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3357B1 - 광커넥터 - Google Patents

광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3357B1
KR100573357B1 KR1020007004365A KR20007004365A KR100573357B1 KR 100573357 B1 KR100573357 B1 KR 100573357B1 KR 1020007004365 A KR1020007004365 A KR 1020007004365A KR 20007004365 A KR20007004365 A KR 20007004365A KR 100573357 B1 KR100573357 B1 KR 100573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optical connector
backplane
plu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4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0262A (ko
Inventor
후지와라구니히코
하야시유키오
노무라요시카즈
요코스카히로시
다카야마사아키
나가사와신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니폰덴신뎅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91397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37284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91400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34282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91398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34282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91396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34282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91401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37284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91402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39858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53740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4011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48235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34283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니폰덴신뎅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ublication of KR20010040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0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34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 G02B6/3835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using discs, bushings or the like
    • G02B6/3837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using discs, bushings or the like forwarding or threading methods of light guides into apertures of ferrule center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7Connectors fixed to housings, casing, frames or circuit boa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백플레인(3)을 끼워넣도록 하여 장착하는 하우징본체(21) 및 고정부품(22)을 구비하고, 상기 백플레인(3)에 개구된 장착구멍(30)을 통해 상기 하우징본체(21)에 끼워넣어진 광커넥터 플러그(4b)와, 그 광커넥터 플러그(4b)에 대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하우징본체(21)에 끼워넣어진 다른 광커넥터 플러그(4a)를 연결하는 광커넥터로서, 상기 고정부품(22)의 대향하는 양측으로부터 돌출설치된 탄성후크(25)를 상기 백플레인(3)의 상기 장착구멍(30)을 통해 상기 하우징본체(21)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하우징본체(21)와 상기 고정부품(22)과의 사이에 상기 백플레인(3)이 끼워넣도록 하여 장착된다.
장착구멍(30)내에서의 탄성후크(25)의 부동범위(부동량)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하우징본체(21)의 부동범위(부동량)를 확실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린트보드 하우징을 하우징본체(21)에 맞물릴 때의 치수공차가 하우징본체(21)의 부동에 의해 확실하게 흡수되고, 맞물림이 원활하게 된다. 하우징본체(21)의 부동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특별한 부품을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가격절감이 가능해지고, 조립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본체(21)측으로부터 돌출설치된 탄성후크(25)를 장착구멍(30)에 관통시켜 백플레인과 결합하고, 하우징본체(21)측의 지압벽과의 사이에 백플레인을 끼워넣는 구성도 채용가능하다.

Description

광커넥터{Optical connector}
본 발명은 광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러그인 유니트 등의 백플레인에 개구된 장착구멍을 이용하여 장착된 하우징본체에서, 상기 백플레인의 앞뒤양측으로부터 삽입되는 광커넥터 플러그끼리를 연결하는 광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플러그인 형식의 광커넥터로는, 플러그인 유니트 등의 백플레인에 개구된 장착구멍을 이용하여 조립된 백플레인하우징(이하,「BH하우징」)에 의해 상기 백플레인의 앞뒤양측으로부터 삽입되는 광커넥터 플러그끼리를 연결하는 소위 백플레인 커넥터(이하,「BP커넥터」)가 있다.
도 46은 상기 BP커넥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6에 있어서 부호 1은 플러그인 유니트, 2는 프린트보드, 3은 백플레인, 4a, 4b는 MPO커넥터 플러그(이하 「MPO플러그」), 5는 프린트보드 하우징(이하, 「PH하우징」), 6은 BH하우징이다.
MPO커넥터(4a, 4b)는, 일본공업규격 JIS C 5982, 국제전기표준회의 IEC 1754-7 발행에 제정된 것으로서, 선단이 PC(Physical Contact)연마된 광커넥터 페룰(4c)을 플러스칩제 하우징에 지지한 구성의 광커넥터이다.
이 BP커넥터는, PH하우징(5)을 고정한 프린트보드(2)를 플러그인 유니트(1)에 끼워 넣음으로써 플러그인 유니트(1) 측부의 백플레인(3)에 장착한 BH하우징(6)에 PH하우징(5)이 끼워넣어져 조립된다. 끼워넣어진 PH하우징(5) 및 BH하우징(6)은 광커넥터 어댑터(7)를 구성하여, 양측으로부터 끼워넣어진 MPO플러그(4a, 4b)를 서로 연결한다. PH하우징(5)측으로부터 광커넥터 어댑터(7)에 끼워 넣는 MPO플러그(4a)는 미리 PH하우징(5)에 끼워넣어 두고, 프린트 보드(2)를 플러그인 유니트(1)에 끼워넣음과 동시에 광커넥터 어댑터(7)에 끼워 넣은 상태로 한다. 플러그인 유니트(1)에는 복수개의 프린트보드(2)를 병렬로 고밀도 수납할 수 있으므로, 이 BP커넥터에서는 광커넥터 어댑터(7)를 고밀도 실장할 수 있다.
도 47은 BH하우징(6)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7에 나타낸 바와 같이, BH하우징(6)은, 백플레인(3)을 통해 양측에 대향배치된 하우징본체(8)와 이면하우징(9)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본체(8)는 프린트보드(2)측(도47에 있어서 좌측)에 배치하고, 이면하우징(9)은 백플레인(3)을 통해 하우징본체(8)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하우징본체(8)에는 핀(10)을 돌출설치하고, 백플레인(3)에 개구된 장착구멍(11)에 상기 핀(10)을 삽입하여 백플레인(3)의 반대측으로 돌출시키고, 그 핀(10)의 돌출 선단에 이면하우징(9)을 나사(12)에 의해 고정하고 있다.
도 48은 장착구멍(11)을 나타낸다.
도 4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구멍(11)은 사각형 모양이며, 네 귀퉁이에 확장부(13)를 가지고 있다. 장착구멍(11)의 대각선(미도시)을 따라 대향하는 한쌍의 확장부(13, 13)에는 상기 핀(10)을 수납하며, 게다가 상하방향(도 48에 있어서 좌 우)으로 a=1.60mm 정도의 틈새(14)를 확보하고, 수평방향(도 48에 있어서 좌우)에도 b=0.34mm정도의 틈새(15)를 확보하고 있다. 하우징본체(8)와 이면하우징(9)은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백플레인(3)을 끼워넣고 있으므로, BH하우징(6)은 틈새(14, 15)에서의 핀(10, 10)의 가동범위내에서 부동(浮動)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 46에 나타낸 바와 같이, PH하우징(5)을 BH하우징(6)에 맞물릴 때의 크기의 교차를 BH하우징(6)의 부동에 의해 흡수하여 맞물림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JIS C 5981에 제정되는 광커넥터 페룰(4c, 4c)간의 맞붙임 연결은 구체적으로는, 한쪽의 광커넥터 페룰(4c)에 미리 맞물려, 그 접합단면에 돌출설치시킨 가이드핀(4p)을, 다른 한쪽의 광커넥터 페룰(4c)에 뚫려 마련되어 있는 가이드핀 구멍(4q)에 삽입·맞물림으로써 정밀하게 위치결정하여 된다. BH하우징(6)의 부동에 의해, PH하우징(5)의 맞물림이 정확하게 되면, 가이드핀(4p)을 가이드핀구멍(4q)에 원활하게 맞물릴 수 있다.
그런데, 상기 BP커넥터의 경우, 나사(12)가 지름 1.2mm정도로서, 손공구에 의해 이면하우징(9)을 고정하는 데는 공정이 추가되므로, 작업성이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특히, 건물의 벽 등에 이 BP커넥터를 시공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아, 상기 작업성의 문제가 더욱 현저해진다. 그리고, 나사(12) 자체가 특수품이므로 가격절감이 어려우며, 상기 나사(12)에 대응하여 핀(10), 나사구멍(16)(도 47참조)을 형성하기 때문에 제조에 공정이 추가되는 문제도 있다. 게다가, 백플레인(3)에 형성하는 장착구멍(11)도 나사(12)에 대응하여 복잡한 형상이 되므로, 이 장착구멍(11)의 형성이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BH하우징(6)의 부동범위는 너무 커도, 너무 작아도 PH하우징(5)과의 맞물림성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지므로, 나사(12), 핀(10), 장착구멍(11)의 형성에는 신중함이 더욱 필요하여, 작업시간이 더 소요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에 비추어 된 것으로서, 백플레인을 통해 상기 하우징본체에 대향배치된 고정부품으로부터 돌출설치된 탄성후크를 상기 백플레인에 개구된 장착구멍을 통해 상기 하우징본체에 결합하는 것, 혹은 하우징본체의 외측에 구성된 장착부품으로부터 돌출설치된 탄성후크를 상기 장착구멍에 삽입하여 상기 백플레인에 결합시킴으로써 간단히 조립할 수 있으며, 게다가 고정용 나사 등이 불필요하여 부품수가 감소하므로 가격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광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백플레인의 앞뒤양측에 대향배치하여, 상기 백플레인을 끼워 넣도록 하여 장착하는 하우징본체 및 고정부품을 구비하며,
상기 백플레인에 개구된 장착구멍을 통해 상기 하우징본체에 끼워넣어진 광커넥터 플러그와, 그 광커넥터 플러그에 대하여 대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하우징본체에 끼워 넣어진 다른 광커넥터 플러그를 연결하는 광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품은, 상기 광커넥터가 삽입되는 플러그삽입구멍과, 그 플러그 삽입구멍의 양측에 대향배치되며 상기 하우징본체에 끼워넣음으로써 결합되는 탄성후크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후크를, 상기 백플레인의 상기 장착구멍을 통해 상기 하우징본체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하우징본체와 상기 고정부품이 상기 백플레인을 끼워 넣도록 하여 장착되며, 또한 상기 플러그 삽입구멍이 상기 장착구멍 및 상기 하우징 본체에 대하여 연통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를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하였다.
이 광커넥터는, 백플레인에 개구된 장착구멍을 통해, 고정부품의 탄성후크를 하우징본체에 결합함으로써 백플레인을 하우징본체와 고정부품과의 사이에 끼워 넣도록 하여 장착된다. 또한, 탄성후크는 하우징 본체에 대하여 탈착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따라 분리작업성이 향상된다.
예컨대, 배경기술에 기재된 바와 같이, 플러그인 유니트에 끼워넣은 프린트 보드에 장착되는 프린트보드 하우징을 하우징본체에 맞물리는 구성 등을 고려하여 하우징 본체에는 부동이 허용되도록 한다. 하우징본체에 원하는 부동범위가 확실하게 확보되어 있으면 프린트보드 하우징을 하우징본체에 맞물릴 때 양자의 위치어긋남을 하우징본체의 부동범위에 의해 흡수할 수 있어 맞물림 작업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본체에 원하는 부동범위를 확실하게 확보하기 위하여, 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고정부품의 탄성후크를 백플레인의 장착구멍에 관통시켜 하우징본체에 결합시킨 구조에 의해 상기 장착구멍에 삽입한 상기 탄성후크의 주위에 클리어런스를 확보하여 상기 장착구멍내에 있어서의 상기 탄성후크의 변위를 허용한 구성이 일반적으로 채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탄성후크의 결합에 의해 백플레인을 끼워 넣도록 하여 조립된 하우징본체 및 고정부품이 장착구멍에서의 탄성후크의 가동범위내에서 일체적으로 부동가능한 백플레인 하우징을 구성한다. 따라서, 장착구멍 내에서의 탄성후크의 가동범위를 설정하는 것만으로 백플레인 하우징의 부동량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하우징본체에 원하는 부동범위, 부동량이 확실하게 확보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본체의 부동범위나 부동량을 설정하기 위하여, 특별한 부품을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아 가격절감이 도모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청구항 제15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하우징본체의 외측에 장착고정되는 장착부품으로부터 돌출설치된 한쌍의 탄성후크를 백플레인에 개구된 장착구멍에 관통시켜 그 장착구멍의 양측의 백플레인과 결합하고, 이들 한쌍의 탄성후크와, 상기 장착부품에 마련된 지압벽(支壓壁)과의 사이에 상기 백플레인을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하우징본체가 상기 백플레인의 원하는 위치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는 구성도 채용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하우징본체와 장착부품으로 이루어지는 백플레인 하우징이 백플레인의 앞 또는 뒤 중 어느 한쪽에 지지되게 된다. 또한, 장착구멍에 삽입한 탄성후크의 주위에 확보되는 클리어런스에 의해 하우징에 원하는 부동범위나 부동량이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확보되는 점, 및 원하는 부동범위나 부동량을 설정하기 위해 특별한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점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이후, 백플레인 커넥터를 「BP커넥터」, 백플레인 하우징을 「BH하우징」, 프린트보드 하우징을 「PH하우징」이라 약칭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커넥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BH하우징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BH하우징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BH하우징을 장착하는 장착구멍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장착구멍내에서 탄성후크의 주위에 확보한 클리어런스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a는 내부 하우징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b는 내부하우징을 나타내는 정면도(PH하우징측), 도 5c는 내부하우징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d는 내부하우징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5e는 내부하우징을 나타내는 배면도(백플레인측), 도 5f는 내부하우징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6a는 BH하우징에 대한 PH하우징의 맞물림 전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6b는 그 측면단면도이고,
도 7a는 MPO플러그가 서로 맞물렸을 때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7b는 그 측단면도, 도 7c는 PH하우징의 후크의 변형상태를 나타내는 확대측단면도이고,
도 8a는 BH하우징에 대한 PH하우징의 외부맞물림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8b는 그 측단면도, 도 8c는 PH하우징의 후크와 하우징 본체의 외부돌기와의 맞물림상태를 나타내는 확대측 단면도이고,
도 9a는 PH하우징의 누름편에 의한 내부하우징의 결합후크와 하우징본체의 결합돌기와의 맞물림해제를 나타내는 확대평단면도, 도 9b는 평단면도, 도 9c는 PH하우징의 누름편에 의한 내부하우징의 결합후크와 하우징본체의 결합돌기와의 맞물림해제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10a는 BH하우징에 대한 PH하우징의 맞물림최종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10b는 그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두 탄성후크간의 중앙에 꼭대기부가 위치하도록 만곡된 형상의 스프링부를 갖는 고정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고정부품을 채용한 BH하우징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고정부품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4는 두 탄성후크사이의 중앙에 꼭대기부가 위치하도록 굴곡성형된 산모양의 스프링부를 갖는 고정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두 탄성후크 사이에 걸쳐 균일하게 연장되는 산모양의 스프링부를 갖는 고정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보강용 돌벽을 구비하는 내부하우징을 채용하여 되는 BH하우징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BH하우징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6의 내부하우징을 백플레인측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도 19는 도 16의 내부하우징이 하우징본체에 맞물린 상태를 백플레인과는 반대측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도 20은 PH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1은 PH하우징과 도 16의 BH하우징과의 맞물림작업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22는 광커넥터 페룰을 직접 수납하는 간이형 PH하우징을 채용하여 되는 광커넥터(BP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PH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2의 PH하우징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25는 프린트보드에의 장착구조가 개량된 PH하우징을 채용하여 되는 광커넥터(BP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6은 도 25의 PH하우징 및 리벳부품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7은 도 25의 PH 하우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8은 도 25의 PH하우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9는 프린트보드에의 장착구조가 개량된 다른 PH하우징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0은 도 29의 PH하우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1은 탄성후크의 도중에 축소부가 형성되어 되는 고정부품을 채용한 BH하우징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2는 도 31의 BH하우징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3a는 도 32의 BH하우징의 고정부품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33b는 도 32의 BH하우징의 고정부품을 나타내는 하면도이고,
도 33c는 도 32의 BH하우징의 하우징본체를, 백플레인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고,
도 34는 위치결정부로서 돌기가 측부에 돌출설치된 내부하우징을 채용하여 이 루어지는 광커넥터(백플레인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5는 도 34의 내부하우징을 하우징본체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고,
도 3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하우징본체의 양측 결합부에 대하여 그 외측으로부터 탄성후크를 결합하는 구성의 고정부품을 채용하여 되는 BH하우징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7은 도 36의 BH하우징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8은 하우징본체의 결합부에 대한 고정부품의 탄성후크의 결합작업을 나타내는 확대측면도이고,
도 39는 백플레인에 개구된 장착구멍내에서 탄성후크의 주위에 확보된 클리어런스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하우징 본체에 일체적으로 장착되는 장착부품으로부터 돌출설치된 탄성후크를, 백플레인의 장착구멍에 결합하여 장착되도록 되어 있는 BH하우징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1은 도 40의 BH하우징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2는 도 40의 BH하우징의 장착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3은 도 42의 장착부품의 백플레인에 대한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4는 백플레인에 개구된 장착구멍내에서 탄성후크의 주위에 확보된 클리어런스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5는 하우징본체로부터 돌출설치된 탄성후크를 백플레인의 장착구멍에 삽입결합하여 장착되도록 되어 있는 BH하우징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6은 본 발명의 배경기술의 BP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7은 도 46의 BP커넥터의 BH하우징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8은 도 46의 BP커넥터의 장착구멍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광커넥터(1)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광커넥터(BP커넥터)는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부호 20의 BH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BH하우징(20)은 도 46에 기재된 PH하우징(5)과 맞물림으로써 양측으로부터 끼워 넣어진 MPO플러그(4a, 4b) (청구의 범위 제 1항에 기재된 광커넥터 플러그에 해당)를 서로 연결하는 광커넥터 플러그를 구성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도 46으로부터 도 48과 동일한 구성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간략화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BH하우징(20)은 하우징본체(21)와 고정부품(22)(혹은 고정금구)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BH하우징본체(21)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관모양으로 형성되어, 끼워넣어진 MPO플러그(4a, 4b)를 수납하는 플러그 수납구멍(23)을 구비하고 있다. 플러그 수납구멍(23) 내에는 내부 하우징(21a)을 수납하며, 그 내부 하우징(21a)은 내부에 끼워 넣어진 MPO플러그(4a, 4b)를 각각 키홈(21b)에 의해 맞대어 연결할 수 있도록 위치결정한다. 또한, 내부하우징(21a)은 하우징본체(21) 축방향으로 약간의 부동을 허용하여 수납되는데, 그 이외의 방향으로는 정밀하게 위치결정된다. 또한, 내부하우징(21a)은 하우징본체(21)에 수납하는 공정에 있어서도, 하우징본체(21)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하기로 한다.
고정부품(22)은 전체를 스프링재에 의해 형성하며, 틀형상의 본체부(24)와 그 본체부(24)의 양측으로부터 돌출설치된 한쌍의 탄성후크(25, 25)를 구비하는 ㄷ자 모양으로 되어 있다. 이들 탄성후크(25, 25)의 돌출설치위치는 하우징본체(21)의 대향하는 양측(도면에 있어서 상하단)에 형성한 한쌍의 횡장의 결합구멍(26, 26)과 일치하고 있다(결합구멍(26)은 도 1 및 도 2의 하우징본체(21)의 하측에도 있다). 그리고, 탄성후크(25, 25) 선단에는 결합후크(27)를 돌출설치하고 있다. 도 2에 있어서, 두 탄성후크(25, 25)는 백플레인(3)의 장착구멍(30)에 삽입하고, 백플레인(3)을 통해 반대측으로 설치한 하우징본체(21)의 결합구멍(26, 26)에 각각 끼워넣어, 하우징본체(21)의 결합부(28, 28)에 결합후크(27)를 결합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구멍(30)은 직사각형 모양으로서, 백플레인(3)의 상하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어 있다. 고정부품(22)의 본체부(24)의 크기는 적어도 가로폭(도면에 있어서 좌우방향)이 장착구멍(30)의 가로폭보다 크며, 본체부(24) 중앙부에 개구된 플러그 삽입구멍(29)은 장착구멍(30)보다 작다. 또한, 두 탄성후크(25, 25)의 가로폭은 두 장착구멍(26, 26)의 가로폭보다 작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된 BH하우징(20)에서는 하우징본체(21) 및 본체부(24)와의 사이에 백플레인(3)을 슬라이딩 가능할 정도의 클램프힘에 의해 가볍게 끼워넣는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구멍(30)에 삽입한 탄성후크(25, 25)의 주위에는 클리어런스를 확보하고, 장착구멍(30) 내에서는 상기 클리어런스의 범위에서 탄성후크(25, 25)의 변형과 위치의 변동을 허용하고 있다. 따라서, 백플레인(3)에 장착한 BH하우징(20)에는 상기 장착구멍(30) 내에서의 탄성후크(25, 25)의 가동범위내에서 부동을 허용하고 있다. 예컨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클리어런스는 수평방향(도 4에 있어서 좌우)에 c=0.34mm, 수직방향(도 4에 있어서 상하)에 d=1.60mm확보하고, 이 클리어런스의 범위에서 탄성후크(25,25)가 변위가능하며, BH하우징(20)의 백플레인(3)에 대한 부동범위 혹은 이동량이 설정된다. 이에 따라, 플러그인 유니트(1)(도 46 참조)에 프린트 보드(2)를 끼워 넣어 PH하우징(5)을 BH하우징(20)에 맞물릴 때, PH하우징(5)과 BH하우징(20) 사이의 위치어긋남이 있어도, PH하우징(5)을 BH하우징(20)을 향해 강제적으로 밀어 넣어 감으로써 PH하우징(5)은 BH하우징(20)과 맞물리게 된다. 즉, 이들 하우징(5, 20)의 어긋남은 BH하우징(20)의 부동에 의해 흡수할 수 있으므로, 맞물림 작업성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PH하우징(5)과 BH하우징(20)과의 맞물림과 동시에, 양측의 MPO플러그(4a, 4b)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한쪽의 광커넥터 페룰(4c)의 가이드핀(4p)을, 다른 한쪽의 광커넥터 페룰(4c)의 가이드핀구멍에 삽입·맞물리는 작업도 원활하게 된다.
이 BH하우징(20)을 백플레인(3)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플러그인 유니트(1)(도 46 참조) 내측에서 하우징본체(21)를 원하는 장착구멍(30)에 근접배치하고, 플러그 인유니트(1)의 외측(도 1의 백플레인(3)보다 우측)으로부터 고정부품(22)의 탄성후크(25, 25)를 장착구멍(30)을 통해 하우징본체(21)의 결합구멍(26, 26)에 끼워 넣는다. 결합구멍(30, 30)은 세로폭(지면 상하방향)이 좁은 횡장의 슬릿을 이룬다. 이 슬릿의 폭(세로폭)은 탄성후크(25)의 두께보다 크며, 또한 탄성후크(25)의 결합후크(27)의 높이를 더한 것보다 작다. 슬릿 가로폭은 탄성후크(25)의 가로폭보다 크다. 따라서, 탄성후크(25)를 결합구멍(30)에 끼워 넣으면, 결합후크(27)가 결합구멍(30)에 맞닿게 된다. 즉, 결합후크(27)는 탄성후크(25)의 선단을 뚫고 나와 구부려진 외팔보식 탄성체로서, 결합구멍(30)에 강제적으로 끼워넣어져 가면 결합구멍(30)을 따라 서서히 구부러지도록 하여 탄성변형해 간다. 또한 끼워넣어져 가면, 결합후크(27)는 결합구멍(30)을 통과하여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한다. 결합후크(27)가 결합구멍(30)을 통과하여 형상복귀하면, 결합후크(27)의 자유단은 결합구멍(30)의 상측의 BH하우징(20)의 일부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탄성후크(25)의 결합구멍(30)으로부터의 빠져나옴이 규제되어, 고정부품(22)과 BH하우징(20)과의 일체화가 완료된다.
따라서, 이 BH하우징(20)을 백플레인(3)에 조립하는 작업은 하우징본체(21)에 고정부품(22)을 눌러 넣는 것만으로 좋으므로, 핀에 의해 고정하는 경우에 비해 매우 간단하며, 작업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핀에 의한 고정이 나사고정용 작업공간을 요하는 것에 대하여, 고정부품(22)을 누르기 위한 손이 들어갈 정도의 공간을 확보하면 되므로 작업공간이 축소되어, 건물의 벽 등에 시공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이 광커넥터에서는 백플레인(3)에 미리 고정한 고정부품(22)에 하우징본체(21)를 눌러 넣어 BH하우징(20)을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플러그인 유니트(1) 외측에 작업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탄성후크(25, 25) 형성을 조정하는 것만으로 장착구멍(30)에 삽입한 탄성후크(25, 25)의 주위의 클리어런스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BH 하우징(20)의 부동범위를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착구멍(30) 형상이 단순해도 되어, 정밀도 요구도 완화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그 형성작업성도 향상된다.
또한, 핀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부품수가 감소하므로, 가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얻어진다.
다음, 내부하우징(21a)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내부하우징(21a)은, 수지몰드 성형에 의한 일체화부품으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하우징(21a)의 양측의 결합후크(21d)는 하우징본체(21)의 내면양측의 결합홈(21m)에 삽입된다. 도 5a∼도 5e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후크(21d)는 내부하우징(21a)의 양측부로부터 돌출설치된 L자모양의 암부(221) 선단에 결합선단(222)을 구비하는 탄성후크이다. 그리고,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내부하우징(21a)은 하우징본체(21)에 백플레인(3)측(도 5a에 있어서 중앙우측)으로부터 삽입됨으로써, 결합홈(21m)내를 PH하우징(5) 방향(도 5a에 있어서 좌측)쪽으로 이동하는 결합후크(21d)가 결합홈(21m)내에 돌출된 결합돌기(21n)에 결합된다(상세하게는 결합선단(222)이 걸려져 결합된다). 이에 따라, 내부하우징(21a)은 하우징본체(21)내에 가고정되어, 내부하우징(21a)의 백플레인(3)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다. 즉, 내부하우징(21a)을 도면에 있어서 좌측으로부터 우측방향으로 밀어 넣어도, 내부하우징(21a)이 하우징본체(21)로부터 빠지는 일이 없도록 결합돌기(21n)와의 결합은 용이하게는 해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 있어서 우측으로부터 좌측쪽으로 밀어넣을 때, 도 5f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하우징(21a)의 다른 상하(도 5f에 있어서 상하)양측으로 돌출설치된 외부돌기(21p)가 하우징본체(21) 내면에 돌출설치된 규제돌기(21o)에 부딪치도록 하여 맞닿음으로써, 내부하우징(21a)은 PH하우징(5)방향(도 5a에 있어서 좌측)으로 그 이상 이동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내부하우징(21a)은 가고정되어 있으나, 도면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상기 결합돌기(21n)와 상기 규제돌기(21o) 사이에서는 다소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외부돌기(21p)로부터 내부하우징(21a)측면을 따라 연장된 위치결정돌기(21c)는 하우징본체(21) 내벽면과 슬라이딩하여 하우징본체(21) 축방향 이외로의 내부하우징(21a)의 위치어긋남을 방지한다.
내부하우징(21a)의 백플레인(3) 측에 돌출설치된 잠금부재(223)는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내부하우징(21a)내에 삽입된 MPO플러그(4b)의 하우징(4i)에 성형된 결합부(4j)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것이다.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플레인(3)의 장착구멍(30)을 통하여 MPO플러그(4b)를 내부하우징(21a)내에 삽입하면, MPO플러그(4b)의 커플링(4d)선단이 내부하우징(21a)의 백플레인(3)측의 단부에 맞닿는다. 더 밀어넣어 하우징(4i)이 커플링(4d)에 대한 슬라이딩 한계에 도달하면, 더 이상 하우징(4i)이 밀어넣어지지 않도록 규제된다. 또한, MPO플러그(4b)의 하우징(4i)의 결합부(4j)에 내부하우징(21a)의 잠금부재(223)가 탈착가능하도록 결 합함으로써 MPO플러그(4b)가 빠져나올 수 있도록 고정된다.
다음, 이 BP커넥터에 있어서의 MPO플러그(4a, 4b)간의 연결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a, 도 7b,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리 조립되어 MPO플러그(4b)가 삽입된 BH하우징(20)에 대하여, PH하우징(5)을 맞물려 가면, 먼저 맨 처음 MPO플러그(4a, 4b) 선단의 광커넥터 페룰(4c)사이에서 가이드핀(4p)의 가이드핀구멍(4q)으로의 삽입·맞물림이 이루어지고, 광커넥터 페룰(4c)의 접합단면끼리가 정확하게 위치결정되어 맞대어진다. 이 때, PH하우징(5)의 양측후크(5a, 5b)가 하우징본체(21)외측으로 돌출설치된 외부돌기(21p)상에 얹혀져 서로 떨어지도록 하여 넓혀진다.
다음, 도 8a, 8b,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PH하우징(5)의 BP하우징(20)으로의 삽입을 더 계속하면, PH하우징(5)의 후크(5a, 5b)가 각각 하우징본체(21)의 외부돌기(21p)에 결합된다. 이 때, PH하우징(5)의 뒤쪽(도면에 있어서 좌측)으로의 빠져나옴이 규제됨과 동시에, 도 8C에 있어서, 오목한 곳(p)의 범위에서 PH하우징(5)의 흔들림이 허용된다.
다음, 도 9a, 9b,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PH하우징(5)의 BH하우징(20)으로의 삽입을 더 계속하면, PH하우징(5)에 돌출설치되어 있는 누름편(5c)이 하우징본체(21)의 내벽을 따라 삽입됨으로써 내부하우징(21a)의 결합후크(21d)를 하우징본체(21)내벽 근방으로부터 이간시켜, 결합후크(21d)와 결합돌기(21n)와의 결합을 해제한다. 아직까지 결합후크(21d)와 결합돌기(21n)와의 결합에 의해 내부하우징(21a)의 하우징본체(21)내에서의 수납상태는 안정되어 있는데, 누름편(5c)에 의한 결합해제가 되면, 하우징본체(21)내에서 내부하우징(21a)의 이동이 자유로워져, MPO플러그(4a, 4b)간의 위치어긋남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이 때, 오목한 곳(p)의 범위의 흔들림도 MPO플러그(4a, 4b)사이의 위치어긋남 흡수에 기여한다. MPO플러그(4a, 4b)에서는 하우징(4i)내에 내장된 스프링에 의해, 광커넥터 페룰(4c)을 맞대어 연결되는 방향 앞쪽으로 탄성가압하고 있으므로, 두 MPO플러그(4a, 4b)의 광커넥터페룰(4c, 4c)끼리가 서로 맞닿으면, 이 스프링에 의해 광커넥터페룰(4c, 4c)간을 맞대어 연결시키는 힘으로 작용하여 광커넥터페룰(4c, 4c)간의 접합상태가 안정되고, 저접속손실이 안정적으로 얻어진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도 10A, 도 10B에 나타낸 상태에 이르게 된다.
상술한 연결공정, 내부하우징(21a)과 PH하우징과의 관계 등은 상술한 각 구체예에 있어서도 동일하며, PH하우징의 구조가 변경되어 있는 구체예에 있어서도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하우징본체(21), 내부하우징(21a), 고정부품(22), PH하우징(5) 등은 상술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당히 설계변경이 가능함은 말할 것도 없다.
예컨대, 고정부품은, 두 탄성후크(25, 25)사이에 용수철부를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11, 도 12, 도 13에 도시한 고정부품(22a)은 두 탄성후크(25)간을 연결하도록 하여 플러그삽입구멍(29)의 대향하는 양측에 연장하는 본체부(24)에 용수철부(31)를 형성하고 있다. 부호 20a는 BH하우징으로서, 하우징본체(21)와 내부 하우징(21a)과 고정부품(22a)으로 구성된다.
도 11에 있어서, 용수철부(31)는, 두 탄성후크(25, 25)간의 본체부(24)를 만곡형성하여 되는 만곡부이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후크(25, 25)를 장착구멍(30)에 끼워 넣어 하우징본체(21)에 결합하면, 상기 용수철부(31)의 백플레인(3)에 맞닿아, 하우징본체(21)와 용수철부(31) 사이에 백플레인(3)이 끼워 넣어진다. 그리고, 용수철부(31)의 탄성변형 범위내에서 백플레인(3)의 두께치수의 공차가 흡수되기 때문에, 하우징본체(21)의 장착상태가 안정되고, 게다가 하우징본체(21)에 도 4에 나타낸 클리어런스에 의한 원하는 부동범위가 안정적으로 얻어지기 때문에 PH하우징(5)과의 맞물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백플레인(3)의 두께치수가 소정치수보다 큰 경우, 고정부품(22a)의 탄성후크(25, 25)를 장착구멍(30)으로부터 하우징본체(21)의 결합구멍(26)에 밀어넣을 때, 백플레인(3)에 맞닿은 용수철부(31)를 누르는 힘에 의해 탄성변형시킴으로써 탄성후크(25, 25)를 하우징본체(21)의 결합부(26, 26)에 결합시킬 수 있다. 반대로, 백플레인(3)의 두께치수가 소정치수보다 작은 경우에도 용수철부(31)의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백플레인(3)의 치수공차가 흡수되므로, 고정부품(22a)과 하우징본체(21)와의 사이에 쓸데없는 틈새가 생기는 것이 방지되고, 하우징본체(21)에는 장착구멍(30)내에서의 탄성후크(25, 25)의 가동범위에 의한 원하는 부동범위가 확실하게 얻어지며, 하우징본체(21)를 필요이상으로 부동하는 것이 방지되어 PH하우징(5)을 맞물리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 14에 나타낸 고정부품(22b)에는 두 탄성후크(25, 25)사이를 연결하도록 하 여, 플러그 삽입구멍(29)의 양측에 연장되는 본체부(24)를 산모양으로 굴곡한 굴곡부인 용수철부(32)를 형성하고 있다. 이 용수철부(32)는 직사각형 틀모양의 본체부(24)의 길이방향(도 14에 있어서 상하) 중앙부, 즉, 탄성후크(25, 25)사이의 중앙부에 꼭대기부(33)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본체(21)와 고정부품(22b)에 의해 백플레인(3)을 끼워 넣도록 하여 BH하우징(20b)을 조립하면, 용수철부(32)의 백플레인(3)과의 접촉부는 꼭대기부(33)만이므로, 백플레인(3)과 용수철부(32)와의 슬라이딩저항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고, 하우징본체(21)는 보다 자유롭게 부동할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낸 고정부품(22c)의 용수철부(34)는 두 탄성후크(25, 25)사이를 연결하도록 하여, 플러그 삽입구멍(29)의 양측에 연장되는 본체부(24)를 상기 탄성후크(25, 25)사이 전체에 걸쳐 연장되는 산모양으로 굴곡한 굴곡부이다. 따라서, 하우징본체(21)와 고정부품(22c)에 의해 백플레인(3)을 끼워넣도록 하여 BH하우징(20c)을 조립하면, 용수철부(34)의 전 길이에 걸쳐 연장하는 꼭대기부(35)의 전체가 백플레인(3)에 맞닿고, 백플레인(3)과의 접촉영역이 충분히 확보되고, 탄성력을 안정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이 용수철부(34)에서는 충분한 탄성력이 확보되므로, PH하우징(5)을 하우징본체(21)에 맞물릴 때 큰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용수철부로서는, 고정부품의 본체부를 성형한 것에 한정되며, 고정부품에 장착한 판용수철이나 코일스프링 등도 채용가능하다.
다음, 내부하우징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BH하우징(20d)을 구성하는 하우징본체(21)의 내부에는, 위치결정돌기(21c) 및 돌벽(21e)이 네 귀퉁이에 돌출설치되어 있는 각기둥모양의 내부하우징(211)이 내장되도록 되어 있다. BH하우징(20d)은 하우징본체(21)와, 고정부품(22a) 사이에 백플레인(3)을 끼워 넣도록 되어 있으며, 도 11 등에 나타낸 BH하우징(20a)과 다른 점은 내부하우징(211)을 채용한 것뿐이다.
도 18은 내부하우징(211)을 백플레인(3)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위치결정돌기(21c)는, 내부하우징(211)의 상하 양단부(도 18에 있어서 상하)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외부돌기(21p)의 연장방향 양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각 위치결정돌기(21c)근방으로부터는 돌벽(21e)을 돌출설치하고 있다. 돌벽(21e)은 위치결정돌기(21c)로부터 수직으로, 대향하는 상대측의 위치결정돌기(21c)쪽으로 돌출하는 소벽부이며,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하우징(211)을 하우징본체(21)에 삽입하였을 때에는 그 외면이 하우징본체(21) 내벽면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 하우징(211) 측부에는 위치결정돌기(21c)와 돌벽(21e)에 의해 둘러싸도록 하여 중합벽 수납홈(21f)이 형성되어 있다. BH하우징(20d)에 PH하우징(36)(도 20참조)을 맞물렸을 때에는 이 중합벽 수납홈(21f)에 PH하우징(36)에 돌출설치한 중합벽(36a)이 삽입된다.
도 20은, 본 실시예의 광커넥터의 PH하우징(36)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에 있어서, PH하우징(36)의 양측부에는 하우징본체(21)에 외측으로부터 탈착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한쌍의 탈착후크(36b, 36b)를 대향하여 배치하고 있다. 그 리고, PH하우징(36)의 내부에는 지압벽(36c)을 구비하고 있다. 지압벽(36c)은 관모양이며, PH하우징(36) 내에 지지하는 MPO플러그(4a)는 상기 지압벽(36c)내에 위치결정되어 수납된다. 그리고, PH하우징(36)의 상기 BH하우징(20d)에의 삽입방향 선단(도 20에 있어서 오른쪽아래)에는 중합벽(36a)을 돌출설치하고 있다. PH하우징(36)을 내부하우징(211)에 끼워넣으면, 중합벽(36a)을 중합벽 수납홈(21f)에 삽입할 수 있다. 결합후크(21d)에 지압벽(36c)이 맞닿았을 때에는 PH하우징(36)내에 수납지지한 MPO플러그(4a)가 하우징본체(21)내의 소정위치에 끼워넣어지고, 하우징본체(21)에 반대측(장착구멍(30)측)으로부터 끼워 넣어진 MPO플러그(4b)와 맞닿아 접속된다.
중합벽(36a)은 중합벽 수납홈(21f)과 형성이 거의 일치해 있으므로, 중합벽 수납홈(21f)(도 19 참조)에 끼워 넣은 중합벽(36a)은 돌벽(21e)과 틈새없이 중합하여 일체적인 벽을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본체(21)와 상기 중합벽(36a)에 의해 내부하우징(211)을 소정위치에 지지하기 때문에, MPO플러그(4a, 4b)에 측방향으로의 인장력(소위 사이드풀)이 작용하여도, 이에 대한 하우징본체(21)의 변형내력이 크게 향상되고 있으므로, 내부하우징(211)은 소정위치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게다가 하우징본체(21) 및 내부하우징(211)의 변형이나 파손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PH하우징(36)을 하우징본체(21)에 맞물리고(이 때, 중합벽(36a)을 도 21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중합벽 수납홈(21f)에 끼워 넣고 있다), 지압벽(36c)을 돌벽(21e)(도 21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맞닿았을 때에는, 지압벽(36c)이 하우징본체(21)의 내측에 맞물려 하우징본체(21)의 변형내력을 향상하므로, 측방향으로의 인장력에 대한 하우징본체(21)의 변형내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고, MPO플러그(4a, 4b)의 위치결정 정밀도를 장기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지압벽(36c)이 하우징본체(21)의 내측에 맞물려 하우징본체(21)의 변형내력이 향상되면, MPO플러그(4a, 4b)에 측방향으로의 인장력이 작용하여도, 위치결정 정밀도가 장기에 걸쳐 유지된다. MPO플러그(4a, 4b)간의 연결은, 구체적으로는 이들 MPO플러그(4a, 4b)선단의 광커넥터 페룰(4c)끼리의 맞닿음연결에 의해 되므로, 하우징본체(21)의 변형방지에 의해 맞붙임 연결상태의 광커넥터 페룰(4c)간의 위치어긋남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이에 따라, MPO플러그(4a, 4b)간의 연결상태에 변동이 초래되지 않고 원하는 저접속손실이 확실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광커넥터에서는, 도 22 내지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커넥터 페룰(43)을 직접 수납하는 형태의 PH하우징(40)이나, 도 25 내지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트보드(2)에의 장착성이 뛰어난 PH하우징(401, 58) 등, 각종 구성의 PH하우징이 채용가능하다.
도 22에 나타낸 PH하우징(40)은, 전체가 플라스틱 등의 수지로 이루어지며, 백플레인(3)에 조립한 BH하우징(20a)의 하우징본체(21)에 이탈가능하게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도 22에 있어서는,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낸, BH하우징(20a)의 적용예를 예시하고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용되는 BH하우징으로는, 예컨대, 도 1 등에 기재된 BH하우징(20) 등, 각종 구성이 채용가능하다.
또한, 도 22에 있어서 부호 49는 PH하우징(40)을 프린트보드(2)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이다.
도 23은, PH하우징(40)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4는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PH하우징(40)의 양측부에는 상기 하우징본체(21)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착탈후크(41, 41)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PH하우징(40)의 상기 하우징(21)으로의 삽입방향 앞부분에는 상기 하우징본체(21) 내부에 끼워넣어지는 가이드 돌기(42)를 돌출설치하고 있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PH하우징(40)의 내부에는, JIS C 5981에 제정되는 광커넥터 플러그(43)(광커넥터 페룰)를 수납하는 플러그 수납홈(44)을 구비하고 있다. 그 플러그 수납홈(44)은, 상기 PH하우징(40)의 상기 하우징본체(21)에의 삽입방향 뒤쪽에 개구한 수납홈 개구부(45)를 가지며, 그 수납홈 개구부(45) 근방에는 상기 플러그 수납홈(44) 내에 수납한 광커넥터 플러그(43)를 결합지지하는 탄성변형가능한 지지후크(46)를 돌출설치하고 있다. 광커넥터 플러그(43)에는, 연결하는 상대측의 광커넥터 플러그(4b)의 광커넥터 페룰(4c)과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가이드핀(43b)을 맞물려 접합단면(43a)으로부터 돌출상태로 유지하고, 또한, 상기 접합단면(43a)과는 반대인 후단부(도 24에 있어서 좌측)에 상기 가이드핀(43b)을 유지하는 핀 클램프(43c)를 장착하여 둔다.
이 PH하우징(40)에서는 상기 지지후크(46)를 탄성변형시키면서, 상기 수납홈 개구부(45)로부터 플러그수납홈(44)으로 핀클램프(43)붙이인 상기 광커넥터 플러그(43)를 밀어넣을 수 있다. 그리고, 플러그 수납홈(44)에 밀어 넣은 광커넥터 플러그(43)는 PH하우징(40) 내에 형성한 지압벽(47)과 상기 지지후크(46)와의 사이 에 끼워 넣어지므로, 플러그수납홈(44)내의 원하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광파이버(48)(광파이버 심선)를 맞붙임연결이 가능하도록 단말을 이루는 광커넥터 플러그(43)를 플러그 수납홈(44)에 삽입하였을 때에는, 상기 수납홈 개구부(45)로부터 광파이버(48)가 인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광커넥터 플러그(43)가 단말이 되는 광파이버는, 단심, 다심중 어느쪽이어도 좋다.
플러그 수납홈(44) 내에 수납한 광커넥터 플러그(43)는 지압벽(47)에 맞닿음으로써 PH하우징(40)의 삽입방향 앞쪽으로의 돌출한계가 설정된다. 따라서, 하우징본체(21)(도 22 참조) 내에서 MPO플러그(4b)측의 광커넥터 페룰(4c)에 대하여 연결한 광커넥터 플러그(43)를 빠져나올 때, 그 광커넥터 플러그(43)가 플러그 수납홈(44)으로부터 빠져나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빼냄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후크(46)는 PH하우징(40)의 삽입방향 후방으로의 광커넥터 플러그(43)의 이동한계를 설정함과 동시에, MPO플러그(4b)측의 광커넥터 페룰(4c)과 맞대어 접속할 때의 맞닿는 힘을 부담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 수납홈(44)내에 수납한 광커넥터 플러그(43)의 접합단면(43a)은 상기 지압벽(47)으로부터 항상 노출되어 있으므로, PH하우징(40)을 하우징본체(21)에 맞물림과 동시에, 그 PH하우징(40)에 지지한 광커넥터 플러그(43)와 상기 하우징본체(21)측에 지지한 MPO플러그(4b)의 광커넥터 페룰(4c)이 맞대어 접속된다.
이 광커넥터에서는, 수납홈 개구부(45)로부터 광커넥터 플러그(43)를 플러그 수납홈(44)에 밀어 넣는 것만으로, PH하우징(40)내의 소정위치에 광커넥터 플러그(43)를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으므로, 조립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반대로, 지지후크(46)를 외측에 인출하도록 탄성변형시키는 것만으로, 플러그 수납홈(44)으로부터 광커넥터 플러그(43)를 취출하는 작업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JIS C 5981에 제정되는 광커넥터 페룰인 광커넥터 플러그(43)는 사이즈가 작으므로, 이를 직접 수납하는 PH하우징(40)은, MPO플러그(4a)를 수납하는 PH하우징(5)(도 46 참조)에 비하여 대폭적인 소형화가 가능하고, 플러그인 유니트(1)내에 있어서의 프린트보드(2)나 PH하우징(40)의 배열피치의 대폭적인 축소 등이 가능하며, 광커넥터의 대응심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커넥터의 PH하우징은 상기 실시예에 나타낸 PH하우징(40)에 한정되지 않으며, JIS C 5981에 제정되지 않은 각종 광커넥터 페룰이나 간이형 MPO플러그 등의 광커넥터 플러그를 지지하는 구성 등, 각종 구성의 채용이 가능하다.
도 25로부터 도 28에 나타낸 PH하우징(401)은 후에 상술하는 리벳부품(55)에 의해 프린트보드(2)에 장착되며, 프린트보드(2)를 플러그인 유니트(1)(배경기술 도 46 참조)에 끼워넣음으로써 BH하우징(20a)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맞물림과 동시에, 상기 PH하우징(401)에 미리 맞물린 MPO플러그(4a) 선단이 하우징본체(21)의 플러그수납구멍(23)내에 내장한 내부하우징(21a)에 삽입되고, 장착구멍(30)측으로부터 내부하우징(21a)에 삽입된 MPO플러그(4b)와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도 26은 PH하우징(401)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에 있어서, PH하우징(401)의 양측부(도 26에 있어서 상하)로부터는 하우징본체(21)(도 25 참조)에 외측으로부터 탈착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한쌍의 착탈후크(51a, 51b)를 돌출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PH하우징(401)의 내부에는 관모양의 수납벽(52)을 구비하고 있다. 이 수납벽(52)에는 MPO플러그(4a)가 후방(도 26에 있어서 왼쪽안쪽)으로부터 삽입,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PH하우징(401)의 상기 BH하우징(20a)으로의 끼워넣음방향 선단(도 26에 있어서 오른쪽 전방)에는 중합벽(53)을 돌출설치하고 있다.
도 25에 있어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PH하우징(401)을 BH하우징(20a)에 끼워 넣으면, 하우징본체(21)와 그 하우징본체(21)내에 수납한 내부하우징(21a)과의 사이의 틈새에 확보된 도시하지 않은 삽입홈으로 상기 중합벽(53)이 삽입되고, PH하우징(401)이 상기 BH하우징(20a)에 대하여 위치결정된다. 그리고, 이 때, 중합벽(53)이 내부하우징(21a) 외면에 중합하여, 내부하우징(21a)이나 하우징본체(21)를 보강하도록 되어 있다. BH하우징(20a)에 끼워 넣은 PH하우징(401)은 수납벽(52)(도 26참조)이 내부하우징(21a)에 맞닿는 위치까지 끼워넣음 가능하다.
MPO플러그(4a)를 PH하우징(401)에 삽입하면, MPO플러그(4a)내부의 도시하지 않은 하우징이 PH하우징(401)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한다. 그리고, MPO플러그(4a)는 커플링(4d)의 빼냄조작(도 25 좌측으로의 빼냄)에 의해 하우징과 PH하우징(401)과의 결합을 해제하여 빼내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MPO플러그(4b)도 BH하우징(20a)에 대 하여 탈착가능하도록 결합한다.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PH하우징(401)의 수납벽(52) 내에는 키홈(5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키홈(54)에 MPO플러그(4a)의 키(4e)(도 25 참조)가 결합함으로써 PH하우징(401) 내의 소정위치에 MPO플러그(4a)가 위치결정된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구멍(30)측으로부터 삽입되는 MPO플러그(4b)도 키(4e)를 가지며, 이 키(4e)가 내부하우징(21a)내의 소정위치에 위치결정된다. 그리고, PH하우징(401)을 BH하우징(20a)에 맞물리면, PH하우징(401)과 BH하우징(20a)과의 사이에 위치결정, 및 각 MPO플러그(4a, 4b)의 키(4e)와, 내부하우징(21a)의 키홈(21b)과의 결합에 의한 위치결정에 의해, MPO플러그(4a, 4b)가 서로 위치결정되며, 이들 MPO플러그(4a, 4b)의 광커넥터 페룰(4c, 4c)이 서로 위치결정되어 맞붙임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PH하우징(401)이 BH하우징(20a)에 정확하게 맞물리면, 한쪽의 광커넥터 페룰(4c)의 가이드핀(4p)을 다른 한쪽의 광커넥터 페룰(4c)의 가이드핀구멍에 원활하게 삽입·맞물릴 수 있다.
또한, 도 27에 있어서 부호 54a는 MPO플러그(4a)와 탈착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탈착후크이다.
MPO플러그(4a, 4b)는 광커넥터 페룰(4c)을 탄성가압하는 코일스프링등의 탄성가압수단(미도시)을 내장하고 있으며, MPO플러그(4a, 4b)끼리를 연결하였을 때에는 이들 탄성가압수단의 탄성가압력이 광커넥터 페룰(4c, 4c)끼리의 맞붙임력으로서 작용한다. 이 때, BH하우징(20a)과 PH하우징(401)과의 맞물림력이 상기 탄성가압수단의 반력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맞붙임연결한 광커넥터 페룰(4c, 4c)사이에 상기 맞붙임력을 효율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PH하우징(401)을 프린트보드(2)에 고정하는 리벳부품(55)은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관모양의 리벳본체(55a)와, 그 리벳본체(55a)에 삽입되는 합성수지제의 리벳핀(55b)으로 되어 있다. 도 26 및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리벳부품(55)의 사용방법은, 먼저, 프린트보드(2)에 개구한 리벳구멍(56)으로부터, PH하우징(401)의 리벳구멍(57)에 삽입한 리벳본체(55a)를 PH하우징(401) 내부의 변형용 공간(50a)(도 28 참조)에 도달시킨다. 다음, 프린트보드(2)측(리벳본체(55a)의 축방향 일단부)으로부터 리벳본체(55a)로 리벳핀(55b)을 압입하고, 이 리벳핀(55b)의 선단이 리벳본체(55a)의 축방향 타단부를 슬릿에 의해 복수의 분할된 형상의 변형부(55c)에 도달하면, 변형부(55c)의 분할된 각부의 내면측에 돌출설치된 돌기(55d)를 압압하여, 변형부(55c)를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넓힐 수 있도록 하여 변형시킨다. 이에 따라, 리벳본체(55a)의 축방향 일단부로부터 돌출설치된 계지돌기(55f)(플랜지부)와 상기 변형부(55c)와의 사이에 PH하우징(401)과 프린트보드(2)를 끼워 넣도록 하여 고정한다.
리벳본체(55a)를 프린트보드(2)나 PH하우징(401)의 리벳구멍(56, 57)에 연통시킬 때에는, 미리 PH하우징(401)의 리벳구멍(56)의 주위에 돌출한 플랜지(506)를 프린트보드(2)의 리벳구멍(56)에 맞물려 두므로, PH하우징(401)측 및 프린트보드(2)측의 양 리벳구멍(56, 57)의 연통상태가 유지되고, 리벳본체(55a)의 삽입작업은 용이하다.
변형부(55c)가 열리지 않을 정도의 깊이만큼 미리 리벳핀(55b)을 삽입해 둔 리벳본체(55a)를 리벳구멍(56, 57)에 연통한 다음, 리벳핀(55b)의 PH하우징(401) 방향으로의 밀어넣는 양을 증가시켜 변형부(55c)를 밀어 열음으로써 프린트보드(2)와 PH하우징(401)을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작업현장에서는, 리벳핀(55b)이 삽입된 리벳부품(55a)을 일부품과 같이 취급하면 되므로, 고정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리벳부품(55)의 소재는 수지에 한정되지 않으며, 소재의 선택의 폭이 넓어 금속 등도 채용가능하며, 저렴한 소재의 사용에 의해 가격절감이 용이하다.
따라서, PH하우징(401)에서는 프린트보드(2)에의 고정을 리벳부품(55)에 의해 행하므로, 리벳본체(55a)의 삽입작업 및 리벳핀(55b)의 압입작업만으로 고정작업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고, 배경기술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이즈가 작은 나사(배경기술 참조)에 의한 고정에 비하여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상술한 나사에 의한 고정에서는 나사가 특수품이기 때문에 가격절감이 곤란하고, PH하우징(401)의 가공도 특수해져 광커넥터 전체의 가격절감에 방해가 되지만, 리벳부품(55)에 의한 고정이라면 리벳부품(55) 자체의 가격절감이 용이하고, PH 하우징(401)의 가공이 단순하여도 되기 때문에, 광커넥터 전체의 가격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도 29 및 도 30은, 총 4개의 리벳구멍(58a, 58b)을 갖는 PH하우징(58)을 나타낸다.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트보드(2)에도 상기 리벳구멍(58a, 58b)에 대응하는 리벳구멍(56a, 56b)을 총 4개 형성한다.
리벳구멍(58a)의 개구부의 주위에는 결합플랜지(58c)를 돌출설치하여 두고, 이 결합플랜지(58c)를 프린트보드(2)의 리벳구멍(56a)에 맞물림으로써, PH 하우징(58)을 프린트보드(2)의 소정위치에 위치결정할 수 있다.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벳구멍(56a, 58a)에 연통되는 리벳부품(59)은 관모양의 리벳본체(59a)와, 이 리벳본체(59a)에 그 리벳구멍(56a, 58a)에의 삽입방향 후단인 축방향 일단부로부터 압입되는 리벳핀(59b)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리벳본체(59a)의 리벳구멍(56a, 58a)에의 삽입방향 선단인 축방향 타단부에 형성한 변형부(59c)는 상기 리벳구멍(58a)의 상기 결합플랜지(58c)와는 반대측의 단부를 확장한 형상의 변형용 공간(58d)(확장부)내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리벳본체(59a)에 리벳핀(59b)을 압입하면, 변형부(59c)가 외측으로 눌러서 넓혀지도록 변형되며, 이에 따라 PH하우징(58)과 프린트보드(2)가 상기 변형부(59a)와, 상기 리벳본체(59a)의 계지돌기(59d)와의 사이에 끼워넣어진다.
리벳구멍(58b)은, PH하우징(58)으로부터 후측(도 30에 있어서 좌측)에 돌출설치한 지압플랜지(58e)를 관통하고 있다. 리벳구멍(56b, 58b)에 연통되는 리벳부품(60)은, 관모양의 리벳본체(60a)와, 그 리벳본체(60a)에 압입되는 리벳핀(60b)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프린트보드(2)측으로부터 압입되고 지압플랜지(58e)의 리벳구멍(58b)을 관통시켜, 지압플랜지(58e)의 상기 프린트보드(2)에 대향하는 반대측의 돌출시킨 변형부(60c)가 상기 리벳본체(60a)에 압입된 리벳핀(60b)에 의해 외측으로 넓혀지도록 하여 변형됨으로써, PH하우징(58)과 프린트보드(2)가 상기 변형부(60c)와 리벳본체(60a)의 계지돌기(60d)와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벳구멍(58b)은 리벳구멍(58a)보다 지름이 크고, 리벳구멍(56b, 58b)에 연통시키는 리벳부품(60)의 리벳본체(60a)는 리벳구 멍(56a, 58a)에 연통시키는 리벳부품(59)의 리벳본체(59a)보다 외경이 크게 되어 있다. 그리고, 리벳구멍(56b, 58b)에 적용하는 리벳부품(60)의 리벳본체(60a)는 리벳구멍(56a, 58a)에 적용하는 리벳부품(59)의 리벳본체(59a)보다 길이(축방향 크기)가 짧다. 이와 같이, 리벳부품(59, 60)은 리벳구멍(58a, 58b)의 형상 등에 대응하여 지름크기나 길이크기를 적당히 변경하고 있다. 배경기술에 기재된 특수품인 나사로 지름크기나 길이크기를 변경하면, 나사홈의 형성 등에 수고가 드는 데 대하여, 리벳부품(59, 60)은 수지로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어 높은 범용성이 얻어지고, 가격절감이 가능하다. 게다가, 나사를 사용한 경우에는 PH하우징(58)측에 형성하는 나사구멍도 나사형상에 대응하여 변경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수고가 드는 것에 대하여, 리벳부품(59, 60)에서는 PH하우징(58)에 리벳부품(59, 60) 삽입용 리벳구멍(58a, 58b)을 형성하는 것만으로 되므로, PH하우징(58)의 제조능률의 향상도 용이하다.
그리고, 지압플랜지(58e)는 PH하우징(58)의 후부 이외의 위치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예컨대, PH하우징(58)의 복수개소에 지압플랜지를 돌출설치하고, 이들 각 지압플랜지에 개구한 리벳구멍에 각각 리벳부품을 적용하여 PH하우징(58)을 프린트보드(2)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PH하우징(58) 내부를 관통하는 리벳구멍이 불필요해지므로, PH하우징(58)의 설계가 용이해진다. 그리고, 지압플랜지에 리벳구멍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리벳구멍 형상을 가다듬는 것이 용이해지며, 리벳부품도 동일치수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리벳구멍의 가공능률이나 리벳부품의 제조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어, 가격을 더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PH하우징(58)은 해당 PH하우징(58)으로부터 돌출설치한 지압플랜지 혹은 PH하우징(58) 내부에 리벳구멍을 형성만 하면, 리벳부품을 이용하여 프린트보드(2)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설계변형도 용이하여 높은 범용성이 얻어진다.
이 PH하우징(58)을 채용한 광커넥터에서는, 프린트보드(2)에 대한 PH하우징(58)의 고정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PH하우징(58)과 BH하우징(20a)과의 맞물림작업 혹은 이탈작업시에 발생하는 저항력이 큰 경우라도, PH하우징(58)에 위치어긋남 등을 발생시킬 우려는 없다. 이 때문에, 예컨대, 대응심수가 많고, 사이즈가 큰 MPO플러그를 연결하기 위해, 사이즈를 크게 한 PH하우징이나 BH하우징을 채용하였을 때 등과 같이, 맞물림이나 이탈작업시에 큰 저항력이 발생되는 것이 예상되는 경우라도, PH하우징을 소정위치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MPO 플러그끼리의 연결이나 연결해제 등의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프린트보드의 리벳구멍이나 PH하우징의 리벳구멍의 형성위치, 크기, 형성수 등이나, 리벳의 변형부를 변형하기 위한 변형용 공간의 형상 등은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당히 변경가능함은 말할 것도 없다.
이 광커넥터에서는,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품(22d)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1 및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BH하우징(20e)은, 하우징본체(21)와 고정부품(22d)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하우징본체(21)의 PH하우징(5)에 대향하는 면(도 31에 있어서 좌측앞쪽)에는 PH하우징(5)을 플러그수납구멍(23)에 이끄는 테이퍼면(21a)을 플러그수납구멍(23)의 주위에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하우징(21a)은, 네 귀퉁이의 위치결정돌기(21c)로부터 각각 돌출설치된 가이드편(21q)을 하우징본체(21)내에 형성된 가이드홈(21r)(도 33C 참조)에 삽입하여 백플레인(3)측으로부터 하우징(21)내에 삽입되므로, 이 내부하우징(21a)의 삽입은 흔들림을 발생시키지 않고 원활하게 된다. 그리고, 내부하우징(21a)은 하우징본체(21)내에 수납후에도 가이드홈(21r)내에 수납된 가이드편(21p)에 의해 하우징본체(21) 축방향 이외의 방향으로의 흔들림을 발생시키지 않고 안정적인 수납상태가 얻어진다. 그리고, 내부하우징(21a) 양측의 결합후크(21d)로부터 돌출설치된 돌기형상의 위치결정부(21s)도, 하우징본체(21)내의 결합홈(21m)에 들어감으로써, 하우징본체(21)내에서의 내부하우징(21a)의 흔들림방지에 기여한다. 상기 위치결정부(21s)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도 34, 35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부품(22d)은 전체가 용수철재로 형성되며, 직사각형 틀형상의 본체부(24)와, 그 본체부(24)의 길이방향(도 31에 있어서 상하) 양측으로부터 돌출설치한 한쌍의 탄성후크(25, 25)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탄성후크(25, 25)의 돌출설치 위치는 하우징본체(21)의 대향하는 양측에 형성한 한쌍의 결합구멍(26, 26)과 일치되어 있다(결합구멍(26)은 도 31 및 도 32의 하우징본체(21)의 하측에도 있다.)
탄성후크(25, 25)는 판용수철 형상으로서, 각 탄성후크(25, 25)의 돌출방향 선단부(25a)에는 결합후크(27)를 돌출설치하고, 상기 선단부(25a)와 상기 본체부(24) 사이에는 양측면에 형성한 오목부(25b, 25b)에 의해 상기 선단부(25a)보다 가늘게 형성된 축소부(25c)를 구비하고 있다.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개의 탄성후크(25, 25)는 백플레인(3)의 장착구멍(30)에 삽입하고, 백플레인(3)을 통해 반대측에 설치한 하우징본체(21)의 결합구멍(26, 26)에 각각 끼워넣어, 하우징본체(21)의 결합부(28, 28)에 결합후크(27)를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고정부품(22d)의 본체부(24)는 장착구멍(30)보다 크고, 본체부(24) 중앙부에 개구한 플러그삽입구멍(29)은 장착구멍(30)보다 작다.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된 BH하우징(20e)에서는, 고정부품(22d)의 상기 본체부(24)에 형성한 용수철부(32)와 하우징본체(21) 사이에 백플레인(3)을 슬라이딩 가능할 정도의 클램프력에 의해 가볍게 끼워 넣는다. 용수철부(32)는, 두 개의 탄성후크(25, 25)를 연결하도록 하여, 플러그삽입구멍(29)의 대향하는 양측에 연장되는 본체부(24)를 산모양 혹은 만곡형상으로 성형(도 31, 도 32에서는 산모양)한 형상이며, 그 가장 돌출되어 있는 부분이 백플레인(3)에 맞닿고, 이 용수철부(32)의 힘에 의해 고정부품(22d)과 하우징본체(21) 사이에 백플레인(3)을 끼워넣는 클램프력이 제공된다. 그리고, 고정부품(22d)을 하우징본체(21)에 결합하면, 용수철부(32)의 탄성변형 범위내에서 백플레인(3)의 두께크기의 공차가 흡수되기 때문에, 하우징본체(21)의 장착상태가 안정된다.
그리고, 두 개의 탄성후크(25, 25)의 선단부(25a)에는 장착구멍(30)의 수평방향과 거의 일치하는 크기를 가지고 있다.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수부(25c)는 탄성후크 선단부(25a, 25a)에 대하여 예컨대 한쪽 0.4mm, 양쪽에서 총 0.8mm정도의 단차를 가지고 축소되어 있다.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후크(25, 25)를 장착 구멍(30)에 삽입하여 하우징본체(21)의 결합부(28, 28)에 결합하면, 도 33A 및 도 3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소부(25c)가 장착구멍(30)에 위치하고, 축소부(25c)의 주위에는 클리어런스가 확보되고, 장착구멍(30)내에서는 상기 클리어런스의 범위에서 탄성후크(25, 25)의 변위가 허용된다. 따라서, 백플레인(3)에 장착한 BH 하우징(20e)에는 상기 장착구멍(30)내에서의 탄성후크(25, 25)의 가동범위내에서 부동이 허용된다.
예컨대, 상기 클리어런스는 수평방향(도 4 방향)으로 c=1.00mm이상, 수직방향으로 d=1.60mm정도 확보하고, 이 클리어런스의 범위에서 탄성후크(25, 25)가 변위가능하며, 어느 쪽도 도 1에 나타낸 고정부품(22)에 비하여 크게 되어 있으며, BH하우징(20)의 부동범위가 충분히 설정된다. BH하우징(20e)의 부동범위는, 탄성후크(25, 25)에 축소부(25c)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현저하게 커진다. 이에 따라, 플러그인 유니트(1)(도 46참조)에 프린트보드(2)를 끼워 넣어 PH하우징(5)을 BH하우징(20e)에 맞물릴 때, PH하우징(5)과 BH하우징(20e) 사이의 위치어긋남을 BH하우징(20e)의 부동에 의해 흡수할 수 있어, 맞물림 작업성이 향상된다.
도 31에 있어서는, 하우징본체(21)의 수평방향 양측의 테이퍼면(21a)의 테이퍼량(도 33B에 있어서 치수 (f)-치수 (g)가 1.275로 되어 있으므로, 플러그 수납구멍(23)에 PH하우징(5)이 끼워넣어지면, BH하우징(20e)과 PH하우징(5) 사이에는 수평, 수직중 어느쪽의 방향으로도 최대 0.5mm정도의 위치어긋남이 허용되며, 이 범위의 위치어긋남이라면, PH하우징(5)을 BH하우징(20e)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위치어긋남에 대하여 높은 범용성이 얻어진다.
테이퍼량은 적당히 선택가능하며, 1.275보다 크게 하는 것도 가능함은 말할 것도 없다.
도 31 및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본체(21)의 결합부(28)는 홈형상의 결합오목부(28a)를 가지고 있다. 상기 결합오목부(28a)는 각홈형상이며, 각 탄성후크(25, 25)의 결합후크(27)는 상기 결합오목부(28a)의 귀퉁이부에 끼워넣도록 하여 상기 결합부(28)에 결합하고, 결합후크(27)가 부주의로 넘어지거나, 변형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BH하우징(20e)이 부동하여도, 결합후크(27)가 결합부(28)로부터 용이하게는 이탈하지 않는다. 의도적으로 결합후크(27)를 변형시키지 않는 한, 탄성후크(25, 25)로부터 하우징본체(21)가 이탈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BH하우징(20e)에는 PH하우징(5)을 빼낼 때의 빼냄내력이 충분히 확보된다.
그리고, 탄성후크(25, 25)형상을 조정하는 것만으로, 장착구멍(30)내에 삽입한 탄성후크(25, 25)의 주위의 클리어런스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BH하우징(20e) 의 부동범위를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착구멍(30) 형상이 단순하여도 되며, 그 형성작업성도 향상된다. 구체적으로는, 탄성후크(25)에 형성하는 오목부(25b)형상에 의해 축소부(25c)형상을 조정할 수 있으며, 원하는 클리어런스가 간편하게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축소부(25c)의 양측에 오목부(25b, 25b)를 형성하였으나, 오목부(25b)의 형성은 한쪽만이어도 좋으며, 이에 의해 BH 하우징(20e)의 특정방향으로의 변위한계를 설정할 수 있고, 예컨대, BH하우징(20e)에 대한 PH하우징(5)의 특정한 방향으로의 위치어긋남 등에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목부(25b)의 형성에 의해 충분한 클리어런스가 얻어지면, BH하우징(20e)의 부동범위가 커져, PH하우징(5)의 맞물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미 설치된 프린트보드(2)의 PH하우징(5)의 위치어긋남 등에 폭넓게 대응할 수 있어 범용성이 향상된다. 게다가, 이러한 광커넥터에서는, 탄성후크 선단부(25a)는 축소부(25c)보다 대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하우징본체(21)에 대한 결합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고정부품(22d)의 용수철부(32)와 하우징본체(21)와의 사이에서 백플레인(3)을 잡는 힘이 부족하여 BH하우징(20e)에 쓸데없는 흔들림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광커넥터에서는, 하우징본체(21)내에 수납한 내부하우징의 하우징본체(21) 축방향으로의 원활한 이동을 허용하면서, 그 이외의 방향으로의 흔들림을 확실하게 억제하기 위하여, 도 34 및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도 채용가능하다.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하우징(212)의 양측부(도 34의 좌우)의 결합후크(212d), 상하 양바닥부(도 34의 상하)에 돌출설치되어 있는 위치결정 돌기(212c) 및 외부돌기(212p)의 기능은, 도 1에 나타낸 내부하우징(21)의 결합후크, 위치결정 돌기, 외부돌기와 동일하다.
도 35는, 하우징본체(21)에의 내부하우징(212)의 내삽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35에 있어서, 결합후크(212d)는 내부하우징(212)의 측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2112f)와, 그 돌출부(212f)로부터 상기 내부하우징(212)의 중앙의 개구의 축방 향을 따라 연장하는 병행부(212g)를 구비하며 L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병행부(212g)의 돌출부(212f)와의 연결부에 가까이 기단부로부터는 돌기형상의 위치결정부(212h)가 바깥쪽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 결합후크(21d)는 수지에 의해 내부하우징(212)과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탄성을 가지고 있다.
도 35에 있어서, 내부하우징(212)은 화살표방향(도 35에 있어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으로 이동함으로써, 하우징본체(21)에 내삽된다. 이 때, 상기 병행부(212g) 선단의 결합후크 본체(212i)가 결합후크(212e)내로 삽입되고, 이 결합홈(212e)내에 돌출설치된 칸막이벽(212j)을 타넘음으로써 결합홈(212e)에 결합된다. 결합후크 본체(212i)의 결합홈(212e)에 대한 결합은 용이하게는 해제되지 않으며, 그리고 상기 위치결정부(212h)는 상기 결합홈(212e)으로 들어가 맞물려, 결합홈(212e)으로부터 용이하게는 이탈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위치결정돌기(212c), 양측의 결합후크(212d), 위치결정부(212h)에 의해 내부하우징(212)이 하우징본체(21)내에서 하우징본체(21) 축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소정위치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그리고, 결합후크 본체(212i)와 위치결정부(212h)의 양쪽이 하우징본체(21) 내면에 맞닿아 슬라이딩하므로, 결합후크 본체(212i)만이 하우징본체(21) 내면에 맞닿는 경우에 비하여, 내부하우징(212)의 하우징본체(21)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도중에서 기울어진다거나 하는 문제없이 원활하게 된다. 이것은, MPO플러그(4a, 4b)를 서로 연결할 때의 내부하우징(212)의 안정적인 이동에도 기여하며, MPO플러그(4a, 4b)간의 연결작업의 원활화에 기여한다. 이 연결후에 있어서도, 예컨대, 양측의 MPO플러그(4a, 4b)로부터 누르는 힘이 작용하였을 경우, 인장력이 작용한 방향으로 BH하우징에 도중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하므로 연결상태에 주는 영향을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결정부(212h)는 결합후크(212d)로부터 돌출설치된 돌기이므로, 결합후크(212d)를 결합홈(212e)에 위치결정하여 삽입하는 것만으로, 위치결정부(212h)도 결합홈(221e)에 위치결정되며, 칸막이벽(212j)을 타넘은 결합후크(212d)가 결합홈(212e)에 결합함과 동시에, 위치결정부(212h)도 자동적으로 결합홈(212e)에 맞물리므로, 좁은 하우징본체(21)내에 있어서도 위치결정부(212h)를 용이하게 결합홈(212e)에 맞물릴 수 있고, 하우징본체(21)에 대한 내부하우징(212)의 내삽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결합후크(212d)에 있어서의 위치결정부(212h)의 돌출설치위치는, 병행부(212g)의 기단부에 한정되지 않으며, 결합후크(212d)선단의 결합후크 본체(212i)를 벗어난 위치라면 적당히 선택가능하다.
그리고, 위치결정부는, 결합홈(212e)에 맞물리는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결합홈(212e)의 일부에 형성된 슬릿에 삽입되는 돌기를 갖는 형상 등, 각종 구성이 채용가능하다.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본체(21)와 고정부품(22b)에 의해 백플레인(3)을 끼워넣도록 하면, BH하우징(20f)이 조립된다. 이 BH하우징(20f)은 고정부품(22b)의 탄성후크(25) 선단의 결합후크(27)가 하우징본체(21)의 결합부(28)의 결합오목부(28a)에 들어가 안정적으로 결합(결합상태에 대한 상세한 것은 도 33A 참조)한다. 한편, 하우징본체(21)에 내삽한 내부하우징(212)에는 흔들림이 없는 안정적인 수납상태가 확보되어 있다. 두 개의 MPO플러그(4a, 4b)는 그 선단을 내부하우징(212)에 삽입하여 연결하므로, 내부하우징(212)의 부동범위가 중요하며, 하우징본체(21) 축방향 이외의 방향으로의 내부하우징(212)의 흔들림이 방지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BH하우징(20f)의 부동량과 일치하고, 내부하우징(212)은 탄성후크(25, 25)와 장착구멍(30)과의 관계로부터 설정되는 부동범위에서 부동한다. 따라서, 내부하우징(212)의 흔들림에 의한 MPO 플러그(4a, 4b)의 삽입작업성의 저하 등의 문제가 방지되며, 하우징본체(21)에 PH하우징(5)을 맞물려 MPO플러그(4a, 4b)간을 연결하는 작업도 효율적으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광커넥터에서는, 하우징본체(21)의 내부하우징(212)을 적당히 선택사용함으로써 MPO플러그(4a, 4b)의 종류나 형상, 크기 등에 대응된다. 즉, MPO플러그(4a, 4b)의 특히 선단의 형상, 크기 등이 변경되면, 이에 따라 두 개의 플러그(4a, 4b)를 위치결정하기 위하여 내부하우징도 적당한 것을 선택사용할 필요가 있는데, 본발명에 따른 내부하우징에서는 내부하우징 자체의 설계변경이 되어도, 결합후크(212d)나 위치결정부(212h)를 설계변경하는 것만으로 하우징본체(21)에 대하여 흔들림이 없고 안정적인 내삽상태가 용이하게 얻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서는, 광커넥터 플러그에 대한 높은 범용성이 얻어지며, 예컨대, MPO플러그 이외의 각종 광커넥터 플러그의 상호연결, 다른 종류의 광커넥터 플러그의 상호연결에도 대응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BH하우징(20g)을 구성하는 하우징본체(213)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관모양으로 형성되며, 끼워 넣어진 MPO플러그(4a, 4b)를 수납하는 플러그 수납구멍(23)을 구비하는 점, 플러그 수납구멍(23)내에 내부하우징(21a)을 수납하는 점은 도 1 등에 기재된 하우징본체(21)와 동일하나, 하우징본체(21)의 결합부(28)와는 다른 형상의 결합부(213a)를 구비하는 점에서 하우징본체(21)와 다르다.
고정부품(22e)은 전체가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직사각형 틀모양의 본체부(224)와, 그 본체부(224)의 양측으로부터 돌출설치된 한쌍의 탄성후크(225, 225)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탄성후크(225, 225)간의 이격치수는 하우징본체(213)의 대향하는 양측에 형성한 한쌍의 결합부(213a, 213a)간의 이격치수와 일치하고 있다(결합부(213a)는 도 36 및 도 37의 하우징본체(213)의 하측에도 있다). 그리고, 두 개의 탄성후크(225, 225)는 플러그 삽입구멍(229)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본체부(224)의 길이방향 양단의 외연부(224a, 224b)는 탄성후크(225, 225)의 외측으로 돌출상태로 되어 있다.
도 37에 있어서, 두 개의 탄성후크(225, 225)는 백플레인(3)의 장착구멍(30)에 끼워넣음으로써 백플레인(3)을 통해 반대측에 설치한 하우징본체(213)의 두 개의 결합부(213a, 213a)에 결합후크(227)를 각각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두 개의 결합후크(227, 227)간의 이격치수는 두 개의 결합부(213a, 213a)간의 이격치수보다 약간 짧게 되어 있으므로, 탄성후크(225, 225)의 탄성에 의해 두 개의 결합후크(227, 227)간에 하우징본체(213)가 끼워넣어지게 되어 결합후크(227)가 결합부(213a)로부터 용이하게는 이탈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부(213a, 213a)에는 경사면(213b)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탄성후크(225)의 탄성변형에 의해 경사면(213b)을 타넘도록 하여 결합후크(227)를 밀어넣는 것만으로 결합부(213a)에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구멍(30)은 직사각형으로서, 백플레인(3)을 따라 가늘고 길게 연장되어 있다. 고정부품(22e)의 본체부(224) 외형은 장착구멍(30)보다 크고, 본체부(224) 중앙부에 개구한 플러그 삽입구멍(229)은 장착구멍(30)보다 작다.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된 BH하우징(20g)에서는, 하우징본체(213)와 본체부(224) 사이에 백플레인(3)을 슬라이딩 가능할 정도의 클램프력에 의해 가볍게 끼워 넣는다. 이 때, 본체부(224)는 외연부(224a, 224b)를 포함하여 전체가 백플레인(3)에 맞닿는다.
또한, 장착구멍(30)에 삽입한 탄성후크(225, 225)의 주위에는 클리어런스를 확보하고, 장착구멍(30)내에서는 상기 클리어런스의 범위에서 탄성후크(225, 225)의 변위가 허용된다. 따라서, 백플레인(3)에 장착한 BH하우징(20g)에는 상기 장착구멍(30) 내에서의 탄성후크(225, 225)의 가동범위내에서 부동이 허용된다. 예컨대, 상기 클리어런스는 수평방향(도 39의 좌우)으로 c=0.34mm, 수직방향(도 39의 상하)으로 d=1.60mm 확보하고, 이 클리어런스의 범위에서 탄성후크(225, 225)가 변위가능하며, BH하우징(20g)의 부동범위가 설정된다. 이에 따라, 플러그인 유니트(1)(도 46참조)에 프린트보드(2)를 끼워 넣어 PH하우징(5)을 BH하우징(20g)에 맞물릴 때, PH하우징(5)과 BH하우징(20g)과의 위치어긋남을 BH하우징(20)의 부동에 의해 흡수할 수 있으므로, 맞물림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이 때, 본체부(224)는 외연부(224a, 224b)를 포함하여 전체가 백플레인(3)에 맞닿으므로, 큰 지지면적을 확보할 수 있고, 게다가 본체부(224)의 백플레인(3)과 맞닿는 지압면(224c)은 탄성후크(225, 225)를 둘러싸도록 연장되어 있으므로, BH하우징(20)의 부동이 안정되어 쓸데없는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어, PH하우징(5)과 BH 하우징(20)과의 맞물림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BH하우징(20g)을 백플레인(3)에 조립할 때에는, 한쌍의 결합후크(227)를 하우징본체(213)의 외측으로부터, 하우징본체(213) 양측에 노출되는 결합부(213a, 213a)에 결합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결합후크(227)와 결합부(213a)와의 결합을 눈으로 보면서 행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탄성후크(225, 225) 형상(두께 등)을 조정하는 것만으로, 장착구멍(30)내에 삽입한 탄성후크(225, 225)의 주위의 클리어런스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BH하우징(20g)의 부동범위를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착구멍(30) 형상이 단순해도 되어 그 형성작업성도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하우징 본체의 결합부 형상 등은 적당히 변경가능하다.
[제3 실시예]
도 40 및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BH하우징(20i)은, 내부하우징(21a)을 수납하는 하우징본체(101)와 이 하우징본체(101)의 외측에 구성되는 장착부품(102)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장착부품(102)으로부터 돌출설치한 한쌍의 탄성후크(108, 108)를 플러그인 유니트(1)(도 46 참조)의 백플레인(3)에 개구된 장착구멍(30)(도 40 참조)에 결합함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장착된다.
하우징본체(101)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관모양으로 형성되며, 중앙을 관통하는 플러그 수납구멍(103)내에 내부하우징(21a)을 수납한다.
장착부품(102)은 전체가 용수철재로 형성되며,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본체(101)에 외측으로부터 장착고정되는 본체부(104)를 구비하고 있다. 도 40 및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본체부(104)는 문 모양으로서, 양측에 대향하는 두개의 플랜지부(107, 107)를, 하우징본체(101) 측면에 돌출설치한 돌기(105, 105, 106)사이에 결합함으로써, 하우징본체(101)에 위치어긋남을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이에 따라 BH하우징(20i)이 조립된다.
각 플랜지부(107, 107)로부터는 탄성후크(108)를 돌출설치하고 있다. 두 개의 플랜지부(107, 107)로부터 돌출설치된 이들 탄성후크(108, 108)의 선단에는 결합후크(109)를 돌출설치하고 있다.
도 42는 장착부품(102)을 탄성후크(108)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2에 있어서, 두 개의 탄성후크(108, 108)간의 이격치수는 본체부(104)의 두 개의 플랜지부(107, 107)간의 이격치수보다 짧게 되어 있다. 각 탄성후크(108, 108)의 결합후크(109)는 두 개의 탄성후크(108, 108)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체부(104)와 탄성후크(108, 108) 사이에는 지압벽(110)을 형성하고 있다. 이 지압벽(110)은 상기 결합후크(109)와의 사이에 백플레인(3)을 끼워넣도록 되어 있 다. 탄성후크(108) 및 지압벽(110)은 장착부품(102)을 하우징본체(101)에 고정함으로써 하우징본체(102)에 일체적으로 된다.
도 43은 백플레인(3)에 장착한 BH하우징(20i)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4는 백플레인(3)에 개구된 장착구멍(30)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 개의 탄성후크(108, 108)를 장착구멍(30)에 삽입하고, 장착구멍(30)의 양측의 백플레인(3)에 결합후크(109)를 결합하고, 그 결합후크(109)와 지압벽(110)과의 사이에 백플레인(3)을 끼워넣으면, BH하우징(20i)을 백플레인(3)에 장착할 수 있다. 결합후크(109)와 지압벽(110) 사이에서 백플레인(3)을 끼워넣는 힘은 결합후크(109) 및 지압벽(110)이 백플레인(3)에 대하여 슬라이딩가능할 정도로 되어 있다. 그리고, 두 개의 탄성후크(108, 108) 사이에는 플러그인 유니트(1)(도 46 참조)의 외측으로부터 장착구멍(30)(도 40 참조)을 통해 삽입된 MPO플러그(4b)가 삽입가능한 크기의 홈형상의 플러그 삽입부(112)가 확보된다. 이 플러그 삽입부(112)는, 하우징본체(101)의 플러그 수납구멍(103)(도 40, 도 41 참조)에 연통되어 있으므로, 백플레인(3)의 외측(도 43의 좌측)으로부터 플러그 삽입부(112)에 삽입한 MPO플러그(4b)를 플러그 수납구멍(103)에 끼워넣을 수 있다.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구멍(30)은 직사각형으로서, 삽입된 두 개의 탄성후크(108, 108)의 주위에 클리어런스가 확보되는 크기로 되어 있다. 상기 클리어런스는, 예컨대, 수평방향(도 44의 좌우)으로 c=0.34mm, 수직방향(도 44의 상하)으로 d=1.60mm 확보되고, 이 범위에서 탄성후크(108, 108)가 부동가능하며, BH하우 징(20i)의 부동이 허용된다.
플러그인 유니트(1)(도 46 참조)에 프린트보드(2)를 끼워 넣어 PH하우징(5)을 BH하우징(20i)에 맞물리면, PH하우징(5)측의 MPO플러그(4a)가, 하우징본체(101)내의 내부하우징(21a)에 삽입되어 장착구멍(30)을 통해 하우징본체(101)에 삽입된 MPO플러그(4b)와 연결된다. 이 때, PH하우징(5)과 BH하우징(20i)과의 사이의 위치어긋남을 BH하우징(20i) 의 부동에 의해 흡수할 수 있으므로, PH하우징(5)을 BH하우징(20i)에 맞물리는 작업성도 향상될 수 있다.
이 BH하우징(20i)을 백플레인(3)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하우징본체(101)에 장착부품(102)을 장착하여 BH하우징(20i)을 조립하고, 탄성후크(108, 108)를 장착구멍(30)에 밀어넣어 결합후크(109, 109)를 백플레인(3)에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되므로, 백플레인(3)의 양측으로부터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어 장착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그리고, 플러그인 유니트(1)(도 46 참조) 내측의 작업만으로 BH하우징(20i)을 장착할 수 있으므로, 플러그인 유니트(1)의 외측에서 백플레인(3) 근방에 작업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어 건물의 벽 등에 시공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또한, 하우징본체(101)에는 내부하우징(21a)을 미리 수납해 둔다.
그리고, 탄성후크(108, 108) 형상을 조정하는 것만으로 장착구멍(30) 내에 삽입한 탄성후크(108, 108)의 주위의 클리어런스를 조정할 수 있고, BH하우징(20i)의 부동범위를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장착구멍(30) 형상은 단순해도 되어 그 형성작업성도 향상된다.
또한, 핀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부품수가 감소하므로 가격을 절감할 수 있다 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4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로 이루어지는 관모양의 하우징본체(100)에 일체성형에 의해 돌출설치한 한쌍의 탄성후크(100a)선단을 장착구멍(30)에 삽입하여 백플레인(3)과 결합하고, 이 탄성후크(100a) 선단과 하우징본체(100)의 지압벽(100b)(하우징본체(100)의 축방향 단부)와의 사이에 백플레인(3)을 끼워넣음으로써, 백플레인(3)의 원하는 위치에 장착되는 구성도 채용가능하다. 여기서, 내부하우징(21a)을 수납한 하우징본체(100)는 이 자체가 BH하우징(20j)을 구성한다. 이러한 광커넥터에 있어서도, 장착구멍(30)에 삽입한 한쌍의 탄성후크(100a)의 주위에 확보한 클리어런스에 의해 BH하우징(20j)의 부동범위를 확보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러한 구성의 광커넥터에서는, 장착부품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가격절감, 조립시간의 단축 등의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하우징본체, 내부하우징, PH하우징, 고정부품, 장착부품 등의 형상이나 재질 등은 적당히 변경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의해 연결되는 광파이버는 주로 싱글모드이지만, 멀티모드 광파이버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광커넥터는, 단심, 4심, 8심 등 각종 심수에 대응가능하다.
고정부품의 소재로는, 내식성이나 탄성 등을 고려하여 예컨대, 스테인레스 등도 채용가능하다.
광커넥터를 구성하는 하우징(BH하우징, PH하우징, 내부하우징)등의 소재로 는, 예컨대 PPS(폴리페닐렌설피드)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상, 하우징본체의 내부에 수납한 내부하우징에 의해 MPO플러그(4a, 4b)를 맞붙임연결이 가능하도록 위치결정하는 구성의 BP커넥터를 구비하여 되는 구성의 광커넥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광커넥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내부하우징을 구비하지 않는 하우징본체에 의해 직접 MPO플러그(4a, 4b)를 위치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구성도 채용가능하다. 이 경우, BH하우징의 하우징본체를 양측으로부터 삽입된 MPO플러그간을 위치결정하는 어댑터로서 기능하도록 하는 구성 등이 채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에 의하면, 장착구멍내에서의 탄성후크의 부동범위(부동량)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하우징본체의 부동범위(부동량)를 확실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린트보드 하우징을 하우징본체에 맞물릴 때의 치수공차가 하우징본체의 부동에 의해 확실하게 흡수되고, 맞물림이 원활하게 된다. 하우징본체의 부동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특별한 부품을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가격절감이 가능해지고, 조립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본체측으로부터 돌출설치된 탄성후크를 장착구멍에 관통시켜 백플레인과 결합하고, 하우징본체측의 지압벽과의 사이에 백플레인을 끼워넣는 구성도 채용가능하다.

Claims (19)

  1. 백플레인(3)의 앞뒤양측에 대향배치하여, 상기 백플레인(13)을 끼워넣도록 하여 장착하는 하우징본체 (21, 213) 및 고정부품(22, 22a 내지 22e)을 구비하며,
    상기 백플레인(3)에 개구된 장착구멍(30)을 통해 상기 하우징본체(21, 213)에 끼워 넣어진 광커넥터 플러그(4b)와, 그 광커넥터 플러그(4b)에 대하여 대향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하우징본체에 끼워넣어진 다른 광커넥터 플러그(4a)를 연결하는 광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품(22, 22a 내지 22e)은 상기 광커넥터 플러그(4b)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구멍(29, 229)과, 그 플러그 삽입구멍(29, 229)의 양측에 대향배치되고 상기 하우징본체에 끼워넣음으로써 결합되는 탄성후크(25, 225)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후크(25, 225)를 상기 백플레인(3)의 상기 장착구멍(30)을 통해 상기 하우징본체(21, 213)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하우징본체(21, 213)와 상기 고정부품(22, 22a 내지 22e)이 상기 백플레인(3)을 끼워 넣도록 하여 장착되며, 또한 상기 플러그삽입구멍(29, 229)이 상기 장착구멍(30) 및 상기 하우징본체(21, 213)에 대하여 연통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구멍(30)에 삽입한 상기 탄성후크(25, 225)의 주위에 클리어런스를 확보하여 상기 장착구멍내에 있어서의 상기 탄성후크(25, 225)의 변위를 허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품(22a 내지 22d)은 상기 광커넥터 플러그(4b)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구멍(29)과, 그 플러그 삽입구멍(29)의 양측에 대향배치되고 상기 하우징본체(21)에 끼워넣음으로써 결합되는 탄성후크(25)와, 상기 플러그 삽입구멍(29)의 양측에 대향배치되고 상기 백플레인(3)에 맞닿는 용수철부(31, 32, 34)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후크(25)를 상기 백플레인(3)의 상기 장착구멍을 통해 상기 하우징본체에 결합함으로서 상기 하우징본체와 상기 고정부품이 상기 하우징본체와 상기 용수철부와의 사이에 상기 백플레인(3)을 끼워넣도록 하여 장착되고, 또한 상기 플러그 삽입구멍이 상기 장착구멍 및 상기 하우징본체에 대하여 연통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플레인(3)에 대하여 진퇴가능한 프린트보드(2)에 장착된 프린트보드 하우징(5, 36, 40, 58, 401)을 상기 하우징본체(21, 213)에 착탈가능하도록 맞물림으로써 상기 프린트보드 하우징(5, 36, 40, 58, 401)에 지지된 광커넥터 플러그(4a)가 상기 하우징본체(21, 213)에 삽입되고, 장착구멍(30)을 통해 상기 하우징본체(21, 213)에 삽입된 광커넥터 플러그(4b)에 대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21)는 관모양이며, 그 하우징본체(21) 내에 는 연결하는 두 개의 광커넥터 플러그(4a, 4b)를 수납하여 위치결정 지지하는 내부하우징(211)을 수납하고, 그 내부하우징(211)의 측부에는 상기 하우징본체(211)에 결합되는 돌벽(21e)을 돌출설치하고,
    상기 하우징본체(21)에 상기 프린트보드 하우징(36)을 맞물렸을 때, 상기 돌벽(21e)과 중합하는 중합벽(36a)을 상기 프린트보드 하우징(36)에 구비하고,
    상기 돌벽(21e)과 중합벽(36a)이 중합함에 따라 광커넥터 플러그(4a, 4b)의 상기 내부하우징에 대한 삽입인출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작용하는 측압이 상기 중합벽(36a)과 상기 하우징본체(21)에 의해 분산하여 지압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21)는 관모양이며, 그 하우징본체(21) 내에는 연결하는 두 개의 광커넥터 플러그를(4a, 4b) 수납하여 위치결정 지지하는 내부하우징(211)을 수납하고, 그 내부하우징(211)의 측부에는 상기 하우징본체(21)에 결합되는 돌벽(21e)을 돌출설치하고,
    상기 프린트보드 하우징(36)은 상기 하우징본체(21)의 내측 혹은 외측에 맞물리는 지압벽(36c)을 구비하고, 그 지압벽(36c)이 상기 하우징본체(21)의 변형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보드 하우징(40) 내에는 상기 광커넥터 플러그(43)를 수납하는 플러그 수납홈(44)을 구비하고,
    그 플러그 수납홈(44)은 상기 프린트보드 하우징(40)의 상기 하우징본체(21)에의 맞물림방향 뒤쪽에 개구된 수납홈 개구부(45)를 가지며, 상기 수납홈 개구부 (45)_ 근방에는 상기 플러그 수납홈(44)내에 수납한 광커넥터 플러그를 결합지지하는 탄성변형가능한 지지후크(46)를 돌출설치하고, 그 지지후크(46)를 탄성변형시키면서 상기 플러그 수납홈(44)에 상기 광커넥터 플러그(43)를 밀어넣음으로써 그 광커넥터 플러그(43)가 상기 플러그 수납홈(44)내의 원하는 위치에 수납지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프린트보드 하우징(40)에 지지하는 광커넥터 플러그(43)가 광파이버(48)를 맞붙임연결이 가능하도록 단말을 이루는 광커넥터 페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9. 제4항에 있어서, 프린트보드(2)에 관통시킨 리벳구멍(56, 56a, 56b)과 상기 프린트보드 하우징(401, 58)에 형성한 리벳구멍(57, 58a, 58b)에 연통시킨 리벳부품(55, 59, 60)에 의해 상기 프린트보드(2)와 상기 프린트보드 하우징(401, 58)을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부품(55, 59, 60)은 상기 프린트보드(2)의 리벳구멍(56, 56a, 56b) 및 프린트보드 하우징(401, 58)의 리벳구멍(57, 58a, 58b)에 연통되는 관모양의 리벳본체(55a, 59a, 60a)와, 상기 리벳본체(55a, 59a, 60a)의 축방향 일단부로부터 삽입되고, 상기 리벳본체(55a, 59a, 60a)의 축방향 타단부로의 밀어넣음량이 조정됨으로써 상기 리벳본체(55a, 59a, 60a)의 축방향 타단부에 형성한 변형부(55c, 59c, 60c)를 변형시켜 외측으로 넓혀지는 리벳핀(55b, 59b, 60b)을 구비하고,
    상기 리벳본체(55a, 59a, 60a)의 축방향 일단부로부터 돌출설치된 계지돌기(55f, 59d, 60d)와, 상기 리벳핀(55b, 59b, 60b)에 의해 변형된 상기 변형부(55c, 59c, 60c)와의 사이에 상기 프린트보드(2) 및 상기 프린트보드 하우징(401, 58)을 끼워넣도록 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보드 하우징(58)의 측부에 돌출설치된 지압플랜지(58e)에 리벳구멍(58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품(22d)은, 상기 광커넥터 플러그(4a)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구멍(29)이 개구된 본체부(24)와, 상기 플러그 삽입구멍(29)의 양측의 상기 본체부(24)로부터 돌출설치되고, 상기 장착구멍(30)을 통해 상기 하우징본체(21)에 끼워넣음으로써 결합하는 탄성후크(25)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후크(25)를 상기 백플레인(3)의 상기 장착구멍(30)을 통해 상기 하우징본체(21)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하우징본체(21)와 상기 고정부품(22d)이 상기 하우징본체(21)와 상기 본체부(24)와의 사이에 상기 백플레인(3)을 끼워넣도록 하여 장착되고, 또한, 상기 플러그 삽입구멍(29)이 상기 장착구멍(30) 및 상기 하우징본체(21)에 대하여 연통되도록 구성되며,
    게다가, 상기 탄성후크(25)는 상기 하우징본체(21)와 결합되는 선단부(25a)와 상기 본체부(24)와의 사이에 측면에 형성된 오목부(25b)에 의해 상기 선단부(25a)보다 단면형상이 축소된 축소부(25c)를 구비하고, 그 탄성후크(25)를 상기 장착구멍(30)에 삽입하였을 때에는 상기 축소부(25c)가 상기 장착구멍(30)에 위치하고, 상기 축소부(25c)의 주위에 확보된 클리어런스에 의해 상기 장착구멍(30)내에서의 상기 탄성후크(25)의 변위가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21)는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광커넥터 플러그(4a, 4b)의 선단이 끼워넣어져 각각 연결가능하도록 위치결정하는 관모양의 내부하우징(21a, 212)이 내삽되는 관모양이고,
    그 내부하우징(21a, 212)의 대향하는 양측부에는 이 내부하우징(21a, 212)을 상기 하우징본체(21)에 내삽하였을 때 상기 하우징본체(21) 내면에 형성된 결합홈내(21m, 212e)에 결합하는 결합후크(21d, 212d)와, 이 결합후크(21d, 212d)로부터 돌출설치되며, 상기 결합후크(21d, 212d)가 상기 결합홈(21m, 212e)에 삽입되었을 때에는 그 결합홈(21m, 212e)에 들어감으로써 내부하우징(21a, 212)을 상기 하우징본체(21)에 대하여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부(21s, 212h)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후크(212d)는 상기 내부하우징(212) 측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212f)와 그 돌출부(212f)로부터 상기 내부하우징(212)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병행부(212g)를 구비하여 되고, 상기 위치결정부(212h)는 상기 돌출부(212f) 근방의 병행부(212g)로부터 돌출설치된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품(22e)은 상기 광커넥터 플러그(4b)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구멍(229)과, 그 플러그 삽입구멍(229)의 양측에 대향배치되며, 상기 하우징본체(213)의 측부에 결합하는 한쌍의 탄성후크(225)를 구비하고, 각 탄성후크(225)는 대향하는 상대측의 탄성후크(225) 쪽으로 돌출설치한 결합후크(227)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본체(213)의 양측부에는 상기 결합후크(227)가 외측으로부터 결합하는 결합부(213a)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구멍(30)에 끼워넣은 두 개의 탄성후크(225)의 결합후크(227)가 상기 하우징본체(213)의 결합부(213a)에 각각 결합함으로써 상기 하우징본체(213)와 상기 고정부품(22e)이 상기 백플레인(3)을 끼워넣도록 하여 장착되고, 또한 상기 플러그 삽입구멍(229)이 상기 장착구멍(30) 및 상기 하우징본체(213)에 대하여 연통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16. 백플레인(3)에 장착하는 하우징본체(101)를 구비하고, 상기 백플레인(3)에 개구된 장착구멍(30)을 통해 끼워넣어진 광커넥터 플러그(4b)와, 그 광커넥터 플러그에 대하여 대향하는 방향으로부터 끼워넣어진 다른 광커넥터 플러그(4a)를 상기 하우징본체(101) 내에서 연결하는 광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101)의 외측에 장착되어 고정된 장착부품(102)으로부터 한 쌍의 탄성후크(108)가 돌출설치되어 있고, 이들 탄성후크(108)를 상기 장착구멍(30)에 관통시켜 그 장착구멍(30)의 양측의 백플레인(3)과 결합하고, 이들 한쌍의 탄성후크(108)와 상기 장착부품(102)에 설치된 지압벽(110)의 사이에 상기 백플레인(3)을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하우징본체(101)가 상기 백플레인(3)의 원하는 위치에 지지되며,
    상기 장착부품(102)은 상기 광커넥터 플러그(4b)가 삽입가능한 플러그 삽입부(112)를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탄성후크(108)가 상기 플러그 삽입부(112)의 양측에 대향 배치한 지압벽(110)과 각 지압벽(110)으로부터 돌출 설치되어 상기 장착 구멍(30)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장착 구멍(30)의 양측의 백플레인(3)에 결합하고,
    백플레인(3)에 장착된 상기 장착 부품(102)에 의해 상기 하우징 본체(101)를 백플레인(3)의 원하는 위치에 지지하였을 때에는 상기 장착 구멍(30) 및 상기 플러그 삽입부(112)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본체(101)에 상기 광커넥터 플러그(4a, 4b)가 끼워 넣어질 수 있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17. 삭제
  18. 삭제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품(102)으로부터 돌출설치된 한쌍의 플랜지부(107)를 상기 하우징본체(101)에 외측으로부터 맞물림으로써 상기 장착부품(102)이 상기 하우징본체(101)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KR1020007004365A 1997-10-23 1998-10-23 광커넥터 KR1005733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91398 1997-10-23
JP9-291402 1997-10-23
JP9-291396 1997-10-23
JP29139797A JP3372845B2 (ja) 1997-10-23 1997-10-23 光コネクタ
JP29140097A JP3342825B2 (ja) 1997-10-23 1997-10-23 光コネクタ
JP29139897A JP3342824B2 (ja) 1997-10-23 1997-10-23 光コネクタ
JP29139697A JP3342823B2 (ja) 1997-10-23 1997-10-23 光コネクタ
JP9-291397 1997-10-23
JP29140197A JP3372846B2 (ja) 1997-10-23 1997-10-23 光コネクタ
JP9-291400 1997-10-23
JP9-291401 1997-10-23
JP29140297A JP3398584B2 (ja) 1997-10-23 1997-10-23 光コネクタ
JP35374097A JP3401178B2 (ja) 1997-12-22 1997-12-22 光コネクタ
JP9-353740 1997-12-22
JP04823598A JP3342830B2 (ja) 1998-02-27 1998-02-27 光コネクタ
JP10-048235 1998-02-27
PCT/JP1998/004798 WO1999021040A1 (fr) 1997-10-23 1998-10-23 Connecteur op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0262A KR20010040262A (ko) 2001-05-15
KR100573357B1 true KR100573357B1 (ko) 2006-04-24

Family

ID=27572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4365A KR100573357B1 (ko) 1997-10-23 1998-10-23 광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425692B1 (ko)
EP (1) EP1026528B1 (ko)
KR (1) KR100573357B1 (ko)
DE (1) DE69837716T2 (ko)
WO (1) WO19990210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640B1 (ko) * 2018-10-22 2019-11-06 (주)화이버 옵틱코리아 누액 감지센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3357B1 (ko) 1997-10-23 2006-04-24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광커넥터
US6760531B1 (en) * 1999-03-01 2004-07-06 Adc Telecommunications, Inc. Optical fiber distribution frame with outside plant enclosure
US6406192B1 (en) 1999-12-07 2002-06-18 Molex Incorporated Connector assembly floating mount
US6364534B1 (en) 2000-02-29 2002-04-02 Lucent Technologies, Inc. Panel mounting assembly for optical fiber connectors
JP3565341B2 (ja) * 2000-08-07 2004-09-15 株式会社フジクラ クリップ除去工具およびクリップ除去方法
CA2353140A1 (en) * 2000-08-10 2002-02-10 Fci America's Technology, Inc. Optical connector adapter
US7073953B2 (en) 2001-08-31 2006-07-11 Amphenol Corporation Modular fiber optic connection system
JP3800606B2 (ja) * 2002-12-27 2006-07-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アダプタ
US7144163B2 (en) * 2003-01-27 2006-12-05 Fujikura Ltd. Optical connector with shutter, shutter unit, and inner piece
US7142764B2 (en) 2003-03-20 2006-11-2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Optical fiber interconnect cabinets, termination modules and fiber connectivity management for the same
US7198409B2 (en) 2003-06-30 2007-04-03 Adc Telecommunications, Inc. Fiber optic connector holder and method
US7233731B2 (en) 2003-07-02 2007-06-19 Adc Telecommunications, Inc. Telecommunications connection cabinet
US6983095B2 (en) 2003-11-17 2006-01-03 Fiber Optic Network Solution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optical fibers and components within an enclosure in an optical communications network
US7369741B2 (en) * 2003-11-17 2008-05-06 Fiber Optics Network Solutions Corp. Storage adapter with dust cap posts
US7218827B2 (en) * 2004-06-18 2007-05-15 Adc Telecommunications, Inc. Multi-position fiber optic connector holder and method
JP4155584B2 (ja) * 2004-12-28 2008-09-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
US7194181B2 (en) 2005-03-31 2007-03-20 Adc Telecommunications, Inc. Adapter block including connector storage
US7760984B2 (en) 2006-05-04 2010-07-20 Adc Telecommunications, Inc. Fiber distribution hub with swing frame and wrap-around doors
US7654849B2 (en) 2007-03-22 2010-02-02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Releasably locking auto-aligning fiber optic connector
US8382382B2 (en) 2008-08-27 2013-02-26 Adc Telecommunications, Inc. Fiber optic adapter with integrally molded ferrule alignment structure
WO2010059623A1 (en) 2008-11-21 2010-05-27 Adc Telecommunications, Inc. Fiber optic telecommunications module
JP5311570B2 (ja) * 2009-05-26 2013-10-0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装置及び相手側光コネクタ装置
US9720183B2 (en) 2009-08-24 2017-08-01 Panduit Corp. Fiber optic adapter with enhanced alignment
WO2011107180A1 (de) 2010-03-02 2011-09-09 Adc Gmbh Faseroptisches telekommunikationsmodul
US9016959B2 (en) * 2010-11-05 2015-04-28 Fci Opto-electronic module with patchcords
TW201239434A (en) * 2011-03-24 2012-10-01 Netgami System Llc Multi-diameter optical fiber link for transmitting unidirectional signals and eliminating signal deterioration
US9417418B2 (en) 2011-09-12 2016-08-16 Commscope Technologies Llc Flexible lensed optical interconnect device for signal distribution
ES2855523T3 (es) 2011-10-07 2021-09-23 Commscope Technologies Llc Casete de fibra óptica, sistema y método
US10215926B2 (en) 2011-12-14 2019-02-26 Commscope Technologies Llc Multi-fiber fiber optic connection system with flexible, insertable pins
DE102012102842B4 (de) * 2012-04-02 2015-07-23 Phoenix Contact Gmbh & Co. Kg Befestigung und Abdichtung von Steckanschlussmodulen in einer Gehäusewand
JP5607687B2 (ja) * 2012-07-27 2014-10-1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固定構造、およびコネクタ固定方法
US9146362B2 (en) 2012-09-21 2015-09-29 Adc Telecommunications, Inc. Insertion and removal tool for a fiber optic ferrule alignment sleeve
ES2792122T3 (es) 2012-09-28 2020-11-10 Commscope Connectivity Uk Ltd Casete de fibra óptica
US9146374B2 (en) 2012-09-28 2015-09-29 Adc Telecommunications, Inc. Rapid deployment packaging for optical fiber
US9223094B2 (en) 2012-10-05 2015-12-29 Tyco Electronics Nederland Bv Flexible optical circuit, cassettes, and methods
US9435975B2 (en) 2013-03-15 2016-09-06 Commscope Technologies Llc Modular high density telecommunications frame and chassis system
US9851524B2 (en) 2014-01-28 2017-12-26 Commscope Technologies Llc Slidable fiber optic connection module with cable slack management
US9494758B2 (en) 2014-04-03 2016-11-15 Commscope Technologies Llc Fiber optic distribution system
JP6231440B2 (ja) * 2014-06-13 2017-11-15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の清掃工具
WO2016068892A1 (en) * 2014-10-29 2016-05-06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Optical connector assembly apparatus
EP3227736A1 (en) 2014-12-01 2017-10-11 Commscope Asia Holdings B.V. Multi-fiber optic connector with pivotally-aligned ferrule
US10302874B2 (en) 2015-05-15 2019-05-28 Commscope Telecommunications (Shanghai) Co., Ltd. Alignment sleeve assembly and fiber optic adapter
US10203457B2 (en) 2015-06-19 2019-02-12 Commscope Technologies Llc Fiber optic connector ferrule with improved alignment mechanism
CN107329210B (zh) 2016-04-19 2021-03-09 西蒙公司 通信连接器安装夹
US10251302B2 (en) * 2017-06-20 2019-04-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chassis for installing electronic equipment in a rack
WO2019070682A2 (en) 2017-10-02 2019-04-11 Commscope Technologies Llc OPTICAL CIRCUIT AND PREPARATION METHOD
US10591682B1 (en) * 2018-08-31 2020-03-17 Ortronics, Inc. Detachable bezel for cassette mounting
US11428875B2 (en) * 2019-01-25 2022-08-30 Us Conec Ltd. Single port blindmate for fiber optic connectors
US11156784B1 (en) * 2020-07-15 2021-10-2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Connector assembly installable from an exterior of a customer premises
TWI750065B (zh) * 2021-03-19 2021-12-11 駿程科技有限公司 彈扣片及應用彼之光纖耦合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0873A (ja) * 1988-08-01 1990-02-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プラグインコネクタ
JPH02135305A (ja) * 1988-11-16 1990-05-24 Hirose Electric Co Ltd 光中継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5546A (en) 1978-09-04 1980-03-12 Nec Corp Time division multiplex transfer system
EP0330231B1 (en) * 1988-02-26 1995-05-10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Plug-in connector
US5138680A (en) * 1991-04-17 1992-08-11 Amp Incorporated Optical fiber connector with elastomeric centering and floating alignment feature
GB2265774B (en) 1992-03-30 1996-06-12 Yang Tai Her Stepped compound voltage power supply and field control arrangement for a DC motor driving circuit
US5530783A (en) * 1994-08-31 1996-06-25 Berg Technology, Inc. Backplane optical fiber connector for engaging boards of different thicknesses and method of use
US5600746A (en) * 1995-02-28 1997-02-04 Lucent Technologies Inc. Patch panel and collar for optical fiber couplers
US5719977A (en) * 1996-04-23 1998-02-17 Lucent Technologies Inc. Optical connector with immovable ferrule
US5956444A (en) * 1997-02-13 1999-09-21 Amphenol Corporation Radiation absorbing shield for fiber optic systems
KR100573357B1 (ko) 1997-10-23 2006-04-24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광커넥터
US6188827B1 (en) * 1998-09-04 2001-02-13 Lucent Technologies Inc. Attenuator element for a buildout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0873A (ja) * 1988-08-01 1990-02-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プラグインコネクタ
JPH02135305A (ja) * 1988-11-16 1990-05-24 Hirose Electric Co Ltd 光中継用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640B1 (ko) * 2018-10-22 2019-11-06 (주)화이버 옵틱코리아 누액 감지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0262A (ko) 2001-05-15
US20020150347A1 (en) 2002-10-17
DE69837716T2 (de) 2008-01-10
US6755574B2 (en) 2004-06-29
DE69837716D1 (de) 2007-06-14
US6425692B1 (en) 2002-07-30
EP1026528A4 (en) 2002-06-05
EP1026528B1 (en) 2007-05-02
EP1026528A1 (en) 2000-08-09
WO1999021040A1 (fr) 199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3357B1 (ko) 광커넥터
JP3120375B2 (ja) 光ファイバコネクタ組立体
JP4818666B2 (ja) 光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光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付き基板
EP2105773B1 (en) Optical connector
EP0969298B1 (en) Optical fiber connector in which an optical fiber is protected even when connection is not made
CN113296195B (zh) 改进的光纤连接器模块
JPH1172659A (ja) 光学的な多重コネクタ
US20060280409A1 (en) Optical connector
JP3312192B2 (ja) 光ファイバの保持構造、及び光コネクタ
CN113109906B (zh) 一种光模块光口适配器、光模块及光模块的组装方法
JP3588716B2 (ja) 光コネクタ
JP2562577Y2 (ja) 光コネクタ
JP3401178B2 (ja) 光コネクタ
JP3282974B2 (ja) 光コネクタ
JP3953611B2 (ja) 光コネクタ
JP2003156660A (ja) 光コネクタ装置
JP2002311296A (ja) 光コネクタ
JP3398584B2 (ja) 光コネクタ
JP4481234B2 (ja) 光コネクタ
JP4261455B2 (ja) 光ジャンクションコネクタ
JP3372845B2 (ja) 光コネクタ
JPH11109186A (ja) 光モジュール及びこれに用いる配線板並びに光ファイバ
JP2002107578A (ja) 光コネクタ
JPH0521214U (ja) 多芯光コネクタ
JP2009020236A (ja) 接続保持具ならびにこの接続保持具を用いた光ファイバコネクタと光電子部品と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