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1357B1 - 커넥터 배열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배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1357B1
KR100681357B1 KR1020050112632A KR20050112632A KR100681357B1 KR 100681357 B1 KR100681357 B1 KR 100681357B1 KR 1020050112632 A KR1020050112632 A KR 1020050112632A KR 20050112632 A KR20050112632 A KR 20050112632A KR 100681357 B1 KR100681357 B1 KR 100681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lider
contact element
housing
longitudin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2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8760A (ko
Inventor
마리오 레킥
드라구틴 비다
하랄트 미샤엘 루트쉬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유럽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유럽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야자키 유럽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58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8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제1 단부(6), 제2 단부(7) 및 제1 접촉 요소용 제1 수용 챔버를 갖고 제1 로킹 수단(10)이 배열된 하우징(5)과, 제2 접촉 요소(30)용 리셉터클(29)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5)에 변위가능하게 배열된 슬라이더(19)를 갖는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로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1, 3)를 연결할 때 제1 접촉 요소(9)에 연결되는 제1 상대 접촉 요소(32)용 리셉터클(31)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1, 3)가 완전히 연결될 때 제1 로킹 수단(10)에 결합되는 제2 로킹 수단(33)을 가지며 제2 상대 접촉 요소(39)를 수용하는 제2 커넥터(3)와, 제1 커넥터(1)의 하우징(5)의 제1 로킹 수단(10)이 제2 커넥터(3)의 제2 로킹 수단(33)에 완전히 연결된 경우 그 후에만 상기 제1 커넥터에 배열된 제2 접촉 요소(30)가 제2 상대 접촉 요소(34)에 접촉되도록 슬라이더(19)의 변위를 허용하는 유지 수단(20, 36)을 포함하는 커넥터 배열체가 제공된다.
커넥터 배열체, 하우징, 로킹 수단, 접촉 요소, 유지 수단, 슬라이더

Description

커넥터 배열체 {CONNECTOR ARRANGEMENT}
도1은 연결 전의, 커넥터 배열체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커넥터의 종방향 단면도.
도2는 제1 및 제2 커넥터의 연결 과정의 개시를 도시한 종방향 단면도.
도3은 도2의 상태에 비하여 제1 및 제2 커넥터의 연결이 진행된 종방향 단면도.
도4는 제1 및 제2 커넥터의 서로에 대한 로킹이 실행되고 제2 위치로부터 슬라이더의 해제가 개시되는 제1 및 제2 커넥터의 종방향 단면도.
도5는 슬라이더도 또한 제1 위치로 완전히 복귀되어 제2 접촉 요소 및 대응하는 제2 상대 접촉 요소가 연결되는 최종 연결 위치의 제1 및 제2 커넥터의 단면도.
도6는 완전히 연결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커넥터를 서로에 대한 상대 위치설정을 고려하여 로킹시키기 위한 로킹 수단에 관하여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7은 완전히 연결된 상태에서 슬라이더 및 제2 커넥터의 유지 수단의 대응 위치 또는 상대 위치설정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8은 부분적으로 단면을 도시한 제1 커넥터(1)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부호 설명>
1 : 제1 커넥터
2 : 제1 종방향 축
3 : 제2 커넥터
4 : 제2 종방향 축
5 : 하우징
6 : 제1 단부
7 : 제2 단부
8 : 제1 수용 챔버
9 : 제1 접촉 요소
10 : 로킹 아암/제1 로킹 수단
11 : 후크
12 : 로킹면
13 : 조절면
14 : 외부면
15 : 접촉부
16 : 접촉 돌출부
17 : 조절면
18 : 접촉면
19 : 슬라이더
20 : 유지 아암/제1 유지 수단
21 : 제1 관통 개구
22 : 접촉면
23 : 유지 웨브
24 : 제1 유지면
25 : 제2 관통 개구
26 : 고정 웨브
27 : 상대 접촉부
28 : 스프링
29 : 리셉터클
30 : 제2 접촉 요소
31 : 리셉터클
32 : 제1 상대 접촉 요소
33 : 로킹 돌출부/제2 로킹 수단
34 : 로킹면
35 : 조절면
36 : 유지 돌출부/제2 유지 수단
37 : 분리면
38 : 제2 유지면
39 : 제2 상대 접촉 요소
40 : 수용 챔버
41 : 삽입 챔버
42 : 플랜지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커넥터가 서로 연결될 때, 서로 연결되는 제1 접촉 요소 또는 제1 상대 접촉 요소 각각을 각각 수용하는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배열체에 관한 것이다. 제1 커넥터는, 제1 및 제2 커넥터가 서로 완전히 연결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위치에 놓인 후에 종방향 축을 따라 변위될 수 있고 완전히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위치로 위치될 수 있는 슬라이더를 갖춘 하우징을 갖는다.
이러한 커넥터 배열체가 독일 특허 공개 공보 제100 12 324 A1호에 개시되어 있다. 커넥터 배열체를 형성하는 두 개의 커넥터 중 하나는 두꺼워진 자유단을 갖춘 탄성 아암을 갖는다. 제2 커넥터는 탄성 아암에 부착된 두꺼워진 부분이 결합될 수 있는 홈을 갖는 슬리브 부분을 갖는다. 견인력이 연결된 커넥터에 인가될 때 두 개의 커넥터가 서로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스프링에 의해 진행 위치로 가압되는 활주식 슬리브 형태인 슬라이더가 두 개의 커넥터 중 하나에 배열된다. 두 개의 커넥터를 연결할 때, 단면이 다른 커넥터를 향해 배열된 활주식 슬리브는 탄성 아암의 두꺼워진 부분에 접촉하여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고, 탄성 아암은 활주식 슬리브가 배열된 커넥터의 슬리브 부분 상에 활주되기 때문에 내향으로 이동될 수 없다. 따라서, 두 개의 커넥터를 연결하는 동안, 활주식 슬리브는 결합 커넥터에 대하여 진행된 제1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고, 제1 커넥터에 대하여 연결될 때 제2 위치로 변위된다. 두 개의 커넥터가 완전히 연결된 위치에 도달될 때, 탄성 아암의 두꺼워진 부분은 슬리브 부분의 홈으로 방사상 내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활주식 슬리브가 인가된 스프링력에 의해 제1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슬리브에 배열된 슬리브 형태의 로킹 부분이 두꺼워진 부분을 넘어갈 수 있어 상기 두꺼워진 부분이 방사상 외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는 두 개의 커넥터에 견인력이 인가될 때도 달성된다. 그러므로, 두 개의 커넥터에 배열된 상기 로킹 수단은 대응 커넥터의 홈과 연결된 활주식 슬리브 및 제2 커넥터에 배열되면 자유단에 두꺼워진 부분을 갖춘 탄성 아암으로 대표된다.
독일 특허 공개 공보 제197 14 459 A1호에는 하우징,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고 제1 접촉 요소용 리셉터클을 형성하는 제1 커넥터를 갖춘 커넥터 배열체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은 결합 리세스 형태인 제1 로킹 수단을 갖는다.
커넥터 배열체는 두 개의 커넥터를 연결할 때, 제1 접촉 요소에 연결되는 제1 상대 접촉 요소용 리셉터클을 형성하는 제2 커넥터를 더 포함한다. 제2 커넥터는 로킹 아암 및 그 자유단에 형성된 후크 형태로 제공되는 제2 로킹 수단을 더 포함한다. 두 개의 커넥터가 서로 완전히 연결될 때, 상기 제2 로킹 수단은 리세스 형태인 제1 로킹 수단에 결합된다. 또한, 스프링에 의해 진행 위치로 이동되는 슬라이더가 제1 커넥터에 배열된다. 두 개의 커넥터가 서로 완전히 연결되지 않은 경우, 이러한 슬라이더는 다른 커넥터의 유지 아암에 의해 유지되어 제1 위치로부 터 제1 커넥터의 제2 위치로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변위된다. 유지 아암이 리세스에 도달되자 마자, 로킹 돌출부를 갖춘 상기 슬라이더는 두 개의 로킹 아암 사이에 끼워져 커넥터 중 하나를 견인할 때 리세스로부터 상기 유지 아암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은 동일한 구성이 독일 특허 제102 42 074 B3호에 또한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5 183 410호에는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가지며, 제1 커넥터에 배열된 슬라이더는 스프링에 의해 진행 위치로 가압되는 커넥터 배열체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제1 커넥터는 돌출부 형태인 제1 로킹 수단을 갖는다. 제2 커넥터는 탄성 로킹 아암 및 완전히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커넥터의 로킹 돌출부 후부에 결합되는 로킹 후크를 갖는다. 두 개의 커넥터가 서로 완전히 연결되지 않은 경우, 스프링에 의해 작동하는 슬라이더는 제2 커넥터 상으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각 접촉 요소가 완전히 연결되어 접촉되지 않는 한, 두 개의 커넥터는 서로로부터 멀어지도록 가압된다.
독일 특허 제102 08 750 A1호에는, 두 개의 커넥터가 서로 완전히 연결되지 않고 그리고 두 개의 커넥터의 로킹 수단이 서로 완전히 결합되지 않는 한, 연결 절차 동안 미리 신장된 스프링 수단이 작동하여 두 개의 커넥터가 서로로부터 멀어지도록 가압하는 유사한 방식의 커넥터 배열체가 개시되어 있다.
독일 특허 제100 12 324 A1호는 스프링에 의해 초기 로킹 위치에서 미리 신장되어 유지되는 접촉 유지 요소를 수반하며 접촉 요소를 수용하는 제1 커넥터를 갖춘 커넥터 배열체에 관한 것이다. 대향 접촉 요소를 갖는 제2 커넥터가 제공된 다. 두 개의 커넥터는 로킹 수단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서로 고정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두 개의 커넥터가 서로를 향해 더 변위될 때, 접촉 유지 요소가 초기 로킹 위치로부터 해제되고 스프링 수단이 작동되어 접촉 유지 요소에 연결된 접촉부가 연결 방향으로 더 가압되어 제2 커넥터의 대향 접촉 요소에 연결되는 자유 이동이 제공된다.
독일 특허 제38 83 564 T2호(미국 특허 제5 144 189호)에는 전류 반송 전도체의 종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된 두 개의 편평한 전기적 연결 접촉부를 갖춘 램프 기부를 갖는 램프를 해제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배열체를 갖춘 헤드라이트 유닛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커넥터는 반사경에 부착된 부착 링 형태인 지지 수단에 베이어닛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슬리브 형상의 어댑터를 포함한다. 랩프용 전원의 케이블(와이어)에 연결되고 암형 커넥터를 가지며 램프의 연결 접촉부와 상호작용하는 플러그인 장치가 슬리브 형상의 어댑터 내로 축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램프는 반사경의 어댑터에 의해 유지된다. 헤드라이트 유닛을 조립할 때, 전기 램프는 반사경의 개구를 통하여 삽입되어 개구는 램프 기부를 수용한다. 램프 기부를 수용하는 수단은 반사경의 부품이거나 반사경에 비탈착식으로 연결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어댑터는 베이어닛식으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의 어댑터에서, 램프 기부의 연결 접촉부는 정확한 위치에 있고, 플러인 장치를 어댑터에 삽입함으로써 플러그인 장치에 배열된 접촉 요소에 대한 연결이 달성된다. 플러그인 장치는 마찰력에 의해서만 어댑터에 고정된다. 또한, 램프 회로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하는 저전압의 회로를 폐쇄하는 다른 접촉부가 제공된다. 플러그인 장치를 어댑터로 삽입함으로써, 램프 기부의 접촉부는 램프 회로 및 저전압 회로를 폐쇄하는 추가 접촉부에 동시에 도전적으로 연결된다. 이는 램프 기부에 접촉되는 플러그인 장치의 접촉부가 연결 절차 중에 이미 활성화되어 고전압을 수반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로 인하여 파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접촉 요소 및 제1 상대 접촉 요소가 서로 완전히 연결될 때, 즉 제1 및 제2 커넥터가 완전히 연결된 상태에 있을 때 그 후에만 제2 접촉 요소가 제2 상대 접촉 요소에 연결되는 커넥터 배열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제1 접촉 요소용 제1 수용 챔버를 갖는 제1 로킹 수단이 배열된 하우징(5)과, 하우징에 변위가능하게 배열되고 제2 접촉 요소용 리셉터클을 형성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제1 커넥터와; 제1 상대 접촉 요소용 리셉터클을 형성하고 제1 및 제2 커넥터가 연결될 때 제1 접촉 요소에 연결되며, 제1 및 제2 커넥터가 완전히 연결될 때 제1 로킹 수단에 결합되는 제2 로킹 수단을 가지며 제2 상대 접촉 요소를 수용하는 제2 커넥터와; 제1 커넥터의 하우징의 제1 로킹 수단이 제2 커넥터의 제2 로킹 수단에 완전히 연결될 때 그 후에만 배열된 제2 접촉 요소가 제2 상대 접촉 요소에 연결되도록 슬라이더의 변위를 허용하는 유지 수단을 포함하는 커넥터 배열체에 의해 해결된다.
본 실시예의 장점 중에는 연결 절차가 두 단계로 수행되는 것이 있다. 제1 접촉 요소 및 제1 상대 접촉 요소가 제1 및 제2 커넥터가 완전히 연결된 상태에서 고전압을 수반하고, 전류 흐름은 대응 제어 회로를 폐쇄하는 각각의 제2 상대 접촉 요소에 대한 제2 접촉 요소의 연결이 수행된 후에 단지 가능한 전기 회로 설계에 이러한 커넥터 배열체를 적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법에서, 접촉이 방지되도록 제1 접착 요소 또는 제1 상대 접촉 요소 각각이 멀리 늘어져, 즉 서로 떨어져 배열되어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짧은 커넥터 배열이 달성된다는 점이 유리하다. 제2 상대 접촉 요소에 제2 접촉 요소를 연결함으로써 제어 회로를 폐쇄하기 위한 전제 조건은 제1 및 제2 커넥터의 연결과 특히 제1 상대 접촉 요소에 대한 제1 접촉 요소의 연결이 이미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안전성 이유 또는 다른 이유 때문에 시간 지연 방식으로 대향 접촉 요소 각각에 제1 접촉 요소 및 제2 접촉 요소를 연결하는 단계가 수행된다는 점에서 이러한 모든 커넥터 배열체의 증가된 안전성이 얻어진다.
또한, 제1 및 제2 커넥터를 연결하기 전에 하우징에 대한 제1 위치에 위치되는 슬라이더와; 슬라이더에 배열된 제1 유지 수단과, 제2 커넥터에 배열되어 슬라이더의 제1 유지 수단과 상호작용하여 슬라이더가 하우징에 대한 제2 위치로 위치되기 전까지 슬라이더를 제2 커넥터에 대하여 변위되지 않도록 유지하는 제2 유지 수단을 포함하는 유지 수단과; 제1 커넥터 하우징의 제1 로킹 수단이 제2 커넥터의 제2 로킹 수단에 완전히 연결될 때, 슬라이더가 제2 위치로부터 다시 제1 위치로 변위되어 제2 접촉 요소가 제2 상대 접촉 요소에 접촉되도록 결합해제되는 슬라이더의 제1 유지 수단 및 제2 커넥터의 제2 유지 수단이 제공된다.
제1 종방향 축을 형성하는 제1 커넥터의 하우징과, 제1 종방향 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1 접촉 요소용 제1 수용 챔버와, 제1 종방향 축과 평행하게 변위될 수 있는 하우징의 슬라이더가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에, 제2 커넥터는 제2 종방향 축을 형성하고 제1 상대 접촉 요소는 제2 종방향 축과 평행하게 정렬되어, 제1 종방향 축이 제2 종방향 축과 정렬될 때 커넥터의 연결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커넥터의 하우징은 제2 커넥터의 제2 유지 수단으로부터 슬라이더의 제1 유지 수단을 결합해제하는 조절 수단을 갖는다.
또한, 전기적 제어 신호 회로를 폐쇄하는 기능을 하는 제2 접촉 요소 및 제2 상대 접촉 요소가 제공된다.
슬라이더는 제1 위치에 유지되는 경우가 유리하다. 양호하게는, 슬라이더는 제1 위치에 고정되어 제1 커넥터가 제2 커넥터에 완전히 연결된 후에 로킹 수단이 결합 범위를 이탈하여 변위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커넥터가 서로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해제되는 것이 상당히 방지된다. 슬라이더는 스프링에 의해 제1 위치로 위치되도록 가압될 때 추가로 제공된 이러한 위치에 자동적으로 위치된다. 초기에, 슬라이더는 로킹 수단을 해제하도록 이동되어야 한다. 양호하게는, 제1 로킹 수단은 자유단에 로킹 후크를 갖춘 탄성 로킹 아암으로 대표된다. 양호하게는, 제2 로킹 수단은 로킹 후크에 의해 후부에 결합되는 로킹 돌출부로 대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가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먼저, 도1의 제1 및 제2 커넥터뿐만 아니라 도1의 세부 항목을 확대 도시한 도6 및 도7의 부재에 관하여 기술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배열체는 제1 종방향 축(2)을 형성하는 제1 커넥터(1), 제2 종방향 축(4)을 형성하는 제2 커넥터(3)(이후에는 공동으로 두 개의 커넥터로 칭해짐)를 포함한다. 두 개의 커넥터(1, 3)의 연결은 두 개의 종방향 축(2, 4)이 서로 정렬될 때, 즉 상기 두 개의 커넥터가 연결 절차를 위해 종방향 축(2, 4)를 따라 서로를 향해 이동하고 해제를 위해 서로로부터 이격될 때 수행된다.
제1 커넥터(1)는, 예를 들면 수지 재료와 같은 전기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며 접촉 요소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예를 들면 다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하우징(5)을 포함한다.
제1 커넥터(1)를 형성하는 구성요소의 서로에 대한 위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1에 도시된 하우징(5)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 각각은 제1 단부(6)와 제2 단부(7)를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되지만, 이들 단부는 특정 에지를 형성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5)의 제1 종방향 축(2)에 평행한 제1 수용 챔버(8)가 제공되고, 상기 챔버는 암형 접촉 단자 형태인 제1 접촉 요소(9)를 수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접촉 요소(9)를 갖춘 두 개의 이러한 수용 챔버(8)가 제공된다. 제1 수용 챔버(8)는 제1 종방향 축(2)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1 수용 챔버에 유지되는 제1 접촉 요소(9)에는 예를 들면 제2 단부(7)에서 하우징(5) 외부로 이어져 예를 들면 자동차의 와이어 하니스 일부를 형성하는 제1 케이블(K1)이 전기 전도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면 로킹 아암(10)의 형태인 제1 로킹 수단이 하우징(5)에 배열된다. 이러한 로킹 아암(10)은 도6에서 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로킹 아암(10)은 기본적으로 제1 종방향 축(2)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2 단부(7)을 향하는 단부는 하우징(5)과 일체로 형성된다. 제1 단부(6)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은 하우징(5)에 연결되지 않아 로킹 아암(10)의 탄성 편향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로킹 아암은,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로킹면(12)을 갖고 제1 단부(6)를 향하는 방향으로 조절면(13)을 갖는 제1 종방향 축(2)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후크(11)를 제1 단부(6)를 향하는 단부에 지지한다. 로킹면(12) 및 조절면(13)은 종방향 축(2)을 향해 경사져서 형성되고, 로킹면(12)은 제2 단부(7)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1 종방향 축(2)과 소정의 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각도는 조절면(13)이 제1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1 종방향(2) 축과 이루는 각도보다 크다. 이는 로킹면(12)이 비교적 가파르게 연장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로킹 아암(10)의 외부면은 도면부호(14)로 지시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5)은 제1 종방향 축(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접촉부(15)를 하우징(5)에 연결된 로킹 아암(10)의 단부에 근접하게 지지한다. 로킹 아암(10)에 대하여 제1 종방향 축(2)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하우징(5)의 상향으로 오프셋되어 형성된 조절 돌출부(16)는, 제1 종방향 축(2)과 함께 제2 단부(7)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예각을 형성하는 조절면(17)을 제1 단부(6)를 향하는 단부에 갖는다. 조절 돌출부(16)의 조절면(17)에 대하여 이격된 단부에는 제1 종방향 축(2)에 수직으로 연장된 접촉면(18)이 구비되어 있다.
하우징(5) 상에서, 슬라이더는 제1 단부에 근접한 제1 위치로부터 제2 단부 (7)를 향하는 방향으로 변위된 제2 위치로 제1 종방향 축(2)을 따라 변위가능하게 안내된다. 안내부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는다.
슬라이더(19)는 도8에 단지 한 개가 도시된 종방향 축에 평행하게 배열된 두 개의 스프링에 의해 제1 단부(6)에 근접한 제1 위치에 위치되도록 작동된다. 스프링(28)은 하우징(5)에 지지되고 슬라이더(19)에 또한 지지된다. 진행된 제1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슬라이더(19)의 이동은 슬라이더(19)와 일체로 형성된 유지 아암(20)의 제1 관통 개구(21)에 제공되며 하우징(5)의 조절 돌출부(16)의 접촉면(18) 상에 지지되는 접촉면(22)에 의해 제한된다. 유지 아암(20)은 제1 유지 수단을 형성하고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관통 개구(21)의 단부에는 슬라이더(19)의 벽에 일체로 연결되고 접촉면(22)을 갖는 두 개의 종방향 웨브가 제공된다. 종방향 웨브의 자유단은 그 교차방향으로 연장된 유지 웨브(23)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유지 웨브(23)는 제1 단부(6) 방향으로 향하는 그 단부에 제1 유지면(24)을 갖는다.
진행된 위치, 즉 제1 단부(6)에 근접한 위치에서 슬라이더(19)를 또한 유지하는 것은 제2 관통 개구(25) 영역의 슬라이더의 상대 접촉부(27)를 하우징(5)의 접촉부(15) 상에 접촉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제1 단부(6)를 향하는 슬라이더(19)의 제2 관통 개구(25)의 단부는, 두 개의 커넥터(1, 3)가 완전히 연결된 상태에서 후크(11) 영역의 로킹 아암(10)의 외부면(14)에 대향하여 배열되어 로킹 아암(10)의 편향을 제한하는 도6에 도시된 고정 웨브(26)에 의해 제한된다.
또한, 도1 및 도8에 도시된 슬라이더(19)(전기 절연 수지 재료로 이루어짐)는 커넥터 배열체의 연결 상태에 대한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라인을 나타내는 케이블(K2)에 도전적으로 연결된 두 개의 접촉 요소(30)가 배열된 리셉터클(29)을 갖는다.
도1에 도시된 제2 커넥터(3)는 각각 제2 종방향 축(4)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제1 접촉 요소(9)에 대한 제1 상대 접촉 요소(32)를 수용하는 두 개의 리셉터클(31)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상대 접촉 요소(32)는 대응 연결부를 거쳐서 케이블(K1)에 도전적으로 연결된 케이블 각각에 연결되는 수형 단자로서 형성된다. 수형 단자로서 형성된 이러한 제1 상대 접촉 요소(32)는 삽입 챔버(41)로 돌출된다. 제1 접촉 요소(9)를 수용하는 하우징(5)의 대응 부분이 상기 챔버로 삽입된다. 제공된 두 개의 제1 상대 접촉 요소(32)용 리셉터클(31)은 서로 분리된 제2 커넥터(3)의 일부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에 대응하여 각각의 삽입 챔버(41)로 삽입될 수 있는 제1 커넥터(1) 하우징(5)의 부분은 서로 분리된 하우징 부분이다.
두 개의 커넥터(1, 3)를 서로 로킹시키기 위해, 제2 종방향 축(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제1 커넥터(1)의 로킹 아암(10)의 후크(11)에 대향 배열된 로킹 돌출부(33)가 연결 중에 제2 로킹 수단으로서 기능을 한다. 상기 돌출부는 연결 과정 중에 로킹 아암(10)을 편향시키며 로킹 아암(10)의 제1 조절면(13)에 대면하는 조절면(35)을 갖는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두 개의 커넥터(1, 3)가 완전히 연결된 상태에서 후크(11)의 로킹면(12)과 상호작용하며 제2 종방향 축(4)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된 로킹면(34)을 갖는다.
또한, 제2 커넥터(3)는, 제2 종방향 축(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두 개의 커넥터(1, 3)가 서로 분리되는 과정 중에 유지 아암(20)을 들어올리는 기능을 하는 분리면(37)을 포함하는 제2 유지 수단인 유지 돌출부(36)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서, 분리면(37)은 제1 단부(6)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1 관통 개구(21)를 제한하는 상기 분리면에 포함된 유지 웨브(23)의 에지 상에 작용한다. 또한, 유지 돌출부(36)는 두 개의 커넥터(1, 3)의 연결 과정 중에 제1 커넥터(1)의 제1 단부(6)를 향하는 방향으로 서로 대면하고 제2 종방향 축(4)에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 유지면(38)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제2 커넥터(3)는 암형 단자로서 또한 형성된 제2 상대 접촉 요소(39)를 위한 종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된 수용 챔버(40)를 갖는다. 상기 요소는 암형 단자로서 형성되어 슬라이더(19)에 부착된 제2 접촉 요소(30)와 상호작용한다. 즉, 상기 요소는 예를 들면 전기 제어 회로를 폐쇄하기 위해 제2 상대 접촉 요소(39)에 연결된 대응 케이블에 케이블(K2)을 연결하도록 상기 암형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커넥터(3)는 하우징 또는 유사한 고정 구성요소에 고정되기 위한 플랜지(42)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1에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다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두 개 커넥터(1, 3)를 연결 및 해제하기 위한 단계가 상세하게 기술된다.
먼저 도1에서, 두 개의 커넥터(1, 3)의 두 개의 종방향 축(2, 4)을 서로에 대하여 정렬한 후, 제1 접촉 요소(9)를 갖는 하우징(5)의 부분이 각각 대응하는 삽입 챔버로 끼워지도록 서로를 향해 동일물을 이동시키는 단계가 실행된다. 슬라이더(19)가 제1 단부(6)에 근접한 제1 위치에 위치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될 때 유지 아암(20)은 유지 웨브(23)의 제1 유지면(24)을 제2 커넥터(3)의 유지 돌출부(36)의 제2 유지면(38)과 접촉시켜 동일물에 지지된다.
두 개의 커넥터(1, 3) 각각이 더 삽입되거나 또는 연결될 때, 슬라이더(19)가 유지 아암(20) 및 유지 돌출부(36)의 제2 유지면(38) 상의 제1 유지면(24)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에 유지되어, 상기 슬라이더(19)는 제2 커넥터(3)에 대한 상대 이동을 실행할 수 없지만, 제2 커넥터(3)의 플랜지(42)를 향하는 하우징(5)의 이동에 비교하여 뒤떨어진다. 이는 이러한 이동에 관여하지 않는다. 이러한 하우징(5)의 이동 중에, 로킹 아암(10)의 후크(11)의 조절면(13)은 로킹 돌출부(33)의 조절면(35)과 접촉하여(도3 참조), 플랜지(42)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우징(5)이 더 삽입되는 동안 하우징(5)의 로킹 아암(10)은 서로 정렬된 종방향 축(2, 4)으로부터 외향으로 탄성 편향된다. 이러한 과정 중에, 로킹 아암(10)은 슬라이더(19)에 의해 상기 축으로부터 보호되지 않기 때문에, 종방향 축(2, 4)으로부터 멀어지는 외향으로 탈출할 수 있다. 두 개의 커넥터(1, 3)가 더 연결될 때, 로킹 아암(10)의 후크(11)가 로킹 돌출부(33)를 지나서 도4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일물의 후부에 결합되는 위치에 도달된다. 이로 인하여, 후크(11)는 로킹 돌출부(33)를 지나서 로킹면(34) 영역에 위치된다. 이러한 이동과 동시에, 유지 아암(20)은 유지 웨브(23)와 함께 서로 정렬된 종방향 축(2, 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편향된 다. 이는 도7에 더 상세하게 도시된 하우징(5)의 조절 돌출부(16)가 조절면(17)과 함께 이동되는 동안 그 하부면과 관통 개구(21)를 향하는 제한면 사이의 유지 웨브(23)의 에지 상에서 작동하는 사실로 인한 것이다. 따라서, 유지 웨브(23)는 유지 돌출부(36)를 지날 수 있도록 들어 올려져 두 개의 커넥터(1, 3)가 더 연결되는 동안 분리면(37) 상에 이르게 된다. 그 결과, 유지 아암(20)은 이완된 초기 위치로 다시 위치된다. 유지 웨브(20)가 조절 돌출부(16)의 조절면(17)에 의해 작동될 때, 유지 웨브(23)는 제1 유지면(24)과 함께 유지 돌출부(36)의 제2 유지면(38)으로부터 접촉해제된다.
그러므로, 두 개의 제1 접촉 요소(9) 및 제1 상대 접촉 요소(32)가 서로 완전히 연결되는 위치에 도달되지만, 전류 흐름은 아직 가능하지 않다.
이러한 이동으로 인하여, 스프링(28)이 동시에 작동하여 슬라이더(19)가 제2 위치로부터 해제되지만, 제2 커넥터(3)의 유지 아암(20)에 의해 지지되고 제1 커넥터의 하우징(5)에 대하여 위치되고 슬라이더(19)가 제1 단부(6)에 근접하게 배열되는 제1 커넥터(1)에 대한 제1 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제2 접촉 요소(3)는 동시에 제2 상대 접촉 요소(39)에 도전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신호 라인이 서로 연결됨에 따라 제1 접촉 요소(9) 및 제1 상대 접촉 요소(32)가 서로 효과적으로 연결되었다는 신호를 보낸다. 이제, 제1 접촉 요소와 제1 상대 접촉 요소 사이의 전원을 위한 전류의 스위치-온(switching-on)이 실행되거나 활성화된다. 슬라이더(19)가 스프링(28)에 의해 제1 위치, 즉 플랜지(42)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결된 상태로 이동되는 중에, 고정 웨브(26)도 또한 로킹 아암(10)의 후크(11)를 지나도록 이동 되어 하우징 또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된 케이블(K1)을 견인하는 경우에 후크(11)가 이탈되지 않으므로 의도하지 않는 분리가 발생되지 않는다.
분리하기 위해, 조작자는 슬라이더가 플랜지(4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종방향 축(2, 4)을 따라 제2 위치로 이동되도록 슬라이더(19) 상에서 견인하는 방식으로 직접 작동시켜야 한다. 따라서, 고정 웨브(26)가 후크(11)에 대향 배열된 위치 밖으로 이동되어 제2 접촉 요소(30)는 제2 상대 접촉 요소(39)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케이블(K2), 제1 접촉 요소(9) 및 제1 상대 접촉 요소(32)가 포함된 전류 회로가 제어 전류 회로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고 신호를 보낸다.
더 견인될 때, 로킹 아암(10)은 로킹면(34)에 대한 로킹면(12)의 외형 때문에 탄성 편향되어 후크(11)가 로킹 돌출부(33)를 지나고, 더 견인될 때 제1 접촉 요소(9)가 제1 상대 접촉 요소(3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접촉 요소 및 제1 상대 접촉 요소가 서로 완전히 연결될 때, 즉 제1 및 제2 커넥터가 완전히 연결된 상태에 있을 때에만 그 후 제2 접촉 요소가 제2 상대 접촉 요소에 연결되는 커넥터 배열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커넥터 배열체이며,
    제1 단부(6), 제2 단부(7) 및 제1 접촉 요소(9)용 제1 수용 챔버(8)를 갖고 제1 로킹 수단(10)이 배열된 하우징(5)과, 제2 접촉 요소(30)용 리셉터클(29)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5)에 변위가능하게 배열된 슬라이더(19)를 갖는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3)로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1, 3)를 연결할 때 제1 접촉 요소(9)에 연결되는 제1 상대 접촉 요소(32)용 리셉터클(31)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1, 3)가 완전히 연결될 때 제1 로킹 수단(10)에 결합되는 제2 로킹 수단(33)을 가지며, 제2 상대 접촉 요소(39)를 수용하는 제2 커넥터(3)와,
    제1 커넥터(1)의 하우징(5)의 제1 로킹 수단(10)이 제2 커넥터(3)의 제2 로킹 수단(33)에 완전히 연결될 때 그 후에만 상기 제1 커넥터에 배열된 제2 접촉 요소(30)가 제2 상대 접촉 요소(39)에 접촉되도록 슬라이더(19)의 변위를 허용하는 유지 수단(20, 36)을 포함하는 커넥터 배열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9)는 제1 및 제2 커넥터(1, 3)를 연결하기 전에 하우징(5)에 대한 제1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유지 수단(20, 36)은 슬라이더(19)에 배열된 제1 유지 수단(20)과, 제2 커넥터(3)에 배열되고 상기 슬라이더(19)의 제1 유지 수단(20)과 상호작용하여 슬 라이더(19)가 하우징(5)에 대한 제2 위치에 위치될 때까지 슬라이더(19)를 제2 커넥터(3)에 대하여 변위되지 않게 유지하는 제2 유지 수단(36)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19)의 제1 유지 수단(20) 및 제2 커넥터(3)의 제2 유지 수단(36)은, 제1 커넥터(1)의 하우징(5)의 제1 로킹 수단(10)이 제2 커넥터(3)의 제2 로킹 수단(33)에 완전히 연결될 때 슬라이더(19)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다시 변위가능하게 되어 제2 접촉 요소(30)가 제2 상대 접촉 요소(39)에 접촉되도록 연결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배열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1)의 하우징(5)은 제1 종방향 축(2)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접촉 요소(9)용 제1 수용 챔버(8)는 제1 종방향 축(2)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5)의 슬라이더(19)는 제1 종방향 축(2)에 평행하게 변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배열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3)는 제2 종방향 축(4)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상대 접촉 요소(32)는 제2 종방향 축(4)에 평행하게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배열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1)의 하우징(5)은 제1 종방향 축(2)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접촉 요소(9)용 제1 수용 챔버(8)는 제1 종방향 축(2)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5)의 슬라이더(19)는 제1 종방향 축(2)에 평행하게 변위될 수 있고,
    상기 제2 커넥터(3)는 제2 종방향 축(4)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상대 접촉 요소(32)는 제2 종방향 축(4)에 평행하게 정렬되고,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1, 3)의 연결은 제1 종방향 축(2)이 제2 종방향 축(4)에 정렬될 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배열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1)의 하우징(5)은 슬라이더(19)의 제1 유지 수단(20)을 상기 제2 커넥터(3)의 제2 유지 수단(36)으로부터 결합해제하는 조절 수단(1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배열체.
  7. 제1항에 있어서, 제2 접촉 요소(30) 및 제2 상대 접촉 요소(39)는 전기 제어 신호 회로를 폐쇄하는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배열체.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9)는 제1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배열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9)는 제1 위치에 위치되어 유지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28)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배열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의 슬라이더(19)는 제2 커넥터(3)와 함께 제1 커넥터(1)를 완전히 연결된 위치에 유지하는 제1 로킹 수단(10)이 제2 로킹 수단(33)과의 결합을 이탈하여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배열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킹 수단(10)은 로킹 후크(11)를 갖춘 탄성 로킹 아암이고, 상기 제2 로킹 수단(33)은 로킹 후크(11)에 의해 후방 결합되는 로킹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배열체.
KR1020050112632A 2004-11-25 2005-11-24 커넥터 배열체 KR1006813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57093A DE102004057093B3 (de) 2004-11-25 2004-11-25 Steckverbindung
DE102004057093.0 2004-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760A KR20060058760A (ko) 2006-05-30
KR100681357B1 true KR100681357B1 (ko) 2007-02-12

Family

ID=34937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2632A KR100681357B1 (ko) 2004-11-25 2005-11-24 커넥터 배열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17150B2 (ko)
EP (1) EP1662620A3 (ko)
JP (1) JP4191725B2 (ko)
KR (1) KR100681357B1 (ko)
DE (1) DE102004057093B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33323A1 (de) 2006-07-17 2008-01-24 Kostal Kontakt Systeme Gmbh Elektrischer Verbinder
US7798840B2 (en) * 2007-01-05 2010-09-21 Sandisk Corporation Expandable and collapsible peripheral device
DE102007003375B4 (de) * 2007-01-23 2014-09-18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 Steckverbindung
DE102007005198A1 (de) * 2007-01-29 2008-08-07 Yazaki Europe Ltd., Hemel Hempstead Steckverbindung mit Schieber
US7402068B1 (en) * 2007-05-14 2008-07-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High voltage interlock connection
US8051229B2 (en) * 2007-06-29 2011-11-01 Sandisk Technologies Inc. Dual bus ExpressCard peripheral device
US7686654B2 (en) * 2007-06-29 2010-03-30 Sandisk Corporation Memory card for an ExpressCard slot
US8561295B2 (en) * 2007-06-29 2013-10-22 Sandisk Technologies Inc. Method of adapting an expresscard slot for smaller form factor memory compatibility
US7779184B2 (en) * 2007-06-29 2010-08-17 Sandisk Corporation Method of using the dual bus interface in an expresscard slot
US7699660B2 (en) * 2007-06-29 2010-04-20 Sandisk Corporation Adapter for an expresscard slot
US7780477B2 (en) * 2007-06-29 2010-08-24 Sandisk Corporation Adapter system for use with an expresscard slot
DE102007063207A1 (de) * 2007-12-20 2009-06-25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Wilmington Steckverbinder
DE102008028785B4 (de) * 2008-06-17 2012-02-1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Hochvolt-Steckverbindung für Kraftfahrzeuge
JP5182941B2 (ja) * 2008-11-26 2013-04-17 矢崎総業株式会社 複合コネクタ
JP5578927B2 (ja) * 2010-01-12 2014-08-27 矢崎総業株式会社 低挿入力コネクタ
US8083533B2 (en) * 2010-02-11 2011-12-2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for an interlock circuit
US8827729B2 (en) 2010-04-09 2014-09-09 Delphi International Operations Luxembourg S.A.R.L. Electrical connector system
JP5588248B2 (ja) * 2010-07-07 2014-09-10 矢崎総業株式会社 安全回路ユニット付き低挿入力コネクタ
DE102011050192A1 (de) * 2011-05-06 2012-11-08 Aesculap Ag Chirurgisches Kupplungssystem und chirurgisches Antriebssystem
WO2012156373A1 (en) * 2011-05-17 2012-11-22 Fci Automotive Holding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a cpa element
US8628344B2 (en) 2011-10-12 2014-01-14 Yazaki North America, Inc. Connector and terminal positioning mechanism
US8398415B1 (en) * 2011-11-18 2013-03-19 Yazaki North America, Inc. Connector assembly for assembling/disassembling four connectors using a staged-release member
JP2013143279A (ja) * 2012-01-11 2013-07-22 Sony Corp プラグ、電子機器及びプラグ受け
JP5307277B1 (ja) * 2012-07-12 2013-10-0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接続構造
KR101919159B1 (ko) 2012-11-08 2018-11-15 엘에스이브이코리아 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고전압 전력용 접속장치
DE102013219459A1 (de) * 2013-09-26 2015-03-26 Tyco Electronics Amp Gmbh Steckvorrichtung
US9356394B2 (en) * 2013-12-11 2016-05-31 JAE Oregon, Inc. Self-rejecting connector
CN107546511B (zh) * 2016-06-28 2020-11-17 富鼎精密工业(郑州)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JP6611368B2 (ja) * 2017-07-28 2019-11-2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788556B2 (ja) * 2017-08-08 2020-11-25 矢崎総業株式会社 電子ユニットの取付構造
CN116207551B (zh) * 2023-05-06 2023-07-04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经济技术研究院 一种窄基电缆终端塔线缆连接锁紧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37686C1 (de) * 1983-10-17 1985-02-07 Nixdorf Computer Ag, 4790 Paderborn Verriegelbare Steckkupplung
DE3883564T2 (de) * 1987-03-06 1994-03-10 Philips Nv Scheinwerfer-Einheit mit Steckvorrichtung.
DE69123380T2 (de) * 1990-03-23 1997-03-27 Yazaki Corp Nachweisvorrichtung für gekoppelte Verbinder
JP2573753B2 (ja) * 1991-04-01 1997-01-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H08315927A (ja) * 1995-05-19 1996-11-29 Yazaki Corp 低挿入力コネクタ
JP3086849B2 (ja) * 1996-08-06 2000-09-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嵌合構造
DE19714459C2 (de) * 1997-04-08 2001-11-29 Framatome Connectors Int Steckverbinder mit einer Gehäuseverriegelung
DE10012324B4 (de) * 2000-03-14 2005-08-11 Fci Automotive Deutschland Gmbh Steckverbindersystem
US6325648B1 (en) * 2001-02-07 2001-12-04 Yazaki North America,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omplementary lever assist and terminal delay
JP3674521B2 (ja) * 2001-03-07 2005-07-2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6648669B1 (en) * 2002-07-17 2003-11-18 Yazaki North America Electrical connection with sequential disconnect
DE10242074B3 (de) * 2002-09-11 2004-05-19 Fci Steckverbinder mit mit Federkraft beaufschlagter Sekundärverriegelung
DE602005000836T2 (de) * 2004-02-24 2008-01-10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62620A2 (de) 2006-05-31
US20060110957A1 (en) 2006-05-25
JP2006156380A (ja) 2006-06-15
DE102004057093B3 (de) 2006-05-24
JP4191725B2 (ja) 2008-12-03
EP1662620A3 (de) 2008-04-02
KR20060058760A (ko) 2006-05-30
US7217150B2 (en) 2007-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1357B1 (ko) 커넥터 배열체
US6109956A (en) Fitting detecting connector
EP0808749B1 (en) Connector for airbag gas generator
US4993803A (en) Electro-optical header connector
JP3165909B2 (ja) 電気プラグコネクタ
EP0622869B1 (en) Connector device
US7108566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US9972937B2 (en) Lever type connector
JP4031374B2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H09134757A (ja) コネクタ嵌合構造
EP0869883A1 (en) Orientationless squib connector assembly for automotive air bag assemblies
JPH08213103A (ja) 電気コネクタ
KR20080006014A (ko) 단자 위치 보장 장치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
JP2021519490A (ja) コネクタ位置保証部材
CN110911891B (zh) 连接器结构
JP2965499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6186805B1 (en) Short circuit electrical connector
JPH0328789B2 (ko)
JPH11224728A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H08236210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CN110770981A (zh) 连接器
JP2004006071A (ja) コネクタ
JPH07249454A (ja) コネクタ
CN112038818B (zh) 连接器
US11095064B2 (en) Connector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