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4634B1 - 폴리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4634B1
KR100584634B1 KR1020017007507A KR20017007507A KR100584634B1 KR 100584634 B1 KR100584634 B1 KR 100584634B1 KR 1020017007507 A KR1020017007507 A KR 1020017007507A KR 20017007507 A KR20017007507 A KR 20017007507A KR 100584634 B1 KR100584634 B1 KR 100584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polymer
carboxyl group
protected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7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2348A (ko
Inventor
하따요시오
이가리야스따까
Original Assignee
다케다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케다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케다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82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2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6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06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61K9/113Multiple emulsions, e.g. oil-in-water-in-o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4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thylene glycol, poloxamers
    • A61K9/1647Polyesters, e.g. poly(lactide-co-glycol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06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C08G63/08Lactones or lact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olyoxymethylene Polymers And Polymers With Carbon-To-Carbon Bond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히드록시 모노카르복실산 유도체 또는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히드록시 디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존재하에, 환상 에스테르 화합물을 중합반응시켜 수득되는 ω말단에 보호된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머를 탈보호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ω말단에 유리 카르복실기를 갖는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목적하는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분자량과 유리 카르복실기량의 조절이 용이하여, 순도가 높고, 잔존촉매가 매우 적은 폴리머를 효율적으로 생산할수 있다.

Description

폴리머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ODUCING POLYMER}
본 발명은 신규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EP-A-0839525 호 공보에는 생리활성 펩티드 또는 그의 염과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서방성 제제 및 그의 제조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공보에서의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는 공지된 개환중합법에 의해 제조된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를 자체 공지된 가수분해방법으로 처리함으로써 제조되고 있다.
상기 개환 중합법은 젖산의 환상 이량체를 사용하고, 가열하에, 촉매를 첨가하여 행하는 방법이 J.H.R.Woodland 외에,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16, 897 (1973) 에 기재되어 있고, 또 락티드와 글리콜리드 등의 환상 디에스테르 화합물로부터의 촉매를 사용하여 행하는 방법이 Encyclopedic Handbook of Biomaterials and Bioengineering Part A: Materials, 2권, Marcel Dekker, Inc. (1995) 에 기재되어 있다.
또, WO 95/03356 호 공보에는 시트르산 트리벤질과 락티드를 동시에 중합시키는 것에 의한 1 개의 폴리락티드와 3 개의 덱스트란이 시트르산을 통해 결합한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공지된 개환중합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폴리머는 수득되는 폴리머의 ω말단에 유리 카르복실기를 항상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서방성 제제로의 생리활성물질을 고효율로 주입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 원료의 주입단계에서 목적하는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분자량을 조절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서방성 제제로의 생리활성물질을 고효율로 주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목적하는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분자량의 조절을 용이하게 하는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 제조방법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또, 적어도 약 6 개월 이상의 장기간에 걸쳐 생리활성물질을 방출하는 서방성 제제에 사용되는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에 적합한 제조방법의 확립도 필요하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연구한 결과,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히드록시 모노카르복실산 유도체 또는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히드록시 디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존재하에, 환상 에스테르 화합물을 중합반응시켜 수득되는 ω말단에 보호된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머를 탈보호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ω말단에 유리 카르복실기를 갖는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제조방법을 발견하고, 더욱 연구를 계속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1)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히드록시 모노카르복실산 유도체 또는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히드록시 디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존재하에, 환상 에스테르 화합물을 중합반응시켜 수득되는 ω말단에 보호된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머를 탈보호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ω말단에 유리 카르복실기를 갖는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제조방법,
(2)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히드록시 모노카르복실산 유도체가,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글리콜산,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L-젖산,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D-젖산 또는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DL-젖산인 상기 (1) 에 기재된 제조방법,
(3)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히드록시 모노카르복실산의 보호기가 t-부틸기 또는 벤질기인 상기 (1) 에 기재된 제조방법,
(4)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히드록시 디카르복실산 유도체가 타르트론산 디벤질 또는 2-히드록시에틸말론산 디-t-부틸인 상기 (1) 에 기재된 제조방법,
(5) 환상 에스테르 화합물이 환상 모노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환상 디에스테르 화합물인 상기 (1) 에 기재된 제조방법,
(6) 탈보호반응이 산분해반응인 상기 (1) 에 기재된 제조방법,
(7)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히드록시 모노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존재하에, 환상 에스테르 화합물을 중합반응시켜 수득되는 ω말단에 보호된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머를 탈보호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ω말단에 유리 카르복실기를 갖는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제조방법,
(8) 탈보호반응후, 산가수분해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7) 에 기재된 제조방법,
(9)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가 적어도 약 6 개월 이상에 걸쳐 생리활성물질을 방출하는 서방성 제제에 사용되는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인 상기 (1) 또는 상기 (7) 에 기재된 제조방법,
(10) 상기 (1) 또는 상기 (7) 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
(11) 상기 (10) 에 기재된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서방성 제제,
(12) 추가로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는 상기 (11) 에 기재된 서방성 제제, 및
(13) 생리활성물질이 LH-RH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인 상기 (12) 에 기재된 서방성 제제등에 관한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생리활성물질은 약리학적으로 유용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비펩티드 화합물이어도 펩티드 화합물이어도 된다. 비펩티드 화합물로서는 애고니스트, 앤타고니스트, 효소저해작용을 갖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펩티드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생리활성 펩티드가 바람직하고, 분자량 약 300 ∼ 약 40,000, 바람직하게는 약 400 ∼ 약 3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0 ∼ 약 25,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0 ∼ 20,000 의 생리활성 펩티드 등이다.
상기 생리활성 펩티드로서는, 예컨대 황체형성호르몬 방출호르몬 (LH-RH), 인슐린, 소마토스타틴, 성장호르몬, 성장호르몬 방출호르몬 (GH-RH), 프로락틴, 에리트로포이에틴, 부신피질호르몬, 멜라노사이트 자극호르몬, 갑상선호르몬 방출호르몬, 갑상선 자극호르몬, 황체형성호르몬, 난포자극호르몬, 바소프레신, 옥시토신, 칼시토닌, 가스트린, 세크레틴, 판크레오자이민, 콜레시스토키닌, 안기오텐신, 인체 태반 락토겐, 인체 융모성 고나드트로핀, 엔케파린, 엔돌핀, 쿄톨핀, 터프토 신, 사이모포이에틴, 사이모신, 사이모팀린, 흉선액성인자, 혈중흉선인자, 종양괴사인자, 콜로니유도인자, 모티린, 데이놀핀, 본베신, 뉴로텐신, 셀레인, 브라디키닌, 심방성 나트륨 배설증가인자, 신경성장인자, 세포증식인자, 신경영양인자, 엔도세린 길항작용을 갖는 펩티드류 등, 및 그의 유도체, 나아가서는 이들의 프래그먼트 또는 프래그먼트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생리활성 펩티드는 그 자신이어도,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염으로서는 상기 생리활성 펩티드가 아미노기 등의 염기성 기를 갖는 경우, 무기산 (예, 탄산, 중탄산, 염산, 황산, 질산, 붕산 등), 유기산 (예, 숙신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 등) 등과의 염을 들 수 있다.
생리활성 펩티드가 카르복실기 등의 산성기를 갖는 경우, 무기염기 (예,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 칼슘,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토류금속 등) 또는 유기염기 (예, 트리에틸아민 등의 유기아민류, 알기닌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류 등) 등과의 염을 들 수 있다. 또, 생리활성 펩티드는 금속착체 화합물 (예, 구리착체, 아연착체 등) 을 형성할수 있다.
상기한 생리활성 펩티드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LH-RH 유도체로서, 전립선암, 전립선비대증, 자궁내막증, 자궁근종, 사춘기조발증, 유방암 등의 성호르몬 의존성 질환 및 피임에 유효한 LH-RH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을 들 수 있다.
LH-RH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트리트먼트 위드 GnRH 아날로그 : 콘트라버시스 앤드 퍼스펙티브 (Treatment with GnRH analogs : Controversies and perspectives) [The Parthenon Publishing Group Ltd. 발행 1996 년],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3-503165 호, 동 3-101695 호, 동 7-97334 호 및 동 8-259460 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펩티드류를 들 수 있다.
LH-RH 유도체로서는 LH-RH 애고니스트 또는 LH-RH 앤타고니스트를 들 수 있는데, LH-RH 앤타고니스트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예컨대 일반식 [Ⅰ]
X-D2Nal-D4ClPhe-D3Pal-Ser-A-B-Leu-C-Pro-DAlaNH2
[식 중, X 는 N(4H2-furoyl)Gly 또는 NAc 를, A 는 NMeTyr, Tyr, Aph(Atz), NMeAph(Atz) 에서 선택되는 잔기를, B 는 DLys(Nic), DCit, DLys(AzaglyNic), DLys(AzaglyFur), DhArg(Et2), DAph(Atz) 및 DhCi 에서 선택되는 잔기를, C 는 Lys(Nisp), Arg 또는 hArg(Et2) 를 각각 나타냄] 으로 표시되는 생리활성 펩티드 또는 그의 염 등이 사용된다.
LH-RH 애고니스트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예컨대 일반식 [Ⅱ]
5-oxo-Pro-His-Trp-Ser-Tyr-Y-Leu-Arg-Pro-Z
[식 중, Y 는 DLeu, DAla, DTrp, DSer(tBu), D2Nal 및 DHis(ImBzl) 에서 선택되는 잔기를, Z 는 NH-C2H5 또는 Gly-NH2 를 각각 나타냄] 으로 표시되는 생리활성 펩티드 또는 그의 염 등이 사용된다. 특히, Y 가 DLeu 이고, Z 가 NH-C2H5 인 펩티드 (즉, 5-oxo-Pro-His-Trp-Ser-Tyr-DLeu-Leu-Arg-Pro-NH-C2H5 로 표시되는 펩티드, 특히 그의 아세트산염) 가 바람직하다.
이들 펩티드는 상기 문헌 또는 공보에 기재된 방법 또는 이것에 준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중에서 사용되는 약호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약호 명칭
N(4H2-furoyl)Gly : N-테트라히드로푸로일글리신 잔기
NAc : N-아세틸기
D2Nal : D-3-(2-나프틸)알라닌 잔기
D4ClPhe : D-3-(4-클로로)페닐알라닌 잔기
D3Pal : D-3-(3-피리딜)알라닌 잔기
NMeTyr : N-메틸티로신 잔기
Aph(Atz) : N-[5'-(3'-아미노-1'H-1',2',4'-트리아졸릴)]페닐알라닌 잔기
NMeAph(Atz) : N-메틸-[5'-(3'-아미노-1'H-1',2',4'-트리아졸릴)]페닐알라닌 잔기
DLys(Nic) : D-(e-N-니코티노일)리신 잔기
Dcit : D-시트룰린 잔기
DLys(AzaglyNic) : D-(아자글리실니코티노일)리신 잔기
DLys(AzaglyFur) : D-(아자글리실푸라닐)리신 잔기
DhArg(Et2) : D-(N,N'-디에틸)호모알기닌 잔기
DAph(Atz) : D-N-[5'-(3'-아미노-1'H-1',2',4'-트리아졸릴)]페닐알라닌 잔기
DhCi : D-호모시트룰린 잔기
Lys(Nisp) : (e-N-이소프로필)리신 잔기
hArg(Et2) : (N,N'-디에틸)호모알기닌 잔기
DSer(tBu) : D-0-(t-부틸)세린 잔기
DHis(ImBzl) : N'-벤질히스티딘 잔기
그 외의 아미노산에 관하여 약호로 표시하는 경우, IUPAC-IUB (Commission on Biochemical Nomenclature) ((European Journal of Biochemistry) 제 138 권, 9 ∼ 37 면 (1984 년)) 에 의한 약호 또는 해당 분야에서의 관용약호에 기초하는 것으로 하고, 또 아미노산에 관하여 광학이성체가 있을 수 있는 경우에는 특별히 명시하지 않으면 L 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서방성 제제는 생리활성물질 이외에, 예컨대 분산제 (Tween 80, HCO-60 등의 계면활성제 ;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나트륨, 히알루론산나트륨 등의 다당류 ; 황산프로타민 ;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등), 보존제 (예컨대,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등), 등장화제 (예컨대, 염화나트륨, 만니톨, 소르비톨, 포도당 등), 유지류 (예컨대, 참기름, 옥수수유 등), 인지질 (예컨대, 레시틴 등), 부형제 (예컨대, 유당, 콘스타치, 만니톨, 셀룰로오스 등), 결합제 (예컨대, 자당, 아라비아고무,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덱스트린 등), 붕괴제 (예컨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등), 약물유지제 (예컨대, 젤라틴, 히드록시나프토에산, 살리실산 등)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로서는, 예컨대 히드록시 모노카르복실산 (예컨대, 글리콜산, 젖산 등) 의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유도체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글리콜산,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L-젖산,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D-젖산,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DL-젖산 등 (보호기의 예, t-부틸기, 벤질기 등), 보다 구체적으로는 D-젖산 t-부틸, L-젖산 벤질 등), 히드록시 디카르복실산 (예, 타르트론산, 2-히드록시에틸말론산 등) 의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유도체 (예, 타르트론산 디벤질, 2-히드록시에틸말론산 디-t-부틸 등) 등의 1 종 이상과, 환상 에스테르 화합물 (예, 환상 디에스테르 화합물 (락티드류), 환상 모노에스테르 화합물 (락톤류) 등) 의 1 종 이상으로 합성되고, ω말단에 유리 카르복실기를 갖는 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예, ω잔기가 글리콜산인 폴리히드록시카르복실산, ω잔기가 DL-젖산인 폴리히드록시카르복실산, ω잔기가 D-젖산인 폴리히드록시카르복실산, ω잔기가 L-젖산인 폴리히드록시카르복실산, ω잔기가 타르트론산인 폴리히드록시카르복실산, ω잔기가 2-히드록시에틸말론산인 폴리히드록시카르복실산 등) 등이 사용된다.
상기 "폴리히드록시카르복실산"의 ω잔기 이외의 부분은 폴리-α-히드록시카르복실산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α-히드록시카르복실산"의 최소반복단위가 되는 α-히드록시카르복실산으로서는 젖산, 글리콜산 등이 바람직하고, 그들의 코폴리머 (이하, 폴리(락티드-co-글리코리드), 폴리(젖산-co-글리콜산) 또는 젖산-글리콜산 중합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고,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젖산, 글리콜산의 호모폴리머 (중합 체, 폴리락티드 또는 폴리글리콜리드라고도 칭함) 및 코폴리머 (공중합체) 를 총칭) 가 범용된다.
상기 "젖산-글리콜산 중합체"의 조성비 (젖산/글리콜산) (몰/몰 %) 는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약 100/0 ∼ 약 30/70 의 것이 사용된다. 상기 조성비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약 100/0 ∼ 약 40/60 이고, 특히 약 100/0 ∼ 약 45/55 의 것이 범용된다.
상기 "폴리-α히드록시카르복실산"의 최소반복단위가 되는 α-히드록시카르복실산이 분자내에 광학활성중심을 갖는 경우에는 D-체, L-체 및 D,L-체의 어느것도 되지만, D-체/L-체 (몰/몰 %) 가 약 75/25 ∼ 약 25/75 범위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 D-체/L-체 (몰/몰 %) 는 특히 약 60/40 ∼ 약 30/70 범위의 것이 범용된다.
상기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통상 약 3,000 ∼ 약 500,000, 바람직하게는 약 3,000 ∼ 약 2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00 ∼ 약 100,000 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분산도 (중량평균분자량/수평균분자량) 는 통상 약 1.2 ∼ 약 4.0 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약 1.5 ∼ 3.5 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ω잔기가 모노카르복실기인 경우에는 폴리머의 단위질량당 말단 카르복실기의 양은 통상 약 40 ∼ 약 90 μmol/g 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약 50 ∼ 약 90 μmol/g 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ω잔기가 디카르복실기인 경우에는 폴리머의 단위질량당 말단 카르복실기의 양은 통상 약 30 ∼ 약 800 μmol/g 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약 60 ∼ 약 400 μmol/g 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 수평균분자량 및 분산도란, 중량평균분자량이 455645, 354000, 98900, 66437, 37200, 17100, 9830, 5870, 2500, 1303 및 504 의 11 종류의 단분산 폴리스티렌을 기준물질로 하여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GPC) 로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분자량 및 분산도를 말한다. 측정은 고속 GPC 장치 (도소 제조, HLC-8120GPC), GPC 칼럼 KF804L ×2 (쇼와덴꼬 제조) 를 사용하고, 이동상으로서 클로로포름을 사용한다.
상기 말단 카르복실기의 양이란, 라벨화법에 의한 말단기 정량방법에 의해 구한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ω잔기가 젖산인 폴리머인 경우에는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 (Wmg) 를 5 N HCl/아세토니트릴 (v/v=4/96) 혼액 2 ㎖ 에 용해하고, 0.01 M 의 o-니트로페닐히드라진 (ONPH) 용액 (5 N HCl/아세토니트릴/에탄올 = 1.02/35/15) 2 ㎖ 와 0.15 M 의 EDC 용액 (피리딘/에탄올 = 4v/96v) 2 ㎖ 를 첨가하여 40 ℃ 에서 30 분 반응시킨 후 용매를 증류제거한다. 잔류물을 물세정 (4 회) 한 후, 아세토니트릴 2 ㎖ 로 용해하고, 0.5 mol/l 의 에탄올성 수산화칼륨 용액 1 ㎖ 를 첨가하여 60 ℃ 에서 30 분 반응시킨다. 반응액을 1.5 N 의 NaOH 로 희석하여 Y㎖ 로 하고, 1.5 N 의 NaOH 를 기준으로 하여 544 ㎚ 흡광도 (A(/㎝)) 를 측정한다. 한편, DL-젖산 수용액을 기준물질로 하여 그 유리 카르복실기의 양 (C mol/L) 을 NaOH 적정으로 구하고, 또 ONPH 라벨화법으로 DL-젖산 히드라지드를 사용했을 때의 544 ㎚ 흡광도를 B(/㎝) 로 할 때, ω잔기가 젖산인 폴리머의 유리 카르복실기의 양 [COOH] 은 이하의 수식으로 구해진다.
[COOH] (mol/g) = (AYC)/(WB)
또,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를 톨루엔, 아세톤, 메탄올의 혼합용매에 용해하고, 페놀프탈레인을 지시약으로 하여 이 용액을 알콜성 수산화칼륨 용액으로 적정하여 말단 카르복실기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분해ㆍ소실속도는 공중합 조성, 분자량 또는 유리 카르복실기의 양에 따라 크게 변화하는데, 일반적으로는 분자량을 크게 하고, 또한 유리 카르복실의 양을 적게 함으로써 방출기간을 길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유리 카르복실기의 양은 생리활성물질의 제제로의 주입율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일정값 이상 필요하다. 이 때문에, 장기간 (예컨대, 적어도 약 6 개월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6 개월 (26 주) ∼ 약 8 개월 (35 주),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6 개월 (26 주) ∼ 약 7 개월 (30 주),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6 개월 (26 주) ∼ 약 6.5 개월 (28 주)) 형 서방성 제제용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ω말단이 모노카르복실기인 폴리-DL-젖산이고,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20,000 ∼ 약 50,000 이고, 또한 유리 카르복실기의 양이 약 50 ∼ 약 90 μmol/g 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본 발명의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서술한다.
(1) 먼저, 상기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히드록시 모노카르복실산 유도체 (예, D-젖산 t-부틸, L-젖산 벤질 등) 또는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히드록시 디카르복실산 유도체 (예, 타르트론산 디벤질, 2-히드록시에틸말론산 디-t-부틸 등) 의 존재하에, 중합촉매를 사용하여 환상 에스테르 화합물을 중합반응시킨다.
상기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히드록시 모노카르복실산 유도체" 또는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히드록시 디카르복실산 유도체"란, 예컨대 카르복실기 (-COOH) 가 아미드 (-CONH2) 화 또는 에스테르 (-COOR) 화되어 있는 히드록시카르복실산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카르복실기 (-COOH) 가 에스테르 (-COOR) 화되어 있는 히드록시카르복실산 유도체 등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에스테르에서의 R 로서는, 예컨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t-부틸 등의 C1-6 알킬기, 예컨대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등의 C3-8 시클로알킬기, 예컨대 페닐, α-나프틸 등의 C6-12 아릴기, 예컨대 벤질, 펜에틸 등의 페닐-C1-2 알킬기 그리고 α-나프틸메틸 기 등의 α-나프틸-C1-2 알킬기 등의 C7-14 아랄킬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t-부틸기, 벤질기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환상 에스테르 화합물"이란, 예컨대 환내에 적어도 하나의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환상 화합물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환상 모노에스테르 화합물 (락톤류) 또는 환상 디에스테르 화합물 (락티드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환상 모노에스테르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4원 환 락톤 (β-프로피오락톤, β-부틸로락톤, β-이소발레로락톤, β-카프로락톤, β-이소카프로락톤, β-메틸-β-발레로락톤 등), 5 원 환 락톤 (γ-부틸로락톤, γ-발레로락톤 등), 6 원 환 락톤 (δ-발레로락톤 등), 7 원 환 락톤 (ε-카프로락톤 등), p-디옥사논, 1,5-디옥세판-2-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환상 디에스테르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식
Figure 112001014345169-pct00001
(식 중, R1 및 R2 는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하며, 수소원자 또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t-부틸 등의 C1-6 알킬기를 나타냄)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R1 이 수소원자이고 R2 가 메틸기 또는 R1 및 R2 가 각각 수소원자인 락티드가 특히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글리콜리드, L-락티드, D-락티드, DL-락티드, meso-락티드, 3-메틸-1,4-디옥산-2,5-디온 (광학활성체도 포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합촉매"로서는, 예컨대 유기 주석계 촉매 (예, 옥틸산 주석, 디라우릴산 디-n-부틸 주석, 테트라페닐 주석 등), 알루미늄계 촉매 (예, 트리에틸알루미늄 등), 아연계 촉매 (예, 디에틸 아연 등) 등을 들 수 있다.
반응후의 제거 용이성의 관점에서는 알루미늄계 촉매, 아연계 촉매가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잔존한 경우의 안전성의 관점에서는 아연계 촉매가 바람직하다.
중합촉매의 용매로서는 벤젠, 헥산, 톨루엔 등이 사용되며, 그 중에서도 헥 산, 톨루엔 등이 바람직하다.
"중합방법"은 반응물을 용융상태로 하여 행하는 괴상 중합법 또는 반응물을 적당한 용매 (예컨대, 벤젠, 톨루엔, 크실렌, 데카린, 디메틸포름아미드 등) 에 용해하여 행하는 용액중합법을 사용하면 된다. 용매로서는 톨루엔, 크실렌 등이 바람직하다. 중합온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괴상 중합의 경우, 반응개시시에 반응물을 용융상태에 이르게 하는 온도 이상, 통상 100 ∼ 300 ℃ 이고, 용액중합의 경우, 통상 실온 ∼ 150 ℃ 이고, 반응온도가 반응용액의 비점을 초과할 때에는 응축기를 부착하여 환류하거나, 또는 내압용기내에서 반응시키면 된다. 중합시간은 중합온도, 그 외의 반응조건이나 목적으로 하는 중합체의 물성 등을 고려하여 적당히 결정되는데, 예컨대 10 분 ∼ 72 시간이다. 반응후에는 필요하면 반응혼합물을 적당한 용매 (예컨대, 아세톤,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등) 에 용해하고, 산 (예컨대, 염산, 무수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등) 으로 중합을 정지시킨 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이것을 목적물을 용해하지 않는 용매 (예컨대, 알콜, 물, 에테르, 이소프로필에테르 등) 중에 혼합하거나 하여 석출시키고, ω말단에 보호된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머를 분리하면 된다.
본원의 중합방법은 종래의 메탄올 등의 소위 프로톤성 연쇄이동제 대신에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히드록시카르복실산 유도체 (예, D-젖산 t-부틸, L-젖산 벤질 등) 또는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히드록시 디카르복실산 유도체 (예, 타르트론산 디벤질, 2-히드록시에틸말론산 디-t-부틸 등) 등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히드록시카르복실산 유도체 (예, D-젖산 t- 부틸, L-젖산 벤질 등) 또는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히드록시 디카르복실산 유도체 (예, 타르트론산 디벤질, 2-히드록시에틸말론산 디-t-부틸 등) 등을 프로톤성 연쇄이동제에 사용함으로써, (1) 분자량을 주입조성에 따라 제어할 수 있고, (2) 중합후에 탈보호반응시킴으로써 수득되는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ω말단에 카르복실기를 유리시킬 수 있다.
(2) 다음으로, 상기 (1) 의 중합반응에 의해 얻어진 ω말단에 보호된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머를 탈보호반응시킴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ω말단에 유리 카르복실기를 갖는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보호기는 자체 공지된 방법에 의해 탈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서는 폴리(히드록시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결합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보호기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방법이면 어느것을 사용해도 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환원, 산분해 (반응)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환원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촉매 (예, 팔라듐 탄소, 팔라듐 블랙, 산화 백금 등) 를 사용하는 접촉환원, 액체 암모늄 중에서의 나트륨에 의한 환원, 디티오트레이톨에 의한 환원 등을 들 수 있다. 예컨대, ω말단에 벤질기로 보호된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머를 접촉환원하는 경우, 구체적으로는 폴리머를 아세트산 에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등에 용해한 것에 팔라듐 탄소를 첨가하고,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실온에서 수소를 약 20 분 ∼ 약 4 시간 통기함으로써 탈보호할 수 있다.
산분해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무기산 (예, 불화 수소, 브롬화 수소, 염화 수 소 등) 또는 유기산 (예,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메탄술폰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에 의한 산분해 등을 들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산분해시, 카티온ㆍ스캐빈저 (예, 아니솔, 페놀, 티오아니솔 등) 를 적당히 첨가해도 된다. 예컨대, ω말단에 t-부틸기로 보호된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머를 산분해하는 경우, 구체적으로는 폴리머를 디클로로메탄, 크실렌, 톨루엔 등에 용해한 것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적당량 첨가하여, 또는 폴리머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용해하여 실온에서 약 1 시간 교반함으로써 탈보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분해법은 중합반응 직후에 행해도 되고, 그 경우에는 중합정지반응을 겸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탈보호반응에 의해 얻어진 폴리머를 산가수분해반응시킴으로써 상기 폴리머의 중량평균분자량, 수평균분자량 또는 말단 카르복실기의 양을 목적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EP-A-0839525 호에 기재된 방법 또는 그것에 준한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는 서방성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기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제에 대한 생리활성물질의 중량비는, 예컨대 펩티드의 경우, 약 0.001 ∼ 약 50 % (w/w), 바람직하게는 약 0.02 ∼ 약 40 % (w/w),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1 ∼ 30 % (w/w) 이고, 비펩티드의 경우, 약 0.01 ∼ 80 % (w/w), 바람직하게는 약 0.1 ∼ 50 % (w/w) 이다.
(3) 본 발명의 제조법으로 수득되는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서방 성 제제는, 예컨대 수중건조법, 상분리법, 분무건조법 또는 이들에 준하는 방법 등에 의해 제조된다.
이하에, 서방성 제제로서, 예컨대 마이크로캡슐 (마이크로스페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 을 제조하는 경우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이하의 제조공정중, 필요에 따라 약물유지제 (예컨대, 젤라틴, 히드록시나프토에산, 살리실산 등) 를 자체 공지된 방법에 의해 첨가해도 된다.
(Ⅰ) 수중건조법
(ⅰ) O/W 법
본 방법에서는 먼저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유기용매용액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서방성 제제의 제조시에 사용하는 유기용매는 비점이 12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용매로서는, 예컨대 할로겐화 탄화수소 (예,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디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탄, 사염화탄소 등), 에테르류 (예, 에틸에테르, 이소프로필에테르 등), 지방산 에스테르 (예,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등), 방향족 탄화수소 (예,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 알콜류 (예컨대, 에탄올, 메탄올 등), 아세토니트릴 등이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할로겐화 탄화수소가 바람직하고, 특히 디클로로메탄이 바람직하다. 또, 이들은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그 경우에는 할로겐화 탄화수소와 알콜류의 혼합액이 바람직하고, 특히 디클로로메탄과 에탄올의 혼합액이 바람직하다.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유기용매용액중의 농도는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분자량, 유기용매의 종류에 따라 다른데, 예컨대 디클로로메탄을 유기용매로서 사용한 경우, 일반적으로는 약 0.5 ∼ 약 7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 ∼ 약 6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2 ∼ 약 50 중량%에서 선택된다.
또, 디클로로메탄과의 혼합된 유기용매로서 에탄올을 사용한 경우의 양자의 비율은 일반적으로는 약 0.01 ∼ 약 50 % (v/v),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5 ∼ 약 40 % (v/v),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0.1 ∼ 약 30 % (v/v) 에서 선택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유기용매용액중에 생리활성물질을 첨가하고, 용해 또는 분산시킨다. 이때, 생리활성물질의 첨가량은 생리활성물질: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중량비의 상한이 약 1:1 까지, 바람직하게는 약 1:2 까지가 되도록 한다.
이어서, 얻어진 생리활성물질 또는 그의 염 및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기용매용액을 수상중에 첨가하고, O (오일상)/W (수상) 에멀션을 형성시킨 후, 오일상중의 용매를 증발시켜 마이크로캡슐을 조제한다. 이때의 수상 체적은 일반적으로는 오일상 체적의 약 1 배 ∼ 약 10,000 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 배 ∼ 약 50,000 배,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10 배 ∼ 약 2,000 배에서 선택된다.
상기 외부 수상중에는 유화제를 첨가해도 된다. 상기 유화제는 일반적으로 안정한 O/W 에멀션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것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올레인산나트륨, 스테아르산나트륨, 라우릴산나트륨 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트윈 (Tween) 80, 트윈 (Tween) 60, 아트라스파우더사],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유도체 [HCO-60, HCO-50, 닛꼬케미컬즈] 등),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레시틴, 젤라틴, 히알루론산 등이 사용된다. 이들중의 1 종류나, 몇 개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사용시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0.01 ∼ 10 중량%의 범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5 ∼ 약 5 중량%의 범위에서 사용된다.
상기 외부 수상중에는 침투압 조절제를 첨가해도 된다. 상기 침투압 조절제로서는 수용액으로 한 경우에 침투압을 나타내는 것이면 된다.
상기 침투압 조절제로서는, 예컨대 다가알콜류, 1 가 알콜류, 단당류, 이당류, 올리고당 및 아미노산류 또는 그들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가알콜류로서는, 예컨대 글리세린 등의 3 가 알콜류, 아라비톨, 크실리톨, 아도니톨 등의 5 가 알콜류, 만니톨, 소르비톨, 즈루시톨 등의 6 가 알콜류 등이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6 가 알콜류가 바람직하고, 특히 만니톨이 바람직하다.
상기 1 가 알콜류로서는,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중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당류로서는, 예컨대 아라비노스, 키시로스, 리보스, 2-데옥시리보스 등의 5 탄당류, 포도당, 과당, 갈락토스, 만노스, 소르보스, 람노스, 푸코스 등의 6 탄당류가 사용되며, 이 중 6 탄당류가 바람직하다.
상기 올리고당으로서는, 예컨대 말토트리오스, 라피노스당 등의 삼당류, 스 타키오스 등의 사당류 등이 사용되며, 이 중 삼당류가 바람직하다.
상기 단당류, 이당류 및 올리고당의 유도체로서는, 예컨대 글루코사민, 갈락토사민, 글루쿠론산, 갈락트론산 등이 사용된다.
상기 아미노산류로서는 L-체의 것이면 어느것도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글리신, 로이신, 알기닌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L-알기닌이 바람직하다.
이들 침투압 조절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들 침투압 조절제는 외부 수상의 침투압이 생리식염수 침투압의 약 1/50 ∼ 약 5 배, 바람직하게는 약 1/25 ∼ 약 3 배가 되는 농도로 사용된다.
유기용매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는 자체 공지된 방법 또는 그것에 준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예컨대, 프로펠러형 교반기 또는 마그네틱 교반기 등으로 교반하면서 상압 또는 서서히 감압으로 하여 유기용매를 증발시키는 방법, 로터리 증발기 등을 사용하여 진공도를 조절하면서 유기용매를 증발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마이크로캡슐은 원심분리 또는 여과하여 분취한 후, 마이크로캡슐의 표면에 부착하고 있는 유리의 생리활성물질, 유화제 등을 증류수로 수회 반복 세정하고, 다시 증류수 등에 분산하여 동결건조한다.
제조공정중, 입자끼리의 응집을 방지하기 위해 응집방지제를 첨가해도 된다. 상기 응집방지제로서는, 예컨대 만니톨, 락토스, 포도당, 전분류 (예, 콘스타치 등) 등의 수용성 다당, 글리신 등의 아미노산, 피브린, 콜라겐 등의 단백질 등이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만니톨이 바람직하다.
또, 동결건조후, 필요하다면 감압하에 마이크로캡슐끼리가 융착하지 않는 조건내에서 가온하여 마이크로캡슐중의 수분 및 유기용매의 제거를 행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매분 10 ∼ 20 ℃ 의 승온속도의 조건하에서 시차주사열량계로 구한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중간점 유리전이온도보다도 약간 높은 온도로 가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중간점 유리전이온도보다 약 30 ℃ 높은 온도범위내에서 가온한다. 특히,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로서 젖산-글리콜산 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그 중간점 유리전이온도에서 중간점 유리전이온도보다 10 ℃ 높은 온도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간점 유리전이온도에서 중간점 유리전이온도보다 5 ℃ 높은 온도범위에서 가온한다.
가온시간은 마이크로캡슐의 양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마이크로캡슐 자체가 소정의 온도에 도달한 후, 약 12 시간 ∼ 약 168 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24 시간 ∼ 약 120 시간,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48 시간 ∼ 약 96 시간이다.
가온방법은 마이크로캡슐의 집합을 균일하게 가온할 수 있는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가온건조방법으로서는, 예컨대 항온조, 유동조, 이동조 또는 가마중에서 가온건조하는 방법, 마이크로파로 가온건조하는 방법 등이 사용된다. 이 중에서 항온조중에서 가온건조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ⅱ) W/O/W 법
먼저,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유기용매용액을 만든다.
상기 유기용매로서는, 예컨대 할로겐화 탄화수소 (예, 디클로로메탄, 클로로 포름, 디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탄, 사염화탄소 등), 에테르류 (예, 에틸에테르, 이소프로필에테르 등), 지방산 에스테르 (예,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등), 방향족 탄화수소 (예,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 알콜류 (예컨대, 에탄올, 메탄올 등), 아세토니트릴 등이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할로겐화 탄화수소가 바람직하고, 특히 디클로로메탄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그 경우에는 할로겐화 탄화수소와 알콜류의 혼합액이 바람직하고, 특히 디클로로메탄과 에탄올의 혼합액이 바람직하다.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유기용매용액중의 농도는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분자량, 유기용매의 종류에 따라 다른데, 예컨대 디클로로메탄을 유기용매로서 사용한 경우, 일반적으로는 약 0.5 ∼ 약 7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 ∼ 약 6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2 ∼ 약 50 중량%에서 선택된다.
이어서,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유기용매용액 (오일상) 에 생리활성물질 또는 그의 염의 용액 (상기 용매로서는 물, 물과 알콜류 (예, 메탄올, 에탄올 등) 의 혼합액) 을 첨가한다. 이 혼합물을 호모지나이저 또는 초음파 등의 공지된 방법으로 유화하고, W/O 에멀션을 형성시킨다.
이어서, 얻어진 생리활성물질 및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W/O 에멀션을 수상중에 첨가하고, W (내부 수상)/O (오일상)/W (외부 수상) 에멀션을 형성시킨 후, 오일상중의 용매를 증발시켜 마이크로캡슐을 조제한다. 이때의 외부 수상 체적은 일반적으로는 오일상 체적의 약 1 배 ∼ 약 10,000 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 배 ∼ 약 5,000 배,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10 배 ∼ 약 2,000 배에서 선택된다.
상기 외부 수상중에 첨가해도 되는 유화제나 침투압 조절제, 및 그 후의 조제법은 상기 (Ⅰ)의 (ⅰ) 항에 기재된 것과 동일하다.
(Ⅱ) 상분리법
본 방법에 의해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Ⅰ) 의 수중건조법에 기재된 생리활성물질 및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기용매용액에 코아세르베이션제를 교반하에 서서히 첨가하여 마이크로캡슐을 석출, 고화시킨다. 상기 코아세르베이션제는 오일상 체적의 약 0.01 ∼ 1,000 배, 바람직하게는 약 0.05 ∼ 500 배,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0.1 ∼ 200 배에서 선택된다.
코아세르베이션제로서는 유기용매와 혼화하는 고분자계, 광물유계 또는 식물유계 화합물 등에서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를 용해하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실리콘유, 참기름, 대두유, 옥수수유, 면실유, 코코넛유, 아마인유, 광물유, n-헥산, n-헵탄 등이 사용된다. 이들은 2 종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마이크로캡슐을 분취한 후, 헵탄 등으로 반복세정하여 생리활성물질 및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이외의 코아세르베이션제 등을 제거하고, 감압건조한다. 또는, 상기 (Ⅰ)의 (ⅰ) 의 수중건조법에서 기재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정한 후에 동결건조, 또는 가온건조한다.
(Ⅲ) 분무건조법
본 방법에 의해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Ⅰ) 의 수중건조법에 기재한 생리활성물질 및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2 개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함유하는 유기용매용액 또는 분산액을 노즐을 사용하여 스프레이 드라이어 (분무건조기) 의 건조실내에 분무하고, 매우 단시간내에 미립화 액적내의 유기용매를 휘발시켜 마이크로캡슐을 조제한다. 상기 노즐로서는, 예컨대 이류체 노즐형, 압력노즐형, 회전디스크형 등이 있다. 그 후, 필요하면 상기 (Ⅰ) 의 수중건조법에서 기재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정한 후에 동결건조, 또는 가온건조해도 된다.
상술한 마이크로캡슐 이외의 제형으로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법 (Ⅰ) 의 수중건조법에 기재한 생리활성물질 및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기용매용액 또는 분산액을, 예컨대 로터리 증발기 등을 사용하여 진공도를 조절하면서 유기용매 및 물을 증발시켜 건조한 후, 제트밀 등으로 분쇄하여 미립자 (마이크로 파티클) 로 해도 된다.
또한, 분쇄한 미립자를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법 (Ⅰ) 의 수중건조법에서 기재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정한 후에 동결건조, 또는 가온건조해도 된다.
여기에서 수득되는 마이크로캡슐 또는 미립자는 사용하는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 또는 젖산-글리콜산 중합체의 분해속도에 대응한 약물방출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법에 의해 수득되는 서방성 조성물은 그대로 또는 이들을 원료물질로 하여 여러 가지의 제형으로 제제화하고, 근육내, 피하, 장기 등으로의 주사제 또는 매립제, 비강, 직장, 자궁 등으로의 경점막제, 경구제 (예, 캡슐제 (예, 경캡슐제, 연캡슐제 등), 과립제, 산제 등의 고형제제, 시럽제, 유제, 현탁제 등의 액제 등) 등으로 하여 투여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조법에 의해 수득되는 서방성 조성물을 주사제로 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분산제 (예, 트윈 (Tween) 80, HCO-60 등의 계면활성제, 히알루론산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나트륨 등의 다당류 등), 보존제 (예,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등), 등장화제 (예, 염화나트륨, 만니톨, 소르비톨, 포도당, 프롤린 등) 등과 함께 수성 현탁제로 하거나, 참기름, 옥수수유 등의 식물유와 함께 분산하여 유성 현탁제로 하여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서방성 주사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법에 의해 수득되는 서방성 조성물의 입자경은 현탁주사제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분산도, 통침성(通針性)을 만족하는 범위이면 되고, 예컨대 평균입자경으로서 약 0.1 ∼ 300 ㎛, 바람직하게는 약 0.5 ∼ 150 ㎛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 100 ㎛ 의 범위이다. 상기 평균입자경은, 예컨대 레이저 해석식 입도분포 측정장치 (SALD2000A : 시마즈) 등을 사용하여 자체 공지된 방법에 의해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조법에 의해 수득되는 서방성 조성물을 무균제제로 하기 위해서는 제조 전체공정을 무균으로 하는 방법, 감마선으로 멸균하는 방법, 방부제를 첨가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는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서방성 조성물은 저독성이기 때문에, 포유동물 (예, 사람, 소, 돼지, 개, 고양이, 마우스, 래트, 토끼 등) 에 대하여 안전한 의약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법에 의해 수득되는 서방성 조성물은 함유하는 생리활성물질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의 질환 등의 예방ㆍ치료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생리활성물질이 LH-RH 유도체인 경우에는 호르몬 의존성 질환, 특히 성호르몬 의존성 암 (예, 전립선암, 자궁암, 유방암, 하수체 종양 등), 전립선비대증, 자궁내막증, 자궁근종, 사춘기조발증, 월경곤란증, 무월경증, 월경전증후군, 다방성 난소증후군 등의 성호르몬 의존성 질환의 예방ㆍ치료제, 및 피임 (또는, 그의 휴약후의 리바운드 효과를 이용한 경우에는 불임증의 예방ㆍ치료) 제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성호르몬 비의존성이지만 LH-RH 감수성인 양성 또는 악성 종양 등의 예방ㆍ치료제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법에 의해 수득되는 서방성 조성물의 투여량은 주약인 생리활성물질의 종류와 함량, 제형, 생리활성물질 방출의 지속시간, 대상질병, 대상동물 등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데, 생리활성물질의 유효량이면 된다. 주약인 생리활성물질의 1 회당의 투여량으로서는, 예컨대 서방성 제제가 6 개월 제제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성인 1 인당 약 0.01 ㎎ ∼ 10 ㎎/㎏ 체중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5 ㎎ ∼ 5 ㎎/㎏ 체중의 범위에서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1 회당의 서방성 조성물의 투여량은 성인 1 인당 바람직하게는 약 0.05 ㎎ ∼ 50 ㎎/㎏ 체중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1 ㎎ ∼ 30 ㎎/㎏ 체중의 범위에서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투여횟수는 수주간에 1 회, 1 개월에 1 회, 또는 수개월 (예, 3 개월, 4 개월, 6 개월 등) 에 1 회 등, 주약인 생리활성물질의 종류와 함량, 제형, 생리활성 물질 방출의 지속시간, 대상질병, 대상동물 등에 따라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이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D-젖산 t-부틸/디에틸 아연/DL-락티드]에 의한 PLA 의 합성
-78 ℃ 로 냉각한 D-젖산 t-부틸 40.6 ㎎ 에 질소분위기하에서 디에틸 아연 (1/2 몰당량) 의 톨루엔 용액을 첨가하고, 그 후 실온에서 30 분 반응시켰다. 이것을, DL-락티드 4.14 g 을 용융한 것에 질소분위기하에서 첨가혼합하여 130 ℃ 에서 2 시간 중합시켰다.
중합반응의 정지를 위해, 반응물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하고, 0.1 N HCl 수용액과 혼합하여 20 분 교반한 후, 중성이 될 때까지 물세정을 반복하였다. 이어서,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농축, 진공건조 (40 ℃, 2 일) 하여 ω잔기가 D-젖산 t-부틸인 폴리(DL-젖산)을 얻었다. 1H-NMR 분석 결과, 젖산 잔기의 메틴수소 (5.1-5.3 ppm), 메틸기 수소 (1.5-1.6 ppm) 및 t-부틸기 수소 (1.46 ppm) 를 확인하였다. 또, 이 폴리머에 말단기 라벨화 정량법을 적용한 결과, 폴리머는 거의 색을 띠지 않았다. 이들 사실로부터, 폴리머의 ω잔기는 카르복실기가 t-부틸기로 보호된 젖산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어서, 탈보호를 위해, 이 폴리머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에 용해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그 후, 냉이소프로필에테르에 혼합하여 폴리머를 석출회수, 이어서 디클로로메탄/냉이소프로필에테르로 재침전 정제를 2 회 행하였다. 정제한 침전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용해하고, 중성이 될 때까지 물세정을 반복하였다. 이어서,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농축, 진공건조 (40 ℃, 2 일) 하여 ω잔기가 D-젖산인 폴리(DL-젖산) 3.84 g 을 얻었다. 1H-NMR 분석 결과, t-부틸기의 시그널은 완전히 소실되어 있고, 이것으로부터 탈보호를 확인하였다. 또, 원자흡광측정의 결과, 아연의 잔존량은 검출한계 (10 ppm) 이하이고, 이 방법으로 중합촉매가 효과적으로 제거되어 있는 것을 알았다. 또한, 이 폴리머에 말단기 라벨화 정량법을 적용한 결과, 폴리머가 강한 자색을 띠고있어, 탈보호에 의한 카르복실기의 재생을 확인하였다. GPC 의 결과, 중량평균분자량은 43.0 kDa, 수평균분자량은 15.9 kDa 였다.
실시예 2: [D-젖산 t-부틸/디에틸 아연/DL-락티드]에 의한 PLA 의 합성
-78 ℃ 로 냉각한 D-젖산 t-부틸에 질소분위기하에서 디에틸 아연 (1/2 몰당량) 의 톨루엔 용액을 첨가하고, 그 후 실온에서 10 ∼ 30 분 반응시켰다. 이것을, 용융한 DL-락티드에 질소분위기하에서 첨가혼합하여 130 ℃ 에서 1 ∼ 5 시간 중합시켰다.
중합반응의 정지 및 탈보호를 위해, 반응물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에 용해하고, 실온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그 후, 냉이소프로필에테르에 혼합하여 폴리머를 석출회수하고, 이어서 디클로로메탄/냉이소프로필에테르로 재침전 정제를 2 회 행하였다. 정제한 침전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용해하고, 중성이 될 때까지 물세정을 반복하였다. 이어서,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농축, 진공건조 (40 ℃, 2 일) 하여 ω잔기가 D-젖산인 폴리(DL-젖산)을 얻었다. 1H-NMR 분석 결과, t-부틸기의 시그널은 완전히 소실되어 있고, 이것으로부터 탈보호를 확인하였다. 또, 원자흡광측정의 결과, 아연의 잔존량은 검출한계 (10 ppm) 이하이고, 이 방법으로 중합촉매가 효과적으로 제거되어 있는 것을 알았다. 또한, 이 폴리머에 말단기 라벨화 정량법을 적용한 결과, 폴리머가 강한 자색을 띠고있어, 탈보호에 의한 카르복실기의 재생을 확인하였다. 표 1 에 DL-락티드와 D-젖산 t-부틸의 주입조성, 몰비 및 탈보호후의 폴리머의 중량평균분자량과 카르복실기의 양을 나타낸다. 표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DL-락티드와 D-젖산 t-부틸의 주입몰비에 의해 폴리머의 분자량을 제어할 수 있다.
Run No. DL-락티드 (M) (g) D-젖산 t-부틸 (I) (㎎) M/I (mol/mol) Mw (kDa) [COOH] (μmol/g)
PA1 PA2 PA3 PA4 PA5 PA6 PA7 PA8 PA9 7.89 22.38 8.09 10.16 10.83 11.11 10.92 11.49 12.10 167.1 219.4 79.3 94.0 93.6 90.7 84.4 84.3 84.6 47.9 103.5 103.5 109.7 117.3 124.3 131.2 138.2 145.1 19.8 34.8 35.8 37.9 40.1 40.0 43.3 43.5 44.4 97.0 54.5 49.6 52.7 47.4 47.0 46.0 44.4 42.3
실시예 3: [L-젖산 벤질/디에틸 아연/DL-락티드]에 의한 PLA 의 합성
-78 ℃ 로 냉각한 L-젖산 벤질 181.7 ㎎ 에 질소분위기하에서 디에틸 아연 (1/2 몰당량) 톨루엔 용액을 첨가하고, 그 후 실온에서 20 분 반응시켰다. 이것에 증류톨루엔 1 ㎖ 를 첨가하여 희석한 후, DL-락티드 15.03 g 을 질소분위기하 에서 첨가하여 130 ℃, 1.5 시간 중합시켰다.
중합반응의 정지를 위해, 반응물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하고, 0.1 N HCl 수용액과 혼합하여 20 분 교반한 후, 중성이 될 때까지 물세정을 반복하였다. 이어서,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농축, 진공건조 (40 ℃, 2 일) 하여 ω잔기가 L-젖산 벤질인 폴리(DL-젖산)을 얻었다. 1H-NMR 분석 결과, 젖산 잔기의 메틴수소 (5.1-5.3 ppm), 메틸기 수소 (1.5-1.6 ppm) 및 벤질기의 페닐수소 (7.35 ppm) 를 확인하였다. 또, 이 폴리머에 말단기 라벨화 정량법을 적용한 결과, 거의 색을 띠지 않았다. 이들 사실로부터, 폴리머의 ω잔기는 카르복실기가 벤질기로 보호된 젖산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어서, 탈보호를 위해, 이 폴리머의 약 절반량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30 ㎖ 로 용해하고, 티오아니솔 (L-젖산 벤질의 3 배 당량) 을 첨가, 1 시간 빙냉교반하였다. 메탄술폰산을 첨가하여 추가로 2 시간 빙냉교반하였다. 그리고, 반응액을 냉이소프로필에테르에 혼합하여 폴리머를 석출회수, 이어서 디클로로메탄/냉이소프로필에테르로 재침전 정제를 2 회 행하였다. 정제한 침전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용해하고, 중성이 될 때까지 물세정을 반복하였다. 이어서,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농축, 진공건조 (40 ℃, 2 일) 하여 ω잔기가 L-젖산인 폴리(DL-젖산) 7.54 g 을 얻었다. 1H-NMR 분석 결과, 벤질기의 페닐수소의 시그널은 완전히 소실되어 있고, 이것으로부터 탈보호를 확인하였다. 또, 원자흡광측정의 결과, 아연의 잔존량은 검출한계 (10 ppm) 이하이고, 이 방법으로 중합촉매가 효과적으로 제거되어 있는 것을 알았다. 또한, 이 폴리머에 말단기 라벨화 정량법을 적용한 결과, 폴리머가 강한 자색을 띠고있어, 탈보호에 의한 카르복실기의 재생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L-젖산 벤질/디에틸 아연/DL-락티드]에 의한 PLA 의 합성
-78 ℃ 로 냉각한 L-젖산 벤질에 질소분위기하에서 디에틸 아연 (1/2 몰당량) 용액 (헥산 또는 톨루엔) 을 첨가하고, 그 후 실온에서 20 분 반응시켰다. 이것을, 용융한 DL-락티드에 질소분위기하에서 첨가혼합하여 130 ℃, 1.5 시간 중합시켰다.
이어서, 중합반응의 정지 및 탈보호를 위해, 반응물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30 ㎖ 로 용해하고, 티오아니솔 (L-젖산 벤질의 3 배 당량) 을 첨가, 1 시간 빙냉교반하였다. 메탄술폰산을 첨가하여 추가로 2 시간 빙냉교반하였다. QA2 에 대해서는 이대로 다음의 공정에 사용했는데, QA1 에 대해서는 그 후 추가로 실온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그리고, 반응액을 냉이소프로필에테르에 혼합하여 폴리머를 석출회수, 이어서 디클로로메탄/냉이소프로필에테르로 재침전 정제를 2 회 행하였다. 정제한 침전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용해하고, 중성이 될 때까지 물세정을 반복하였다. 이어서,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농축, 진공건조 (40 ℃, 2 일) 하여 ω잔기가 L-젖산인 폴리(DL-젖산)을 얻었다. 1H-NMR 분석 결과, 벤질기의 페닐수소의 시그널은 완전히 소실되어 있고, 이것으로부터 탈보호를 확인하였다. 또, 원자흡광측정의 결과, 아연의 잔존량은 검출한계 (10 ppm) 이하이고, 이 방법으로 중합촉매가 효과적으로 제거되어 있는 것을 알았다. 또한, 이 폴리머에 말단기 라벨화 정량법을 적용한 결과, 폴리머가 강한 자색을 띠고있어, 탈보호에 의한 카르복실기의 재생을 확인하였다. 합성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Run No. DL-락티드 (M) (g) L-젖산 벤질 (I) (㎎) M/I (mol/mol) Mw (kDa) [COOH] (μmol/g)
QA1 QA2 12.13 10.55 146.6 127.4 82.8 103.5 36.0 44.6 70.4 46.1
실시예 5: [타르트론산 디벤질/디에틸 아연/DL-락티드]에 의한 타르트론산 말단 PLA 의 합성
-78 ℃ 로 냉각한 타르트론산 디벤질 592.8 ㎎ 에 질소분위기하에서 디에틸 아연 (1/2 몰당량) 의 헥산 용액을 첨가하고, 그 후 실온에서 20 분 반응시켰다. 이것에, DL-락티드 9.63 g 을 질소분위기하에서 첨가혼합하여 130 ℃, 3 시간 중합시켰다.
중합반응의 정지를 위해, 반응물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하고, 0.1 N HCl 수용액과 혼합하여 20 분 교반한 후, 중성이 될 때까지 물세정을 반복하였다. 이어서,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농축, 진공건조 (40 ℃, 2 일) 하여 ω잔기가 타르트론산 디벤질인 폴리(DL-젖산)을 얻었다. 1H-NMR 분석 결과, 젖산 잔기의 메틴수소 (5.1-5.3 ppm), 메틸기 수소 (1.5-1.6 ppm) 및 벤질기의 페닐수소 (7.35 ppm) 를 확인하였다. 또, 이 폴리머에 말단기 라벨화 정량법을 적용한 결과, 거의 색을 띠지 않았다. 이들 사실로부터, 폴리머의 ω잔기는 카르복실기가 벤질기로 보호된 타르트론산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어서, 탈보호를 위해, 이 폴리머중 215 ㎎ 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 ㎖ 로 용해하고, 티오아니솔 200 ㎕ 를 첨가, -5 ℃ 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메탄술폰산 2 ㎖ 을 첨가하여 추가로 20 분 빙냉교반, 이어서 실온에서 25 분 교반하였다. 그리고, 반응액을 냉이소프로필에테르에 혼합하여 폴리머를 석출회수, 이어서 디클로로메탄/냉이소프로필에테르로 재침전 정제를 2 회 행하였다. 정제한 침전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용해하고, 중성이 될 때까지 물세정을 반복하였다. 이어서,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농축, 진공건조 (40 ℃, 2 일) 하여 ω잔기가 타르트론산인 폴리(DL-젖산)을 얻었다. 1H-NMR 분석 결과, 벤질기의 페닐수소의 시그널은 완전히 소실되어 있고, 이것으로부터 탈보호를 확인하였다. 또, 원자흡광측정의 결과, 아연의 잔존량은 검출한계 (10 ppm) 이하이고, 이 방법으로 중합촉매가 효과적으로 제거되어 있는 것을 알았다. 또한, 이 폴리머에 말단기 라벨화 정량법을 적용한 결과, 폴리머가 강한 자색을 띠고있어, 탈보호에 의한 카르복실기의 재생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타르트론산 디벤질/디에틸 아연/DL-락티드]에 의한 타르트론산 말단 PLA 의 합성
-78 ℃ 로 냉각한 타르트론산 디벤질에 질소분위기하에서 디에틸 아연 (1/2 몰당량) 의 톨루엔 용액을 첨가하고, 그 후 실온에서 20 분 반응시켰다. 이것에 DL-락티드를 질소분위기하에서 첨가혼합하여 130 ℃에서, 1 ∼ 5 시간 중합시켰다.
이어서, 중합반응의 정지 및 탈보호를 위해, 반응물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30 ㎖ 로 용해하고, 티오아니솔 (L-젖산 벤질의 3 배 당량) 을 첨가, -5 ℃ 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메탄술폰산을 첨가하여 추가로 2 시간 빙냉교반하였다. 그리고, 반응액을 냉이소프로필에테르에 혼합하여 폴리머를 석출회수, 이어서 디클로로메탄/냉이소프로필에테르로 재침전 정제를 2 회 행하였다. 정제한 침전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용해하고, 중성이 될 때까지 물세정을 반복하였다. 이어서,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농축, 진공건조 (40 ℃, 2 일) 하여 ω잔기가 타르트론산인 폴리(DL-젖산)을 얻었다. 1H-NMR 분석 결과, 벤질기의 페닐수소의 시그널은 완전히 소실되어 있고, 이것으로부터 탈보호를 확인하였다. 또, 원자흡광측정의 결과, 아연의 잔존량은 검출한계 (10 ppm) 이하이고, 이 방법으로 중합촉매가 효과적으로 제거되어 있는 것을 알았다. 또한, 이 폴리머에 말단기 라벨화 정량법을 적용한 결과, 폴리머가 강한 자색을 띠고있어, 탈보호에 의한 카르복실기의 재생을 확인하였다. 또, 타르트론산을 기준물질로 사용하여 ONPH 라벨화법으로 타르트론산 히드라지드로 했을 때의 흡광도와의 비교로부터, 폴리머의 ω잔기인 타르트론산량을 디카르복실기의 양으로서 구하였다. 합성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Run No. DL-락티드/타르트론산 디벤질 (mol/mol) Mw (kDa) [디카르복실기] (μmol/g)
RA1 RA2 RA3 RA4 RA5 RA6 6.1 9.6 20.0 33.9 68.5 103.2 3.6 5.6 9.6 20.2 25.9 34.2 378.9 277.9 155.3 94.3 66.2 44.5
실시예 7: [2-히드록시에틸말론산 디-t-부틸/디에틸 아연/DL-락티드]에 의한 2-히드록시에틸말론산 말단 PLA 의 합성
-78 ℃ 로 냉각한 2-히드록시에틸말론산 디-t-부틸 482.4 ㎎ 에 질소분위기하에서 디에틸 아연 (1/2 몰당량) 의 톨루엔 용액을 첨가하고, 그 후 실온에서 30 분 반응시켰다. 이것을, DL-락티드 3.43 g 을 용융한 것에 질소분위기하에서 첨가혼합하여 130 ℃ 에서 2 시간 중합시켰다.
중합반응의 정지를 위해, 반응물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하고, 0.1 N HCl 수용액과 혼합하여 20 분 교반한 후, 중성이 될 때까지 물세정을 반복하였다. 이어서,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농축, 진공건조 (40 ℃, 2 일) 하여 ω잔기가 2-히드록시에틸말론산 디-t-부틸인 폴리(DL-젖산)을 얻었다. 1H-NMR 분석 결과, 젖산 잔기의 메틴수소 (5.1-5.3 ppm), 메틸기 수소 (1.5-1.6 ppm) 및 t-부틸기 수소 (1.46 ppm) 를 확인하였다. 또, 이 폴리머에 말단기 라벨화 정량법을 적용한 결과, 거의 색을 띠지 않았다. 이들 사실로부터, 폴리머의 ω잔기는 카르복실기가 t-부틸기로 보호된 2-히드록시에틸말론산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어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탈보호반응을 행하고, ω잔기가 2-히드록시에틸말론산인 폴리(DL-젖산) 2.98 g 을 얻었다. 1H-NMR 분석 결과, t-부틸기의 시그널은 완전히 소실되어 있고, 이것으로부터 탈보호를 확인하였다. 또, 원자흡광측정의 결과, 아연의 잔존량은 검출한계 (10 ppm) 이하이고, 이 방법으로 중합촉매가 효과적으로 제거되어 있는 것을 알았다. 또한, 이 폴리머에 말단기 라벨화 정량법을 적용한 결과, 폴리머가 강한 자색을 띠고있어, 탈보호에 의한 카르복실기의 재생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 [2-히드록시에틸말론산 디-t-부틸/디에틸 아연/DL-락티드]에 의한 2-히드록시에틸말론산 말단 PLA 의 합성
D-젖산 t-부틸 대신에 2-히드록시에틸말론산 디-t-부틸을 사용하여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합성하고, ω잔기가 2-히드록시에틸말론산인 폴리(DL-젖산)을 얻었다.
1H-NMR 분석 결과, t-부틸기의 시그널은 완전히 소실되어 있고, 이것으로부터 탈보호를 확인하였다. 또, 원자흡광측정의 결과, 아연의 잔존량은 검출한계 (10 ppm) 이하이고, 이 방법으로 중합촉매가 효과적으로 제거되어 있는 것을 알았다. 또한, 이 폴리머에 말단기 라벨화 정량법을 적용한 결과, 폴리머가 강한 자색을 띠고있어, 탈보호에 의한 카르복실기의 재생을 확인하였다. 또, 타르트론산을 기준물질로 사용하여 ONPH 라벨화법으로 타르트론산 히드라지드로 했을 때의 흡광도와의 비교로부터, 폴리머의 ω잔기인 2-히드록시에틸말론산량을 디카르복실기의 양으로서 구하였다. 합성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Run No. DL-락티드/2-히드록시에틸말론산 디-t-부틸 (mol/mol) Mw (kDa) [디카르복실기] (μmol/g)
SA1 54.5 16.9 108.1
실시예 9: 산가수분해
실시예 2 에서 합성한 폴리머 PA 5와 PA 6 의 동등량의 혼합물 800 ㎎ 을 디클로로메탄 2 ㎖ 에 용해하고, 1 % 젖산 수용액 15 ㎖ 와 혼합하고, 65 ℃ 에서 교반하였다. 소정시간에 폴리머를 채취하고, 물세정, 건조후, GPC 측정 및 말단기 라벨화 정량법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표 5 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반응시간에 거의 비례하여 카르복실기의 양이 증가하고 있고, 산가수분해반응에 의해 폴리머의 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
반응시간 (hr) Mw (kDa) [COOH] (μmol/g)
0 2.5 5 7.5 10 24 30 40.6 38.0 35.5 32.9 30.1 18.7 15.2 46.3 50.7 56.1 61.0 67.6 118.5 145.4
실시예 10:
5-oxo-Pro-His-Trp-Ser-Tyr-Dleu-Leu-Arg-Pro-NH-C2H5 (이하, 펩티드 A 라고 약기함) 의 아세트산염 0.6 g의 0.6 ㎖ 수용액과, 실시예 6 에서 합성한 ω잔기가 타르트론산인 (DL-젖산) (Run No. RA4) 2.4 g을 함유한 7 ㎖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혼합하여 호모지나이저로 유화하고, W/O 에멀션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이것을 18 ℃ 로 예비 냉각한 0.1 % (w/w) 폴리비닐알콜 (EG-40, 니혼고세이가가꾸 제조) 수용액 800 ㎖ 중에 주입하고, 터빈형 호모믹서를 사용하고, 7,000 rpm 으로 교반하여 W/O/W 에멀션으로 하였다. 이 W/O/W 에멀션을 실온에서 3 시간 교반하여 디클로로메탄을 휘산시키고, 오일상을 고화시킨 후, 75 ㎛ 메쉬 크기의 체를 사용하여 거르고, 이어서 원심분리기 (05PR-22, 히타찌세이사꾸쇼) 를 사용하여 2,000 rpm에서 5 분간의 조건으로 마이크로캡슐을 침강시켜 포집하였다. 이것을 다시 증류수에 분산후, 추가로 원심분리하고, 유리된 약물 등을 세정하였다. 포집된 마이크로캡슐은 소량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재분산후, 동결건조하여 분말로서 얻어졌다. 마이크로캡슐의 질량회수율은 38 %, 마이크로캡슐중의 펩티드 A 함량은 18.9 % 였다. 그리고, 이 실현함량을 주입함량으로 나누어 구한 봉입효율은 94.6 % 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0 중의 W/O 에멀션의 조성을, 펩티드 A 의 아세트산염 0.8 g의 0.8 ㎖ 수용액과, 실시예 6 에서 합성한 ω잔기가 타르트론산인 (DL-젖산) (Run No. RA6) 3.2 g를 함유한 13 ㎖ 디클로로메탄 용액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 과 동일하게 하여 마이크로캡슐을 얻었다. 마이크로캡슐의 질량회수율은 69 %, 마이크로캡슐중의 펩티드 A 함량은 19.1 % 였다. 그리고, 이 실현함량을 주입함량으로 나누어 구한 봉입효율은 95.3 % 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0 중의 W/O 에멀션의 조성을, 펩티드 A 의 아세트산염 0.6 g의 0.6 ㎖ 수용액과, 실시예 8 에서 합성한 ω잔기가 2-히드록시에틸말론산인 (DL-젖산) (Run No. SA1) 2.4 g을 함유한 4 ㎖ 디클로로메탄 용액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 과 동일하게 하여 마이크로캡슐을 얻었다. 마이크로캡슐중의 펩티드 A 함량은 16.3 % 였다. 그리고, 이 실현함량을 주입함량으로 나누어 구한 봉입효율은 81.3 % 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0 중의 W/O 에멀션의 조성을, 펩티드 A 의 아세트산염 1 g의 1 ㎖ 수용액과, 폴리(DL-젖산) (PLA25000, Mw 25.9 k, [COOH]=98.2 μmol/g, 와꼬준야꾸고오교 제조) 4 g/5 ㎖ 의 디클로로메탄 용액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 과 동일하게 하여 마이크로캡슐을 얻었다. 마이크로캡슐의 질량회수율은 49 %, 마이크로캡슐중의 펩티드 A 함량은 11.4 % 였다. 그리고, 이 실현함량을 주입함량으로 나누어 구한 봉입효율은 57.1 % 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0 및 실시예 12 에서 얻어진 마이크로캡슐 약 50 ㎎ 을 0.3 ㎖ 의 분산매 (0.15 ㎎ 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3 ㎎ 의 폴리솔베이트 80, 15 ㎎ 의 만니톨을 용해한 증류수) 에 분산하여 8 주령 수컷 SD 래트의 등 피하에 22 G 주사침으로 투여하였다. 투여 1 일후에 래트를 도살하여 투여부위에 잔존하는 마이크로캡슐을 인출하고, 이 중의 펩티드 A 를 정량한 결과는 각각의 마이크로캡슐에 대하여 95.6 %, 87.1 % 였다.
실시예 10 내지 실시예 12 에서 얻어진 펩티드 A 의 함량은 비교예 1 의 경우보다도 상당히 크므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는 생리활성물질을 고함량으로 함유하는 서방성 제제의 기제로서 우수하고, 또 실험예 1 의 결과로부터, 그것을 사용한 제제는 투여후 초기의 약물방출을 매우 잘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 명확해졌다.
실시예 13:
실시예 10 중의 W/O 에멀션의 조성을, 펩티드 A 의 아세트산염 0.8 g의 0.8 ㎖ 수용액과, 오일상으로서 실시예 4 에서 합성한 폴리머 (Run No. QA1) 3.08 g, 3-히드록시-2-나프토에산 0.12 g, 디클로로메탄 5 ㎖ 및 에탄올 0.3 ㎖를 함유하는 용액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 과 동일하게 하여 마이크로캡슐을 얻었다. 마이크로캡슐의 질량회수율은 46 %, 마이크로캡슐중의 펩티드 A 함량은 21.3 % 였다. 그리고, 이 실현함량을 주입함량으로 나누어 구한 봉입효율은 106.6 % 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0 중의 W/O 에멀션의 조성을, 펩티드 A 의 아세트산염 1 g의 1 ㎖ 수용액과, 오일상으로서 폴리(DL-젖산) (PLA25000, Mw 25.9 k, [COOH]=98.2 μmol/g, 와꼬준야꾸고오교 제조) 3.85 g, 3-히드록시-2-나프토에산 0.15 g, 디클로로메탄 5.5 ㎖ 및 에탄올 0.35 ㎖ 를 함유하는 용액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 과 동일하게 하여 마이크로캡슐을 얻었다. 마이크로캡슐의 질량회수율은 49 %, 마이크로캡슐중의 펩티드 A 함량은 21.3 % 였다. 그리고, 이 실현함량을 주입함량으로 나누어 구한 봉입효율은 106.5 % 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0 중의 W/O 에멀션의 조성을, 펩티드 A 의 아세트산염 0.8 g의 0.8 ㎖ 수용액과, 오일상으로서 개환중합법으로 합성한 폴리(DL-젖산) (Mw 24.9 k, [COOH]=12.3 μmol/g, 베링거 인겔하임 제조) 3.08 g, 3-히드록시-2-나프토에산 0.12 g, 디클로로메탄 5.5 ㎖ 및 에탄올 0.3 ㎖를 함유하는 용액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 과 동일하게 하여 마이크로캡슐을 얻었다. 마이크로캡슐의 질량회수율은 29 %, 마이크로캡슐중으로의 펩티드 A 의 봉입율은 10.9 % 였다. 그리고, 이 실현함량을 주입함량으로 나누어 구한 봉입효율은 54.6 % 였다.
실험예 2:
실시예 13 및 비교예 2 에서 얻어진 각 마이크로캡슐 약 40 ㎎ 을 0.3 ㎖ 의 분산매 (0.15 ㎎ 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3 ㎎ 의 폴리솔베이트 80, 15 ㎎ 의 만니톨을 용해한 증류수) 에 분산하여 8 ∼ 10 주령 수컷 SD 래트의 등부 피하에 22 G 주사침으로 투여하였다. 투여후 래트를 도살하여 투여부위에 잔존하는 마이크로캡슐을 인출하고, 이 중의 펩티드 A 를 정량한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1 일 2 주 4 주 8 주 12 주 16 주 24 주
실시예 13 92.9 % 82.2 % 69.6 % 62.1 % 47.9 % 32.2 % 11.6 %
비교예 2 89.4 % 34.3 % 29.7 % 20.8 % -- -- --
실시예 13 및 비교예 3 의 실험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는 생리활성물질을 고함량으로 함유하는 서방성 제제의 기제에 우수하고, 또 실험예 2 의 결과로부터, 그것을 사용한 제제는 매우 장기에 걸쳐 봉입약물을 안정적으로 방출하는 것이 명확해졌다.
실시예 14 [DL-젖산 t-부틸/디에틸 아연/DL-락티드]에 의한 PLA 의 합성
응축트랩장치를 구비한 용량 500 ㎖ 의 3 구 플라스크 반응용기에 DL-젖산 t-부틸 1.242 g 을 주입하고, 질소분위기하에, 실온에서 1.0 mol/L 디에틸아연헥산 용액 3.8 ㎖ 를 첨가, 이어서 탈수 n-헥산 34.2 ㎖ 를 첨가하여 희석하고, 추가로 DL-락티드 100 g 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승온을 개시하고, 65 ∼ 70 ℃ 에서 증류되어 나오는 헥산을 응축기로 외부에 트랩하였다. 헥산의 증류가 거의 없어지고나서 150 ℃ 에서 1 시간 반응시켰다.
반응물을 디클로로메탄 50 ㎖ 로 용해한 후, 중합반응의 정지 및 탈보호를 위해,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0 ㎖ 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그 후, 냉이소프로필에테르에 혼합하여 폴리머를 석출회수, 이어서 디클로로메탄/냉이소프로필에테르로 재침전 정제를 2 회 행하였다. 정제한 침전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용해하고, 중성이 될 때까지 물세정을 반복하였다. 이어서, 디클로로메탄 용액을 농축, 진공건조 (40 ℃, 2 일) 하여 ω잔기가 DL-젖산인 폴리(DL-젖산)을 얻었다. GPC 측정의 결과, Mw는 35.0 kDa, Mn는 13.6 kDa 이고, 이 폴리머에 말단기 라벨화 정량법을 적용한 결과, 폴리머가 강한 자색을 띠고있어, 정량의 결과, 말단 카르복실기의 양은 67.7 μmol/g 이었다.
서방성 제제로의 생리활성물질을 고효율로 주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순도가 높고, 잔존촉매가 매우 적은 폴리머를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제조방법, 및 목적의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분자량 및 유리 카르복실기의 조제를 용이하게 하는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4)

  1.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히드록시 모노카르복실산 유도체 또는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히드록시 디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존재하에, 환상 에스테르 화합물을 중합반응시켜 수득되는 ω말단에 보호된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머를 탈보호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ω말단에 유리 카르복실기를 갖는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히드록시 모노카르복실산 유도체가,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글리콜산,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L-젖산,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D-젖산 또는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DL-젖산인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히드록시 모노카르복실산의 보호기가 t-부틸기 또는 벤질기인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히드록시 디카르복실산 유도체가 타르트론산 디벤질 또는 2-히드록시에틸말론산 디-t-부틸인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환상 에스테르 화합물이 환상 모노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환상 디에스테르 화합물인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탈보호반응이 산분해반응인 제조방법.
  7. 카르복실기가 보호된 히드록시 모노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존재하에, 환상 에스테르 화합물을 중합반응시켜 수득되는 ω말단에 보호된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머를 탈보호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ω말단에 유리 카르복실기를 갖는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탈보호반응후, 산가수분해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가 약 6 개월 이상에 걸쳐 생리활성물질을 방출하는 서방성 제제에 사용되는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인 제조방법.
  10.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ω-말단에 유리 카르복실기를 갖는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로서, 상기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ω-잔기가 모노카르복실기인 경우 폴리머의 단위 질량당 말단 카르복실기의 양이 40 내지 90μmol/g이고, 상기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의 ω-잔기가 디카르복실기인 경우 폴리머의 단위 질량당 말단 카르복실기의 양이 30 내지 800μmol/g인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
  11. 제 10 항에 기재된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서방성 제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는 서방성 제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생리활성물질이 LH-RH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인 서방성 제제.
  14. 제 10 항에 있어서, ω-말단이 모노카르복실기인 경우 폴리 DL-젖산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20,000 내지 50,000이고, 폴리머의 단위질량당 유리 카르복실기의 양이 50 내지 90μmol/g 인 생체내 분해성 폴리머.
KR1020017007507A 1998-12-15 1999-12-14 폴리머의 제조방법 KR1005846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356497 1998-12-15
JP35649798 1998-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2348A KR20010082348A (ko) 2001-08-29
KR100584634B1 true KR100584634B1 (ko) 2006-05-30

Family

ID=18449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7507A KR100584634B1 (ko) 1998-12-15 1999-12-14 폴리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756472B1 (ko)
EP (1) EP1158014B1 (ko)
KR (1) KR100584634B1 (ko)
CN (1) CN1134479C (ko)
AT (1) ATE289205T1 (ko)
AU (1) AU1797800A (ko)
CA (1) CA2355186C (ko)
DE (1) DE69923795T2 (ko)
ES (1) ES2234325T3 (ko)
PT (1) PT1158014E (ko)
WO (1) WO20000359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K342002A3 (en) * 1999-07-15 2002-05-09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Sustained release compositions,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thereof
US20040023987A1 (en) * 2000-06-14 2004-02-05 Yoshio Hata Sustained release compositions
JP5046447B2 (ja) 2000-08-07 2012-10-10 和光純薬工業株式会社 乳酸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FR2821360B1 (fr) * 2001-02-27 2003-05-30 Sod Conseils Rech Applic Procede de preparation de polyesters avec des fonctions acides libres intracatenaires
TWI225416B (en) * 2001-06-29 2004-12-21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Sustained-releas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R034641A1 (es) * 2001-06-29 2004-03-03 Takeda Pharmaceutical Composicion de liberacion controlada y metodo para producirla
DE60327737D1 (de) * 2002-01-22 2009-07-09 Biomatera Inc Verfahren zur trocknung von biologisch abbaubaren polymeren
EP1923075B1 (en) * 2004-08-13 2015-11-11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Radiopaque polymeric stents
TWI481424B (zh) 2006-12-18 2015-04-21 Takeda Pharmaceutical 緩釋性組成物及其製法
AU2008241699B2 (en) * 2007-04-19 2011-02-03 Dong-A Pharmaceutical. Co., Ltd A biodegradable microsphere composition suitable for the controlled release of glucose controlling peptide and formulation thereof
WO2011068138A1 (ja) * 2009-12-01 2011-06-09 住友化学株式会社 シクロアルカンジカルボン酸モノエステルの製造方法
CN103275312B (zh) * 2013-05-16 2015-01-21 湘潭大学 含侧羟基或侧羧基官能团的聚丙交酯及其制备方法
US20160106804A1 (en) 2014-10-15 2016-04-21 Yuhua Li Pharmaceutical composition with improved stabilit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68073A2 (en) * 1994-02-21 1995-08-23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Polyester matrix for a pharmaceutical sustained-release prepara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33456B (en) * 1992-12-07 1998-06-11 Takeda Pharm Ind Co Lt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sustained-release preparation the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sustained-release preparation which comprises a physiologically active peptide.
EP0712421A1 (en) 1993-07-23 1996-05-2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Nanoparticles and microparticles of non-linear hydrophilic-hydrophobic multiblock copolymers
DK0839525T3 (da) 1996-10-31 2004-11-29 Takeda Pharmaceutical Præparat med forlænget frigivelse
RU2230550C2 (ru) * 1998-01-16 2004-06-20 Такеда Кемикал Индастриз, Лтд. Композиции длительного высвобождения,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е
SK342002A3 (en) 1999-07-15 2002-05-09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Sustained release compositions,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68073A2 (en) * 1994-02-21 1995-08-23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Polyester matrix for a pharmaceutical sustained-release prepa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23795T2 (de) 2006-03-16
AU1797800A (en) 2000-07-03
PT1158014E (pt) 2005-04-29
DE69923795D1 (de) 2005-03-24
US6756472B1 (en) 2004-06-29
WO2000035990A1 (fr) 2000-06-22
CN1334834A (zh) 2002-02-06
EP1158014A1 (en) 2001-11-28
ES2234325T3 (es) 2005-06-16
EP1158014B1 (en) 2005-02-16
CN1134479C (zh) 2004-01-14
ATE289205T1 (de) 2005-03-15
KR20010082348A (ko) 2001-08-29
CA2355186C (en) 2008-03-18
CA2355186A1 (en) 2000-06-22
EP1158014A4 (en) 2003-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2760B2 (ja) 乳酸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77877B1 (ko) 서방성 조성물, 그것의 제조방법 및 용도
JP4819173B2 (ja) 徐放性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法
US20080014237A1 (en) Sustained release compositions,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thereof
US20040241229A1 (en) Sustained-releas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0584634B1 (ko) 폴리머의 제조방법
JPH11269094A (ja) 徐放性組成物、その製造法および用途
JP3716146B2 (ja) ポリマーの製造方法
JP2001081043A (ja) 徐放性組成物、その製造法および用途
MXPA00006641A (en) Sustained release compositions,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utilization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