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0077B1 - 휴대 전화 단말기 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 전화 단말기 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0077B1
KR100660077B1 KR20050013815A KR20050013815A KR100660077B1 KR 100660077 B1 KR100660077 B1 KR 100660077B1 KR 20050013815 A KR20050013815 A KR 20050013815A KR 20050013815 A KR20050013815 A KR 20050013815A KR 100660077 B1 KR100660077 B1 KR 100660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network
terminal
calling
cellular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13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2107A (ko
Inventor
마사노리 하시모또
야스오 데즈까
아끼오 야바
가요 모또하시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2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2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0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0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6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1/002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2Manipulation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082Mobility data transfer for traffic bypassing of mobility servers, e.g. location registers, home PLMNs or home ag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휴대 전화망에 IP망을 통하여 수용된 기지국을 이용하여 휴대 전화 네트워크 및 IP망의 효율적인 이용을 도모한다. 휴대 전화망에 IP망을 통하여 수용된 기지국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발신 요구를 발신측 기지국으로부터 휴대 전화망에 송신하고, 이 발신 요구가 휴대 전화망으로부터 착신측 기지국을 통하여 착신처 단말기에 착신되는 경우에, 발신측 기지국과 착신측 기지국의 쌍방이 동일한 IP망을 통하여 휴대 전화망에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정하여, 발신측 기지국과 착신측 기지국과의 쌍방이 동일한 IP망을 통하여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휴대 전화망을 경유하지 않고 발신측 기지국과 착신측 기지국이 동일한 IP망을 통하여 직접 접속된 발신 단말기와 착신처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한다.
기지국, 휴대 전화 네트워크, IP 네트워크, 발신 단말기, 데이터 전송로, 베어러, IP 어드레스

Description

휴대 전화 단말기 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SYSTEM FOR ESTABLISHING DATA TRANSMISSION PATH BETWEEN MOBILE PHONE TERMINALS}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휴대 전화 네트워크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현행의 음성 데이터가 통하는 베어러 루트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실현되는 음성 데이터가 통하는 베어러 루트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이 해결할 과제를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개요 및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개요를 나타내는 시퀀스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호출 접속 처리에 있어서의 베어러 상태의 천이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현행의 3GNW의 발착신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3GNW의 발착신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현행의 3GNW의 절단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3GNW의 절단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CABS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착신측 RNS(D-RNS)에 의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발신측 MSC(S-MSC)에 의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발신측 MSC(S-MSC)에 의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착신측 MSC(D-MSC)에 의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발신측 CABS(S-CABS) 및 착신측(D-CABS)에 의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RNS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MSC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CABS
11 : 무선 처리부
12 : 다중/분리부
13 : 취득/삽입부
14 : 베어러 셀렉터
15 : IP 다중/분리부
16 : 암호 처리부
17 : 제어부(CNT부; 세션 확립/절단부 포함함)
30 : RNS
42, 56 : CNT부
50 : MSC
본 발명은 휴대 전화 네트워크 및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를 사용한 통신 방식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네트워크, 예를 들면 제3 세대 휴대 전화 네트워크(Third Generation mobile phone network)에 있어서, 지도적으로 보아 서비스 에어리어(기지국으로부터의 전파가 닿은 범위)이기는 하지만, 전파가 닿기 어려운 지역(「불감 지대」라고 부름)이 존재한다. 전파는 기본적으로 직진하기 때문에, 건물의 그림자, 옥내, 지하 등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의 무선 전파가 충분히 닿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불감 지대의 하나로서, 예를 들면 옥내가 있는데, 특히 단독 주택 혹은 집합 주택에서의 개인 옥내가 있다. 이 개인 옥내에 소형 기지국을 배치하여, 개인 옥 내에서 휴대 전화 네트워크로부터의 전파를 원활히 수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발명에 관련한 선행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특허 문헌 1 및 2에 기재된 기술이 있다.
[문헌 1] 일본 특허 표장 2004-507946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표장 2002-535888호 공보
본 발명은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설치되는 기지국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휴대 전화 네트워크 및 IP 네트워크의 이용을 도모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하의 구성을 채용한다.
즉, 본 발명은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용된 기지국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로부터의 발신 요구를 발신측 기지국으로부터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송신하고, 이 발신 요구를 휴대 전화 네트워크로부터 착신측 기지국을 통하여 착신처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에 착신시키는 경우에, 상기 발신측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기지국의 쌍방이 동일한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발신측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기지국의 쌍방이 동일한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서 상기 발신측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기지국이 상기 동일한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직접 접속된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는 확립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신측 기지국과 착신측 기지국의 사이가 직접 접속된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가 확립된다. 이에 의해서, 휴대 전화 네트워크 및 IP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부하의 경감이나, 설비 설치의 부담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데이터」는 텍스트, 화상 데이터 외에, 음성 및 음성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발신측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기지국의 쌍방이 동일한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발신 단말기와 착신처 단말기의 한쪽이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기지국의 하위에 속하는 경우에는,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한다.
이들과 같이, IP 네트워크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및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 말기의 적어도 한쪽이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기지국의 하위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데이터 전송로가 확립된다. 이와 같이, 기지국간이 직접 접속된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할 수 없는 경우에는,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한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함으로써, 단말기간에서의 데이터 통신을 보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발신측 기지국 제어 장치로 되는 제1 기지국 제어 장치와, 착신측 기지국 제어 장치로 되는 제2 기지국 제어 장치와,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와 상기 제2 기지국 제어 장치를 접속하는 적어도 1개의 교환기를 갖는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는,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발신측 기지국으로부터, 발신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발신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이 발신 요구에 상기 발신측 기지국이 접속되는 IP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와 상기 발신측 기지국의 IP 어드레스를 부가하고,
상기 제2 기지국 제어 장치는, 상기 적어도 1개의 교환기를 통하여 상기 발신 요구를 수취하고, 이 발신 요구를 자 장치에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착신측 기지국을 통하여 착신처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에 송신하는 경우에, 상기 발신 요구에 포함된 IP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와 상기 착신측 기지국이 접속된 IP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IP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기지국 제어 장치가 상기 발신 요구에 포함된 상기 발신측 기지국의 IP 어드레스를 상기 착신측 기 지국에 통지함과 함께, 상기 착신측 기지국의 IP 어드레스를 상기 발신측 기지국에 통지하고,
상기 제1 및 제2 기지국 제어 장치는, 상기 발신측 기지국 및 상기 착신측 기지국에 지시를 주어서, 상기 발신측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기지국이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 동일한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직접 접속된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기지국 제어 장치는, 발신 요구에,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IP 어드레스와, 상기 발신측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기지국의 사이에서 확립하여야 할 데이터 전송로의 식별 정보를 부가한다.
이와 같이 하면, 발신측 기지국과 착신측 기지국의 사이에 복수의 단말기의 조에 대한 복수의 데이터 전송로가 동시에 확립되는 경우에, 데이터 전송로를 식별하여 데이터 전송로의 확립 및 데이터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의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 상기 적어도 1개의 교환기는, 상기 발신 요구의 수신을 계기로,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와 상기 발신측 기지국의 사이, 및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와 상기 교환기의 사이에 데이터 통신로를 확립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교환기는,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호출중에, 상기 데이터 통신로를 이용하여 호출음을 상기 발신측 기지국에 송신하고,
상기 발신측 기지국은, 상기 데이터 통신로를 통하여 상기 수신되는 상기 호출음을 상기 발신 단말기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하면, 휴대 전화 네트워크로부터의 호출음을 발신 단말기에 접속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적어도 1개의 교환기 및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는, 상기 발신측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기지국의 사이에 상기 데이터 전송로가 확립되고, 또한 상기 착신처 단말기이 호출에 응답한 경우에,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와 상기 발신측 기지국의 사이, 및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와 상기 교환기의 사이에 확립된 통신로를 삭제한다.
이와 같이 하면, 불필요해진 데이터 통신로가 삭제(해방)됨으로써, IP 네트워크 및 휴대 전화 네트워크의 자원의 낭비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기지국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로부터의 발신 요구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발신 요구를 상기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발신 요구가 상기 IP 네트워크와 동일한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로 다른 기지국을 통하여 착신처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에 착신하는 경우에, 상기 서로 다른 기지국의 IP 어드레스를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 또는 상기 서로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수취하고, 이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서로 다른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 유하지 않고 상기 기지국 자신과 상기 서로 다른 기지국이 상기 동일한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직접 접속된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는 데이터 전송로 확립/절단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기지국과 상기 발신 단말기의 사이에는, 상기 발신 단말기의 사이에서 통신되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로가 확립되고,
상기 데이터 통신로를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는,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의 사이에서 결정된 암호로 암호화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데이터 통신로로부터의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하고, 또한 상기 데이터 통신로에 송신하여야 할 데이터를 상기 암호로 암호화하는 암호화 처리부와,
데이터가 상기 암호 처리부를 통과하는 제1 루트와,
데이터가 상기 암호 처리부를 통과하지 않는 제2 루트와,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를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2 루트에 접속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를 상기 데이터 전송로를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1 루트에 접속하는 접속부와,
상기 데이터 전송로의 확립/절단에 따라서, 상기 접속부의 접속처의 루트를 제어하는 접속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기지국 및 단말기는, 상대측의 기지국 및 단말기에 대하여 적용되는 암호를 모른다. 이 때문에, 암호화된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로를 통하여 상대방에게 송신 해도, 상대방에서 데이터를 복호할 수 없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상대방에게 송신하여야 할 데이터는 복호되어 상대방에게 보내진다. 이에 의해서, 상대방이 수신한 데이터를 복호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시스템이나 기지국과 마찬가지의 특징을 갖는 방법의 발명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구성은 예시이며, 본 발명은 그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경위〕
최초로, 본 발명의 경위에 대하여 설명한다. 휴대 전화 네트워크의 서비스에어리어 내에 존재하는 불감 지대로서, 예를 들면 단독 주택이나 집합 주택에서의 개인 옥(user home)내가 있다. 이러한 개인 옥내에 소형의 무선 기지국을 설치하여, 휴대 전화의 사용자가 개인 옥내에서 휴대 전화를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옥내용의 소형 기지국 장치는, 일반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기지국과 비교하여 이하의 특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옥내에의 설치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소형이고 염가이며, 또한 서비스 에어리어(소형 기지국으로부터의 전파가 닿은 범위)가 협소하고, 전파가 저 출력이다(다른 마찬가지의 기지국에 대하여 될 수 있는 한 전파 간섭을 작게 함).
(2)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서, 기지국 장치와 기지국 제어 장치간에 물리 회선을 부설해야 한다. 이 물리 회선에 있어서, 현재 개인 가정에 보급이 진행되고 있는 인터넷 접속용의 브로드밴드 회선(예: xDSL(x Digital Subscriber Line) 회선 서비스, 혹은 CATV(Cable TV)의 인터넷 접속 서비스 등)이 갖는 IP 패킷 전송로에 합승하는 형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3) 옥내용의 소형 기지국은 개인 가정의 사용자가 비용을 지불하여 설치하는 것이 상정된다.
이들 점을 감안하여, 소형 기지국의 설치 사용자(및 그 관계자)에게만 소형 기지국에 대한 접속을 허가하기 위한 인증 기능(단말기-소형 기지국 인증 기능)이, 기지국 제어 장치(RNS: Radio Network Subsystem)와 소형 기지국의 사이에 마련된다.
도 1은 휴대 전화 네트워크와 소형 기지국과의 접속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MSC(Mobile services Switching Center: 교환 이동국)는, 휴대 전화 네트워크의 교환 처리 장치(교환기)이다. MSC는 서로 접속됨과 함께, 적어도 1개의 RNS를 수용한다. RNS는 하위의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 장치이다. RNS는 적어도 1개의 BTS(Base Transceiver station)를 수용한다. BTS는 단말기(mobile station 또는 UE(user equipment))과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기지국이다. 이상이,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이다.
또한, 도 1에는 휴대 전화 네트워크의 예로서, 3G(IMT-2000)의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UMTS는 대략, 코어 네트워크와, 코어 네트워크에의 액세스 네트워크(UTRAN(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로 이루어진다. UTRAN은 무선 부분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하는 MSC는 코어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요소이고, RNS 및 BTS는 UTRAN에 포함되는 요소이다.
도 1에 도시하는 CABS(Cubicle Area BTS)가 옥내용의 소형 기지국에 상당한다. CABS는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주택 내에 설치되고, 휴대 전화 네트워크의 RNS와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네트워크(IP 네트워크) 경유로 접속된다.
도 1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사용자의 옥내에는, ISP에 의해서 제공되는 인터넷 접속용의 브로드밴드 회선(예를 들면 xDSL)이 도입되어 있는 것이 상정되어 있다. CABS는 브로드밴드 회선으로서 이용되는 고정 전화 회선을 수용하는 xDSL 모뎀의 IP 인터페이스에 접속된다. xDSL 모뎀은 고정 전화 회선으로부터 분배되는 xDSL 회선을 통하여 ISP 네트워크에 설치된 DSLAM(Digital Subscriber Line Access Multiplexer)에 접속된다.
한편, RNS는 IWU(Inter-Working Unit)를 통하여 ISP 네트워크의 입구에 설치된 엣지 라우터(ER)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서, 휴대 전화 네트워크와 ISP 네트워크가 접속되어 있다.
IWU는 IP층과 현재의 휴대 전화 네트워크의 하위 층인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의 변환 장치이다. RNS와 ER의 사이는 휴대 전화 네트워크로부터의 호출량에 따른 수의 회선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하여, CABS는 물리적으로는 고정 전화 회선으로 접속된다. 또한, CABS는 RNS와 IP 인터페이스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어떤 ISP망에 접속되어 있는 CABS의 모두는, ISP(IP) 네트워크를 통하여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수용된다.
이와 같이, CABS를 옥내에 이미 부설되어 있는 브로드밴드 회선(ISP에의 접 속 환경)을 이용하여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접속하면, 휴대 전화 네트워크(RNS)에의 특별한 회선을 각 주택에 부설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CABS의 도입에 따른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CABS는 특정한 단말기에만 CABS 자신에 대한 접속을 허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CABS가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구를 수취한 경우에, RNS/MSC에서 CABS와의 대 인증 처리가 행하여진다. CABS는 인증 처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접속 요구원의 단말기가 접속 가능 단말기이면,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구를 허가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CABS를 수용하는 방식에 있어서, 두 개의 CABS가 동일한 ISP 네트워크에 수용되어 있고, 이 두 개의 CABS를 통하여 단말기간에서 통신이 행하여지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단말기간에서 교환되는 데이터(예를 들면 음성 호이면 음성 데이터)는, CABS1a-RNS1-MSC-RNS2-CABS2a의 경로(도 2의 화살표 참조)를 통과한다. 이 경우, 단말기간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ISP 네트워크(IP 네트워크)를 2번 통과한다.
만약,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간에서 교환되는 데이터가 CABS간의 직접적인 접속에 의해,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 교환할 수 있으면, 도 2에 도시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ISP 네트워크 내를 통과하는 트래픽은 반으로 된다. 또한, CABS간의 트래픽은 ISP 네트워크의 상위에 위치하는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기 때문에, 설비적으로 유리한 것은 분명하다.
각 CABS는 ISP 내에서 유니크하게 할당되는 IP 어드레스를 갖고 있다. CABS간에서 서로의 IP 어드레스를 알 수 있으면, IP 패킷(예를 들면, 음성 데이터가 포함된 IP 패킷)을 직접적으로(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CABS간을 직접적으로 접속하는 서비스를 실제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큰 문제가 있다. 도 4는 과제를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4에 있어서, 단말기 UE-a(CABS1과 무선 접속 가능)가, 단말기 UE-b(CABS2와 무선 접속 가능)에 대하여 발신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발호의 일련의 수속에 의해, 제어 신호는 단말기 UE-a로부터 CABS1-RNS-MSC로 전달되고, MSC에서의 단말기 UE-b에의 착신이 결정된다.
그러나, 현재의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서는, 각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LA(Location Area)라고 불리는 단위로밖에 파악하고 있지 않다. LA는 복수의 RNS/BTS(CABS 포함함)가 소속되는 비교적 광범위한 에리어로 구성되어 있다. MSC는 H/VLR(Home/Visitor Location Register)라고 불리는 단말기 위치 등록 정보 기록 장치에 접속되어 있고, H/VLR에는 각 LA 내에 존재하는 단말기의 식별 정보가 등록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MSC는 단말기 UE-a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H/VLR를 참조하여, 착신 단말기이 존재하고 있는 LA를 판독하여, 착신 에리어 LA를 결정한다. 여기서는, 단말기 UE-b는 LA1에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MSC는 LA1에 소속하는 모든 RNS(이 경우 RNS1 및 2)에 착신 요구 메시지를 보낸다.
각 RNS1 및 2는 착신 요구 메시지를 RNS 자신의 하위의 모든 BTS(CABS도 포함됨)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단말기 UE-b는 단말기 자신이 접속하고 있는 CABS2를 통하여 착신 요구 메시지를 수취할 수 있다.
단말기 UE-b는 CABS2로부터의 착신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고, 착신 요구 메시지에 응답(응답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자신의 존재 위치를 나타낸다. 이 응답 신호는, CABS2→RNS2→MSC로 전해지고, 또한 RNS1+CABS1→단말기 UE-a로 보내지고, 단말기 UE-b로부터의 응답이 있었음이 나타난다. 이에 의해서 통신 경로가 결정되고, RNC/MSC가 단말기간에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로(베어러)를 확보한다.
이 때, MSC는 RNS1 및 RNS2와의 베어러(bearer)를 확보하는 것만으로, 어느 BTS 또는 CABS의 하위에 단말기가 존재하고 있는지는 모르도록(몰라도 무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MSC가 베어러를 확보하는 경우에, CABS1 및 CABS2 사이에 직접적인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음) 베어러를 확보할 수 있을지(CABS1 및 CABS2가 동일한 ISP 네트워크에 소속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또한, MSC는 CABS1 및 CABS2의 각각에 상대처의 CABS가 어느 것인지를 지시할 수는 없었다.
우선 각 RNS1 및 RNS2는, 현상에서는 RNS 자신의 하위의 CABS의 상태를 알 수 있을 뿐이며, 상대처의 CABS를 아는 구성을 갖지 않는다. 이 때문에, CABS간을 직접적으로 접속하는 베어러를 확보하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행하는 것은 불가능하 였다.
〔본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RNS/MSC에 의해서 확보되는 단말기간의 음성 데이터용의 베어러 대신에, CABS간을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베어러를 확보한다.
이 확보는 CABS1 및 2의 각각이 단말기로부터의 응답을 수취한 시점에서, 상대의 CABS의 ISP 내에서의 IP 어드레스(ISP 네트워크는 IP 네트워크임)를 앎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현상의 구성에서는, CABS의 IP 어드레스를 알고 있는 것은 그 상위에 위치하는 RNS뿐이다. 즉, CABS1의 IP 어드레스를 알고 있는 것은 RNS1뿐이고, CABS2의 IP 어드레스를 알고 있는 것은 RNS2뿐이다. 이 때문에, CABS의 각각이 상대의 CABS의 IP 어드레스를 아는 수단이 필요하다.
또한, 각 CABS1 및 2는 동일한 ISP에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직접적으로 양자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행하기 위한 베어러를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CABS1 및 CABS2가 동일한 ISP에 접속되어 있는지 어떤지를 판단하는 구성이 필요하다(다시 말해서, RNS1 및 2, CABS1 및 2가 동일한 IP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지의 판단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한 판단에 기초하여 MSC-RNS-CABS간의 베어러를 확보하는지의 여부의 판단도 필요하다. 이하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설 명에 필요한 장치 이외에는 생략하였다. 네트워크의 구성 예로서, UMTS가 상정되어 있다.
H/VLR은 단말기의 위치(단말기가 존재하는 LA)가 등록되는 단말기 위치 등록 기억 장치이다. 각 MSC1 및 2는 휴대 전화 네트워크의 교환 처리 장치(교환기)이다. 각 RNS1 및 2는 기지국 제어 장치이다. 각 CABS1, 2 및 3은 옥내용의 소형의 무선 기지국 장치(본 발명의 기지국)이다. BTS2는 일반의 기지국이다.
도 5에 있어서, 휴대 전화 단말기(이하, 단순히 「단말기」이라고 표기함) UE-a가 발호하여, 단말기 UE-b에 착신시키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에서의 동작 개요의 시퀀스를 도 6에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시퀀스에 응답한 상태 천이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하는 시퀀스에서는, 단말기 UE-a는 발신 단말기(calling terminal)에 상당한다. CABS1은 발신측 기지국(source basestation)에 상당한다. RNS1은 제1 기지국 제어 장치에 상당한다. MSC1 및 MSC2는 적어도 하나의 교환기에 상당한다. RNS2는 제2 기지국 제어 장치에 상당한다. CABS2는 착신측 기지국(destination base station)에 상당한다. 단말기 UE-b는 착신처 단말기(called terminal)에 상당한다.
도 6에 있어서, 단말기 UE-a가 발호하면, 우선 호출의 전처리(CALL PREPROCESS)가 기동한다(S01). 이 전처리에는, 무선 제어 링크의 확립, 단말기 UE-a의 네트워크 인증(단말기 UE-a가 이 휴대 전화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를 인증함), 무선 부분의 암호화를 위한 암호화 키의 교환 등이 포함된다. 전처리는 현상의 처리와 하등 변함이 없다.
그 후, 단말기 UE-a는 호출 설정 신호(발신 요구)인 "SETUP"를 네트워크에 보낸다(S02). "SETUP"중에는 착신을 희망하는 상대처 단말기(단말기 UE-b)의 전화 번호가 포함되어 있다. "SETUP"를 수신한 CABS1은, "SETUP"를 발신측 RNS(source-RNS:S-RNS)인 RNS1로 보내고, RNS1은 "SETUP"를 MSC1로 보낸다.
이 때, RNS1은 예를 들면, "SETUP"가 IP 인터페이스(IP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었음을 인식함으로써, "SETUP"가 CABS로부터 송신되었음을 인식(판단)할 수 있다. 또한, RNS1은 "SETUP"의 송신원 IP 어드레스를 검출함으로써, "SETUP"의 송신원의 CABS가 CABS1임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RNS1은 MSC에 송신하여야 할 "SETUP"에 대하여, CABS1의 IP 어드레스와, RNS1과 CABS1의 사이를 중계하고 있는 ISP1의 식별자(ISP-IDIP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에 상당)를 부가한다(S02A). 이것은 본 발명의 제1 특징이다.
이에 대하여, "SETUP"가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신된 것이 아닌 경우(통상의 BTS로부터 송신된 것인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IP 어드레스 및 ISP-ID의 부여는 행해지지 않는다.
최종적으로 "SETUP"를 수신한 MSC1은, 상대처 단말기(the destination terminal)(착신처 단말기(the called terminal))의 전화 번호를 바탕으로, H/VLR에 상대처 단말기의 소재를 조회한다. MSC1은 H/VLR로부터의 응답 결과로부터, MSC2 하위의 위치 등록 에리어(LA)에 상대처 단말기로서의 단말기 UE-b가 존재한다고 안 경우에는, MSC2에 대하여 SETUP 메시지를 송신한다(S03).
MSC2는 MSC1로부터의 "SETUP"를 바탕으로, 우선 착신 요구 메시지(PAGE REQUEST)를 작성하고, 위치 등록 에리어 내 모든 RNS에 보낸다(S04). 이와 동시에, MSC2는 MSC1에 "SETUP"에 대한 응답을 되돌려 보내고(S05), 착신 동작에 들어갔음을 통지한다.
MSC1은 응답을 받은 시점에서, 단말기 UE-a에 대하여 음성 데이터 전송을 위한 베어러(데이터 통신로)를 구축하는 베어러 설정 수순(BEARER SET)을 행하고(S06), 통화에 대비한다.
지금까지의 수순(도 6의 <1>의 파선보다 위의 수순: S01∼S06)에 의한 베어러 확립 이미지는, 도 7(A)에 도시하는 베어러 확립 상태의 천이도의 단계 <1>에 도시되어 있다. 즉, 지금까지 설명한 수순 S01∼S06에서, 단말기 UE-a와 CABS1의 사이, CABS1과 RNS1의 사이, 및 RNS1과 MSC1의 사이에, 단말기 UE-a와 단말기 UE-b 사이의 음성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는 베어러 B1(제1 데이터 통신로), 베어러 B2(제2 데이터 통신로), 및 베어러 B3이 확립된 상태로 된다.
도 6으로 되돌아가, 착신 요구 메시지를 수취한 RNS(착신측 RNS(destination-RNS:D-RNS))는, RNS 자신의 하위의 모든 기지국에 착신 요구 메시지를 송신한다(S07). 착신 요구 메시지를 수취한 기지국은, 착신 요구 메시지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하는 경우에서는, MSC2로부터 송신되는 착신 요구 메시지는, RNS2를 통하여 CABS2, CABS3 및 BTS2로 송신된다.
착신 요구 메시지에는 단말기 UE-b의 단말기 번호가 포함되어 있고, 이 착신 요구 메시지에 응답할 수 있는 것은 착신처 단말기인 단말기 UE-b뿐이다. 여기서는, 단말기 UE-b는 CABS2의 무선 신호로부터 착신 요구 메시지를 수취한다.
단말기 UE-b는 착신 요구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되돌려 보낸 후(도시 생략), 발신 단말기(단말기 UE-a)과 마찬가지의 호출의 전처리(CALL PREPROCESS)를 행한다(S08).
전처리가 종료한 후, 점차, 발신측의 SETUP 메시지가 MSC2로부터 단말기 UE-b를 향하여 송신된다(S09). 이 때, SETUP 메시지는 RNS2 및 CABS2(착신측 기지국에 상당)를 지나서 단말기 UE-b에 닿는다.
이 때, RNS2는 RNS1에서 부가된 ISP-ID를 SETUP 메시지로부터 취득하여, RNS2와 CABS2 사이를 중계하고 있는 ISP의 식별자(미리 RNS2에 등록되어 있음)와 동일한지 여부를 체크한다(S09A). 이것이 본 발명의 제2 특징이다.
만약, ISP-ID끼리가 동일하지 않는 경우(예를 들면, 도 5에서 단말기 UE-b가 CABS3의 하위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RNS에 미리 등록되는 ISP-ID는 "ISP2"이기 때문에, "SETUP"중의 ISP-ID("ISP1")와 일치하지 않음)에는, RNS2에서, CABS간의 직접적인 통신은 할 수 없다고 판단된다. 이 경우, 이후의 수순에 있어서, 종래와 마찬가지의 시퀀스에 의한 발착신 처리가 행하여진다.
또한, SETUP 메시지에 ISP-ID의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예를 들면, 도 5에서 단말기 UE-a가 BTS2의 하위에 있는 경우에는, 단말기 UE-a로부터의 SETUP 메시지에는 RNS2에서 ISP-ID가 부가되지 않음)에도, RNS에서, CABS간의 직접적인 통신은 할 수 없다고 판단된다.
도 6의 시퀀스에서는, RNS2와 CABS2의 사이는, RNS1과 CABS1의 사이와 마찬가지로, ISP1로 중계되어 있다(도 5). 이 때문에, RNS2에 있어서, ISP-ID가 동일하다고 판단되고, CABS간에서 직접적인 통신이 가능하고 판단된다.
이 경우, RNS2는 "SETUP"에 대한 단말기 UE-b로부터의 응답 메시지"CALL CONFIRM"(S10)를 수신하면, 본 발명의 제3 특징인 새로운 베어러 확립 수순(NEW BEARER SET)으로 들어간다(S11).
현상에서는, 종래의 베어러 확립 수순으로서, RNS2가 "CALL CONFIRM"을 수신하는 것을 계기로, MSC2와 단말기 UE-b간의 베어러가 확립된다. 또한, MSC1-MSC2간의 베어러도 별도 확보된다.
이에 대하여, 새로운 베어러 확립 수순(S11)에서는, MSC2와 단말기 UE-b간의 베어러, 및 MSC1-MSC2간의 베어러의 확립 수순은 행해지지 않는다. 그 대신에, CABS1과 CABS2의 사이에 ISP1의 IP 네트워크를 사용한 CABS1과 CABS2를 직접적으로 접속하는 데이터 전송로(CABS간 직접 커넥션)의 확립 수순과, 단말기 UE-b와 CABS2의 사이에 무선 링크에 의한 베어러를 확립하는 수순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새로운 베어러 확립 수순(S11)에 있어서, RNS2는 CABS2의 IP 어드레스를 RNS1에 통지한다. CABS2의 IP 어드레스는 MSC2 및 MSC1을 지나서 RNS1에 도달한다. 또한, RNS2는 CABS2에 대하여, "SETUP" 메시지로부터 미리 취득해 놓은 CABS1의 IP 어드레스를 통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CABS1 및 2는 상대처의 CABS의 IP 어드레스를 알 수 있다.
CABS1 및 CABS2는 통지된 상대처의 CABS의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직접 교 환을 행하고, 양자 사이에 CABS간 직접 커넥션(CABS간 직접 베어러)으로서의 VoIP(Voice over IP) 패스 세션을 확립한다.
새로운 베어러 확립 수순에서의 하나의 중요한 점은, 무선 구간에 확립된 시큐러티를 확보하기 위한 암호화 처리이다. 호출의 전처리에 있어서 암호화를 위한 키 교환이 RNS(MSC)와 단말기의 사이에서 행해지고 있고, RNS-단말기간에서의 통신은 암호화 키에 의해 암호화되어 있다. 이 상태 그대로는 CABS에서 이 암호화를 푸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이 때문에, CABS간 통신이 확정된 이 시점에서, IP 어드레스와 함께 암호화 키를 CABS에 건네주고, CABS에서 암호가 풀리도록 하여 놓는다. 혹은, 암호화 키를 상대측에 보내는 대신에, 송신측의 CABS에서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하여, 복호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CABS2와 단말기 UE-b의 사이의 무선 링크의 베어러만이, 종래와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확립된다. 또한, IP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로 상을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IPsec 등의 기존의 IP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시큐러티 확보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도 6의 <2>의 파선보다 위: S08∼S11)의 베어러 확립 상태의 이미지는, 도 7(B)에 있어서의 단계 <2>로 도시되어 있다. 도 7(B)에서는, 도 7(A)에서 도시하는 베어러 B1, B2, B3 외에, CABS1CABS2 사이에 데이터 전송로 VS가 확립되고, 또한 CABS2와 단말기 UE-b 사이에 베어러 B4가 각각 확립되어 있다.
여기서 주의하여야 할 점은, CABS1로부터 2개의 베어러 B2, VS가 동시에 확립되어 있다는 것이며, 이 시점에서는 단말기 UE-a와 CABS1의 사이의 베어러 B1은 CABS1에서 MSC1측의 베어러 B2에 접속되어 있다.
단말기 UE-b는 무선 베어러 B4를 확립한 후, 단말기 자신의 착신음을 울리기 시작함과 함께, ALERT 신호에 의해 호출중임을 발신측에 전한다(S12). ALERT 신호는 MSC2 및 MSC1을 경유하여(S13), 그대로 단말기 UE-a에 통지된다(S14).
이와 동시에 MSC1로부터 호출음(통상 RBT[Ring Back Tone])이 베어러 B3, B2 및 B1을 통하여 단말기 UE-a에 보내진다. 이에 의해서, 단말기 UE-a의 스피커(도시 생략)로부터는, RBT에 의한 호출음이 출력된다. 이와 같이, MSC1로부터의 RBT를 단말기 UE-a에 전달하기 위해서, CABS1은 MSC1측의 베어러 B2를 선택하고 있다.
단말기 UE-b가 사용자의 오프훅에 의해 호출에 응답하면, CONNECT 신호가 송신된다(S15, S16). CONNECT 신호가 MSC1측에 전해진 시점에서, 본 발명의 4개째의 특징인 베어러의 전환/삭제 처리(BEARER CHANGE/DELETE)가 행하여진다(S18).
베어러의 전환 처리에서는, CABS1의 베어러 선택이 MSC1측(베어러 B2)으로부터 CABS2측(데이터 전송로 VS)으로 전환된다. 이와 동시에, CABS1과 RNS1 사이, 및 RNS1과 MSC1 사이의 각 베어러 B2 및 B3이 삭제된다.
이러한 전환/삭제 처리(S18)에 의해서, 베어러는 도 7(C)에 도시하는 단계 <3>의 이미지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CABS간이 직접 접속된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용의 베어러(단말기 UE-a-CABS1-CABS2-단말기 UE-b의 베어러)가 완성된다.
그 후, 단말기 UE-b로부터의 CONNECT 신호가 MSC1로부터 단말기 UE-a에 보내진다(S19). 그리고, CONNECT 신호에 대한 응답(CONNECT ACK의 송신)을 대기하고(S17, S20), 통화가 개시된다(S21).
통신중 상태(During Communication)로부터의 절단 처리는, 현상과 그다지 변하지 않은 형식으로 실현 가능하다. 어느 한쪽의 단말기의 온훅에 의해 호출의 절단 요구가 있으면, 우선, 절단 메시지의 교환(DISCONNECT PROCESS)이 행하여진다(S22). 여기서의 교환은 현상과 마찬가지이다.
이어서, MSC1 및 MSC2의 각각으로부터 하위의 장치(RNS)에 대하여 베어러의 해방 지시(REL REQ(release request))가 공급된다(S23, S24).
이러한 해방 지시에 대하여, 현상(종래)에서는, 단말기 UE-a와 CABS1의 사이, CABS1과 RNS1의 사이, RNS1과 MSC1의 사이의 베어러 해방 처리가 행하여진다. 단말기 UE-b측도 마찬가지로, 단말기 UE-b와 CABS2의 사이, CABS2와 RNS2의 사이, RNS2와 MSC2의 사이의 베어러 해방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이것이 제5 특징임), 종래의 베어러 해방 처리 대신에, 단말기 UE-a와 CABS1의 사이(종래와 동일함), CABS1과 CABS2의 사이, CABS2와 단말기 UE-b의 사이의 각 베어러의 해방 처리(BEARER DELETE)가 행하여진다(S25, S26, S27). 이들 베어러 해방 처리에 의해 단말기간에 있어서의 모든 베어러가 해방된다.
그 후에는, 불필요해진 제어 신호용의 링크가 해방된다(S28, S29). 이 해방 처리는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제어 신호용의 링크의 해방 종료 후, 그것이 MSC1 및 MSC2에 각각 통지된다(S30, S31). 이것으로, 단말기간의 통신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모든 시퀀스가 종료된다.
그런데, 기지국(CABS)의 하위에는 복수의 단말기가 존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수순이 복수의 단말기간에서 동시에 행해지는 것이 상정된다. CABS에 할당된 IP 어드레스만으로는, 복수의 단말기에 대한 복수의 통신 베어러를 구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상기에 진술한 CABS의 IP 어드레스 외에, 세션을 구별하는 세션 번호를 통지 대상에 도입함으로써, 해결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에 진술한 동작 내용에 있어서, "IP 어드레스" 대신에 "IP 어드레스+세션 번호"로 하면 될 뿐이다.
이와 같이 하면, 복수의 단말기가 하나의 CABS 하위에 존재하고, 각각이 서로 다른 단말기와 통신하는 경우라도, 상기와 마찬가지인 방식에 의해, CABS간이 직접 접속된 베어러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5가지의 특징을 갖는, 각 장치 및 방식을 사용하면, 현상의 단말기를 변경하지 않고서, CABS간에 직접 베어러를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ISP 네트워크 내의 트래픽, 휴대 전화 네트워크 내의 트래픽이 경감되어, 보다 많은 호를 접속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ISP 주체의 트래픽은 ISP에의 수익의 가능성을 늘리고, 그에 의한 설비의 축소가 가져오는 비용 절감은, 휴대 전화 캐리어의 이익을 끌어올려, 사용자에게 그 이익이 환원되기 쉽게 되고, 캐리어, ISP, 사용자 삼자에게 이익을 가져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퀀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제3 세대의 휴대 전화 네트워크(이하 「3GNW」라고 표기함)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시퀀스를 예시한다. 도 8은 현상의 3GNW에서의 발착신부터 통화중까지의 시퀀스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발착신부터 통화중까지의 시퀀스를 도시한다.
도 8 및 도 9의 시퀀스에서의 네트워크 형태는, 개요 설명과 일치시키도록 하기 위해서, 도 5에 도시한 네트워크 형태(토폴로지)로 되어 있다.
3GNW에서의 발호 동작은, 도 8의 최초의 부분(전처리: PREPROCESS)에 도시한 바와 같고, 도 9에서는 1개의 처리 이미지로 되어 있다(S101 참조). 본 발명의 개요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처리의 내용은 현상과 변함이 없다.
그 후, 발신 단말기인 단말기 UE-a로부터 CC(호출 제어) 프로토콜(3G(IMT-2000) 표준의 프로토콜)에 의한 CC:SETUP 신호가 휴대 전화 네트워크(MSC1)를 향하여 송신된다(S102). 이 때, RNS1에 있어서, CABS1의 IP 어드레스 및 ISP1의 ISP-ID가 SETUP 신호에 부가된다(도 9; [A]).
MSC1은 "SETUP"에 포함되는 단말기 UE-b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H/VLR로부터 단말기 UE-b가 존재하는 LA를 산출하고, 이 LA를 관리하는 MSC(여기서는 MSC2)에 "SETUP"를 건네 준다.
여기서는, RNS에 "SETUP"는, MSC1로부터 MSC2로, ISUP(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User Part)의 메시지(IAM: 어드레스(Initial Address)) 를 이용하여 송신된다(S103). 또한, MSC1은 "SETUP"에 대한 "CALL PROCEEDING"을 단말기 UE-a에 되돌려 보낸다(S104).
또한, MSC2는 IAM 메시지를 수신하면, 그 확인 메시지인 IAA(어드레스 확인(IAM acknowledgement)) 메시지를 MSC1에 송신한다(S105).
MSC2는 "SETUP"를 수신하면, 이것을 바탕으로 착신 요구인 PAGING 메시지를 작성하여, 하위의 RNS(여기서는 RNS2)에 보낸다(S106). 또한, MSC2는 MSC1에 대하여, ACM(어드레스 완료(Address complete) 메시지를 송신한다(S107).
RNS2는 MSC2로부터의 PAGING 메시지를 바탕으로, 착신 요구인 PAGING TYPE1 메시지를 작성하고, 하위의 모든 기지국에 송신한다(S108). 이에 의해서, PAGING TYPE1 메시지는 CABS2를 통하여 착신 단말기인 단말기 UE-b에 도착한다.
단말기 UE-b가 PAGING TYPE1 메시지에 응답하면, 도 8에 도시한 수순과 마찬가지의 전처리가 행해지고, 무선 링크가 확립된다(S109). MSC2는 전처리의 종료 후, "SETUP"를 단말기 UE-b를 향하여 송신한다(S110).
이 "SETUP" 메시지는, RNS2를 통과한다. 이 때, RNS2는 CABS1의 IP 어드레스와 ISP-ID를 "SETUP"로부터 취득하고, ISP-ID를 이용하여 CABS간 베어러를 확립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도 9;[B]). 여기서는, RNS2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ISP-ID와, "SETUP"로부터 취득되는 ISP-ID가 일치하기 때문에, RNS2는, CABS간 직접 베어러가 확립 가능(쌍방의 CABS가 ISP 네트워크(IP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음)하다고 판단하여, CABS간 베어러의 확립을 결정한다.
단말기가 "SETUP"에 대한 "CALL CONFIRM"을 응답하면, 이 "CALL CONFIRM"은 MSC2까지 전달된다(S111). 그렇게 하면, MSC2는 MSC2와 단말기 UE-b의 사이에 베어러를 확립하기 위해서, RAB ASSIGNMENT REQUEST(RANAP(Radio Access Network Application Protocol) 프로토콜)을 RNS2에 송신한다(S112).
여기서, RNS2가, CABS간 베어러의 확립을 결정하고 있는 경우에는, RNS2는 베어러 확립 수속을 행하는 일없이, CABS2에 대하여, RADIO LINK RECONFIGURATION PREPARE 메시지(S113)에 의해, CABS1의 IP 어드레스를 보냄과 함께, CABS1로부터의 직접적인 VoIP 세션 확립을 대기할 것을 지시한다(도 9; [C]).
또한, RNS2는 MSC2에 대하여, RAB INTER-CAB MODE 메시지(RANAP 프로토콜에 없는 새로운 메시지임. 기존의 메시지의 파라미터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에 의해, CABS2의 IP 어드레스(RNS2가 미리 알고 있음)를 보냄과 함께, MSC1측에 CABS1과 CABS2 사이의 세션 확립 기동을 재촉한다(S114). MSC2는 CABS2의 IP 어드레스 및 세션 확립 기동 지시를, CPG(Call-Progress: 호출 경과) 메시지(신규)에 의해, MSC1로 전달한다(S115).
CABS2의 IP 어드레스 및 세션 확립 기동 지시는, MSC1로부터의 RAB ASSIGNMENT REQUEST 메시지에 의해서 RNS1에 전해지고(S116), 또한 RADIO LINK RECONFIGURATION PREPARE 메시지에 의해서 CABS1에 전해진다(S117).
그렇게 하면, CABS1은 CABS2의 IP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VoIP 세션(구체적으로는 UDP(User Datagram Protocol)로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세션)의 확립을 행한다. 즉, CABS1과 CABS2의 사이에서 직접 VoIP 세션의 확립 수순이 행해진다.
도 9에는 VoIP 세션 확립 수순으로서, CABS1로부터 CABS2로의 LINK ESTABLISH REQUEST(세션 확립 요구)의 송신(S118)과, CABS2로부터 CABS1로의 LINK ESTABLISH ACK(세션 확립 확인)의 송신(S119)이 도시되어 있다. 이것으로서 CABS1과 CABS2 사이의 베어러가 확보된다.
CABS간의 베어러가 확보되면, 각 CABS1 및 2는 RADIO LINK RECONFIGURATION READY 메시지에 의해 베어러 확보를 상위의 RNS1 또는 2에 통지한다(S120, S121).
RNS1은 RADIO LINK RECONFIGURATION READY 메시지를 수취하면, RAB ASSIGNMENT REQUEST 메시지에 대한 RAB ASSIGNMENT RESPONSE 메시지를 MSC1로 되돌려 보내고 준비 완료를 알린다(S122).
한편, RNS2는 남은(원래 실시하여야 함) 단말기 UE-b와의 무선 베어러 확립을 위한 RADIO BEARER SETUP 메시지를 단말기 UE-b에 보낸다(S123).
단말기 UE-b는, RADIO BEARER SETUP 메시지에 따라서 무선 베어러를 확립하고, RADIO BEARER SETUP COMPLETE 메시지로 무선 베어러 확립 완료를 통지한다(S124).
RNS2는 RADIO BEARER SETUP COMPLETE 메시지를 수취하면, RAB ASSIGNMENT RESPONSE 메시지를 MSC2에 응답하여 준비 완료를 알린다(S125).
단말기 UE-b는, 무선 베어러가 확립되면, CC:ALERTING 메시지를 보낸다(Sl26). 이와 동시에, 단말기 UE-b는 단말기 UE-b 자신의 착신음을 기동시켜, 사용자에게 착신을 알린다.
ALERTING 메시지는, MSC2, MSC1을 통하여(S127:CPG 메시지(기존)에 의해 전 달됨), 단말기 UE-a까지 보내진다(S128). 또한, MSC1은, ALERTING 메시지의 송신을 계기로 RBT를 단말기 UE-a에 보낸다(도시 생략). 단말기 UE-a의 사용자는 RBT를 들을 수 있다.
그 후, 단말기 UE-b의 사용자가 오프훅(즉 응답)을 행하면, CC:CONNECT 메시지가 보내진다(S129). CONNECT 메시지는 MSC2를 통하여 MSC1에 전달된다(S130; ANM(Answer: 응답)으로 전달됨). 그렇게 하면, 베어러가 전환/삭제 처리가 기동된다(도 9;[D]).
즉, MSC1은 RNS1에 대하여, IU RELEASE COMMAND로, RNS1-MSC1간의 베어러의 삭제를 지시함과 함께, RNS1-CABS1간의 베어러의 삭제 및 CABS1-2간 베어러에의 전환 지시를 행한다(S131).
RNS1은 베어러의 삭제 및 전환 지시를 RADIO LINK RECONFIGURATION PREPARE 메시지로 CABS1에 통지한다(S132). CABS1은 RADIO LINK RECONFIGURATION PREPARE 메시지에 따라서, MSC1측의 베어러를 CABS1-2간 베어러로 전환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그 후, RNS1 사이의 베어러를 절단한다(도 9」 E]).
그 후, CABS1은 RADIO LINK RECONFIGURATION READY 메시지로 베어러의 전환 및 삭제가 완료되었음을 RNS1에 통지한다(S133). 그렇게 하면, RNS1은 RNS1-MSC1간의 베어러를 절단하고, MSC1에 IU RELEASE COMPLETE 메시지로 베어러의 전환과 절단의 완료를 통지한다(S134).
이후에는, CC:CONNECT 메시지가 MSC1로부터 단말기 UE-a를 향하여 송신되고(S135), 호출 접속이 완료된다. 또한, "CONNECT"에 대한 "CONNECT ACK"가 MSC1 및 단말기 UE-b에 각각 회신된다(S136, S137).
도 9에 도시한 시퀀스에 있어서, S112∼S125의 처리가, 도 6의 개요에 도시한 새로운 베어러 설정(S11)에 상당한다. 또한, S131∼S134의 처리가, 도 6에 도시한 베어러 변경/삭제 처리(S18)에 상당한다.
도 9에 도시한 메시지는 일례이고, 특히 새로운 시퀀스 부분에 관해서는 파라미터 등에 의해 약정을 행함으로써 어느 메시지라도 사용 가능하다. 이 실시예는 시퀀스의 실행에 사용되는 메시지의 타입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CABS1과 CABS2 사이의 세션의 확립도 일례를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에서의 CABS간의 베어러의 확립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시퀀스에 있어서, RNS2가 CABS1의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CABS2의 IP 어드레스를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직접 CABS1에 통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CABS2가 RNS2로부터 CABS1의 IP 어드레스를 받은 경우에, 이것을 이용하여 CABS2의 IP 어드레스를 직접 CABS1에 통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0은 현상에 있어서의 3GNW의 절단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3GNW의 절단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단말기 UE-a의 온훅이 행해지면, 단말기 UE-a로부터 CC:DISCONNECT 메시지가 MSC1에 송신된다(S141). MSC1은 CC:RELEASE 메시지를 단말기 UE-a에 송신한다(S142). 단말기 UE-a는 CC:RELEASE 메시지에 대하여, CC:RELEASE COMPLETE 메시지로 응답한다(S143).
또한, MSC2는 REL(Release: 해방) 메시지를 MSC1에 송신한다(S144). MSC1은 RLC(Release Complete)를 MSC2에 되돌려 보낸다(S145). 또한, MSC2는 CC:DISCONNECT 메시지를 단말기 UE-b에 송신한다(S146). 단말기 UE-b는 MSC2에 CC:RELEASE 메시지를 되돌려 보낸다(S147). MSC2는 CC:RELEASE 메시지에 대하여, CC:RELEASE COMPLETE 메시지로 응답한다(S148).
그 후, MSC1은 RNS1에 대하여, IU RELEASE COMMAND 메시지로 베어러의 절단을 지시한다(S149). 이에 따라서, RNS1은, RRC Connection의 해방 처리를 행하고, 단말기 UE-a와 CABS1 사이의 무선 링크의 절단을 행한다(S150).
마찬가지로, MSC2는 RNS2에 대하여, IU RELEASE COMMAND메시지로 베어러의 절단을 지시한다(S151). 이에 응답하여, RNS2는, RRC Connection의 해방 처리를 행하고, 단말기 UE-b와 CABS2 사이의 무선 링크의 절단을 행한다(S152).
이상과 같은 S141∼S152의 처리는 현상과 마찬가지의 처리이다(도 10 참조). 그러나, 도 11에 도시하는 실시예에 따른 시퀀스에서는, RRC Connection Release의 지시를 CABS1 및 2의 각각에 확인하고, CABS1과 CABS2 사이의 VoIP 세션을 해방한다(S153, S154). 이것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부분이다.
CABS1-2간의 베어러가 해방됨으로써, 베어러의 해방은 완료된다. 이 때문에, 각 RNS1 및 2는 IU RELEASE COMPLETE 메시지에 의해, 베어러의 해방 완료를 MSC1 또는 MSC2에 각각 통지한다(S155, S156).
그 후, 현행에서는(도 10), CABS-RNS간, 및 RNS-MSC간의 각 베어러 및 각 제어 링크의 절단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CABS-RNS간 및 RNS-MSC간의 각 베어러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RNS-MSC간, RNS- CABS간의 각 제어 링크의 절단 처리만이 실행된다(S157, S158, S159, S160).
따라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에서는, MSC-RNS간에 대하여 AAL2 LINK Release와 SCCP Connection Release에 의한 두 가지의 링크의 해방 처리가 필요하고, CABS-RNS간에 대하여 두 가지의 IP LINK Release가 필요하다. 이에 대하여, 도 11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SCCP Connection Release에 의한 해방 처리와, 하나의 IP LINK Release로 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S150, S153 및 S154의 처리가, 도 6의 개요에 도시한 베어러 삭제 처리(S25)에 상당한다.
<CABS의 구성>
도 12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의 CABS(10)(CABS의 실시예)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2에 있어서, CABS(10)는, 무선 인터페이스부(RF)(11)와, RF(11)에 접속되는 다중/분리부(Cch/Uch-Mux/Dmux)(12)와, 다중/분리부(12)와 제어 채널(Cch)을 통하여 접속되는 취득/삽입부(Drop/Insert)(13)와, 다중/분리부(12)와 사용자 채널(Uch)을 통하여 접속되는 베어러 셀렉터(Bsel)(1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CABS(10)는 베어러 셀렉터(14)와 사용자 채널을 통하여 접속됨과 함께, 취득/삽입부(13)와 제어 채널을 통하여 접속되는 IP 다중/분리부(IP Mux/Dmux)(15)와, IP 다중/분리부(15)와 베어러 셀렉터 사이의 사용자 채널상에 배치되는 암호 처리부(Cipher Decipher)(16)와, 취득/삽입부(13)와 접속됨과 함께, 베어러 셀렉터(14) 및 IP 다중/분리부(15)를 제어하는 제어부(CNT부(세션 확립/절단부(Session est./disc.)를 포함함))(17)를 구비하고 있다.
RF(11)는 송신 안테나가 접속된 송신부(Tx)와 수신 안테나가 접속된 수신부(Rx)를 갖고 있다. 단말기의 통신은 RF(11)에 의해서 행해진다.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는 RF(11)의 수신부에서 수신되고, 다중/분리부(12)에 입력된다.
다중/분리부(12)는 입력된 제어용의 데이터를 제어 채널로 분류하고, 사용자 데이터를 사용자 채널로 분류한다. 제어용의 데이터는 취득/삽입부(13)에 입력되고, 사용자 데이터는 베어러 셀렉터(14)에 입력된다.
다중/분리부(12)로부터의 제어용 데이터는 취득/삽입부(13)를 통과하여 IP 다중/분리부(15)에서 IP 패킷화된다. 그리고, 통상은 CABS(10)의 상위 장치인 RNS에 송신된다.
반대로, RNS로부터의 제어 데이터 패킷(단말기에 보내야 할 제어 데이터)은 IP 다중/분리부(15)에서 분리되고, 취득/삽입부(13)를 통과한다. 그리고, 다중/분리부(12)로부터 RF(11)의 송신부에 공급되어, 단말기측에 무선에 의해 송신된다.
이에 대하여, RNS-CABS간에서 교환되는 제어 데이터는, IP 다중/분리부(15)로부터 취득/삽입부(13)에 공급되면, CNT부(17)에 취득(드롭)되고, CNT부(17)에서 종단 처리된다.
CNT부(17)는 RNS에 송신하여야 할 제어 데이터를 작성하고, 취득/삽입부(13)에 삽입된다. 이 제어 데이터는 IP 다중/분리부(15)로부터 제어 채널을 통하여 RNS에 송신된다.
한편, 단말기로부터의 사용자 데이터는, 다중/분리부(12)로 사용자 채널로 분류되어, 베어러 셀렉터(14)에 공급된다.
베어러 셀렉터(14)와 IP 다중 분리부(15)의 사이에는, 사용자 데이터가 암호 처리부(16)를 통과하지 않는 제1 루트 X와, 암호 처리부(16)를 통과하는 제2 루트 Y가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용 베어러가 휴대 전화 네트워크 내를 지나는 경우(RNS-MSC 경유)에서는, 사용자 데이터는 베어러 셀렉터(14)로부터 제1 루트 X로 출력되고, 암호화되는 일없이 IP 다중/분리부(15)에 입력되어, IP 패킷화되고, RNS에의 사용자 채널로 송출된다.
한편, RNS로부터의 사용자 데이터는 IP 다중/분리부(15)에서 제1 루트 X로 분류된다. 그리고, 베어러 셀렉터(14), 다중/분리부(12)를 지나서, RF(11)의 송신부로부터 무선으로 단말기에 보내진다.
이에 대하여, CABS간 통신이 실시되는 경우에는, 단말기로부터의 사용자 데이터는 사용자 채널측으로 분류된 후, 베어러 셀렉터(14)에 입력된다. 이 때, 베어러 셀렉터(14)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2 루트 Y로 출력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 데이터는 암호 처리부(16)를 통과한다. 이 때 암호화 처리부(16)에 있어서, 단말기에서 실시된 사용자 데이터의 암호화가 복호된다. 이것은, 상대 CABS(correspondence CABS)에서는 사용자 데이터에 실시된 암호화를 해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 후, 복호된 사용자 데이터는, IP 다중/분리부(15)에서 IP 패킷화되고, CABS간에 확립된 세션에서 상대처의 CABS에 보내진다.
한편, 상대 CABS에서의 데이터는 IP 다중/분리부(15)로부터 제2 루트 Y로 분류되고, 암호 처리부(16)에서 암호화된 후, 베어러 셀렉터(14), 다중/분리부(12)를 지나서 RF부(11)로부터 단말기에 보내진다.
CABS간의 세션 처리(세션의 확립 및 절단 처리)를 행하는 것은 CNT부(17)이고, 세션을 확립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는 전부 CNT부(17)에서 종단되고, IP 다중/분리부(15)를 통해서 상대 CABS의 제어부(CNT부)와 통신하게 된다.
CNT부(17)는 베어러 셀렉터(14)에 의한 루트 선택을 제어한다. 즉, CABS간에 세션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CNT부(17)는 베어러 셀렉터(14)에 제2 루트 Y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부여한다. 한편, CABS간에 세션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CNT부(17)는 베어러 셀렉터(14)에 제1 루트 X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부여한다.
여기서의 주의점은, 도 12의 우측에 도시한 4개의 제어 채널 및 사용자 채널은 논리 링크이고, 물리적으로는 1개의 IP 인터페이스(IP-IF) 상에서 다중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들의 논리 링크는 동시에 유지가 가능한 것도 중요한 기능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CABS(10)는 통상의 기지국 기능 외에, 사용자 채널에 있어서의 데이터 루트를 제1 루트 X와 제2 루트 Y로 분리하고, 필요에 따라서 암호화/복호화를 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CABS(10)는 데이터 루트를 제어 채널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전환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CABS(10)는 CABS간에서 세션을 확립/절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CABS(10)를 적용함으로써, 도 9나 도 11에 도시한 시퀀스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CABS(10)에 있어서, RF(11)가 본 발명의 수신부에 상당하고, IP 다중/분리부(15)가 본 발명의 송신부에 상당하고, CNT부(17)가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절단부에 상당한다. 또한, CNT부(17)는 본 발명의 데이터 통신로 확립/절단부, 전환 제어부, 접속 제어부로서도 기능한다. 베어러 셀렉터(14)는 본 발명의 전환부, 접속부로서 기능한다.
<RNS에 의한 처리>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신측의 기지국 제어 장치(RNS)의 처리에 대하여, 현상의 RNS 장치에서의 변경 부분에 관련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처리는, 발신측으로부터의 SETUP 신호가, 착신측 RNS(destination RNS:D-US)에서 수신된 경우에 개시된다. 도 9의 시퀀스에서는 RNS2가 착신측 RNS에 해당한다.
RNS2는 SETUP 신호를 수신하면(S201:CC SETUP), SETUP 신호 중에 ISp-ID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한다(S202:Is there ISP-ID in SETUP).
ISP-ID가 존재하는 경우(S202; Y)에는, RNS2는 RNS2 내의 기억 장치 상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ISP-ID와 CABS2의 IP 어드레스를 추출하여(S203:Get ISP-ID and IP address of CABS2 in source RNS), ISP-ID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S204:Is ISP-ID corresponding?).
이 때, ISP-ID가 일치하는 경우(S204; Y)에는, RNS2는 CABS간의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고 하고, 직접 통신 가능 플래그(D.C.P 플래그)를 세트(온)한다(S205:Set the Direct Connection Possible flag between CABS).
ISP-ID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S202; N), 혹은 ISP-ID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S204; N)에는, RNS2는, D.C.P 플래그를 클리어(오프)한다(S206:Clear the Direct Connection Possible flag between CABS).
S205 또는 S206의 처리가 종료한 후, RNS2는 수신한 "SETUP"를 CABS2에 보낸다(S207). 지금까지 설명한 S201∼S207의 처리가, 도 9의 [B]로 도시한 내부 처리이다.
그 후, CABS2 측으로부터 "CALL CONFIRM"을 수신하면(S208), "CALL CONFIRM"을 MSC2 측으로 보낸다(S209).
다음으로, RNS2는 MSC2로부터 "RAB ASSIGNMENT REQUEST"에 의한 베어러 확보지시를 수취한다(S210). 그렇게 하면, RNS2는, S205 또는 S206에서 설정한 D.C.P-플래그의 값을 "RADIO LINK RECONFIGURATION PREPARE"로 세트하여(S211), CABS2에 송신한다(S212). S210∼S212의 처리가, 도 9의 [C]로 나타내는 내부 처리이다.
또한, RNS2는 D.C.P.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를 체크한다(S213). D.C.P.플래그가 세트(온)되어 있으면(S213; Y), 착신측 CABS(CABS2의 IP 어드레스)를 탑재한 RAB INTER-CAB MODE(새로운 메시지)를 송신하고(S214), 발신측에 CABS간에서의 링크의 직접 확립 처리를 재촉한다. 이러한 처리로, 도 9의 S110∼S114의 시퀀스를 실현할 수 있다.
<MSC에 의한 처리>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MSC)의, CPG 메시지를 수신했을 때에서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현상의 처리로부터의 변경 부분에 관련된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도시하는 S115에서 송신되는 신규의 CPG 메시지와, S127에서 송신되는 기존의 CPG 메시지의 두 종류의 메시지가 존재한다. 기존의 CPG 메시지는 ALERTING 메시지를 의미한다. 이에 대하여, 신규의 CPG 메시지는 "RAB INTER-CAB MODE"을 지시하기 위한 메시지이다.
CPG 메시지가 기존의 메시지인지 신규의 메시지인지(CPG 메시지의 타입)는, MSC가 CPG 메시지 내에 설정된 파라미터를 참조함으로써 구별(식별)할 수 있다.
도 14에 있어서, MSC(도 9로서는 MSC1)은, CPG 메시지를 수신하면(S301), CPG 메시지 내의 소정의 파라미터를 참조함으로써, CPG 메시지가 신규의 메시지인지를 판정한다(S302).
CPG 메시지가 기존의 CBG 메시지인 경우(S302; N)에는, MSC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ALERTING 메시지를 RNS(RNS1)에 송신하고(S308), 다음의 처리로 진행한다.
이에 대하여, CPG 메시지가 신규의 CPG 메시지인 경우(S302; Y)에는, 이 CPG 메시지로부터 착신측 CABS(CABS2)의 IP 어드레스를 취득한다(S303:Get IP address of CABS2 from CPG(NEW)).
여기에, 신규의 CPG 메시지는 착신측 CABS의 IP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RAB INTER-CAB MODE를 송신하기 위한 메시지이고, 신규의 CPG 메시지는 착신측 CABS의 IP 어드레스를 포함하고 있다. S303에서는 이 IP 어드레스가 취득된다.
다음으로, MSC는, CABS간 링크를 확립하는 지시를 내기 위한 RAB ASSIGNMENT REQUEST 메시지에, 취득된 착신측 CABS의 IP 어드레스를 포함시키고(S304:Set IP address of CABS2 in RAB ASSIGNMENT REQUEST), RNS에 송신한다(S305:도 9의 S116 참조). 이에 의해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CABS간 링크의 확립 처리(S118, S119)가 행하여진다.
MSC의 하위의 장치는, CABS간 링크의 확립 처리가 종료하면 RAB ASSIGNMENT RESPONSE 메시지를 MSC에 송신한다(도 9의 S122 참조). MSC는 RAB ASSIGNMENT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한다(S306). 그렇게 하면, MSC는 이 호출에 대하여 CABS간 직접 통신 모드로 된 것의 내부 플래그를 세트한다(S307:Set INTER-CAB MODE about this call). 그리고, 다음의 처리로 진행한다.
도 15는 실시예에서의 MSC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로, ANM 메시지(도 9의 S130 참조)를 수신한 경우의 처리를 나타낸다. ANM 메시지가 MSC에서 수신되면(S401), MSC는 이 호출에 대한 내부 플래그의 값을 체크하여, 내부 플래그(도 14의 S307에서 설명함)의 값이 INTER-CAB MODE, 즉 CABS간 직접 통신 모드로 되어 있는지를 체크한다(S402).
내부 플래그가 INTER-CAB MODE를 나타내는 경우(S307에서 내부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 S402; Y)에는, MSC는 먼저 RNS와 MSC 사이에 확립되어 있던 베어러를 삭제하기 위해서, RNS를 향하여 IU RELEASE COMMAND 메시지를 송신한다(S403; 도 9의 S131 참조).
IU RELEASE COMMAND의 송신을 계기로, RNS 및 CABS에 의해서, CABS(CABS1)-RNS(RNS1)간 및 RNS(RNS1)-MSC(MSC1)간의 베어러가 삭제된다(도 9의 S132, S133 참조).
그 후, MSC는 베어러의 삭제가 종료를 계기로 RNS로부터 송신되는 IU RELEASE COMPLETE 메시지를 수신한다(S404). 이후는, 현상의 ANM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CC:CONNECT 메시지를 RNS(RNS1)에 송신한다(S405).
또한, S402에 있어서, INTER-CAB MODE가 세트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는 경우(S402; N)에는, 처리가 S405로 진행한다. 즉, 현상과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도 16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MSC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새로운 메시지인 RAB INTER-CAB MODE 메시지(도 9의 S114)를 RNS로부터 수신한 경우에 있어서의 MSC(도 9로서는 MSC2)의 내부 처리를 나타낸다.
도 16에 있어서, MSC2는, RAB INTER-CAB MODE 메시지를 수신하면(S501), MSC2는 RAB INTER-CAB MODE 메시지중에서 CABS2의 IP 어드레스를 취득한다(S502; Get IP address of CABS2 from RAB INTER-CAB MODE).
다음으로, MSC2는 취득한 IP 어드레스를, 신규의 CPG 메시지의 파라미터의 하나로서, 신규의 CPG 메시지로 설정한다(S503:Set IP address of CABS2 in CPG(NEW)). 그리고, MSC2는 신규의 CPG 메시지를 발신측 MSC(N4SC1)에 송신한다(S504). 신규의 CPG 메시지가 발신측 MSC(MSC1)에서 수신되면, 도 14의 흐름도에 도시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CABS에 의한 처리>
도 17은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 기지국 장치(CABS)의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베어러에 관한 처리의 현상으로부터의 변경 부분에 따른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에 도시하는 처리는, 도 9에 도시하는 발신측 CABS(S-CABS:도 9에서는 CABS1) 및 착신측 CABS(D-CABS:도 9에서는 CABS2)의 쌍방에 적용된다.
CABS1은 RNS1로부터 RADIO LINK RECONFIGURATION PREPARE 메시지를 수신하면(S601), 이 메시지가 CABS간 직접 접속을 지시하는 메시지인지 여부를 체크한다(S602:Is the instruction which connects between CABS).
여기에, RNS1은 MSC1로부터 RAB ASSIGNMENT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다(도 9; S116). 이 메시지중에는 MSC1에서 설정된 CABS2의 IP 어드레스를 포함하고 있다(도 14; S304, S305). RNS1은 이 CABS2의 IP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RADIO LINK RECONFIGURATION PREPARE 메시지를 생성하여, CABS1에 보낸다(도 9의 S117).
이 RADIO LINK RECONFIGURATION PREPARE 메시지를, CABS1은 S601에서 수신한다. CABS1은 해당 메시지를 참조하여, 해당 메시지중에서 CABS간 직접 접속을 지시하는 파라미터(예를 들면 플래그: RNS1로 설정됨)를 검출함으로써, 해당 메시지가 CABS간 직접 접속을 지시하는 메시지라고 판단(인식)할 수 있다.
CABS1은 RADIO LINK RECONFIGURATION PREPARE 메시지가 CABS간 직접 접속을 지시하는 메시지라고 판단하면, 해당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CABS2의 IP 어드레스를 취득한다(S603:Get IP address of CABS2 from RADIO LINK RECONFIGRATION PREPARE).
다음으로, CABS1은 취득된 CABS2의 IP 어드레스 앞으로, CABS2에 IP 네트워크를 통해서 CABS간 직접 접속(직접 링크 확립)을 요구하는 메시지로서의 LINK ESTABLISH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한다(S604).
그 후, CABS1은 CABS2로부터 직접 링크 확립의 OK(승낙)를 나타내는 LINK ESTABLISH ACK 메시지를 수신하면(S605), RADIO LINK RECONFIGRATION PREPARE 메시지에 대하여 본래 행해야 할 처리(흐름도에서 "Other Processing(다른 처리)"로 도시되어 있음)를 행한다(S609).
즉, CABS1은 S605에서 LINK ESTABLISH ACK 메시지를 수신하면, 다음의 S606의 판단으로 NO를 선택하고, S610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그리고, RADIO LINK RECONFIGURATION READY를 RNS에 반송하여 처리 완료를 통지한다(S610).
한편, CABS2도, RNS2로부터의 RADIO LINK RECONFIGRATION PREPARE 메시지(도 9의 S113 참조)를 수신한다(S601). 이 RADIO LINK RECONFIGRATION PREPARE 메시지에는, 도 13의 S211에서 세트된 D.C.P.플래그의 값(온 또는 오프)이 세트되어 있다. 단, 해당 메시지에는 S602에서 검출되는 것 같은 CABS간 직접 접속 지시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CABS2는 수신된 메시지에 대하여, S602에서 NO의 판단을 행하고, 처리를 S606으로 진행시킨다. S606에서는, CABS2는 D.C.P.플래그의 값의 값이 온인지 오프인지를 판단한다. 이에 의해서, CABS2는 CABS간 접속(CABS1로부터의 LINK ESTABLISH REQUEST 메시지)을 대기하는 지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606:Is the instruction which waits for the connection between CABS?).
여기서는, CABS2는 D.C.P.플래그의 값의 값이 온이면, 대기 지시가 있다고 판단하고, D.C.P.플래그의 값이 오프이면, 대기 지시가 없다고 판단한다. 대기 지시가 없는 경우(S606; N)에는, CABS2는 처리를 S609로 진행시킨다.
이에 대하여, 대기 지시가 있는 경우(S606; Y)에는, CABS2는 CABS1로부터의 LINK ESTABLISH REQUEST 메시지를 대기하여, 해당 메시지를 수신하면(S607), CABS1-2간에 링크(세션)의 확립 처리를 행한 후, LINK ESTABLISH ACK 메시지를 CABS1에 송신한다(S608). 그 후, CABS2는 처리를 S609로 진행시키고, 다른 처리를 행한 후, RADIO LINK RECONFIGURATION READY를 RNS2에 반송하여 처리 완료를 통지한다(S10).
또한, 각 CABS1 및 2의 각각은 링크의 확립 지시도 대기 지시도 포함하지 않는 RADIO LINK RECONFIGURATION PREPARE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S603∼S605, S607, S608의 처리를 스킵하고 S609 및 S610의 처리만을 행한다.
도 17에 도시한 처리는, 도 12에 도시한 CABS(10)의 CNT부(17)에 있어서 행해진다. 도 17에 도시하는 처리는, CABS 내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소정의 제어 프로그램을 프로세서가 실행하는 것에 의한 소프트웨어 처리에 의해서 실현되도록 해도 되고, 하드웨어 칩을 이용한 하드웨어 처리에 의해서 실현되도록 해도 된다.
<RNS의 구성>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지국 제어 장치(RNS)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에 있어서, RNS(30)은, 스위치(SW)(31)와, 스위치(31)에 접속된 MSC-IF(32), RNS-IF(33), CABS-IF(34), PAGE(35), DHT(36), MMUX(37), ISU(38), RSU(39), BSU(40), OPS-IF(41), 및 CNT(42)와, CNT(42)에 접속된 FM(43)을 구비하고 있다.
스위치(31)는 CNT(42)(CNT 탑재의 소프트웨어)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각 블 록간의 접속 전환을 행한다.
MSC-IF(32)는 MSC과의 인터페이스 접속부이고, ATM 인터페이스로 MSC와 접속된다. RNS-IF(33)는 다른 RNS와의 인터페이스 접속부이고 IP/ATM 인터페이스로 서로 다른 RNS와 접속된다. CABS-IF(34)는 CABS와의 인터페이스 접속부이고, IP 인터페이스로 CABS와 접속된다. 이중 쇄선으로 도시된 RNS-IF(33) 및 CABS-IF(34)는, 하나의 RNS에 대하여 복수개탑재되는 경우도 있다.
스위치(31)의 우측에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블록(35∼40)은, 채널이나 프로토콜의 종단부이다. PAGE(35)는 PAGING 채널의 처리를 행한다. DHT(36)는 핸드 오버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MMUX(37)는 각종 공통 채널의 제어(다중/분리)를 행한다. ISU(38)는 대 MSC국간 신호를 종단 제어한다. RSU(39)는 대 RNS국간 신호를 종단한다. BSU(40)는 대 기지국(CABS, BTS)국간 신호를 종단한다.
CNT(42)는 고속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구비하는 RNS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제어부이다. CNT(42)에 접속되는 FM(43)는, RNS(30)의 각 블록을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세대 관리되어 저장되어 있는 파일 메모리이다.
도 13에 도시한 RNS의 흐름도에 의한 제어는, 이 CNT(42)에 수용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된다. 도 13에 도시하는 처리는, CNT(42)의 소프트웨어에 개량을 가함으로써 실현된다. 단,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OPS-IF(41)는 보수용 단말기나 제어 장치(0PS: operation system)에의 인터페이스의 접속부이다. OPS-IF(41)는 IP 인터페이스로 보수용 단말기나 OPS와 접 속된다.
<MSC의 구성>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교환기(MSC)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9에 있어서, MSC(50)는, 스위치(SW)(51)와, 스위치(51)에 접속된 MSC-IF(52), STM-IF(53), RNS-IF(54), NSU(55), TNS(57), PB/MF(58), C/FPT(59), PKT(60), IPU(61), BCI(62), 및 OPS-IF(63)와, CNT(56)에 접속된 FM(64)을 구비하고 있다.
스위치(51)는 CNT(56)(CNT 탑재의 소프트웨어)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각 블록간의 접속 전환을 행한다. MSC-IF(52)는 서로 다른 MSC와의 인터페이스 접속부이고, ATM 인터페이스로 서로 다른 MSC와 접속된다. STM(Synchronous Transfer Mode)-IF(53)는 다른 망과의 인터페이스 접속부이고, STM 인터페이스로 다른 망에 접속된다. RNS-IF(54)는 RNS와의 인터페이스 접속부이고, ATM 인터페이스로 RNS와 접속된다. 각 인터페이스(52∼54)는 복수개탑재되는 경우도 있다.
스위치(51)의 우측에 도시되어 있는 각 블록(57∼62)은 MSC의 주된 기능을 실현하는 블록이다.
TNS(57)는 가청음(RBT 등)을 단말기에 배신하는 톤 센더부이다. PB/MF(58)는 수신 신호를 PB(Push Button) 소리 등으로 분석하는 PB/MF 신호 송수신부로, 외부로부터의 음성 신호도 배신한다. C/FPT(59)는 경찰/소방 관련의 트렁크 기능을 갖는 기능 블록이다.
PKT는 IP 패킷의 인터페이스부이고, IP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CIPU(61) 는 IP 패킷의 종단 제어부이다. BCI(62)는 요금 명세 센터에의 접속 인터페이스이고, 다른 시스템에의 인터페이스의 일종이다.
NSU(55)는 ATM 신호에 의해 오는 공통선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행하는 부분이다. CNT(56)는 고속 CPU를 구비하는 MSC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가 탑재되는 제어 기능 블록이다. FM은 CNT(56)에 탑재되는 소프트웨어가 세대 관리되어 저장되어 있는 파일 메모리이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한 MSC의 흐름도에 의한 제어는, CNT부(56)에 수용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실행된다. 해당 제어는, 현상의 소프트웨어에 개량을 가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 OPS-IF(63)는 보수용 단말기나 제어 장치(OPS)에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기능 블록이다.
<실시예의 효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에 도시한 시퀀스에 있어서, RNS2에서 ISP-ID가 일치하는지가 판정됨으로써, CABS간 직접 접속 베어러를 확립가능한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그리고, 확립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CABS1과 CABS2 사이에서, 단말기 UE-a와 단말기 UE-b의 데이터 통신에 이용되는 데이터 전송로(VoIP 패스 세션)가 확립된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 도시한 네트워크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판정 수단 및 확립 수단을 포함한다.
CABS간 직접 베어러(데이터 전송로)가 확립되는 경우에는, 단말기 UE-a와 단말기 UE-b 사이의 트래픽은,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통과하지 않는다. 또한, 해당 트래픽이 IP 네트워크를 통과하는 횟수는 1회로 된다. 따라서, 트래픽의 감소에 의해, 휴대 전화 네트워크 및 IP 네트워크의 하위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RNS2에 있어서, ISP-ID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는 경우, 및 "SETUP"에 ISP-ID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CABS간 직접 베어러를 할 수 없다고 판단된다. 이 경우, 착신측의 시퀀스는, 도 8의 우측에 도시하는 것으로 되고,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는(RNS1-MSC1-MSC2-RNS2를 통과하는) 단말기 UE-a와 단말기 UE-b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가 확립된다. 이와 같이, CABS간 직접 베어러를 확립할 수 없는 경우에는, 현행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가 확립된다. 이에 의해서, 발신 단말기로부터의 발신 요구에 대한 호출 접속을 보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RNS1이 IP 어드레스와 ISP-ID 외에, 세션 번호를 "SETUP"에 부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세션 번호는 발신측 CABS(CABS1) 및 착신측 CABS(CABS2)에 통지되고, 발신측 CABS 및 착신측 CABS는 그 세션 번호로 CABS간 직접 베어러(VoIP 패스 세션)를 확립한다.
이에 의해서, 예를 들면, CABS1-CABS2간에서 단말기 UE-a와 단말기 UE-b의 통신을 위한 CABS간 직접 베어러(「제1 CABS간 베어러」라고 칭함)가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 또한, CABS1의 하위의 단말기 UE-c(도시 생략)와 CABS2의 하위의 단말기 UE-d(도시 생략) 사이에서 호출 접속이 행하여지는 경우에는, 제1 CABS간 베어러의 세션 번호와 다른 세션 번호로 단말기 UE-c와 단말기 UE-d의 통신을 위한 CABS간 직접 베어러(「제2 CABS간 베어러」라고 칭함)가 확립된다. 이와 같이, CABS간 직접 베어러를 세션 번호로 구별함으로서, CABS간에서 동시에 복수의 CABS 간 직접 베어러를 확립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CABS1-RNS1간의 베어러(제2 데이터 통신로) B2 및 RNS1-MSC1간의 베어러 B3이 확립되고, 이들 베어러 B2 및 B3을 이용하여 MSC1로부터 호출음이 CABS1에 송신되고, CABS1이 호출음을 CABS1과 단말기 UE-a 사이의 베어러 B1(제1 데이터 통신로)을 통하여 단말기 UE-a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서, 휴대 전화 네트워크로부터의 호출음을 단말기 UE-a에 부여하여, 사용자에게 들려줄 수 있다.
그 후, CABS간 직접 베어러(데이터 전송로 VS)가 확립되고, 단말기 UE-b가 호출에 응답한 경우에는, 베어러 B1의 접속처가 베어러 B2로부터 데이터 전송로 VS로 전환됨과 함께, 베어러 B2 및 B3이 해방된다. 이에 의해서, IP 네트워크 및 휴대 전화 네트워크의 자원의 낭비를 억제할 수 있다.
〔기타〕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의 항은 이하의 발명을 개시한다. 이하에 개시되는 발명은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합할 수 있다.
(부기 1)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용된 기지국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로부터의 발신 요구를 발신측 기지국으로부터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송신하고, 이 발신 요구를 휴대 전화 네트워크로부터 착신측 기지국을 통하여 착신처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에 착신시키는 경우에, 상기 발신측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기지국의 쌍방이 동일한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발신측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기지국의 쌍방이 동일한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발신측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기지국이 상기 동일한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직접 접속된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는 확립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 (1)
(부기 2)
상기 발신측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기지국의 쌍방이 동일한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는 부기 1에 기재된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 (2)
(부기 3)
발신 단말기와 착신처 단말기의 적어도 한쪽이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기지국의 하위에 속하는 경우에는,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는 부기 1 또는 2에 기재된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 (3)
(부기 4)
발신측 기지국 제어 장치로 되는 제1 기지국 제어 장치와, 착신측 기지국 제어 장치로 되는 제2 기지국 제어 장치와,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와 상기 제2 기지국 제어 장치를 접속하는 적어도 1개의 교환기를 갖는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는,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발신측 기지국으로부터, 발신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발신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이 발신 요구에 상기 발신측 기지국이 접속되는 IP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와 상기 발신측 기지국의 IP 어드레스를 부가하고,
상기 제2 기지국 제어 장치는, 상기 적어도 1개의 교환기를 통하여 상기 발신 요구를 수취하고, 이 발신 요구를 자 장치에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착신측 기지국을 통하여 착신처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에 송신하는 경우에, 상기 발신 요구에 포함된 IP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와 상기 착신측 기지국이 접속된 IP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IP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기지국 제어 장치가 상기 발신 요구에 포함된 상기 발신측 기지국의 IP 어드레스를 상기 착신측 기지국에 통지함과 함께, 상기 착신측 기지국의 IP 어드레스를 상기 발신측 기지국에 통지하고,
상기 제1 및 제2 기지국 제어 장치는, 상기 발신측 기지국 및 상기 착신측 기지국에 지시를 주어서, 상기 발신측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기지국이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 동일한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직접 접속된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시키는 네트워크 시스템. (4)
(부기 5)
상기 발신 요구에 포함된 IP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와 상기 착신측 기지국이 접속된 IP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 상기 제2 기지국 제어 장치, 및 상기 적어도 1개의 교환기는,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부기 4에 기재된 네트워크 시스템.
(부기 6)
상기 제2 기지국 제어 장치에서 수신되는 발신 요구에 IP 네트워크의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 상기 제2 기지국 제어 장치 및 상기 적어도 1개의 교환기는,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발신 단말기와 착신처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부기 4 또는 5에 기재된 네트워크 시스템.
(부기 7)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는, 발신 요구에,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IP 어드레스와, 상기 발신측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기지국의 사이에서 확립하여야 할 데이터 전송로의 식별 정보를 부가하는 부기 4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네트워 크 시스템. (5)
(부기 8)
상기 제2 기지국 제어 장치에, 상기 적어도 1개의 교환기 및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를 통하여, 상기 착신측 기지국의 IP 어드레스를 상기 발신측 기지국 장치에 통지하는 부기 4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네트워크 시스템.
(부기 9)
상기 제2 기지국 제어 장치는, 상기 발신 요구로부터 취득되는 상기 발신측 기지국의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IP 네트워크 경유로 상기 발신측 기지국에 상기 착신측 기지국의 IP 어드레스를 통지하는 부기 4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네트워크 시스템.
(부기 10)
상기 제2 기지국 제어 장치는, 상기 발신측 기지국의 IP 어드레스를 상기 착신측 기지국에 통지하고,
상기 착신측 기지국은, 상기 발신측 기지국의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IP 네트워크 경유로 상기 착신측 기지국의 IP 어드레스를 상기 착신 발신측 기지국에 통지하는 부기 4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네트워크 시스템.
(부기 11)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 상기 적어도 1개의 교환기는, 상기 발신 요구의 수신을 계기로,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와 상기 발신측 기지국의 사이, 및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와 상기 교환기의 사이에 데이터 통신로를 확립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교환기는,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호출중에, 상기 데이터 통신로를 이용하여 호출음을 상기 발신측 기지국에 송신하고,
상기 발신측 기지국은, 상기 데이터 통신로를 통하여 상기 수신되는 상기 호출음을 상기 발신 단말기에 송신하는 부기 4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네트워크 시스템. (6)
(부기 12)
상기 발신측 기지국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이 호출에 응답했을 때에 상기 착신처 단말기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기에 송신되는 접속 메시지의 수신을 계기로 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에 접속하여야 할 데이터 통신로를,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 사이에 확립된 상기 데이터 통신로로부터 상기 발신측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기지국의 사이에 확립된 데이터 전송로로 전환하는 부기 11에 기재된 네트워크 시스템.
(부기 13)
상기 적어도 1개의 교환기 및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는, 상기 착신처 단말기이 호출에 응답했을 때에 상기 착신처 단말기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기에 송신되는 접속 메시지의 수신을 계기로 하여,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와 상기 발신측 기지국의 사이, 및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와 상기 교환기의 사이에 확립된 데이터 통신로를 삭제하는 부기 11 또는 12에 기재된 네트워크 시스템. (7)
(부기 14)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가 상기 발신측 기지국과 상기 착신 측 기지국의 사이에 확립된 데이터 전송로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한쪽으로부터 절단 요구가 송신되었을 때에는, 상기 발신측 기지국 및 상기 착신측 기지국은,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발신측 기지국 사이의 링크 및 상기 착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측 기지국 사이의 링크를 절단한 후에, 상기 데이터 전송로를 절단하는 부기 4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네트워크 시스템.
(부기 15)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기지국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로부터의 발신 요구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발신 요구를 상기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발신 요구가 상기 IP 네트워크와 동일한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로 다른 기지국을 통하여 착신처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에 착신하는 경우에, 상기 서로 다른 기지국의 IP 어드레스를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 또는 상기 서로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수취하고, 이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서로 다른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기지국 자신과 상기 서로 다른 기지국이 상기 동일한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직접 접속된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는 데이터 전송로 확립/절단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8)
(부기 16)
상기 발신 요구를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송신한 후에, 상기 기지국 자신과 상기 발신 단말기의 사이에 제1 데이터 통신로를 확립하고, 상기 기지국 자신과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의 사이에 제2 데이터 통신로를 확립하는 데이터 통신로 확립/절단부와,
상기 제1 데이터 통신로의 접속처를 상기 제2 데이터 통신로와 상기 데이터 전송로 사이에서 전환하는 전환부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호출 속에서는, 상기 전환부에 상기 제2 데이터 통신로를 선택시켜 1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로부터 송신되는 호출음을 상기 제1 데이터 통신로에 송출시키고, 상기 착신처 단말기이 호출에 응답한 경우에는, 상기 전환부에 상기 데이터 전송로를 선택시키는 전환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부기 15에 기재된 기지국.
(부기 17)
상기 데이터 통신로 확립/절단부는, 상기 착신처 단말기이 호출에 응답한 경우에,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통신로를 절단하는 부기 16에 기재된 기지국.
(부기 18)
상기 데이터 전송로 확립/절단부는, 상기 데이터 통신로 확립/절단부에 의해서 상기 제1 데이터 통신로가 절단된 후에, 상기 데이터 전송로를 절단하는 부기 16 또는 17에 기재된 기지국.
(부기 19)
상기 제1 데이터 통신로를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는,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의 사이에서 결정된 암호로 암호화되고,
상기 제1 데이터 통신로로부터의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하고, 또한 상기 제1 데이터 통신로에 송신하여야 할 데이터를 상기 암호로 암호화하는 암호화 처리부와,
상기 암호 처리부를 통과하는 제1 루트와,
상기 암호 처리부를 통과하지 않는 제2 루트와,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를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2 루트에 접속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를 상기 데이터 전송로를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1 루트에 접속하는 접속부와,
상기 데이터 전송로의 확립/절단에 따라서, 상기 접속부의 접속처의 루트를 제어하는 접속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부기 16∼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기지국. (9)
(부기 20)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용된 기지국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로부터의 발신 요구를 발신측 기지국으로부터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송신하고,
이 발신 요구를 휴대 전화 네트워크로부터 착신측 기지국을 통하여 착신처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에 착신되는 경우에, 상기 발신측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기지국의 쌍방이 동일한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정하여,
상기 발신측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기지국의 쌍방이 동일한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발신측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기지국이 상기 동일한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직접 접속된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는 것을 포함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방법. (10)
(부기 21)
상기 발신측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기지국의 쌍방이 동일한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는 부기 20에 기재된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방법.
(부기 22)
상기 착신처 단말기이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기지국의 하위에 속하는 경우에는,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는 부기 20 또는 21에 기재된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방법.
(부기 23)
발신측 기지국 제어 장치로 되는 제1 기지국 제어 장치와, 착신측 기지국 제어 장치로 되는 제2 기지국 제어 장치와,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와 상기 제2 기지국 제어 장치를 접속하는 적어도 1개의 교환기를 갖는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는,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발신측 기지국으로부터, 발신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발신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이 발신 요구에 상기 발신측 기지국이 접속되는 IP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와 상기 발신측 기지국의 IP 어드레스를 부가하고,
상기 제2 기지국 제어 장치는, 상기 적어도 1개의 교환기를 통하여 상기 발신 요구를 수취하고, 이 발신 요구를 자 장치에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착신측 기지국을 통하여 착신처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에 송신하는 경우에, 상기 발신 요구에 포함된 IP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와 상기 착신측 기지국이 접속된 IP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IP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기지국 제어 장치가 상기 발신 요구에 포함된 상기 발신측 기지국의 IP 어드레스를 상기 착신측 기지국에 통지함과 함께, 상기 착신측 기지국의 IP 어드레스를 상기 발신측 기지국에 통지하고,
상기 제1 및 제2 기지국 제어 장치는, 상기 발신측 기지국 및 상기 착신측 기지국에 지시를 주어서, 상기 발신측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기지국이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 동일한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직접 접속된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방법.
(부기 24)
상기 발신 요구에 포함된 IP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와 상기 착신측 기지국이 접속된 IP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 상기 제2 기지국 제어 장치, 및 상기 적어도 1개의 교환기는,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부기 23에 기재된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방법.
(부기 25)
상기 제2 기지국 제어 장치에서 수신되는 발신 요구에 IP 네트워크의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 상기 제2 기지국 제어 장치 및 상기 적어도 1개의 교환기는,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발신 단말기와 착신처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부기 23 또는 24에 기재된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방법.
(부기 26)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는, 발신 요구에,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IP 어드레스와, 상기 발신측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기지국의 사이에서 확립하여야 할 데이터 전송로의 식별 정보를 부가하는 부기 23 내지 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방법.
(부기 27)
상기 제2 기지국 제어 장치는, 상기 적어도 1개의 교환기 및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를 통하여, 상기 착신측 기지국의 IP 어드레스를 상기 발신측 기지국 장치에 통지하는 부기 23 내지 2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방법.
(부기 28)
상기 제2 기지국 제어 장치는, 상기 발신 요구로부터 취득되는 상기 발신측 기지국의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IP 네트워크 경유로 상기 발신측 기지국에 상기 착신측 기지국의 IP 어드레스를 통지하는 부기 23 내지 2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방법.
(부기 29)
상기 제2 기지국 제어 장치는, 상기 발신측 기지국의 IP 어드레스를 상기 착신측 기지국에 통지하고,
상기 착신측 기지국은, 상기 발신측 기지국의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IP 네트워크 경유로 상기 착신측 기지국의 Ip 어드레스를 상기 착신측 기지국에 통지하는 부기 23 내지 2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방법.
(부기 30)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 상기 적어도 1개의 교환기는, 상기 발신 요구의 수신을 계기로,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와 상기 발신측 기지국의 사이, 및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와 상기 교환기의 사이에 데이터 통신로를 확립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교환기는,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호출중에, 상기 데이터 통신로를 이용하여 호출음을 상기 발신측 기지국에 송신하고,
상기 발신측 기지국은, 상기 데이터 통신로를 통하여 상기 수신되는 상기 호출음을 상기 발신 단말기에 송신하는 부기 23 내지 2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방법.
(부기 31)
상기 발신측 기지국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이 호출에 응답했을 때에 상기 착신처 단말기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기에 송신되는 접속 메시지의 수신을 계기로 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에 접속하여야 할 데이터 통신로를,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 사이에 확립된 상기 데이터 통신로로부터 상기 발신측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기지국의 사이에 확립된 데이터 전송로로 전환하는 부기 30에 기재된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방법.
(부기 32)
상기 적어도 1개의 교환기 및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는, 상기 착신처 단말기이 호출에 응답했을 때에 상기 착신처 단말기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기에 송신되는 접속 메시지의 수신을 계기로 하여,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와 상기 발신측 기지국의 사이, 및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와 상기 교환기의 사이에 확립된 데이터 통신로를 삭제하는 부기 30 또는 31에 기재된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방법.
(부기 33)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가 상기 발신측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기지국의 사이에 확립된 데이터 전송로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한쪽으로부터 절단 요구가 송신되었을 때에는, 상기 발신측 기지국 및 상기 착신측 기지국은,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발신측 기지국 사이의 링크 및 상기 착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측 기지국 사이의 링크를 절단한 후에, 상기 데이터 전송로를 절단하는 부기 23 내지 3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설치되는 소형 기지국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휴대 전화 네트워크 및 IP 네트워크의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0)

  1.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용된 기지국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이며,
    발신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로부터의 발신 요구를 발신측 기지국으로부터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송신하고, 이 발신 요구를 휴대 전화 네트워크로부터 착신측 기지국을 통하여 착신처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에 착신시키는 경우에, 상기 발신측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기지국의 쌍방이 동일한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발신측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기지국의 쌍방이 동일한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발신측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기지국이 상기 동일한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직접 접속된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는 확립 수단
    을 포함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기지국의 쌍방이 동일한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와 착신처 단말기의 적어도 한쪽이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기지국의 하위에 속하는 경우에는,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
  4. 발신측 기지국 제어 장치로 되는 제1 기지국 제어 장치와, 착신측 기지국 제어 장치로 되는 제2 기지국 제어 장치와,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와 상기 제2 기지국 제어 장치를 접속하는 적어도 1개의 교환기를 갖는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이며,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는,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발신측 기지국으로부터, 발신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의 발신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이 발신 요구에 상기 발신측 기지국이 접속되는 IP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와 상기 발신측 기지국의 IP 어드레스를 부가하고,
    상기 제2 기지국 제어 장치는, 상기 적어도 1개의 교환기를 통하여 상기 발신 요구를 수취하고, 이 발신 요구를 자 장치에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착신측 기지국을 통하여 착신처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에 송신하는 경우에, 상 기 발신 요구에 포함된 IP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와 상기 착신측 기지국이 접속된 IP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IP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기지국 제어 장치가 상기 발신 요구에 포함된 상기 발신측 기지국의 IP 어드레스를 상기 착신측 기지국에 통지함과 함께, 상기 착신측 기지국의 IP 어드레스를 상기 발신측 기지국에 통지하고,
    상기 제1 및 제2 기지국 제어 장치는, 상기 발신측 기지국 및 상기 착신측 기지국에 지시를 주어서, 상기 발신측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기지국이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 동일한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직접 접속된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시키는 네트워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는, 발신 요구에,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IP 어드레스와, 상기 발신측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기지국의 사이에서 확립하여야 할 데이터 전송로의 식별 정보를 부가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 상기 적어도 1개의 교환기는, 상기 발신 요구의 수신을 계기로,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와 상기 발신측 기지국의 사이, 및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와 상기 교환기의 사이에 데이터 통신로를 확립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교환기는,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호출중에, 상기 데이터 통신로를 이용하여 호출음을 상기 발신측 기지국에 송신하고,
    상기 발신측 기지국은, 상기 데이터 통신로를 통하여 상기 수신되는 상기 호출음을 상기 발신 단말기에 송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교환기 및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는, 상기 발신측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기지국의 사이에 상기 데이터 전송로가 확립되고, 또한 상기 착신처 단말기가 호출에 응답한 경우에, 상기 발신 요구의 수신을 계기로 하여,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와 상기 발신측 기지국의 사이, 및 상기 제1 기지국 제어 장치와 상기 교환기의 사이에 확립된 데이터 통신로를 삭제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8.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기지국이며,
    발신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로부터의 발신 요구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발신 요구를 상기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발신 요구가 상기 IP 네트워크와 동일한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휴 대 전화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로 다른 기지국을 통하여 착신처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에 착신하는 경우에, 상기 서로 다른 기지국의 IP 어드레스를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 또는 상기 서로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수취하고, 이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서로 다른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기지국 자신과 상기 서로 다른 기지국이 상기 동일한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직접 접속된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는 데이터 전송로 확립/절단부
    를 포함하는 기지국.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상기 발신 단말기의 사이에는, 상기 발신 단말기의 사이에서 통신되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로가 확립되고,
    상기 데이터 통신로를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는,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의 사이에서 결정된 암호로 암호화되고,
    상기 데이터 통신로로부터의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하고, 또한 상기 데이터 통신로에 송신하여야 할 데이터를 상기 암호로 암호화하는 암호화 처리부와,
    상기 데이터 전송로를 통해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처 단말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상기 암호화 처리부를 통과하도록 하는 제1 루트와,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처 단말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상기 암호화 처리부를 통과하지 않도록 하는 제2 루트와,
    상기 제1 및 제2 루트 중 한 쪽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접속부와,
    상기 데이터 전송로의 확립/절단에 따라서, 상기 접속부의 접속처의 루트를 제어하는 접속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
  10.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용된 기지국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방법이며,
    발신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로부터의 발신 요구를 발신측 기지국으로부터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송신하고,
    이 발신 요구를 휴대 전화 네트워크로부터 착신측 기지국을 통하여 착신처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 단말기에 착신되는 경우에, 상기 발신측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기지국의 쌍방이 동일한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정하고,
    상기 발신측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기지국의 쌍방이 동일한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휴대 전화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발신측 기지국과 상기 착신측 기지국이 상기 동일한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직접 접속된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처 단말기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로를 확립하는 것을 포함하는 휴대 전화 단말기 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 립 방법.
KR20050013815A 2004-10-19 2005-02-18 휴대 전화 단말기 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 KR1006600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04279 2004-10-19
JP2004304279A JP4499526B2 (ja) 2004-10-19 2004-10-19 携帯電話端末間のデータ伝送路確立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107A KR20060042107A (ko) 2006-05-12
KR100660077B1 true KR100660077B1 (ko) 2006-12-22

Family

ID=35519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13815A KR100660077B1 (ko) 2004-10-19 2005-02-18 휴대 전화 단말기 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51376B2 (ko)
EP (1) EP1650907B1 (ko)
JP (1) JP4499526B2 (ko)
KR (1) KR100660077B1 (ko)
CN (1) CN10034948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4263B2 (ja) 2004-10-20 2010-11-17 富士通株式会社 携帯電話端末間のデータ伝送路確立システム
DE202005021930U1 (de) * 2005-08-01 2011-08-08 Corning Cable Systems Llc Faseroptische Auskoppelkabel und vorverbundene Baugruppen mit Toning-Teilen
GB2464861B (en) * 2005-08-01 2010-08-11 Ubiquisys Ltd Self-configuring cellular basestation
US8503431B2 (en) 2006-08-25 2013-08-06 Wireless Wonders Ltd. Mobile phone related indirect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9270799B2 (en) * 2006-08-25 2016-02-23 Wireless Wonders Ltd. Using indirect communication to provide a solution to use international dialing convention and incorporating phone numbers for non-phone devices
GB2446738C (en) 2007-02-02 2014-10-01 Ubiquisys Ltd Basestation measurement modes
US9232448B2 (en) * 2007-06-18 2016-01-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neighbor discovery of base stations in a communication system
JP2009094652A (ja) * 2007-10-04 2009-04-30 Kddi Corp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経路設定方法、無線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装置
WO2009058401A1 (en) * 2007-11-02 2009-05-07 Radioframe Networks, Inc. Mobile telecommunications architecture
WO2009130998A1 (ja) * 2008-04-23 2009-10-29 日本電気株式会社 基地局及び端末、並びにこれらの制御方法
JP5281312B2 (ja) * 2008-04-25 2013-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151798B2 (ja) * 2008-08-13 2013-02-27 日本電気株式会社 メッセージ交換システム、バイパス転送方法、及びプログラム
RU2518186C2 (ru) * 2008-10-01 2014-06-10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Обработка трафика локального непосредственного соединенения в домашней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WO2010039084A1 (en) 2008-10-01 2010-04-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for enabling a home base station to choose between local and remote transportation of uplink data packets
JP5077442B2 (ja) 2008-12-10 2012-11-21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ータ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データ通信方法
EP2380392A1 (en) * 2008-12-19 2011-10-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entity for conveying data units
JP2010157807A (ja) * 2008-12-26 2010-07-15 Nec Corp 通信システム、フェムトセル用基地局、認証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KR101506169B1 (ko) * 2009-02-02 2015-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펨토 셀에서의 디바이스간 통신 방법 및 시스템
CN104023411B (zh) * 2009-04-21 2018-08-07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中使用中继节点的方法
JP5277093B2 (ja) * 2009-07-07 2013-08-28 株式会社Kddi研究所 Sipサーバを用いてアクセスポイント間でセッションを確立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8885536B2 (en) 2010-04-13 2014-11-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local internet protocol offload
JP5855987B2 (ja) * 2012-03-19 2016-02-09 Kddi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基地局装置
TW201417559A (zh) * 2012-10-31 2014-05-01 Yomore Technology Co Ltd 通訊整合系統及通訊整合方法
JP2013158059A (ja) * 2013-05-20 2013-08-15 Nec Corp 通信システム、フェムトセル用基地局、認証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US9264971B2 (en) 2013-10-17 2016-02-1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VPNv4 route control for LTE X2 son using unique route targets
US9398515B2 (en) 2013-10-17 2016-07-1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VPNv4 route control for LTE X2 SON using import route maps and outbound route filtering
US9641422B2 (en) 2013-10-17 2017-05-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X2 son for LTE networks through automated X2 address discovery
US9288686B2 (en) 2013-10-17 2016-03-1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Topology discovery based on SCTP/X2 snooping
US9294986B2 (en) * 2013-10-17 2016-03-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Topology discovery based on explicit signaling
JP2016178484A (ja) * 2015-03-20 2016-10-06 日本電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装置、基地局、通信システム、ベアラ確立方法、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9740A (ko) * 1998-12-15 2000-07-05 서평원 데이터통신시스템및데이터통신운용방법
JP2003229800A (ja) 2002-02-05 2003-08-15 Sony Corp 移動端末、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JP2004135080A (ja) 2002-10-10 2004-04-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パケット転送装置、ネットワーク管理ユニット、移動端末並びにipモビリティ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4042A (en) * 1995-03-15 1999-07-13 Kabushiki Kaisha Toshib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3120220B2 (ja) * 1996-03-28 2000-12-25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呼出し機能付き通信装置
JP3758808B2 (ja) * 1997-05-15 2006-03-22 ソニー株式会社 通信端末および通信方法
JPH11122388A (ja) * 1997-10-17 1999-04-30 Nec Corp インターネット電話システムと接続方法
JP4352471B2 (ja) 1998-02-19 2009-10-28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JP2000125041A (ja) * 1998-10-19 2000-04-28 Yamaha Corp 電話接続方法及び電話端末装置
JP2000125040A (ja) * 1998-10-19 2000-04-28 Yamaha Corp インターネット電話の接続方法及び電話端末装置
US6614784B1 (en) 1999-01-15 2003-09-0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pplementary services (SS) in an integrated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3519653B2 (ja) * 1999-12-03 2004-04-19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方法及び記録媒体及び通信方式及びアダプタ
JP2001203806A (ja) * 2000-01-19 2001-07-27 Oki Electric Ind Co Ltd Dhcp対応のインターネット電話システム
US6958983B2 (en) * 2000-01-25 2005-10-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for optimal routing of calls in a base station system
EP1168754B1 (en) * 2000-06-26 2005-03-16 Alcatel Addressing scheme to be used in an IP-based radio access network
JP4712166B2 (ja) 2000-08-08 2011-06-29 日本食品化工株式会社 結晶タガトースの製造方法
US6990088B2 (en) * 2000-08-18 2006-01-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Handoff in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s
FI111312B (fi) 2000-08-25 2003-06-30 Nokia Corp Yhteyden päätelaitteeseen valvonta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CN1138427C (zh) * 2001-05-30 2004-02-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移动通讯***呼叫接续中语音信道交换的方法
US7177627B2 (en) * 2001-07-17 2007-02-13 Comvers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ages for caller identification over a mobile network
JP3862056B2 (ja) 2001-08-06 2006-12-27 三菱電機株式会社 通話装置アダプタ
JP2003110595A (ja) * 2001-09-28 2003-04-11 Iwatsu Electric Co Ltd Ipアドレス通知方法
JP3856427B2 (ja) * 2001-09-28 2006-12-13 有限会社デンタルサプライ 端末間の接続方法
JP2003125032A (ja) * 2001-10-17 2003-04-25 Dental Supply:Kk Ip電話兼用型加入電話機
JP3908935B2 (ja) * 2001-10-29 2007-04-25 有限会社デンタルサプライ Ip電話サービスシステム、ip電話機、及び、サービス端末装置
AU2002311554A1 (en) * 2002-06-25 2004-01-06 Nokia Corporation Routing method and network element
JP4232550B2 (ja) * 2002-07-01 2009-03-04 日本電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情報検出装置および方法
US7151765B2 (en) * 2002-10-01 2006-12-19 Inventec Appliances Corp. Packets filtering method in a wireless network system
JP3994046B2 (ja) * 2002-11-19 2007-10-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リソース割当制御装置、リソース割当制御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US20050089007A1 (en) 2003-10-28 2005-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handoffs of mobile station-to-mobile station packet data calls in a wireless network
US7577427B2 (en) * 2003-11-05 2009-08-1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of transitioning between cellular and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communication
JP4584263B2 (ja) * 2004-10-20 2010-11-17 富士通株式会社 携帯電話端末間のデータ伝送路確立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9740A (ko) * 1998-12-15 2000-07-05 서평원 데이터통신시스템및데이터통신운용방법
JP2003229800A (ja) 2002-02-05 2003-08-15 Sony Corp 移動端末、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JP2004135080A (ja) 2002-10-10 2004-04-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パケット転送装置、ネットワーク管理ユニット、移動端末並びにipモビリティ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50907A3 (en) 2011-03-30
EP1650907B1 (en) 2015-12-02
JP4499526B2 (ja) 2010-07-07
EP1650907A2 (en) 2006-04-26
KR20060042107A (ko) 2006-05-12
CN100349480C (zh) 2007-11-14
US20060084470A1 (en) 2006-04-20
CN1764294A (zh) 2006-04-26
JP2006121180A (ja) 2006-05-11
US7751376B2 (en) 201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0077B1 (ko) 휴대 전화 단말기 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
US7822004B2 (en) Data transmission line establishing system between mobile telephone terminals
KR101109558B1 (ko) 핸드오버 방법
EP1360855B1 (en) Access system for a cellular network
KR101421287B1 (ko) 네트워크 선택
KR101078615B1 (ko) 무선 원격통신에서의 암호화
JP4456966B2 (ja) 無線端末
KR100414253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의 가입자들에게 다중점들의 접속성을 제공하는 방법
US20110002272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AU2004214585B2 (en) Hybrid base station transceiver
JP4090955B2 (ja) ネットワーク中継システムおよび中継装置
EP1692902B1 (en) System and method providing secure access and roaming support for mobile subscribers in a semi-connected mode
KR100912175B1 (ko) 휴대 전화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로 확립 시스템
CN101854737B (zh) 移动电话终端间的数据传送路径建立***
JP2011030077A (ja) 無線基地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