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7785B1 - 글리메피리드, 메트포르민 및 은행엽엑스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글리메피리드, 메트포르민 및 은행엽엑스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7785B1
KR100657785B1 KR1020050013849A KR20050013849A KR100657785B1 KR 100657785 B1 KR100657785 B1 KR 100657785B1 KR 1020050013849 A KR1020050013849 A KR 1020050013849A KR 20050013849 A KR20050013849 A KR 20050013849A KR 100657785 B1 KR100657785 B1 KR 100657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formin
glymepiride
diabetes
weigh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3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근우
길영식
정상영
유창훈
안기영
신현모
박상만
하대철
안건석
Original Assignee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3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77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7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77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당뇨병 치료 및 당뇨병에 따르는 특정 합병증 예방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복합 당뇨병 치료제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글리메피리드, 은행엽엑스 및 메트포르민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글리메피리드, 은행엽엑스 및 메트포르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상기 메트포르민의 염류 또는 수화물을 포함하고, 상기에서 글리메피리드, 은행엽엑스 및 메트포르민의 성분비는 성분인 글리메피리드: 메트포르민: 글리메피리드 = 0.5 내지 4 : 200 내지 500 : 5 내지 40 이 될 수 있다.
설포닐우레아, 비구아니드, 혈액순환개선제, 당뇨병 치료

Description

글리메피리드, 메트포르민 및 은행엽엑스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A Medical Agent Containing Glimepiride, Metformin and Ginkgo biloba extract}
본 발명은 당뇨병 치료 및 당뇨병에 따르는 특정 합병증 예방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복합 당뇨병 치료제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글리메피리드, 메트포르민 및 은행엽엑스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설포닐우레아계 당뇨병 치료제, 비구아니드계 당뇨병 치료제 및 혈액순환개선제의 복합 조성물은 효과적이고 안정적인 혈당 조절과 그의 주요 합병증인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빈도를 현저하게 감소시켜 당뇨병 치료 효과를 극대화 시켜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구용 혈당강하제는 일반적으로 설포닐우레아계(sulfonyl urea), 비구아니드계(biguanide), 알파-글루코시다제 억제제(Alpha glucosidae inhibitor) 및 인슐린 증감제(insulin sensitiser)로 분류된다. 상기 설포닐우레아계 당뇨병 치료제는 췌장의 랑게르한스섬의 베타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하여 칼륨이온의 세포 외 이동을 저해하여 탈분극을 유도해 칼슘이온의 세포 내 이동을 증가시켜 인슐린 분비가 촉진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이 계열의 항당뇨병 약물은 베타세포의 인슐린 분비기능이 유지되고 있는 경우에만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설포닐우레아계의 주요 약물은 클로르프로파미드(chlorpropamide), 글리벤클라미드(glibenclamide), 글리클라지드(gliclazide) 및 글리메피리드(glimepiride) 등이 있는데 주로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으로 혈당이 적절히 조절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된다. 그러나 공복혈당이 250mg/dL 이상인 경우에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비구아니드계 약물과 병용하거나 인슐린 요법으로 전환해야 한다. 메트포르민은 비구아니드계 대표 약물로써, 소장에서 당 흡수 억제, 근육 및 지방조직 등의 말초조직에서의 인슐린작용의 강화 또는 간에서의 포도당 신생 억제 등으로 혈당을 저하하지만 설포닐우레아계 약물과는 달리 인슐린분비를 증가시키지는 않는다. 저혈당을 유발하지 않으므로 단독요법 또는 설포닐우레아계 약물과 병용요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약 30% 에서는 한 종류의 약물로 혈당을 적절히 조절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두 종류 이상의 약물의 투여가 요구되고, 이 중 가장 많이 알려진 것이 메트포르민과 설포닐우레아계 약물의 조합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병용요법은 설포닐우레아계 약물이나 메트포르민 약제의 최대 용량 투여 시에도 혈당 조절이 불량한 경우 종종 사용되는데, 그 대표적인 예로, 글리벤클라미드와 메트포르민의 복합제제를 들 수 있다(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03-0051858).
당뇨병 치료 및 관리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것은 합병증의 예방이다. 당뇨병성 합병증은 급성 합병증인 케톤산증, 고삼투압성 혼수 및 저혈당증이 있고 만성 합병증으로는 당뇨병성 안과질환, 신장 질환, 심혈관계 질환 및 신경합병증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최근 가장 중요시 되는 질환은 심혈관계 질환이다. 당뇨병 환자는 당뇨병 전단계부터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이 시작되며, 제 2형 당뇨병이 진단되는 시점에서는 약 50%의 환자에서 대혈관합병증이나 미세혈관합병증을 동반한다고 알려져 있다. Helsinki Policemen study에 의하면 허혈성심질환이 없는 34세 이상의 남성을 대상으로 22년간 조사한 결과, 인슐린저항성에 따라 대상군을 5군으로 나누었을 때 인슐린저항상이 가장 높은 군에서 나머지 4군에 비해 심근경색증 또는 이로 인한 사망률이 2-5배 증가된다고 보고하였다.
제 1형 및 2형 당뇨병 환자의 관리에 있어서 임상적으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혈관성 만성 합병증의 발생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죽상동맥경화로 인한 대혈관 합병증은 당뇨병 환자의 주된 사망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죽상동맥경화 발생에 있어서 혈관내피세포기능 이상이 중요한 원인 인자로서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혈관합병증이 유발되지 않은 제 2형 당뇨병 및 미세 단백뇨를 보이는 제 1형 당뇨병 환자에서도 혈관내피세포의 기능이상이 발견되었다고 보고되었다. 당뇨병에서 혈관내피세포의 기능 이상에 관여하는 인자들로는 프로테인키나아제-씨(Potein kinase C) 활성에 의한 일산화질소(NO) 생성감소, 성장 인자(growth factor) 및 사이토카인(cytokines) 생성의 증가, 산화스트레스(oxidative stress)등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화스트레스는 당뇨병 만성합병증의 병인론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고혈당에서 초래되는 활성산소족(reactive oxygen species)의 생성 증가 및 불충분한 제거가 혈관합병증을 일으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당뇨병 상태에서는 혈중 포도당 농도뿐만 아니라 혈중 유리 지방산의 농도가 증가되어 있으며, 이와 더불어 지질산화율이 증가되었음이 알려져 있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중성지방 분해 산물이 혈관내피세포에 손상을 초래하여 알부민과 같은 단백질의 투과를 증가시키고, 이런 혈관기능의 장애는 유리지방산의 농도와 관계가 있고, 배양된 혈관내피세포에 불포화 지방산을 첨가했을 경우 산화 손상이 촉진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처럼 당뇨병 합병증을 야기시키는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손상을 지연시키거나 예방하는 데 있어 효과적인 치료 방법은 여전히 제한된 상태로 남아 있다.
최근 미국당뇨협회(ADA)의 새로운 치료 가이드 라인을 보면 거의 모든 당뇨병 환자들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기 위해 스타틴계 약물의 복용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매일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이는 영국의 의학저널 '란센트' 잡지에 스타틴계 약물 복용자들의 뇌졸중 발병률이 3분의 1이상 감소되었음을 입증한 연구결과에 주목하고 스타틴계 약물 복용시 상당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이와 같이 당뇨병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혈관 병리학상 이상 증후가 없어도 예방 목적으로 다른 약물을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혈당에 기인하여 전신혈액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당뇨병 환자의 경우 혈당강하제와 함께 혈액순환개선제를 복합 투여함으로써 적절한 혈당강하뿐만 아니라, 말초 조직의 원활한 영양소 및 산소 공급과 혈액 점도 감소를 통한 합병증 예방을 기대할 수 있다.
혈액순환개선제로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은 천연물 추출물인 은행엽엑스 (Ginkgo biloba extract)이다. 은행엽엑스는 은행나무(Ginkgo biloba Linne)의 잎을 아세톤과 물로 추출한 것으로, 그 대표적인 성분은 24%의 플라보노이드류(flavonoids: ginkgo-flavone glycosides)와 6%의 텔펜노이드류(terpenoids: ginkgolides, bilobalide)이며, 그외 푸로안토시아니딘(proantjocyanidin)과 유기산등을 함유한다[Vanhaelen, Planta Med. 55, 202(1989)참조]. 즉, 플라보노이드류는 주로 자유라디칼 스캐번저(free radical scavenger)로서 항산화작용을 나타내며, 깅코라이드 비(ginkgolide B)는 PAF 길항작용을 지녀 혈소판 응집을 억제한다[Eur. J. Pharmacol. 127(1-2), 83, 1986]. 은행엽엑스는 이러한 여러 가지 주성분들의 복합적인 작용기전에 의해 산화 스트레스 해소 및 말초혈관의 순환장애를 해결하므로 경구용 혈당 강하제와 복합 투여 시, 당뇨병 치료 및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에서는 당뇨병 치료에 있어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하여 이와 같은 은행엽엑스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당뇨병 치료에 있어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하여 글리메피리드, 메트포르민 및 은행엽엑스를 사용한 새로운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성분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효과적인 혈당 조절 및 당뇨병 합병증의 발생 원인으로 생각되는 혈관합병증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아래에서 제시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시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글리메피리드, 은행엽엑스 및 메트포르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상기 메트포르민의 염류 또는 수화물을 포함하고, 상기에서 글리메피리드, 은행엽엑스 및 메트포르민은 중량비로 글리메피리드: 염산메트포르민: 글리메피리드 = 0.5 내지 4 : 200 내지 500 : 5 내지 40이 되게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글리메피리드 1 내지 8 밀리그람, 염산메트포르민 400 내지 1000 밀리그람 및 은행엽엑스 10 내지 80 밀리그람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결합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제는 포비돈, 코폴리비도늄, 카보머, 셀룰로오스유도체류, 폴리메타크릴레이트류, 젤라틴, 덱스트린, 전분류, 폴리사카라이드유도체류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 되고, 상기 결합제의 양은 전체 중량 대비 0.5 내지 10 중량%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결합제는 활성 성분의 파우더 코팅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체 중량 대비 1 내지 10 중량%의 붕해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붕해제는 저치환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크로스카멜로오스소디움, 크로스포비돈, 전호화전분, 소듐전분글리콜레이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조성물은 단일층 정제, 필름 코팅된 형태의 정제 또는 다층 정제의 형태로 될 수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은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글리메피리드, 염산메트포르민 및 은행엽엑스를 포함하고, 그리고 추가적으로 새로운 경구 투여용 조성물로서 1종 이상의 약제학적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형제(락토스, 수크로스, D-만니톨,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미결정셀룰로오스, 무수인산칼슘 등), 붕해제(예를 들면, 저치환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미결정셀룰로오스, 크로스카멜로오스소디움, 크로스포비돈,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전호화전분, 소듐전분글리콜레이트, 이온교환수지 등), 결합제(예를 들면, 포비돈, 코폴리비도늄, 카보머,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프로필셀룰로오스, 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젤라틴, 덱스트린, 백당, 포도당, 만니톨, 소르비톨, 잔탄껌, 아라비아껌, 카라지나껌 등) 및 활택제(탈크,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칼슘, 스테아린산, 콜로이드성 실리카, 폴리에틸렌글리콜6000 등)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조성물에 대하여 각 성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1) 활성 성분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활성 성분으로서 글리메피리드, 은행엽엑스 및 염산메트포르민을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에서 활성 물질의 성분비는 중량비로 글리메피리드: 염산메트포르민: 글리메피리드 = 0.5 내지 4 : 200 내지 500 : 5 내지 40 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활성 성분인 글리메피리드 1 내지 8 밀리그람; 염산메트포르민 400 내지 1000 밀리그람; 및 은행엽엑스 10 내지 80 밀리그람을 포함할 수 있다.
2) 부형제의 사용 및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글리메피리드, 염산메트포르민 및 은행엽엑스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적 투여를 위해 통상적으로 정제(단층, 다층), 경질캡슐, 연질캡슐, 에멀젼 또는 시럽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태의 제조 과정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고형 또는 액상 부형제가 활성 성분의 적절한 방출 및 안정을 위하여 또는 투약 순응도를 높이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일반적인 경구용 고체 투여 형태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2종 이상의 복합체 의약품을 제조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환자의 복약 순응도 및 편의성을 위해 제제의 크기 및 중량은 환자가 거부감을 느끼지 않을 정도로 작아야 하며, 동시에 치료 안정성 및 신뢰성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활성 성분 중 염산메트포르민과 같이 총 중량이 많고 자체의 결합력이 없는 경우 습식과립법 및 파우더 코팅법(powder coating)을 사용하여 적은 양의 결합제로 고형 제제를 제조할 수 있다. 습식 과립법에 사용되는 결합제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결합제 예를 들면, 포비돈, 코폴리비도늄, 카보머, 셀룰로오스유도체류(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등), 폴리메타크릴레이트류(유드라짓 E100, NE30D, L100, S100, RL100, PL-PO, RS100, RS-PO), 젤라틴, 덱스트린, 전분류(옥수수전분, 감자전분 등) 또는 폴리사카라이드 유도체류(백당, 포도당, 만니톨, 소르비톨, 잔탄껌, 아라비아껌, 카라지나껌 등) 등이 될 수 있다. 파우더 코팅법에 사용되는 코팅기제로는 셀룰로오스유도체류(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등), 폴리메타크릴레이트류(유드라짓 E100, NE30D, L100, S100, RL100, PL-PO, RS100, RS-PO), 또는 상기에서 언급한 결합제 중의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합제 및 코팅 기제의 양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10 중량%가 될 수 있다. 결합제 및 코팅기제의 양이 0.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게 되면, 결합력이 적어 타정시 장애가 발생하며, 10 중량%를 초과하면 붕해 및 용출을 지연시켜 원하는 생체이용률을 기대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상기 결합제는 활성 성분의 파우더 코팅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복합제 개발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고형 제제에서 활성 성분이 유효 적절하게 방출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고형 제제에서 활성 성분의 방출은 붕해제를 유효 적절하게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붕해제는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유도체(저치환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미결정셀룰로오스, 크로스카멜로오스소디움 등), 크로스포비돈, 전분류(옥수수전분, 감자전분 등), 전분유도체(전호화전분, 소듐전분글리콜레이트 등) 또는 이온교환수지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활성 성분으로 이루어진 복합제 개발시 붕해제의 양은 0.5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붕해제 양이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게 되면 적절한 활성 성분의 방출을 기대할 수 없고, 20 중량% 이상을 포함하게 되면 인습 현상이 증가되며 제제의 안정성에 심각한 영향을 초래하며 총 중량도 증가하여 환자의 투약 순응도 및 편의성에 역행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 예를 통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단일 층의 정제 또는 상기 단일 층 정제에 필름 코팅이 된 정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아래에서 상기 단일 층 정제에 대한 실시 예 1 내지 실시 예 3을 표 1로 제시하고 그리고 상기 단일 층의 필름 코팅에 대한 실시 예를 표 2로 제시하였다.
표 1: 단층정 실시 예
중량%
성분명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글리메피리드 0.25 0.25 0.33
염산메트포르민 62.5 62.5 83.3
은행엽엑스 5.0 10.0 3.3
미결정셀룰로오스 21.0 21.0 -
플라스돈 S-630 7.5 - -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 5.0 -
히프로멜로스 - - 7.67
전분글리콜산나트륨 3.0 - 3.0
크로스카멜로오스소디움 - 3.0
탈크 - - 1.0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75 0.75 1.4
총중량% 100 100 100
표 2: 필름코팅 조성물
성분명 중량%
히프로멜로스 54.8
디에칠프랄레이트 8.4
에칠셀룰로오스 13.6
이산화티탄 23.2
총중량% 100
표 1의 실시 예1은 통상의 습식 과립법으로, 포비돈 또는 히드록시프로필세룰로오스를 물 또는 유기용매에 가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활성 성분 및 부형제를 혼합하여 과립물을 제조한다. 그 후 붕해제 및 활택제를 가하여 혼합 후 타정한다. 표 1로 제시된 실시 예 2 또는 3은 통상의 파우더 코팅법을 사용하여 제조한 것으로, 히프로멜로스를 물 또는 유기용매에 가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유동층 코팅기를 사용하여 활성 성분을 피복하고 붕해제 및 활택제를 가하여 혼합한 후 타정한다. 언급된 실시 예 1 내지 3의 정제는 표 2의 필름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정제 전체 100 중량%에 2.0 내지 4.0 중량%로 코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다층 정제의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다층 정제의 형태에 대한 실시 예 4 내지 실시 6을 표 3으로 제시하였다.
표3: 다층정 실시 예
중량%
성분명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글리메피리드 0.25 0.25 0.28
염산메트포르민 62.5 62.5 71.4
은행엽엑스 5.0 10.0 2.9
미결정셀룰로오스 10.0 8.0 20.0
유당 10.0 5.0
포비돈 4.5 6.5 -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3.0 - -
히프로멜로스 - 0.5 -
유드라짓 E100 - - 1.0
저치환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4.0 - 3.4
옥수수전분 - 6.5 -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75 0.75 1.02
총중량% 100 100 100
표 3에서 제시된 실시 예 4는 글리메피리드 및 염산메트포르민은 상층, 은행엽엑스는 하층으로 제조되는 조성물이다. 실시 예 5 및 6 은 활성 성분 중 글리메피리드를 히프로멜로스 및 유드라짓 E100을 이용하여 파우더 코팅한 후 실시 예 4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언급된 실시 예 4 내지 6의 정제는 표 2의 필름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정제 핵 전체 100 중량%에 2.0 내지 4.0 중량%로 코팅하였다.
시험예 1 : 가속시험 조건하에서의 안정성 시험
상기 실시 예 1 내지 6 의 방법으로 제조된 글리메피리드, 염산메트포르민 및 은행엽엑스 복합체를 가속시험 조건(40℃, 75%RH)에서 6 개월 동안 보관하면서 함량 변화를 관찰하였다. 각 정제의 활성 성분의 함량은 HPLC-UV를 사용하여 분석하고, 그리고 보관 기간에 따른 활성 성분의 함량(%)을 표 4에 나타내었다. 함량(%)은 초기 함량을 100%로 하여 상대 값으로 나타내었다.
표4: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안정성 시험 결과
6개월 후의 함량(%)
글리메피리드 염산메트포르민 퀘르세틴 배당체 캠페롤 배당체 이소람네틴배당체
실시예 1 97.4 97.9 95.3 97.1 96.3
실시예 2 92.3 94.4 83.3 89.3 91.1
실시예 3 98.5 98.9 97.9 97.3 97.9
실시예 4 96.7 100.3 98.3 99.8 100.2
실시예 5 99.3 99.4 100.2 99.3 100.1
실시예 6 99.7 100.1 99.8 100.1 99.8
표 4를 살펴보면 보면 실시 예 2를 제외한 나머지 1, 3 내지 6 의 조성물에서 우수한 보관 안정성이 확보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실시 예 2 와 3을 비교해 볼때 일반적인 습식과립 보다 파우더 코팅이 좀 더 안정성이 확보됨을 알 수 있었다. 이중 층 정제 형태로 제조한 실시예 4 내지 6 의 경우 은행엽엑스의 각 깅코플라본배당체의 함량 변화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글리메피리드, 염산메트포르민 및 은행엽엑스를 사용한 새로운 조 성물에 관한 것으로 효과적인 혈당 조절은 물론 당뇨병의 합병증의 발생 원인으로 생각되는 혈관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3가지 활성 성분의 복합제를 제조하는 경우 크기 및 중량을 환자의 복약 순응도와 편의성을 고려하여 거부감을 느끼지 않도록 작은 정제 형태로 제조되었고 동시에 보관 안정성을 확보하여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Claims (6)

  1. 글리메피리드, 염산메트포르민 및 은행엽엑스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25 ~ 0.33중량%의 글리메피리드; 62.5 ~ 83.3중량%의 염산메트포르민;
    2.9 ~ 10.0중량%의 은행엽엑스;
    0.5 ~ 10.0 중량%의 결합제; 및
    1 ~ 10 중량%의 붕해제를 포함하고,
    상기에서 결합제는 포비돈, 코폴리비도늄, 카보머, 셀룰로오스유도체류, 폴리메타크릴레이트류, 젤라틴, 덱스트린, 전분류, 폴리사카라이드유도체류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적어도 1종 선택되고, 그리고
    붕해제는 저치환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크로스카멜로오스소디움, 크로스포비돈, 전호화전분, 소듐전분글리콜레이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적어도 1종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글리메피리드 1 내지 8 밀리그람, 염산메트포르민 400 내지 1000 밀리그람 및 은행협엑스 10 내지 80 밀리그람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단일층 정제, 필름 코팅된 형태의 정제 또는 다층 정제의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0050013849A 2005-02-19 2005-02-19 글리메피리드, 메트포르민 및 은행엽엑스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0657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849A KR100657785B1 (ko) 2005-02-19 2005-02-19 글리메피리드, 메트포르민 및 은행엽엑스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849A KR100657785B1 (ko) 2005-02-19 2005-02-19 글리메피리드, 메트포르민 및 은행엽엑스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7785B1 true KR100657785B1 (ko) 2007-04-16

Family

ID=38181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3849A KR100657785B1 (ko) 2005-02-19 2005-02-19 글리메피리드, 메트포르민 및 은행엽엑스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77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93554A (zh) * 2017-10-18 2018-02-16 朗致集团江西医药有限公司 一种用于治疗糖尿病肾病的银杏叶制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3585A (ko) * 1996-05-03 1997-12-10 안형수 고혈압 치료제
US6031004A (en) 1997-12-08 2000-02-2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Salts of metformin and method
KR20010080419A (ko) * 1998-11-12 2001-08-22 피터 기딩스 인슐린 감작제 및 다른 항당뇨병 약제의 개선된 방출을위한 제약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3585A (ko) * 1996-05-03 1997-12-10 안형수 고혈압 치료제
KR100187467B1 (ko) * 1996-05-03 1999-05-01 안형수 고혈압 치료제
US6031004A (en) 1997-12-08 2000-02-29 Bristol-Myers Squibb Company Salts of metformin and method
KR20010080419A (ko) * 1998-11-12 2001-08-22 피터 기딩스 인슐린 감작제 및 다른 항당뇨병 약제의 개선된 방출을위한 제약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187467000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93554A (zh) * 2017-10-18 2018-02-16 朗致集团江西医药有限公司 一种用于治疗糖尿病肾病的银杏叶制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050987A1 (en) Combination formulation with controlled release comprising metformin and glimepiride
JP2016104775A (ja) 併用医薬
US7834056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gout
US20140112983A1 (en) Nitrite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KR20170008923A (ko) 세레콕시브 및 트라마돌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MX2015004296A (es) Farmaco combinado que comprende gemigliptina y metformina, y metodo para su preparacion.
KR101567660B1 (ko) 진성 당뇨병을 치료하기 위한 병용제
CN101103993B (zh) 降糖药物组合物
CN111840112B (zh) 鼠尾草酸或其衍生物在制备治疗糖尿病并发症药物中的应用
KR100709528B1 (ko) 혈당콘트롤용 의약조성물
KR100648825B1 (ko) 당뇨병 환자의 동맥경화증 예방을 위한 혈당강하제, 에이치엠지이-씨오에이 환원효소 저해제 및 장용코팅된 아스피린을 함유하는 복합 펠렛
KR100657785B1 (ko) 글리메피리드, 메트포르민 및 은행엽엑스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EP2837380A1 (en) Lercanidipine hydrochloride and losartan potassium compound prepara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2021526506A (ja) 糖尿病の治療において使用するためのトリアジン誘導体を含むフィルムコーティング錠剤
JP4230524B2 (ja) 2型糖尿病治療用の併用医薬
CN103230594A (zh) α-葡萄糖苷酶抑制剂和B族维生素的药物组合物
WO2019201315A1 (zh) 含有根皮苷和1-脱氧野尻霉素的组合物及其应用
CN101897698A (zh) 含有维格列汀和b族维生素的降糖药物组合物及其用途
EP380470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diabetes and use thereof
CN104840480B (zh) 二甲双胍/叶酸/维生素b12药物组合物的新用途
KR102496851B1 (ko) 아나글립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메트포르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CN1704048A (zh) 复方羟苯磺酸钙
CN102218062B (zh) 一种治疗糖尿病的药物组合物
KR100715114B1 (ko) 당뇨병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CN103599540B (zh) 含有格列奈类药物和b族维生素的药物组合物及其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