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4968B1 - 급지카세트의 용지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급지카세트의 용지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4968B1
KR100594968B1 KR1020030098035A KR20030098035A KR100594968B1 KR 100594968 B1 KR100594968 B1 KR 100594968B1 KR 1020030098035 A KR1020030098035 A KR 1020030098035A KR 20030098035 A KR20030098035 A KR 20030098035A KR 100594968 B1 KR100594968 B1 KR 100594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light emitting
receiving sensor
light receiving
emi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8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6695A (ko
Inventor
이영실
노광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8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4968B1/ko
Priority to US10/901,037 priority patent/US7058353B2/en
Publication of KR20050066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6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2Means for discharging uncollated sheet copy material, e.g. discharging rollers, exit tray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25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sheet presence in input tra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용지검출장치는, 급지카세트에 구비된 녹업플레이트 상의 용지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광장치 및 수광센서를 포함한다. 급지카세트에는 엔드펜스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발광장치 및 수광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녹업플레이트에 적재된 용지에 의해 덮히도록 엔드펜스의 베이스에 설치된다. 이에 의하면, 새로운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현상동작이 이루어지기 전에 급지카세트의 용지소진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토너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 급지카세트, 용지검출장치, 발광장치, 수광센서

Description

급지카세트의 용지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Paper detecting device for paper feeding cassett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화상형성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요부 구성을 발췌하여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급지카세트의 용지검출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급지카세트의 용지검출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그리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급지카세트의 용지검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화상형성장치 210;화상형성장치의 본체
211;전원공급단자 220;노광유닛
231,232,233,234;제 1 내지 제 4 감광드럼
240;현상유닛 250;전사유닛
260;급지카세트 261;녹업플레이트
264;엔드펜스 270;픽업롤러
280,280',280";용지검출장치 281,282,281',281"; 발광장치
283,283',284',283";수광센서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급지카세트의 용지 유무 검출이 가능한 급지카세트의 용지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레이저 프린터, LED 프린터, 잉크젯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복합기 등이 있으며, 복수의 용지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급지장치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일예로서, 복수의 감광드럼에 레이저빔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컬러토너를 부착하여 인쇄하는 컬러 레 이저 프린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인쇄가 시작되면, 노광유닛(110)에서 레이저빔이 출사되어 각 감광드럼(121)(122)(123)(124) 상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현상장치(131)(132)(133)(134)는 각 감광드럼(121)(122)(123)(124)에 토너를 부착하여 토너화상을 형성시킨다. 이렇게 형성된 복수의 토너화상은 전사벨트(141) 상에서 중첩되고, 전사벨트(141) 상의 최종화상은 전사롤러(142)에 의해 용지(P)로 전사된다. 용지(P)는 픽업롤러(150)에 의해 급지카세트(160)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만약,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카세트(160)의 용지(P)가 모두 픽업되면, 용지검출장치(170)의 액츄에이터(171)가 녹업플레이트(161)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161a)으로 삽입된다. 이때, 액츄에이터(171)의 차단부(171a)가 광센서(172)의 발광부(미도시)와 수광부(미도시) 사이에서 벗어나 용지 소진을 검출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감광드럼(121)에 토너가 부착되는 현상위치(D)부터 용지로 최종화상이 전사되는 전사위치(T)까지의 거리 L1이 액츄에이터(171)가 슬릿(161a)으로 삽입되는 검출위치(S)부터 전사위치(T)까지의 거리 L2보다 길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종래의 용지검출장치(170)는, 첫번째 감광드럼(121)에 현상이 이루어진 이후에 급지카세트(160)의 용지소진을 검출하게 된다. 따라서, 토너가 낭비되고 새로운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감광드럼(121)에 부착된 토너를 제거한 후, 이를 폐토너 수거수단으로 수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감광드럼에 토너가 부착되는 현상동작이 이루어지기 전에 급지카세트의 용지소진을 검출할 수 있는 급지카세트의 용지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급지카세트의 용지검출장치는, 급지카세트에 구비된 녹업플레이트 상의 용지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광장치 및 수광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급지카세트에는 엔드펜스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발광장치 및 상기 수광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녹업플레이트에 적재된 용지에 의해 덮히도록 상기 엔드펜스의 베이스에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발광장치는 상기 녹업플레이트의 상부에 복수개가 구비되고, 이들 각 발광장치는 상기 엔드펜스의 이동경로를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수광센서가 상기 녹업플레이트의 상부에 복수개가 구비되고, 이들 각 수광센서가 상기 엔드펜스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발광장치 및 상기 수광센서는 모두 상기 엔드펜스의 베이스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 장치 본체, 노광유닛, 감광매체, 전사유닛, 급지카세트, 엔드펜스, 픽업롤러, 용지검출장치 및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검출장치는 발광장치 및 수광센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발광장치 및 수광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녹업플레이트에 적재된 용지에 의해 덮히도록 상기 엔드펜스의 베이스에 설치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발광장치 또는 상기 수광센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설치된 전원공급단자와, 상기 급지카세트에 설치된 중간단자와, 상기 엔드펜스에 설치된 접속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중간단자와 상기 접속단자는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급지카세트의 용지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200)는, 화상형성장치 본체(210), 노광유닛(220), 제 1 내지 제 4 감광드럼(231)(232)(233)(234), 현상유닛(240), 전사유닛(250), 급지카세트(260), 픽업롤러(270), 용지검출장치(280) 및 제어장치(290)를 포함한다.
상기 노광유닛(220)은 감광매체로서의 제 1 내지 제 4 감광드럼(231)(232)(233)(234) 각각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각 감광드럼(231)(232)(233)(234)의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현상유닛(240)은 복수의 감광드럼(231)(232)(233)(234) 각각에 대응되는 제 1 내지 제 4 현상기(241)(242)(243)(244)로 이루어진다. 각 현상기(241)(242)(243)(244)에는, 서로 다른 색상 예컨데,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토너가 저장되며, 또한, 각 감광드럼(231)(232)(233)(234)에 토너를 부착시키기 위한 현상롤러(245)(246)(247)(248)가 구비된다.
상기 전사유닛(250)은, 제 1 내지 제 4 중간전사롤러(251)(252)(253)(254), 전사벨트(255) 및 최종전사롤러(2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 1 내지 제 4 중간전사롤러(251)(252)(253)(254) 각각은 제 1 내지 제 4 감광드럼(231)(232)(233)(234)에 대향되도록 설치되며, 각 감광드럼(231)(232)(233)(234)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전사벨트(255)로 전사시킨다. 전사벨트(255)는 복수의 롤러에 의해 지지되어 주행되며, 전사벨트(255) 상에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네 가지 색상의 토너화상이 중첩된 최종화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최종전사롤러(256)는 전사벨트(255) 상에 형성된 최종화상을 용지로 전사시킨다.
상기 급지카세트(260)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210) 하부에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급지카세트(260)의 내부에는 용지(P)가 적재되는 녹업플레이트(261)가 설치되며, 이 녹업플레이트(261)는 스프링(262)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또한, 급지카세트(260)의 바닥벽(263)에는 녹업플레이트(261)에 적재된 용지(P)의 뒤쪽 끝단을 정렬시키기 위한 엔드펜스(End-fence,264)가 수동조작에 의해 용지(P) 이동 방향(A)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엔드펜스(264)는 펜스벽(265)과 베이스(266)로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스벽(265)은 녹업플레이트(261)에 적재된 용지(P)의 뒤쪽 끝단을 지지하고, 베이스(266)는 펜스벽(265)의 하부에 설치되어 급지카세트(260)의 바닥벽(263)에 구비된 가이드레일(263a;도 6참조)을 따라 용지이송방향(A)의 전후로 이동된다.
상기 픽업롤러(270)는 녹업플레이트(261)에 적재된 용지를 낱장으로 픽업하여 최종전사롤러(256) 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용지검출장치(280)는 녹업플레이트(261) 상의 용지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제 1 및 제 2 발광장치(281)(282)와 수광센서(283)를 포함한다. 두 개의 발광장치(281)(282)는 녹업플레이트(261)의 상부에 설치되고 수광센서(283)는 엔드펜스(264)의 베이스(266)에 설치된다. 제 1 및 제 2 발광장치(281)(282)는 급지카세트(260) 또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2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엔드펜스(264)의 이동경로를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들의 배치간격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발광장치(281)(282)에서 조사된 각각의 검출빔이 수광센서(283)의 이동경로 상에서 서로 겹쳐질 수 있는 간격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광센서(283)는 엔드펜스(264) 일측에 구비된 접속단자(265a)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접속단자(265a)는 케이블(267)을 통해 급지카세트(260) 일측에 구비된 중간단자(268)와 연결되며, 중간단자(268)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210;도 3참조)에 구비된 전원공급단자(211;도 3참조)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급지카세트(260)의 중간단자(268)와 엔드펜스(264)의 접속단자(265a) 사이의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케이블(267)이 이용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급지카세트(260)의 가이드레일(263a;도 6참조)을 도전성 레일로 구성하여 엔드펜스(264)가 이동되더라도 중간단자(268)로 인가된 전원이 수광센서(283)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업플레이트(261)에 용지(P)가 적재되면 수광센서(283)는 용지(P)에 의해 덮히게 된다. 따라서, 제 1 또는 제 2 발광장치(281)(282)에서 출사된 검출빔을 감지하지 못한다. 그러나, 수광센서(283)를 덮고 있는 용지(P)가 모두 픽업되면 제 1 또는 제 2 발광장치(281)(282)에서 출사된 검출빔이 수광센서(283)에 도달되며, 수광센서(283)가 이를 감지하여 용지소진이 검출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즈가 큰 용지(P)가 녹업플레이트(261)에 적재될 경우, 이에 대한 용지소진은 수광센서(283)가 제 1 발광장치(281)에서 출사된 검출빔을 감지함으로써 검출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즈가 작은 용지(P')가 녹업플레이트(261)에 적재될 경우, 이에 대한 용지소진은 제 2 발광장치(282)에서 출사된 검출빔이 수광센서(283)에 도달됨으로써 검출된다. 이때, 제 2 발광장치(282)에서 출사된 검출빔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업플레이트(261)에 형성된 홈(261a)을 통해 수광센서(283)에 도달된다.
상기 제어장치(29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검출장치(280)로부터 급지카세트(260)의 용지 유무에 대한 정보를 받아들이고, 각 감광드럼(231)(232)(233)(234), 노광유닛(220), 현상유닛(240), 전사유닛(250) 및 픽업롤러(270)의 동작 등 화상형성장치(200)의 전반적인 인쇄동작 및 급/배지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200)에 인쇄명령이 인가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광유닛(220)이 제 1 내지 제 4 감광드럼(231)(232)(233)(234) 각각에 순차적으로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각 감광드럼(231)(232)(233)(234)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이렇게 정전잠상이 형성된 각 감광드럼(231)(232)(233)(234)에는 제 1 내지 제 4 현상기(241)(242)(243)(244)에서 공급된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컬러 토너가 부착되면서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토너화상은 제 1 내지 제 4 중간전사롤러(251)(252)(253)(254)에 의해 차례로 전사벨트(255)로 옮겨져 최종화상을 형성한다.
한편, 급지카세트(260)의 녹업플레이트(261)에 적재되어 있는 용지(P)는 픽업롤러(270)에 의해 낱장으로 픽업되어 최종전사롤러(256) 측으로 공급된다. 여기에서, 용지(P)는, 그 끝단이 엔드펜스(264)의 펜스벽(265)과 밀착되어 정렬되고, 엔드펜스(264)의 베이스(266)에 설치된 수광센서(283)를 덮는다. 따라서, 제 1 또는 제 2 발광장치(281)(282)에서 출사된 검출빔은 수광센서(283)에 도달되지 못한다. 픽업된 용지가 전사벨트(255)와 최종전사롤러(256) 사이에 도달되면 전사벨트(255) 상의 최종화상은 최종전사롤러(256)에 의해 용지로 전사된다. 그리고, 최종화상이 전사된 용지는 정착유닛(213)을 통과한 후 배지롤러(215)에 의해 화상형성장치의 본체(210) 외부로 배출된다.
인쇄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각 감광드럼(231)(232)(233)(234)에 차례로 토너화상이 형성되는 현상동작 및 급지카세트(260)에 적재된 용지의 픽업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업플레이트(261)에 적 재된 마지막 용지(Pf)가 픽업되어 그 끝단이 수광센서(283)에서 벗어날 때, 제 1 발광장치(281)에서 출사된 검출빔이 수광센서(283)에 도달된다. 이때, 제어장치(290;도 4참조)는 용지검출장치(280;도 4참조)로부터 용지소진에 대한 정보를 송출받고, 각 구성부품의 동작을 제어하여 인쇄동작을 정지시킨다. 여기에서, 마지막 용지(Pf)가 픽업되면서 수광센서(283)가 검출빔을 감지하는 위치(S)부터 최종전사롤러(256)에 의해 최종화상의 전사가 이루어지는 전사위치(T)까지의 거리 L4는, 제 1 현상롤러(245)에 의해 제 1 감광드럼(231)에 토너가 부착되는 제 1 현상위치(D)부터 전사위치(T)까지의 거리 L4보다 길다. 따라서, 제 1 감광드럼(231)을 비롯한 나머지 감광드럼(232)(233)(234)에 정전잠상 형성 및 현상동작이 이루어지기 전에 인쇄동작을 멈출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용지검출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일부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용지검출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와 그 구성 및 작용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한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급지카세트의 용지검출장치(280')는, 하나의 발광장치(281')와 제 1 및 제 2 수광센서(283')(284')를 포함한다. 발광장치(281')는 엔드펜스(264)의 베이스(266)에 설치된다. 발광장치(281')에 대한 전원인가 구조는, 상술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200;도 3참조)에서 베이스(266)에 설치된 수광센서(283)에 전원을 인가하는 구조와 동일하다. 즉, 발광장치(281')는 엔드펜스(264)에 구비된 접속단자(265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접속단자(265a)는 케이블(267)을 통해 중간단자(268)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수광센서(283')(284')는 녹업플레이트(261)의 상부에 엔드펜스(264)의 이동경로를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용지검출장치(280')는, 녹업플레이트(261)에 용지가 적재되면 발광장치(281')에서 출사된 검출빔이 제 1 또는 제 2 수광센서(283')(284')에 도달되지 못하며, 적재된 용지가 모두 픽업되면 제 1 또는 제 2 수광센서(283')(284')에서 검출빔을 감지하여 용지소진을 검출한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용지검출장치(280")는, 발광장치(281")와 수광센서(283")가 일체로 되어 있는 소위, 반사형 센서의 구성으로 된 것이다. 발광장치(281")와 수광센서(283")는 모두 급지카세트(260)의 가이드레일(263a)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엔드펜스(264)의 베이스(266)에 설치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업플레이트(261)에 용지(P)가 적재되면 용지(P)는 발광장치(281") 및 수광센서(283")의 상부를 덮는다. 이때, 발광장치(281")에서 출사된 검출빔은 용지(P)에 의해 반사되어 수광센서(283")로 도달된다. 만약, 용지(P)가 픽업되어 발광장치(281") 및 수광센서(283")에서 벗어나면 발광장치(281")에서 출사된 검출빔이 수광센서(283") 측으로 반사되지 못하여 용지소진이 검출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복수의 감광드럼(231)(232)(233)(234)과 전사매체인 전사벨트(255)를 구비하는 소위, 텐덤(Tandem)방식 컬러 레이저 프린터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밖의 다른 다양한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새로운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현상동작이 이루어지기 전에 급지카세트의 용지소진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토너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화상형성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부품들의 불필요한 동작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급지카세트에 구비된 녹업플레이트 상의 용지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용지검출장치로서,
    검출빔을 발생하는 발광장치 및 상기 검출빔을 감지하기 위한 수광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장치 및 상기 수광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녹업플레이트에 적재된 용지에 의해 덮히도록 상기 급지카세트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엔드펜스의 베이스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카세트의 용지검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장치는 상기 녹업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광센서는 상기 엔드펜스의 베이스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카세트의 용지검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장치는 복수개가 구비되며, 이들 각 발광장치는 상기 엔드펜스의 이동경로를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카세트의 용지검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센서는 상기 녹업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장치는 상기 엔드펜스의 베이스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카세트의 용지검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센서는 복수개가 구비되며, 이들 각 수광센서는 상기 엔드펜스의 이동경로를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카세트의 용지검 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장치 및 상기 수광센서는 모두 상기 엔드펜스의 베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수광센서는 상기 발광장치에서 출사된 후 상기 녹업플레이트에 적재된 용지에서 반사된 검출빔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카세트의 용지검출장치.
  7. 화상형성장치 본체;
    레이저빔을 발생하는 노광유닛;
    상기 노광유닛에서 발생된 레이저빔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
    상기 감광매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부착하여 토너화상을 형성시키는 현상유닛;
    상기 토너화상을 용지로 전사시키는 전사유닛;
    복수의 용지가 적재되는 녹업플레이트를 갖는 급지카세트;
    상기 녹업플레이트에 적재된 용지의 끝단을 정렬시키는 펜스벽 및 상기 펜스벽을 상기 급지카세트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를 구비하는 엔드펜스;
    상기 녹업플레이트에 적재된 용지를 상기 전사유닛 측으로 픽업하는 픽업롤러;
    상기 녹업플레이트에 적재된 용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발광장치 및 수광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용지검출장치; 및
    상기 노광유닛, 감광매체, 현상유닛, 전사유닛 및 픽업롤러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장치 및 수광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녹업플레이트에 적재된 용지에 의해 덮히도록 상기 엔드펜스의 베이스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장치는 상기 녹업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광센서는 상기 엔드펜스의 베이스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장치는 복수개가 구비되며, 이들 각 발광장치는 상기 엔드펜스의 이동경로를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설치된 전원공급단자;
    상기 전원공급단자와 연결되도록 상기 급지카세트에 설치된 중간단자;
    상기 수광센서와 상기 중간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엔드펜스에 설치된 접속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단자와 상기 접속단자는 케이블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센서는 상기 녹업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장치는 상기 엔드펜스의 베이스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센서는 복수개가 구비되며, 이들 각 수광센서는 상기 엔드펜스의 이동경로를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설치된 전원공급단자;
    상기 전원공급단자와 연결되도록 상기 급지카세트에 설치된 중간단자; 및
    상기 발광장치와 상기 중간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엔드펜스에 설치된 접속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단자와 상기 접속단자는 케이블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장치 및 상기 수광센서는 모두 상기 엔드펜스의 베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수광센서는 상기 발광장치에서 출사된 후 상기 녹업플레이트에 적재된 용지에 의해 반사된 검출빔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30098035A 2003-12-27 2003-12-27 급지카세트의 용지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0594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035A KR100594968B1 (ko) 2003-12-27 2003-12-27 급지카세트의 용지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10/901,037 US7058353B2 (en) 2003-12-27 2004-07-29 Paper detecting device of paper feeding cassette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035A KR100594968B1 (ko) 2003-12-27 2003-12-27 급지카세트의 용지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695A KR20050066695A (ko) 2005-06-30
KR100594968B1 true KR100594968B1 (ko) 2006-06-30

Family

ID=34698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8035A KR100594968B1 (ko) 2003-12-27 2003-12-27 급지카세트의 용지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058353B2 (ko)
KR (1) KR1005949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67263A1 (en) * 2005-05-31 2006-11-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4134154B2 (ja) * 2005-11-22 2008-08-13 株式会社Pfu シート給送装置
KR20100041292A (ko) * 2008-10-14 2010-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US20160052303A1 (en) * 2014-08-22 2016-02-25 Seiko Epson Corporation Record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6546A (ja) 1983-07-26 1985-02-09 Ricoh Co Ltd シ−ト揃え装置
JPS60111908A (ja) * 1983-11-22 1985-06-18 Mita Ind Co Ltd カセット内の用紙サイズ検知方式
JP3214214B2 (ja) 1994-02-10 2001-10-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給紙装置
US5574551A (en) * 1994-05-24 1996-11-12 Hewlett-Packard Company Print media supply apparatus with media parameter detection capability
JPH0967022A (ja) 1995-08-31 1997-03-11 Canon Inc シート有無・サイズ検知手段、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US5957827A (en) * 1997-03-24 1999-09-28 Printronix, Inc. Printer with a power paper stacker
KR100205595B1 (ko) * 1997-04-24 1999-07-01 윤종용 급지카세트의 용지유무 감지장치
US5847405A (en) 1997-09-04 1998-12-08 Xerox Corporation Size or position sensing of intermixed sheets in a sheet stacking tray with sheet edge shadow detection
JP2000034039A (ja) 1998-07-17 2000-02-02 Canon Inc シート材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0234911A (ja) 1999-02-12 2000-08-29 Minolta Co Ltd シート状被搬送物の検出装置
JP3906885B2 (ja) 1999-05-20 2007-04-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供給装置、画像形成装置、シート供給方法
JP2001088951A (ja) * 1999-07-22 2001-04-03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3029581A (ja) * 2001-05-07 2003-01-3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6804474B2 (en) * 2001-07-24 2004-10-1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6636704B2 (en) * 2001-11-13 2003-10-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ing system having media stack component measur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695A (ko) 2005-06-30
US20050141902A1 (en) 2005-06-30
US7058353B2 (en) 2006-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0623B2 (en) Deep focus image reading syste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487370B2 (en) Sheet material conveying device, image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850276B1 (ko) 급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CN1892468B (zh) 纸张检测设备和打印方法
US65842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 image in a duplex print mode
JP3434144B2 (ja) シート給送装置
CN101000475A (zh) 易于消除卡纸的进纸盒和具有其的成像设备
KR100594968B1 (ko) 급지카세트의 용지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9227802B2 (en) Scanner device and multifunction apparatus with supply path, discharge path, and re-supply path integrally formed together
KR20080106692A (ko) 화상형성장치
JP456126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60528A (ja) 密着イメージセンサ、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JP5168624B2 (ja) 画像形成装置
JP2741074B2 (ja) 給紙装置
JPH06127058A (ja) 画像形成装置
KR101329740B1 (ko) 복합기
JP3582990B2 (ja) 画像形成装置の用紙検出機構
JP6387691B2 (ja) シート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7261735A (ja) 記録体積載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555677B1 (ko) 급지카세트의 용지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2007055803A (ja) 画像撮影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1151914A (ja) シート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0134554A (ja) 画像形成装置
JP2010224325A (ja) 画像形成装置
CN1873551A (zh) 电子照相成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