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4441B1 - Button plate for personal portable device - Google Patents

Button plate for personal portab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4441B1
KR100844441B1 KR1020060049900A KR20060049900A KR100844441B1 KR 100844441 B1 KR100844441 B1 KR 100844441B1 KR 1020060049900 A KR1020060049900 A KR 1020060049900A KR 20060049900 A KR20060049900 A KR 20060049900A KR 100844441 B1 KR100844441 B1 KR 100844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heet
plate
hole
rubber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9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115443A (en
Inventor
박철
이연우
Original Assignee
(주)지엔씨
구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엔씨, 구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지엔씨
Priority to KR1020060049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4441B1/en
Publication of KR20070115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54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4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44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3/00Form of contacts
    • H01H2203/036Form of contacts to solve particular problems
    • H01H2203/038Form of contacts to solve particular problems to be bridged by a dome shaped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36Light emitting element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는 키 입력을 위한 버튼 영역이 표시된 인쇄 필름, 인쇄 필름의 저면에 접하며 버튼 영역에 대응하는 버튼 홀을 포함하는 고경도 재질의 버튼 시트 및 버튼 시트의 저면에 제공되며 버튼 홀을 통해 인쇄 필름 및 버튼 시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러버 패드층을 포함한다. 버튼 플레이트는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 홀에 장착되어 전면이 노출될 수 있으며, 얇은 인쇄 필름 및 버튼 시트를 이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얇은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The button plate for personal handheld terminals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button sheet and button sheet of high hardness material, which includes a printing film showing a button area for key input, a bottom of the printing film, and a button hole corresponding to the button area. It includes a rubber pad layer formed integrally with the print film and the button sheet through. The button plate may be mounted on the keypad hole of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and the front surface thereof may be exposed. Since the button plate may be manufactured using a thin printing film and a button sheet, the button plate may maintain a thin structure.

개인휴대단말기, 버튼 플레이트 Personal handset, button plate

Description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BUTTON PLATE FOR PERSONAL PORTABLE DEVICE}Button plate for personal mobile device {BUTTON PLATE FOR PERSONAL PORTABLE DEVICE}

도 1 에 종래의 휴대폰에서 키 입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key input unit in a conventional mobile phone.

도 2는 종래의 키 입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key input uni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for explaining the use of a butt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버튼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utton plate of FIG. 3.

도 5는 도 3의 단말기 및 버튼 플레이트 간의 결속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binding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utton plate of FIG. 3.

도 6은 도 3의 버튼 플레이트의 버튼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FIG. 6 is a partially enlarged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button sheet of the button plate of FIG. 3.

도 7은 도 6의 버튼 시트와 유사한 다른 버튼 시트들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FIG. 7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other button sheets similar to the button sheet of FIG. 6.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8 to 10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utt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utton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utt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1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utt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도 13의 버튼 시트와 발광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button sheet and the light emitting sheet of FIG. 13.

도 15는 도 14의 발광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light emitting unit of FIG. 14.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16 and 17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utt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1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utt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1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utt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버튼 플레이트 및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2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utton plate and a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버튼 플레이트 및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utton plate and a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은 도 21의 버튼 시트의 단면도이다.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utton sheet of FIG. 21.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버튼 플레이트 110:버튼 시트100: Button plate 110: Button sheet

112:버튼 홀 120:인쇄 필름112: Buttonhole 120: Print film

130:러버 패드층 132:누름 돌출부130: rubber pad layer 132: pressing projection

200:개인휴대단말기 216:키패드 홀200: personal portable terminal 216: keypad hall

본 발명은 개인휴대단말기의 키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조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두께를 줄일 수 있는 버튼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 input device of a personal mobile terminal.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on plate that can facilitate manufacturing and assembly and can reduce thickness.

휴대폰 등의 개인휴대단말기에서 번호를 입력하기 위해서 키 입력부의 버튼들이 사용된다. 휴대폰과 관련된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키 입력부로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것 외에도, 메시지 전달을 위한 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게임 기능이나 각종 기능을 제어할 수가 있다. 이러한 경향은 비단 휴대폰에만 그치지 않고, 다른 휴대용 장치에도 적용되고 있다.The buttons of the key input unit are used to enter a number in a personal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s a technology related to a mobile phone is developed, in addition to inputting a phone number through a key input unit, a character for delivering a message can be input, and game functions and various functions can be controlled. This trend is not just for mobile phones, but also for other portable devices.

도 1 에 종래의 휴대폰에서 키 입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key input unit in a conventional mobile phone.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휴대폰(1)에서 키 입력부는 버튼(12)이 형성된 키 패드(10), 돔 스위치(22)가 형성된 접착 시트(20), 및 원형의 전극(32)이 형성된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3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in a conventional mobile phone 1, a key input unit includes a keypad 10 having a button 12 formed thereon, an adhesive sheet 20 having a dome switch 22 formed therein, and a circular electrode 32 formed therein. It includes a printed circuit board (PCB) substrate 30.

키 패드(10)는 고무,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며, 키 패드(10)의 상면에는 휴대폰의 버튼(12)이 사출 성형 등을 통해 키 패드(10)와 일체로 형성되 어 있다. 키 패드(10)에서 버튼(12)은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된 버튼(12)은 휴대폰의 상부 케이스(2)에 형성된 홀(4)를 통해서 각각 노출될 수가 있다.Key pad 10 is made of rubber, silicone or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upper surface of the keypad 10, the button 12 of the mobile phon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keypad 10 through injection molding or the like. In the keypad 10, the buttons 12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and the protruding buttons 12 may be exposed through the holes 4 formed in the upper case 2 of the mobile phone.

키 패드(10)의 하부에는 돔 스위치(22)를 포함하는 접착 시트(20)가 제공된다. 돔 스위치(22)는 금속을 재질로 형성되며, 돔(dome) 형태의 스위치가 평평하게 눌러지면서 전극(32)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다시 원 상태로 복귀하여 전극(32)을 다시 분리시킬 수 있다. 돔 스위치(22)는 접착 시트(30)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다른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서로 부착시킬 수가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keypad 10 is provided with an adhesive sheet 20 including a dome switch 22. The dome switch 22 is formed of metal, and the dome switch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32 while being pressed flat. When the pressing force is removed, the dome switch 22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and returns to the electrode 32. ) Can be separated again. The dome switch 22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adhesive sheet 30. However, since the dome switch 22 is generally formed of a different material, the dome switch 22 may be attached to each other using an adhesive or the like.

PCB 기판(30)은 환형(ring-shaped) 전극(32)를 포함하며, 전극(32)은 버튼(12) 및 돔 스위치(22)의 위치에 대응하여 그 하부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전극(32)은 동심원의 환형 구조를 가지며, 돔 스위치(22)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PCB substrate 30 includes a ring-shaped electrode 32, which is located below the electrode 12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button 12 and the dome switch 22. Specifically, the electrode 32 has a concentric annular structure and has a structur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dome switch 22.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키 패드(10)는 상부 케이스(2)의 하부에 위치하며, 버튼(12)은 상부 케이스(2)의 홀(4)을 통해 외부로 노출 또는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이렇게 키 입력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부 케이스(2) 및 키 패드(10)를 겹쳐서 배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키 입력부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 밖에 없으며, 그 두께를 얇게 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keypad 10 is located under the upper case 2, and the button 12 is disposed to be exposed or protrud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le 4 of the upper case 2. In order to form the key input unit, the upper case 2 and the key pad 10 must be overlapped, and thus the thickness of the key input unit is inevitably thick, and there is a limit in making the thickness thinner.

또한, 상부 케이스(2)에 홀(4)을 형성하여야 하며, 각 홀(4)에 대응하도록 버튼(12)을 위치시켜야 한다. 따라서, 조립을 통한 제작이 복잡하며 키 입력부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제품의 불량이 발생할 경우도 많다.In addition, a hole 4 must be formed in the upper case 2, and the button 12 must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each hole 4. Therefore, fabrication through assembly is complicated and product defects often occur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key input unit.

도 2는 종래의 키 입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key input unit.

도 2를 참조하면, 휴대폰의 버튼(12)이 키 패드(10)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키 패드(10)의 저면에는 간격 지지부(16) 및 누름 돌출부(14)가 아래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2, a button 12 of a mobile phone is formed on a keypad 10, and a gap support 16 and a pressing protrusion 14 ar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keypad 10 to face downward. have.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12)을 누르면, 누름 돌출부(14)가 돔 스위치(22)를 누르게 되고, 돔 스위치(22)가 변형되면서 돔 스위치(22) 하부에 위치한 전극(32)을 연결할 수가 있다. 전극(32)이 연결됨에 따라 버튼(12)의 누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전극(32)에서 발생된 신호는 숫자 또는 문자 입력을 위해 내부 회로로 전달될 수 있다. 버튼(12)의 면적이 누름 돌출부(14)의 면적보다 훨씬 크므로, 버튼(12)을 누르는 힘이 모아져서 누름 돌출부(14)에 전해질 수 있으며, 적은 힘으로도 돔 스위치(22)를 용이하게 누를 수가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12, the push protrusion 14 presses the dome switch 22, and the dome switch 22 is deformed to connect the electrode 32 positioned below the dome switch 22. As the electrode 32 is connected,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button 12 is pressed, and a signal generated from the electrode 32 may be transmitted to an internal circuit for input of numbers or letters. Since the area of the button 12 is much larger than the area of the pressing protrusion 14, the force for pressing the button 12 can be collected and transmitted to the pressing protrusion 14, and the dome switch 22 can be easily operated with a small force. Can be pressed.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개인휴대단말기의 키 입력부 뿐만 아니라 케이스의 일부로서 기능할 수 있는 버튼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tton plate capable of functioning as part of a case as well as a key input unit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얇은 시트 구조를 유지하여 키 입력부에서 돌출된 부분을 없애거나 돌출된 높이를 최소로 유지할 수 있는 버튼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tton plate which can maintain the thin sheet structure to eliminate the protruding portion from the key input portion or to keep the protruding height to a minimu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키 입력부의 두께를 줄임으로써 열악하기 쉬운 경도 및 키감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버튼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tton plate capable of overcoming the problems of hardness and key feeling, which tend to be poor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key input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키 입력부의 두께뿐만 아니라 개인휴대단말기의 두께도 감소시킬 수 있는 버튼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tton plate capable of reducing not only the thickness of the key input unit but also the thickness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 번에 제조가 가능하고,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한 버튼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tton plate which can be manufactured at one time and is easy to manufacture and assembl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여러 디자인 및 색채의 표현이 용이하여 제품으로서도 우수한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버튼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utton plate that can easily express various designs and colors and can provide excellent quality as a product.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버튼 플레이트는 인쇄 필름, 고경도 재질의 버튼 시트, 및 러버 패드층을 포함한다. 인쇄 필름 및 버튼 시트는 러버 패드층에 의해서 일체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인쇄 필름, 버튼 시트 및 러버 패드층은 얇은 버튼 플레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개인휴대단말기에서는 버튼 플레이트에 대응하는 키패드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버튼 플레이트는 키패드 홀에 장착됨으로써 키패드 홀을 차단하여 케이스의 일부가 될 수 있으며, 얇은 두께를 유지하면서 본래의 키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 plate includes a printing film, a button sheet of high hardness material, and a rubber pad layer. The print film and the button sheet may be integrally connected by the rubber pad layer, and the print film, the button sheet and the rubber pad layer may provide a thin button plate. In a personal mobile terminal, a keypad hole corresponding to a button plate may be formed, and the button plate may be part of a case by blocking the keypad hole by being mounted in the keypad hole, and perform an original key input function while maintaining a thin thickness. can do.

인쇄 필름에는 키 입력을 위해 문자 또는 숫자 등의 영역, 즉 버튼 영역에 표시된다. 버튼 영역은 인쇄, 레이저 증착 또는 부분 도금 등의 방법에 의해서 인쇄 필름에 표시될 수가 있으며, 외형적으로는 다양한 디자인 또는 다양한 색채로 표현될 수가 있다.The print film is displayed in an area such as letters or numbers, that is, a button area, for key input. The button area may be displayed on the print film by a method such as printing, laser deposition, or partial plating, and may be expressed in various designs or various colors in appearance.

인쇄 필름의 저면으로는 버튼 홀을 포함하는 버튼 시트가 제공되며, 버튼 시트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이나 고강도 플라스틱과 같은 고경도 재질을 이 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손가락에 의해서 눌리는 버튼 영역에 대응하여, 버튼 시트에는 버튼 홀(button hole)이 형성된다. 따라서, 손가락이 버튼 영역을 누르게 되면, 인쇄 필름과 러버 패드층에서 버튼 홀이 형성된 부분만 아래로 움직일 수 있으며, 다른 부분은 버튼 시트의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상대적으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버튼 홀에 의해 러버 패드층은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며, 손가락의 누름에 대응하여 돔 스위치를 누를 정도로 이동할 수가 있다. 러버 패드층은 버튼 시트 및 인쇄 필름과 일체로 연결되며, 버튼 홀을 통해서 인쇄 필름의 저면이 부착될 수 있다. 러버 패드층은 실리콘 또는 우레탄 고무로 구성되어 손가락의 가압력을 돔 스위치로 충분히 전달할 수 있지만, 각 버튼 홀의 위치에 대응하여 아래로 돌출된 누름 돌출부를 이용함으로써 좀더 용이하게 가압력을 전달할 수가 있다.The bottom of the printing film is provided with a button sheet including a button hole, the button sheet may be formed using a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or a high hardness material such as high-strength plastic. In addition, corresponding to the button region pressed by the finger, a button hole is formed in the button sheet. Therefore, when the finger presses the button region, only the portion where the button hole is formed in the printing film and the rubber pad layer can move down, and the other portion is supported by the frame of the button sheet to remain relatively stationary. Therefore, the rubber pad layer can be moved relatively by the button hole, and can move enough to press the dome switch in response to the finger press. The rubber pad layer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button sheet and the printing film,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printing film may be attached through the button hole. The rubber pad layer is made of silicone or urethane rubber to sufficiently transmit the pressing force of the finger to the dome switch, but the pressing force can be more easily transmitted by using the pressing protrusion projecting downwar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each button hole.

본 명세서에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핸드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키입력 센서부는 돔 스위치 및 전극으로 구성된 구조 외에도 적용되는 기술 수준에 따라 다양한 구조의 키입력 센서부가 선택될 수 있으며, 단말기에 맞게 변경될 수가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personal portable device (Personal Portable Device) refers to a portabl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such as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smart phone, a handheld PC, a mobile phone, an MP3 player, and the like.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module, a Bluetooth module,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IrDA), a wired / wireless LAN card, etc., and a terminal having a predetermined computing power by mounting a predetermined microprocessor for performing a multimedia playback function Can be used as a generic concept.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consisting of the dome switch and the electrode, the key input sensor unit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applied technology level, the key input sensor unit of various structures, it can be changed to suit the terminal.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버튼 플레이트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단말기 및 버튼 플레이트 간의 결속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for explaining the use of a butt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utton plate of Figure 3, Figure 5 is a binding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utton plate of Figure 3 A partial enlarged view for explanation.

도 3 내지 도5를 참조하면, 개인휴대단말기(200)은 단말기 본체(210), 버튼 플레이트(100) 및 키입력 센서부(230)를 포함한다. 3 to 5,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200 includes a terminal body 210, a button plate 100, and a key input sensor unit 230.

단말기 본체(210)는 일반적인 단말기 기능을 포함하는 케이스, 내외 부품 및 회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휴대폰의 경우 단말기 본체(210)는 단말기 케이스, 키 입력부, 디스플레이 모듈, 무선 송수신 모듈, 배터리, 마이크 및 리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단말기 본체(210)는 바(bar)의 형상을 갖고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본체는 플립형, 폴더형, 슬라이드형, 스윙형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스타일로 형성될 수가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버튼 플레이트(100)가 장착되는 단말기 본체(210)는 전면 케이스(212) 및 후면 케이스(214)를 포함한다. 전면 케이스(212)의 전면에는 키 입력부를 장착하기 위한 키패드 홀(216)이 제공된다. The terminal body 210 may include a case including internal terminal functions, internal and external components, and a circuit configura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mobile phone, the terminal body 210 may include a terminal case, a key input unit, a display module,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a battery, a microphone, and a receiver. Although the terminal body 210 of FIG. 3 has a bar shap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body may be formed in various types of styles such as flip type, folding type, slide type, swing type, and the like. have. As shown, the terminal body 210 on which the button plate 100 is mounted includes a front case 212 and a rear case 214. The front of the front case 212 is provided with a keypad hole 216 for mounting a key input unit.

버튼 플레이트(100)는 전면 케이스(212)의 내면에서 외부를 향해 장착되며, 버튼 플레이트(100)의 안쪽으로는 키입력 센서부(230)가 제공된다. 버튼 플레이트(100)는 키패드 홀(216)과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키패드 홀(216)에 장착됨으로써 단일벽을 형성하는 키 입력부를 제공할 수 있고, 버튼 플 레이트(100)는 전면 케이스(212)의 일부로서 키패드 홀(216)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전면 케이스(212)는 버튼을 개별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홀을 포함하지 않으며, 버튼 플레이트는 전면 케이스(212)의 일부로서 평면을 형성할 수가 있다.The button plate 100 is mounted out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case 212, and the key input sensor unit 230 is provided inside the button plate 100. The button plate 100 is formed in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e keypad hole 216, and may be provided in the keypad hole 216 to provide a key input unit forming a single wall, and the button plate 100 may have a front case. The keypad hole 216 may be blocked as part of 212. Thus, the front case 212 does not include holes for individually exposing the buttons, and the button plate may form a plane as part of the front case 212.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버튼 플레이트(100)는 버튼 홀(112)을 포함하는 버튼 시트(110), 버튼 시트(110) 상에 형성되는 인쇄 필름(120) 및 러버 패드층(130)을 포함한다. 버튼 시트(110) 및 인쇄 필름(120)은 얇은 시트 또는 판이기 때문에 버튼 플레이트(100) 자체도 약 0.05~0.5mm 정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버튼 시트(110)가 스테인리스 스틸(SUS)과 같은 금속 박판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버튼 플레이트(100)의 두께를 더 얇게 유지할 수가 있다.As described later, the button plate 100 includes a button sheet 110 including a button hole 112, a printing film 120 formed on the button sheet 110, and a rubber pad layer 130. Since the button sheet 110 and the printing film 120 are thin sheets or plates, the button plate 100 itself may be formed to a thickness of about 0.05 to 0.5 mm. In addition, when the button sheet 110 is formed of a thin metal plate such as stainless steel (SUS), it is possible to keep the thickness of the button plate 100 thinner.

버튼 플레이트(100)는 키패드 홀(216)에 바로 장착될 수 있으며, 버튼 플레이트(100) 하나로 기존의 케이스 벽면 및 키패드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 따라서 버튼 플레이트(100)는 단말기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조립을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제조에 필요한 비용을 현저하게 낮출 수가 있다.The button plate 100 may be directly mounted to the keypad hole 216, and may replace the functions of the existing case wall and the keypad with one button plate 100. Therefore, the button plate 100 can not only reduce the thickness of the terminal but also simplify the assembly and can significantly lower the cost required for manufacturing.

또한, 버튼 플레이트(100)의 외곽을 따라 위치 가이드 홈(124)이 형성될 수 있으며, 키패드 홀(216)의 내면에는 위치 가이드 홈(124)에 대응하는 위치 가이드 돌기(217)가 형성될 수 있다. 버튼 플레이트(100)는 나사 등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전면 케이스(212)에 고정될 수 있지만, 나사로 체결하기 전에 가이드 돌기(217) 및 위치 가이드 홈(124)을 서로 맞춤으로써 버튼 플레이트(100)를 키패드 홀(216)에 정위치 시킬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location guide groove 124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side of the button plate 100, and the location guide protrusion 217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guide groove 124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keypad hole 216. have. The button plate 100 may be fixed to the front case 212 using a fastener such as a screw, but the button plate 100 may be aligned by aligning the guide protrusion 217 and the position guide groove 124 with each other before fastening with screws. Can be positioned in the keypad hole 216.

키입력 센서부(230)는 누름 센서를 포함하며, 누름 센서는 돔 스위치(232) 및 접점 전극(234)을 이용한 구조를 갖는다. 버튼 플레이트(100)의 각 버튼에 대응하도록 버튼 홀(112)이 제공되며, 각 버튼 홀(112)에 대응하여 키입력 센서부(230)에는 돔 스위치(232) 및 접점 전극(234)이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인쇄 필름(120)에 표시된 버튼 영역을 누르면, 누르는 힘은 버튼 홀(112)를 통해 러버 패드층(130)을 움직이게 할 수 있으며, 러버 패드층(130)은 돔 스위치(232)를 눌러 접점 전극(234)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접점 전극(234)의 연결에 대응하여 입력 신호가 생성되며, 각 버튼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는 숫자나 문자를 입력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The key input sensor unit 230 includes a push sensor, and the push sensor has a structure using a dome switch 232 and a contact electrode 234. The button hole 112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each button of the button plate 100, and the dome switch 232 and the contact electrode 234 are provided in the key input sensor unit 230 corresponding to each button hole 112. do. Accordingly,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area displayed on the printing film 120, the pressing force may move the rubber pad layer 130 through the button hole 112, and the rubber pad layer 130 may move the dome switch 232. The contact electrode 234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pressing. An input signal is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of the contact electrode 234, and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each button may be used for inputting numbers or letters.

도 6은 도 3의 버튼 플레이트의 버튼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FIG. 6 is a partially enlarged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button sheet of the button plate of FIG. 3.

도 4및 도 6을 참조하면, 버튼 플레이트(100)에는 인쇄 필름(120), 버튼 시트(110) 및 러버 패드층(130)이 위에서부터 차례로 적층되어 있다. 4 and 6, the print plate 120, the button sheet 110, and the rubber pad layer 130 are stacked on the button plate 100 in order from the top.

버튼 시트(110)는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버튼 시트(110)에서 버튼 홀(112)과 면접하는 인쇄 필름(120) 및 러버 패드층(130)의 일부분은 각각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가 있다. 버튼 시트(110)는 인쇄 필름(12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를 갖는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버튼 시트(110)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 이외에도 고강도 플라스틱이나 세라믹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가 있다.The button sheet 110 is integrally connected using a metal material, and a portion of the print film 120 and the rubber pad layer 130 which are interviewed with the button hole 112 in the button sheet 110 may mov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ere is a number. The button sheet 110 may be formed using a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higher hardness than the printing film 120. For example, the button sheet 110 may be formed using a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and may be formed using a high strength plastic or ceramic in addition to the metal.

버튼 홀(112)은 키 입력부에서 숫자나 문자에 대응하는 버튼 영역 하부에 형성된다. 버튼 홀(112)의 형상에 따라 사각형, 타원형 또는 원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가 있으며, 그 크기 또한 다양하게 조절될 수가 있다. 또한, 복수개의 버튼 홀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거나 인접한 다른 버튼 홀과 연결되어 연결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The button hole 112 is formed below the button area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r letter in the key input uni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utton hole 112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shapes, such as square, oval or round, the size can also be adjusted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button holes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or may be connected to other adjacent button holes to form a connected structure.

버튼 시트(110)는 버튼 홀(112)을 형성하는 간단한 고정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으며, 버튼 홀(112)을 주변으로 버튼 시트(110)가 프레임(116)으로서 인쇄 필름(120)과 러버 패드층(130)을 지지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소정의 범위 내에서 인쇄 필름(120) 및 러버 패드층(130)만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버튼 홀(112)은 돔 스위치와 같은 누름 센서를 작동시킬 만큼 충분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The button sheet 110 may be manufactured by a simple fixing to form the button hole 112, and the print film 120 and the rubber pad with the button sheet 110 as the frame 116 around the button hole 112. Since the layer 130 is supported, only the printing film 120 and the rubber pad layer 130 may be elastically deform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hen the user presses a button. In this case, the button hole 112 may be formed to be large enough to operate a push sensor such as a dome switch.

본 실시예에서 고경도 버튼 홀을 구성하는 재질은 스테인리스 스틸이지만, 구리나 구리합금, 알루미늄, 티타늄, 플래티늄. 니켈 등 금속 성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버튼 시트(110)는 약 0.05mm에서 1mm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high hardness button hole is stainless steel, but copper, copper alloy, aluminum, titanium, platinum. It may be made of a metal component such as nickel, the button sheet 110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0.05mm to about 1mm.

다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버튼 시트(110) 상에는 인쇄 필름(120)이 부착된다. 인쇄 필름(120)은 폴리프로필렌(PP), 방향성 폴리프로필렌(O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카보네이트(PC), 우레탄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인쇄 필름(120)는 약 10㎛ ~ 1mm의 두께로 가진다.4 and 5, the print film 120 is attached on the button sheet 110. The print film 120 is made of polypropylene (PP), aromatic polypropylene (OPP),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ethylene vinyl acetate (EVA), polyethylene (PE), polyvinyl chloride (PVC), and acrylbutadiene styrene (ABS). ), Polycarbonate (PC), urethane and the like can be formed. The printing film 120 has a thickness of about 10 μm to 1 mm.

인쇄 필름(120) 및 러버 패드층(130)은 버튼 시트(110)의 양면에서 버튼 홀(112)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버튼 영역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 영역을 누른 후 힘을 제거하면, 돔 스위치, 인쇄 필름(120) 및 러버 패드층(130)의 복원력에 의해서 인쇄 필름(120) 및 러버 패드층(130)이 평평하게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The print film 120 and the rubber pad layer 130 are interconnected through the button holes 112 on both sides of the button sheet 110, and because they have elastic force on their own, they can elastically support the button area. have. Therefore, when the user removes the force after pressing the button area, the printing film 120 and the rubber pad layer 130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flat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dome switch, the printing film 120 and the rubber pad layer 130. can do.

러버 패드층(130)은 버튼 홀(112)의 하부에 위치한 누름 돌출부(132)를 포함하며, 누름 돌출부(132)의 주변으로는 버튼 홀(112) 또는 버튼 영역을 지지하기 위한 간격 지지부(134)가 제공될 수 있다.The rubber pad layer 130 includes a push protrusion 132 positioned under the button hole 112, and a space support 134 for supporting the button hole 112 or the button area around the push protrusion 132. ) May be provided.

버튼 시트(110)는 도 6에 도시된 버튼 시트 외에도 다양한 형상의 버튼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버튼 시트와 유사한 다른 버튼 시트들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The button sheet 110 may include button holes of various shapes in addition to the button sheet shown in FIG. 6. FIG. 7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other button sheets similar to the button sheet of FIG. 6.

도 7을 참조하면, 버튼 시트(110a)에는 버튼 홀(112a)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의 버튼 홀(112a)이 수개의 버튼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다만, 버튼 홀(112a)에는 각 버튼 영역을 구분할 수 있는 구획용 돌기(114a)가 형성되어 있으며, 구획용 돌기(114a)에 의해서 각 버튼 영역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가 있다.Referring to FIG. 7, a button hole 112a is formed in the button sheet 110a, and one button hole 112a is formed corresponding to several button regions. However, the button hole 112a is provided with a partitioning protrusion 114a that can distinguish each button region, and the partition protrusion 114a can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button regions.

도 7에서는 각 버튼 영역에 대응하여 버튼 홀(112a)이 사각의 홀 모양을 기본으로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버튼 홀은 원형의 홀 모양을 기본으로 할 수 있으며, 피넛 형상(peanut shape) 또는 눈사람 형상(snowman shape)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In FIG. 7, the button hole 112a is based on a rectangular hole shape corresponding to each button area, b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button hole may be based on a circular hole shape, and a peanut shape. ) Or a snowman shape may be variously formed.

이하, 도 3의 버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button plate of FIG. 3 is demonstrated.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8 to 10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utt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하부 금형(I)에 버튼 플레이트(100)를 제조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며, 홈에는 인쇄 필름(120) 및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 버튼 시트(110)가 차례로 적층된다. 인쇄 필름(120)에는 키 입력을 위한 버튼 영역이 인쇄되어 있으며, 인쇄 필름(120)의 상면으로 버튼 홀(112)을 포함하는 버튼 시트(110)가 올려진다. 버튼 홀(112)은 각 버튼 영역에 대응하도록 조절된 위치로 배치된다. 이때 인쇄 필름(120)에서 인쇄된 면을 아래를 향하고 있으며, 키패드 홀에 의해서 외부로 노출되는 면은 인쇄 필름(120)의 저면이다.Referring to FIG. 8, grooves for manufacturing the button plate 100 are formed in the lower mold I, and the printing film 120 and the button sheet 110 made of stainless steel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grooves. The button area for key input is printed on the printing film 120, and the button sheet 110 including the button hole 112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ing film 120. The button hole 112 is disposed at a position adjusted to correspond to each button area. At this time, the surface printed from the printing film 120 faces downward, and the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keypad hole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printing film 120.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버튼 플레이트(100)를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버튼 플레이트를 한번에 제작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버튼 플레이트를 한번에 제작한 후 버튼 플레이트의 크기에 맞게 버튼 플레이트를 재단하여 각각 제조할 수가 있다. 실제로, 버튼 플레이트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경우에는 후자의 방법을 택할 수가 있다.For reference,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ased on one button plate 100, but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utton plates may be manufactured at a time, and the size of the button plate after the production of several button plates at once. The button plate can be cut and manufactured accordingly. In fact, when producing a large number of button plates, the latter method can be taken.

도 9를 참조하면, 버튼 시트(110) 위로 액상 실리콘(130-1)이 도포된다. 액상 실리콘은 겔 상태와 같이 유동이 가능한 상태이며, 압력을 받아 금형 내에서 유동하면서 변형될 수가 있다. 하부 금형(I)의 상부로는 상부 금형(II)이 제공되며, 상부 금형(II)의 저면에는 누름 돌출부(132) 및 간격 지지부를 성형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다.9, the liquid silicon 130-1 is applied onto the button sheet 110. The liquid silicone is in a state capable of flowing like a gel state and may be deformed while flowing in a mold under pressure. An upper mold II is provided as an upper part of the lower mold I, and a groove for forming the pressing protrusion 132 and the gap support part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mold II.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버튼 플레이트를 하나로 연결하여 성형한 후, 하나의 원판을 재단함으로써 각각의 버튼 플레이트를 제작할 수가 있다. 이때에는 인쇄 필름 또는 버튼 시트 상에서 겔 상태의 실리콘 수지를 여러 지점에서 분사하여 도포할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fter forming a plurality of button plates by connecting them together, each button plate can be manufactured by cutting one original plate. At this time, the gel-like silicone resin can be sprayed at various points on the printing film or button sheet to apply the coating.

도 10을 참조하면, 상부 금형(II)이 아래로 이동하여 액상 실리콘(130-1)을 압축한다. 압력을 받은 액상 실리콘(130-1)은 버튼 시트(110)의 버튼 홀(112) 및 버튼 시트(110)의 측면으로 진입하여 인쇄 필름(110)과 접촉하게 되며, 압축된 상태에서 약 100~200℃의 열을 가함으로써 액상 실리콘(130-1)을 경화시킬 수 있으며, 액상 실리콘(130-1)은 누름 돌출부(132) 및 간격 지지부(134)를 포함하는 러버 패드층(130)으로 전환될 수 있다. 러버 패드층(130)이 인쇄 필름(110)과 일체로 형성되고, 외곽을 정리하면서 버튼 플레이트(100)가 최종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upper mold II moves downward to compress the liquid silicon 130-1. The liquid silicone 130-1 under pressure enters the side surface of the button hole 112 and the button sheet 110 of the button sheet 110,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inting film 110. The liquid silicone 130-1 may be cured by applying 200 ° C. heat, and the liquid silicone 130-1 is converted into the rubber pad layer 130 including the pressing protrusion 132 and the gap support 134. Can be. The rubber pad layer 13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rinting film 110, and the button plate 100 may be finally manufactured while arranging the outline.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압축성형에 의해서 러버 패드층을 형성하지만, 사출성형이나 그 외의 방법을 이용하여서도 러버 패드층을 형성할 수가 있다. 일 예로, 인쇄 필름(120) 및 버튼 시트(110)를 하부 금형(I)에 배치시킨 후, 하부 금형(I) 상에 상부 금형(II)을 덮고, 상부 및 하부 금형(I, II) 사이에 고무 재질의 액상 수지를 주입함으로써 러버 패드층을 제조할 수가 있다.8 to 10, the rubber pad layer is formed by compression molding, but the rubber pad layer can also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r other methods. For example, after placing the print film 120 and the button sheet 110 in the lower mold (I), covering the upper mold (II) on the lower mold (I),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olds (I, II) A rubber pad layer can be manufactured by inject | pouring a liquid resin of rubber material into it.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11의 버튼 플레이트는 이전 실시예의 도면 및 도면부호를 참조할 수 있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utton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ference, the button plate of FIG. 11 may refer to the drawings and reference numerals of the previous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인쇄 필름(120) 및 버튼 시트(110) 사이에 제1 접착층(140)이 제공되며, 버튼 시트(110) 및 러버 패드층(130) 사이에서도 제2 접착층(145)이 제공된다. 제1 접착층(140)은 버튼 시트(110) 또는 인쇄 필름(120)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도 8과 같이, 인쇄 필름(120)과 버튼 시트(110)를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접착층(145)은 버튼 시트(110)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그 위 에 액상 실리콘을 도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first adhesive layer 140 is provided between the print film 120 and the button sheet 11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145 is also disposed between the button sheet 110 and the rubber pad layer 130. Is provided. The first adhesive layer 140 may be formed by laminating the print film 120 and the button sheet 110 after applying an adhesive to the button sheet 110 or the print film 120, as shown in FIG. The adhesive layer 145 may apply liquid silicone to the button sheet 110 and then apply liquid silicone thereon.

경우에 따라서는, 버튼 시트(110)의 상면 및 하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일정시간을 기다리는 것과 같이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후공정을 진행할 수 있으며, 접착제가 도포된 버튼 시트(110)를 인쇄 필름(120) 위에 올리고, 그 위에 액상 실리콘을 도포하여 러버 패드층(130)을 성형할 수가 있다.In some cases, after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utton sheet 110, a post-process for improving the adhesiveness may be performed, such as waiting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button sheet 110. The rubber pad layer 130 can be molded by raising it on the printing film 120 and applying liquid silicone thereon.

일반적으로 버튼 시트(110)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며, 매끄러운 표면에 의해서 인쇄 필름(120)과 용이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실제로 인쇄 필름(120)과 버튼 시트(110)를 상호 부착시키는 경우, 버튼 시트(110)의 버튼 홀(112)을 통해서 러버 패드층(130)과 인쇄 필름(120)이 상호 결속되기는 하지만, 버튼 홀(112) 이외의 영역에서 인쇄 필름(120)이 부분적으로 들떠서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버튼 시트(110)와 인쇄 필름(120) 사이에 프라이머와 같은 접착제를 도포하고, 필름과 시트를 상호 접착시킴으로써 필름이 들뜨는 부분을 없앨 수 있으며, 인쇄 필름(120) 및 버튼 시트(110) 간의 상호 미끄러짐을 예방할 수 있다.In general, the button sheet 110 may be formed using a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to have a smooth surface, and the smooth surface may not be maintai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printing film 120. When the printing film 120 and the button sheet 110 are actually attached to each other, the rubber pad layer 130 and the printing film 120 are bound to each other through the button hole 112 of the button sheet 110, but the buttons In some areas other than the holes 112, the print film 120 may partially float, which may cause problems. However, by applying an adhesive, such as a primer, between the button sheet 110 and the printing film 120, the film and the sheet are bonded to each other to eliminate the lifting portion of the film, the printing film 120 and the button sheet 110 The mutual slip between them can be prevented.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12의 버튼 플레이트는 이전 실시예의 도면 및 도면부호를 참조할 수 있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utt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ference, the button plate of FIG. 12 may refer to the drawings and reference numerals of the previous embodiment.

도 12를 참조하면, 인쇄 필름(121), 버튼 시트(110) 및 러버 패드층(130)이 서로 적층되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인쇄 필름(121)은 버튼 영역에 대응하는 버튼 돌기(12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는 돌출된 부분 없이 평 평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인쇄 필름(121)에 버튼 돌기(122)를 형성하고, 버튼 시트(110) 및 러버 패드층(130)을 일체로 부착시킬 수가 있다. 이때 러버 패드층(130)의 일부가 버튼 돌기(122)의 내면으로 스며들어 안정된 돌기 구조를 형성할 수가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print film 121, the button sheet 110, and the rubber pad layer 130 are stacked on each other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print film 121 has a button protrusion 122 corresponding to the button area. Include. Although the button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flat without a protruding portion, in some cases, the button protrusion 122 is formed on the printing film 121, and the button sheet 110 and the rubber pad layer 130 are provided. Can be attached integrally. At this time, a portion of the rubber pad layer 130 may penetrate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button protrusion 122 to form a stable protrusion structure.

또한, 인쇄 필름(121) 및 버튼 시트(110) 사이에 제1 접착층(141)이 제공된다. 제1 접착층(141)은 버튼 시트(110) 또는 인쇄 필름(121)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도 8과 같이, 인쇄 필름(121)과 버튼 시트(110)를 적층하여 형성할 수가 있다. 제1 접착층(141)은 버튼 돌기(122)가 있는 부분에서 러버 패드층(130)과 인쇄 필름(121)을 견고하게 접착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인쇄 필름(121)이 버튼 시트(110) 또는 러버 패드층(130)으로부터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adhesive layer 141 is provided between the print film 121 and the button sheet 110. After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button sheet 110 or the print film 121, the first adhesive layer 141 may be formed by stacking the print film 121 and the button sheet 110 as shown in FIG. 8. The first adhesive layer 141 may firmly adhere the rubber pad layer 130 and the print film 121 at the portion where the button protrusion 122 is present, thereby causing the print film 121 to adhere to the button sheet 110 or the rubber. Lifting phenomenon from the pad layer 130 can be prevented.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버튼 시트와 발광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발광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utt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button sheet and the light emitting sheet of FIG. 13, and FIG. 15 is a view illustrating the light emitting unit of FIG. 14. It is a cross section.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버튼 플레이트는 버튼 시트(310), 인쇄 필름(320), 러버 패드층(330), 제1 접착층(340), 제2 접착층(345), 발광 시트(350) 및 러버 삽입층(360)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버튼 플레이트는 단말기 본체의 키패드 홀에 장착될 수 있으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어 키입력부 및 측벽을 제공할 수 있다.13 to 15, the button plate includes a button sheet 310, a print film 320, a rubber pad layer 330, a first adhesive layer 340, a second adhesive layer 345, and a light emitting sheet 350. And a rubber insertion layer 360. As shown in FIG. 3, the button plat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mounted in a keypad hole of the terminal body, and may be mounted in the terminal body to provide a key input unit and a side wall.

버튼 시트(310)는 스테인리스 스틸을 이용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버튼 시트(310)의 버튼 홀(312)에 의해서 인쇄 필름(310) 및 러버 패드층(330)은 각 각 부분적으로 움직일 수가 있다. 버튼 홀(312)은 키 입력부에서 각각의 버튼 영역에 배치되며, 버튼의 형상에 따라 사각형, 타원형 또는 원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버튼 홀(312)은, 도 6과 같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버튼 시트(310)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버튼 시트(310)는 약 0.05mm에서 1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더라도 인쇄 필름보다 우수한 경도를 갖기 때문에 얇게 만들어도 딱딱한 형태를 유지하기가 용이하며, 휘어지지 않으면서 정해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키 입력부 구조와 비교해도 버튼 플레이트의 두께는 물론 개인휴대단말기의 두께를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The button sheet 310 is integrally connected using stainless steel, and the print film 310 and the rubber pad layer 330 may be partially moved by the button hole 312 of the button sheet 310. . The button hole 312 is disposed in each button area in the key input unit,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le, an ellipse, or a circl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utt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utton hole 312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ure 6, the button sheet 310 is formed of a metal. Since the button sheet 310 has a thickness of about 0.05 mm to about 1 mm, since the button sheet 310 has a superior hardness than the printing film, it is easy to maintain a rigid shape even if it is thin, and can maintain a predetermined shape without bending. Therefore, it is also possible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button plate as well as the thickness of the personal portable devic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key input unit structure.

버튼 시트(310) 상에는 유기EL 또는 무기EL을 이용한 발광 시트(350)가 제공된다. 발광 시트(350)는 베이스 시트(352), 배면전극 패턴(354), 발광 패턴(356) 및 투명전극 패턴(358)을 포함한다. 베이스 시트(352)는 절연 물질로 구성되며, 베이스 시트(352) 상으로 각 버튼 영역에 대응하는 발광부가 형성된다. 발광부는 배면전극 패턴(354), 발광 패턴(356) 및 투명전극 패턴(358)을 포함하며, 배면전극 패턴(354) 및 투명전극 패턴(358)에 전원이 인가되면 무기 EL(Electro Luminescent) 또는 유기 EL로 구성된 발광 패턴(356)으로부터 빛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배면전극 패턴(354) 및 발광 패턴(356)의 사이 또는 발광 패턴(356) 및 투명전극 패턴(358)의 사이에는 유전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On the button sheet 310, a light emitting sheet 350 using an organic EL or an inorganic EL is provided. The light emitting sheet 350 includes a base sheet 352, a back electrode pattern 354, a light emitting pattern 356, and a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358. The base sheet 352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a light emit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each button region is formed on the base sheet 352. The light emitting part includes a back electrode pattern 354, a light emitting pattern 356, and a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358.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back electrode pattern 354 and the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358, an inorganic EL (Electro Luminescent) or Light can be generated from the light emission pattern 356 composed of organic EL. In addition, a dielectric layer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back electrode pattern 354 and the light emitting pattern 356 or between the light emitting pattern 356 and the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358.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베이스 시트(352) 상에는 각 버튼 홀(312)에 대응하여 발광부가 각각 형성되며, 발광부는 배면전극, EL 발광패턴 및 투명전극을 포함함으로써 각각 빛을 생성할 수 있다. 각각의 배면전극 패턴들(354)은 서로 전 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1 급전부(353)를 통해서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투명전극 패턴(358)은 은(Ag), 알루미늄(Al), 금(Au) 등으로 구성된 버스전극 패턴(359)에 의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2 급전부(357)를 통해서 역시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버스전극 패턴(359)이 투명전극 패턴(358) 상에 형성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버스전극 패턴이 투명전극 패턴 아래에 형성될 수도 있다.14 and 15, light emitting parts are formed on the base sheet 352 corresponding to each button hole 312, and the light emitting parts may generate light by including a back electrode, an EL light emitting pattern, and a transparent electrode, respectively. have. Each of the rear electrode patterns 354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may be conn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feed part 353. In addition, the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s 358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bus electrode pattern 359 formed of silver (Ag), aluminum (Al), gold (Au), and the like, and through the second feed part 357. It can also be connected to the outside. In this embodiment, the bus electrode pattern 359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358, but in another embodiment, the bus electrode pattern may be formed below the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무기EL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무기의 발광체 분말을 페이스트 형태로 준비한 후, 준비된 패턴을 이용한 스크린 인쇄 과정을 통해서 발광 패턴을 형성할 수가 있다. 그 결과 발광 패턴은 배면전극 패턴 상에 각각 형성되며, 주변의 전기적인 영향에 의해서 발광할 수가 있다. 이외에도 발광 패턴은 포토 레지스트 방식 또는 잉크젯 방식 등 다양한 패턴 형성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가 있다. 또한, 유기EL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벤조티아졸계, 벤조이미다졸계, 벤조옥사졸계, 금속킬레이트화옥소늄화합물, 스틸릴벤젠계화학물, 방향족디메틸리딘계화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유기 발광물질을 이용한 발광 패턴은 증착 등의 방법을 통해서 배면전극 패턴 상에 형성될 수가 있다.In the case of using the inorganic EL, after the inorganic light-emitting body powder is prepared in the form of a paste, the light-emitting pattern can be formed through a screen printing process using the prepared pattern. As a result, the light emitting patterns are formed on the rear electrode patterns, respectively, and can emit light due to electric influences around them.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pattern may be formed using various pattern forming methods such as a photoresist method or an inkjet method. In the case of using organic EL, benzothiazole-based, benzoimidazole-based, benzoxazole-based, metal chelate oxonium compounds, styrylbenzene-based chemicals, aromatic dimethylidine-based compounds and the like can be used. The light emitting pattern using the material may be formed on the back electrode pattern through a deposition method.

투명전극 패턴(358)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를 이용하여 형성되며, ITO 또는 IZO의 투명전극 패턴(358)은 스퍼터링(sputtering) 또는 증착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ITO 또는 IZO를 페이스트 형태로 인쇄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The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358 may be formed using indium tin oxide (ITO) or indium zinc oxide (IZO), and the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358 of ITO or IZO may be formed by sputtering or deposition. Alternatively, ITO or IZO may be formed by printing in paste form.

발광 시트(350)에서 발광 패턴(356)을 포함하는 발광부는 각 버튼 홀(312)의 상부에 위치하며 외부의 전원극과 연결되어 자체적으로 빛을 발할 수가 있다. 버튼 시트(310) 및 발광 시트(350)의 상하로는 제1 접착층(340) 및 제2 접착층(345)이 상하로 형성된다. 발광 시트(350)를 이용하기 때문에 버튼 홀(312)은 차단될 수 있으며, 인쇄 필름(320)과 러버 패드층(330)은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가 없다. 따라서 버튼 시트(310)의 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위에 러버 패드층(330)을 형성하여 견고한 접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part including the light emitting pattern 356 in the light emitting sheet 350 may be positioned above the button hole 312 and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o emit light. The first adhesive layer 34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345 are formed up and down on the button sheet 310 and the light emitting sheet 350. Since the light emitting sheet 350 is used, the button hole 312 may be blocked, and the print film 320 and the rubber pad layer 330 may not maintain a firm bonding state. Accordingly, an adhesive may be applied to the bottom of the button sheet 310 and the rubber pad layer 330 may be formed thereon to maintain a firm adhesive state.

또한, 버튼 시트(310) 역시 발광 시트(350)에 의해서 울퉁불퉁한 표면을 가지며, 울퉁불퉁한 표면으로는 인쇄 필름(320)과 안정된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버튼 시트(310) 및 발광 시트(350) 상에 제1 접착층(340)을 형성하고, 러버 삽입층(360)과 버튼 시트(310) 간의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button sheet 310 also has an uneven surface by the light emitting sheet 350, and the uneven surface may not maintain a stable adhesion state with the printing film 320.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dhesive layer 340 may be formed on the button sheet 310 and the light emitting sheet 350, and the firm bonding state between the rubber insertion layer 360 and the button sheet 310 may be maintained. .

즉, 러버 삽입층(360)은 고르지 못한 표면을 갖는 버튼 시트(310) 및 인쇄 필름(320) 사이에 개재되며, 러버 삽입층(360)은 발광 시트(350) 및 기타 요철에 의한 표면을 메움으로써 편평도가 좋은 버튼 플레이트를 제공할 수가 있다. 압축하여 성형하는 과정에서 러버 삽입층(360) 및 러버 패드층(330)은 일체로 연결되며,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하면서 인쇄 필름(320) 및 버튼 시트(310)를 고정시킬 수가 있다.That is, the rubber insertion layer 360 is interposed between the button sheet 310 and the printing film 320 having an uneven surface, and the rubber insertion layer 360 fills the surface by the light emitting sheet 350 and other irregularities. In this way, a flat plate with good flatness can be provided. In the process of compression molding, the rubber insertion layer 360 and the rubber pad layer 330 are integrally connected, and the printing film 320 and the button sheet 310 may be fixed while maintaining a stable bonding state.

버튼 시트(310) 상에는 인쇄 필름(320)이 적층된다. 인쇄 필름(320)은 폴리프로필렌(PP), 방향성 폴리프로필렌(O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부타디엔스티 렌(ABS), 폴리카보네이트(PC), 우레탄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인쇄 필름(320)는 약 10㎛ ~ 1mm의 두께로 가진다.The print film 320 is laminated on the button sheet 310. The printing film 320 is made of polypropylene (PP), aromatic polypropylene (OPP),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ethylene vinyl acetate (EVA), polyethylene (PE), polyvinyl chloride (PVC), acrylbutadiene styrene ( ABS), polycarbonate (PC), urethane, and the like. The print film 320 has a thickness of about 10 μm to 1 mm.

러버 패드층(330)은 버튼 홀(312)의 하부에 형성된 누름 돌출부(332)를 포함하며, 누름 돌출부(332)의 주변으로는 버튼 홀(312) 또는 버튼 영역을 지지하기 위한 간격 지지부가 제공된다. The rubber pad layer 330 includes a pressing protrusion 332 formed below the button hole 312, and a space supporting part for supporting the button hole 312 or the button area is provided around the pressing protrusion 332. do.

이하, 도 13의 버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button plate of FIG.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16 and 17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utt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하부 금형(I)에 버튼 플레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며, 홈에는 인쇄 필름(320) 및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 버튼 시트(310)가 차례로 적층된다. 인쇄 필름(320)에는 키 입력을 위한 버튼 영역이 인쇄되어 있으며, 인쇄 필름(320) 위로 버튼 홀(312)을 포함하는 버튼 시트(310)가 올려진다. 이때 버튼 시트(310)의 상면에는 각각 발광 시트(350)가 제공되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버튼 시트(310) 및 발광 시트(350)의 외면으로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a groove for manufacturing the button plate is formed in the lower mold I, and the printing film 320 and the button sheet 310 made of stainless steel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groove. The button area for key input is printed on the printing film 320, and the button sheet 310 including the button hole 312 is placed on the printing film 320. In this case, the upper surface of the button sheet 310 may be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sheet 35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and an adhesive may be appli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button sheet 310 and the light emitting sheet 350.

또한, 버튼 시트(310)를 올리기 전에 인쇄 필름(320) 위에 러버 삽입층(360)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액상 실리콘(360-1)을 도포한다. 제1 액상 실리콘(360-1)은 겔 또는 유동이 가능한 상태로 도포되며, 한 지점 또는 복수의 지점들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liquid silicon 360-1 for forming the rubber insertion layer 360 is coated on the print film 320 before the button sheet 310 is raised. The first liquid silicon 360-1 may be applied in a gel or flowable state and may be disposed at one or a plurality of points.

도 1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버튼 시트(310) 위로 제2 액상 실리콘(330-1) 이 도포된다. 제2 액상 실리콘(330-1)은 제1 액상 실리콘(360-1)과 같이 유동이 가능한 상태이며, 압력을 받아 금형 내에서 유동할 수가 있다. 하부 금형(I)의 상부로는 상부 금형(II)이 제공되며, 상부 금형(II)의 저면에는 누름 돌출부(332) 및 간격 지지부를 성형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6, the second liquid silicon 330-1 is applied onto the button sheet 310. The second liquid silicon 330-1 is in a state in which flow can be performed like the first liquid silicon 360-1, and can flow in the mold under pressure. An upper mold II is provided as an upper part of the lower mold I, and a groove for forming the pressing protrusion 332 and the gap support part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mold II.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버튼 플레이트를 하나로 연결하여 성형한 후, 하나의 원판을 재단함으로써 각각의 버튼 플레이트를 제작할 수가 있다. 이때에는 인쇄 필름 또는 버튼 시트 상에서 겔 상태의 실리콘 수지를 여러 지점에서 분사하여 도포할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fter forming a plurality of button plates by connecting them together, each button plate can be manufactured by cutting one original plate. At this time, the gel-like silicone resin can be sprayed at various points on the printing film or button sheet to apply the coating.

도 17을 참조하면, 상부 금형(II)이 아래로 이동하여 제1 및 제2 액상 실리콘(360-1, 330-1)을 압축한다. 압력을 받은 액상 실리콘은 버튼 시트(310)의 상하에서 버튼 홀(312) 또는 버튼 시트(310)의 측면으로 진입할 수 있으며, 하부 금형(I) 및 상부 금형(II) 사이에서 인쇄 필름(320), 발광 시트(350) 및 버튼 시트(310)를 일체로 연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the upper mold II moves downward to compress the first and second liquid silicones 360-1 and 330-1. The liquid silicone under pressure may enter the button hole 312 or the side of the button sheet 310 above and below the button sheet 310, and the printing film 3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ower mold I and the upper mold II. ), The light emitting sheet 350 and the button sheet 310 may be integrally connected.

압축된 상태에서 약 100~200℃의 열을 가함으로써, 제1 및 제2 액상 실리콘(360-1, 330-1)을 경화시킬 수 있으며, 제2 액상 실리콘(330-1)은 누름 돌출부(332) 및 간격 지지부를 포함하는 러버 패드층(330)으로 전환되고, 제1 및 제2 액상 실리콘(360)은 상호 일체로 연결되어 러버 패드층(330)과 러버 삽입층(360)을 하나로 연결할 수 있다.By applying heat at about 100 to 200 ° C. in the compressed state, the first and second liquid silicones 360-1 and 330-1 can be cured, and the second liquid silicone 330-1 is a pressing protrusion ( 332 and the rubber pad layer 330 including the gap support, and the first and second liquid silicon 360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connect the rubber pad layer 330 and the rubber insertion layer 360 into one. Can be.

다시 도 13을 참조하면, 버튼 시트(310)와 발광 시트(350) 상에 제1 접착층(340)이 형성되어 러버 삽입층(360)과 견고한 접착관계를 유지하며, 불규칙한 표 면으로 성형되는 러버 삽입층(360)과 안정된 결속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버튼 시트(310)와 수지 재질의 인쇄 필름(320)은 상호 접착된 상태를 이루지 못하고 들뜰 수 있으며, 불규칙한 표면의 러버 삽입층(360)과 발광 시트(350) 역시 잦은 상하 이동에 서로 분리될 수가 있다. 하지만, 도 13에서와 같이, 버튼 시트(310) 및 발광 시트(350)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버튼 시트(310) 및 발광 시트(350)를 러버 삽입층(360)에 접착시킴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러버 삽입층(360) 및 인쇄 필름(320)은 상호 수지 재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접착제 없이도 상호 견고한 결속 상태를 형성할 수가 있다.Referring to FIG. 13 again, a first adhesive layer 340 is formed on the button sheet 310 and the light emitting sheet 350 to maintain a strong adhesive relationship with the rubber insertion layer 360 and to form a rubber on an irregular surface. A stable binding relationship with the insertion layer 360 may be formed. In particular, the button sheet 310 made of stainless steel and the print film 320 made of a resin may not be in a state of being bonded to each other, and may be lifted. The rubber insert layer 360 and the light emitting sheet 350 having irregular surfaces are also frequently moved up and down.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movement. However, as shown in FIG. 13, an adhesive is applied on the button sheet 310 and the light emitting sheet 350, and the button sheet 310 and the light emitting sheet 350 are adhered to the rubber insertion layer 360 using an adhesive. The above problem can be solved. Since the rubber insertion layer 360 and the printing film 320 are made of a mutual resin material, the rubber insertion layer 360 and the printing film 320 may form a solid binding state without an adhesive.

또한, 버튼 시트(310) 및 러버 패드층(330) 사이에서도 제2 접착층(345)이 제공된다. 제2 접착층(345)은 버튼 시트(310)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액상 실리콘을 도포한 후 압축성형 및 열 경화를 통해서 러버 패드층(330)과 견고한 접착을 이룰 수 있다. In addition, a second adhesive layer 345 is also provided between the button sheet 310 and the rubber pad layer 330. The second adhesive layer 345 may be formed by applying an adhesive to the button sheet 310, and after the liquid silicone is applied, may be firmly bonded to the rubber pad layer 330 through compression molding and heat curing.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1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utt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을 참조하면, 버튼 플레이트는 버튼 홀(412)을 포함하는 버튼 시트(410)는 포함하며, 버튼 시트(410)의 외곽부가 약 0.2mm 정도로 절곡되어 외곽 보강부(418)를 제공한다. 외곽 보강부(418)는 버튼 시트(410)의 외곽 전체 또는 일부를 따라 형성되며, 외곽 보강부(418)는 버튼 플레이트의 외곽을 지지하는 외곽 간격 지지부(435)에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외곽 보강부(418)에 의해서 버튼 시트(410)는 안정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얇은 버튼 플레이트의 형상을 더욱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가 있다.Referring to FIG. 18, the button plate includes a button sheet 410 including a button hole 412, and an outer portion of the button sheet 410 is bent about 0.2 mm to provide an outer reinforcing portion 418. The outer reinforcement part 418 is formed along the whole or part of the outer part of the button sheet 410, and the outer reinforcement part 418 may be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outer space support part 435 supporting the outer part of the button plate. By the outer reinforcing portion 418, the button sheet 410 can maintain a stable form, it is possible to more stably protect the shape of the thin button plate.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1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utt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를 참조하면, 버튼 플레이트는 버튼 홀(512)을 포함하는 버튼 시트(510)는 포함하며, 버튼 시트(510)의 외곽부가 오목하게 굴곡되어 외곽 보강부(518)를 제공한다. 외곽 보강부(518)는 프레스 공법에 의해서 버튼 시트(510)의 외곽 전체 또는 일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외곽 보강부(518)는 버튼 플레이트의 외곽을 지지하는 외곽 간격 지지부(535)에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 the button plate includes a button sheet 510 including a button hole 512, and an outer portion of the button sheet 510 is concavely curved to provide an outer reinforcing portion 518. The outer reinforcement part 518 may be formed along the whole or part of the outer part of the button sheet 510 by a press method, and the outer reinforcement part 518 is partially provided on the outer space supporting part 535 supporting the outer part of the button plate. Can be accommodated.

역시 외곽 보강부(518)에 의해서 버튼 시트(510) 및 버튼 플레이트는 안정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얇은 버튼 플레이트의 형상을 더욱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가 있다.In addition, by the outer reinforcing portion 518, the button sheet 510 and the button plate can maintain a stable form, it is possible to more stably protect the shape of the thin button plate.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버튼 플레이트 및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참고로, 도 20에는 버튼 플레이트 중 버튼 시트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되어 있으며, 버튼 시트를 이용하여 버튼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과정 및 결과물은 이전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다.2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utton plate and a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ference, FIG. 20 illustrates a process of providing a button sheet among the button plates, and a process and a result of providing a button plate using the button sheet may refer to th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of the previous embodiment.

도 20의 (e)를 참조하면, 버튼 시트(610)는 저면으로 편차를 가지도록 식각되어 있다. 따라서, 두꺼운 영역 및 얇은 영역을 포함하며, 두꺼운 영역은 대체로 버튼 시트(610)의 외곽 또는 버튼 홀(612) 주변 영역에 대응하며, 그 이외의 부분은 편차 식각되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진다. 따라서 버튼 시트(610)는 대부분의 영역에서 얇은 두께를 유지하면서 쉽게 굽어질 수 있는 부분을 상대적으로 두 껍게 유지하여 안정된 플레이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버튼 시트(610)의 전/후면에 인쇄 필름 및 러버 패드층을 형성한 후, 필름 또는 러버가 부분적으로 수축되어 버튼 플레이트가 굽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버튼 시트(610)의 프레임 부분을 두껍게 할 수 있으며, 다른 부분을 얇게 하여 버튼 플레이트의 휨을 방지하는 동시에 우수한 키감을 유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E, the button sheet 610 is etched to have a deviation in the bottom surface. Thus, a thick area and a thin area are included, and the thick area generally corresponds to the area around the button seat 610 or the area around the button hole 612, and other portions have a relatively thin thickness by deviation etching. Therefore, the button sheet 610 may maintain a stable plate shape by maintaining a relatively thick portion that can be easily bent while maintaining a thin thickness in most areas. In particular, after the printing film and the rubber pad layer ar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button sheet 610, the film or the rubber may be partially contracted to cause the button plate to be bent.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frame portion of the button sheet 610 may be thickened, and another portion may be thinned to prevent bending of the button plate and at the same time maintain an excellent key feeling.

이렇게 두께 차이를 갖는 버튼 시트(610)를 형성하기 위해서 식각 공정을 적용할 수 있다. An etching process may be applied to form the button sheet 610 having the thickness difference.

도 20의 (a)를 참조하면, SUS 시트(610-1)가 제공된다. SUS 시트(610-1)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공되며, 얇은 두께를 갖는다. SUS 시트(610-1)는 하나의 버튼 플레이트를 형성하기 위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으며, 격자 배열로 배치되어 복수개의 버튼 플레이트를 형성하기 위한 큰 크기로도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A, an SUS sheet 610-1 is provided. The SUS sheet 610-1 is made of stainless steel and has a thin thickness. The SUS sheet 610-1 may be provided in a size for forming one button plate, and may also be provided in a large size for forming a plurality of button plates arranged in a lattice arrangement.

도 20의 (b)를 참조하면, 포토레지스트 식각을 위한 감광액을 이용하여 SUS 시트(610-1)의 양면에 제1 감광액 층(621) 및 제2 감광액 층(625)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1 감광액 층(621)은 인쇄 필름이 제공되는 SUS 시트(610-1)의 전면에 형성되며, 제2 감광액 층(625)은 러버 패드층이 제공되는 SUS 시트(610-1)의 후면에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20B, the first photoresist layer 621 and the second photoresist layer 625 are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SUS sheet 610-1 using the photoresist for photoresist etching. Here, the first photoresist layer 621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S sheet 610-1 provided with the printing film, and the second photoresist layer 625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S sheet 610-1 provided with the rubber pad layer. Is formed.

도 20의 (c)를 참조하면, 제1 감광액 층(621) 및 제2 감광액 층(625)을 각각 다른 패턴에 노광시킨 후, 제1 마스크 패턴(622) 및 제2 마스크 패턴(626)을 형성한다. 제1 마스크 패턴(622)은 버튼 홀(612)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제2 마스크 패턴(626)은 제1 마스크 패턴(622)이 형성된 영역과 상대적으로 얇은 깊이로 형성 될 영역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2 마스크 패턴(626)은 버튼 시트(610)의 외곽 부분 및 버튼 홀(612) 주변을 따라 일정의 폭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20C, after exposing the first photoresist layer 621 and the second photoresist layer 625 to different patterns, the first mask pattern 622 and the second mask pattern 626 are exposed. Form. The first mask pattern 622 is for forming the button hole 612, and the second mask pattern 626 includes a region where the first mask pattern 622 is formed and a region to be formed at a relatively thin depth. In detail, the second mask pattern 626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along the outer portion of the button sheet 610 and the periphery of the button hole 612.

도 20의 (d)를 참조하면, 제1 마스크 패턴(622) 및 제2 마스크 패턴(626)을 이용하여 SUS 시트(610-1)을 식각한다. 제1 마스크 패턴(622)에 의해서 노출된 부분은 제2 마스크 패턴(626)에 의해서 후면도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식각에 의해서 버튼 시트(610)를 관통하는 버튼 홀(612)이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제2 마스크 패턴(626)에만 노출된 부분은 부분적으로 식각되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1 및 제2 마스크 패턴(622, 626)을 제거함으로써 도 20의 (e)에 도시된 버튼 시트(610)를 제공한다.Referring to FIG. 20D, the SUS sheet 610-1 is etched using the first mask pattern 622 and the second mask pattern 626. Since a portion exposed by the first mask pattern 622 is also exposed by the second mask pattern 626, a button hole 612 penetrating the button sheet 610 may be formed by etching. However, the portion exposed only to the second mask pattern 626 may be partially etched to have a relatively thin thickness. Finally, the button sheet 610 shown in FIG. 20E is provided by removing the first and second mask patterns 622 and 626.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버튼 플레이트 및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2은 도 21의 버튼 시트의 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21 및 도 22에서는, 버튼 플레이트 중 버튼 시트가 설명되어 있으며, 버튼 시트를 이용하여 버튼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과정 및 결과물은 이전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다.FIG. 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utton plate and a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utton sheet of FIG. 21. For reference, in FIG. 21 and FIG. 22, a button sheet of the button plate is described, and a process and a result of providing the button plate using the button sheet may refer to the description and the drawing of the previous embodiment.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버튼 시트(710)는 제1 버튼 시트(711) 및 제2 버튼 시트(715)를 서로 맞대어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버튼 시트(711) 및 제2 버튼 시트(715)는 얇은 SUS 재질로 제공된다. 제1 버튼 시트(711)는 도 5 및 도 6의 버튼 시트(110)와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버튼 홀(712) 역시 도5의 버튼 홀(112)과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버튼 홀(712)에 대응하여 제2 버튼 시트(715)이 포개어져 제공되며, 제2 버튼 시트(715)는 복수개의 홀로 구성되 는 제2 버튼 홀(716)을 포함한다. 제2 버튼 홀(716)은 제1 버튼 홀(712)을 노출시킬 수 있다.21 and 22, the button sheet 710 may be provided to face the first button sheet 711 and the second button sheet 715 to each other, and the first button sheet 711 and the second button sheet may be provided. 715 is provided with a thin SUS material. The first button sheet 711 is formed in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e button sheet 110 of FIGS. 5 and 6, and the first button hole 712 is also formed in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e button hole 112 of FIG. 5. . The second button sheet 715 is provided in an overlapping manner with respect to the first button hole 712, and the second button sheet 715 includes a second button hole 716 including a plurality of holes. The second button hole 716 may expose the first button hole 712.

제1 버튼 홀(712)에 의해서 인쇄 필름(720) 및 러버 패드층(730)은 소정의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으며, 제1 버튼 홀(712) 주변의 버튼 시트(710)은 프레임으로서 인쇄 필름(720) 및 러버 패드층(730)을 지지할 수 있다.The print film 720 and the rubber pad layer 730 can be mov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y the first button hole 712, and the button sheet 710 around the first button hole 712 is a print film as a frame. 720 and the rubber pad layer 730 may be supported.

결과적으로, 버튼 시트(710)에서 제1 버튼 홀(712)이 형성된 부분은 얇은 두께를 유지할 수 있으며, 그 이외의 부분인 제1 버튼 시트(711) 및 제2 버튼 시트(715)가 겹쳐지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유지하여 버튼 시트(710)의 형상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portion in which the first button hole 712 is formed in the button sheet 710 can maintain a thin thickness, and the other portions of the first button sheet 711 and the second button sheet 715 overlap with each other. The portion may maintain a relatively thick thickness to firmly maintain the shape of the button sheet 710.

버튼 플레이트는 얇은 고경도 버튼 홀과 인쇄 필름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약 0.05~1mm 정도의 두께로 형성될 수가 있다. 따라서 버튼 플레이트는 개인휴대단말기의 키 입력부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경도가 약해지는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가 있다.Since the button plate is composed of a thin hard button hole and a printing film, the button plate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0.05 to 1 mm. Therefore, the button plate can minimize the thickness of the key input portion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at the same time can solve the problem that the hardness becomes weaker as the thickness becomes thinner.

또한, 버튼 플레이트가 개인휴대단말기의 키 입력부 뿐만 아니라 케이스의 일부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버튼 플레이트라는 하나의 부품을 장착함으로써 양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button plate can function not only as a key input part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but also as a part of the case, and both functions can be simultaneously performed by mounting one component called the button plate.

또한, 버튼 플레이트는 얇은 시트 구조를 유지하여 키 입력부에서 돌출된 부분을 아예 없앨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돌출된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원하는 디자인을 자유롭게 구사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button plate may maintain a thin sheet structure to eliminate any portion protruding from the key input unit, but in some cases, the desired height may be freely adjusted by freely adjusting the protruding height.

또한, 버튼 플레이트는 한 번에 제조가 가능하고,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하여 제조단가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양질의 제품을 공급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button plate can be manufactured at a time, easy to manufacture and assemble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can supply a high-quality product.

또한, 인쇄 필름에는 종래의 인쇄 기술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가 있으며, 여러 디자인 및 색채의 표현이 용이하여 종래의 키 입력부 구조보다 훨씬 다양한 형상을 표현할 수 있고,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rinting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the printing film in various ways, and various designs and colors can be easily expressed, which can represent much more various shapes than the conventional key input unit structure, and can be produced at very low cost.

또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버튼 시트 및 인쇄 필름을 상호 접착시킬 수 있으며, 인쇄 필름 및 버튼 홀을 서로 밀착시킴으로써 버튼 영역의 들뜸 현상을 예방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button sheet and the printing film can be bonded to each other using an adhesive, and the lifting phenomenon of the button area can be prevented by bringing the printing film and the button hol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액상 실리콘을 이용하여 러버 패드층을 버튼 시트의 저면에 성형할 수 있으며, 역시 러버 패드층 및 버튼 시트 사이에도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층을 형성함으로써 안정된 접착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ubber pad layer can be mol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sheet using liquid silicone, and stable adhesion can be formed by forming an adhesive layer using an adhesive between the rubber pad layer and the button sheet.

또한, 버튼 시트 및 인쇄 필름 사이에 러버 삽입층을 형성할 수가 있다. 러버 삽입층은 러버 패드층과 일체를 이루어 안정된 접착을 형성할 수 있으며, 버튼 플레이트의 키감을 향상시키고, 내부의 발광시트 등을 보호할 수 있으며, 내부 표면 상태와 무관하게 버튼 플레이트의 표면을 편평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Moreover, a rubber insertion layer can be formed between a button sheet and a printing film. The rubber insert layer can be integrated with the rubber pad layer to form a stable bond, improve the key feeling of the button plate, protect the inner light emitting sheet, etc., and flat the surface of the button plate regardless of the internal surface state Can be form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Claims (22)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 홀에 장착되어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 플레이트에 있어서,In the button plate mounted on the keypad hole of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the front surface of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키 입력을 위한 버튼 영역이 표시된 인쇄 필름;A print film displaying a button area for key input; 상기 인쇄 필름의 저면에 접하며 상기 버튼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버튼 홀을 포함하는 고경도 재질의 버튼 시트; A button sheet made of a high hardness material in contact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printing film and including a button hol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button area; 상기 버튼 시트 및 상기 인쇄 필름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접착층; 및A first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button sheet and the printing film; And 상기 버튼 시트의 저면에 제공되며 상기 버튼 홀을 통해 상기 인쇄 필름 및 상기 버튼 시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러버 패드층;A rubber pad layer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sheet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printing film and the button sheet through the button hole; 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Button plate for a personal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버튼 시트는 금속 또는 고강도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The button sheet is a button plate for a personal port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using a metal or high-strength plastic.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러버 패드층은 상기 버튼 영역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된 누름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The rubber pad layer may include a push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in correspondence with the button are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러버 패드층은 고무 재질의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되며, 상기 인쇄 필름 및 상기 버튼 시트가 미리 배치된 금형 내에서 성형되어 상기 인쇄 필름 및 상기 버튼 시트와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The rubber pad layer is formed using a resin of rubber material, wherein the printing film and the button sheet are molded in a pre-arranged mold and connected to the printing film and the button sheet integrally. Button pl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러버 패드층은 실리콘계 고무 또는 우레탄계 고무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The rubber pad layer is a button plate for a personal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using a silicone rubber or urethane rubb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버튼 시트 및 상기 러버 패드층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접착제 층을 더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And a second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button sheet and the rubber pad lay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버튼 시트는 외곽을 따라 절곡 또는 굴곡된 외곽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The button sheet is a button plate for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uter reinforcement portion bent or curved along the outer edg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버튼 시트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영역 및 얇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 시트의 외곽 및 상기 버튼 홀의 주변 경계 중 적어도 하나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영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The button sheet includes a relatively thick region and a thin region, wherein at least on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button sheet and the peripheral boundary of the button hole is formed in a relatively thick region of the button plate for a personal mobile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얇은 영역은 편차 식각을 이용한 식각 과정을 통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The thin region is a button plate for a personal port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hrough the etching process using the deviation etch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버튼 시트는 제1 버튼 홀을 포함하는 제1 버튼 시트 및 제2 버튼 홀을 포함하는 제2 버튼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버튼 시트를 서로 맞대어 상기 버튼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The button sheet includes a first button sheet including a first button hole and a second button sheet including a second button hole, and the first and second button sheets are opposed to each other to provide the button sheet. Button plate for personal portable devices.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 홀에 장착되어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 플레이트에 있어서,In the button plate mounted on the keypad hole of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the front surface of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키 입력을 위한 버튼 영역이 표시된 인쇄 필름;A print film displaying a button area for key input; 상기 인쇄 필름의 저면에 제공되는 발광 시트;A light emitting sheet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printing film; 상기 발광 시트의 저면에 접하며 상기 버튼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버튼 홀을 포함하는 고경도 재질의 버튼 시트; A button sheet made of a high hardness material in contact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sheet and including a button hol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button area; 상기 인쇄 필름 및 상기 버튼 시트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접착층; 및A first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print film and the button sheet; And 상기 버튼 시트의 저면에 제공되며 상기 버튼 홀을 통해 상기 인쇄 필름 및 상기 버튼 시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러버 패드층;A rubber pad layer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utton sheet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printing film and the button sheet through the button hole; 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Button plate for a personal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버튼 시트는 금속 또는 고강도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The button sheet is a button plate for a personal port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using a metal or high-strength plastic.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발광 시트는 유기 EL 또는 무기 EL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The light emitting sheet is a button plate for a personal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using an organic EL or inorganic EL.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러버 패드층은 상기 버튼 영역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된 누름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The rubber pad layer may include a push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in correspondence with the button area.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러버 패드층은 고무 재질의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되며, 상기 인쇄 필름 및 상기 버튼 시트가 미리 배치된 금형 내에서 성형되어 상기 인쇄 필름 및 상기 버튼 시트와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The rubber pad layer is formed using a resin of rubber material, wherein the printing film and the button sheet are molded in a pre-arranged mold and connected to the printing film and the button sheet integrally. Button plate. 삭제delete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버튼 시트 및 상기 러버 패드층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접착제 층을 더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And a second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button sheet and the rubber pad layer.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버튼 시트는 외곽을 따라 절곡 또는 굴곡된 외곽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The button sheet is a button plate for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uter reinforcement portion bent or curved along the outer edge.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버튼 시트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영역 및 얇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 시트의 외곽 및 상기 버튼 홀의 주변 경계 중 적어도 하나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영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The button sheet includes a relatively thick region and a thin region, wherein at least on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button sheet and the peripheral boundary of the button hole is formed in a relatively thick region of the button plate for a personal mobile terminal.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얇은 영역은 편차 식각을 이용한 식각 과정을 통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The thin region is a button plate for a personal port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hrough the etching process using the deviation etching. 제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버튼 시트는 제1 버튼 홀을 포함하는 제1 버튼 시트 및 제2 버튼 홀을 포함하는 제2 버튼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버튼 시트를 서로 맞대어 상기 버튼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The button sheet includes a first button sheet including a first button hole and a second button sheet including a second button hole, and the first and second button sheets are opposed to each other to provide the button sheet. Button plate for personal portable devices.
KR1020060049900A 2006-06-02 2006-06-02 Button plate for personal portable device KR1008444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900A KR100844441B1 (en) 2006-06-02 2006-06-02 Button plate for personal port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900A KR100844441B1 (en) 2006-06-02 2006-06-02 Button plate for personal portab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443A KR20070115443A (en) 2007-12-06
KR100844441B1 true KR100844441B1 (en) 2008-07-08

Family

ID=39141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900A KR100844441B1 (en) 2006-06-02 2006-06-02 Button plate for personal portab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444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299B1 (en) 2008-05-30 2010-04-20 갤럭시아디바이스 주식회사 optical sheet and optical sheet manufacturing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221Y1 (en) * 1993-10-25 1998-09-15 배순훈 Membrane switch structure
JP2005135876A (en) * 2003-10-31 2005-05-26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Touch type input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KR200404434Y1 (en) 2005-10-12 2005-12-22 이영순 A metal sustained thin film keypad for a portable phone
KR20060099860A (en) * 2005-03-15 2006-09-20 (주)지엔씨 Key pad with metal plate guide in each ke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221Y1 (en) * 1993-10-25 1998-09-15 배순훈 Membrane switch structure
JP2005135876A (en) * 2003-10-31 2005-05-26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Touch type input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KR20060099860A (en) * 2005-03-15 2006-09-20 (주)지엔씨 Key pad with metal plate guide in each key
KR200404434Y1 (en) 2005-10-12 2005-12-22 이영순 A metal sustained thin film keypad for a portable ph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299B1 (en) 2008-05-30 2010-04-20 갤럭시아디바이스 주식회사 optical sheet and optical sheet manufactur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443A (en) 200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8269B1 (en) Uppercase unified with buttons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uppercase
KR20070089934A (en) Thin key sheet and thin key unit incorporating the thin key sheet
EP1028445B1 (en) Support structure for a keypad
US7705256B2 (en) Thin key sheet
KR100739539B1 (en) Button plate for a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utton plate
KR100844441B1 (en) Button plate for personal portable device
KR100514759B1 (en) Super-thin type keypad emitting light
US20070275751A1 (en) Faceplate having keys for mobile phone
KR100538112B1 (en) Button plat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using a plastic sheet
KR100583353B1 (en) Inorganic electroluminescence lamp comprising front and back electrodes consisting of conducting polymer, keypad using 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584241B1 (en) Keypad for cellular pho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00113762A (en) Illuminated push-button switch
KR100925823B1 (en) Dome sheet equipped with plunger for wireless telephone
KR100472000B1 (en) A filmed keypa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0774611B1 (en) Metal front-cover for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30090012A (en) Key-pad for Cellular Phone
KR20060110879A (en) Button plate including a luminescent layer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button plate
KR100779066B1 (en) Mathod of manufactering of keypad and keypad
KR200378607Y1 (en) metal key-pad
KR100924507B1 (en) Keypad Manufacturing Method and Keypad thereof
WO2006059834A1 (en) Super thin type light emitting keypad
KR100847276B1 (en) One body type key pad, and that manufacturing method
KR101173100B1 (en) Key Pad of EL Sheet us for Mobile Phone
KR200374991Y1 (en) key-pad structure for a mobile phone
KR20080037974A (en) Keypad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