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2171B1 - 휴대 전화기 - Google Patents

휴대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2171B1
KR100662171B1 KR1020047013572A KR20047013572A KR100662171B1 KR 100662171 B1 KR100662171 B1 KR 100662171B1 KR 1020047013572 A KR1020047013572 A KR 1020047013572A KR 20047013572 A KR20047013572 A KR 20047013572A KR 100662171 B1 KR100662171 B1 KR 100662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display
casing
received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3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7139A (ko
Inventor
다네야유이치
모리오카마사에
가슈히루미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7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7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2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2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기는, 개폐 가능한 게이싱에 디스플레이(13a), 케이싱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자기 센서(18b) 및 제어 회로(10)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회로(10)는, 케이싱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메일이 수신된 경우, 수신 메일의 내용을 디스플레이(13a)에 표시한 후, 케이싱이 열린 상태가 검출된 때에,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에게 회신하는 회신 메일을 작성하기 위한 회신 메일 작성 화면을 디스플레이(13a)에 표시한다.

Description

휴대 전화기 {CELLUAR TELEPHONE}
본 발명은 전자 정보로 이루어진 메일의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일을 수신한 경우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에게 메일을 회신할 때나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 이외의 상대에게 수신 메일을 전송할 때의 일련의 조작이 간이한 휴대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폴더형 휴대 전화기는 개폐 가능한 케이싱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케이싱의 내면에는, 송화부 및 수화부가 설치됨과 동시에 키 입력 장치의 조작면 및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이 설치되어 있다. 휴대 시에는 케이싱을 닫음으로써 소형화하고, 송수신 시에는 케이싱을 열어서 키 입력 장치의 조작면, 디스플레이의 표시면, 송화부 및 수화부를 노출시켜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그런데, 근래 보급되고 있는 휴대 전화기는 메일의 송수신 기능을 갖고 있으며, 그러한 기능을 갖는 폴더형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메일의 수신 시 사용자는, 우선, 케이싱을 열어서 키 입력 장치의 조작면과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을 노출시킨 후 메일 표시키를 조작함으로써 수신 메일의 내용을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는 수신 메일을 읽을 수 있다.
그 후,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에게 메일을 회신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 메일의 내용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회신 메일 작성키를 조작함으로써 회신 메일을 작성하기 위한 회신 메일 작성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시켜, 이 상태에서 문자 입력 조작을 하여 송신 메일을 작성한다. 마지막으로, 메일 송신키를 조작함으로써 작성한 송신 메일을 상기 송신 상대의 통신 기기로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는,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에게 메일을 회신할 수 있다.
그렇지만, 종래의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메일을 수신한 후 그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에게 메일을 회신할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싱을 여는 조작, 메일 표시키에 대한 조작, 회신 메일 작성키에 대한 조작, 문자 입력 조작 및 메일 송신키에 대한 조작을 순차적으로 하여야 하는데, 이 일련의 조작이 극히 번잡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일을 수신한 후 그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에게 송신하거나 그 송신 상대 이외의 상대에게 메일을 송신할 때의 일련의 조작이 종래보다도 간이한 휴대 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휴대 전화기는, 개폐 가능한 케이싱, 케이싱의 개폐에 관계없이 표시면이 외부에 노출해 있는 디스플레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키를 갖고 케이싱이 열림으로써 조작면이 외부에 노출되는 키 입력 장치를 구비하며, 전자 정보로 이루어진 메일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그리고, 그 휴대 전화기는, 특징적 구성으로서, 케이싱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개폐 검출 수단; 메일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 및 케이싱을 닫은 상태에서 메일이 수신될 때, 수신 메일의 내용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한 후, 케이싱이 열린 상태가 검출될 때,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 또는 그 송신 상대 이외의 상대에게 송신해야 할 메일을 작성하기 위한 메일 작성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케이싱을 닫은 상태에서 메일이 수신될 때, 수신 메일의 내용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은 케이싱을 닫은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수신 메일을 읽을 수 있다.
상기 휴대 전화기의 키 입력 장치는 케이싱이 열림으로써 조작면이 외부에 노출되어 조작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에게 메일을 회신하는 경우나 그 송신 상대 이외의 상대에게 메일을 전송하는 경우에,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케이싱을 열게 된다. 그러면, 상기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수신 메일의 내용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후 케이싱이 열린 때, 메일을 작성하기 위한 메일 작성 화면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은 케이싱을 연 상태에서도 외부에 노출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메일 작성 화면을 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문자 입력 조작에 따라 메일이 작성되며, 작성된 메일은 상기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 또는 그 송신 상대 이외의 상대에게 송신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싱이 열림으로써 메일 작성 화면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기 때문에, 케이싱을 연 후에 회신 메일 작성키를 조작할 필요가 있던 종래의 휴대 전화기에 비해, 메일을 회신 또는 전송할 때의 일련의 조작이 간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싱을 닫은 상태에서 조작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된 메일 표시키를 갖추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메일이 수신된 후에 메일 표시키가 조작될 때 상기 수신 메일의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 동작을 실행한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서, 케이싱에는 그 케이싱을 닫은 상태에서 조작이 가능한 위치에 메일 표시키가 설치되어 있고, 케이싱을 닫은 상태에서 메일이 수신될 때 그 메일 표시키를 조작함으로써 수신 메일의 내용을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케이싱을 연 상태에서 메일이 수신된 후에 메일 표시키가 조작될 때 수신 메일의 내용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한 후, 또 메일 표시키가 조작되는 경우에 메일 작성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는, 케이싱을 연 상태에서 메일이 수신될 때, 메일 표시키를 조작함으로써 수신 메일의 내용을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고, 그 후, 또 메일 표시키를 조작함으로써 메일 작성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휴대 전화기는, 개폐 가능한 케이싱, 케이싱이 열림으로써 표시면이 외부에 노출되는 주 디스플레이, 케이싱이 닫힌 상태에서 표시면이 외부에 노출되는 보조 디스플레이 및 케이싱이 열림으로써 조작면이 외부에 노출되 는 키 입력 장치를 구비하며, 전자 정보로 된 메일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그리고, 그 휴대 전화기는, 특징적 구성으로서, 케이싱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개폐 검출 수단; 메일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 및 케이싱이 닫힌 상태에서 메일이 수신될 때 수신 메일의 내용을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에 표시한 후, 케이싱의 열린 상태가 검출될 때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 또는 그 송신 상대 이외의 상대에게 송신해야 할 메일을 작성하기 위한 메일 작성 화면을 상기 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케이싱을 닫은 상태에서 메일이 수신될 때 수신 메일의 내용이 보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여기에서, 보조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은 케이싱을 닫은 상태에서도 외부에 노출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수신 메일을 읽을 수 있다.
상기 휴대 전화기의 키 입력 장치는 케이싱이 열림으로써 조작면이 외부에 노출되어 조작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에게 메일을 회신하는 경우나 그 송신 상대 이외의 상대에게 메일을 전송하는 경우에,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케이싱을 열게 된다. 그러면, 상기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수신 메일의 내용이 보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후 케이싱이 열릴 때, 상기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 또는 송신 상대 이외의 상대에게 송신해야 할 메일을 작성하기 위한 메일 작성 화면이 주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여기에서, 주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은 케이싱이 열림으로써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주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메일 작성 화면을 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문자 입력 조작에 따라 메일이 작성되며, 작성된 메일은 상기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 또는 그 송신 상대 이외의 상대에게 송신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싱이 열림으로써 메일 작성 화면이 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기 때문에, 케이싱을 연 후에 회신 메일 작성키를 조작할 필요가 있던 종래의 휴대 전화기에 비해, 메일을 회신 또는 전송할 때의 일련의 조작이 간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싱이 닫힌 상태에서 조작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된 메일 표시키를 갖추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메일이 수신된 후 메일 표시키가 조작될 때에, 상기 수신 메일의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 동작을 실행한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서, 케이싱에는, 그 케이싱을 닫은 상태에서 조작이 가능한 위치에 메일 표시키가 설치되어 있고, 케이싱을 닫은 상태에서 메일이 수신될 때 그 메일 표시키를 조작함으로써 수신 메일의 내용을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케이싱을 연 상태에서 메일이 수신된 후 메일 표시키가 조작될 때에 수신 메일의 내용을 상기 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 후, 또 다시 메일 표시키가 조작될 때 메일 작성 화면을 상기 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상기 구체적 구성에 있어서는, 케이싱을 연 상태에서 메일이 수신될 때 메일 표시키를 조작함으로써 수신 메일의 내용을 주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고, 그 후, 또 다시 메일 표시키를 조작함으로써 메일 작성 화면을 주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기에 의하면, 메일을 수신할 때에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나 그 송신 상대 이외의 상대에게 메일을 송신할 때의 일련의 조작이 종래보다도 간이하게 된다.
도 1a 는 제 1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b 는 상기 휴대 전화기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1c 는 상기 휴대 전화기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a 는 상기 휴대 전화기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b 는 상기 휴대 전화기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2c 는 상기 휴대 전화기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 은 상기 휴대 전화기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 는 상기 휴대 전화기에서 실행되는 메일 회신 절차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5 는 제 2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a 는 상기 휴대 전화기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b 는 상기 휴대 전화기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 은 상기 휴대 전화기에서 실행되는 메일 회신 절차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8a 는 다른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b 는 상기 휴대 전화기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a 는 상기 휴대 전화기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b 는 상기 휴대 전화기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2 개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는, 도 1a 내지 도 1c 및 도 2a 내지 도 2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반 케이스(11) 및 하반 케이스(12)로 된 케이싱(1)을 가지며, 상반 케이스(11) 및 하반 케이스(12)는 서로 상하로 습동 가능하게 결합해 있고, 도 1a 내지 도 1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반 케이스(11)의 전면 위치와 하반 케이스(12)의 전면 위치를 서로 상하로 편이시킨 상태와, 도 2a 내지 도 2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반 케이스(11)의 전면 위치와 하반 케이스(12)의 전면 위치를 서로 일치시킨 상태와의 사이에서, 개폐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개폐 가능한 케이싱(1)이 구성된다.
상반 케이스(11)의 전면에는, 스피커를 내장한 수화부(2)가 설치됨 동시에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로 된 주 디스플레이(13a) 및 액정 디스플레이로 된 보조 디스플레이(13b)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3a, 13b)의 표시면은 둘 다, 도 1a 및 도 2a 와 같이, 케이싱(1)의 개폐 상태에 관계없이 외부에 노출해 있고, 어느 쪽의 상태에서도 주 디스플레이(13a) 및 보조 디스플레이(13b)의 표시면 에 표시된 정보를 보는 것이 가능하다.
주 디스플레이(13a)의 표시면은 문자 정보를 여러행에 걸쳐 표시할 수 있는 큰 면적을 갖고 있다. 또한, 주 디스플레이(13a)는, 대기 상태에서는, 소비 전력을 절감하도록 표시 동작이 오프로 설정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 조작이 있을 때에 표시 동작이 온으로 되어 수신 메일의 내용이나 후술하는 메일 작성 화면이 표시된다.
한편, 보조 디스플레이(13b)의 표시면은, 주 디스플레이(13a)에 비해 대폭적으로 작은 면적, 예를 들면 문자 정보를 1 행만 표시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보조 디스플레이(13b)의 표시면에는, 대기 상태에서는 날짜나 내장한 2차 전지의 잔여 용량을 나타내는 전지 마크 등이 표시되어 있고, 메일의 수신 시에는 메일이 수신되는 것을 나타내는 메일 수신 마크가 표시된다.
또한, 상반 케이스(U)의 전면에는, 복수의 조작키로 이루어진 상부키 입력 장치(14a)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키 입력 장치(14a)의 조작면은, 도 1a 및 도 2a 와 같이, 케이싱(1)의 개폐 상태에 관계없이 외부에 노출해 있고, 어느 쪽의 상태에서도 누름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상부키 입력 장치(14a)를 구성하는 복수의 조작키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신 메일의 내용을 표시시킬 때에 조작해야 할 메일 표시키(140)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상반 케이스(11)에는, 도 1 과 같이, 전면 및 배면의 상단부에, 2 개의 CCD 카메라(3, 30)가 설치되어 있다. 상반 케이스(11)의 전면에 설치된 CCD 카메라(이하, '전면 카메라'라고 함: 3)의 렌즈부는, 도 1a 및 도 2a 와 같이, 케이싱(1)의 개폐 상태에 관계없이 외부에 노출해 있고, 어느 쪽의 상태에서도 화상 촬영이 가능하다. 한편, 상반 케이스(11)의 배면에 설치된 CCD 카메라(이하, '배면 카메라'라고 함: 30)의 렌즈부는 케이싱(l)이 열리면 도 1b 와 같이 외부에 노출되며, 케이싱(1)을 연 상태에서만 화상 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상반 케이스(11)의 하단부에는 자석(18a)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하반 케이스(12)의 전면에는, 마이크로폰을 내장한 송화부(20)가 설치됨과 동시에 복수의 조작키로 이루어진 하부키 입력 장치(14b)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키 입력 장치(14b)의 조작면은 케이싱(1)이 열리면 도 la 와 같이 외부에 노출되며, 케이싱(1)을 연 상태에서만 누름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하부키 입력 장치(14b)를 구성하는 복수의 조작키에는, 복수의 텐키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메일을 송신시킬 때에 조작해야 할 메일 송신키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하반 케이스(12)의 뒷부분에는 신축식 안테나(15)가 설치되어 있다. 또, 하반 케이스(12)의 하단부에는 자기 센서(18b)가 설치되어 있고, 그 자기 센서(18b)는, 상반 케이스(11)의 하단부에 설치된 상기 자석(18a)이 접근하면 온의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상기 자석(18a)이 멀어지면 오프의 센서 신호를 출력한다. 이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케이싱(1)의 개폐 상태가 검출된다.
도 3 은 상기 휴대 전화기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듀플렉서(16)에 대하여 병렬로 수신 회로(17a) 및 송신 회로(17b)가 접속되어 있고, 안테나(15)에 의하여 수신된 신호는 듀플렉서(16)를 거쳐 수신 회로(17a)에 공급되어 수화 신호 또는 수신 메일 신호가 복조된다. 수화 신호는 제어 회로(10)를 거쳐 스피커(21)에 공급되어 음성 출력된다. 한편, 수신 메일 신호는 제어 회로 (10)에 공급되고, 그 회로(10)에 의하여 메모리(19)에 기록된다.
또한, 마이크로폰(22)에 입력된 송화 신호는 제어 회로(10)를 거쳐 송신 회로(17b)에 공급되어 변조된다. 또한, 제어 회로(10)에 의하여 작성된 송신 메일 신호는 송신 회로(17b)에 공급되어 변조된다. 변조된 송화 신호 또는 송신 메일 신호는 듀플렉서(16)를 거쳐 안테나(15)로부터 송신된다.
상기 제어 회로(10)에는, 상술한 주 디스플레이(13a), 보조 디스플레이(13b), 상부키 입력 장치(14a), 하부키 입력 장치(14b), 전면 카메라(3), 배면 카메라(30) 및 자기 센서(18b)가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기는,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에게 메일을 회신할 때의 조작이 간이한 간이 회신 모드를 온/오프로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는, 휴대 전화기의 사용 시, 미리 간이 회신 모드를 온 또는 오프 중 어느 한쪽의 상태로 설정해 둔다.
도 4 는 상기 제어 회로(1O)에 의하여 실행되는 메일 회신 절차를 나타내고 있고, 전원이 온으로 설정되면, 우선 단계 S1 에서 각 포트의 설정 등 필요한 초기 설정을 행한 후, 단계 S2 에서는 간이 회신 모드가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아니오' 라고 판단된 경우는 단계 S3 으로 이행하여 통상의 메일 수신 동작 및 메일 회신 동작을 실행한 후 단계 S2 로 돌아온다.
단계 S2 에서 '예' 라고 판단된 경우는, 단계 S4 에서 케이싱(1)이 닫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예' 라고 판단된 경우는 단계 S5 로 이행하여 메일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한편, '아니오' 라고 판단된 경우는 단계 S14 로 이행하여 메일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5 또는 단계 S14 에서 '아니오' 라고 판단된 경우는, 단계 S13 으로 이행하여 전화기 본체를 대기 상태로 설정한 후 단계 S2 로 돌아온다.
그 후, 케이싱(1)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메일이 수신되면, 단계 S5 에서 '예' 라고 판단되어 단계 S6 으로 이행하여 수신 메일 신호를 메모리(19)에 기록하는 동작 및 메일 수신 마크를 보조 디스플레이(13b)에 표시함과 동시에 일정 시간만 착신음을 발생시키는 동작을 실행한 후, 단계 S7 에서 상부키 입력 장치(14a)의 메일 표시키(140)의 누름 여부를 판단하여 '아니오' 라고 판단된 경우는 단계 S13으로 이행하여 전화기 본체를 대기 상태로 설정한 후 단계 S2 로 돌아온다.
한편, 메일 표시키(140)가 눌러지면 단계 S7 에서 '예' 라고 판단되어 단계 S8 로 이행하고, 메모리(19)로부터 수신 메일 신호를 독출하여 수신 메일의 내용을 주 디스플레이(13a)에 표시한다. 계속해서, 단계 S9 에서는 케이싱(1)이 열려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아니오' 라고 판단된 경우는 단계 S13 으로 이행하여 전화기 본체를 대기 상태로 설정한 후, 단계 S2 로 돌아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 메일의 내용이 주 디스플레이(13a)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케이싱(1)이 열리면, 단계 S9 에서 '예' 라고 판단되어 단계 S10 으로 이행하고, 상기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에게 회신해야 할 회신 메일을 작성하기 위한 회신 메일 작성 화면을 주 디스플레이(13a)에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하부키 입력 장치(13b)를 이용한 문자 입력 조작이 행해지면, 그 입력 조작에 따라 송신 메일이 작성된다.
그 후, 단계 S11 에서는 하부키 입력 장치(14b)의 메일 송신키의 누름 여부를 판단하며, '아니오' 라고 판단된 경우는 단계 S10 으로 돌아오는 한편, '예' 라고 판단된 경우는 단계 S12 로 이행하여 작성된 송신 메일 신호를 송신 회로(17b)에 공급한다. 그 결과, 송신 메일 신호가 상기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의 통신 기기에 송신되는 것으로 된다. 마지막으로, 단계 S13 에서 전화기 본체를 대기 상태로 설정한 후 단계 S2 로 돌아온다.
케이싱(1)이 열려 있는 상태에서 메일이 수신되면, 상기 단계 S14 에서 '예' 라고 판단되어 단계 S15 로 이행하여, 수신 메일 신호를 메모리(19)에 기록하는 동작 및 메일 수신 마크를 보조 디스플레이(13b)에 표시함과 동시에 일정 시간만 착신음을 발생시키는 동작을 실행한 후, 단계 S16 에서 상부키 입력 장치(14a)의 메일 표시키(140)의 누름 여부를 판단하며, '아니오' 라고 판단된 경우는 단계 S13으로 이행하여 전화기 본체를 대기 상태로 설정한 후 단계 S2 로 돌아온다.
한편, 메일 표시키(140)가 눌러지면, 단계 S16 에서 '예' 라고 판단되어 단계 S17 로 이행하며, 메모리(19)로부터 수신 메일 신호를 독출하여 수신 메일의 내용을 주 디스플레이(13a)에 표시한다. 계속해서, 단계 S18 에서는 케이싱(1)이 닫혀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예' 라고 판단된 경우는 단계 S13 으로 이행하여 전화기 본체를 대기 상태로 설정한 후 단계 S2 로 돌아온다. 한편, 단계 S18 에서 '아니오' 라고 판단된 경우는 단계 S19 로 이행하여 상부키 입력 장치(14a)의 메일 표시키(140)의 누름 여부를 판단하고, '아니오' 라고 판단된 경우는 단계 S17 로 돌아오는 한편, '예' 라고 판단된 경우는 단계 S10 으로 이행하여 회신 메일 작성 화 면을 주 디스플레이(13a)에 표시한다. 그 후, 상술한 단계 S11 내지 단계 S13 의 절차를 실행한 후 단계 S2 로 돌아온다.
상기 절차에 의하면, 간이 회신 모드가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케이싱(1)이 닫힌 상태에서 메일이 수신되면 메일 수신 마크가 보조 디스플레이(13b)에 표시됨과 동시에 일정 시간만 착신음이 발생하고, 그 후, 상부키 입력 장치(14a)의 메일 표시키(140)가 눌러지면 수신 메일의 내용이 주 디스플레이(13a)에 표시된다. 계속해서, 케이싱(1)이 열리면 회신 메일 작성 화면이 주 디스플레이(13a)에 표시되고, 이 상태에서 문자 입력 조작이 행해지면 그 조작에 따라 송신 메일이 작성된다. 그 후, 하부키 입력 장치(14b)의 메일 송신키가 눌러지면 작성된 송신 메일 신호가 상기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의 통신 기기로 송신된다.
이에 대하여, 케이싱(1)이 열려 있는 상태에서 메일이 수신되면, 메일 수신 마크가 보조 디스플레이(13b)에 표시됨과 동시에 일정 시간만 착신음이 발생하고, 그 후, 상부키 입력 장치(14a)의 메일 표시키(140)가 눌러지면 수신 메일의 내용이 주 디스플레이(13a)에 표시된다. 또 메일 표시키(l40)가 눌러지면 회신 메일 작성 화면이 주 디스플레이(13a)에 표시되고, 이 상태에서 문자 입력 조작이 행해지면 그 조작에 따라 송신 메일이 작성된다. 그 후, 하부키 입력 장치(14b)의 메일 송신키가 눌러지면 작성된 송신 메일 신호가 상기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의 통신 기기로 송신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 메일의 내용이 주 디스플레이(13a)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케이싱(1)이 닫혀지면, 전화기 본체는 대기 상태로 돌아온다. 또한, 작성된 회신 메일의 내용이나 수신 메일의 내용이 주 디스플레이(13a)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케이싱(1)이 닫혀진 경우라도 그 표시 상태는 유지된다.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에서 간이 회신 모드가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수신 메일을 읽은 후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에게 메일을 회신하는 경우에 후술하는 조작을 수행한다.
케이싱(1)이 닫힌 상태에서 메일이 수신된 경우에는, 우선, 상부키 입력 장치(14a)의 메일 표시키(140)를 눌러서 수신 메일의 내용을 주 디스플레이(13a)에 표시한다. 여기에서, 주 디스플레이(13a)의 표시면은 도 2a 와 같이 케이싱(1)이 닫힌 상태에서도 외부에 노출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주 디스플레이(13a)에 표시된 수신 메일을 읽을 수 있다. 계속해서, 하부키 입력 장치(14b)의 조작면을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해 케이싱(1)을 여는 조작을 행하면, 회신 메일 작성 화면이 주 디스플레이(13a)에 표시된다. 여기에서, 주 디스플레이(13a)의 표시면은 도 1a 와 같이 케이싱(1)을 연 상태에서도 외부에 노출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주 디스플레이(13a)에 표시된 회신 메일 작성 화면을 볼 수 있다. 다음으로, 하부키 입력 장치(14b)의 복수의 조작키를 이용하여 문자 입력 조작을 함으로써 송신 메일을 작성한다. 마지막으로, 하부키 입력 장치(14b)의 메일 송신키를 눌러서, 작성된 송신 메일 신호를 상기 송신 상대의 통신 기기로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는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에게 메일을 회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케이싱(1)이 열려 있는 상태에서 메일이 수신된 경우에는, 우선, 상부키 입력 장치(14a)의 메일 표시키(140)를 눌러서 수신 메일의 내용을 주 디스플레이(13a)에 표시한다. 여기에서, 주 디스플레이(13a)의 표시면은 도 1a 와 같이 케이싱(1)을 연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주 디스플레이(13a)에 표시된 수신 메일을 읽을 수 있다. 계속해서, 수신 메일의 내용이 주 디스플레이(13a)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시 한번 상부키 입력 장치(14a)의 메일 표시키(140)를 눌러서 회신 메일 작성 화면을 주 디스플레이(13a)에 표시하고, 이 상태에서 하부키 입력 장치(14a)의 복수의 조작키를 이용하여 문자 입력 조작을 함으로써 송신 메일을 작성한다. 마지막으로, 하부키 입력 장치(14b)의 메일 송신키를 눌러서, 작성된 송신 메일 신호를 상기 송신 상대의 통신 기기로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는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에게 메일을 회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간이 회신 모드를 온으로 설정해 두면, 케이싱(1)이 닫힌 상태에서 메일이 수신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싱(1)을 열면 회신 메일 작성 화면이 주 디스플레이(13a)에 표시되다. 따라서, 케이싱을 연 후에 회신 메일 작성키를 조작할 필요가 있던 종래의 휴대 전화기에 비해,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에게 메일을 회신할 때의 일련의 조작이 간이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일 표시키(140)에 대한 조작만을 하는 것에 의하여, 케이싱(1)을 닫은 상태에서 수신 메일을 읽을 수 있다. 따라서, 수신 메일을 읽기 위해 케이싱을 열 필요가 있던 종래의 휴대 전화기에 비해, 수신 메일을 읽을 때의 조작이 간이하다.
제 2 실시예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는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평한 본체 케이스(41)와 덮개 케이스(42)를 갖추고 있으며, 본체 케이스(41)의 상단부와 덮개 케이스(42)의 하단부가 경첩 기구(43)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도 5 와 같이 덮개 케이스(42)를 연 상태와, 도 6 과 같이 덮개 케이스(42)를 닫은 상태와의 사이에서, 개폐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절첩이 가능한 케이싱이 구성된다.
본체 케이스(41)의 전면에는, 마이크로폰을 내장한 송화부(46)가 설치됨과 동시에 복수의 조작키로 이루어진 키 입력 장치(45)가 설치되어 있다. 키 입력 장치(45)의 조작면은, 케이싱(4)이 열리면 도 1 과 같이 외부에 노출되며, 케이싱(4)을 연 상태에서만 누름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키 입력 장치(45)를 구성하는 복수의 조작키에는, 복수의 텐키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메일을 송신시킬 때에 조작해야 할 메일 송신키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41)의 뒷부분에는 신축식 안테나(4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41)의 측면부에는 수신 메일의 내용을 표시시킬 때에 조작해야 할 메일 표시키(450)가 설치되어 있다. 그 키(450)는, 도 5 및 도 6 과 같이 케이싱(4)의 개폐 상태에 관계없이 외부에 노출해 있고, 어느 쪽의 상태에서도 누름 조작이 가능하다.
한편, 덮개 케이스(42)의 전면에는, 도 5 와 같이 스피커를 내장한 수화부(48)가 설치됨과 동시에 액정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진 주 디스플레이(47a)가 설치되어 있다. 주 디스플레이(47a)의 표시면은 케이싱(4)이 열림으로써 도 5 와 같이 외부에 노출되며, 케이싱(4)을 연 상태에서만 주 디스플레이(47a)에 표시된 정보를 볼 수 있다. 또한, 주 디스플레이(47a)의 표시면은 문자 정보를 여러행에 걸쳐 표시할 수 있는 큰 면적을 갖고 있고, 그 표시면에는 수신 메일의 내용이나 회신 메 일 작성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덮개 케이스(42)의 전면에는 덮개 케이스(42)의 개폐를 검출하기 위한 개폐 검출 스위치(49)가 설치되어 있고, 그 개폐 검출 스위치(49)는 덮개 케이스(42)를 닫으면 온으로 되는 한편, 덮개 케이스(42)를 열면 오프로 된다. 또한, 덮개 케이스(42)의 전면에는 CCD 카메라(5)가 설치되어 있고, 그 카메라(5)의 렌즈부는 케이싱(4)이 열리면 외부에 노출되며 케이싱(4)을 연 상태에서만 화상 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덮개 케이스(42)의 배면에는, 도 6 과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로 된 보조 디스플레이(47b)가 설치되어 있다. 그 보조 디스플레이(47b)의 표시면은 케이싱(4)이 닫힌 상태에서도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케이싱(4)이 닫힌 상태라도 보조 디스플레이(4)에 표시된 정보를 볼 수 있다. 또한, 보조 디스플레이(47b)의 표시면은 문자 정보를 여러행에 걸쳐 표시할 수 있는 큰 면적을 갖고 있다. 보조 디스플레이(47b)는, 케이싱(4)을 닫은 상태에서만 표시 동작이 온으로 설정되고, 대기 상태에서는 날짜나 전지 마크 등이 표시되어 있으며, 메일의 수신 시에는 메일 수신 마크가 표시됨과 동시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신 메일의 내용이 표시된다. 또한, 덮개 케이스(42)의 배면에는, CCD 카메라(50)가 설치되어 있다. 그 CCD 카메라(50)의 렌즈부는 도 5 및 도 6 과 같이 케이싱(4)의 개폐 상태에 관계없이 외부에 노출해 있고, 어느 쪽의 상태에서도 화상 촬영이 가능하다.
도 7 은 본 실시예의 제어 회로에 의하여 실행되는 메일 회신 절차를 나타내고 있다. 전원이 온으로 설정되면, 우선 단계 S21 에서 각 포트의 설정 등 필요한 초기 설정을 행한 후, 단계 S22 에서는 간이 회신 모드가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아니오' 라고 판단된 경우는 단계 S23 으로 이행하여 통상의 메일 수신 동작 및 메일 회신 동작을 실행한 후 단계 S22 로 돌아온다.
단계 S22 에서 '예' 라고 판단된 경우는 단계 S24 에서 케이싱(4)이 닫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예' 라고 판단된 경우는 단계 S25로 이행하고, 메일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한편, '아니오' 라고 판단된 경우는 단계 S34 로 이행하여 메일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25 또는 단계 S34 에서 '아니오' 라고 판단된 경우는, 단계 S33 으로 이행하여 전화기 본체를 대기 상태로 설정한 후 단계 S22 로 돌아온다.
그 후, 케이싱(4)이 닫힌 상태에서 메일이 수신되면, 단계 S25 에서 '예' 라고 판단되어 단계 S26 으로 이행하여 수신 메일 신호를 메모리에 기록하는 동작 및 메일 수신 마크를 보조 디스플레이(47b)에 표시함과 동시에 일정 시간만 착신음을 발생시키는 동작을 실행한 후, 단계 S27 에서 메일 표시키(450)의 누름 여부를 판단하여, '아니오' 라고 판단된 경우는 단계 S33 으로 이행하여 전화기 본체를 대기 상태로 설정한 후 단계 S22 로 돌아온다.
한편, 메일 표시키(450)가 눌러지면 단계 S27 에서 '예' 라고 판단되어 단계 S28 로 이행하고, 메모리로부터 수신 메일 신호를 독출하여 수신 메일의 내용을 보조 디스플레이(47b)에 표시한다. 계속해서 단계 S29 에서는 케이싱(4)이 닫혀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아니오' 라고 판단된 경우는, 단계 S33 으로 이행하여 전화기 본체를 대기 상태로 설정한 후 단계 S22 로 돌아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 메일의 내용이 보조 디스플레이(47b)에 표시되어 있 는 상태에서 케이싱(4)이 열리면, 단계 S29 에서 '예' 라고 판단되어 단계 S30 으로 이행하여,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에게 회신해야 할 회신 메일을 작성하기 위한 회신 메일 작성 화면을 주 디스플레이(47a)에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키 입력 장치(45)를 이용해 문자 입력 조작이 행해지면, 그 입력 조작에 따라 송신 메일을 작성한다.
그 후, 단계 S31 에서는 키 입력 장치(45)의 메일 송신키의 누름 여부를 판단하여, '아니오' 라고 판단된 경우는 단계 S30 으로 돌아오는 한편, '예' 라고 판단된 경우는 단계 S32 로 이행하여 작성된 송신 메일 신호를 송신 회로에 공급한다. 그 결과, 송신 메일 신호가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의 통신 기기에 송신되는 것으로 된다. 마지막으로, 단계 S33 에서 전화기 본체를 대기 상태로 설정한 후 단계 S22 로 돌아온다.
케이싱(4)이 열려 있는 상태에서 메일이 수신되면 상기 단계 S34 에서 '예' 라고 판단되어 단계 S35 로 이행하여 수신 메일 신호를 메모리에 기록하는 동작 및 메일 수신 마크를 보조 디스플레이(47b)에 표시함과 동시에 일정 시간만 착신음을 발생시키는 동작을 실행한 후, 단계 S36 에서 메일 표시키(450)의 누름 여부를 판단하여, '아니오' 라고 판단된 경우는 단계 S33 으로 이행하여 전화기 본체를 대기 상태로 설정한 후 단계 S22 로 돌아온다.
한편, 메일 표시키(450)가 눌러지면 단계 S36 에서 '예' 라고 판단되어 단계 S37 로 이행하고, 메모리로부터 수신 메일 신호를 독출하여 수신 메일의 내용을 주 디스플레이(47a)에 표시한다. 계속해서, 단계 S38 에서는 케이싱(4)이 닫혀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예' 라고 판단된 경우는 단계 S33 으로 이행하여 전화기 본체를 대기 상태로 설정한 후 단계 S22 로 돌아온다.
한편, 단계 S38 에서 '아니오' 라고 판단된 경우는 단계 S39 로 이행하여 메일 표시키(450)의 누름 여부를 판단하고, '아니오' 라고 판단된 경우는 단계 S37 로 돌아오는 한편, '예' 라고 판단된 경우는 단계 S30 으로 이행하여 회신 메일 작성 화면을 주 디스플레이(47a)에 표시한다. 그 후, 상술한 단계 S31 내지 단계 S33 의 절차를 실행한 후 단계 S22 로 돌아온다.
상기 절차에 의하면, 간이 회신 모드가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케이싱(4)이 닫힌 상태에서 메일이 수신되면 메일 수신 마크가 보조 디스플레이(47b)에 표시됨과 동시에 일정 시간만 착신음이 발생하고, 그 후, 메일 표시키(450)가 눌러지면 수신 메일의 내용이 보조 디스플레이(47b)에 표시된다. 계속해서 케이싱(4)이 열리면 회신 메일 작성 화면이 주 디스플레이(47a)에 표시되고, 이 상태에서 문자 입력 조작이 행해지면 그 조작에 따라 송신 메일이 작성된다. 그 후, 키 입력 장치(45)의 메일 송신키가 눌러지면, 작성된 송신 메일 신호가 상기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의 통신 기기로 송신된다.
이에 대하여, 케이싱(4)이 열려 있는 상태에서 메일이 수신되면, 메일 수신 마크가 주 디스플레이(47a)에 표시됨과 동시에 일정 시간만 착신음이 발생하고, 그 후, 메일 표시키(450)가 눌러지면 수신 메일의 내용이 주 디스플레이(47a)에 표시된다. 다시 메일 표시키(450)가 눌러지면 회신 메일 작성 화면이 주 디스플레이(47a)에 표시되고, 이 상태에서 문자 입력 조작이 행해지면 그 조작에 따라 송신 메일이 작성된다. 그 후, 키 입력 장치(45)의 메일 송신키가 눌러지면, 작성된 송신 메일 신호가 상기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의 통신 기기로 송신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 메일의 내용이 주 디스플레이(47a)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케이싱(4)이 닫혀지면, 전화기 본체는 대기 상태로 돌아온다. 또한, 작성된 회신 메일의 내용이나 수신 메일의 내용이 주 디스플레이(47a)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케이싱(4)이 닫혀진 경우라도, 그 표시 상태는 유지된다.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에서 간이 회신 모드가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수신 메일을 읽은 후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에게 메일을 회신하는 경우에 후술하는 조작을 수행한다.
케이싱(4)이 닫힌 상태에서 메일이 수신된 경우에는, 우선, 메일 표시키(450)를 눌러서 수신 메일의 내용을 보조 디스플레이(47b)에 표시한다. 여기에서, 보조 디스플레이(47b)의 표시면은 도 6 과 같이 케이싱(4)을 닫은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보조 디스플레이(47b)에 표시된 수신 메일을 읽을 수 있다. 계속해서 키 입력 장치(45)의 조작면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케이싱(4)을 여는 조작을 행하면, 회신 메일 작성 화면이 주 디스플레이(47a)에 표시된다. 여기에서, 주 디스플레이(47a)의 표시면은 케이싱(4)이 열림으로써 도 5 와 같이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주 디스플레이(47a)에 표시된 회신 메일 작성 화면을 볼 수 있다. 다음으로, 키 입력 장치(45)의 복수의 조작키를 사용해서 문자 입력 조작을 행함으로써 송신 메일을 작성한다. 마지막으로, 키 입력 장치(45)의 메일 송신키를 눌러서 작성된 송신 메일 신호를 상기 송신 상대의 통신 기 기로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는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에게 메일을 회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케이싱(4)이 열린 상태에서 메일이 수신된 경우에는, 우선, 메일 표시키(450)를 눌러서 수신 메일의 내용을 주 디스플레이(47a)에 표시한다. 여기에서, 주 디스플레이(47a)의 표시면은 도 5 와 같이 케이싱(1)을 연 상태에서는 외부에 노출해 있으므로, 사용자는 주 디스플레이(47a)에 표시된 수신 메일을 읽을 수 있다. 계속해서, 수신 메일의 내용이 주 디스플레이(47a)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시 메일 표시키(450)를 눌러서 회신 메일 작성 화면을 주 디스플레이(47a)에 표시하고, 이 상태에서 키 입력 장치(45)의 복수의 조작키를 사용해서 문자 입력 조작을 행하여 송신 메일을 작성한다. 마지막으로, 키 입력 장치(45)의 메일 송신 키를 눌러서, 작성된 송신 메일 신호를 상기 송신 상대의 통신 기기로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는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에게 메일을 회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간이 회신 모드를 온으로 설정하면, 케이싱(4)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메일이 수신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싱(4)을 열어서 회신 메일 작성 화면이 주 디스플레이(47a)에 표시된다. 따라서, 케이싱을 연 후에 회신 메일 작성키를 조작할 필요가 있는 종래의 휴대 전화기에 비해,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에게 메일을 회신하는 경우의 일련의 조작이 간이하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일 표시키(450)에 대한 조작만을 함으로써, 케이싱(4)이 닫힌 상태에서도 수신 메일을 읽을 수 있다. 따라서, 수신 메일을 읽기 위해 케이싱을 열 필요가 있던 종래의 휴대 전화기에 비해, 수신 메일을 읽는 경우의 조 작이 간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각 부분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메일이 수신된 경우 메일 표시키가 조작될 때에 수신 메일의 내용을 표시하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메일이 수신된 경우 사용자 조작의 유무에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수신 메일의 내용을 표시하는 구성을 채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메일 송신키가 눌러진 때에 사용자의 문자 입력 조작에 따라 작성한 메일을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에게 송신하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지만, 작성한 메일의 송신지가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 이외의 상대로 변경되어 있는 경우, 작성한 메일을 변경 후의 상대에게 송신하는 구성을 채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도 8 및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61)와 그 케이스(61)의 전면에 설치된 키 조작면(60)만을 덮는 덮개(62)로 이루어진 케이싱(6)을 갖춘 휴대 전화기 등, 그 밖에, 주지의 개폐 가능한 케이싱을 갖춘 휴대 전화기에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일을 수신할 때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에게 메일을 회신할 때나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 이외의 상대에게 수신 메일을 전송할 때의 일련의 조작이 간이한 휴대 전화기를 구현할 수 있다.

Claims (6)

  1. 개폐 가능한 케이싱, 케이싱의 개폐에 관계없이 표시면이 외부에 노출해 있는 디스플레이 및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키를 가지고 케이싱이 열림으로써 조작면이 외부에 노출되는 키 입력 장치를 구비하며, 전자 정보로 이루어진 메일의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케이싱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개폐 검출 수단;
    메일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 및
    케이싱이 닫힌 상태에서 메일이 수신될 때 수신 메일의 내용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한 후, 케이싱의 열린 상태가 검출될 때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 또는 그 송신 상대 이외의 상대에게 송신해야 할 메일을 작성하기 위한 메일 작성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싱이 닫힌 상태에서 조작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된 메일 표시키를 더 구비하며,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메일이 수신된 후에 메일 표시키가 조작될 때, 상기 수신 메일의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케이싱이 열린 상태에서 메일이 수신된 후에 메일 표시키가 조작될 때 수신 메일의 내용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한 후, 다시 메일 표시키가 조작되는 경우에 메일 작성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4. 개폐 가능한 케이싱, 케이싱이 열림으로써 표시면이 외부에 노출되는 주 디스플레이, 케이싱이 닫힌 상태에서 표시면이 외부에 노출되는 보조 디스플레이 및 케이싱이 열림으로써 조작면이 외부에 노출되는 키 입력 장치를 구비하며, 전자 정보로 이루어진 메일의 송수신이 가능한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케이싱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개폐 검출 수단;
    메일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 및
    케이싱이 닫힌 상태에서 메일이 수신될 때 수신 메일의 내용을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에 표시한 후, 케이싱이 열린 상태가 검출되는 경우 수신 메일의 송신 상대 또는 그 송신 상대 이외의 상대에게 송신해야 할 메일을 작성하기 위한 메일 작성 화면을 상기 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케이싱이 닫힌 상태에서 조작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된 메일 표시키를 더 구비하며,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메일이 수신된 후에 메일 표시키가 조작될 때, 상기 수신 메일의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케이싱이 열린 상태에서 메일이 수신된 후에 메일 표시키가 조작될 때 수신 메일의 내용을 상기 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 후, 다시 메일 표시키가 조작되는 경우에 메일 작성 화면을 상기 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KR1020047013572A 2002-03-01 2003-02-28 휴대 전화기 KR100662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56639 2002-03-01
JP2002056639A JP3561709B2 (ja) 2002-03-01 2002-03-01 携帯電話機
PCT/JP2003/002400 WO2003075544A1 (en) 2002-03-01 2003-02-28 Cellular tele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139A KR20040097139A (ko) 2004-11-17
KR100662171B1 true KR100662171B1 (ko) 2006-12-27

Family

ID=27784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3572A KR100662171B1 (ko) 2002-03-01 2003-02-28 휴대 전화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96050B2 (ko)
EP (1) EP1489819B1 (ko)
JP (1) JP3561709B2 (ko)
KR (1) KR100662171B1 (ko)
CN (1) CN100571287C (ko)
AU (1) AU2003211619A1 (ko)
WO (1) WO20030755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0192B2 (ja) 2002-09-26 2008-04-02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KR100631193B1 (ko) * 2004-10-27 2006-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휴대폰
KR20080018635A (ko) * 2006-08-25 2008-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처리장치 및 그 데이터 송수신방법
JP2007306590A (ja) * 2007-06-08 2007-11-22 Kyocera Corp 携帯端末
JP5140364B2 (ja) * 2007-09-28 2013-02-0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表示切替方法、表示切替プログラム
EP2063610A1 (en) * 2007-11-26 2009-05-27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that has a keypad which can be rendered ineffective, and associated method
US8199032B2 (en) 2007-11-26 2012-06-12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that has a keypad which can be rendered ineffective, and associated method
JP5246773B2 (ja) * 2008-12-24 2013-07-24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00186234A1 (en) 2009-01-28 2010-07-29 Yehuda Binder Electric shaver with imaging capability
US8385975B2 (en) * 2009-04-23 2013-02-26 Qualcomm Incorporated Context-based messag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8143982B1 (en) 2010-09-17 2012-03-27 Apple Inc. Foldable accessory device
US8242868B2 (en) 2010-09-17 2012-08-14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magnetic attachment system
US8344836B2 (en) 2010-09-17 2013-01-01 Apple Inc. Protective cover for a tablet computer
JP6166209B2 (ja) * 2014-03-28 2017-07-19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と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049A (ja) * 1994-07-19 1996-02-02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型無線通信装置
EP0731590A3 (de) * 1995-03-06 1999-03-24 Siemens Aktiengesellschaft Mobiltelefon
JP3086641B2 (ja) * 1995-08-29 2000-09-11 三洋電機株式会社 携帯端末
FI111897B (fi) * 1995-11-24 2003-09-30 Nokia Corp Kaksitoiminen tiedonvälityslaite
FI100441B (fi) 1996-04-09 1997-11-28 Nokia Mobile Phones Ltd Valikko-ohjattu lyhytsanomien muodostus
US5896575A (en) * 1997-02-28 1999-04-20 Motorola, Inc.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viewable from two opposite ends
US6473628B1 (en) * 1997-10-31 2002-10-29 Sanyo Electric Co., Ltd. Telephone set
US6141540A (en) * 1998-06-15 2000-10-31 Motorola, Inc. Dual mode communication device
US6215474B1 (en) * 1998-07-27 2001-04-10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with mode change softkeys
KR100303793B1 (ko) * 1998-11-05 2001-11-22 윤종용 폴더타입 통신단말기의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JP2000278373A (ja) * 1999-03-29 2000-10-06 Ricoh Co Ltd 携帯型電子機器
KR100307027B1 (ko) * 1999-06-17 2001-11-01 서평원 액정 표시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표시장치
JP2001189790A (ja) * 1999-12-28 2001-07-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装置
JP3530475B2 (ja) * 2000-09-25 2004-05-24 三洋電機株式会社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JP4040252B2 (ja) * 2000-12-19 2008-01-30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2002218030A (ja) * 2001-01-17 2002-08-02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折り畳み式携帯端末機
JP2002232533A (ja) 2001-01-30 2002-08-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折畳型携帯情報端未装置及びその情報表示方法
JP2002281130A (ja) 2001-03-21 2002-09-27 Nec Saitama Ltd 移動体通信機
JP2002314658A (ja) * 2001-04-16 2002-10-25 Nec Corp 折り畳み式携帯端末
JP3790143B2 (ja) * 2001-10-01 2006-06-28 株式会社東芝 移動無線端末装置
JP3949048B2 (ja) * 2002-11-18 2007-07-25 京セラ株式会社 重ね型携帯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89819B1 (en) 2012-09-12
CN100571287C (zh) 2009-12-16
EP1489819A1 (en) 2004-12-22
EP1489819A4 (en) 2005-05-11
US20050181846A1 (en) 2005-08-18
JP3561709B2 (ja) 2004-09-02
CN1640097A (zh) 2005-07-13
KR20040097139A (ko) 2004-11-17
WO2003075544A1 (en) 2003-09-12
US7096050B2 (en) 2006-08-22
JP2003258951A (ja) 2003-09-12
AU2003211619A1 (en) 2003-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3604A (en) Portable telephone set with automatic dialing feature
KR100662171B1 (ko) 휴대 전화기
KR100361796B1 (ko) 정보 단말 장치
EP1675361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different operation modes selected by the opening direction of folder cover and method thereof
JP3392831B2 (ja)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撮影制御方法
US7321789B2 (en) Folding information processor
JP2002152346A (ja) 折り畳み式携帯通信端末装置
JP3501710B2 (ja) 携帯電話機
JP2001211241A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JP2004120436A (ja) 携帯端末
KR100594000B1 (ko) 폴더의 오픈 방향에 따라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이동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20061249A (ko) 두 개의 표시부를 갖는 폴더형 휴대폰
JP3609708B2 (ja) 無線情報端末機
JP2003289350A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及びその機能設定方法
KR100426269B1 (ko) 폴더형 휴대폰의 사이드키를 이용한 전화걸기 방법
JP2001168973A (ja) 携帯電話装置
KR200293959Y1 (ko) 덮개가 닫혀진 상태에서 통화 및 통화목록 검색이 가능한듀얼 폴더형 이동 통신 전화기
JP3996587B2 (ja) 携帯電話機
JP2004312631A (ja) 折畳式携帯電話装置
JP2003198892A (ja) 開閉式通信端末装置
JP4493375B2 (ja) 携帯端末装置
KR101075662B1 (ko) 카메라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에서 촬영모드제어방법
JP2002305566A (ja)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撮影制御方法
JP2007312405A (ja) 携帯端末装置
JP2003298718A (ja) 無線通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