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7099B1 - 여과 장치 및 여과 장치 내의 여과제의 세정 방법 - Google Patents

여과 장치 및 여과 장치 내의 여과제의 세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7099B1
KR100497099B1 KR10-2001-7016619A KR20017016619A KR100497099B1 KR 100497099 B1 KR100497099 B1 KR 100497099B1 KR 20017016619 A KR20017016619 A KR 20017016619A KR 100497099 B1 KR100497099 B1 KR 100497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tank
filtration
opening
sti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6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6472A (ko
Inventor
사이또야스히로
Original Assignee
니혼 겐료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겐료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겐료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6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6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7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70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2Downward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supported by pervious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68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moving the filtering element
    • B01D24/4673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moving the filtering element using rotary devices or vibration mechanisms, e.g. 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68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moving the filtering element
    • B01D24/4689Displacement of the filtering material to a compartment of the filtering device for regene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여과 장치(110)는 오탁수가 공급되는 여과조(111), 교반조(122) 및 교반조(122) 내에 배치되는 스크류 컨베이어(23)를 갖는다. 여과제(51)는 교반조(122) 내와 용기(112) 내에 수용된다. 교반조(122)는 측면 개구(172), 하부 개구(178) 및 상단 개구(122b)를 갖는다. 스크류 컨베이어(23)가 회전하면, 여과제(51) 및 물(오탁수)(52)이 하부 개구(178)로부터 상단 개구(122b)까지 상승하여 교반됨과 동시에, 여과제(51)가 교반조(122)와 용기(112)를 순환하여 세정된다. 세정이 완료되면 역류수 공급 펌프(18')에 의해 역류시켜 여과제(51)로부터 박리·유출된 탁질을 배출 펌프(21')에 의해 용기(112)의 외부로 배출한다. 측면 도어(160)는 구동 수단(182)에 의해 세정(교반)시에만 측면 개구(172)를 폐쇄한다. 여과 면적이 확대된다.

Description

여과 장치 및 여과 장치 내의 여과제의 세정 방법{FILTRATION DEVICE, AND METHOD OF CLEANING FILTER MATERIAL CONTAINED IN FILTRATION DEVICE}
본 발명은 물 등의 액체를 여과하는 여과 장치 및 여과 장치 내의 여과제의 세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정수장 등 대규모의 정수 시설에 있어서는, 하천, 호수 또는 우물물 등에서 끌어들인 원수에 약품을 주입하여 원수중의 부유물을 침전시키기 쉬운 크기의 덩어리로 하여 침전시키고, 그 상청액을 여과지(濾過池)로 보내고, 여기에서 다시 미세한 부유물을 여과사 등의 여과제의 층을 통과시켜 제거하고, 여과하여 얻어진 물을 염소로 소독함으로써 정수 처리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여과제를 사용해서 물의 여과를 장시간 계속하면, 물에 혼입되어 있던 오물[오니 등의 오탁 물질(탁질)]이 여과제에 부착되어 여과 효율이 점차 저하되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여과제의 세정을 실시할 필요가 있고, 이 여과제의 세정으로서는 노즐에서 분사되는 수류로 모래층 표면을 두드리듯이 세정하는 표면 세정이나, 하부 압력실에서 정수를 여과지내로 압입하여 모래를 부상시키고, 모래와 모래를 서로 비벼서 오물을 떨어뜨리는 역류 세정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표면 세정, 역류 세정은 수류 전단에 의한 작용을 주체로 하고 있기 때문에, 여과제를 충분히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없고, 장시간의 반복 작용에 의해 여과제에 탁질이 퇴적되어 입경 비대가 진행되어 여과제 사이의 공극이 감소하거나 여과제의 흡착 물질의 박리로 인한 눈 막힘 현상이나 탁질 그 자체의 누설 등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역류 세정의 회수를 증가시켜 이에 대응하였으나, 역류 세정을 여러 해 동안 반복하면 그 수압에 의해 여과제를 지지하고 있는 사리층(砂利層)에도 영향이 미쳐서 본래 수평하게 전면에 깔려 있어야 할 사리층이 부분적으로 두꺼워지거나 얇아지는 표면 불균일이 발생하고, 이 경우 여과지의 운전을 전면적으로 정지한 상태에서 여과제를 반출하여 표면 불균일을 수정하고, 청정한 새로운 여과제 또는 오탁된 여과제를 세정하여 얻어진 여과제를 다시 깔아두는 갱생 공사에 의해 대처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이 갱생 공사에는 막대한 비용을 필요로 하고, 또한 공사 기간중에는 여과지의 운전을 정지할 필요가 있고, 갱생 공사에 걸리는 기간은 그대로 정수 효율의 저하로 이어지기 때문에, 갱생 공사의 간격을 가능한 한 길게 하고자 하는 정수장측의 강한 요구가 있다.
따라서, 본원 출원인은 이와 같은 요망에 부응하기 위하여, 오탁된 여과제를 종래보다 단시간에 세정도를 대폭 높인 모래 세정 장치를 개발·제안하고(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09051호, 동 11-057526호), 이미 관련 분야에서 실적을 올려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이 모래 세정 장치는, 상부에 여과지에서 빨아 들인 여과제가 투입되는 모래 받이구, 하부에 모래 취출구를 가지며 모래 및 세정수를 저류하는 세정조와, 이 세정조 내에 세워 설치되며 상단 및 하단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교반조와, 이 교반조 내에서 회전하는 스크류 컨베이어를 구비한 것으로서, 스크류 컨베이어에 의해 교반층 내를 세정수와 함께 상승하는 모래가 상승하면서 격렬하게 교반되어 서로 비비거나 서로 스침으로써 모래의 표면에 부착 또는 피복된 오물을 충분히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대규모의 정수장과는 달리, 소규모의 간이 수도나 공장에 설치되어 있는 여과 탱크 등의 여과 장치는 용기의 내부에 여과제 및 이 여과제에 의해 정화하기 위해 투입된 물을 수용하는 여과조를 갖고, 여과제에 의해 여과되어 정화된 물을 여과조의 바닥을 통해 용기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여과 장치의 여과제에 대해서도 여과지와 마찬가지로 역류 세정이나 표면 세정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서, 여과지에 있어서의 여과제와 동일한 세정의 문제를 내재하고 있다. 즉, 역류 세정시에 있어서의 대량의 정수 소비, 세정 효과가 불충분하다는 문제이다.
또한, 여과 장치에 있어서의 여과제는 좁은 용기 내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여과지에 있어서의 여과제보다 그 오염의 진행 속도는 빠르고, 또한 고속 여과를 실시하기 위해 탁질이 누설되기 쉽고, 여과지에 있어서의 여과제보다 오히려 엄격한 조건하에서 가동에 사용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짧은 사이클로 새로운 여과제와의 치환 또는 재생이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상술한 본원 출원인에 의한 모래 세정 장치(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09051호, 동 11-057526호)를 사용하여 여과 장치에서 빨아낸 여과제를 세정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는데, 여과지에 있어서의 여과제의 양에 비하여 여과 장치내의 여과제는 극소량임과 동시에 그 여과장치의 사용 규모가 소규모이기 때문에, 이 소량의 여과제를 세정·갱생할 때마다 일부러 상기 모래 세정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거나, 또한 당해 모래 세정 장치의 설치·철수 작업에 비용을 들이는 것은 여과지의 경우와 비교하여 훨씬 효율이 나빠서 실용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통상은 여과제를 세정하여 재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신규의 여과제로 교체하는 것이 실용적이다.
그러나, 교체되어 폐기되는 여과제는 산업폐기물로서 처분할 필요가 있고, 그 처분 비용이 고가임과 동시에 환경 보전면에서도 안이한 일회용의 관행을 자원의 재이용이라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새로운 전용 공간을 점유하지 않음과 동시에 세정할 때마다 세정 장치의 설치·철수 작업을 수반하지 않고, 또한 소량의 정화된 액체를 사용하는 것만으로 단시간에도 충분한 세정도로 여과제를 세정할 수 있는 여과 장치 및 그 여과제의 세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여과 장치의 제1 실시 형태의 개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한 여과 장치의 주요부 종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은 바닥 및 필터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개폐 도어 및 개폐 수단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세정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6은 탁질의 배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여과 장치의 주요부 종단면을 도시한 도2와 동일한 측면도이다.
도8은 도7의 여과 장치의 측면 도어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9는 도7의 여과 장치의 측면 개구를 도시한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10은 도9의 여과 장치의 교반조를 10-10선을 따라 부분적으로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11은 도7의 여과 장치에 사용되는 구동 수단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여과 장치 및 여과 장치내의 여과제의 세정 방법은, 여과조 내에 여과제 세정 기구를 설치하고, 이 여과제 세정 기구를 사용해서 여과 장치 내의 여과제를 세정함으로써, 여과 장치와는 별개로 세정을 위한 전용 공간을 마련하거나, 세정 장치의 설치·철수 작업을 실시할 필요도 없고, 또한 소량의 정화된 액체를 사용하는 것만으로, 단시간에도 충분한 세정도로 여과제를 세정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여과 장치는 용기의 내부에 여과제 및 여과제에 의해 여과하기 위해 투입된 액체를 수용하는 여과조를 갖고, 여과제에 의해 여과되어 정화된 액체를 여과조의 바닥을 통해 용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여과 장치에 있어서, 여과조 내에 여과조 내의 여과제를 세정하는 여과제 세정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용기 내에 투입되는 액체로서는 여과에 의해 정화를 요구하는 더러워진 물 등인데, 반드시 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절삭유와 같은 폐유 등이어도 된다. 또한, 액체로서 물을 적용한 경우에는, 여과제로서는 예컨대 여과제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태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과제로서는 여러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여과제 세정 기구로서는, 여과조 내에 세워 설치되며, 하부 및 적어도 여과조에 수용되는 여과제보다도 높은 위치에 각각 개구를 갖는 중공의 교반조와, 하부 개구를 통해 여과조에서 교반조 내로 유입되는 여과제 및 액체를, 교반조의 하부 개구에서 높은 위치의 개구(상부 개구 또는 상단 개구라 함)까지 교반조 내를 상승시키면서 교반시키며, 교반조 내에 교반조와 대략 동축에 설치된 스크류 컨베이어와, 교반조 내에서의 스크류 컨베이어의 회전에 의한 교반 작용에 의해 여과제로부터 박리·유출된 오탁 물질을 용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탁질 배출 수단을 구비한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류 컨베이어에 의해 여과제 및 액체가 교반조 내부를 상승하면, 여과제는 액체중에서 유동화되어 액체 중에서 서로 비비거나 스치는 상태를 나타내고, 여과제 표면에 부착·피복된 오탁 물질(탁질)이 여과제로부터 효과적으로 박리·유출되어 제거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여과제로부터 제거된 탁질은 그 상승하는 액체중에 부유하고, 교반조의 상부 개구를 통해 여과조로 배출되어 탁질 배출 수단에 의해 용기 바깥으로 배출되기 때문이다.
탁질 배출 수단으로서는, 개폐 수단에 의해 교반조의 하부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바닥에서 여과조로, 세정된 또는 청정한 새로운 액체를 분출하는 역류 기구와, 이 역류 기구에 의한 액체의 분출에 의해 여과조 내에서 액체 표층에 부유된 탁질을 용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오버 플로우 배출 수단을 구비한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과 장치 내의 여과제를 역류 세정하기 위해 당해 여과 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역류 기구를 이용함으로써, 여과제로부터 박리·유출되어 여과조 내에 체류하는 탁질을 효과적으로 용기 밖으로 배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여과제 세정 기구는 여과 장치 자체가 용기 내에 투입된 액체를 여과조 내부에 체류시키는 물 멈춤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이 물 멈춤 기능을 갖는 체류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류된 액체만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세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여과 장치에 있어서는, 여과제 세정 기구에 의한 여과제의 "세정"과 액체의 "여과"를 전환하는 전환 기구를 여과조내에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의 "여과"를 행할 때에는 전환 기구를 "여과"로 전환하여 "세정"을 실시하지 않고, "세정"을 행할 때에는 전환 기구를 "세정"으로 전환하여 "여과"를 실시하지 않음으로써, 여과와 세정을 각각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환 기구로서는 적어도 상기 하부 개구를 폐쇄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개폐가 자유로운 개폐 도어와, 개폐 도어를 개폐하는 개폐 수단을 구비한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정시에는 교반조 내에 여과제 및 액체를 유입시키고, 여과시에는 교반조 내로 여과제 등이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고, 개폐 도어의 개폐 조작에 의해 양 조작(세정과 여과)을 확실하게 전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스크류 컨베이어의 작용과, 교반조에 형성된 하부 개구 및 상부 개구의 작용이 서로 어울려 여과조 내의 여과제가 여과조 및 교반조를 순차 순환하기 때문에, 단시간내에 여과조 내의 모든 여과제가 빠짐없이 세정되기 때문이다.
개폐 도어는 교반조 외벽의 외주 또는 내주를 따라 가동되도록 된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과조 내에 퇴적되는 여과제로 인한 개폐 동작시의 저항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개폐 수단에 대해서도 여과제로 인한 저항을 극복하기 쉬운 구성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개폐 도어의 외주면에 워엄 휠을 고착하고, 이 워엄 휠과 나사식 결합하는 워엄을 모터 등에 의해 회전시키는 구성 등을 채택하면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워엄의 회전에 의해 워엄 휠의 톱니 사이로 들어간 여과제가 긁어내지기 때문에, 비교적 개폐 수단의 개폐 조작시에 있어서 여과제로 인한 저항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과 장치 중 당해 여과 장치의 여과조 내에 구비되는 당해 여과조 내의 여과제를 세정하는 여과제 세정 기구 및 필요에 따라 여과제 세정 기구에 의한 여과제의 "세정"과 "여과"를 전환하는 전환 기구를 기존의 여과 장치에 나중에 추가로 장착할 수 있는 세정 장치로 함으로써, 기존의 여과 장치를 여과제 세정 기구가 설치된 본 발명의 여과 장치로 간단하게 개조할 수 있어, 도입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과 장치는 교반조 내에 여과제가 항상 수용되고, 교반조의 측면이 여과제 상면의 상하에 걸쳐 연장되는 측면 개구를 가짐과 동시에, 이 측면 개구에는 구동 수단에 의해 조작되어 측면 개구를 개폐하는 측면 도어가 설치되고, 투입된 액체가 통상 사용 상태에서 열려 있는 측면 개구에서 교반조 내로 흘러 들어가서 교반조에서도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탁질 배출 수단은 스크류 컨베이어에 의해 여과제를 교반하기 위해 측면 도어가 측면 개구를 폐쇄할 때, 바닥에서 여과조 내로 세정된 또는 청정한 새로운 액체를 분출하여 여과제를 부유 상태로 하는 역류 기구를 갖도록 해도 된다.
또한, 스크류 컨베이어의 회전시에는 측면 도어가 닫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탁질 배출 수단의 역류 기구는 교반 작용이 종료되어 측면 도어가 측면 개구를 개방할 때, 바닥에서 교반조로 세정된 또는 청정한 새로운 액체를 분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탁질 배출 수단이 역류 기구에 의한 액체의 분출에 의해 여과조 내에서 액체 표층으로 부유되어진 오탁 물질을 용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오버 플로우 배출 수단을 더 구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여과제 세정 기구는 용기내에 투입된 액체를 여과조 내부에 체류시키는 체류 수단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교반조 내에 여과제가 항상 수용되고, 여과조에 투입된 액체가 여과조 내에 채워져서 가압되고, 가압된 액체가 교반조에서도 여과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과 장치 내의 여과제의 세정 방법은 용기의 내부에 여과제 및 여과제에 의해 여과하기 위해 투입된 액체를 수용하는 여과조를 갖고, 여과제에 의해 여과되어 정화된 액체를 여과조의 바닥을 통해 용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여과 장치 내의 여과제의 세정 방법으로서, 여과조 내에 여과조 내의 여과제를 세정하는 여과제 세정 기구를 미리 배치하고, 여과제 세정 기구에 의해 여과제를 당해 여과 장치 내에서 자기 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용기 내에 투입되는 액체로서는 여과에 의해 정화를 요구하는 더러워진 물 등인데, 반드시 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절삭유와 같은 폐유 등이어도 된다. 또한 액체로서 물을 적용한 경우에는 여과제로서 여과제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태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여과제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과제의 세정 방법에서도 본 발명의 여과 장치와 마찬가지로, 여과제 세정 기구로서는 여과조내에 세워 설치되며, 하부 및 적어도 여과조에 수용되는 여과제보다도 높은 위치에 각각 개구를 갖는 중공의 교반조와, 하부 개구를 통해 여과조에서 교반조내로 유입되는 여과제 및 액체를 교반조의 하부 개구에서 높은 위치의 개구(상부 개구 또는 상단 개구라함)까지 교반조 내를 상승시키면서 교반시키며, 교반조 내에 교반조와 대략 동축에 설치된 스크류 컨베이어와, 교반조 내에서의 스크류 컨베이어의 회전에 의한 교반 작용에 의해 여과제로부터 박리·유출된 오탁 물질을 용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탁질 배출 수단을 구비한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세정시에는 스크류 컨베이어의 운전을 개시하여 교반조의 하부 개구를 통해 여과조에서 교반조 내로 유입되는 여과제 및 액체를 교반조의 하부 개구에서 상부(상단) 개구까지, 교반조 내를 상승시키면서 교반시켜 교반조 내에서 유동화된 여과제를 비벼 세정함과 동시에, 비벼 세정된 여과제와 탁질이 혼입된 액체를 교반조의 상부(상단) 개구에서 여과조로 배출시키고, 여과조 내의 여과제의 거의 전량이 교반조를 순환한 후로서, 교반조 내에 잔류하는 여과제 및 액체의 거의 전량이 여과조로 배출된 후에 스크류 컨베이어의 운전을 정지하고, 탁질 배출 수단에 의해 오탁 물질을 용기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탁질 배출 수단으로서, 개폐 수단에 의해 하부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바닥에서 여과조로 세정된 또는 청정한 새로운 액체를 분출하는 역류 기구와, 역류 기구에 의한 액체의 분출에 의해 여과조 내에서 액체 표층으로 부유되어진 오탁 물질을 용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오버 플로우 배출 수단을 구비한 것을 적용하고, 상기 세정시의 오탁 물질의 배출시에, 역류 기구에 의해 바닥에서 여과조로 세정된 새로운 액체를 분출시켜 여과조 내에서 액체 표층으로 부유시키고, 오버 플로우 배출 수단에 의해 부유되어진 오탁 물질을 용기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과 세정 기구는 여과 장치 자체가 상술한 물 멈춤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체류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류된 액체만을 사용해서 여과제를 효율적으로 세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여과 장치 내의 여과제의 세정 방법에 있어서도, 상술한 전환 기구를 여과조 내에 미리 배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과와 세정을 전환함으로써, 여과와 세정을 각각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환 기구로서는 적어도 상기 하부 개구를 폐쇄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개폐가 자유로운 개폐 도어와, 개폐 도어를 개폐하는 개폐 수단을 구비한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류 컨베이어의 운전 개시전 또는 운전 개시후에 개폐 도어를 개폐 수단에 의해 개방함으로써, 교반조의 하부 개구에서 여과조 내로의 여과제 및 액체의 유입을 개시시켜 세정으로 전환하여 세정만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고, 세정후에는 스크류 컨베이어의 운전 종료전에 개폐 수단에 의해 개폐 도어를 폐쇄함으로써, 교반조내로 여과제나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저지하여 여과만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개폐 도어가 상기 교반조 외벽의 내주 또는 외주를 따라 가동으로 된 것을 적용하는 것이, 개폐 조작시의 저항을 극복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이상의 각 공정의 조작은 시퀀스 제어에 의해 자동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과 장치 내의 여과제의 세정 방법에 있어서는, 여과제 세정 기구가 여과조 내에 세워 설치된 하부 및 적어도 여과조에 수용되는 여과제의 상면보다도 높은 위치에 각각 개구를 가짐과 동시에, 측면에 여과제 상면의 상하에 걸쳐 연장되는 측면 개구를 갖고, 이 측면 개구에 구동 수단에 의해 조작되어 측면 개구를 개폐하는 측면 도어가 설치된 여과제가 항상 수용된 중공의 교반조와, 하부 개구를 통해 여과조에서 교반조 내로 유입되는 여과제 및 액체를, 교반조의 하부 개구에서 상기 높은 위치의 개구까지 교반조 내를 상승시키면서 교반시키며, 교반조 내에 교반조와 대략 동축에 설치된 스크류 컨베이어와, 교반조 내에서의 교반 작용에 의해 여과제로부터 박리·유출된 오탁 물질을 용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탁질 배출 수단을 구비한 것으로서, 측면 도어를 닫고 스크류 컨베이어의 운전을 개시하여 교반조의 하부 개구를 통해 여과조에서 교반조 내로 유입되는 여과제 및 액체를 교반조의 하부 개구에서 높은 위치의 개구까지 교반조 내를 상승시키면서 교반시켜, 교반조 내에서 여과제를 비벼 세정함과 동시에, 비벼 세정된 여과제와 탁질이 혼입된 액체를 교반조의 높은 위치의 개구에서 여과조로 배출시키고, 여과조내의 여과제의 거의 전량이 교반조를 순환한 후에, 측면 도어의 개방과 동시에 스크류 컨베이어의 운전을 정지하고, 탁질 배출 수단에 의해 오탁 물질을 용기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과 장치는 바닥에서 여과조로 세정된 또는 청정한 새로운 액체를 분출하는 역류 기구를 구비하고, 여과제의 세정시, 여과제를 부유 상태로 하고 나서 측면 도어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탁질 배출 수단은 교반 작용이 종료되어 측면 도어가 측면 개구를 개폐할 때, 역류 기구에 의해 바닥에서 여과조로 세정된 또는 청정한 새로운 액체를 분출함으로써, 여과조 내에서 액체 표층으로 부유되어진 오탁 물질을 용기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여과제 세정 기구는 용기내에 투입된 액체를 여과조 내에 체류시키고, 체류되어진 액체만을 교반, 여과제의 비빔 세정 및 여과조로의 배출에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여과 장치 및 여과 장치 내의 여과제의 세정 방법에 의하면, 그 여과조 내에 여과조 내의 여과제를 자정하는 여과제 세정 기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여과 장치와는 별도로 여과제 세정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그 설치 공간이나 설치·철수 비용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또한 전환기구를 추가로 구비하여 이 전환기구에 의해 "여과"를 선택한 경우에는 세정 기구를 작용시키기 않기 때문에 종래대로의 여과 작용을 확보하고, 전환 기구에 의해 "세정"을 선택한 경우에는 세정 기구를 작용시켜 여과조 내부에 체류하는 양의 액체만을 사용해서 여과제의 세정을 실시하기 때문에, 소요 액체량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추가로 최종적으로 여과 장치에 장비되어 있는 역류 세정 작용에 의해 여과제로부터 박리·유출되어 여과조에 체류하고 있는 탁질을 용기 외부로 배출하면, 단순한 종래의 역류 세정에 비해 여과제를 효율적이면서 세정도 좋게 세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신규의 여과제로 교환할 필요가 없어져서 신규 여과제의 도입에 수반하는 비용의 억제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이 끝난 여과제를 폐기 처분할 필요도 없어, 산업폐기물의 억제에 의한 환경 보전(ISO14000 등) 및 산업폐기물 처분에 따른 비용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여과제의 세정 사이클 간격을 종래보다도 연장할 수 있기 때문에, 여과 계속 시간을 길게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세정을 위해 여과를 정지시키는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반복해서 세정을 실시하여도 여과조에 탁질이 침적되는 일이 없고, 따라서 여과제의 교환, 여과조 내의 청소가 필요 없어져서 유지 관리 관계의 비용이나 작업을 대폭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과 장치가 여과조 내에 여과제가 항상 수용되고, 교반조의 측면이 여과제 상면의 상하에 걸쳐 연장되는 측면 개구를 가짐과 동시에, 이 측면 개구에는 구동 수단에 의해 조작되어 측면 개구를 개폐하는 측면 도어가 설치되고, 투입된 액체가 통상 사용 상태에서 열려 있는 측면 개구에서 교반조 내로 흘러 들어가서 교반조에서도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여과 면적이 확대되기 때문에 여과 효율이 좋아진다. 또한, 교반조 내로 항상 액체가 유입되기 때문에, 교반조 내에서 액체가 고여 있는 일이 없다. 따라서, 액체가 고임으로 인한 액체의 오탁과 그 오탁된 액체가 교반조의 외부로 배어나와서 세정된 액체에 섞이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탁질 배출 수단이 스크류 컨베이어에 의해 여과제를 교반하기 위해 측면 도어가 측면 개구를 폐쇄할 때, 바닥에서 여과조 내로 세정된 또는 청정한 새로운 액체를 분출하여 여과제를 부유 상태로 하는 역류 기구를 갖는 경우에는, 측면 도어의 개폐가 여과제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다. 즉, 여과제로 인해 큰 저항을 받지 않기 때문에, 측면 도어의 개폐가 용이해지고, 측면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구동 수단에 걸리는 부하가 적어도 된다.
또한, 스크류 컨베이어의 회전시에 측면 도어가 닫혀 있는 경우에는, 여과제의 교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탁질 배출 수단의 역류 기구가 교반 작용이 종료되어 측면 도어가 측면 개구를 개방할 때, 바닥에서 여과조로 세정된 또는 청정한 새로운 액체를 분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탁질 배출 수단이 역류 기구에 의한 액체의 분출에 의해 여과조 내에서의 액체 표층에 부유되어진 오탁 물질을 용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오버 플로우 배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경우에는, 측면 도어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오탁 물질을 측면 도어를 통해서도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여과제 세정 기구는 용기 내에 투입된 액체를 여과조 내부에 체류시키는 체류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경우에는, 측면 개구와 더불어 여과제를 효율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교반조 내에 여과제가 항상 수용되고, 여과조에 투입된 액체가 여과조 내에 채워져서 가압되고, 가압된 액체가 교반조에서도 여과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여과 면적이 확대되고 또한 액체가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가 빠르게 침투하여 한층 효율적으로 여과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여과 장치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과제로서의 여과제(51) 및 이 여과제(51)에 의해 여과하기 위해 투입된 물(52)을 수용하는 여과조(11)를 갖는 본체 용기(12)를 갖고, 여과제(51)에 의해 여과되어 여과조(11)의 바닥(13)을 통해 정화된 물(52')이 용기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고, 여과조(11) 내에 여과조(11) 내의 여과제(51)를 세정하는 여과제 세정 기구, 및 여과제 세정 기구에 의한 여과제의 "세정"과 "여과"를 전환하는 전환 기구를 구비한 것이다. 여과제 세정 기구 및 전환 기구의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한다.
바닥(13)에는 도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세 구멍을 갖는 세라믹제의 다수의 짧은 원기둥 형상의 필터(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필터(14)는 상세하게는 도3b의 단면도 및 도3c의 평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십자형의 중공부분을 갖고, 퇴적되는 여과제(51)나 물(52')에 대항하는 강도를 유지하면서, 효율적으로 정화된 물(52')만을 바닥(13) 하측에 형성된 압력실(15)로 침투시키는 작용을 한다.
압력실(15)에는 투과된 정화수(52')를 용기(12)의 외부로 배출하는 집수관(16)이 고착되어 있고, 집수관(16)에는 관 내부를 개폐하는 전자(電磁) 밸브(제2 전자 밸브)(17)와, 압력실(15)에서 정화수(52')를 흡인하는 정수 취출 펌프(18)와, 압력실(15)로 정화수(52')를 역류시키는 역류수 공급 펌프(18')가 설치되어 있다.
용기(12)의 상부 측면에는 여과하여 정화시키고자 하는 물(52)이 여과조(11)로 공급되는 공급관(19)이 고착되어 있고, 공급관(19)에는 관 내부를 개폐하는 전자 밸브(제1 전자 밸브)(20)와, 여과조(11)로 물(52)을 공급하는 정화용 물 공급 펌프(21)와, 여과조(11)로부터 후술하는 탁질(53)이 부유하는 물(52)을 흡인하는 오탁수 오버 플로우 배출 펌프(21')가 설치되어 있다.
여과제 세정 기구는 여과조(11) 내의 대략 중앙에 세워 설치되며, 하부 및 상단에 각각 개구(22a, 22b)를 갖는 중공 원기둥 형상의 교반조(22)와, 하부 개구(22a)를 통해 여과조(11)에서 교반조(22)내로 유입되는 여과제(51) 및 물(52)을 교반조(22)의 하부 개구(22a)에서 상단 개구(22b)까지 교반조(22) 내를 상승시키면서 교반시키며, 교반조(22) 내에 교반조(22)와 대략 동축에 설치된 스크류 컨베이어(23)를 구비하고, 또한 교반조(22) 내에서의 교반 작용에 의해 여과제(51)로부터 박리·유출된 탁질(53)을 용기(12)의 외부로 배출하는 탁질 배출 수단과, 용기(12)내로 공급된 물(52)을 여과조(11)내에 어느 정도 체류시키는 체류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여기에서, 스크류 컨베이어(23)는 용기(12)의 상부에 설치된 모터(23a)에 그 상단이 접속되어 있고, 하단은 용기(11)의 하측에 설치된 축받이(23b)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스크류 컨베이어(23)의 회전축에 고착되는 나선형 날개는 교반조(22)의 내면과 적당한 공극을 갖고, 여과제(51)를 효율적으로 상단 개구(22b)까지 반송한다. 이 공극이 지나치게 크면 상승 중에 낙하하는 여과제(51)의 양이 많아지고, 반대로 너무 좁으면 여과제(51)의 물려들어감이나 파쇄 및 날개 마모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여과제(51)의 입경에 맞춰 공극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도록 스크류 컨베이어(23) 또는 교반조(22)를 교환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환 기구는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반조(22)의 외벽 원주면을 따라 가동으로 된 교반조(22)의 하부 개구(22a)를 폐쇄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개폐 도어(24)와, 이 개폐 도어(24)를 개폐하는 개폐 수단과, 용기(12)내의 물을 여과조(11) 내부에 어느 정도 저류시키는 저류 수단으로서의 상술한 제2 전자 밸브(17)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그리고, 개폐 수단은 개폐 도어(24)의 외주면을 따라 고착된 워엄 휠(25)과, 이 워엄 휠(25)에 나사식 결합되는 워엄(26)(도4b 참조)과, 워엄(26)을 같은 축에 고착하여 이루어진 회전축(27)과, 회전축(27)을 축 둘레로 회전시키는 모터(28)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워엄 휠(25) 및 워엄(26) 등 대신에, 도4a, 도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도어(24)의 외주면에 고착되며, 장공(29a)이 천공된 피구동 훅(29)과, 이 피구동 훅(29)의 장공(29a)으로 관통하는 왕복구동 축(31)과, 피구동 훅(29)을 사이에 두고 왕복구동 축(31)에 고착된 2개의 푸시풀러(30)와, 왕복구동 축(31)을 왕복구동시키는 에어 실린더(32)를 구비한 개폐 수단을 채택해도 된다. 그리고, 에어 실린더(32)는 여과조(11)내의 개폐 도어(24) 근방에 설치해도 된다.
탁질 배출 수단은 개폐 수단에 의해 하부 개구(22a)를 폐쇄한 상태에서 바닥(13)을 통해 압력실(15)에서 여과조(11)로 정화된 물(52')을 분출시키는 역류 기구로서의 역류수 공급 펌프(18')와, 역류 기구에 의한 정화수(52')의 분출에 의해 여과조(11) 내에서 물(52) 중에 부유된 탁질(53)을 용기(12)의 외부로 배출하는 오버 플로우 배출 수단으로서의 공급관(19) 및 오탁수 오버 플로우 배출 펌프(21')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체류 수단으로서는 제2 전자 밸브(17)가 그 기능을 하는 것이다.
제1 실시 형태의 여과 장치(10)에 있어서는, 여과조(11)의 저부에 퇴적된 여과제(51) 및 물(52)을 교반조(22)의 하부 개구(22a)로 유입시키는 것을 보조하는 경사판(12a)이 여과조(11)의 저부에 부설되어 있는데, 이 경사판(12a) 대신에 퇴적된 여과제(51) 및 물(52)을 교반조(22)의 하부 개구(22a) 방향으로 압압하도록 분류(噴流)를 내뿜는 수단을 설치해도 된다. 그리고, 이들 특별한 보조 기구를 설치하지 않고, 바닥(13)으로부터의 정화수(52')를 분출시킴으로써, 여과조(11) 저부의 여과제(51)를 대류시킴으로써, 그 저부에 여과제(51)가 체류하는 것을 방지해도 된다.
이어서, 이 제1 실시 형태의 "여과"장치(1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통상의 여과 동작시의 작용에 대해 도2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용기(12) 내부의 교반조(22)의 하부 개구(22a)는 개폐 도어(24)에 의해 폐쇄되어 있으며, 여과조(11) 내에서 퇴적되는 여과제(51) 및 공급관(19)으로부터 공급되는 물(52)이 교반조(22) 내로 유입되는 것이 저지되고 있다.
공급관(19)의 제1 전자 밸브(20)는 개방되어 있고, 공급관(19) 내에는 정화용수 공급 펌프(21)에 의해 여과조(11)로 압송되는 더러워진 물(52)이 유통하고, 이 물(52)은 제1 전자 밸브(20)를 통과하여 여과조(11)로 공급된다. 여과조(11)로 공급된 물(52)은 이곳에 퇴적되는 여과제(51)에 의해 여과되어 정화되고, 정화된 물(52')은 바닥(13)의 필터(14)를 통과하여 압력실(15)로 압입된다. 압력실(15)로 통하는 집수관(16)에 설치된 제2 전자 밸브(17)는 개방되어 있고, 정수 취출 펌프(18)의 작용에 의해 압력실(15) 내의 정화된 물(52')은 집수관(16)을 통과하여 이 여과 장치(10)의 외부로 배출되어 여러 용도로 사용된다.
이어서, "세정"으로의 전환 및 여과제 세정 작용에 대해 도2 및 도5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우선, 정화용수 공급 펌프(21)의 운전을 정지하여 물(52)의 공급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제1 전자 밸브(20)를 폐쇄하여 세정시에 있어서의 물(52)의 비말 등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 여과조(11)에 있어서의 물(52)의 상면(수면) 위치가 교반조(22)의 상단 개구(22b)보다도 위로 되지 않도록 물(52)의 공급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여과제(51)의 양은 이 교반조(22)의 상단 개구(22b) 이하의 레벨로서, 오버 플로우 배출 수단으로서의 공급관(19) 이하의 레벨로 되도록 적절히 설정한다. 이 때, 물(52)에 대한 여과제(51)의 중량 비율을 약간 많게 설정한 편이 보다 높은 세정 효율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이어서, 집수관(16)의 정수 취출 펌프(18)의 운전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제2 전자 밸브(17)를 폐쇄한다. 이 작용에 의해 필터(14)를 통해 압력실(15) 내로 물(52')은 흘러 들어가지 않게 되고, 공급관(19)에서 공급되는 더러워진 물(52)은 여과조(11)에 체류한다.
또한, 스크류 컨베이어(23)의 모터(23a)의 운전을 개시하고, 스크류 컨베이어(23)가 도5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개폐 수단의 작용에 의해 개폐 도어(24)가 교반조(22)의 외벽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여 교반조(22)의 하부 개구(22a)가 개방된다. 그리고, 개폐 도어(24)의 개방과 스크류 컨베이어(23)의 회전 개시는 반대 순서여도 된다.
개폐 도어(24)가 개방됨으로써, 여과조(11) 저부의 여과제(51) 및 물(52)이 그 상측에 퇴적되는 여과제(51) 및 물(52)의 중량에 의해 교반조(22)의 하부 개구(22a)를 통해 교반조(22)의 저부로 밀려 들어간다. 그리고, 교반조(11) 내에서 회전하는 스크류 컨베이어(23)의 나선형 날개에 의해 교반조(22) 저부로 유입된 여과제(51) 및 물(52)은 순차 상측의 상단 개구(22b)까지 반송되는데, 그 동안 스크류 컨베이어(23)의 상승력에 의해 여과제(51)는 부유 상태로 되어 유동화된다. 교반조(22)의 저부에서, 여과제(51)는 하부 개구(22a)에서 교반조(22)로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여과제(51)에 의해 스크류 컨베이어(23)의 나선형 날개 및 교반조(22) 내면에 의해 구속된 상태에서 밀어 올려지게 되기 때문에, 여과제(51)의 입자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은 억제되지만, 스크류 컨베이어(23)의 하부 개구(22a)의 상단 가장자리보다 상부에서는 이 구속이 적어지기 때문에, 물(52) 및 여과제(51)는 격렬하게 교반되면서 상승을 계속하여 여과제(51)의 입자 간에 서로 마찰되고, 이 작용에 의해 물(52)의 여과로 인해 여과제(51)에 부착되거나 또는 여과제(51)를 피복한 탁질(53)이 여과제(51)에서 박리 제거되어 여과제(51)가 세정된다.
여기에서, 스크류 컨베이어(23)에 의해 반송되는 여과제(51)의 입자는 서로 스치는 기회가 증대하여 세정 효과가 높아진다. 그리고, 수면보다 상부에서는 그 입자 간의 접촉 기회가 보다 많아지기 때문에 더욱 세정 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스크류 컨베이어(23)의 상부에서는 날개의 외주 가장자리와 교반조(22)의 내주면과의 간극을 통해 일부의 여과제(51)가 낙하하고, 스크류 컨베이어(23) 하단의 날개 위에 실려 다시 상승을 반복하기 때문에, 비벼 세정하는 공정이 실질적으로 길어져서 세정 효과가 향상된다.
그리고, 스크류 컨베이어(23)의 회전수는 물(52) 및 여과제(51)가 스크류 컨베이어(23) 날개의 상단까지 상승할 수 있는 고속 회전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물(52)은 적어도 상단 개구(22b)에서 여과제(51)의 유동화를 실현할 수 있는 정도까지 투입할 필요가 있는데, 물(52)을 너무 많이 투입하면, 스크류 컨베이어(23) 상에서의 여과제(51) 입자의 밀도가 저하되어 입자끼리 서로 스치는 기회가 감소하기 때문에 세정의 효율이 저하된다. 그리고, 여과제(51)의 물(52) 및 여과제(51)의 상면 위치에 대한 상단 개구(22b)의 높이 위치의 돌출량이 적으면, 여과제(51)의 세정 효과가 저하되고, 반대로 돌출량이 너무 많아지면, 세정할 수 있는 여과제(51)의 절대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세정 효율이 나빠진다. 따라서, 이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물(52)의 투입량이나 교반조(22)의 높이를 결정하여야만 한다.
여과제(51)는 스크류 컨베이어(23)의 날개 위를 상승하면서 입자 상호간이 서로 스치는 작용을 나타내지만, 날개 등의 장치 구성에 충돌하는 작용은 거의 없기 때문에, 입자에 과대한 힘이 작용하지 않아 입자가 파쇄될 우려는 없다. 또한, 입자 상호간에는 항상 물(52)이 개재되기 때문에, 박리 제거된 탁질(53)은 물(52)중에 혼입되어 입자 사이의 스침으로 인한 재부착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스크류 컨베이어(23)의 중,상부에서는 여과제(51)가 접하는 것은 주로 날개의 상면으로만 되기 때문에 스크류 컨베이어(23)의 마모는 적다.
교반조(22)의 상단 개구(22b)까지 상승하여 유동화된 여과제(51) 및 탁질(53)이 혼입된 물(52)은 순차 여과조(11) 내로 보내지고, 세정된 여과제(51)는 여과조(11)에 퇴적되는 미세정의 여과제(51)의 상부에 순차 퇴적되는데, 여과조(11)의 저부에 퇴적되는 여과제(51)가 여과조(11)에서 순차 교반조(22)로 밀려 들어가기 때문에, 여과조(11)의 상부에 퇴적된 세정된 여과제(51)도 세정 시간의 경과와 함께 순차 여과조(11)의 하측으로 이동하고, 다시 하부 개구(22a)를 통해 교반조(22)에서 세정되는 행정을 반복하므로 여과조(11) 내의 여과제(51)는 빠짐없이 세정된다.
그리고, 여과조(11) 저부의 외주부에 퇴적되는 여과제(51)는 그 상측에 퇴적되는 여과제(51) 중량의 경사판(12a)의 경사면을 따른 방향의 성분에 의해 바닥(13)의 중심 방향, 즉 교반조(22)의 하부 개구(22a)를 향하는 방향의 힘도 받기 때문에, 당해 외주부에 퇴적되는 여과제(51)가 순환되지 않고 당해 부분에 체류하여 세정에서 제외되는 일은 없으며, 모든 여과제(51)가 빠짐없이 세정된다.
여과조(11) 내의 여과제(51)가 빠짐없이 세정된 후, 개폐 수단에 의해 개폐 도어(24)를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켜 하부 개구(22a)를 폐쇄하여 교반조(22)에 새로이 여과제(51) 및 물(52)이 유입되는 것을 저지한다. 그리고, 다시 소정 시간만큼 스크류 컨베이어(23)의 회전을 속행하여 교반조(22) 내에 잔류하는 여과제(51) 및 탁질(53)을 포함하는 물(52)을 모두 여과조(11)로 배출시킨다.
이상의 작용에 의해 여과제(51) 자체의 세정은 종료되고, 여과제(51)로부터는 탁질(53)이 박리 제거되었으나, 여과조(11) 내에는 세정된 여과제(51) 외에, 그 박리 제거된 탁질(53)도 그대로 잔류해 있으며, 이 상태대로 새로이 물(52)의 여과에 사용하는 것은 부적당하다.
따라서, 이어서 여과조(11)내에 잔류하는 탁질(53)을 용기(12) 바깥으로 배출하는 헹굼 처리인 역류 세정을 실시하기 위하여, 집수관(16)에 설치된 제2 전자 밸브를 개방함과 동시에 역류수 공급 펌프(18')에 의해 용기(12) 외부에서 공급되는 정화된 또는 청정된 물(52')을 압력실(15)로 압송시킨다(도6 참조). 그리고, 공급관(19)에 설치된 제1 전자 밸브(20)도 개방한다. 압력실(15) 내로 압송된 정화된 물(52')은 그 압송력에 의해 바닥(13)의 필터(14)를 통해 여과조(11) 내로 역류 분출된다. 그리고, 이 역류 분출된 물(52')의 상승력에 의해 여과조(11) 내의 여과제(51) 및 여과제(51)의 입자 사이에 퇴적된 탁질(53)은 수중에서 격렬하게 상승하도록 움직이는데, 이 때 여과제(51)보다도 가벼운 탁질(53)은 여과제(51)보다도 상측으로 뿜어져 올라가서 물(52 및 52')의 상면(수면) 근방까지 부상된다. 그 결과, 탁질(53)은 여과조(11)의 저부에서 여과제(51)가 뿜어져 올라가는 높이 이상의 범위로 배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압력실(15)측으로부터의 역류 분출이 계속됨으로써, 여과조(11) 내의 수량이 증가하여 그 수면은 서서히 상승하고, 이에 수반하여 부상된 탁질(53)도 상승한다. 그리고 수면이 용기(12)의 공급관(19)의 위치에 도달하면, 이 오버 플로우 배출 수단으로서의 공급관(19)으로 탁질(53)을 포함하는 물(52)이 흘러나간다. 여기에서, 오탁수 오버 플로우 배출 펌프(21')에 의해 공급관(19)내의 탁질(53)이 섞인 물을 용기(12) 바깥으로 배출하도록 흡인 작용시킨다. 이상의 역류 세정을 소정 시간 속행함으로써, 여과제(51)내에 잔류하는 탁질(53)은 모두 제거된다.
역류 세정이 종료된 후에는, 오탁수 오버 플로우 배수 펌프(21') 및 역류수 공급 펌프(18')를 정지하고, 여과조(11) 내에서 뿜어져 올라간, 세정된 여과제(51)가 침강하여 퇴적된 후에, 정화용수 공급 펌프(21)에 의해 여과에 사용되는 새로운 세정용수(52)를 여과조(11)로 공급함과 동시에, 정수 취출 펌프(18)에 의해 압력실(15)에 집수된 정화된 물(52')을 용기(12) 외부로 배출하여 새로운 여과 처리(도2)를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의 일련의 작용은 소정 제어 장치를 사용한 시퀀스 제어에 의해 자동적으로 실시하도록 하는 것이 조작자의 수고를 더는 생력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여과 장치(10)에 의하면, 그 여과조 내에 구비된 여과제 세정 기구 및 전환 기구에 의해 여과 장치와는 별도로 여과제 세정 장치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즉, "여과"에 의해 더러워진 여과제(51)를 용기(12)의 바깥으로 꺼내 세정하고, 여과조(11)에 재투입하기 위한 설비 기기(모래의 반출입 장치나 별체의 세정 장치 등)를 생략할 수 있고, 또한 이것에 들어가는 팽대한 작업량도 삭감할 수 있다. 그 결과, 그 여과제 세정 장치의 설치 공간이나 설치·철수의 작업 비용 등을 대폭적으로 삭감할 수 있고, 또한 전환 기구에 의해 「여과」로 전환한 경우에는 세정 기구를 작용시키지 않기 때문에, 종래대로의 여과 작용을 확보하고, 체류 수단에 의해 여과조(11) 내부에 체류하는 양의 물(52)만을 이용하여 여과사(51)의 세정을 행하기 때문에, 소요 수량(水量)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 역류 세정에 의해 여과제(51)에서 박리·유출되어 여과조(11)에 체류하고 있는 탁질(53)을 용기(11)의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단순한 종래의 역류 세정이나 표면 세정에 비하여 여과제(51)를 효율적으로 또한 세정도 좋게 세정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도7 내지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7은 제2 실시 형태의 여과 장치의 주요부 종단면을 도시한 도2와 동일한 단면도, 도8은 도7의 여과 장치의 측면 도어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9는 도7의 여과 장치의 측면 개구를 도시한 부분 확대 정면도, 도10은 도9의 여과 장치의 교반조를 10-10선을 따라 부분적으로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11은 도7의 여과 장치에 사용되는 구동수단의 요부 확대도이다. 그리고,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우선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2 실시 형태의 여과 장치(110)는 통상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교반조(122) 내에 여과제(51)가 수용되어 있어, 교반조(122)에서도 여과가 이루어지는 점이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또한, 교반조(122)에 측면 도어(160)가 구동 수단(182)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점이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이 측면 도어(160)에는 용기(112)의 외부로 연장되는 조작 로드(이하, 간단히 로드라 함)(162)가 연결되고, 또한 용기(12)의 외면에 로드(162)에 연결된 링크(164)와, 이 링크(164)를 구동하는 에어 실린더(166)가 장착되어 있다. 이들 로드(162), 링크(164), 에어 실린더(166) 및 이들에 부대하는 설비를 총괄하여 구동 수단(182)이라 칭한다. 에어 실린더(166)는 각 측면 도어(160)에 대응하여 용기(12)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7에서는 설명을 위해 측면 도어(160)와 구동 수단(182)을 1세트만 도시한다.
측면 도어(160)의 상세에 대하여 도8 내지 도10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원통형 교반조(122)의 측면(168)에는 도9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13) 근방에서 교반조(122)의 상단(170) 근방에 이르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측면 개구(17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측면 개구(172)는 교반조(122)의 원주 방향으로 90°간격으로 4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이 측면 개구(172)에는 측면 개구(172)와 상보적인 형상의 가늘고 긴 측면 도어(160)가 하단에서 힌지부(174)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측면 도어(160)는 교반조(122)의 원통형 외형과 거의 동일한 만곡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하단은 직선적인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부분에 힌지부(174)가 형성되어 있다. 측면 개구(172)의 하단도 마찬가지로 직선 부분이 형성되어 힌지부(174)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측면 도어(160)는 여과할 때에 균일하게 물(52)이 여과제(51)에 골고루 미치도록 열린 상태에 있다. 교반조(122)로 흘러 들어간 물(52)은 교반조의 여과제(51)를 침투하여 여과되고, 절결부(178)를 통해 여과조(111)로 흘러 나온다.
또한, 교반조(122)의 하단에는 인접하는 측면 개구(172) 사이에 직사각형의 절결부(하부 개구)(17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178)도 측면 개구(172)와 마찬가지로 교반조(122)의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4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178)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개구(22a)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인데, 절결부(178)에는 뚜껑이 없이 항상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어서, 측면 도어(160)를 개폐하는 구동 수단(182)에 대해 도1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측면 도어(160)의 상부 외측에는 고정 브라켓(184)이 나사 고정 또는 용접에 의해 장착된다. 이 고정 브라켓(184)의 선단부는 상하로 연장되는 평판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로드(162)에 있어서의 용기(112) 내에 위치하는 선단에는 2갈래 형상의 연결 부재(186)가 나사식 결합 등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고정 브라켓(184)은 이 연결 부재(186)의 2갈래 부분에서 핀(188)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또한 일체로 연결된 연결부(190)를 구성하고 있다. 이 연결부(190)의 외측은 물(52), 여과제(51)로부터 연결부(190)를 보호하기 위해 신축 가능한 주름부를 갖는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금속제의 벨로우즈(192)에 의해 덮여 있다. 도11에 있어서, 측면 도어(160)는 열린 상태를 실선으로 표시하고, 닫힌 상태를 가상선으로 표시하고, 이에 대응하는 로드(162) 부분도 각각 실선, 가상선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도11에 있어서 로드(162)의 선단부는 연결부(190)를 생략하여 도시한다.
용기(112)의 측면에 형성한 장착 구멍(194)에는 로드(162)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196)가 장착된다. 지지 부재(196)는 장착 구멍(194) 내에 장착되어 축받이(200)를 지지하는 지지체(198)와, 이 지지체(198)의 측면에 장착되어 축받이(200)를 용기(112)의 외측에서 지지하는 누름 부재(202)와, 용기(112)의 내측에서 지지체(198)에 고정되어, 후술하는 벨로우즈(204)를 고정하는 벨로우즈 장착 부재(206)로 구성된다.
지지체(198)는 금속제로서, 중앙에 원형의 개구(214)를 갖는 원판 형상을 띠며 용기(112)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개구(214)에 있어서의 용기(112)의 내측 부분에 있는 내측 가장자리에는 원형고리 형상의 리브(2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축받이(200)는 내면이 만곡되어 있으며, 동일한 곡면을 갖는 볼 조인트(208)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축받이(200)은 지지체(198)의 개구(214)에 배치된다. 지지체(198)의 외측에는 누름 부재(202)가 지지체(198)에 나사 고정(도시생략)되어 고정된다. 누름 부재(202)는 원형의 개구(218)를 갖는 원판 형상의 금속 부재로서, 개구(218)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원형고리 형상의 리브(220)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 리브(220)와 상술한 지지체(198)의 리브(212)에 의해 축받이(200)가 지지된다. 볼 조인트(208)는 중앙에 로드(162)를 끼워 통과시키는 관통 구멍(210)이 형성된 구형상의 금속 부재로서, 축받이(200)에 각도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다. 로드(162)는 이 관통 구멍(210) 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용기(112)에 대해 각도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다.
로드(162)의 지지 부재(196) 근방 또한 용기(112)의 내측에는 상술한 벨로우즈(192)와 동일한 금속제의 벨로우즈(204)가 덮어 끼워져 있다. 이 벨로우즈(204)는 벨로우즈 192와 마찬가지로 로드(162)의 축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주름부를 갖고 있다. 벨로우즈(204)의 선단은 로드(162)에 끼워 장착 고정된 원통 부재(219)에 용접 고정되고, 후단은 벨로우즈 장착 부재(206)에 용접되어 있다. 원통 부재(219)는 로드(162)에 나사식 결합되는 너트(22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원통 부재(219) 내에는 로드(162)의 외주에 압접하는 패킹(223)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축받이(200)의 부분은 물 등의 액체나 여과제(51)로부터 보호된다.
로드(162)의 후단부(222)에는 돌기(224)가 돌출 형성되고, 이 돌기(224)에 L형 링크(164)의 일단에 형성한 장공(235)이 걸어맞춰져 있다. 링크(164)는 축(228)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링크(164)의 타단은 에어 실린더(166)의 작동축(230)에 연결되어 있다. 링크(164)의 축(228)은 용기(112)의 외측에 장착된 브라켓(232)에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링크(164)는 작동축(230)의 신축 운동을 로드(162)의, 도11에 있어서의 좌우방향의 운동으로 변경하여 측면 도어(160)를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여과제(51)의 세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정화용수 공급 펌프(21)의 운전을 정지하여 물(52)의 공급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제1 전자 밸브(20)를 폐쇄하여 세정시에 있어서의 물(52)의 비말 등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 여과조(111)에 있어서의 물(52)의 상면(수면) 위치가 교반조(122)의 상단 개구(122b)보다도 위로 되지 않도록 물(52)의 공급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여과제(51)의 양은 이 교반조(122)의 상단 개구(122b) 이하의 레벨로서, 오버 플로우 배출 수단으로서의 공급관(19) 이하의 레벨이 되도록 적절히 설정하는 것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이어서, 집수관(16)의 정화 취출 펌프(18)의 운전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제2 전자 밸브(17)를 폐쇄한다. 이 작용에 의해, 필터(14)를 통해 압력실(15) 내로 물(52')은 흘러 들어가지 않게 되고, 공급관(19)에서 공급되는 더러워진 물(52)은 여과조(111)에 체류한다.
이어서, 역류수 공급 펌프(18')에 의해 용기(112)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정화된 또는 청정된 물(52')을 제2 전자 밸브(17)를 열어 압력실(15)로 압송시킨다. 이에 따라, 물(52')은 여과조(111) 내로 역류하여 여과제(51)를 부유 상태로 한다. 부유 상태로 된 시점에서 에어 실린더(166)를 구동하여 측면 개구(172)를 폐쇄함과 동시에, 스크류 컨베이어(23)의 모터(23a)의 운전을 개시한다. 측면 도어(160)의 폐쇄와 스크류 컨베이어(23)의 운전 개시는, 여과제(51)가 부유되어 있는 상태에서 실시한 편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모터(23a)와 에어 실린더(166)에 걸리는 여과제(51)의 부하가 적어도 되기 때문이다. 측면 도어(160)가 폐쇄된 후에는 역류수 공급 펌프(18')는 정지된다.
스크류 컨베이어(23)가 회전하면, 교반조(122) 내의 여과제(51)는 스크류 컨베이어(23)에 의해 상측으로 서로 스치면서 밀려 올라간다. 한편, 항상 개방되어 있는 하부의 절결부(178)로부터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절결부(178)를 통해 교반조(122)의 저부로 밀려 들어간다. 그리고, 교반조(122) 내에서 회전하는 스크류 컨베이어(23)의 나선형 날개에 의해 교반조(122) 저부로 유입된 여과제(51) 및 물(52)은 순차 상측의 상단 개구(122b)까지 반송된다. 이 때에, 여과제(51)에 부착되거나 또는 여과제(51)를 피복한 탁질(53)이 여과제(51)에서 박리 제거되는 태양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또한, 스크류 컨베이어(23)의 회전수도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방법으로 설정된다. 교반조(122)의 상단 개구(122b)까지 상승하고 유동화된 여과제(51) 및 탁질(53)이 혼입된 물(52)은 순차 여과조(111)내로 내보내진다. 세정된 여과제(51)는 여과조(111)에 퇴적되는 미세정의 여과제(51)의 상부에 순차 퇴적되는데, 세정 시간의 경과와 함께 순차 여과조(111)의 하측으로 이동하고, 다시 절결부(178)를 통해 교반조(122)에서 세정된다. 이 행정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하부 개구(22a)를 통과하여 교반조(122)에서 세정되는 공정과 동일하다.
여과조(111) 내의 여과제(51)가 빠짐없이 세정된 후, 구동 수단(182)에 의해 측면 도어(160)가 개방된다. 측면 도어(160)를 열기 전에 집수관(16)에 설치된 제2 전자 밸브(17)를 개방하고, 역류수 공급 펌프(18')에 의해 용기(112)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정화된 또는 세정된 물(52')을 압력실(15)로 압송시켜 여과제(51)를 다시 부유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 실린더(166)의 부하를 경감시키기 위함이다. 이 때 교반조(122) 내에는 여과제(51)가 남아 있다.
계속해서, 역류수 공급 펌프(18')에 의해 용기(112)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정화된 또는 청정된 물(52')을 압력실(15)로 압송시킴으로써 헹굼 처리를 실시한다. 이 때, 스크류 컨베이어(23)를 정지시켜도 되는데, 교반조(122)의 여과제(51)의 탁질(53)을 효율적으로 배출하기 위해 소정 시간 회전시킨 상태로 해 두어도 된다. 그리고, 공급관(19)에 설치된 제1 전자 밸브(20)도 개방하여, 이 오버플로우 배출수단으로서의 공급관(19)으로 탁질(53)을 포함하는 물(52)을 배출한다. 그리고, 이 때 여과 통수(通水) 초기 단계에서 여과 배수를 약간의 시간 동안 실시한다.
제2 실시 형태의 여과 장치(110)에서도 마찬가지로, 여과 장치와는 별도로 여과제 세정 장치를 설치하거나 할 필요는 없으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다. 이들 제1 실시 형태의 효과에 더하여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교반조(122)에서도 여과되기 때문에, 여과조 전체에서 여과되게 되어 여과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교반조(122)에 항상 물이 흐르기 때문에, 더러워진 물이 교반조(122)에서 배어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물(52)을 여과조(111)내에 충만시켜 가압한 상태에서 교반조(122)에서 여과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가압하에서 여과되기 때문에, 물(52)의 침투가 평균화되고, 교반조(122)에서의 여과와 더불어 여과의 효율이 향상되어 처리 능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가압하에서 여과하는 경우, 측면 도어(160)는 항상 닫혀 있어도 된다. 가압하에서 여과되는 경우라도, 세정할 때에는 일단 압력을 제거하여 수위를 낮춘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한다. 또한, 가압하에서 사용하는 경우, 교반조(122)와 용기(112)를 복수개의 도시하지 않은 스테이(연결 부재)로 연결하여 교반조(122)의 변형, 용기(112)의 팽창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어 실린더(166)는 각 측면 도어(160)에 대해 1개씩 설치되어 있으나, 1개의 에어 실린더를 구동하여 링크를 통해 측면 도어(160) 전부를 개폐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측면 개구(172) 및 측면 도어(160)의 개수도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히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취지는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교반조의 직경은 액체의 오탁의 정도에 대응해서 크게 형성하거나 또는 작게 형성해도 된다. 또는 세정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교반조와 스크류 컨베이어를 크게 해도 된다.

Claims (12)

  1. 용기의 내부에, 여과제 및 상기 여과제에 의해 여과되는 액체를 수용하는 여과조와, 상기 여과조 내의 상기 여과제를 세정하기 위한 중공의 교반조를 갖는 여과제 세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여과제 세정 기구는 상기 여과제로부터 박리된 오탁 물질을 상기 용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탁질 배출 수단을 갖고, 상기 여과제에 의해 여과되어 정화된 액체를 상기 용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여과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반조가 상기 여과조 내에 세워 설치되고, 상기 교반층이 여과시에 닫히고, 상기 여과제의 세정시에 열리는 하부 개구를 가짐과 동시에, 적어도 상기 여과조에 수용되는 상기 여과제의 상면보다도 높은 위치에 상부 개구를 갖는 중공체이고,
    상기 교반조 내에는 상기 하부 개구를 통해 상기 여과조에서 상기 교반조 내로 유입되는 상기 여과제 및 상기 액체를 상기 교반조의 상기 하부 개구에서 상기 높은 위치의 개구까지 상기 교반조 내를 비벼 세정하면서 상승시키는 스크류 컨베이어가 설치되고,
    상기 교반조 내에서의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여과제를 비벼 세정하면서 상승시키고, 그 동안에 상기 여과제로부터 박리된 상기 오탁 물질과 함께 상기 여과제를 상기 높은 위치의 개구를 통해 상기 여과조 내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탁질 배출 수단은 개폐 수단에 의해 상기 하부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바닥에서 상기 여과조로 세정된 또는 청정한 새로운 액체를 분출하는 역류 기구와 상기 역류 기구에 의한 상기 액체의 분출에 의해, 상기 여과조 내에서 상기 액체 표층으로 부유되어진 상기 오탁 물질을 상기 용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오버플로우 배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제 세정 기구는 상기 용기 내에 투입된 액체를 상기 여과조 내부에 체류시키는 체류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제 세정 기구에 의한 여과제의 세정과 상기 여과를 전환하는 전환 기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기구는 적어도 상기 하부 개구를 폐쇄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개폐가 자유로운 개폐 도어와, 상기 개폐 도어를 개폐하는 개폐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도어는 상기 교반조 외벽의 내주 또는 외주를 따라 가동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7. 용기의 내부에, 여과제 및 상기 여과제에 의해 여과되는 액체를 수용하는 여과조와, 상기 여과조 내의 상기 여과제를 세정하기 위한 중공의 교반조를 갖는 여과제 세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여과제 세정 기구는 상기 여과제로부터 박리된 오탁 물질을 상기 용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탁질 배출 수단을 갖고, 상기 여과제에 의해 여과되어 정화된 액체를 상기 용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여과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반조가 상기 여과조 내에 세워 설치되고, 상기 교반층이 여과시에 닫히고, 상기 여과제의 세정시에 열리는 하부 개구를 가짐과 동시에, 적어도 상기 여과조에 수용되는 상기 여과제의 상면보다도 높은 위치에 각각 개구를 갖는 중공체이고, 상기 교반조의 측면에 상하로 연장되는 측면 개구를 갖고, 상기 교반조 내에 상기 여과제가 항상 수용되고, 상기 측면 개구에는 구동 수단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측면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 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교반조 내에는 상기 하부 개구를 통해 상기 여과조에서 상기 교반조 내로 유입되는 상기 여과제 및 상기 액체를 상기 교반조의 상기 하부 개구에서 상기 높은 위치의 개구까지 상기 교반조 내를 비벼 세정하면서 상승시키는 스크류 컨베이어가 설치되고,
    상기 투입된 액체가 통상 사용 상태에서 열려 있는 상기 측면 개구에서 상기 교반조내로 흘러 들어가서 상기 교반조에서도 여과가 이루어지고, 세정시에는 상기 교반조 내에서의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여과제를 비벼 세정하면서 상승시키고, 그 동안에 상기 여과제로부터 박리된 상기 오탁 물질과 함께 상기 여과제를 상기 높은 위치의 개구를 통해 상기 여과조 내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탁질 배출 수단은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여과제를 교반하기 위해 상기 측면 도어가 상기 측면 개구를 폐쇄할 때, 상기 바닥에서 상기 여과조 내로 세정된 또는 청정한 새로운 액체를 분출하여 상기 여과제를 부유 상태로 하는 역류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회전시, 상기 측면 도어가 닫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탁질 배출 수단은 상기 교반 작용이 종료되어 상기 측면 도어가 상기 측면 개구를 개방할 때, 상기 역류 기구에 의해 상기 바닥에서 상기 여과조로 분출된 세정된 또는 청정한 새로운 액체의 분출에 의해 상기 여과조 내에서 상기 액체 표층으로 부유되어진 상기 오탁 물질을 상기 용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오버플로우 배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제 세정 기구는 상기 용기 내에 투입된 액체를 상기 여과조 내부에 체류시키는 체류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조 내에 상기 여과제가 항상 수용되고, 상기 여과조에 투입된 상기 액체가 상기 여과조 내에 채워져서 가압되고, 상기 가압된 상기 액체가 상기 교반조에서도 여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KR10-2001-7016619A 2000-04-27 2001-04-24 여과 장치 및 여과 장치 내의 여과제의 세정 방법 KR1004970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26784 2000-04-27
JPJP-P-2000-00126784 2000-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6472A KR20020026472A (ko) 2002-04-10
KR100497099B1 true KR100497099B1 (ko) 2005-06-23

Family

ID=18636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6619A KR100497099B1 (ko) 2000-04-27 2001-04-24 여과 장치 및 여과 장치 내의 여과제의 세정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780312B2 (ko)
JP (1) JP3834512B2 (ko)
KR (1) KR100497099B1 (ko)
CN (1) CN1213785C (ko)
HK (1) HK1048449B (ko)
TW (1) TW577772B (ko)
WO (1) WO200108307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510B1 (ko) 2009-12-30 2012-04-13 (주)이엔바이오21 역세여과장치를 이용한 폐수 처리 장치 및 그에 따른 폐수 처리 방법
KR101509615B1 (ko) * 2013-03-29 2015-04-07 윤성구 샌드 여과기
KR101981299B1 (ko) * 2018-12-05 2019-05-22 김천섭 필터 장치를 통해 세척과 탈수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광물 분말 세척 탈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13870A1 (en) * 2000-11-06 2007-05-24 Nihon Genryo Co., Ltd. Method of cleansing filtration media and system therefor
JP3919098B2 (ja) * 2001-11-19 2007-05-23 日本原料株式会社 濾過装置
JP3959036B2 (ja) * 2002-08-09 2007-08-15 日本原料株式会社 濾過装置
US20070025897A1 (en) * 2002-11-12 2007-02-01 Safe Foods Corporation Application system with recycle and related use of antimicrobial quaternary ammonium compound
US20050211644A1 (en) * 2004-03-24 2005-09-29 Aquatic Advisors, Llc Mixed bed trickling reactor using microbeads
TWI283600B (en) * 2005-09-30 2007-07-11 Ind Tech Res Inst Environmental dynamic leaching/extraction device
JP4892393B2 (ja) * 2006-04-21 2012-03-07 前澤工業株式会社 濾過装置
JP5190529B2 (ja) * 2006-04-21 2013-04-24 前澤工業株式会社 排水処理装置
US20080178912A1 (en) * 2007-01-26 2008-07-31 Rosace International Co., Ltd. Agricultural sterilizing and detoxifying assembly for vegetables and fruit
JP5410656B2 (ja) 2007-05-17 2014-02-05 日本原料株式会社 濾過装置用の外付け濾過材洗浄装置
KR100878152B1 (ko) * 2008-10-07 2009-01-13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비상용 상수도 정수장의 복합 정수장치
JP5626969B2 (ja) 2009-07-02 2014-11-19 日本原料株式会社 濾過材洗浄装置
US8152998B2 (en) * 2010-05-28 2012-04-10 Ashbrook Simon-Hartley, LP Screenless granular media filters and methods of use
GB2486354B (en) * 2010-09-28 2012-11-28 Jinquan Yu Vortex Type Multimedia Filter
CN201825805U (zh) * 2010-09-28 2011-05-11 余金海 涡旋式多介质过滤器
CN101982216B (zh) * 2010-10-25 2012-05-30 东北石油大学 过滤器的反冲洗方法及装置
GB201301028D0 (en) * 2012-12-04 2013-03-06 Enhydra Ltd Filtration arrangement and method
CN103721453B (zh) * 2014-01-23 2015-07-15 胡国荣 一种随机连续移动更换滤料的过滤器
CN104826373A (zh) * 2015-05-23 2015-08-12 山东海吉雅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颗粒滤料过滤罐防止滤料结垢板结冲洗再生的方法
NO343574B1 (en) * 2017-05-22 2019-04-08 M&M Engine As Method for filtration of polluted liquid, and a filtration apparatus
US10584741B2 (en) * 2018-04-10 2020-03-10 Terry Michael Brown Bottom bearing
JP7129208B2 (ja) * 2018-05-14 2022-09-01 日本原料株式会社 濾過装置
CN109537549B (zh) * 2018-10-30 2020-10-30 浙江工业大学上虞研究院有限公司 一种水面青苔处理用环保设备
CN110255761B (zh) * 2019-06-13 2022-04-19 海德隆(上海)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的污水处理装置
CN111149760B (zh) * 2020-02-10 2024-07-16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一种固形物排放的养虾***
CN114558358B (zh) * 2022-03-24 2024-06-25 兖矿能源集团股份有限公司 矿井水复用***及其反冲洗方法
CN114602239B (zh) * 2022-03-31 2023-12-05 上海格氏流体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生物制药的切向流智能过滤装置
CN118161918B (zh) * 2024-05-14 2024-07-19 浙江华亨实业有限公司 一种针对原水过滤的机械过滤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30013A1 (ko) 1969-09-09 1970-10-30 Lagoutte Pierre
US4197201A (en) * 1976-03-03 1980-04-08 Rederiaktiebolaget Nordstjernan Apparatus for the filtration of a suspension or emulsion
US4496464A (en) * 1983-10-03 1985-01-29 Hensley Clifford J Filter apparatus and method
JPS61204049A (ja) 1985-03-06 1986-09-10 Hitachi Zosen Corp 連続式砂洗浄装置
JPH0731527B2 (ja) 1986-10-16 1995-04-10 株式会社東芝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ラ
JPS6398704U (ko) * 1986-12-17 1988-06-27
US4787987A (en) * 1987-01-09 1988-11-29 Hensley Clifford J Filter apparatus and method
US4966698A (en) * 1987-01-09 1990-10-30 Hensley Clifford J Filter system and scrubber
US5407574A (en) * 1987-01-09 1995-04-18 Hensley Clifford J Filter media for filter systems
DE4210571C1 (ko) 1992-03-12 1993-09-16 Dieter 8500 Nuernberg De Hompf
US5277829A (en) * 1992-07-14 1994-01-11 Andritz Sprout-Bauer, Inc. Deep bed sand filter
US5573663A (en) * 1994-01-10 1996-11-12 Junius; John H. Fluid filter using floating media
US5945005A (en) 1994-01-10 1999-08-31 Junius; John H. Fluid filter using floating media
JPH08215509A (ja) 1995-02-15 1996-08-27 Ishigaki Mech Ind Co 移動ろ床式ろ過機におけるろ材の洗浄装置
US6273106B1 (en) 1996-10-04 2001-08-14 Nihon Genryo Co., Ltd. Particulate matter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510B1 (ko) 2009-12-30 2012-04-13 (주)이엔바이오21 역세여과장치를 이용한 폐수 처리 장치 및 그에 따른 폐수 처리 방법
KR101509615B1 (ko) * 2013-03-29 2015-04-07 윤성구 샌드 여과기
KR101981299B1 (ko) * 2018-12-05 2019-05-22 김천섭 필터 장치를 통해 세척과 탈수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광물 분말 세척 탈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80312B2 (en) 2004-08-24
HK1048449A1 (en) 2003-04-04
KR20020026472A (ko) 2002-04-10
HK1048449B (zh) 2006-03-31
JP3834512B2 (ja) 2006-10-18
WO2001083076A1 (fr) 2001-11-08
TW577772B (en) 2004-03-01
CN1213785C (zh) 2005-08-10
CN1372485A (zh) 2002-10-02
US20030010699A1 (en) 200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7099B1 (ko) 여과 장치 및 여과 장치 내의 여과제의 세정 방법
US587661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filter material in a filter apparatus
WO2011001674A1 (ja) 濾過材洗浄装置
JP5410656B2 (ja) 濾過装置用の外付け濾過材洗浄装置
FI90500C (fi) Ennaltamäärättyä suurikokoisemman hienojakoisen aineen poistoon tarkoitettu vedenselkeytyslaitteisto
JP4309143B2 (ja) フィルターの自動洗浄装置
JPH0910162A (ja) 食器洗浄器の洗浄水浄化装置
JPH02503163A (ja) フイルター装置及び方法
JPH07204419A (ja) 液体から固体粒子をろ過および逆洗する方法と装置
US7537689B2 (en) Tertiary filter
KR100802602B1 (ko) 다목적 만능 물탱크
EP3663009B1 (en) System for treating wash waste liquid of a continuous tunnel washing machine in the field of preclinical pharmaceutical research
CN108472560B (zh) 纤维过滤设备
CN112057938A (zh) 一种转动式过滤机
GB2380952A (en) Regenerating filter media in situ
JP2000084291A (ja) 洗濯機
KR19980018113A (ko) 오폐수 세정방법 및 장치
KR102641918B1 (ko) 분뇨 및 가축분뇨 처리시설 탈리여액 여과장치
JPH1199398A (ja) 浄化槽
KR19990015689U (ko) 오,폐수처리용 스크린의 크리닝장치
US20160101991A1 (en) Eductor circulated nutshell media water filter
JP2002247968A (ja) 生海苔洗浄機におけるタンク内洗浄装置
JP2536318B2 (ja) 浮上ろ材を用いたろ過機におけるろ材の洗浄方法
JPH10277327A (ja) 浴槽水の循環浄化装置及び循環浄化運転方法
TWM621035U (zh) 攪拌式砂濾活性碳過濾桶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