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8282B1 -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용 첨가제, 이첨가제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첨가제를 첨가한 유전체조성물 슬러리 - Google Patents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용 첨가제, 이첨가제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첨가제를 첨가한 유전체조성물 슬러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8282B1
KR100568282B1 KR1020030082504A KR20030082504A KR100568282B1 KR 100568282 B1 KR100568282 B1 KR 100568282B1 KR 1020030082504 A KR1020030082504 A KR 1020030082504A KR 20030082504 A KR20030082504 A KR 20030082504A KR 100568282 B1 KR100568282 B1 KR 100568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ve
slurry
ceramic capacitor
dielectric composition
multilayer cera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2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8788A (ko
Inventor
김대환
최치준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2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8282B1/ko
Publication of KR20050048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8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8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8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 H01B3/025Other 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 H01G4/1209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eramic Capacitors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대량 생산된 첨가제 슬러리를 시이트(sheet)상으로 성형하고, 성형된 시이트 상태로 보관함으로써 재응집을 방지할 수 있고 우수한 분산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산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적층 세라믹의 유전체 조성물용 첨가제, 그 제조방법 및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 슬러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 슬러리에 첨가되는 첨가제에 있어서,
첨가제가 시이트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용 첨가제, 그 제조방법 및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 슬러리를 제조하는 방법을 그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균일분산이 용이하고 동시에 분산안정성이 확보된 첨가제를 얻을 수 있다.
적층 세라믹 콘덴서, 유전체 조성물, 주성분, 첨가제, 분산성, 시이트

Description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용 첨가제, 이 첨가제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첨가제를 첨가한 유전체 조성물 슬러리{Additive for Dieletric Composition of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eletric Composition Slurry of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도 1은 종래방법에 따라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 슬러리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2는 다른 종래방법에 따라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 슬러리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 슬러리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4는 종래방법에 따라 제조된 첨가제의 시간에 따른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V2O5의 슬러리의 겔화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Y2O3의 슬러리의 층분리 형상을 나타낸 것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첨가제의 시간에 따른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 는 것으로서,
(a)는 Y2O3의 슬러리의 양호한 분상성을 나타내고, (b)는 Mn3O4의 슬러리의 양호한 분산성을 나타낸 것임
도 6은 종래방법들 및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첨가제 및 유전체 슬러리를 사용하여 제조된 적층 세라믹 콘덴서에 대한 가속수명을 나타내는 그래프
본 발명은 적층 세라믹 콘덴서용 유전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에 첨가되는 첨가제 및 이 첨가제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첨가제를 첨가한 유전체 조성물 슬러리에 관한 것이다.
적층 세라믹 콘덴서는 소형, 대형, 고신뢰성의 전자부품으로서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 기기의 소형, 고성능화에 따라 적층세라믹 콘덴서에 대한 소형화, 대용량화, 저가격화, 고신뢰성화에의 요구는 점점 커지고 있다.
적층 세라믹 콘덴서는 티탄산 바륨(BaTiO3)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전체 조성물 세라믹 원료에 첨가제, 용제 분산제, 및 바인더등을 첨가하여 습식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한 다음, 이 슬러리를 시이트상으로 성형한 후, 성형된 유전체 시이트에 내부 전극층용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인쇄법등에 의하여 내부전극을 형성을 하 고, 이 인쇄된 유전체 시이트를 다수 적층한 다음, 적층체중의 내부 전극층과 유전체층을 동시에 소성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유전체 시이트용 슬러리는 티탄산 바륨(BaTiO3)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전체 세라믹 원료에 부성분 세라믹 원료 첨가제를 혼합한 후, 용제 분산제, 및 바인더를 첨가하여 습식혼합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에 의하여 유전체 시이트 슬러지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첨가제들의 비표면적, 입도등이 다양하여 슬러리 분쇄배합법등에 의해서 첨가제들이 균일하게 분산되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부 또는 전체의 주원료와 첨가제를 혼합하고 하소처리하여 분쇄한 후 습식혼합과정을 통하여 슬러리화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하소후에 단일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므로, 각 상(phase)마다 비표면적, 입경등이 서로 다를 뿐 아니라 분쇄시에 각 상별로 파괴강도등이 달라 상별로 비표면적 차이가 더욱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방법들에서와 같이 주성분을 위주로 하는 슬러리 배합방법을 근간으로 하는 종래기술은 강도가 큰 첨가제 상이 용이하게 분쇄되지 않고, 또한 비표면적이 큰 첨가제는 분산제 부족 현상으로 골고루 분산되어질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 특허공보 특개평 5-124857호에서는 첨가제를 미리 혼합분산하여 입경이 0.2∼1.0㎛가 되도록 분쇄하여 건조한 후, 주 성분과 용제, 분산제, 바인더를 첨가하여 습식 혼합하는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 특개평 5-124857호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건조단계에서 첨가제가 재차 응집되고, 또한 첨가제사이의 분리현상이 발생하여 첨가제가 주성분내에 완전히 분산되지 않고 수 ㎛정도의 편석과 이상(異相)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 특허공보 특개평 10-255549호에서는 첨가제를 혼합 분쇄하여 플라즈마 처리함으로써 혼합분쇄된 첨가제를 0.001-0.15㎛의 초미립자로 형성한 후 주성분과 혼합하는 제조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10-270284호에서는 첨가제를 혼합한 후 600-1600℃에서 열처리하고 분쇄함으로써 평균 입경이 0.05-1.0㎛의 미립자를 만든 후 플라즈마 처리를 하여 0.001-0.15㎛크기의 초미립자로 형성한 후, 동결건조를 행하여 괴립으로 만들어 주성분과 혼합하는 제조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들은 첨가제를 미립자화 한 후, 동시에 주성분과 혼합 분산시키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첨가제와 주성분의 비표면적의 차이에 의해 분산제, 결합제의 양 또는 종류가 차별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술한 종래 기술들은 각 성분별로 최적의 분산 혼합상태를 이루지 못하여, 특히 비표면적이 주성분에 비하여 매우 큰 첨가제에 대해서는 주성분에 비해 많은 상당량의 분산제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주성분을 기준으로 첨가됨으로 인 하여 매우 적은 양의 분산제 밖에는 할당되지 못하여 분산작용을 거의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 결과, 종래기술에 따라 유전체의 두께를 8㎛이하로 축소하는 공정을 진행하는 경우, 첨가제의 편석으로 인하여 공정수율이 하락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주성분원료에 첨가제 원료를 화학적으로 표면코팅시키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 방법은 고가의 공정비용이 요구되며 첨가제를 용해시키는 화학용액의 증발건조과정에서 첨가제의 분리 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코팅된 첨가제를 열처리하는 경우에는 첨가제의 재응집이 일어나고, 이에 따른 분산불량을 야기시키게 된다.
한편, 종래 기술은 전술한 첨가제의 응집 편석문제 이외에도, 내환원성 유전체 소성에 있어서는 소성온도가 1150-1300℃등으로 비교적 높게 설정되는데, 그 결과 고온에서 세라믹을 환원시켜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더욱이, 종래기술은 첨가제가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지 못하므로 전기적 특성의 저하도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첨가제들을 함께 혼합하여 액상으로 한 후, 주성분 슬러리에 혼합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의 경우에는 각각의 첨가제에 따른 계면활성제 및 결합제의 종류가 적절하지 않고 첨가량이 부족하거나 과다하여 첨가제들을 최적으로 분산시키는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첨가제들을 각각 선분산시키는 기술이 대 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2-94329호에 제시되어 있다.
즉, 상기 대한민국특허공보에는 복수개의 첨가제를 각각 또는 비표면적 크기별로 선정된 기준에 따라 그룹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각 그룹에 대하여 분산제의 종류, 분산제의 양, 또는 분산조건을 달리하여 분산제와 응집제를 넣고 1차 습식분쇄시키고, 분쇄된 슬러리에 바인더를 첨가하여 2차 습식 혼합 분산시킨 다음, 각각의 첨가제 또는 비표면적별로 분류된 슬러리를 동일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주성분과 습식 혼합하여 유전체 세라믹 슬러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첨가제가 응집됨이 없이 골고루 분산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첨가제들을 각각 선분산시키는 기술을 통하여 신뢰성 향상 및 첨가제의 편석현상을 줄일 수 있었지만, 첨가제의 분산안정성이 확보되지 못해서 투입시기에 따른 조성비의 오차가 발생하고, 침전 및 겔화가 진행되는 경우가 발생함으로써 대량생산에 따른 재현성 및 생산성에 큰 차질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및 실험을 행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대량 생산된 첨가제 슬러리를 시이트(sheet)상으로 성형하고, 성형된 시이트 상태로 보관함으로써 재응집을 방지할 수 있고 우수한 분산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산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적층 세라믹의 유전체 조성물용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첨가제를 사용하여 적층 세라믹의 유전체 조성물 슬러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 슬러리에 첨가되는 첨가제에 있어서,
첨가제가 시이트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용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 슬러리에 첨가되는 첨가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를 저점도로 분산시켜 첨가제 슬러리를 제조한 후, 첨가제 슬러리를 테이프 캐스팅에 의하여 시이트상으로 성형하고 건조하여 시이트상의 첨가제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용 첨가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주성분에 1종 또는 2종이상의 첨가제가 첨가되어 조성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 슬러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첨가제를 저점도로 분산시켜 각각의 첨가제 슬러리를 제조한 후, 첨가제 슬러리를 각각 테이프 캐스팅에 의하여 시이트상으로 성형하고 건조하여 시이트상의 첨가제를 제조한 다음, 주성분 슬러리에 시이트상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습식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 슬러 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에 바람직하게 적용되는 것이다.
상기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은 주성분과 첨가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보다 바람직하게 적용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은 그 주성분이 BaTiO3,(Ba,Ca)(Ti,Zr)O3 이고, 그 함량이 전체중량의 50중량%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한 첨가제는 V,Ni,Y,Cr,W,Si,Mg,Ca,Ba,Nd,Nb,Co,Ti,Sr,및 Er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함량이 전체중량의 50중량%이하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부합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용 첨가제는 시이트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시이트상의 첨가제는 유기물로 코팅되어 있다.
상기 첨가제 시이트의 두께는 적용하고자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특성에 따라 적절히 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첨가제 시이트의 두께는 테이프 캐스팅법의 조건 및 핸들링성을 고려하여 0.1㎛~10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30㎛로 설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첨가제 시이트는 첨가제를 저점도로 분산시켜 첨가제 슬러리를 제조한 후, 첨가제 슬러리를 테이프 캐스팅(tape casting)에 의하여 시이트상으로 성형하고 건조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첨가제 슬러리는 각각의 첨가제에 개별적으로 솔벤트, 분산제 및 바인더등을 적절히 혼합하고 분산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분산은 비즈 밀(beads mill)을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바스켓 밀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첨가제 슬러리의 점도는 1000cps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첨가제 슬러리를 테이프 캐스팅하여 시이트상으로 성형을 하는데, 테이프 캐스팅시 캐리어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고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캐리어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다 얇은 두께의 첨가제 시이트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시이트상으로 성형된 첨가제는 적절히 건조되며, 건조온도는 시이트의 두께등에 따라 적절히 선정될 수 있다.
상기 건조온도는 100℃이하로 설정하는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한 건조온도는 60∼90℃이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테이프 케스팅법은 웨트(wet) 방식 및 롤 투 롤(roll to roll)방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는 테이프 케스팅 조건은 캐스팅 속도 : 5∼70m/min, 슬러리 공급 압력: 0.3∼1.0Mpa, 캐스팅 온도: 35∼95℃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시이트상의 첨가제는 유기물로 코팅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 슬러리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이트상의 첨가제를 제조한 다음, 주성분 슬러리에 시이트상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습식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시이트상의 첨가제는 유기물로 코팅되어 있다.
본 발명에 부합되는 첨가제 시이트는 롤(roll)형태로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분쇄하여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첨가제는 밀봉하여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조된 또는 제조되어 보관되어 있는 시이트상의 첨가제를 주성분 슬러리에 첨가하면, 첨가제는 유기물로 코팅된 상태임으로 재응집이 어렵고 솔벤트에 잘 풀어져서 액상의 선분산 첨가제와 동일하게 균일한 분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120L 바스켓밀 적용시 수십~100회를 사용할 수 있는 첨가제 시이트를 제작할 수 있으며, 변형의 위험이 덜하기 때문에 한번 제작하면 언제 어디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해외기지로의 기술이전이나 횡전개가 용이하여 균일한 품질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종래예]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2-94329호에 제시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첨가제인 V2O5의 슬러리 및 Y2O3의 슬러리를 각각 제조한 후 시간에 따른 상태 변화를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a)는 V2O5의 슬러리에 대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Y2O3 의 슬러리에 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V2O5의 슬러리는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겔화(Gelation)현상이 발생하고, Y2O3의 슬러리는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침강에 의한 솔벤트와 파우더간의 층분리가 현격하게 나타났다.
즉, V2O5 슬러리의 경우에는 PVB바인더(Poly(Vinyl Alcohol))이 첨가되면서 겔화현상이 심각하게 발생했다.
글루타민산 혹은 포스페이트 에스테르(Phosphate ester)등과 같은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경우에도 겔화현상이 지연되기는 하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겔화현상이 심각하게 발생하였다.
V(vanadium)의 경우 겔화공정(Gel process)에 주로 사용되는 원소로서 V-OH-V 결합과 같은 네트워크(network)를 형성하는 겔화 반응을 수반한다.
따라서, 종래방법의 경우에는 다른 유기첨가제를 통하여 겔화현상을 제어하거나 빠른 타이밍에 사용하여야 한다.
즉, 장기간 보관이 어렵게 된다.
또한, Y2O3 슬러리의 경우에는 슬러리의 파우더 침강에 의한 층분리 현상이 나타났다.
특히,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낮은 점도를 사용해야 하지만, 분산안정성이 떨어짐으로 인하여 침강이 빠르게 일어난다.
스톡의 식(Stoke's equation)에 따르면, 침강속도는 용매의 점도에 반비례하고 입자크기에 비례한다.
따라서, 용매의 점도를 높이기 위하여 다량의 바인더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응집체가 증가하고 분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발명예]
첨가제인 Y2O3의 슬러리 및 Mn3O4의 슬러리를, 본 발명에 따라 시이트상으로 테이프 캐스팅하고 건조하여 첨가제 시이트를 각각 제조한 후 시간에 따른 상태 변화를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a)는 Y2O3의 슬러리에 대한 것을 나타내고, 도 5(b)는 Mn3O4 의 슬러리에 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첨가제 시이트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양호한 분산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오랜기간 보관하더라도 상 분리 및 겔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더욱이, 용매에 녹였을 때 잘 풀어지면서 재응집이 발생하지 않은채 슬러리 에 잘 용해될 수 있으므로 용매형태로 투입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Y2O3 첨가제 시이트를 재용해 시킨 결과, 성형전 평균입도(D50)가 0.50㎛인 Y2O3가 재용해시 그 입도가 0.505㎛로 관찰되었으며, 이는 입도 변화가 거의 없이 동일한 슬러리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실시예 2)
첨가제로서, MgCO3, 그라스, V2O5, Y2O3, Mn3 O4, Cr2O3를 사용하여 유전체 조성물를 제조한 다음, 이를 이용하여 적층 세라믹 콘덴서를 제조한 후, 가속수명(High Accelated Life Time; HALT)시험을 행하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서 종래예(a)는 첨가제 및 유전체 조성물 슬러리를 도 1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것이고, 종래예(b)는 첨가제 및 유전체 조성물 슬러리를 도 2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것이고, 그리고 발명예는 첨가제 및 유전체 조성물 슬러리를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것이다.
상기 HALT 시험은 가로 3.2mm, 세로 1.6mm, 높이 1.6mm의 크기를 가지고 10㎌의 정전용량을 갖는 시편에 대하여 150℃의 온도 및 3×Vr(정격전압)에서 행한 것이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첨가제 및 유전체 조성물 슬러리를 사용하여 제조된 적층 세라믹 콘덴서가 종래방법에 따라 제조된 첨가제 및 유전체 조성물 슬러리를 사용하여 제조된 적층 세라믹 콘덴서에 비하여 가속수명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저점도 바스켓밀 분산을 통하여서 분산성이 확보된 슬러리를 적용함으로써 첨가제의 균일분산이 용이하고 동시에 첨가제를 시이트상으로 제조하여 사용 및 보관후 사용함으로써 분산안정성이 확보된 첨가제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Cr,Y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의 파우더는 쉽게 침전되는 특성이 있는데 첨가제를 시이트상으로 캐스팅함으로서 분산안정성을 가질 수 있고 또한 균일한 양을 매 슬러리에 투입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글라스(Glass), Mg, V와 같이 상대적으로 시간에 따른 점도상승 및 겔화 가능성이 높은 물질들을 빠른시간에 케스팅함으로써 균일한 조성의 분산안정성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개별 첨가제 선분산과 동등 또는 우수한 가속수명 및 고온IR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1)

  1. 유전체 조성물의 주성분 슬러리에 첨가되고, 그리고 그 형상이 시이트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용 첨가제
  2. 제1항에 있어서, 유전체 조성물의 주성분이 BaTiO3,(Ba,Ca)(Ti,Zr)O3 이고, 그리고 그 함량이 전체중량의 50중량%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용 첨가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첨가제가 V,Ni,Y,Cr,W,Si,Mg,Ca,Ba,Nd,Nb,Co,Ti,Sr,및 Er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함량이 전체중량의 50중량%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용 첨가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첨가제 시이트의 두께가 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용 첨가제
  5. 제3항에 있어서, 첨가제 시이트의 두께가 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용 첨가제
  6.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 슬러리에 첨가되는 첨가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첨가제 분말을 저점도로 분산시켜 첨가제 슬러리를 제조한 후, 첨가제 슬러리를 테이프 캐스팅에 의하여 시이트상으로 성형하고 건조하여 시이트상의 첨가제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용 첨가제의 제조방법
  7. 유전체 조성물의 주성분과 제1항에 기재된 시이트상 첨가제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 슬러리
  8. 제7항에 있어서, 유전체 조성물의 주성분이 BaTiO3,(Ba,Ca)(Ti,Zr)O3 이고, 그리고 그 함량이 전체중량의 50중량%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 슬러리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첨가제가 V,Ni,Y,Cr,W,Si,Mg,Ca,Ba,Nd,Nb,Co,Ti,Sr,및 Er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함량이 전체중량의 50중량%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 슬러리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첨가제 시이트의 두께가 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 슬러리
  11. 제9항에 있어서, 첨가제 시이트의 두께가 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 슬러리
KR1020030082504A 2003-11-20 2003-11-20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용 첨가제, 이첨가제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첨가제를 첨가한 유전체조성물 슬러리 KR100568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2504A KR100568282B1 (ko) 2003-11-20 2003-11-20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용 첨가제, 이첨가제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첨가제를 첨가한 유전체조성물 슬러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2504A KR100568282B1 (ko) 2003-11-20 2003-11-20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용 첨가제, 이첨가제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첨가제를 첨가한 유전체조성물 슬러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8788A KR20050048788A (ko) 2005-05-25
KR100568282B1 true KR100568282B1 (ko) 2006-04-05

Family

ID=37247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2504A KR100568282B1 (ko) 2003-11-20 2003-11-20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용 첨가제, 이첨가제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첨가제를 첨가한 유전체조성물 슬러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82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441B1 (ko) * 2009-12-31 2012-02-29 삼성전기주식회사 유전체 자기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8788A (ko) 2005-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9580B1 (ko) 스핀코팅에 의한 적층세라믹 커패시터의 제조방법 및적층세라믹 커패시터
KR100674846B1 (ko) 유전체용 세라믹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 세라믹분말을이용하여 제조된 적층세라믹커패시터
US6589446B1 (en) Ceramic slurry composition
JP2001163675A (ja) セラミックスラリー、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及び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KR100376084B1 (ko) 세라믹 슬러리, 세라믹 슬러리 조성물, 세라믹 그린시트 및 다층 세라믹 전자부품의 제조방법
JP3783678B2 (ja) 誘電体セラミック用原料粉末の製造方法、誘電体セラミック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KR100568286B1 (ko) 유전체 세라믹 분말에 첨가제를 분산, 코팅하는 방법
KR100568282B1 (ko)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용 첨가제, 이첨가제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첨가제를 첨가한 유전체조성물 슬러리
JP3705052B2 (ja) 超微粒子導体ペーストの製造方法
KR20180115373A (ko) Mlcc용 유전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0695760B1 (ko) 산화마그네슘 코팅된 티탄산바륨 입자 및 초음파를사용하는 그의 제조방법
JP3675254B2 (ja) セラミックスラリー、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及び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4506138B2 (ja) スラリーの製造方法、グリーン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積層型電子部品の製造方法
KR100951319B1 (ko) 유전체 세라믹재료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그린시트, 소결체 및 세라믹 콘덴서
JP3538706B2 (ja) セラミックスラリー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の製造方法
JP3602338B2 (ja) セラミック粉末の製造方法
CN100354996C (zh) 低频细晶陶瓷电容器介质材料的制备方法
KR20050049883A (ko) 고용량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박층 형성용하이브리드 졸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하이브리드 졸
KR20220140441A (ko) 전기분사용 전극조성물
JP2003146764A (ja) セラミックスラリーの製造方法
KR20010078252A (ko) 유전체 세라믹 분체, 세라믹 그린 시트, 적층 세라믹콘덴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0587461B1 (ko) 그린 쉬트용 슬러리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그린 쉬트
JP2003068561A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2006351348A (ja) 導電性ペースト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2001196257A (ja)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