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0504B1 - App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icstic recognizing of hand held devices - Google Patents

App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icstic recognizing of hand held devi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0504B1
KR100640504B1 KR1019990015598A KR19990015598A KR100640504B1 KR 100640504 B1 KR100640504 B1 KR 100640504B1 KR 1019990015598 A KR1019990015598 A KR 1019990015598A KR 19990015598 A KR19990015598 A KR 19990015598A KR 100640504 B1 KR100640504 B1 KR 100640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pattern
character recognition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5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67621A (en
Inventor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15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504B1/en
Publication of KR20000067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76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5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장치를 쥐고 필기동작을 하면, 그에 따른 움직임 신호를 패턴으로 형성하고 기저장된 패턴과 비교하여 소정 문자 또는 매크로 패턴을 선택하고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쉽고 빠르게 문자입력을 할 수가 있어서, 특히 향후 사용 확대가 예상되는 멀티미디어 전화, 단문 메시지 전송, 호출동작, E-메일 발송, 브라우징 동작등에 폭넓게 이용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holds a portable device and performs a writing operation, a motion signal is formed into a pattern, a predetermined character or macro pattern is selected and compared with a previously stored pattern, and the correspond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and quickly input text, and in particular, it can be widely used in multimedia telephone, short message transmission, call operation, e-mail transmission, browsing operation, etc., which are expected to be expanded in the future.

문자인식, 패턴인식, HAND HLED DEVICE, 마우스.Character recognition, pattern recognition, HAND HLED DEVICE, mouse.

Description

휴대장치의 문자인식장치 및 방법{APP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ICSTIC RECOGNIZING OF HAND HELD DEVICES}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and method of mobile device {APP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ICSTIC RECOGNIZING OF HAND HELD DEVICES}             

도 1은 종래의 휴대장치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keypad for character input in a conventional portable devic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무선 단말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obile wireless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무선 단말기에 부착된 문자입력감지센서와 문자인식 모드전환 스위치를 도시한 도면.4 is a view illustrating a character input sensor and a character recognition mode change switch attached to a mobi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of character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문자입력 감지부가 사용자의 필기 동작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움직임 신호를 검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그래프.FIG. 6 is a graph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cting a motion signal continuously changing according to a writing operation of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무선 단말장치의 문자인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of a mobile wireless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문자입력을 필요로 하는 휴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자인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evice requiring character inpu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일반적으로 휴대폰, 무선호출기, 인터넷폰, Organizer 및 PDA(Personal Digit Assistant)등과 같은 휴대장치에는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하여 소정의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각종 기능키를 비롯한 숫자입력키와 문자입력키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휴대장치에서 종래의 문자입력은 사용자가 12개의 키버튼에 인쇄된 특정 문자(알파벳, 한글 자/모음)를 선택하고 약속된 방식에 따라 해당 키버튼을 누르는 것 이었다.In general, portab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pagers, Internet phones, organizers, and PDAs (Personal Digit Assistants) are provided with numeric input keys and character input keys, including various function keys for executing a predetermined program by a user's key input. . In the portable device, the conventional text input is that the user selects a specific character (alphabet, Hangul / vowel) printed on 12 key buttons and presses the corresponding key button according to the promised method.

도 1은 종래의 휴대장치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의 일 예를 도시한다.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keypad for text input in a conventional portable device.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키패드에는 숫자버튼 '2'에 'ABC'문자가 배치되고 숫자버튼 '3'에 'DEF'문자등이 배치되어, 사용자는 소정의 방식에 따라 해당 숫자버튼을 눌러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였다.As shown in the conventional keypad, 'ABC' letters are arranged on the number button '2' and 'DEF' letters are placed on the number button '3', and the user presses the corresponding number butt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ethod. Was entered.

예를 들어, 'Bell'이라는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는 숫자버튼 '2'를 2회 누르고, 숫자버튼 '3'을 2회, 숫자버튼 '5'를 3회등 총 10회의 숫자버튼을 눌러야 한다. 또한 방식에 따라서는 다음 문자를 선택하기 위하여, 화살표 버튼을 이용하여 커서를 이동하거나 또는 일정시간 동안 기다려야 하여, 종래의 문자 입력 방식은 사용자가 문자입력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여야 하여, 매우 불편하였다. 상기의 불편함으로 인해, 사용자는 휴대장치의 문자입력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까지 발생하게 된다. 특히, 휴대장치가 한 가지 이상의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 작 은 숫자버튼에 영문을 포함하는 한글등과 같이 다수개의 문자를 배치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하는 문자를 쉽게 찾는것 조차도 힘이 들었다.For example, if you enter the character 'Bell', the user must press the number button '2' twice, the number button '3' twice, and the number button '5' three times. .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ethod, in order to select the next character, the cursor must be moved or the user waits for a predetermined time by using the arrow button, and the conventional character input method is very inconvenient because the user has to spend a lot of time and effort on the character input. . Due to the inconvenience, the user may occur until the character input function of the portable device is not used. In particular, when the portable device uses more than one language, the user has difficulty in finding the desired character easily because a large number of characters must be placed on the small number buttons such as Korean including English.

또한 종래의 문자입력 방식에는 음성인식기능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상기 음성인식기능을 이용한 문자입력방식은 메모리 크기가 큰 음성인식 엔진이 필요로 하여, 이에 따라 메모리 비용이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정숙을 요하는 곳에서 문자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에, 상기의 음성인식 문자입력은 불리한 면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text input method,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may be used. However, the text input method using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requires a voice recognition engine with a large memory size, and thus, a memory cost increases. In the case where a character is to be input where quietness is required, the voice recognition character input is disadvantageous.

한편,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최근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음성신호의 송/수신을 위주로 하는 방식에서 발전하여, 음성 뿐만 아니라 고속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한 IMT-2000 규격으로 논의되고 있다. 상기 IMT-2000에서는 고품질의 음성, 동화상, 인터넷 검색 등의 서비스를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동무선 단말장치를 통하여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할 때 폰-북(Phone-Book)과 개인정보의 저장 및 단문 서비스 뿐만 아니라 E-메일 발송 및 브라우징(Browsing)기능등의 문자입력을 지원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효율적인 문자입력방식이 요구되고 있는 추세이다.On the other hand, 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recent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in a manner focused o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of voice signals, and has been discussed in the IMT-2000 standard capable of high-speed data transmission as well as voice. The IMT-2000 aims to provide services such as high quality voice, moving picture, and internet search. Therefore, in order to support text input such as E-mail sending and browsing function as well as phone-book and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and short text service when the user inputs text through the mobile wireless terminal device. Recently, an efficient character input method has been demand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장치에서 사용자가 상기 휴대장치를 쥐고 펜으로 글을 쓰듯이 쓰기만 하면, 센서부로부터 사용자의 필기동작에 따른 움직임 신호가 문자인식부로 전달되어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가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write a user's hand as if writing a pen by holding the portable device, the movement signal according to the user's handwriting motion from the sensor unit is transmitted to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to input the desired character An apparatus and method are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장치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마우스를 소형화 하여 상기 휴대장치에 부착하고 사용자가 상기 휴대장치를 쥐고 펜으로 글을 쓰듯이 쓰기만 하면, 상기 마우스로부터 사용자의 필기동작에 따른 움직임 신호가 문자인식부로 전달되어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가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size of a mouse, which is generally used in a portable device, and to attach the portable device to the portable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inputting a desired character by transmitting a motion signal to a character recognition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문자입력을 필요로 하는 통신 단말장치에서 사용자가 상기 이동무선 단말장치를 쥐고 필기하는 동작에 따른 움직임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움직임 신호가 문자인식부에 전달되어 소정 문자 및 특수문자등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문자 또는 특수문자에 따른 호출동작, 단문메시지 전송동작, 데이터통신동작등을 수행하여 신호 송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tect a motion signal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user holding a mobile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writing in a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requiring text input, and the detected mo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a text recognition unit so as to be predetermin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character and a special character, and transmitting a signal by performing a call operation,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operation, a data communication operation, etc. according to the determined character or special charact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장치에 구비되는 문자인식 장치가, 사용자가 상기 휴대장치를 쥐고 손쉽게 필기동작을 할 수 있도록 상기 휴대장치의 모서리 부분에 구비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사용자의 필기동작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움직임 신호를 검출하는 문자입력 감지부와, 상기 검출된 움직임 신호를 패턴으로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패턴과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패턴을 비교하여 소정 문자를 선택하는 문자 인식부와, 상기 선택된 문자데이터를 해당 영역에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된 문자데이터를 화면출력하는 표시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provided in the portable device, the sensor unit is provided in the corner portion of the portable devic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hold the portable device, the sensor unit, A character inpu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motion signal continuously changing according to a user's handwriting motion, and forming the detected motion signal as a pattern, comparing the formed pattern with a pattern previously stored in a database, and selecting a predetermined character And a character recognition unit,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elected character data in a corresponding area, 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stored character data.

그리고 본 발명은 문자입력을 필요로 하는 통신 단말장치가, 사용자가 상기 통신 단말장치를 쥐고 손쉽게 필기동작을 할 수 있도록 상기 통신 단말장치의 모서 리 부분에 구비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사용자의 필기동작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움직임 신호를 검출하는 문자입력 감지부와, 상기 검출된 움직임 신호를 패턴으로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패턴과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패턴을 비교하여 소정 문자를 선택하는 문자 인식부와, 상기 선택된 문자데이터를 해당 영역에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선택된 문자데이터를 화면출력하는 표시부와, 상기 선택된 문자데이터를 신호전송에 적당한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출력하는 신호 송신부와, 상기 통신 단말장치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상기 선택된 문자데이터에 대한 해당 처리를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that requires a text input, the sensor unit is provided in the corner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erform the writing operation while hold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the user from the sensor unit A character inpu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motion signal continuously changing according to a writing operation of the character, and a character recognition for selecting a predetermined character by forming the detected motion signal as a pattern and comparing the formed pattern with a pattern previously stored in a database.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elected text data in a corresponding area, a display for outputting the selected text data, a signal transmitter for converting the selected text data into a signal suitable for signal transmission and wirelessly outputting the communication; Overall control of the terminal device and the corresponding processing for the selected text data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fishermen.

그리고 본 발명은 휴대장치에 구비되는 문자인식 방법이, 사용자가 상기 휴대장치를 쥐고 필기하는 동작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움직임 신호를 검출하는 제1과정과, 상기 검출된 움직임 신호를 패턴으로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패턴과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패턴을 비교하여 소정 문자를 선택하는 제2과정과, 상기 선택된 문자데이터를 저장하고 화면출력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provided in a portable device, comprising: a first process of detecting a motion signal continuously changing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user grasping the portable device, and forming the detected motion signal as a pattern; And a second process of selecting a predetermined character by comparing the formed pattern with a pattern previously stored in a database, and a third process of storing and displaying the selected character data.

그리고 본 발명은 문자입력을 필요로 하는 통신 단말장치의 문자인식 및 그 통신 방법이, 사용자가 상기 통신 단말장치를 쥐고 필기하는 동작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움직임 신호를 검출하는 제1과정과, 상기 검출된 움직임 신호를 패턴으로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패턴과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패턴을 비교하여 소정 문자를 선택하는 제2과정과, 상기 선택된 문자데이터를 저장 및 화면출력하는 제3과정과, 상기 선택된 문자데이터에 대하여 동작모드에 따른 해당 처리를 수행하고 신호 정송에 적당한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 송신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 징으로 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and a communication method of a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that requires a text input, the method comprising: detecting a motion signal continuously changing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user holding and hold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Forming a detected motion signal into a pattern, comparing the formed pattern with a pre-stored pattern in a database, selecting a predetermined character, storing a selected character data, and outputting the selected character data; And a fourth process of performing a corresponding process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on the data, converting the data into a signal suitable for signal transmission, and transmitting the signa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pecific details appea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ich is provided to aid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should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t will be self explanatory.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다.2 shows a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무선 단말기에 부착된 문자입력감지센서와 문자인식 모드전환 스위치를 도시한다.4 illustrates a character input sensor and a character recognition mode switch attached to a mobi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ing a character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문자입력 감지부가 사용자의 필기 동작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움직임 신호를 검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FIG. 6 is a graph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cting a motion signal continuously changing according to a writing operation of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인식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상기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단말장치의 구성으로서, 문자 호출기, 이동무선전화기, 인터넷폰 및 펜-형(Pen-Type) 휴대폰등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2 is a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is applicable to a text pager, a mobile wireless telephone, an internet phone, and a pen-type mobile phone.

문자입력 감지부(240)는 상기 도 4의 소형 볼 마우스(410)(ball mouse)등과 같은 센서부로부터의 사용자 필기동작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움직임 신호를 검출하여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센서부는 소형 볼 마우스(410)를 포함하여 광 마우스, 터치패드 및 압력감지장치등이 될 수가 있다.The text input detection unit 240 detects and continuously outputs a motion signal that changes continuously according to a user's handwriting motion from a sensor unit, such as the small ball mouse 410 of FIG. 4,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ler 210. In this case,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n optical mouse, a touch pad, a pressure sensing device, and the like, including a small ball mouse 410.

그리고 문자 인식부(250)는 제어부(210)로부터 상기 도 5와 같은 사용자의 필기동작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움직임 신호를 패턴으로 형성한다. 이때, 문자 인식부(250)는 상기 움직임 신호의 변화하는 좌표를 분석하여 패턴을 형성할 수가 있다. 그리고 문자 인식부(250)는 상기 형성된 패턴과 데이터베이스(도시하지 않음)에 기저장된 문자패턴을 비교하고 소정 문자를 선택하고 이를 제어부(210)로 출력한다.In addition,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250 forms a movement signal continuously changing according to the user's writing operation as shown in FIG. 5 in a pattern from the control unit 210. In this case,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250 may form a pattern by analyzing the changing coordinates of the motion signal.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250 compares the formed pattern with a character pattern previously stored in a database (not shown), selects a predetermined character, and outputs the predetermined character to the controller 210.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패턴은 문자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사용자와 기약속된 다양한 매크로(Macro) 패턴이 저장된다. 이로인해 사용자는 기존의 마우스가 지원하는 더블클릭, 엔터, 백-스페이스, 스페이스 및 특수문자등을 쉽게 문자입력 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백-스페이스는 사용자가 마치 방금 쓴 글씨를 지우듯이, 가로에서 세로로 두 번 긋는 것이 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기저장된 패턴은 숫자가 될 수도 있다.In addition, patterns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are not limited to characters. That is, the database stores various macro patterns promised to the user. This makes it easy for the user to enter characters such as double-click, enter, back-space, space and special characters that are supported by the existing mouse. For example, the back-space may be a double stroke from horizontal to vertical, as if the user erased the text just written. In addition, the pre-stored pattern may be a number.

그리고 문자 인식부(250)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문자 인식부는 국어, 영어 및 한자등과 같은 다양한 언어의 문자인식을 지원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210)는 사용자의 상기 도 4의 문자인식 모드전환 스위치(420)의 스위칭 여부에 따라 해당되는 언어의 문자 인식부를 활성화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문자인식 모드전환 스위치(420)는 문자의 대문자 소문자 변화 또는 필체 변환의 스위칭 동작을 수행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모드전환은 상기한 매크로 패턴의 약속에 의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250 may be formed in plural. In this case, each character recognition unit supports character recognition of various languages such as Korean, English, and Chinese characters.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10 activates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of the corresponding language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switches the character recognition mode switch 420 of FIG. 4. In addition, the character recognition mode switch 420 may perform a switching operation of changing the uppercase and lowercase letters of the characters or handwriting conversion. In addition, the mode switching may be performed by the promise of the macro pattern.

그리고 저장부(23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선택된 문자에 해당하는 문자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230)는 폰-북, 단문메시지 및 데이터 통신용 송/수신문자 저장 레지스터등이 될 수가 있다. 또한 표시부(22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선택된 문자를 화면출력 한다. 이로인해 사용자는 자신이 현재 쓰고 있는 문자를 즉석에서 표시부(220)를 통하여 확인할 수가 있다.The storage unit 230 stores text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tex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10. The storage unit 230 may be a phone-book, a short message, and a transmit / receive character storage register for data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20 outputs the selected charact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10. As a result, the user can immediately check the character currently being written through the display unit 220.

또한 신호 송신부(26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선택된 문자 데이터들을 신호 전송에 적당한 신호로 변환 및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신호 송신부(260)의 신호 송신동작은 통신 단말장치의 호출동작, 단문메시지 전송동작 및 데이터 통신 동작등의 경우에 이루어 질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signal transmitter 260 converts and outputs the selected text data into a signal suitable for signal transmiss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10. In this case, the signal transmission operation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260 may be performed in the case of a call operation,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operation, a data communication operation, and the lik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무선 단말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wireless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 3.

제어부(310)는 이동무선 단말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335)는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과 전기적으로 프로그램이 가능한 이이피롬(EEPROM)과 램(RAM)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메모리(3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인식방법을 운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표시부(315)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등과 같은 표시장치이다. 그리고 표시부(315)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해 이동국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 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3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문자인식부(330)에 의해 선택된 문자를 화면출력 한다. 이로인해 사용자는 자신이 현재 쓰고 있는 문자를 즉석해서 표시부(315)를 통하여 확인할 수가 있다. 키입력부(320)는 복수개의 숫자버튼과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버튼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310)로 키입력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키입력부(3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 4의 문자인식 모드전환 스위치(42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문자인식 모드전환 스위치(420)는 사용자가 필기동작중에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동무선 단말장치의 사이드에 위치하는 사이드 키가 될 수가 있으며,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볼륨조절키를 사용할 수가 있다.The controller 3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wireless terminal device. The memory 335 is composed of a ROM storing an operating program, an electrically programmable EEPROM, and a RAM. The memory 335 stores a program for operating the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315 is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The display unit 315 displays the state of the mobile station or the progress of the program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10.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315 displays the character selected by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3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the user can immediately identify the character currently being written through the display unit 315. The key input unit 3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numeric buttons and function buttons for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and output key input data to the controller 310 by external manipulation. In addition, the key input unit 320 includes a character recognition mode switch 420 of FIG. 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character recognition mode switching switch 420 may be a side key located on the side of the mobile wireless terminal devic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use during the writing operation, the volume control key used in the existing There is a number.

또한 RF부(340)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해, 아날로그 베이스밴드부(345)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승압(Up-Converting)시켜 안테나(355)를 경유하여 기지국(도시하지 않음)으로 무선출력한다. 또한 RF부(340)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해 안테나(355)를 통해 수신한 수신신호를 강압(Down-Converting)시켜 아날로그 베이스밴드부(345)로 출력한다. 그리고 아날로그 베이스밴드부(345)는 RF부(34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저대역 및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310)로 출력한다. 또한 아날로그 베이스밴드부(345)는 제어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RF부(340)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310)는 아날로그 베이스밴드부(345)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에 대하여 채널 복조(Channel Demodulating) 및 복호(Channel Decoding)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310)는 상기 아날로그 베이스밴드부(345)로부터 출력된 음성데이터를 음성처리부(350)로 출력한다. 그리고 음성처리부(350)는 마이크 로폰(360)으로부터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310)로 출력한다. 제어부(310)는 상기 음성데이터에 대하여 채널 부호(Channel Coding) 및 채널 변조 (Channel Modulating)등의 동작을 수행하고, 아날로그 베이스밴드부(345), RF부(340) 및 안테나(355)를 경유하여 기지국으로 무선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310)는 호설정, 음성신호, 단문 메시지 송/수신 및 데이터 통신의 주체가 된다. 즉, 제어부(310)는 수신신호에 대하여 채널복조를 수행하고, 송신측의 소오스 데이터에 대한 해당 처리를 수행한다.In addition, the RF unit 340 up-converts the signal input from the analog baseband unit 345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10 to wirelessly output the base station (not shown) via the antenna 355. do. In addition, the RF unit 340 down-converts the receive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355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10 and outputs the analog signal to the analog baseband unit 345. The analog baseband unit 345 converts a signal input from the RF unit 340 into a baseband and digital signal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310. In addition, the analog baseband unit 345 outputs a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310 to the RF unit 340. The controller 310 performs channel demodulating and channel decoding operations on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analog baseband unit 345. The controller 310 outputs the voice data output from the analog baseband unit 345 to the voice processor 350. The voice processing unit 350 converts the user's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microphone 360 into voice data and outputs the voice signal to the controller 310. The controller 310 performs operations such as channel coding and channel modulation on the voice data, and passes through the analog baseband unit 345, the RF unit 340, and the antenna 355. Wireless output to the base station. The controller 310 is a subject of call setup, voice signal, short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and data communication. That is, the controller 310 performs channel demodulation on the received signal and performs a corresponding process on the source data of the transmitter.

그리고 문자입력 감지부(325)는 상기 도 4의 소형 볼 마우스(410)(ball mouse)등과 같은 센서부로부터의 사용자 필기동작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움직임 신호를 검출하여 제어부(310)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센서부는 소형 볼 마우스(410)를 포함하여 광 마우스, 터치패드 및 압력감지장치등이 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text input detection unit 325 detects a motion signal that is continuously changed according to a user's handwriting motion from a sensor unit such as the small ball mouse 410 of FIG. 4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 unit 310. . In this case,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n optical mouse, a touch pad, a pressure sensing device, and the like, including a small ball mouse 410.

그리고 문자 인식부(330)는 제어부(310)로부터 상기 도 5와 같은 사용자의 필기동작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움직임 신호를 패턴으로 형성한다. 이때, 문자 인식부(330)는 상기 움직임 신호의 변화하는 좌표를 분석하여 패턴을 형성할 수가 있다. 그리고 문자 인식부(330)는 상기 형성된 패턴과 데이터베이스(도시하지 않음)에 기저장된 문자패턴을 비교하고 소정 문자를 선택하고 이를 제어부(310)로 출력한다. 그리고 문자 인식부(330)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문자 인식부는 국어, 영어 및 한자등과 같은 다양한 언어의 문자인식을 지원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310)는 사용자의 상기 도 4의 문자인식 모드전환 스위치(420)의 스위칭 여부에 따라 해당되는 언어의 문자 인식부를 활성화 하게 된다. 그리고 메모리(335)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선택된 문자에 해당하는 문자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335)는 폰-북, 단문메시지 및 데이터 통신용 송/수신문자 저장 레지스터등이 된다.In addition,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330 forms a movement signal continuously changing according to the user's writing operation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330 may form a pattern by analyzing the changing coordinates of the motion signal.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330 compares the formed pattern with a character pattern previously stored in a database (not shown), selects a predetermined character, and outputs the predetermined character to the controller 310. In addition,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330 may be formed in plural. In this case, each character recognition unit supports character recognition of various languages such as Korean, English, and Chinese characters. In this case, the controller 310 activates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of the corresponding language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switches the character recognition mode switch 420 of FIG. 4. The memory 335 stores text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tex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10. The memory 335 is a phone-book, a short message and a transmit / receive character storage register for data communica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무선 단말장치의 문자인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of a mobile wireless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 3.

710단계는 문자입력모드의 시작을 의미한다. 상기 문자입력모드는 폰-북 기능, 호출기능, 단문 메시지 기능 및 데이터 통신 기능이 수행될 때 발생된다. 이때, 720단계에서 제어부(310)는 문자입력감지를 활성화 한다. 즉, 상기 720단계는 사용자의 필기동작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움직임 신호를 검출하는 센서부 또는 문자입력 감지부(325)가 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해 활성화 되는 단계이다. 그리고 730단계에서 문자입력 감지부(325)는 상기 움직임 신호가 검출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움직임 신호가 검출되면, 문자입력 감지부(325)는 상기 움직임 신호를 문자인식부(330)로 출력한다. 그리고 740단계에서 문자 인식부(330)는 제어부(310)로부터 상기 도 5와 같은 사용자의 필기동작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움직임 신호를 패턴으로 형성한다. 이때, 문자 인식부(330)는 상기 움직임 신호의 변화하는 좌표를 분석하여 패턴을 형성할 수가 있다. 그리고 문자 인식부(330)는 상기 형성된 패턴과 데이터베이스(도시하지 않음)에 기저장된 문자패턴을 비교하고 소정 문자를 선택하고 이를 제어부(310)로 출력한다.In operation 710, the character input mode is started. The text input mode is generated when a phone-book function, a calling function, a short message function and a data communication function are performed. In step 720, the controller 310 activates the character input detection. That is, operation 720 is a step in which a sensor unit or a text input detection unit 325 for detecting a motion signal continuously changing according to a user's writing operation is activat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10. In operation 730, the text input detector 325 checks whether the motion signal is detected. When the motion signal is detected, the text input detector 325 outputs the motion signal to the text recognition unit 330. In operation 740,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330 forms a movement signal continuously changing according to the user's writing operation as shown in FIG. 5 in a pattern from the controller 310. In this case,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330 may form a pattern by analyzing the changing coordinates of the motion signal.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330 compares the formed pattern with a character pattern previously stored in a database (not shown), selects a predetermined character, and outputs the predetermined character to the controller 310.

그리고 750단계에서 제어부(310)는 상기 선택된 문자를 표시부(315)에 화면출력 및 메모리(335)에 저장하고 해당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메모리(335)는 폰- 북, 호출동작, 단문메시지 및 데이터 통신용 송/수신문자 저장 레지스터등이 된다. 그리고 상기 해당 동작은 마찬가지로 폰-북 저장, 호출동작, 단문메시지 및 데이터 통신 동작이 된다.In operation 750, the controller 310 stores the selected text on the display unit 315 in the screen output and the memory 335 and performs a corresponding operation. At this time, the memory 335 is a phone book, a call operation, a short message, and a transmit / receive character storage register for data communication. The corresponding operation is likewise a phone-book storage, a call operation, a short message and a data communication operation.

상기 도 2 내지 도 7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을 필요로 하는 휴대장치의 문자인식 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가 상기 휴대장치를 쥐고 손쉽게 필기동작을 할 수 있도록 모서리 부분에 센서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문자입력 감지부는 사용자 필기동작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움직임 신호를 검출한다. 그리고 문자 인식부는 상기 움직임 신호를 패턴으로 형성하고 기저장된 패턴과 비교하여 소정 문자 또는 매크로 패턴을 선택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문자에 따라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상기 휴대장치를 쥐고 펜으로 글을 쓰듯이 움직이기만 하면, 종이에 글씨를 쓰는 것과 거의 동일한 속도로 문자를 쉽게 입력할 수가 있게 된다.In the description of Figures 2 to 7, the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and method of a portable device requiring a character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nsor at the corner portio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write hand holding the portable device Is provided. The text input detection unit detects a motion signal that continuously changes according to a user's handwriting motion.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forms the motion signal in a pattern and selects a predetermined character or macro pattern by comparing with the previously stored pattern. The controller performs a correspond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lected character. That is, because of the above configuration, the user can easily input a character at almost the same speed as writing on paper as long as the user moves as if writing with a pen while holding the portable device.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발명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발명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장치를 쥐고 필기동작을 하면, 그 에 따른 움직임 신호를 패턴으로 형성하고 기저장된 패턴과 비교하여 소정 문자 또는 매크로 패턴을 선택하고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쉽고 빠르게 문자입력을 할 수가 있어서, 특히 향후 사용 확대가 예상되는 멀티미디어 전화, 단문 메시지 전송, 호출동작, E-메일 발송, 브라우징 동작등에 폭넓게 이용될 수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holds a portable device and performs a writing operation, the user forms a motion signal in a pattern, selects a predetermined character or macro pattern by comparing with a previously stored pattern, and performs the corresponding operation.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and quickly input text, and in particular, it can be widely used in multimedia telephone, short message transmission, call operation, e-mail transmission, browsing operation, etc., which are expected to be expanded in the future.

Claims (17)

휴대장치에 구비되는 문자인식 장치에 있어서,In the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provided in the portable device, 사용자가 상기 휴대장치를 쥐고 손쉽게 필기동작을 할 수 있도록 상기 휴대장치의 모서리 부분에 구비되는 센서부와,A sensor unit provided at an edge of the portable device so that a user can easily hold the portable device and perform a writing operation; 상기 센서부로부터 사용자의 필기동작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움직임 신호를 검출하는 문자입력 감지부와,A text inpu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motion signal continuously changing according to a user's writing motion from the sensor unit; 상기 검출된 움직임 신호를 패턴으로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패턴과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패턴을 비교하여 소정 문자를 선택하는 문자 인식부와,A character recognition unit which forms the detected motion signal as a pattern and compares the formed pattern with a pattern previously stored in a database to select a predetermined character; 상기 선택된 문자데이터를 해당 영역에 저장하는 저장부와,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elected text data in a corresponding area; 상기 저장된 문자데이터를 화면출력하는 표시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인식 장치.Character recognition device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stored text dat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nsor unit, 소형 볼 마우스, 광 마우스, 터치패드 및 압력감지장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인식 장치.Character recogni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mall ball mouse, optical mouse, touch pad and pressure sensing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인식부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상기 형성된 패턴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문자패턴과 사용자와 기약속된 매크로 패턴들을 비교하여 숫자, 소정 문자, 더블클릭, 엔터, 백-스페이스, 스페이스 및 특수문자를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인식 장치.Character recogni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selecting the number, predetermined characters, double click, enter, back-space, space and special characters by comparing the formed pattern with the character pattern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and the macro pattern promised by the user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인식부가,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각 문자인식부가 서로 다른 언어의 문자인식 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인식 장치.A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characters each character recognition unit performs a character recognition operation of a different language. 문자입력을 필요로 하는 통신단말장치에 있어서,In a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requiring character input, 사용자가 상기 통신단말장치를 쥐고 손쉽게 필기동작을 할 수 있도록 상기 통신단말장치의 모서리 부분에 구비되는 센서부와,A sensor unit provided at a corn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so that a user can easily perform a writing operation while hold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상기 센서부로부터 사용자의 필기동작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움직임 신호를 검출하는 문자입력 감지부와,A text inpu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motion signal continuously changing according to a user's writing motion from the sensor unit; 상기 검출된 움직임 신호를 패턴으로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패턴과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패턴을 비교하여 소정 문자를 선택하는 문자 인식부와,A character recognition unit which forms the detected motion signal as a pattern and compares the formed pattern with a pattern previously stored in a database to select a predetermined character; 상기 선택된 문자데이터를 해당 영역에 저장하는 저장부와,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elected text data in a corresponding area; 상기 선택된 문자데이터를 화면출력하는 표시부와,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selected text data; 상기 선택된 문자데이터를 신호전송에 적당한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 송신하 는 신호 송신부와,A signal transmitter for converting the selected character data into a signal suitable for signal transmission and transmitting the signal; 상기 통신 단말장치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상기 선택된 문자데이터에 대한 해당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장치.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s a whole and performs a corresponding process on the selected text data.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가,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nsor unit, 소형 볼 마우스, 광 마우스, 터치패드 및 압력감지장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장치.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mall ball mouse, optical mouse, touch pad and pressure sensing devic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인식부가,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상기 형성된 패턴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문자패턴과 사용자와 기약속된 매크로 패턴들을 비교하여 숫자, 소정 문자, 더블클릭, 엔터, 백-스페이스, 스페이스 및 특수문자를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장치.A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for selecting a number, a predetermined character, a double click, an enter, a back-space, a space, and a special character by comparing the formed pattern with a character pattern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and a macro pattern contracted with a user.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인식부가,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haracter recognition unit,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각 문자인식부가 서로 다른 언어의 문자인식 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장치.A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plurality of characters each character recognition unit performs a character recognition operation of a different languag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각 문자인식부의 활성화 여부가,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activation of each character recognition unit, 상기 통신 단말장치에 구비되는 문자입력 모드전환 스위치의 사용자 스위칭 동작에 의해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장치.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ed by the user switching operation of the character input mode switching switch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문자데이터에 대한 해당 처리가,10. The processing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corresponding processing for the selected character data is performed. 상기 통신 단말장치의 호출동작, 단문메시지 전송동작 및 데이터 통신 동작의 경우에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장치.And a call operation,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operation, and a data communication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장치가,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10, 이동무선 단말장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장치.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wireless terminal devic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 모드전환 스위치가,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haracter input mode switch, 상기 이동무선 단말장치의 사이드 키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 단말장치.A mobile wireless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key of the mobile wireless terminal device. 휴대장치에 구비되는 문자인식 방법에 있어서,In the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provided in the portable device, 사용자가 상기 휴대장치를 쥐고 필기하는 동작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움직임 신호를 검출하는 제1과정과,A first process of detecting a motion signal continuously changing in response to a user holding and holding the portable device; 상기 검출된 움직임 신호를 패턴으로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패턴과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패턴을 비교하여 소정 문자를 선택하는 제2과정과,A second process of forming the detected motion signal into a pattern, comparing the formed pattern with a pattern previously stored in a database, and selecting a predetermined character; 상기 선택된 문자데이터를 저장하고 화면출력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인식 방법.And a third process of storing and displaying the selected text data.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이,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econd process, 상기 형성된 패턴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문자패턴과 사용자와 기약속된 패크로 패턴들을 비교하여 숫자, 문자, 더블클릭, 엔터, 백-스페이스, 스페이스 및 특수문자를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인식 방법.Character recognition method comprising selecting the number, character, double click, enter, back-space, space and special characters by comparing the formed pattern with the character pattern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and the pattern promised with the user . 문자입력을 필요로 하는 통신단말장치의 문자인식 및 그 통신 방법에 있어서,In the character recogni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that requires a character input, 사용자가 상기 통신 단말장치를 쥐고 필기하는 동작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움직임 신호를 검출하는 제1과정과,A first process of detecting a motion signal continuously changing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user hold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상기 검출된 움직임 신호를 패턴으로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패턴과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패턴을 비교하여 소정 문자를 선택하는 제2과정과,A second process of forming the detected motion signal into a pattern, comparing the formed pattern with a pattern previously stored in a database, and selecting a predetermined character; 상기 선택된 문자데이터를 저장 및 화면출력하는 제3과정과,A third process of storing and displaying the selected text data; 상기 선택된 문자데이터에 대하여 동작모드에 따른 해당 처리를 수행하고 신호 전송에 적당한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 송신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의 문자인식 방법.And a fourth process of performing a corresponding process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on the selected character data, converting the signal into a signal suitable for signal transmission, and transmitting the signal.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이,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second process, 상기 형성된 패턴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문자패턴과 사용자와 기약속된 패크로 패턴들을 비교하여 숫자, 문자, 더블클릭, 엔터, 백-스페이스, 스페이스 및 특수문자를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장치의 문자인식 방법.A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which selects numbers, letters, double clicks, enters, back-spaces, spaces, and special characters by comparing the formed pattern with a character pattern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and a pattern agreed with a user.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문자데이터에 대한 해당 처리가,17. The processing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corresponding processing for the selected character data is performed. 상기 통신 단말장치의 호출동작, 단문메시지 전송동작 및 데이터 통신 동작의 경우에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장치의 문자인식 방법.Character recognition method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s made in the case of the call operation, the short message transmission operation and the data communication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1019990015598A 1999-04-30 1999-04-30 App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icstic recognizing of hand held devices KR1006405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598A KR100640504B1 (en) 1999-04-30 1999-04-30 App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icstic recognizing of hand held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598A KR100640504B1 (en) 1999-04-30 1999-04-30 App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icstic recognizing of hand held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7621A KR20000067621A (en) 2000-11-25
KR100640504B1 true KR100640504B1 (en) 2006-10-31

Family

ID=19583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598A KR100640504B1 (en) 1999-04-30 1999-04-30 App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icstic recognizing of hand held devi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050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411B1 (en) 2009-02-04 2011-08-01 허성민 Character input method and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203A (en) * 1999-08-09 2001-03-05 윤종용 Appratus and method for move recognizing of mobile phone
KR20030096680A (en) * 2002-06-17 2003-12-31 박승도 The Hangul input method and device based on key input pattern recognization
KR100913086B1 (en) * 2003-02-07 2009-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recognizing character thereof
KR20050006570A (en) * 2003-07-09 2005-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mo service method for mobile phone
KR100691815B1 (en) * 2005-12-29 2007-03-12 엠텍비젼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key by using motion sens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3813A (en) * 1997-04-17 1998-11-04 Casio Comput Co Ltd Handwriting input recognition system and its method
KR20000060726A (en) * 1999-03-18 2000-10-16 윤종용 Method for processing written user information by touch screen panel in digital portable terminal equipment
KR20000060799A (en) * 1999-03-19 2000-10-16 윤종용 User interfacing method of digital portable termianl equipment having touch screen panel for character inpu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3813A (en) * 1997-04-17 1998-11-04 Casio Comput Co Ltd Handwriting input recognition system and its method
KR20000060726A (en) * 1999-03-18 2000-10-16 윤종용 Method for processing written user information by touch screen panel in digital portable terminal equipment
KR20000060799A (en) * 1999-03-19 2000-10-16 윤종용 User interfacing method of digital portable termianl equipment having touch screen panel for character inpu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411B1 (en) 2009-02-04 2011-08-01 허성민 Character input method and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7621A (en) 200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3316B2 (en) Entering a character into an electronic device
US796942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in portable terminal
US6073036A (en) Mobile station with touch input having automatic symbol magnification function
KR100651554B1 (en) Virtual note apparatus and input method of the apparatus
US20070070045A1 (en) Entering a character into an electronic device
US20090079699A1 (en) Method and device for associating objects
EP1934688A2 (en) Entering text into an electronic device
US20060279559A1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method therefore
JP2004213269A (en) Character input device
JP2000278391A (en) Portable telephone set having back handwriting input function
US201002419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non alphanumeric character based on a user input
WO2010089918A1 (e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program
KR10079018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numb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10017203A (en) Appratus and method for move recognizing of mobile phone
US20040070569A1 (en) Electronic device with user interface capability and method therefor
US20060227100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KR100640504B1 (en) App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icstic recognizing of hand held devices
KR20090049153A (en) Terminal with touchscreen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
JP2006155622A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ideographic character input
KR20080097563A (en) Keyboard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0650124B1 (en) Soft keypad display apparatus of portable device and method
KR10070080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 data in personal digital assistant
KR101149892B1 (en) Mobile device, letter input method thereof and
KR20060003612A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method for providing input character preview function
KR10074142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aking a shortcut of additional function in the handy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