printed with a concealable coloring ink. The embodiment may be formed on both the pattern ink layer and the beta ink layer, or may be configured to be formed on either side.

무늬층에 쓰여지는 잉크로는 비히클로서, 염소화폴리에틸렌, 염소화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염소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 폴리초산비닐,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셀룰로스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을 1종 내지 2종 이상 혼합해서 이용하고, 여기에 도료와 용제, 각종 보조제 등을 첨가하여 잉크화한 것을 쓸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환경문제나 피인쇄면과의 접착성 등을 고려하여, 폴리에스테르,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로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 폴리아미드계 수지와 같은 1종 내지 2종 이상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 와이핑잉크에 대해서도 앞에서 설명한 무늬층에 사용되는 잉크와 같은 잉크로 형성할 수가 있다.The ink used for the pattern layer is a vehicle, which is a chlorinated polyolefin such as chlorinated polyethylene or chlorinated polypropylene, polyester, polyurethane composed of isocyanate and polyol, polyacrylic, polyvinyl acetate, polyvinyl chloride, vinyl chloride vinyl copolymer , A cellulose resin, a polyamide resin, or the like may be used by mixing one or two or more kinds thereof, and an ink obtained by adding a coating material, a solvent, various auxiliary agents, and the like may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adhesion to the printed surface, a mixture of one or two or more such as polyurethane, polyacryl, and polyamide-based resin consisting of polyester, isocyanate and polyol was used. . Also, the wiping ink can be formed with the same ink as the ink used for the pattern layer described above.

투명수지층Transparent resin layer

투명성 수지층은 투명성을 가진 것이라면 어느 한 가지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면 된다.The transparency resin layer is not limited to any one as long as it has transparency, for example, one formed of a thermoplastic resin may be used.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질이거나 반경질 또는 경질의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ㆍ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ㆍ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ㆍ아크릴산에스텔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가 있다. 이들 중에서도 본 발명에서는 특히 제 2 투명성 수지층으로서 폴리프로필렌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soft, semi-rigid or hard polyvinyl chlorid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amide, polyethylene, polypropylen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ethylene acrylic acid copolymer, ethylene acrylic acid An ester copolymer, ionomer, acrylic acid ester, methacrylic acid ester, etc. are mentioned. Among these, in this invention,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o use polyolefin resin like polypropylene as 2nd transparency resin layer.

투명성 수지층은 필요에 따라 착색을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에다 착색재(도료나 염료)를 첨가시켜 착색할 수 있다. 착색재로는 상기 착색반투명층으로 예시되어진 도료나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할 수가 있다. 또, 착색재의 첨가량도 소망하는 색상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The transparency resin layer may be colored as necessary. In this case, coloring can be performed by adding a coloring material (paint or dye) to the thermoplastic resin as described above. As a coloring material, the paint and dye illustrated by the said colored semitransparent layer can be used. These can select 1 type, or 2 or more types. Moreover,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set suitably also the addition amount of a coloring material according to a desired color etc.

투명성 수지층에는, 필요에 따라 충전제, 탈염제, 발포제, 난연제(難燃劑), 활제(滑劑), 대전방지제,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광안정화제(光安定化劑), 라디칼보촉제(補促劑), 경질성분(예컨대 고무)과 같은 각종 첨가제가 함유되어도 좋다.In the transparent resin layer, a filler, a desalting agent, a foaming agent, a flame retardant, a lubricant, an antistatic agent, an antioxidant, an ultraviolet absorber, a light stabilizer, and a radical stiffener (if necessary) Vi) and various additives such as hard components (such as rubber) may be contained.

표면보호층Surface protective layer

표면보호층은 바닥재용 시트에 요구되는 내찰상성과 내마모성, 내수성, 내오염성와 같은 표면물성을 부여하기 위해 형성하게 된다. 그 표면보호층을 형성시키는 수지로는, 열경화형수지 또는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와 같은 경화형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특히, 표면이 단단하고 생산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is formed to give surface properties such as scratch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water resistance, and stain resistance required for the flooring sheet. As resin which forms this surface protection layer, it is suitable to use curable resin like thermosetting resin or ionizing radiation hardening resin. In particular,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an ionizing radiation-curable resin because the surface is hard and the productivity is excellent.

열경화형수지로는 예컨대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수지(2액경화형 폴리우레탄도 포함), 에폭시수지, 아미노알키드 수지, 페놀수지, 요소수지, 디아릴프탈레이트 수지, 멜라민 수지, 구아나민 수지, 멜라민-요소 공축합수지, 규소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Thermosetting resins include, for example, unsaturated polyester resins, polyurethane resins (including two-component curable polyurethanes), epoxy resins, amino alkyd resins, phenol resins, urea resins, diaryl phthalate resins, melamine resins, guanamine resins, melamines, and the like. Urea co-condensation resins, silicon resins, polysiloxane resins, and the like.

상기 수지에는 필요에 따라 가소제나 중합개시제와 같은 경화제, 중합촉진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예컨대 경화제로는 이소시아네이트나 유기술폰산염와 같은 것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나 폴리우레탄수지 등에 첨가하고, 유기아민와 같은 것을 에폭시수지에 첨가하고,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와 같은 과산화물이나 아조이소부틸니트릴와 같은 라디칼 개시제를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첨가할 수 있다. If necessary, a curing agent such as a plasticizer or a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 polymerization accelerator may be added to the resin. For example, as a curing agent, an isocyanate or an organic sulfonate is added to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or a polyurethane resin, an organic amine is added to an epoxy resin, and a peroxide such as methyl ethyl ketone peroxide or a radical initiator such as azoisobutyl nitrile is added. It can be added to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상기 열경화형수지로 표면보호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는, 예컨대 앞에서 설명한 열경화형수지를 용액으로 만들어 그 용액을 롤코팅법이나 그라비아코팅법와 같은 공지의 도포법으로 도포하고서 건조하고 경화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용액의 도포량으로는, 고형분으로 약 5~30㎛가 적당한바, 바람직하기는 15~25㎛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As a method of forming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with the thermosetting resin, for example, a method of making the thermosetting resin described above into a solution, applying the solution by a known coating method such as a roll coating method or a gravure coating method, and drying and curing the resin may be used. Can be. As application amount of the said solution, about 5-30 micrometers is suitable as solid content, Preferably it is good to set it as 15-25 micrometers.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로는, 전리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가교중합반응을 일으켜 3차원의 고분자구조로 변화하는 수지라면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리방사선은 전자파 또는 하전입자선 중에서 분자를 중합하고 가교해서 얻어지는 에너지양자(量子)를 가진것을 의미하고, 그 예로서는 가시광선이나 자외선(근자외선, 진공자외선 등), X선, 전자선, 이온선와 같은 것이 있고, 그 중 특히 자외선과 전자선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원으로는 초고압수은등과 고압수은등, 저압수은등, 카본아크등, 블랙라이트 형광등, 메탈할라이드램프과 같은 광원을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의 파장으로는 190~380㎚ 정도의 파장역을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전자선원으로는 예컨대 콕크로프트왈톤(Cockcroft-Walton)형, 반데그라프트형, 공진변압기형, 색녹코어변압기형, 또는 직선형, 다이나미트론형, 고주파형과 같은 각종 전자선 가속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용하는 전자선으로는 일반적으로는 100~1000keV 정도, 바람직하기는 100~300keV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전자선의 조사량은 통상 2~15Mrad 정도면 된다.The ionizing radiation-curable resin is not limited to any resin as long as it undergoes a crosslinking polymerization reaction by irradiating ionizing radiation and changes to a three-dimensional polymer structure. Ionizing radiation means having an energy quantum obtained by polymerizing and crosslinking a molecule among electromagnetic waves or charged particle beams,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visible rays, ultraviolet rays (near ultraviolet rays, vacuum ultraviolet rays, etc.), X rays, electron rays, and ion rays. Some of them are particularly preferable to use ultraviolet rays and electron beams. Ultraviolet light sources include ultra high pressure mercury lamps, high pressure mercury lamps, low pressure mercury lamps, carbon arc lamps, black light fluorescent lamps, and metal halide lamps. As wavelength of an ultraviolet-ray, the wavelength range of about 190-380 nm can be used. As the electron beam source, various electron beam accelerators such as Cockcroft-Walton type, vandegraft type, resonant transformer type, color rust core transformer type, or linear type, dynamtron type, and high frequency type can be used. Generally as an electron beam to be used, about 100-1000 keV, Preferably it is 100-300 keV. The irradiation amount of an electron beam should just be about 2-15 Mrad normally.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는, 분자 중에 (메타)아크릴로일기,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와 같은 라디칼중합성 불포화기, 또는 에폭시기와 같은 양이온중합성 관능기를 가진 단량체, 프리폴리머 또는 폴리머(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화합물이라 함)로 이루어진다. 이들 단량체, 프리폴리머 및 폴리머는 단체로 쓰이게 되지만, 여러 가지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메타)아크릴레이트라 함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의미로 사용된다. The ionizing radiation-curable resin is a monomer, prepolymer or polymer having a radical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such as a (meth) acryloyl group, a (meth) acryloyloxy group, or a cationically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such as an epoxy group in the molecule (hereinafter, Compound). These monomers, prepolymers and polymers are used singly, but various mixtures may be used.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eth) acrylate is used in the meaning of acrylate or methacrylate.

라디칼중합성 불포화기를 가진 프리폴리머로는,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멜라민(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아진(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프리폴리머는 통상적으로 분자량이 10000정도 이하의 것을 사용한다. 분자량이 10000을 초과하면 경화된 수지층의 내찰상성, 내마모성, 내약품성, 내열성과 같은 표면물성이 부족하게 된다. 상기 아크릴레이트와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더불어 사용할 수는 있지만, 전리방사선으로서의 가교경화속도라는 점에서 아크릴레이트의 쪽이 빠르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단시간에 능률적으로 경화시킨다고 하는 목적에서는 아크릴레이트 쪽이 유리하다.Examples of the prepolymer having a radical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include polyester (meth) acrylate, urethane (meth) acrylate, epoxy (meth) acrylate, melamine (meth) acrylate, triazine (meth) acrylate, and polyvinylpi A ralidone etc. are mentioned. These prepolymers generally have a molecular weight of about 10,000 or less. When the molecular weight exceeds 10000, surface properties such as scratch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of the cured resin layer are insufficient. Although acrylate and methacrylate can be used together, acrylate is faster in terms of crosslinking curing rate as ionizing radiation, and thus acrylate is advantageous for the purpose of curing at high speed and efficiently in a short time.

양이온중합성관능기를 가진 프리폴리머로는, 비스페놀형에폭시 수지, 노볼락형에폭시 수지, 지환형(脂環型)에폭시 수지와 같은 에폭시계 수지, 지방족계 비닐에테르, 방향족계 비닐에테르, 우레탄계 비닐에테르, 에스텔계 비닐에테르과 같은 비닐에테르계 수지, 환위에테르화합물, 스피로화합물과 같은 프리폴리머를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prepolymer having a cationic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include epoxy resins such as bisphenol-type epoxy resins, novolac-type epoxy resins and alicyclic epoxy resins, aliphatic vinyl ethers, aromatic vinyl ethers, urethane-based vinyl ethers, And prepolymers such as vinyl ether resins such as ester-based vinyl ethers, ring ether compounds, and spiro compounds.

라디칼중합성불포화기를 가진단량체로는 예컨대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의 단관능단량체로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 N-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 N-디에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 N-디벤질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카르비톨(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2-히드록시프로필프탈레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하이드로겐테레탈레이트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Monomers having a radical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include, for example, methyl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butyl (meth) acrylate and methoxyethyl (meth) acrylate as monofunctional monomers of (meth) acrylate compounds. , Methoxybutyl (meth) acrylate, butoxyethyl (meth) acrylate, 2ethylhexyl (meth) acrylate, N, N-dimethylaminomethyl (meth) acrylate, N, N-dimethylaminoethyl (meth ) Acrylate, N, N-diethylaminoethyl (meth) acrylate, N, N-diethylaminopropyl (meth) acrylate, N, N-dibenzylaminoethyl (meth) acrylate, lauryl (meth ) Acrylate, isobonyl (meth) acrylate, ethyl carbitol (meth) acrylate, phenoxyethyl (meth) acrylate, phenoxy polyethylene glycol (meth) acrylate, tetrahydrofurfuryl (meth) acrylate, Methoxypropylene Glycol (meth) may be mentioned, such as acrylate, 2- (meth) acryloyloxyethyl-2-hydroxypropyl phthalate, 2- (meth) acryloyl yl oxy propyl hydrogen terephthalate to de-rate.

또, 라디칼중합성 불포화기를 가진다관능단량체로는 예컨대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에틸렌옥사이드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폴리에틸렌옥사이드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양이온중합성 관능기를 가진 단량체는 상기 양이온중합성 관능기를 가진 프리폴리머의 단량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Moreover, as a functional monomer which has a radically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for example, 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di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tri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and prop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 Dipropylene glycol (meth) acrylate, neopentyl glycol di (meth) acrylate, 1,6 hexanediol di (meth) acrylate, 1,9-nonanediol di (meth) acrylate, tetraethylene glycol di ( Meta) acrylate, triprop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bisphenol-A-di (meth) 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 (meth) acrylate, trimethylolpropane ethylene oxide tr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etra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penta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hexa (meth) a A relay agent, glycerol polyethylene oxide tri (meth) acrylate, tris (meth) acrylate may be mentioned, such as oxyethyl phosphate. As the monomer having a cationically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a monomer of the prepolymer having the cationically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may be used.

상기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는 전자선을 조사하면 충분히 경화되기는 하지만, 자외선을 조사해서 경화시키는 경우에는 증감제로서 광중합개시제를 첨가하게 된다. 라디칼중합성 불포화기를 가진 수지계인 경우의 광중합개시제로는, 예컨대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류, 치옥산톤류, 벤조인, 벤조인메틸에, 미히라-벤조일벤조에이트, 미히라-케톤, 디페닐설파이드, 디벤질디설파이드, 디에틸옥사이드, 트리페닐비이미다졸, 이소프로필-N,N-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 양이온중합성 관능기를 가진수지계인 경우에는, 예컨대 방향족 디아조늄염, 방향족 술포늄염, 메탈로센 화합물, 벤조인술폰산에스텔, 푸릴옥시술폭소늄디아릴요드실염 등을 단독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is sufficiently cured when irradiated with an electron beam. However, when cured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ray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s added as a sensitizer. As a photoinitiator in the case of resin system which has a radically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for example, acetophenones, benzophenones, chioxanthones, benzoin, benzoin methyl, mihira- benzoyl benzoate, mihira- ketone, diphenyl Sulphide, dibenzyl disulfide, diethyl oxide, triphenylbiimidazole, isopropyl-N, N-dimethylaminobenzoate and the like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In the case of a resin system having a cationically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for example, aromatic diazonium salts, aromatic sulfonium salts, metallocene compounds, benzoin sulfonic acid esters, furyloxysulfonium diaryl iodide salts and the like can be used alone or as a mixture. have.

광중합개시제의 첨가량은 특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 100중량%당 0.1~10중량% 정도가 되도록 하면 좋다. Although the addition amount of a photoinitiator is not specifically limited, Generally,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be about 0.1 to 10 weight% per 100 weight% of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s.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로 보호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는, 예컨대 전리방사선경화형수지를 용액으로 만들어 이 용액을 그라비아코팅법이나 롤코팅법와 같은 주지의 도포법으로 도포하면 된다. 이 경우의 도포량으로는, 고형분으로 약 5~30㎛가 되도록 하면 되고, 보다 바람직하기는 15~25㎛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As a method of forming a protective layer from an ionizing radiation hardening type resin,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make an ionizing radiation hardening resin into a solution, and apply this solution by well-known coating methods, such as the gravure coating method and the roll coating method. In this case,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set it as about 5-30 micrometers by solid content, and it is good to set it as 15-25 micrometers more preferably.

또,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로 형성된 표면보호층(11)에다 한층 더 내찰상성 과 내마모성을 부여하려면, 필요에 따라 무기충전제를 배합할 수도 있는바, 그 예로서는 분말상의 산화알루미늄, 산화규소, 이산화규소, 티탄산칼슘, 티탄산바륨, 마그네슘파이로보레이트, 산화아연, 질화규소, 산화지르코늄, 산화크롬, 산화철, 질화붕소, 다이아몬드, 금강사, 유리섬유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Further, in order to impart further scratch resistance and wear resistance to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11 formed of an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an inorganic filler may be blended as necessary. Examples thereof include powdered aluminum oxide, silicon oxide, silicon dioxide, Examples thereof include calcium titanate, barium titanate, magnesium pyroborate, zinc oxide, silicon nitride, zirconium oxide, chromium oxide, iron oxide, boron nitride, diamond, diamond steel, and glass fiber.

무기충전재의 사용량은 한정적이지는 않지만, 통상적으로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 100 중량%에 대해 1 ~ 80 중량% 정도로 하면 된다. The amount of the inorganic filler to be used is not limited, but is usually about 1 to 80% by weight relative to 100% by weight of the ionizing radiation-curable resin.

각 층의 적층방법Stacking method of each layer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각 층의 적층방법은 어느 한 가지로 한정되지 않고, 접착제 등에 따른 접착이나 라미네이트와 같은 각종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특히, 합성수지층과 화장층은 우레탄계 접착제층 및/또는 우레탄계 프라이머층을 매개로 해서 적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층의 적층은 통상적인 순으로 실시하면 된다. 예를 들어, 도 11을 이용해서 설명하자면, 착색된 기재층(106)의 한쪽 면에 무늬층(107)을 차례로 인쇄하여 형성시킨 후 이 무늬층(107) 상에 2액경화형 우레탄수지와 같은 공지의 드라이라미네이션용 접착제로 된 접착제층(108)을 매개로 투명성 수지층(109)를 공지의 드라이라미네이션법이나 T다이압출법 등으로 적층하고 나서, 이 투명성 수지층(109) 전체에 프라이머층(110)을 형성시킨 다음, 그 위에 표면보호층(111)을 형성시키면 된다.The lamination method of each layer of th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ny one, and various methods such as adhesion or laminate according to an adhesive or the like can be adopted. In particular, the synthetic resin layer and the makeup layer are preferably laminated through a urethane adhesive layer and / or a urethane primer layer.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perform lamination | stacking of each layer in a normal order.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1, a pattern layer 107 is printed on one side of a colored substrate layer 106 in order, and then formed on the pattern layer 107 such as a two-liquid curable urethane resin. The transparent resin layer 109 is laminated by a known dry lamination method, a T-die extrusion method, or the like through the adhesive layer 108 made of a known dry lamination adhesive, and then a primer layer on the entire transparent resin layer 109. After forming (110), the surface protection layer 111 may be formed thereon.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표면보호층(111)쪽에다 엠보싱가공을 함으로써 요철모양을 형성시킬 수 있는바, 그 요철모양은 가열프레스나 헤어라인가공 등으로 형성시키면 된다. 상기 요철모양으로는 예컨대 도관홈, 석판표면요철, 직포표면텍스쳐, 배껍질모양, 모래무늬, 헤아라인, 만선조형 홈 등을 들 수 있다. If necessary, irregularities can be formed by embossing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111, and the irregularities may be formed by heating press, hairline processing, or the like. The concave-convex shape includes, for example, conduit grooves, slab surface concave-convex, woven surface textures, pear bark shapes, sand fringes, hair lines, and mandrel-shaped grooves.

바닥재용 적층체Floor laminate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적층체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시트를 나무재질의 기재에다 적층시킨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시트의 합성수지층쪽에 나무재질로 된 기재가 적층시켜지게 된다. 나무재질 기재로는 특히 어떤 한 가지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삼나무, 회나무, 소나무, 나왕, 티크, 메라피와 같은 각종 소재로 만들어진 철판, 목재단판, 목재합판, 파티클보드, 중밀도섬유판(MDF) 등을 들 수 있다. The flooring lamin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minate of the flooring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a substrate made of wood. Specifically, as shown in Figure 10, the base material made of wood is laminated on the synthetic resin layer side of the sheet for flo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material of the wo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any one, and for example, iron plate, wood veneer, wood plywood, particle board, medium density fiber board (MDF)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cedar, gingko, pine, nawang, teak, and merapi. Can be mentioned.

바닥재를 적층하는 방법도 어떤 한 가지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접착제로 화장시트를 기재에다 첩착시키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접착제로는 기재의 종류에 따라 공지의 접착제를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예컨대, 폴리초산비닐나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ㆍ초산비닐공중합체, 에틸렌ㆍ아크릴산공중합체, 아이오노머와 같은 것 외에, 부타디엔ㆍ아크릴니트릴고무, 네오프렌고무, 천연고무 등을 들 수 있다. The method of laminating the flooring material is not limited to any one, and for example, a method of adhering a makeup sheet to a substrate with an adhesive may be employed.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select a well-known adhesive agent suitably according to the kind of base material as an adhesive agent. For example, butadiene acrylonitrile rubber, neoprene rubber, natural rubber, etc. are mentioned besides such as polyvinyl acetate, polyvinyl chloride, a vinyl chloride vinyl acetate copolymer, ethylene acrylic acid copolymer, and an ionomer.

기타Etc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바닥재용 적층체는, 앞에서 설명한 내용 이외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하여도 좋다.The flooring shee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looring laminate using the same may b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above description.

(제 4 실시예)(Example 4)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는, 합성수지층 및 화장층으로 이루어진 바닥재용 적층체의 이 합성수지층쪽에 나무재질로 된 재료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바닥재로서, 이 합성수지층이 2이상의 독립된 구획으로 구분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ooring material in which a material made of wood is laminated on the synthetic resin layer side of a 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 composed of a synthetic resin layer and a makeup layer, wherein the synthetic resin layer is divided into two or more independent sections. Characterize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에서, 화장층쪽에서부터 나무재질 재료에 이르는 홈을 형성시켜줌으로써 이 합성수지층 및 화장층이 2 이상의 독립된 구획으로 구분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에서, 합성수지층의 두께는 200㎛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In the flooring laminate, the synthetic resin layer and the makeup layer are divided into two or more independent sections by forming a groove from the side of the makeup layer to the wood material. In the 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s, the thickness of the synthetic resin layer is preferably 200 µm or more.

또, (1) 이 합성수지층이 단독 또는 2층 이상의 층구조를 가지고, (2) a) 단층인 경우에는 이 단층, 또는 b) 2층 이상인 경우에는 이 합성수지층 중 적어도 그 최상층이 A-PET와 PETG 또는 PEN을 포함하는 혼합층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에서, (1) 이 합성수지층이 2층 이상의 층구조를 가지고, (2) 적어도 그 최상층 및 최하층이 A-PET와 PETG 또는 PEN과를 포함하는 혼합층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1) This synthetic resin layer has a single or two or more layered structure, and (2) this monolayer when a) is a single layer, or b) when it is two or more layers, at least the uppermost layer of this synthetic resin layer is A-PET. And a mixed layer containing PETG or PEN. In the laminate for flooring, (1) this synthetic resin layer has a layer structure of two or more layers, and (2) at least its uppermost layer and its lowest layer form a mixed layer containing A-PET and PETG or PEN.

또한,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에서, 상기 합성수지층은 3층으로 이루어진 층구조를 갖고, (2) 최상층 및 최하층이 A-PET와 PETG 또는 PEN과를 포함하는 혼합층이고, 심재층이 A-PET로 이루어진 층으로 되어 있다. In addition, in the flooring laminate, the synthetic resin layer has a layer structure consisting of three layers, (2) the uppermost layer and the lowermost layer is a mixed layer containing A-PET and PETG or PEN, the core layer is A-PET It is made up of layers.

그리고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에서, 합성수지층 및 화장층은 우레탄계 접착제층 및/또는 우레탄계 프라이머층을 매개로 적층되도록 되어 있다.And in the flooring laminate, the synthetic resin layer and the makeup layer is to be laminated via a urethane-based adhesive layer and / or a urethane-based primer layer.

마지막으로,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에서, 혼합층이 실질적으로 A-PET와 PETG 또는 PEN과의 2가지 성분계로 이루어지고, 양자의 합계 100중량% 중 PETG 또는 PEN이 20~80중량% 함유하도록 되어 있다.Lastly, in the laminate for flooring, the mixed layer is substantially composed of two component systems of A-PET and PETG or PEN, and 20% to 80% by weight of PETG or PEN is contained in a total of 100% by weight of both. .

층구성Layered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시트는, 합성수지층이 2 이상의 독립된 구획으로 구분되어져 있다. 다시 말해, 합성수지층이 복수의 합성수지제 구획편(區劃片; 이하 단지구획편이라 함)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시트의 일례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바, 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시트의 합성수지층의 배치예(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합성수지층(201)은 3개의 구획편(202, 203 ,204)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구획편끼리는 서로에 접촉하고 있어도 좋지만, 특히 구획편 사이는 일정한 간극(205)이 갖고 있는 것이 좋다. 이 경우의 간극의 두께(구획편 사이의 거리)는 2mm 이하, 바람직하기로는 1mm 이하의 범위에서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이렇게 간극을 형성시킴으로써, 보다 큰 팽창차를 흡수할 수가 있게 된다. 도 12에서는 3개의 구획편으로 구분되어 있지만, 2개의 구획편, 3개 이상의 구획편 등 어떤 것이어도 좋다. 이 구획은 도 12와 같은 세로줄무늬모양으로 구분되는 것 말고도, 격자모양, 가로줄무늬와 같은 것 중 어느 것이라도 좋다. In the flooring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ynthetic resin layer is divided into two or more independent sections. In other words, the synthetic resin layer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ynthetic resin partition pieces. An example of the flooring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ure 12, this Figure 12 shows an arrangement example (top view) of the synthetic resin layer of the flooring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ynthetic resin layer 201 is three The partition pieces 202, 203, and 204 are comprised. Here, although the partition pieces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a constant gap 205 is provided between the partition pieces. In this case, the thickness (distance between compartments) of the gap can be appropriately set in the range of 2 mm or less, preferably 1 mm or less. By forming the gap in this way, a larger expansion difference can be absorbed. In FIG. 12, although divided into three partition pieces, any of two partition pieces, three or more partition pieces, etc. may be sufficient. The division may be any of the same as a lattice pattern or a horizontal stripe, in addition to being divided into a vertical stripe pattern as shown in FIG.

구획편의 합성수지층 형성Formation of synthetic resin layer of compartment

구획편으로 합성수지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미리 준비한 복수의 구획편을 나무재질 재료(기재) 또는 화장시트의 화장층에다 적층하는 방법과, 통상적인 방법으로서 합성수지층을 화장층 전체에 적층한 후 합성수지층이 구획편마다 구분되도록 합성수지층을 절단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구획편을 형성시키는 일례를 도 13을 가지고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용 적층체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통상적인 방법으로 합성수지층(201) 상 전체에 화장층(210)을 적층시켜 바닥재용 시트(211)를 만들고, 이것과 나무재질의 기재(212)를 적층시켜 바닥재용 적층체(213)를 구성한 후, 합성수지층이 독립된 구획편으로 구분되도록 합성수지층에 이르는 홈(214)을 화장층쪽에서부터 패어들어가도록 하는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좋다. 화장층쪽에서부터 홈을 패어들어가게 하는 경우에는 합성수지층과 같이 화장층도 복수의 구획편으로 구분되게 된다. 홈을 파는 방법 자체는 공지의 방법을로 하면 되는바, 예를 들어 테노너와 같은 공지의 장치로 가공하면 된다. 홈을 파넣는 경우 그 단면은 한정되지 않고 V자모양, 오목모양(정방형, 장방형) 중 어떤 것이라도 좋다. 또한, 홈을 형성시킨 경우에는 나무재질 재료의 일부가 노출하기 때문에, 그 노출부를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처리(방수처리, 발수처리 등)를 하여도 좋다. The method for forming the synthetic resin layer from the partition piec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 plurality of partition pieces prepared in advance are laminated on a wooden material (base material) or a makeup layer of a makeup sheet, and as a conventional method, a synthetic resin layer is laminated on the entire makeup layer, and then the synthetic resin layer is divided into sections. The method of cutting | disconnecting a layer, etc. are mentioned. An example in which such a partition piece is formed is demonstrated with FIG. Fig. 13 shows a sectional view of a laminate for flo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3, the makeup layer 210 is laminated on the entire synthetic resin layer 201 in a conventional manner to form a flooring sheet 211, and the base material 212 made of wood is laminated to the flooring material. It is preferable to employ a method in which the groove 214 leading to the synthetic resin layer is recessed from the cosmetic layer side so that the synthetic resin layer is divided into independent partition pieces after the laminated body 213 is formed. When the grooves are dug up from the makeup layer side, the makeup lay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ition pieces like the synthetic resin layer. The groove digging method itself may be a known method. For example, a groove may be processed by a known device such as a tenoner. In the case of digging a groove, the cross section is not limited, and any one of V-shape and concave shape (square, rectangle) may be used. In the case where the groove is formed, a part of the wood material is exposed, so that the treatment (waterproof treatment, water repellent treatment, etc.) necessary for protecting the exposed portion may be performed.

화장층A cremation layer

본 발명에 따른 화장층은 예컨대 도 14에 도시된 바닥재용 시트(바닥재용 적층체)의 구체적인 층구성을 보면 이해될 수 있다. 즉, 도 14를 보면, 함성수지층(223) 상에 접착제층(224)과, 프라이머층(225), 기재층(226), 베타잉크층(227), 병잉크층(228), 접착제층(229), 투명성 수지층(230), 프라이머층 및 표면보호층(투명성 보호층: 231)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갖도록 되어 있다. 표면보호층쪽에서부터 엠보싱가공이 실시되어 오목모양의 엠보싱부(232)가 붙여져 있다. 한편, 합성수지층의 다른 면에는나무재질의 기재(221)가 접착제층(222)을 매개로 적층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바닥재용 적층체는 화장층쪽에서부터 나무재질 기재(221)에 이르러 나무재질 기재 중에 그 선단부가 있도록 파고 든 홈(220)이 형성됨으로서, 그에 의해 합성수지층이 독립된 구획편마다 구분되게 된다. The cosmetic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for example, by looking at the specific layer structure of the flooring sheet (floor laminate) shown in FIG. That is, referring to FIG. 14, the adhesive layer 224, the primer layer 225, the base material layer 226, the beta ink layer 227, the bottle ink layer 228, and the adhesive layer 229 are formed on the resinous resin layer 223. ), The transparent resin layer 230, the primer layer, and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231) are laminated in this order. Embossing is performed from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side, and a concave embossing portion 232 is attached. On the other hand, on the other side of the synthetic resin layer, a base material 221 made of wood is laminated via the adhesive layer 222. In addition, the flooring laminate is formed of grooves 220 which are dug so that the tip portion of the wood substrate reaches the wood substrate 221 from the makeup layer side, whereby the synthetic resin layer is divided into separate partition pieces. .

합성수지층Synthetic Resin Layer

합성수지층은 다음과 같은 점 말고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마찬가지로 하여도 좋다.The synthetic resin layer may be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as follows.

혼합층 중의 A-PET 및 PETG의 함유량은, 각 성분의 등급, 본 발명 시트의 사용조건 등에 대응헤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 시트에서는, 상기 2가지 성분계에서 A-PET 및 PETG의 합계 100중량% 중 PETG는 20~8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Content of A-PET and PETG in a mixed layer can be set suitably according to grade of each component, the use condition of the sheet of this invention, etc. In th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PETG is preferably 20 to 80% by weight in the total of 100% by weight of A-PET and PETG in the two component systems.

본 발명 시트의 합성수지층의 두께(2층 이상인 경우에는 두께의 합계)는 한정되지 않고, 내캐스터성과 내찰상성 등을 고려하면 200㎛이상, 바랍직하기로는 200~500㎛정도가 되도록 하면 좋다. 2층 이상인 경우의 각 층의 두께는 각 층의 성분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하면 된다.The thickness (sum of the thickness in the case of two or more layers) of the synthetic resin layer of th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and considering the cast resistance, scratch resistance and the like, the thickness may be 200 µm or more, preferably 200 to 500 µm.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determine the thickness of each layer in the case of two or more layers suitably according to the component of each layer, etc.

구획편의 도포Application of compartm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합성수지층을 2개 이상의 독립된 구획으로 구분함으로써 노출시켜진 구분부 및, 상기 합성수지층과 상기 화장층을 각각 2 이상의 독립된 구획으로 구분함으로써 노출시켜진 각각의 상기 구분부를 아크릴우레탄계 수지가 함유된 수성조성물로 도포함으로써 바닥재용 시트 또는 바닥재용 적층체가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나무재질 기재가 충분하게 보호될 수 있게 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vision part exposed by dividing the synthetic resin layer into two or more independent compartments, and each division part exposed by dividing the synthetic resin layer and the makeup layer into two or more independent compartments, respectively. The flooring sheet or the laminate for flooring is configured by applying the aqueous composition containing an acrylic urethane resin. As a result, the wood substrate can be sufficiently protected.

수성도료Water-based paints

수성도료는 수성성분으로 아크릴우레탄계 수지가 함유된 것인바, 여기에 쓰이는 아크릴우레탄계 수지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시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예로서는 아크릴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과의 반응생성물, 관능기를 가진 아크릴수지와 관능기를 가진우레탄수지를 가교시켜 복합화되도록 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The aqueous paint is an aqueous component containing an acryl urethane resin, the acryl urethane resin used here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known prototypes can be used. Examples thereof include a reaction product of an acryl polyol with an isocyanate compound, an acrylic resin having a functional group, and a urethane resin having a functional group to be crosslinked and compounded.

아크릴우레탄계 수지로는, 케토기를 함유한 아크릴수지와 히드라지드기를 함유한 우레탄수지를 혼합해서 만드는 것이 좋은바, 이렇게 하면 보다 뛰어난 내수성과 내약품성, 내찰상성 등과 더불어 합성수지층(특히 올레핀계 수지)과의 높은 밀착성을 얻을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As the acrylic urethane resin, it is preferable to make a mixture of an acrylic resin containing a keto group and a urethane resin containing a hydrazide group. It is because there exists an advantage that high adhesiveness with is obtained.

상기 아크릴수지와 우레탄수지는 케토기 및 히드라진기에 의해 가교되어, 아크릴수지 및 우레탄수지가 복합화되게 된다. 그리고, 이 복합화된 수지가 수성 중에서 수성에멀젼(우레탄/아크릴 복합 에멀젼)의 형태를 이루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 수성에멀젼은, 그 수지의 입자가 입자 내부에는 아크릴수지성분이, 입자 외부에는 우레탄수지성분이 존재하는 복합입자로 분산되게 된다. 이와 같은 복합에멀젼으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는바, 예를 들어 제품명「폰코트CG-5000」(일본국 다이니폰잉크화학공업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The acrylic resin and the urethane resin are crosslinked by a keto group and a hydrazine group, whereby the acrylic resin and the urethane resin are compounded. In addition, the complexed resin may form an aqueous emulsion (urethane / acrylic complex emulsion) in water to form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aqueous emulsion, particles of the resin are dispersed into composite particles in which an acrylic resin component is present inside the particles and a urethane resin component is present outside the particles. A commercial item can also be used as such a complex emulsion, For example, the product name "Pontcoat CG-5000" (product of Japan Dainippon Ink and Chemicals Co., Ltd.) etc. is mentioned.

우레탄/아크릴 복합에멀전 중 아크릴수지 성분과 우레탄수지 성분과의 비율은 한정적이지 않은바, 양자의 합계 100중량% 중 우레탄수지성분이 20~4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합성수지층과의 접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The ratio between the acrylic resin component and the urethane resin component in the urethane / acrylic composite emulsion is not limited,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urethane resin component is 20 to 40% by weight in the total of 100% by weight of both. By setting it in such a range, the adhesiveness with a synthetic resin layer can be improved more.

수성도료 중 아크릴우레탄계 수지의 함유량은 수지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가 있는바, 5~60중량%정도, 특히 20~4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the acrylic urethane-based resin in the aqueous coating can be appropriately set depending on the type of resin, and is preferably about 5 to 60% by weight, particularly 20 to 40% by weight.

본 발명에서는, 아크릴우레탄수지에 대해 경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바, 이를 사용함으로써 가교정도를 높일 수가 있게 된다. 경화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에폭시계 경화제, 멜라민계 경화제, 아지리진계 경화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저온가교성능, 내후성, 내수성 등을 보다 더 높일 수가 있다는 점에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제의 함유량은 사용하는 경화제의 종류 등에도 좌우되지만, 통상적으로 아크릴우레탄계 수지 100중량%에 대해 20 ~ 70 중량% 정도로 하면 좋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curing agent for the acrylic urethane resin, so that the degree of crosslinking can be increased by using the curing agent. Specific examples of the curing agent include an isocyanate curing agent, an epoxy curing agent, a melamine curing agent, an aziridine curing agent, and the like. In this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n isocyanate type hardening | curing agent especially at the point which can improve low temperature crosslinking performance, weather resistance, water resistance, etc. further. Although content of a hardening | curing agent depends also on the kind of hardening | curing agent etc. which are used, Usually,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be about 20 to 70 weight% with respect to 100 weight% of acrylic urethane resin.

수성도료에는 실리콘을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실리콘을 첨가함으로써 보다 뛰어난 소포효과(消泡效果)와, 요수효과(擾水效果) 등을 얻을 수가 있다. 실리콘의 첨가량은 본 발명 도료 중 0.5 ~ 5 중량%로 하면 된다.It is preferable to contain silicone in an aqueous coating. By adding silicon in this way, a superior defoaming effect, a urea effect and the like can be obtained.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add the silicone addition amount to 0.5 to 5 weight% in the coating material of this invention.

본 발명의 수성도료에서는 공지의 수성도료에 함유되어 있는 첨가제를 배합할 수도 있는바, 예컨대 착색재(안료, 염료)나 점도조정제, 기타의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In the water-based pa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ves contained in known water-based paints may also be blended. For example, coloring materials (pigments, dyes), viscosity modifiers, and the like may be used.

수성도료에서는 용매로 주로 물을 사용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수용성 유기용제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이소프로필알콜와 같은 알콜류 외에 글리 콜류, 글리콜에텔류 등도 사용할 수가 있다.Water-based paints mainly use water as a solvent, but may be used together with a water-soluble organic solvent if necessary. For example, in addition to alcohols such as isopropyl alcohol, glycols, glycol ethers and the like can also be used.

본 발명에서는 도료의 고형분함유량으로서, 통상적으로 5 ~ 80 중량%의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성분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하면 된다. 또, 본 발명에 쓰이는 도료는 용액이나 에멀젼 등 어떤 형태로 된 것이라도 좋지만, 특히 에멀젼형태로 된 것이 좋다.In this invention,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determine suitably as solid content of a coat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kind etc. of components normally used in 5 to 80weight% of a range. In addition, although the coating material used for this invention may be what kind of form, such as a solution and an emulsion, it is good to be especially an emulsion form.

기타의 층구성Other stratification

바닥재용 시트의 합성수지층 이외에 것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하면 된다.Other than the synthetic resin layer of the flooring sheet may be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험예]                       Experimental Example

(실험예 A)Experimental Example A

다음에는 본 발명의 내용을 실험한 실험예 A에 의해 설명한다. 먼저, 다음과 같은 층구성으로 이루어진 바닥재용 적층체를 만들었다.Next, Experimental Example A, in which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ested, will be described. First, the laminated body for flooring which consists of the following laminated constitution was made.

실험예 A1Experimental Example A1

화장시트와 A-PET(0.4mm 두께)층과 라왕합판(12mm 두께)   Cosmetic sheet, A-PET (0.4mm thick) layer and Rawang plywood (12mm thick)

실험예 A2Experimental Example A2

화장시트와 2축연신 PET( 두께 0.25mm) 및 라왕합판(두께 12mm)   Cosmetic sheet and biaxially stretched PET (0.25mm thick) and Rawang plywood (12mm thick)

예 A1Example A1

철판과 라왕합판(일반 컬러플로어)  Iron plate and Rawang plywood (normal color floor)

예 A2Example A2

철판+MDF(두께 3mm)와 라왕합판(두께 9mm) (내캐스터성을 부여한 컬러플로 어)  Iron plate + MDF (3mm thick) and Rawang plywood (9mm thick) (color floor giving caster resistance)

예 A3Example A3

화장시트와 라왕합판(두께 12mm)  Toilet seat and Rawang plywood (12mm thick)

예 A4Example A4

화장시트와 A-PET(두께 0.2mm) 및 라왕합판(두께 12mm)  Toilet seat with A-PET (0.2mm thick) and Rawang plywood (12mm thick)

상기와 같은 조제예에에서 화장시트는 도 3에 구성된 화장층이고, A-PET는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2축연신 PET는 2축연신 폴리에닐렌테레프탈레이트, 철판은 깨끗한 자연목재를 얇게 썬 단판을 각각 의미한다. In the above preparation example, the makeup sheet is a makeup layer composed in FIG. 3, A-PET is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biaxially stretched PET is biaxially stretched polyenylene terephthalate, and iron plate is sliced clean natural wood Each means a single plate.

평가시험Evaluation

다음과 같은 평가시험을 행하고 그 결과를 표 A에 기재하였다. The following evaluation test was carried out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A.

시험A1 : 내캐스터 시험Test A1: My Caster Test

설명과 같이 해서 만든 A1 ~ A4의 바닥재용 적층체를, 아래와 같은 내캐스터 시험장치에다 설치하고서, 하기와 같은 조건에 따라 시험을 하였다. 시험을 한 후에는 바닥재용 적층체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그 갈라진 금이 있는지 유무를 판단하였다. 또, 바닥재용 적층체의 오목부의 깊이를 깊이측정기(depthmeter)로 측정하였다.   The 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s A1 to A4 made as described above was installed in the caster test apparatus as described below, and tes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onditions. After the test, the 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 was visually observed to determine whether the crack was present. Moreover, the depth of the recessed part of the laminated body for flooring materials was measured with the depth meter.

내캐스터 시험장치Caster test device

내캐스터 시험장치 L6-04(일본국 덴노기계제작소)를 사용하였는바, 이 장치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The caster test apparatus L6-04 (Denno Machinery Co., Ltd., Japan) was used. The specifications of this apparatus are as follows.

시료 고정대: Φ80cm, 두께 8mm의 아크릴제  Sample holder: Φ80cm, 8mm thick acrylic

3개의 캐스터: HAMMER CASTER 製 420 SA-N 75 (Φ75mm ×25mm, 차륜나일론 제)  Three casters: HAMMER CASTER 製 420 SA-N 75 (Φ 75 mm × 25 mm, wheel nylon)

캐스터 고정대의 회전속도 : 0~60rpm (변속모터구동식)  Rotation Speed of Caster Fixture: 0 ~ 60rpm (Speed Motor Drive Type)

가중부: 40 ~ 210 kg에서 조절가능  Weight: Adjustable from 40 to 210 kg

조절핸들: 웨이트대의 핸들을 돌려줌으로써 캐스터가 상하로 이동한다.  Adjustment handle: The caster moves up and down by turning the handle of the weight stand.

회전방향 반전간격 : 1 ~ 12분(타이머로 설정가능)  Reverse direction of rotation direction: 1 ~ 12 minutes (set by timer)

프리세트카운터 : 회전수의 설정 및 누적회전수를 표시  Preset counter: Displays the set speed and the accumulated speed

디지털타코미터 : 캐스터 회전속도를 표시  Digital tachometer: Displays the caster rotation speed

시료의 크기: 30cm ×30cm  Sample size: 30cm × 30cm

시험조건Exam conditions

상기 내캐스터 시험장치에서, 시험대상인 바닥재용 적층체를 시험고정대에다 고정시켰다. 이 바닥재 적층체의 표면에 3개의 캐스터가 접촉하지 않도록 조절핸들로 캐스터 고정대를 위로 올린 후, 무게 70kg이 되도록 하중대(荷重臺)에다 분동을 얹었다.  In the caster test apparatus, the laminate for flooring under test was fixed to the test fixture. The caster holder was lifted up with the adjustment handles so that the three casters did not contact the surface of the flooring laminate, and weights were placed on the load table to weigh 70 kg.

회전속도를 20rpm, 5분마다 반회전, 1000회 회전으로 세팅하고서 조절핸들을 돌려 캐스터 고정대를 시험대상인 바닥재용 적층체의 표면 상에 내려놓았다.The caster fixture was lowered onto the surface of the flooring laminate under test by setting the rotational speed at 20 rpm, half rotation every 5 minutes, and 1000 rotations.

캐스터 고정대의 회전구동장치의 시동스위치를 넣어 시험을 개시하였다. 시험을 종료한 후, 조정핸들을 회전시켜 캐스터 고정대를 띄워 시험대상인 바닥재용 적층체를 끄집어내어 평가하였다. The test was started by inserting the start switch of the rotary drive of the caster holder. After completion of the test, the adjustment handle was rotated to raise the caster holder, and the 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 under test was taken out and evaluated.

시험 A2 : 내듀폰충격시험Test A2: DuPont Impact Test

앞에서 기재한 것과 같이 해서 제조한 시험예 A1~ A4의 바닥재용 적층체를 JIS K5600 듀폰충격시험에 준거해서 시험하였다. 구체적으로는, r = 6.3mm의 타격형을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표면에다 놓고서, 500g의 분동을 300mm 높이에서 앞의 타격형의 위로 낙하시켰다. 시험을 한 후, 바닥재용 적층체를 육안을 관찰하여, 그 표면에 갈라진 금이 있는지 유무를 판단하였다. 또, 바닥재용 적층체의 오목부 깊이를 깊이측정기로 측정하였다.  The 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s of Test Examples A1 to A4 prepared as described above was tested in accordance with JIS K5600 DuPont Impact Test. Specifically, an impact mold of r = 6.3 mm was placed on the surface of the flooring laminate, and 500 g of weight was dropped from the height of 300 mm above the previous impact mold. After the test, the floor laminate was visually observed to determine whether cracks existed on the surface thereof. Moreover, the depth of the recessed part of the laminated body for flooring materials was measured with the depth measuring instrument.

표 ATable A

평가시험/시료Evaluation test / sample 실시예 A1 Example A1 실시예 A2 Example A2 예 A1  Example A1 예 A2  Example A2 예 A3  Example A3 예 A4  Example A4 평가시험 A1Evaluation test A1 표면에 갈라진 금의 유무Presence of cracks on the surface     radish     radish     radish     radish     radish     radish 오목부(凹)의 깊이(㎛)Depth of recess (μm) 70   70 60   60 160   160 60   60 150   150 190   190 평가시험 A2Evaluation test A2 표면에 갈라진 금의 유무Presence of cracks on the surface     radish     radish     U     U     U     U 오목부의 깊이(㎛)Depth of concave (μm) 260   260 300   300 800   800 270   270 580   580 390   390

(실험예 B)Experimental Example B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 실험예B를 가지고 설명한다.  Next,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Experimental Example B.

1)바닥재용 적층체의 제조1) Manufacture of laminates for flooring

표층재 B의 조정Adjustment of Surface Material B

양면을 크로나방전처리한 40μ두께의 착색폴리프로필렌필름의 한쪽 면에 2㎛ 두께의 우레탄계 프라이머층을 형성함과 더불어 다른 면에는 2액경화형 우레탄계 인쇄잉크로 나무결모양의 인쇄층을 형성하였다. 다음, 상기 인쇄층 상에 우레탄계 접착제를 매개로 투명한 프로필렌계 수지를 T다이압출기로 두께 80㎛가 되도록 압출시켜 중간적층체를 만들었다. 그 후, 상기 중간적층체의 상기 투명한 프로필렌계 수지면에 2㎛ 두께의 우레탄계 프라이머층을 형성하고, 이 우레탄계프라이머층 상에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를 그라비아리버스 코팅법으로 건조시킨 후 15㎛ 두께가 되도록 도포ㆍ건조시켜 미경화의 전자방사선경화형 수지층을 형성하고, 이를 이 미경화의 전자방사선경화형 수지층에 산소농도 200PPM 이하의 환경하에서 전자선(가속전압 175KeV, 조사량 5Mrad)을 조사해서 경화시켜 전자방사선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진 표면보호층을 형성함과 더불어, 이 표면보호층쪽에서부터 판깊이 50㎛인 나뭇결도관모양의 엠보싱판으로 엠보싱가공을 하여 나뭇결도관 요철모양이 형성된 화장시트를 만들어 표층재 B로 하였다. On both sides, a urethane-based primer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 μm was formed on one side of the 40 μ-thick colored polypropylene film treated with krona discharge treatment, and on the other side, a wood-like printed layer was formed by a two-liquid curable urethane-based printing ink. Next, the transparent propylene-based resin was extruded to a thickness of 80 μm using a T-die extruder through a urethane-based adhesive on the printed layer to form an intermediate laminate. Thereafter, a urethane-based primer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 μm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propylene resin surface of the intermediate laminate, and the ionizing radiation-curable resin is dried by a gravure reverse coating method on the urethane-based primer layer to be 15 μm thick. ㆍ Dry to form an uncured electron radiation-curable resin layer, which is cured by irradiating and curing the electron beam (acceleration voltage 175 KeV, irradiation dose 5Mrad) in an environment of oxygen concentration below 200PPM. In addition to forming a surface protective layer made of a resin,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was embossed with a wood conduit-shaped embossing plate having a sheet depth of 50 μm, thereby forming a decorative sheet having a grain-conducted concave-convex shape to be a surface layer material B.

다음, 시험에 제공한 바닥재용 적층체를 다음과 같은 합성수지층으로 쓰이는 수지의 종류와 두께를 변화시킨 것으로 24가지를 준비하여 이들을 상기 표층재 B와 합쳐지도록 해서 시험체 B1 ~ 24를 얻었다. Next, 24 kinds of the laminates for flooring materials provided for the test were prepared by changing the type and thickness of the resin used as the following synthetic resin layers, and these were combined with the surface layer material B to obtain test bodies B1 to 24.

시험체 B1Test body B1

상기 표층재 B의 착색 폴리프로필렌필름의 한쪽 면에 형성시킨 2㎛ 두께의 우레탄계 프라이머층 면에 우레탄계 접착제를 매개로 300㎛ 두께의 에스텔계 수지(일본국 미쓰비시화학 : NOVAPEX GM700)층을 형성함과 더불어 이 에스텔계 수지층 면에 우레탄계 접착제를 매개로 12mm 두께의 라왕합판을 접착시키고, 다시 상기 표면보호층 면에 나뭇결모양의 흐름방향과 평행하도록 75㎛의 피치로 폭 3.0mm, 깊이 0.3mm인 V형 홈을 절삭가공으로 형성시켜 시험에 쓰여질 바닥재용 적층체를 만들었 다.   Forming a 300-micrometer-thick ester-based resin (Japan Mitsubishi Chemical: NOVAPEX GM700) layer on the surface of the 2-micron-thick urethane primer lay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olored polypropylene film of the surface layer material B through a urethane-based adhesive; In addition, a 12 mm-thick Rawang plywood was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ester resin layer with a urethane-based adhesive, and the surface protection layer had a width of 3.0 mm and a depth of 0.3 mm with a pitch of 75 μm so as to be parallel to the grain-shaped flow direction. V-shaped grooves were formed by cutting to make laminates for flooring to be used in the test.

시험체 B 2-0Test object B 2-0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400㎛ 두께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Except having made the ester resin layer of the test body B1 into 400 micrometers in thickness, it is the same as the test body B1.

시험체 B 3Test body B 3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188㎛ 두께의 2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일본국 도요방제: A4300)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Except that the ester resin layer of test body B 1 was made into 188 micrometer-thick biaxially-stretch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A4300 of Japan-made ceramics), it is the same as test body B1.

시험체 B 4Test object B 4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125㎛ 두께의 2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일본국 도요방제: A4300)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Except that the ester resin layer of test body B 1 was 125 micrometers thick biaxially stretch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A4300 made in Japan, Japan), and the same as test body B1.

시험체 B 5Test object B 5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100㎛ 두께의 2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도요방제: A4300)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Except that the ester resin layer of test body B 1 was made into a biaxially stretch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Toyoko: A4300) having a thickness of 100 µm, and was the same as test body B1.

시험체 B 6Test object B 6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75㎛ 두께의 2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도요방제: A4300)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Except that the ester resin layer of test body B 1 was made into the 75 micrometer-thick biaxially-stretch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Toyuu: A4300), it is the same as test body B1.

시험체 B 7Test object B 7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50㎛ 두께의 2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도요방제: A4300)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Except having made the ester resin layer of the test body B1 into the biaxially-stretch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Toyuu: A4300) of 50 micrometers in thickness, it is the same as the test body B1.

시험체 B 8Test object B 8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400㎛ 두께의 비정성 폴리에스테르(이스트만 케미칼 컴퍼니 제품: Easter PETG6763)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Except that the ester resin layer of Test B1 was made of amorphous polyester having a thickness of 400 µm (Eastman Chemical Company: Easter PETG6763), and the same as Test B1.

시험체 B 9Test object B 9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300㎛ 두께의 비정성 폴리에스테르(이스트만 케미칼 컴퍼니 제품: Easter PETG6763)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Except that the ester resin layer of Test Sample B 1 was made of amorphous polyester having a thickness of 300 µm (Eastman Chemical Company: Easter PETG6763), and the same as Test Sample B1.

시험체 B 10Test object B 10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300㎛ 두께의 ABS(테크노폴리머 제품: TECNO ABS 810)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Except that the ester resin layer of Test B 1 was made 300 mm thick ABS (Technopolymer: TECNO ABS 810), and the same as Test B1.

시험체 B 11Test object B 11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200㎛ 두께의 ABS(테크노폴리머 제품: TECNO ABS 810)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Except that the ester resin layer of Test Sample B 1 was 200 μm thick ABS (Technopolymer: TECNO ABS 810).

시험체 B 12Test object B 12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100㎛ 두께의 ABS(테크노폴리머 제품: TECNO ABS 810)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Except that the ester-based resin layer of Test Specimen B 1 was 100 µm thick ABS (Technopolymer: TECNO ABS 810), and was the same as Test Specimen B1.

시험체 B 13Test object B 13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160㎛ 두께의 폴리카르보네이트(미쓰비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스 제품: 유피론(ユ-ピロン) S2000 )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Except that the ester resin layer of Test B1 was made of polycarbonate having a thickness of 160 µm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Eupyron S2000), and the same as Test B1.

시험체 B 14Test object B 14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135㎛ 두께의 폴리카르보네이트(미쓰비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스 제품: 유피론 S2000 )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Except that the ester resin layer of the test sample B 1 was made of polycarbonate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Eupyron S2000) having a thickness of 135 μm, and the same as the test sample B1.

시험체 B 15Test object B 15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85㎛ 두께의 폴리카르보네이트(미쓰비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스 製: 유피론 S2000 )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Except that the ester resin layer of Test Specimen B 1 was 85 micrometers thick polycarbonate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 Ltd .: Eupyron S2000), and the same as Test Specimen B1.

시험체 B 16Test object B 16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330㎛ 두께의 폴리프로필렌(일본국 폴리켐 제품: 노바테크 PPFY3)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Except that the ester resin layer of Test Sample B 1 was made of polypropylene having a thickness of 330 µm (Novtech PPFY3 manufactured by Japan Polychem), and the same as Test Sample B1.

시험체 B 17Test object B 17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200㎛ 두께의 폴리프로필렌(일본국 폴리켐 제품: 노바테크 PPFY3)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Except that the ester resin layer of Test B 1 was made of polypropylene having a thickness of 200 µm (Novtech PPFY3 manufactured by Japan Polychem) and the same as Test B1.

시험체 B 18Test object B 18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350㎛ 두께의 폴리프로필렌(일본국 폴리켐 제품: 노바테크 PPFY3)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Except that the ester resin layer of Test Sample B 1 was made of 350 탆 thick polypropylene (Novtech PPFY3 manufactured by Polychem, Japan) and the same as Test Sample B1.

시험체 B 19Test object B 19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60㎛ 두께의 폴리프로필렌(일본국 폴리켐 제품: 노바테크 PPFY3)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Except that the ester resin layer of Test Sample B 1 was made of polypropylene having a thickness of 60 µm (Novtech PPFY3 manufactured by Japan Polychem), and the same as Test Sample B1.

시험체 B 20Test object B 20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380㎛ 두께의 폴리프로필렌(일본국 뎃꼬광석유화학 제품: F3900)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Except that the ester resin layer of Test Sample B 1 was made of polypropylene having a thickness of 380 µm (F3900, manufactured by Nippon Kogyo Petrochemical Co., Ltd.), and the same as Test Sample B1.

시험체 B 21Test object B 21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200㎛ 두께의 폴리프로필렌(뎃꼬석유화학 제품: F3900)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Except that the ester resin layer of the test body B 1 was made of polypropylene (F3900) having a thickness of 200 μm, the same as the test body B1.

시험체 B 22Test object B 22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60㎛ 두께의 폴리프로필렌(뎃꼬출광석유화학 제품: F3900)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Except that the ester resin layer of Test Sample B 1 was made of polypropylene having a thickness of 60 µm (뎃 392), which was the same as Test Sample B1.

시험체 B 23Test object B 23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330㎛ 두께의 폴리스티렌(A&M 폴리스티렌 제품: HF77)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Except that the ester resin layer of Test Sample B 1 was made of 330 μm-thick polystyrene (manufactured by A & M Polystyrene: HF77).

시험체 B 24Test object B 24

시험체 B 1의 에스텔계 수지층을 60㎛ 두께의 폴리스티렌(A&M 폴리스티렌 제품: HF77)으로 한 것 말고는 시험체 B1과 같다.  Except that the ester resin layer of Test Sample B 1 was made of polystyrene having a thickness of 60 µm (manufactured by A & M Polystyrene: HF77), and the same as Test Sample B1.

평가시험 BEvaluation test B

시험 B1 :내듀폰충격시험Test B1: DuPont Impact Test

조정을 한 24가지 종류의 시험체에 대해, 표층재 B측으로부터 듀폰식 충격시험을 행하고, 그때의 각 시험체의 오목부의 함몰깊이(단위: ㎛)를 측정해서 오목부의 깊이와 합성수지층의 물성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듀폰식 충격시험은 평가시험 A1과 마찬가지로 시행하였다.   DuPont impact test was conducted from the surface layer B side on 24 kinds of test specimens adjusted, and the depth of depression (unit: µm) of each specimen was measured, and the depth of the recess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ynthetic resin layer were measured. The relationship was investigated. DuPont impact test was conducted in the same manner as Evaluation Test A1.

그 결과, 각 시험체 B의 오목부의 함몰깊이와 항복점 하중과의 사이에 도 6과 같은 관계를 나타내었다.As a result, the relationship as shown in FIG. 6 was shown between the depth of depression of the recessed part of each test body B, and a yield point load.

즉, 오목부가 눈에 띄기 어려운 깊이는 450㎛ 이하이고, 그 때의 합성수지층은 그 항복점 하중이 9kgf 이상인 수지종류의 두께와 같았다. That is, the depth where the recess was hardly noticeable was 450 µm or less, and the synthetic resin layer at that time was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resin type whose yield point load was 9 kgf or more.

도 7에 나타내어진 항복점 하중과 항복 신장율의 관계를 나타낸 도표로부터 인장 탄성율이 50kgf/mm2 이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From the chart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ield point load and the yield elongation shown in Fig. 7, it was found that the tensile modulus was 50 kgf / mm 2 or more.

도 8에 나타내어진 항복점 하중과 항복 신장율의 관계를 나타낸 도표로부터 항복 신장율이 3 ~ 8%인 것임을 알 수 있음과 더불어, 또 오목부가 눈에 띄기 어렵고 화장층이 갈라지기가 어려운 바람직한 것으로는, 항복점 하중이 12kgf 이상이고 항복신장률이 3 ~ 5%인 수지종과 두께로 된 합성수지층임을 알 수 있어 본 발명을 완성시킨 것임을 알 수가 있었다. 한편, 도 6 ~ 도 8에 기재된 숫자는 시험체 B 의 번호이다. 또, 도면 중의 ●표시는 바닥재용 적층체로서 가장 적합한 것을 나타내고, ▲표시는 바닥재용 적층체로서 실용상 문제가 없는 것을 나타내고, ×표시는 바닥재용 적층체로서 사용하기가 적절치 못한 것을 나타낸다. From the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ield point load and the yield elongation shown in FIG. 8, it can be seen that the yield elongation is 3 to 8%, and the preferred point is that the recess is hard to be noticeable and the makeup layer is hard to crack. It was fou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ecause the load was 12 kgf or more and the yield ratio was 3 to 5%. In addition, the number described in FIGS. 6-8 is a number of the test body B. FIG. In addition, the mark in a figure shows that it is the most suitable as a laminated body for flooring materials, The o mark shows that there is no problem practically as a laminated body for floor materials, and the x mark shows that it is not suitable to use as a laminated body for floor materials.

시험체 B 2-1 ~ B 2-6의 조정Adjustment of Test Subjects B 2-1 to B 2-6

합성수지층으로서 상기 시험을 행하는 도중 결과가 양호하였던 시험체 B 2-0에 쓰여진 400㎛ 두께의 에스텔계 수지(미쓰비시화학 제품: NOVAPEX GM700)층으로 줄이고, 화장층으로서의 표층재 B를 다른 표층재로 대신해서 별도 6가지 종류의 표층재를 상기 수지층과 각각 접합시킴으로써 시험체 B2-1~2-6을 만들었다.  As the synthetic resin layer, the result was reduced to 400-μm thick ester-based resin (Mitsubishi Chemicals: NOVAPEX GM700) layer, which was written on Test Body B 2-0, which had good results, and replaced the surface material B as a cosmetic layer with another surface material. Then, test body B2-1 to 2-6 were produced by bonding each 6 types of surface layer material separately with the said resin layer.

시험체 B 2-1Test body B 2-1

양면을을 코로나방전처리를 한 80㎛ 두께의 착색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한쪽 면에 2㎛ 두께의 우레탄계 프라이머층을 형성함과 더불어 다른 면에는 2액경화 형 우레탄계 인쇄잉크로 나뭇결모양의 인쇄층을 형성시켰다. 그 후, 상기 우레탄계 프라이머층 상에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를 그라비아리버스코팅법으로 건조시킨 후 15㎛ 두께가 되도록 도포ㆍ건조한 미경화의 전자방사선경화형수지층을 형성시키고, 이 미경화의 전자방사선경화형 수지층에 산소농도 200PPM 이하의 환경 하에서 전자선(가속전압 175KeV, 조사량 5Mrad)를 조사해서 경화시켜 전자방사선경화형 수지로된 표면보호층을 형성함과 더불어, 이 표면보호층쪽에서부터 판깊이 50㎛인 나뭇결도관모양의 엠보싱판으로 엠보싱가공을 시행하여 나뭇결도관 요철모양을 형성한 화장시트를 만들고, 이 표층재의 인쇄층면에 우레탄계 접착제를 매개로 400㎛ 두께의 에스텔계 수지(미쓰비시화학 제품: NOVAPEX GM700)층을 형성함과 더불어 이 에스텔계 수지층 면에 수용성 우레탄에멀젼접착제(일본국 쥬오이화공업 제품 BA-10L)을 매개로 12mm 두께의 라왕합판을 접합시키고, 다시 상기 표면보호층 면에 나뭇결모양의 흐름방향과 평행하도록 75mm 피치로 폭 3.0mm, 깊이 0.3mm의 V자 홈을 절삭가공으로 형성시켜 시험에 제공되는 바닥재용 적층체를 만들었다.   A 2-micrometer-thick urethane-based primer layer was formed on one side of the 80-micron-thick colored polypropylene film treated with corona discharge on both sides, and a grain-shaped printed layer was formed on the other side by a 2-liquid curable urethane-based printing ink. I was. Thereafter, the ionizing radiation-curable resin was dried on the urethane-based primer layer by a gravure river coating method, and an uncured electron-radiation-curable resin layer applied and dried to a thickness of 15 µm was formed. Irradiated and cured electron beam (acceleration voltage 175KeV, irradiation dose 5Mrad) under the oxygen concentration below 200PPM to form a surface protective layer made of electron-radiation curable resin, and a grain size of 50 µm from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Embossing is done with a conduit-shaped embossing plate to make a crepe sheet with a concave-convex shape of wood grains. Water-soluble urethane emulsion adhesive on the surface of the ester resin layer 10L) was used to bond 12mm thick Rawang plywood, and the surface protection layer was formed by cutting a V-shaped groove having a width of 3.0mm and a depth of 0.3mm with a 75mm pitch so as to be parallel to the grain-shaped flow direction. The 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 provided in.

시험체 B2-2Test body B2-2

일반적인 얇은 박엽지(30g/m2)의 한쪽 면에 우레탄계 잉크로 착색베타무늬층과 도안인쇄층, 우레탄계 프라이머층을 차례로 형성시킨 표층재를 만들어, 이 표층재의 비인쇄면에 우레탄계 접착제를 매개로 400㎛ 두께의 에스텔계 수지(미쓰비시화학: NOVAPEX GM700)층을 형섬함과 더불어 이 에스텔계 수지층면에 수용성 우레탄에멀젼접착제(쥬오이화공업 BA-10L)을 매개로 12mm 두께의 라왕합판을 접합시키 고, 다시 상기 우레탄계 프라이머층 면에다 나뭇결모양의 흐름방향과 평행하도록 75㎛ 피치(pitch)로 폭 3.0mm, 깊이 0.3mm의 V자 홈을 절삭가공으로 형성한 다음, 절삭가공을 한쪽 면 전체에 폴리메디딕 SKS-087(2)[다이니뽄잉크화학공업 제품]를 건조시킨 후 2.0g/900cm2으로 되도록 도포함과 더불어 적외선을 조사해서 경화시켜 중간도포층을 형성하고, 다음에는 이 중간도포층 상에 폴리메딕 SKS-327Y(다이니뽄잉크화학공업 제품)를 건조시킨 후 2.5g/900cm2으로 되도록 도포함과 더불어 적외선을 조사해서 경화시켜 중간칠층을 형성하고, 다음으로 상기 중간칠 층 면을 연마포 #400으로 연마하고, 이 연마된 한쪽 면에다 폴리메딕 SK164-40A(다이니뽄잉크화학공업 제품)를 건조시킨 후 1.2g/900cm2으로 되도록 도포함과 더불어 적외선을 조사해서 경화시켜 마무리칠층을 형성시켜 시험에 제공되는 바닥재용 적층체를 만들었다. On one side of a general thin leaf paper (30g / m 2 ), a surface layer material is formed by forming a colored beta pattern layer, a pattern printing layer, and a urethane primer layer in order with a urethane ink, and a non-printing surface of the surface layer material with a urethane adhesive. A 400 mm thick ester resin (Mitsubishi Chemical: NOVAPEX GM700) layer was formed, and a 12 mm thick Rawang plywood was bonded to the ester resin layer through a water-soluble urethane emulsion adhesive (JUIO BA-10L). Then, a V-shaped groove having a width of 3.0 mm and a depth of 0.3 mm was formed by cutting on the surface of the urethane-based primer layer so as to be parallel to the grain-shaped flow direction, and then the cutting was formed on one side of the entire surface. poly Medi Dick SKS-087 (2) [Dai Nippon ink and Chemicals, product] was dried and cured by irradiation with an infrared ray also applied so as to 2.0g / 900cm 2 to form an intermediate coating layer, followed by the On the coating layer between the poly Medic SKS-327Y (Dai Nippon Ink and Chemicals, Ltd.) it was cured by irradiating an infrared ray, with also applied so as to 2.5g / 900cm 2 and then dried to form an intermediate chilcheung, the intermediate paint in the following The surface of the layer was polished with abrasive cloth # 400, and the polymedical SK164-40A (product of Dainippon Ink and Chemicals Co., Ltd.) was dried on one of the polished surfaces, and then irradiated and irradiated with infrared rays so as to be 1.2 g / 900 cm 2 . The finishing layer was formed to make a laminate for flooring provided in the test.

시험예 B 2-3Test Example B 2-3

표면재 B의 착색 폴리프로필렌필름의 두께를 100㎛으로 하고, 투명한 프로필렌계 수지의 압출한 막두께를 100㎛으로 한 것 말고는 표층재 B와 같은 표층재를 만들어, 이 표층재의 상기 착색 폴리프로필렌필름의 한쪽 면에 형성시킨 2㎛ 두께의 우레탄계 프라이머층 면에 우레탄계 접착제를 매개로 400㎛ 두께의 에스텔계 수지(미쓰비시화학: NOVAPEX GM700)층을 형성함과 더불어 이 에스텔계 수지층 면에 수용성 우레탄에멀젼접착제(쥬오이화공업 BA-10L)을 매개로 12mm 두께의 라왕합판을 접합시키고, 다시 상기 표면보호층 면에다 나뭇결모양의 흐름방향과 평행하도록 75mm 피치로 폭 3.0mm, 깊이 0.3mm의 V형 홈을 절삭가공으로 형성시켜 시험에 제공되는 바닥재용 적층체를 만들었다.   The thickness of the colored polypropylene film of the surface material B was 100 μm, except that the extruded film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propylene resin was 100 μm. A 400 μm thick ester resin (Mitsubishi Chemical: NOVAPEX GM700) layer was formed on the 2 μm thick urethane primer layer formed on one side via a urethane adhesive, and the water-soluble urethane emulsion adhesive wa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ester resin layer. 12mm thick Rawang plywood was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surface protection layer, and V-shaped groove having a width of 3.0mm and a depth of 0.3mm with a 75mm pitch so as to be parallel to the wood grain-like flow direction. Was formed by cutting to make a laminate for flooring provided in the test.

시험예 B 2-4Test Example B 2-4

표면재 B의 착색 폴리프로필렌필름의 두께를 150㎛으로 하고, 투명한 프로필렌계 수지의 압출한 막두께를 150㎛으로 한 것 말고는 표층재 B와 같은 표층재를 만들어, 이 표층재의 상기 착색 폴리프로필렌필름의 한쪽 면에 형성시킨 2㎛ 두께의 우레탄계 프라이머층 면에 우레탄계 접착제를 매개로 400㎛ 두께의 에스텔계 수지(미쓰비시화학: NOVAPEX GM700)층을 형성함과 더불어 이 에스텔계 수지층 면에 수용성 우레탄에멀젼접착제(쥬오이화공업; BA-10L)를 매개로 12mm 두께의 라왕합판을 접착시키고, 다시 상기 표면보호층 면에 나뭇결모양의 흐름방향과 평행하도록 75mm 피치로 폭 3.0mm, 깊이 0.3mm의 V형 홈을 절삭가공하여 형성시킨 시험에 제공하는 바닥재용 적층체를 만들었다.   The thickness of the colored polypropylene film of the surface material B was 150 μm, except that the extruded film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propylene resin was 150 μm. A 400 μm thick ester resin (Mitsubishi Chemical: NOVAPEX GM700) layer was formed on the 2 μm thick urethane primer layer formed on one side via a urethane adhesive, and the water-soluble urethane emulsion adhesive wa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ester resin layer. (Jiuoi Industry; BA-10L) was used to bond a 12mm thick Rawang plywood, and then to the surface protection layer surface V-shaped with a width of 3.0mm and a depth of 0.3mm with a 75mm pitch so as to be parallel to the wood grain-like flow direction. A 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 was made to serve the test formed by cutting the grooves.

시험예 B 2-5Test Example B 2-5

0.2mm 두께의 철판에 도포량이 5g/m2 인 수용성 우레탄에멀젼접착제(쥬오이화공업 製 BA-10L)을 매개로 400㎛ 두께의 에스텔계 수지(미쓰비시화학 제품: NOVAPEX GM700)층을 형성함과 더불어 이 에스텔계 수지층면에 수용성 우레탄 에멀젼접착제(쥬오이화공업 製 BA-10L)를 매개로 12mm 두께의 라왕합판을 접착시키고, 다시 나뭇결모양의 흐름방향과 평행하도록 75mm 피치로 폭 3.0mm, 깊이 0.3mm의 V형 홈을 절삭가공으로 형성한 후, 상기 철판 표면에 폴리메디크 SKS-088(다이니뽄잉크화학 제품)을 건조시킨 후 0.4g/900cm2이 되도록 도포함과 더불어 적외선을 조사해서 경화시켜 줄무늬층을 형성한 다음, 이 줄무늬층 상에 미라조르컬러(다이니뽄잉크화학 제품)를 건조시킨 후에 1.3g/900cm2 가 되도록 도포함과 더불어 적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착색층을 형성하고, 이 착색층 상에 폴리메디크 SKS-087(2) [다이니뽄잉크화학 製]을 건조 후에 2.0g/900cm2으로 되도록 도포함과 더불어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애벌칠층을 형성하고, 이 애벌칠층 상에 폴리메디크 SKS-327Y [다이니뽄잉크화학 製]를 건조시킨 후에 2.5g/900cm2으로 되도록 도포함과 더불어 적외선을 조사해서 경화된 중간칠층을 형성한 다음, 상기 중간칠층 면을 와이드쎈더(#400)로 연마하고, 이 연마한쪽 면에다 폴리메디크 SK164-40A(다이니뽄잉크화학 제품)를 건조시킨 후에 1.29/900cm2으로 되도록 도포함과 더불어 적외선을 조사해서 경화된 마무리칠층을 형성시켜 시험에 제공되는 바닥재용 적층체를 만들었다. A layer of an ester resin (Mitsubishi Chemical: NOVAPEX GM700) having a thickness of 400 μm was formed on a 0.2 mm thick iron plate by using a water-soluble urethane emulsion adhesive (JU-10, BA-10L) having a coating amount of 5 g / m 2 . In addition, a 12mm-thick Rawang plywood was bonded to the ester resin layer through a water-soluble urethane emulsion adhesive (JU-OIL BA-10L), and again, a width of 3.0mm and a width of 75mm were arrang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grain-like flow direction. After forming 0.3mm V-shaped grooves by cutting, dry the polymedical SKS-088 (Dainin Ink Chemicals) on the surface of the iron plate and irradiate infrared rays with coating to 0.4g / 900cm 2 . Cured to form a streaked layer, and then dried Mirazor color (Dainyop Ink Chemical) on the streaked layer, and then coated with infrared rays to cure 1.3g / 900cm 2 and irradiated with infrared rays to form a colored layer. Tooth coloring Poly Medi greater SKS-087 (2) on the [Dai Nippon Ink and Chemicals製] The cured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rays, with also applied so as to 2.0g / 900cm 2 was dried to form a coarse layer, and poly onto the priming layer After drying Medik SKS-327Y [Dininip Ink Chemicals Co., Ltd.] to 2.5 g / 900 cm 2 and irradiating with infrared rays to form a cured intermediate layer, the intermediate layer surface is wide-shaped (# 400 ), And dried polymedical SK164-40A (Daini Ink Inc.) on the polished side, and then coated it to 1.29 / 900 cm 2 and irradiated with infrared rays to form a hardened finish layer. The provided laminate for flooring was provided.

시험체 B 2-6Test object B 2-6

0.2mm 두께의 철판에 도포량 5g/m2의 수용성 우레탄 에멀젼접착제(쥬오이화공업 제품 BA-10L)를 매개로 400㎛ 두께의 에스텔계 수지(미쓰비시화학 제품 :NOVAPEX GM700)층을 형성함과 더불어 이 에스텔계 수지층 면에 수용성 우레탄 에멀젼접착제(쥬오이화공업 製 BA-10L)를 매개로 12mm 두께의 라왕합판을 접착시키 고, 다시 나뭇결모양의 흐름방향과 평행하도록 75mm 피치로 폭 3.0mm, 깊이 0.3mm의 V형 홈을 절삭가공으로 형성한 후, 상기 철판 표면에 별도로 준비한 양면을 코로나방전처리를 한 80μ두께의 투명 폴리프로필렌필름의 한쪽 면에 2㎛ 두께의 우레탄계 프라이머층을 형성함과 더불어 다른 면에 2액경화형 우레탄계 인쇄잉크로 나뭇결모양의 인쇄층을 형성한 다음, 상기 우레탄계 프라이머층 상에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그라비아리버스 코팅법으로 건조 한 후 15㎛ 두께가 되도록 도포ㆍ건조시켜 미경화의 전자방사선경화형수지층을 형성하고, 이 미경화의 전자방사선경화형 수지층에 산소농도 200PPM 이하의 환경 하에서 전자선(가속전압 175KeV, 조사량 5Mrad)를 조사해서 경화시켜 전자방사선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진 표면보호층을 형성함과 더불어 이 표면보호층쪽에서부터 판깊이 50㎛의 나뭇결도관모양의 엠보싱판으로 엠보싱가공을 해서 나뭇결도관상 요철모양을 형성시킨 시트를 이 시트의 인쇄층이 상기 철판쪽에 위치하도록 우레탄계 접착제를 매개로 접합시켜 시험에 제공되는 바닥재용 적층체를 만들었다. Water-soluble urethane emulsion adhesive application amount of 5g / m 2 on a steel plate of 0.2mm thickness (cucumber juice Chemistry industrial products BA-10L) polyester-based resin of a thickness of the medium 400㎛: In addition to forming a (Mitsubishi Chemicals NOVAPEX GM700) layer A 12 mm thick Rawang plywood was glued to the surface of the ester resin layer using a water-soluble urethane emulsion adhesive (JU-E BA10L), and again, a width of 3.0 mm at a 75 mm pitch so as to be parallel to the grain-like flow direction. After forming a V-shaped groove having a depth of 0.3 mm by cutting, forming a urethane-based primer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 μm on one side of an 80 μ thick transparent polypropylene film subjected to corona discharge treatment on both surfaces separately prepared on the iron plate surface. In addition, a two-layer curable urethane-based printing ink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wood-like printing layer, and then 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is dried on the urethane-based primer layer by gravure reverse coating. Then, it is coated and dried to a thickness of 15 μm to form an uncured electron radiation curable resin layer, and an electron beam (acceleration voltage 175 KeV, irradiation dose 5 Mrad) is applied to the uncured electron radiation curable resin layer under an oxygen concentration of 200 PPM or less. Irradiated and cured to form a surface protective layer made of an electron-radiation curable resin, and embossed with a wood-grained conduit-shaped embossing plate with a sheet depth of 50 μm from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to form a concave-convex shape in the shape of a grained conduit. The 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 provided in the test was made by bonding the urethane-based adhesive so that the printing layer of this sheet was located on the iron plate side.

이와 같이 해서 만들어진 6가지 종류의 시험체 B2-1 ~ 2-6에 대해 화장층쪽으로부터 듀폰식 충격시험(분동 :500g, 낙하높이: 300mm, 타격직경R: 6.3mm)을 시행하였는바, 그 때의 각 시험체 B의 함몰깊이(단위:㎛)를 측정함과 더불어 화장층의 균열을 육안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B에 정리해서 나타냄과 더불어 도 6에 다 좌표로 나타내었다. The DuPont impact test (weight: 500 g, drop height: 300 mm, impact diameter R: 6.3 mm) was conducted from the make-up layer on the six test specimens B2-1 to 2-6 thus produced. In addition to measuring the depth of depression (unit: μm) of each test specimen B of, the cracks of the cosmetic layer were visually evaluated,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in Table B and shown in FIG.

표 B TABLE B

시험체 B    Test body B 함몰 깊이 (㎛)   Depression depth (㎛) 화장층의 균열Crevice crack 2-1      2-1 303       303     radish 2-2      2-2 331       331     radish 2-3      2-3 278       278     radish 2-4      2-4 294       294     radish 2-5      2-5 302       302     radish 2-6      2-6 270       270     radish

(실험예 C)Experimental Example C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 다음 실험예 C를 가지고 설명한다.  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Experimental Example C below.

화장층 시트의 조정Adjustment of the cosmetic layer sheet

양면을 코로나방전처리한 60μ 두께의 착색 폴리프로필렌필름의 한쪽 면에 2㎛ 두께의 우레탄계 프라이머층을 형성함과 더불어 다른 면에 2액경화형 우레탄계 인쇄잉크로 나뭇결모양의 인쇄층을 형성하였다. 다음, 상기 인쇄층 상에 우레탄계 접착제를 매개로 투명한 프로필렌계 수지를 T다이압출기로 두께가 80㎛이 되도록 압출해서 중간적층체를 만들었다. 그 후, 상기 중간적층체의 상기 투명한 프로필렌계 수지면에 2㎛ 두께의 우레탄계 프라이머층을 형성하고, 이 우레탄계 프라이머층 상에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를 그라비아리버스 코팅법으로 건조시킨 후 15㎛ 두께가 되도록 도포ㆍ건조시켜 미경화의 전자방사선경화형 수지층을 형성하고, 이 미경화의 전자방사선경화형 수지층에 산소농도 200PPM 이하의 환경 하에 전자선(가속전압 175KeV, 조사량 5Mrad)를 조사해서 경화시켜 전자방사선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진 표면보호층을 형성함과 더불어, 이 표면보호층쪽에서부터 판깊이 50㎛인 나뭇결도관모양의 엠보싱판으로 엠보싱가공을 해서 나뭇결도관상 요철모양이 형성된 화장시트를 만들었다.   On both sides, a 2 μm-thick urethane-based primer layer was formed on one side of the 60 μm-thick colored polypropylene film treated with corona discharge, and a grain-shaped printed layer was formed on the other side by a two-component curable urethane-based printing ink. Next, the transparent propylene-based resin was extruded onto the printed layer using a T-die extruder so as to have a thickness of 80 μm through a urethane-based adhesive to form an intermediate laminate. Thereafter, a urethane-based primer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 μm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propylene resin surface of the intermediate laminate, and the ionizing radiation-curable resin is dried by a gravure reverse coating method on the urethane-based primer layer and coated to have a thickness of 15 μm. ㆍ Dry to form an uncured electron radiation curable resin layer, and irradiate and harden the electron beam (acceleration voltage 175 KeV, irradiation dose 5Mrad) in an uncured electron radiation curable resin layer under an oxygen concentration of 200 PPM or less. In addition to forming a surface protective layer consisting of, the embossing process of a wood conduit-shaped embossing plate having a plate depth of 50㎛ from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side to form a decorative sheet formed with a concave-convex shape of the wood grain conduit.

바닥재용 적층체의 조정Adjustment of laminate for flooring

실험예 C1Experimental Example C1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비정성 PET라 함)을 심재층으로 하고서, 이 심재층의 양면에 비정성 PET/폴리아릴레이트 = 50/50(질량%)의 혼합수지를 두께비가 1/8/1이 되도록 T다이압출기로 함께 압출해서 0.4mm 두께의 합성수지층으로 제공되는 합성수지제 시트를 만들었다. 다음, 상기 합성수지제 시트와 상기와 같이 만든 화장시트를 폴리에스테르우레탄계 접착제를 가지고 드라이라미네이션 법으로 적층시킨 적층체를 만들어, 이 적층체의 상기 합성수지제 시트면과 12mm 두께의 라왕합판을 수용성 우레탄계 에멀젼접착제를 매개로 적층시켜 본 발명의 바닥재용 적층체를 만들었다.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morphous PET) is used as the core layer, and the mixed ratio of amorphous PET / polyarylate = 50/50 (mass%) is 1/8 on both sides of the core layer. Extruded together with a T-die extruder to make / 1 to make a synthetic resin sheet provided as a 0.4 mm thick synthetic resin layer. Next, the synthetic resin sheet and the cosmetic sheet made as described above were laminated with a dry lamination method using a polyester urethane-based adhesive, and the synthetic resin sheet surface and the lawang plywood having a thickness of 12 mm were water-soluble urethane emulsions. The adhesive laminate was used to make the laminate for floo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실험예 C2Experimental Example C2

비정성 PET의 양면에 비정성 PET/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 60/40 (질량%)인 혼합수지를 두께비가 1/14/1가 되도록 T다이압출기로 함께 압출한 0.4mm 두께의 합성수지제 시트를 이용하는것 말고는 실험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본 발명의 바닥재용 적층체를 만들었다.   A 0.4 mm thick synthetic resin sheet extruded together with a T-die extruder to have a thickness ratio of 1/14/1 on both sides of the amorphous PET was mixed with amorphous PET / polyethylene naphthalate = 60/40 (mass%). A 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s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실험예 C3Experimental Example C3

0.4mm 두께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합성수지제 시트를 이용하는 것 말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본 발명의 바닥재용 적층체를 만들었다.   A laminate for floo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0.4 mm thick polybutylene terephthalate synthetic resin sheet was used.

예 C1Example C1

0.4mm 두께의 비정성 PET의 합성수지제 시트를 이용한 것 말고는 실험예 1과 마찬가지로 비교예로 되는 바닥재용 적층체를 만들었다.   Except for using a synthetic resin sheet of 0.4mm thick amorphous PET, a 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 as a comparative example was made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예 C2Example C2

상기 대로 제작한 화장시트를 이 화장시트의 표면보호층이 표출되도록 12mm 두께의 라왕합판과 수용성 우레탄계 에멀젼접착제를 매개로 적층시켜 비교예로 되는 바닥재용 적층체를 만들었다.   The decorative sheet prepared as described above was laminated with a 12 mm thick Rawang plywood and a water-soluble urethane-based emulsion adhesive so that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of the decorative sheet was exposed to make a flooring laminate as a comparative example.

평가시험 CEvaluation Exam C

다음과 같이 평가시험을 한 결과는 표 C에 기재된 겉과 같다.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test as follows are shown in Table C.

시험 C1 :내수축현상 평가Test C1: Evaluate shrinkage phenomenon

실험예 1 ~ 비교예 2의 바닥재용 적층체에서, (A) 60℃와 (B) 80℃의 항온조 내에 24시간 보관하고서, 화장층 표면의 수축현상 유무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았다.  In the flooring laminates of Experimental Examples 1 to 2, it was stored for 24 hours in a thermostat of (A) 60 ° C and (B) 80 ° C,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shrinkage on the surface of the cosmetic layer was visually evaluated. Evaluation criteria were as follows.

평가 A: 수축 현상 무  Evaluation A: No shrinkage phenomenon

평가 B: 수축현상 약간 유  Evaluation B: Slight Shrinkage

평가 C: 수축현상 유.  Evaluation C: Shrinkage.

시험 C2 :내캐스터성 및 듀폰내충격성 시험Test C2: Caster resistance and DuPont impact resistance test

실험예 1 ~ 비교예 2의 바닥재용 적층체에서, 내캐스터 시험 및 내충격성 시험을 시행하였다. 시험방법은 실험예 A에 기재된 것과 마찬가지로 행하였다. 양시험의 평가는 바닥재용 적층체의 함몰깊이(㎛)를 측정하였다.   In the flooring laminates of Experimental Examples 1 and 2, the caster test and the impact resistance test were conducted. The test method was performed similarly to what was described in Experimental example A. Evaluation of both tests measured the depth of depression (micrometer) of the laminated body for flooring materials.

시험 C3: 물성측정시험Test C3: Physical Property Test

실시예 1 ~ 비교예 2의 바닥재용 적층체를 이용한 합성수지제 시트 또는 화장시트의 각종 물성치, 구체적으로 침입온도(단위: ℃), 항복점 하중(단위: kgf), 인장 탄성율(단위: kgf/mm2), 항복신장율(단위:%)를 측정하였다. Various physical properties of the synthetic resin sheet or the cosmetic sheet using the laminate of the flooring material of Examples 1 to 2, specifically, intrusion temperature (unit: ℃), yield point load (unit: kgf), tensile modulus (unit: kgf / mm 2 ), yield yield rate (unit:%) was measured.

표 CTable C

시험/  exam/ 실험예 C1  Experimental Example C1 실험예 C2  Experimental Example C2 실험예 C3 Experimental Example C3 예 C1  Example C1 예 C2  Example C2 시험 C1 Exam C1 보관조건 Storage condition (A)    (A) A    A A    A A    A B    B C    C (B)    (B) A    A A    A A    A C    C C    C 시험 C2 Exam C2 내캐스터성   Cast resistance 90    90 80    80 90    90 110   110 220   220 내충격성   Impact resistance 270    270 220   220 210   210 250   250 560   560 시험 C3 Exam C3 침입온도  Intrusion temperature 90    90 100   100 210   210 70    70 측정불능  Inability to measure 항복점 하중  Yield point load 24    24 24    24 22    22 23    23 3.5     3.5 인장 탄성율  Tensile modulus 160    160 160   160 156   156 160   160 93    93 항복 신장율  Yield Elongation 4 .8    4 .8 5.0     5.0 5.5     5.5 5.0     5.0 10    10

(실험예 D)Experimental Example D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해 다음의 실험예 D를 가지고 설명한다.  Next,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Experimental Example D below.

시험예 D1Test Example D1

(1) 화장층의 제작 (1) Preparation of the makeup layer

양면을 코로나방전처리한 60μ두께의 착색 폴리프로필렌필름(기재)의 한쪽 면에 2㎛ 두께의 우레탄계 프라이머층을 형성하고 다른 면에 2액경화형 우레탄계 인쇄잉크로 나뭇결모양의 무늬층을 형성하였다. 다음, 무늬층 상에 우레탄계 접착제층을 매개로 프로필렌계 수지로 이루어진 투명성 수지층을 T다이압출기로 두께가 80㎛가 되도록 압출해서 중간적층체를 만든 다음, 이 중간적층체의 상기 투명한 수지\층 면에 2㎛ 두께의 우레탄계 프라이머층을 형성하고, 이 우레탄계 프라이머층 상에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를 그라비아리버스 코팅법으로 건조시킨 후 15㎛ 두께 가 되도록 도포ㆍ건조시켜 미경화의 전자방사선경화형 수지층을 형성하고 나서, 이 미경화의 전자방사선경화형 수지층에 산소농도 200ppm 이하의 환경 하에서 전자선(가속전압 175KeV, 조사량 5Mrad)를 조사해서 경화시켜 전자방사선경화형 수지로 된 표면보호층을 형성하였다. 다음, 표면보호층쪽에서부터 판깊이 50㎛의 나뭇결도관모양의 엠보싱판으로 엠보싱가공을 시행하여 나뭇결도관상 요철모양이 형성된 화장시트(화장층)를 만들었다.   A two-micrometer-thick urethane-based primer layer was formed on one side of a 60 µ thick colored polypropylene film (substrate) treated with corona discharge on both sides, and a grain-shaped pattern layer was formed on the other side by a two-liquid curable urethane-based printing ink. Next, the transparent resin layer made of propylene-based resin was extruded on the patterned layer with a T-die extruder to a thickness of 80 μm to form an intermediate layer, and then the transparent resin layer of the intermediate layer was formed. A 2 μm-thick urethane primer layer was formed on the surface, and the ionizing radiation-curable resin was dried on the urethane-based primer layer by gravure reverse coating, and then applied and dried to a thickness of 15 μm to form an uncured electron radiation-curable resin layer. After the formation, the uncured electron radiation-curable resin layer was irradiated with an electron beam (acceleration voltage 175 KeV, irradiation dose 5 Mrad) in an environment of oxygen concentration of 200 ppm or less to form a surface protective layer made of an electron radiation curable resin. Next, embossing was performed on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side of the embossed plate of the wood grain conduit of 50㎛ depth to make a decorative sheet (cosmetic layer) in which the concave-convex shape of the wood grain conduit was formed.

(2) 합성수지층의 제작 (2) Preparation of synthetic resin layer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하, 비정성 PET라 칭함)를 심재층으로 하고, 이 심재층의 양면에 비정성 PET/PETG=60/40의 혼합층에 의해 사이에 끼워진 구조 (혼합층/심재층/혼합층의 두께비=1/8/1)로 되도록 T다이 압출기로 공압출하여 0.4mm 두께의 합성수지시트 (합성수지층)을 만들었다.   A structure made of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morphous PET) as a core layer and sandwiched by a mixed layer of amorphous PET / PETG = 60/40 on both sides of the core layer (mixed layer / core layer / mixed layer) Co-extruded with a T-die extruder so as to have a thickness ratio of 1/8/1) to make a 0.4 mm thick synthetic resin sheet (synthetic resin layer).

(3) 합성수지층과 화장층의 적층 (3) Lamination of synthetic resin layer and makeup layer

상기 (1)의 화장시트의 이면(우레탄계 프라이머층)에 우레탄계 접착제를 가지고 드라이라미네이션법으로 적층함으로써 바닥재용 화장시트를 만들었다.   The flooring decorative sheet was made by laminating | stacking by the dry lamination method with the urethane type adhesive agent on the back surface (urethane type primer layer) of the cosmetic sheet of said (1).

(4) 바닥재의 제작 (4) fabrication of flooring

상기 (3)에서 만들어진 시트를 써서, 이 시트의 합성수지시트면과 라왕합판(두께 12mm)을 수용성우레탄계 에멀젼접착제를 매개로 적층시켜 본 발명의 바닥재를 만들었다.   Using the sheet made in (3) above, the synthetic resin sheet surface and the lawang plywood (thickness 12 mm) were laminated through a water-soluble urethane-based emulsion adhesive to form the floor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예 D1Example D1

합성수지층으로 A-PET 단층으로 한 것 말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화장시트 및 바닥재를 만들었다.   A cosmetic sheet and a flooring material were made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PET single layer was used as the synthetic resin layer.

예 D2Example D2

합성수지층으로 PETG 단층으로 한 것 말고는 실험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화장시트 및 바닥재를 만들었다.   A synthetic sheet and a flooring material were made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except that the PETG monolayer was used as the synthetic resin layer.

평가시험 DEvaluation Test D

상기대로 작성한 실시예 E1 ~ 예 2의 구성을 가진 화장시트에 대해 합성수지층과 화장층 사이에서의 박리강도를 조사하였다.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를 따라 하였고, 그 결과는 표 E에 나타내었다.  The peeling strength between the synthetic resin layer and the makeup layer was investigated for the makeup sheet having the configuration of Examples E1 to Example 2 prepared as described above. The test method was performed in the following order,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E.

(1) 전처리(1) pretreatment

각 합성수지층을 -10℃, 8℃, 25℃, 40℃, 60℃, 70℃, 및 80℃의 조건 하에다 정치하고서 48시간 또는 7일이 경과한 것을 상온환경 하에 이동시켰다.   Each synthetic resin layer was allowed to stand under conditions of -10 ° C, 8 ° C, 25 ° C, 40 ° C, 60 ° C, 70 ° C, and 80 ° C, and 48 hours or 7 days elapsed and moved under normal temperature environment.

(2) 화장층과의 적층(2) lamination with makeup layer

화장층의 한쪽 면에 두께 2㎛의 우레탄계 프라이머층을 형성시킨 후, 다시 우레탄계 접착제를 이용해서 각 합성수지층과 드라이라미네이션법(70℃)으로 적층시켰다. 드라이라미네이션 후 상온 하에서 5일간 양생(養生)한 것을 시험체로 하였다.   After the urethane-based primer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 μm wa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osmetic layer, each of the synthetic resin layers and the dry lamination method (70 ° C.) were laminated using a urethane-based adhesive. After dry lamination, the test body was cured for 5 days at room temperature.

(3) 박리시험(3) Peel test

각 시험체를 박리시험기(제품명 「RTC1210-A」오리엔테크 제품)으로 합성수지층과 화장층과를 박리시켜 그 박리강도를 측정하였다.   Each test body was peeled off with the peeling tester (product name "RTC1210-A" Orient Tech), and the peeling strength was measured.

표 DTable D

온도(℃)    Temperature (℃) 실험예 D1  Experimental Example D1 예 D1     Example D1 예 D2     Example D2 48시간     48 hours -10     -10 67.0    67.0 55.7     55.7 58.3    58.3 8      8 64.3    64.3 63.0     63.0 58.1    58.1 25     25 72.2    72.2 68.1     68.1 61.7    61.7 40     40 64.4    64.4 57.0★     57.0 55.2    55.2 60     60 65.2    65.2 63.9★     63.9 57.0    57.0 70     70 65.9    65.9 41.9★     41.9 57.7    57.7 7일간    7 days -10    -10 70.0    70.0 65.1     65.1 55.8    55.8 8      8 71.5    71.5 55.1     55.1 62.6    62.6 25     25 72.2    72.2 68.1     68.1 61.7    61.7 40     40 69.0    69.0 63.8★     63.8 64.5    64.5 60     60 69.6    69.6 61.3★     61.3 59.0    59.0 70     70 68.2    68.2 24.8★     24.8 ★ 60.6    60.6

단위는 N/25m 명폭(皿幅), (★)는 층간박리가 인지됨을 의미함 Unit is N / 25m clear width (皿 幅), (★) means interlayer separation is recognized.

실험예 E1Experimental Example E1

다음에는 발명의 제4실시예를 실험예 E를 가지고 설명한다.  Next, a fourth embodiment of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Experimental Example E. FIG.

화장시트의 조제Preparation of Cosmetic Sheet

양면을 코로나방전처리한 60μ두께의 착색 폴리프로필렌필름의 한쪽 면에 우레탄셀룰로스계 수지(우레탄 및 초화면(硝化綿)의 혼합물 100중량%에 대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5중량%를 첨가한 것)를 그라비아도장법으로 고형분 2g/m2이 되도록 도장하여 이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다른 면에는 아크릴우레탄계 수지(아크릴폴리올 100중량%에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5중량%를 첨가한 것)을 그라비아도장법으로 고형분 2g/m2이 되도록 도장하여 인쇄용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Urethane cellulose-based resin (with 5% by weight of hexamethylene diisocyanate added to 100% by weight of a mixture of urethane and ultra-fine) on one side of a 60 μ thick colored polypropylene film treated with corona discharge. The gravure coating method was applied to obtain a solid content of 2 g / m 2 to form a primer layer on the back surface. On the other side, acrylic urethane resin (what added 5 weight% of hexamethylene diisocyanate to 100 weight% of acryl polyol) was apply | coated so that it might become solid content 2g / m <2> by the gravure coating method, and the primer layer for printing was formed.

이어, 아크릴우레탄계 수지(아크릴폴리올 100중량%에 대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5중량%를 첨가한 것)을 바인더로 한 인쇄잉크를 가지고 그라비아 인쇄 를 해서 베타잉크층 및 무늬잉크층을 차례로 형성함으로써 나뭇결 및 추상모양의 무늬층을 형성하였다. Next, gravure printing was carried out with a printing ink made of an acrylic urethane resin (having added 5% by weight of hexamethylene diisocyanate to 100% by weight of acrylic polyol) as a binder to form a beta ink layer and a patterned ink layer. An abstract patterned layer was formed.

다음, 우레탄계 접착제를 무늬층 상에 도장한 후, 그 위에서부터 프로필렌계 수지를 두께 80㎛가 되도록 T다이압출기로 가열용융압출시켜 투명성 수지층을 형성하였다. Next, after urethane-based adhesive was coated on the patterned layer, propylene-based resin was hot melt extruded with a T-die extruder to form a transparent resin layer from above.

상기 투명성 수지층에 코로나방전처리를 시행하고, 그 처리면에 아크릴우레탄계 수지(아크릴폴리올 100중량%에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5 중량%를 첨가한 것)를 그라비아도장법에 의해 도장하여 표면보호층용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Corona discharge treatment was performed on the transparent resin layer, and an acrylic urethane resin (having 5% by weight of hexamethylene diisocyanate added to 100% by weight of acrylic polyol) was coated on the treated surface by gravure coating to coat a primer layer for a surface protective layer. Formed.

표면보호층용 프라이머층 상에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전자선경화형 수지를 롤코팅법으로 고형분 15g/m2이 되도록 도포해서 건조시킨 후, 미경화의 전자방사선경화형수지층에다 산소농도 200ppm 이하의 환경 하에서 전자선(가속전압 175KeV, 조사량 5Mrad)를 조사해서 경화시켜 전자방사선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진 표면보호층을 형성하였다. After urethane acrylate electron beam-curable resin was applied to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primer layer by a roll coating method so as to have a solid content of 15 g / m 2 and dried, an electron beam (with an oxygen concentration of 200 ppm or less was added to an uncured electron radiation-curable resin layer). Acceleration voltage 175 KeV, irradiation amount 5 Mrad) was irradiated and hardened to form the surface protection layer which consists of an electron radiation curable resin.

이어, 표면보호층쪽에서부터 판깊이 50㎛의 나뭇결도관모양의 엠보싱판 또는 목기(木肌)ㆍ추상조 엠보싱판으로 엠보싱가공을 시행하여 나뭇결 도관상 또는 나무판에 추상형 요철모양을 형성시킨 화장층을 만들었다. Subsequently, an embossed plate or a wood or abstract embossing plate having a depth of 50 μm from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was embossed to form an abstract concave-convex shape on the grained conduit or wooden board. Made.

합성수지층의 조제Preparation of Synthetic Resin Layer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A-PET)를 심재층으로 하고서, 그 양면에 A-PET 60중량%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40중량%인 혼합수지층이 혼합수지층/심 재층/혼합수지 층= 1/14/1의 두께비가 되도록 T다이압출기로 함게 압출하는 공법으로 두께 0.4mm의 합성수지시트(합성수지층)를 만들었다.   A mixed resin layer made of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PET) as a core layer and having 60% by weight of A-PET and 40% by weight of polyethylene naphthalate is mixed resin layer / core layer / mixed resin layer = 1 / A synthetic resin sheet (synthetic resi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0.4 mm was produced by a method of extrusion together with a T die extruder so as to have a thickness ratio of 14/1.

합성수지층과 화장층과의 적층Lamination of Synthetic Resin and Makeup Layer

화장층의 이면 프라이머층에 다시 우레탄계 접착제층을 개재시켜 합성수지층을 드라이라미네이트법으로 적층함으로써 바닥재용 화장시트를 만들었다.   The backing primer layer of the makeup layer was further laminated with a urethane-based adhesive layer to laminate a synthetic resin layer by a dry laminate method, thereby making a floor covering cosmetic sheet.

바닥재용 적층체의 조제Preparation of laminate for flooring

상기 (3)의 바닥재용 화장시트의 합성수지층 면에 라왕합판(두께 12mm)을 수용액 에멀젼계 접착제으로 적층시키고, 소정의 치수(300mm×1800mm)로 재단한 후, 테노너를 가지고 4변을 밀봉가공하고, 다시 화장층쪽에서부터 라왕합판에 이르는 깊이의 V형 홈을 바닥재 평면에서 바라본 장척(長尺)방향 및 단척방향으로 형성시켯다. 또, 바닥재 양면에서부터 본 장척방향 측면부에 모따기부를 형성시켰다. 이렇게 해서 형성된 V형 홈 모따기부의 전체에 수계(水系) 2액경화형 우레탄계 착색도료를 도포함과 더불어 와이핑처리를 함으로써 V형 홈 및 모따기부에 도포층을 형성시켜 소정의 바닥재를 만들었다.   La king plywood (thickness 12mm) is laminated on the synthetic resin layer surface of the flooring decorative sheet of (3) with an aqueous emulsion-based adhesive, cut into predetermined dimensions (300mm × 1800mm), and then sealed with four sides with tenoners. In addition, a V-shaped groove having a depth from the side of the makeup layer to the Rawang plywood was formed in the long direction and the short direction viewed from the flooring plane. Moreover, the chamfer was formed in the long side part seen from both surfaces of flooring. The coating layer was formed on the V-shaped grooves and the chamfers by forming a coating layer on the V-shaped grooves and the chamfers by coating the water-based two-liquid curable urethane-based coloring paint on the whole of the V-shaped groove chamfers formed in this way and making a predetermined floor.

예 E1Example E1

홈으로 라왕합판에 이르지 않고 합성수지층의 중간까지의 깊이를 가진 홈을 형성시키는 것 말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바닥재를 만들었다.   Except for forming a groove having a depth up to the middle of the synthetic resin layer without reaching the Rawang plywood as the groove was made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평가시험 EEvaluation test E

시험 E1 : 휘어짐 내성시험  Test E1: Bending Resistance Test

실시예 E1 및 예1에서 만들어진 바닥재에서, 그 「휘어진 량」을 측정하였 다. 측정방법은, 각 바닥재를 온도 35℃ㆍ습도 60%RH의 조건 하에 7일간 방치한 후, 다시 온도 0℃ㆍ습도 30%RH의 조건 하에서 7일간 방치한 후 휘어진 정도를 시험 전의 상태와 비교해서 최대로 휘어진 길이를 측정하고서 그 결과를 표 E에 나타내었다. In the flooring made in Example E1 and Example 1, the "amount of curvature" was measured. In the measuring method, each flooring material was left for 7 days under the condition of temperature 35 ° C and 60% RH, and then left for 7 days under the condition of temperature 0 ° C and 30% RH. The maximum bending length was measu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E.

표 ETable E

평가 1    Rating 1 실험예 E1   Experimental Example E1 예 E1     Example E1 휘어짐 길이   Bending length 2mm      2 mm 5mm      5 mm

(실험예 F)Experimental Example F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다른 예에 대해 실험예 F를 가지고 설명한다.   Next, another example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Experimental Example F. FIG.

조제예 F1Formulation F1

수성도료의 조제Preparation of Water-based Paints

아크릴우레탄계 수지(제품명 「폰코트CG-5000」(다이니뽄잉크화학공업, 우레탄/아크릴 복합에멀젼) 약 31중량%(고형분), 본질안료(실리카) 약 7중량%, 실리콘 2중량%, 이소프로필알콜 5중량% 및 물 54중량%가 되도록 각 성분을 배합해서 혼합시켰다. 한편, 경화제로는 이소시아누레이트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물과 1 : 1 (중량비)로 혼합하고서, 이를 상기 혼합물 100중량%에 대해 20중량% 혼합하였다. 그에 따라 수성 에멀젼으로 이루어진 수성도료를 얻을 수 있었다.   Acryl urethane resin (Product name `` Pont coat CG-5000 '' (Daniyek Ink Chemical Co., Ltd., Urethane / Acrylic complex emulsion) Approx. 31% by weight (solid content), Intrinsic pigments (silica) Approx. 7% by weight, Silicone 2% by weight, Isopropyl Each component was mixed and mixed so that 5% by weight of alcohol and 54% by weight of water were mixed, while isocyanurate-based polyisocyanate was mixed with water in a ratio of 1: 1 (by weight), which was 100% by weight of the mixture. 20% by weight of the mixture was obtained, thereby obtaining an aqueous coating composed of an aqueous emulsion.

조제예 F2Formulation F2

바닥재Flooring

가장 먼저, 화장층을 쓰이는 화장시트를 만들었다.   First of all, a make-up sheet was used for the make-up layer.

(1) 화장층시트(1) Cosmetic layer sheet

양면을 코로나방전처리한 60μ두께의 착색 폴리프로필렌필름의 한쪽 면에 우레탄셀룰로스계 수지(우레탄 및 초화면의 혼합물 100중량%에 대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5 중량%를 첨가한 것)를 그라비아도장법으로 고형분이 2g/m2가 되도록 도장하여 이면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다른쪽 면에는 아크릴우레탄계 수지(아크릴폴리올 100중량%에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5 중량%를 첨가한 것)를 그라비아도장법으로 고형분이 2g/m2가 되도록 도장하여 인쇄용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Solid content by gravure coating of urethane cellulose-based resin (with 5% by weight of hexamethylene diisocyanate added to 100% by weight of a mixture of urethane and initial screen) on one side of 60μ thick colored polypropylene film treated with corona discharge. It coated so that it might become 2 g / m <2> , and the back primer layer was formed. On the other side, an acrylic urethane resin (having 5% by weight of hexamethylene diisocyanate added to 100% by weight of acrylic polyol) was coated by gravure coating to form a solid content of 2g / m 2 to form a primer layer for printing.

이어, 아크릴우레탄계 수지(아크릴폴리올 100중량%에 대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5중량%를 첨가한 것)을 바인더로 하는 인쇄잉크를 가지고 그라비아 인쇄로 베타잉크층 및 도안잉크층을 차례로 형성시켜 나뭇결 및 추상모양의 무늬층을 형성하였다. Subsequently, a beta ink layer and a pattern ink layer were sequentially formed by gravure printing with a printing ink containing an acrylic urethane resin (having added 5% by weight of hexamethylene diisocyanate to 100% by weight of acrylic polyol) as a binder. A patterned layer was formed.

계속해서 우레탄계 접착제를 무늬층 상에다 도장한 후, 그 위에서부터 프로필렌계 수지를 두께 80㎛가 되도록 T다이압출기로 가열용융압출해서 투명성 수지층을 형성하였다. Subsequently, after urethane-based adhesive was applied onto the patterned layer, propylene-based resin was hot melt-extruded with a T-die extruder to form a transparent resin layer from above.

상기 투명성 수지층에 코로나방전처리를 시행하고, 그 처리면에 아크릴우레탄계 수지(아크릴폴리올 100중량%에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5 중량%를 첨가한 것)를 그라비아도장법으로 도장해서 표면보호층용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Corona discharge treatment was performed on the transparent resin layer, and an acrylic urethane resin (having 5% by weight of hexamethylene diisocyanate added to 100% by weight of acrylic polyol) was coated on the treated surface by gravure coating to coat the primer layer for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Formed.

표면보호층용 프라이머층 상에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전자선경화형 수지를 롤코팅법으로 고형분이 15g/m2 가 되도록 도장해서 건조시킨 후, 미경화의 전자방사선경화형 수지층에 산소농도 200ppm 이하의 환경 하에서 전자선(가속전압 175KeV, 조사량 5Mrad)을 조사해서 경화시켜 전자방사선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진 표면보호층을 형성하였다. After urethane acrylate-based electron beam-curable resin was coated and dried so that the solid content was 15 g / m 2 on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primer layer by using a roll coating method, an electron beam was applied to an uncured electron radiation-curable resin layer under an oxygen concentration of 200 ppm or less. (Acceleration voltage 175 KeV, irradiation amount 5 Mrad) was irradiated and cured to form a surface protective layer made of an electron radiation curable resin.

이어, 표면보호층쪽에서부터 판깊이 50㎛인 나뭇결도관상 엠보싱판 또는 나무판에 추상모양을 엠보싱판으로 엠보싱가공을 해서 나뭇결도관모양 또는 목판에 추상모양이 요철로 형성된 화장층을 만들었다. Subsequently, an embossing process was applied to the wood grained conduit-shaped embossing plate or the wood plate having a plate depth of 50 μm from the surface protective layer side to form a cosmetic layer having an abstract shape on the wood grain conduit shape or the wood plate.

(2) 합성수지층의 조제 (2) Preparation of synthetic resin layer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A-PET)를 심재층으로 하고, 그 양면에 A-PET 60중량%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40중량%의 혼합수지층이 혼합수지층/심재층/혼합수지층 = 1/14/1의 두께비가 되도록 T다이압출기로 공압출법으로 두께 가 0.4mm인 합성수지시트(합성수지층)을 만들었다.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PET) is used as the core layer, and a mixed resin layer of 60 wt% A-PET and 40 wt% polyethylene naphthalate is mixed resin layer / core layer / mixed resin layer on both sides thereof. Co-extrusion method was used to produce a thickness ratio of 14/1, and a synthetic resin sheet (synthetic resi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0.4 mm was made.

(3) 합성수지층과 화장층과의 적층 (3) Lamination of Synthetic Resin Layer and Makeup Layer

화장층의 이면 프라이머층에 다시 우레탄계 접착제층을 개재시켜 합성수지층을 드라이라미네이트법으로 적층함으로써 바닥재용 화장시트를 만들었다.   The backing primer layer of the makeup layer was further laminated with a urethane-based adhesive layer to laminate a synthetic resin layer by a dry laminate method, thereby making a floor covering cosmetic sheet.

(4) 바닥재의 조제 (4) preparation of flooring

상기 (3)의 바닥재용 화장시트의 합성수지층 면에 라왕합판(두께 12mm)을 수용액 에멀젼계 접착제로 적층하고서, 소정의 치수(300mm×1800mm)로 재단한 후, 테노너를 가지고 4변에 밀봉가공을 행하고, 다시 화장층쪽에서부터 라왕합판에 이 르는 깊이의 V형 홈을 바닥재 평면으로부터 본 장척방향 및 단척방향으로 형성시켰다. 또, 바닥재 양면에서 바라본 장척방향 측면부에 모따기부를 형성시켰다.   The lawang plywood (thickness 12mm) is laminated on the synthetic resin layer surface of the flooring decorative sheet of (3) with an aqueous emulsion-based adhesive, cut into predetermined dimensions (300mm × 1800mm), and sealed at four sides with a tenoner. Then, a V-shaped groove having a depth from the side of the makeup layer to the Rawang plywood was formed in the long direction and the short direction viewed from the flooring plane. Moreover, the chamfer was formed in the side part of the elongate direction seen from both sides of the flooring material.

실험예 F1Experimental Example F1

제조예 1에서 얻어진 수용성 도료를 이용하여, 제조예 2의 바닥재의 V자형 구와 모따기부의 전체에 도포함과 더불어 와이핑 처리함으로써 조홈 및 모따기부에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Using the water-soluble paint obtained in Production Example 1, the coating layer was formed on the groove and the chamfer by coating and wiping the entire V-shaped sphere and the chamfer of the flooring material of Production Example 2.

예 F1Example F1

수성도료로 시판의 수성 우레탄도료를 사용하는 것 말고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A coating layer wa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commercially available aqueous urethane paint was used as the aqueous paint.

평가시험 FEvaluation test F

실시예 F1 및 예 F1에서 형성된 도포층에서, 1) 내수성, 2) 내습열성, 3) 내신너성, 4) 내산성, 5) 내알칼리성, 6) 셀로테이프(상표명)의 밀착성시험, 7) 내기후성에 대해 각각 조사하였다.   In the coating layers formed in Examples F1 and F1, 1) water resistance, 2) moist heat resistance, 3) thinner resistance, 4) acid resistance, 5) alkali resistance, 6) adhesion test of cello tape (trade name), 7) weather resistance Each was investigated.

각 시험방법은 다음과 같이 하여 실시하였다. Each test method was performed as follows.

1) 내수성시험 ;1) water resistance test;

컵투수(cup 透水) 시험을 하였다. 시험체에 144시간 동안 물방울을 접촉시킨 후 물방울 제거한 다음 시험체의 외관에 변화가 있는지 유무를 확인하였다. 외관변화가 인지되지 않는 것을 합격으로 하였다.   A cup permeation test was performed. After the water droplets were contacted with the water droplets for 144 hours, the water droplets were removed, and then the appearance of the test bodies was checked for changes. The pass that the change of appearance was not recognized was made into the pass.

2) 내습열성 시험 :2) Moisture and heat resistance test:

JAS습열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체를 수평으로 고정한 후, 시험체 표면에 뜨거운 물이 떨어지도록 하고서, 그 위에 0.5L의 끓는 물을 넣은 1L 용량의 알루미늄용기를 20분 간 방치한 후, 건조한 직포로 마찰하고서, 그대로 24시간 방치하였다가, 24시간이 경과한 후 외관변화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외관변화가 인지되지 않는 것을 합격으로 하였다.   JAS wet heat test was performed. After the test piece was fixed horizontally, hot water fell on the test piece surface, and a 1 L aluminum container containing 0.5 L of boiling water was allowed to stand for 20 minutes, followed by rubbing with a dry woven fabric and left for 24 hours as it was. After 24 hour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ppearance change was confirmed. The pass that the change of appearance was not recognized was made into the pass.

3) 내신너성시험 ;3) thinner resistance test;

시험체의 홈 표면에다 신너를 떨어뜨린 후 4시간 방치 후의 외관변화 유무를 확인하였다. 외관변화가 인지되지 않는 것을 합격으로 하였다.   After the thinner was dropped on the groove surface of the test body, the appearance change after 4 hours of standing was checked. The pass that the change of appearance was not recognized was made into the pass.

4) 내산성 시험:4) Acid Resistance Test:

시험체의 홈 표면에 10%의 염산수용액을 떨어뜨린 후 4시간 방치한 다음의 외관변화 유무를 확인하였다. 외관변화가 인지되지 않는 것을 합격으로 하였다.   10% aqueous hydrochloric acid solution was dropped on the groove surface of the test specimen, and left for 4 hours. The pass that the change of appearance was not recognized was made into the pass.

5) 내알칼리성 시험 ;5) alkali resistance test;

시험체의 홈 표면에 10%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떨어뜨린 후 4시간 방치한 다음 외관변화 유무를 확인하였다. 외관변화가 인지되지 않는 것을 합격으로 하였다.   10% aqueous sodium hydroxide solution was dropped on the groove surface of the test specimen, and left for 4 hours, and then the appearance was changed. The pass that the change of appearance was not recognized was made into the pass.

6) 셀로테이프(상표명)의 밀착성 시험:6) Adhesion test of cello tape (trade name):

셀로테이프(일본국 니치반 제품)를 도장막에다 압착시켰다가 수직방향으로 떼어내었을 대 거의 박리가 일어나지 않은 것을 합격으로 하였다.   When the cello tape (manufactured by Nichiban, Japan) was pressed onto the coating film and peeled off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ass was judged to have hardly peeled.

7) 내후성 시험:7) Weather Resistance Test:

내광성시험기(sunshine fade meter)를 500시간 동안 조사한 후 외관변화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외관변화가 인지되지 않는 것을 합격으로 하였다.   After sunshine fade meter was irradiated for 500 hour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ppearance change was observed. The pass that the change of appearance was not recognized was made into the pass.

평가시험 결과Evaluation test result

실시예 F1은 전부의 항목에서 합격한데 대해, 예 F1은 모든 항목에서 불합격 이었다.         Example F1 passed all the items, while Example F1 failed all the items.

본 발명에 의한 바닥재용 적층체에 의해, 합성수지층이 2 이상의 독립된 구획으로 구분되어, 나무재질 기재와 합성수지층과의 열팽창차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열팽창차로 인해 휘어지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 내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층과 화장층과의 접착성이 개선된 바닥재용 시트 및 그를 이용한 바닥재용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By the laminate for flo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ynthetic resin layer is divided into two or more independent compartments, so that the thermal expansion difference between the wood substrate and the synthetic resin layer can be effectively absorbed, and the bending due to the thermal expansion difference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or prevented. hav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looring sheet having improved adhesion between the synthetic resin layer and the makeup layer and a flooring laminate using the same.

Claims (45)

나무재질기재 상에, 합성수지층과, 화장층을 차례로 적층하여 이루어진 바닥재용 적층체로, A 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s formed by laminating a synthetic resin layer and a makeup layer on a wood substrate, 상기 합성수지층은, 항복점 하중이 9kgf이상, 인장 탄성율이 50kgf/㎟이상, 항복신장률이 3~8%이고, The synthetic resin layer has a yield point load of at least 9 kgf, a tensile modulus of at least 50 kgf / mm 2, a yield extension of 3 to 8%,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에 시행된 내캐스터 시험의 결과는, 상기 표면의 함몰(凹) 깊이가 100㎛이하이고,  As a result of the caster test conducted on the surface of the cosmetic layer of the flooring laminate, the depth of depression of the surface was 100 µm or less, 상기 내캐스터 시험은, 회전가능한 캐스터 고정재, 상기 캐스터 고정재에 부착된 3개의 캐스터, 상기 캐스터 고정대와 접속하도록 된 가중부 및 시료 고정대로 이루어진 내캐스터 시험장치를 사용하여, The caster test, using the caster test device consisting of a rotatable caster fixture, three casters attached to the caster fixture, a weighting portion and a sample holder to be connected to the caster holder,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를 상기 시료 고정대에 고정하고, Fixing the flooring laminate to the sample holder, 상기 3개의 캐스터를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에 상기 가중부로 가중시켜 접촉하도록 해서, The three caster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weighted portion by weighting the surface of the laminate layer of the flooring material, 상기 캐스터 고정재를 가동(稼動)시켜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상으로 상기 3개의 캐스터를 회전시킨 후, After the caster fixing member is moved to rotate the three casters on the makeup layer side surface of the laminate for flooring, 상기 표면에 발생한 함몰의 깊이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고, It is performed by measuring the depth of depression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d on the said surface, 상기 캐스터는, 평균직경이 75㎜, 두께가 25㎜인 것이고, The caster is one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75 mm and a thickness of 25 mm,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에 부여된 가중이 70㎏이고, The weight given to the surface of the cosmetic layer side of the 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s is 70 kg, 상기 3개의 캐스터는 20rpm의 속도로 5분마다 반회전되어 1000회 회전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The three casters are laminated for flooring, characterized in that to rotate 1000 times by half rotation every 5 minutes at a speed of 20rp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은 항복점 하중이 12kgf이상이고, 항복 신장율이 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The lamin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ynthetic resin layer has a yield point load of 12 kgf or more and a yield elongation of 3 to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의 두께가 20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The lamin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synthetic resin layer is 200 µm or more.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층쪽 표면에서부터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The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 groove is formed from the surface of the cosmetic layer sid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바닥부는 상기 합성수지층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5. The laminate of claim 4, wherein the bottom portion of the groove is formed to be located in the synthetic resin laye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홈에 도료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The laminat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paint is applied to the grooves.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은 착색 수지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The flooring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synthetic resin layer is a colored resin layer.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The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synthetic resin layer is made of a polyester resi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2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The laminate for flooring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polyester resin is biaxially stretch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층의 표면상에 표면 보호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The floor covering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 surface protective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keup layer. 나무재질기재상에 합성수지층과 화장층이 차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바닥재용 적층체로서, A 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s in which a synthetic resin layer and a makeup layer are sequentially laminated on a wood material base, 상기 합성수지층은 침입온도(針入溫度)가 75℃이상, 항복점 하중이 10kgf이상, 인장 탄성율이 100kgf/㎟ 이상, 항복 신장율이 4~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The synthetic resin layer is a flooring lamin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rusion temperature is 75 ℃ or more, yield point load 10kgf or more, tensile modulus of 100kgf / mm 2 or more, yield elongation is 4 ~ 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에 시행된 내캐스터 시험의 결과는 상기 표면의 함몰깊이가 100㎛이하로서, The result of the caster test conducted on the surface of the cosmetic layer side of the laminate for flooring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depth of depression of the surface is 100 µm or less, 상기 내캐스터 시험이, 회전가능한 캐스터 고정재, 상기 캐스터 고정재에 부착된 3개의 캐스터, 상기 캐스터 고정대와 접속하도록 된 가중부 및 시료 고정대로 이루어진 내캐스터 시험 장치를 사용하여, The caster test uses a caster test apparatus consisting of a rotatable caster fixture, three casters attached to the caster fixture, a weighting portion and sample holder adapted to contact the caster holder,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를 상기 시료 고정대에 고정하고, Fixing the flooring laminate to the sample holder, 상기 3개의 캐스터를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에 상기 가중부로 가중시켜 접촉하도록 해서, The three caster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weighted portion by weighting the surface of the laminate layer of the flooring material, 상기 캐스터 고정재를 가동시켜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 상으로 상기 3개의 캐스터를 회전시킨 후, Operating the caster fixing member to rotate the three casters onto the cosmetic layer side surface of the flooring laminate; 상기 표면에 발생한 함몰의 깊이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고, It is performed by measuring the depth of depression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d on the said surface, 상기 캐스터는 평균직경이 75㎜, 두께가 25㎜인 것이고, The caster is 75 mm in average diameter, 25 mm in thickness,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에 부여된 가중은 70kg이고, The weight given to the surface of the cosmetic layer side of the 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 is 70 kg, 상기 3개의 캐스터는 20rpm의 속도로 5분마다 반회전되어 1000회 회전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The three casters are laminated for flooring, characterized in that to rotate 1000 times by half rotation every 5 minutes at a speed of 20rpm.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의 두께가 20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The laminate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synthetic resin layer has a thickness of 200 µm or more. 제 1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층쪽 표면에서부터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The floor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3, wherein a groove is formed from the surface of the cosmetic layer side. 제 1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바닥부는 상기 합성수지층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The floor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3, wherein the bottom of the groove is formed to be located in the synthetic resin layer. 제 15항에서, 상기 홈에 도료가 도포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The laminate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paint is applied to the grooves. 제 1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은 착색 수지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The flooring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3, wherein the synthetic resin layer is a colored resin layer. 제 1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이 주성분으로서의 비정성(非晶性)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이것보다 침입온도가 높은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The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3, wherein the synthetic resin layer is composed of an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s a main component and a polyester having a higher penetration temperature than this. 제 1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은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을 심재층으로 하고, 상기 심재층의 양면에 이것보다 침입온도가 높은 폴리에스테르층이 적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The synthetic resin lay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3, wherein the synthetic resin layer comprises an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layer as a core layer, and a polyester layer having a higher penetration temperature is laminated on both surfaces of the core layer. Laminate for flooring characterized in that.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층은 주성분으로서의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이것보다 침입온도가 높은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20. The laminate according to claim 19, wherein the polyester layer is composed of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s a main component and polyester having a higher penetration temperature than this.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을 구성하는 층의 적어도 1층이 착색 수지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20. The laminate according to claim 19, wherein at least one layer of the layers constituting the synthetic resin layer is a colored resin layer. 합성수지층과 그 위에 형성되는 화장층으로 구성된 바닥재용 시트로, Flooring sheet consisting of a synthetic resin layer and a cosmetic layer formed thereon, 상기 합성수지층은 단층 또는 2층 이상의 층구조를 가지고,The synthetic resin layer has a single layer or a layer structure of two or more layers, 상기 합성수지층이 단층인 경우에 상기 단층은 상기 합성수지층이 2층 이상인 경우에 그 중 적어도 한 층이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로 형성되고, When the synthetic resin layer is a single layer, the single layer is formed of at least one layer of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olymer when the synthetic resin layer is two or more layers,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는 에틸렌글리콜의 일부가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로 치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시트.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olymer sheet for flooring, characterized in that a part of ethylene glycol is substituted with 1,4-cyclohexane dimethanol.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은 3층 이상의 층구조를 가지고,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synthetic resin layer has a layer structure of three or more layers, 상기 3층 이상 층구조의 최상층과 최하층이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로 형성되고,The uppermost layer and the lowermost layer of the three or more layer structure are formed of an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olymer,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는 에틸렌글리콜의 일부가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로 치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시트.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olymer sheet for flooring, characterized in that a part of ethylene glycol is substituted with 1,4-cyclohexane dimethanol.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층과 상기 최하층과에 사이에 끼인 심재층이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시트.24. The flooring sheet according to claim 23, wherein the core layer sandwiched between the uppermost layer and the lowermost layer is formed of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제 22항 내지 제 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는 상기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의 총중량에 대해 20~90중량%의 양으로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시트.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2 to 24, wherein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olymer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20 to 9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olymer. Flooring sheet to be made. 제 22항 내지 제 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 및 상기 화장층은 우레탄계 접착제층 및/또는 우레탄계 프라이머층을 매개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시트.The floor covering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2 to 24, wherein the synthetic resin layer and the cosmetic layer are laminated via a urethane adhesive layer and / or a urethane primer layer. 제 22항 내지 제 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의 두께가 20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시트.The flooring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2 to 24,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synthetic resin layer is 200 µm or more. 나무재질 기재상에 제 22항 내지 제 2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닥재용 시트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바닥재용 적층체.The flooring laminated body formed by laminating | stacking the flooring sheet in any one of Claims 22-24 on a wooden material base material.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에서 화장층쪽 표면에 시행된 내캐스터 시험의 결과는 상기 표면의 함몰깊이가 100㎛이하로서, 29. The method of claim 28, wherein the result of the caster test conducted on the surface of the cosmetic layer in the flooring laminate has a depth of depression of 100 µm or less, 상기 내캐스터 시험은 회전가능한 캐스터 고정재, 상기 캐스터 고정재에 부착된 3개의 캐스터, 상기 캐스터 고정대와 접속하도록 된 가중부 및 시료 고정대로 이루어진 내캐스터 시험 장치를 사용하여, The caster test uses a caster test apparatus consisting of a rotatable caster fixture, three casters attached to the caster fixture, a weighting portion and sample holder adapted to contact the caster holder,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를 상기 시료 고정대에다 고정하고, Fixing the flooring laminate to the sample holder, 상기 3개의 캐스터를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에 상기 가중부로 가중시켜 접촉하도록 해서, The three caster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weighted portion by weighting the surface of the laminate layer of the flooring material, 상기 캐스터 고정재를 가동시켜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상으로 상기 3개의 캐스터를 회전시킨 후, Operating the caster fixing member to rotate the three casters onto the cosmetic layer side surface of the flooring laminate; 상기 표면에 발생한 함몰의 깊이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고, It is performed by measuring the depth of depression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d on the said surface, 상기 캐스터는 평균직경이 75㎜, 두께가 25㎜인 것이고, The caster is 75 mm in average diameter, 25 mm in thickness,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에 부여된 가중이 70㎏이고, The weight given to the surface of the cosmetic layer side of the 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s is 70 kg, 상기 3개의 캐스터는 20rpm의 속도로 5분마다 반회전되어 1000회 회전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The three casters are laminated for flooring, characterized in that to rotate 1000 times by half rotation every 5 minutes at a speed of 20rpm. 합성수지층과 그 위에 형성되는 화장층으로 이루어진 바닥재용 시트로, Flooring sheet consisting of a synthetic resin layer and a cosmetic layer formed thereon, 상기 합성수지층이 2이상의 독립된 구획으로 구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시트.Flooring sheet, characterized in that the synthetic resin layer is divided into two or more independent compartments.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은 단독 또는 2층 이상의 층구조를 가지고,The method of claim 30, wherein the synthetic resin layer has a single or two or more layer structure, 상기 합성수지층이 단층인 경우에는 상기 단층이, 또는 상기 합성수지층이 2층 이상이 경우에는 그 중의 적어도 1층이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로 형성되고,When the synthetic resin layer is a single layer, the single layer, or when the synthetic resin layer is two or more layers, at least one of them is formed of an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olymer,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는 에틸렌글리콜의 일부가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로 치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시트.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olymer sheet for flooring, characterized in that a part of ethylene glycol is substituted with 1,4-cyclohexane dimethanol.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은 3층 이상의 층구조를 가지고, The method of claim 30, wherein the synthetic resin layer has a layer structure of three or more layers, 상기 3층이상 층구조의 최상층과 최하층이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로 형성되고, The uppermost layer and the lowermost layer of the three or more layer structure are formed of an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olymer,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는 에틸렌글리콜의 일부가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로 치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시트.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olymer sheet for flooring, characterized in that a part of ethylene glycol is substituted with 1,4-cyclohexane dimethanol.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층과 상기 최하층과의 사이에 끼는 심재층은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시트.31. The flooring sheet according to claim 30, wherein the core layer sandwiched between the uppermost layer and the lowermost layer is formed of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제 30항 내지 제 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는 상기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의 총중량에 대하여 20~80중량%의 양으로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시트.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0 to 33, wherein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olymer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20 to 8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polymer. Flooring sheet to be made. 제 30항 내지 제 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 및 상기 화장층은 우레탄계 접착제층 및/또는 우레탄계 프라이머층을 매개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시트.34. The flooring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0 to 33, wherein the synthetic resin layer and the cosmetic layer are laminated via a urethane adhesive layer and / or a urethane primer layer. 제 30항 내지 제 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의 두께가 20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시트.34. The flooring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0 to 33,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synthetic resin layer is 200 µm or more. 나무재질 기재상에 제 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닥재용 시트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바닥재용 적층체. The flooring laminated body formed by laminating | stacking the flooring sheet in any one of Claims 22-24 on a wooden material base material. 제 37항에 있어서, 화장층쪽에서부터 나무재질 기재에 이르는 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합성수지층과 상기 화장층이 각각 2이상의 독립된 구획으로 구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38. The laminate of claim 37 wherein a groove is formed from the side of the makeup layer to the wood substrate so that the synthetic resin layer and the makeup layer are each divided into two or more independent compartments.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층을 2이상의 독립된 구획으로 구분되도록 하기 위해 노출된 구분부위 및 상기 합성수지층과 상기 화장층을 각각 2이상의 독립된 구획으로 구분되도록 하기 위해 노출된 각 구분부위가 각각 아크릴우레탄계 수지를 함유한 수성조성물로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39. The method of claim 38, wherein the exposed portions to separate the synthetic resin layer into two or more separate compartments, and each divided portion exposed to separate each of the synthetic resin layer and the cosmetic layer into two or more separate compartments, each acrylic A 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 which is coated with an aqueous composition containing a urethane resin.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조성물에 함유되는 아크릴우레탄계 수지는 케토기를 함유한 아크릴수지 및 히드라지드기를 함유한 우레탄계 수지의 혼합물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40. The laminate of claim 39 wherein the acrylic urethane-based resin contained in the aqueous composition is a mixture of an acrylic resin containing a keto group and a urethane-based resin containing a hydrazide group.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조성물은 경화제를 더 함유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40. The laminate according to claim 39, wherein the aqueous composition further contains a curing agent.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조성물은 실리콘을 더 함유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A laminate according to claim 39, wherein the aqueous composition further contains silicon.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조성물은 에멀젼형태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40. The laminate of claim 39 wherein the aqueous composition is in the form of an emulsion. 제 39항에 기재된 바닥재용 적층체에 사용되는, 아크릴우레탄계 수지를 함유하는 수성조성물.An aqueous composition containing an acrylic urethane resin used for the laminate for flooring according to claim 39.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에 시행된 내캐스터 시험의 결과는 상기 표면의 함몰깊이가 100㎛ 이하로서, 38. The caster test conducted on the surface of the cosmetic layer side of the laminate for flooring according to claim 37, wherein the depth of depression of the surface is 100 µm or less, 상기 내캐스터 시험은 회전가능한 캐스터 고정재, 상기 캐스터 고정재에 부착된 3개의 캐스터, 상기 캐스터 고정대와 접속하도록 된 가중부 및 시료 고정대로 이루어진 내캐스터 시험 장치를 사용하여, The caster test uses a caster test apparatus consisting of a rotatable caster fixture, three casters attached to the caster fixture, a weighting portion and sample holder adapted to contact the caster holder,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를 상기 시료 고정대에다 고정하고, Fixing the flooring laminate to the sample holder, 상기 3개의 캐스터를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에 상기 가중부로 가중시켜 접촉하도록 해서, The three caster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weighted portion by weighting the surface of the laminate layer of the flooring material, 상기 캐스터 고정재를 가동시켜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상으로 상기 3개의 캐스터를 회전시킨 후, Operating the caster fixing member to rotate the three casters onto the cosmetic layer side surface of the flooring laminate; 상기 표면에 발생한 함몰의 깊이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고, It is performed by measuring the depth of depression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d on the said surface, 상기 캐스터는 평균직경이 75mm, 두께가 25mm인 것이며, The caster is 75mm in average diameter, 25mm in thickness, 상기 바닥재용 적층체의 화장층쪽 표면에 부여된 가중은 70kg이고, The weight given to the surface of the cosmetic layer side of the 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 is 70 kg, 상기 3개의 캐스터는 20rpm의 속도로 5분마다 반회전되어 1000회 회전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용 적층체.The three casters are laminated for flooring, characterized in that to rotate 1000 times by half rotation every 5 minutes at a speed of 20rpm.
KR1020040021761A 2003-03-31 2004-03-30 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 KR10070704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94612 2003-03-31
JPJP-P-2003-00094612 2003-03-31
JPJP-P-2003-00338646 2003-09-29
JPJP-P-2003-00338642 2003-09-29
JP2003338642 2003-09-29
JP2003338646 2003-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5073A KR20040085073A (en) 2004-10-07
KR100707040B1 true KR100707040B1 (en) 2007-04-13

Family

ID=34381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761A KR100707040B1 (en) 2003-03-31 2004-03-30 Laminate for flooring material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1032866A (en)
KR (1) KR100707040B1 (en)
CN (1) CN1537719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479B1 (en) * 2005-04-13 2007-08-22 주식회사 엘지화학 Anti-caster wood flooring
KR100855545B1 (en) * 2006-02-15 2008-09-01 최기환 fire-retardant plywood
KR100881006B1 (en) * 2006-03-30 2009-02-03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Methods for Manufacturing Sheets for Decorating Floor
KR101004614B1 (en) * 2007-01-23 2010-12-28 (주)엘지하우시스 PETG based decorative sheet having forming ability similar with PVC
JP6102989B2 (en) * 2015-06-25 2017-03-2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Floor decorative material
KR101850083B1 (en) * 2015-11-09 2018-05-31 유재영 Opet or cpet wood pattern floor materia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U2016357732A1 (en) * 2015-11-16 2018-05-10 Afi Licensing Llc Surface covering having an improved wear layer
CN106280306B (en) * 2016-08-11 2018-11-30 苏州柯创电子材料有限公司 Heat sealable high-isolating packaging film
CN108556441B (en) * 2018-01-05 2021-05-28 合肥乐凯科技产业有限公司 Optical polyester film
EP3909763A1 (en) * 2018-04-25 2021-11-17 Toppan Printing Co., Ltd. Decorative sheet
KR102623179B1 (en) * 2022-04-29 2024-01-11 주식회사 서한안타민 Floor panel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NL2033198B1 (en) * 2022-09-30 2024-04-08 Champion Link Int Corp Panel, composition for impregnating or coating a panel,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pane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1494A (en) * 1994-03-30 1995-12-18 시바타 미노루 Resin shock absorber
KR20030004306A (en) * 1999-11-24 2003-01-14 케메탈 게엠베하 Use of a cast resin and a duroplastic edge seal for producing a sandwich system that consists of a screen and a glass pan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9277B2 (en) * 2001-05-14 2009-09-09 凸版印刷株式会社 Decorative sheet
JP4839541B2 (en) * 2001-07-25 2011-12-21 凸版印刷株式会社 Floor decorative sheet
JP4028369B2 (en) * 2001-12-14 2007-12-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Cosmetics for floor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1494A (en) * 1994-03-30 1995-12-18 시바타 미노루 Resin shock absorber
KR20030004306A (en) * 1999-11-24 2003-01-14 케메탈 게엠베하 Use of a cast resin and a duroplastic edge seal for producing a sandwich system that consists of a screen and a glass pa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32866A (en) 2011-02-17
CN1537719A (en) 2004-10-20
KR20040085073A (en) 2004-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07347B2 (en) moisture proof film
JP2011032866A (en) Laminate for flooring
JP5360251B2 (en) Water-based paint
JP4028369B2 (en) Cosmetics for flooring
KR101248643B1 (en) Materials for decorating floor
JP5170938B2 (en) Floor material and method for protecting floor material surface
JP6064421B2 (en) Floor decorative material
JP4605844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decorative material for flooring
JP2008238688A (en) Moistureproof sheet, face sheet, and decorative plate
CN111497386A (en) Decorative material
JP5141008B2 (en)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board using the same
JP2005127124A (en) Laminated wood for floor member
JP2007077763A (en) Flooring
KR20060105563A (en) Materials for decorating floor
JP4583059B2 (en) Decorative sheet for flooring
KR20090091188A (en)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plate using the decorative sheet
JP5879872B2 (en) Floor decorative material
JP2008240423A (en) Floor material
JP6036044B2 (en) Floor decorative material
JP2009084338A (en) Water-based paint
JP2010082972A (en) Decorative material
JP2004017590A (en) Decorative material for flooring material
JP2007090755A (en) Decoration pan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6153286B2 (en) Method for producing flooring decorative material
JP4946947B2 (en) Decorative sheet for flooring and flooring on which it is laminat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