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7557B1 - Keypad for portable appliance and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 Google Patents

Keypad for portable appliance and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7557B1
KR100567557B1 KR1020040066947A KR20040066947A KR100567557B1 KR 100567557 B1 KR100567557 B1 KR 100567557B1 KR 1020040066947 A KR1020040066947 A KR 1020040066947A KR 20040066947 A KR20040066947 A KR 20040066947A KR 100567557 B1 KR100567557 B1 KR 100567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key
mobile terminal
main
key 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9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18540A (en
Inventor
양윤홍
Original Assignee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6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7557B1/en
Publication of KR20060018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5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7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75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8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f rectilinearly movable switches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9/00Layers
    • H01H2209/016Protection layer, e.g. for legend, anti-scra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24Packing between substrate and membrane
    • H01H2229/028Adhe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한된 크기의 프런트 하우징(F)의 구멍(F1)에 배열되는 키(100a)의 개수를 가장 이상적으로 늘리면서 더욱 효율적으로 배치시켜 휴대 단말기(H)를 편리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프런트 하우징(F)의 제한된 공간인 구멍(F1)을 통하여 노출되는 키(100a)를 메인키(10)들과 보조키(20)들로 구분지어 제공함으로써 더욱 복잡해지고 다양해진 휴대 단말기(H)의 운영 소프트웨어 및 콘텐츠 등에 대한 조작을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H can be conveniently and easily used by more efficiently placing the number of keys 100a arranged in the hole F1 of the front housing F of a limited siz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pad for a termina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he key 100a exposed through the hole F1, which is a limited space of the front housing F, is divided into main keys 10 and auxiliary keys 20. By doing so, the operation software and contents of the mobile terminal H, which are more complicated and diverse, can be more conveniently and easily operated.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KEYPAD FOR PORTABLE APPLIANCE AND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KEYPAD FOR PORTABLE APPLIANCE AND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도 1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휴대 단말기의 일종인 셀룰러폰을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ellular phone which is a kind of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prior art is applied.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가 셀룰러폰의 프런트 하우징 및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조립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keypad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ssembled between a front housing of a cellular phone and a printed circuit board.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 단말기의 일종인 셀룰러폰을 나타내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ellular phone which is a kind of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를 나타내는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keypad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keypad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도 6g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를 상세한 설명과 함께 이해하기 쉽도록 도시한 단면도.6A to 6G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keypad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asy understanding with detailed descrip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키패드 100a : 키100: keypad 100a: key

10 : 메인키 11 : 메인키탑10: main key 11: main key top

12 : 홈 20 : 보조키12: Home 20: Auxiliary Key

21 : 보조키탑 100b : 패드21: auxiliary key top 100b: pad

30 : 필름 31 : 포밍부30 film 31 forming part

32 : 평면부 40 : 베이스 부재32: flat part 40: base member

41 : 돌기 50 : 인쇄면41: projection 50: printing surface

60 : UV 코팅층 70 : 접착제60: UV coating layer 70: adhesive

F : 프런트 하우징 F1 : 구멍F: front housing F1: hole

P : 인쇄회로기판 P1 : 접점P: Printed Circuit Board P1: Contact

D : 돔 스위치 S : 스페이서D: Dome Switch S: Spacer

S1 : 홀 H : 휴대 단말기S1: Hall H: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한된 크기의 프런트 하우징의 구멍에 배열되는 키의 개수를 가장 이상적으로 늘리면서 더욱 효율적으로 배치시켜 휴대 단말기를 편리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pad for a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more efficiently arrange the number of keys arranged in a hole of a front housing of a limited size more efficiently and conveniently and easily use the mobi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pad for a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는 가정용 전화기, PDA, 셀룰러폰 등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고 있으며 인쇄회로기판과 연동되어 시그널을 발생시키는 스위칭 부재로서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keypad for a portable terminal is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home telephone, a PDA, a cellular phone, and the like, and is used as a switching member for generating a signal in conjunction with a printed circuit board.

이하 소개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는 편의상 셀룰러폰용 키패드를 하나의 예로서 설명하기로 하고 본 발명에서는 이에 크게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For convenience, the keypad for a mobile terminal introduced below will be described as a keypad for a cellular phone as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통상적으로 셀룰러폰의 키 조작은 작동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돔 스위치를 사용하고, 키의 저면에 형성된 돌기가 돔 스위치를 가압하여 인쇄회로기판의 접점을 터치토록 함으로써 시그널이 발생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된다.In general, a key operation of a cellular phone uses a dome switch to have a feeling of operation, and a protrusion formed on the bottom of the key presses the dome switch so that a signal can be generated by touching a contact point of a printed circuit board. .

도 1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휴대 단말기(H)의 일종인 셀룰러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1)가 셀룰러폰의 프런트 하우징(F) 및 인쇄회로기판(P) 사이에 조립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프런트 하우징(F)의 구멍(F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키탑(3)을 갖는 키(2)와, 프런 트 하우징(F) 속으로 안착되는 베이스 부재(5)를 구비한 패드(4)를 보여주고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ellular phone, which is a kind of mobile terminal H to which the prior art is applied, and FIG. 2 is a front panel F and a printed circuit board of a cellular pho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ssembly between P) and a key 2 having a key top 3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le F1 of the front housing F, and a base seated into the front housing F. The pad 4 with the member 5 is show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1)는 키탑(3)의 저면 중앙에 돔 스위치(D)의 탄성에 연동되면서 인쇄회로기판(P)의 접점(P1)을 터치할 수 있도록 돌출 성형된 돌기(6)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keypad 1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connected to the elasticity of the dome switch 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key top 3 while the contact point P1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P is provided. )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6 protruded.

이때, 베이스 부재(5)와 키탑(3)은 연결부(7)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데, 이 연결부(7)는 키탑(3)의 상하이동을 보장할 수 있도록 얇은 두께로 마련되고, 키탑(3)의 상면에는 문자나 숫자가 인쇄된 인쇄면(8)을 구비한다.At this time, the base member 5 and the key top 3 is formed integrally by the connecting portion 7, the connecting portion 7 is provided in a thin thickness to ensure the shandong of the key top 3, the key top ( The upper surface of 3) includes a printing surface 8 on which letters or numbers are printed.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키패드(1)의 키(2)를 누르면 그 저면에 형성된 돌기(6)가 돔 스위치(D)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인쇄회로기판(P)의 접점(P1)과 접촉하면서 시그널을 발생하게 된다.When the key 2 of the keypad 1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pressed, the projections 6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keypad 1 overcome the elastic force of the dome switch D and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point P1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P. Will occur.

그리고, 시그널을 발생시킨 다음 키(2)에서 손을 이탈시키면 돔 스위치(D) 및 연결부(7)의 자체 탄성으로 키(2)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When the signal is generated and the hand is released from the key 2, the key 2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ity of the dome switch D and the connection part 7.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1)는 프런트 하우징(F)의 구멍(F1)으로 노출되는 키(2)가 단일의 평면상에서 대등한 크기와 동일 유사한 형상으로 균등하게 배치되어 키(2)의 개수를 늘리는데 한계가 있고, 이 때문에 제한된 수의 키(2)로서 더욱 다양해진 휴대 단말기(H)의 운영 소프트웨어나 콘텐츠 등을 조작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상존하였다.However, the keypad 1 for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equally arranged in a shape similar to the same size on the single plane with the keys 2 exposed through the holes F1 of the front housing F. There is a limit to increasing the number of keys 2, and therefor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operate the operating software, contents, etc. of the mobile terminal H which has become more diverse as a limited number of keys 2 has existed.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H)의 운영 소프트웨어를 조작하여 동일한 키(2)로서 한글모드와 영문모드 등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기도 하였으나, 이 또한 모드변환이라는 번거러운 과정을 거쳐야 하는 불편함을 피할 수 없고, 다른 한편으로 키(2)의 크기를 작게 하여 더욱 많은 키(2)들을 배열할 수도 있겠으나 제한된 프런트 하우징(F)의 구멍(F1)에 노출되는 키(2)들의 특성상 더 작게 제작할 경우 키(2) 누름시의 주변 키(2)들이 함께 눌러지는 현상이 속출할 수밖에 없어 또 다른 과제로 등장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for example, the operating key of the mobile terminal H is designed to be changed into the Korean mode and the English mode with the same key (2), but this also requires a cumbersome process of mode conversion. Discomfort cannot be avoided, and on the other hand, the size of the key 2 can be made smaller so that more keys 2 can be arranged, but the keys 2 are exposed to the holes F1 of the limited front housing F. In the case of making smaller, the phenomenon that the peripheral key (2) is pressed together when the key (2) is pressed together can not help but continue to appear as another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프런트 하우징의 제한된 공간인 구멍을 통하여 노출되는 키를 메인키들과 보조키들로 구분지어 배열하여 더욱 복잡해지고 다양해진 휴대 단말기의 운영 소프트웨어 및 콘텐츠 등에 대한 조작을 편리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overcome the above disadvantage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re complicated and diverse portable device by arranging the keys exposed through the holes, which are limited spaces of the front housing, by dividing the keys into main and auxiliary key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eypad for a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enable convenient and easy operation of the operating software and contents of the termi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프런트 하우징의 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키와, 상기 키를 지지하는 패드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에 있어서,In the keypad for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key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hole of the front housing, and a pad for supporting the key,

상기 키는The key is

상기 패드 위에 오와 열을 맞추어 서로 인접된 상태로 배치되면서 각각의 모서리에 홈을 갖는 메인키들과,Main keys having grooves at each corner and arranged in a state adjacent to each other in line with the row on the pad,

상기 메인키들의 조합에 따라 제공된 홈에 밀착 배치되는 보조키들을 포함하 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The main feature of the technical configuration is to include auxiliary keys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provided groove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main key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평평한 필름을 제공하는 스텝과,(a) providing a flat film,

(b) 상기 필름을 가압하여 서로 균등하게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도록 보조키 형상의 포밍부를 제공하면서 그 사이에 평면부를 각각 갖도록 하는 스텝과,(b) pressurizing the film to provide an auxiliary key-shaped forming part so as to be equally spaced from each other, and having a flat part therebetween;

(c) 상기 포밍부에 채워지는 보조키탑에 의해 보조키를 구현하면서 상기 평면부의 하면에 위치되는 베이스 부재를 제공하여 패드를 구현하는 스텝과,(c) implementing a pad by providing a base member position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lat part while implementing the auxiliary key by the auxiliary key top filled in the forming part;

(d) 상기 보조키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각각의 모서리에 홈을 가지며 서로 오와 열을 맞추어 상기 필름의 평면부 위에 서로 인접된 상태로 접착되는 메인키탑을 갖는 메인키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방법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d) providing main keys having grooves at each corner to receive the auxiliary key and having main key tops bonded to each other on a flat portion of the film in a row with each other in a row with each other; What is achieved is a basic feature of the technical metho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고, 이들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through these embodiments, 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etter understood.

본 발명은 제한된 크기의 프런트 하우징(F)의 구멍(F1)에 배열되는 키(100a)의 개수를 가장 이상적으로 늘리면서 더욱 효율적으로 배치시켜 휴대 단말기(H)를 더욱 편리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으로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 단말기(H)의 일종인 셀룰러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H)용 키패드(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H)용 키패드(100)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to use the mobile terminal H more conveniently and easily by more efficiently placing the number of the keys 100a arranged in the holes F1 of the front housing F of the limited size most efficiently.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ellular phone which is a kind of mobile terminal H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keypad 100 for a mobile terminal 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keypad 100 for portable terminals H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H)의 일종인 셀룰러폰은 프런트 하우징(F)의 구멍(F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키(100a)와, 이 키(100a)를 지지하기 위한 패드(100b)로 구분할 수 있고, 키(100a)에는 문자나 숫자가 다양하게 식별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As shown in FIGS. 3 to 5, the cellular phone, which is a kind of portable terminal 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 100a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le F1 of the front housing F, and the key ( The pad 100b for supporting the 100a may be divided, and the key 100a is designed to be variously identified with letters or numbers.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H)용 키패드(100)의 핵심 구성이 되는 키(100a)는 패드(100b) 위에 오와 열을 맞추어 서로 인접된 상태로 배치되면서 각각의 모서리에 홈(12)을 갖는 메인키(10)들과, 이들 메인키(10)의 조합에 따라 제공된 홈(12)에 밀착 배치되는 보조키(20)들을 포함하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The key 100a, which is a key component of the keypad 100 for the mobile terminal 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in a state adjacent to each other by aligning rows and rows on the pad 100b and having grooves 12 at each corn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main key (10) having and the auxiliary key (20)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ove 12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combination of these main key (10) is the biggest technical configuration features.

프런트 하우징(F)의 구멍(F1)에 노출되는 키(100a)는 평면에서 바라봤을 때 대부분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을 이루어 균등하게 배치되는데, 사용자가 키(100a)를 누를 경우 주변의 다른 키(100a)를 실수로 가압하는 우려를 줄이기 위하여 가능하면 키(100a)의 중심을 눌러야 하는 것이 사용자의 반사적 동작이라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키(100a)와 키(100a)의 경계 특히 키(100a)의 모서리 부분에 있어서 만큼은 사용자가 착오로 누를 확률이 매우 적다 할 수 있으며, 결국 이 부분에서의 다른 키(100a)의 활용이 가능함은 본 발명에서의 가장 큰 아이템이 된다.The key 100a exposed to the hole F1 of the front housing F is disposed evenly in the form of a rectangle or a square when viewed in a plan view. When the user presses the key 100a, other keys 100a around the key 100a are disposed. In order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accidentally pressing the key, the user should press the center of the key 100a as much as possible, which is a reflective operation of the user. Accordingly, the boundary between the key 100a and the key 100a, in particular, the corner of the key 100a As for the part, the user is very unlikely to press the error by mistake, and the use of another key 100a in this part is the biggest item in the present invention.

결국, 본 발명은 프런트 하우징(F)의 제한된 공간인 구멍(F1)을 통하여 노출되는 키(100a)를 메인키(10)들과 보조키(20)들로 구분지어 제공토록 함으로써 더욱 복잡해지고 다양해진 휴대 단말기(H)의 운영 소프트웨어 및 콘텐츠 등에 대한 조작을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complicated and diverse by providing the key 100a exposed through the hole F1, which is a limited space of the front housing F, divided into the main keys 10 and the auxiliary keys 20. It is possible to more conveniently and easily perform operations on the operating software, content, and the like of the degraded portable terminal H.

도 6a 내지 도 6g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H)용 키패드(100)를 상세한 설명과 함께 이해하기 쉽도록 도시한 단면도로서, 키(100a) 조작에 대한 작동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돔 스위치(D)를 사용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고, 패드(100b)의 구성이 되는 베이스 부재(40)의 돌기(41)가 돔 스위치(D)를 가압하여 인쇄회로기판(P)의 접점(P1)을 터치하면서 시그널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된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6A to 6G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keypad 100 for a mobile terminal 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detailed description for easy understanding, and a dome switch D to have a feeling of operation for the key 100a operation. ), The protrusion 41 of the base member 40, which is the pad 100b, presses the dome switch D to touch the contact point P1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P. It shows that it is designed as a structure that can generate signals.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H)용 키패드(100)에 적용된 키(100a) 중 메인키(10)들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100b) 위에 접착되는 독립된 메인키탑(11)을 구비하고, 아울러 보조키(20)들은 패드(100b)와 일체화된 보조키탑(21)을 구비한다.Preferably, the main keys 10 of the keys 100a applied to the keypad 100 for the portable terminal 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dependent main key tops 11 bonded onto the pad 100b as shown in FIG. 6A. In addition, the auxiliary key 20 is provided with a secondary key top 21 integrated with the pad (100b).

메인키(10)들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바라봤을 때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에 유사한 형상들로 이루어져 있고, 이에 따라 패드(100b)와 접촉되는 표면적이 넓을 수밖에 없으므로 독립된 메인키탑(11)으로서 패드(100b) 위에 접착식으로 배치시킬 경우 더욱 견고하게 상호간의 결합을 이룰 수 있고, 반면 보조키(20)들은 메인키탑(11)의 모서리에 부여된 홈(12)에 밀착되어 배치되므로 그 표면적이 작을 수밖에 없으므로 가능하면 패드(100b)와 일체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결국 메인키(10)들의 조합에 따라 제공되는 홈(12)에 밀착 배치되는 보조키(20)들은 전체적으로 원기둥형을 취할 수 있으며, 아울러 홈(12)의 형상이 다각형 일 경우 그에 맞는 보조키(20)들의 형상을 결정지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main keys 10 ar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a rectangle or a square when viewed in a plane, and thus have a large surface area in contact with the pad 100b, so that the pad 100b is an independent main key top 11. If the adhesive is placed on the top) can be mor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while the auxiliary keys 20 are arranged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ove 12 provided at the corner of the main key top 11, so that the surface area is inevitably small If possible, it would be desirable to integrate the pad 100b, and the auxiliary keys 20 arranged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oves 12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combination of the main keys 10 may take the shape of a cylinder as a whole. If the shape of 12 is a polygon,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shape of the auxiliary keys 20 can be determined.

더욱 바람직하게, 패드(100b)는 보조키(20)를 이루는 보조키 형상의 포밍부(31)와 메인키(10)가 안착되는 평면부(32)를 가지는 필름(30)을 기본으로 하고, 포밍부(31)에 채워져 보조키탑(21)을 이루면서 평면부(32)의 하면에 위치되는 베이스 부재(40)를 포함한다.More preferably, the pad 100b is based on the film 30 having the auxiliary key-shaped forming part 31 constituting the auxiliary key 20 and the flat part 32 on which the main key 10 is seated. The base member 40 is filled in the forming part 31 to form the auxiliary key top 21 and position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t part 32.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H)용 키패드(100)는 보조키탑(21)을 제공하는 베이스 부재(40)와 포밍부(31)를 갖는 필름(30)으로 패드(100b)를 구현할 수 있고, 이 패드(100b)는 결국 보조키(20)를 일체화된 형태로 제공함과 동시에 그 평면부(32)에 메인키(10)들을 접착식으로 배치시킬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여 제한된 크기의 프런트 하우징(F)의 구멍(F1)임에도 불구하고 극히 효율적인 키(100a)들의 조합을 실현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keypad 100 for the mobile terminal 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mplement the pad 100b by the film 30 having the base member 40 and the forming part 31 providing the auxiliary key top 21. The pad 100b eventually provides the auxiliary key 20 in an integrated form and provides a space for adhesively arranging the main keys 10 on the flat portion 32, thereby providing a front housing having a limited size. Despite the hole F1 in (F), a highly efficient combination of the keys 100a can be realized.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H)용 키패드(10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30)을 투명의 합성수지로 제작하며, 이러할 경우 포밍부(31)의 하면에 문자 또는 숫자로 된 인쇄면(50)을 구비할 수 있다.As a specific embodiment, the keypad 100 for the mobile terminal (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m 30 is made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as shown in Figure 6b, in this case the character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orming unit 31 Or a printed surface 50 in numerals.

이와는 다르게,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H)용 키패드(100)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밍부(31)의 상면에 문자 또는 숫자로 된 인쇄면(50)을 구비시킬 수 있고, 이 인쇄면(50) 위에 UV 코팅층(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keypad 100 for the mobile terminal 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printing surface 50 of letters or number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rming unit 31 as shown in FIG. 6C. The UV coating layer 60 may be further included on the printing surface 50.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H)용 키패드(100)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키(10)의 메인키탑(11)을 투명의 합성수지로 제작할 수 있고, 이러할 경우 메인키탑(11)의 하면에 문자 또는 숫자로 된 인쇄면(5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와는 다르게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키탑(11)의 상면에 문자 또는 숫자로 된 인쇄면(50)을 구비할 경우 이 인쇄면(50) 위에 UV 코팅층(60)을 더 포함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Subsequently, the keypad 100 for the mobile terminal 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manufacture the main key top 11 of the main key 10 as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as shown in FIG. 6D, in which case the main key top 11 ) May be provided with a printing surface 50 of letters or numbers. Alternatively, the printing surface 50 of letters or numbers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key top 11 as shown in FIG. 6E. In this case, of course, the UV coating layer 60 may be further included on the printing surface 50.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H)용 키패드(100)는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30) 및 메인키탑(11)을 동시에 투명의 합성수지로 제작할 수 있고, 이러할 경우 포밍부(31) 및 평면부(32)의 하면 각각에 문자 또는 숫자로 된 인쇄면(50)을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keypad 100 for the mobile terminal (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at the same time the film 30 and the main key top 11, as shown in Figure 6f, in this case the forming unit The lower surface of the 31 and the flat portion 32 may be provided with a printed surface 50 of letters or numbers.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H)용 키패드(100)는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30)과 베이스 부재(40) 사이에 접착제(70; 예를 들어 프라이머 접착제)를 부여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보조키탑(21) 및 메인키탑(11)에 대응되는 베이스 부재(40) 하면에는 돌기(41)를 각각 돌출시켜 돔 스위치(D)와 연동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keypad 100 for the mobile terminal 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mpart an adhesive 70 (for example, a primer adhesive) between the film 30 and the base member 40 as shown in FIG. 6G. In addition, the projections 41 are respectively protrud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member 40 corresponding to the auxiliary key top 21 and the main key top 11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the dome switch D.

이때, 베이스 부재(40) 하면에 돌기(41)를 생략할 경우 돔 스위치(D) 상면에 돌기(41)를 직접 부여하여도 되므로 휴대 단말기(H)용 키패드(100)에 관한 한 돌기(41)의 유무는 선택적이라 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projection 41 is omit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40, the projection 41 may be directly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ome switch D, so that the projection 41 is related to the keypad 100 for the mobile terminal H. ) Presence or absence is optional.

한편, 돔 스위치(D) 아래에는 인쇄회로기판(P)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켜 주기 위한 스페이서(S)가 위치되고, 이 스페이서(S)는 키패드(100)를 조립시킨 후 돔 스위치(D)가 인쇄회로기판(P)에 위치한 접점(P1)과 접촉할 수 있도록 돔 스위치(D)에 대응되는 부분에 홀(S1)을 구비한다.Meanwhile, under the dome switch D, a spacer S for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P is positioned. The spacer S is assembled with the keypad 100 and then the dome switch D. The hole S1 is provid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ome switch D so that the contact with the contact point P1 loca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P is possible.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과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H)용 키패드(100)의 제조방법은 먼저 평평한 필름(30)을 제공하고(a), 이 필름(30)을 가압하여 서로 균등하게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도록 보조키 형상의 포밍부(31)를 제공하면서 그 사이에 평면부(32)를 각각 갖도록 하며(b), 포밍부(31)에 채워지는 보조키탑(21)에 의해 보조키(20)를 구현하면서 평면부(32)의 하면에 위치되는 베이스 부재(40)를 제공하여 패드(100b)를 구현하는 과정을 거친다(c).Method for manufacturing a keypad 100 for a mobile terminal (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nd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first provides a flat film 30 (a), press the film 30 to equalize each other In order to be arranged at a distance so as to provide an auxiliary key-shaped forming part 31, each having a flat part 32 therebetween (b), to the auxiliary key top 21 to be filled in the forming part 31 By providing the base member 40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lanar portion 32 while implementing the auxiliary key 20,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pad (100b) (c).

이후, 보조키(20)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각각의 모서리에 홈(12)을 가지며 서로 오와 열을 맞추어 필름(30)의 평면부(32) 위에 서로 인접된 상태로 접착되는 메인키탑(11)을 갖는 메인키(10)들을 제공하여(d)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H)용 키패드(100)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한다.Subsequently, the main key top 11 having grooves 12 at each corner so as to receive the auxiliary key 20 and bonded to each other on the flat portion 32 of the film 30 in line with each other in a row with each other. (D) to complete the keypad 100 for the mobile terminal (H)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에서 필름(30)과 베이스 부재(40)의 결합으로 패드(100b)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이 패드(100b)와 일체화된 보조키(20)를 미리 제작할 수 있으며, 이후 자연스럽게 독립된 메인키(10)를 필름(30)의 평면부(32) 위에 접착(예를 들면 프라이머 접착)시키므로써 더욱 간소한 스텝으로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H)용 키패드(100)를 완성할 수 있게 된다.In this series of processes, the pad 100b may be provid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ilm 30 and the base member 40, and the auxiliary key 20 integrated with the pad 100b may be manufactured in advance. By naturally bonding the independent main key 10 onto the flat portion 32 of the film 30 (for example, primer bonding), the keypad 100 for the mobile terminal H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pleted in a simpler step. It becomes possible.

이때, 상기 (a)스텝에서 필름(30)을 투명의 합성수지로 할 경우 상기 (b)스텝에서 포밍부(31)의 하면에 문자 또는 숫자로 된 인쇄면(50)을 구비시킬 수 있고, 상기 (b)스텝 내지 (d)스텝 중 어느 한 스텝에서 포밍부(31)의 상면에 문자 또는 숫자로 된 인쇄면(50)을 구비시키는 스텝과, 이 인쇄면(50) 위에 UV 코팅층(60)을 구비시키는 스텝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H) 용 키패드(100)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작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에서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스텝이 된다.In this case, when the film 30 is made of transparent synthetic resin in step (a), the printing surface 50 of letters or numbers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orming unit 31 in step (b). (b) providing a printing surface 50 of letters or number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rming unit 31 in any one of steps (d) to (d), and the UV coating layer 60 on the printing surface 50. Of course, it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providing, which is a step that can be selectively changed in a series of processes for producing the keypad 100 for the mobile terminal (H)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efficiently.

더불어, 상기 (d)스텝에서 메인키(10)의 메인키탑(11)을 투명의 합성수지로 할 수 있고, 이러할 경우 메인키탑(11)의 하면에 문자 또는 숫자로 된 인쇄면(50)을 구비시킬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상기 (d)스텝에서 메인키탑(11)의 상면에 문자 또는 숫자로 된 인쇄면(50)을 구비시킬 경우 인쇄면(50) 위에 UV 코팅층(60)을 구비시키는 스텝을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d), the main key top 11 of the main key 1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and in this case,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key top 11 includes a printed surface 50 of letters or numbers. In the step (d), the step of providing a UV coating layer 60 on the printing surface 50 is provided when the printing surface 50 of letters or numbers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key top 11. You can proceed.

한편, 상기 (c)스텝에서 베이스 부재(40) 하면에 돌기(41)를 돌출시킬 수 있고, 상기 (a)스텝에서 필름(30)에 접착제(70)를 투여하여 베이스 부재(40)와의 결합력을 증진시킬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ep (c) it is possible to project the projection 41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40, in step (a) by administering the adhesive 70 to the film 30 in the bonding force with the base member 40 You can also promote it.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과 스텝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H)용 키패드(100)가 적용된 셀룰러폰은 자체의 운영 소프트웨어에 대한 모드변환을 특별히 하지 않아도 메인키(10) 또는 보조키(20)의 조작만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메인키(10)나 보조키(20)를 누를 경우 그 누름 압력에 의하여 베이스 부재(40)의 저면에 형성된 돌기(41)가 돔 스위치(D)와 면 접촉을 하면서 돔 스위치(D)의 자체 탄성을 극복하고 아래쪽으로 탄력 이동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P)에 형성된 접점(P1)과 접촉되어 시그널을 발생시키고, 이어서 시그널을 발생시킨 후 누르고 있던 키(100a)에서 손을 이탈시키면 돔 스위치(D)와 키(100a)는 자체탄력에 의하여 원래 위치로 되돌아오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The cellular phone to which the keypad 100 for the mobile terminal 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steps is applied does not require a special mode conversion for its own operating software. It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only by the operation of, and when the main key 10 or the auxiliary key 20 in this way, the projection 41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member 40 by the pressing pressure of the dome switch (D) ) To overcome the self-elasticity of the dome switch (D) while making a surface contact and to move downward to make contact with the contact point (P1)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P) to generate a signal, and then generate a signal When the hand is released from the key 100a, the dome switch D and the key 100a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their own elasticity.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은 제한된 크기의 프런트 하우징(F)의 구멍(F1)에 배열되는 키(100a)의 개수를 가장 이상적으로 늘리면서 더욱 효율적으로 배치시켜 휴대 단말기(H)를 편리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keypad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ortable terminal are more efficiently arranged and more efficiently while most ideally increasing the number of keys 100a arranged in the hole F1 of the front housing F of a limited size. The terminal H can be used conveniently and easily.

즉, 프런트 하우징(F)의 제한된 공간인 구멍(F1)을 통하여 노출되는 키(100a)를 메인키(10)들과 보조키(20)들로 구분지어 제공함으로써 더욱 복잡해지고 다양해진 휴대 단말기(H)의 운영 소프트웨어 및 콘텐츠 등에 대한 조작을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That is, by providing the key 100a exposed through the hole F1, which is a limited space of the front housing F, divided into the main keys 10 and the auxiliary keys 20, a more complicated and diverse portable terminal (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software and the contents of H) can be made more convenient and easier.

더욱 구체적으로, 보조키탑(21)을 제공하는 베이스 부재(40)와 포밍부(31)를 갖는 필름(30)으로 패드(100b)를 구현할 수 있고, 이 패드(100b)는 결국 보조키(20)를 일체화된 형태로 제공함과 동시에 그 평면부(32)에 메인키(10)들을 접착식으로 배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제한된 공간의 프런트 하우징(F)의 구멍(F1)임에도 불구하고 극히 효율적인 키(100a)들의 조합을 실현시킬 수 있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pad 100b may be embodied by the film 30 having the base member 40 and the forming part 31 providing the auxiliary key top 21, and the pad 100b eventually becomes the auxiliary key 20. ) Is provided in an integrated form, and at the same time, the main keys 10 can be adhesively arranged on the flat portion 32, so that the key 100a is extremely effective despite being a hole F1 of the front housing F in a limited space. ) Can be realized.

더불어, 필름(30)과 베이스 부재(40)의 결합으로 패드(100b)를 제공할 수 있고, 이 패드(100b)와 일체화된 보조키(20)를 미리 제작할 수 있게 되며, 이후 자연스럽게 독립된 메인키(10)를 필름(30)의 평면부(32) 위에 접착시키므로써 더욱 간소한 스텝으로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H)용 키패드(100)를 완성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combining the film 30 and the base member 40, the pad 100b can be provided, and the auxiliary key 20 integrated with the pad 100b can be manufactured in advance, and then the main key is naturally independent. By adhering (10) onto the flat portion 32 of the film 30, the keypad 100 for the mobile terminal H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pleted in a simpler step.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H)용 키패드(100)가 적용된 셀룰러폰은 자체의 운영 소프트웨어에 대한 모드변환을 특별히 하지 않아도 메인키(10) 또 는 보조키(20)의 조작만으로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ellular phone to which the keypad 100 for the mobile terminal H is appl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convenient only by the operation of the main key 10 or the auxiliary key 20 without special mode conversion for its own operating software. You can see that there is a usefulness that can be used.

본 발명의 목적, 구성 및 작용효과를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제한된 크기의 프런트 하우징(F)의 구멍(F1)에 배열되는 키(100a)의 개수를 가장 이상적으로 늘리면서 더욱 효율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도록 메인키(10)와 보조키(20)의 조합으로 나누는 것을 가장 큰 핵심구성으로 하고, 기타 변화 가능한 공정 및 구성들은 다양한 경우의 수로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변화 가능한 경우의 수를 모두 포함하며 특허청구범위의 해석 또한 이에 준하는 것으로 한다.
As can be seen from the object,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efficiently arranged while ideally increasing the number of keys 100a arranged in the holes F1 of the front housing F of a limited size. Divided into a combination of the main key 10 and the auxiliary key 20 so as to be the largest core configuration, and other variable processes and configurations will be understood as a number of various case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cover all such numbers and to interpret the claims.

Claims (17)

프런트 하우징(F)의 구멍(F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키(100a)와, 상기 키(100a)를 지지하는 패드(100b)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에 있어서,In the keypad for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key (100a)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le (F1) of the front housing (F), and a pad (100b) for supporting the key (100a), 상기 키(100a)는The key 100a is 상기 패드(100b) 위에 오와 열을 맞추어 서로 인접된 상태로 배치되면서 각각의 모서리에 홈(12)을 갖는 메인키(10)들과,Main keys 10 having grooves 12 at each corner and arranged in a state adjacent to each other by aligning rows and rows on the pad 100b, 상기 메인키(10)들의 조합에 따라 제공된 홈(12)에 밀착 배치되는 보조키(20)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Keypad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uxiliary key (20)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ove (12) provide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main key (10).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인키(10)들은 상기 패드(100b) 위에 접착되는 독립된 메인키탑(11)을 구비하고,The main keys 10 have an independent main key top 11 adhered to the pad 100b, 상기 보조키(20)들은 상기 패드(100b)와 일체화된 보조키탑(2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The auxiliary key (20) is a keypad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uxiliary key top (21) integrated with the pad (100b).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패드(100b)는The pad 100b is 상기 보조키(20)를 이루는 보조키 형상의 포밍부(31) 및 상기 메인키(10)가 안착되는 평면부(32)를 가지는 필름(30)과,A film 30 having a auxiliary key-shaped forming part 31 constituting the auxiliary key 20 and a flat part 32 on which the main key 10 is seated; 상기 포밍부(31)에 채워져 상기 보조키탑(21)을 이루면서 상기 평면부(32)의 하면에 위치되는 베이스 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And a base member (40) which is filled in the forming part (31) and forms the auxiliary key top (21) and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at part (32).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필름(30)은 투명의 합성수지이고,The film 30 is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상기 포밍부(31)의 하면에 문자 또는 숫자로 된 인쇄면(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Keypad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orming unit (31) with a printed surface (50) of letters or numbers.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포밍부(31)의 상면에 문자 또는 숫자로 된 인쇄면(50)을 구비하고,It is provided with a printing surface 50 of letters or number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rming unit 31, 상기 인쇄면(50) 위에 UV 코팅층(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Keypad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UV coating layer (60) on the printing surface (50).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메인키(10)의 메인키탑(11)은 투명의 합성수지이고,The main key top 11 of the main key 10 is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상기 메인키탑(11)의 하면에 문자 또는 숫자로 된 인쇄면(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Keypad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inted surface (50) of letters or number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key top (11).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메인키(10)는The main key 10 is 상기 메인키탑(11)의 상면에 문자 또는 숫자로 된 인쇄면(50)을 구비하고,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key top 11 is provided with a printing surface 50 of letters or numbers, 상기 인쇄면(50) 위에 UV 코팅층(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Keypad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UV coating layer (60) on the printing surface (50).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필름(30) 및 상기 메인키탑(11)은 투명의 합성수지이고,The film 30 and the main key top 11 is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상기 포밍부(31)의 하면 및 상기 평면부(32)의 하면 각각에 문자 또는 숫자로 된 인쇄면(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Keypad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orming unit (31)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lat portion (32) having a printing surface (50) of letters or numbers.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보조키탑(21) 및 상기 메인키탑(11)에 대응되는 상기 베이스 부재(40) 하면에 각각 돌출된 돌기(4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Keypad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ojection (41)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40) corresponding to the auxiliary key top (21) and the main key top (11), respectively.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필름(30)과 베이스 부재(40) 사이에 투여되는 접착제(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Keypad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dhesive (70) administered between the film (30) and the base member (40). (a) 평평한 필름(30)을 제공하는 스텝과,(a) providing a flat film 30, (b) 상기 필름(30)을 가압하여 서로 균등하게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도록 보조키 형상의 포밍부(31)를 제공하면서 그 사이에 평면부(32)를 각각 갖도록 하는 스텝과,(b) pressurizing the film 30 to provide an auxiliary key-shaped forming part 31 so as to be equally spaced from each other, and having a flat part 32 therebetween, (c) 상기 포밍부(31)에 채워지는 보조키탑(21)에 의해 보조키(20)를 구현하면서 상기 평면부(32)의 하면에 위치되는 베이스 부재(40)를 제공하여 패드(100b)를 구현하는 스텝과,(c) by providing the base member 40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at part 32 while implementing the auxiliary key 20 by the auxiliary key top 21 filled in the forming part 31, the pad 100b. Implementing steps, (d) 상기 보조키(20)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각각의 모서리에 홈(12)을 가지며 서로 오와 열을 맞추어 상기 필름(30)의 평면부(32) 위에 서로 인접된 상태로 접착되는 메인키탑(11)을 갖는 메인키(10)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의 제조방법.(d) a main having a groove 12 at each corner so as to receive the auxiliary key 20 and bonded to each other on the flat portion 32 of the film 30 in line with each other in a row and a row; A method of manufacturing a keypad for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the steps of providing main keys (10) having a keytop (11).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a)스텝에서 In step (a) above 상기 필름(30)은 투명의 합성수지이고,The film 30 is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상기 (b)스텝에서In the step (b) 상기 포밍부(31)의 하면에 문자 또는 숫자로 된 인쇄면(50)을 구비시키는 스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keypad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roviding a printing surface (50) of letters or number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orming unit (31).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b)스텝 내지 (d)스텝 중 어느 한 스텝에 있어서,In any one of step (b) to (d), 상기 포밍부(31)의 상면에 문자 또는 숫자로 된 인쇄면(50)을 구비시키는 스텝과,Providing a printing surface 50 of letters or number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rming unit 31; 상기 인쇄면(50) 위에 UV 코팅층(60)을 구비시키는 스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keypad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roviding a UV coating layer (60) on the printing surface (50).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d)스텝에서In the step (d) 상기 메인키(10)의 메인키탑(11)은 투명의 합성수지이고,The main key top 11 of the main key 10 is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상기 메인키탑(11)의 하면에 문자 또는 숫자로 된 인쇄면(50)을 구비시키는 스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 keypad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roviding a print surface (50) of letters or number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key top (11).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d)스텝에서In the step (d) 상기 메인키탑(11)의 상면에 문자 또는 숫자로 된 인쇄면(50)을 구비시키는 스텝과,Providing a printing surface 50 of letters or number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key top 11; 상기 인쇄면(50) 위에 UV 코팅층(60)을 구비시키는 스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keypad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roviding a UV coating layer (60) on the printing surface (50).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c)스텝에서In the step (c) 상기 베이스 부재(40) 하면에 돌기(41)를 돌출시키는 스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keypad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rojecting a projection (41)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40).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a)스텝에서In step (a) above 상기 필름(30)에 접착제(70)를 투여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 keypad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administering an adhesive (70) to the film (30).
KR1020040066947A 2004-08-25 2004-08-25 Keypad for portable appliance and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KR1005675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947A KR100567557B1 (en) 2004-08-25 2004-08-25 Keypad for portable appliance and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947A KR100567557B1 (en) 2004-08-25 2004-08-25 Keypad for portable appliance and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540A KR20060018540A (en) 2006-03-02
KR100567557B1 true KR100567557B1 (en) 2006-04-05

Family

ID=37126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947A KR100567557B1 (en) 2004-08-25 2004-08-25 Keypad for portable appliance and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755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913B1 (en) * 2004-09-21 2012-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al capable of reduction in a number of key op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540A (en) 200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65261B1 (en) Keypad for mobile phone with electroluminescent element
KR20080064116A (en) Key she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20060180455A1 (en) Movable contact element and panel switch using the same
JP4588576B2 (en) Thin key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4503938A (en) Seamless faceplate assembly for keypad device
US20140146445A1 (en) Portable input device
WO2006082973A1 (en) Thin key sheet
KR100567557B1 (en) Keypad for portable appliance and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JPH117862A (en) Key switch
WO2008044764A1 (en) Operation key structure
KR100888817B1 (en) Personal portable device
JP2009026729A (en) Movable contact with light guiding function and input device using the same
US7679015B2 (en) Keypad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JP4102696B2 (en) Heat dissipating structure for input device of electronic device and mobile phone device having the structure
US20100245133A1 (en) Key sheet
TWM503646U (en) Membrane keypad device
KR20000056618A (en) Keypad for cellular pho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GB2353762A (en) Keypad with multi-directional key of greater rigidity than the keypad membrane
CN201282055Y (en) Film key device and key structure with the same
JP2001357750A (en) Laminated key sheet
KR20050030881A (en) Keypad for portable appliance and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JP4357254B2 (en) Key sheet and key sheet manufacturing method
KR100844441B1 (en) Button plate for personal portable device
CN216120003U (en) Key unit for switch panel
KR100344850B1 (en) Touch type button structure for cellular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