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6944B1 - A letter input system, a mobile telephone having that and a input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 letter input system, a mobile telephone having that and a input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6944B1
KR100386944B1 KR10-2000-0028253A KR20000028253A KR100386944B1 KR 100386944 B1 KR100386944 B1 KR 100386944B1 KR 20000028253 A KR20000028253 A KR 20000028253A KR 100386944 B1 KR100386944 B1 KR 100386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alphabetic
sequence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82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107066A (en
Inventor
김연
Original Assignee
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 filed Critical 김연
Priority to KR10-2000-0028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6944B1/en
Priority to PCT/KR2001/000590 priority patent/WO2001091421A2/en
Priority to AU2001248887A priority patent/AU2001248887A1/en
Publication of KR20010107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70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944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문자 입력장치, 그를 갖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정개수의 키로 이루어진 키보드로 영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장치의 입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의 하나의 키에 할당된 일정개수의 영문자의 순서를 지정하는 순번키를 상기 일정개수 만큼 할당하고, 상기 순서를 지정하는 순번키와 영문자를 선택하는 키의 순차적인 입력에 따라 하나의 영문자를 생성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영문자의 입력을 간단히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device, a mobile telephone system hav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 sequence number for designating a certain number of alphabetic letters is allocated as many as the predetermined number, and a single alphabetic character is generat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sequential input of the sequence number for specifying the order and a key for selecting an English letter. In this way, the input of the English letter can be simplified.

Description

문자 입력장치, 그를 갖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그 입력 제어방법{A letter input system, a mobile telephone having that and a input control method thereof}A letter input system, a mobile telephone having that and a input control method

이 발명은 문자 입력장치, 그를 갖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무선 전화기, 이동 전화기, 유선 전화기 등에서 다이얼링 버튼을 이용하여 영문자를 간편하게 입력하도록 하는 문자 입력장치,그를 갖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그 입력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apparatus, a mobile telephone system hav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 mobile telephone system having the same and an input control method thereof.

요즈음, 휴대 정보 단말기(이하, 이동 전화기라 지칭한다)는 생활의 필수품이 되어 있을 정도로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사용 계층도 점차 유년 및 노년층으로 다양화되고 있다.Nowadays,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mobile phones) are widely used to become necessities of life, and the use class is gradually diversified into young and old.

한편, 이동 통신 서비스를 하는 회사들은 문자메시지 전송, 메일 서비스, 인터넷 서비스 제공 등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Meanwhile, companies that provid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provide users with various services such as text message transmission, mail service, and Internet service.

한편, 이동 전화기에서는 전화기의 크기를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다이얼링 키보드의 키의 개수를 무한정 늘릴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size of the telephone is very important in the mobile telephone, the number of keys of the dialing keyboard cannot be increased indefinitely.

따라서, 종래에는 다이얼링 키보드의 숫자키에 한글/영문을 병합하여 복수의 키 기능을 갖도록 하고 키의 숫자를 줄여 문자를 입력하였다.Therefore, in the related art, characters are inputted by combining Korean / English with numeric keys of a dialing keyboard to have a plurality of key functions and reducing the number of keys.

일반적인 종래의 문자 입력장치는 스캔코드가 부여된 다수의 키를 배열한 키보드, 키보드를 스캔하는 마이콤, 적어도 하나이상의 키코드 데이터 및 키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키 코드 버퍼등으로 구성되며, 마이콤은 내장 프로그램에 따라서 스캔(Scan) 코드를 읽어 아스키(ASCII) 코드를 산출하며 키 버퍼를 통해 스캔 코드와 아스키 코드를 제공한다.A typical conventional character input device is composed of a keyboard arranged with a plurality of keys assigned with a scan code, a micom for scanning a keyboard, at least one key code data, and a key code buffer for storing a key code. According to the program, the scan code is read to produce ASCII code, and the scan buffer and ASCII code are provided through the key buff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종래의 문자 입력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onventional character input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일반적인 다이얼링 키보드의 숫자키의 배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numeric keys of a general dialing keyboard.

도1과 같이, 전화기의 다이얼링버튼은 열개의 숫자키 '1 2 3 4 5 6 7 8 9 0' (텐키)가 각각 3개의 영문자 및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되며, 이 외에도 제어키와 '*'(별표), '#'(샵) 등의 키를 포함한다. 도1에서는 편의상 한글 및 다른 기능키는 생략하였다.As shown in FIG. 1, the dialing button of the phone allows ten numeric keys' 1 2 3 4 5 6 7 8 9 0 '(Tenkey) to input three English letters and Korean character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ontrol key and' * Include keys such as' (asterisk), '#' (shop), etc. In FIG. 1, Korean and other function keys are omitted for convenience.

이와 같은 다이얼링 키보드의 열개의 숫자키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며 제어키로 특정 서비스를 지정, 호출한다. 다이얼링키보드에서 영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 도면1과 같이 1-9까지의 아홉 숫자키에 영문자를 중복 배열하였다. 이로서 수가 적은 다이얼링키버튼을 사용하여 스물여섯개의 영문자를 모두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Dialing a phone number with ten numeric keys on the dialing keyboard like this, assigning and calling a specific service with a control key. In order to input the English letters on the dialing keyboard, as shown in Fig. 1, the English letters are arranged on nine numeric keys 1-9. This allows you to enter all twenty six alphabetic characters using a few dialing key buttons.

다이얼링 키보드의 문자 입력장치는 문자입력모드에서 도1의 다이얼링 키버튼에 중복배열된 영문자를 인식하기 위하여 도2의 키 조합을 참조해야 한다.The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dialing keyboard should refer to the key combination of FIG. 2 in order to recognize an alphabetic character arranged in the dialing key button of FIG. 1 in the character input mode.

다이얼링키보드에서는 도2의 키 조합에서 볼 수 있듯이, 'A'를 입력하기 위하여 '2'키를, 'B'를 입력하기 위하여 '2', '2'키, 'C'를 입력하기 위하여 '2','2','2'키를 입력해야 한다.In the dialing keyboard, as shown in the key combination of FIG. 2, the '2' key is inputted for 'A', the '2' key is inputted for the 'B', the '2' key is entered, ' You must enter 2, 2, and 2.

또한, 'ABC'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2', 일정시간무입력, '2''2'키, 일정시간 무입력, '2', '2', '2'키를 눌러주게 된다.In addition, to input 'ABC', '2', no time input, '2' '2' key, no time input, '2', '2', '2' key is pressed.

일정시간 무입력이 마이콤에 제공되면, 마이콤은 '1'키에 이미 입력된 키 조합을 검사하여 해당되는 영문 아스키 코드를 키 버퍼에 순차적으로 저장한다. 이러한 키 입력방식은 저 효율적이고 문자 조합마다 일정시간동안 무입력시간을 지체하기 되어 문자 입력속도가 매우 느려진다.When no input is provided to the microcomput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microcomputer checks the key combination already entered in the '1' key and sequentially stores the corresponding English ASCII code in the key buffer. This key input method is low efficiency and the character input speed is very slow because the input time is delayed for each character combination for a certain time.

그리고 영문입력장치가 영문대소문자를 모두 지원한다면 영문 소문자 입력에는 별도로 약속된 제어키를 눌러서 문자입력모드는 영문 대문자에서 영문 소문자로변경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더욱 큰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f the English input device supports both English upper and lower case letters, the character input mode must be changed from English upper case letters to English lower case letters by pressing a control key that is separately promised for lower case letters.

그러므로, 이 발명의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영문자의 키입력을 간단하게 빠른 시간에 할 수 있도록 하는 문자 입력장치, 그를 갖는 이동 전화기 및 그 입력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nd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device, a mobile telephone having the same, and an input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enables simple key input of a letter in English.

도1은 일반적인 다이얼링 키보드의 숫자키의 배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numeric keys of a general dialing keyboard.

도2는 종래의 다이얼링 키보드의 키 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 key combination of a conventional dialing keyboard.

도3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를 갖는 이동전화기의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lephone having a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에서 영문자키부의 제1 실시예이다.4 is a first embodiment of an English letter key portion in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에서 영문자키부의 제1 실시예의 영문 소문자 입력을 위한 키입력 순서의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of a key input sequence for inputting a lowercase alphabet letter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lphabetic key portion in the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에서 영문자키부의 제1 실시예의 영문 대문자 입력을 위한 키입력 순서의 도면이다.6 is a diagram of a key input sequence for inputting an uppercase letter of the English languag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alphabetic key portion in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에서 영문자키부의 제2 실시예이다.7 is a second embodiment of an alphabetic key portion in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에서 영문자키부의 제3 실시예이다.8 is a third embodiment of an alphabetic key portion in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에서 영문자키부의 제4 실시예이다.9 is a fourth embodiment of the alphabet key unit in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0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에서 영문자키부의 제5 실시예이다.10 is a fifth embodiment of an alphabetic key portion in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에서 영문자키부의 제6 실시예이다.Fig. 11 is a sixth embodiment of the alphabet key portion in the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에서 영문자키부의 제6 실시예의 영문 대문자 입력을 위한 키입력 순서의 도면이다.12 is a diagram of a key input sequence for inputting a capital letter of the English language in the sixth embodiment of an English letter key portion in the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3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에서 영문자키부의 제6 실시예의 영문 소문자 입력을 위한 키입력 순서의 도면이다.Fig. 13 is a diagram of a key input sequence for inputting a lowercase alphabet letter in the sixth embodiment of an alphabetic key portion in a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4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에서 영문자키부의 제7 실시예이다.14 is a seventh embodiment of an English letter key portion in the character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5 내지 도17은 종래의 다이얼링 키보드와 본 발명의 문자 입력장치로 영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 횟수를 비교한 도면이다.15 to 17 are diagrams comparing the number of key inputs for inputting English characters using the conventional dialing keyboard and the character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는,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숫자 및 문자를 일정 개수의 키로 한정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장치에 있어서,In a character input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s by limiting numbers and characters to a certain number of keys,

하나의 키로 입력되는 일정개수의 영문자의 순번을 지정하는 기능을 가진 다이얼링 키보드;A dialing keyboard having a function of designating a sequence number of a certain number of alphabet characters input by one key;

상기 키보드의 순번 키 입력과 복수개의 영문자를 가진 키의 입력에 해당하는 영문자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isplay an alphabetic character corresponding to a sequence key input of the keyboard and an input of a key having a plurality of alphabetic characters.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이동 전화기는,Mobile phone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외부 기지국으로부터 무선으로 소정의 신호를 수신 하는 안테나;An antenna for wirelessly receiving a predetermined signal from an external base station;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data;

하나의 키로 입력되는 일정개수의 영문자의 순번을 지정하는 기능을 가진 다이얼링 키보드;A dialing keyboard having a function of designating a sequence number of a certain number of alphabet characters input by one key;

상기 키보드의 순번 키 입력과 복수개의 영문자를 가진 키의 입력에 해당하는 영문자를 상기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isplay, on the display device, an alphabetic character corresponding to a sequence key input of the keyboard and an input of a key having a plurality of alphabetic characters.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의 입력 제어방법은,The input control method of the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일정개수의 키로 이루어진 다이얼링 키보드로 영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장치의 입력 제어방법에 있어서,In the input control method of the character input device for inputting English characters with a dialing keyboard consisting of a certain number of keys,

상기 다이얼링 키보드의 하나의 키에 할당된 일정개수의 영문자의 순서를 지정하는 키를 상기 일정개수 만큼 할당하고, 상기 순서를 지정하는 키와 영문자를 선택하는 키의 순차적인 입력에 따라 하나의 영문자를 생성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locate a predetermined number of keys for assign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alphabetic characters assigned to one key of the dialing keyboard, and assign one alphabetic character according to a sequential input of a key for selecting the sequence and a key for selecting an alphabetic character. To generate and displa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를 갖는 이동 전화기의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lephone having a text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기는,As in Figure 3, the mobile teleph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외부와 기지국으로부터 무선으로 소정의 신호를 수신 하는 안테나(20);An antenna 20 for receiving a predetermined signal wirelessly from the outside and the base station;

복수개의 영문자를 각각의 키에 할당하고, 상기 영문자의 순번을 지정하는 기능을 나머지 키에 할당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받는 문자부(52)를 구비하는 키보드부(50)Keyboard portion 50 having a character portion 52 for assigning a plurality of alphabetic characters to each key, and assigning the function of designating the alphabetic number to the remaining keys to receive the user's selection

상기 다이얼링 키보드(52)의 순번 키 입력과 복수개의 영문자를 가진 키의입력에 해당하는 영문자를 상기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10);A microcomputer 10 for controlling an alphabetic character corresponding to a sequence key input of the dialing keyboard 52 and an input of a key having a plurality of alphabetic characters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벨소리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30);A speaker 30 for outputting a ringtone as a voice;

마이컴(1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60)를 포함한다.And a display device 60 for displaying data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10.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가진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를 갖는 이동 전화기의 동작에 관하여 도3 내지 도17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n,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lephone having the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먼저, 사용자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를 갖는 이동 전화기의 동작이 시작된다.First, when power is applied by a user, the operation of a mobile telephone having a text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arted.

동작이 시작된후, 사용자가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문자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해 제어키(51)를 조작하면, 마이컴(12)은 이를 인지하고, 입력상태를 해당 모드로 변환하며, 표시장치(60)에 해당 문자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After the operation is started, when the user connects to the Internet or manipulates the control key 51 to compose a text message, the microcomputer 12 recognizes this, converts the input state to the corresponding mode, and displays the display device 60. Allows the character to be displayed.

즉, 사용자가 제어키(51)를 영문자 입력모드로 변환하도록 입력하면, 마이컴(12)은 입력상태를 영문자 입력 모드로 변환하며, 표시장치(60)에 해당 문자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user inputs the control key 51 to be converted into the English letter input mode, the microcomputer 12 converts the input state to the English letter input mode and allows the corresponding character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60.

이때, 제어키(51)는 다양한 방법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전원 온/오프 기능, 문자입력모드 변환기능, 문자메시지 선택기능 등을 비롯한 각종 부가 서비스 기능을 선택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다이얼링 키보드에 일정 기능을 할당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key 51 may be arranged in various ways, and may select various additional service functions including a power on / off function, a text input mode conversion function, a text message selection function, and the like. You can assign a function to.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다이얼링 키보드(52)의 순번키와 해당 영문자키를 누르게 되면, 마이컴은 해당 영문자키에 대응하는 2개 또는 3개의 영문자중에 해당 순번에 해당하는 영문자를 표시장치(60)에 표시하도록 한다.In such a state, when the user presses the sequence number key and the corresponding alphabet key on the dialing keyboard 52, the microcomputer displays the alphabet letter corresponding to the sequence number among the two or three alphabet letters corresponding to the alphabet letter key on the display device 60. To display.

이와 같이, 영문자 입력이 완료된 뒤에 사용자가 완료된 문자열을 송신하라는 명령을 제어키로 입력하면, 마이컴(12)은 해당 문자열을 송수신부(13) 및 안테나(20)를 통해 무선으로 송신한다.As such, when the user inputs a command to transmit the completed character string with the control key after the English character input is completed, the microcomputer 12 wirelessly transmits the character string through the transceiver 13 and the antenna 20.

여기서, 영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영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 영문자키를 반복해서 누르지 않고 키 입력을 하게 된다. 즉, 영문자가 배열되어 있지 않은 *키, 0키, #키에 각각 입력 순번 기능을 부여하여 이들 입력 순번 키와 영문자키의 조합으로 모든 영문자 26자의 대문자 및 소문자를 모두 입력할 수 있게 한다.Here, the process of inputting the English let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key input is performed without repeatedly pressing an English letter key to input an English letter. That is, by assigning the input sequence number function to * key, 0 key, and # key that are not arranged alphabetic characters, all upper and lower case letters of 26 alphabetic characters can be input by combination of these sequence number key and alphabet key.

*키, 0키, #키에 부여되는 입력 순번 기능은 다음과 같다.Input sequence function assigned to * key, 0key, #key is as follows.

*키는 대소문자를 구별하여 입력하는 쉬프트(Shift)기능을 가지며, 또한 각 문자키부(52)에 배열된 영문자들중 몇번째 영문자를 입력할 것인지 지정하는 순번이 이미 두번째나 세번째로 지정되어 있을 때 디폴트(default) 순번인 첫번째로 지정하는 순번지정 취소 기능을 가진다.* The key has a shift function for distinguishing between uppercase and lowercase letters. Also, the second or third order of designating the number of alphabetic characters arranged in each key 52 is already specified. It has the function to cancel the assignment of the first number which is the default number.

그리고 0키는 영문자의 순번을 두번째로 지정하는 기능을 하며 #키는 영문자의 순번을 세번째로 지정하는 기능을 한다.The 0 key is used to specify the alphabetical order number second, and the # key is used to specify the alphabetic order number third.

도4는 이 발명의 실시예 따른 문자 입력장치를 갖는 이동전화에서 영문자키부의 제1 실시예이다.4 is a first embodiment of an English alphabet key portion in a mobile telephone having a character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에서와 같이, 영문자키부(52)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영문자키(1~9)에 두개 혹은 세개씩 배열되어 있는 영문자중에서 몇번째 영문자를 입력할 것인지 지정하는 순번키(*, 0, #)가 있다는 것이다.As shown in FIG. 4,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the English letter key 52 is a sequence key (*, 0, # that designates the number of English letters to be input from two or three English letters arranged in the English key (1 to 9). ) Is there.

또한, 대소문자를 지원하기 위해 도4의 실시예에서 (SHC)로 표기되어 있는 버튼(*)이 대소문자 입력 모드를 지정한다. '* (SHC)'버튼은 대소문자를 지정하는 기능과 이미 영문자의 순번이 두번째 혹은 세번째로 지정된 경우에 다시 첫번째로 지정하는 기능을 한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FIG. 4, a button (*) denoted by (SHC) designates a case input mode in order to support case. The '* (SHC)' button is used to specify the upper and lower case letters, and the first one when the alphabetic character number is already assigned second or third.

이때, 영문자키부가 소문자를 지원하지 않도록 간단히 구성한다면 단지 영문자 순번 지정 기능만 하도록 한다.At this time, if the English key portion is simply configured to not support lowercase letters, only the alphabetic sequence number designation function should be used.

도4에서와 같이, 영문자키부(52)는 기존의 다이얼링키보드(도1)중 *키에 대소문자로 구분하여 입력하게 하는 '쉬프트(Shift)기능' 및 영문자순번지정 취소기능을 할당하고, 0키에는 각 키에 배열된 영문자중에서 두번째 문제를 입력하는 기능을 할당하며, #키에는 3번째 문자를 지정하는 기능을 할당하였다.As shown in FIG. 4, the English letter key 52 assigns a 'Shift function' and an alphabetical order designation cancel function to input a case-sensitive key to the * key of the existing dialing keyboard (FIG. The key is assigned the function of entering the second question among the alphabets arranged in each key, and the # key is assigned the function of specifying the third character.

이와 같은 순번키(*,0, #)와 영문자키(1~9)의 입력으로부터 마이컴(12)은 대문자 26자와 소문자 26자를 생성하여 표시장치(60)에 표시한다. 여기서, 제어키(51)의 선택에 의해 영문자키부(52)의 모든 키들은 한글 및 숫자 입력이 가능하다. 이는 종래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회피한다.From the input of the sequence keys (*, 0, #) and the English letter keys (1 to 9), the microcomputer 12 generates 26 uppercase letters and 26 lowercase letters and displays them on the display device 60. Here, by selecting the control key 51, all the keys of the English alphabet key 52 can be inputted in Korean and numerals. Since this i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one, description thereof is avoided.

도4의 숫자키부(52)로 영문 소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도표를 도5에 나타내었다.FIG. 5 is a diagram for inputting a lowercase English letter with the numeric key portion 52 of FIG.

도5에서와 같이, 영문 소문자는 순번키(*,0,#)와 영문자키(1~9)에 의해 간단하게 입력이 되며, 영문자키(1~9)의 각각에 쓰여진 영문자의 첫 번째 영문자를 입력할 때는 따로 순번키(*,0,#)를 누를 필요가 없다.As shown in Figure 5, the lowercase English letters are simply input by the sequence number keys (*, 0, #) and the English letters (1-9), the first English letter of the English letter written on each of the English keys (1-9) You do not need to press the sequence key (*, 0, #) separately.

도6은 영문 대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을 나타낸 도표로서, 대문자 지정키(*), 순번키(*,0,#) 및 영문자키(1~9)에 의해 간단하게 입력이 되며, 영문자키(1~9)의 각각에 쓰여진 영문자의 첫 번째 영문자를 입력할 때는 따로 순번키(*,0,#)를 누를 필요가 없다.6 is a diagram showing a key input for inputting an uppercase English letter, which is simply inputted by an uppercase letter designation key (*), a sequence number key (*, 0, #) and an English letter key (1 to 9). It is not necessary to press the sequence number key (*, 0, #) separately when entering the first alphabetic character of the alphabet written in each of (1 ~ 9).

이때, 입력방법에는 다양한 변형예가 존재 가능하며, 대문자키(*)와 순번키(*,0,#)의 순서를 바꾸어 입력이 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various modifications may exist in the input method, and may be designed to be input by changing the order of the capital letter key (*) and the sequence key (*, 0, #).

도7은 영문자키부의 제2 실시예로서, 제1 실시예의 순번키인 0키와 #키에 새겨져 있는 순서를 뜻하는 (2)와 (3)을 2nd와 3rd로 표현을 바꾼 것이며, 기능은 동일하며, 영문자 입력예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5 및 도6에 도시되어 있다.Fig. 7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English alphabet key portion, in which the expressions (2) and (3) representing the order written on the 0 key and the # key, which are the sequence keys of the first embodiment, are replaced by 2nd and 3rd. Are the same, and the example of inputting alphabetic characters is shown in FIGS. 5 and 6 as in the first embodiment.

또한, 도면에는 도시를 하지 않았지만 2th와 3th로 표현을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represented by 2th and 3th.

여기서 *키에 있는 SHC는 shift와 cancel의 복합어로서 대소문자 변경기능과 순번지정 취소 기능을 합친 말이다.Here, SHC on the * key is a compound word of shift and cancel, which combines the case change function and the cancel ordering function.

도8은 영문자키부의 제3 실시예로서 제1 실시예의 순번키인 0키와 #키에 새겨져 있는 순서를 뜻하는 (2)와 (3)은 동일하고, 단지 대소문자 변환 기능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키에는 (C)와 같이 순번지정 취소(cancel) 기능만을 표기한다. 이러한 제3 실시예는 저렴한 이동전화기 모델에 적용될 수 있다. 영문자 입력예는 소문자를 제외하였으므로 도6에 도시된 대문자만 사용한다.FIG. 8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English alphabet key portion. (2) and (3), which denote the order inscribed on the 0 key and the # key, which are the sequence keys of the first embodiment, are the same, and only the case conversion function is not supported. The * key only displays the cancel function as shown in (C). This third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inexpensive mobile phone models. Since the example of inputting an English letter excludes a lowercase letter, only the uppercase letter shown in FIG.

한편, 반대로 소문자만을 지원하도록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you can also support only lowercase letters.

도9는 영문자키부의 제4 실시예로서, 제1 실시예의 순번키인 0키와 #키에 새겨져 있는 순서를 뜻하는 (2)와 (3)을 없앴으며, 이는 별도의 표시가 없더라도 암시적으로 순번 지정 기능을 알것이라는 가정하에 별도의 표시를 하지 않으며, 기능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영문자 입력예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5 및 도6에 도시되어 있다.FIG. 9 is a fourth embodiment of the English alphabet key portion, and (2) and (3), which denote the order of being engraved on the 0 key and the # key, which are the order keys of the first embodiment, have been omitted, which is implied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indication. On the assumption that the sequence designation function is known, no separate display is performed, and the function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 example of inputting an English letter is shown in Figs. 5 and 6 as in the first embodiment.

도10은 영문자키부의 제5 실시예로서, 제1 실시예와는 달리 *키에 2번째 순번 기능이 부여되고, 0키에 3번째 순번 기능이 지정되고, #키에 영문 대소문자 변환기능 및 순번 지정 취소 기능이 부여되어 있다.Fig. 10 is a fifth embodiment of the English alphabet key portion.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second key sequence function is assigned to the * key, the third sequence number function is assigned to the 0 key, and the English letter case conversion function is assigned to the # key. Order designation cancel function is provided.

도11은 영문자키부의 제6 실시예로서, 하나의 영문자키에 3개 또는 4개의 영문자가 배열되어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키에 (3/4)를 표기하여 #키를 한번 누르면 3번째 배열된 영문자를 입력하고 #을 연속할여 두 번 누르면 4번째 영문자를 입력하도록 한다.Fig. 11 shows a sixth embodiment of the alphabet key portion in which three or four alphabetic characters are arranged in one alphabetic key. In this case, write (3/4) on the # key and press the # key once to enter the third alphabetic character, and press the # twice to enter the fourth alphabetic character.

제6 실시예의 대문자 입력을 위한 키 입력 순서를 나타낸 도표로서 도12에 나타내었다.12 is a diagram showing a key input sequence for capital letter input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도12에서와 같이, 대문자 지정키인 1번 키를 누르고, 순번키와 해당 영문자가 있는 영문자키를 누르면 해당 영문 대문자가 입력 된다.As shown in Figure 12, pressing the number 1 key, which is the uppercase letter designation key, and pressing the alphabet key with the sequence number key and the corresponding English letter, the corresponding uppercase letter is entered.

도13은 영문자키부의 제6 실시예의 영문 소문자 입력을 위한 키 입력 순서를 나타낸 도표이다.FIG. 13 is a table showing a key input sequence for inputting a lowercase English letter in the sixth embodiment of an alphabetic key part. FIG.

도13에서와 같이, 순번키와 해당 영문자가 있는 영문자키를 누르면 해당 영문 소문자가 입력 된다.As shown in Figure 13, pressing the English key with the sequence number key and the corresponding English letter is inputted lowercase letters.

도14는 영문자키부의 제7 실시예로서, 알파벳 순서 지정 키를 왼쪽 버튼에 할당하여 사용자가 양손을 사용하여 입력할 때 편리하다. 이와 같은 제7 실시예는 양손으로 입력하게 되므로 문자의 입력 속도를 한손으로 입력하는 것에 비해 빠르게 할 수 있다.Fig. 14 is a seventh embodiment of the alphabet key portion, which is convenient when a user inputs using both hands by assigning an alphabetical ordering key to the left button. In the seventh exemplary embodiment, the input speed of the character is faster than the one-handed input.

상기 과정에 설명한 대소문자 기능은 경우에 따라 입력 순서가 바뀌도록 변형될 수 있다.The case function described in the above process may be modified to change the input order in some cases.

실제로 본 발명의 영문자키부와 종래의 다이얼링 키보드로 영문자를 입력하는 키 입력 횟수를 비교한 결과를 도15 내지 도17에 도시하였다.Actually,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number of key inputs for inputting English characters with the English alphabet key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ventional dialing keyboard are shown in Figs.

도15 내지 도17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원은 인터넷 웹 사이트 입력이나 키타 영문자를 입력할 때 종래에 비해 키 입력회수가 거의 반 정도로 줄어든다.As shown in Fig. 15 to Fig. 17, the present application reduces the number of times of key input by about half as compared to the prior art when inputting an Internet web site or inputting a Kita alphabet letter.

이상에서와 같은 이 발명은 이동 전화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양방향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다른 이동통신기기에도 사용할 수 있고, 영문자 입력기능을 갖는 모든 전자기기나 컴퓨터 등에 응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mobile phone, but can be used for othe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capable of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and can be applied to all electronic devices or computers having an English letter input function.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영문자 입력시 불필요한 키 입력을 줄이고, 일정시간 무입력을 없앴으므로 신속하게 영문자 입력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전세계 공통어인 영문자 입력을 편리하게 하여 세계 정보화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unnecessary key input is reduced when inputting alphabetic characters, and no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is eliminated, alphabetic characters can be input quickly,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us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great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global informatization by conveniently inputting alphabetic characters which is a common language around the world.

Claims (9)

(정정) 숫자 및 문자를 일정 개수의 키로 한정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장치에 있어서,(Correction) A character input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s by limiting numbers and characters to a certain number of keys, 하나의 키로 입력되는 일정개수의 영문자의 순번을 지정하는 기능을 가진 키보드;A keyboard having a function of designating a sequence number of a certain number of alphabet characters inputted by one key; 상기 키보드의 순번 키 입력과 복수개의 영문자를 가진 키의 입력에 해당하는 영문자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isplay an alphabetic character corresponding to a sequence key input of the keyboard and an input of a key having a plurality of alphabetic characters. 상기한 키보드는,The keyboard mentioned above, 문자 입력장치의 기능을 선택하는 제어키부와;A control key unit for selecting a function of the character input device; 순번 키와 복수개의 영문자가 할당된 영문자키를 구비하는 영문자키부를 포함하고,An English alphabet key portion having a sequence key and an English alphabet key to which a plurality of English letters are assign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순번키의 입력과 복수개의 영문자를 가진 키의 입력을 받아, 상기 복수개의 영문자에서 상기 순번에 해당하는 영문자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The control unit receives an input of the sequence key and a key having a plurality of alphabetic characters, and controls to display an alphabetic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sequence from the plurality of alphabetic character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정정) 제1항에 있어서,(Correction)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마이컴은 순번키의 입력없이 영문자키의 입력만 있으면, 복수개의 영문자중 첫 번째 영문자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문자 입력장치.The micom is a character input device for controlling to display the first alphabetic character among a plurality of alphabetic characters, if only the input of the alphabetic key without input of the sequence key. (정정) 외부 기지국으로부터 무선으로 소정의 신호를 수신 하는 안테나;(Correction) an antenna for wirelessly receiving a predetermined signal from an external base station;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data; 하나의 키로 입력되는 일정개수의 영문자의 순번을 지정하는 기능을 가진 키보드;A keyboard having a function of designating a sequence number of a certain number of alphabet characters inputted by one key; 상기 키보드의 순번 키 입력과 복수개의 영문자를 가진 키의 입력에 해당하는 영문자를 상기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isplay an alphabetic character corresponding to a sequence key input of the keyboard and an input of a key having a plurality of alphabetic characters on the display device. 상기한 키보드는,The keyboard mentioned above, 문자 입력장치의 기능을 선택하는 제어키부와;A control key unit for selecting a function of the character input device; 순번 키와 복수개의 영문자가 할당된 영문자키를 구비하는 영문자키부를 포함하고,An English alphabet key portion having a sequence key and an English alphabet key to which a plurality of English letters are assign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순번키의 입력과 복수개의 영문자를 가진 키의 입력을 받아, 상기 복수개의 영문자에서 상기 순번에 해당하는 영문자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전화기.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input of the sequence key and a key having a plurality of alphabetic characters, and controls to display the alphabetic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sequence number in the plurality of alphabetic character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정정) 제8항에 있어서,(Correction) The method of claim 8, 일정개수의 키로 이루어진 다이얼링 키보드로 영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장치의 입력 제어방법으로서,An input control method of a character input apparatus for inputting English characters using a dialing keyboard composed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keys, 상기 다이얼링 키보드의 하나의 키에 할당된 일정개수의 영문자의 순서를 지정하는 키를 상기 일정개수 만큼 할당하는 단계;Allocat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keys for designat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alphabetic letters assigned to one key of the dialing keyboard; 상기 순서를 지정하는 키와 영문자를 선택하는 키의 순차적인 입력에 따라 하나의 영문자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며,A second step of generating and displaying one alphabetic character according to sequential input of a key specifying the order and a key selecting an alphabetic character,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순번키의 입력과 복수개의 영문자를 가진 키의 입력을 받아, 상기 복수개의 영문자에서 상기 순번에 해당하는 영문자를 표시하도록 하며, 상기 순번키의 입력이 없을때는 첫 번째 영문자의 입력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장치의 제어방법.The second step receives the input of the sequence key and the input of a key having a plurality of alphabetic characters, and displays an alphabetic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sequence number in the plurality of alphabetic characters. A control method of a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ing as an input. (삭제)(delete)
KR10-2000-0028253A 2000-05-25 2000-05-25 A letter input system, a mobile telephone having that and a input control method thereof KR1003869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8253A KR100386944B1 (en) 2000-05-25 2000-05-25 A letter input system, a mobile telephone having that and a input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01/000590 WO2001091421A2 (en) 2000-05-25 2001-04-09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lphanumeric data
AU2001248887A AU2001248887A1 (en) 2000-05-25 2001-04-09 Letter input device, mobile telephone system having same, and input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8253A KR100386944B1 (en) 2000-05-25 2000-05-25 A letter input system, a mobile telephone having that and a input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7066A KR20010107066A (en) 2001-12-07
KR100386944B1 true KR100386944B1 (en) 2003-06-11

Family

ID=19670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8253A KR100386944B1 (en) 2000-05-25 2000-05-25 A letter input system, a mobile telephone having that and a input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386944B1 (en)
AU (1) AU2001248887A1 (en)
WO (1) WO2001091421A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672118A (en) 2002-06-05 2005-09-21 苏荣斌 Input method for optimizing digitize operation code for the world characters informa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hereof
US6782280B1 (en) * 2002-08-27 2004-08-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rapid text entry in telephone
KR100690775B1 (en) * 2005-04-06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inputting letter using special key
CN1897607B (en) * 2005-06-08 2012-01-11 Lg电子株式会社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to mobile terminal
KR101379247B1 (en) * 2007-08-16 2014-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Input device,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inputting message using the same
CN103019411A (en) * 2012-12-27 2013-04-03 深圳市海颖纪元科技有限公司 Dual-typing English letter input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13177A (en) * 1998-02-12 1998-04-30 황병구 METHOD FOR INPUTTING ENGLISH CHARACTER USING ELECTRIC TELEPHONE KEYPAD
KR19990007518A (en) * 1998-08-31 1999-01-25 허진호 Character input method of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19990039141A (en) * 1997-11-10 1999-06-05 서평원 Character input method in communication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2599A (en) * 1975-07-29 1977-03-15 Jerome Charles Meyer Telephone communications system for the deaf
FR2674043A1 (en) * 1991-03-15 1992-09-18 Precta Sa Alphanumeric keyboard system with triple-function keys
KR970004542A (en) * 1995-06-12 1997-01-29 김광호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numeric key combination
US6043761A (en) * 1997-07-22 2000-03-28 Burrell, Iv; James W. Method of using a nine key alphanumeric binary keyboard combined with a three key binary control keyboar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141A (en) * 1997-11-10 1999-06-05 서평원 Character input method in communication terminal
KR980013177A (en) * 1998-02-12 1998-04-30 황병구 METHOD FOR INPUTTING ENGLISH CHARACTER USING ELECTRIC TELEPHONE KEYPAD
KR19990007518A (en) * 1998-08-31 1999-01-25 허진호 Character input method of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7066A (en) 2001-12-07
AU2001248887A1 (en) 2001-12-03
WO2001091421A2 (en) 2001-11-29
WO2001091421A3 (en) 200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37978A2 (en) Method and device for key input in mobile terminal
KR100285312B1 (en) Character input method in wireless telephone set
JP2006352875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ata processing method therein
KR10034997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the English Alphabet Using the Shorten Keypad
KR100386944B1 (en) A letter input system, a mobile telephone having that and a input control method thereof
KR100370427B1 (en) Hangul input method in a mobile station
JP3285821B2 (en) Thai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therefor
KR20000051881A (en) A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a telephone
KR2009001604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keyboard input mode in a mobile network device
JP2002300261A (en) Portable telephone system
KR100397509B1 (en) Korean input device with telephone keyboard and its method
KR100373332B1 (en) Method for korean character inpu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2251252A (en) Portable telephone set and method for inputting its character and method for displaying its character
KR20050110329A (en) Input device of character for mobilephone and the method thereof
KR100983727B1 (en) English alphabet inputting method for mobile phone
KR100373330B1 (en) Method for korean character inpu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1103723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ctivating application
KR100648348B1 (en) Input device of character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the method thereof
KR20050015897A (en) Character display method of mobile terminal
KR100409278B1 (en) Character input method
KR100421545B1 (en) Method for inputting hangul character set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KR20050022560A (en) Letter input method using the shift ke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5352417B2 (en) Electronic device and application startup method
KR20030044129A (en) Characto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op box
KR20050015042A (en) Appratus for inputing key i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