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8764B1 - 엔진 브레이커 - Google Patents

엔진 브레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8764B1
KR100538764B1 KR10-2004-7006947A KR20047006947A KR100538764B1 KR 100538764 B1 KR100538764 B1 KR 100538764B1 KR 20047006947 A KR20047006947 A KR 20047006947A KR 100538764 B1 KR100538764 B1 KR 100538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main body
breaker
shaf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6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3927A (ko
Inventor
미야카와시게루
Original Assignee
야마다 기카이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다 기카이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다 기카이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3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3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8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87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hammer-type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17/24Damping the reaction 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상의 본체(1)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상하방향 왕복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작업체(2)와, 출력축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에 탑재된 엔진(5)과, 상기 본체(1)에 내장되고, 상기 엔진(1)의 회전 출력이 전달되는 수평방향의 회전축(6)의 회전을 개재하여 상기 작업체(2)의 상단부를 연속적으로 타격하는 타격수단(30)을 구비한 엔진 브레이커로서, 상기 엔진(5)은, 그의 하우징(5a)이 상기 본체(1)에 대해서 탄성부재(8)를 개재하여 지지되어 있고, 또 그의 출력축(52)과 상기 회전축(6)의 사이에는, 상기 회전축(6)과 교차하는 방향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플렉시블 커플링(9, 9A. 9B)이 장착되어 있다.

Description

엔진 브레이커{ENGINE BRAKER}
본 발명은 본체에 탑재된 엔진에 의해서 구동되는 엔진 브레이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브레이커라 불려지는 파쇄장치는, 예를 들어 도로공사현장이나 건축현장 등에서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등의 경질 고형물을 파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와 같은 브레이커에는, 본체의 상부에 탑재된 엔진의 출력에 의해 타격수단을 작동시키고, 이 타격수단에 의해 본체 하부에 지지된 작업체를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킴으로써, 경질 고형물을 타격하도록 구성된 엔진 브레이커가 있다. 도 9에 종래의 엔진 브레이커의 일예를 나타낸다. 이 엔진 브레이커(10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상의 본체(1)와, 본체(1)의 하부에 상하방향 왕복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작업체(2)와, 본체(1)의 상부에 탑재된 엔진(105)과, 본체(1)에 내장되어, 엔진(105)의 구동에 의해서 작업체(2)의 상단부를 연속적으로 타격하는 타격수단(3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체(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원통부(11)와, 원통부(11)의 상부에 장착된 크랭크 케이스(12)를 갖고 있으며, 원통부(11) 및 크랭크 케이스(12)의 내부에는 각각, 후술하는 해머부(3) 및 크랭크 기구(4)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작업체(2)는, 예를 들면, 선단부분이 추형상으로 형성된 정(chisel)모양 등으로, 기단측이 원통부(11)내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엔진(105)은, 그의 출력축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본체(1)의 크랭크 케이스(12)에 내장된 회전축(6)으로 회전출력을 전달한다. 이 회전축(6)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크랭크 케이스(12)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엔진(105)을 본체(1)에 장착하는 데에는, 단면을 보아 대략 L자 형상으로 된 엔진 장착판(7a)이 사용되고 있으며, 엔진(105)은, 엔진 장착판(7a)에 대해서 하우징의 일측면 및 하면에 나사 결합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엔진 장착판(7a)을 본체(1)의 크랭크 케이스(12)의 측면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엔진(105)으로서는, 배기량이 50cc 전후인 2사이클 엔진이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상기 타격수단(30)은, 상기 회전축(6)의 회전에 의해 작동하는 크랭크 기구(4)와, 이 크랭크 기구(4)의 작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해머부(3)를 갖고 있어, 해머부(3)의 선단이 작업체(2)에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엔진 브레이커(100)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그 팽창력에 의해서 해머부(3)를 왕복이동시키는 타입의 브레이커와는 달리, 압축공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콤프레서 등의 외부기기에 접속되어 있지 않으므로, 비교적 취급이 용이하다.
그러나, 상기 엔진 브레이커(100)에 있어서는, 크랭크 기구(4)가 해머부(3)를 왕복 이동시킬 때의 반동이나 해머부(3)가 작업체(2)를 타격할 때의 충격 등이 본체(1)를 심하게 진동시키기 때문에, 본체(1)에 탑재된 엔진(105)의 하우징에 있어서 본체(1)에 인접하는 부분이 변형되거나, 엔진(105) 자체가 진동하여 하우징 내외에 설치된 다양한 엔진 구성부재 간의 위치관계가 어긋나기도 한다. 그로 인해, 엔진(105)이 부조를 초래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엔진 브레이커(100)에서는, 엔진(105)으로서, 하우징의 두께를 5㎜∼6㎜정도로 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킨 것 등이 사용되지만, 이 두께는, 배기량 50cc 전후의 일반적인 2사이클 엔진에 있어서의 하우징 두께(2㎜∼3㎜)에 비해서 상당히 두껍다. 따라서, 엔진(105)으로서 일반적인 엔진을 사용할 수 없으며, 엔진 브레이커(100)의 제조 코스트가 커지게 된다. 또, 엔진(105)의 중량이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제의 하우징을 갖는 것으로 8㎏정도가 되어, 일반적인 엔진의 중량(3㎏ 정도)에 비해서 상당히 무거워, 엔진 브레이커(100)의 경량화가 곤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엔진 브레이커의 일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엔진 브레이커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플렉시블 커플링의 일예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있어서의 플렉시블 커플링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Ⅷ-Ⅷ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엔진 브레이커의 일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토대로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시의 진동에 의해 엔진이 부조를 초래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 내진성을 갖는 엔진 브레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엔진 브레이커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상하방향 왕복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작업체와, 출력축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에 탑재된 엔진과,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상기 엔진의 회전 출력이 전달되는 수평방향의 회전축의 회전을 개재하여 상기 작업체의 상단부를 연속적으로 타격하는 타격수단을 구비한 엔진 브레이커로서, 상기 엔진은, 그의 하우징이 상기 본체에 대해서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지지되어 있고, 또 그의 출력축과 상기 회전축의 사이에는, 상기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플렉시블 커플링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플렉시블 커플링이란, 2개의 축을 연결시키고, 그들 간에 회전력을 전달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들 2개의 축 중의 적어도 한쪽이 그것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변동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커플링인 것을 말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타격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작동하는 크랭크 기구와, 이 크랭크 기구의 작동에 의해 상하방향 왕복 이동하는 해머부를 갖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또, 상기 엔진의 하우징은, 그의 측면측 및 하면측이 각각, 상기 본체의 측면, 및 상기 본체의 측면에 세워진 엔진 브라켓에 대해서, 상기 탄성부재로서 탄성체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탄성소편(小片)을 개재하여 지지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플렉시블 커플링은, 상기 엔진의 출력축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출력 전달부와, 상기 회전축의 사이에, 탄성체에 의해 형성된 진동 흡수부재를 장착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진동 흡수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단부(端部)에 끼워져 있고, 또 그 단면(端面)이 상기 출력 전달부에 대해서 접촉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엔진의 측면과 상기 본체의 측면 사이에는, 상기 엔진을 상기 본체에 장착하기 위한 엔진 장착판에 구비된 베어링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출력 전달부의 단부는 보스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내주면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 1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베어링에 끼워 넣어져 있고, 상기 회전축의 단부는, 상기 각 제 1돌기와 대응하도록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 2돌기를 갖고 있으며, 이들 복수의 제 2돌기가 상기 출력 전달부의 보스형상 단부 내에서 상기 각 제 1돌기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 흡수부재는, 상기 출력 전달부의 보스형상 단부(端部) 내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각 제 1돌기의 측면과 상기 각 제 2돌기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진동 흡수부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다른 특징 및 이점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행하는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 1∼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 이들 도면에 있어서, 종래예를 나타내는 도 9에 나타낸 부재, 부분 등과 동등한 것에는 각각 동일한 부호를 붙여놓았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엔진 브레이커(A)는, 예를 들어 도로공사현장이나 건축현장 등에서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등의 경질 고형물(G)을 파쇄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상의 본체(1)와, 이 본체(1)의 하부에 상하방향 왕복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작업체(2)와, 본체(1)에 내장되어, 작업체(2)의 상단부를 연속적으로 타격하는 타격수단(30)과, 본체(1)의 상부에 탑재되어, 타격수단(30)을 작동시키는 엔진(5)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체(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원통부(11)와, 원통부(11)의 상부에 장착된 크랭크 케이스(12)를 갖고 있으며, 이들은 각각 소정의 강성을 갖는 금속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부(11)의 하방부에는, 그의 내경을 축소하도록 형성된 보스형상부(11a)가 연통되어 있고, 이 보스형상부(11a)에 대해서 상기 작업체(2)의 후술하는 생크부(2c)가 부시(24)를 개재하여 상하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보스형상부(11a)에는, 통형상의 작업체 홀더(22)가 그의 기단부를 통해 끼워맞춤되어 있으며, 작업체 홀더(22)의 선단부에 대해서 작업체(2)의 후술하는 몸통부(2a)가 상하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원통부(11)의 하방부에는, 그의 외면에 형성된 수나사(11b)에 대해서 나사결합하는 하부캡(13)이 구비되고, 이 하부캡(13)의 선단에 형성된 관통공(13a)으로부터 작업체 홀더(22)(및 작업체(2))가 돌출되어 있다.
작업체 홀더(22)는, 상기 보스형상부(11a)의 외면과 하부캡(13)의 관통공(13a)으로 가이드되면서 상하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체 홀더(22)의 기단부에는, 하부캡(13)의 내주면과 미끄럼 접촉하는 부러싱부(22a)가 형성되어 있으며, 브러싱부(22a)의 상방측에 있어서의 보스형상부(11a)와 하부캡(13) 간의 고리형상 공간, 및 브러싱부(22a)의 하방측에 있어서의 작업체 홀더(22)와 하부캡(13)간의 고리형상 공간에는, 탄성체에 의해 형성된 고리형상부재(25) 및 고리형상부재(26)가 각각 장전되어 있다.
또, 원통부(11)의 내부에는, 이 원통부(11)에 대해서 2중으로 되도록 고정 실린더통(14)이 삽입되어 있고, 이 고정 실린더통(14)은, 상기 크랭크 케이스(12)의 내부 공간과 연속되는 실린더 공간(14a)을 형성하고 있다. 크랭크 케이스(12)의 내부 공간 및 실린더 공간(14a)에는 각각, 상기 충격수단(30)의 후술하는 해머부(3) 및 크랭크 기구(4)가 배치되어 있다. 또, 크랭크 케이스(12)의 내부 공간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엔진(5)의 회전 출력이 전달되는 회전축(6)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이 회전축(6)의 소정의 위치에는, 비교적 작은 직경의 피니언 기어(61)가 구비되어 있다. 이 회전축(6)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61)의 단부측에서, 가령 구름베어링(60a, 60b)등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상기 작업체(2)는, 본 실시예에서는,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를 파쇄하는데 적합한 정으로서, 소정의 경도를 갖는 금속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작업체(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로서 대략 원주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중앙부분에 위치하는 몸통부(2a)와, 선단측에 위치하는 추형상의 칼날부(2b)와, 기단(상단)측에 위치하고, 몸통부(2a)의 직경을 축소하도록 형성된 생크부(2c)로 이루어진다. 몸통부(2a)의 측면의 일부에는 평탄면(2d)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작업체 홀더(22)에는 도 2에 있어서의 종이면의 표리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구멍부(22b)가, 그의 내면을 작업체 홀더(22)의 내주면으로 노출시키도록 형성되어 있고, 작업체(2)를 그의 평탄면(2d)이 구멍부(22b)의 내면과 대향하도록 배치하며, 구멍부(22b)내에 소정의 굵기의 스토퍼핀(27)을 삽입 관통함으로써, 작업체(2)가 작업체 홀더(22)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작업체(2)는, 몸통부(2a)의 평탄면(2d)에 있어서의 축방향 길이를 고정 길이로 함으로써, 작업체 홀더(22)에 대한 상하방향 왕복 이동이 허용된다.
또, 스토퍼핀(27)에는, 호형상 삭제부(27a)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로 인해, 스토퍼핀(27)의 회전 자세에 의해서, 작업체(2)의 이탈을 저지할 수 있는 상태와, 이탈을 허용할 수 있는 상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타격수단(3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6)의 회전에 의해 작동하는 크랭크 기구(4)와, 이 크랭크 기구(4)의 작동에 의해 상하방향 왕복 이동하는 해머부(3)를 갖고 있다. 크랭크 기구(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엔진(5)의 출력축의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축(6)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크랭크판(41)과, 이 크랭크판(41)과 해머부(3)를 연결하는 로드(42)를 구비하고 있다. 크랭크판(41)은, 상기 크랭크 케이스(12)내에 구비된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 등에 의해 정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크랭크축(43)(도 1참조)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그 원주면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61)에 치합되는 기어부(41a)가 형성되어 있다. 로드(42)는, 그의 양단부가 각각 크랭크판(41) 및 해머부(3)의 후술하는 가동 실린더(31)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한편, 해머부(3)는, 상기 고정 실린더통(14)의 내부에 상하방향 왕복이동 가능하게 끼워진 가동 실린더(31)와, 이 가동 실린더(31)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 자유 피스톤(32)과, 이 자유 피스톤(32)의 하부에 일체적으로 연장 형성된 타격봉(33)을 구비하고 있다. 가동 실린더(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크랭크 기구(4)의 로드(42)에 연결되어 있고, 크랭크판(41)이 회전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가동 실린더(31)는, 그의 상단이 폐지(閉止)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타격봉(33)이 하방으로 돌출할 수 있는 투과공(34a)이 형성된 캡(34)이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기 자유 피스톤(32)은, 전체로서 대략 원주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의 상면과 가동 실린더(31)의 상벽 사이에는 상부 공압실(35)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자유 피스톤(32)의 하면과 가동 실린더(31)의 캡(34) 사이에는 하부 공압실(3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자유 피스톤(32)의 외주에는, O링(37)이 끼워져 있어, 자유 피스톤(32)의 외주와 가동 실린더(31)의 내주면 간의 기밀성이 확보되고 있다.
상기 타격봉(33)은, 그의 외경이 자유 피스톤(32)의 외경보다도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자유 피스톤(32)이 하방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가동 실린더(31)의 캡(34)에 있어서의 투과공(34a)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작업체(2)의 상단부를 타격한다. 이 타격봉(33)의 외주면과 투과공(34a)의 내주면 사이는, 투과공(34a)의 내주에 끼워진 O링(34b)에 의해 기밀성이 확보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상부 공압실(35) 및 하부 공압실(36)이 각각 밀봉상태로 된다.
상기 가동 실린더(31)가 상하방향 왕복 이동할 때에는, 자유 피스톤(32)이 가동 실린더(31)의 움직임에 종동하도록 하여 상하로 운동한다. 가동 실린더(31)가 그의 하사점으로부터 상사점을 향해서 상방 이동할 때, 자유 피스톤(32)의 관성 지연에 의해서 상기 하부 공압실(36)이 일단 압축되고, 이 압축된 하부 공압실(36)의 팽장(膨張)력이 관성 지연후의 자유 피스톤(32)의 상방이동을 돕는다. 그리고, 가동 실린더(31)가 상사점을 지나서부터 하방 이동하기 시작하면, 상기와 같은 관성 지연에 의한 자유 피스톤(32)의 상방이동 및 그 관성력에 의해서, 상기 상부 공압실(35)이 일단 크게 압축되고, 이 압축된 상부 공압실(35)의 팽장력 및 가동 실린더(31)의 하방이동에 의해서, 자유 피스톤(32)은, 그의 속도가 현저하게 높아진 상태로 하방 이동하며, 상기 타격봉(33)이 상기 작업체(2)의 상단부를 타격한다. 이와 같은 동작이 반복되어, 타격봉(33)이 연속적으로 타격된다.
이와 같이, 가동 실린더(31)가 상하 이동하면, 자유 피스톤(32)은, 특히 상부 공압실(35)의 압축에 의한 팽장력의 작용에 의해서, 하방 이동할 때의 속도가 극히 고속화되고, 그로 인해, 작업체(2)에 대해서 반복하여 주어지는 충격력을 상당히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엔진(5)은, 배기량이 30cc∼50cc정도의 소형 2사이클 엔진으로,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제 등의 하우징을 갖고 있다. 이 엔진(5)의 하우징(5a)은, 그 두께가 2㎜∼3㎜로 되어 있어, 종래예의 것보다도 얇게 되어 있으므로, 이 엔진 브레이커(A)를 경량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엔진(5)으로서는, 시장에 많이 출회되어 있는 예불기(cutter)용 엔진이나 펌프용 엔진 등의 저가인 범용 엔진을 채용할 수 있어, 엔진 브레이커(A)의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이 엔진(5)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의 하부에 연료탱크(51)가 구비된 타입의 것으로, 하우징의 하면이 상하방향의 대략 중간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또, 엔진(5)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의 출력축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그의 하우징(5a)이 상기 본체(1)(크랭크 케이스(12))에 대해서 탄성부재(8)를 개재하여 지지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탄성부재(8)는, 복수의 탄성소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탄성소편은, 고무 등의 탄성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엔진(5)을 본체(1)에 장착하는 데에는, 엔진(5)의 하우징(5a)의 측면을 본체(1)의 측면에 지지시키기 위한 엔진 장착판(7a)과, 엔진(5)의 하우징의 하면을 지지시키기 위한 스테이(7c)와, 본체(1)의 측면에 세워진 엔진 브라켓(7b)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엔진 장착판(7a)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을 보아 대략 L자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금속판을 굴곡시키는 등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엔진 장착판(7a)은, 엔진(5)의 하우징의 측면 및 하면에 각각 대응하는 평면(71) 및 평면(72)을 갖고 있다. 평면(71)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5)의 후술하는 클러치 드럼(52)이 삽입 관통할 수 있는 삽입 관통공(71a)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 관통공(71a)의 둘레에는, 엔진(5)에 엔진 장착판(7a)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나사용 구멍(71b)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 엔진 장착판(7a)은, 이들 나사용 구멍(71b)을 통과한 볼트(도시 생략)등에 의해 엔진(5)의 하우징(5a)의 측면에 고정된다. 한편, 평면(72)은 엔진(5)의 상기 연료탱크(51)(도 1참조)의 하면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스테이(7c)를 개재하여 엔진(5)의 하우징(5a)의 하면에 고정된다.
상기 스테이(7c)는, 금속판 등을 단면을 보아 ⊃형상으로 굴곡시키는 등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스테이(7c)는, 엔진(5)의 하우징(5a)의 하면 및 엔진 장착판(7a)의 평면(72)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상기 엔진 브라켓(7b)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5)을 하방에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본체(1)(크랭크 케이스(12))의 측면에 나사(75)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엔진 브라켓(7b)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을 보아 대략 L자 형상의 굴곡판(73)에 평면형상의 측판(74)을 점착시켜서, 굴곡판(73)의 수평면(73a) 및 수직면(73b)의 폭방향 단부들을 현가하도록 한 형상을 이루고 있어, 용이하게 절곡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엔진 브라켓(7b)은, 도 1에는 굴곡판(73)만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엔진(5)을 본체(1)(크랭크 케이스(12))에 장착할 때에는, 먼저, 엔진(5)에 엔진 장착판(7a)을 고정함과 동시에, 스테이(7c)를 소정의 위치에 장착하고, 다음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 장착판(7a)의 평면(71)을 본체(1)의 측면에 대해서 2개의 탄성부재(8)를 개재하여 지지시킴과 동시에, 엔진 장착판(7a)의 평면(72)을 엔진 브라켓(7b)의 굴곡판(73)의 수평면(73a)에 대해서 2개의 탄성부재(8)를 개재하여 지지시키도록 한다. 각 탄성부재(8)는, 본 실시예에서는,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축방향 양단면에, 가령, 표면에 나사축(81)이 설치된 금속판(82)을 가류 접착법 등에 의해 장착한 상태로 사용된다. 이 방법에 의하면, 탄성부재(8)와 금속판(82)은, 이들 간에 접착제가 도포됨과 동시에 탄성부재(8)가 가류됨으로써, 견고하게 접착되므로, 그 접착 계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비교적 큰 하중이 가해져도 박리하기 어렵다. 이와 같이 하여 금속판(82)이 접착된 각 탄성부재(8)는, 나사축(81)의 단부를 본체(1)의 측면에 형성된 암나사공(83)에 나사결합시키거나, 또는 엔진 장착판(7a)의 평면(71, 72) 및 엔진 브라켓(7b)의 수평면(73a)에 관통 형성된 나사용 구멍(84)에 삽입 관통시켜서 너트(85)를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장착된다.
이것에 의해, 엔진(5)의 하우징(5a)을, 그 측면 및 하면 측에서 각각, 본체(1)의 측면 및 엔진 브라켓(7b)에 대해서 복수의 탄성부재(8)를 개재하여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의 진동은, 각 탄성부재(8)에 의해서 흡수되어, 엔진(5)에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엔진(5)이 심하게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각 탄성부재(8)는, 본체(1)로부터의 진동을 흡수할 때에, 순간적으로 변형하게 되기 때문에, 본체(1)내의 회전축(6)이 엔진(5)에 대해서 변위된다. 이 때, 엔진(5)의 출력축과 상기 회전축(6)이 직접 접촉하고 있던 것은, 이들 간의 접촉 부분에 대해서 회전축(6)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부하가 가해져서, 이 부분이 손상되고 만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 엔진 브레이커(A)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5)의 출력축과 회전축(6) 사이에, 플렉시블 커플링(9A)이 장착되어 있다. 또, 플렉시블 커플링이란, 2개의 축을 연결시키고, 그들 사이에 회전력을 전달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들 2개의 축 중에서 적어도 한쪽이 그것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변동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커플링의 것을 말한다.
상기 엔진(5)은, 본 실시예에서는, 원심 클러치를 구비한 타입의 것으로, 엔진(5)의 출력축에는 회전축(6)으로 출력을 전달하는 출력 전달부(52)로서, 대략 원통형상의 클러치 드럼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플렉시블 커플링(9A)은, 회전축(6)과 교차하는 방향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클러치 드럼(출력 전달부)(52)과 회전축(6)사이에, 탄성체에 의해 형성된 진동 흡수부재(91A)를 장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플렉시블 커플링(9A)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 흡수부재로서 대략 원통형의 진동 흡수부재(91A)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 진동 흡수부재(91A)가 회전축(6)의 단부에 끼워지고, 또 진동 흡수부재(91A)의 단면이 상기 클러치 드럼(52)에 대해서 접촉하도록 고정되어 있는 플렉시블 커플링(9A)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 플렉시블 커플링(9A)에서는, 회전축(6)의 단부에 허브(62)가 장착되어 있고, 진동 흡수부재(91A)는, 허브(62)에 끼워져 있다. 이 진동 흡수부재(91A)는, 반경방향으로 삽입 관통된 제 1나사(92a)를 허브(62)에 나사결합함으로써, 허브(62)에 고정되어 있어, 회전축(6)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또 회전축(6)의 둘레를 회전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한편, 클러치 드럼(52)에 있어의 회전축(6)측의 단면은, 두께부(52a)로 되어 있고, 진동 흡수부재(91A)는, 그 단면이 두께부(52a)에 접촉하고 있다. 이 진동 흡수부재(91A)는, 축방향으로 삽입 관통된 제 2나사(92b)를 두께부(52a)에 나사결합함으로써, 클러치 드럼(52)에 고정되어 있으며, 클러치 드럼(52)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축(6)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진동 흡수부재(91A)는, 상기 허브(62) 및 두께부(52a)에 고정된 상태에서, 허브(62)와 두께부(52a)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그 두께가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플렉시블 커플링(9A)에 있어서는, 클러치 드럼(52)(두께부(52a))과 회전축(6)(허브(62))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진동 흡수부재(91A)를 개재하여 접속하게 되므로, 회전축(6)이 클러치 드럼(52)에 대해서 변위되었을 때에는, 진동 흡수부재(91A)가 탄성변형함으로써, 접속부분에 대해서 회전축(6)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걸리는 부하가 경감된다. 또, 메인터넌스 등의 시에는, 상기 제 1나사(92a) 및 제 2나사(92b)를 풀어냄으로써, 엔진(5)과 회전축(6)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 진동 흡수부재(91A)에 있어서, 상기 제 1나사(92a) 및 제 2나사(92b)와 대응하는 부분을,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블록으로 함으로써, 진동 흡수부재(91A)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플렉시블 커플링(9A)으로서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플렉시블 커플링(9B)을 채용해도 된다. 이 플렉시블 커플링(9B)에서는, 클러치 드럼(52)에 있어서의 회전축(6)측의 단부가 보스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 보스형상 단부(53)의 내주면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 1돌기(53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엔진 장착판(7a)에는, 베어링(54)이 나사(55)에 의해서 장착되어 있으며, 이 베어링(54)의 내주면에 상기 보스형상부(53)의 외주면이 끼워넣어져 있다. 회전축(6)의 단부에는, 회전축(6)에 끼워지는 커플러(63)가 장착되어 있고, 이 커플러(63)에는 상기 각 제 1돌기(53a)와 대응하도록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 2돌기(6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커플러(63)는, 클러치 드럼(52)에 대해서, 각 제 2돌기(63a)가 상기 보스형상 단부(53)내에 수용되고, 또 각 제 2돌기(63a)가 상기 각 제 1돌기(53a)사이에 위치하도록 조립된다. 또, 이 커플러(63)는, 각 제 2돌기(63a)가 형성된 부분의 외경이, 보스형상 단부(53)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플렉시블 커플링(9B)에서 사용되는 진동 흡수부재(91A)는, 대략 원주형상의 코어부(93b)와, 이 코어부(93b)의 원주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의 나선형상의 진동 흡수부(93a)를 갖고 있으며, 커플러(63)를 클러치 드럼(52)에 조립할 때에 상기 보스형상 단부(53)내에 배치된다. 이때, 각 진동 흡수부(93a)는, 보스형상 단부(53)의 각 제 1돌기(53a)의 측면과, 커플러(63)의 각 제 2돌기(63a)의 측면 사이에 배치된다. 이 진동 흡수부재(91B)는, 커플러(63)의 각 제 2돌기(63a)의 선단이 클러치 드럼(52)의 보스형상 단부(53)의 저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두께가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플렉시블 커플링(9B)에서는, 회전축(6)(커플러(63))이 클러치 드럼(52)(보스형상 단부(53))에 대해서 변위되었을 때에는, 각 제 1돌기(53a)와 제 2돌기(63a) 사이에서, 진동 흡수부재(91B)의 진동 흡수부(93a)가 탄성 변위됨으로써, 접속 부분에 대해서 회전축(6)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걸리는 부하가 경감된다. 또, 보스형상 단부(53)와 커플러(63)는 기계적인 수단에 의해 접속되어 있지 않으므로, 엔진(5)의 출력축(클러치 드럼(52))과 회전축(6)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엔진 브레이커(A)를 사용하여,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등의 경질 고형물(G)을 파쇄할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업체(2)의 선단을 경질 고형물(G)에 대고서 엔진의 회전수를 높인다. 엔진(5)이 아이들링 상태로부터 소정의 회전수 이상에 도달하면, 원심 클러치에 의해 상기 클러치 드럼(52)이 회전하고, 상기 플렉시블 커플링(9A)에 접속된 회전축(6)이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클러치 기구(4)의 크랭크판(41)이 회전하여, 가동 실린더(31)가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된다. 가동 실린더(31)가 하사점으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하부 공압실(36)은 자유 피스톤(32)의 관성 지연에 의해서 압축된다. 이 상황은, 가동 실린더(31)가 상사점에 가까워질 때까지 계속되며, 다음 순단 자유 피스톤(32)은, 하부 공압실(36)의 팽장력에 의해서 상방으로 고속 이동한다. 그리고, 가동 실린더(31)가 상사점을 통과하여 하강하기 시작할 즈음에, 상방으로 고속 이동하는 자유 피스톤(32)의 운동 에너지와, 크랭크 기구(4)가 가동 실린더(31)를 눌러 내리려고 하는 힘에 의해서 상부 공압실(35)이 최대한으로 압축된다. 그리고, 다음 순간, 자유 피스톤(32)은 상부 공압실(35)의 강하고 큰 팽장력에 의해 하방을 향해서 급가속된다. 그리고, 이 자유 피스톤(32)의 속도가 최고속이 되었을 때, 상기 타격봉(33)이 작업체(2)의 상단면을 강렬한 힘으로 타격한다. 이와 같은 동작이 반복됨으로써, 경질 고형물(G)은, 작업체(2)로부터 연속적으로 타격력을 받아서, 파쇄되어 간다.
상기와 같이 하여, 경질 고형물(G)이 파쇄될 때에는, 자유 피스톤(32)이 급가속될 때의 반동이나, 타격봉(33)이 작업체(2)의 상단부를 타격할 때의 충격 등에 의해, 상기 본체(1)가 상하로 급격하게 진동하게 되지만, 엔진(5)은, 그 하우징(5a)이 본체(1)에 대해서 탄성부재(8)를 개재하여 지지되어 있으므로, 본체(1)의 진동은 탄성부재(8)에 의해 흡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부재(8)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5)의 하우징(5a)의 측면측 및 하면측과, 본체(1)의 크랭크 케이스(12)의 측면 및 엔진 브라켓(7b) 사이에 있어서, 복수의 탄성소편으로 끼워져 있고, 엔진(5)은 본체(1)에 대해서 떠있는 바와 같은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그로 인해, 본체(1)가 진동했을 때에는, 각 탄성부재(8)가 순간적으로 탄성 변형되어 이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엔진(5)의 하우징(5a)에 있어서의 본체(1)에 인접하는 부분이 변형되거나, 엔진(5) 자체가 진동하여 하우징 내외에 설치된 여러 가지 엔진 구성부재 간의 위치 관계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5)이 부조를 가져오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엔진(5)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시장에 많이 출회되고 있는 예불기용 엔진이나 펌프용 엔진 등, 하우징의 두께가 비교적 얇은 소형의 범용 엔진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 각 탄성부재(8)가 본체(1)의 진동을 흡수할 때에 탄성 변형되었을 때에는, 본체(1)내의 회전축(6)이 엔진(5)의 클러치 드럼(52)에 대해서 변위되어, 회전축(6)과 클러치 드럼(52)간의 접속부분에 대해서 회전축(6)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부하가 걸리면, 회전축(6)과 클러치 드럼(52) 간에는, 상기와 같은 플렉시블 커플링(9A)이 끼워져 있으므로, 회전축(6)과 클러치 드럼(52) 간의 접속부분에 걸리는 부하를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접속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엔진 브레이커(A)를 내진성이 부여된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 내에서의 모든 설계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6)

  1.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상하 방향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작업체와, 출력축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에 탑재된 엔진과, 상기 본체에 내장되고, 상기 엔진의 회전 출력이 전달되는 수평방향의 회전축의 회전을 개재하여 상기 작업체의 상단부를 연속적으로 타격하는 타격수단을 구비한 엔진 브레이커로서,
    상기 엔진은, 그의 하우징이 상기 본체에 대해서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지지되어 있고, 또 그의 출력축과 상기 회전축의 사이에는, 상기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플렉시블 커플링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브레이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하우징은, 그의 측면측 및 하면측이 각각, 상기 본체의 측면, 및 상기 본체의 측면에 세워진 엔진 브라켓에 대해서, 상기 탄성부재로서 탄성체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탄성소편(小片)을 개재하여 지지되어 있는 엔진 브레이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커플링은, 상기 엔진의 출력축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축으로 출력을 전달하는 출력 전달부와, 상기 회전축의 사이에, 탄성체에 의해 형성되는 진동 흡수부재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엔진 브레이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흡수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단부(端部)에 끼워져 있고, 또 그 단면(端面)이 상기 출력 전달부에 대해서 접촉하도록 고정되어 있는 엔진 브레이커.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측면과 상기 본체의 측면 사이에는, 상기 엔진을 상기 본체에 장착하기 위한 엔진 장착판에 구비되는 베어링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출력 전달부의 단부는 보스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내주면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 1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베어링에 끼워 넣어져 있고,
    상기 회전축의 단부는, 상기 각 제 1돌기와 대응하도록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제 2돌기를 갖고 있으며, 이들 복수의 제 2돌기가 상기 출력 전달부의 보스 형상 단부 내에서 상기 각 제 1돌기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진동 흡수부재는, 상기 출력 전달부의 보스형상 단부(端部) 내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각 제 1돌기의 측면과 상기 각 제 2돌기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진동 흡수부를 갖고 있는 엔진 브레이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작동하는 크랭크 기구와, 이 크랭크 기구의 작동에 의해 상하 방향 왕복 이동하는 해머부를 갖고 있는 엔진 브레이커.
KR10-2004-7006947A 2001-11-09 2002-11-08 엔진 브레이커 KR1005387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44728A JP2003145446A (ja) 2001-11-09 2001-11-09 エンジンブレーカ
JPJP-P-2001-00344728 2001-11-09
PCT/JP2002/011705 WO2003039815A1 (fr) 2001-11-09 2002-11-08 Frein mot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3927A KR20040063927A (ko) 2004-07-14
KR100538764B1 true KR100538764B1 (ko) 2005-12-26

Family

ID=19158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6947A KR100538764B1 (ko) 2001-11-09 2002-11-08 엔진 브레이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24840B2 (ko)
EP (1) EP1454718A4 (ko)
JP (1) JP2003145446A (ko)
KR (1) KR100538764B1 (ko)
CN (1) CN100354073C (ko)
TW (1) TW200300103A (ko)
WO (1) WO20030398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16001A1 (en) * 2003-06-24 2005-01-2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Drive mechanism and power tool
JP4525904B2 (ja) * 2004-06-08 2010-08-18 日立工機株式会社 打撃工具
US9851930B2 (en) 2013-03-28 2017-12-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lease codes with print job identifiers and directives
KR101606769B1 (ko) * 2014-01-27 2016-03-28 최지현 쇄빙장치
CN103909499B (zh) * 2014-03-18 2016-06-29 永康市嘉宏工具制造有限公司 汽油机破碎镐
JP6345045B2 (ja) * 2014-09-05 2018-06-20 株式会社マキタ 打撃工具
EP3314059A4 (en) * 2015-06-29 2019-03-27 Terminator IP Limited IMPACT ABSORBING TOOL FITTING
CN108221627B (zh) * 2016-05-16 2020-06-02 陆可 一种机器人
WO2017199823A1 (ja) * 2016-05-18 2017-11-23 株式会社マキタ 打撃工具
CN108166367B (zh) * 2016-05-31 2021-07-09 泉州泉港灿鹏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破碎锤
WO2018069584A1 (fr) * 2017-03-28 2018-04-19 Maurice Granger Mecanisme oscillatoire a centrifugations croisées simultanées, machine et procédé de mise en oeuvre
CN213259295U (zh) 2017-10-20 2021-05-25 米沃奇电动工具公司 用于通过凿子在工件上执行开凿操作的冲击工具
US11059155B2 (en) 2018-01-26 2021-07-13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ercussion tool
KR102309220B1 (ko) * 2020-11-16 2021-10-07 (주)비엠티 무진동 브레이커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1948A (en) * 1914-11-09 1916-07-25 Charles B Coates Power-hammer.
GB866645A (en) * 1957-12-12 1961-04-26 Wacker Hermann Improvements in hand-guidable motor-driven implements
US3224473A (en) * 1962-04-03 1965-12-21 Dobbertin Gunther Hein Wilhelm Portable engine-driven chain saws
US3525373A (en) * 1966-12-10 1970-08-25 Kyoritsu Noki Co Ltd Chain saw
SE319134B (ko) * 1968-05-08 1969-12-22 Atlas Copco Ab
GB1254437A (en) * 1968-11-28 1971-11-24 Sakuji Yamada Percussion tool
US3559751A (en) * 1969-01-16 1971-02-02 Sakuji Yamada Percussion device
DE1952066A1 (de) * 1969-10-16 1971-06-09 Stihl Maschf Andreas Haltevorrichtung fuer Motorsaegen
US3698455A (en) * 1970-06-26 1972-10-17 Mcculloch Corp Vibration isolation and bumper system
US3785465A (en) * 1972-02-22 1974-01-15 R Johansson Centrifugal clutches in series with brake
US4014392A (en) * 1973-03-01 1977-03-29 Ross Frederick W Stabilized piston-cylinder impact device
FI53034C (ko) * 1973-04-26 1978-01-10 Keksintoesaeaetioe
US3889763A (en) * 1973-10-31 1975-06-17 Skil Corp Vibration isolation handle for portable chain saw or the like
US4010544A (en) * 1975-03-21 1977-03-08 Textron, Inc. Vibration reducing system for single cylinder fluid pressure engine
US3972119A (en) * 1975-08-25 1976-08-03 Mcculloch Corporation Chain saw with a bifurcated diaphragm means providing a coaxial vibration-isolating unit
US4141143A (en) * 1977-10-26 1979-02-27 Mcculloch Corporation Chain saw handle and vibration isolation system
US4285405A (en) * 1979-12-26 1981-08-25 Weir Jr Casper J Oscillator for reciprocating tool or other device
JPS56156927U (ko) * 1980-04-23 1981-11-24
JPS56156927A (en) 1980-05-01 1981-12-03 Ricoh Co Ltd Heat-sensitive record-type magnetic ticket sheet
SE443940B (sv) * 1982-09-22 1986-03-17 Atlas Copco Ab Slagverktyg drivet av utbytbar motordel
DE3447401A1 (de) * 1984-12-24 1986-07-03 Wacker-Werke Gmbh & Co Kg, 8077 Reichertshofen Hammer mit schutzhaube
US4634391A (en) * 1985-06-27 1987-01-06 Brunswick Corporation Engine coupler for stern drive
JPS6227226A (ja) 1985-07-30 1987-02-05 オイ・ヴエルトシレ・エ−ビ− 真空輸送装置
GB2230728B (en) * 1989-04-17 1992-10-21 Kioritz Corp Engine hammer
JP3563182B2 (ja) * 1995-11-13 2004-09-08 丸善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式ブレーカ
JPH10266867A (ja) * 1997-03-19 1998-10-06 Kioritz Corp 携帯式動力作業機
JPH11188663A (ja) * 1997-12-22 1999-07-13 Ryobi Ltd 動力工具の防振装置
US6026909A (en) * 1998-10-30 2000-02-22 Techtronic Industries Co., Ltd. Power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16744A1 (en) 2005-01-27
CN100354073C (zh) 2007-12-12
US7124840B2 (en) 2006-10-24
TW200300103A (en) 2003-05-16
WO2003039815A1 (fr) 2003-05-15
EP1454718A4 (en) 2009-06-17
CN1582216A (zh) 2005-02-16
EP1454718A1 (en) 2004-09-08
JP2003145446A (ja) 2003-05-20
KR20040063927A (ko) 2004-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8764B1 (ko) 엔진 브레이커
EP1439038B1 (en) Electric hammer
RU2510326C2 (ru) Ударный инструмент
EP2138278A1 (en) Handle for a power tool
JP4793755B2 (ja) 電動工具
RU2482957C2 (ru) Ручная машина
KR920004683B1 (ko) 회전식 충격장치
RU2531221C2 (ru) Инструмент ударного действия
US20110180285A1 (en) Implement having an overrunning clutch
JP2002283254A (ja) 衝撃工具
EP1980371B1 (en) Impact tool
JPH0616992B2 (ja) 衝撃工具
WO2015133198A1 (ja) 打撃工具
JPH0141575Y2 (ko)
JP2003245871A (ja) 打撃工具
JP4341602B2 (ja) 衝撃工具
KR880000194B1 (ko) 파쇄기
JPH071260Y2 (ja) 打撃工具
JP2022049035A (ja) 作業機
JP2017013173A (ja) 動力作業機
JP3828404B2 (ja) 打撃工具
JP4178900B2 (ja) 衝撃工具
JPS629019Y2 (ko)
JP3479243B2 (ja) 連続衝撃作業機
JPS62107986A (ja) ブレ−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