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6818B1 - 완구용 전동기기 및 그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완구용 전동기기 및 그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6818B1
KR100646818B1 KR1020040049141A KR20040049141A KR100646818B1 KR 100646818 B1 KR100646818 B1 KR 100646818B1 KR 1020040049141 A KR1020040049141 A KR 1020040049141A KR 20040049141 A KR20040049141 A KR 20040049141A KR 100646818 B1 KR100646818 B1 KR 100646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input
toy
input unit
switching means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9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0335A (ko
Inventor
이춘수
Original Assignee
이춘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수 filed Critical 이춘수
Priority to KR1020040049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6818B1/ko
Publication of KR20060000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0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36Steering-mechanisms for toy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42Automatic stopping or brak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0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e.g. toy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구용 전동기기 및 그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어린이나 유아가 사용하거나 어린이나 유아가 탑승할 수 있는 완구용 전동기기 및 그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전동기기는 완구용 전동기기에 있어서, 상기 완구용 전동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완구용 전동기기에 형성된 사용자 제어 입력수단과, 상기 완구용 전동기기의 작동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입력수단과, 상기 사용자 제어 입력수단 및 상기 원격 제어 입력수단 중 어느 하나에서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구동모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전동기기의 제동장치는 완구용 전동기기의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완구용 전동기기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전환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전환수단은 제동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구동모터의 양단이 단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완구, 전동기기, 제동, 원격

Description

완구용 전동기기 및 그 제동장치{ELECTROMOTIVE DEVICE FOR A PLAYTHING AND A BREAKING DEVICE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전동 자동차(승용 자동차)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써 전동 오토바이(승용 오토바이)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전동기기를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고안된 원격제어 입력부의 예로서 무선 송신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4는 무선 송신기에서 수신된 신호가 처리되는 회로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전동기기의 구동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전동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블럭도.
본 발명은 완구용 전동기기 및 그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어린이나 유아가 사용하거나 어린이나 유아가 탑승할 수 있는 완구용 전동기기 및 그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이나 유아는 판단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어린이나 유아가 사 용하는 물건은 안전이 철저히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모터를 이용한 전동기기의 경우에는 전동기기에 의해 사용자(예를들어, 유아나 어린이)가 다치게 될 확률이 매우 크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어야 한다.
대표적인 예로서, 전동 자동차를 들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비행기, 오토바이, 마차, 탱크등을 들 수이 있다.
상기의 전동기기에는 사용자(예를들어, 어린이나 유아)가 탑승할 수 있을 정도로 크게 제작된 경우가 있고 또는 소형으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유희를 즐길 수 있도록 판매되기도 한다.
전동 자동차의 경우에 사용자가 자동차에 탑승하여 직접 운전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서, 전진, 후진 및 조향기능까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전동 자동차의 경우 대략 시속 5km 까지 속력을 낼 수 있으며, 보통 성인의 도보 속도가 3km 정도임을 감안하면 보호자의 통제권에서 벗어나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더욱이 종래의 완구용 전동기기의 경우에는 제동기능이 매우 취약하여 사용자나 보호자가 제동장치를 작동시켜도 쉽게 제동되지 못하여, 상기한 예시와 같이 사용자가 탑승하여 운전하는 전동 자동차의 경우 제동을 하여도 바로 정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완구용 전동기기에 있어서 보호자가 직접 전동기기의 작동을 중단하여야 하는 필요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장치가 구비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동기능이 매우 뛰어난 완구용 전동기기 및 그 제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자가 전동기기의 작동을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완구용 전동기기 및 그 제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완구용 전동기기의 제동 성능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유아 또는 어린이)가 직접 제동 기능을 작동하기 전에 보호자(부모)가 전동기기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전동기기는 완구용 전동기기에 있어서, 상기 완구용 전동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완구용 전동기기에 형성된 사용자 제어 입력수단과, 상기 완구용 전동기기의 작동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입력수단과, 상기 사용자 제어 입력수단 및 상기 원격 제어 입력수단 중 어느 하나에서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구동모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완구용 전동기기는 승용 자동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부는 상기 사용자 제어 입력수단 및 상기 원격 제어 입력수단의 제어신호가 함께 입력되는 경우 상기 원격 제어 입력수단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부는 전진구동을 위한 전환수단 및 후진구동을 위한 전환수단이 형성되어 상기 전진구동을 위한 전환수단 및 후진구동을 위한 전환수단이 모두 오프된 경우 구동모터가 제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부는 전진구동을 위한 전환수단 및 후진구동을 위한 전환수단이 형성되어 상기 전진구동을 위한 전환수단 및 후진구동을 위한 전환수단이 모두 오프된 경우 상기 구동모터의 양단이 단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부는 상기 사용자 제어 입력수단의 신호에 따라 상기 완구용 전동기기가 제동되도록 하는 제동 전환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동 전환수단에 제동신호가 인가된 경우 구동모터의 양단이 단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제어입력수단은 전진 및 후진 레버, 제동패달, 가속패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원격 제어 입력수단은 완구용 전동기기의 작동이 중단되도록 하는 정지 스위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전동기기의 제동장치는 완구용 전동기기의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완구용 전동기기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전환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전환수단은 제동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구동모터의 양단이 단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환수단은 상기 완구용 전동기기에 형성된 사용자 제어 입력수단과, 상기 완구용 전동기기의 작동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입력수단 중 어느 하나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전동기기 및 그 제동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제안함에 있어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사용자(예를들어, 유아나 어린이)가 탑승 가능한 전동 자동자(승용 자동차)를 예시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완구용 전동기기라 함은 바람직하게 유아나 어린이가 탑승하거나 사용하는 것을 말하고,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작동되는 기기를 말한다. 그러나, 이것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반드시 그 사용자를 유아나 어린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전동 자동차(승용 자동차)가 예시되고 도 2에는 전동 오토바이가 예시된다.
도 1에 예시된 전동 자동차는 사용자(어린이나 유아)가 탑승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구비되고, 충전된 전원에 의해 작동된다.
자동차에는 전진 및 후진을 선택할 수 있는 레버가 구비되고, 제동 패달 및 가속 패달이 형성된다.
또한, 전동 자동차의 조향을 위한 핸들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전동 자동차는 기본적인 기능에 있어 일반 자동차와 매우 흡사하 며, 생산 원가를 고려하여 여러 기능들이 제한되어 있으며, 특히 안전을 위해 최고 속도가 대략 시속 5km를 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전동 자동차를 종래에도 이미 판매되고 있었으나, 제동장치의 성능이 좋지 않아 사용자가 제동 패달을 밟은 경우에도 대략 2m 이상의 거리를 더 진행한 후에야 멈추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사용자가 보호자와 떨어져서 전동 자동차를 타고 있는 경우 보호자가 전동 자동차를 제동시키는 것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전동 자동차의 최고 속도가 시속 5km가 넘게 되면 여러가지 안전 문제가 고려되어야 하는 바, 전동 자동차의 제동 기능의 중요성은 한층 더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전동 자동차는 주로 유아나 8세 미만의 어린이가 사용한다는 점에 있어서 보호자가 전동 자동차를 적절히 제어할 필요성이 요구되나 그러한 장치는 전혀 개발되어 있지 않다.
비록, 도 1에는 전동 자동차를 예시하였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 오토바이도 예시될 수 있으며, 그 밖에 비행기, 로보트, 인형, 배 등 다양한 형태의 전동기기가 예시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전동기기는 사용자가 직접 탑승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거나 손쉽게 들고 다닐 수 있는 정도의 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하는 전동기기는 특히 안전을 최우선으로 제작되어야 하며, 그 중에서 전동 기기의 제동장치의 중요성은 더 이상 논의할 필요조차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효과적인 완구용 전동기기의 제동장치를 제안한다. 이는 사용자(어린이, 유아, 부모)의 제어에 따라 신속히 전동기기의 작동이 중단될 수 있도록 제작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보호자가 원격지에서 완구용 전동기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무선 송신기를 구비함으로써 자칫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완구용 전동기기의 안전을 보다 확고히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전동기기를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고안된 원격제어 입력부의 예로서 무선 송신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예시된 무선 송신기(10)는 3종류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3 CH로 구성되는데, 완구용 전동기기를 전진시키기 위한 스위치(S1), 정지시키기 위한 스위치(S2), 후진시키기 위한 스위치(S3)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어신호의 전송을 위한 송신 안테나가 공급되고, 직류전원이 인가되어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무선 송신기(10)는 무선신호(예를들어, RF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완구용 전동기기에 구비된 무선신호 수신부(예를들어, RF 수신부)에 제어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완구용 전동기기의 작동이 제어되도록 한다.
물론, 완구용 전동기기 자체에도 전동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제어 입력부(예를들면, 어린이가 탑승하는 전동 자동차의 경우 제동 패달, 가속 패달, 전후진 선택 레버 등)가 구비되며, 특히 이 경우에 무선 송신기(10)가 중요하게 사용된다.
어린이가 탑승하는 전동 자동차의 경우에 판단력이 부족한 어린이가 자칫 사고의 위험에 빠질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부모님에게 무선 송신기(1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예시된 무선 송신기는 단지 전후진 및 정지 기능이 구비된 것을 예시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는 무선 송신기에서 수신된 신호가 처리되는 회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 2의 전진(S1), 정지(S2), 후진(S3)의 제어 스위치의 입력에 의해 전진, 정지, 후진을 위한 신호가 발생된다.
먼저, 전진신호가 입력되면 저항(R1)과 트랜지스터(Q1)를 거쳐 K1에 온(ON)신호가 입력된다. 여기서 K1은 완구용 전동기기가 전진되도록 하는 전환수단을 가르킨다. 그리고, 트랜지스터(Q1)은 전진신호를 위한 스위치 역할을 한다.
다음, 후진신호가 입력되면 저항(R4)과 트랜지스터(Q4)를 거쳐 K2에 온(ON)신호가 입력된다. 여기서 K2는 완구용 전동기기가 후진되도록 하는 전환수단을 가르킨다. 그리고, 트랜지스터(Q2)는 후진신호를 위한 스위치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정지신호가 입력되면 저항(R2), 트랜지스터(Q2,Q3)를 거쳐 가속패달 전환수단(18)이 오프(OFF)되도록 하고, 동시에 트랜지스터(Q1,Q4)가 오프되도록 함으로써 완구용 전동기기가 전진/후진되도록 하는 전환수단(K1,K2)이 오프되도록 한다. 여기서 전진/후진을 위한 전환수단(K1,K2)이 오프된다는 것은 완구용 전동기기가 제동된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서 도면부호 18은 사용자(예를들어, 탑승자)가 제어하는 가속패달에 의한 전환수단(18)이며, 도면부호 19는 사용자(예를들어, 탑승자)가 제어하는 전진/후진 레버에 의한 전환수단(19)이다.
무선 송신기로 부터 제어신호가 없는 경우 사용자가 가속패달을 밟으면 상기 가속패달에 의한 전환수단(18)이 온(ON)되면서 전진/후진 레버에 의한 전환수단(19)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전진을 위한 전환수단(K1) 또는 후진을 위한 전환수단(K2)가 온(ON)되어 사용자의 제어에 의한 전진/후진이 가능하다.
그러나, 무선 송신기로 부터 정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가 전진/후진을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하여도 완구용 전동기기는 작동이 중단된다.
상기 사용자(예를들어, 탑승자)가 제어하는 가속을 위한 전환수단(18) 및 전진/후진을 위한 전환수단(19)에 비해 무선 송신기로 부터 수신된 제어신호가 우선적으로 작동됨을 도면에서 알 수 있다.
즉, 상기 가속패달 및 전진/후진 전환수단(18,19)의 상태와 관계없이 전진/후진을 위한 전환수단(K1,K2)이 제어될 수 있다.
다만, 무선 송신기의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예를들어, 어린이, 유아, 탑승자)의 수동 제어를 통한 전진/후진을 위한 전환수단(19) 및 가속을 위한 전환수단(18)에 따라 완구용 전동기기의 작동이 제어된다.
즉, 본 발명은 무선 송신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완구용 전동기기의 작동이 제어되며, 특히 무선 송신기의 제어신호는 완구용 전동기기의 사용자(예를들어, 탑승자)의 제어신호에 우선한다.
이를 통해 유아나 어린이가 완구용 전동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자칫 사고의 위험에 빠진 경우 부모가 무선 송신기를 통해 긴급히 완구용 전동기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전동기기의 구동부로써 완구용 전동기기의 전진을 위한 전환수단(K1)과 후진을 위한 전환수단(K2)가 도시되어 있으며, 제동을 위한 전환수단(K3)이 구비된다.
아울러, 도면 부호 16은 전원, 13은 전자휴즈, 14는 충전잭, 15는 휴즈이다.
본 발명에서는 무선 송신기 및 탑승자의 제어에 의해 완구용 전동기기의 작동이 제어되는 것이 그 핵심적인 기술사상이므로 상기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도면부호 12는 모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모터(12)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전원의 인가에 따라 완구용 전동기기가 선택적으로 전진, 후진되도록 한다.
여기서, 전진 및 후진의 의미는 자동차 경우의 예를 설명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시계방향 회전 및 반시계 방향 회전 이라고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전진 및 후진의 개념은 특정 방향으로의 작동과 그 반대 방향으로의 힘의 작동으로 이해하는 것이 보다 정확한 개념이 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전진 및 후진의 개념을 바탕으로 전진을 위한 전환수단(K1) 및 후진을 위한 전환수단(K2)은 앞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신호(Q2)의 인가에 따라 동시에 오프 상태로 됨으로써 모터(12)의 양단이 단락되도록 한다.
즉, 완구용 전동기기의 제동을 위한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진을 위한 전환수단(K1)이 오프되고, 후진을 위한 전환수단(K2)가 오프되어 모터(12)의 양단이 단락된다.
따라서, 전진 또는 후진 중이던 완구용 전동기기는 제동신호에도 불구하고 관성에 의해 계속 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모터(12)에서 발생된 역기전력이 단락된 회로를 통해 모터(12)의 내부 저항을 통해 소비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동 신호에 따라 단지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는 방법에 비해 훨씬 제동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제동을 위한 전환수단(K3)은 사용자(예를들어, 탑승자)가 사용하는 브레이크 패달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브레이크 패달을 밟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전환수단(K3)의 스위치가 반대편 접점으로 이동되면서 모터(12)의 양단이 단락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전진/후진을 위한 전환수단(K1,K2)과 마찬가지로 모터(12)의 내부 저항을 통해 신속히 역기전력이 소비되도록 함으로써 제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전동기기는 사용자(예를들어, 탑승자)에 의해 작동되는 제동을 위한 전환수단(K3)이 구비되어 사용자 스스로 제동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무선 송신기의 정지신호(Q2)의 입력을 통한 사용자(예를들어, 보호자)에 의해 제어되는 전진/후진을 위한 전환수단(K1,K2)의 작동에 따라 원격 송신기를 통한 제동도 할 수 있다.
특히, 무선 송신기의 사용자(예를들어, 보호자)의 제어는 사용자(예를들어, 탑승자)의 전진, 후진, 가속, 제동 신호보다 우선하도록 한다.
한편, 도 4에서 전진을 위한 전환수단(K1)의 스위치가 반대편 접점으로 이동된 경우, 즉 온 상태가 된 경우에는 모터(12)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완구용 전동기기가 전진하게 된다.
반면, 도 4의 상태에서 후진을 위한 전환수단(K2)의 스위치가 반대편 접점으로 이동된 경우, 즉 온 상태가 된 경우에는 모터(12)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완구용 전동기기가 후진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상태는 전진/후진을 위한 전환수단(K1,K2)가 모두 오프 상태로 된 경우, 즉 원격 송신기의 정지신호가 인가된 상태가 도시된 것이다.
도 3과 도 4에서 도면부호 18, 19, K3로 표시된 전환수단은 사용자(예를들어, 탑승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것이고, 도면부호 K1, K2는 무선 송신기를 제어하는 자(예를들어, 보호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전동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전동기기는 제어를 위한 사용자 제어 입력부(20)와, 원격지에서의 제어를 위한 원격제어 입력부(21)와, 상기 사용자 제어 입력부(20) 및 원격제어 입력부(21)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고 상기 원격제어 입력부(21)의 제어신호에 의해 우선적으로 제어되는 구동부(22)와, 구동모터(23)가 포함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사용자 제어 입력부(20)는 전진/후진 레버, 브레이크 패달, 가속 패달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으며, 완구용 전동기기를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자의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수단을 의미한다.
상기 원격제어 입력부(21)는 대표적으로 전진/후진 버튼, 정지 버튼 등이 형성될 수 있으며, 완구용 전동기기를 사용하는 자의 곁에서 보호를 위해 관찰하는 보호자의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수단을 의미한다. 원격제어 입력부(21)의 무선 송신기를 그 예로 들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구동부(21)는 상기 사용자 제어 입력부(20) 및 상기 원격제어 입력부(21)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모터(23)가 구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21)는 상기 사용자 제어 입력부(20)의 제어신호와 상기 원격제어 입력부(21)의 구동신호가 동시에 인가된 경우 원격제어 입력부(21)의 구동신호에 의해 우선적으로 작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특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전동기기는 보호자(부모님)가 무선 송신기를 통해 사용자(탑승자, 어린이, 유아)의 완구용 전동기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원격제어 입력부(21) 및 상기 사용자 제어 입력부(20)의 제동신호에 따라 구동모터(23)의 입출력이 단락되도록 함으로써 그 제동 성능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전동기기는 그 주된 사용자인 어린이나 유아가 안전 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부모가 완구용 전동기기를 원격지에서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전동기기의 제동장치는 그 제동 성능이 뛰어나 위급한 상황에서 신속히 완구용 전동기기의 작동이 중단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완구용 전동기기는 그 작동을 사용자와 보호자가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보호자의 제어를 우선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어린이나 유아가 사용하는 완구용 전동기기를 보다 안전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4)

  1. 전동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전동장치에 형성된 사용자 제어 입력부(20)와,
    상기 전동장치의 작동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입력부(21)와,
    상기 사용자 제어 입력부(20) 및 상기 원격 제어 입력부(21) 중 어느 하나에서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신호를 인가하되, 상기 사용자 제어 입력부(20) 및 상기 원격 제어 입력부(21)의 제어신호가 함께 입력되는 경우 우선적으로 상기 원격 제어 입력부(21)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부(22)와,
    상기 구동부(22)의 구동신호에 따라 작동되고, 상기 전동장치의 제동시 양단이 단락되는 구동모터(23)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장치는 완구용 승용 자동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2)는 전진을 위한 전환수단(K1) 및 후진을 위한 전환수단(K2)이 형성되어 상기 전진을 위한 전환수단(K1) 및 후진을 위한 전환수단(K2)이 모두 오프된 경우 구동모터(23)가 제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2)는 전진을 위한 전환수단(K1) 및 후진을 위한 전환수단(K2)이 형성되어 상기 전진을 위한 전환수단(K1) 및 후진을 위한 전환수단(K2)이 모두 오프된 경우 상기 구동모터(23)의 양단이 단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2)는 상기 사용자 제어 입력부(2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완구용 전동기기가 제동되도록 하는 제동 전환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동 전환수단에 제동신호가 인가된 경우 구동모터(23)의 양단이 단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제어입력부(20)는 전진 및 후진 레버, 제동패달, 가속패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입력부(21)는 완구용 전동기기의 작동이 중단되도록 하는 정지 스위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장치.
  9. 완구용 전동장치의 제동 장치로서,
    상기 완구용 전동장치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전환수단; 및
    상기 전환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입력 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제어 입력 수단으로부터 제동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구동모터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구동모터의 양단이 단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전동장치의 제동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입력 수단은 완구용 전동기기에 형성된 사용자 제어입력부(20)와, 상기 완구용 전동기기의 작동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입력부(21) 중 적어도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전동장치의 제동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사용자 제어 입력부(20) 및 상기 원격 제어 입력부(21)의 제어신호가 함께 입력되는 경우 상기 원격 제어 입력부(21)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전동장치의 제동장치.
  12. 삭제
  13. 사용자가 탑승하여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완구용 전동기기에 있어서,
    전동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전동기기에 형성된 사용자 제어 입력부(20)와,
    상기 전동기기의 작동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입력부(21)와,
    상기 사용자 제어 입력부(20) 및 상기 원격 제어 입력부(21) 중 어느 하나에서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신호를 인가하되, 상기 사용자 제어 입력부(20) 및 상기 원격 제어 입력부(21)의 제어신호가 함께 입력되는 경우 상기 원격 제어 입력부(21)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부(22)와,
    상기 구동부(22)의 구동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구동모터(23)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전동기기.
  14. 완구용 승용 자동차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완구용 승용자동차에 형성된 사용자 제어 입력부(20)와,
    상기 완구용 승용 자동차의 작동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유닛과,
    상기 사용자 제어 입력부(20) 및 상기 원격제어유닛 중 어느 하나에서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신호를 인가하되, 상기 사용자 제어 입력부(20) 및 상기 원격제어유닛의 제어신호가 함께 입력되는 경우 상기 원격제어유닛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부(22)와,
    상기 구동부(22)의 구동신호에 따라 작동되고, 상기 완구용 승용 자동차의 제동시 양단이 단락되는 구동모터(23)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승용 자동차.
KR1020040049141A 2004-06-28 2004-06-28 완구용 전동기기 및 그 제동장치 KR100646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141A KR100646818B1 (ko) 2004-06-28 2004-06-28 완구용 전동기기 및 그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141A KR100646818B1 (ko) 2004-06-28 2004-06-28 완구용 전동기기 및 그 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335A KR20060000335A (ko) 2006-01-06
KR100646818B1 true KR100646818B1 (ko) 2006-11-23

Family

ID=37103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9141A KR100646818B1 (ko) 2004-06-28 2004-06-28 완구용 전동기기 및 그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68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670B1 (ko) 2010-10-01 2012-03-20 (주)헤네스 유아동용 전동차 및 그 제동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380B1 (ko) * 2012-04-25 2014-04-25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아동용 전동 탑승완구의 정지속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670B1 (ko) 2010-10-01 2012-03-20 (주)헤네스 유아동용 전동차 및 그 제동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335A (ko) 200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4430B2 (en) Remote/occupant controlled toy vehicle
RU2679518C2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велосипед
TWI673094B (zh) 雙重控制騎乘車
AU2009276877B2 (en) Children's ride-on vehicles with operational-state responsive audiovisual systems
JPWO2007034567A1 (ja) 自動車車両ドライブバイワイヤー操舵システム
US20200013113A1 (en) Separat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and server
KR100778895B1 (ko) 무선 조종이 가능한 승용완구
EP2865429B1 (en) Smart driving system in toy vehicle
CN215436744U (zh) 一种儿童漂移车
KR100646818B1 (ko) 완구용 전동기기 및 그 제동장치
CN105416270A (zh) 一种具备安全提示功能的手刹***
KR20140013448A (ko) 유아용 전동차의 속도제어장치
CN104139711A (zh) 倒车控制方法、驱动力控制单元、控制***、方法以及车辆
JP2006306341A (ja) バイワイヤ方式操舵装置及び操舵用ワイヤレスユニット
KR20130063793A (ko) 무선조종 승용완구 및 그 제어방법
JP2008029143A (ja) 列車運転システム及び地上側運転装置
KR200332344Y1 (ko) 승차형 완구자동차
KR200481135Y1 (ko) 유아 전동차의 장애물 회피주행시스템
KR101876922B1 (ko) 듀얼 페달을 통한 안전 및 조작 기능이 강화된 패밀리 전동차량
KR200313981Y1 (ko) 무선조종 승용완구.
JPH0787623A (ja) 電気車制御装置
KR101368329B1 (ko) 기어보호 제어장치가 장착된 유아동용 전동 탑승 완구 및 그 제어방법
KR101389380B1 (ko) 유아동용 전동 탑승완구의 정지속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2001039317A (ja) ハンドルグリップ
JP2003250943A (ja) ゴルフカ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