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0803B1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 data in personal digital assistant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 data in personal digital assist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0803B1
KR100700803B1 KR1020010022694A KR20010022694A KR100700803B1 KR 100700803 B1 KR100700803 B1 KR 100700803B1 KR 1020010022694 A KR1020010022694 A KR 1020010022694A KR 20010022694 A KR20010022694 A KR 20010022694A KR 100700803 B1 KR100700803 B1 KR 100700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ata
character
screen
data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26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83268A (en
Inventor
강윤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2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0803B1/en
Priority to US10/131,044 priority patent/US7168046B2/en
Priority to CNB021186707A priority patent/CN1174309C/en
Publication of KR20020083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32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803B1/en
Priority to US14/815,476 priority patent/USRE47442E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5Guidance during keyboard input operation, e.g. promp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PDA 등의 휴대용 정보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소프트키보드를 이용하여 주소록을 보다 간단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방법은, 데이터 입력요청시, 다수의 입력필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화면을 화면출력하는 제 1단계; 상기 데이터 입력화면 상에서 데이터 입력을 위해 선택된 필드의 속성을 확인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확인된 속성에 따라 입력가능 문자세트를 선택하여 이를 입력장치용 화면으로 제공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주소록 입력을 위해 사용자가 특정항목(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을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항목에 상응하는 입력가능 문자세트를 포함하는 소프트키보드를 자동으로 화면출력하여 사용자가 키터치에 의해 간단히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의 한번의 키입력에 의해 간단히 다른 문자세트를 소프트키보드 상에 제공하여 데이터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소록 입력과정이 번거로움 및 시간낭비 없이 간단하게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발명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input device and an input method of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hat enables a user to input an address book more simply by using a soft keyboard provided in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such as a PDA, and the portabl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input method of the terminal includes: a first step of outputting a data input screen including a plurality of input fields when a data input request is made; Checking a property of a field selected for data input on the data input screen; And a third step of selecting an inputtable character set according to the identified property and providing the same as a screen for an input device. The user inputs a specific item (name, phone number, email, address, etc.) for address book input. When selected, it automatically displays a soft keyboard that includes an inputable character se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tem so that the user can simply enter data by key touch, or simply by pressing a single keystroke. By providing a character set on the soft keyboard so that data can be input, the address book input process is simplified without any hassle and time wasted.

PDA, 주소록, 소프트 키보드, 터치 스크린, 데이터 베이스PDA, Address Book, Soft Keyboard, Touch Screen, Database

Description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 data in personal digital assistant}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 data in personal digital assistant}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가 구현된 휴대용 정보단말기(PDA)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Figure 1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PDA) implemented with a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1의 필기문자 데이터베이스의 저장영역을 도시한 것이고,FIG. 2 illustrates a storage area of the handwritten character database of FIG. 1;

도3a ∼ 도3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고,3a to 3c show the flo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data input method of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도1의 메모리의 프로그램 저장영역 및 데이터 저장영역과, 각 영역의 저장내역을 도시한 것이고,FIG. 4 shows a program storage area and a data storage area of the memory of FIG. 1, and storage details of each area.

도5는 한글 문자세트를 포함하는 소프트키보드를 도시한 것이고,5 illustrates a soft keyboard including a Korean character set.

도6은 한글 문자세트를 포함하는 소프트키보드가 제공된 주소록 입력화면을 도시한 것이고,6 illustrates an address book input screen provided with a soft keyboard including a Korean character set.

도7은 숫자 문자세트를 포함하는 소프트키보드를 도시한 것이고,7 illustrates a soft keyboard including a numeric character set,

도8은 숫자 문자세트를 포함하는 소프트키보드가 제공된 주소록 입력화면을 도시한 것이고,8 shows an address book input screen provided with a soft keyboard including a numeric character set;

도9는 영문 문자세트를 포함하는 소프트키보드를 도시한 것이고, 9 illustrates a soft keyboard including an English character set,                 

도10은 영문 문자세트를 포함하는 소프트키보드가 제공된 주소록 입력화면을 도시한 것이고,10 illustrates an address book input screen provided with a soft keyboard including an English character set;

도11은 도3a ∼ 도3c의 과정에 의한 주소록 입력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 11 shows an example of inputting an address book by the process of FIGS. 3A to 3C.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10 : 터치 스크린 11 : 터치 패드10: touch screen 11: touch pad

12 : 표시부 20 : 터치신호 수신부12: display unit 20: touch signal receiving unit

30 : 제어부 31 : 메모리30 control unit 31 memory

40 : 필기문자 인식부 41 : 필기문자 DB40: handwriting character recognition unit 41: handwriting character DB

50, 51, 52 : 문자세트 DB 60 : 주소록 DB50, 51, 52: character set DB 60: address book DB

본 발명은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PDA 등의 휴대용 정보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소프트키보드를 이용하여 주소록을 보다 간단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input device and an input method of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wing a user to input an address book more simply using a soft keyboard provided in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such as a PDA. It is about.

이동통신은 기존 통신서비스에 이동성(mobility)을 추가하는 형태로 볼 수 있는데, 이동성의 종류로는 단말기가 가입자 선에서 풀려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단말기 이동성(terminal mobility),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임의의 단말기로 통신할 수 있는 이용자 이동성(user mobility), 이용 주파수 대역을 높여서 무선 채널을 광대역화 함으로써 음성뿐만 아니라 데이터와 영상까지 제한없이 수용할 수 있는 서비스 이동성(service mobility) 등이 있다.Mobile communication can be viewed as a form of adding mobility to existing communication services. The type of mobility includes terminal mobility in which a terminal can be freely moved by being released from a subscriber line, and a user moves to an arbitrary terminal. There are user mobility that can communicate, and service mobility that can accommodate not only voice but also data and video by widening a wireless channel by increasing the use frequency band.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동전화 단말기의 소형/경량화가 이루어지면서 개인 휴대형 이동 전화(셀룰러 폰, PCS폰; 핸드폰이라 함)로 급격하게 확산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miniaturization and lightening of mobile phone terminals are rapidly spreading to personal mobile phones (cellular phones, PCS phones; mobile phones).

이와 같은 핸드폰의 등장으로 인해 그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형태의 휴대형 기기가 등장하였다. 그 중에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라고 일컬어지는 문자인식 가능한 휴대형 정보단말기가 각광을 받고 있다.The emergence of mobile phones has led to the emergence of various types of portable devices that perform similar functions. Among them,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s capable of text recognition called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re in the spotlight.

일반적으로 PDA는 컴퓨터의 기본이 되는 CPU, 메모리, OS, OS를 기반으로 하 는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주변기기를 갖추며, 정보수집, 저장, 작성, 검색 및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기로서, 다양한 응용(Application)들을 펜을 통하여 간편하게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Generally, PDA is equipped with various software and peripherals based on the CPU, memory, OS, and OS that are the basis of the computer, and can perform information collection, storage, creation, retrieval, and communication functions. Applications can be easily interfaced with a pen.

일반적으로 PDA는 펜을 사용해서 입력하는 소형 컴퓨터를 가리키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용어들로 쓰이고 있다. 예를 들어 팜 컴퓨팅(Palm Computing) 사(社)의 팜(Palm)을 비롯한 여타 비슷한 형태의 개인 휴대용 디지털 장치가 PDA라고 불리고, 마이크로소프트 사(社)의 윈도CE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제품중에 키보드 없이 펜을 사용하는 기기는 PPC(Palm-Sizes PC), 같은 윈도CE 운영체제를 사용하지만 키보드를 사용하는 제품은 HPC(Handheld PC)라고 불린다. 현재는 이 모두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PDA라는 말을 사용하는 추세이다.In general, a PDA refers to a small computer that is input using a pen, but is also used in various terms. For example, Palm Computing's Palm and other similar types of personal digital devices are called PDAs, and Microsoft's Windows CE operating system does not have a keyboard. Pen-based devices use the same Windows CE operating system as Palm-Sizes PC (PPC), but keyboard-based products are called HPC (Handheld PC). Currently, the term "PDA" is used to encompass all of these concepts.

이와 같은 PDA 등의 정보단말기에서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전화번호 등의 연락처 및 그에 해당하는 사용자 이름(성명)을 저장해 두고서 필요할 때마다 이름 및 전화번호 등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주소록 기능을 제공하는데, 사용자의 주소록 입력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formation terminals such as PDAs provide an address book function that stores a contact number such as a phone number required by the user and a corresponding user name (name), and searches for a name and phone number whenever necessary. A brief description of a user's address book input method is as follows.

우선 사용자가 주소록(연락처) 입력을 요청하게 되면, PDA는 주소록 입력화면을 제공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주소록 입력화면 상에서 원하는 항목(필드)에 데이터를 입력하게 되는데, 만약 사용자가 '이름' 항목에 데이터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한글 소프트키보드를 직접 선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PDA는 한글 소프트키보드를 화면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면출력되는 한글 소프트키보드 상에서 원하는 키를 펜을 이용하여 터치함으로써, 이름 항목에 이름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핸드폰' 항목에 전화번호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숫자 소프트키보드를, '이메일' 항목에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영문 소프트키보드를 직접 선택한 뒤 이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게 된다.First, when the user requests an address book (contact) input, the PDA provides an address book input screen. Accordingly, the user inputs data into a desired item (field) on the address book input screen. If you want to input data into the Hangul soft keyboard is selected directly, accordingly the PDA outputs the Hangul soft keyboard. Accordingly, the user can input a name in the name item by touching a desired key with a pen on the Hangul soft keyboard displayed on the screen. If the user wants to enter a phone number in the 'cell phone' item, he selects the numeric soft keyboard and the English soft keyboard in order to enter the e-mail address in the 'e-mail' item.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주소록 입력방법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주소록의 해당 항목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여러단계의 클릭과정을 거쳐 해당 소프트키보드를 직접 선택하여야 하였다. 즉 '이름', '주소' 등의 항목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한글 소프트키보드를, '핸드폰', '전화', '팩스' 등의 항목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숫자 소프트키보드를, 그리고 '이메일' 등의 항목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영문 소프트키보드를 일일이 선택하여야 하므로, 주소록 입력과정이 매우 번거로우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address book input method as described above, in order for a user to input data into a corresponding item of the address book, the user has to directly select the corresponding soft keyboard through several steps. In other words, the Korean soft keyboard is used to enter data in items such as 'Name' and 'Address', and the numeric soft keyboard is used to enter data in items such as 'Mobile', 'Telephone', and 'Fax'. In order to input data into items such as ',' the English soft keyboard must be selected one by on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사용자가 주소록 입력을 위해 해당 항목(이름, 주소, 전화 등)을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항목에 부합되는 해당 입력가능 문자세트를 포함하는 소프트키보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간단한 키입력에 의해 주소록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corresponding item (name, address, telephone, etc.) for address book input, a soft keyboard including the corresponding inputtable character se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te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ata input device and an input method of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that allows a user to input an address book by a simple key inpu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는, 다수의 입력필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화면을 출력표시하는 표시수단; 상기 다수의 입력필드의 각 속성에 따라 이에 상응하는 입력가능 문자세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수단; 및 상기 저장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입력화면 상에서 선택된 입력필드의 속성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속성에 따라 해당 입력가능 문자세트를 선택하여 이를 상기 표시수단을 통해 입력장치용 화면으로 제공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과,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ata input apparatus of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omprising: display means for outputting and displaying a data input screen including a plurality of input fields; Storage means for storing information on an inputtable character set corresponding to each attribute of the plurality of input fields; And checking the property of the input field selected on the data input screen based on the stored information, selecting a corresponding set of inputtable characters according to the checked property, and providing the same to the screen for the input device through the display means. Comprising means,

다수의 입력필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화면을 출력표시하는 표시수단; 비영문자, 숫자, 영문자를 포함하는 문자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문자 저장수단; 및 상기 문자 저장수단을 검색하여, 입력장치용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상응하는 문자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문자를 상기 데이터 입력화면 상에서 선택된 입력필드의 입력데이터로서 화면상에 표시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며,Display means for outputting and displaying a data input screen including a plurality of input fields; Character storage means for storing character data including non-English characters, numbers, and English characters; And a control means for searching for the character storing means, checking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data input through the screen for an input device, and displaying the checked character on the screen as input data of an input field selected on the data input screen.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방법은, 데이터 입력요청시, 다수의 입력필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화면을 화면출력하는 제 1단계; 상기 데이터 입력화면 상에서 데이터 입력을 위해 선택된 필드의 속성을 확인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확인된 속성에 따라 입력가능 문자세트를 선택하여 이를 입력장치용 화면으로 제공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과,In addition, the data input method of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ep of outputting a data input screen including a plurality of input fields when the data input request; Checking a property of a field selected for data input on the data input screen; And a third step of selecting an inputtable character set according to the identified property and providing the same to a screen for an input device.

데이터 입력요청시, 다수의 입력필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화면을 화면출력하는 제 1단계; 상기 데이터 입력화면 상에서 데이터 입력을 위해 선택된 필드의 속성을 확인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확인된 속성에 따라, 전체 문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확인된 속성에 상응하는 문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대상으로 한정선택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A first step of outputting a data input screen including a plurality of input fields when a data input request is made; Checking a property of a field selected for data input on the data input screen; And a third step of limiting and selecting the character databas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attribute from the entire character database to the search object according to the identified attribut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data input device and an input method of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가 구현된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주소록 등의 데이터 입력을 위한 터치 패드(11)와 주소록 입력화면, 입력된 주소록 등을 디스플레이시키는 표시부(12)로 구성되는 터치 스크린(10); 상기 터치 스크린(10)을 통한 문자 입력시, 터치 스크린(10)의 출력 좌표값 및 획수값(아날로그 신호)을 수신하여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터치신호 수신부(20); 주소록의 각 항목(필드)의 속성에 따라 이에 상응하는 해당 문자세트(소프트 키군) 종류에 대한 정보 및 이 정보를 관리하는 응용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31); 문자 각각에 해당하는 고유의 좌표 데이터와 획 데이터 및 상기 좌표 및 획 데이터에 대응되는 문자코드 등이 등록되어 있는 필기문자 데이터베이스(DB)(41); 상기 터치 패드(11)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가 필기체 문자인 경우에는 해당 문자의 터치신호에 근거한 좌표값들의 집합으로 그에 상응하는 문자 인식신호를 출력하는 필기문자 인식부(40); 한글, 영문, 숫자 등의 각 문자세트에 연관된 데이터 및 각 문자세트의 좌표에 대 응되는 문자코드 등이 각각 저장되어 있는 제1, 제2, 제3 문자세트 DB(50, 51, 52); 다수의 이름 데이터 및 그 각각의 이름 데이터에 연관된 전화번호와 주소 등의 주소록 정보가 저장되는 주소록 데이터베이스(DB)(60); 및 사용자가 입력한 주소록 정보를 주소록 DB(60)에 저장관리하고, 사용자의 요청시 상기 주소록 DB(60)를 검색하여 해당 주소록 정보를 상기 터치 스크린(10) 상에 출력표시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필기문자 DB(41)에 저장된 문자들 각각의 고유 좌표 및 획 데이터들은 실험치에 의해 결정된 데이터들이다.1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implemented with a data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ouch pad 11 and an address book input screen for inputting data such as an address book of a user, an input address book, and the like. A touch screen 10 configured as a display unit 12 for displaying the display unit 12; A touch signal receiver 20 which receives an output coordinate value and a stroke number (analog signal) of the touch screen 10 and converts it into digital data when the text is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10; A memory 31 which stores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character set (soft key group) type corresponding to the property of each item (field) of the address book and an application program for managing the information; A handwritten character database (DB) 41 in which unique coordinate data and stroke data corresponding to each character and a character code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and stroke data are registered; A handwriting character recognition unit 40 outputting a character recogni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t of coordinate values based on a touch signal of the character when the character input through the touch pad 11 is a handwritten character; First, second, and third character sets DB (50, 51, 52) that store data associated with each character set, such as Korean, English, and numbers, and character codes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of each character set; An address book database (DB) 60 in which a plurality of name data and address book information such as a telephone number and an address associated with each name data are stored; And a control unit 30 storing and managing the address book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n the address book DB 60, and searching and displaying the address book information on the touch screen 10 when the user requests the address book DB 6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d the unique coordinates and stroke data of each of the characters stored in the handwritten character DB (41) are data determined by the experimental value.

상기 터치 패드(11) 및 표시부(12)가 위치하게 되는 터치 스크린(10)은 문자 데이터 입력이 가능한 장치로서,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 좌표값 신호와 획수값 신호를 출력하는 저항판 방식이 사용되거나 혹은 캐패시터의 전하량값 변화에 따라 좌표값 신호와 획수값 신호를 출력하는 캐패시터판 방식이 사용된다.The touch screen 10 in which the touch pad 11 and the display unit 12 are located is a device capable of inputting text data, and a resistive plate method for outputting a coordinate value signal and a stroke value signal according to a change in resistance value is used. Or a capacitor plate method for outputting a coordinate value signal and a stroke value signal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the charge amount value of the capacitor.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1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자들을 압력에 따른 압점(pressing point)들로 인식하여 이를 X/Y좌표값 신호와 획수를 나타내는 획수값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좌표값 및 획수값 신호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0)을 통해 문자 입력을 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압력점의 이동상태 및 압력 여부 상태를 X축 및 Y축 좌표값의 변화에 따른 좌표 데이터와, 연속적인 압력이 몇번 발생하는지의 여부에 근거하여 입력되는 문자가 어떠한 문자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태 데이터의 자원이 된다.In addition, the touch screen 10 recognizes characters input from a user as pressing points according to pressure, and outputs an X / Y coordinate value signal and a stroke value signal representing a stroke number. The coordinate value and the stroke value signal may include the coordinate data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X-axis and Y-axis coordinate values of the movement state and pressure state of the pressure point generated when the user inputs text through the touch screen 10; It is a resource of status data to know what characters are input based on how many times a continuous pressure occurs.

상기 필기문자 DB(41)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문자군 별로 그 저장영역이 구획되어져 있는데, 즉 제 1군인 한글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한글 DB영역과 제 2군인 숫자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숫자 DB영역과, 제 3군인 영문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영문 DB영역 등으로 구분되어져 있으며, 각 DB에는 해당 문자 각각에 해당하는 고유의 좌표 데이터와 획 데이터 및 상기 좌표 및 획 데이터에 대응되는 문자코드 등이 등록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handwritten character DB 41 has a storage area divided for each character group, that is, a Korean DB area storing Korean data of the first group and numeric data of the second group. It is divided into numeric DB area and English DB area where third group English data is stored, and each DB has unique coordinate data and stroke data corresponding to each character, and character code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 and stroke data. Etc. are registered.

도3a ∼ 도3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도1의 정보단말기의 동작과 병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3a ∼ 도3c의 데이터 입력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3A to 3C show a flo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data input method of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FIGS. 3A to 3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arallel with the operation of the information terminal of FIG. The data input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상기 메모리(31)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 저장영역 및 데이터 저장영역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데이터 영역에는 주소록의 각 항목의 속성에 따라 이에 상응하는 입력가능 문자세트의 종류(한글 키세트, 숫자 키세트, 영문 키세트)에 대한 정보가, 그리고 프로그램 저장영역에는 상기 정보를 관리하는 응용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어 있어, 만약 사용자가 주소록 입력을 위해 특정항목(예를 들어, 이름)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선택된 항목의 속성에 따라 해당 입력가능 문자세트(예를 들어, 한글 문자세트)를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문자세트에 연관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문자세트 DB로 부터 데이터가 독출되어, 터치패드를 이용한 소프트키보드 상에 화면출력되는 것이다.First, the memory 31 is divided into a program storage area and a data storage area as shown in FIG. 4, and the data area has a type of inputtable character set corresponding to the attribute of each item of the address book (Korean key). Information about sets, numeric keys, and English keys, and application programs for managing the information are stored in the program storage area, so that a user can select a specific item (e.g., a name) for address book entry. When the selection is made, the application program may know a corresponding inputtable character set (eg, a Korean character set) according to the attribute of the selected item, and accordingly, a character set DB in which data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 set is stored. The data is read from the screen and output on the soft keyboard using the touch pad.

한편, 상기 주소록 DB(60)는 이름 저장영역 및 정보 저장영역으로 구획된 메모리 테이블을 갖는데, 상기 이름 저장영역에는 이름이 데이터화되어 저장되고, 상 기 정보 저장영역에는 각 이름 데이터와 일대일로 연계된 집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이 데이터화되어 저장된다.Meanwhile, the address book DB 60 has a memory table partitioned into a name storage area and an information storage area. Names are stored in data in the name storage area, and one-to-one is associated with each name data in the information storage area. Your home address, phone number, and email address are stored in data.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터치 스크린(10)을 통해 주소록 입력을 요청하게 되면(S10), 상기 제어부(30)는 다수의 입력항목(이름, 핸드폰, 이메일, 주소, 직위, 전화, 팩스 등)을 갖는 주소록 입력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10) 상에 출력표시하게 되는데(S11), 이와 같이 화면출력되는 주소록 입력화면에서는 기본적으로 맨처음 항목, 즉 '이름'항목에 커서(cursor)가 위치하고 있어(S20),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선택된 '이름'항목의 속성(A)에 상응하는 해당 종류의 문자세트, 즉 한글 문자세트를 포함하는 도5 형태의 소프트키보드를, 도6에서와 같이 상기 주소록 입력화면 상에 함께 제공하게 된다(S21).In this state, when the user requests an address book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10 (S10), the control unit 30 includes a plurality of input items (name, mobile phone, email, address, job title, telephone, fax, etc.). The address book input screen having a)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 (S11). In the address book input screen output as described above, a cursor is positioned at the first item, namely, a 'name' item. In operation S20, the controller 30 may display a soft keyboard of FIG. 5 including a character set of the corresponding type corresponding to the attribute A of the selected 'name' item, that is, a Korean character set. As in the S will be provided on the address book input screen (S21).

이와 같이 한글 문자세트를 포함하는 소프트키보드가 주소록 입력화면 상에 제공된 상태에서, 사용자 상기 화면출력된 소프트키보드에서 해당 키를 터치함으로써 '이름'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강선주'라는 이름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상기 소프트키보드 상에서, ㄱ→ㅏ→ㅇ→ㅅ→ㅓ→ㄴ→ㅈ→ㅜ와 같은 순서로 해당 문자키를 순차적으로 누르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ile a soft keyboard including a Hangul character set is provided on an address book input screen, the user inputs data on a 'name' item by touching a corresponding key on the screen output soft keyboard. If the user wants to enter a name, the user sequentially presses the corresponding character key in the order of a → ㅏ → ㅇ → ㅅ → ㅓ → ㄴ → ㅈ → TT on the soft keyboard.

만약 이때, 사용자가 '이름'항목에 한글이름이 아닌 영문이름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상기 소프트키보드에서 제공하는 특정 기능키, 즉 키보드 전환키(←)를 선택입력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전환키의 입력시마다(S30) 예정된 다음순서의 입력가능 문자세트, 즉 한글 문자세트→숫자 문자세트→영문 문자세트의 순으로 해당 문자세트에 연관된 키데이터를 해당 DB로 부터 독출하여 상기 소프트키보드 상에 출력하게 되는데(S31), 즉 현재 한글 문자세트가 활성화상태이므로 상기 제어부(30)는 전환키(←)가 한번 입력되면 다음 순서의 문자세트인 숫자 문자세트를, 전환키(←)가 한번 더 입력되면 다음 순서인 영문 문자세트를 소프트키보드를 통해 화면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간단한 키입력에 의해서 입력가능 문자세트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선택된 영문 문자세트를 포함하는 소프트키보드의 키터치에 의해 '이름'항목에 대한 영문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wants to input an English name instead of a Korean name in the 'Name' item, the user selects and inputs a specific function key provided by the soft keyboard, that is, a keyboard switching key ←. 30) reads the key data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 set from the DB in the order of the next settable input possible character set, that is, the Korean character set → numeric character set → English character set, each time the input of the conversion key (S30). The soft keyboard is output on the soft keyboard (S31). That is, since the current Hangul character set is activated, the control unit 30 converts the numeric character set, which is the character set of the next sequence, once the switch key ← is inputted, and the switch key ( When ←) is input once more, the English character set, which is the next sequence, is displayed on the soft keyboard.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input English data for the 'name' item by the key touch of the soft keyboard including the selected English character set.

이와 같이 사용자가 키터치에 의해 '이름'항목에 데이터를 입력하게 되면, 키터치에 의해 생성되는 터치신호 수신부(20)로 부터의 디지털 형태의 좌표값 신호가 상기 제어부(30)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이름'항목에 상응하는 상기 제1 문자세트 DB(50)를 검색하여 상기 터치신호 수신부(20)로 부터 수신한 신호에 상응하는 해당 문자를 확인하게 된다(S41).When the user inputs data to the 'name' item by the key touch, the digital coordinate value signal from the touch signal receiver 20 generated by the key touch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30. Accordingly, the controller 30 searches for the first character set DB 50 corresponding to the 'name' item and checks the corresponding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touch signal receiving unit 20 ( S41).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확인된 문자, 즉 이름을 상기 주소록 DB(60)의 이름 저장영역에 저장하고(S42), 이어서 입력되는 상기 이름데이터에 연계된 데이터(집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는 상기 정보 저장영역에 저장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어부(30)는 입력되는 데이터를 해당 항목과 연계하여 저장하게 된다. 즉 '전화' 항목이 선택된 상태에서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30)는 입력된 전화번호를 '전화'항목과 연계하여 상기 정보 저장영역에 저장하게 된다.The control unit 30 stores the checked character, that is, name in the name storage area of the address book DB 60 (S42), and then data (home address, telephone number, email) associated with the input name data. Address, etc.) is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area, wherein the controller 30 stores the input data in association with the corresponding item. That is, when a telephone number is input while the 'telephone' item is selected, the controller 30 stores the input telephone number in the information storage area in association with the 'telephone' item.

사용자가 상기와 같이 이름입력후 또는 이름입력 전에 상기 화면출력된 주소록 화면에서 다른 항목, 예를 들어 '핸드폰'항목을 선택하게 되면(S40), 상기 제어 부(30)는 상기 메모리(31)의 응용 프로그램이 데이터 저장영역을 이용하여 관리하고 있는 정보로 부터 상기 선택된 항목의 속성에 상응하는 입력가능 문자세트의 종류를 숫자 문자세트로 확인하게 되고, 이어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확인된 문자세트에 연관된 키데이터를 해당 문자세트 DB(51)로 부터 독출하여 도7과 같은 형태의 소프트키보드를, 도8에서와 같이 상기 주소록 입력화면 상에 함께 제공하게 된다.When the user selects another item, for example, a 'cell phone' item on the screen address book screen after inputting a name or before inputting a name as described above (S40), the control unit 30 determines that the memory 31 is located in the memory 31. From the information managed by the application program using the data storage area, the type of the inputtable character set corresponding to the attribute of the selected item is confirmed as a numeric character set, and then the controller 30 determines the identified character set. The key data associated with is read out from the character set DB 51 to provide a soft keyboard of the type shown in FIG. 7 together on the address book input screen as shown in FIG.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숫자 문자세트를 포함하는 소프트키보드의 해당 키를 터치함으로써, '핸드폰' 항목에 원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an input a desired telephone number in the 'cell phone' item by touching a corresponding key on the soft keyboard including the numeric character set.

만약, 사용자가 상기 화면출력된 주소록 화면에서 다른 항목, 예를 들어 이메일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모리(31)의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이메일' 항목에 상응하는 문자세트가 영문 문자세트임을 확인하고, 이에 연관된 키데이터를 상기 제3 문자세트 DB(52)로 부터 독출하여 도9와 같은 형태의 소프트키보드를, 도10에서와 같이 상기 주소록 입력화면 상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영문 소프트키보드의 해당 키를 터치함으로써, '이메일' 항목에 원하는 이메일 주소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If the user selects another item, for example, an e-mail from the screen of the displayed address book, the controller 30 corresponds to the 'e-mail' item by the application program of the memory 31 as described above. Confirm that the character set is an English character set, and read the key data associated with it from the third character set DB 52 to display a soft keyboard as shown in FIG. 9 on the address book input screen as shown in FIG. By providing a user, a user can input a desired e-mail address in an 'e-mail' item by touching a corresponding key of the English soft keyboard.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는 도11에서와 같이 주소록의 모든 항목에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게 되며(S50), 상기 제어부(30)는 이와 같이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주소록 DB(60)의 이름 저장영역에 저장된 이름 데이터에 연계하여 상기 정보 저장영역에 저장하게 된다.In this manner, the user can input data to all items of the address book as shown in FIG. 11 (S50), and the controller 30 transfers the input data to the name storage area of the address book DB 60. Th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area in association with the stored name data.

이와 같이 입력된 주소록 정보가 상기 주소록 DB(60)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 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어부(30)를 통해 주소록 정보를 요청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주소록 DB(60)의 저장내용에 근거하여 해당 주소록 정보를 검색하여 화면출력하게 된다.
When the address book information input as described above is stored in the address book DB 60, when the user requests the address book information through the control unit 30, the control unit 30 stores the contents of the address book DB 60. Based on this, the corresponding address book information is searched and displayed.

상기의 실시예에서, 만약 사용자가 주소록 데이터의 입력시 상기에서와 같이 소프트키보드의 키터치에 의해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터치 패드(11)를 통해 직접 필기체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터치 패드(11)를 통한 데이터 입력에 따라 상기 터치신호 수신부(20)로 부터 수신되는 특징데이터, 즉 좌표 및 획데이터를 상기 필기문자 인식부(40)에 전달하여 이에 상응하는 문자가 어떤 문자인지 확인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필기문자 인식부(40)는 상기 필기문자 DB(41)의 모든 저장영역을 검색하여 문자를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주소록 화면상에서 현재 선택된 특정항목(예를 들어, '이름'항목)에 상응하는 저장영역(예를 들어, '한글 DB')만을 한정하여 검색함으로써 해당 문자를 확인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해당 DB만을 한정하여 검색함으로써 검색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빠른시간 내에 문자확인이 가능하다.In the above embodiment, if the user inputs the cursive data directly through the touch pad 11 instead of inputting the data by the key touch of the soft keyboar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ddress book data is inputted, the control unit 30 transmits the characteristic data received from the touch signal receiving unit 20, that is, coordinates and stroke data, to the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unit 40 according to data input through the touch pad 11. In this case, the handwriting character recognition unit 40 does not search all storage areas of the handwriting character DB 41 to check the characters, but rather selects a specific item currently selected on the address book screen. For example, by searching only the storage area corresponding to the 'name' item (eg, 'Hangul DB'),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s checked. It can be reduced by limiting the search by a search error, and it is also possible to check the character in a short time.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검색확인된 문자와 주소록의 해당 항목을 연계하여 상기 주소록 DB(60)에 저장하게 된다.
The controller 30 stores the searched text and the corresponding item in the address book and stores the same in the address book DB 60.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As mention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lo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improve and change various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appended claims below. , Replacement or addition would be possible.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은, 주소록 입력을 위해 사용자가 특정항목(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을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항목에 상응하는 입력가능 문자세트를 포함하는 소프트키보드를 자동으로 화면출력하여 사용자가 키터치에 의해 간단히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의 한번의 키입력에 의해 간단히 다른 문자세트를 소프트키보드 상에 제공하여 데이터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소록 입력과정이 번거로움 및 시간낭비 없이 간단하게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발명인 것이다.The data input device and the input method of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nd operat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item (name, phone number, e-mail, address, etc.) for address book input, Automatically prints a soft keyboard that includes the corresponding inputtable character set so that the user can simply enter data by key touch, and another user can simply enter another character set on the soft keyboard by a single keystroke. By providing the data input, the address book input process is an invention that provides convenience to the user by making the process simple and hassle-free.

Claims (15)

데이터 입력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입력요청시, 다수의 입력필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화면을 화면출력하는 제 1단계;A data input method, comprising: a first step of outputting a data input screen including a plurality of input fields when a data input request is made; 각 입력필드를 속성별로 분리하여 문자세트를 설정한 값에 기초해서 상기 데이터 입력화면 상에서 데이터 입력을 위해 선택된 필드의 속성을 확인하는 제 2단계; 및A second step of identifying each property of the field selected for data entry on the data input screen based on a value set by separating each input field by property; And 상기 확인된 속성에 따라 입력가능 문자세트를 입력장치용 화면으로 제공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방법.And a third step of providing the inputtable character set to the screen for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identified attribu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입력장치용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입력필드의 데이터로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4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방법.And a fourth step of storing data input through the screen for the input device in a database as data of the selected input fiel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입력장치용 화면은, 터치패드를 이용한 소프트키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방법.The input device screen is a data input method of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oft keyboard using a touch pad.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소프트키보드 상에는 입력가능 문자세트의 전환키가 설정되어 있어, 전환키의 입력시 마다 예정된 다음순서의 입력가능 문자세트가 상기 입력장치용 화면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방법.A switching key of the inputtable character set is set on the soft keyboard, and a next set of inputtable character sets, which is scheduled next time, is provided to the screen for the input device at each input of the switching key. .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입력가능 문자세트는, 비영문자, 숫자 또는 영문키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방법.And said inputtable character set is a non-alphabetic character, a number, or an English key se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내지 제 3단계는, 연락처 항목 입력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방법.The data input method of th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to third steps are made at the time of entry of a contact item. 데이터 입력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입력요청시, 다수의 입력필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화면을 화면출력하는 제 1단계;A data input method, comprising: a first step of outputting a data input screen including a plurality of input fields when a data input request is made; 각 입력필드를 속성별로 분리하여 문자세트를 설정한 값에 기초해서 상기 데이터 입력화면 상에서 데이터 입력을 위해 선택된 필드의 속성을 확인하는 제 2단계; 및A second step of identifying each property of the field selected for data entry on the data input screen based on a value set by separating each input field by property; And 상기 확인된 속성에 따라, 전체 문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확인된 속성에 상응하는 문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대상으로 한정선택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방법.And a third step of limiting and selecting a character databas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attribute from the entire character database as a search target according to the identified attribute.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데이터의 입력시, 상기 한정선택된 문자 데이터베이스에서 그 입력 데이터를 비교검색하여 입력에 해당하는 문자코드를 선정하고, 그 문자코드를 상기 선택된 입력필드의 입력데이터화하는 제 4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방법.And a fourth step of comparing and searching the input data in the limited-selected character database to select a character code corresponding to the input, and converting the character code into input data of the selected input field. Data input method of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휴대용 정보단말기에 있어서, 다수의 입력필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화면을 출력표시하는 표시수단;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omprising: display means for outputting and displaying a data input screen including a plurality of input fields; 상기 다수의 입력필드의 각 속성에 따라 이에 상응하는 입력가능 문자세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수단; 및Storage means for storing information on an inputtable character set corresponding to each attribute of the plurality of input fields; And 상기 저장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입력화면 상에서 선택된 입력필드의 속성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속성에 따라 해당 입력가능 문자세트를 선택하여 이를 상기 표시수단을 통해 입력장치용 화면으로 제공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Control means for checking the property of the input field selected on the data input screen based on the stored information, selecting the corresponding inputtable character set according to the checked property and providing it to the screen for the input device through the display means; Data input device of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입력장치용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입력필드의 데이터로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And the control means stores data input through the screen for the input device in a database as data of the selected input field.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입력장치용 화면은, 터치패드를 이용한 소프트키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The input device screen is a data input device of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oft keyboard using a touch pad. 제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소프트키보드 상에는 입력가능 문자세트의 전환키가 설정되어 있어, 전환키의 입력시 마다 상기 제어수단은 예정된 다음순서의 입력가능 문자세트를 상기 입력장치용 화면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On the soft keyboard, a switchable key of the inputtable character set is set, and the control means provides the inputable character set in the next order to the screen for the input device at every input of the switchable key. Data input device.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입력가능 문자세트는, 비영문자, 숫자 또는 영문키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And said inputtable character set is a non-alphabetic character, a number, or an English key set. 휴대용 정보단말기에 있어서, 다수의 입력필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화면을 출력표시하는 표시수단;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omprising: display means for outputting and displaying a data input screen including a plurality of input fields; 비영문자, 숫자, 영문자를 포함하는 문자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문자 저장수단; 및Character storage means for storing character data including non-English characters, numbers, and English characters; And 상기 문자 저장수단을 검색하여, 입력장치용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상응하는 문자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문자를 상기 데이터 입력화면 상에서 선택된 입력필드의 입력데이터로서 화면상에 표시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A control means for searching for the character storing means, checking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data input through a screen for an input device, and displaying the checked character as input data of an input field selected on the data input screen on a screen; Data input device of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문자 저장수단은, 비영문자, 숫자, 영문자별로 그 저장영역이 구분되어져 있으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문자 저장수단 검색시에 상기 입력장치용 화면상에 현재 출력표시된 입력가능 문자세트에 상응하는 저장영역만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The character storage means is divided into non-alphabetic characters, numbers, and alphabetical characters, and the control means stores the character set corresponding to the inputtable character set currently displayed on the screen for the input device when the character storage means is searched. A data input device of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haracterized by searching only an area.
KR1020010022694A 2001-04-26 2001-04-26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 data in personal digital assistant KR1007008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2694A KR100700803B1 (en) 2001-04-26 2001-04-26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 data in personal digital assistant
US10/131,044 US7168046B2 (en) 2001-04-26 2002-04-25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data input to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NB021186707A CN1174309C (en) 2001-04-26 2002-04-26 Method and device for auxiliary inputting data into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US14/815,476 USRE47442E1 (en) 2001-04-26 2015-07-31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data input to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2694A KR100700803B1 (en) 2001-04-26 2001-04-26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 data in personal digital assist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268A KR20020083268A (en) 2002-11-02
KR100700803B1 true KR100700803B1 (en) 2007-03-27

Family

ID=27702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2694A KR100700803B1 (en) 2001-04-26 2001-04-26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 data in personal digital assista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080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38763A (en) * 2013-06-20 2014-12-2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Information input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input box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67412B2 (en) * 2007-09-06 2014-03-04 Google Inc. Dynamic virtual input device configuration
KR102297629B1 (en) * 2014-02-19 2021-09-02 양용철 Method and Device for Two Text Message of Korean and English in Mobile Terminal
CN106066706B (en) * 2016-05-26 2019-01-11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A kind of data processing method and intelligent terminal
WO2022255502A1 (en) * 2021-05-31 2022-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4839A (en) * 1994-12-29 1996-07-20 김광호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input method using soft keyboard
KR20000024489A (en) * 2000-02-16 2000-05-06 도정인 Portable terminal having software keyboard for note-recognition and note-recognition method by pen input
KR20000056153A (en) * 1999-02-13 2000-09-15 윤종용 Method for controling displaying status of phonebook in digital portable phone terminal using touch screen pannel
KR20000060799A (en) * 1999-03-19 2000-10-16 윤종용 User interfacing method of digital portable termianl equipment having touch screen panel for character input
KR20020012822A (en) * 2000-08-09 2002-02-20 안재우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character set extension button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4839A (en) * 1994-12-29 1996-07-20 김광호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input method using soft keyboard
KR20000056153A (en) * 1999-02-13 2000-09-15 윤종용 Method for controling displaying status of phonebook in digital portable phone terminal using touch screen pannel
KR20000060799A (en) * 1999-03-19 2000-10-16 윤종용 User interfacing method of digital portable termianl equipment having touch screen panel for character input
KR20000024489A (en) * 2000-02-16 2000-05-06 도정인 Portable terminal having software keyboard for note-recognition and note-recognition method by pen input
KR20020012822A (en) * 2000-08-09 2002-02-20 안재우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character set extension butt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38763A (en) * 2013-06-20 2014-12-2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Information input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input 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268A (en) 200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80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data input to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US8605039B2 (en) Text input
US7873903B2 (en) Method for entering text
US6944472B1 (en) Cellular phone allowing a hand-written character to be entered on the back
US7681145B1 (en) Dynamic key assignment in key pad
US74146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a directional pad
US6766179B1 (en) Cross-shape layout of chinese stroke labels with lyric
JP2004213269A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100013539A (en)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pattern recognition in handy terminal
MXPA06003062A (en) Contextual prediction of user words and user actions.
KR20000026146A (en) Method for generating telephone directory in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haracter recognition function
US201103100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adaptive data arrangement/classification in portable terminal
RU2421773C2 (en) Keyboard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said keyboard
US20060279433A1 (en) Method of mapping characters for a mobile telephone keypad
US20040179041A1 (en) Method for defining functions of keys of a keypad of an electronic device
KR101434495B1 (en) Terminal with touchscreen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
KR10070080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 data in personal digital assistant
KR20010108593A (en)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Korean
KR100700804B1 (en) Method for inputting a data in personal digital assistant
USRE47442E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data input to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KR100640504B1 (en) App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icstic recognizing of hand held devices
KR100386944B1 (en) A letter input system, a mobile telephone having that and a input control method thereof
WO2001045034A1 (en) Ideographic character input using legitimate characters as components
KR100662274B1 (en) mobile phone, navigation key-pad is built in
KR20040080966A (en) Apparatus and method of inputting Korean vow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