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2058B1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2058B1
KR100542058B1 KR1020020077142A KR20020077142A KR100542058B1 KR 100542058 B1 KR100542058 B1 KR 100542058B1 KR 1020020077142 A KR1020020077142 A KR 1020020077142A KR 20020077142 A KR20020077142 A KR 20020077142A KR 100542058 B1 KR100542058 B1 KR 100542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plate
light guide
cover member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7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9963A (ko
Inventor
사종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엘 엘씨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엘 엘씨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엘 엘씨디
Priority to KR1020020077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2058B1/ko
Priority to PCT/KR2003/002541 priority patent/WO2004052682A1/en
Priority to US10/538,128 priority patent/US20060044825A1/en
Priority to EP03774300A priority patent/EP1567389A1/en
Priority to JP2004558510A priority patent/JP2006509343A/ja
Priority to CNA2003801089370A priority patent/CN1738991A/zh
Priority to AU2003284751A priority patent/AU2003284751A1/en
Publication of KR20040049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9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2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2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29Spatial arrangement
    • B60Q1/0041Spatial arrangement of several lamps in relation to each other
    • B60Q1/0058Stacked, i.e. one lamp located behind the other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07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comprising at least two indicating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4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36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 F21S43/237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rod-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36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 F21S43/239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plate-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42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emission area
    • F21S43/245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emission area emitting light from one or more of its major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49Light guides with two or more light sources being coupled into the light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20Multi-color single source or LED matrix, e.g. yellow blinker and red brake lamp generated by single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형상의 도광판 측면에서 도광판의 내부로 빛을 입사시키고, 전반사에 의하여 도광판 내부로 전파된 빛이 도광판의 후면에 형성된 산란 패턴에 의해서 산란되어 도광판의 전면으로 방사되도록 하고, 전면으로 방사된 빛이 랜즈패턴을 구비한 커버부재에 의해서 일정한 패턴을 갖고 전방으로 조명되도록 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램프는, 빛이 방출되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과, 광입사면과 광출사면을 갖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고정 설치된 광투과성 커버부재와, 판형상으로 빛을 받아들이기 위하여 측면에 형성된 광입사면과 상기 커버부재를 향하는 전면의 광출사면을 갖고, 상기 광입사면으로 입사된 빛을 상기 광출사면으로 향하도록 산란시키기 위한 산란패턴이 형성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광입사면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빛을 상기 광입사면으로 방사하는 광원과, 상기 도광판의 후면에 설치되어 도광판의 전면으로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에는 랜즈패턴이 상기 커버부재의 광입사면 및/또는 광출사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램프, 광원, 도광판, 하우징, 랜즈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1의 A-A 선 단면도
도 3은 도광판을 구비한 면광원 조립체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면광원 조립체의 B-B 선 단면도
도 5는 도광판의 산란패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차량용 램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단면도
도 7은 차량용 램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단면도
도 8은 도 7의 적층형 도광판조립체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적층형 도광판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C-C 선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적층형 도광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C-C 선 단면도
도 11은 차량용 램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단면도
도 12는 차량용 램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3은 차량용 램프의 광원으로 LED를 사용한 일실시예의 개략도
도 14는 LED 광원의 설치 방향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15는 차량용 램프의 광원으로 광섬유를 사용한 일실시예의 개략도
도 16은 커버 부재에 후부반사패턴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7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램프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18는 종래의 차량용 램프의 개략도
<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0 하우징 110 인버터
200 면광원 조립체 210 도광판
220 리플랙터 230 광원
300 커버부재 310 반사패턴
400 확산판 500 가리개]
600 반사판 700 반사필름 또는 코팅
본 발명은 자동차 외부에 설치되는 전조등, 안개등, 후퇴등, 차폭등, 번호등, 후미등, 제동등, 방향지시등, 비상점멸표시등이나,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조명등에 사용할 수 있는 도광판을 구비한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판형상의 도광판 측면에서 도광판의 내부로 빛을 입사시키고, 전반사에 의하여 도광판 내부로 전파된 빛이 도광판의 후면에 형성된 산란 패턴에 의해서 산란되어 도광판의 전면으로 방사되도록 하고, 전면으로 방사된 빛이 랜즈패턴을 구비한 커버부재에 의해서 일정한 패턴을 갖고 전방으로 조명되도록 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용 램프는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빛을 방사하는 광원(10)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빛을 일정한 방향으로 일정한 패턴을 갖고 조사되도록 하는 반사경(20)과 랜즈(30)로 구성된다. 종래의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통상 광원(10)은 필라멘트의 발열에 의하여 빛을 내는 점광원(10)이 사용되며, 포물면을 갖는 반사경의 초점 상에 놓인다. 또한, 반사경(20)과 렌즈(30)는 적절히 설계되어 램프의 광선 패턴, 즉 원하는 조도의 분포 및 광선의 출사각을 갖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차량용 램프는 특히 전조등으로 사용될 경우, 램프의 밝기와 광선의 출사각에 대하여 엄격하게 규제되어 있으며, 방향지시등, 브레이크등, 차폭등 등에 사용될 경우에는 원하는 용도에 적합하도록 랜즈가 색상을 보유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램프는 차량의 디자인에 따라서 램프의 형상이 변경될 경우, 요구되는 조도분포를 만족하는 램프의 설계 및 제작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는 반사경이나 렌즈의 형상에 차량용 램프의 성능이 좌우되어 램프의 외관을 임의로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랜즈 및 반사경의 형상을 설계 변경하는 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램프는 반사경을 사용하여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일정한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반사경과 광원이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어야 하므로 부피가 커져서 차량 내부의 공간을 많이 차지한다는 단점이 있 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램프는 반사경의 초점 거리 근처에 설치된 하나의 점광원에서 발생된 빛으로 조명하므로, 집중된 광원으로부터의 발열로 인하여 주위 부품의 열변형을 초래하거나, 램프 내외부의 급격한 온도차이로 인하여 램프 내부에 수분이 응결되는 등의 문제점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디자인 변경에 따라서 램프의 외관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컴팩트하게 제작이 가능하여 차량 내부의 램프 설치 공간을 적게 차지하며, 광원의 열발생을 분산시켜서 집중된 광원의 발열에 의한 문제점을 제거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광원을 구비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여, 어느 하나의 광원이 고장난 경우에도 나머지 광원으로 조명을 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광원과 하나의 도광판 사이에 여러가지 색상을 갖는 필터를 설치하여, 하나의 도광판에서 여러가지 색의 빛을 낼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도광판을 적층하고, 도광판 마다 다른 색상을 갖는 필터를 설치하여 복수의 색을 낼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램프는, 빛이 방출되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과, 광입사면과 광출사면을 갖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고정 설치된 광투과성 커버부재와, 판형상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빛을 받아들이기 위하여 측면에 형성된 광입사면과 상기 커버부재를 향하는 전면의 광출사면을 갖고, 상기 광입사면으로 입사된 빛을 상기 광출사면으로 향하도록 산란시키기 위한 산란패턴이 형성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광입사면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빛을 상기 광입사면으로 방사하는 광원과, 상기 도광판의 후면에 설치되어 도광판의 전면으로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에는 방출되는 빛이 일정한 패턴을 갖도록 하기 위한 랜즈패턴이 상기 커버부재의 광입사면 및/또는 광출사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램프는, 상기 커버부재의 광입사면 및/또는 광출사면에 형성된 랜즈패턴의 단면이 반원형인 일정 길이의 복수개의 그루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램프는, 상기 커버부재의 광입사면 및/또는 광출사면에 형성된 랜즈패턴의 단면이 반원형으로 돌출된 일정 길이의 복수개의 반원기둥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램프는, 상기 커버부재의 광입사면 및/또는 광출사면에 형성된 랜즈패턴이 반구형상으로 함몰된 복수개의 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램프는, 상기 커버부재의 광입사면 및/또는 광 출사면에 형성된 랜즈패턴은 반구형상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램프는,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도광판 사이에 상기 도광판의 광출사면으로 부터 나오는 빛을 확산시키기 위한 광투과성 확산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램프는,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광원 사이에 상기 커버부재의 외주를 따라서, 상기 광원이 커버부재를 통하여 보이지 않도록 일정한 폭을 갖는 도너스 형상의 가림판이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램프는, 상기 커버부재의 광출사면으로 들어오는 외부의 빛을 반사시키기 위하여 상기 커버부재의 광입사면의 일부분에 반사패턴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램프는, 상기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인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반사판과 면하는 면의 일부에 상기 인버터를 수용할 수 있는 인버터수용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램프는, 상기 도광판에 형성된 산란 패턴이 도광판의 광출사면의 대향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요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램프는, 상기 도광판에 형성된 산란 패턴은 도광판의 광출사면의 대향면에 인쇄된 복수개의 망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램프는, 상기 도광판에 형성된 산란 패턴은 도광판의 내부에 분포하는 복수개의 미립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램프는, 상기 미립자는 기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램프는, 상기 도광판은 광출사면이 볼록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원이 도광판의 측면에 설치되어 차량용 램프의 부피를 작게 할 수 있으며, 광원을 도광판의 측면을 따라서 배치하여 집중된 발열을 방지할 수 있고, 도광판의 형상에 따라 산란패턴을 형성하여 원하는 패턴의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컴팩트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램프는, 상기 도광판의 광출사면에 볼록한 형상을 갖는 적층된 제2 도광판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적층된 제2 도광판의 광입사면에 인접하여 광원이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램프는, 상기 각각의 도광판의 광입사면과 광원 사이에 특정한 색상의 광투과성 필터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램프는, 상기 도광판과 제2도광판 각각에 형성된 산란패턴은 서로 중복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램프는, 상기 도광판의 광출사면에 적층된 제2 도광판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적층된 제2 도광판의 광입사면에 인접하여 제2 광원이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램프는, 상기 도광판과 제2도광판 각각에 형성된 산란패턴은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램프는, 상기 각각의 도광판의 광입사면과 광원 사이에 특정한 색상의 광투과성 필터가 각각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램프는, 상기 각각의 도광판의 광입사면과 광원 사이에 특정한 색상의 광투과성 필터가 각각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램프는, 상기 커버부재의 광출사면으로 들어오는 외부의 빛을 반사시키기 위하여 상기 커버부재의 광입사면의 일부분에 반사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램프는, 상기 도광판의 광입사면에 인접하여 설치된 광원은 복수개 이고, 상기 각각의 광원과 도광판의 광입사면 사이에 특정한 색상의 광투과성 필터가 각각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광원과 도광판 사이에 다양한 색상을 갖는 필터를 설치하여, 하나의 도광판으로 복수의 색상의 빛을 낼 수 있는 램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도광판을 적층하여 사용할 경우, 층마다 다른 색상을 낼 수 있도록 광원과 도광판 사이에 원하는 색상의 필터를 설치하여 컴팩트하게 다양한 색상의 빛을 낼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7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램프의 작동 원리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광원(230)으로 부터 방출된 광이 도광판(210)의 측면(광입사면)을 통하여 내부로 입사되고, 도광판(210) 내부를 전반사하여 진행하는 광은 도광판(210) 후면에 형성된 산란패턴에 의해서 산란되어 도광판 전면(광출사면)으로 출사된다. 도광판(210) 전면으로 출사된 광은 랜즈 패턴이 형성된 커버부재(300)에 의해서 적당한 패턴으로 전방을 조사하게 된다. 즉, 도광판을 사용하는 차량용 램프는, 도18에 도시된 종래의 차량용 램프에 비하여 반사경을 필요로 하지 않아서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광원을 분산할 수가 있어서 집중된 발열을 방지하고, 램프의 조명 패턴을 산란패턴과 랜즈패턴에 의하여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의 A-A 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광판을 구비한 면광원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면광원 조립체의 B-B 선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차량용 램프는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고 일면이 개구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에 수용되는 면광원조립체(200)와, 상기 면광원조립체(200)의 후방에 부착된 반사판(600)과,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기밀하게 폐쇄하는 커버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반투명 또는 불투명 합성수지로 제작되며, 외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기에 적합한 지지구조가 형성 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상기 면광원조립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커버부재가 고정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에는 광원 (2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인버터(11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나, 인버터를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에는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120)을 수용하기 위한 홈(14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개구부의 둘레에는 커버부재(300)와 기밀 결합되기 위한 단(1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100)의 면광원조립체(200)가 장착되는 바닥면에는 반사막을 코팅하거나 반사필름을 부착하여 반사판을 대신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면광원조립체(200)는 도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임의의 판형상을 갖는 도광판(210)과, 상기 도광판의 측면(광입사면)에 설치된 광원(230)과, 상기 광원(230)에서 방사되는 광이 모두 도광판의 측면으로 입사 되도록 광원을 감싸는 리플렉터(220)로 구성된다. 상기 리플렉터(220)는 하우징(100)의 설계에 따라서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즉, 광원이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리플렉터 (220)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코팅이나 증착 등에 의하여 반사영역을 형성하여 리플렉터(220)를 대신하게 할 수 있다.
도광판(210)은 아크릴 이나 PC 계열의 투명한 수지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다. 도광판(210)의 후면에는 도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산란패턴(211)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산란패턴(211)은 도광판의 후면에 요철형상을 갖도록 반구형의 오목한 망점을 형성하였으나,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산란패턴 (211)의 형성은 용제성 잉크를 인쇄하여 도광판의 수지 표면을 녹이거나, 자외선 경화 수지를 인쇄하여 경화시키거나, 직접 기계가공을 통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며, 금형 표면에 산란패턴을 가공한 후 프라스틱 사출성형을 통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산란 패턴은 후면뿐만이 아니라 전면에도 함께 형성될 수 있으며, 도광판 제조시 내부에 광산란 입자나 기포(공기 또는 탄산가스)를 주입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램프를 전조등으로 사용할 경우에 도광판(210)의 형상을 평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동등이나 방향지시등과 같은 표시등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도광판(210)의 형상을 빛이 출사되는 면이 볼록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광판(210)의 광출사면, 즉 전면이 볼록한 형상인 경우, 커버부재(300)도 도광판(210)의 볼록한 면을 따라서 볼록하게 구성한다. 이 경우, 측면에서 램프가 보다 잘 보이게 되므로 표시등으로서 보다 적합하게 된다. 또한 도광판(210) 내부로 전반사되어 진행하는 빛이 도광판(210)의 볼록한 면으로 누설되므로, 산란패턴에 의하지 않고 누설되는 방출광을 활용할 수 있게 되어 보다 밝은 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램프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도광판(210)의 면의 일부는 볼록하고 일부는 오목하게 될 수 있으나, 전체적으로 오목한 면의 면적보다 볼록한 면의 면적이 더 크면, 상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광원(230)은 도광판(210)의 측면을 따라서 설치된다. 광원(230)은 복수개를 설치하여, 어느 하나의 광원이 고장 나더라도 램프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개의 광원의 발광색이 각각 다른 것, 예를 들면 빨강색 및 노란색 빛을 내는 광원을 사용하여 여러가지 색을 내게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광원(230)으로는 선형의 열음극관이나 냉음극관이 사용되나, LED나 광섬유와 같이 도광판의 측면으로 광을 입사할 수 있는 것이면 무었이나 사용이 가능하다. 복수개의 선형 광원을 이어서 사용할 경우 광원(230)이 도광판(210)의 측면 전체를 감싸야 하는 것은 아니며, 램프의 용도에 따라서 적당한 수의 광원으로 도광판(210)의 측면의 일부만을 감싸도록 설치한다.
도 13은 광원(230)으로 LED(240)를 사용하여 도광판(210)의 측면 둘레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LED(240)를 광원으로 사용할 경우, 복수의 LED를 동시에 설치하기 위한 소켓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LED 각각의 발광색이 다른 것, 예를 들면 빨강색 및 노란색(오랜지색) LED를 사용하여 여러가지 색을 내게 할 수도 있다. LED는 직렬이나 병렬로 연결될 수 있으며, 병렬 연결의 경우 각 LED로 동일한 전류가 흘러 동일한 밝기를 내도록하고, 특정한 LED로 과도한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는 보상회로를 사용한다. LED(240)를 도광판의 측면에 설치할 경우 도광판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LED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도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입사된 빛을 보다 효과적으로 산란시킬 수 있도록 광원이 설치된 위치에서 대향하는 측면까지의 길이가 가장 긴 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음극관이나 열음극관같은 선광원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LED의 방향을 변화시키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기 위하여, 광원과 도광판 사이에 긴 띠모양의 렌즈를 설치하여 광원으로부터 방사되는 빛의 각도를 조절하여 도광판에 입사된 빛을 보다 효과적으로 산란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광섬유를 광원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5는 광원(230)으로 선형의 광섬유(250)를 사용하여 도광판(210)의 측면 둘레에 설치한 일실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15에 도시된 광섬유(250)에 는 광섬유의 길이방향으로 진행하는 빛이, 도광판(210)의 측면으로 입사되도록 하기 위하여, 광섬유(250)의 도광판(210)과 면하지 않는 둘레에 산란패턴(251)을 형성한다. 또한, 여러 가닥의 광섬유의 단부를 도광판 측면과 수직으로 면하도록 도광판 측면 주위에 배치하여 도광판으로 빛이 입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13에 도시된 복수의 LED 대신에 복수의 광섬유의 단부가 도광판의 측면을 향하도록 배치하여 복수의 점광원을 사용한 효과를 낼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광판을 사용하지 않고 복수의 광섬유를 평행하게 배치하고, 광섬유의 후면에 산란패턴을 형성하여 전면으로 빛이 균일하게 방출되도록 하여 도광판을 대체할 수도 있다.
도광판(210)의 측면에 선형의 냉음극관을 광원(230)으로 배치할 경우,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형 광원(230)의 배치 형상을 도광판(210) 내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하여 도광판 내부로 진행하는 광이 서로 중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230)이 도광판(210)의 내부에 대하여 오목하게 배치된 경우, 광의 주진행 방향이 도광판 내부 일정한 위치에서 집중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광이 집중된 부분에서 단위 면적당 방출 광량이 증가하게 되어 보다 밝은 램프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광판의 밝기의 차이를 이용하여 일정한 조명 패턴을 갖는 램프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광원의 배치는 냉음극관이나 열음극관 등의 선광원, LED와 같은 점광원, 또는 광섬유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5에는 도광판 내부에 광이 중첩된 경우 램프가 일정한 조명패턴을 갖도록 산란패턴의 망점의 크기와 분포를 다르게 한 일 실시예가 도시된어 있다.
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 반사막을 코팅하거나 반사필름을 부착하지 않는 경우에는, 별도의 반사판(600)을 도광판조립체(200)와 하우징(100) 내부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한다.
커버부재(300)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되어 있으며, 커버부재(300)의 후면(광입사면)에 랜즈패턴(310)이 형성되어 있다. 랜즈패턴(310)은 커버부재의 전면(광출사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커버부재(300)는 전면에 형성된 렌즈패턴 (310)으로 도광판의 광출사면으로 방출된 광을 원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도광판을 보호하는 기능도 한다. 또한, 랜즈패턴(310)은 도광판의 산란패턴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기능도 한다. 램프를 전조등으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커버부재(300)는 색상을 갖는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며, 광입사면에 광투과율 30% 이상의 필름을 부착하거나 반사막(거울막)을 코팅하여 외부에서 램프에 비치는 광을 반사시키는 기능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랜즈패턴(310)은 커버부재의 광입사면 또는 광출사면에 단면이 반원형인 일정 길이의 복수개의 그루브를 형성하여 만들 수 있다. 또한, 광입사면 또는 광출사면에 단면이 단면이 반원형으로 돌출된 일정 길이의 복수개의 반원기둥을 형성하거나, 반구형상으로 함몰된 복수개의 홈을 형성하거나, 반구형상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기를 형성하여 만들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차량용 램프의 용도에 따라서, 확산판(400) 이나 프리즘판(400)을 도광판의 전면과 커버부재의 후면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 확산판(600)은 도광판의 산란패턴이 보이지 않도록 확산시키는 기능을 하며, 프리즘판(600)은 작은 프 리즘으로 형성된 판으로 방출광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렌즈의 기능을 한다.
선택적으로 차량용 램프의 용도에 따라서, 확산판(400) 또는 커버부재(300)와 도광판조립체(200) 사이에 가림판(500)을 설치할 수 있다. 가림판(500)은 도광판(210)의 주위에 설치된 광원(230)과 리플렉터(220)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가리는 기능을 한다. 가림판(50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갖는 후프(hoop) 형상을 하고 있다.
도 6은 차량용 램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단면도이고, 도 7은 차량용 램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적층형 도광판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적층형 도광판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C-C 선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적층형 도광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C-C 선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는 복수의 도광판을 적층한 점에 특징이 있다. 적층된 도광판(210a, 210b) 각각에 산란패턴을 각각 형성하거나, 하부의 도광판(210a)에만 산란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산란패턴을 도광판 각각에 형성할 경우에는 도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도광판(210b)과 하부도광판(210a)의 산란패턴이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광원(230)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적층된 도광판에 공동으로 광을 입사할 수 있도록 설치하거나,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및 하부 도광판 각각에 별도의 광원을 설치할 수도 있다. 도8에 도시된 적층 도광판 조립체는 상부 및 하부 도광판 각각에 별도의 광원을 설치하고 각 도광판 별로 2개의 선형 냉음극관을 사용한 것이다. 이 때, 도 10에 도 시된 것과 같이 도광판(210a, 210b)의 입사면과 광원(230a, 230b) 사이에 특정한 색상의 광투과성 필터(260, 261)를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적층도광판을 구비한 차량용 램프를 전조등, 안개등, 후퇴등, 차폭등, 번호등, 후미등, 제동등, 방향지시등, 비상점멸표시등 등으로 사용할 경우, 각각의 광원을 별도로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하나의 차량용 램프로 여러가지 색상의 신호를 표시할 수 있으며, 조명의 밝기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차량용 램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단면도이고, 도 12는 차량용 램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16은 커버 부재에 후부반사구조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11에 도시된 실시예의 특징은 커버부재의 하부면에 반사용 필름이 추가로 설치된 점이다. 즉, 외부에서 빛이 램프에 비칠 때, 상기 반사용 필름에 의하여 반사되어 램프가 설치된 차량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며,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12에 도시된 실시예는 하나의 도광판에 복수개의 램프를 설치하고, 복수개의 램프와 도광판 사이에 각각 다른 색상을 갖는 광투과성 필터(270a, 270b, 270c, 270d)를 설치한 점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하나의 램프로 복수의 색상을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는 커버부재의 광입사면 또는 광출사면에 후부반사패턴(3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부에서 빛이 램프로 입사된 경우 커버부재의 렌즈의 일부분(필요에 따라서 전부에 형성할 수도 있음)에 형성된 반사패턴에 의해서 반사되어 차량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의 디자인 변경에 따라서 램프의 외관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컴팩트하게 제작이 가능하여 차량의 램프 설치 공간을 적게 차지하며, 광원의 열발생을 분산시켜서 집중된 광원의 발열에 의하여 응결수가 생기기 않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광원을 구비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여, 어느 하나의 광원이 고장난 경우에도 나머지 광원으로 조명을 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램프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광원과 하나의 도광판 사이에 여러가지 색상을 갖는 필터를 설치하여, 하나의 도광판에서 여러가지 색의 빛을 낼 수 있는 차량용 램프와 복수의 도광판을 적층하고, 도광판 마다 다른 색상을 갖는 필터를 설치하여 복수의 색을 낼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여 하나의 램프로 다양한 표시를 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2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빛이 방출되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과, 광입사면과 광출사면을 갖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고정 설치된 광투과성 커버부재와, 판형상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빛을 받아들이기 위하여 측면에 형성된 광입사면과 상기 커버부재를 향하는 전면의 광출사면을 갖고, 상기 광입사면으로 입사된 빛을 상기 광출사면으로 향하도록 산란시키기 위한 산란패턴이 형성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광입사면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빛을 상기 광입사면으로 방사하는 광원과, 상기 도광판의 후면에 설치되어 도광판의 전면으로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에는 방출되는 빛이 일정한 패턴을 갖도록 하기 위한 랜즈패턴이 상기 커버부재의 광입사면 및/또는 광출사면에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도광판 사이에 상기 도광판의 광출사면으로 부터 나오는 빛을 확산시키기 위한 광투과성 확산판과,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광원 사이에 상기 커버부재의 외주를 따라서, 상기 광원이 커버부재를 통하여 보이지 않도록 설치된 일정한 폭을 갖는 후프 형상의 가림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의 광출사면으로 들어오는 외부의 빛을 반사시키기 위하여 상기 커버부재의 광입사면의 일부분에 반사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인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반사판과 면하는 면의 일부에 상기 인버터를 수용할 수 있는 인버터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도광판의 광출사면에 볼록한 형상을 갖는 적층된 제2 도광판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적층된 제2 도광판의 광입사면에 인접하여 광원이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도광판의 광입사면과 광원 사이에 특정한 색상의 광투과성 필터 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과 제2도광판 각각에 형성된 산란패턴은 서로 중복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18. 빛이 방출되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과, 광입사면과 광출사면을 갖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고정 설치된 광투과성 커버부재와, 판형상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빛을 받아들이기 위하여 측면에 형성된 광입사면과 상기 커버부재를 향하는 전면의 광출사면을 갖고, 상기 광입사면으로 입사된 빛을 상기 광출사면으로 향하도록 산란시키기 위한 산란패턴이 형성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광입사면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빛을 상기 광입사면으로 방사하는 광원과, 상기 도광판의 후면에 설치되어 도광판의 전면으로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에는 방출되는 빛이 일정한 패턴을 갖도록 하기 위한 랜즈패턴이 상기 커버부재의 광입사면 및/또는 광출사면에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도광판 사이에 상기 도광판의 광출사면으로 부터 나오는 빛을 확산시키기 위한 광투과성 확산판과,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광원 사이에 상기 커버부재의 외주를 따라서, 상기 광원이 커버부재를 통하여 보이지 않도록 설치된 일정한 폭을 갖는 후프 형상의 가림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의 광출사면에 적층된 제2 도광판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적층된 제2 도광판의 광입사면에 인접하여 제2 광원이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과 제2도광판 각각에 형성된 산란패턴은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도광판의 광입사면과 광원 사이에 특정한 색상의 광투과성 필터가 각각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도광판의 광입사면과 광원 사이에 특정한 색상의 광투과성 필터가 각각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광출사면으로 들어오는 외부의 빛을 반사시키기 위하여 상기 커버부재의 광입사면의 일부분에 반사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23. 삭제
KR1020020077142A 2002-12-06 2002-12-06 차량용 램프 KR100542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142A KR100542058B1 (ko) 2002-12-06 2002-12-06 차량용 램프
PCT/KR2003/002541 WO2004052682A1 (en) 2002-12-06 2003-11-25 Lamp for vehicle
US10/538,128 US20060044825A1 (en) 2002-12-06 2003-11-25 Lamp for vehicle
EP03774300A EP1567389A1 (en) 2002-12-06 2003-11-25 Lamp for vehicle
JP2004558510A JP2006509343A (ja) 2002-12-06 2003-11-25 車両用ランプ
CNA2003801089370A CN1738991A (zh) 2002-12-06 2003-11-25 车辆用灯
AU2003284751A AU2003284751A1 (en) 2002-12-06 2003-11-25 Lamp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142A KR100542058B1 (ko) 2002-12-06 2002-12-06 차량용 램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492U Division KR200308620Y1 (ko) 2002-12-06 2002-12-06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963A KR20040049963A (ko) 2004-06-14
KR100542058B1 true KR100542058B1 (ko) 2006-01-11

Family

ID=36081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7142A KR100542058B1 (ko) 2002-12-06 2002-12-06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60044825A1 (ko)
EP (1) EP1567389A1 (ko)
JP (1) JP2006509343A (ko)
KR (1) KR100542058B1 (ko)
CN (1) CN1738991A (ko)
AU (1) AU2003284751A1 (ko)
WO (1) WO200405268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028B1 (ko) * 2009-10-13 2011-12-22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101442275B1 (ko) * 2006-08-01 2014-09-2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조명 장치 및 차량 창유리
KR101500387B1 (ko) * 2013-09-12 2015-03-09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헤드 라이트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149B1 (ko) * 2006-03-31 2008-03-06 동진전자 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투광기
DE102006062272A1 (de) * 2006-12-22 2008-06-26 Bayerische Motoren Werke Ag Fahrzeugleuchte
JP4984058B2 (ja) * 2007-05-25 2012-07-25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光源装置及び車両前照灯
US8303337B2 (en) 2007-06-06 2012-11-06 Veedims, Llc Hybrid cable for conveying data and power
US7940673B2 (en) * 2007-06-06 2011-05-10 Veedims, Llc System for integrating a plurality of modules using a power/data backbone network
KR101274448B1 (ko) * 2007-07-10 2013-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램프 장치
EP2068068B1 (en) * 2007-12-07 2013-11-20 Stanley Electric Co., Ltd. Vehicle headlamp
JP5447763B2 (ja) * 2008-03-27 2014-03-19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前照灯
JP5152571B2 (ja) * 2008-03-24 2013-02-27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前照灯
DE102008003708A1 (de) * 2008-01-09 2009-07-16 Hella Kgaa Hueck & Co. Leuchteneinrichtung für Fahrzeuge
US20090185389A1 (en) * 2008-01-18 2009-07-23 Osram Sylvania Inc Light guide for a lamp
FR2928110B1 (fr) 2008-03-03 2010-06-11 Valeo Vision Systeme optique avec fonction principale pour vehicule automobile
US20090273942A1 (en) * 2008-03-06 2009-11-05 Ballard Claudio R Headlight assembly with configurable indicator array
US7856158B2 (en) 2008-03-07 2010-12-21 Ballard Claudio R Virtual electronic switch system
JP5152572B2 (ja) 2008-03-24 2013-02-27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前照灯
CN102124384B (zh) 2008-07-10 2016-10-12 3M创新有限公司 粘弹性光导
WO2010017087A1 (en) * 2008-08-08 2010-02-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guide having a viscoelastic layer for managing light
US8274226B1 (en) * 2008-10-06 2012-09-25 Tomar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of integrating an LED spotlight
ES2337542B1 (es) * 2008-10-24 2011-02-07 Seat, S.A. Sistema de señalizacion para vehiculos automoviles.
AT507530B1 (de) 2008-11-04 2013-05-15 Al Systems Gmbh Lichtleitelement für eine beleuchtungseinrichtung sowie beleuchtungseinrichtung
KR101241678B1 (ko) * 2010-06-30 2013-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어램프
CN102734721B (zh) * 2011-03-31 2014-07-23 光阳工业股份有限公司 摩托车的后灯结构
DE102011016001A1 (de) * 2011-04-04 2012-10-04 Audi Ag Leucht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mit Lichtleitelementen
JP5749576B2 (ja) * 2011-06-07 2015-07-1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US8976541B2 (en) 2011-08-31 2015-03-10 Potens Ip Holdings Llc Electrical power and data distribution apparatus
US8702288B2 (en) 2011-12-06 2014-04-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Optical element for a vehicle lighting assembly
KR101382458B1 (ko) * 2012-03-19 2014-04-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조명 장치
KR101405238B1 (ko) * 2012-04-02 2014-06-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조명 장치
US9250660B2 (en) 2012-11-14 2016-02-02 Laserlock Technologies, Inc. “HOME” button with integrated user biometric sensing and verification system for mobile device
US9485236B2 (en) 2012-11-14 2016-11-01 Verifyme, Inc. System and method for verified social network profile
WO2014105470A1 (en) * 2012-12-28 2014-07-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function lightguide tailight article
JP5945238B2 (ja) * 2013-03-11 2016-07-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車両用灯具および車両のリアパネル
WO2014192797A1 (ja) * 2013-05-29 2014-12-04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発光部品
JP6208484B2 (ja) * 2013-07-10 2017-10-04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灯具
JP6214963B2 (ja) * 2013-08-13 2017-10-18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
CN103615692B (zh) * 2013-12-06 2016-12-07 哈尔滨固泰电子有限责任公司 内外置通用的车灯
ITPD20130353A1 (it) * 2013-12-20 2015-06-21 Automotive Lighting Italia Spa Dispositivo di illuminazione e/o segnalazione per veicoli
JP6339847B2 (ja) * 2014-04-16 2018-06-0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EP3149394B1 (en) * 2014-05-26 2021-11-17 Feka Otomotiv Mamulleri Sanayi Ve Ticaret A.S. Vehicle illumination lamp with light curtain/guide
US20150354771A1 (en) * 2014-06-10 2015-12-10 Yao Hung Huang Vehicle Light Composite Lens
KR20160026403A (ko) * 2014-09-01 2016-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라이트 및 그 광출방법
JP6479412B2 (ja) 2014-10-24 2019-03-06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GB2535758B (en) * 2015-02-26 2018-09-05 Bentley Motors Ltd Vehicle light assembly and lighting method
KR102435848B1 (ko) * 2015-03-31 2022-08-24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자동차용 조명 장치
AT518090B1 (de) * 2015-12-21 2017-10-15 Zkw Group Gmbh Scheinwerfer für ein Fahrzeug
JP6705192B2 (ja) * 2016-02-04 2020-06-03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
JP6704263B2 (ja) * 2016-02-18 2020-06-0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CN109416163B (zh) * 2016-05-04 2021-05-04 Lg伊诺特有限公司 照明模块
KR102565788B1 (ko) 2016-06-23 2023-08-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2659999B1 (ko) * 2016-10-11 2024-04-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램프
WO2018115468A1 (en) * 2016-12-23 2018-06-28 Lumileds Holding B.V. Light emitting module with light guide plate for automotive headlight
FR3070070A1 (fr) * 2017-08-14 2019-02-15 Koito Manufacturing Co., Ltd. Guide de lumiere en forme de tige et lampe de vehicule
US20190078753A1 (en) * 2017-09-11 2019-03-14 Valeo North America, Inc. Optic fiber panel systems and methods
DE202017106281U1 (de) * 2017-10-17 2019-01-18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Lichtleiter-Anordnung und Kraftfahrzeug-Beleuchtungseinrichtung mit einer solchen Lichtleiter-Anordnung
KR102435182B1 (ko) * 2017-11-29 2022-08-23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WO2019138837A1 (en) 2018-01-10 2019-07-18 Ricoh Company, Ltd. Curable liquid composition, composition-accommodating container, liquid composition discharging device, cured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ured material
KR102047666B1 (ko) 2018-01-12 2019-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및 차량
KR102116173B1 (ko) * 2018-01-12 2020-05-28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차량용 램프 및 차량
JP2019139876A (ja) * 2018-02-07 2019-08-2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IT201800002897A1 (it) * 2018-02-21 2019-08-21 Automotive Lighting Italia Spa Dispositivo di illuminazione e/o segnalazione automobilistico con porzioni illuminanti segmentate
DE102018003553A1 (de) * 2018-05-03 2019-11-0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Kraftfahrzeugbeleuchtungsmodul
CN108679573A (zh) * 2018-05-31 2018-10-19 华域视觉科技(上海)有限公司 Led光源面发光模组及应用其的车灯
US10527249B2 (en) 2018-05-31 2020-01-07 North American Lighting, Inc. Vehicle lamp and projection lens
KR102160530B1 (ko) * 2018-12-12 2020-09-28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CN210035343U (zh) 2018-12-12 2020-02-07 Sl株式会社 车辆用灯具
CN109519871B (zh) * 2018-12-28 2023-11-17 浙江嘉利(丽水)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立体发光效果的汽车信号灯
US11256018B2 (en) 2019-07-03 2022-02-22 Varroc Lighting Systems, s.r.o Light assembly including an illuminating utility segment and a visual stimulant segment
KR102663436B1 (ko) * 2019-08-06 2024-05-03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CN110529824B (zh) * 2019-08-08 2021-01-22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汽车的灯具结构
KR20220040655A (ko) 2020-09-24 2022-03-31 전성한 차량 주행 보조등 알림 장치
DE102021108391A1 (de) * 2021-04-01 2022-10-06 Lisa Dräxlmaier GmbH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KR102521543B1 (ko) * 2021-04-29 2023-04-14 한국광기술원 차량의 정보 표시장치
JP2023036360A (ja) * 2021-09-02 2023-03-1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WO2023117809A1 (en) * 2021-12-23 2023-06-29 Valeo Vision Optical element, lighting device and vehicle
CN114811514B (zh) * 2022-03-28 2023-04-18 岚图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备用汽车灯及汽车
IT202200010295A1 (it) 2022-05-18 2023-11-18 Piaggio & C Spa Lampada per veicolo del tipo a sella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29955A1 (de) * 1989-09-08 1991-03-14 Inotec Gmbh Ges Fuer Innovativ Lichtstrahler
US5101325A (en) * 1990-03-20 1992-03-31 General Electric Company Uniform illumination of large, thin surfaces particularly suited for automotive applications
US5842771A (en) * 1995-11-03 1998-12-01 American Products, Inc. Submersible light fixture
JP3860249B2 (ja) * 1996-05-02 2006-12-20 ローム株式会社 面発光照明装置
DE69809922T2 (de) * 1997-08-07 2003-08-21 Decoma Int Inc Lichtlenkendes und lichtverteilendes, dünnes verwaltungssystem von einer oder mehreren lichtquell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optischen strukturen zur verwendung in einem solchen system
JPH11151974A (ja) * 1997-11-25 1999-06-08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アクセサリランプ
US6502974B2 (en) * 1999-02-18 2003-01-07 Lacks Enterprises, Inc. Integrated flexible lamp assembly
JP4945032B2 (ja) * 2001-05-08 2012-06-06 恵和株式会社 反射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275B1 (ko) * 2006-08-01 2014-09-2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조명 장치 및 차량 창유리
KR101095028B1 (ko) * 2009-10-13 2011-12-22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101500387B1 (ko) * 2013-09-12 2015-03-09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헤드 라이트 모듈
US9616803B2 (en) 2013-09-12 2017-04-11 Hyundai Motor Company Head light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84751A1 (en) 2004-06-30
KR20040049963A (ko) 2004-06-14
US20060044825A1 (en) 2006-03-02
EP1567389A1 (en) 2005-08-31
CN1738991A (zh) 2006-02-22
WO2004052682A1 (en) 2004-06-24
JP2006509343A (ja) 200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2058B1 (ko) 차량용 램프
CA2297526C (en) Display device using a light guide for exterior automotive lighting
KR20200071022A (ko) 차량 조명 및/또는 시그널링 디바이스
EP2019257A1 (en) Vehicle lighting assembly and light guiding lens for use n vehicle lighting assembly
JP2006522442A (ja) テールランプ、とりわけ自動車用の後部ストップランプ
US20190170317A1 (en) Light device, especially signal lamp, for motor vehicles
JP2000215710A (ja) 車両用多機能テ―ルライト装置
US6758587B2 (en) Light emitting diode license lamp with reflector
KR20170095668A (ko) 램프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KR101684117B1 (ko) 차량용 무드등
JP2013183078A (ja) レンズ付きled装置及び多方向照明装置
CN110469818B (zh) 一种灯具组件及车灯
CN112361297B (zh) 具有多种灯光效果的汽车尾灯及形成各种灯光效果的方法
KR200308620Y1 (ko) 차량용 램프
KR100801923B1 (ko) 차량용 조명장치
KR20190028252A (ko) 고효율, 고시인성을 갖는 led 면조명 교통신호등
JP7307538B2 (ja) 車両用灯具
CN115335633A (zh) 车辆用灯具
KR200325478Y1 (ko) 간접 조명을 이용한 차량용 led램프의 구조
JP2018195466A (ja) 車両用灯具
CN221054850U (zh) 配光部件、照明和/或信号指示装置以及机动车辆
KR100516819B1 (ko) 전반사 렌즈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CN217763273U (zh) 光学组件、照明和/或信号指示设备、和机动车辆
CN112268263B (zh) 一种汽车动态发光尾灯
CN220061518U (zh) 用于车灯的光学***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