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1580B1 -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1580B1
KR100621580B1 KR1020040075125A KR20040075125A KR100621580B1 KR 100621580 B1 KR100621580 B1 KR 100621580B1 KR 1020040075125 A KR1020040075125 A KR 1020040075125A KR 20040075125 A KR20040075125 A KR 20040075125A KR 100621580 B1 KR100621580 B1 KR 100621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moving surface
user interface
hierarchical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5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6266A (ko
Inventor
류영재
임도헌
김현정
이준
마가렛 노보트니
채드 폴 제닝스
쉴라 폴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5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1580B1/ko
Publication of KR20060026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6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1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grid, e.g. sorted out by channel and broadcast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1/42213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 H04N21/42216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for quick navigation, e.g. through an EP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계층적으로 구성된 메뉴집합에서 같은 레벨에 존재하는 형제 메뉴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병렬 이동면 및 상기 계층적으로 구성된 메뉴집합에서 다른 레벨에 존재하는 상위 메뉴들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계층 이동면을 포함하며, 상기 병렬 이동면을 구성하는 메뉴 또는 계층 이동면을 구성하는 메뉴는 고정된 셀렉터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메뉴 이동, 메뉴 네비게이션, 빠른 메뉴, 디지털 장치, 디지털 방송

Description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supporting menu navigation between different level}
도 1은 종래의 방법에 따라 컨텐츠 선택 또는 메뉴 이동을 보여주는 일 실시예이다.
도 2는 방향 입력키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의 계층적 구조를 보여주는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이동의 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뉴 이동의 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채널의 메뉴 변경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채널의 메뉴 변경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정보를 설정하는 화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또다른 디지털 방송 채널의 메뉴 변경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이동을 수행하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0 : 방향 입력키 601, 602 : 조그셔틀
본 발명은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기에서 컨텐츠를 선택하거나 메뉴를 이동하기 위해서는 크게 마우스와 같은 세밀한 포인터 이동이 가능한 입력기를 사용하거나 또는 리모트 컨트롤 또는 키보드나 키패드의 방향키, 조그 셔틀과 같은 방향 입력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마우스와 같은 입력기는 컴퓨터에 한정되며 다른 디지털 기기에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반면, 방향키와 조그 셔틀의 경우 방향성으로 입력과 네비게이션을 수행하기에 그 한계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법에 따라 컨텐츠 선택 또는 메뉴 이동을 보여주는 일 실시예이다.
도 1은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101, 102, 103의 화면으로 바뀌는 것을 보여준다. 화면(100)에서 왼쪽 부분은 현재 선택된 메뉴를 보여준다. 처음에는 최상위 메 뉴에서 시작하므로 메뉴01 에서 메뉴 05까지 나와있다. 오른쪽은 상기 메뉴01부터 메뉴05 사이에 어느 한 메뉴를 상하 입력키를 이용하여 포커스를 줄 경우, 그 하부 메뉴 또는 컨텐츠 리스트를 보여준다. 여기서 다시 오른쪽 방향키를 선택하거나 오른쪽으로 조그 셔틀을 회전시키면 그 하부 메뉴 또는 컨텐츠 리스트에서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101 화면에서는 메뉴 03.02를 선택하게 된다(S10). 그 결과 102 화면에서 볼 수 있듯이, 왼쪽 서브 화면은 메뉴 03.02가 선택되어 있으며, 오른쪽 화면은 메뉴 03.02를 구성하는 하위 메뉴인 03.02.01, 03.02.02, 03.02.03, 03.02.04, 03.02.05로 구성된다. 여기서 오른쪽 화면에서 상하로 네비게이션을 수행하여 특정 메뉴(03.02.03)를 선택하면 메뉴 03.02.03의 하위 메뉴 또는 컨텐츠가 나타난다(S11). 그 결과는 103 화면과 같다. 103 화면은 03.02.03을 선택하여 나타나는 세부 컨텐츠 관련 메뉴가 오른쪽 화면에 나타난다. 그런데 103 메뉴에서 다시 다른 메뉴로 가기 위해서는 순차적으로 상위로 올라간다. 즉 S20 단계를 통해 03.02 메뉴가 선택된 화면(102)로 가서 다시 그 상위 메뉴로 이동을 한다(S21). 이렇게 두번에 걸쳐 상위 메뉴로 움직이면 이후 메뉴 01~메뉴 05 사이에서 선택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메뉴 이동이 수행되는 것은 컴퓨터나 노트북이 아닌 대부분의 디지털 기기의 메뉴나 컨텐츠 선택은 방향키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방향키는 상하, 좌우, 또는 소정의 방향으로 커서나 선택바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컴퓨터의 마우스와 같이 2차원적으로 광범위하게 입력을 할 수는 없다.
도 2는 방향 입력키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를 보여준다. 리모트 컨트롤(10)과 휴대폰(20)에는 각각 방향 입력키(500)가 있다. 방향 입력키(500)는 도 2에서는 상 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커서 또는 포커스, 화면을 이동시킨다. 이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것이 조그 셔틀(601, 602) 이다. 이는 휠을 통해, 상하 또는 좌우와 같이 방향성 있는 입력을 받는다. 조그셔틀을 위에서 본 것은 601이고, 측면에서 본 것은 602이다.
리모트 컨트롤, 키패드, 또는 조그 셔틀을 채용하는 디지털 기기는 이러한 방향 입력키를 통해 단순하면서도 편리함을 제공한다. 따라서 방향 입력키를 사용하면서 메뉴를 쉽게 네비게이션 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디지털 기기에서의 레벨간의 메뉴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디지털 기기의 사용에 있어서의 편의성을 높이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계층적으로 구성된 메뉴집합에서 같은 레벨에 존재하는 형제 메뉴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병렬 이동면 및 상기 계층적으로 구성된 메뉴집합에서 다른 레벨에 존재하는 상위 메뉴들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계층 이동면을 포함하며, 상기 병렬 이동면을 구성하는 메뉴 또는 계층 이동면을 구성하는 메뉴는 고정된 셀렉터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계층적으로 구성된 메뉴집합에서 같은 레벨에 존재하는 형제 메뉴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병렬 이동면 및 상기 계층적으로 구성된 메뉴집합에서 다른 레벨에 존재하는 상위 메뉴들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계층 이동면을 포함하며, 상기 병렬 이동면과 계층 이동면을 요청하는 활성화 입력을 받는 단계, 상기 입력에 따라 상기 병렬 이동면과 계층 이동면을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의 상하좌우 방향에 대한 방향 입력을 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방향에 따라 상기 병렬 이동면 또는 상기 계층 이동면을 구성하는 메뉴들을 회전시켜서 새로운 메뉴로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방향 입력과 빠른 메뉴를 실행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수신부, 상기 입력에 대해 출력할 메뉴 집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출력할 방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저장된 메뉴 집합과 저장부에 저장된 메뉴 설정 정보를 가지고 출력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출력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는 계층적으로 구성된 메뉴집합에서 같은 레벨에 존재하는 형제 메뉴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병렬 이동면 및 상기 계층적으로 구성된 메뉴집합에서 다른 레벨에 존재하는 상위 메뉴들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계층 이동면을 출력하며, 상기 입력 수신부를 통한 입력에 따라 상기 병렬 이동면 또는 상기 계층 이동면을 구성하는 메뉴들을 회전시켜서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게 되는 용어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 메뉴
메뉴(Menu)는 어떤 정보, 또는 어떤 하위 메뉴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개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 방송의 경우 그 방송을 통해 수신되는 정보의 특성에 따라 분류될 수 있는데, 이 분류 하나하나를 카테고리라고 할 수 있다. 이 카테고리는 메뉴의 한 예가 될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도 3과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 메뉴 집합은 이러한 하나 이상의 메뉴가 계층화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 방향 입력
리모트 컨트롤의 방향 입력키, 휴대폰, DVD 플레이어에서의 방향 입력키에서 특정 방향으로 커서 또는 포커스, 셀렉터 또는 화면이 움직이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조그 셔틀에서 휠을 회전시켜서 화면이나 포커스, 셀렉터를 움직이는 것도 포함한다. 이하 상향으로 조그 셔틀의 휠을 움직이거나 상향 버튼을 누르는 것을 상향 입력이라 한다. 하향 입력, 좌향 입력, 우향 입력 등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그리고 상향 입력을 실행하는 것을 상향 입력키라 하고, 하향 입력키, 좌향 입력키, 우향 입력키도 마찬가지이다.
- 셀렉터(Selector)
메뉴의 선택에서 현재 포커싱이 되어있는 메뉴를 나타낸다. 이는 메뉴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색을 달리 두어 다른 메뉴와 달리 현재 선택을 위해 대기중임을 보여준다. 또한 선택된 메뉴를 보여줄 수도 있다.
셀렉터가 고정될 경우, 이 셀렉터를 통해 선택할 수 있는 메뉴는 상하, 또는 좌우 등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효과를 보여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의 계층적 구조를 보여주는 구조도이다.
메뉴는 도 3에서 보이듯이 계층적으로 구성된다. 최상위 메뉴는 다른 메뉴에 포함되지 않는 메뉴를 의미한다. 메뉴 01, 메뉴 02, 메뉴 03, 메뉴 04를 의미한다. 한편 이들 메뉴를 구성하는 하위 메뉴가 존재할 수 있다. 메뉴 01의 하위 메뉴로는 메뉴 01.01, 메뉴 01.02가 존재하며, 메뉴 02의 하위 메뉴에는 메뉴 02.01, 메뉴 02.02, 메뉴 02.03이 있다. 메뉴 03을 구성하는 것으로는 메뉴 03.01, 메뉴03.02, 메뉴03.03, 메뉴03.04가 존재한다.
최상위 메뉴를 레벨 1로 정의할 때, 그 하위 메뉴는 레벨 2가 된다. 그리고 레벨 2에 있는 메뉴의 하위 메뉴는 레벨 3이 된다.
메뉴 03.02.02의 입장에서 형제 메뉴는 직속 상위 메뉴인 메뉴 03.02를 구성하는 하위 메뉴인 메뉴 03.02.01 내지 메뉴 03.03.05까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위 메뉴는 자기보다 레벨의 숫자가 적은 메뉴를 의미하고, 하위 메뉴는 레벨의 숫자가 높은 메뉴를 의미한다. 또한 최상위 메뉴는 레벨이 1인 메뉴들을 의미한다.
이 경우, 도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을 수행할 때, 메뉴간에 이동하는 방법이 종래에 있었다. 그런데 이 이동은 레벨을 기준으로 1씩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레벨 3의 메뉴에서 레벨 1의 메뉴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두 번의 화면 전환을 필요로 한다. 또한, 레벨 2의 메뉴 03.02에서 같은 레벨 2의 메뉴 01.02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메뉴 03으로 이동하여 메뉴 01로 이동한 후 다시 메뉴 01.02로 이동해야 한다. 한번의 조작으로 한번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방향 입력키나 조그셔틀의 경우 빈번한 조작을 필요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이동의 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메뉴 구성을 따라 나타난 화면(110)이다. 화면은 크게 현재의 메뉴 선택을 위한 왼쪽 화면(120)과, 빠른 메뉴 버튼을 눌렀을 경우 팝업의 형태등으로 나타나는 메뉴를 포함하는 화면(130)이 존재한다. 평상시에는 컨텐츠를 보여주며, 메뉴 버튼을 눌렀을 때 왼쪽 화면(120)이 나타날 수 있으며, 빠른 메뉴 버튼을 눌렀을 때 오른쪽 화면(130)이 나타날 수 있다. 이하, 왼쪽 메뉴와 같이 메뉴 버튼을 눌렀을 때 나타나는 메뉴 화면을 실행 메뉴화면이라 한다. 그리고 실행 메뉴 화면의 상위 메뉴를 보여주며, 빠른 메뉴 버튼을 눌렀을 때 팝업 등으로 나타나는 화면을 빠른 메뉴화면이라 한다.
빠른 메뉴화면은 크게 병렬 이동면(Parallel Navigation)과 계층 이동면(Hierarchical Navigation)으로 구성된다.
빠른 메뉴화면은 현재 왼쪽의 실행 메뉴화면의 메뉴를 포함하는 상위 메뉴의 형제 메뉴들을 보여준다. 현재 실행 메뉴화면에는 메뉴 03.02.01에서 메뉴 03.02.05까지 보여주므로, 이를 포함하는 상위 메뉴는 03.02이다. 따라서 빠른 메뉴화면에는 메뉴 03.02와 그의 형제 메뉴들이 상하로 배치된다. 메뉴 03.02(131)는 왼쪽 실행 메뉴를 포함하는 상위 메뉴이므로 다른 메뉴들보다 부각되어 나타나있다. 또한, 이들 메뉴 03.02와 그의 형제 메뉴인 메뉴 03.01, 메뉴 03.03, 메뉴 03.04를 포함하는 상위 메뉴인 메뉴 03(132)가 위에 표시된다. 여기서 병렬 이동면은 형제 메뉴를 포함하는, 상하 이동 부분이다. 도 4에서 메뉴 03.01, 메뉴 03.02, 메뉴 03.03, 메뉴 03.04를 포함한다.
이 빠른 메뉴에서는 상향 또는 하향 입력키를 통해 메뉴 03.01에서 메뉴 03.04까지 네비게이션 할 수 있다. 하향 입력키를 누르면 현재 빠른 메뉴에서 선택된 메뉴 03.02 아래에 존재하는 메뉴 03.03(133)이 부각된다(S30). 또한 메뉴들은 회전하도록 하여, 메뉴 03.04 아래에 메뉴 03.01을 두어 하향버튼을 누르면 메뉴 03이 포함하는 레벨 2의 메뉴들(메뉴 03.01~메뉴 03.04)을 모두 살펴볼 수 있다. 빠른 메뉴화면(134)는 셀렉터가 고정되고 메뉴가 상하로 움직이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4에서 왼쪽의 실행 메뉴화면(124)은 변화하지 않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해당하며, 실행 메뉴화면(124)이 빠른 메뉴화면(134)에서 셀렉터에 위치하는 메뉴의 하위 메뉴를 보여줄 수 있다.
이렇게 빠른 메뉴 버튼을 통해 빠른 메뉴화면을 활성시키면(activate), 상위 메뉴로의 이동이 원할해진다.
또한 각 메뉴에 대해 설명 부분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일종의 메타 태그(Meta Tag)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메뉴에 대한 설명은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구성하는 메뉴의 경우, 카테고리 또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이 될 수 있고, 또한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된 정보일 경우, 해당 정보에 대한 설명이 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지털 장치내의 기능 이용을 위한 메뉴인 경우에는 이 기능에 대한 설명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현재 실행되는 메뉴 또는 현재 재생중인 컨텐츠와 관련된 메뉴를 포함하는 상위 메뉴로 빠른 메뉴 버튼과 상하향 입력키를 통해 이동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통해 짧은 입력으로 메뉴간의 이동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도 5에서는 좌우향 입력키를 통해 최상위 메뉴의 이동을 살펴본다.
도 4에서는 메뉴가 선택되거나, 셀렉터를 통해 선택가능한 상황이 되면 해당 메뉴가 강조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는 해당 메뉴가 확대되거나 사용자에게 가깝게 앞쪽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색상이 변하거나 모서리가 굵게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포커스를 표시하는 다양한 표시가 나타날 수도 있다. 특정 메뉴가 선택되면 이 메뉴와 관련된 더욱 상세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메뉴가 강조되어 표시되는 것과 반대로 다른 메뉴들은 축소되거나 사용자로부터 멀어지거나 색상이 흐려짐으로써 해당 메뉴를 강조하면서 정보의 연속성을 표시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뉴 이동의 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4는 상하향 입력키로 상위 메뉴의 이동을 보여주었다. 도 5는 좌우향 입력키로 최상위 메뉴의 이동을 보여준다. 110화면은 도 4와 같다. 빠른 메뉴 버튼을 눌러서 빠른 메뉴화면이 펼쳐진 경우, 좌향 또는 우향 입력키를 조작할 수 있 다. 좌, 우향 입력키는 현재 메뉴를 포함하는 최상위 메뉴인 메뉴 03(132)의 형제 메뉴인 메뉴 02와 메뉴 04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좌향 입력키를 누른 경우, 메뉴 02로 이동하면서 메뉴 02를 구성하는 레벨 2의 메뉴들이 나타난다(S32). 메뉴 02를 구성하는 메뉴 02.01, 메뉴 02.02, 메뉴 02.03이 나타난다. 여기서 메뉴 02.01(133)이 첫 메뉴이므로 부각되어 나타나며, 다른 형제 메뉴들은 회전되어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특정 메뉴(메뉴 02.01, 메뉴 02.02, 메뉴 02.03)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왼쪽의 실행 메뉴 화면(125)은 해당 메뉴의 하위 메뉴로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115화면에서 메뉴 02.01에 포커싱이 된 상태에서 선택 버튼을 누를 경우, 빠른 메뉴화면(135)은 사라지고, 왼쪽의 실행 메뉴화면(125)은 메뉴 02.01을 구성하는 레벨 3의 메뉴가 펼쳐질 수 있다. 도 3에서 메뉴 02.01을 구성하는 하위 메뉴인 메뉴 02.01.01과 메뉴 02.01.02가 존재하므로 이들 하위 메뉴가 왼쪽의 실행 메뉴화면(125)에 나타날 수 있다. 만약 메뉴 02.02를 선택한다면, 이 메뉴를 구성하는 하위 메뉴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메뉴 02.02를 선택했을 때의 기능이 수행된다. 컨텐츠의 재생이 이루어지거나, 소리 조절 등의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5에서 예로 든 좌우 이동과 같은 상위 메뉴들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계층 이동면이라 한다.
도 4와 도 5에서는 실행 메뉴화면을 왼쪽에, 빠른 메뉴 화면을 오른쪽에 배치하였다. 또한 빠른 메뉴 화면에서 상위 메뉴간의 이동은 상하로, 최상위 메뉴간의 이동은 좌우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화면의 구성 또 는 메뉴간의 이동 방향은 달리 구현될 수 있다.
도 4와 도 5에서 살펴본 빠른 메뉴 화면은 디지털 장치의 여러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의 컨텐츠를 계층적으로 카테고리화 하여 메뉴를 구성한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며, 디지털 방송의 컨텐츠 중에서 방송이 아닌 날씨, 증권 등의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이 정보들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한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휴대폰과 같이 방향 입력키나 조그 셔틀을 채용하는 디지털 기기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기기의 내부 기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메뉴 구성에도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최근 디지털 방송의 수신 기능이 디지털 셋톱박스나 디지털 TV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디지털 기기에서 제공되는 추세에 비추어, 이러한 메뉴 이동 기능은 여러 디지털 기기에서 디지털 방송을 효과적으로 수신하고 네비게이션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채널의 메뉴 변경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디지털 방송의 채널 선택에 있어서의 메뉴 구성을 보여준다. 메뉴의 구성은 51과 같으며, 최상위 메뉴는 날씨, 뉴스, 영화, 그리고 다큐멘터리와 같이 장르별로 나뉘어져있다.
210은 메뉴가 실행되는 화면을 보여준다. 현재 사용자가 SF 카테고리에서 어떤 영화를 선택할 것인지 영화 제목으로 이루어진 실행 메뉴화면(220)을 살펴보고 있다. 이 과정에서 빠른 메뉴 버튼을 실행시켜서 빠른 메뉴화면(230)을 팝업으로 나타내게 할 수 있다. 그러면 실행 메뉴화면(220)의 상위 메뉴인 SF 메뉴와 SF 메 뉴의 형제 메뉴인 액션, 드라마, 공포등이 병렬 이동면에 나타난다. 한편, 계층 이동면에는 최상위 메뉴인 뉴스와 다큐멘터리가 보여진다. 뉴스와 다큐멘터리는 51의 메뉴 구성에서 영화의 좌우에 존재하는 메뉴이므로 이에 일치하게 계층 이동면에서도 왼쪽과 오른쪽에 나타난다.
사용자가 210 화면에서 좌향 입력키를 누를 경우, 이는 계층 이동면에서의 메뉴 이동이 일어난다(S40). 그 결과는 211 화면과 같다. 계층 이동면에서는 최상위 메뉴인 뉴스가 선택되며, 이는 병렬 이동면에도 영향을 미친다(231). 최상위 메뉴인 뉴스를 구성하는 과학뉴스, 국내뉴스, 세계뉴스와 같은 레벨 2의 메뉴들이 병렬 이동면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하향 입력키를 누를 경우, 뉴스를 구성하는 과학뉴스, 국내뉴스, 세계뉴스 메뉴들로 이동가능하다. 한편 이러한 이동에 의해 국내뉴스를 구성하는 레벨 3의 메뉴가 존재할 경우 병렬 이동면의 셀렉터에 어떤 메뉴가 선택되는 가에 따라 왼쪽의 실행 메뉴화면(221)의 메뉴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병렬 이동면에서의 메뉴 이동시에는 실행 메뉴화면(221)의 메뉴가 변경되지 않지만, 병렬 이동면에서 특정 메뉴를 선택할 경우에 실행 메뉴화면의 메뉴가 변경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채널의 메뉴 변경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6은 실행 메뉴화면에 나타난 메뉴가 레벨 3인 경우에 계층 이동면에서 최상위 메뉴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 7에서는 실행 메뉴화면에 레벨 4인 메뉴이며, 계층 이동면에서 최상위 메뉴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보여 준다. 도 6과 마찬가지로 방송 채널을 카테고리화 하여 구성한 메뉴(51)에서의 이동을 살펴본다.
216은 메뉴가 실행되는 화면을 보여준다. 현재 사용자가 아폴로에서 어떤 기능을 선택할 것인지 기능별로 이루어진 실행 메뉴화면(226)을 살펴보고 있다. 이 과정에서 빠른 메뉴 버튼을 실행시켜서 빠른 메뉴화면(236)을 팝업으로 나타내게 할 수 있다. 그러면 실행 메뉴화면(226)의 상위 메뉴인 아폴로와 그의 형제 메뉴인 스타워즈와 아이로봇, 제5원소, 콘텍트가 병렬 이동면에 나타난다. 한편, 계층 이동면에는 최상위 메뉴인 뉴스와 다큐멘터리가 보여진다. 뉴스와 다큐멘터리는 51의 메뉴 구성에서 영화의 좌우에 존재하는 메뉴이므로 이에 일치하게 계층 이동면에서도 왼쪽과 오른쪽에 나타난다.
사용자가 216 화면에서 좌향 입력키를 누를 경우, 이는 계층 이동면에서의 메뉴 이동이 일어난다(S42). 그 결과는 217 화면과 같다. 계층 이동면에서는 최상위 메뉴인 뉴스가 선택되며, 이는 병렬 이동면에도 영향을 미친다(237). 최상위 메뉴인 뉴스를 구성하는 과학뉴스, 국내뉴스, 세계뉴스와 같은 레벨 2의 메뉴들이 병렬 이동면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하향 입력키를 누를 경우, 뉴스를 구성하는 과학뉴스, 국내뉴스, 세계뉴스 메뉴들로 이동가능하다. 한편 이러한 이동에 의해 국내뉴스를 구성하는 레벨 3의 메뉴가 존재할 경우 병렬 이동면의 셀렉터에 어떤 메뉴가 선택되는 가에 따라 왼쪽의 실행 메뉴화면(227)의 메뉴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병렬 이동면에서의 메뉴 이동시에는 실행 메뉴화면(227)의 메뉴가 변경되지 않지만, 병렬 이동면에서 특정 메뉴를 선택할 경우에 실행 메뉴화면의 메뉴가 변경되 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정보를 설정하는 화면이다.
도 6과 7에서는 계층 이동면에서 최상위 메뉴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그런데 메뉴의 계층적 구조에 따라서는 최상위 메뉴보다는 차상위 메뉴, 또는 현재 메뉴를 기준으로 몇 레벨 위의 메뉴에서의 네비게이션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계층 이동면을 통해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계층 이동면을 상하로, 그리고 병렬 이동면을 좌우로 이동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도 8에서 상위레벨 설정에서 최상위의 메뉴로 이동할 것인지, 차상위 또는 현재 메뉴를 기준으로 2레벨 높은 메뉴로 이동할 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방향에 있어서, 도 6, 7과 같이 병렬 이동면을 상하로, 계층 이동면을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병렬 이동면을 좌우로, 계층 이동면을 상하로 회전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또다른 디지털 방송 채널의 메뉴 변경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8의 설정에서 차상위 메뉴를 계층 이동면에서 나타내준다. 방송 채널의 메뉴 구성(51)은 도 7에서 살펴본 화면과 같다. 218은 메뉴가 실행되는 화면을 보여준다. 현재 사용자가 아폴로에서 어떤 기능을 선택할 것인지 기능별로 이루어진 실행 메뉴화면(228)을 살펴보고 있다. 이 과정에서 빠른 메뉴 버튼을 실행시켜서 빠른 메뉴화면(238)을 팝업으로 나타내게 할 수 있다. 그러면 실행 메뉴화 면(228)의 상위 메뉴인 아폴로와 그의 형제 메뉴인 스타워즈와 아이로봇, 제5원소, 콘텍트가 병렬 이동면에 나타난다. 한편, 계층 이동면에는 차상위 메뉴인 액션과 드라마가 보여진다(219). 액션과 드라마는 최상위 메뉴인 영화를 구성하는 메뉴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차상위 메뉴가 계층 이동면에 나타나므로 SF의 형제 메뉴인 액션과 드라마가 나타난다(239). 여기서 좌향 입력키를 누를 경우, 액션을 구성하는 영화들이 나타난다(S50). 51의 메뉴구성에는 미도시되었으나, 액션 장르인 코만도, 리셀웨폰, 썬더보드와 같은 영화가 병렬 이동면에 나열된 것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메뉴의 이동은 셀렉터가 고정되고 메뉴가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한다. 그 결과 메뉴 이동시에 집중해서 봐야 하는 부분은 이동하지 않으므로, 시각적인 피로를 줄여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이동을 수행하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병렬 이동면이 상하로 회전하며, 계층 이동면이 좌우로 회전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먼저 사용자로부터 빠른 메뉴화면을 활성화시키는 입력을 받아들인다(S101). 이는 리모트 컨트롤 또는 휴대폰의 키패드 등에 특정 키로 존재할 수 있다. 디지털 장치는 빠른 메뉴화면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현재 실행중인 메뉴 또는 기능이 무엇인지를 판단한다(S102). 이를 토대로 상위 메뉴와 최상위 혹은 차상위 메뉴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위 메뉴를 포함하는 빠른 메뉴화면을 출력한다(S103). 이러한 출력은 도 6과 7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이후 이 빠른 메뉴화면에서 사용자가 메뉴 이동을 하기위해 상하향 또는 좌 우향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S110). 이는 조그 셔틀의 휠을 회전시키거나, 리모트 컨트롤의 방향키를 누르거나, 휴대폰등의 키패드의 방향키를 눌러서 수행할 수 있다.
입력한 키가 어느 방향의 키인지를 판단한다. 상하향 입력키라면(S120), 병렬 이동면의 메뉴를 회전시킨다(S121). 또한 좌우향 입력키라면(S130) 계층 이동면의 메뉴를 회전시킨다(S131). 이러한 방향키가 아닌 다른 키라면 그 키의 요구에 맞는 작업을 수행한다(S141). 빠른 메뉴화면을 닫거나, 또는 현재 포커싱된 메뉴를 선택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디지털 장치는 디지털 티비, 디지털 셋톱박스, 휴대폰 등을 포함한다. 특히 키패드나 리모트 컨트롤 등의 방향 입력키 또는 조그 셔틀을 사용하는 디지털 장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 즉 '~모듈' 또는 '~테이블' 등은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기능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 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디지털 장치는 입력 수신부(910), 출력부(920), 제어부(9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940), 그리고 저장부(950)을 포함한다.
입력 수신부(910)은 사용자로부터 방향 입력을 받는다, 상하, 또는 좌우 등으로 커서나 셀렉터, 메뉴 등을 이동시키도록 입력을 받는다. 또한 메뉴를 실행시키거나 선택하는 입력 신호도 수신한다.
입력 수신부(910)에서 수신한 입력 신호는 제어부(930)로 보내어진다. 제어부(930)은 입력된 신호에 따라 어떤 정보를 처리하고 출력할 것인지, 혹은 어떤 기능을 수행할 것인지를 판별한다. 메뉴 이동에 있어서, 메뉴를 이동하거나, 새로운 메뉴를 보이게 하는 등의 방향 입력 또는 빠른 메뉴버튼이 입력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940)를 통해 메뉴 구성을 검토한다. 현재 메뉴에서 어떤 메뉴를 보여줘야 하는지, 또는 상위 메뉴는 어떤 메뉴인지에 대한 정보를 검토한다. 메뉴 집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이외에도 어떤 메뉴와 어떤 기능이 결합되는 지에 대한 정보도 포함한다. 이와 함께 저장부(950)에서 현재 수행중인 기능이 무엇인지, 또는 메뉴를 출력함에 있어서 어떤 설정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검토한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를 토대로 해서 어떤 화면을 출력할 것인지를 생성하여 이를 출력부(920)로 보낸다. 출력부(920)는 병렬 이동면과 계층 이동면을 포함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들을 구성하는 메뉴들을 회전하여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구현함으로써 디지털 기기에서의 레벨간의 메뉴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디지털 기기의 사용에 있어서의 편의성을 높이는데 있다.
본 발명을 구현함으로써 디지털 기기의 복잡하게 계층적으로 구성된 메뉴를 이용함에 있어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Claims (42)

  1. 계층적으로 구성된 메뉴집합에서 같은 레벨에 존재하는 형제 메뉴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병렬 이동면; 및
    상기 계층적으로 구성된 메뉴집합에서 다른 레벨에 존재하는 상위 메뉴들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계층 이동면을 포함하며,
    상기 병렬 이동면을 구성하는 메뉴 또는 계층 이동면을 구성하는 메뉴는 고정된 셀렉터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 이동면과 상기 계층 이동면이 배치된 빠른 메뉴화면을 더 포함하며,
    상기 빠른 메뉴화면은 사용자의 작용에 따라 열리는,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 이동면을 구성하는 메뉴 선택은 고정된 셀렉터를 기준으로 메뉴를 회전시키며,
    한방향으로 메뉴를 회전시킬 경우 상기 병렬 이동면을 구성하는 메뉴로 이동 할 수 있는,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 이동면을 구성하는 메뉴 선택은 고정된 셀렉터를 기준으로 메뉴를 회전시키며,
    한방향으로 메뉴를 회전시킬 경우 상기 계층 이동면을 구성하는 메뉴로 이동할 수 있는,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 이동면을 구성하는 메뉴의 하위 메뉴를 보여주는 실행 메뉴화면을 더 포함하는,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 이동면의 메뉴는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하는,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 이동면의 메뉴는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하는,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 이동면은 상기 병렬 이동면에 포함된 형제 메뉴들과 관련된 상위 메뉴를 중심으로 상기 계층 이동면과 직각으로 링크된,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 이동면의 메뉴는 상기 계층적으로 구성된 메뉴집합의 최상위 메뉴인,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 이동면의 메뉴는 상기 병렬 이동면의 메뉴보다 상위 메뉴인,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 이동면의 메뉴는 상기 병렬 이동면을 구성하는 메뉴의 상위 레벨의 메뉴인,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 이동면에서 회전하는 메뉴의 하위 메뉴가 상기 병렬 이동면을 구성하는,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는 디지털 방송을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를 분류한,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는 디지털 방송을 통해 수신되는 정보를 분류한,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동작중인 디지털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는 메뉴인,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16. 계층적으로 구성된 메뉴집합에서 같은 레벨에 존재하는 형제 메뉴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병렬 이동면; 및
    상기 계층적으로 구성된 메뉴집합에서 다른 레벨에 존재하는 상위 메뉴들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계층 이동면을 포함하며,
    상기 병렬 이동면과 계층 이동면을 요청하는 활성화 입력을 받는 단계;
    상기 입력에 따라 상기 병렬 이동면과 계층 이동면을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의 상하좌우 방향에 대한 방향 입력을 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방향에 따라 상기 병렬 이동면 또는 상기 계층 이동면을 구성하는 메뉴들을 회전시켜서 새로운 메뉴로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 이동면과 상기 계층 이동면이 배치된 빠른 메뉴화면을 더 포함하며,
    상기 빠른 메뉴화면은 현재 수행중인 메뉴 또는 기능을 기준으로 상위 메뉴로 구성된,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입력을 받는 단계는
    상기 병렬 이동면을 구성하는 메뉴를 고정된 셀렉터를 기준으로 메뉴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한방향으로 메뉴를 회전시킬 경우 상기 병렬 이동면을 구성하는 메뉴로 이동할 수 있는,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입력을 받는 단계는
    상기 계층 이동면을 구성하는 메뉴를 고정된 셀렉터를 기준으로 메뉴를 회전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한방향으로 메뉴를 회전시킬 경우 상기 계층 이동면을 구성하는 메뉴로 이동할 수 있는,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입력을 받는 단계는
    상기 병렬 이동면을 구성하는 메뉴의 하위 메뉴를 보여주는 실행 메뉴화면을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 이동면의 메뉴는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하는,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2.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 이동면의 메뉴는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하는,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3.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 이동면은 상기 병렬 이동면에 포함된 형제 메뉴들과 관련된 상위 메뉴를 중심으로 상기 계층 이동면과 직각으로 링크된,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4.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 이동면의 메뉴는 상기 계층적으로 구성된 메뉴집합의 최상위 메뉴인,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5.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 이동면의 메뉴는 상기 병렬 이동면의 메뉴보다 상위 메뉴인,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6.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 이동면의 메뉴는 상기 병렬 이동면을 구성하는 메뉴의 상위 레벨의 메뉴인,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 이동면에서 회전하는 메뉴의 하위 메뉴가 상기 병렬 이동면을 구성하는,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는 디지털 방송을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를 분류한,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는 디지털 방송을 통해 수신되는 정보를 분류한,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3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동작중인 디지털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는 메뉴인,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31. 사용자로부터 방향 입력과 빠른 메뉴를 실행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수신부;
    상기 입력에 대해 출력할 메뉴 집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출력할 방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저장된 메뉴 집합과 저장부에 저장된 메뉴 설정 정보를 가지고 출력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출력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는 계층적으로 구성된 메뉴집합에서 같은 레벨에 존재하는 형제 메뉴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병렬 이동면; 및
    상기 계층적으로 구성된 메뉴집합에서 다른 레벨에 존재하는 상위 메뉴들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계층 이동면을 출력하며,
    상기 입력 수신부를 통한 입력에 따라 상기 병렬 이동면 또는 상기 계층 이동면을 구성하는 메뉴들을 회전시켜서 나타내는 디지털 장치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병렬 이동면과 상기 계층 이동면이 배치된 빠른 메뉴화면을 출력하며,
    상기 빠른 메뉴화면은 현재 수행중인 메뉴 또는 기능을 기준으로 상위 메뉴로 구성된, 디지털 장치
  33.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 이동면의 메뉴는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하는, 디지털 장치
  34.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 이동면의 메뉴는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하는, 디지털 장치
  35.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 이동면은 상기 병렬 이동면에 포함된 형제 메뉴들과 관련된 상위 메뉴를 중심으로 상기 계층 이동면과 직각으로 링크된, 디지털 장치
  36.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 이동면의 메뉴는 상기 계층적으로 구성된 메뉴집합의 최상위 메뉴인, 디지털 장치
  37.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 이동면의 메뉴는 상기 병렬 이동면의 메뉴보다 상위 메뉴인, 디지털 장치
  38.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 이동면의 메뉴는 상기 병렬 이동면을 구성하는 메뉴의 상위 레벨의 메뉴인, 디지털 장치
  39.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 이동면에서 회전하는 메뉴의 하위 메뉴가 상기 병렬 이동면을 구성하는, 디지털 장치
  40.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는 디지털 방송을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를 분류한,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41.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는 디지털 방송을 통해 수신되는 정보를 분류한, 디지털 장치
  4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동작중인 디지털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는 메뉴인, 디지털 장치
KR1020040075125A 2004-09-20 2004-09-20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장치 KR100621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125A KR100621580B1 (ko) 2004-09-20 2004-09-20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125A KR100621580B1 (ko) 2004-09-20 2004-09-20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266A KR20060026266A (ko) 2006-03-23
KR100621580B1 true KR100621580B1 (ko) 2006-09-19

Family

ID=37137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5125A KR100621580B1 (ko) 2004-09-20 2004-09-20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15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46931A1 (en) * 2006-07-31 2008-02-21 Kevin Corbet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econdary navigation options
KR100833244B1 (ko) * 2006-11-01 2008-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비쥬얼 데이터의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566001B1 (ko) 2009-01-22 2015-11-04 삼성전자 주식회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772640B1 (ko) 2010-09-03 201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능 설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7728A (ja) 1998-05-20 1999-11-30 Nec Corp メニュー表示装置、方法及び記録媒体
KR20020039742A (ko) * 2000-11-22 2002-05-30 조정남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및 제어 장치
JP2002223396A (ja) 2001-01-25 2002-08-09 Funai Electric Co Ltd デジタル/アナログ放送受信機におけるチャンネル選択装置
JP2002287950A (ja) 2001-03-27 2002-10-04 Nippon Seiki Co Ltd 表示装置の表示方法
KR20050010269A (ko) * 2003-07-18 2005-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메뉴를 포함하는 단말기 및 메뉴 이동 방법
KR20050046367A (ko) * 2003-11-14 2005-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계층 구조의 메뉴를 표시하는 장치및 방법
KR20060024956A (ko) * 2004-09-15 2006-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뉴 이동에서 사용자 편의성을 지원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7728A (ja) 1998-05-20 1999-11-30 Nec Corp メニュー表示装置、方法及び記録媒体
KR20020039742A (ko) * 2000-11-22 2002-05-30 조정남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및 제어 장치
JP2002223396A (ja) 2001-01-25 2002-08-09 Funai Electric Co Ltd デジタル/アナログ放送受信機におけるチャンネル選択装置
JP2002287950A (ja) 2001-03-27 2002-10-04 Nippon Seiki Co Ltd 表示装置の表示方法
KR20050010269A (ko) * 2003-07-18 2005-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메뉴를 포함하는 단말기 및 메뉴 이동 방법
KR20050046367A (ko) * 2003-11-14 2005-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계층 구조의 메뉴를 표시하는 장치및 방법
KR20060024956A (ko) * 2004-09-15 2006-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뉴 이동에서 사용자 편의성을 지원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266A (ko) 200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2309B2 (en) User friendly remote system interface
US89434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organizing application programs and status information
AU2008229473B2 (en) Programmable on screen display and remote control
KR100809288B1 (ko) 컨텐츠와 이에 관련된 정보들을 동시에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US200801205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enu in cross shape
US20070220440A1 (en) User interface method of multi-tasking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JP2003508842A (ja)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用のメニューディスプレイ
CN103248925B (zh) 电视接收设备及其控制方法
KR100654448B1 (ko) 컨텐츠 검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60031600A (ko) 미디어 항목들을 편성하고, 선택하며, 개시하기 위한주밍(zooming) 가능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갖춘 제어 프레임워크
JP2008536196A (ja) 3dポインティングを使用してテレビアプリケーションを向上させ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070060374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ui메뉴 표시방법
CN103561333A (zh) 在显示设备上显示菜单项的方法
CN102446070A (zh) 一种在各级目录间进行快捷跳转的方法和装置
CA2731739C (en) Systems and methods for graphical control of user interface features provided by a television receiver
JP2024069433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621580B1 (ko)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장치
KR101177453B1 (ko)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재생 장치
CN115022695A (zh) 显示设备及Widget控件显示方法
JP2010259047A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664927B1 (ko) 메뉴 이동에서 사용자 편의성을 지원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EP2028587A1 (en) Method and device for naviga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080163133A1 (en) Sophisticated sort mechanisms on a limited interface
KR100621127B1 (ko) 디스플레이된 객채들을 처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 및 방법
KR100654444B1 (ko) 디지털 tv의 화면 전환을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