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4956A - 메뉴 이동에서 사용자 편의성을 지원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메뉴 이동에서 사용자 편의성을 지원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4956A
KR20060024956A KR1020040073836A KR20040073836A KR20060024956A KR 20060024956 A KR20060024956 A KR 20060024956A KR 1020040073836 A KR1020040073836 A KR 1020040073836A KR 20040073836 A KR20040073836 A KR 20040073836A KR 20060024956 A KR20060024956 A KR 20060024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moving surface
hierarchical
input
men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3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4927B1 (ko
Inventor
류영재
임도헌
김현정
이준
마가렛 노보트니
채드 폴 제닝스
쉴라 폴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3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4927B1/ko
Publication of KR20060024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4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뉴 이동에서 사용자 편의성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이동에서 사용자 편의성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계층적으로 구성된 메뉴집합에서 같은 부모 메뉴를 가지는 메뉴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병렬 이동면 및 상기 부모 메뉴의 형제 메뉴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계층 이동면을 포함하며, 상기 병렬 이동면과 상기 계층 이동면은 셀렉터를 중심으로 십자형태로 교차하며, 상기 병렬 이동면을 구성하는 메뉴 또는 계층 이동면을 구성하는 메뉴는 상기 셀렉터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메뉴 이동, 메뉴 네비게이션, 디지털 장치, 디지털 방송

Description

메뉴 이동에서 사용자 편의성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enu navigation supporting usability}
도 1은 종래의 방법에 따라 컨텐츠 선택 또는 메뉴 이동을 보여주는 일 실시예이다.
도 2는 방향 입력키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의 계층적 구조를 보여주는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가 출력된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상위 메뉴의 이동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 이동면에서의 메뉴 이동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층 이동면에서의 메뉴 이동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뉴가 선택된 경우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이동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102, 103 : 종래 메뉴 화면 110, 111, 112 : 실시예에 따른 화면
500 : 방향 입력키 601, 602 : 조그셔틀
900 : 디지털 기기
본 발명은 메뉴 이동에서 사용자 편의성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기에서 컨텐츠를 선택하거나 메뉴를 이동하기 위해서는 크게 마우스와 같은 세밀한 포인터 이동이 가능한 입력기를 사용하거나 또는 리모트 컨트롤 또는 키보드나 키패드의 방향키, 조그 셔틀과 같은 방향 입력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마우스와 같은 입력기는 컴퓨터에 한정되며 다른 디지털 기기에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반면, 방향키와 조그 셔틀의 경우 방향성으로 입력과 네비게이션을 수행하기에 그 한계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법에 따라 컨텐츠 선택 또는 메뉴 이동을 보여주는 일 실시 예이다.
도 1은 메뉴를 선택함에 따라 101, 102, 103의 화면으로 바뀌는 것을 보여준다. 화면(100)에서 왼쪽 부분은 현재 선택된 메뉴를 보여준다. 처음에는 최상위 메뉴에서 시작하므로 메뉴01 에서 메뉴 05까지 나와있다. 오른쪽은 상기 메뉴01부터 메뉴05 사이에 어느 한 메뉴를 상하 입력키를 이용하여 포커스를 줄 경우, 그 하부 메뉴 또는 컨텐츠 리스트를 보여준다. 여기서 다시 오른쪽 방향키를 선택하거나 오른쪽으로 조그 셔틀을 회전시키면 그 하부 메뉴 또는 컨텐츠 리스트에서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101 화면에서는 메뉴 03.02를 선택하게 된다(S10). 그 결과 102 화면에서 볼 수 있듯이, 왼쪽 서브 화면은 메뉴 03.02가 선택되어 있으며, 오른쪽 화면은 메뉴 03.02를 구성하는 하위 메뉴인 03.02.01, 03.02.02, 03.02.03, 03.02.04, 03.02.05로 구성된다. 여기서 오른쪽 화면에서 상하로 네비게이션을 수행하여 특정 메뉴(03.02.03)를 선택하면 메뉴 03.02.03의 하위 메뉴 또는 컨텐츠가 나타난다(S11). 그 결과는 103 화면과 같다. 103 화면은 03.02.03을 선택하여 나타나는 세부 컨텐츠 관련 메뉴가 오른쪽 화면에 나타난다. 그런데 103 메뉴에서 다시 다른 메뉴로 가기 위해서는 순차적으로 상위로 올라간다. 즉 S20 단계를 통해 03.02 메뉴가 선택된 화면(102)로 가서 다시 그 상위 메뉴로 이동을 한다(S21). 이렇게 두번에 걸쳐 상위 메뉴로 움직이면 이후 메뉴 01~메뉴 05 사이에서 선택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메뉴 이동이 수행되는 것은 컴퓨터나 노트북이 아닌 대부분의 디지털 기기의 메뉴나 컨텐츠 선택은 방향키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방향키는 상하, 좌우, 또는 소정의 방향으로 커서나 선택바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컴퓨터의 마우스와 같이 2차원적으로 광범위하게 입력을 할 수는 없다.
도 2는 방향 입력키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를 보여준다. 리모트 컨트롤(10)과 휴대폰(20)에는 각각 방향 입력키(500)가 있다. 방향 입력키(500)는 도 2에서는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커서 또는 포커스, 화면을 이동시킨다. 이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것이 조그 셔틀(601, 602) 이다. 이는 휠을 통해, 상하 또는 좌우와 같이방향성 있는 입력을 받는다. 조그셔틀을 위에서 본 것은 601이고, 측면에서 본 것은 602이다.
리모트 컨트롤, 키패드, 또는 조그 셔틀을 채용하는 디지털 기기는 이러한 방향 입력키를 통해 단순하면서도 편리함을 제공한다. 따라서 방향 입력키를 사용하면서 메뉴를 쉽게 네비게이션 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디지털 기기에서의 여러 계층으로 이루어진 메뉴사이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디지털 기기의 사용에 있어서의 편의성을 높이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메뉴 이동에서 사용자 편의성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이동에서 사용자 편의성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계층적으로 구성된 메뉴집합에서 같은 부모 메뉴를 가지는 메뉴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병렬 이동면 및 상기 부모 메뉴의 형제 메뉴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계층 이동면을 포함하며, 상기 병렬 이동면과 상기 계층 이동면은 셀렉터를 중심으로 십자형태로 교차하며, 상기 병렬 이동면을 구성하는 메뉴 또는 계층 이동면을 구성하는 메뉴는 상기 셀렉터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게 되는 용어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 메뉴
메뉴(Menu)는 어떤 정보, 또는 어떤 하위 메뉴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개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 방송의 경우 그 방송을 통해 수신되는 정보의 특성에 따라 분류될 수 있는데, 이 분류 하나하나를 카테고리라고 할 수 있다. 이 카테고리는 메뉴의 한 예가 될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도 3과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 메뉴집합은 이러한 하나 이상의 메뉴가 계층화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 방향 입력
리모트 컨트롤의 방향 입력키, 휴대폰, DVD 플레이어에서의 방향 입력키에서 특정 방향으로 커서 또는 포커스, 셀렉터 또는 화면이 움직이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조그 셔틀에서 휠을 회전시켜서 화면이나 포커스, 셀렉터를 움직이는 것도 포함한다. 이하 상향으로 조그 셔틀의 휠을 움직이거나 상향 버튼을 누르는 것을 상향 입력이라 한다. 하향 입력, 좌향 입력, 우향 입력 등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그리고 상향 입력을 실행하는 것을 상향 입력키라 하고, 하향 입력키, 좌향 입력 키, 우향 입력키도 마찬가지이다.
- 셀렉터(Selector)
메뉴의 선택에서 현재 포커싱이 되어있는 메뉴를 표시한다. 이는 메뉴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색을 달리 두어 다른 메뉴와 달리 현재 선택을 위해 대기중임을 보여준다. 또한 선택된 메뉴를 보여줄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선택되거나, 또는 선택을 기다리는 메뉴를 다른 메뉴와 차별성있게 표시하는 모든 형태를 셀렉터라고 한다. 또한 셀렉터로 부각된 메뉴는 단지 시각적인 크기나 밝기, 색상 뿐만 아니라, 다른 메뉴와 달리 세부적인 정보를 더 나타낼 수 있다. 이는 다른 메뉴는 메뉴의 이름만 나타나는 반면, 셀렉터를 통해 표시되는 메뉴의 경우는 해당 또는 하부 메뉴에 대한 설명, 설명을 위한 세부 아이콘 등도 함께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셀렉터가 고정될 경우, 이 셀렉터를 통해 선택할 수 있는 메뉴는 상하, 또는 좌우 등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효과를 보여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의 계층적 구조를 보여주는 구조도이다.
메뉴는 도 3에서 보이듯이 계층적으로 구성된다. 최상위 메뉴는 다른 메뉴에 포함되지 않는 메뉴를 의미한다. 메뉴 01, 메뉴 02, 메뉴 03, 메뉴 04를 의미한다. 한편 이들 메뉴를 구성하는 하위 메뉴가 존재할 수 있다. 메뉴 01의 하위 메뉴로는 메뉴 01.01, 메뉴 01.02가 존재하며, 메뉴 02의 하위 메뉴에는 메뉴 02.01, 메뉴 02.02, 메뉴 02.03이 있다. 메뉴 03을 구성하는 것으로는 메뉴 03.01, 메뉴03.02, 메뉴03.03, 메뉴03.04가 존재한다.
최상위 메뉴를 레벨 1로 정의할 때, 그 하위 메뉴는 레벨 2가 된다. 그리고 레벨 2에 있는 메뉴의 하위 메뉴는 레벨 3이 된다.
본 명세서에서 상위 메뉴는 자기보다 레벨의 숫자가 적은 메뉴를 의미하고, 하위 메뉴는 레벨의 숫자가 높은 메뉴를 의미한다. 또한 최상위 메뉴는 레벨이 1인 메뉴들을 의미한다.
부모 메뉴는 자신을 포함하며, 자신의 레벨보다 1이 적은 상위 레벨의 메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메뉴 03.02.03의 부모 메뉴는 메뉴 03.02가 된다. 형제 메뉴는 같은 부모를 가지며, 자신과 레벨이 같은 메뉴를 의미한다. 메뉴 03.02.02의 입장에서 형제 메뉴는 직속 상위 메뉴인 메뉴 03.02를 구성하는 하위 메뉴인 메뉴 03.02.01 내지 메뉴 03.02.05까지를 포함한다.
최상위 메뉴는 부모가 없으므로, 최상위 메뉴의 형제 메뉴는 자신과 같은 레벨에 존재하는 최상위 메뉴 모두를 포함한다. 도 3에서 메뉴 02의 형제 메뉴들은 메뉴 01, 메뉴 03, 메뉴 04가 된다. 자식 메뉴는 자신이 포함하며, 자신보다 레벨이 1 큰 메뉴를 의미한다. 메뉴 03을 구성하는 자식 메뉴들은 메뉴 03.01에서 메뉴 03.04까지를 포함한다.
따라서 자식이 없는 메뉴, 예를 들어 메뉴 04, 또는 메뉴 03.02.01는 어떤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어떤 컨텐츠를 재생시키거나 컨텐츠의 정보를 얻거나, 혹은 디지털 기기의 설정과 관련된 정보를 설정하는 실질적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도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을 수행할 때, 메뉴간에 이동하는 방법이 종래에 있었다. 그런데 이 이동은 레벨을 기준으로 1씩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레벨 3의 메뉴에서 레벨 1의 메뉴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두 번의 화면 전환을 필요로 한다. 또한, 레벨 2의 메뉴 03.02에서 같은 레벨 2의 메뉴 01.02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메뉴 03으로 이동하여 메뉴 01로 이동한 후 다시 메뉴 01.02로 이동해야 한다. 한번의 조작으로 한번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방향 입력키나 조그셔틀의 경우 빈번한 조작을 필요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가 출력된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메뉴 구성을 따라 나타난 화면(110)이다. 화면은 메뉴 버튼을 눌렀을 때 나타나는 화면이다. 병렬 이동면(150)과 계층 이동면(160)이 직각으로 마주한 형태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병렬 이동면(150)은 상하로, 계층 이동면(160)은 좌우로 회전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해당한다. 병렬 이동면이 좌우로, 계층 이동면이 상하로 회전할 수도 있으며, 이는 해당 디지털 기기의 디스플레이의 특징과 메뉴를 구성함에 있어서 어떤 형태가 적합한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병렬 이동면(150)를 구현하는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제 1예로 현재 메뉴를 기준으로 부모 메뉴를 나타내는 제 1예이다.
현재 특정 기능을 수행하거나 특정 메뉴를 네비게이션 하는 과정이었다면, 그 메뉴의 부모 메뉴와, 그 부모 메뉴의 형제 메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의 메뉴 03.02.01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메뉴 03.02.01를 네비게이션 중이었다면, 그의 부모 메뉴인 메뉴 03.02와 그의 형제 메뉴인 메뉴 03.01 내 지 메뉴 03.04까지를 병렬 이동면에 나타낼 수 있다.
그 다음 경우로는, 해당 메뉴를 포함하는 레벨 2인 메뉴를 나타낼 수 있다. 도 3에 미도시 되었으나, 메뉴 03.02.01에 메뉴 03.02.01.01과 메뉴 03.02.01.02가 있으며, 현재 메뉴 03.02.01.01의 기능을 수행할 때를 예로 들 수 있다. 전술한 제 1예를 적용한다면 현재 메뉴의 부모인 메뉴 03.02.01가 부모 메뉴가 되며, 이 메뉴의 형제 메뉴들인 레벨 3의 메뉴 03.02.01내지 메뉴 03.02.05까지가 병렬 이동면(150)에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제 2예에 의할 경우는 이러한 상대적인 메뉴가 아니라, 절대적인 레벨 2의 메뉴를 보여준다. 따라서, 레벨 2이면서 해당 메뉴를 포함하는 메뉴 03.02와 그의 형제 메뉴인 메뉴 03.01 내지 메뉴 03.04까지를 병렬 이동면에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다음 예로는 현재 선택한 최상위 메뉴의 자식 메뉴를 나타내는 제 3의 예이다. 이는 후술할 도 5에서 특정 최상위 메뉴를 선택했을 때, 그 메뉴의 자식 메뉴를 병렬 이동면에 나타내는 방식이다.
병렬 이동면에는 현재 병렬 이동면을 구성하는 메뉴의 부모 메뉴인 메뉴 03(130)을 따로 표시하고 있다. 이는 계층 이동면에서 메뉴 선택시에 병렬 이동면에 대한 정보를 좀더 풍부히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메뉴 03의 위치는 반드시 130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병렬 이동면의 상부에도 존재할 수 있다. 또는 병렬 이동면이나 계층 이동면이 아닌 화면의 다른 지점에 나타날 수 있다.
병렬 이동면의 메뉴는 셀렉터(131)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도 4에서는 메뉴 03.02가 선택되어 있으며, 이 메뉴는 다른 메뉴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제시하고 있 다. 이는 메뉴 선택시 비선택된 메뉴의 정보는 간단히 나타내고, 선택된 메뉴의 정보를 자세히 제시하여, 공간 차지를 줄이며, 가독성을 높인다. 셀렉터(131)을 통해 선택된 메뉴 03.02는 다른 형제 메뉴(메뉴 03.01 등)와 달리 컨텐츠에 대한 설명을 더 포함하며, 이미지를 가질 수도 있다. 전술하였듯이, 메뉴는 어떤 컨텐츠의 재생등의 기능도 수행하며, 도 4는 메뉴 03.02가 어떤 컨텐츠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며 이미지 정보를 상세히 나타내는 걸 알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이나 조그 셔틀등을 가지고 상/하향 입력을 할 경우 메뉴 03.01 또는 메뉴 03.03이 선택될 수 있다. 상향 입력을 할 경우, 병렬 이동면은 회전하여, 메뉴 03.01이 셀렉터를 통해 보여진다. 그 결과, 메뉴 03.01에 대한 상세 정보가 셀렉터(131)을 통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회전은 원과 같이 끝이 맞닿은 형태를 구현한 것이므로, 메뉴 03.01 위에는 메뉴 03.04를 표시하여, 한방향으로 병렬 이동면을 회전시킬 경우, 병렬 이동면의 메뉴들을 모두 셀렉터에 둘 수 있게 한다. 이는 양 끝에 해당하는 메뉴 03.01과 메뉴 03.04간의 이동을 키 입력을 줄이면서 사용자의 회전에 대한 지각에 일치하게 표시한다.
병렬 이동면에 메뉴를 나타내는 방법은 위에서 예를 든 제 1, 제 2, 제 3의 예를 포함하며,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은 계층 이동면(160)에 대해서 살펴본다. 계층 이동면(160)은 병렬 이동면(150)을 포함하는 부모 메뉴의 형제 메뉴를 나타낸다. 도 4에서 병렬 이동면(150)에는 메뉴 03.01에서 메뉴 03.04까지 표시되므로, 이 메뉴의 부모 메뉴인 메뉴 03의 좌, 우측 형제 메뉴인 메뉴 02와 메뉴 03이 계층 이동면에 나타난다. 여기 서 우측 메뉴를 선택하면 메뉴 04가 130에 표시되면서 메뉴 04의 자식 메뉴들이 병렬 이동면에 나타날 수 있다. 이의 자세한 구현은 도 6에서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상위 메뉴의 이동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제시한 메뉴 구성의 일 실시예에서의 최상위 메뉴를 보여주고 있다. 도 5는 병렬 이동면 없이 계층 이동면만 존재하는 특수한 경우의 메뉴 이동을 보여준다.
도 5는 디지털 기기가 켜져서 작동될 때, 또는 리셋이나 최상위 메뉴 버튼을 누르는 상황등 다양한 경우에 최상위 메뉴를 나타낸다. 이 메뉴간에는 좌, 우향 입력을 통해 이동된다. 110 화면은 최상위 메뉴가 나열되어 있으며, 이중에서 메뉴 03이 선택되어 있다. 처음에 선택될 메뉴는 최상위 메뉴중에서 첫번째 메뉴(도 3의 최상위 메뉴 중에서 가장 왼쪽에 위치한 메뉴)이거나, 가장 최근에 사용한 메뉴, 또는 가장 빈번히 사용한 메뉴등 다양한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좌, 우향 입력을 하면,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들 최상위 메뉴가 좌, 우로 회전하여 111 화면과 같이 나타난다. 111 화면은 110 화면에서 좌향 입력키를 누른 경우의 결과를 보여준다. 그 결과 메뉴들은 모두 회전하듯이 이동하여 메뉴 02가 부각되어 나타난다. 또한, 메뉴 05가 110에서의 메뉴 01의 위치로 이동하는데, 이는 메뉴들이 원을 구성하듯이 회전하여 메뉴의 양 끝이 연결된 효과를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 이동면에서의 메뉴 이동을 보여주 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계층 이동면의 메뉴 이동이 이루어진 실시예를 보여준다. 계층 이동면은 좌, 우로 이동한다. 사용자가 우향 입력키를 누른 경우 계측 이동면의 우측을 점유하는 메뉴 04가 선택되며, 이에 따라 병렬 이동면은 메뉴 04의 자식 메뉴인 메뉴 04.01에서 메뉴 04.04까지 나타난다. 도 3에서 메뉴 04의 자식 메뉴는 미도시 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자식 메뉴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메뉴 04가 선택되면서 111화면은 메뉴 04의 자식 메뉴가 병렬 이동면을 구성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어떤 자식 메뉴가 셀렉터로 부각되어 나타날 지는 구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 1예로 메뉴 04를 구성하는 자식 메뉴중 중간 위치의 메뉴인 메뉴 04.02가 선택될 수 있다. 111 화면에서 셀렉터(131)에 메뉴 04.02가 부각되어 나타난 예가 제 1예에 해당한다. 또한 130이 가리키는 메뉴도 메뉴 03에서 메뉴 04로 변경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층 이동면에서의 메뉴 이동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6의 제 1예는 중간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 7은 제 2예로 메뉴 04를 구성하는 자식 메뉴 중 첫 메뉴인 메뉴 04.01이 선택된 경우를 보여준다. 112화면에서 셀렉터(131)에 메뉴 04.01가 선택된 경우를 보여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병렬 이동면과 계층 이동면은 모두 회전하는 방식으로 메뉴를 표현하므로, 셀렉터(131)에 메뉴 04.01이 나타나므로, 그 위의 선택되지 않은 메뉴에는 메뉴 04.04가 나타난다. 또한 130이 가리키는 메뉴도 메뉴 03에서 메뉴 04로 변경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선택된 메뉴(131)에는 이미지 외에도 여러 상세 정보들이 나타날 수 있다. 해당 메뉴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하는 아이콘(132)이 표시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에서 계층 이동면의 변화에 따른 병렬 이동면의 출력에 있어서 어떤 메뉴를 선택상태로 둘 것인지는 제 1 또는 제 2예 외에도 여러 가지 방식으로 구현 가능하다. 도 6과 도 7의 실시예에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뉴가 선택된 경우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6에서 메뉴 04.02를 선택한 경우를 보여준다. 메뉴 04.02에 4개의 자식 메뉴가 있는 경우, 왼쪽에 메뉴 04.02.01에서 메뉴 04.02.04까지 나타난다. 그리고 첫번째 메뉴에 셀렉터(170)가 있다. 여기의 셀렉터는 병렬 이동면과 계층 이동면이 교차하는 도 6, 7의 셀렉터(150)와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메뉴(메뉴 04.02.01~메뉴 04.02.04)들 사이에서 셀렉터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셀렉터를 고정시키고 메뉴가 회전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는 구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셀렉터(170)를 이동시키거나, 메뉴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선택된 메뉴는 오른쪽의 공간(180)에 해당 컨텐츠가 나타나거나, 다시 그 하위 메뉴가 나타날 수 있다. 만약 메뉴 04.02.01이 동영상에 대한 것이라면, 그 동영상의 이미지나 상세 정보가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자식 메뉴를 가진다면 그 자식 메뉴를 나열할 수 있다. 또한 이 메뉴에 대해 텍스트 박스(190)를 두어 설명을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이동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병렬 이동면이 상하로 회전하며, 계층 이동면이 좌우로 회전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먼저 사용자로부터 메뉴화면을 활성화시키는 메뉴 버튼 입력을 받아들인다(S101). 이는 리모트 컨트롤 또는 휴대폰의 키패드 등에 특정 키로 존재할 수 있다. 디지털 장치는 메뉴화면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현재 실행중인 메뉴 또는 기능이 무엇인지, 즉 병렬 이동면과 계층 이동면에 표시할 메뉴가 무엇인지를 판단한다(S102). 상기 판단한 결과에 따라 병렬 이동면과 계층 이동면을 포함하는 화면을 출력한다(S103). 이후 메뉴화면에서 사용자가 메뉴 이동을 하기위해 상하향 또는 좌우향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S110). 이는 조그 셔틀의 휠을 회전시키거나, 리모트 컨트롤의 방향키를 누르거나, 휴대폰등의 키패드의 방향키를 눌러서 수행할 수 있다.
입력한 키가 어느 방향의 키인지를 판단한다. 상하향 입력키라면(S120), 병렬 이동면의 메뉴를 회전시킨다(S121). 또한 좌우향 입력키라면(S130) 계층 이동면의 메뉴를 회전시킨다(S131). 이러한 방향키가 아닌 다른 키라면 그 키의 요구에 맞는 작업을 수행한다(S141). 메뉴화면을 닫거나, 또는 현재 포커싱된 메뉴를 선택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여기서 디지털 장치는 디지털 티비, 디지털 셋톱박스, 휴대폰 등을 포함한다. 특히 키패드나 리모트 컨트롤 등의 방향 입력키 또는 조그 셔틀을 사용하는 디지털 장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 즉 '~모듈' 또는 '~테이블' 등은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기능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디지털 장치는 입력 수신부(910), 출력부(920), 제어부(9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940), 그리고 저장부(950)을 포함한다.
입력 수신부(910)은 사용자로부터 방향 입력을 받는다, 상하, 또는 좌우 등으로 커서나 셀렉터, 메뉴 등을 이동시키도록 입력을 받는다. 또한 메뉴를 실행시키거나 선택하는 입력 신호도 수신한다.
입력 수신부(910)에서 수신한 입력 신호는 제어부(930)로 보내어진다. 제어부(930)은 입력된 신호에 따라 어떤 정보를 처리하고 출력할 것인지, 혹은 어떤 기 능을 수행할 것인지를 판별한다. 메뉴 이동에 있어서, 메뉴를 이동하거나, 새로운 메뉴를 보이게 하는 등의 방향 입력 또는 메뉴버튼이 입력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940)를 통해 메뉴 구성을 검토한다. 현재 메뉴에서 어떤 메뉴를 보여줘야 하는지, 또는 상위 메뉴는 어떤 메뉴인지에 대한 정보를 검토한다. 메뉴 집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이외에도 어떤 메뉴와 어떤 기능이 결합되는 지에 대한 정보도 포함한다. 이와 함께 저장부(950)에서 현재 수행중인 기능이 무엇인지, 또는 메뉴를 출력함에 있어서 어떤 설정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검토한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를 토대로 해서 어떤 화면을 출력할 것인지를 생성하여 이를 출력부(920)로 보낸다. 출력부(920)는 병렬 이동면과 계층 이동면을 포함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들을 구성하는 메뉴들을 회전하여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구현함으로써 디지털 기기에서의 메뉴 이동을 위해 짧은 회수의 버튼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디지털 기기의 사용에 있어서의 편의성을 높이는데 있 다.
또한 메뉴의 구성에 따라 2차원적인 배열을 제공하여 메뉴의 이동시 어떤 메뉴를 선택하는지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구현함으로써 디지털 기기의 복잡하게 계층적으로 구성된 메뉴를 이용함에 있어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Claims (5)

  1. 계층적으로 구성된 메뉴집합에서 같은 부모 메뉴를 가지는 메뉴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병렬 이동면; 및
    상기 부모 메뉴의 형제 메뉴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계층 이동면을 포함하며,
    상기 병렬 이동면과 상기 계층 이동면은 셀렉터를 중심으로 십자형태로 교차하며,
    상기 병렬 이동면을 구성하는 메뉴 또는 계층 이동면을 구성하는 메뉴는 상기 셀렉터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메뉴 이동에서 사용자 편의성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 이동면은 상기 메뉴집합에서 최상위 메뉴들을 포함하는, 메뉴 이동에서 사용자 편의성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3. 계층적으로 구성된 메뉴집합에서 같은 부모 메뉴를 가지는 메뉴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병렬 이동면; 및
    상기 부모 메뉴의 형제 메뉴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계층 이동면을 포함하며,
    상기 병렬 이동면과 계층 이동면을 요청하는 활성화 입력을 받는 단계;
    상기 입력에 따라 상기 병렬 이동면과 상기 계층 이동면은 셀렉터를 중심으로 십자형태로 교차하게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의 상하좌우 방향에 대한 방향 입력을 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방향에 따라 상기 병렬 이동면을 구성하는 메뉴 또는 계층 이동면을 구성하는 메뉴를 상기 셀렉터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뉴 이동에서 사용자 편의성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 이동면은 상기 메뉴집합에서 최상위 메뉴들을 포함하는, 메뉴 이동에서 사용자 편의성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5. 사용자로부터 방향 입력과 메뉴를 실행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수신부;
    상기 입력에 대해 출력할 메뉴 집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출력할 방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저장된 메뉴 집합과 저장부에 저장된 메뉴 설정 정보를 가지고 출력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출력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는
    계층적으로 구성된 메뉴집합에서 같은 부모 메뉴를 가지는 메뉴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병렬 이동면; 및
    상기 부모 메뉴의 형제 메뉴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계층 이동면을 포함하며,
    상기 병렬 이동면과 상기 계층 이동면은 셀렉터를 중심으로 십자형태로 교차하며,
    상기 입력 수신부를 통해 입력된 방향에 따라 상기 병렬 이동면을 구성하는 메뉴 또는 계층 이동면을 구성하는 메뉴를 셀렉터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디지털 장치.
KR1020040073836A 2004-09-15 2004-09-15 메뉴 이동에서 사용자 편의성을 지원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664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836A KR100664927B1 (ko) 2004-09-15 2004-09-15 메뉴 이동에서 사용자 편의성을 지원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836A KR100664927B1 (ko) 2004-09-15 2004-09-15 메뉴 이동에서 사용자 편의성을 지원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956A true KR20060024956A (ko) 2006-03-20
KR100664927B1 KR100664927B1 (ko) 2007-01-04

Family

ID=37130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3836A KR100664927B1 (ko) 2004-09-15 2004-09-15 메뉴 이동에서 사용자 편의성을 지원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49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580B1 (ko) * 2004-09-20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장치
KR100864913B1 (ko) * 2007-10-16 2008-10-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편의 서비스 연동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580B1 (ko) * 2004-09-20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장치
KR100864913B1 (ko) * 2007-10-16 2008-10-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편의 서비스 연동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4927B1 (ko) 200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6944B2 (en)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00485613C (zh) 提供三维图形用户界面的设备和方法
US6236398B1 (en) Media selecting device
KR100861666B1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디스플레이
AU2008229473B2 (en) Programmable on screen display and remote control
US8259077B2 (en) Electronic device for inputting user command 3-dimensionally and method for employing the same
US89434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organizing application programs and status information
US80590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avigation in three-dimens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0462905C (zh) 具有可旋转输入按钮的便携式装置及其操作方法
US20130203495A1 (en) Multi-functional touchpad remote controller
US200801205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enu in cross shape
KR100654448B1 (ko) 컨텐츠 검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40017832A (ko) 끊김없이 조합시킨 자유로운 커서 이동 및 하이라이트네비게이션 점프
US70932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manipulation of graphic images to form a graphic image
KR100664927B1 (ko) 메뉴 이동에서 사용자 편의성을 지원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177453B1 (ko) 클릭가능한 오브젝트를 활성화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재생 장치
KR100621580B1 (ko) 계층간의 메뉴 이동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장치
EP2028587A1 (en) Method and device for naviga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JP4709089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gui制御方法
KR100772860B1 (ko) 3 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7264919A (ja) 入力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10146204A (ja) 制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視聴システム
KR20060056452A (ko) Dtv 응용 프로그램의 메뉴 표시/실행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