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6896B1 - 광학적으로 활성인 5,6-디옥소피페라진-2-카르복실산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학적으로 활성인 5,6-디옥소피페라진-2-카르복실산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896B1
KR100566896B1 KR1020030060437A KR20030060437A KR100566896B1 KR 100566896 B1 KR100566896 B1 KR 100566896B1 KR 1020030060437 A KR1020030060437 A KR 1020030060437A KR 20030060437 A KR20030060437 A KR 20030060437A KR 100566896 B1 KR100566896 B1 KR 100566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ly active
formula
carboxylic acid
compound
pr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0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2745A (ko
Inventor
한규성
함흥식
이원구
하현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매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매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매진
Priority to KR1020030060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6896B1/ko
Publication of KR20050022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2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8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4-diazine or hydrogenated 1,4-diazine rings
    • C07D24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4-diazine or hydrogenated 1,4-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4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4-diazine or hydrogenated 1,4-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or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41/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4-diazine or hydrogenated 1,4-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or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xy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광학적으로 활성인 화학식 2의 화합물과 메틸 클로로옥소아세테이트(methyl chlorooxoacetate)를 반응시키는 단계; 및 (b) (a)단계에서 얻어진 반응산물을 환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적으로 활성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3032398956-pat00001
식중, R1은 아미노 보호기이고, R2는 카르복실산 보호기이다.
아지리딘, 2-아지도-3-아미노프로피온산 에스테르, 5,6-디옥소피페라진-2-카르복실산

Description

광학적으로 활성인 5,6-디옥소피페라진-2-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an optically active 5,6-dioxopiperazine-2-carboxylic acid derivative}
본 발명은 광학적으로 활성인 5,6-디옥소피페라진-2-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5,6-디옥소피페라진-2-카르복실산 유도체는 다양한 피페라진 계열의 의약품 중간체로 사용되거나 새로운 피페라진계 화합물 제조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이다(미국특허 제5,902,812호).
종래, 광학적으로 활성인 5,6-디옥소피페라진-2-카르복실산 유도체는 피페라진 유도체를 광학분리(resolution)하거나 그 자체를 비대칭으로 제조하고 광학분리를 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미국특허 제5,977,364호 및 미국특허 제5,945,534호). 그러나, 종래의 제조방법은 광학적으로 활성인 5,6-디옥소피페라진-2-카르복실산 유도체를 대량으로 합성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광학적으로 활성인 5,6-디옥소피페라진-2-카르복실산 유도체를 높은 순도로 얻을 수 있는 제조방법의 개발이 당업계에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높은 순도로 광학적으로 활성인 5,6-디옥소피페라진-2-카르복실산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광학적으로 활성인 아지리딘 유도체로부터 상기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학적으로 활성인 5,6-디옥소피페라진-2-카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a) 광학적으로 활성인(optically active) 화학식 2의 화합물과 메틸 클로로옥소아세테이트(methyl chlorooxoacetate)를 반응시키는 단계; 및 (b) (a)단계에서 얻어진 반응산물을 환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적으로 활성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Figure 112003032398956-pat00002
Figure 112003032398956-pat00003
식중, R1은 아미노 보호기이고, R2는 카르복실산 보호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상기 아미노 보호기는, 예를 들어, 벤질, (R)-(α)-메틸벤질, 또는 (S)-(α)-메틸벤질 등과 같은 통상의 아미노 보호기이며, 카르복실산 보호기도 C1∼C4 알킬 또는 멘톨일 등을 포함한 통상의 카르복실산 보호기이다.
상기 광학적으로 활성인 화학식 2의 화합물과 메틸 클로로옥소아세테이트를 반응시키는 단계는 염기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가능한 염기는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N,N-diisopropylethylamine, DIEA), 루티닌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반응은 에틸 아세테이트, 테트라히드로퓨란, 아세토니트릴 등의 유기용매 중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0 ∼ 25 ℃, 바람직하게는 0 ∼ 10 ℃,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 ℃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환원시키는 단계는 통상의 환원반응에 의해 수행할 수 있으며, Pd/C 존재하에서 수소 가스를 주입하여 환원반응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적절한 탈보호기 제거반응을 수행하고, 원하는 친핵체와 반응시킴으로써 다양한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출발물질로 사용되는 광학적으로 활성인 화학식 2의 화합물은 광학적으로 활성인 화학식 3의 화합물과 아지드 염(azide salt)을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3032398956-pat00004
식중, R1 및 R2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은 의약품 및 촉매 제조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중간체이며(D. Lucet, Angew. Chem. Int. Ed. Engl. 1998, 37, 2580-2627),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광학적으로 활성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중간체로서도 유용하다.
상기 (2S) 또는 (2R)의 화학식 3의 화합물은 공지의 제조방법(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1-195호)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아지드 염은 소듐 아지드(sodium azide)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염일 수 있다.
화학식 3의 화합물과 아지드 염과의 반응은 AlCl3 또는 그의 수화물(예를들어, AlCl3·6H2O) 존재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아지리딘 링에 대하여 선택적인 반응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과 아지드 염과의 반응은 에탄올, 메탄올 등의 극성 유기용매 중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산성조건에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응은 20 ∼ 40 ℃, 바람직하게는 약 30 ℃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전체 반응식으로 나타내면 다음 반응식 1과 같다.
Figure 112003032398956-pat00005
상기 반응식에서, R1 및 R2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광학적으로 활성인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출발물질로 사용함으로써, 99%이상의 입체 선택성을 갖는 화학식 1 또는 2의 화합물을 높은 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3-N-[(R)-(+)-α-메틸벤질]아미노-2(S)-아지도프로피온산 멘톨 에스테르의 제조
50% 에탄올 40 ml에 3-N-[(R)-(+)-α-메틸벤질]아지리딘-2(R)-카르복실산 멘톨 에스테르(6.2g, 18.82mmole), 소듐 아지드(6.1g, 5.0eq), 및 AlCl3·6H2O(0.1eq) 을 가한 후, 2N 황산을 사용하여 pH를 pH4로 조정한 다음,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NaHCO3 수용액을 가하여 pH를 7∼8 로 중화시킨 후,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수층은 CH2Cl2로 세 차례 추출하여, 상기 유기층과 혼합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을 무수 MgSO4로 수분을 제거한 다음, 감압 농축하고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 : n-헥산 = 5 : 95)로 정제하여 3-N-[(R)-(+)-α-메틸벤질]아미노-2(S)-아지도프로피온산 멘톨 에스테르(6.0g, 5.8g)를 얻었다.
[α]22 D = +63.6o (c 1.00, CHCl3); 1H NMR (500 MHz, CDCl3) 7.40-7.20 (m, 5H), 4.75 (sex, 1H), 3.99 (dd, 1H), 3.78 (q, 1H), 2.86 (dd, J= 3.05, 1.10 Hz, 1H), 2.77 (dd, J= 6.34, 1.28 Hz, 1H), 2.02 (m, 1H), 1.82 (m, 1H), 1.70 (m, 1H), 1.67 (m, 1H), 1.59 (br, 1H), 1.49 (m, 1H), 1.42 (m, 1H), 1.35 (d, 3H), 1.03 (quin, 3H), 0.91 (d, 3H), 0.87 (d, 3H), 0.72 (d, 3H); 13C NMR (125 MHz, CDCl3) 169.4, 145.0, 128.7, 127.3, 126.7, 76.5, 62.4, 58.0, 48.5, 47.0, 40.9, 34.3, 31.6, 26.2, 24.4, 23.3, 22.1, 21.0, 16.2; Anal. Calcd for C13H18N 2O2: C, 67.71; H, 8.66; N, 15.04. Found: C, 67.74; H, 8.69; N, 15.19.
실시예 2. 3-N-[(R)-(+)-α-메틸벤질]아미노-2(R)-아지도프로피온산 멘톨 에스테르의 제조
3-N-[(R)-(+)-α-메틸벤질]아지리딘-2(S)-카르복실산 멘톨 에스테르(6.0g, 18.82mmol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5.8g)을 제조하였다.
[α]22 D = 1.5o (c 1.00, CHCl3); 1H NMR (500 MHz, CDCl3) 7.35-7.28 (m, 3H), 7.26-7.22 (m, 2H), 4.78 (sex, 1H), 3.96 (t, 1H), 3.76 (q, 1H), 2.84 (d, 2H), 2.00 (m, 1H), 1.87 (m, 1H), 1.69 (m, 2H), 1.61 (br, 1H), 1.48 (m, 1H), 1.43 (m, 1H), 1.34 (d, 3H), 1.03 (m, 3H), 0.91 (t, 6H), 0.76 (d, 3H); 13C NMR (125 MHz, CDCl3) 169.3, 145.2, 128.7, 127.3, 126.6, 76.4, 62.6, 58.3, 48.6, 47.1, 40.9, 34.2, 31.6, 26.4, 24.4, 23.5, 22.1, 20.9, 16.4; Anal. Calcd for C13H18N2O2: C, 67.71; H, 8.66; N, 15.04. Found: C, 67.76; H, 8.65; N, 15.12.
실시예 3. 4-[(R)-(+)-α-메틸벤질]-5,6-디옥소피페라진-2(R)-카르복실산 멘톨 에스테르의 제조
에틸 아세테이트(4ml, 0.2mmol)에 실시예 2에서 제조한 3-N-[(R)-(+)-α-메틸벤질]아미노-2(R)-아지도프로피온산 멘톨 에스테르(250mg, 0.67mmole), 트리에틸아민(112㎕, 0.81mmome), 메틸 클로로옥소아세테이트(68㎕, 0.70mmole)를 가한 다음, 0℃에서 넣고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Pd/C(50mg, 20 wt%)를 넣고, 수소 가스를 주입시켜 환원반응을 수행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고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 100%)로 정제하여 4-[(R)-(+)-α-메틸벤질]-5,6-디옥소피페라진-2(R)-카르복실산 멘톨 에스테르를 얻었다(231 mg).
[α]22 D = 28.3o (c 1.00, CHCl3); 1H NMR (500 MHz, CDCl3) 7.62 (br, 1H), 7.40-7.20 (m, 5H), 6.00 (q, 1H), 4.74 (sex, 1H), 4.15 (qui, 1H), 3.51 (dd, J= 3.05, 1.10 Hz, 1H), 3.31 (dd, J= 6.34, 1.28 Hz, 1H), 1.98 (m, 1H), 1.82-1.62 (m, 4H), 1.53 (d, 3H), 1.48 (m, 2H), 1.03 (m, 5H), 0.91 (d, 3H), 0.74 (d, 3H); 13C NMR (75 MHz, CDCl3) 170.0, 168.1, 158.1, 156.7, 138.4, 129.0, 128.3, 127.6, 77.6, 52.1, 51.5, 46.7, 42.3, 40.6, 34.0, 31.5, 26.4, 23.3, 22.0, 20.9, 16.4, 15.3, 145.0, 128.7, 127.3, 126.7, 76.5, 62.4, 58.0, 48.5, 47.0, 40.9, 34.3, 31.6, 26.2, 24.4, 23.3, 22.1, 21.0, 16.2; Anal. Calcd for C13H18N2O2: C, 68.97; H, 8.05; N, 6.99. Found: C, 68.91; H, 8.14; N, 6.88.
실시예 4. 4-[(R)-(+)-α-메틸벤질]-5,6-디옥소피페라진-2(S)-카르복실산 멘톨 에스테르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3-N-[(R)-(+)-α-메틸벤질]아미노-2(S)-아지도프로피온산 멘톨 에스테르(250mg)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표제화합물을 제조하였다(224mg).
[α]22 D = 49.6o (c 1.00, CHCl3); 1H NMR (500 MHz, CDCl3) 7.63 (br, 1H), 7.37-7.26 (m, 5H), 5.99 (q, 1H), 4.57 (sex, 1H), 4.28 (q, 1H), 3.72 (m, 1H), 3.30 (dd, 1H), 1.93 (br, 1H), 1.70 (m, 1H), 1.65 (m, 2H), 1.58 (d, 3H), 1.49 (m, 1H), 1.37 (m, 1H), 1.27 (m, 1H), 0.99 (m, 1H), 0.86 (t, 5H), 0.80 (m, 1H), 0.70 (d, 3H), 0.65 (q, 1H); 13C NMR (125 MHz, CDCl3) 168.0, 158.2, 156.9, 138.3, 128.9, 128.4, 127.8, 77.3, 51.7, 46.9, 41.9, 40.2, 34.0, 31.4, 29.8, 26.3, 23.3, 22.0, 20.9, 16.3, 15.5; Anal. Calcd for C13H18N2O 2: C, 68.97; H, 8.05; N, 6.99. Found: C, 68.88; H, 8.01; N, 6.71.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99%이상의 입체 선택성을 갖는 화학식 1 또는 2의 화합물을 높은 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Claims (7)

  1. (a) 광학적으로 활성인(optically active) 화학식 2의 화합물과 메틸 클로로옥소아세테이트(methyl chlorooxoacetate)를 반응시키는 단계; 및 (b) (a)단계에서 얻어진 반응산물을 환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적으로 활성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Figure 112005051654404-pat00006
    ,
    Figure 112005051654404-pat00007
    식중, R1은 벤질, (R)-(α)-메틸벤질, 또는 (S)-(α)-메틸벤질이고, R2는 C1∼C4 알킬 또는 멘톨일이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반응이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N,N-diisopropylethylamine), 또는 루티닌 존재하에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시키는 단계가 Pd/C 존재하에서 수소 가스를 주입하여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제1항,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적으로 활성인 화학식 2의 화합물이 화학식 3의 화합물과 아지드 염(azide salt)을 반응시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Figure 112005051654404-pat00008
    식중, R1 및 R2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7. 제6항에 있어서, AlCl3 또는 그의 수화물 존재하에서 화학식 3의 화합물과 아지드(azide) 염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030060437A 2003-08-29 2003-08-29 광학적으로 활성인 5,6-디옥소피페라진-2-카르복실산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0566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437A KR100566896B1 (ko) 2003-08-29 2003-08-29 광학적으로 활성인 5,6-디옥소피페라진-2-카르복실산유도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437A KR100566896B1 (ko) 2003-08-29 2003-08-29 광학적으로 활성인 5,6-디옥소피페라진-2-카르복실산유도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745A KR20050022745A (ko) 2005-03-08
KR100566896B1 true KR100566896B1 (ko) 2006-04-04

Family

ID=37230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0437A KR100566896B1 (ko) 2003-08-29 2003-08-29 광학적으로 활성인 5,6-디옥소피페라진-2-카르복실산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689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745A (ko) 2005-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7494B1 (ko) 광학활성을 갖는 피페리딘 유도체의 중간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0510253A (ja) 4,4’−(1−メチル−1,2−エタンジイル)−ビス−(2,6−ピペラジンジオン)の新規の製造法
KR101127814B1 (ko) 신규의 중간체 및 이를 이용한 실데나필 또는 그의 염의 제조방법
KR100566896B1 (ko) 광학적으로 활성인 5,6-디옥소피페라진-2-카르복실산유도체의 제조방법
KR20010042022A (ko) Hiv 프로테아제 억제제의 합성 방법
US6538160B2 (en) Process for producing α-aminohalomethyl ketone derivatives
KR100743617B1 (ko) 고광학순도를 갖는 키랄 3-히드록시 피롤리딘 및 그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JP2018525376A (ja) クロマノール誘導体の新規な製造方法
US6891046B2 (en) Solution and solid phase synthesis of pyrrolinones and polypyrrolinones
JP5279449B2 (ja) 5−{4−[2−(5−エチル−2−ピリジル)エトキシ]ベンジル}−2,4−チアゾリジンジオン塩酸塩の製造方法
KR102589305B1 (ko) 시타글립틴 인산염의 개선된 제조방법
KR102152445B1 (ko) 의약품 합성용 중간체 화합물의 제조 방법
JP3518627B2 (ja) 光学活性5−ヒドロキシメチルオキサゾリジノン誘導体の製造法
CN113816955B (zh) 一种ret激酶抑制剂中间体及其制备方法
KR100856133B1 (ko) 아토르바스타틴의 개선된 제조방법
KR101881918B1 (ko) 아실설폰아마이드 유도체의 새로운 제조방법
KR0150566B1 (ko) 광학활성이 있는 3-아미노 헤테로고리아민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0388108B1 (ko)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 중간체 신규 제조방법
JP4187822B2 (ja) 光学活性4−ヒドロキシ−2−ピロリドンの製造方法
KR100566562B1 (ko) 수마트립탄의 제조방법
KR100323983B1 (ko) γ-치환된-부티로락톤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446017B1 (ko) 고 입체순도를 갖는 4-알킬-5-아릴 5-원고리 설파미데이트의 제조방법
CN117659032A (zh) 海鞘素类衍生物的中间体及其的合成方法
JP4212351B2 (ja) 光学活性1,2−ジアミン誘導体および光学活性イミダゾリジノン誘導体の製造法
KR101137503B1 (ko) 고분자 고체 지지체를 이용한 히스티딜-프롤린아미드 유도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