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9813B1 -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시스템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9813B1
KR100599813B1 KR1020040093428A KR20040093428A KR100599813B1 KR 100599813 B1 KR100599813 B1 KR 100599813B1 KR 1020040093428 A KR1020040093428 A KR 1020040093428A KR 20040093428 A KR20040093428 A KR 20040093428A KR 100599813 B1 KR100599813 B1 KR 100599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electrode
polymer
electrode assembly
fuel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3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4749A (ko
Inventor
김희탁
윤해권
박영미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3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9813B1/ko
Priority to JP2005327752A priority patent/JP4917794B2/ja
Priority to US11/272,805 priority patent/US20060105225A1/en
Priority to CNB2005101315419A priority patent/CN100438158C/zh
Publication of KR20060054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4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813B1/ko
Priority to US12/755,062 priority patent/US953715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25Methods for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 H01M4/8828Coating with slurry or in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05Porous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78Treatment steps after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or after shaping of the electrode being free-standing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78Treatment steps after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or after shaping of the electrode being free-standing body
    • H01M4/8882Heat treatment, e.g. drying, bak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01M4/925Metals of platinum group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 H01M4/926Metals of platinum group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on carbon or graph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3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34Carbonaceous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membrane-electrode assemblies [M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01M4/921Alloys or mixtures with metallic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Inert Electrod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는 서로 대향하여 위치한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 및 상기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사이에 위치한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고, 상기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금속촉매, 및 미세기공을 갖는 다공성 이오노머를 포함하는 촉매층; 및 기체확산층을 포함한다.
연료전지, 전극, 가소제, 미세기공, 이오노머

Description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MEMBRANE/ELECTRODE ASSEMBLY FOR FUEL CELL AND FUEL CELL SYSTEM COMPRISING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전극에서 이오노머가 미세기공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간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연료 전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간략도.
도 3은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의 전압-전류의 측정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산업상 이용 분야]
본 발명은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전지용 전극의 촉매층에 다공성 이온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여 전극표면에 수소 및 산소의 농도를 높임으로써 보다 고출력의 막/전극 어셈블리를 제조할 수 있는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연료 전지(Fuel cell)는 메탄올, 에탄올, 천연기체와 같은 탄화수소 계열의 물질 내에 함유되어 있는 수소와 산소의 화학 반응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 시스템이다.
연료 전지는 사용되는 전해질(electrolyte)의 종류에 따라, 인산형 연료 전지, 용융탄산염형 연료 전지, 고체 산화물형 연료전지, 고분자 전해질령 또는 알칼리형 연료 전지 등으로 분류된다. 이들 각각의 연료전지는 근본적으로 같은 원리에 의해 작동되지만 사용되는 연료의 종류, 운전온도, 촉매, 전해질 등이 서로 다르다.
이들 중 근래에 개발되고 있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ce Fuel Cell: PEMFC)는 다른 연료전지에 비하여 출력 특성이 월등히 높고, 작동 온도가 낮고, 아울러 빠른 시동 및 응압특성을 가지며, 자동차와 같은 이동용(transportable) 전원은 물론, 주택, 공공건물과 같은 분산용 전원 및 전자기기용과 같은 소형 전원 등 그 응용 범위가 넓은 장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는 기본적으로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 스택(stack), 개질기(reformer), 연료탱크, 및 연료 펌프 등을 구비한다. 스택은 연료전지의 본체를 형성하며, 연료펌프는 연료 탱크 내의 연료를 개질기로 공급한다. 개질기는 연료를 개질하여 수소기체를 발생시키고 그 수소 기체를 스택으로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는 연료 펌프의 작동으로 연료 탱크 내의 연료를 개질기로 공급하고, 이 개질기에서 연료를 개질하여 수소기체를 발생시키며, 스택에서 이 수소 기체와 산소를 전기 화학적으로 반응시켜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한편, 연료 전지는 액상의 메탄올 연료를 직접 스택에 공급할 수 있는 직접 메탄올형 연료 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직접 메탄올형 연료 방식의 연료 전지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와 달리, 개질기가 배제된다.
상기와 같은 연료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를 실질적으로 발생시키는 스택은 막/전극 어셈블리(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와 세퍼레이터(separator)(또는 바이폴라 플레이트(Bipolar Plate)라고도 함)로 이루어진 단위 셀이 수 개 내지 수 십 개로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는 고분자 전해질막을 사이에 두고 애노드 전극(일명, "연료극" 또는 "산화전극"이라고 한다)과 캐소드 전극(일명, "공기극" 또는 "환원전극"이라고 한다)이 부착된 구조를 가진다.
이때, 상기 막/전극 어셀블리는 고분자 전해질막(soli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과 탄소담지 촉매전극층(carbon supported catalysts electrode layer)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으로는 나피온(Nafion, DuPont사 제조의 상품명), 프레미온(Flemion, Asahi Glass사 제조의 상품명), 아시프렉스(Asiplex, Asahi Chemical사 제조의 상품명) 및 다우 XUS(Dow XUS, Dow Chemical사 제조의 상품명) 전해질막과 같은 퍼플루오로설포네이트 아이오노머막(perfluorosulfonate ionomer membrane)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탄소담지 촉매전극층은 다공성의 탄소 페이퍼 (carbon paper) 또는 탄소천(carbon cloth) 등의 전극 지지체에 백금 (Pt) 또는 루테늄(Ru) 등의 미세한 촉매입자를 담지시킨 탄소분말을 방수성 결합제로 결합시켜서 사용하고 있다.
연료전지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촉매층에 있어서 전기화학반응을 위한 촉매의 표면적이 넓어야 하며, 촉매표면에서의 반응물(reactant)의 농도가 높은 상태로 지속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촉매층에 이오노머(ionomer)가 위치하여 수소이온의 전달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이오노머의 함량이 전극내에서 높아지는 경우 수소 이온의 전달속도가 증가하고, 또한 이오노머는 촉매층을 감싸게 되어 수소 및 산소가 촉매층 표면까지 전달되는데 저항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촉매층의 이오노머가 미세기공 분포를 가져 전극표면에서 수소 및 산소의 농도를 높게 유지하여 고출력을 나타낼 수 있는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로 대향하여 위치한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 및 상기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사이에 위치한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고, 상기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금속촉매, 및 미세기공을 갖는 다공성 이오노머를 포함하는 촉매층; 및 기체확산층을 포함하 는 것인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 및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며,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하여 전기를 생성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발생부; 수소를 상기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연료공급부; 및 산소를 상기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산소공급부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는 캐소드 전극, 애노드 전극 및 이 캐소드 전극과 상기 애노드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고분자 전해질 막으로 구성되며, 연료(수소)를 애노드 전극에 공급하고, 산화제(산소)를 상기 캐소드 전극에 공급하여, 상기 연료가 애노드 전극에서 산화하여 수소 이온이 발생되고, 이 수소 이온이 상기 고분자 전해질 막을 통하여 상기 캐소드 전극으로 이동되어, 물을 생성하면서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이때, 본 발명은 종래 연료전지용 전극에서 이오노머의 함량이 전극내에서 높아지는 경우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촉매층내 이온전도도를 담당하는 이오노머를 포함하는 고분자층을 다공성으로 제조하여, 산소 및 수소가 보다 용이하게 이오노머층을 통과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극표면에 수소 및 산소의 농도를 높게 유지시켜 보다 고출력의 막/전극 어셈블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온전도성 고분자에 미세 기공이 형성된 경우, 기공내로 산소가 통과하여 촉매표면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기체확산층과 촉매표면과의 거리가 감소하여 보다 빠르게 산소의 전달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매스 트랜스퍼 한도(mass transfer limit)에 의한 성능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오노머에 기공을 형성하는 방법은, 도 1에 나타낸 간략히 나태낸 바와 같으며,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전극 제조시 금속촉매(6), 이온전도성 고분자인 이오노머(4)를 포함하는 촉매 슬러리에 가소제(2)를 첨가하여 이오노머와 가소제의 혼합체가 전극내에서 이오노머/가소제의 혼합층을 형성하게 한 후, 이를 가소제를 용해시키는 특정 용매에 담그어 가소제를 추출시킴으로써 이오노머층에 미세기공(8)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용 전극에서 이오노머층의 기공도는 40 내지 80 부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공크기는 10 내지 1000 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전극은 기체확산층(gas diffusion layer) 및 촉매층을 포함하며, 상기 촉매층은 미세 기공을 갖는 다공성 이오노머 고분자층을 포함한다.
상기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은, 촉매슬러리를 제조하고 이를 기체확산층의 일면에 도포한 후 용매를 건조하여 촉매층을 형성한다. 이후, 가소제를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에 촉매층이 형성된 기체확산층을 담그어 가소제를 추출함으로써, 이오노머 고분자에 미세기공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촉매슬러리는 바인더수지로서 이오노머(ionomer) 고분자, 금속촉매, 가소제 및 분산매 용매를 포함한다.
상기 이오노머 고분자는 이온 전도성 고분자로서, 수소이온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오노머는 EW가 500 내지 2000인 것이 바람직하 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소제는 친수성 및/또는 소수성을 갖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수평균 분자량이 200 내지 50,00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가소제의 분자량이 200 미만인 경우 멤브레인과 전극의 적층시 가소제가 휘발하여 멤브레인을 축소시킬 수 있으며, 50,000을 초과하는 경우 사슬간의 얽힘(entangle)이 심하여 추출시 가소제가 용이하게 녹아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상기 가소제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C1 내지 C10의 폴리알킬렌글리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및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와 같은 C1 내지 C10의 폴리알킬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산 및 폴리메타크릴산과 같은 C1 내지 C10의 폴리(알킬)아크릴산; 폴리스티렌 술폰산 및 폴르플루오로 술폰산과 같은 술폰산기를 가지는 방향족 또는 플루오르 고분자; 및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단독 및 적어도 이들의 2종 이상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고분자가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소제와 이오노머는 20 내지 70: 30 내지 8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매 용매는 이소프로필 알코올,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산매 용매로서 알코올계를 사용하는 경우 물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추출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등의 알코올계, 디메틸에테르, 디에틸 에테르 등의 에테르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촉매 슬러리에서 이오노머 고분자는 용해된 상태로 존재하지 않고 분산상태로 존재한다. 코팅공정은 분산액의 점성에 따라 스크린 프린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또는 닥터 블레이드를 이용한 코팅법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에서 촉매층은 관련 반응(수소의 산화 및 산소의 환원)을 촉매적으로 도와주는 이른바 금속 촉매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백금, 루테늄, 오스뮴, 백금-루테늄 합금, 백금-오스뮴 합금, 백금-팔라듐 합금 또는 백금-M 합금(M은 Ga, Ti, V, Cr, Mn, Fe, Co, Ni, Cu 및 Z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전이 금속)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촉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백금, 루테늄, 오스뮴, 백금-루테늄 합금, 백금-오스뮴 합금, 백금-팔라듐 합금, 백금-코발트 합금 또는 백금-니켈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촉매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에서 사용되는 금속촉매는 일반적으로 담체에 지지된 것이 사용된다. 상기 담체로는 아세틸렌 블랙, 흑연과 같은 탄소를 사용할 수도 있고, 알루미나, 실리카 등의 무기물 미립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담체에 담지된 귀금속을 촉매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용화된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담체에 귀금속을 담지시켜 제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담체에 귀금속을 담지시키는 공정은 당해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내용이므로 본 명 세서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여도, 당해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쉽게 이해될 수 있는 내용이다.
상기 기체 확산층(gas diffusion layer)은 연료 전지용 전극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면서 촉매층으로 반응 기체를 확산시켜 촉매층으로 반응 기체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체 확산층(gas diffusion layer)은 탄소 페이퍼나 탄소 천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기체 확산층은 탄소 페이퍼나 탄소 천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같은 불소 계열 수지로 발수 처리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연료 전지의 구동시 발생되는 물에 의하여 기체 확산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극은 상기 기체 확산층과 상기 촉매층 사이에 기체 확산층의 기체 확산 효과를 더욱 증진시키기 위하여, 미세 다공층(microporous layer: MPL)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세 다공층은 탄소 분말, 카본 블랙, 활성 탄소, 아세틸렌 블랙 등의 도전성 물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같은 바인더 및 필요에 따라 아이오노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극을 이용한 막/전극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는 상기에서 제조된 전극을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 중 어느 하나로 하고, 이들이 서로 대향하여 위치한 사이에 고분자 전해질막을 위치시키고 소성한 후 열간 압연하는 공정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며, 이는 미세기공 내부에서 3차원적으로 연결되어 이온 전달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수소이온 전도 성 고분자로는 수소이온전도성을 갖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고, 예를 들면 퍼플루오로계 고분자, 벤즈이미다졸계 고분자, 폴리에테르계 고분자,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이미드계 고분자, 폴리아미드계 고분자,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고분자, 폴리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케톤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고분자 및 폴리페닐퀴녹살린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의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퍼플루오로설폰산), 폴리(퍼플루오로카르복실산), 설폰산기를 포함하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플루오로비닐에테르 공중합체, 탈불소화된 황화 폴리에테르케톤, 아릴 케톤, 폴리(2,2'-(m-페닐렌)-5,5'-바이벤즈이미다졸)(poly(2,2'-(m-phenylene)-5,5'-bibenzimidazole)), 폴리(2,5-벤즈이미다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를 기체 유로 채널과 냉각 채널이 형성된 세퍼레이터(또는 바이폴러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하여 제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셀을 가지는 전기발생부, 수소를 상기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연료공급부 및 산소를 상기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산소공급부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전기 발생부는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인 반응을 통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료 공급부는 수소를 함유한 연료를 상기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산소 공급부는 산소를 상기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연료 전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 2에 나타내었으며, 이를 참조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연료 전지 시스템(100)은 수소 가스와 산소의 전기 화학적인 반응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발생부(19)를 갖는 스택(7)과, 상기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원(1)과, 공기를 전기 발생부(19)로 공급하는 산소 공급원(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원(1)은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9)와, 연료 탱크(9)에 연결 설치되는 연료 펌프(11)를 구비한다. 상기한 연료 펌프(11)는 소정의 펌핑력에 의해 연료 탱크(9)에 저장된 연료를 배출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스택(7)의 전기 발생부(19)로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 공급원(5)은 소정의 펌핑력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펌프(13)를 구비한다.
상기 전기 발생부(19)는 수소 가스와 공기 중의 산소를 산화/환원 반응시키는 막/전극 어셈블리(21)와 이 막/전극 어셈블리의 양측에 수소 가스와 산소를 함유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바이폴라 플레이트(23,25)로 구성된다.
또한, 연료 전지의 작동상태를 간략히 설명하면, 수소 또는 연료를 상기 애노드 전극에 공급하고, 산소를 상기 캐소드 전극에 공급하여,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의 전기 화학 반응에 의하여 전기를 생성한다. 이때, 애노드 전극에서 수소 또는 유기 원료의 산화 반응이 일어나고, 캐소드 전극에서 산소의 환원 반응이 일어나 두 전극 간의 전압차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백금이 20 wt%인 Pt/C 3 g, 이오노머(ionomer, 듀퐁사) 1 g, 및 가소제로서 디부틸프탈레이트 2 g을 IPA 20g에 용해하여 촉매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촉매슬러리를 발수처리된 탄소페이퍼(기체확산층)에 코팅하여 촉매층을 형성하였다. 그런 다음, IPA(이소프로필알코올)를 건조한 후, 이를 가소제를 용해시킬 수 있는 메탄올에 40 ℃에서 2시간 동안 담그어 가소제를 추출하여, 미세기공을 가지는 이오노머층을 포함하는 전극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전극을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으로 하고, 폴리(퍼플루오로술폰산)(NafionTM, 듀퐁사)을 전해질막으로 하여, 이의 양면에 상기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을 적층한 후 130 ℃에서 1분간 소성한 후 열간압연하여 막/전극 어셈블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막/전극 어셈블리를 두장의 가스켓(gasket) 사이에 삽입한 후 일정형상의 기체 유로 채널과 냉각 채널이 형성된 2개의 세퍼레이터(또는 바이폴러 플레이트)에 삽입한 후구리 엔드(end) 플레이트 사이에서 압착하여 단위셀을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가소제로서 분자량 300의 폴리 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촉매슬러리에 가소제를 첨가하지 않았다. 이때 제조된 비교예 1의 전극은 이오노머에 기공이 형성되지 않았다.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연료전지에 대하여, 양극과 음극에 50% 가습된 공기와 수소를 공급하였으며, 백 압력(back pressure)은 없으며 60 ℃에서 운전시켰다.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의 전압-전류 곡선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의 결과, 실시예 1, 2의 전극의 이오노머에 기공이 형성된 경우가 비교예 1에 비하여, 낮은 기체확산과 전압을 나타내며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 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전극은 미세기공 분포를 갖는 다공성 이오노머를 포함하여 기공내로 산소가 촉매표면으로 전달되기에 용이하며, 기체확산층과 촉매표면과의 거리가 감소하여 산소의 전달 속도가 빨라져서 전극표면에서 수소 및 산소의 농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어 고출력의 막/전극 어셈블리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서로 대향하여 위치한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 및 상기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사이에 위치한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고,
    상기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금속촉매, 및 미세기공을 갖는 다공성 이오노머를 포함하는 촉매층; 및 기체확산층을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공을 갖는 다공성 이오노머는 기공도가 40 내지 80 %인 것인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공을 갖는 다공성 이오노머는 기공크기가 10 내지 1000 nm 인 것인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공을 갖는 다공성 이오노머는
    금속촉매, 이오노머(ionomer), 및 가소제를 포함하는 기체 확산층에서 가소제의 추출로 얻어진 것인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C1 내지 C10의 폴리알킬렌 글리콜; C1 내지 C10의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C1 내지 C10의 폴리(알킬)아크릴산; 술폰산기를 가지는 방향족 또는 플루오르 고분자; 및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단독 및 적어도 이들의 2종 이상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친수성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의 추출은 상기 기체확산층을 추출용매에 담지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의 추출용매는 알코올계, 에테르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와 이오노머는 20 내지 70: 30 내지 80의 중량비로 사용되는 것인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촉매는 탄소, 무기물 미립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담체에 담지된 것인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확산층은 도전성 기재로 이루어지며, 발수처리 된 탄소페이퍼 또는 탄소천인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퍼플루오로계 고분자, 벤즈이미다졸계 고분자, 폴리에테르계 고분자,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이미드계 고분자, 폴리아미드계 고분자,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고분자, 폴리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술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케톤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고분자, 폴리페닐퀴녹살린계 고분자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막/전극 어셈블리; 및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며,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하여 전기를 생성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발생부;
    수소를 상기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연료공급부; 및
    산소를 상기 전기 발생부로 공급하는 산소공급부
    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KR1020040093428A 2004-11-16 2004-11-16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시스템 KR100599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428A KR100599813B1 (ko) 2004-11-16 2004-11-16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시스템
JP2005327752A JP4917794B2 (ja) 2004-11-16 2005-11-11 燃料電池用膜/電極接合体、及びこれを含む燃料電池システム
US11/272,805 US20060105225A1 (en) 2004-11-16 2005-11-15 Membrane-electrode assembly for fuel cell and fuel cell system comprising same
CNB2005101315419A CN100438158C (zh) 2004-11-16 2005-11-16 燃料电池的膜电极组件和包括它的燃料电池***
US12/755,062 US9537156B2 (en) 2004-11-16 2010-04-06 Method for making membrane-electrode assembly for fuel cell and method for making fuel cell system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428A KR100599813B1 (ko) 2004-11-16 2004-11-16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749A KR20060054749A (ko) 2006-05-23
KR100599813B1 true KR100599813B1 (ko) 2006-07-12

Family

ID=36386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3428A KR100599813B1 (ko) 2004-11-16 2004-11-16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20060105225A1 (ko)
JP (1) JP4917794B2 (ko)
KR (1) KR100599813B1 (ko)
CN (1) CN10043815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85225B2 (ja) * 2006-03-31 2013-09-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固体高分子電解質膜電極接合体の製造方法
JP4506740B2 (ja) * 2006-09-14 2010-07-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用触媒構造体、膜電極接合体、燃料電池、燃料電池用触媒構造体の製造方法
JP2008192337A (ja) * 2007-02-01 2008-08-21 Mitsubishi Heavy Ind Ltd 固体高分子電解質膜電極接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59176B1 (ko) * 2007-06-12 2008-09-19 삼성전기주식회사 수소 발생 장치용 전해질 용액 및 이를 포함하는 수소 발생장치
WO2008153148A1 (ja) * 2007-06-15 2008-12-18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触媒インク、触媒インクの製造方法、膜-電極接合体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より得られる膜-電極接合体、並びに、燃料電池
KR20140015141A (ko) * 2009-11-06 2014-02-06 바스프 에스이 막 전극 접합체 및 개선된 성능의 연료전지
KR101340538B1 (ko) * 2010-04-16 2013-12-11 제일모직주식회사 연료전지 전극용 촉매 슬러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전극용 촉매층,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US20160006037A1 (en) * 2013-02-01 2016-01-07 Doosan Fuel Cell America, Inc. Liquid-electrolyte fuel-cell electrodes with soluble fluoropolymer coating and method for making same
DE112015001444T5 (de) * 2014-03-24 2016-12-29 Johnson Matthey Fuel Cells Ltd. Membran-Versiegelungs-Anordnung
US20180053957A1 (en) * 2016-08-17 2018-02-22 Guido Pez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chemical energy conversion and storage
KR20180062091A (ko) *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막-전극 접합체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막-전극 접합체 및 이를 포함한 연료전지
US10734657B2 (en) 2017-02-28 2020-08-04 Nissan North America, Inc. Stretched catalyst layer having porous ionomer film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WO2019017538A1 (ko) * 2017-07-19 2019-01-2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분자연료전지 백금 용해시 발생되는 이오노머 재배열을 억제할 수 있는 전극 제조방법
US11616246B2 (en) * 2018-04-09 2023-03-28 Washington University Microscale-bipolar-interface-enabled pH gradients in electrochemical devices
US20230183869A1 (en) * 2020-04-23 2023-06-15 The Board of Regents of the Nevada System of Higher Education,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Nevada Electrochemical CO2 Reduction to Methane
US11777104B2 (en) 2020-12-29 2023-10-03 Hyzon Motors Inc. Dry fuel cell electrod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CN116004050A (zh) * 2022-12-27 2023-04-25 海卓动力(青岛)能源科技有限公司 燃料电池用高沸点催化层油墨及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9810A (en) * 1972-09-14 1974-03-26 R Wallace Fast activation reserve battery
JPH09199138A (ja) * 1996-01-19 1997-07-31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用の電極または電極・電解質膜接合体の製造方法および燃料電池用の電極
JP3903562B2 (ja) * 1996-12-27 2007-04-11 株式会社ジーエス・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ガス拡散電極及び固体高分子電解質膜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固体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
EP0949703A1 (en) * 1996-12-27 1999-10-13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Gas diffusion electrode, soli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ethod of producing them, and solid polymer electrolyte type fuel cell using them
AU759819B2 (en) * 1999-01-22 2003-05-01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Improved membrane electrode assembly for a fuel cell
US6451200B1 (en) * 2000-01-13 2002-09-17 W. R. Grace & Co.-Conn. Hydrothermally stable high pore volume aluminum oxide/swellable clay composites and methods of their preparation and use
KR100503390B1 (ko) * 2000-08-16 2005-07-21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연료전지
US6667127B2 (en) * 2000-09-15 2003-12-23 Ballard Power Systems Inc. Fluid diffusion layers for fuel cells
US20030165731A1 (en) * 2002-03-01 2003-09-04 Gayatri Vyas Coated fuel cell electrical contact element
US6733915B2 (en) * 2001-12-27 2004-05-1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Gas diffusion backing for fuel cells
JP3651799B2 (ja) * 2002-08-21 2005-05-25 株式会社東芝 燃料電池用触媒材料、燃料電池用触媒材料の製造方法及び燃料電池
KR100480782B1 (ko) * 2002-10-26 2005-04-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 단위체, 그 제조방법 및 상기 연료전지 단위체를채용한 연료전지
JP2004296435A (ja) * 2003-03-13 2004-10-21 Toray Ind Inc 電極触媒層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CN1279642C (zh) * 2003-08-08 2006-10-11 谭小耀 非对称结构的固体氧化物燃料电池多孔电极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749A (ko) 2006-05-23
CN1776943A (zh) 2006-05-24
JP4917794B2 (ja) 2012-04-18
CN100438158C (zh) 2008-11-26
US9537156B2 (en) 2017-01-03
US20060105225A1 (en) 2006-05-18
JP2006147560A (ja) 2006-06-08
US20100196594A1 (en) 201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7794B2 (ja) 燃料電池用膜/電極接合体、及びこれを含む燃料電池システム
KR100717745B1 (ko) 연료전지용 바인더, 이를 이용한 촉매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와 이의 제조방법
KR100658688B1 (ko)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시스템
JP4410156B2 (ja) 燃料電池用電解質膜及びこれを含む燃料電池
KR101233343B1 (ko)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KR101135477B1 (ko) 다공성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용고분자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KR101084073B1 (ko)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및 연료전지
KR20070098136A (ko)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시스템
KR101002654B1 (ko)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이의 제조방법, 이를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연료전지 시스템
KR100959117B1 (ko) 연료 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KR101181852B1 (ko) 연료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및 연료전지 시스템
KR20080045461A (ko) 연료 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KR100599811B1 (ko)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KR101233317B1 (ko)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전극을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및 연료전지 시스템
KR100717792B1 (ko) 연료 전지용 캐소드 촉매,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막-전극 어셈블리 및 연료 전지 시스템
KR100614044B1 (ko)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KR20070099121A (ko) 연료 전지용 애노드 전극,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KR20070103569A (ko) 직접 산화형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포함하는 직접 산화형 연료 전지 시스템
KR100551019B1 (ko)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KR100709193B1 (ko) 직접 산화형 연료 전지용 스택 및 이를 포함하는 직접산화형 연료 전지 시스템
KR20080045457A (ko)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KR20080008605A (ko)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KR20080047078A (ko) 직접 산화형 연료 전지용 스택의 활성 방법
KR20080045458A (ko) 직접 산화형 연료 전지용 스택의 활성화 방법
KR20070009002A (ko) 연료 전지용 캐소드 촉매,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