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3575B1 - 인체의 지지ㆍ보정기구 및 이것을 갖춘 의복기구 - Google Patents

인체의 지지ㆍ보정기구 및 이것을 갖춘 의복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3575B1
KR100563575B1 KR1020007012549A KR20007012549A KR100563575B1 KR 100563575 B1 KR100563575 B1 KR 100563575B1 KR 1020007012549 A KR1020007012549 A KR 1020007012549A KR 20007012549 A KR20007012549 A KR 20007012549A KR 100563575 B1 KR100563575 B1 KR 100563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cks
shape
correction
breas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2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1230A (ko
Inventor
히로시 요시하라
Original Assignee
히로시 요시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시 요시하라 filed Critical 히로시 요시하라
Publication of KR20010071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1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6Strapless brassieres, i.e. without shoulder straps
    • A41C3/065Strapless brassieres, i.e. without shoulder straps attached directly to the body, e.g. by means of adhesiv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03Panty-gird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8Abdomin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A41D13/0017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specially adapted for wome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7/00Bathing gowns; Swim-suits, drawers, or trunks; Beach sui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유방의 지지ㆍ보정을 촉진하는 의복기구는, 신축소재(및/또는 신축실)에 의하여 구성된, 체형특성 및 정중위의 형상에 준하여 재단형성하고, 앞길은, 유두를 정점으로 하는 하수나 변형이 생기기 쉬운 유방의 아래 옆구리변의 부채형상의 요부를 사이에 배치하고, 이것과 마주 대하는 앞 중심측, 옆구리측 및 어깨측의 각 위치사이를 연대적으로 면상 형성하는 동시에, 어깨방향으로부터 유두부 및 유두의 상변을 덮는 피복부를 유두부의 정점으로부터 앞 중심에 이르는 전환 다트를 형성하여, 좌우의 각 앞길과 일면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좌우 앞길의 앞중심측(정중위측)을 접합전의 상태로 서리 유리(遊離)된 오목형상으로 재단하고, 각 길의 치수, 형상 및 축소율을 조정하여, 각 길을 접합하는 것에 의하여, 착용시에는 기구전체에 인장(긴장)관계가 생겨, 상반신 각부나 가슴의 골짜기 부분에 말쑥하게 피트하고, 유방의 아래 옆구리변의 요부에는, 지지ㆍ보정을 촉진하는 면압력이 가해지도록 구성한 건전한 의복 기구.
둔부의 지지ㆍ보정을 촉진하는 의복기구는, 신축소재(및/또는 신축실)에 의하여 구성되고, 정중위 형상에 준하여 좌우길을 재단형성하고, 좌우의 길은 하수나 변형이 생기기 쉬운 둔부하변의 요부를 사이에 배치하고, 이것과 마주 대하는 허리 옆구리측, 샅부측 및 둔렬측의 각 위치의 사이를 연대적으로 면상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각 길의 샅부의 정중위측을 접합전의 상태에서 서로 유리된 오목형상으로 재단하여, 둔부 돌출부로부터 둔부 하변에 이르는 위치에는 다트 또는 재단선 또는 이에 준하는 구성을 형성하여 둔부의 형상에 준한 형상으로 하고, 각 길의 치수, 형상 및 축소율을 조정하여, 각 길을 접합하는 것에 의하여, 착용시에는 기구 전체에 인장(긴장)관계가 생겨, 둔부나 둔렬부(臀列部)에 피트하는 동시에, 하수변형이 생기기 쉬운 복부 및 둔부하변의 요부에는, 지지ㆍ보정을 촉진하는 면압력이 가해지도록 구성한 건전한 의복기구.

Description

인체의 지지ㆍ보정기구 및 이것을 갖춘 의복기구 {Support/shape correction structure for human body and clothing structure provided therewith}
본 발명은 유방이나 복부 및 둔부 등의 인체 지지ㆍ보정기구, 및 이 기구를 갖춘 의복에 관한 것으로, 신축소재를 사용하여 체형특성이나 동작기구, 생리기구에 준하여, 건전하게 하수(下垂)나 변형을 방지하여, 인체를 안정적으로 지지ㆍ보정ㆍ교정하는 기구, 및 이 기구를 갖춘 의복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부 및 둔부 하변의 지지ㆍ보정기구, 및 이 기구를 갖춘 의복에 관한 것이다.
어떠한 기구 및 의복에 있어서도, 구체적으로는 정중위의 형상을 설계기준으로 하고, 신축재를 사용하여, 하수나 변형을 초래하기 쉬운 유방이나 복부 및 둔부 하변 등의 지지ㆍ보정을 요하는 부위를 끼우고, 이것과 마주 대하는 다수의 위치사이를 연대적으로 면상 형성하여, 그 치수, 형상, 및 축소율을 조정하여, 착용시에는 신축소재의 원형복귀성에 의해, 기구 전체에 상관적인 인장(긴장) 관계가 생겨, 하수나 변형을 초래하기 쉬운 유방 하변이나 복부 및 둔부 하변에 적절한 면압력이 가해져서, 지지ㆍ보정을 효과적으로 함과 동시에, 말쑥하게 피트(fit)하도록 한 자기의 체형특성을 이용한 유방이나 복부 및 둔부의 지지ㆍ보정ㆍ교정기구 및 이것을 갖춘 의복에 관한 것이다.
유방은 신체의 성장정도나, 그 크기 및 근육이나 지방의 부착 상태 등에 따라 개인차가 있지만, 도 13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겨드랑이측에 기울거나, 도 14에 화살표(Y)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수를 일으키는 경향이 있다. 또한 유방은 흉부로부터 돌출하고 있고, 운동시에는 인체의 동작과의 사이에 운동차가 생겨, 흔들림이나 변형 등의 폐해를 초래하기 쉽다. 이와 같은 유방의 흔들림이나 변형을 그대로 두면, 유방 조직의 건전하고 안정적인 성장을 손상하는 두려움이 있는 동시에, 왜곡 변형을 초래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건전한 유방 조직의 성장ㆍ유지, 및 변형방지를 하기 위해, 유방의 보정기능을 갖추고 있다고 하는 브래지어 제품이 여러가지 시판되고 있다.
이들 시판 브래지어의 8할 이상은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철사)제의 반원호상 주형(31)이나, 우레탄(수지)제 등의 컵(32)이나 패드(34)를, 또한 견부나 흉부의 주위에는 고무재 등에 의한 어깨끈(35)이나 죔 장착부(3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브래지어(혹은 브래지어를 갖춘 의류)로는 예컨대, 실개평 6-83712호 공보, 실개평 6-79707호 공보, 실공소 58-15443호 공보, 특공평 5-77761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실개평 6-83712호 공보에 기재된 유방 받침컵을 갖는 의류는 흉부 하측, 겨드랑이부, 및 등부 주위의 판상 장착부의 유방의 하변 상당부에 유방의 형상으로 도려 내여진 부분에 와이어컵 및 컵이 봉착된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 브래지어는 와이어컵 및 컵이 유방을 아래로부터 밀어 올리고, 또한 어깨끈이 유방을 어깨방향으로 끌어올리므로, 버스트업 효과를 얻는 것으로 되어 있다.
실개평 6-79707호 공보에 기재된 브래지어는 컵의 하측 만곡부에 두꺼운 패드를 배치한 소위 "푸시업식 브래지어"이다. 이 브래지어는 유방이 패드에 의해 앞중심측으로 돌출되고, 양 유방 사이의 골짜기를 깊게 보이게 할 수 있어, 유방을 크게 보이게 하는 효과를 갖고 있다.
실공소 58-15443호 공보에 기재된 브래지어는 후부 패치의 후중심 상부 에지에 유도용 환을 형성하여, 이 유도용 환에 한 쪽의 컵에 연결된 어깨끈을 통과시켜, 이 어깨끈을 다른 쪽의 컵에 연결한 소위 "스포츠 브래지어"이다.
특공평 5-77761호 공보에 기재된 의복 구조는 의복에 착용시에 인체의 근육의 작용방향과 합치하여 신축하는 신축부분을 마련하여, 이 부분에 의해 의복의 착용감이 향상하여, 동작성이 뛰어나서 인체의 지지ㆍ보정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실개평 6-83712호 공보에 기재된 유방 받침컵을 갖는 의류는 와이어컵 및 컵이 언더 버스트 주변에 배치되는 죔 장착부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와이어컵 및 컵에 연결된 어깨끈은 어깨부를 지나서 등부에 이르러, 상기 죔 장착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와이어컵 및 컵이 유방을 밀어 올리거나, 어깨끈으로 끌어 올린 때에는 죔 장착부도 함께 밀려 올라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 밀려 올라가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죔 장착부에 의한 죔을 한층 더 강화할 필요가 있고, 이것을 하면 이번에는 불건전성을 높임과 동시에, 버스트업을 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극히 모순된 문제가 생긴다.
또한, 실개평 6-79707호 공보에 기재된 브래지어는 착용 외형이 향상되는 반면, 유방이 브래지어의 내측에서 패드나 와이어컵 및 컵에 의해 압박되어, 불건전성이 증가됨과 동시에, 또한 추하게 비뚤어진 상태로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양 브래지어는 죔이 심하고, 와이어컵이 신체를 물고 죄는 등, 장착감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실공소 58-15443호 공보에 기재된 브래지어는 단순한 피복형을 이루는 것으로, 착용하면 소재의 신축성에 의해, 흉부 전체가 압박을 받기 때문에,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압력이 유두부를 포함시켜 유방 전체에 가해져, 따라서 유방이 편평화되어, 아름다운 실루엣이 얻어지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들 브래지어는 어느 것이나 사용하는 부품수가 10 내지 50점 정도로 많고, 제조에 시간이 든다고 하는 결점도 갖고 있다.
또한, 특공평 5-77761호 공보에 기재된 의복 구조는 흉부의 대흉근의 근선작용방향에 준하여 배치된 신축성 심대의 형상은 근선방향에 합치한 장착성이나 동작성을 발휘할 수 있는 반면, 대흉근의 상부에 위치하여 돌출한 유방의 크기나 흔들림에 대응한 지지ㆍ보정을 충분히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인체의 둔부 부분의 구성은 골반과 골반의 관절와(관골구)에 좌우 대퇴골이 각각 수납되고, 복부에는 복직근와 그 옆구리에 외복사근이, 또한 대퇴부 및 둔부에 있어서는 좌우 각각에 대퇴직근, 봉공근, 대퇴사두근, 대둔근이 갖춰지고, 또한 이들에 부수하여 혈관조직, 림프조직, 신경조직, 그리고 지방조직이나 정밀하게 걸려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둔부는 인체동작의 기본을 이루는 부위이고, 그 작동특성은 좌우 각 단독으로도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있다. 더구나 요부나 둔부는 생리기구의 주요부이기도 하다. 따라서, 불합리한 불건전한 제품의 공급 및 착용은 가능한한 피하지 않으면 안된다.
근육조직이나 지방조직은 운동이나 각종의 동작빈도, 또는 노화에 따라 조직의 발육이나 감퇴가 생기기 쉽고, 그러므로 둔부 형상은 변화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그래서, 복부의 불룩함을 누르는 셰이프업 기능이나, 둔부의 하수 변형을 보충하기 위한 "거들" 제품이 다수 시장화되어 있다.
이들 제품을 조사하여 보면, 대부분의 제품은 거들 본체 그 자체가 샅부나 둔부나 둔렬부(臀列部)의 형상에 맞지 않고, 평면적인 설계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 위에, 보정용 부재가 복부의 일부나 둔부의 일부에 부분적으로 첨부 또는 배치되어 있고, 더구나 둔부 하변에 배치된 좌우 부재는 둔부 하방의 중심부에서 서로 봉합되어 있는 제품이 거의 대부분이다. 또한 그 장착방법은 불건전한 죔 장착방법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착용하면 웨이스트부 등을 강하게 죄어 복부의 불룩함은 그대로 남고 뒤쪽이 움푹 들어가게 된다. 또한 좌우 둔부의 하방에서 서로 봉합되어 배치된 보정용으로 불리우는 부재는 좌우 둔부를 하나로 모아, 마치 기저귀를 착용한 것과 같은 추한 형상을 초래한다. 샅부나 둔렬부도 둔부 형상에서 유리한 상태를 초래하여 형상이 추하다. 따라서, 좌우 둔부의 힙업 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 또한, 동작을 하면, 둔부 하변의 옷단이 밀려 올라가거나, 둔렬부측으로 치우치는 일이 많다.
과거, 거들 제품에 있어서는, 착용시에 샅부나 둔렬부에 밀접시키는 것은 곤란한 것으로 되어 왔다. 그때문에, 샅부나 둔렬부에 밀접시키기 위한 개발안이 많이 출원되어 있다. 예컨대, 소위 T 백 쇼츠와 같은 형상을 한 직물 조각을 둔렬 상당부에 마련한 안이나, 둔렬부의 하측에 고무끈을 봉합하여, 직물을 수축시켜, 약간의 함몰부를 가지려고 한 안이나 제품이 존재한다.
그렇지만, 상기 어느 쪽의 안도 실제로는 둔부 각부에의 피트성(fitness)은 달성되지 않았다.
또한, 생리용 쇼츠 제품에 있어서도, 설계재단방법이 상기 거들 제품과 유사하고, 샅부나 둔렬부에 피트하지 않는 제품이 많고, 그 때문에 생리용품을 장전하여 일상 동작을 한 경우에, 생리용품이 외음부나 항문부에서 유리하기 쉽고, 어긋남이나 느슨함이 생겨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 제품의 결함을 검증하기 위해, 종래 제품의 재단형을 재단용지에 되돌려 입체상을 조립해보면, 재단형 그 자체가 둔부 형상과 완전히 다르고, 극도로 평면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좌우 둔부의 돌출부의 불룩함도 둔렬의 함몰부도, 더구나 샅부의 형상도 전혀 재현되지 않아, 종래 제품이 둔부 형상에 피트하지 않는 이유와, 그 불합리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 그 구체예를 나타낸다.
도 31은 1998년에 일본에서 발매된 거들 제품의 재단형 및 그 모식도이고, (1)은 재단부품과 고무재 등의 부품을 나타낸다. (2)는 (1)에 나타낸 재단부재부품을 접합하여 조립한 모식도이고, A는 정면도, C는 배면도이다. (3)은 (2)에 나타낸 거들 제품을 중심선에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A는 정면도, C는 배면도이다.
도 31에 나타내는 종래의 거들 제품에서는 앞뒤길이 완전히 평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 둔부 돌출부분보다도 중심선 부분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좌우를 분할하는 중심선은 정중위에서 크게 유리되, 둔렬에 피트되지 않고 들떠 버린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착용함으로써 분명히 확인할 수 있다.
도 32은 도 31에 나타내는 종래의 거들 제품을 착용하였을 때에, 피트성이 결여되어, 샅부나 둔렬부의 유리 상태를 부호(23; 착색부)로 나타낸 것이다. 종래의 거들 제품이 대부분 이러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3은 도 31에 나타내는 종래의 거들 제품의 둔부 하변에 첨부된 장력(tension)이 높은 심재(파워네트(power net)재 또는 직편 처리)와, 그 작용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33에서, 심재(파워 네트재 또는 직편 처리)에 의해서 주어진 장력이 높은 부분은 좌우 동일하게 둔(臀溝)에서 둔부 하변 및 둔부 옆구리를 지나서 요부에 배치되어, 둔부 부분에서 좌우 쌍방을 봉합하고 있는 것이 많다.
이와 같이 좌우 신축성 심재가 둔렬 근방에서 봉합되어 배치되면, 신축성심재는 원형으로 복귀하는 성질이 작용하여, 좌우 둔부를 하측 및 옆구리 방향으로부터 한데로 모아지는 작용을 가져와, 마치 기저귀를 착용한 것처럼, 추한 둔부형을 나타낸다.
또한, 신축성 심재를 어떻게 배치하더라도, 거들 본체의 설계재단내용이 종래 제품과 같이 둔부 각부에 피트성이 결여되어 있는 한, 어긋남이나 느슨함이나 물고 죔이 발생하여, 소망하는 보정효과는 바랄 수 없다.
이것은 거들 제품에 한정되지 않고, 둔부 제품 전반에 말할 수 있는 것이기도 하다. 종래, 수영복이나 레오타드(leotard), 보디슈트 등의 원피스 타입은 상반신과 하반신의 체형의 밸런스가 천차만별한 데다가, 인체와 의복의 장착 사이즈비를 80%이하, 70% 정도로 극히 작게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동작 적정을 결여하여, 팽팽함, 느슨함, 죔, 물고 죔을 시작하여, 동작시에는 둔부 하변이 밀려 올라가기가 쉬웠다. 또한, 보정기능을 갖고 있다는 제품에서는 와이어나 컵이나 심재 및 고무재 등이 다용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하여 동작을 하면, 죔에 의해서 고통이나 혈액순환 불량이나 몸상태가 흐트러지고, 또한 누드 버스트나 힙이 추하게 왜곡되는 일이 많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도 40은 종래의 원피스 타입 수영복의 재단형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1은 도 40에 나타내는 원피스 타입 수영복의 재단형을 입체화한 모식도 이다. A는 우반신 앞길을, C는 우반신 뒤길, D는 A에 나타내는 앞길과 C에 에 나타내는 뒤길을 일체화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원피스 타입 수영복은 앞길의 버스트 위치에는 좌우 버스트 형상에 준한 입체적인 배려는 보이지 않고, 단지 좌우폭을 약간 크게 형성하고 있을 뿐이다.
또한, 하반신에 있어서는 요부 위치의 폭을 크게 마련하고 있을 뿐으로, 좌 우 둔부의 형상에 준한 입체적인 배려는 없다. 정중위에 해당하는 부분은 부호(11 B)로 나타내지만, 다른 부분보다도 훨씬 더 길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원피스 타입 수영복은 정중위에 해당하는 부분은 이것과 평행하는 좌우 버스트의 톱 위치나, 마찬가지로 힙의 돌출부위의 위치의 각 길이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다. 더구나, 좌우 버스트부 및 힙부의 돌기 형상에 대응하는 입체처리도 전혀 없다. 실제로 착용하면, 좌우 버스트는 신축소재에 의해서 편평화되고, 또한 힙부에서는 둔렬에 피트되지 않고, 좌우 힙이 마치 기저귀를 착용한 것과 같이, 한데로 모아져서 추한 상태가 된다. 더구나 동작을 하면, 언더 힙의 옷단이 밀려 올라가거나, 둔렬이 물려 죄여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안이나 종래 제품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보다 합리적인 건전한 인체 지지ㆍ보정ㆍ교정기구, 및 이것을 갖춘 의복을 달성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으로, 체형특성이나 생리조직이나 인체동작에의 적응성, 및 장착감이 우수한 제품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인체의 지지ㆍ보정ㆍ교정기구 및 이것을 갖춘 의복은 체형특성 및 정중위의 형상을 설계기준으로 하고, 신축소재를 사용하여, 특히 하수 변형을 일으키기 쉬운 유방의 아래 옆구리측 부채 형상부나 복부 및 둔부 하변 등의 지지ㆍ보정을 요하는 부위를 끼우고, 이것과 마주 대하는 다수의 위치사이를 연대적으로 면상 형성함과 동시에, 그 치수, 형상, 및 축소율을 조정함으로써, 체형과 기구사이 및 기구 내부에 상관적(인터액티브))인 인장(긴장) 관계를 발생하여, 자기 의 체형특성 및 동작에 의해 이 부위에 지지보정에 필요한 면압력을 가하여, 건전하게 지지ㆍ보정효과를 달성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상반신측 기구(1)에 있어서의 앞길은 유방의 하수 변형을 일으키기 쉬운 상기 부채 형상부를 끼워, 이것과 마주 대하는 앞중심측, 겨드랑이측 및 어깨측의 각 방향을 신축소재를 사용하여 인장(긴장) 관계를 파생효과하도록 치수, 형상 및 축소율을 조정하여 면상 형성하고, 좌우길을 앞중심에서 접합하도록 하여, 유두로부터 상변을 개방시킨 것이다.
상기 상반신측 기구(2)에 있어서의 앞길은 유방의 하수 변형을 일으키기 쉬운 상기 부채 형상부를 끼워, 이것과 마주 대하는 앞중심측, 겨드랑이측 및 어깨측의 각 방향을 신축소재를 사용하여, 인장(긴장) 관계를 파생효과하도록 치수, 형상 및 축소율을 조정하여 면상 형성함과 동시에, 유두부를 정점으로 앞중심측으로 이르는 전환 다트를 형성하고, 어깨방향에서 유두부 및 유두부의 상측을 덮는 피복부를 형성하여, 좌우길을 앞중심에서 접합함으로써, 유방의 지지ㆍ보정을 달성하고, 또한 앞중심이 정중위의 형상에 따라, 가슴의 골짜기에 피트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상반신측 기구(2)에 있어서의 앞길은 유두부 및 유두부의 상측을 덮는 피복부의 형상치수를, 그 하측 형상에 비하여 축소율을 낮게 억제하여 피복하고 있다.
또한, 상기 앞길은 유방의 하변에서 유두에 이르는 부분의 소재의 형상치수를 유방의 하변부 근방에 면상 지지압력을 높이도록 축소율을 높게 하고, 유두를 향해서는 서서히 지지압력을 약하게 하도록 축소율을 낮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둔부 기구는 신축소재(실)을 사용하여, 앞뒤길 또는 및 좌우길을 갖추고, 체형특성 및 정중위의 형상을 설계기준으로 하여, 둔부 각부에 밀접하는 면상 형성을 이루고 있다. 근육의 저하나 지방의 부착 등에 의해 변형이나 하수를 일으키기 쉬운 복부나 둔부 하변의 지지ㆍ보정을 요하는 부위를 끼우고, 이것과 마주 대하는 다수의 위치사이를 연대적으로 면상 형성함으로써, 신체와 기구사이 및 기구 내부에 상관적인 인장(긴장) 관계를 발생하여, 자기의 체형특성이나 동작에 의해서, 지지ㆍ보정을 요하는 복부나 둔부 하변 등에 필요한 면압력을 가하여, 어긋남이나 느슨함도 없고, 건전하게 지지ㆍ보정을 달성하도록 한 것이다.
이 둔부 기구는 정중위에 따라 앞뒤 좌우길의 재단선을 마련함과 동시에, 좌우길의 정중위를 끼우는 샅부 부근은 접합전의 상태로 서로 멀리 떨어진 오목형상으로 하여, 접합에 의해 샅부 및 좌우 대퇴부의 형상에 준한 형상을 이뤄, 착용시에는 복부, 샅부 및 둔부 하변, 둔렬이나 둔부 전체에 밀접함과 동시에, 복부나 둔부 하변에 면압력이 가해져, 복부나 둔부 하변의 지지ㆍ보정을 달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둔부 기구는 정중위에 준하여 뒤길의 재단선을 마련하여, 좌우 뒤길을 형성함과 동시에, 앞길은 정중위의 형상에 준한 형상으로 하면서, 좌우를 분할하지 않고 일면 형성하고, 앞뒤길을 샅부 상당부에서 각각 접합함으로써, 복부를 말쑥하게 마무리하고, 변형을 억제하며, 또한, 둔렬에 꼭 맞게 피트시키고, 복부 및 둔부 하변의 지지ㆍ보정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삭제
또한 한편, 상기 둔부 기구에는 앞길의 전상장극골(前上腸棘骨) 및 서혜부(鼠蹊部)의 각 복부측에서, 상기 좌우길의 각각의 샅부와 대퇴부 사이, 뒤길의 둔구(臀溝)부, 둔부 하변 및 요부 옆구리부를 지나서, 복부 앞중심에 소정 폭을 갖는 신축성 심재를 배치하여, 각각 앞중심에 이르도록 배치한 것이 있다.
상기 신축성 심재의 앞길 부분은 좌우 각 전상장극골에서 요부를 지나서 각둔부 하변, 둔구부를 지나서 좌우 대퇴부를 따라 샅부에 이르고, 복부측은 좌우 서혜부에서 양 전상장극골에 이르는 복부 전체를 일면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둔부 기구에 배치한 것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흉부의 지지ㆍ보정기구와, 복부 및 둔부 하변의 지지ㆍ보정기구를 원피스상으로 일체적으로 형성하더라도 좋다.
상기 원피스상 기구는 정중위의 형상에 준하여 좌우 앞뒤길의 재단선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피스상 기구는 상반신측이 정중위의 형상에 준하여 전후 재단선을 마련하여 흉부 및 등부를 일면상으로 이루는 좌우길을 형성하여, 둔부측의 앞길은 일면상으로, 뒤길은 정중위에 준하여 재단선을 마련하여 좌우길로 하여, 각각 접합한 구조를 갖는 것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피스상 기구는 상기 신축성 심재를 각각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복부 및 둔부를 포함하는 각 둔부 기구는 둔부 하변의 옷단부에서 둔부 돌출 부위에 이르는 부분에 전환 다트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부 및 둔부를 포함하는 각 둔부 기구는 둔부 하변의 옷단부에서 둔부 돌출 부위, 또한 요부에 이르는 재단선을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 복부 및 둔부를 포함하는 각 둔부 기구의 좌우 앞뒤의 각 길에 있어서, 둔부 돌출부위에 이르는 다트 또는 재단선을 마련하지 않고, 둔부의 둔부 돌출부의 볼록 형상의 분량을 좌우길의 요부 옆구리측의 재단 형상 및 치수에 부가한 재단 형상으로 하여, 착용시의 외형을 말쑥하게 하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상기 각 기구에 있어서, 재단 및 접합되어 형성된 기구의 치수는 인체치수비로 80%이상, 100% 미만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상반신측, 둔부측 및 원피스상의 각 기구 및 의복에 있어서는, 신축소재에 의해 면상 형성되어 있지만, 신축실을 사용한 직편기술에 의해 소망하는 형상과 인장(긴장) 관계 및 면압력을 조정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둔부 기구를 갖춘 각 기구에 있어서, 샅부의 외음부 및 항문의 소정위치에 생리위생용품을 배치할 수 있는 지지부를 마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신축소재로 구성되고, 앞뒤길을 갖춘 유방의 지지ㆍ보정기구이고, 상기 앞길은 하수 변형이 일어나기 쉬운 유두를 정점으로 하여, 앞중심 근방에서 언더 버스트를 거쳐 겨드랑이 상측 방향에 이르는 부채 형상부와, 이 부채 형상부를 끼워, 이것과 마주 대하는 앞중심측과 어깨 방향 및 겨드랑이 방향을 일면상으로 연속형성하여, 유두에서 상측, 또한 앞중심측이 개방되어 이루어지는 유방의 지지ㆍ보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구성을 갖춘 유방의 지지ㆍ보정기구는 착용하였을 때에, 상기 부채 형상부를 끼워 마주 대하는 다수 개소를 연결하는 면상 기구 전체에 인장(긴장) 관계가 생겨, 기분좋은 장착감을 나타냄과 동시에, 유방의 하변에서 유두부에 걸쳐 서서히 면압력이 약해지면서 가해지고, 따라서 언더 버스트부는 단단하게 지지되어, 유두부에 걸쳐서 아름다운 누드 버스트형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축소재로 구성되고, 앞뒤길을 갖춘 유방의 지지ㆍ보정기 구에 있어서, 상기 앞길은 상기 부채 형상부와 이것을 끼우고, 어깨 방향, 겨드랑이 방향 및 앞중심에 이르는 부분을 연대적으로 면상 형성됨과 동시에, 유두부를 정점으로 앞중심측에 이르는 전환 다트를 마련하여, 상기 유두 및 유두의 상측에서 앞중심에 이르는 부분을 덮는 피복부를 갖추고, 상기 피복부의 착용자의 치수에 대한 축소율이 상기 부채 형상부를 포함하는 면상 형성 부분보다도 작은 유방의 지지ㆍ보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으로, 따라서 상기 부채 형상부를 포함하는 면상 형성 부분은 유방의 지지ㆍ보정을 달성하여, 상기 피복부의 배치에 의해 유두부를 피복함과 동시에, 앞중심측을 정중위에 피트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구성을 갖춘 유방의 지지ㆍ보정기구는 착용하였을 때에, 사람에 대한 치수비를 임의로 축소형성하고 있고, 따라서 소재의 원형복귀성에 의해, 기구전체에 인장(긴장) 관계가 파생하여, 유방의 하변 및 상기 부채 형상부에 면압력이 가해져, 단단하게 지지ㆍ보정됨과 동시에, 기분좋은 장착감이 얻어진다. 또한, 상기 피복부의 착용자에 대한 축소율을 상기 부채 형상부를 포함하는 면상 형성 부분보다도 작게 형성하기 때문에, 피복부에 가해지는 면압력이 서서히 약해져, 유방의 형상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상반신측 지지ㆍ보정기구는 착용자의 치수에 대하여, 80% 이상 100% 미만의 축소율로 형성하는 것으로 하여, 인체치수(100%)에 가까운 배율로 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반신측의 지지ㆍ보정기구는 유방의 하변위치에서 유두에 가까이 감 에 따라, 상기 축소율을 서서히 작게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방의 하변위치에서 유두에 걸쳐서 가해진 면압력이 서서히 약해져, 유방의 하변부 및 상기 부채 형상부가 단단하게 지탱되고, 유방 전체가 자연스러운 아름다운 상태로 지지ㆍ보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앞중심의 형상은 유방의 하변부를 단단하게 지탱하도록, 어깨방향에서 부채 형상부의 겨드랑이측을 지나서 앞중심에 이르는 부분, 및 겨드랑이측에서 유방의 하변부를 지나서 앞중심에 이르는 부분의 각 인장(긴장)도를 높이도록 축소율을 다른 부분보다 높게 그 형상을 짧게 하고, 따라서 이 부분에 상당하는 좌우의 앞중심 부분의 형상을 서로 오목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하며, 또한 접합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좌우의 앞길은 앞중심에서 접합할 수 있다. 이 접합은 봉합하는 것으로도, 버튼이나 훅 등의 접합부재에 의해 실현하더라도, 또한 미리 접합된 상태(시임리스(seamless) 상태)로 있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피복부는 유두부에서 앞중심에 이르는 임의의 다트를 형성하더라도, 또한 미리 접합된 상태(시임리스 상태)로 실현하더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적어도 좌우 앞길이 소정위치에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의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구성을 갖춘 의복을 착용하면, 예컨대 브래지어나 보디슈트 등의 보정 속옷을 별도 착용하지 않더라도, 버스트를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상태로 지지ㆍ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구 전체가 둔부 각부에 준하여 밀접하게 되도록 함과 동시에, 착용에 의해 기구 전체에 인장(긴장) 관계가 생겨, 복부 및 둔부 하변에 필요하고, 또한 적절한 면압력을 가하여 복부 및 둔부 하변의 지지ㆍ보정을 달성함과 동시에, 샅부나 둔렬부에 말쑥하게 피트하여, 어긋남이나 느슨함을 해소하도록 한 복부 및 둔부의 지지ㆍ보정을 달성하는 둔부 기구, 및 이것을 갖춘 의복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신축소재를 사용하여, 정중위의 형에 따라 좌우길의 재단선을 마련하여, 좌우길의 정중위를 끼우는 샅부 부근은 접합전의 상태에서 서로 유리된 형상으로 하고, 상기 좌우길의 접합에 의해서 샅부와 좌우 대퇴부사이의 형상에 준한 형성을 하여, 둔부 돌출부위상의 둔부 돌출부에서 둔부 하변에 이르는 부위에 전환 다트부를 마련하여 둔부 형상에 준한 형상으로 하고, 착용시에 기구 전체에 인장(긴장) 관계가 생겨, 둔렬부를 포함시켜 둔부 각부에 밀접함과 동시에, 복부 및 둔부 하변에 보정을 촉진하는 면압력이 가해지는 둔부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구성을 갖춘 둔부 기구는 인체와 정중위를 기준으로 한 둔부 기구사이에, 상호작용(INTERACTIVE EFFECT)이 생기고, 또한 기구 내부에도 인장(긴장) 관계가 생김으로써, 신축소재 이외의 일체의 불건전 부재나 가공을 사용하는 일 없고, 자기의 체형특성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건전하고 쾌적한 둔부의 지지ㆍ보정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이 둔부 기구는 착용시에는 기구 전체에 인장(긴장) 관계가 생겨, 인체의 둔부 각부에 밀접하게 되고, 복부 및 둔부 하변에 면압력을 가해, 적절히 지지ㆍ보정함과 동시에, 샅부 및 둔렬에도 말쑥하게 피트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축소재를 사용하여, 정중위의 형에 따라 좌우길의 재단선을 마련하고, 좌우길의 정중위를 끼우는 샅부 부근은 접합전의 상태에서 서로 유리된 형상으로 하고, 상기 좌우길의 접합에 의해 샅부와 좌우 대퇴부사이의 형상에 준한 형성을 하여, 둔부 하변의 옷단에서 둔부 돌출부위의 둔부 돌출부를 지나서 요부에 이르는 부위에 재단선을 마련하며, 둔부 형상에 준한 형상으로 하여, 착용시에 기구 전체에 인장(긴장) 관계가 생기고, 둔부 각부에 밀접함과 동시에, 복부 및 둔부 하변에 보정을 촉진하는 면압력이 가해져, 둔부가 아름답게 갖춰지는 둔부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둔부 기구는 그 좌우길을 샅부에서 앞뒤길로 분할할 수 있다.
삭제
이 기구를 갖춘 둔부 기구는 착용시에 제품 전체에 인장(긴장) 관계가 발생하여, 인체의 둔부 각부에 밀접하고, 복부 및 둔부 하변에 적절한 면압력이 가해져, 지지ㆍ보정됨과 동시에, 샅부 및 둔렬부에 말쑥하게 피트하게 되어, 좌우 둔부 가 아름답게 갖춰진다.
또한, 이 둔부 기구는 정중위에 준하여 뒤길의 재단선을 마련하고, 좌우길을 형성함과 동시에, 앞길은 정중위의 형상에 준하면서 좌우를 분할하는 일면상으로 형성하여, 앞뒤길을 샅부에서 접합함으로써, 복부측을 심플하게 둔렬부측에도 말쑥하게 피트하도록 마무리할 수 있다.
상기 전환 다트부는 상기 내용을 유지하는 범위에서, 다트 또는 재단선, 또는 가열이나 가압에 의한 성형가공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 둔부 기구는 상기 앞길의 좌우 각 전상장극골 및 서혜부의 각 복부측에서, 상기 좌우길의 각각의 샅부와 대퇴부 사이, 뒤길의 둔구, 둔부 하변, 또한 요부 옆구리부를 지나서, 복부 앞중심에 이르는 소정 폭을 갖는 신축성 심재를 마련하여, 각각 앞중심에서 접합하는 구조를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신축성 심재는 좌우 앞길부분에 있어서, 좌우의 전상장극골 사이를 연결하고, 마찬가지로 좌우의 서혜부 내측에 따라 복부측을 일면상으로 형성하여, 샅부 근방에서 소정 폭으로 좌우로 분할하고, 각 대퇴부측을 지나서, 둔구, 둔부 하변, 또한 요부 옆구리부를 지나서, 상기 앞길 상당부와 접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좌우 및 앞뒤길의 샅부의 외음부 및 항문부의 소정위치에, 생리위생용품을 배치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둔부 기구는 신축실을 사용하여, 직편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신축실을 사용하여 직편기술에 의해서, 둔부 각부에 필요하고 적정한 신축방향이나 신축률, 및 강도를 조정가감하여, 복부나 둔부 하변 등 지지ㆍ보정을 요하는 부위 에 면압력을 파생효과하도록 형성함으로써, 피트성이 높고 지지ㆍ보정효과를 갖는 시임리스한 둔부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단지 그 경우, 둔부 기구의 전개형은 신축소재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상기 각 둔부 기구 및 그 전개형에 준한 형상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둔부 기구는 그 치수가 인체치수비 80% 이상, 100% 미만으로 설정하는 것이 장착건전성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둔부 기구 및 그 기능성을 갖춘 의복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원피스 타입의 의복기구는 흉부의 형상에 준하여, 흉부의 정중위에 따라 좌우길을 형성하여, 착용시에 좌우 버스트의 아래 옆구리측의 상기 부채 형상부에 면압력이 가해지는 흉부의 지지ㆍ보정기구를 병합하여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흉부 지지ㆍ보정기구는 상기 둔부 기구와 일체형성되어 원피스 타입으로도 좋고, 또한 상기 각 기구사이에 접합기구를 통해 원피스 타입의 기구 및 의복으로도 좋다.
또한, 상기 원피스 타입의 의복기구에 있어서는, 등에 대응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전굴(anteflexion) 동작시에 뒤쪽에 발생하는 인장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도 1은 유방의 하수 변형이 생기기 쉬운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유방의 하수 변형이 생기기 쉬운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유방의 하수 변형이 생기기 쉬운 부채 형상부(착색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유방의 지지ㆍ보정기구에 의한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1은 하수 변형전의 형상, 2는 하수 변형을 일으킨 상태, 3은 본원 기구를 장착하였을 때의 면압력(p)의 작용방향 및 지지ㆍ보정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유방의 지지ㆍ보정기구를 착용한 경우에, 부채 형상부를 끼워 생기는 인장(긴장)상태를 화살표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유방의 지지ㆍ보정기구의 앞뒤길을 나타내는 도면 이고, 왼쪽은 좌우 앞길, 오른쪽은 좌우 뒤길이다.
도 7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유방의 지지ㆍ보정기구의 완성전의 앞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왼쪽은 완성전, 오른쪽은 완성시의 각 앞길을 나타낸다. 화살표는 인장(긴장) 작용방향을 나타낸다.
도 8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유방의 지지ㆍ보정기구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화살표는 인장(긴장) 작용방향을 나타낸다.
도 9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유방의 지지ㆍ보정기구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화살표는 인장(긴장) 작용방향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유방의 지지ㆍ보정기구의 완성전의 상태의 좌우 앞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착색부는 하수 변형을 일으키기 쉬운 부채 형상부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유방의 지지ㆍ보정기구의 완성전의 앞 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왼쪽은 완성전, 오른쪽은 완성시의 각 앞길을 나타낸다. 화살표는 인장(긴장) 작용방향을 나타낸다. 착색부는 하수 변형을 일으키기 쉬운 부채 형상부를 나타낸다.
도 12는 실시형태 1(착색부)에 관한 의복 착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0에 나타내는 반신분의 앞길 및 뒤길을 S 부에서 접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2에 관한 기구를 실제로 착용한 경우의 착용시(착색부) 및 누드 상태의 정중위(앞중심)과 어깨부를 기준으로 한 전반신 및 후반신의 신체표면형상의 전개형을 비교하는 도면이다.
삭제
도 16은 종래의 스포츠 브래지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화살표는 직물의 인장방향을 나타내고, 착색부는 압력을 받아 편평화되는 부위를 나타낸다.
도 17은 와이어, 컵, 패드, 고무재 등을 사용한 종래의 브래지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화살표는 죔에 의한 인장방향을 나타낸다.
도 18은 종래의 브래지어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화살표는 죔에 의한 인장방향을 나타낸다.
도 19는 본 발명의 둔부 기구의 기본적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착색부 는 동작시의 변동량이 큰 위치를 나타낸다.
도 20은 본 발명의 둔부 기구의 기본적인 재단선 및 다트선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관한 쇼츠 타입의 둔부 기구의 재단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삭제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관한 쇼츠 타입의 둔부 기구의 재단형을 앞뒤 반신분길만을 입체화한 도면이다.
삭제
도 25는 본 발명에 관한 둔부 기구를 착용하였을 때에 파생하는 인장(긴장)관계를 DEF에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고, 둔부 각부로의 피트성, 및 지지ㆍ보정작용 과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관한 둔부 기구의 반신분의 신축성 심재의 재단형(전개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관한 둔부 기구의 반신분의 신축성 심재의 재단형(전개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도 26, 도 27에 나타내는 반신분의 신축성 심재를 각각 접합하여 입체화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관한 신축성 심재를 내부 설치한 경우의 쇼츠 타입을 착용하였을 때의 신축성 심재의 위치를 나타내고, 그 때의 인장(긴장) 관계의 발생상황과 이것에 의해 효과하는 피트성 및 지지ㆍ보정작용의 상황을 화살표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후부(배면)도이고, D는 개각 상태의 샅부를 나타낸다. E, F는 개각 상태의 모습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 또는 5에 관한 둔부 기구의 샅부에 생리위생용품을 배치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배치한 상태를 개각상태에 관해 나타낸 도면이다. D1는 실시형태 4에 관한 쇼츠 타입의 둔부 기구에 배치한 상태, D2는 실시형태 5의 둔부 기구에 배치한 상태, D3은 D1 및 D2에 나타내는 둔부 기구를 착용하였을 때의 외견상태를 나타낸다.
도 31은 1998년에 발매된 일본제 거들의 재단형(1), 및 그 제품의 모식도(2),(3)이다. (2)의 A는 정면도, C는 배면도. (3)의 A는 (2)에 나타낸 거들을 중심선에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전면형, C는 배면형을 각각 나타낸다.
도 32는 도 31에 나타내는 종래의 거들을 착용하였을 때에, 피트성을 결여하여 인체에서 유리되는 부위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종래의 거들 제품에 첨부된 텐션(장력)이 높은 심재(또는 직편 처리부)와, 그 작용특성을 화살표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관한 원피스 타입의 의복기구의 앞뒤길의 재단형(전개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관한 원피스 타입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의 복기구의 재단형(전개도)의 예를 나타내며, 상반신측을 좌우길 A에, 하반신측의 앞길을 일체로 B에, 둔부측을 좌우길로 C에, 각각 구성한 예를 나타낸다.
도 36은 도 34에 나타내는 원피스 타입의 의복기구의 재단형의 반신분을 입체화한 도면이고, A는 우반신 앞길을, C는 우반신 뒤길을 나타내며, D는 A에 나타낸 앞길과 C에 나타낸 뒤길을 일체화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도 35에 나타내는 원피스 타입의 의복기구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의 변형예에 관한 원피스 타입의 의복기구의 앞뒤길의 재단형(전개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의 변형예에 관한 원피스 타입의 의복기구의 앞뒤길의 재단형(전개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둔부 돌출부위상의 돌출형상 및 치수를 앞뒤길의 각 옆구리부(V)에 부가하여, 돌출 부위상에 요하는 전환 다트또는 재단선을 생략하여, 착용시의 외형을 말쑥하게 한 예를 나타낸다. 또한 착색부는 신축성 심재를 배치하는 경우의 위치형상을 나타낸다.
도 40은 종래의 원피스 타입의 수영복의 앞길 및 좌우의 뒤길의 재단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은 도 40에 나타내는 종래의 원피스 타입의 수영복의 재단형을 입체화한 도면이고, A는 우반신 앞길분을, C는 우반신 뒤길분을 나타내며, D는 A에 나타내는 앞길과 C에 나타내는 뒤길을 일체화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1에 관한 유방의 지지ㆍ보정기구는 전체가 신축소재로 구성되어 있고, 착용자의 치수에 대하여 80% 이상, 100% 미만의 배율로 축소형성되어 있다. 이 유방의 지지ㆍ보정기구는 앞길(2)과 뒤길(3)로 구성되어 있다.
앞길(2)은 우 앞길(2R)과, 좌 앞길(2L)을 가지며, 앞중심(F)에서 양자를 접합(봉합)한 형상을 갖고 있다. 이 앞길(2)은 좌우 앞길(2R, 2L)도 하수 변형을 초래하기 쉽고, 지지ㆍ보정을 요하는 유두(10)를 정점으로 하여, 앞중심(F) 근방에서 언더 버스트(UB)를 거쳐 옆구리부(S) 근방에 이르는 부채 형상부(4)와, 부채 형상부(4)를 끼우고, 앞중심에서 언더 버스트(UB)를 거쳐 옆구리 방향 및 어깨 방향에 이르는 연속한 면상 형성이 이루어져 있다. 즉, 앞길(2)은 유두(10) 및 젖과 유두(10)의 상측, 또한 앞중심(F) 측이 개방(노출)되어 있다.
부채 형상부(4)는 언더 버스트(UB) 위치에서 유두(10)에 가까이 감에 따라, 상기 배율이 서서히 크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언더 버스트(UB) 위치에서 유두(10)로 가까이 감에 따라, 유방에 가해지는 면압력(P)이 작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톱 버스트 부근이 압력에 의해 변형하거나 편평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방을 아래로부터 단단하게 지지ㆍ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유방의 유두(10)에서 언더 버스트(UB)까지의 거리는 특히 도 4(1)의 하수 변형전이어도, (2)의 하수 변형후이어도, 거의 같은 길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N-N선은 하수 변형전 및 지지ㆍ보정후의 유두(10)의 높이(level)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유방의 지지ㆍ보정기구는 언더 버스트(UB) 부에서 부채 형상부(4)를 지나서, 유두부에 이르는 위치를 단계적으로 단단하게 상방으로 지지히여, 하수 변형이전의 누드 버스트형을 복원하도록 지지ㆍ보정한다. 또한, 유방을 자연스러운 형상으로 지지ㆍ보정하기 때문에, 이상적인 버스트 라인을 얻을 수 있다.
이 앞길(2)은 어깨(K) 부나 언더 버스트(UB) 부 등이 광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압력을 면으로 받을 수 있어, 국부적인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뒤길(3)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위 X자형을 가져 견갑골의 동작발생을 회피하여, 피트성을 높여, 앞길(2)을 단단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뒤길(3)은 양 옆구리부(S)에서 앞길(2)에 접합(봉합)되어 있다.
이 구성을 갖춘 유방의 지지ㆍ보정ㆍ교정기구는 착용하면, 특히 도 5,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화살표의 방향으로 인장력이 파생하여, 그 신축성에 의해 인장상태를 회피하여 원상태로 되돌아가려는 원형복귀성이 생긴다. 이 때, 상술한 기구의 축소형성에 의해, 언더 버스트(UB) 부는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약간 강한 압력이 가해져, 유두(10)에 가까이 감에 따라 서서히 상기 압력이 약해지게 된다. 또한, 유방의 부채 형상부(4)에 대응하는 부분에 적절한 면압력을 줄 수 있다. 이 결과, 통상 상태시는 물론, 심한 운동을 한 때에도, 유방을 단단하게 지지ㆍ보정할 수 있고, 유방의 가로 흔들림, 상하 움직임 등을 막을 수 있음과 동시에, 쾌적한 착용감이 얻어진다.
또한, 실시형태 1에 관한 유방의 지지ㆍ보정기구는 좌우 앞길(2R, 2L), 및 뒤길(3) 또는 좌우 뒤길(3R, 3L)로 구성되어 있고, 다트도 없는 평면형상을 갖추고 있다. 이 때문에, 신축소재가 갖는 신축성능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 즉, 착용자의 체형과의 사이에 적극적으로 긴장관계를 파생시켜, 지지ㆍ보정을 요하는 부위를 끼워, 신축소재를 다수 방향으로 인장한 때에 얻어지는 면압력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있다. 또한 종래의 브래지어 등과 비교하여, 부품수가 극히 적고, 생산효율도 우수하다.
또한, 실시형태 1에 관한 유방의 지지ㆍ보정기구는 착용자의 사이즈의 80% 이상, 100% 미만 사이로 축소시킨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종래의 브래지어등의 장착부는 착용자의 사이즈의 약 70% 내지 80% 미만으로 축소한 사이즈가 채용되어 있다. 이 숫자로부터도,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방의 지지ㆍ보정기구가 무리하게 죄여지지 않고 장착감이 우수한 기구인 것으로 판단된다.
유방 주변에는 유방 조직이나 혈관 조직이나 림프 조직 등이 정밀하게 존재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관한 유방의 지지ㆍ보정기구는 유방을 부자연스럽게 심하게 압박하지 않기 때문에, 골격이나 근육, 혈관 조직, 림프 조직, 신경 조직 등에 손상을 주지 않고, 건전한 유방의 지지ㆍ보정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유방의 지지ㆍ보정기구는 언더 버스트(UB) 부에서 유두(10)에 이르는 거리(길이)와, 언더 버스트(UB) 주변길이가 일치하는 범위에 있어 서, 여러가지 체형이나 유방의 형상의 착용자에게 대응하여 장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에,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실시형태 2에 관한 유방의 지지ㆍ보정기구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 2에서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한 부위,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2에 관한 유방의 지지ㆍ보정기구(20)는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유방의 지지ㆍ보정기구와 마찬가지로, 신축소재로 구성되어 있다.
유방의 지지ㆍ보정기구(20)는 부채 형상부(4)와 이것을 끼워 형성되는 면상형성부과 함께, 유두(1O) 및 유두(10)의 상측에서 앞중심(F)에 이르는 부분을 덮는 피복부(22)를 갖춰 구성되어 있다.
피복부(22)는 착용자의 체형치수에 대한 배율이 부채 형상부(4) 및 이것을 끼우는 면상 형성부보다 크게 이루어지록 구성되어 있다. 즉, 피복부(22)에 걸리는면압력이 부채 형상부(4)를 포함하는 면상 형성부에 걸리는 면압력보다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톱 버스트 부근 및 톱 버스트에서 앞중심(F)에 걸치는 부분이 압력에 의해 변형하거나 편평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구성을 갖춘 유방의 지지ㆍ보정기구(20)는 착용하면, 특히 도 11에 나타 내는 화살표의 방향으로 인장력이 걸려, 언더 버스트(UB) 부 및 부채 형상부에 면압력이 가해져, 유두(10)에 가까이 감에 따라, 서서히 상기 면압력이 약하게 가해진다. 또한, 유두(10)및 유두(10)의 상측에서 앞중심(F)에 이르는 부분에는, 또한 약한 힘이 걸리게 된다. 이 결과, 통상 상태시는 물론, 심한 운동을 한 때에도, 유방을 단단하게 지지ㆍ보정할 수 있고, 유방의 요동을 막을 수 있음과 동시에, 쾌적한 장착감이 얻어진다.
다음에, 도 12을 참조하여, 실시형태 2에 관한 유방의 지지ㆍ보정기구를 갖춘 의복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낸 의복은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유방의 지지ㆍ보정기구를 접합(봉합)하여, 일체로 형성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 의복은 겉옷이지만, 유방의 지지ㆍ보정효과를 보유할 수 있다. 즉, 착용시에 브래지어나 보디슈트 등의 보정속옷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 유방을 건전하게 이상적인 버스트 라인에 지지ㆍ보정하여, 쾌적한 의복생활을 향수할 수 있도록 된다.
이 의복의 디자인은 임의로 결정할 수 있고, 예컨대 의복 전체를 신축소재로 형성함으로써, 유방의 지지ㆍ보정기구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의복과 유방의 지지ㆍ보정기구와의 일체화는 봉합하는 것 외에, 접착이나 직편 기술 등에 의해서도 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2에서는 유방의 지지ㆍ보정기구를 의복에 배치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형태 1 및 2의 앞길만을 의복에 배치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유방의 지지ㆍ보정기구는 종래품에 필요한 인공적이면서 불건전한 부재의 사용을 피하여, 심플한 기구로 건전성과 동작성이 뛰어나고, 쾌적한 장착성능과 함께, 누드 상태의 유방을 자연스럽게 아름답게 지지ㆍ보정할 수 있어, 속옷이나 보디슈트 등의 폭넓은 의복제품에 적합하다.
특히, 불안정한 자세로 업무에 관계하는 항공기나 차량이나 선박 등의 각종 승무원에게 있어서는, 죔이나 고통을 수반하고, 동작성이 결여된 종래의 브래지어제품의 착용은 혈액순환 불량을 시작하여, 생리기구가 건전한 활동(기능)을 손상시키는 등, 보다 한층 불건전함과 불안정함을 초래하여, 업무상에도 지장을 가져올 지도 모른다.
본 발명에 관한 유방의 지지ㆍ보정기구는 기동성이나 건전성이 뛰어나고, 이러한 자세 제어나 체형의 안정 지지를 필요로 하는 각종 승무원용 의복이나 작업복및 스포츠 웨어 등의 용도에는 특히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유방의 지지ㆍ보정기구는 인체 조직의 구조적ㆍ기동적ㆍ기능적인 특징 및 그 범주에서, 이것에 준하여 이것을 활용, 인체와 기구가 체형특성을 이용함으로써, 무리없이 건전하게 하수 변형하기 전의 원래의 유방 형으로 되살아나게 하도록 하여, 심플하게 다이내믹하게 기구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겼다.
그리고, 본 발명은 착용자의 동작시에 있어서의 유방의 요동 상황이나 용량변화에 대응하여, 필요없는 요동을 방지하고, 인체동작과의 운동차를 줄이고, 유방의 하변을 안정시켜, 상방으로 향하여 서서히 유방을 들어올리도록 하여, 자연스럽 게 건전하게 심플하게 소프트 하니스(부드러운 기구)로 유방의 지지ㆍ보정을 달성하도록 하였다.
도 14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2에 관한 기구를 실제로 착용한 경우의 착용시의 유방의 지지ㆍ보정효과를 나타내는 일례이다. 착용시를 착색부에 나타내어, 착용전의 누드 상태를 윤곽으로 나타낸다. 양자는 정중위(앞중심)와 어깨부를 기준으로 하여, 전반신 및 후반신의 체표면형상의 전개형을 비교하는 도면이다. 뒤쪽의 형상은 거의 동일하지만, 앞부분의 형상은 크게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유방이 위치하는 부분은 내측 상방으로 이동하고 있고, 착용시의 유두위치는 착용전의 누드 상태의 유두 위치(흑색)보다도 각 2㎝ 정도 내측 상방으로 지지ㆍ보정되어 있는 상태가 보여진다.
(실시형태 3)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관한 유방의 지지ㆍ보정기구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삭제
삭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유방의 지지ㆍ보정기구는 전체를 신축소재로 이루어지는 일평면상을 갖춤과 동시에, 부채 형상부와 이것을 끼우는 면상 형성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하였을 때에, 기구 전체에 인장(긴장) 관계가 발생되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기분좋은 장착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유방의 하변 및 언더 버스트부를 단단하게 지지할 수 있어, 이상적인 버스트 라인을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4)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관한 둔부 기구 및 이것을 갖춘 의복기구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쇼츠 타입"이란 도 20이나 도 23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쇼츠(하이 레그, 레귤러, 베이식 등도 포함한다) 또는 거들 타입을 말한다.
도 19에 나타내는 각부의 명칭은 일반적으로 명명되고 있는 것으로, 부호(1)는 정중위이고, 52는 둔렬, 53은 둔부 돌출부위, 54는 둔부 돌출부, 55는 전상장극골, 56은 서혜부, 57은 둔부 하변, 58은 둔구, 59은 외음부, 60은 항문부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9B에서, 정중위(1)와 둔부 돌출부위(53)를 나타내는 선에는 큰 형상차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개각 상태의 도 19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샅부(62)는 정중위(1)를 나타내는 선을 경계로 좌우로 퍼져, 좌우 대퇴부와의 접점은 닫힌 경우에는, 도 19C와 같이 융기 형상을 이루고 있다. 둔부는 정중위(1)를 경계로 좌우 별도의 골격과 근육 및 신경이나 혈관이나 림프 조직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둔부에 피트시켜 장착하는 제품은 좌우 둔부에 준한 형상과 기구와 구성을 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인체의 둔부 부분의 정중위(1) 상에는 둔렬부(52), 외음부(59), 항문부(60)가 위치하고, 좌우 복부 옆구리에는 전상장극골(55), 그 위치에서 샅부까지의 사이에는 서혜부(56)가 위치한다. 또한, 후측에는 좌우에 둔부 돌출부위(53)와 둔부 돌출부(54)가 위치하고, 둔부 하변(57)의 샅부측에는 둔구(58)가 각각 위치한다.
이상의 인체 각 요부는 본원 기구의 달성상에 빠뜨릴 수 없는 요부이고, 동시에 피트성을 보유하여, 지지ㆍ보정을 달성하는 요부이기도 하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형태 4에 관한 둔부 기구는 정중위(1)를 나타내는 선을 설계기준으로 하고, 재단선(61)으로 하여, 이것을 경계로 좌우길을 형성하며, 샅부(62)에 있어서 좌우의 각 길을 전후로 분할하여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정중위는 설계상의 기준이고, 반드시 재단선을 마련할 필요는 없다. 또한, 정중위를 경계로 반드시 샅부에서 좌우 길로 분할하지 않더라도 좋다.
도 20A 내지 F에 있어서, 정중위 상의 재단선(61)은 복부에서 샅부(62), 둔 렬부(52)를 지나서 뒤쪽에 이른다. 이 정중위 상의 재단선(61)은 앞중심 및 뒤중심을 의미한다. 둔부 돌출부위(53) 상의 둔부 돌출부(54)의 하변에는 둔부의 둥그스름한 모양에 준한 형상을 달성하기 위해, 다트(65)가 형성되어 있다. 앞뒤길의 샅부(62)의 분할선을 도 20D에 부호(67)로 나타낸다. 또한, 앞뒤길의 옆구리의 접합(봉합)부를 도 20B에 부호(66)로 나타낸다.
다트(65)는 둔부 돌출부위 상을 지나서 요부에 이르는 재단선으로 대체하여도 좋다. 또한, 예컨대, 직편기술이나 성형에 의해 둔부 형상에 준한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옆구리의 접합부(66) 및 샅부의 분할선(67)은 각각 일체형으로서 전개함으로써, 반드시 필수조건은 아니다.
도 21에 나타내는 쇼츠 타입의 둔부 기구는 앞길(f)과 뒤길(b)로 구성되어 있다. 이 둔부 기구는 앞뒤길의 분할부(67)로 분할되어 있고, 이 부분은 접합(봉합)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하더라도 좋다.
좌우길의 정중위측은 샅부(62)에 상당하는 부분이 서로 유리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양 길을 접합(봉합)한 때는 양 길이 내측으로 불룩함을 형성하여, 샅부(62)와 대퇴부(63)및 둔렬부(52)에 꼭 맞게 쾌적하게 피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쇼츠 타입의 둔부 기구는 샅부(62)가 좁은 면상부에 준하여 돌출부(68)가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정중위(1)에 해당하는 재단선(61)부는 둔부 돌출부위(53) 보다도 내측으로 들어가고, 둔렬(52)에 쾌적하게 피트하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둔부 기구 전체가 인체의 둔부 형상에 준한 입체형을 이루고 있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다음에, 실시형태 4에 관한 둔부 기구를 착용한 때에 파생하는 인장(긴장)상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25는 실시형태 4에 관한 둔부 기구를 착용한 상태와 그 때에 파생하는 인장(긴장)관계를 화살표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배면도이다. D는 개각상태의 샅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E, F는 개각상태의 모습도이다.화살표는 둔부 각부에의 피트성, 및 지지ㆍ보정작용과 그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힙의 정중위(1; 즉, 재단선(61))을 향해, 화살표의 방향이 향하고 있고, 이것은 둔부 기구의 뒤쪽의 좌우길이 정중위(1)에 꼭 맞게 들어가, 이 부분이 들뜨는 일이 없고, 그 형상에 따라 쾌적하게 피트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샅부(62)나 둔렬부(52)도 마찬가지로, 그 형상으로 따라 쾌적하게 꼭 피트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 효과는 동작시에도 기능효과하여, 어긋남이나 느슨함을 일으키지 않고, 쾌적한 착용감을 나타낸다. 둔렬부(52)에의 피트성과 지지ㆍ보정효과는 착용하였을 때에 아름다움과 쾌적함을 실현한다.
또한, 이 둔부 기구는 단독으로도 의복으로서 제공될 수 있지만, 의복과 일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도 이 둔부 기구를 갖춘 의복기구가 얻어진다.
(실시형태 5)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5)에 관한 둔부 기구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6은 실시형태(5)에 관한 신축성 심재의 반신분의 재단형(전개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27은 실시형태 5에 관한 신축성 심재의 복부측을 면상으로 형성한 반신분의 재단형(전개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내는 신축성 심재(71)는 샅부(62)에 있어서, 신축성 심재(71)가 생리기관에 접촉하지 않도록, 오목부(6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호(70)는 접합(봉합)부이다.
이 신축성 심재(71)는 오목부(69)의 존재에 의해, 생리기관이 압박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28은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내는 신축성 심재(71)를 접합(봉합)하여 입체 화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에 나타내는 화살표는 착용시에 신축성 심재(71)에 발생하는 인장(긴장) 관계와 이것에 의해 복부 및 둔부 하변에 가해지는 지지ㆍ보정을 위한 면상 압력의 파생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도 28로부터, 신축성 심재(71)가 좌우 개별로 둔부 하변(57)을 지나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9는 실시형태 5에 관한 신축성 심재(71)를 내부형성한 경우의 쇼츠 타입을 착용하였을 때의 신축성 심재(71)의 배치상태를 나타내고, 또한 그 때의 인장(긴장) 관계의 발생상황과, 이것에 의해 효과하는 피트성 및 지지ㆍ보정작용상황을 화살표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배면도이다. D는 개각상태의 샅부를 나타내고, E, F는 개각상태의 모습도이다.
샅부(62)에서 좌우의 둔부 및 요부에 분리배치된 심재는 좌우의 둔부 하변을분리지지하여, 실시형태(4)에 관한 둔부 기구에 의해서, 꼭 피트한 둔렬부(52)와 함께, 좌우 둔부가 말쑥하고 아름다운 실루엣을 나타낸다.
또한, 이 둔부 기구는 의복과 일체형성함으로써, 상기 둔부 기구를 갖춘 의복기구가 얻어진다.
(실시형태 6)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관한 둔부 기구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0은 실시형태 4 또는 실시형태 5에 관한 둔부 기구의 샅부(62)에 생리위생용품을 배치할 수 있는 지지부(72)를 배치한 상태를 개각상태에 관해 나타내는 도면이고, D1은 실시형태 4에 관한 쇼츠 타입의 둔부 기구에 배치한 상태, D2는 실시형태 5에 관한 쇼츠 타입의 둔부 기구에 배치한 상태, D3은 D1 및 D2에 나타내는 둔부 기구를 착용하였을 때의 외견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실시형태 6로서는 실시형태 4 및 실시형태 5와 동일한 위치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0의 D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리위생용품을 배치할 수 있는 지지부(72)는 둔부 기구의 샅부(62)의 내측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20D에 나타내는 좌우 앞뒤길의 외음부(59), 및 항문부(60)의 상당개소에 배치된다. 이 구성을 갖춘 둔부 기구는 실시형태 4 및 5에서 설명한 둔부 기구에서 얻어지는 효과를 갖춤과 동시에, 이 효과에 의해 생리위생용품(예컨대 냅킨 등)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도 30의 D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리위생용품을 배치할 수 있는 지지부(72)는 도 29D에 나타내는 둔부 기구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내측(피부에 닿는 측)에서 지지부(72), 신축성 심재(71), 둔부 기구를 이루는 신축소재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부(72) 및 신축성 심재(71)와, 둔부 기구의 외형을 이루는 신축소재와의 접합(봉합)은 신축소재의 단부(대퇴부측)만으로 하여, 신축성 심재(71)의 동작성을 확보하도록 하고, 반드시 각 부재의 전역을 접합(봉합)할 필요는 없다. 또한, 이 둔부 기구는 의복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둔부 기구를 갖춘 의복기구가 얻어진다.
(실시형태 7)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관한 버스트의 지지ㆍ보정기구, 및 둔부 기구를 갖춘 원피스상 의복기구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원피스상 의복기구는 흉부 및 뒤쪽의 형상에 준하여, 정중위의 형상, 즉, 앞중심 및 뒤중심에 준하여 좌우 앞뒤길을 형성하고, 착용시에 좌우 버스트의 하변, 및 부채 형상부에 면압력이 가해지는 흉부의 지지ㆍ보정기구와, 마찬가지로 정중위의 형상에 준하여, 좌우 앞뒤길을 형성하고, 착용시에 복부 및 좌우의 둔부 하변에 면압력이 가해지는 둔부 기구를 병합형성한 기구이다.
그리고, 흉부의 지지ㆍ보정기구의 내용은 기본적으로 상기 실시형태 1 및 2와 동일한 기구와 구성 및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다. 또한, 둔부 기구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형태 4 및 5, 6의 기구와 구성 및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다.
이 원피스상 의복기구는 상기 흉부의 지지ㆍ보정기구와 둔부 기구를 별도로 형성하더라도, 또한 일체적으로 형성하더라도, 또한 원피스상 의복에 각각 단독으로나 양쪽을 배치하여도 좋고, 또는 상하 별도의 의복으로서 완성하고, 그 웨이스트 위치에 미리 접합기구를 마련하여, 착용시에 접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흉부 지지 기구와 둔부 지지 기구를 일체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의복 기구 전체의 장착안정성이나 인장(긴장) 관계의 파생효과, 및 의복 디자인의 향수관점에서 유효하다.
도 34 및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흉부의 지지ㆍ보정기구와 둔부 기구를 일체화하여 원피스형으로 한 것으로, 예컨대 수영복이나 레오타드, 또는 보디슈트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도 35는 상반신측 길을 정중위를 기준으로 앞중심에서 좌우로 분할하고, 하반신측 앞길을 일면상으로 형성하여, 하반신측 뒤길을 정중위를 기준으로 좌우길로 분할한 경우의 재단형의 예이다. 이 경우의 마무리 형상 치수는 도 34와 거의 동일하지만, 각 재단 부품의 형상 및 소재의 신축방향에 의한 신축률의 가감, 및 접합(봉합)부의 영향에 의해 마무리 형상 치수가 다소 다르게 된다.
이 원피스 타입의 의복 기구의 정중위(1)에 준한 재단선(61A)은 좌우 둔부의 둔부 함몰부(58)의 내측의 지방 부착부도 푹 감싸도록 형성한 함으로써, 보다 한층 피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동작시에도, 둔부 하변(57)이 밀려 올라가거나 둔렬부로의 필요없는 치우침이나 물고 죄는 것을 해소할 수도 있음과 동시에, 좌우 힙을 자연스럽게 아름답게 갖출 수 있다.
또한, 이 원피스 타입의 의복 기구는 흉부의 형상에 준하여, 흉부의 정중위, 즉, 앞중심에 따라 좌우길을 형성하고, 착용시에 좌우 버스트의 하부 옆구리측에 면압력을 가하는 흉부 지지 기구를 병합설치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는, 이 흉부의 지지ㆍ보정기구부분은 전체가 신축소재로 구성되어 있고, 좌우의 각 앞길(82)과 뒤길(83)로 구성되어 있다.
흉부의 지지ㆍ보정기구는 언더 버스트 위치에서 유두(80)에 가까이 감에 따라, 가해지는 면압력이 작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톱 버스트 부근이 압력에 의해 변형하거나 편평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방을 아래로부터 단단하게 지지ㆍ보정할 수 있다. 또한 부채 형상부를 끼워, 어깨 방향, 옆구리 방향, 앞중심 방향의 인장관계와, 신축소재의 형상 및 치수를 조정하여 형성한 버스트의 지지ㆍ보정기구에 의해 유방을 자연스러운 형으로 내측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수 있어, 이상적인 버스트 라인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앞길(82)은 어깨(K) 부를 폭이 넓게 구성함으로써, 더해진 힘을 면으로 받을 수 있어, 어깨부에 국부적인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부호(81)는 다트부를 나타낸다. 뒤길의 등과 허리에 이르는 사이에는 개구부(87)를 형성하더라도 좋고, 이 개구부(87)에 의해, 예컨대 전굴동작시의 뒤쪽의 소재의 인장을 완화시킬 수 있고, 따라서, 둔부 하변의 옷단의 밀려 올라감을 방지하기가 쉬워진다.
이 구성을 갖춘 원피스 타입의 의복기구는 하반신에 배치하면, 둔구(58)의 내측의 지방 부착 부분도 푹 감싸도록 형성되고, 보다 한층 피트성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동작시에도 둔부 하변(57)의 밀려 올라감이나 물고 죄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반신에 있어서도, 평상 동작시는 물론, 심한 운동을 하였을 때라도 유방을 단단하게 지지ㆍ보정하여, 유방의 요동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신체에 대한 불쾌한 압박도 없고, 쾌적한 장착감이 얻어지는 동시에, 좌우 누드 상태의 버스트나 힙을 보다 자연스럽게 아름답게 갖출 수 있다.
도 36은 도 34에 나타내는 원피스 타입의 의복기구의 재단형의 반신분을 입체화한 도면이고, A는 우반신 앞측을, C은 우반신 뒤측을, D는 전후 우반신의 접합(봉합)부 측에서의 각각의 겨냥도이다. 다트(65)를 둔부 돌출부위에 준하여 웨이스트 근방까지 연신시켜 재단선(93)으로 해도 좋다.
도 37은 도 35의 원피스 타입의 착용상태를 나타내는 전후 및 측면의 모습도이다.
이상의 원피스 타입의 의복기구의 실시예에서는 뒤쪽에 개구부(87)를 형성하지만, 이 개구부(87)는 반드시 형성할 필요는 없다. 도 38 및 도 39에 나타내는 원피스 타입의 의복기구예에 있어서는, 둔부 부분이 팬츠 타입이고, 또한 뒤쪽에 개구부(87)를 형성하고 있지 않다.
도 38의 둔부측 길(83)에는 거의 요부에 이르는 큰 다트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부분을 재단선으로 하는 경우에는, S로 나타내는 선상을 재단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도 39에 나타내는 원피스 타입의 의복기구에 있어서는, 둔부 부분이 팬츠 타입이다. 또한, 둔부의 돌기상 부분의 형상 치수 분량(V)을 앞뒤길의 옆구리측의 각 접합부에 부가함으로써 대응시키고, 따라서 착용시의 둔부의 외형을 심플하게 말쑥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또한, 착색부는 복부나 둔부 하변의 지지ㆍ보정을 보다 한층 보강하기 위해 상기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신축성 심재를 배치한 경우의 배치위치 및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34 내지 도 39에 나타내는 원피스 타입의 각 의복기구는 버스트나 힙의 지지ㆍ보정을 자연스럽게 아름답게 갖추는 효과를 발휘함과 동시에, 장착안정성이나 동작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각종 작업복이나 스포츠 웨어 및/또는 서포터로서의 이용에도 유효하다.
도 40은 종래의 수영복의 앞길과 좌우 뒤길의 각 재단형의 예이다. 도 41은 도 40에 나타내는 종래의 수영복의 재단형의 반신분을 입체화한 모식도이다. 11B는 앞중심 및 뒤중심을 나타낸다. 단지, 종래의 제품에 있어서는 앞중심 및 뒤중심선 은 반드시 정중위와는 일치하지 않고, 오히려 정중위로부터는 상당히 유리된 상태에 있다. 이것은 도 40 및 도 41의 11B의 길이가 다른 부위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부터도 명백히 알 수 있다.
정중위로부터 유리시킴으로써, 동작시에는 이 유리된 부분이 크게 이동을 발생시켜, 결과적으로 어긋남이나 느슨함이나 물고 죄는 것을 발생시킨다.
한편, 종래의 수영복에 있어서는, 경기 중에서의 물의 침입을 막기 위해, 이상할 정도로 작은 수영복을 착용함으로써, 이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물의 침입은 그러한 작은 수영복을 착용하여, 아무리 꽉 죄여도 인체의 형상에 맞는 설계가 이루어지지 않는 한, 역으로 동작에 의해 각부에 간극이 발생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종래의 수영복에 있어서는 둔부 하변을 시작하여, 각 개구부를 꽉 고무끈재로 마무리하여, 동작시의 어긋남이나 느슨함을 막고 있지만, 이 점에서도 동작에 의해 옷단 등이 밀려 올려진 경우에, 밀려 올려진 위치에 옷단이 멈춰 버려, 동작후에 일일이 옷단을 제자리로 되돌리는 동작을 요한다.

Claims (3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신축소재 및 신축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축특성을 이용하고, 체형특성과 정중위의 형상을 이용하여, 앞뒤길 및/또는 좌우길에 따라 구성하고, 신체 각부의 지지ㆍ보정ㆍ교정을 촉진하고, 동작성, 피트성(fitness)이 우수한 의복기구에 있어서,
    좌우길은 체형특성과 정중위의 형상에 준하여 재단형성하고, 하수(下垂)나 변형이 생기기 쉽고, 지지ㆍ보정을 요하는 유방의 부채 형상부(4)나 하복부나 둔부하변(이하 요부(要部)라고함)을 사이에 배치하여, 이것과 마주 대하는 신체의 다수의 위치사이를 연대적으로 면상 형성하는 동시에, 좌우길의 흉부나 샅부의 각 정중위측을 접합전의 상태에서 서로 유리(遊離)된 오목형상(凹狀)으로 재단하여, 각 길의 치수, 형상 및 축소율을 조정하여, 각 길을 접합하는 것에 의하여, 착용시에는 신축소재의 원형복귀성이 생겨, 신체와 기구간 및 기구전체에 상관적인 인장(tensile) 관계 또는 긴장(tense) 관계가 파생하여, 신체각부나 정중위에 피트하는 동시에, 각 길의 정중위측을 오목형상으로 형성한 만큼, 요부에 보정을 촉진하는 면압력이 가해지도록 구성한, 스스로의 체형 특성을 이용한 신체각부의 지지ㆍ보정ㆍ교정을 촉진하는 의복기구.
  27. 제26항 기재의 상반신측 의복기구의 좌우의 앞길은, 유두를 정점으로 하여 앞중심 근방으로부터 언더 버스트를 거쳐 옆구리부 근방까지의 영역에 대응한 하수 변형이 생기기 쉬운 부채형상의 요부를 사이에 배치하여, 이것과 마주 대하는 앞중심측, 옆구리측 및 어깨측의 각 위치사이를 연대적으로 면상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좌우 앞길의 앞중심(F)을 접합전의 상태에서 서로 유리된 오목형상으로 재단하여, 각 길의 치수, 형상 및 축소율을 조정하여, 각 길을 접합하는 것에 의해, 착용시에는, 가슴의 골짜기에 피트하는 동시에, 정중위측을 오목형상으로 재단한 만큼, 유방의 부채 형상부(4)에는 보정을 촉진하는 면압력이 가해지도록 구성한, 유두로부터 상변이 개방되어 이루어지는 의복기구.
  28. 제26항 기재의 상반신측 의복기구의 좌우의 앞길은, 어깨방향으로부터 유두부 및 유두의 상변을 덮는 피복부를, 유두부의 정점으로부터 앞중심에 이르는 전환다트를 형성하고, 제27항 기재의 앞길과 함께 일면상으로 형성하고, 각 길의 치수, 형상 및 축소율을 조정하여, 각 길을 접합하는 것에 의해, 착용시에는, 유두부를 피복하고, 앞중심에 피트하는 동시에, 유방의 부채 형상부(4)에는 보정을 촉진하는 면압력이 가해지도록 구성한, 유방의 지지ㆍ보정을 촉진하는 의복기구.
  29. 제28항 기재의 상반신측 의복기구의 좌우의 각 앞길에 있어서, 유방부 및 유두의 상변을 덮는 피복부의 형상 및 치수를, 제27항 기재의 유방의 부채 형상부(4)에 대응한 형상으로 비교하여 축소율을 낮추어 면압력을 가하여, 자연스런 유방의 형태를 실현 가능하도록 구성한 유방의 지지ㆍ보정을 촉진하는 의복기구.
  30. 제27항 기재의 상반신측 의복기구의 좌우의 각 앞길에 있어서, 유방의 하변으로부터 유두에 이르는 부분의 길의 형상 및 치수의 축소율을 단계적으로 낮추어, 착용시에는 유방의 하변으로부터 유두로 향하여 가해지는 긴장도 및 면압력이 서서히 작아지도록 하여, 자연스런 유방의 형태를 실현가능하도록 구성한, 유방의 지지ㆍ보정을 촉진하는 의복기구.
  31. 제26항 기재의 하반신측 둔부 기구에 있어서의 좌우의 길은, 체형특성과 정중위의 형태에 준하여 재단형성하고, 변형이나 하수가 생기기 쉬운 둔부하변의 요부를 사이에 배치하고, 이것과 마주 대하는 허리 옆구리측이나 복부측이나 둔부측의 다수의 위치사이를 연대적으로 면상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길의 정중위측을 접합전의 상태에서 서로 유리된 오목형상으로 재단하고, 둔부 돌출부위상의 둔부 돌출부로부터 둔부하변에 이르는 부위에는 전환 다트부를 형성하여, 둔부형상에 준한 형상으로 하고, 각 길의 치수, 형상 및 축소율을 조정하여, 각 길을 접합하는 것에 의하여, 착용시에는 신축소재의 원형복귀성이 생겨, 둔부 각부와 기구사이 및 기구전체에 상관적인 인장(tensile) 관계 또는 긴장(tense) 관계가 생겨, 둔부 각부나 둔렬(臀列)에 피트하는 동시에 둔부하변의 요부에는 정중위측을 오목형상으로 형성한 만큼, 보정을 촉진하는 면압력이 가해지도록 구성한, 스스로의 체형특성을 이용한 둔부의 지지ㆍ보정을 촉진하는 의복기구.
  32. 제31항 기재의 둔부 구성에 있어서, 정중위의 형상에 준하여 좌우길로 분할하는 동시에, 앞길은 좌우를 분할하지 않고 일면상으로 형성하여, 샅부에서 앞뒤길로 분할하여, 각 길을 접합하도록 한 둔부의 지지ㆍ보정을 촉진하는 의복기구.
  33. 제27항 기재의 상반식측의 각 의복기구와, 제31항 기재의 하반신측의 둔부기구를 원피스상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흉부, 복부, 둔부의 지지ㆍ보정을 촉진하는 원피스상의 각 의복기구.
  34. 제31항 기재의 하반신측 의복기구에 있어서, 앞길의 복부측으로부터 좌우의 각 전상극골의 위치로부터 서혜부를 지나서, 샅부의 각 되퇴부를 순회하고, 각 뒤길의 둔구부, 둔부하변 및 허리 옆구리부를 지나, 복부 앞중심에 이르는 부분에, 소정의 폭을 가진 신축성의 재단 심재를 각각 배설하여, 복부 및 둔부하변에 더욱 강한 지지ㆍ보정을 촉진하도록 구성한 각 의복 기구.
  35. 제31항 기재의 하반신측 의복기구의 각 뒤길에 있어서, 둔부하변으로부터 둔부 돌출부위를 따라서, 둔부 돌출부위에 이르는 부분에 전환다트를 및/또는 허리부에 이르는 재단선을 형성하고, 웨이스트 후부로부터 샅부에 이르는 정중위상의 길이가. 웨이스트 후부로부터 둔부하변부에 이르는 둔부 돌출부위상의 길이보다도 짧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 및 둔부하변의 지지ㆍ보정을 촉진하는 의복 기구.
  36. 제31항 기재의 하반신측 의복기구의 좌우 앞뒤의 각 길에 있어서, 둔부 돌출부위를 따라, 다트 또는 재단선을 형성하지 않고, 좌우 앞뒤 길의 허리 옆구리측 부분에 둔부 및 둔부 돌출부위의 형상 및 이에 해당하는 용량을 부가하여 형성하는 동시에, 웨이스트 후부로부터 샅부에 이르는 정중위상의 길이가, 웨이스트 후부로부터 둔부하변부에 이르는 둔부 돌출부위상의 길이보다도 짧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1항 기재의 하반신측 의복기구.
  37. 제26항 기재의 각 의복기구에 있어서, 각 의복기구의 치수가, 인체와의 치수비로 80% 이상 100% 미만으로 형성된 흉부, 복부 및 둔부의 각 지지ㆍ보정을 촉진하는 각 의복기구.
KR1020007012549A 1998-05-11 1999-05-11 인체의 지지ㆍ보정기구 및 이것을 갖춘 의복기구 KR1005635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127329 1998-05-11
JP12732998 1998-05-11
JP27511998 1998-09-29
JP98-275119 1998-09-29
JP33106898 1998-11-20
JP98-331068 1998-1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1230A KR20010071230A (ko) 2001-07-28
KR100563575B1 true KR100563575B1 (ko) 2006-03-27

Family

ID=27315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2549A KR100563575B1 (ko) 1998-05-11 1999-05-11 인체의 지지ㆍ보정기구 및 이것을 갖춘 의복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179301A4 (ko)
KR (1) KR100563575B1 (ko)
CN (1) CN1281164C (ko)
WO (1) WO19990580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51422B2 (ja) * 2002-06-06 2009-10-28 株式会社ワコール 股付き矯正衣類
US7922682B2 (en) 2002-07-01 2011-04-12 Lightning2 Llc Method of providing compressive forces to a human torso
WO2005051110A1 (ja) * 2003-11-28 2005-06-09 Wacoal Corp. 股つき矯正衣類
GB2444804B (en) 2006-12-15 2009-04-01 Speedo Int Ltd Elasticated sports garments
GB2444803B (en) 2006-12-15 2009-08-05 Speedo Int Ltd Garments
US8549763B2 (en) 2010-12-15 2013-10-08 Tamara KRAWCHUK System and method for garment fitting and fabrication
JP5945858B2 (ja) * 2011-03-30 2016-07-05 株式会社ワコール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JP4903905B1 (ja) * 2011-04-01 2012-03-28 株式会社シャルレ 歩行を補助する運動補助着
JP4903904B1 (ja) * 2011-04-01 2012-03-28 株式会社シャルレ 歩行を補助する運動補助着
JP5293844B2 (ja) * 2012-01-26 2013-09-18 東レ株式会社 衣服
US8984668B2 (en) 2012-09-10 2015-03-24 Levi Strauss & Co. Body shaping fit system
CN113272485A (zh) 2018-12-21 2021-08-17 利惠商业有限公司 分区弹力编织的服装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2309U (ko) * 1988-07-23 1990-02-14
JP3258457B2 (ja) * 1993-06-29 2002-02-18 酒清織物株式会社 肌 着
JP2898225B2 (ja) * 1995-07-20 1999-05-31 キシ株式会社 体型補整機能裏地付き衣服
WO1999053783A1 (en) * 1998-04-21 1999-10-28 Robert Balit Swim and body suit support system
JP3023354B2 (ja) * 1998-04-22 2000-03-21 株式会社ワコール 体型補整機能または筋肉サポート機能を有する衣類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81164C (zh) 2006-10-25
CN1300193A (zh) 2001-06-20
EP1179301A1 (en) 2002-02-13
EP1179301A4 (en) 2007-01-10
KR20010071230A (ko) 2001-07-28
WO1999058007A1 (fr) 199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9726B2 (en) Lower torso garment system
US20140310854A1 (en) Body Sculpting Garment
US5699559A (en) Bodysuit having freely moveable straps
KR100563575B1 (ko) 인체의 지지ㆍ보정기구 및 이것을 갖춘 의복기구
WO2017223362A1 (en) Shapewear garment, shapewear garment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JP4660630B1 (ja) 姿勢改善の効果が期待できるウエア
KR100923504B1 (ko) 올인원
KR20170000262U (ko) 기능성 보정속옷
US4421117A (en) Maternity garments
JP6355286B1 (ja) 機能性下着
JP3207099B2 (ja) 体形補整機能を有する被服
KR101250465B1 (ko) 올인원
CN211832849U (zh) 男士内裤
KR20140056596A (ko) 체형 보정 기능을 가지는 의류
JP2000096309A (ja) 腹部形状補整機能を具備した股部を有する衣類
JP3235294U (ja) 下肢用衣料
JPH0538003Y2 (ko)
CN213281518U (zh) 女士塑身裤
CN211185880U (zh) 一种产后束裤
CN217851387U (zh) 具有产后保养及修复塑形作用的合胯裤
CN211794356U (zh) 一种后脱式连体塑身衣
CN212650398U (zh) 一种调整骨盘美体内裤
CN214071777U (zh) 一种塑身裤
CN219845078U (zh) 一种具有收腰功能的内裤
CN212697715U (zh) 腿部雕塑凉感保健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