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5648B1 - 인간형 작업로봇의 팔형체구조 - Google Patents

인간형 작업로봇의 팔형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5648B1
KR100525648B1 KR10-2000-7007050A KR20007007050A KR100525648B1 KR 100525648 B1 KR100525648 B1 KR 100525648B1 KR 20007007050 A KR20007007050 A KR 20007007050A KR 100525648 B1 KR100525648 B1 KR 100525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axis
shoulder
elbow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7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3542A (ko
Inventor
다케나카도오루
가와이다카유키
하세가와다다아키
마츠모토다카시
고미히로시
다카하시히데아키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33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3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6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ulti-articulate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7/00Joints
    • B25J17/02Wrist joints
    • B25J17/0241One-dimensional joints
    • B25J17/025One-dimensional joints mounted in s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207Multiple controlling elements for single controlled element
    • Y10T74/20305Robotic arm
    • Y10T74/20329Joint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 Toys (AREA)

Abstract

인간형 작업로봇의 팔형체에 의한 통상적인 작업시에 어깨관절의 특이점상태가 발생하는 것을 극력 배제하여, 팔형체의 원활한 동작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인간형 작업로봇의 팔형체구조이다. 어깨관절(5)을 구성하는 제 1 관절(11)의 제 1 축(10)과 제 3 관절(15)의 제 3 축(14)이 동일축으로 되는 어깨관절(5)의 특이점상태에서 어깨관절(5)을 동작시킴과 동시에 팔꿈치관절(6)을 동체(1)의 측방에 위치시킨 상태로, 팔꿈치관절(6)이 어깨관절(5)의 제1 내지 제 3 관절(11, 13, 15)의 각 축(10, 12, 14)의 교차점을 통과하는 수평면(S)보다도 상방에 존재하도록, 어깨관절(5)의 제 1 관절 내지 제 3 관절(11, 13, 15)의 위치 및 자세, 및 제 3 관절(15)에 대한 팔꿈치관절(6)의 위치를 설정한다.

Description

인간형 작업로봇의 팔형체구조{ARM STRUCTURE FOR MAN TYPE WORKING ROBOTS}
본 발명은 인간형 작업로봇의 팔형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인간과 마찬가지로 동체의 양측에 팔형체를 갖는 인간형 로봇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팔형체의 관절구조를 채용한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 인간형 로봇의 각 팔형체(A)는, 어깨관절(a), 팔꿈치관절(b), 및 손목관절(c)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어깨관절(a)은, 동체(胴體)(B)의 상부의 측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뻗어설치된 제 1 축(d)의 주위에 회전자유로이 동체(B)에 연결된 제 1 관절(e)과, 제 1 축(d)과 직교하는 제 2 축(f)(도 7의 지면에 수직인 축)의 주위에 회전자유로이 제 1 관절(e)에 연결된 제 2 관절(g)과, 제 2 축(f)과 직교하는 제 3 축(h)의 주위에 회전자유로이 제 2 관절(g)에 연결된 제 3 관절(i)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 1 내지 제 3 관절(e, g, i)은, 그 임의의 동작위치(회전위치)에 있어서 각각의 회전축심인 제 1 내지 제 3축(d, f, h)이 일점에서 교차하도록 한 위치관계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팔꿈치관절(b)은, 제 4 축(j)(도 7에서는 지면에 수직한 축)의 주위에 회전자유로이 어깨관절(a)의 제 3 관절(i)에 상완부(上腕部)(k)를 통하여 연결된 제 4 관절(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손목관절(c)은, 제 5 내지 제 7축( m, n, o)(도시의 상태에서는 이들 축(m, n, o)은 서로 직교하고 있다)의 주위에 각각 회전자유로운 제 5 내지 제 7 관절(p, q, r)을 순차, 팔꿈치관절(b)로부터 연결해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손목관절(c)의 선단에 손끝부(s)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팔형체(A)의 구조에 의해, 이 팔형체의 어깨관절(a), 팔꿈치관절(b), 및 손목관절(c)은 인간의 팔과 대략 동일한 동작이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7의 로봇에서는, 팔꿈치관절(b)은 어깨관절(a)의 제 3 관절(i)의 제 3 축(h)의 축심상에 배치되어 있는데, 팔꿈치관절(b)을 제 3 관절의 제 3 축의 축심상으로부터 직경방향으로 이격시킨 위치에서 이 제 3 관절에 연결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의 로봇의 팔형체(A)에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깨관절(a)의 제 1 관절(e)의 제 1 축(d)과 제 3 관절(i)의 제 3 축(h)이 동일축으로 되는 상태가 있고, 이와 같은 상태는, 일반적으로 어깨관절(a)의 특이점(特異點)상태(혹은 특이점자세)라고 말한다. 더욱이 이 특이점상태는, 제 1 관절(e) 혹은 제 3 관절(i)의 회전위치에 의하지 않고, 제 1 관절(e)의 제 1 축(d)과 제 3 관절(i)의 제 3 축(h)이 동일축으로 되는 상태를 가리키는 것이고, 이것은, 팔꿈치관절을 제 3 관절의 제 3 축의 축심상에서 직경방향으로 이격한 위치에서 이 제 3 관절에 연결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특이점상태에서는, 어깨관절(a)은 제 1 관절(e) 혹은 제 3 관절(i)에 의한 제 1 축(d)(=제 3 축(h)) 주위의 회전동작과, 제 2 관절(g)에 의한 제 2 축(f) 주위의 회전동작 밖에는 행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어깨관절(a)의 제 3 관절(i)에 연결되어 있는 팔꿈치관절(b)의 자세의 자유도가 적게 되어 팔형체(A)의 동작성이 나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8의 특이점상태에 있어서, 팔꿈치관절(b)의 제 4 축(j)의 방향을 연직축 주위로 약간 변경하고자 한 경우라도, 이와 같은 약간의 움직임을 팔꿈치관절(b)에게 행하게 하기 위해서는, 어깨관절(a)의 제 1 관절(e) 및 제 3 관절(i)을 각각 제 1 축(d) 및 제 3 축(h)의 주위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90도씩 회전시킨 후에, 제 2 관절(g)을 제 2 축(f)의 주위로 약간 회전시키는 어깨관절(a)의 동작을 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 같이 어깨관절(a)의 특이점상태에서는, 팔꿈치관절(b)의 약간의 위치 혹은 자세변화에 대하여 어깨관절(a)의 큰 동작을 요하는 사태가 생기고 말아, 팔꿈치관절(b)의 원하는 위치 혹은 자세로의 변경의 유연성이나 신속성을 잃게 된다.
또한, 어깨관절(a)의 특이점상태 이외의 상태(비특이점상태)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며, 예를 들면 도 7의 상태에서는, 팔꿈치관절(b)의 제 4 축 (j)의 방향의 임의의 방향으로의 약간의 변경은 제 1 관절(e) 혹은 제 3 관절(i), 혹은 그 양자의 약간의 회전동작에 의해 행할 수 있다.
한편, 본원 발명자등의 식견에 의하면, 이 종류의 인간형 로봇의 팔형체(A)에 의한 작업에 있어서는, 통상, 팔꿈치관절(b)을 어깨관절(a)의 중심, 즉 상기 제 1 내지 제 3 관절(e, g, i)의 각 축(d, f, h)의 교점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시키고, 혹은 그것보다도 낮춘 상태로 각종 작업이 행해진다. 특히, 인간의 팔의 동작과 동일한 동작을 로봇의 팔형체가 행하게 하는 마스터슬레이브방식의 인간형 로봇에서는, 인간의 팔에 의한 작업성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경향이 크다.
그런데, 종래의 인간형 로봇에서는, 상기와 같은 실제의 작업시에 있어서의 팔형체(A)의 팔꿈치관절(b)의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서, 어깨관절(a)의 제 1 내지 제 3 관절의 레이아웃이나 자세가 설계되어 있었기 때문에, 인간형 로봇의 작업시에 통상적으로 팔꿈치관절(b)이 동작할 수 있는 위치에서, 어깨관절(a)의 상기 특이점상태가 발생하게 되고 만다. 예를 들면 도 7의 인간형 로봇에서는, 팔꿈치관절(b)을 어깨관절(a)의 중심과 동일 높이로 동체(B)의 측방으로 뻗은 상태가 특이점상태로 되는데, 이와 같은 팔꿈치관절(b)의 위치상태는, 작업시에 통상적으로 생길 수 있는 상태이다. 이 때문에, 종래의 인간형 로봇에서는, 그 팔형체(A)에 의한 통상적인 작업시에 있어서 어깨관절(a)의 특이점상태가 발생되기 쉽고, 그 결과, 통상적인 작업시의 팔형체(A)의 동작성을 잃게 되기 쉬운 것으로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을 감안하여, 인간형 로봇의 팔형체에 의한 통상적인 작업시에 어깨관절의 특이점상태가 발생하는 것을 극력 배제하고, 팔형체의 원활한 동작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인간형 로봇의 팔형체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를 적용한 인간형 로봇의 모식적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로봇의 주요부의 동작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인간형 로봇의 주요부의 모식적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형태를 적용한 인간형 로봇의 주요부의 모식적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인간형 로봇의 주요부의 모식적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형태를 적용한 인간형 로봇의 주요부의 모식적 정면도,
도 7은 종래의 인간형 로봇의 모식적 정면도, 및
도 8은 도 7의 로봇의 주요부의 동작설명도.
본 발명의 인간형 로봇의 팔형체구조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1 축의 주위를 회전자유로이 동체에 연결된 제 1 관절과, 이 제 1축과 교차하는 제 2 축의 주위를 회전자유로이 상기 제 1 관절에 연결된 제 2 관절과, 이 제 2 축과 교차하는 제 3 축의 주위를 회전자유로이 상기 제 2 관절에 연결된 제 3 관절로 이루어지고, 또한 제 1 내지 제 3 관절의 각 축이 일점에서 교차하도록 설치된 어깨관절과, 이 어깨관절의 제 3 관절에 연결된 팔꿈치관절을 구비한 인간형 작업로봇의 팔형체구조에 있어서, 상기 어깨관절을 구성하는 상기 제 1 관절의 제 1 축과 상기 제 3 관절의 제 3 축이 동일축으로 되는 이 어깨관절의 특이점상태에서 이 어깨관절을 동작시킴과 동시에 상기 팔꿈치관절을 상기 동체의 측방으로 위치시킨 상태로, 이 팔꿈치관절이 상기 제 1 내지 제 3 관절의 각 축의 교차점을 통과하는 수평면보다도 상방에 존재하도록, 상기 어깨관절의 제 1 관절 내지 제 3 관절의 위치 및 자세, 및 이 제 3 관절에 대한 상기 팔꿈치관절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인간형 로봇의 팔형체에 의한 작업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상기 팔꿈치관절을 상기 동체의 측방쪽에 위치시키고,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3 관절의 각 축의 교차점, 즉 어깨관절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면보다도 상측에 이 팔꿈치관절을 위치시킨 상태로 작업이 행해지는 일은 거의 없다. 따라서, 상기 어깨관절을 상기 특이점상태에서 동작시킴과 동시에 상기 팔꿈치관절을 상기 동체의 측방으로 위치시킨 상태로, 이 팔꿈치관절이 상기 제 1 내지 제 3 관절의 각 축의 교차점을 통과하는 수평면보다도 상방에 존재하도록, 상기 어깨관절의 제 1 관절 내지 제 3 관절의 위치 및 자세, 및 이 제 3 관절에 대한 상기 팔꿈치관절의 위치를 설정해 놓으므로써, 인간형 로봇의 팔형체에 의한 실제의 작업시에 이 팔형체의 팔꿈치관절을 통상적으로 동작시키는 이 팔꿈치관절의 위치에서, 어깨관절의 특이점상태가 생기는 사태를 배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인간형 로봇의 팔형체에 의한 통상적인 작업시에 어깨관절의 특이점상태가 발생하는 것을 극력 배제하고, 팔형체의 원활한 동작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팔꿈치관절을, 상기 제 3 관절의 제 3 축의 축심상에서 이 제 3 관절에 연결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상기 어깨관절은, 그 제 1 관절이 상기 제 1 축을 상기 동체로부터 이 동체의 측방 쪽에서 경사지게 상방을 향한 자세로 이 동체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 2 관절 및 제 3 관절이 이 어깨관절의 상기 특이점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절로부터 팔꿈치관절을 향해서 순번으로 상기 제 1 축의 축심상에 나란히 서도록 각각 제 1 관절 및 제 2 관절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어깨관절의 특이점상태에서는, 상기 팔꿈치관절은, 동체의 측방 쪽에서 상기 수평면보다도 상방에 존재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팔꿈치관절을, 상기 제 3 관절의 제 3 축의 축심으로부터 이격한 위치에서 이 제 3 관절에 연결한 경우에는, 상기 어깨관절의 제 1 내지 제 3 관절의 위치 및 자세는, 상기 어깨관절을 상기 특이점상태에서 동작시킴과 동시에, 상기 팔꿈치관절을 상기 동체의 측방 쪽의 임의의 위치에 상기 제 3 축의 주위로 회전시킨 상태로, 이 팔꿈치관절이 상기 수평면보다도 상방에 존재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상기 팔꿈치관절을, 상기 제 3 관절의 제 3 축의 축심에서 직경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이 제 3 관절에 연결한 경우에는, 상기 특이점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절 혹은 제 3 관절을 각각 상기 제 1 축, 제 3 축(이들은 특이점상태에서는 동일축이다)의 주위를 회전시키므로써, 상기 팔꿈치관절의 위치는, 이 팔꿈치관절과 제 1 및 제 3 축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주상을 이동하고, 이 팔꿈치관절의 어느 회전위치에서도 어깨관절의 특이점상태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기 어깨관절을 상기 특이점상태에서 동작시킴과 동시에 상기 팔꿈치관절을 상기 동체의 측방 쪽의 임의의 위치에 상기 제 3 축의 주위를 회전시킨 상태로, 이 팔꿈치관절이 상기 수평면보다도 상방으로 존재하도록 상기 어깨관절의 제 1 관절 내지 제 3 관절의 위치 및 자세를 설정해 놓으므로써, 인간형 로봇의 팔형체에 의한 통상적인 작업시에 어깨관절의 특이점상태가 발생하는 것을 극력 배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팔형체구조를 구비한 인간형 로봇의 모식적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인간형 로봇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 인간형 로봇은, 동체(1)와, 동체(1)의 상면부에 부착된 헤드부(2)와, 동체(1)의 상부의 양측부로부터 뻗어설치된 좌우 한쌍의 팔형체(3, 3)와, 동체(1)의 하단부로부터 뻗어설치된 좌우 한쌍의 다리형체(4, 4)를 구비하여 인간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팔형체(3, 3)는 좌우가 동일구조로 되고, 또, 다리형체(4, 4)도 좌우가 동일구조로 되어 있다.
각 팔형체(3)는, 동체(1)로부터 어깨관절(5), 팔꿈치관절(6), 손목관절(7), 및 손끝부(9)를 순차 연속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어깨관절(5)은, 동체(1)로부터 그 측방 쪽으로 경사지게 상방을 향해서 뻗어있는 제 1 축(10)의 주위를 회전자유로이 동체(1)에 연결된 제 1 관절(11)과, 제 1 축(10)과 직교하여 뻗어 있는 제 2 축(12)의 주위를 회전자유로이 제 1 관절(11)에 연결된 제 2 관절(13)과, 제 2 축(12)과 직교하여 뻗어있는 제 3 축(14)의 주위를 회전자유로이 제 2 관절(13)에 연결된 제 3 관절(1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상태에 있어서, 제 2 축(12)은, 전후방향(도 1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뻗어있고, 제 3축(14)은, 상하방향으로 뻗어 있다. 또 제 1 내지 제 3 관절(11, 13, 15)은, 그들의 임의의 회전상태에서, 그들 각 축(10, 12, 14)이 제 2 축(12) 위의 일점에서 교차하게 되는 위치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팔꿈치관절(6)은 상기 제 3 축(14)의 축심상에서 제 3 관절(15)에 상완부(16)를 통하여 연결된 제 4 관절에 의해 구성되고, 이 제 4 관절(6)(=팔꿈치관절(6))은, 제 3 축(14)과 직교하는 제 4 축(17)(도면의 상태에서는 전후방향으로 뻗어있는 축)의 주위를 회전자유로이 되어 있다.
손목관절(7)은, 제 4 축(17)과 직교하는 방향(도면의 상태에서는 상하방향)으로 뻗어있는 제 5 축(18)의 주위를 회전자유로이 제 4 관절(6)(팔꿈치관절(6))에 연결된 제 5 관절(19)과, 제 5 축(18)과 직교하는 방향(도면의 상태에서는 전후방향)으로 뻗어있는 제 6 축(20)의 주위를 회전자유로이 제 5 관절(19)에 연결된 제 6 관절(21)과, 제 6 축(20)과 직교하는 방향(도면의 상태에서는 좌우방향)으로 뻗어있는 제 7 축(22)의 주위를 회전자유로이 제 6 관절(21)에 연결된 제 7 관절(23)에 의해 구성되고, 이 제 7관절(23)에 손끝부(9)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7의 각 관절(11, 13, 15, 6, 19, 21, 23)은, 각각 모터 등의 로터리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성된 것으로, 그들은 소요작업을 할 때에, 도시하지 않은 로봇 조정장치(예를 들면 마스터장치)로부터의 지령, 혹은 미리 정해진 티칭데이터 등에 근거하여 동작한다. 이 경우, 각 관절(11, 13, 15, 6, 19, 21, 23)은, 로터리 액추에이터에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실린더 등의 직동형(直動型) 액추에이터에 의해 각각의 축(10, 12, 14, 17, 18, 20, 22)의 주위를 회전하게 하는 구조를 채용해도 좋다.
이상과 같은 어깨관절(5), 팔꿈치관절(6) 및 손목관절(7)의 구조에 의해, 어깨관절(5)은, 후술하는 특이점상태를 제외하고 3축 회전의 회전동작을 행할 수 있고, 또, 팔꿈치관절(6) 및 손목관절(7)은 각각 1축 회전, 3축 회전의 회전동작을 행할 수 있다.그리고 이들 회전동작에 의해, 각 팔형체(3)는, 인간의 팔과 동일한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다리형체(4)는, 동체(1)측으로부터 다리가랑이관절(24), 무릎관절 (25), 발목관절(26), 및 발바닥부(27)를 순차 연접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는데, 다리가랑이관절(24)은 전후, 좌우 및 상하방향의 3축 회전의 회전동작, 무릎관절(25)은 좌우방향의 1축 회전의 회전동작, 발목관절(26)은 전후 및 좌우방향의 2축 회전의 회전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각 팔형체(3)에 있어서는, 도 1의 상태로부터 어깨관절(5)의 제 2 관절(13)을 제 2 축(12)의 주위를 반시계방향으로 각도Θ 만큼 회전운동시키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관절(11)의 제 1 축(10)과 제 3 관절(15)의 제 3 축(14)이 동일축으로 되어, 어깨관절(5)의 특이점상태가 생긴다. 이 특이점상태에서는, 예를 들면 팔꿈치관절(6)의 제 4 축(17)의 방향을 제 2 축(12) 및 제 3 축(14)을 포함하는 평면내에서 약간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 어깨관절(5)의 제 1 관절(11) 및 제 3 관절(15)을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후, 제 2 관절(13)을 회전시키지 않으면 안되고, 제 1 관절(11) 및 제 3 관절(15)의 큰 동작을 요한다.
한편, 상기 특이점상태에서는, 상술한 어깨관절(5)의 제 1 내지 제 3 관절(11, 13, 15)의 배치구성, 및 팔꿈치관절(6)의 제 3 관절(15)로의 연결구성에 의해, 제 1 내지 제 3 관절(11, 13, 15) 및 팔꿈치관절(6)은, 동체(1)로부터 그 측방 쪽으로 경사지게 상방을 향해서 뻗어있는 제 1 축(10)의 축심(=제 3 축(14)의 축심) 상에서, 순번으로 나란히 세운다. 이 때문데 상기 특이점상태에 있어서 팔꿈치관절(6)의 위치는, 동체(1)의 측방 쪽에서, 제 1 내지 제 3 관절(11, 13, 15)의 각축(10, 12, 14)의 교차점을 통과하는 수평면(S)의 상방에 존재한다.
다른 한편, 본 실시형태의 인간형 로봇의 팔형체(3)에 의한 작업은, 기본적으로는, 팔꿈치관절(6)을 상기 수평면(S) 이하의 높이에 위치시킨 상태로 행해진다. 이 때문에, 상기와 같이 팔꿈치관절(6)이 수평면(S)보다도 상방에 존재하게 하는 상태로 작업이 행해지는 일은 기본적으로는 없다. 따라서 상기 어깨관절(5)의 특이점상태는, 팔형체(3)에 의한 작업중에 생기는 일은 없고, 바꿔 말하면 작업중에 있어서 어깨관절(5)의 동작상태는, 비특이상태이다. 그 결과, 팔형체(3)의 원활한 동작성을 확보하면서 이 팔형체(3)에 의한 작업을 원활히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이론상은, 도 2의 팔형체(3)의 상태로부터, 제 2 관절(13)을 제 2 축(12)의 주위를 180도 회전시킨 상태도 특이점상태이다. 그런데 , 실제로는, 이와 같은 상태는 팔형체(3)와 동체(1)와의 간섭, 혹은 제 1 관절(11)과 제 3 관절(15)과의 간섭 등 때문에 생기는 일은 없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체(1)에 연결되는 제 1 관절(11)의 제 1 축(10)을 동체(1)로부터 그 바로 옆방향에서 상방향으로 향해서 뻗어있도록 했는데,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축(10)을 로봇의 전후방향에서 약간 경사지도록 해도 좋다(도 3에서는 제 1 축(10)을 로봇의 후방측에 약간 경사지게 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인간형 로봇의 주요부의 모식적 정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인간형 로봇은,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제 1 실시형태의 것과, 어깨관절의 제 1 내지 제 3 관절의 배치구성, 및 팔꿈치관절의 제 3 관절에 대한 연결구성만이 상이한 것이므로, 각부의 구성에 관해서는 상기 제 1 실시의 것과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인간형 로봇에서는, 좌우의 각 팔형체(3)(도면에서는 로봇의 좌측의 팔형체(3)만을 도시한다)의 어깨관절(5)은, 상기 제 1의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게 제 1 내지 제 3 관절(11, 13, 15)을 동체(1)측으로부터 순번으로 연결해서 구성되어 있는데, 이 경우, 제 1 관절(11)은, 그 제 1 축(10)을 동체(1)로부터 연직방향 상방을 향해서 뻗어있게 한 자세로 동체(1)에 연결되어 있다.
또, 각 팔형체(3)의 팔꿈치관절(6)은, 제 3 관절(15)의 제 3 축(14)의 축심상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완부(16)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관절(11)의 제 1 축(10) 및 제 3 관절(15)의 제 3 축(14)이 동축으로 되는 어깨관절(5)의 특이점상태에서 어깨관절(5)을 동작시키고, 또한 팔꿈치관절(6)을 제 1 관절(11) 혹은 제 3 관절(15)의 회전동작에 의해 제 1 축(10)의 주위(=제 3 축(14)의 주위)를 회전시켜서 동체(1)의 측방쪽으로 위치시킨 상태로, 제 1 내지 제 3 관절(11, 13, 15)의 각 축(10, 12, 14)의 교점을 통과하는 수평면(S)보다도 상방으로 팔꿈치관절(6)이 존재하도록 제 3 관절(15)에 대한 팔꿈치관절(6)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어깨관절(5)을 그 특이점상태에서 동작시키고, 또한 팔꿈치관절(6)을 동체(1)의 측방 쪽에 위치시켰을 때, 상기 수평면(S)보다도 상방으로 팔꿈치관절(6)이 존재하도록 제 1 내지 제 3 관절(11, 13, 15)의 상호 위치관계(구체적으로는, 제 1 내지 제 3 관절(11, 13, 15)의 상호간격)가 설정되어 있다.
더욱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관절(11)의 제 1 축(10)은 연직방향으로 뻗어 있기 때문에, 도시하는 특이점상태에 있어서, 팔꿈치관절(6)을 제 1 축(10)의 주위(=제 3 축(14)의 주위)의 어느 위치로 회전시켜도, 팔꿈치관절(6)은 수평면(S)의 상방에 존재하는 것으로 된다.
이상 설명한 이외의 다른 구성은, 도 1 및 도 2의 로봇과 완전히 동일하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의 인간형 로봇에 있어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깨관절(5)을 그 특이점상태에서 동작시킨 경우에는, 예를 들면 팔꿈치관절(6)의 제 4 축(17)의 방향을 제 2 축(12) 및 제 3 축(14)에 수직인 방향 주위로 약간 변경하고자 할 때, 제 1 관절(11) 및 제 3 관절(15)을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후, 제 2 관절(13)을 회전시키지 않으면 안되며, 제 1 및 제 3 관절(11, 15)의 큰 동작을 요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어깨관절(5)의 특이점상태에 있어서는, 팔꿈치관절(6)을, 동체(1)의 측방 쪽을 포함하여, 제 1 축(10)의 주위(=제 3 축(14)의 주위)에 어느 위치로 회전시켜도, 상기 수평면(S)보다도 상방으로 팔꿈치관절(6)이 존재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팔꿈치관절(6)이 수평면(S)보다도 상방에 존재하게 한 상태로 팔형체(3)에 의한 작업이 행해지는 일은 기본적으로는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팔형체(3)에 의한 작업중에 있어서 어깨관절(5)의 동작상태는, 기본적으로는 항상 비특이상태로 되고, 그 결과, 팔형체(3)의 원활한 동작성을 확보하면서 이 팔형체(3)에 의한 작업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더욱,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관절(11)의 제 1 축(10)을 연직방향으로 뻗어있게 하여 설치했는데, 본 실시형태와 같이 어깨관절(5)의 특이점상태에 있어서, 팔꿈치관절(6)을 동체(1)의 측방 쪽을 포함하여, 제 1 축(10)의 주위(=제 3 축(14)의 주위)에 어느 위치로 회전시켜도, 상기 수평면(S)보다도 상방에 팔꿈치관절(6)이 존재하도록 함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관절(11)의 제 1 축(10)을 동체(1)의 내측 근처로 약간 경사지게 하거나, 혹은 이것과 반대로 제 1 축(10)을 동체(1)의 측방쪽으로 약간 경사지게 해도 좋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축(10)을 경사지게 한 경우에는, 어깨관절(5)의 특이점상태에 있어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팔꿈치관절(6)이 동체(1)의 측방쪽에 위치하는 상태로부터 동일도면의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팔꿈치관절(6)을 제 1 축(10)의 주위(=제 3 축(14)의 주위)에 180도 회전시킨 상태에서(단 도 5의 로봇에서는 실제상은, 팔형체(3)가 헤드부(2)에 간섭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상태는 생길 수 없다), 팔꿈치관절(6)의 높이가 가장 낮게 되는데, 이 상태에 있어서도, 이 팔꿈치관절(6)은 수평면(S)보다도 상방에 존재한다. 따라서 어깨관절(5)의 특이점상태에 있어서, 팔꿈치관절(6)을 제 1 축(10)의 주위(=제 3 축(14)의 주위)에 어느 위치로 회전시켜도, 팔꿈치관절(6)은 수평면(S)보다도 상방에 존재하는 것으로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인간형 로봇의 주요부의 모식적 정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인간형 로봇은,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제 1 실시형태의 것과, 어깨관절의 제 1 내지 제 3 관절의 배치구성, 및 팔꿈치관절의 제 3 관절에 대한 연결구성만이 상이한 것이므로, 각부의 구성에 관해서는 상기 제 1 실시의 것과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인간형 로봇에서는, 좌우의 각 팔형체(3)(도면에서는 로봇의 좌측의 팔형체(3)만을 도시)의 어깨관절(5)은, 상기 제 1의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게 제 1 내지 제 3 관절(11, 13, 15)을 동체(1)측으로부터 순번으로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는데, 이 경우, 제 1 관절(11)은, 상기 도 5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게, 그 제 1 축(10)을 동체(1)로부터 이 동체(1)의 내측근처로 경사지게 상방을 향해서 뻗어 있게한 자세로 동체(1)에 연결되어 있다.
또, 각 팔형체(3)의 팔꿈치관절(6)은, 그 중심(제 4 축(17) 상의 점)과 제 1 내지 제 3 축(10, 12, 14)의 교차점을 연결하는 선분(L)(도면에 점선으로 도시됨)이, 어깨관절(5)의 도시하는 특이점상태(제 1 축(10) 및 제 3 축(14)이 동축으로 되는 상태)에 있어서 제 1 축(10) 및 제 3 축(14)과 직교하도록 해서, 제 3 관절(15)의 제 3 축(14)의 축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제 3 관절(15)에 상완부(16)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제 1의 실시형태의 것과 완전히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의 인간형 로봇의 팔형체(3)에서는, 어깨관절(5)을 특이점상태에서 동작시킨 상태이고, 팔꿈치관절(6)을 어깨관절(5)의 제 1 축(10)(=제 3 축(14))의 주위를 회전시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동체(1)의 측방쪽(보다 상세하게는 제 2 축(12)보다도 로봇의 좌측)에 위치시켰을 때에는, 이 팔꿈치관절(6)은 제 1 내지 제 3 축(10, 12, 14) 의 교차점을 통과하는 수평면(S)보다도 상방에 존재하는 것으로 된다.
한편, 어깨관절(5)의 특이점상태에 있어서, 팔꿈치관절(6)을 동체(1)의 내방측(보다 상세하게는 제 2 축(12)보다도 로봇의 우측)으로 제 1 축(10) (=제 3 축(14))의 주위를 회전시켰을 때에는, 이 팔꿈치관절(6)은 상기 수평면(S)보다도 하방에 존재하는 것으로 된다. 그런데, 실제로는, 팔형체(3)가 헤드부(2)나 동체(1)에 간섭하기 때문에, 어깨관절(5)의 특이점상태에 있어서 팔꿈치관절(6)을 동체(1)의 내방측의 임의의 위치로 회전시킬 수는 없고, 이 팔꿈치관절(6)을 동체(1)의 내방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범위는 비교적 작은 것으로 제한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어깨관절(5)의 특이점상태에 있어서 팔꿈치관절(6)을 동체(1)의 내방측에 위치시켜서 작업을 행하는 기회는 적다고 생각된다. 또, 어깨관절(5)의 특이점상태에 있어서 이 팔꿈치관절(6)을 동체(1)의 측방 쪽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수평면(S)보다도 상방에 이 팔꿈치관절(6)이 위치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상태로 작업을 행하는 일은 기본적으로는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팔형체(3)에 의한 통상적인 작업은, 대부분의 경우, 어깨관절(5)의 비특이한 상태로 행해지고, 팔형체(3)의 원활한 동작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인간형 로봇의 팔형체구조는, 인간의 팔의 움직임과 동일한 동작을 로봇의 팔형체에게 행하게 하는 마스터슬레이브방식의 인간형 로봇에 있어서 유용하다.

Claims (3)

  1. 제 1 축의 주위를 회전자유로이 동체에 연결된 제 1 관절과, 이 제 1 축과 교차하는 제 2 축의 주위를 회전자유로이 상기 제 1 관절에 연결된 제 2 관절과, 이 제 2 축과 교차하는 제 3 축의 주위를 회전자유로이 상기 제 2 관절에 연결된 제 3 관절로 이루어지며, 또한 제 1 내지 제 3 관절의 각 축이 일점에서 교차하도록 설치된 어깨관절과, 이 어깨관절의 제 3 관절에 연결된 팔꿈치관절을 구비한 인간형 작업로봇의 팔형체구조에 있어서,
    상기 어깨관절을 구성하는 상기 제 1 관절의 제 1 축과 상기 제 3 관절의 제 3 축이 동축으로 되는 이 어깨관절의 특이점상태로 이 어깨관절을 동작시킴과 동시에, 상기 팔꿈치관절을 상기 동체의 측방에 위치시킨 상태로, 이 팔꿈치관절이 상기 제 1 내지 제 3 관절의 각 축의 교차점을 통과하는 수평면보다도 상방에 존재하도록, 상기 어깨관절의 제 1 관절 내지 제 3 관절의 위치 및 자세, 및 이 제 3 관절에 대한 상기 팔꿈치관절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형 작업로봇의 팔형체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팔꿈치관절은, 상기 제 3 관절의 제 3 축의 축심상에서 이 제 3 관절에 연결되고, 상기 어깨관절은, 그 제 1 관절이 상기 제 1 축을 상기 동체로부터 이 동체의 측방쪽이며 경사지게 상방을 향한 자세로 이 동체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 2 관절 및 제 3 관절이 이 어깨관절의 상기 특이점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절로부터 팔꿈치관절을 향해서 순번으로 상기 제 1 축의 축심상에 나란히 서도록 각각 제 1 관절 및 제 2 관절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형 작업로봇의 팔형체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팔꿈치관절은, 상기 제 3 관절의 제 3 축의 축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이 제 3 관절에 연결되고, 상기 어깨관절의 제 1 내지 제 3 관절의 위치 및 자세는, 상기 어깨관절을 상기 특이점상태에서 동작시킴과 동시에 상기 팔꿈치관절을 상기 동체의 측방쪽의 임의의 위치에 상기 제 3 축의 주위를 회전시킨 상태로, 이 팔꿈치관절이 상기 수평면보다도 상방에 존재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형 작업로봇의 팔형체구조.
KR10-2000-7007050A 1997-12-24 1998-10-20 인간형 작업로봇의 팔형체구조 KR1005256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460497A JP3908366B2 (ja) 1997-12-24 1997-12-24 人型作業ロボットの腕体構造
JP97-354604 1997-12-24
PCT/JP1998/004734 WO1999033617A1 (fr) 1997-12-24 1998-10-20 Structure de bras pour robots de travail a morphologie de type huma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3542A KR20010033542A (ko) 2001-04-25
KR100525648B1 true KR100525648B1 (ko) 2005-11-02

Family

ID=18438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7050A KR100525648B1 (ko) 1997-12-24 1998-10-20 인간형 작업로봇의 팔형체구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6332372B1 (ko)
EP (1) EP1050383B1 (ko)
JP (1) JP3908366B2 (ko)
KR (1) KR100525648B1 (ko)
CN (1) CN1119220C (ko)
CA (1) CA2316376C (ko)
DE (1) DE69821029T2 (ko)
ES (1) ES2214730T3 (ko)
RU (1) RU2202467C2 (ko)
WO (1) WO19990336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40603B4 (de) * 1999-08-27 2004-02-12 Schäfer, Christian, Dipl.-Ing. M.Sc. Manipulator
CA2426991C (en) * 2000-11-17 2008-04-08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Biped robot
JP2002154076A (ja) * 2000-11-17 2002-05-28 Honda Motor Co Ltd ロボットの腕
EP1215019A3 (en) * 2000-11-17 2003-01-22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for designing a robot arm
JP4628602B2 (ja) * 2001-04-05 2011-02-09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ロボットアーム
US6845295B2 (en) * 2002-03-07 2005-01-18 Fanuc Robotics America, Inc.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through a singularity
JP3804780B2 (ja) * 2002-04-25 2006-08-02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ロボットアーム及びロボット
CN1317109C (zh) * 2002-12-26 2007-05-23 哈尔滨工业大学 多关节仿人型机器人手臂
JP4525325B2 (ja) * 2004-12-08 2010-08-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超冗長自由度ロボットの動作制御方法
DE502005003478D1 (de) 2005-08-16 2008-05-08 Brainlab Ag Anthropomorpher medizintechnischer Roboterarm mit Bewegungseinschränkung
US8160743B2 (en) * 2005-08-16 2012-04-17 Brainlab Ag Anthropomorphic medical robot arm with movement restrictions
US20070105070A1 (en) * 2005-11-08 2007-05-10 Luther Trawick Electromechanical robotic soldier
KR100749878B1 (ko) 2006-05-30 2007-08-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머노이드 로봇용 로봇 암
KR101457147B1 (ko) * 2008-05-14 2014-11-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인간형 로봇과 그 어깨관절 어셈블리
US8511964B2 (en) * 2009-09-22 2013-08-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umanoid robot
US8712602B1 (en) 2011-05-24 2014-04-29 Timothy S. Oliver Mobile target system
JP6208102B2 (ja) * 2014-09-04 2017-10-04 富士ソフト株式会社 人型ロボット
JP6645741B2 (ja) 2015-02-17 2020-02-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ロボット
CN105437234B (zh) * 2016-01-25 2017-09-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多奇异点处理方法、***和工业机器人
JP6565752B2 (ja) * 2016-03-17 2019-08-28 株式会社安川電機 ロボット制御装置及びロボット制御方法
RU173813U1 (ru) * 2016-07-12 2017-09-12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от имени которой выступает ФОНД ПЕРСПЕКТИВНЫХ ИССЛЕДОВАНИЙ Антропоморфный робот
CN106041957B (zh) * 2016-07-20 2019-03-01 北京光年无限科技有限公司 一种人形机器人的上肢结构及人形机器人
CN111599100B (zh) * 2020-04-17 2021-11-30 温州大学 一种智能无人售货***
WO2022269693A1 (ja) * 2021-06-21 2022-12-29 東京ロボティクス株式会社 リンク機構、ロボットアーム及び双腕ロボット
CN114147745A (zh) * 2021-12-14 2022-03-08 浙江大学湖州研究院 一种基于3d打印的空间站舱内活动人形机器人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28598A1 (de) * 1972-06-12 1974-01-03 Jens Dr Rer Nat Geerk Anthropomorpher manipulator
JPS5275760A (en) * 1975-12-19 1977-06-25 Hitachi Ltd Manipulator joints mechanism
JPS58502189A (ja) * 1981-12-24 1983-12-22 ブロンベルグ ロボテルテクニ−ク ジ−エム ビ− エイチ 組立用ロボット
JP2625432B2 (ja) 1987-07-01 1997-07-0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タンクレールカバー取付構造
JPH0544072Y2 (ko) * 1987-07-03 1993-11-08
JPH01252380A (ja) * 1988-03-29 1989-10-09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多次元アクチュエータを用いたマニピュレータ
US5142803A (en) * 1989-09-20 1992-09-01 Semborg-Recrob, Corp. Animated character system with real-time contol
JPH04315589A (ja) * 1991-04-16 1992-11-06 Fanuc Ltd 7自由度関節形マニプレータ
WO1997002520A1 (en) * 1995-06-30 1997-01-23 Ross-Hime Designs, Inc. Robotic manipulator
US5624398A (en) * 1996-02-08 1997-04-29 Symbiosis Corporation Endoscopic robotic surgical tools and methods
US6155960A (en) * 1998-05-01 2000-12-05 Roberts; Donald Training dummy assembly in human form
KR100299210B1 (ko) * 1999-03-12 2001-09-22 박호군 인간팔 장착형 힘 재현기능을 갖는 마스터 장치
US6198247B1 (en) * 1999-04-20 2001-03-06 Steven Barr Servo-articulated modules and robotic assemblies incorporating th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50183A1 (en) 2002-05-02
WO1999033617A1 (fr) 1999-07-08
JP3908366B2 (ja) 2007-04-25
DE69821029D1 (de) 2004-02-12
CA2316376A1 (en) 1999-07-08
EP1050383A4 (en) 2002-01-09
CN1283146A (zh) 2001-02-07
EP1050383A1 (en) 2000-11-08
RU2202467C2 (ru) 2003-04-20
US6332372B1 (en) 2001-12-25
CA2316376C (en) 2004-08-10
DE69821029T2 (de) 2004-09-16
JPH11188668A (ja) 1999-07-13
EP1050383B1 (en) 2004-01-07
CN1119220C (zh) 2003-08-27
KR20010033542A (ko) 2001-04-25
ES2214730T3 (es) 200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5648B1 (ko) 인간형 작업로봇의 팔형체구조
US6047610A (en) Hybrid serial/parallel manipulator
KR100629224B1 (ko) 로봇의 관절 장치
KR101498836B1 (ko) 7축 다관절 로봇의 제어 장치 및 교시 방법
US6339969B1 (en) Three-degree-of-freedom parallel planar manipulator
US4095481A (en) Joint mechanism of manipulator
US20150148950A1 (en) Robot control device, robot control method, robot control program, and robot system
CN109922929A (zh) 作业装置和双臂型作业装置
US20200009746A1 (en) Robotic forearms
CN110545965B (zh) 多关节机器人以及多关节机器人***
KR101021172B1 (ko) 매달린 형태의 병렬기구구조
JPH0434610A (ja) ジンバル装置
JP2015229198A (ja) ロボットアーム
JPH04315589A (ja) 7自由度関節形マニプレータ
JP2019093487A (ja) ロボットの制御装置及びロボットの逆変換処理方法
JPH0947995A (ja) パラレルリンクマニピュレータ
JPH01234186A (ja) マスタアーム
JP3146463B2 (ja) 冗長軸マニピュレータの肘移動制御装置
JP7352267B1 (ja) 多関節ロボット、多関節ロボットの制御方法、ロボットシステム、及び、物品の製造方法
JP7289644B2 (ja) 作業装置
JP2019093486A (ja) ロボットの制御装置及びロボットの逆変換処理方法
WO2023228857A1 (ja) 多関節ロボット、多関節ロボットの制御方法、ロボットシステム、及び、物品の製造方法
JP7260987B2 (ja) 双腕型の作業装置
WO2024048285A1 (ja) 多関節ロボット、多関節ロボットの制御方法、ロボットシステム、及び、物品の製造方法
JPH03196980A (ja) 多関節6自由度ロボット機構および該ロボット機構を用いた組立、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