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4309B1 - 부품 실장기용 부품인식장치 - Google Patents

부품 실장기용 부품인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4309B1
KR100604309B1 KR1020040018282A KR20040018282A KR100604309B1 KR 100604309 B1 KR100604309 B1 KR 100604309B1 KR 1020040018282 A KR1020040018282 A KR 1020040018282A KR 20040018282 A KR20040018282 A KR 20040018282A KR 100604309 B1 KR100604309 B1 KR 100604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device
line scan
optical system
scan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8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3059A (ko
Inventor
남원우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8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4309B1/ko
Publication of KR20050093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4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4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 B26D1/1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in, or substantially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utting edge
    • B26D1/1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in, or substantially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utting edge with a plurality of cut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086Electric, magnetic, piezoelectric, electro-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장치로 라인스캔 카메라를 사용함과 동시에 노즐에 흡착된 전자 부품이 부품인식을 위하여 불필요한 이동을 하지 않는 부품 실장기용 부품인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 및 프레임에 장착되어 전자 부품을 흡착하고 외부기판에 장착하는 복수의 노즐부들을 구비하는 헤드부와, 헤드부와 결합되며 노즐부에 흡착된 전자 부품의 위치적 오차를 검출하는 라인스캔 카메라, 및 복수의 노즐부에 흡착된 각각의 전자 부품의 영상을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로 유입시키며, 촬영대상인 상기 각각의 전자 부품으로부터 라인스캔 카메라까지의 초점거리가 모두 동일하도록 광로의 길이를 조절하는 영상전달부를 구비하는 부품 실장기용 부품인식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부품 실장기용 부품인식장치{A component recognition apparatus for chip mounter}
도 1은 종래의 부품 실장기 및 이에 채택된 부품 실장기용 부품인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품 실장기용 부품인식장치를 확대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인식장치 및 헤드부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전자 부품으로부터 라인스캔 카메라까지의 초점거리를 일정하게 하기 위한 프리즘의 배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영상전달부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인식장치와 부품실장기의 헤드부가 결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반사경부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40: 헤드부 142: 프레임
144: 노즐부 150: 부품인식장치
155: 라인스캔 카메라 160: 영상전달부
161: 반사경부 165: 반사경
167: 반사경 연결장치 168: 광학 엑튜에이터
170: 초점조절부 180: 제1광학계
181: 제1광학기기 185: 제1광학이송부
190: 제2광학계 192: 제2광학기기
193: 제3광학기기 195: 제2광학이송부
P: 전자 부품 v: 제1광학계 이동속도
kv: 제2광학계 이동속도
본 발명은 부품실장기용 부품인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전자 부품을 외부기판에 실장하는 도중에, 노즐부에 장착된 전자 부품의 위치를 인식하여 불량여부를 감지하는 부품실장기용 부품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품 실장기는 인쇄회로기판(PCB)에 반도체 패키지 등의 부품을 장착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인쇄회로기판이 고밀도, 고기능을 가지며, 이에 따른 개별적인 집적 회로 전자 부품 또한 마찬가지로 고기능을 가진다. 이로 인하여 전자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출력 핀은 증가하고, 출력 핀들 사이의 간격은 보다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전자 부품을 실장하기 이전에, 전자 부품이 정확한 각도로 회전됨으 로써 전자 회로 기판 상에 정확하게 실장되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 부품을 소정 위치에 정확히 장착하기 위해서는 부품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부품이 상기 기판에 장착되기 전에 부품의 흡착상태 및 중심위치가 정확히 확인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부품인식장치가 사용된다.
최근에는 상기 부품인식장치에는 라인스캔 카메라가 사용되고 있다. 이는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가 일반 2차원 CCD 카메라에 비하여 해상도가 우수하므로 전자 부품이 미세해지고 정밀도가 높아지는 최근의 추세에 부합하기 때문이다.
도 1에는 미국특허 제6446333호에 개시된 종래의 부품인식장치 및 이를 채택한 부품 실장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기대(21)의 중앙부에는 X방향에 반송로(23)가 설치되어 있다. 반송로(23)는 기판(15)을 반송한다.
반송로(23)의 양측에는 전자 부품 공급부(32)가 배치되고 있고, 전자 부품 공급부(32)에는 테이프 피더(tape feeder;34) 및 트레이 피더(tray feeder;36)가 구비되어 있다. 테이프 피더(34)는 테이핑되는 전자 부품을 공급하고, 트레이 피더(36)는 트레이(tray;38)에 수납된 전자 부품(P)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X축 테이블(25)에는 전자 부품의 헤드부(40)가 장착되어 있다. 헤드부에는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노즐부(44)들을 구비하고 있다. X축 테이블(25)은 이와 평행하게 한 쌍으로 설치되는 Y축 테이블(26)에 가설되어 있다.
X축 테이블(25) 및 Y축 테이블(26)이 구동됨으로 인하여, 헤드부(40)는 수평이동하고, 상기 헤드부에 구비된 노즐부(44)에 의하여 테이프 피더(34) 및 상기 트레이 피더의 트레이(38)로부터 전자 부품(P)이 픽업되어 반송로(23) 상의 기판(15) 에 실장한다. 상기 노즐부(44)에 실장된 전자 부품(P)이 기판(15)에 실장되기 전에 라인스캔 카메라(50)에 의하여 촬상된다.
라인스캔 카메라(50)는 영상을 한 줄씩 읽어 메모리에 저장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종래의 부품인식장치는 일렬로 흡착된 전자 부품들을 인식하기 위해서 라인스캔 카메라를 기대(21)에 부착시킨 후에 카메라의 렌즈 상으로 부품을 부착한 헤드부의 노즐부(44)가 지나가며 전자 부품(P)의 흡착상태 및 중심위치를 검출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헤드부(40)에는 일렬로 배치된 노즐부(44)들이 구비되고, 노즐부(44) 각각은 각각 전자 부품(P1, P2, P3)들을 흡착하고 있다. 노즐부(44)에는 원형의 반사판(52)이 마련되어 있다. 이 반사판(52)은 하측의 광원으로부터의 조명 빛을 반사하고 노즐부(44)에 흡착된 전자 부품(P1, P2, P3)을 조명한다.
헤드부(40)의 이동 경로 상에는 라인스캔 카메라(5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 부품(P1, P2, P3)을 지지한 헤드부를 라인스캔 카메라(50)의 상측에서 수평 이동시키면서 라인스캔 카메라(50)의 광학계를 이용하여 전자 부품이 인식되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의 부품 실장기용 부품인식장치를 사용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40)가 전자 부품(P)을 흡착한 뒤에 바로 기판(15)으로 이동하지 않고, 부품을 인식하기 위하여 라인스캔 카메라(50)의 상측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이로 인하여, 부품장착시간에 지연이 발행하게 되어, 부품 실장기의 효율이 감소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등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촬영장치로 라인스캔 카메라를 사용함과 동시에 노즐에 흡착된 전자 부품이 부품인식을 위하여 불필요하게 이동하지 않는 부품 실장기용 부품인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기용 부품인식장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전자 부품을 흡착하고 외부기판에 장착하는 복수의 노즐부들을 구비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와 결합되며, 상기 노즐부에 흡착된 전자 부품의 위치적 오차를 검출하는 라인스캔 카메라; 및
상기 복수의 노즐부에 흡착된 각각의 전자 부품의 영상을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로 유입시키며, 촬영대상인 상기 각각의 전자 부품에서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까지의 초점거리가 모두 동일하도록 조절하는 영상전달부를 구비한다.
상기 영상전달부는, 상기 전자 부품들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부에 실장된 전자 부품들의 영상을 반사하는 반사경이 포함된 반사경부, 및 상기 반사경으로부터의 영상을 굴절시켜서 라인스캔 카메라로 유입시키며,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의 초점거리가 각각의 전자 부품마다 동일하도록 조절하는 초점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초점조절부는:
상기 반사경으로부터의 영상을 직각으로 반사하는 제1광학기기와, 상기 제1광학기기를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제1광학이송부를 구비한 제1광학계; 및
상기 제1광학기기로부터 반사된 영상을 직각으로 반사하여 라인스캔 카메라로 유입시키는 제2광학기기 및 제3광학기기와, 상기 전자 부품으로부터 라인스캔 카메라까지의 초점길이가 동일하도록 상기 제2광학기기 및 제3광학기기를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제2광학이송부를 구비하는 제2광학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2광학계는 상기 제1광학계에 비하여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로부터 멀리 이격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광학계는 상기 제2광학계에 비하여 2배의 이동 속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광학이송부 및 제2광학이송부는 동일한 광학 엑튜에이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각각의 볼 스크류 방식의 제1리드 및 제2리드이며, 상기 제1리드와 제2리드는 그 단면이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리드는 제2리드에 비하여 2배의 스크류 피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광학계 및 제2광학계는 LM(linear motion) 가이드에 의하여 직선운동이 가이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반사경부는 상기 노즐부가 하강 시에 상기 전자 부품과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반사경을 구동시키는 반사경 구동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전달부는 상기 헤드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제2, 및 제3광학기기는 프리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기용 부품인식장치(150)는 헤드부(140)와, 라인스캔 카메라(155) 및 영상전달부(160)를 구비한다.
헤드부(140)는 프레임(142) 및 이 프레임에 장착된 복수의 노즐부(144)를 구비한다. 이 노즐부(144)는 상승, 하강 및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즐부가 하강하여 전자 부품(P)을 흡착한 뒤에 상승하여 기판(미도시) 쪽으로 이동되며, 기판 상에 도달하면 하강 및 회전하면서 전자 부품(P)을 기판에 장착한다.
상기 헤드부(140)의 프레임(142)에는 라인스캔 카메라(155)가 결합된다.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155)는 상기 노즐부(144)에 흡착된 전자 부품(P)의 위치적 오차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 라인스캔 카메라(155)는 2차원 CCD 카메라에 비하여 해상도가 우수함으로서 특히 미세한 전자 부품의 위치오차를 인식하기에 유리하다.
이 경우 촬영대상인 상기 각각의 전자 부품(P1, P2)에서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155)까지의 초점거리는 일정하여야 한다. 초점거리를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노즐부에 흡착된 전자 부품(P)과 라인스캔 카메라(155) 사이에 영상전달부(160)가 배치된다. 상기 영상전달부(160)는 복수로서 일렬로 배치된 노즐부(144)에 흡착 된 각각의 전자 부품(P1, P2)의 영상을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155)로 유입시키는 기능을 하는 동시에, 촬영대상인 전자 부품(P)과 라인스캔 카메라(155) 사이의 광로(光路;S)가 모두 동일하도록 조절한다.
상기 영상전달부(160)의 구조를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영상전달부(160)는 반사경부(161)와 초점조절부(170)를 구비한다. 상기 반사경부(161)는 반사경(165)을 구비한다. 이 반사경(165)은 상기 전자 부품(P)들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부(144)에 실장된 전자 부품(P)들을 반사한다.
이 경우, 상기 반사경(165)은 각각의 노즐부(144)에 흡착된 각각의 전자 부품(P1, P2)마다 하나씩의 반사경이 대응되어 복수개의 반사경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반사경(165)이 헤드부(140)에 흡착된 전부의 전자 부품(P)을 반사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후술하다시피 반사경을 구동시키는 반사경 구동장치를 간단하게 형성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반사경(165)에 의하여 반사된 전자 부품(P)의 영상은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155)로 유입되도록 초점조절부(170)에 의하여 흐름이 변경된다.
상기 초점조절부(170)에는 제1광학계(180) 및 제2광학계(190)가 구비되며, 상기 제1광학계(180) 및 제2광학계(190)에는 복수의 광학기기(181, 192, 193)들이 구비된다. 상기 광학기기(181, 192, 193)는 상기 반사경(165)에 의하여 반사된 전자 부품(P) 영상의 흐름 방향을 변경시켜서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155)로 유입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광학기기(181, 192, 193)는 여러 가지 광학부품을 사용 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집광장치를 구비한 반사광이 사용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프리즘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와 다른 광학부품을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프리즘인 경우가 광이 방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집광장치가 불필요하면서도 광을 굴절시킬 수 있으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1광학계(180)는 제1광학기기(181)를 구비하고, 제2광학계(190)는 제2광학기기(192)와 제3광학기기(19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광학기기(181)는 상기 반사경(165)으로부터의 영상을 직각으로 굴절시키고, 제2광학기기(192)는 상기 제1광학기기(181)로부터 반사된 영상을 직각으로 굴절시켜서 제3광학기기(193)로 유입시키며, 제3광학기기(193)는 상기 제2광학기기(192)로부터 굴절 유입된 영상을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155)로 유입되도록 굴절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광학기기가 3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3개의 광학기기(181, 192, 193)를 사용함으로써, 간편하게 전자 부품(P)으로부터 라인스캔 카메라(155)까지의 초점거리가 일정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상기 전자 부품(P)으로부터 라인스캔 카메라(155)까지의 초점거리를 동일하도록 하는 영상전달부(160)의 구조 및 작동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각각의 전자 부품(P1, P2)에서 반사경(165)까지의 거리는 모두 동일하므로, 전자 부품(P1, P2)으로부터의 반사경(165)까지의 경로는 생략한다.
반사경(165)에 반사된 영상은 제1광학기기(181)에 입사된다. 여기서 상기 라 인스캔 카메라(155)는 헤드부에 장착되어 고정되며, 상기 반사경(165)에 비친 전자 부품(P1, P2)을 좌에서 우로 스캔하면서 촬영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의 좌측에 배치된 전자 부품(P1)의 영상을 인식한다. 그 후 도면에서와 같이 영상전달부(160)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전자 부품의 영상을 차례로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가장 나중에,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의 우측에 배치된 전자 부품(P2)의 영상을 인식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제2, 및 제3광학기기(181, 192, 193)가 이동하면서 각각의 전자 부품의 초점거리를 동일하도록 한다.
제2광학기기(192)와 제3광학기기(193)는 동일한 속도로 일정하게 이동된다. 따라서, 제2광학기기(192) 및 제3광학기기(193)가 일체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광학기기(192)와 제3광학기기(193)는 제1광학기기(181)를 기준으로 라인스캔 카메라(155)와 반대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제2광학기기(192) 및 제3광학기기(193)의 이동속도는 제1광학기기(181)에 비하여 저속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서 라인스캔 카메라(155)와 제2, 제3광학기기(192, 193) 사이의 유격이 최소로 되는 것이 가능하고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여유간격이 필요 없으며, 상기 제2, 제3광학기기(192, 193)가 제1광학기기(181)에 비하여 저속으로써 제1광학기기(181)와 제2, 제3광학기기(192, 193)가 충돌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상기 제2광학기기(192), 및 제3광학기기(193)는 v의 이동속도로, 제1광학기기(181)는 kv의 이동속도로 일정하게 P1 상태에서 P2 상태로 움직인다고 가정한다. 라인스캔 카메라(155)부터 P1 상태 및 전자 부품 P2 상태까지의 초점거리가 모두 동일하기 위해서는, 반사경(165)으로부터 제1광학기기(181), 제2광학기기(192), 및 제3광학기기(193)를 경과하여 라인스캔 카메라(155)까지의 광로의 길이가, 전자 부품이 P1에 있는 상태의 경우(S1)와 전자 부품이 P2에 있는 상태의 경우(S2)가 모두 동일하여야 한다.
이 경우, 광로가 동일하도록 하는 제1광학기기(181)의 이동속도 kv를 간편한 수학식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간편하게 비전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전자 부품이 P1 상태에서의 광로의 길이를 S1이라 하며, 이경우의 반사경(165)으로부터 제1광학기기(181)까지의 거리를 a1, 제1광학기기(181)로부터 제2광학기기(192)까지의 거리를 b1, 제2광학기기(192)로부터 제3광학기기(193)까지의 거리를 c1, 및 제3광학기기(193)로터 라인스캔 카메라(155)까지의 거리를 d1이라 하면, 광로는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난다.
S1 = a1 + b1 + c1 + d1
또한, 전자 부품이 P2 상태에서의 광로의 길이를 S2이라 하며, 이경우의 반사경으로부터 제1광학기기까지의 거리를 a2, 제1광학기기로부터 제2광학기기까지의 거리를 b2, 제2광학기기로부터 제3광학기기까지의 거리를 c2, 및 제3광학기기로터 라인스캔 카메라까지의 거리를 d2이라 하면, 광로는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난다.
S2 = a2 + b2 + c2 + d2
여기서 반사경으로부터 제1광학기기까지의 a1과 a2 거리는 상호 동일하다. 또한, 제2광학기기로부터 제3광학기기까지의 c1과 c2 거리도 상호 동일하다. 따라서, [수학식 1]은 [수학식 3]과 같이도 나타낼 수도 있다.
S2 = a2 + b1 + c2 + d1
이와 더불어, 제1광학기기(181), 제2광학기기(192), 및 제3광학기기(193)는 등속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1광학기기(181)가 시간 t동안 이동한 거리는 kvt이며, 제2광학기기(192)와 제3광학기기(193)가 시간 t동안 이동한 거리는 vt이다. 따라서, a2 및 c2는 [수학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c2 = kvt + c1 - vt
a2 = a1 - vt
[수학식 4]를 [수학식 3]에 대입하면, [수학식 5]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S2 = a1 - vt + b1 + kvt + c1 - vt + d1
= ( a1 + b1 + c1 + d1 ) + kvt - 2vt
= S1 + kvt - 2vt
따라서, S1과 S2가 동일하게 되기 위해서는 kvt = 2vt가 되어야 하므로 k가 2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제1광학기기(181)는 제2광학기기(192) 및 제3광학기기(193)에 비하여 2배의 속도로 이동한다면 광로의 길이는 항상 일정하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광학계(180)는 제1광학기기(181)와 함께, 제1광학기기(181)가 일정한 속도로 이동되도록 구동하는 제1광학이송부(185)를 구비한다. 이와 더불어, 제2광학계(190)는 제2광학기기(192) 및 제3광학기기(193)와 함께, 상기 전자 부품으로부터 라인스캔 카메라까지의 초점길이가 동일하도록 상기 제2광학기기(192) 및 제3광학기기(193)를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제2광학이송부(195)를 구비한다.
여기서, 도 5는 헤드부의 하측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제1광학이송부(185)와 제2광학이송부(195), 및 상기 제1 제2광학이송부를 구비한 부품인식장치(150)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헤드부(미도시)의 일측에 라인스캔 카메라(155)가 배치되며,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155)와 상기 반사경(165) 사이에는 제1광학기기(181)를 구비한 제1광학계(180), 및 제2광학기기(192) 및 제3광학기기(193)를 구비한 제2광학계(190)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광학계(180)에 비하여 제2광학계(190)는 라인스캔 카메라(155)로부터 멀리 이격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제1광학이송부 및 제2광학이송부는 각각 볼스크류 방식을 사용한 제1리드(185) 및 제2리드(195)이다.
상기 제1리드(185)와 제2리드(195)는 각각 다른 엑튜에이터에 의하여 회전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동일한 광학 엑튜에이터(168)에 의하여 상기 제1리드(185)와 제2리드(195)가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광학계(180)가 제2광학계(190)의 이동속도에 비하여 2배의 속도를 가지기 위해서는, 상기 제1리드와 제2리드의 직경이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리드(185)의 스크류 피치가 상기 제2리드(195)의 스크류 피치의 2배가 되도록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즉, 볼스크류 리드가 1회전하는 경우의 직선이동거리는 상기 스크류의 피치이므로, 제1리드의 스크류 피치가 제2리드의 스크류 피치 크기에 비해 2배이므로, 제1광학계(180)가 제2광학계(190)에 비하여 2배의 이동속도를 가지게 된다.
제1광학계 및 제2광학계에는 각각 브라켓(184, 194)이 구비되어 볼스크류 너트와 체결되어 움직인다. 또한, 상기 제1, 제2리드(185, 195)들이 직선운동을 수행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하여 LM 가이드(linear motion guide:175)를 채용하여 이를 통하여 광학기기(181, 192, 193)들의 부드러운 선형 운동이 가능하다.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전달부(160) 및 라인스캔 카메라(155)는 헤드부(14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리드(185) 및 제2리드(195)가 노즐부(144)에 흡착된 전자 부품의 측면에 배치되도록 프레임(142)에 결합되며, 라인스캔 카메라(165)가 브라켓(152)등의 연결수단에 의하여 헤드부(140)와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155)와, 반사경(165)과, 제1광학기기(181)와, 제2광학기기(192) 및 제3광학기기(193)가 모두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로 인하여, 별도로 배치된 부품인식장치로 헤드부(140)가 이동할 필요가 없이, 노즐부(144)가 전자 부품(P)을 흡착한 상태에서 상기 전자 부품의 위치오류 등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반사경(165)은 전자 부품(P)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전자 부품의 위치 등을 인식하기 위하여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반사경(165)도 또한 헤드부(140)와 벨트 등의 반사경 연결장치(167)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전자 부품(P)을 픽업하거나 전자 부품을 기판에 실장하는 경우에는 노즐부(144)가 하강하게 된다. 이 때, 반사경(165)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부품(P)의 하측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전자 부품(P)이 반사경(165)과 간섭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런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부가 하강할 경우 반사경 엑튜에이터(168)가 구동되어 노즐부의 하강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반사경(165)을 이동시킨다.
따라서, 도 7a에서와 같이 전자 부품 인식 단계에서는 반사경이 전자 부품의 하측에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전자 부품의 영상을 반사할 수 있으며, 전자 부품의 픽업단계에서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부품의 측부에서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전자 부품과 간섭되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부가 라인스캔 카메라로 이동하는 불필요한 이동작업이 생략될 수 있음으로 인하여, 부품장착시간에 지연이 발행하지 않게 되며, 결과적으로 부품실장기의 효율이 높아진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이 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전자 부품을 흡착하고 외부기판에 장착하는 복수의 노즐부들을 구비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와 결합되며, 상기 노즐부에 흡착된 전자 부품의 위치적 오차를 검출하는 라인스캔 카메라;
    상기 전자 부품들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부에 흡착된 전자 부품들의 영상을 반사하는 반사경이 포함된 반사경부;
    상기 반사경으로부터의 영상을 직각으로 반사하는 제1광학기기와, 상기 제1광학기기를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제1광학이송부를 구비한 제1광학계; 및
    상기 제1광학기기로부터 반사된 영상을 직각으로 반사하여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로 유입시키는 제2광학기기 및 제3광학기기와, 상기 전자 부품으로부터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까지의 초점길이가 동일하도록 상기 제2광학기기 및 상기 제3광학기기를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제2광학이송부를 구비하는 제2광학계를 구비하는 부품 실장기용 부품인식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광학계는 상기 제1광학계에 비하여 상기 라인스캔 카메라로부터 멀리 이격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광학계는 상기 제2광학계에 비하여 2배의 이동 속도를 가지는 부품 실장기용 부품인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학이송부 및 상기 제2광학이송부는 동일한 광학 엑튜에이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각각의 볼 스크류 방식의 제1리드 및 제2리드이며,
    상기 제1리드와 상기 제2리드는 그 단면이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리드는 상기 제2리드에 비하여 2배의 스크류 피치를 가지는 부품 실장기용 부품인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학계 및 상기 제2광학계는 LM(linear motion) 가이드에 의하여 직선운동이 가이드되는 부품 실장기용 부품인식장치.
KR1020040018282A 2004-03-18 2004-03-18 부품 실장기용 부품인식장치 KR100604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282A KR100604309B1 (ko) 2004-03-18 2004-03-18 부품 실장기용 부품인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282A KR100604309B1 (ko) 2004-03-18 2004-03-18 부품 실장기용 부품인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059A KR20050093059A (ko) 2005-09-23
KR100604309B1 true KR100604309B1 (ko) 2006-07-24

Family

ID=37274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8282A KR100604309B1 (ko) 2004-03-18 2004-03-18 부품 실장기용 부품인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43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4318B1 (ko) * 2004-07-10 2006-07-2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부품 실장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3999A (ja) * 1994-09-12 1996-03-26 Juki Corp 電子部品実装装置
KR19980020108A (ko) * 1996-09-05 1998-06-25 김광호 부품 실장장치
JPH11177291A (ja) 1997-11-28 1999-07-02 Samsung Electron Co Ltd 電子部品実装装置
KR100234246B1 (ko) * 1995-05-17 1999-12-15 윤종용 칩마운터의 부품 인식장치
KR20020021174A (ko) * 2000-06-07 2002-03-18 추후제출 온헤드 라인스캔 센싱법을 이용한 픽 앤 플레이스 머신교정 방법
KR20020081446A (ko) * 2000-03-13 2002-10-26 사이버옵틱스 코포레이션 비전 시스템을 갖춘 픽 앤드 플레이스 머신
JP2003133799A (ja) 2001-10-29 2003-05-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実装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3999A (ja) * 1994-09-12 1996-03-26 Juki Corp 電子部品実装装置
KR100234246B1 (ko) * 1995-05-17 1999-12-15 윤종용 칩마운터의 부품 인식장치
KR19980020108A (ko) * 1996-09-05 1998-06-25 김광호 부품 실장장치
JPH11177291A (ja) 1997-11-28 1999-07-02 Samsung Electron Co Ltd 電子部品実装装置
KR20020081446A (ko) * 2000-03-13 2002-10-26 사이버옵틱스 코포레이션 비전 시스템을 갖춘 픽 앤드 플레이스 머신
KR20020021174A (ko) * 2000-06-07 2002-03-18 추후제출 온헤드 라인스캔 센싱법을 이용한 픽 앤 플레이스 머신교정 방법
JP2003133799A (ja) 2001-10-29 2003-05-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実装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20021174
102002008144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059A (ko) 200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22187B2 (ja) 照明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認識装置並びに部品実装装置
US20050235489A1 (en) Component placing head and component placing method
US8845114B2 (en) Lighting device for image capturing i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US7624497B2 (en) Component recognition apparatus for chip mounter
JP2008205226A (ja) 電子部品実装用装置における撮像用の照明装置
JP2004342653A (ja) 部品実装装置
US8881380B2 (en)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component
KR100604309B1 (ko) 부품 실장기용 부품인식장치
JP4197764B2 (ja) 部品撮像装置
JP3187976B2 (ja) 部品装着装置
KR20070091061A (ko) 부품 실장기용 부품인식장치
KR100627065B1 (ko) 부품 실장기
KR101050840B1 (ko) 부품 실장기 및 그의 전자부품 픽업실장 방법
KR100604317B1 (ko) 전자부품 실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부품의 실장방법
JP4447360B2 (ja) 部品装着装置
JP3750383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における電子部品認識装置および電子部品認識方法
JP2007149934A (ja) 部品位置認識装置、基板認識装置及び電子部品実装装置
KR100562410B1 (ko) 전자부품 실장장치
WO2018220704A1 (ja) 部品実装装置
JP2013251346A (ja) 電子部品実装装置
JP4724612B2 (ja) 部品認識装置および表面実装機
KR100604318B1 (ko) 부품 실장기
JP2521835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
KR101164592B1 (ko) 부품 실장기
JP2003133799A (ja) 電子部品実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