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9434B1 - 누진 굴절력 렌즈 - Google Patents

누진 굴절력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9434B1
KR100659434B1 KR1020047016801A KR20047016801A KR100659434B1 KR 100659434 B1 KR100659434 B1 KR 100659434B1 KR 1020047016801 A KR1020047016801 A KR 1020047016801A KR 20047016801 A KR20047016801 A KR 20047016801A KR 100659434 B1 KR100659434 B1 KR 100659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active
lens
curvature
progressive
refractiv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6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6171A (ko
Inventor
가토가즈토시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6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6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02C7/061Spectacle lenses with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 G02C7/068Special properties achiev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ront and back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02C7/061Spectacle lenses with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내면 누진 굴절력 렌즈는 물체측 굴절면의 형상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외면 누진 굴절력 렌즈와 비교하여 박형화할 수 없었다. 그러나, 물체측 굴절면의 형상을 원용부 측정 기준점의 곡률이 근용부 측정 기준점의 곡률보다 작은 회전축 대칭인 비구면으로 하고, 안구측 굴절면을 누진 굴절면과 난시 굴절면 및 착용시의 보정 비구면을 합성한 면으로 했다. 이에 의해, 흔들림이나 왜곡이 적은 박형화를 도모한 누진 굴절력 렌즈를 저비용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Description

누진 굴절력 렌즈{PROGRESSIVE REFRACTIVE POWER LENS}
본 발명은 누진 굴절력 렌즈, 주로 안구의 조절력이 저하된 사람이 착용하는 굴절 보정용 누진 굴절력 안경 렌즈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8에 의해 누진 굴절력 렌즈의 기본 구조를 설명한다. 누진 굴절력 렌즈는 멀리 보기 위한 굴절력을 갖는 원용부 영역와, 근처의 물체를 보기 위한 굴절력을 갖는 근용부 영역과, 그들 사이에서 굴절력이 누진적으로 변화되는 중간부 영역을 갖는다. 원용부 영역과 근용부 영역의 굴절력 차이를 가입 굴절력이라 부르고, 안경 착용자의 조절력 감소에 따라 적절한 값이 설정된다. 중간부 영역으로부터 근용부 영역에 걸쳐 옆쪽 부분에는 수차 영역이라는 광학적 사용에 적합하지 않은 부분이 존재한다. 이것은 원용부 영역과 근용부 영역의 굴절력 차이를 원활히 연결시키기 위해서 발생하는, 누진 굴절력 렌즈로서는 피할 수 없는 결점이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경 렌즈는 물체측 굴절면과 안구측 굴절면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누진 굴절력 렌즈에는 원시용 굴절력과 근시용 굴절력을 측정하 는 장소가 렌즈 메이커에 의해서 지정된다. 통상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렌즈 굴절면에 인쇄 등의 수단에 의해 명시되어 있다. 이들 인쇄가 없는 경우에도, 렌즈에 부가된 영구 마크로부터 측정 위치 등을, 메이커의 사양에 찾아낼 수 있다. 원시용 굴절력을 측정하는 장소는 원용부 측정 기준점, 근시용 굴절력을 측정하는 장소는 근용부 측정 기준점이라고 부른다.
그런데, 누진 굴절력에 특유한 가입 굴절력을 생기게 하는 이른바 누진면이라 칭하는 굴절면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체측 굴절면에서 있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안구측 굴절면은 안경 착용자의 처방 도수에 맞춰, 구면 또는 난시축의 방향에 맞춘 원환체면 등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누진 굴절력 렌즈를 본 명세서에서는 외면 누진 굴절력 렌즈라고 부른다. 외면 누진 굴절력 렌즈에서는 상의 배율의 변화를 생기게 하는 굴절면이 물체측에 있기 때문에, 상의 왜곡이 커져, 처음으로 누진 굴절력 렌즈를 사용하는 사람이나, 다른 설계의 누진 굴절력 렌즈로부터 바꿔 착용하는 사람 중에는, 위화감을 느끼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상의 배율의 변화에 의한 왜곡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WO97/19382(도 4, 도 10,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누진 굴절면을 안구측에 배치한 내면 누진 굴절력 렌즈라고 불리는 것도 제품화되게 되었다. 내면 누진 굴절력 렌즈에서는, 도 12와 같이 물체측 굴절면은 구면 또는 회전축 대칭인 비구면으로, 안구측 굴절면에 누진 굴절면과 원환체면, 그 위에 렌즈의 축외 수차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비구면 요소를 합성한 복잡한 곡면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WO97/19383(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체측 굴절면과 안구측 굴절 면에서 누진면의 가입도 요소(addition power element)를 분할하여 형성하는 양면 누진 굴절력 렌즈라고 불리는 것도 제품화되게 되어 왔다. 양면 누진 굴절력 렌즈는 배율의 변화를 야기하는 누진면 요소의 일부가 물체측 굴절면에 있기 때문에, 물체측 굴절면이 구면인 내면 누진 굴절력 렌즈와 비교하여, 왜곡의 측면에서는 불리하다. 물론, 외면 누진 굴절력 렌즈보다는 왜곡은 개량된다.
내면 누진 굴절력 렌즈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구측 굴절면의 원용부 영역과 근용부 영역에서 곡률차를 마련함으로써 가입 굴절력을 얻고 있다. 근용부는 원용부보다 플러스의 굴절력을 갖도록 하기 때문에, 근용부의 곡률은 원용부의 곡률보다 작은 값이 된다. 곡률이 0인 면은, 곡률 반경(= 1/곡률)이 무한대가 되어, 즉 평면이 된다. 곡률이 마이너스인 값이 되면, 안구측의 굴절면은 안구측에 볼록하게 되는 형상이 되어, 렌즈를 제조할 때에 문제가 된다. 왜냐하면, 원용부가 오목면에서 근용부가 볼록면으로 되기 위한 곡면은, 원용부·근용부 모두 오목면이 되기 위한 곡면보다 복잡한 가공 기술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근용부의 곡률이 마이너스로 되지 않는 범위로 설정해야 한다. 또, 본래 곡률에는 플러스·마이너스의 부호는 붙지 않는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곡면보다 안구측에 곡률 반경의 중심이 존재하는 경우를 플러스의 곡률, 반대로 곡면보다 물체측에 곡률 반경의 중심이 있는 면을 마이너스의 곡률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그런데, 안구측 굴절면의 근용부 영역에서, 최저의 곡률이 가공상의 제약으로 인해 결정되게 되었다. 예컨대, 가공기의 제약에 의해 곡률 반경이 1.5m보다 큰 면은 가공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안구측 굴절면의 근용부의 곡률(=1/곡률 반경)은 약 0.67m-1이다. 렌즈의 기재(基材)의 굴절률 n을 1.67이라고 하면, 이 곡률에 의한 표면 굴절력은 (n-1)×(곡률)에 의해서 계산할 수 있고, 그 값은 약 0.45m-1이 된다. 굴절력의 단위는 관례적으로 디옵터(D=m-1)가 쓰이고, 굴절력의 계산에 편리하기 때문에 이후의 설명으로서는 이 단위를 사용한다. 상기의 표면 굴절력은 0.45D가 된다.
내면측에서 가입 굴절력을 얻기 위한 곡면으로 하기 위해서, 원용부의 표면 굴절력은 근용부의 표면 굴절력보다 가입 굴절력만큼 큰 값으로 설정해야만 한다. 예컨대 가입 굴절력을 3.00D로 하기 위해서는, 근용부 표면 굴절력이 0.45D로 되면 원용부 표면 굴절력은 3.45D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 렌즈의 원용부 굴절력을 +3.00D로 하기 위해서는, 안구측 굴절면의 원용부 영역의 표면 굴절력이 3.45D이므로, 물체측 굴절면의 표면 굴절력은 6.45D가 필요해진다.
본래, 렌즈의 중심 두께 효과를 고려하면, 물체측 굴절면의 표면 굴절력은 좀 더 작은 값이 되지만, 여기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중심 두께 효과는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표면 굴절력의 6.45D라는 값은, 굴절률 1.67의 렌즈에서는 곡률 반경 0.10m= 100㎜에 상당한다. 렌즈의 구경이 70㎜인 경우 볼록면의 튀어나온 높이는 약 6.3㎜이다.
한편, 물체측 굴절면이 누진면인 외면 누진 굴절력 렌즈에서는, 안구측 굴절면이 표면 굴절력 0.45D의 하한값으로 제조할 수 있다고 하면, 물체측 굴절면의 원용부 영역은, 원용부 굴절력 +3.00D를 얻기 위해서, 표면 굴절력이 3.45D 필요해진 다. 또한, 근용부는 가입 굴절력 3.00D를 얻기 위해서 6.45D의 표면 굴절력이 된다. 즉, 물체측 굴절면은 렌즈의 윗쪽에서 3.45D에 상당하는 곡률 반경 0.19m, 렌즈의 아래쪽에서는 서서히 곡률 반경이 감소하고, 근용부 영역에서 6.45D에 상당하는 곡률 반경 0.10m에 도달한다. 따라서, 평균하면 3.45D에서 6.45D의 사이의 값이 되어, 조금 전에 설명한 내면 누진 굴절력 렌즈보다 볼록면이 적게 튀어나온다. 반대로 말하면, 내면 누진 굴절력 렌즈는 이미지의 왜곡이라는 광학 성능면에서는 유리하지만, 렌즈가 얇기나 외관 등의 면에서는 결점을 갖고 있다.
또한, 양면 누진 굴절력 렌즈에서는, 가입 굴절력의 일부를 물체측 굴절면에서 나누고 있기 때문에, 외면 누진 굴절력 렌즈와 내면 누진 굴절력 렌즈의 중간적인 성능을 갖고 있는 것은 쉽게 상상이 간다. 그러나, 누진 굴절면은 형상이 복잡한 자유 곡면으로 생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공 작업의 복잡화나 가공 시간의 연장 등 제조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점이 결점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누진 굴절력 렌즈는, 내면 누진 굴절력 렌즈의 광학 성능을 유지한 채로 저비용으로 박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원용부 영역, 근용부 영역, 중간부 영역을 갖고, 물체측 굴절면은 회전축 대칭인 비구면의 일부에 의해 구성되고, 안구측 굴절면은 누진 굴절면인 누진 굴절력 렌즈에 있어서, 원용부 측정 기준점에서의 물체측 굴절면의 곡률 C1과 근용부 측정 기준점에서의 물체측 굴절면의 곡률 C2 사이에 C1<C2의 관계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근용부 측정 기준점으로부터 외주부의 영역에서의 물체측 굴절면의 곡률을 C3라고 한 경우, C3<C2의 관계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안구측 굴절면은 안경 착용시의 광학 성능을 보정하기 위한 비구면 요소를 부가한 누진 굴절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광학 성능을 보정하기 위한 비구면 요소는 원용부 영역과 근용부 영역에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착용시에서의 정점간 거리 및 착용시 전 경사각 및 작업 거리중 어느 하나의 요소를 고려하여 비구면 요소를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안구측 굴절면은 난시 보정 요소를 부가한 누진 굴절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원용부 측정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 5㎜의 범위에서, 물체측 굴절면의 곡률 변화 ΔC1은 ΔC1≤0.25/(n-1)의 관계를 만족시키며 여기서, n은 렌즈 기재의 굴절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근용부 측정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 5㎜의 범위에서, 물체측 굴절면의 곡률 변화 ΔC2는 ΔC2≤0.25/(n-1)의 관계를 만족시키며, 여기서, n은 렌즈 기재의 굴절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산업상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굴절 보정용 누진 굴절력 안경 렌즈의 제조에 이용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누진 굴절력 렌즈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곡률 변화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곡률 변화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곡률 변화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곡률 변화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곡률 변화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곡률 변화도,
도 8은 누진 굴절력 렌즈의 개념도,
도 9는 안경 렌즈의 단면도,
도 10은 누진 굴절력 렌즈의 레이아웃도,
도 11은 외면 누진 굴절력 렌즈의 개념도,
도 12는 내면 누진 굴절력 렌즈의 개념도,
도 13은 안경 착용시의 파라미터 설명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도 1에 본 발명의 누진 굴절력 렌즈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누진 굴절력 렌즈에서의 최대의 특징은, 물체측 굴절면이 회전축 대칭인 비구면 형상이며, 원용부 측정 기준점에서의 곡률 C1이 근용부 측정 기준점에서의 곡률 C2보다 작은 점에 있다.
C1〈 C2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면 누진 굴절력 렌즈는 안구측 굴절면의 근용부 영역의 곡률의 제한에 의해 물체측 굴절면의 곡률이 결정되어 버린다. 외면 누진 굴절력 렌즈에서는 물체측 굴절면의 원용부 영역의 곡률과 근용부 영역의 곡률을 바꿀 수 있었기 때문에, 평평한 형상이 되도록 곡률을 설정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내면 누진 굴절력 렌즈이면서, 물체측 굴절면의 원용부 영역과 근용부 영역의 곡률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 박형화를 도모한다. 양면 누진 굴절력 렌즈와 크게 다른 것은, 물체측 굴절면의 회전축 대칭이라는 비교적 단순한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는 점에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실시예 1의 물체측 굴절면의 곡률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예 1에서는 렌즈의 기하학중심 O를 지나는 축을 회전의 대칭축으로 하고 있다. 도면의 가로축은 곡률의 값, 세로축은 렌즈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낸다. 도면의 윗쪽이 원용부 영역, 아래쪽이 중간부 영역 및 근용부 영역에 상당한다. 곡률의 변화는 O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 대칭으로 되어 있다. 원용부 측정 기준점에서의 곡률의 값은 근용부 측정 기준점에서의 곡률의 값보다 작아지고 있다. 예컨대, 원용 굴절력 3.00D, 가입 굴절력 3.00D의 렌즈를 제조하는 경우, 우선 안구측 굴절면의 근용부 영역의 표면 굴절력은, 가공의 한계인 0.45D라고 한다. 원용 굴절력 3.00D, 가입 굴절력 3.00D의 렌즈는, 근용 굴절력이 6.00D이므로, 물체측 굴절면의 근용부 영역의 표면 굴절력은 6.45D 필요해진다. 굴절률 n= 1.67인 렌즈의 경우, 이 물체측 굴절면의 근용부 곡률 C2는 9.63m-1이 된다. 원용부 측정 기준점의 곡률 C1은 C2보다 작은 값이 되도록 설정되고, 예컨대 본 실시예로서는 8.13m-1로 했다. 이것은 표면 굴절력으로 환산하면 5.45D이며, 근용부 측정 기준점보다 정확히 1.00D 작은 값이다. 또한, 근용부 측정 기준점으로부터 외주부의 영역과 회전축 근방에서 곡률이 작아지고 있으며, 볼록면측의 평균 곡률은 9.63m-1보다 작아지는 것은 쉽게 상상할 수 있다.
렌즈 구경이 직경 75㎜인 경우, 물체측 굴절면의 곡률이 9.63m-1의 일정값인 내면 누진 굴절력 렌즈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의 누진 굴절력 렌즈에서는 볼록면의 튀어나온 높이가 약 0.6㎜ 줄어들어, 외관을 개선할 수 있었다. 또한, 물체측 굴절면의 원용부 영역의 표면 굴절력이 5.45D로 되었기 때문에, 안구측 굴절면의 원용부 영역 표면 굴절력은 2.45D로 된다. 근용부의 표면 굴절력은 0.45D이기 때문에, 안구측 굴절면의 원용부 영역과 근용부 영역의 표면 굴절력의 차는 2.00D로 끝나게 된다. 안경 렌즈 설계자에게 있어서는 상식이지만, 표면 굴절력의 차가 작은 누진 굴절면일수록 왜곡이 저감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누진 굴절력 렌즈는 착용하는 사람의 마음의 개선도 실현했다.
도 3은 실시예 2의 물체측 굴절면의 곡률 변화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로서는 원용부 측정 기준점과 근용부 측정 기준점을 중심으로 직경 5㎜의 범위에서 일정한 곡률값으로 되어 있다. 원용부 측정 기준점이나 근용부 측정 기준점은 렌즈의 수단을 검사하기 위해서 렌즈 미터 등에 의해서 굴절력을 측정하는 부분이 된다. 일반적으로 렌즈 미터는 최소 직경 5㎜의 개구경으로 측정하기 때문에, 이 범위의 곡률 변화를 적게 함으로써 안정한 굴절력 측정이 가능해진다. 필자의 연구에 의하면, 이 범위 내에서 0.25D에 상당하는 곡률의 변화가 있는 경우, 굴절력의 허용차가 JIS나 ISO 규격으로 규정되어 있는 값을 넘는 경우가 있었다. 이 때문에, 원용부 상정 기준점 및 근용부 측정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 5㎜의 범위는, 표면 굴절력의 변화가 0.25D 이내로 마무리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용부 측정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 5㎜의 영역내에서의, 최대 곡률과 최소 곡률의 차를 ΔC1이라고 하면, 아래와 같이 된다.
ΔC1≤0.25·(n-1)
여기서, n은 렌즈 기재의 굴절률이다.
또한, 마찬가지로 근용부 측정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 5㎜의 영역내에서의 최대 곡률과 최소 곡률의 차를 ΔC2이라고 하면, 아래와 같이 된다.
ΔC2≤0.25·(n-1)
상기의 최대 곡률이나 최소 곡률은, 예컨대 1㎜ 간격으로 3차원 형상 측정한 데이터에 일반적인 곡면 방정식을 적용하여 용이하게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최대 곡률과 최소 곡률이란, 상기 소정의 영역 내에서의 임의의 1점에서의 최대 곡률과 최소 곡률 뿐만 아니라, 영역 내의 최대 곡률을 갖는 점에서의 최대 곡률과, 영역 내의 다른 장소에 있는 최소 곡률을 갖는 점에서의 최소 곡률과의 조합도 포함한다. 임의의 1점에서의 최대 곡률과 최소 곡률의 차는 비점수차를 생기게 하고, 다른 점 사이에서의 최대 곡률과 최소 곡률의 차는 그 영역 내의 초점 위치의 격차를 생기게 한다. 이들은 어느 쪽도 이미지가 흐려지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극력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실시예 3의 곡률 변화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중심으로부터 외주에 걸쳐 곡률이 단조롭게 증가하고 있으며, 상기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박형화의 효과는 줄어들고 있다. 그러나, 물체측 굴절면의 형상은 매우 단순한 형태로 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대폭 삭감할 수 있었다.
도 5는 실시예 4의 곡률 변화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용부 측정 기준점보다도 근용부 측정 기준점쪽이 회전 중심 O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이것은, 특히 근시를 중시한 누진 굴절력 렌즈에 대응하는 것이다.
도 6은 실시예 5의 곡률 변화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로서는, 물체측 굴절면의 회전축이 렌즈의 기하학 중심 O가 아니라, 근용부 측정 기준점을 지나도록 설계되었다. 회전축이 렌즈의 기하학 중심에 없기 때문에, 물체측 굴절면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보다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지만, 근용부 측정 기 준점 근방이외에서는 곡률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박형화의 효과는 크다. 또한, 곡률의 변화가 단조롭기 때문에, 안경의 착용 상태(정점간 거리나 착용시 전 경사각, 작업 거리 등, 도 13 참조)에 맞춰 안구측 굴절면에 비구면 보정을 행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 6의 곡률 변화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축이 원용부 측정 기준점을 지나도록 설계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곡률 변화의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하여 왔지만, 구체적인 숫자는 명시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안경 렌즈의 경우 처방 도수에 의해서 물체측 굴절면의 기준이 되는 곡률은 다양하게 설정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기준값을 특정하는 것은 주지가 아니고, 그 변화의 모양만을 나타내었다. 또한, 원용부 측정 기준점과 근용부 측정 기준점의 곡률차의 값도 임의로 정하면 되고, 근용부 측정 기준점 근방 이외의 장소에서는 근용부 측정 기준점에서의 곡률보다 작은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서, 내면 누진 굴절력 렌즈보다 물체측 굴절면이 튀어나오는 것을 줄일 수 있어, 외관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원용부 측정 기준점의 표면 굴절력을 근용부 측정 기준점보다 줄일 수 있어, 안구측 굴절면쪽의 표면 굴절력 차가 감소하여 이미지의 왜곡을 개선할 수 있다. 또, 안구측 굴절면에는, 시판되어 있는 내면 누진 굴절력 렌즈와 마찬가지로, 난시 굴절력이나 착용 상태를 고려한 보정 비구면도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원용부 굴절력이 플러스 도수인 경우에 대하여 개선 효과를 설명하여 왔지만, 원용부 굴절력이 마이너스 도수인 경우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원용부 굴절력이 -6.00D, 가입 굴절력 3.00D인 경우, 내면 누진 굴절력 렌즈에서는 물체측 굴절면을 1.00D의 구면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누진 굴절력 렌즈에서는 물체측 굴절면의 원용부 측정 기준점에서 표면 굴절력을 1.00D로 하고, 근용부 측정 기준점에서는 2.00D가 되기 위한 회전축 대칭의 비구면으로 설정하면, 평균 표면 굴절력은 내면 누진 굴절력 렌즈보다 커져, 물체측 굴절면의 튀어나오는 것은 커지지만, 그 만큼 렌즈의 에지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마이너스 도수 렌즈에서는 물체측 굴절면은 원래 평면에 가까운 형상을 하고 있으며, 다소 곡률이 증가하더라도 외관을 악화시키지 않는다. 에지 두께는 렌즈가 프레임에 꼭 맞을 때 특히 눈에 띄기 때문에, 특히 마이너스 도수가 강한 렌즈를 착용하는 사람들은 박형화에 대한 바람이 강하다.

Claims (8)

  1. 원용부(遠用部) 영역, 근용부(近用部) 영역, 중간부 영역을 갖고, 물체측 굴절면은 회전축 대칭인 비구면의 일부에 의해 구성되고, 안구측 굴절면은 누진 굴절면인 누진 굴절력 렌즈에 있어서,
    원용부 측정 기준점에서의 물체측 굴절면의 곡률 C1과 근용부 측정 기준점에서의 물체측 굴절면의 곡률 C2 사이에 C1<C2의 관계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진 굴절력 렌즈.
  2. 제 1 항에 있어서,
    근용부 측정 기준점으로부터 외주부의 영역에서의 물체측 굴절면의 곡률을 C3라고 한 경우, C3<C2의 관계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진 굴절력 렌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안구측 굴절면은 안경 착용시의 광학 성능을 보정하기 위한 비구면 요소를 부가한 누진 굴절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진 굴절력 렌즈.
  4. 제 3 항에 있어서,
    근용부 영역에서 광학 성능을 보정하기 위한 비구면 요소는, 원용부 영역에서 광학 성능을 보정하기 위한 비구면 요소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진 굴절력 렌즈.
  5. 제 3 항에 있어서,
    착용시에서의 정점(頂点)간 거리, 착용시 전 경사각 및 작업 거리 중 어느 하나의 요소를 고려하여 비구면 요소를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진 굴절력 렌즈.
  6. 제 1 항에 있어서,
    안구측 굴절면은 난시 보정 요소를 부가한 누진 굴절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진 굴절력 렌즈.
  7. 제 1 항에 있어서,
    원용부 측정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 5mm의 범위에서, 물체측 굴절면의 곡률 변화 ΔC1은 ΔC1≤0.25/(n-1)의 관계를 만족시키며, 여기서, n은 렌즈 기재(基材)의 굴절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진 굴절력 렌즈.
  8. 제 1 항에 있어서,
    근용부 측정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 5mm의 범위에서, 물체측 굴절면의 곡률 변화 ΔC2는 ΔC2≤0.25/(n-1)의 관계를 만족시키며, 여기서, n은 렌즈 기재의 굴절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진 굴절력 렌즈.
KR1020047016801A 2003-02-19 2004-02-17 누진 굴절력 렌즈 KR1006594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41780 2003-02-19
JP2003041780A JP3882764B2 (ja) 2003-02-19 2003-02-19 累進屈折力レンズ
PCT/JP2004/001742 WO2004074907A1 (ja) 2003-02-19 2004-02-17 累進屈折力レン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6171A KR20050006171A (ko) 2005-01-15
KR100659434B1 true KR100659434B1 (ko) 2006-12-19

Family

ID=32905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6801A KR100659434B1 (ko) 2003-02-19 2004-02-17 누진 굴절력 렌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59981B2 (ko)
EP (1) EP1610167A4 (ko)
JP (1) JP3882764B2 (ko)
KR (1) KR100659434B1 (ko)
CN (1) CN100347589C (ko)
WO (1) WO20040749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9799B1 (en) * 1999-07-02 2003-09-16 E-Vision, Llc Optical lens system with electro-active lens having alterably different focal lengths
US7023594B2 (en) * 2000-06-23 2006-04-04 E-Vision, Llc Electro-optic lens with integrated components
US7775660B2 (en) 1999-07-02 2010-08-17 E-Vision Llc Electro-active ophthalmic lens having an optical power blending region
US20080106633A1 (en) * 2002-03-13 2008-05-08 Blum Ronald D Electro-optic lens with integrated components for varying refractive properties
US9801709B2 (en) 2004-11-02 2017-10-31 E-Vision Smart Optics, Inc. Electro-active intraocular lenses
US8778022B2 (en) 2004-11-02 2014-07-15 E-Vision Smart Optics Inc. Electro-active intraocular lenses
US8931896B2 (en) 2004-11-02 2015-01-13 E-Vision Smart Optics Inc. Eyewear including a docking station
JP4475654B2 (ja) 2005-05-19 2010-06-09 東海光学株式会社 累進屈折力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69914B2 (ja) * 2006-07-20 2015-08-26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累進屈折力レンズの設計方法、製造方法および眼鏡レンズの供給システム
AR064985A1 (es) 2007-01-22 2009-05-06 E Vision Llc Lente electroactivo flexible
EP2115519A4 (en) * 2007-02-23 2012-12-05 Pixeloptics Inc DYNAMIC OPHTHALMIC OPENING
US20080273169A1 (en) * 2007-03-29 2008-11-06 Blum Ronald D Multifocal Lens Having a Progressive Optical Power Region and a Discontinuity
US20090091818A1 (en) * 2007-10-05 2009-04-09 Haddock Joshua N Electro-active insert
WO2008112037A1 (en) * 2007-03-07 2008-09-18 Pixeloptics, Inc. Multifocal lens having a progressive optical power region and a discontinuity
US7883207B2 (en) 2007-12-14 2011-02-08 Pixeloptics, Inc. Refractive-diffractive multifocal lens
KR100900090B1 (ko) * 2007-07-10 2009-05-28 주식회사 드림옵티칼 누진 다초점 렌즈용 볼록 유리 몰드
WO2009079341A1 (en) * 2007-12-14 2009-06-25 Pixeloptics Inc. Multiple layer multifocal composite lens
AU2013228002B2 (en) * 2007-12-14 2014-08-07 Mitsui Chemicals, Inc. Multiple layer multifocal composite lens
US7926941B2 (en) * 2007-12-14 2011-04-19 Pixeloptics Inc. Multiple layer multifocal composite lens
US7744215B2 (en) * 2007-12-25 2010-06-29 Pixeloptics, Inc. Multiple layer multifocal composite lens
KR20100114133A (ko) 2008-03-18 2010-10-22 픽셀옵틱스, 인크. 진보한 전기-활성 광학 장치
US8154804B2 (en) * 2008-03-25 2012-04-10 E-Vision Smart Optics, Inc. Electro-optic lenses for correction of higher order aberrations
US8100529B2 (en) * 2008-07-31 2012-01-24 Hoya Corporation Progressive-addition lens
JP5286473B2 (ja) * 2009-03-31 2013-09-11 ホーヤ レンズ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フィリピン インク 累進屈折力眼鏡レンズの設計方法
EP2800993A2 (en) 2012-01-06 2014-11-12 HPO Assets LLC Eyewear docking station and electronic module
JP6095271B2 (ja) * 2012-03-05 2017-03-15 イーエイチエス レンズ フィリピン インク レンズセット、レンズ設計方法及びレンズ製造方法
JPWO2015186767A1 (ja) * 2014-06-04 2017-04-20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HOYA Lens Thailand Ltd 累進屈折力レンズ
EP3153914B1 (en) * 2014-06-04 2023-12-20 Hoya Lens Thailand Ltd. Progressive power lens
JP6312538B2 (ja) * 2014-06-18 2018-04-18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レンズ設計方法、レンズ製造方法、レンズ設計プログラム、及びレンズ設計システム
CN112946922B (zh) * 2014-08-28 2022-10-11 香港理工大学 具有矫正散光的自由曲面渐进式镜片的设计方法及镜片
CN104360496A (zh) * 2014-09-29 2015-02-18 上海万明眼镜有限公司 一种个性化大面弯偏光太阳镜镜片及其制备方法
CN104297942A (zh) * 2014-09-29 2015-01-21 上海万明眼镜有限公司 一种减薄的远视镜片及其制备方法
CN104297943B (zh) * 2014-10-09 2017-09-05 河南工业职业技术学院 光学玻璃渐进多焦点镜片及其制作方法和应用
JP6483147B2 (ja) * 2014-10-10 2019-03-13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HOYA Lens Thailand Ltd 累進屈折力レンズ
WO2017064032A1 (en) * 2015-10-15 2017-04-20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An ophthalmic progressive addition lens for an emmetropic and presbyopic wearer; method for providing such a lens
JP6991135B2 (ja) * 2015-10-15 2022-01-12 エシロール・アンテルナシオナル 累進レンズの光学系を判定する方法
WO2017064041A1 (en) * 2015-10-15 2017-04-20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An ophthalmic progressive addition lens for a myopic or emmetropic presbyopic wearer; method for providing such a lens
DE102015223983A1 (de) * 2015-12-02 2017-06-08 Carl Zeiss Smt Gmbh Verfahren zum Polieren einer optischen Oberfläche und optisches Element
US10599006B2 (en) 2016-04-12 2020-03-24 E-Vision Smart Optics, Inc. Electro-active lenses with raised resistive bridges
ES2861520T3 (es) 2016-04-12 2021-10-06 E Vision Smart Optics Inc Lentes electroactivas con puentes resistivos elevados
CN105807446B (zh) * 2016-04-18 2018-09-11 南开大学 一种矫正管状视野的光学眼镜的设计方法
JP2018112633A (ja) * 2017-01-10 2018-07-19 伊藤光学工業株式会社 累進屈折力レンズ
JP6707040B2 (ja) * 2017-02-06 2020-06-10 伊藤光学工業株式会社 眼鏡用レンズの設計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8415A (ja) * 1982-09-29 1984-04-04 Seiko Epson Corp 累進多焦点レンズ
BE899955A (nl) * 1984-06-19 1984-10-15 Optimed Nv Werkwijze voor het produceren van een brilglas voor myopen.
DE68921432T2 (de) * 1988-11-29 1995-08-10 Seiko Epson Corp Brillenlinse.
US6019470A (en) * 1995-11-24 2000-02-01 Seiko Epson Corporation Progressive multifocal len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eyeglass lens and progressive multifocal lens
EP0809127B9 (en) * 1995-11-24 2010-06-23 Seiko Epson Corporation Multifocal lens for eyeglasses and eyeglass lens
US5892565A (en) * 1996-10-18 1999-04-06 Nikon Corporation Progressive multifocal lens
DE19701312A1 (de) * 1997-01-16 1998-07-23 Zeiss Carl Fa Brillenglas mit sphärischer Vorderseite und multifokaler Rückseite, sowie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6086203A (en) * 1998-09-03 2000-07-11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Progressive addition lenses
IL132466A (en) * 1999-05-20 2002-09-12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Methods of manufacturing lenses with refractive power are gradually increasing
EP1410098B1 (de) * 2000-01-17 2008-09-03 Rodenstock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rogressiven brillengläsern
AU7385701A (en) * 2000-04-25 2001-11-07 Rodenstock Optik G Progressive spectacle glass
US6505934B1 (en) * 2001-04-27 2003-01-14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Progressive addition lenses with prism power added to improve wearer comf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82764B2 (ja) 2007-02-21
US20050099596A1 (en) 2005-05-12
JP2004264365A (ja) 2004-09-24
CN100347589C (zh) 2007-11-07
US7159981B2 (en) 2007-01-09
KR20050006171A (ko) 2005-01-15
WO2004074907A1 (ja) 2004-09-02
CN1697992A (zh) 2005-11-16
EP1610167A4 (en) 2010-05-19
EP1610167A1 (en) 2005-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9434B1 (ko) 누진 굴절력 렌즈
KR100940699B1 (ko) 누진 굴절력 렌즈
JP3800629B2 (ja) 眼鏡用多焦点レンズおよび眼鏡レンズ
JP3852116B2 (ja) 累進多焦点レンズ及び眼鏡レンズ
JP4164550B2 (ja) 累進屈折力眼鏡レンズ
KR20000047896A (ko) 콘택트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JP6515098B2 (ja) 累進屈折力レンズ
EP2492740A2 (en) Progressive power lens and method for designing progressive-power lens
JP3757682B2 (ja) 累進屈折力レンズの設計方法
CN112684611A (zh) 角膜塑形镜设计方法、制造方法以及角膜塑形镜
US20210318556A1 (en) Ophthalmic lens, design method for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and ophthalmic lens set
CN106461977B (zh) 渐进屈光力镜片
JP3343126B2 (ja) 非球面眼鏡レンズ設計方法
CN210982947U (zh) 角膜塑形镜
JP2008249828A (ja) 眼鏡レンズおよびその設計方法
KR100705120B1 (ko) 누진 굴절력 렌즈 및 제조 방법
JP2002323681A (ja) 累進多焦点レンズの製造方法
JP2004109813A (ja) 累進多焦点レンズ及びその設計方法
JP2004309589A (ja) 累進多焦点レンズ及びその設計方法
JP3226108B2 (ja) 累進焦点レンズの製造方法
JP2004309588A (ja) 累進多焦点レンズ及びその設計方法
JP2006030785A (ja) 多焦点眼鏡レンズ
JP2018112633A (ja) 累進屈折力レンズ
JP2002031785A (ja) 非球面眼鏡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