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6318B1 - 카바졸온 유도체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카바졸온 유도체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318B1
KR100566318B1 KR1020030072098A KR20030072098A KR100566318B1 KR 100566318 B1 KR100566318 B1 KR 100566318B1 KR 1020030072098 A KR1020030072098 A KR 1020030072098A KR 20030072098 A KR20030072098 A KR 20030072098A KR 100566318 B1 KR100566318 B1 KR 100566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compound
formula
tetrahydro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2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6411A (ko
Inventor
이태오
박상선
이두병
김상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유한양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유한양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유한양행
Priority to KR1020030072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6318B1/ko
Priority to PCT/KR2004/002647 priority patent/WO2005037823A1/en
Publication of KR20050036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3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56Ring systems containing three or more rings
    • C07D209/80[b, c]- or [b, d]-condensed
    • C07D209/82Carbazoles; Hydrogenated carb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5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3/5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Abstract

본 발명은 온화한 반응조건에서 고순도 및 고수율로 1,2,3,9-테트라히드로-9-메틸-3-[(2-메틸-1H-이미다졸-1-일)메틸]-4H-카바졸-4-온 및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 공업적 대량생산에 적용될 수 있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온단세트론

Description

카바졸온 유도체 제조방법 {A PROCESS FOR PREPARING CARBAZOLONE DERIVATIVES}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1,2,3,9-테트라히드로-9-메틸-3-[(2-메틸-1H-이미다졸-1-일)메틸]-4H-카바졸-4-온 및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새로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3038545338-pat00001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5-히드록시 트립타민3 (5-HT3) 수용체에 선택적 길항작용을 가지며, 화학요법에 따른 암치료시 수반되는 구토 증세를 완화시키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들어 GB 2,153,821(대한민국특허공고번호 제92-3064호), EP 219,929 (대한민국특허공고번호 제92-1670호), EP 221,629 (대한민국특허공고번호 제92-1671호), 대 한민국특허공고번호 제99-217466호, 대한민국특허공고번호 제99-216422호, 대한민국특허공고번호 제03-377578호 및 대한민국특허공개번호 제2002-0039223호에 개시된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GB 2,153,821 (대한민국특허공고번호 제92-3064호)에 개시한 제조방법은 예를들어 다음 반응식 1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Figure 112003038545338-pat00002
즉, 상기 선행기술은 1,2,3,9-테트라히드로-9-메틸-3-디메틸아미노메틸-4H-카바졸-4-온 염산염(5) 또는 4차 알킬 암모늄 요오드염(6) 또는 1,2,3,9-테트라히드로-9-메틸-3-메틸렌-4H-카바졸-4-온(7)을 2-메틸 이미다졸과 반응시키므로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서 개시하고 있는 제조방법들은 다단계 반응경로를 거쳐야 하며, 각 단계별로 걸리는 반응시간이 매우 길고, 수율이 낮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EP 219,929 (대한민국특허공고번호 제92-1670호)에 개시되어 있는 제조방법은 다음 반응식 2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Figure 112003038545338-pat00003
즉, 상기 선행기술은 1,3-시클로헥산디온 모노에테르(8)를 강염기 및 N,N-디메틸메틸렌암모늄 요오드와 반응시켜 2-메틸 이미다졸 치환기가 도입된 화합물(10)을 제조하고 이를 2-메틸-2-페닐히드라진(11)과 반응시켜 히드라존 중간체(12)를 얻은 후 염화아연을 이용하여 고리화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얻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반응식 2에 따른 제조방법은 디메틸아미노기를 도입하기 위해 무수조건이 요구되며, 고가의 시약이 사용되고, 다단계 반응을 거쳐야하므로, 공업적 대량생산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EP 221,629 (대한민국특허공고번호 제92-1671호)에 개시되어 있는 제조방법은 다음 반응식 3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Figure 112003038545338-pat00004
즉, 상기 선행기술은 이미다졸메틸-1,3-시클로헥산디온 모노에테르(10)와 요오도아닐린(13)을 반응시켜 얻어진 엔아민(14)을 팔라듐 촉매 존재하에서 고리화 반응을 수행하여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얻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반응식 3에 따른 제조방법 역시 수율이 매우 저조하고 고가의 촉매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공업적 대량생산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특허공고번호 제99-217466호에 개시되어 있는 제조방법은 다음 반응식 4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Figure 112003038545338-pat00005
즉, 상기 선행기술은 1,2,3,9-테트라히드로-9-메틸-4H-카바졸-4-온(3)을 빙초산 용매 환류조건에서 포름알데히드 및 2차 아민과 반응시켜 중간체 화합물(2)을 얻고 이를 과량의 알루미나 존재하에서 2-메틸 이미다졸과 반응시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얻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반응식 4에 따른 제조방법은 중간체(2)를 합성하기 위하여 과량의 초산을 용매로 사용하여야 하므로 반응 후 처리가 어려우며 더욱이 다수의 불순물이 생성되어 정제과정이 추가로 필요하고 수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특허공고번호 제99-216422호에는 2-메틸 이미다졸과 유기산을 반응시켜 얻은 2-메틸 이미다졸 염을 상기 반응식 4에서 개시된 제조방법에 따라 얻어진 중간체(2)와 반응시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얻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제조방법은 130 ℃ 이상의 고온에서 반응을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공고번호 제03-377578호와 대한민국특허공개번호 제2002-0039223호에 개시되어 있는 제조방법은 다음 반응식 5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Figure 112003038545338-pat00006
즉, 상기 선행기술들은 2-메틸 이미다졸과 2차아민 및 포름알데히드를 반응시켜 디알킬아미노메틸이미다졸 중간체(16)를 합성하여 분리한 후 이를 카바졸온 화합물(3)과 반응시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얻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반응식 5에 따른 제조방법들은 중간체인 디알킬아미노메틸이미다졸(16)을 합성하기 위하여 추가의 반응단계가 필요하며, 고진공 증류방법에 의해 상기 중간체를 분리하여야 하므로 공업적 대량생산에 적용하기가 어렵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온화한 조건에서 고순도 및 고수율로 1,2,3,9-테트라히드로-9-메틸-3-[(2-메틸-1H-이미다졸-1-일)메틸]-4H-카바졸-4-온 및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공업화가 용이한 제조방법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1,2,3,9-테트라히드로-9-메틸-3-[(2-메틸-1H-이미다졸-1-일)메틸]-4H-카바졸-4-온 및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a) 화학식 3의 1,2,3,9-테트라히드로-9-메틸-4H-카바졸-4-온을 산 존재하에서 용매중에 화학식 4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에서 얻은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크레이(clay) 촉매 및 용매 존재하에서 화학식 5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그 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3038545338-pat00007
Figure 112003038545338-pat00008
Figure 112003038545338-pat00009
Figure 112003038545338-pat00010
상기에서, n 은 0 또는 1 을 나타내며,
n 이 0 일 경우, R1, R2, R3, R4는 각각 독립된 변수로서 직쇄상 또는 분지상 C1-6 알킬기 또는 페닐기, -(CH2)m으로 나타낼 수 있는 환형태 또는 -(CH 2)a-X-(CH2)b-로 나타낼 수 있는 환형태를 의미하고, m, a, b는 1 내지 5의 정수를 의미하며, X는 N, O 또는 S를 의미하고,
n 이 1 일 경우 R3 및 R4는 각각 -CH2-를 나타내며, R1, R2 및 R5는 각각 독립된 변수로서 C1-6의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3038545338-pat00011
이하,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따른 화학식 1의 1,2,3,9-테트라히드로-9-메틸-3-[(2-메틸-1H-이미다졸-1-일)메틸]-4H-카바졸-4-온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하면 하기 반응식 6과 같다.
Figure 112003038545338-pat00012
여기서, n, R1, R2, R3, R4 및 R5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반응식 6에 있어서, 화학식 3 및 화학식 4의 화합물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쉽게 합성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J. Org. Chem., 1980, 45, 2938; Synthesis 1990, 215; Tetrahedron., 1997, 53, 2941; J. Chem. Soc, Perkin Trans, I., 1989, 2117; Org. Syn., coll VI, 474; J. Org. Chem., 2000, 65, 8384), 또한 상업적으로도 용이하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의 1,2,3,9-테트라히드로-9-메틸-3-메틸렌-4H-카바졸-4-온은 상기 반응식 6에 따라 화학식 3의 화합물을 화학식 4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얻기 위하여 종래기술이 다단계 반응을 거치거나 과량의 포름알데히드 및 과량의 산 존재하에서 제조하는 것과는 달리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상업적으로 구입이 용이한 화학식 4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반응단계를 단축하고 고수율 및 고순도로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6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은 n 이 0 일 경우 예를들어 N,N,N',N'-테트라메틸디아미노메탄, N,N,N',N'-테트라에틸디아미노메탄, N,N,N',N'-테트라부틸디아미노메탄, 디피페리디노메탄, 1,1'-메틸렌비스(3-메틸피페리딘), 4,4'-메틸렌디몰포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n 이 1 일 경우 1,3,5-트리벤질헥사하이드로-1,3,5-트리아진, 1,3,5-트리에틸헥사하이드로-1,3,5-트리아진, 1,3,5-트리메틸헥사하이드로-1,3,5-트리아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의 사용량은 화학식 3의 화합물에 대하여 0.3 ~ 10 당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식 6에 있어서, 단계 (a)의 반응은 적절한 산 존재하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때 사용가능한 산으로는 클로로트리메틸실란, 트리클로로메틸실란, 초산, 무수초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아세틸클로라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상기 산의 사용량은 화학식 4의 화합물에 대하여 0.1 ~ 10 당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계 (a)의 반응은 반응시간 단축 및 수율을 높이기 위하여 반응 중간에 추가로 염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가능한 염기로는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등의 유리염기와 아세트산나트륨, 아세트산칼륨, 탄산 칼륨, 탄산나트륨 등의 무기염기가 있으며, 염기의 사용량은 사용되는 산과 동일한 당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a)에서 사용가능한 반응용매로는 아세토니트릴, 에틸아세테이트, 테트라히드로퓨란, 톨루엔, 1,4-디옥산,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계 (a)의 반응은 사용되는 용매의 환류온도 범위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들어 아세토니트릴의 경우에는 80 ℃ ~ 85 ℃, 에틸아세테이트의 경우에는 75 ℃ ~ 80 ℃, 테트라히드로퓨란의 경우에는 65 ℃ ~ 70 ℃, 톨루엔의 경우에는 110 ℃ ~ 115 ℃, 1,4-디옥산의 경우에는 100 ℃ ~ 105 ℃, 디메틸포름아미드의 경우에는 80 ℃ ~ 120 ℃ 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 (a)의 반응은 부반응이 적어 반응 후 얻어진 화학식 2의 1,2,3,9-테트라히드로-9-메틸-3-메틸렌-4H-카바졸-4-온을 추가의 정제과정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반응식 6의 단계 (b)의 반응에 따라, 상기 단계 (a)에서 얻어진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화학식 5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1의 1,2,3,9-테트라히드로-9-메틸-3-[(2-메틸-1H-이미다졸-1-일)메틸]-4H-카바졸-4-온을 제조할 수 있다.
엑소시클릭 α, β-불포화케톤에 대한 아민의 첨가반응은 이들 화합물들간의 낮은 반응성 때문에 반응시간이 길고 반응수율이 낮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 보고에 따르면 크레이(clay)가 아민의 첨가반응에서 유용한 촉매로 사용될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Ashutosh V. Bedekar, Tetrahedron, 2001, 57, 9045) 또한 크 레이(clay)는 높은 안정성을 가지며 낮은 가격이 저렴하고 재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독성이 없고 취급이 용이하며 부식성이나 변질성이 없는 특성들을 가지고 있어 이상적인 촉매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화학식 2의 1,2,3,9-테트라히드로-9-메틸-3-메틸렌-4H-카바졸-4-온과 화학식 3의 2-메틸이미다졸을 크레이(clay) 촉매와 용매중에서 반응시켜 화학식 1의 1,2,3,9-테트라히드로-9-메틸-3-[(2-메틸-1H-이미다졸-1-일)메틸]-4H-카바졸-4-온을 고수율 및 고순도로 얻을 수 있다. 사용가능한 크레이(clay) 촉매로는 몬트모일로나이트 KSF 또는 몬트모일로나이트 K10 이 바람직하며, 사용된 크레이(clay) 촉매는 반응 후 여과에 의해 제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계 (b)의 반응은 용매 존재하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때 반응용매로는 톨루엔, 크실렌, 벤젠, 디옥산, 헵탄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계 (b)의 반응은 사용되는 용매의 환류온도 범위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들어 톨루엔의 경우에는 110 ℃ - 115 ℃ 에서, 벤젠의 경우에는 79 ℃ - 85 ℃ 에서, 디옥산의 경우에는 100 ℃ - 105 ℃ 에서, 헵탄의 경우에는 95 ℃ - 110 ℃ 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것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2,3,9-테트라히드로-9-메틸-3-메틸렌-4H-카바졸-4-온
40 ml의 아세토니트릴에 10 ml의 무수초산과 3.93 g의 염화아세틸을 가하고 5.1 g의 N,N,N',N'-테트라메틸디아미노메탄을 서서히 적가하였다. 반응 현탁액에 2 g의 1,2,3,9-테트라히드로-9-메틸-4H-카바졸-4-온을 가해 약 1시간 동안 환류한 후 4.1 g의 아세트산나트륨을 가하고 환류하였다. 반응 완결후 초산 에틸을 가해 희석한 다음 순차적으로 묽은 염산,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수용액, 물, 포화식염수을 가해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유기용매를 감압증류하여 1.69 g의 조생성물을 획득하였다.(수율: 80%) 얻어진 생성물은 정제과정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1,2,3,9-테트라히드로-9-메틸-3-메틸렌-4H-카바졸-4-온
상기 실시예 1에서 N,N,N',N'-테트라메틸디아미노메탄 대신 4.43 ml의 N,N,N',N'-테트라에틸디아미노메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에 의해 1.77 g의 표제화합물을 얻었다.(수율: 84%)
실시예 3. 1,2,3,9-테트라히드로-9-메틸-3-메틸렌-4H-카바졸-4-온
상기 실시예 1에서 N,N,N',N'-테트라메틸디아미노메탄 대신 4.47 ml의 디피페리디노메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에 의해 1.90 g의 표제화합물을 얻었다.(수율: 90%)
실시예 4. 1,2,3,9-테트라히드로-9-메틸-3-메틸렌-4H-카바졸-4-온
상기 실시예 1에서 N,N,N',N'-테트라메틸디아미노메탄 대신 5.33 ml의 1,1'메틸렌비스(3-메틸피페리딘)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에 의해 1.90 g의 표제화합물을 얻었다.(수율: 90%)
실시예 5. 1,2,3,9-테트라히드로-9-메틸-3-메틸렌-4H-카바졸-4-온
20 ml의 무수초산에 2 g의 1,2,3,9-테트라히드로-9-메틸-4H-카바졸-4-온을 가하고, 약 100℃로 가온하였다. 15 ml의 N,N,N',N'-테트라메틸디아미노메탄을 1시간 30분 동안 적가하였다. 반응 종료 후 감압 증류하여 무수초산을 제거하고 초산 에틸을 가해 희석한 다음 묽은 염산,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수용액, 물, 포화식염수를 차례로 가하여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유기용매를 감압증류하여 1.50 g의 조생성물을 획득하였다.(수율: 70%) 얻어진 생성물은 추가 정제 과정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6. 1,2,3,9-테트라히드로-9-메틸-3-메틸렌-4H-카바졸-4-온
40 ml의 톨루엔에 3.9 g의 1,3,5-트리메틸헥사히드로-1,3,5-트리아진을 가하고 0 ℃로 냉각한 후 3.4 g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서서히 적가하였다. 반응혼합물을 동일 온도에서 약 30분간 교반한 후 2 g의 1,2,3,9-테트라히드로-9-메틸-4H-카바졸-4-온을 가하고 환류온도에서 약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후 감압 증류하고 초산 에틸을 가해 희석한 다음 정제수,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수용액, 포화식염수를 차례로 가하여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후 유기용매를 감압증류하여 얻어진 고체를 아세토니트릴로 정제하여 1.30 g의 수율로 표제화합물을 얻었다.(수율: 62%)
실시예 7. 1,2,3,9-테트라히드로-9-메틸-3-메틸렌-4H-카바졸-4-온
40 ml의 아세토니트릴에 2.2 ml의 아세틸클로라이드를 투입하고 0 ℃로 냉각한 후 4.1 ml의 N,N,N',N'-테트라메틸디아미노메탄을 적가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약 10분간 교반하고 2 g의 1,2,3,9-테트라히드로-9-메틸-4H-카바졸-4-온을 가하여 2시간 환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2.46 g의 아세트산 나트륨을 추가적으로 가하고 6시간 30분동안 환류하였다. 반응 완료후 감압증류하여 아세토니트릴을 제거한 후 정제수를 가하고 생성된 결정을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여과, 감압 건조하여 1.90 g 미색의 표제화합물을 얻었다.(수율: 90%)
실시예 8. 1,2,3,9-테트라히드로-9-메틸-3-[(2-메틸-1H-이미다졸-1-일)메틸]-4H-카 바졸-4-온
5 g의 1,2,3,9-테트라히드로-9-메틸-3-메틸렌-4H-카바졸-4-온, 5.89 g의 2-메틸이미다졸과 1 g의 몬트모일로나이트 K10 혼합물을 100 ml의 톨루엔에 가하고 환류중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후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클로로포름을 가하여 사용된 촉매를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여액을 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초산 에틸로 정제하여 흰색 고체의 표제화합물 6.94 g을 얻었다.(수율: 99%)
실시예 9. 1,2,3,9-테트라히드로-9-메틸-3-[(2-메틸-1H-이미다졸-1-일)메틸]-4H-카바졸-4-온
5 g의 1,2,3,9-테트라히드로-9-메틸-3-메틸렌-4H-카바졸-4-온, 5.89 g의 2-메틸이미다졸과 1 g의 몬트모일로나이트 KSF 혼합물을 100 ml의 톨루엔에 가하고 환류중에서 6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후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클로로포름을 가하여 사용된 촉매를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여액을 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감압증류하였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초산 에틸로 정제하여 흰색 고체의 표제화합물 6.30 g을 얻었다. (수율: 90%)
실시예 10. 1,2,3,9-테트라히드로-9-메틸-3-[(2-메틸-1H-이미다졸-1-일)메틸]-4H- 카바졸-4-온 염산염 이수화물
상기 실시예 8에서 제조한 1,2,3,9-테트라히드로-9-메틸-3-[(2-메틸-1H-이미다졸-1-일)메틸]-4H-카바졸-4-온 (5 g)을 50 ml의 에탄올과 5 ml의 정제수 혼합용매에 현탁하고 1.9 g의 진한 염산을 서서히 적가한 후 상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70 ℃로 가온하여 용해시키고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상온으로 냉각하여 약 3시간 동안 결정화하였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고 냉각된 에탄올로 세척한 후 25 ℃에서 진공 건조하여 순수한 백색 표제화합물 5.3 g을 얻었다.(수율: 85%)
본 발명은 온단세트론의 제조공정을 단축하고 온화한 조건에서 고수율 및 고순도로 제조하므로서 공업적 대량생산에 적용이 용이하다.

Claims (12)

  1. 삭제
  2. (a) 화학식 3의 1,2,3,9-테트라히드로-9-메틸-4H-카바졸-4-온을 산 존재하에서 N,N,N',N'-테트라메틸디아미노메탄, N,N,N',N'-테트라에틸디아미노메탄, 디피페리디노메탄, 1,1'-메틸렌비스(3-메틸피페리딘), 1,3,5-트리메틸헥사히드로-1,3,5-트리아진 및 1,3,5-트리에틸헥사히드로-1,3,5-트리아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얻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에서 얻은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크레이(clay) 촉매 및 용매 존재하에서 화학식 5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그 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112005068574111-pat00013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화학식 4의 화합물의 사용량이 화학식 3의 화합물에 대하여 0.3 당량 내지 10 당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사용되는 산이 클로로트리메틸실란, 트리클로로메틸실란, 초산, 무수초산, 트리플로로아세트산, 아세틸크로라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산의 사용량이 화학식 4의 화합물에 대하여 0.1 당량 내지 10 당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반응이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아세트산나트륨, 아세트산칼륨, 탄산칼륨 및 탄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염기 존재하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사용되는 용매가 아세토니트릴, 에틸아세테이트, 테트라히드로퓨란, 톨루엔, 1,4-디옥산,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크레이(clay) 촉매가 몬트모일로나이트 KSF 또는 몬트모일로나이트 K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용매가 톨루엔, 크실렌, 벤젠, 다이옥산, 헵탄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삭제
KR1020030072098A 2003-10-16 2003-10-16 카바졸온 유도체 제조 방법 KR100566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098A KR100566318B1 (ko) 2003-10-16 2003-10-16 카바졸온 유도체 제조 방법
PCT/KR2004/002647 WO2005037823A1 (en) 2003-10-16 2004-10-15 Process for preparing 1,2,3,9-tetrahydro-9-methyl-3-[(2-methyl-1h-imidazole-1-yl)methyl]-4h-carbazol-4-one or its sal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098A KR100566318B1 (ko) 2003-10-16 2003-10-16 카바졸온 유도체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411A KR20050036411A (ko) 2005-04-20
KR100566318B1 true KR100566318B1 (ko) 2006-03-30

Family

ID=37239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2098A KR100566318B1 (ko) 2003-10-16 2003-10-16 카바졸온 유도체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631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411A (ko) 200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87253A1 (en) Synthesis of pyrrolo[2,1-c][1,4]benzodiazepine analogues
US20030225149A1 (en) Process for preparing highly functionalized gamma-butyrolactams and gamma-amino acids
KR100289912B1 (ko) 카르바졸론유도체및이의제조방법
KR100566318B1 (ko) 카바졸온 유도체 제조 방법
KR100566319B1 (ko) 카바졸온 유도체의 제조방법
JP4512100B2 (ja) 置換ベンゾピラン化合物の製造方法
KR100566317B1 (ko) 카바졸온 유도체 제조 방법
JP4879907B2 (ja) フェニル2−ピリミジニルケトン類の製造方法及びその新規中間体
KR101457453B1 (ko) 게피티닙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중간체
WO2005037823A1 (en) Process for preparing 1,2,3,9-tetrahydro-9-methyl-3-[(2-methyl-1h-imidazole-1-yl)methyl]-4h-carbazol-4-one or its salt
JP4592680B2 (ja) 置換イミダゾール誘導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方法で使用される中間体
JP3697045B2 (ja) β−ヒドラジノエステル類並びにピラゾリジノン類、ピラゾロン類およびβ−アミノ酸誘導体の製造方法
JPH10500421A (ja) ベンゾピラン化合物の製造方法
KR100856133B1 (ko) 아토르바스타틴의 개선된 제조방법
JPH08208591A (ja) 2−アミノベンゼンスルホン酸誘導体ならびに2−アミノベンゼンスルホニルクロリド誘導体とその製造法およびその合成中間体としての使用
KR100739448B1 (ko) L-카르노신 및 그 유도체의 제조 방법
KR100408431B1 (ko) 1,2,3,9-테트라히드로-9-메틸-3-[(2-메틸-1h-이미다졸-1-일)메틸]-4h-카바졸-4-온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허용가능한 염의 제조 방법
JP6169721B2 (ja) パピローマウイルスの治療で用いることができるヒドラジンの合成方法
KR100539725B1 (ko) 피롤의 새로운 알킬화 반응
KR100740325B1 (ko) 치환된 벤조피란 화합물 합성용 화합물
KR100760015B1 (ko) 벤조피란 화합물 합성용 중간체
KR100716274B1 (ko) 치환된 벤조피란 화합물 합성용 화합물
KR100795589B1 (ko) 2-부틸-4-클로로-1-[[2'-(1h-테트라졸-5-일)바이페닐-4-일]메틸]이미다졸-5-카르복스알데하이드의 제조방법
KR100701420B1 (ko) 비페닐테트라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KR20070087764A (ko) 로사탄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